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화를 활용한 통합적 영어지도 방안 연구 : 고등학교 특기적성 영어교육을 중심으로

        이현지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e age of globalization, we need to learn foreign languages, especially English which can be referred as an international languag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latest media and the change of the curricula, the teaching materials for English education have gone through great changes from traditional ones to visual ones like multi media, CD Rom, and DVD. Thus, it is necessary for English teachers to develop new teaching methods applying to English classes by effectively using new materials for more interesting classes. In this respect, one of ways to improve all four skill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of English is using mov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esenting integrated teaching method using movies in EFL class. For this, the selected movie, Finding Nemo was instructed to twenty high school students for eight periods. During each period, the integrated teaching was tried like as follows: based on the listening practice through selected scenes, reading practice with script of the movie, speaking practice which include pair role play and group discussing, and writing practice which gives students chances to write down about one specific topic related with the day's lesson were unified into each period. After teaching English for 8 periods using this method, I found that students' interest was higher than before. The higher interest led to the lower inhibition. That caused students to be improved in speaking and listening competence. Especially in listening competence, there was a quite much improvement between the result of pre class-test and the result of after class-test. Reading and writing practices were also tried, but I couldn't find any improvement with only eight periods teaching. When using movies in English clas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teachers'role. It is quite hard to apply movies as teaching materials for the English class, because teachers should prepare thoroughly with not only texts but also with machines. With teachers' effort, students who attend after school English class using movies can show improvement.

      • 슈만 피아노 모음곡의 생태주의적 교육 방법 연구 : 「나비op.2, 빈사육제 op.26, 어린이 앨범 op.68」을 중심으로

        이현지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Music, which generated from nature and human, has been developing consistently over the time and has come to what we now know. A 19th century philosopher Arthur Schopenhauer says, “music is a ‘transformed nature,’ which goes beyond this world and shows the realm of the ultimate will.” This means that music is the most natural way to express human thoughts and feelings. But these days, music is gradually losing its original meaning due to function-based and cramming method of teaching. Therefore, to prevent this loss of its meaning, a nature-friendly teaching method is to be accomplished instead. Robert Schumann(1801-1856) is one of the principle composers of the Romantic Period. Most of his works are based on lyrical poems, and have literary or pictorial titles. His music is full of unique characteristics that are derived from his sensitive emotions and liberal imaginations. Schumann’s romanticism is closely related to Jean Jacque Rousseau’s naturalism.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music in Schumann’s works is similar to the ‘symbiotic relationship’ of human and nature, a teacher and a student, a student and a student in ecology.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re is a connection between Schumann’s romanticism and both naturalism and ecology, this thesis will discuss about the ecologic teaching method in three of Schumann’s characteristic piano works. Jean Jacque Rousseau(1712-1778), a naturalism educational philosopher, notes in his book, 「Emil」, that the purpose of musical education is the ‘child’s grows of nature,’ and also developing the ability of cognition based on sense instead of rationality by using “the laws of growth.” Ecology is one of the philosophies from around the 21st century which appeared in need of examining negative aspects of human issues and the crisis of ecosystem, and finding a new solution. The purpose of ecologic musical education is ‘to achieve ecologic human development that encourages to love nature, and help the symbiotic of human and nature from interaction among creativity, performance, singing, and appreciation of music.’ There are 7 ways in ecologic teaching method in music. We should make a completely new system to make ecological students, based on the idea of the ecological paradigm that only the mutual help between the nature and human can protect the earth, which is the essence of life. Students need to get out of the framed classroom and proceed to the ecological field to see feel nature directly. In nature, they can share their experience and thoughts of the ecological contents, forming diverse networks between themselves and between them and their teachers. From a periodic point of view, romanticism is closely related to naturalism because it has emerged in reaction of illuminism. Studying the works of Schumann, who represents the romantic period, based on ecology will lead the ‘music which most naturally expresses human thoughts and emotions’ to be acknowledged and respected. Moreover, it will help the learner to understand the global outlook in music, and not only to aesthetically converse(interact) with music itself, but also to assimilate variety of genre such as music, art, and literature.

