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술치료사의 질적연구 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

        장희정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2

        국문초록 미술치료는 내담자와 치료사의 실존적인 관계 맺기를 통해 쉼 없이 상호작용하는 변화와 성장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질적연구방법은 그러한 미술치료라는 장에서 드러나는 다양한 현상을 연구하기에 그 가치가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작 그러한 질적연구를 수행하는 미술치료사들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특별히 관심을 가진 연구는 그동안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미술치료 질적연구가 점점 질적·양적 팽창을 이루고 있는 현 시점에서 질적연구를 이끌어가는 미술치료사들의 질적연구 수행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질적연구라는 다소 복잡하고 섬세한 연구과정 안에서 연구를 이끌어가는 연구자들의 경험과 그것의 의미를 탐구하고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 선정은 미술치료 전문가의 추천을 통한 목적표집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 석사 또는 박사학위 연구를 질적연구 방법으로 수행한 미술치료사 5명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15년 2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심층면담 형태로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진행되었다. 이와 같이 수집된 자료에 대한 현상학적 해석학적 반성의 과정을 통해 미술치료사들의 질적연구 경험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미술치료사들의 질적연구 경험의 본질적 주제는 ‘낯설음과의 동행을 시작하다’, ‘낯설음에게 길을 묻다’, ‘내 안의 낯설음을 찾다’, ‘낯설음과 함께 돌보고 성장하다’, ‘낯설음을 익히며 거듭나다’의 총 5개의 본질적 주제로 드러났다. 연구 참여자들은 연구의 시작에서 낯선 질적연구에 대한 막연한 기대와 모호함으로 연구에 들어서게 된다. 그러나 막상 들어선 연구의 세계에서 그들은 질적연구만의 독특하고 복잡한 연구과정과 절차 속에서 혼란스러움으로 해매기도 한다. 그러한 다난한 과정을 통해 그들은 질적연구자로 갖춰야할 자질에 대해 절실하게 깨달으며 질적연구자가 되어간다. 질적연구의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연구의 면면에서 만나게 되는 자신의 과거와 현재를 경험하며 진정한 이해와 수용을 배우고 자기를 보살피는 경험을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참여자들은 질적연구 수행 경험을 통해 치료사로서 그리고 연구자로서 변화하고 성장한 자신을 만나는 경험을 하게 된다. 본 연구의 이러한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의 결과는 미술치료사들의 질적연구 경험의 의미를 크게 세 가지 결론으로 이끌게 되었다. 첫째, 질적연구자의 태도와 자질에 대한 질문의 답을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과연 질적연구자들이 연구수행에 있어서 연구자로서의 현상학적 태도를 견지하는가?, 그들은 그러한 성숙한 자질을 가졌는가?’라는 연구자의 의문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연구자의 태도와 자질이라는 것은 결국 연구 과정 안에서 형성되는 것이며, 누구도 완벽한 태도와 자질로 연구를 시작하고 수행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깨달았다. 따라서 그 물음의 답은 연구자가 항상 현상에서 거리 두기에 노력하며, 있는 그대로 바라보려는 자세를 망각하지 않고 깨어있는 것, 바로 그것이 연구자의 태도와 자질이었다. 둘째, 질적연구의 과정은 역경을 통해 성장할 수 있는 변증법적 과정이었다. 미술치료사들은 질적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연구방법과 형식의 모호함과 함께 자료 분석 과정의 물리적인 고통, 그리고 연구의 엄격한 도구로서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 고군분투해야 했다. 질적연구에 대한 막연한 기대를 품고 연구를 시작한 연구 참여자들은 그러한 연구과정에서 마주치는 고통과 어려움을 꿋꿋이 버텨야만 했다. 그리하여 그들은 미술치료사로서 연구자로서의 역할을 다 할 수 있는 인간 존재로서의 성장을 경험할 수 있었다. 이러한 성장의 의미는 지극히 변증법적인 과정으로 해석되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의 질적연구 수행은 자기성찰과 자기돌봄으로써 그 가치가 충분했다. 질적연구의 과정은 예상보다 빈번하고 많은 양의 자기반성의 시간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질적연구는 필연적으로 자기를 돌아보고 살펴봐야하는 반성과 성찰의 시간을 요구 한다. 그렇게 질적연구는 연구자인 나와 참여자들에게 다양한 방법으로 반성과 성찰의 시간을 마치 습관처럼 수행하게 하였다. 그러한 자기성찰과 자기돌봄의 기회를 가질 수 있었던 것만으로도 질적연구 수행경험은 그 가치가 충분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본질적 주제들은 질적연구에 관심을 가지거나 연구를 준비하는 예비 연구자들에게 연구수행의 기초자료로써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미술치료사들이 질적연구 수행과정에서 만나는 낯설고 다양한 어려움과 그 안에서 고군분투하는 과정들을 어떠한 의미로 경험하는지 탐색하고 이해하는기회를 제공한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또한 이를 통해 미술치료사들이 연구에 앞서 준비해야할 연구자로서의 전문적·인간적 자질에 대해 재고하고 반성할 수 있는 기회를 갖기를 기대해 본다.