      • 위장관암 진단을 받은 보훈대상 환자의 암 디스트레스, 외상 후 성장, 사회적 지지, 암 극복력의 관련성 조사 연구

        이현지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ationships among cancer distress, posttraumatic growth, social support, and cancer resilience in veteran patients diagnosed with gastrointestinal cancer. Methods: From April 1st, 2021 to February 10th, 2022, a cross-sectional survey study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examined cancer distress, posttraumatic growth, social support, and cancer resilience in 131 veteran patients diagnosed with gastrointestinal cancer and received treatment at a hospita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SPSS-WIN 21.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veteran patients diagnosed with gastrointestinal cancer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age(r=-.115, p<.05), monthly income(r=-.203, p<.05), cancer distress thermometer(r=-.308, p<.001), cancer distress problem list(r=-.386, p<.001), practical problems(r=-.352, p<.001), family problems(r=-.229, p<.01), emotional problems(r=-.248, p<.01), physical problems(r=-.491, p<.001)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education(r=.227, p<.01), posttraumatic growth(r=.560, p<.001), social support(r=.601, p<.001), medical staff support(r=.476, p<.001), family support(r=.435, p<.001), friend support(r=.367, p<.001).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cancer resilience was explained by physical problems(β=-.508, p<.001), social support(β=.394, p<.001), posttraumatic growth(β=.339, p<.001), friend support(β=.298, p<.001), medical staff support(β=.273, p=.002), family support(β=.273, p=.002), cancer distress problem list(β=-.188, p=.019), education(β=.138, p=.034). These variables explained 49% of the variance of cancer resilienc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ctive assessment of medical personnel and appropriate interventions should be made to alleviate the cancer stress of patients receiving a diagnosis of gastrointestinal cancer and to improve posttraumatic growth, social support, and cancer resilience.

      • 과정드라마(Process Drama)를 통한 연극 교육 활성화 연구 : 중등학교 수업 적용을 중심으로

        이현지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focuses on process drama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ater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suggests its application to classes in secondary schools focusing on its educational effects. With the advent of the special situation of COVID-19 along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resent era requires a change in the method of education. Moving with the change to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at takes place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Ministry of Education paid attention to ‘theatre’ as a subject that can develop six core competencies in order to nurture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 a future-oriented human resource. For school teachers, however, theater class is limited to Korean language lessons i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is implemented as general electives 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This means that theater education is still considered unfamiliar in schools. At the same time, it creates an environment in which it is difficult to continuously discuss the theater education method linked to schools. By recognizing these problems and analyzing them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author of this study discovered the utility of process drama as a method of theater education in the larger context of school culture and arts. Especially, this study understands the need to expand the research on process drama, which is currently focused on young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secondary school students. Furthermore, it intends to focus in discussion on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that can be achieved when using process drama in secondary school drama classes. In conclusion, this study emphasizes that education should be continuously developed and prepared for the future even in the present difficult time. It argues that breaking from the past education method which involved Korean youths simply memorizing printed knowledge and raising test scores, we should use the process drama related to convergent education to gain a deep insight into life and strive to solve the complex problems facing society. This is based on the belief that the use of process drama is useful for revitalizing theater education in the future, as shown through the blueprint for nurturing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 suggested through the previous revision curriculum and major changes such as the creation of a theater curriculum that leans on i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f process drama is used in a clas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t makes it possible to hav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life of adolescence as it is a method suitable for the trend which emphasizes integrated (convergent) art education that characteristically works with future growth. Second, process drama covers from current problems to future problems and can promote creative problem-solving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through the essential structures of esthetic engagement, critical detachment, and various characteristics used during activities. In order to derive these results, this study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process drama in literature and presents a case study of process drama for revitalization of domestic theater education. It is hoped that the educational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the course drama will be confirmed with this, and that various discussions will be conducted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ater as a school subject in the follow-up studie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국내연극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과정드라마(Process Drama)에 주목하여 그 교육적 효과를 중심으로 중등학교 대상 수업 적용을 제언하는 연구이다. 현시대는 4차 산업혁명 시대와 함께 ‘코로나19’ 라는 특수한 상황이 도래함으로써 교육의 방식도 변화가 요구된다. 이러한 역량중심 교육과정으로의 변화 흐름 속에서 교육부는 미래 지향적 인재상인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6가지 핵심역량을 기를 수 있는 과목으로 ‘연극’에 주목하였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 연극 수업은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에 국어 단원으로 한정되고 고등학교 교육과정엔 일반선택으로 시행되는 정도이다. 이는 연극 교육이 교육 현장에서 여전히 생소하게 여겨진다는 것이며, 동시에 현장과 연계된 연극 교육방법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환경을 만들고 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함과 동시에 다각도의 분석을 통하여 현시대의 학교문화예술의 큰 흐름에서 연극 교육 방법으로 과정드라마(Process Drama)가 지닌 효용성을 발견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현재 유아나 초등 대상에 집중되어있는 과정드라마에 대한 연구가 중등학교 대상으로의 확대가 필요함을 인식하며, 중등학교 연극 수업에서 과정드라마 활용시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적 효과성에 대해 집중 논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현재의 어려운 시기에서도 교육은 지속, 발전되어야 하며 미래를 대비하여야 함을 역설하고 있다. 우리의 청소년들이 단순히 활자화된 지식을 암기하고 시험점수를 높여야 했던 과거의 교육방식이 아닌, 융합교육과 연관된 과정드라마를 활용하여 삶에 대해 깊이 있게 통찰하며, 사회에서 당면한 복잡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함을 주장한다. 이는 앞선 개정 교육과정들을 통해 주장된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에 대한 청사진과 여기에 기대어선 연극교과의 신설과 같은 주요한 변화들을 통해, 과정드라마의 활용이 미래 연극 교육 활성화를 위해 효용성이 있다는 믿음에서 나타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을 크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수업에서 과정드라마가 활용된다면 그 특성적으로 미래 성장과 함께하는 통합(융합)예술교육이 강조되는 흐름에 알맞은 방법으로써 중요한 청소년기의 삶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둘째, 과정드라마는 본질적 구조인 몰입과 비판적 거리두기, 활동 중에 사용되는 다양한 특성들을 통하여 당면한 문제부터 미래의 문제까지 아우르며 중등학교 학생들의 창의적인 문제 해결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과정드라마의 특성을 문헌연구하고 국내연극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과정드라마 수업사례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과정드라마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고, 앞으로 진행되는 후속 연구에서도 연극교과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논의들이 진행되었으면 한다.

      • 미니멀리즘 성향을 나타낸 현대 춤 연구 : 트리샤 브라운(Trisha Brown)의 「Set and Reset」, 안느 테레사 드 키어스메커(Anne Teresa De Keermaker)의 「Drumming」작품중심으로