      • 협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질적ㆍ양적연구

        김승철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박사

        RANK : 248702

        협상이 기업활동에 미치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의 협상연구들이 비과학적이며 체계적이지 못한 측면이 있다는 의견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는 협상의 복합적이고 상호작용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특정 변수들의 영향관계를 파악한다는 것이 쉽지 만은 않다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협상의 사안에 따라서 공개성 여부가 가장 큰 관건이기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비즈니스협상 연구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기업경영에 있어서 판매 전략, 노사관계, 조직관리 등의 분야에서 협상은 불가결의 요소가 되고 있으며, 또한 경영에 있어 핵심적인 경쟁요소가 되고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협상기술은 경영자를 비롯한 실무자들에게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이를 테면 영업부서는 거래처 또는 개인 고객을 대상으로 제품을 판매하며, 구매부서는 거래 업체를 통해 원자재를 공급 받고, 기획부서는 새로운 시장 개척 및 신제품 개발 등을 위해 기업간의 전략적 제휴를 실시하며, 구조조정 등을 위해 M&A를 실시한다. 인적자원관리 부서는 내부 구성원들을 토대로 연봉협상을 실시한다. 이외에도 기업의 많은 활동들을 면밀히 살펴보면 협상을 매개로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일반적인 협상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비즈니스협상을 “기업이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이윤을 추구하여야 하는데, 이는 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관계자들과의 상이한 이해관계 속에서 원만한 합의를 이끌어 내기 위해 토론, 정보교환 등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서로가 이익이 될 수 있는 대안을 도출해 나가는 의사소통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다. 이에 새롭게 정의된 비즈니스협상 개념을 바탕으로 우선 선행연구들의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협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8개 분야로 재분류 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자들의 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협상의 단계를 2단계(협상 사전단계, 협상 진행단계)로 구분하여 재분류된 8개 분야의 특성변수들을 협상 사전단계, 진행단계의 틀 속에 5개 분야로 다시 분류하여 ‘질적연구를 위한 준거기준’을 도출하였다. 이는 협상에 대한 복합적이고 예기치 않았던 상황 및 변화를 모색해야 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질적연구(qualitative research)를 우선적으로 수행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질적연구의 기본적인 방법인 참여관찰, 심층면담, 표적집단면접법, 문헌자료조사 등을 통하여 자료를 취합했고, 수합 자료를 정리ㆍ분석하여 협상적 단서를 추론하였다. 이를 토대로 도출된 특성변수와 선행연구를 통하여 재분류한 협상 특성변수를 종합하여, 우선 협상 사전단계 특성변수로 협상 계획수립과 준비, 협상꺼리 제공, 협상 당사자의 행태 파악, 시간적 여유, 철저한 내부협상, 신뢰구축 등의 특성변수를 도출하였다. 협상 진행단계 특성변수로는 가격제시 순서, 무형의 가치제공, 커뮤니케이션 : 허세ㆍ부풀림, 명분의 제공, 정보교환 행위, 확고한 목표의식 등을 도출하였다. 협상 상황 특성변수 즉 조절변인으로는 적절한 의사결정권 부여, 장기적 관계 고려, 인센티브 제공 등의 특성변수를 종합하여 연구모델을 도출 한 후, 241명의 협상 실무자를 대상으로 양적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질적ㆍ양적연구 결과가 전반적으로 일치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나 협상사전단계 특성변수 중 ‘시간적 여유’와 협상 진행단계 특성 변수 중 ‘가격제시 순서’는 질적ㆍ양적연구 결과가 일치성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협상 사전단계 특성변수 중 협상 계획수립과 준비, 협상꺼리 제공, 협상 당사자의 행태 파악, 철저한 내부협상, 신뢰구축 등은 협상성과에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협상 진행단계 특성변수 중 무형의 가치제공, 커뮤니케이션 : 허세ㆍ부풀림, 명분의 제공, 정보교환 행위, 확고한 목표의식 등도 협상성과에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조절변인 중 장기적 관계 고려와 인센티브 제공은 협상 진행단계의 특성변수와 협상성과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조절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협상이 어떠한 공식화된 프로세스에 의거하여 꼭 그렇게 진행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간의 협상연구에서 제시된 변수들 이외에도 새로운 변수들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이론적 고찰 및 질적연구를 토대로 협상의 구체적이고 특성적인 변수를 도출하였고 이를 토대로 양적연구를 시행하였기 때문에, 지금껏 협상 연구들이 양적, 실험설계 연구 등에 치중하여 기존의 연구결과에 대하여 분석하는 수준에서 시행된 것과는 차별화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덧붙여서 질적연구의 일반화를 하는 차원에서 실시되었기 때문에 질적ㆍ양적연구 각각의 특성과 공통점을 비교하고, 양자간의 상호보완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는 수준에서 연구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볼 때 비즈니스협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변수를 도출하였다는 이론적 접근과, 실제 협상사례와 담당자들의 생생한 의견을 담아 연구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담당 실무자들에게도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자료를 활용될 수 있다.