        이현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1960년대 미국을 기점으로 예술은 사회적·문화적·정치적 분위기와 제도에 따라서 끊임없이 변화해 왔다.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반문화적 경향으로 20세기 초에 모더니즘이 리얼리즘에 대한 반작용으로 등장하는 반면, 1960년대 이후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더니즘에 대한 반작용으로 등장하고 모더니즘이 사회의 진보에 기반을 두는 사상이라면 포스트모더니즘은 다소 냉소적이며 탈 역사에 기반을 두었다. 이러한 변화로 무용예술은 모더니즘을 거부하며 실험적인 의식이 강해지면서 포스트모던댄스가 나타났다. 이시기에 나타난 미니멀리즘은 새로운 전위예술로 미술에서 먼저 시작하여 모든 예술분야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미니멀리즘은 극도로 단순함으로 객관적인 접근이 특징이고, 처음으로 나타난 미술뿐만 아니라 음악, 건축, 문학, 무용 등 여러분야별로 발생되며 각 분야별 표현들은 다르지만 시대적으로 공통된 양상을 띄우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예술에 나타난 미니멀리즘은 순수함을 보여주는 것에 있으며 어떤 것을 재현하거나 표현하는 것이 아닌 있는 그대로의 본질을 나타내는데 기점을 둔다. 미니멀 무용에서도 주관적인 정서나 환상을 배제하고 꾸며지지 않은 순수함을 위해서 표현을 최소화, 즉 극도로 단순함과 반복을 사용한 것으로 후기 현대무용에 새로운 춤을 제공했으며 어떤 방식으로 작가의 의도와 작품특성이 사용되었는지 알 수 있다. 이 시기에 여러 방법론 중에 미니멀리즘은 무용예술의 본질적인 구성요소들 중 움직임에서 가장 큰 변화를 가져왔다. 그 중에서 특히 현대무용은 움직임 이외 장식적인 요소들을 부정하거나 제거하였으며 표현이 가능한 순수한 본질인 신체 움직임만을 추구하고 예술의 표현소재로 신체를 중시하는 문화의 영향을 받아 신체에 대한관심을 받게 되었고, 작품작업의 의도나 표현에 있어서 새로운 신체의 움직임의 표현을 발견하고 즉흥적인 요소와 실험적 시도의 흐름이 주를 이루었다. 본 연구는 표현적, 장식적인 요소를 제거하여 축소시켜 무용의 본질에 접근하여 또 하나의 방법론으로 제공하여 미니멀리즘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이러한 미니멀리즘적 움직임에서 대표적으로 트리샤 브라운과 안느 테레사 드 케이르스마커는 미국에서 포스트모던댄스를 접하며 미니멀리즘의 성향으로 ‘춤의 부재’라는 한계를 극복하며 두 안무자들만의 새로운 안무기법으로 정착시켰다. 트리샤 브라운의 「Set and Reset」과 안느 테레사 드 케이르스마커의 「Drumming」에서 그들의 안무개념과 안무기법을 통해 미니멀리즘의 성향을 분석하였고, 미니멀리즘의 성향으로 움직임과 구성, 음악에서 단순성, 반복성 등 실험적인 기법으로 장식적인 것이 배제된 춤으로 미니멀한 움직임에 주목하고 감정적인 요소를 가미해서 전체적인 스토리를 부정하며 무용에서 움직임이 주제가 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두 안무자의 작품에서 보이는 미니멀리즘의 성향은 단순성, 반복성, 실험성, 즉흥성 등을 도출할 수 있었고 이러한 성향들로 신체의 움직임, 변형, 안무자들의 안무기법을 통해 현대 춤의 흐름 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들의 무용 활동을 통해서 안무기법을 살펴보고, 또 그 안무기법을 통해서 미니멀리즘의 성향이 어떻게 나타나게 되었는지 작품분석을 통해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오늘의 현대 춤의 신체움직임과 안무에 있어 본질적인 무용예술 방향을 제시한다.

      • 빛의 이미지를 통한 공연예술창작 방법 연구 : 공연 <입을 벌리다>를 중심으로

        이현지 한국예술종합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Light helps to perceive objects and space. The age of living and enjoying cultural entertainment by relying on natural light has evolved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where we can artificially adjust the elements of light. Thus, it makes possible to enjoy cultural life indoors now. As performing arts has become more diverse to fulfill cultural desires of humans, light has evolved into an element that maximizes visual effects by combining with various other visual elements. Furthermore, light, which is now artificially produced as intended, goes beyond helping with the perception of objects or space, but in fact, light has become an object of perception itself. I began this study with the question on how to convey the meaning of a performance using images made up of light to the aud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a designer that deals with light. I came up with composing a narrative using the various expression methods of light and produced <Opening the Mouth>, which is a performance that can effectively convey the images of light. <Opening the Mouth> displayed the potential of light as the subject of expressing meaning and images in performing arts and suggests that light can be the main subject for generating narratives. Furthermore, through the production of <Opening the Mouth> it suggests a new way of creative production method which is preceded by light, and at the same time it proves that it can be carried out efficiently in the actual theater production. This performance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s the expression method of light and provides an opportunity to newly recognize light, and that it presents a possibility as a subject in which light can generate narratives. Moreover, it is anticipated that performing arts creation methods through images of lights suggested in this study can open a new possibility for those interested in works related to light. 빛은 사물이나 공간을 지각하는데 도움을 준다. 자연의 빛에 의존하여 생활하고 문화적 유희를 즐기던 시대는 기술의 발전을 거치면서 빛의 요소들을 인위적으로 조절 가능하게 되었고, 이는 실내에서의 문화생활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인간의 문화적 욕구 충족과 맞물려 다양한 공연예술이 등장하게 되면서 빛은 다른 시각요소들과 결합하여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 시켜주는 요소로 변화하였다. 나아가 의도에 따라 인위적으로 연출된 빛은 사물이나 공간의 지각을 도와주는 것을 넘어서 빛 자체가 지각의 대상이 되는 것에 이르렀다. 이에 본 연구는 빛으로 구성된 이미지들이 극의 의미를 관객에게 전달할 수 있는지, 그 경우 어떤 지각의 방식이 작용하는지를 연구한다. 이러한 문제제기에 입각하여 본 연구자는 빛을 다루는 디자이너의 입장에서 빛의 다양한 표현방법들로 내러티브를 구성하는 작업을 구상하였고 공연의 형식을 띤 <입을 벌리다>를 제작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 작업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입을 벌리다>는 공연예술에서의 의미와 이미지를 표현하는 주체로서의 빛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공연으로 빛이 내러티브의 생성 주체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입을 벌리다>의 제작 과정을 중심으로 빛이 선행되어져 진행되는 창작방법을 통해 극장에서의 작업이 효율적으로 진행 될 수 있는 새로운 제작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본 공연은 빛의 표현영역을 확대시켜 빛을 새롭게 인식하게 하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빛이 내러티브를 생성하는 주체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나아가 본 연구가 제시하는 빛의 이미지를 통한 공연예술창작 방법이 빛과 관련된 작업에 관심 있는 이들에게 하나의 가능성으로 제시되길 바란다.

      • 초등학생이 지각한 주의집중,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교사-학생관계가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이현지 목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주의집중,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교사-학생관계가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한국 청소년 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8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4학년 2607명의 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이를 토대로 한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주의집중은 학업열의에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다.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학업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관계는 학업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생의 주의집중,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교사-학생관계 중에서 주의집중이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높았으며, 교사-학생관계,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뒤를 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초등학생의 학업열의를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의 주의집중,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교사-학생관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특히 개인이 가진 주의집중의 정도와 얼마나 긍정적인 교사-학생관계를 형성하느냐에 따라서 학업열의는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업현장에서 아동의 학업열의를 높이는데 필요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주제어 : 학업열의, 주의집중,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교사-학생관계