      • 소셜미디어 관광커뮤니케이션경험과 관광지의 경험적 가치, 브랜드 동일시, 러브마크인식 간 관계 연구 : 네트노그라피 방법을 통한 통합연구 접근

        이승훈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99

        소비자의 감성행동의 강화에 따라 러브마크와 같은 감성 브랜드 변수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 국내의 러브마크 관련 연구는 양적연구에 한정되어 있고 질적연구가 부재하여 러브마크의 실제적, 상세적 개념 및 의미 접근에 한계점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한계점 극복을 위해 관광 러브마크의 이해 확대 및 효율적 연구 방안 모색을 위한 러브마크의 연구 강화, 연구방법의 다각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상기와 같은 러브마크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관광 러브마크의 개념과 성격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질적, 양적 통합 연구로 진행되었다. 질적연구에서는 러브마크의 개념 정립 및 상세화를 위하여 Roberts(2004)가 제시한 러브마크 이론의 차원별 잠재되어 있는 상세적 개념 및 요소의 정의, 분류, 특징 분석 등을 통해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질적연구 결과 첫 번째, 체계적인 네트노그라피 방법론을 통해 관광 러브마크의 세부적 개념과 내용을 도출하였으며, 네트노그라피의 관광 및 러브마크 관련 연구 적용과 대안적 연구방법론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네트노그라피 질적연구방법을 통한 내용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러브마크 개념을 6개 차원, 15개의 주 테마, 11개의 세부 테마로 분류하고 이에 대한 개념적 정의 및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관광 러브마크의 차원별 하위 개념의 구성과 의미를 명확화하였다. 두 번째, 관광 러브마크의 개념적 정의 및 분류기준을 바탕으로 관광 러브마크 인식 관련 특징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관광 러브마크의 세부차원별 표현 비율을 분석한 결과 사랑의 차원인 신비감, 감각성, 친밀감에 대한 표현 비율이 존경의 차원 요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사랑차원에서는 신비감이, 존경의 차원 중에서는 성과에 대한 표현비율이 높았다. 이 결과는 Roberts(2004)의 주장과 일치하는 부분으로 이론적 주장을 지지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관광 러브마크 유형별로는 관광지는 호텔/리조트에 비해 사랑 차원의 표현 비율이 높았으며, 호텔/리조트는 존경 차원의 표현 비율이 높았는데 대상의 유형적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세 번째, 네트노그라피 연구 방법과 결과의 실무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네트노그라피 연구를 통해서 관광 러브마크 관련 세부적인 소비자의 인식과 특성을 파악하고 전략적 방향성을 도출할 수 있었는데, 이와 같은 점에서 네트노그라피 방법은 관광소비자 분석 및 전략수립의 자료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양적연구에서는 질적연구를 통해 분석된 관광 러브마크 개념을 양적연구의 측정 척도에 반영하여 실증 검증하였으며, 관광지 러브마크 형성의 선행요인으로서 소셜미디어 관광커뮤니케이션경험, 경험적 가치, 브랜드 동일시를 설정하고 이를 모형화하여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양적연구 결과 첫 번째, 러브마크의 개념에 대한 고차확인요인분석을 통해 질적연구 결과 및 러브마크 이론에서 제시하는 러브마크의 6가지 차원에 대한 양적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두 번째, 소셜미디어 관광커뮤니케이션경험이 관광지의 경험적 가치, 브랜드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부분적으로 가설이 채택되었다. 인지적 경험과 감성적 경험은 관광지 경험적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관계적 경험은 관광지 경험적 가치에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이는 실제 관광경험에 대한 기대감과 긍정적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는 관광지에 대한 사전 경험의 강화가 필요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관계적 경험은 관광지 브랜드 동일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지적 경험과 감성적 경험에는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이는 관광지 브랜드 동일시를 위해서는 소셜미디어의 관광객 리뷰와 같은 관계적 정보에 대한 경험의 제고가 필요하다는 점을 의미한다. 세 번째, 관광지 경험적 가치는 관광지 브랜드 동일시에, 관광지 경험적 가치와 관광지 브랜드 동일시는 관광 러브마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광객의 니즈를 반영하여 경쟁 관광지와는 차별적인 경험을 창조하고 제공해야하며, 관광지에 대한 관광객의 경험관리 및 관계성 인식을 강화할 경우 관광 러브마크 인식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관광 러브마크 개념의 정립과 관광 러브마크 감성행동의 탐색과 관련 질적, 양적 통합연구 접근을 통하여 기존 러브마크 연구의 한계점 보완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의 결과는 관광 러브마크의 특성에 대한 이해와 추후 관광 러브마크 연구의 확대에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interest and importance in emotional brand variables just as lovemarks have increased at a phenomenal rate. But research to capture the true meaning of the concept about lovemarks is limited due to the lack of qualitative research and various alternative approaches for research.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advanced research and to clarify the concept of tourism lovemarks, this study was a combination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as it were, mixed methods research. In qualitative research of this study, to draw an implication from analyzing connotative concept, element, and characteristics of tourism lovemarks, the netnography method which is an effective and appropriate method for observing consumer's meaning for tourism lovemarks was used. The result of qualitative research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what are the underlying components that constitute the construct of tourism lovemarks according to the six dimensions of lovemarks proposed in Roberts'(2004) theory. According to the content analysis results of netnography research, the refined and coded data were reassembled into 15 higher-order themes and 11 sub-themes of tourism lovemarks. Also, it was confirmed that an applicability to tourism and lovemarks study of netnography research was a distinct possibility. Second, there were meaningful implications which were drawn from characteristic analysis of tourism lovemarks. Analyzing from the proportion of tourism lovemarks expression, love dimensions(mystery, sensuality, intimacy) were more frequently expressed than respect dimensions(performance, trust. reputation). By factor of tourism lovemarks, there were frequently expressed mystery factor in love dimensions, performance factor in respect dimensions that support Roberts'(2004) theory. Also, in the expression ratio of love dimensions, tourist destination lovemarks was higher than hotel & resorts lovemarks, on the contrary to this, in the expression ratio of respect dimensions, hotel & resorts lovemarks was higher than tourist destination lovemarks. It implie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lovemarks depending on the type of tourism lovemark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an applicability to business area of netnographic analysis was a distinct possibility. From netnography research, it is found that netnography is useful to get consumer’s concern and strategic comsumer insights. In quantitative research of this study, it was aimed to redeem and validate tourism lovemarks scale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qualitative research. Also, it was ai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media communication experience, experiential value, brand congruity, and lovemarks for tourism destination. The result of quantitative research as follows, First, it was verified the validity for six dimensions of lovemarks on the basis of this qualitative research and Roberts'(2004) theory by higher ord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tourism lovemarks. Second, it was verified that cognitive experience and emotional experience of social media communication experience had the positive effect on experiential value for tourism destination. So it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prior experiences which make expectations for a real experience and positive image for tourism destination. Also, it was verified that relational experience of social media communication experience had the positive effect on brand congruity for tourism destination. so it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enhance experiences for relational information as like a tourist’s review for tourism destination. Third, it was verified that experiential value had the positive effect on brand congruity for tourism destination. Also, it was verified that experiential value and brand congruity had the positive effect on lovemarks for tourism destination. So, it implies that if tourist experience management and relationship recognition for tourism destination are strengthened, it will make recognition of tourism lovemarks improved. And we should provide differential experiences, in contrast with the competitive destination, by reflecting tourist’s need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gaining a meaningful understanding of constructs,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behavior regarding tourism lovemarks, and to expand for an extension of lovemarks study.

      • 청소년상담자의 성장을 촉진하는 결정적 사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Critical Incidents that Promotes Growth of Youth Counselors