      • 금속 문화재 복원제에 사용되는 필러의 적용성 연구

        이현지 한서대학교 국제예술디자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Scientific treatment for preserving damaged cultural properties is used to prevent further damage and recover deteriorated parts. Specifically, aynthetic resin with good durability primarily epoxy resin has been used in restoring metallic cultural properties. Filler is used when metallic cultural properties are restored for reason of easy work, convenient processing, improved unevenness on the surface with luster and securing safety in the process of coloring. Filler which is used most in restoring metallic cultural properties at present is micro-balloon and talc and kaolin are also used as filler when treating earthen or stony cultural properties. Brown micro-balloon which is filler is used with it mixed with adhesive. Brown micro-balloon is used most when preserving metallic cultural properties which have same color after restoration. White micro-balloon is used for various metallic materials such as iron, copper alloy and silver due to convenient treatment but has weakness that it is worse than brown micro-balloon in yellowing. When talc is used with it mixed with a small amount of adhesive, sedimentation of talc occurs over time due to its large grading though it is natural material which makes adhesive and talc separated. When talc is used with it mixed with a certain amount of adhesive, it can danger stability of cultural properties with weight of part to be restored placed to one side. Despite such weakness of fillers, lots of studies on fillers which are used in preserving cultural properties have been conducted but application of synthetic resin to restoration of cultural properties is relatively insufficient. This study is to propose materials which allows weakness of three types of filler which are used at present to be supplemented and stability of cultural properties to be secured. Fillers to be compared in this study are two types of glass bubble and micro shell which are silica material to determine characteristics of fillers in terms of materials through optical study and experiment on property of such fillers. This study is to propose filler which can replace existing filler and to check applicability as material that can be used when preserving metallic cultural properties. The experiment conducted in this study is to check property of materials by measuring compressive strength, tensile strength, surface hardness, bonding strength, wear rate and specific gravity based on optical study, grading analysis and experiment on ultraviolet ray degradation. Grading analysis that is optical study revealed that the size of Micro Shell filler is about two times brown micro-balloon and is six times smaller than talc which allows this study to check easy mixture which is suitable for ratio of adhesive to filler. Experiment on ultraviolet ray degradation revealed that yellowing value of micro shell filler is 0.3 ∼ 2.5 times lower than white Micro-balloon, existing material which implies that Micro Shell filler is stable against ultraviolet ray. Experiment on properties revealed that selected three types of materials are better than white micro-balloon in terms of properties among three types of materials, Micro Shell filler showed the greatest effect. Compared with white micro-balloon, Micro Shell filler is better than white micro-balloon in compressive strength, bonding strength and wear rate when it is mixed with three types of adhesive and specific gravity of Micro Shell filler is higher than white micro-balloon but lower than 1.0 which is lighter than water which is easy in adjusting weight. Micro Shell filler among three types of fillers proposed in this study and produced based on natural material is light gray in color and can be applied to various materials with it mixed with adhesives and is easy for coloring after restoration. In addition, Micro Shell filler is easy in adjusting weight as medium grading of brown micro-balloon and talc which are existing materials and excellent in cutting force which can secure stability in forming and minimize secondary damage to surface of cultural properties. Experiment on ultraviolet ray degradation revealed that the level of Micro Shell filler is lower than white micro-balloon which implies that Micro Shell filler is suitable to lower fatigue degree because it allows reprocessing of cultural properties to be extended. When such results are considered in a comprehensive way, it was revealed that Micro Shell filler is better than fillers which are used currently in preserving metallic cultural properties in terms of properties and stability and it can replace existing materials. 손상된 문화재는 과학적인 보존처리를 통하여 추가적인 훼손을 방지하고, 취약한 부분을 복원, 손상된 문화재를 유지한다. 그 중 금속 문화재 보존처리 시 복원 과정에서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를 사용하며, 주로 에폭시 수지가 사용되고 있다. 원액으로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작업의 용이성과 편리한 가공성, 광택에 의한 표면 이질감 개선, 고색처리 과정에서의 안정성 확보 등의 이유로 필러를 첨가한다. 현재 금속 문화재 보존처리 시 가장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필러는 Micro-balloon이며, 이 외의 도토기 및 석재 문화재 보존처리 시 탈크, 카오린 등의 필러가 사용되고 있다. Micro-balloon 갈색은 현재 주로 접착제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필러로서, 복원 후 색상이 유사한 철제 유물의 보존처리 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백색은 고색 처리의 편리성으로 철제, 동합금제, 은제 등 다양한 금속 재질에 적용되어지고 있지만 갈색에 비해 황변 현상이 가속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탈크는 천연 재료이지만 입도가 크기 때문에 적은 양을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시간 경과에 따라서 탈크의 침강 현상이 발생되어 접착제와 탈크의 분리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일정량 이상의 접착제와 함께 사용될 경우 복원 부위의 무게가 한쪽으로 치중되어 유물의 안정성에 위험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필러의 단점에도 불구하고 문화재 보존처리 시 사용되고 있는 필러에 대한 연구는 현재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접합 · 복원제인 합성수지에 대한 연구에 비해 적용성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3 종의 필러에 대한 단점을 보완하고 유물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재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비교 필러는 실리카계 소재인 Glass bubble 2 종, Micro Shell 1 종을 선정하여 광학적 조사와 물성 실험을 통해 필러의 재료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금속 문화재 보존처리 시 복원 재료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기존 필러를 대체할 수 있는 필러를 제시하고자 한다. 실험은 입도분석과 자외선 열화 실험을 통해 광학적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압축 강도, 인장 강도, 표면 경도, 접착 강도, 마모율, 비중 측정을 하여 재료의 물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광학적 조사인 입도 분석 결과 Micro Shell 필러의 입도 크기는 Brown Micro-balloon 보다 약 2 배 정도 높고, 탈크 보다 크기가 6 배 이상 작게 나타났기에 복원제와 필러의 비율에 알맞은 혼합의 용이함을 확인하였으며, 자외선 열화 실험 결과 기존 재료인 White Micro-balloon의 높은 황변도 값을 Micro Shell 필러가 최소 약 0.3 ∼ 최대 2.5 배 황변 현상이 낮은 수치로 나타나 자외선에 대한 재료적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물성 실험 결과 선정한 재료 3 종은 기존 재료인 White Micro-balloon 보다 우수한 물성을 나타냈는데 그 중 가장 좋은 효과가 나타난 것은 Micro Shell 필러이다. White Micro-balloon과 비교하여 Micro Shell 필러는 복원제 3 종에 혼합하였을 때 마모율, 압축 강도, 접착 강도에서 수치가 높게 측정되었으며, 비중 값은 3 종의 접착제에서 모두 Micro Shell 필러가 White Micro-balloon 보다 높은 수치로 나타났지만 1.0 보다 낮아 물보다 가벼운 것으로 중량 조절에 용이한 것이 확인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3 종의 필러 중 천연 재료를 기반으로 제조된 Micro Shell 필러는 색상이 연회색으로 접착제와 혼합하여 다양한 재질에 적용이 가능하고, 복원 후 고색 처리가 용이하였다. 또한 기존 재료인 Brown Micro-balloon과 탈크의 중간 입도로서 중량 조절이 간편하고, 절삭력이 우수해 성형과정에서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유물 표면에 2 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자외선 열화 실험에서도 기존의 White Micro-balloon보다 낮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였을 때 Micro Shell 필러는 현재 금속 문화재 보존처리 시 사용되고 있는 필러보다 우수한 물성과 안정성을 확보한 재료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기존의 재료를 대체할 수 있는 금속 문화재 접합 · 복원용 필러로 판단된다.

      • 수퍼바이지 불안정 애착과 수퍼비전 작업동맹이 수퍼바이지의 개방에 미치는 영향 : 역할갈등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현지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role conflict on the relationships among supervisee insecure attachment,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and supervisee's disclosure. A total of 389 supervisees participated i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fill in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Supervisory Nondisclosure Scale, Supervisee Attachment Strategies Scale, Supervision Working Alliance Inventory-Trainee version, Role Conflict Inventor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SPSS Macr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ee insecure attachment and supervisee's disclosure. Second, role conflict moderated the effect of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on supervisee's disclosure. Third, role conflict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between supervisee insecure attachment and supervisee's disclosure. These results showed that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perform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of supervisee insecure attachment and supervisee's disclosure. In addition, role conflict plays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and supervisee's disclosure, as well as playing a moderating role in the mediation model that supervisee insecure attachment influences supervisee's disclosure through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본 연구는 수퍼바이지 불안정 애착이 수퍼비전 작업동맹을 통해서 수퍼바이지의 개방에 미치는 영향을 역할갈등이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동일한 수퍼바이저에게 최근 1년 이내에 개인 수퍼비전을 받았거나, 현재 수퍼비전을 받고 있는 수퍼바이지 389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수퍼바이지 비개방, 수퍼바이지 애착 전략, 작업동맹 척도-수퍼바이지용, 역할갈등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22.0과 SPSS Macro를 사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순차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퍼비전 작업동맹은 수퍼바이지 불안정 애착과 수퍼바이지의 개방 사이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할갈등은 수퍼비전 작업동맹과 수퍼바이지의 개방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퍼바이지 불안정 애착이 수퍼비전 작업동맹을 통해서 수퍼바이지의 개방에 미치는 영향을 역할갈등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수퍼바이지 불안정 애착과 수퍼바이지의 개방 간의 관계에서 수퍼비전 작업동맹이 매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역할갈등은 수퍼비전 작업동맹과 수퍼바이지의 개방의 관계뿐만 아니라 수퍼바이지 불안정 애착이 수퍼비전 작업동맹을 거쳐 수퍼바이지의 개방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 모형에서 중요한 조절변인임을 보여준다.