        이승은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청소년상담자의 성장을 촉진하는 결정적 사건 경험을 살펴 자신의 개인적·전문적 삶에서 다양한 결정적 사건 경험이 어떻게 서로 반응하고 선택되는지 또한, 발달적 성장을 위한 치료적 자원으로서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상담자로서 성장을 촉진하는 결정적 사건 경험은 어떠한 것인가? 둘째, 청소년상담자의 결정적 사건 경험은 어떠한 과정을 거쳐 상담자에게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연구 문제를 탐색하기 위해 상담전공자로 석사과정 이상의 학력과 실무경험을 가지고 현재 청소년상담을 진행하고 있는 상담자 중에서 자신의 개인적·전문적 삶에서 유의미하게 경험한 결정적 사건 경험을 기술할 수 있는 상담자 1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합의적 질적 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시절에 가족과 주변 사람들에게 격려와 인정을 받지 못하였거나 괴롭힘과 무시를 당하며 잘 지내지 못한 경험을 하였으며, 그로 인해 생긴 부정적 감정과 아픈 상처는 청소년상담자로 사는 삶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경험이 되었다. 둘째, 청소년과의 특별한 만남, 그리고 깊은 애정과 관심, 도움을 주고 싶은 마음이 있었으며, 좌절 상황에 머무르지 않고 극복하기 위한 노력은 청소년상담자가 되고자 하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가족과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갈등경험은 역할에 대한 혼란을 일으켰으며, 고립된 외로움과 자책하는 마음, 동시에 상대에게 실망하며 서운한 감정을 가져왔다. 넷째, 가족과 주변 사람들과의 긍정적 관계 경험은 결핍된 내면을 채워주며 마음속 깊은 불안과 두려움에서 벗어나 새롭게 도전할 수 있게 하였다. 다섯째, 상담수련경험으로 다양한 자신의 감정과 모습을 확인하고 인정하게 되었으며, 청소년상담자로서의 전문성의 한계를 알아차리게 되는 성찰을 경험하였다. 여섯째, 상담과 교육분석을 받은 내담자 경험은 자신의 삶을 질적으로 통합하고 삶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가치변화를 가져왔으며 청소년상담자로서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일곱째, 청소년상담자 경험은 다양한 위기사례에서 비자발적인 내담자를 만나거나 예상하지 못했던 조기 종결로 어려움을 경험하였으며 전문성과 임상경험의 부족함을 알아차리는 계기가 되었다. 여덟째, 청소년상담자 경험은 배움과 성장의 밑거름이 되어 청소년을 한 인간으로 받아들이는 전인적인 수용과정이 이루어지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그들과 함께하며 청소년내담자 스스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게 하였다. 이런 경험은 청소년상담자로서 유능감과 자신감을 느끼며 즐겁게 상담을 지속하는 힘이 되었다. 아홉째, 행정 경험은 과도한 업무와 현장에서의 어려움으로 상담자가 아닌 행정가라는 정체성에 혼란을 가져왔지만 이를 극복하려는 노력으로 청소년상담자로서도 행정가로서도 성취를 이루는 경험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청소년상담자의 개인적·전문적 삶에서 유의미하게 경험하였던 결정적 사건 경험의 본질은 긍정이거나 부정적인 반응을 일으키며 그로 인한 선택의 과정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성장을 촉진하는 역할로 보았다. 또한, 개인적 삶에서 결정적 사건 경험은 지속적인 성찰 과정을 통해 청소년상담자로서 인간적 자질을 발달하는 과정이 되었으며, 전문적 삶에서 결정적 사건 경험은 마찬가지로 지속적인 성찰 과정을 거치며 청소년상담자로서 전문가적 자질을 발달하는 과정이 되었다. 이렇게 발달한 인간적 자질과 전문가적 자질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지속적인 순환과정에 있으며, 개인적 삶의 경험과 전문가적인 상담자 발달에 의미 있게 통합되어 전인적인 발달로 이어져 전문성 발달을 이루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 청소년상담의 성과와 상담자 발달, 그리고 비자발적인 청소년내담자와의 작업동맹에 관해 양적 연구가 주로 이루어져 왔으나 본 연구에서 청소년상담자의 개인적·전문적 삶에서 결정적 사건 경험을 질적 연구를 통해 더욱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드러낼 수 있었으며, 다양한 경력과 기관에 있는 남녀상담자 모두를 대상으로 하여 초심상담자에게도 숙련된 상담자에게도 실제적인 도움이 될 만한 경험을 공유할 수 있었다. 결정적 사건 경험이 개인적으로는 인간적 자질의 성장과 청소년상담자로서는 전문가적 자질의 통합적 성장이 이루어지게 하는 촉진적 관계와 구조를 확인하여 청소년상담 분야에서 상담자를 교육하고 수련하는 모두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critical incidents that promote the growth of youth counselors, and how the variety of the experiences of critical incidents have been selected and interacted within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lives. Also, it intends to identify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critical incidents as therapeutic resources for their developmental growth.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xperience of critical incidents that promotes growth as a youth counselor? Second, what is the influence process of the experience of critical incidents for a youth counselor?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4 counselors in order to explor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e study. They have at least a master's degree and experience in counseling, and they are currently counseling a youth. They can also describe the significant experience of critical incidents in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live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applying a consensus qualitative research(CQ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n adolescent, they did not receive encouragement and recognition from their family and those around them or suffered from harassment and neglect. The negative emotions and broken hearts that resulted from this became the experience of critical incidents as part of the lives of youth counselors. Second, they had an extraordinary encounter with the youth and felt deep affection, interest, and a desire to help. Also, efforts to overcome the situation instead of being defeated by it became an opportunity to be a youth counselor. Third, their adverse experi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members and those around them led to confusion about their roles. This relationship experiences created the feeling of isolated-loneliness, self-reproach, disappointment, and regret towards the others. Fourth, their experiences of positive relationships with family members and those around them filled their deficient inner side and allowed them to take on new challenges by escaping from their deep anxieties and fears. Fifth, through the counseling training experiences, they were able to confirm and acknowledge their various emotions and themselves. Also, they reflected on the recognization of their limitations on professionalism as a youth counselor. Sixth, the experience as a client from counseling and educational analysis integrated the quality of their lives, produced changes in positive attitudes and their values, and helped them to form their identity as a youth counselor. Seventh, as a youth counselor,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meeting involuntary clients or unexpected termination in various crisis cases. They became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eir lack of professionalism and clinical experience. Eighth, the youth counselor's experience was the foundation for learning and growth, which helped the holistic process of accepting youth as a human being. Also, with their youth clients, the youth counselors guided them to grow up on their own. These experiences empowered them to feel competence and confidence, and aided them to continue to enjoy counseling. Ninth, the administrative experience confused their identity as a counselor, due to excessive administrative work and difficulties in the field. However, it became a fulfilling experience as a youth counselor and an administrator in order to overcome the identity crisis. The essence of the significant experience of critical incidents in the personal and professional life of youth counselors in this study caused positive or negative reactions. Each incident influenced each other and acted as an element of growth catalyzer in the process of selection in their lives. The experience of critical incidents in personal and professional life has become a process of developing personal and professional qualities as a youth counselor through a continuous reflection process, respectively. These personal and professional qualities are influenced by each other. They are in a continuous circulation process, and can be identified as professional development by integrating meaningfully into personal life experiences and professional counselor development, leading to holistic development. In the previous research, quantitative researches were mainly conducted on the outcomes of counseling for youth, the development of counselors, and working alliances with involuntary youth clients. The experience of critical incidents in the personal and professional life of youth counselors shared more concrete and vivid illustration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It also provided the experiences that could be of practical help to both beginners and experienced counselors for both men and women in various careers and institu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experience of critical incidents would be utilized as a practical material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counselors in the field of youth counseling by identifying the facilitating relationship and structure of the growth of personal qualities and the integrated growth of professional qualities for youth counselors in their personal and professional lives.

      • 혼합연구방법을 활용한 산업체 근로자 식습관 영향요인 및 영양교육 효과

        임지숙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87

        Workers' eating habits affect their physical health and individual quality of life, and socially, they are closely related to workplace productivity and worker health care costs. Therefore, it is an area in need of intervention. Eating habits are formed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are also affect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hift work, it is known that the ratio of smoking and drinking groups is high, and interest in eating habits and health is low. An in-depth understanding of eating habits and behavior patterns according to working conditions is required to identify and improve workers' eating habi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a foundation for nutrition education for general workplace workers by conducting nutrition education and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based on an integrative understanding of the behavioral meaning of eating habits and factors that regulate the nutritional index in different working environm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equal weight o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based o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of previous studies. The data of each study were collected,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using the simultaneous triangulation method that can best understand the research hypothesis for the research problem. The study data were targeted at manufacturing workers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For the qualitative study,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32 people, and the contents were analyzed. The quantitative study analyzed the nutritional index difference factors and the moderating effects related to smoking and drinking in 738 subjects. Educational subjects and contents were derived based o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results, and nutrition education was conducted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It was named Random-easy program, implying that the subject of education is random, and the content is easy. The main results of integrating the results of each type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affecting workers' eating habits were examined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of previous studies. The effect of dietary factor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on-shift work than in shift work,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Not drinking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factors related to eating habits according to the level of drinking. Second, he qualitative study found that shift workers eat quickly and cannot keep regular mealtimes because of shift work. Non-shift workers do not consider food taste and nutritional balance because they prioritize individual preferences. In particular, workers living alone or male workers had difficulty solving eating and revealed problems with eating and food choices while drinking or smoking. Accordingly, the need for an assistant to manage eating habits and regular nutrition counseling at work was raised. These results became the basis for a concrete understanding of shift workers' situations and behavior in the quantitative study results. Third, shift workers had significantly lower nutritional indexes than non-shift workers in a quantitative study on the nutritional index.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according to the influencing factors: work experience, gender, age, monthly household income, and family composition. In addition, different control effects were found in the areas of balance, variety, and moderation of workers’ nutritional index according to the degree of smoking and drinking. Drinking had a more substantial effect on the balance area than smoking. Smoking had a more substantial effect than drinking alcohol in the variety area. The moderation area was affected by smoking and drinking at the same time. Fourth, the group that particularly needs nutrition education was workers with lower nutritional indexes who needed monitoring; shift workers, male workers, divorced, bereavement, and workers who drink and smoke in the integrated analysis of the mixed methods research conducted in combination with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above.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meal suggestions by work type, meal suggestions when drinking or smoking, methods to reduce sugar or sodium intake, and metabolic syndrome, a disease related to eating habits and lifestyle. Fifth,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random-easy program) was shown in both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nutrition education. Scores in the nutritional index, balance, variety, moderation, and eating habits were improved as face-to-face nutrition education sessions increased. Nutrient index through nutrition educ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in shift workers, face-to-face education, and subjects who drink or smoke or do both simultaneously. In the case of non-face-to-face nutrition education, the educational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for shift workers after education, for those who drink and smoke at the same time, or only smoke, compared to before education. This study applied mixed methods research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workers' eating habits and proved the effect with simple nutrition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In future research on workers' eating habits, it is necessary to collect qualitative data on perception and behavior decision methods,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that reflects work characteristics, and apply it to individual workplaces. To this end, a follow-up study is proposed because the preparation of workplace worker nutrition projects based on a national policy must be prioritized.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used as data to lay the foundation for workers' health promotion policies and interventions to improve eating habits. 근로자의 식습관은 개인의 신체적 건강을 바탕으로 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사업장 전반의 생산성과 근로자의 건강관리를 위해 지출되는 비용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중재가 필요한 분야이다. 건강행태의 일환으로 여겨지는 식습관은 근로자 개인으로부터 형성되는 개별적인 요인과 개인을 둘러싼 전반적인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특히 교대근무 형태를 취하는 사업장의 경우 근로자의 흡연과 음주군의 비율이 높고 식습관 및 건강관심도는 낮은 편에 속한다. 이에 근로자의 근무 형태별 식습관 행동기제를 포괄하는 심층적 이해를 바탕으로 근로자의 식습관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인자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대 및 비교대 환경에서 식생활이 갖는 행동적 의미와 영양지수 조절 요인에 대한 통합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효과성을 평가함으로써 일반 사업장 근로자의 영양교육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에 기초하여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에 동등한 비중을 두어 수행하였으며, 각 연구의 자료를 수렴하여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가설을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동시 삼각 측정법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자료는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제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질적 연구는 32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고 내용분석 하였으며, 양적 연구는 738명을 대상으로 영양지수 차이요인과 흡연, 음주 관련 조절효과를 분석 하였다.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대상과 내용을 도출하고 대면 및 비대면 방식으로 영양교육을 진행하였으며, 교육 대상이 Random하고 내용이 쉽다(easy)는 의미를 함축하여 Random-easy 프로그램으로 명명하였다. 각 연구의 유형별 결과를 도출하여 이를 통합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해 근로자 식습관 영향 요인을 살펴본 결과, 근무 형태에 따라 비교대 근무가 교대 근무에 비해 식습관 관련 요인 효과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주 수준에 따라 음주를 하지 않는 것이 식습관 관련 요인 향상에 더욱 효과적임을 확인 하였다. 둘째, 질적 연구 결과 교대 근로자는 교대근무로 인한 식사교대로 바쁘게 식사하거나 정기 식사 시간을 유지 하지 못했고 비교대 근로자는 개인의 기호도를 우선시 하므로 음식의 맛과 영양적 균형을 생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혼자서 생활하는 근로자, 남성 근로자의 경우 식사를 해결하기 어려워하였고, 음주나 흡연 상황에서의 식사와 식품선택에 대한 문제를 드러냈다. 이에 따라 식습관 관리에 조력자의 필요성과 직장에서의 상시적 영양상담의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양적연구 결과에서 교대 근무자의 식습관에 대한 상황과 행동에 대한 이해를 구체화 할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셋째, 영양지수에 대한 양적 연구 결과 교대 근무자가 비교대 근무자에 비해 영양지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영향요인으로 근무경력, 성별, 연령, 월간 가계 수입, 가족 구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흡연과 음주 정도에 따라 근로자의 영양지수 균형, 다양, 절제 영역에서 각기 다른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음주량은 균형 영역에 흡연보다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흡연은 다양 영역에 음주보다 강한 영향을 미치고, 절제 영역은 흡연과 음주의 영향을 동시에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기의 질적 및 양적 연구를 병용하여 진행한 혼합연구방법의 통합 분석 결과 영양교육이 특히 필요한 대상은 영양지수가 낮은 모니터링 필요 군, 교대 근로자, 남성 근로자, 이혼·사별·독립으로 혼자서 생활하는 근로자, 음주·흡연하는 근로자였다. 연구 유형별 주요 결과의 통합 분석에 따라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은 근무형태별 식사 제안, 음주·흡연시의 식사제안, 당·나트륨 줄이는 방법, 식습관과 생활습관 관련 질환인 대사증후군으로 구성하였다. 다섯째, 영양교육(Random-easy프로그램)의 효과는 대면 및 비대면 영양교육에서 모두 나타났다. 대면 영양교육의 경우 회 차가 늘어날수록 영양지수 및 균형, 다양, 절제, 식습관 영역의 점수가 향상되었고 교대 근무자에서, 대면교육의 방법에서, 음주 또는 흡연을 하거나 이를 동시에 하는 대상자의 경우에 영양교육을 통한 영양지수가 유의하게 높아졌다. 비대면 영양교육의 경우도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에, 교대 근무자일수록, 음주와 흡연을 동시에 하는 경우일수록, 흡연만 하는 경우 일수록 교육 효과 상승 폭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혼합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근로자의 식습관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간단한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근로자의 식습관과 영양상태의 개선을 효과적으로 입증하였다. 향후 근로자의 식습관 연구는 인식과 행위 결정 방식에 대한 질적 자료의 수집, 업무 특성을 반영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개별 사업장에서의 적용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정책에 기반 한 사업장 근로자 영양 사업의 직장 내에 마련이 선결되어야 하므로 이를 후속 연구에 제언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근로자의 건강증진 정책과 식습관 개선을 위한 중재 마련의 기반을 다지는 자료로써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 거부민감성향 청소년의 내적표상 재구성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홍다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86