      • SNS 사용자의 정치인 관련 의견표명 행동에 미치는 요인 연구 : 계획된 행동이론과 침묵의 나선이론 적용

        이현지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 사용자들이 정치인에 관련된 의견표명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 주목적이며 계획된 행동이론과 침묵의 나선이론을 토대로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 SNS는 사용 유형이 비슷한 페이스북(Facebook)과 카카오스토리(KakaoStory)를 선정했으며 총 626명의 20대에서 50대 이상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감’, ‘고립의 두려움’, ‘여론지각차이’를 측정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을 이용해 계획된 행동이론의 모형을 검증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해 침묵의 나선이론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계획된 행동이론의 모형이 수용할만한 적합도에서 검증되었고 침묵의 나선이론 모형에서 ‘여론지각차이’가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으나 행동의도에 대한 설명력이 약했다. 한편, 연구결과에 따르면 진보적 성향의 사람들보다 보수적 성향의 사람들에게서 침묵의 나선현상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진보집단에서는 침묵의 나선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계획된 행동이론 모형에서는 개인의 정치성향에 따라 ‘주관적 규범’ 경로제약 검증과 경로계수 차이검증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검증되었으며, 침묵의 나선 이론에서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사적공간인 SNS 상에서 개인의 정치인 관련 의견표명 행동 양상을 세분화해서 연구했다는 점과 정치적 이념성향에 따라 계획된 행동이론의 모형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제어 : 계획된 행동이론, 침묵의 나선이론, 정치성향, SNS, 다중집단분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key factors which affect SNS users (Social Network Service Users) to express their opinion about the politician,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and the theory of spiral of silence(SOS). For the subject, Facebook and KakaoStory were selected which has similar user pattern. Total 626 user between 20's and 50's were randomly selected to perform questionnaire to measure 'attitude',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fear of isolation', and 'perceived difference in public opinion'. For data analysis, a structural equation was used to validate the model of TPB and us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SOS. As a result, the model of TPB was validated at the acceptable goodness of fit and 'perceived difference in public opinion' showed significance in the model of SOS. According to the findings, meanwhile, the phenomenon of SOS was stronger conservatives than progressives and it is observed that no phenomenon of SOS is shown in the progressives. In the TPB model, according to the political orientation, the validation of 'subjective norms' path restriction and validation of difference of path coefficient were significant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validated. However, there is no mediating effect in the SOS. This study would be meaningful in the points that it segmented the expression of personal opinion tendency about politician on the private space SNS and it observed that the TPB model varies upon the political orientation. Key word : TPB, SOS, Political Orientation, SNS, Multiple-group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