        본 연구의 목적은 거부민감성이 높은 초기 청소년의 내적표상 재구성 과정을 내부자적 시각에서 질적 연구의 방법으로 살펴봄으로써 발달과정 상 내적표상의 구체적인 변화 경로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로써 내적표상의 재구성을 경험하는 거부민감성향 청소년을 연구하되 질적연구방법을 통하여 총체적 이해를 도모함으로써 첫째, 청소년 상담 시 개입 방법에 시사하는 바를 얻고자 하며, 둘째, 그들의 부모에 대한 상담과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셋째, 거부민감성향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예방적 차원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자 한다. 이리하여 사회적 맥락 속에서 청소년의 건강한 자아와 관계 유지를 조력하기 위한 정보와 자료를 제공하는 학문적 지침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높은 거부민감성향을 나타내는 초기 청소년을 참여자로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하여 선정하였다. 우선 한국판 거부민감성척도(CRSQ)를 활용하여 거부민감성이 높은 초기 청소년을 1차 선정한 후 잠정적 참여자를 대상으로 사전면접을 실시하여 관찰 및 질문을 통한 2차 선정을 하였다. 이 가운데 보호자와 본인 모두가 연구에 참여할 것을 동의한 최종적인 연구참여자 5명을 선정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참여자 선정과정에서부터 출발하여 참여자들의 거부민감성향과 주요한 개인력을 파악하였으며 참여자별 2차례의 예비면담을 통해 레포를 형성하고 개방형 반구조화 면담가이드 라인에 따라 3~5차례의 심층 면담 과정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참여자와 보호자의 동의하에 면담 내용을 녹음하되 녹음된 내용을 즉각적으로 전사하였으며 녹음자료는 연구의 종료와 함께 폐기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심층면담 과정을 통해 자료가 수집됨과 동시에 이루어졌으며 전사한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주제를 확인하였다. 확인된 주제를 기초로 질문지를 부분 수정하여 다음 면담에서 활용함으로써 보다 심층적으로 유의미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지속적인 비교와 분석 과정을 통하여 개방코딩 한 결과 거부민감성향 청소년의 내적표상 재구성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17개의 주제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8개의 하위범주와 4개의 상위범주를 도출하였다. 거부민감성향 청소년의 내적표상 재구성 과정에서 찾을 수 있는 핵심범주는 ‘억압된 역기능적 내적표상과 관계의 틀을 해체하고자 새로운 전략을 만들어가기’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참여자들의 내적표상 재구성의 흐름은 시간의 경과, 즉 성장 과정에 따라 <‘작은 나’의 움틈>, <‘작은 나’의 자리매김>, <탈출을 향한 용솟음>, <가능성의 연속>의 4단계로 구성되어 진다. 첫째, <‘작은 나’의 움틈>단계에서 참여자들은 어린 시절부터 계속되는 부모와의 소통과 공감의 부족을 겪어왔으며 존경할 수 없는 부모를 마주하고 있었다. 이들의 경험은 부모의 외면이나 무관심, 분노를 일시적이거나 부분적인 것이 아닌 온전한 자기 자신에 대한 것으로 확대하여 받아들임으로써 자기를 거부하는 부모를 내재화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공감과 소통이 부족한 어머니로부터 ‘작고 보잘 것 없는 나’ 라는 자기표상을 움티우고 이상화할 수 없었던 부정적인 아버지 표상을 대상표상으로 내사하게 된다. 이러한 경험과 내적과정은 부모에게 자기 자신을 표현하지 못하거나 부모의 눈치를 살피고 기분을 맞추는 등 자기감정을 무시하고 부모에게 초점을 두어 행동하는 반응을 형성하게 되었다. 둘째, <‘작은 나’의 자리매김>단계는 부모와의 부정적 내적표상의 씨앗을 가지는 참여자들이 아동기에 또래로부터 왕따를 당하거나 내편이라고 생각한 가까운 친구를 상실하는 경험을 접하며 시작된다. 부모로부터의 거부에 이은 또래의 거부는 ‘나는 거부당하는 것이 당연하다’라는 인식을 가지게 하였으며 참여자들은 그 원인을 자기 스스로에게서 찾고 있었고 결국 참여자들은 ‘작고 보잘 것 없는 나’의 자기표상과 ‘나를 거부하는 너’의 대상표상의 고리를 고착하게 되었다. 참여자들은 아버지의 모습을 지닌 대상표상을 친구에게 투사하여 동일시하게 되고 부모에게 그러했듯 ‘작은 나’로 역할하며 자기표현을 억압하였으며 때에 따라 자신이 부정적 대상표상을 취하며 자기 안의 자기표상을 또래에게 투사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자기표상의 투사 과정에서 동반되는 역기능적 대상표상의 역동 뿐 만 아니라 그러한 대상표상이 자기 안에 존재함을 거부하고 힘든 상황을 회피하고자 하였다. 참여자들은 하나의 전략으로 ‘착하게 굴며 문제없이 살아가기’위해 애쓰기도 하였다. 셋째, <탈출을 향한 용솟음>단계에서는 초기 청소년기 접어든 참여자들이 확장된 또래 관계와 전학 및 이사 등의 새로운 환경을 접하게 되고 또래관계의 중요성을 스스로 인식하며 소속의 욕구가 증가한다. 참여자들이 내면의 역기능적 내적표상으로 인해 또래와의 새로운 경험은 그들에게 큰 의미로 다가왔다. 여전히 눈을 마주치지 못하고 자기표현을 어색해 하지만 수용을 통한 공감을 경험하게 된 참여자들은 자신의 부정적인 전략과 내적표상의 틀을 수용적 방편으로 바꾸어 시도하려고 노력한다. 참여자들은 ‘함께 욕을 주고 받으며 강한 척 관계를 유지’하거나 ‘조금씩 용기 내어 싫은 것은 싫다고 말하거나 소심한 복수를 하는’ 등 자기 안의 부정적 감정을 인정하고 표출을 의도하는 ‘억압의 해체’를 시도한다. 참여자들은 스스로가 ‘눈치 보며 피하는’ 전략에서 ‘다른 사람을 배려하고 다가가는’ 전략으로 수정하려고 애쓰고 있었다. 이것은 부정적이었던 자기 스스로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자 하여 자신의 부정적인 모습을 인정하고 긍정적인 모습과 통합하여 자신을 왜곡없이 바라보기 위한 애씀의 과정이었다. 넷째, <가능성의 연속>은 참여자들이 다가올 미래에 접할 긍정적인 힘과 미래의 장벽을 함축하는 것으로 앞으로 지속될 청소년기의 내적표상 재구성을 암시하는 단계이다. 새로운 환경에서 수용을 경험한 참여자들에게 전학, 이사와 같은 물리적 환경의 변화는 새로운 인물을 접하게 해주는 희망이며 과거의 상처를 잊을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초등학교 졸업을 앞 둔 참여자들은 또래관계에서 집단에서 무리와 단짝을 만들고 그 사이를 자연스럽게 오가며 무리와 단짝과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기술(Peering, Pairing)을 습득하게 된다. 전학과 이사로 인한 새로운 환경과 집단의 기술은 높은 거부민감성을 지닌 참여자들이 용기 내어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확장하도록 하는 긍정적 힘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참여자들에게는 중학교 입학이라는 예정된 미래의 변화, 진급에 따른 학업 스트레스의 증가 및 또래라는 집단에서의 인간관계에 있어 ‘내가 잘 해내야만 하는’ 막중한 책임감은 심리적 부담감을 형성하여 심적 현재 생활을 침체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로 보아 중학교 입학에 대한 두려움과 집단생활에 대한 부담감은 참여자들이 내적표상 재구성 과정을 거쳐 긍정적 대인관계를 이어간다 하더라도 미래에 긍정적이지 못한 인간관계에서 좌절을 경험할 때 또 다시 역기능적 내적표상의 고리를 역동시키고 자기 전략을 회피와 억압으로 되돌아가게 하는 미래의 장벽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이리하여 본 연구는 거부민감성향 청소년의 내적표상 재구성에 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육적 차원에서 부모교육 및 적응 프로그램에 대한 지표를 제공하였으며 상담학적 차원에서 거부민감성향 청소년에 대한 정보의 제공 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상담 기법 및 프로그램 필요성을 시사하였으며 대상관계이론에 입각한 거부민감성향에 관한 상담자 교육측면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결혼 이주민 관광통역안내사의 노동경험과 정체성 변화에 관한 질적 연구 : -조선족 출신 여성 관광통역안내사를 대상으로-=

        박인숙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86

        본 연구는 중국어 관광통역안내사로 활동하고 있는 중국 동포(조선족)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통하여 이들의 노동 경험을 구조적 으로 탐구하려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이 노동시장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참 여하고 있으며 어떠한 장벽에 직면하고 극복하고 있는지, 출신 국가 및 한 국에서 얻은 다양한 자원이 이들의 노동 경험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이들 의 정체성 인식이 노동 경험을 통하여 어떻게 변화하는지 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심층인터뷰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2023년 1월부터 9월까지 9개월 간 중국 동포 관광통역안내사 6인에 대한 개별 심층인터 뷰를 진행하였고, 심층 코딩 작업의 결과로 나타난 코드들을 비교 대조 하고 서로 연결시키면서 핵심 주제를 생성 또는 발견하며 결론을 도출하 였다. 분석결과 의미 있는 진술 189개를 추출하였고, 8개의 중심 의미를 조직하였다. 총체적인 발견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관광통역안내사 노동경험은 중국 동포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사회 에 더 빨리 적응하고 한국구성원과 심리적으로 동등한 위치에서 한국인 으로서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국 동포 결혼 이주여성들은 출신국 중국어 능력과 조선족 사회에서 구축된 한국어 구 사력, 문화적 역량을 바탕으로 중국어 인바운드 관광시장이 선호하는 핵 심 인력으로 활약하고 있었다. 셋째, 중국 동포 결혼이주여성에게 가장 큰 노동 장벽은 중국 동포 출신에 대한 편견과 차별적인 시선, 쇼핑실적 에 대한 과도한 압박이었다. 끝으로 다양한 환경적 요인과 함께 개인이 지닌 성향과 가치관도 정체성의 변화와 정립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동안 학계에서는 이주노동보다 급격히 증가한 결혼이주 현상 자체 에 주목하여 왔다. 또한 노동 이주와 결혼 이주를 뚜렷하게 구분함으로 써 결혼 이주자를 노동의 맥락에서 분석하는 작업은 소홀하게 취급된 면 이 있다. 본 연구는 중국 동포 관광통역안내사의 노동경험을 구조적으로 탐구 함으로써 이주민의 다양한 자원이 노동경험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이들의 노동 경험을 통한 정체성 인식이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를 이주 민의 관점에서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우리나라 인바운드 관광시장에서 결혼이주여성을 포함한 이민자 들의 언어⦁문화적 역량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관련 학계에서도 관광 통역 안내 등 관광업에 종사하고 있는 이민자들의 경제활동 참여에 대하 여 향후 이와 관련된 연구의 이론적 토대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키워드 : 관광통역안내사, 노동경험, 정체성, 질적 연구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labor experiences of Chinese-Korean marriage migrant women who work as Chinese tourist interpreters in Korea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The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how the participants specifically participate in the labor market, what barriers they face and overcome, how various resources acquired in their country of origin and in Korea are utilized in their labor experiences, and how their identity perceptions change through their labor experiences. This study collected data using in-depth interviews. From January to September 2023,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Chinese-Korean tourist interpreters, and conclusions were drawn by generating or discovering core themes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codes that appeared as a result of the in-depth coding work and connecting them with each oth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89 meaningful statements were extracted and 8 central meanings were organized. The overal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occupation of tourist interpreter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hinese-Korean marriage migrant women to adapt more quickly to Korean society and establish their identity as Koreans by standing shoulder to shoulder with Korean members. Second, the Chinese-Korean marriage migrant women were active as key personnel preferred by the Chinese inbound tourism market based on their Chinese language skills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cultural competence built in the ethnic Korean society. Third, the biggest labor barriers for Chinese-Korean marriage migrant women wer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ethnic Chinese origin, and excessive pressure on shopping performance. Finally, along with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an individual’s personality and values also affect the change and establishment of identity. So far, academia has focused on the phenomenon of marriage migration itself, which has increased rapidly rather than labor migration. Moreover, by clearly distinguishing between labor migration and marriage migration, the work of analyzing marriage migrants in the context of labor has been neglected. This study systematically explores the labor experiences of Chinese expatriate tour guides. It examines how immigrants utilize their diverse resources in their work experiences and how their identity perception evolves through labor experiences. The significance lies in the multifaceted examin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mmigrants. In addition, it appears that in the inbound tourism market in South Korea, the language and cultural competencies of immigrants, including marriage migrant women, are strategically utilized. This also contributes to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on the economic participation of immigrants working in the tourism industry, such as tour guides. Keywords : Tourist interpreter, Labor experiences, Identity, Qualitative study

      • 신노년세대 사회서비스형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가 인식하는 노화와 일의 의미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 남양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이수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86

        본 연구는 사회서비스형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인 신노년세대가 경험하는 일의 의미와 일의 맥락 안에서 발견되는 노화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 해하고 두 의미의 상호성을 확인하고자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노인복지 현장에서 참여자들이 경험하는 사회서비스형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확장하고, 노년기 일의 중요성을 인식해 궁극적으로 노년기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실천적·정책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조사의 연구 문제는 신노년세대 사회서비스형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자가 경험하는 노화와 일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다. 자료수집은 2023년 2월부터 10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의 참여자 선 정은 남양주시 노인일자리 수행기관을 대상으로 유의 표집과 의도적 표본 추출을 활용해 접근하였고, 총 12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평균 1시간 30분 정도의 반구조화된 방식의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연구 방법으로 Creswell(2015)이 제안한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질적 사례연구 방법은 사례별 주제를 제시해 사례 내 분석을 실시하고, 사례별 주제를 통합해 공통된 주제를 관통하는 분석을 통해 해석하는 방식이므로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집단에 대한 해석과, 시간적 경과로 경험하는 일과 노화의 맥락을 다루었기에 질적 사례연구 방법이 본 연구 주제 분석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참여자 12명의 사례분석을 한 결과 5개 영역의 13개 주제를 발견할 수 있었다. 주제 분석의 결과로 첫 번째 영역인 ‘새로운 적응의 시기’는 ‘달라진 나 인지하기’, ‘익숙하지 않은 경험’,‘여전히 머무르고 싶은 장년기’가 확인되었다. 두 번째 영역인 ‘변화의 청신호’는 ‘정상 에서 중턱으로 변화 받아들이기’,‘스스로 챙겨보는 나’, ‘나이 들어 가는 것이 아니라 익어가는 것’으로 확인된다. 세 번째 영역인 ‘일의 반환점’은 ‘일에서 물러난 현실 ’, ‘놓지 못한 일’, ‘힘겨웠던 재도전’으로 나타난다. 네 번째 영역인 ‘여전한 삶의 주자(走者)’는 ‘생생히 살아있음을 느끼게 해주는 일’, ‘나의 존재를 확인시켜 주는 일’,‘생활의 중심을 잡아주는 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 영역인 ‘넘어야 할 장애물’은 ‘제한된 선택지로 중심부에서 물러난 부수적 일’,‘개인별 맞춤형이 되지 않는 일’로 드러났다. 사회복지적 차원의 제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노년 세대가 진입할 수 있는 다양한 일자리 영역 발굴이 필요하다. 둘째, 일자리 참여자별 일에 대한 동기와 욕구를 확인해 사회서비스형 사업유형을 세분화해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노년기 일을 노년의 삶과 통합해 일에 대한 관 점을 새롭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넷째, 노년기 생활 시간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일자리 참여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to deeply understand the meaning of work and the experience of aging found in the context of work and to confirm the reciprocity of the two mean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theoretical discussion on the social service type elderly job project experienced by the participants in the elderly welfare fiel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elderly work, and ultimately to seek practical and policy alternativ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What is the meaning of aging and work experienced by the participants of the elderly job program for the new elderly generatio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February to October 2023, and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by using purposive sampling and intentional sampling of the elderly job performing institutions in Namyangju City, and a total of 12 peopl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for an average of 1 hour and 30 minutes, and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proposed by Creswell (2015) was used as the research method.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is a method of analyzing the case by presenting the subject by case, integrating the subject by case and interpreting it through the analysis through the common theme. Therefore,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is suitable for the analysis of the subject of this study because it deals with the interpretation of the group participating in the elderly job program and the context of the work experience and aging. As a result of case analysis of 12 participants, 13 themes in 5 areas could be found. As a result of the subject analysis, The first area, 'the time of new adaptation', was identified as 'recognizing myself differently', 'unfamiliar experience', and 'the adulthood that I still want to stay'. The second area, the green light of change, is found to be changing from the top to the middle, taking care of oneself, not getting older, but getting ripe. The third area, ‘the turning point of work’, appears as ‘a reality that has been withdrawn from work’, ‘a work that has not been abandoned’, and ‘a re-challenge that has been difficult’. The fourth area, ‘the runner of the still life’, was ‘identified as the work that makes me feel alive’, ‘the work that confirms my existence’, and ‘the work that holds the center of my life’. The last area, ‘obstacle to overcome’, turned out to be ‘a side job that withdrew from the center with limited options’and ‘a job that is not personalized for each individual.’ The suggestions for social welfare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find various job areas where the new elderly generation can enter. Second, it is necessary to subdivide and operate social service type business type by confirming motivation and desire for work by job participant. Third,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new perspective on work by integrating old age work with old age life. Fourth, it is necessary to expand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jobs so that they can reconstruct their old age life time.

      • 상담자의 내러티브 탐구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고태경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86

        본 연구는 상담전공자들이 질적연구 과정을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며 상담자로서의 삶을 살아내는지 이해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특히 질적연구 중에서 인간의 개별적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내러티브 탐구(Clandinin & Connelly, 2000) 경험을 이해하고자 하였고, 상담자로서의 삶을 살아내는 참여자들이 내러티브 탐구 경험을 통해 어떤 경험과 의미를 생성하는지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Clandinin & Connelly(2000)의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본인의 자서전적 내러티브로 시작하여 현장에 존재하며 연구를 시작하였고, 시간성과 사회성, 장소의 3차원적 내러티브 탐구 지점을 고려하며 연구의 전 과정을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으로 상담학 학위 논문을 작성한 자로서, 3년 이상의 상담 경력을 가진 두 명의 상담자들이었다. 자료 수집은 2020년 6월부터 일 년간 진행되었고, 5회 이상의 대면 및 비대면 면담과 이메일을 진행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인터뷰 내용을 반복해서 듣고 전체적인 맥락을 파악하였으며, 전사한 연구 텍스트와 연구일지, 관련 문헌을 참고하여 참여자들 경험 이야기를 재구성하여 다시 이야기하고자 하였다. 연구자가 다시 풀어쓴 참여자들의 경험 이야기는 ‘내러티브 탐구를 시작하기까지’, ‘내러티브로 이야기하기’, ‘내러티브 탐구 이후의 삶’의 세 가지 주제로 구성되었다. 각 참여자의 이야기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참여자 이은미는 <내러티브 탐구를 시작하기까지> ‘착한 딸, 좋은 아내, 완벽한 엄마’, ‘완벽한 엄마의 한계’, ‘나에게는 숙제’로서 상담자의 길에 들어서며 내러티브 탐구로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내러티브로 이야기하기>에서 ‘패러다임의 변화’, ‘관찰자, 방관자가 아닌 함께 하는 사람’, ‘설명할 수 없는 그 느낌, 연결’의 주제로 내러티브 탐구 과정에서 경험한 이야기를 담았다. <내러티브 탐구 이후의 삶>에서는 내러티브 탐구 이후의 경험으로, ‘평가와 판단의 틀에서 벗어남’, ‘치유의 시간’, ‘주인공을 바라보는 가슴 따듯한 시선’의 모습으로 살아내고 있는 이야기이다. 두 번째 연구 참여자인 김산은 <내러티브 탐구 시작하기까지> ‘가난 이라는 두 글자’, ‘삶의 원동력이 된 콤플렉스’, ‘가장 잘할 수 있는 일’로 상담자의 길에 들어서며 내러티브 탐구로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내러티브로 이야기하기>에서 ‘톱니바퀴처럼 맞아떨어진 내러티브 탐구와의 만남’, ‘물어봐 주지 않았더라면’, ‘있는 그대로 드러낸다는 것’의 주제로 내러티브 탐구 경험 이야기를 담았다. <내러티브 탐구 이후의 삶>은 내러티브 탐구 이후의 경험으로, ‘모든 사람의 경험에는 각자의 사연과 이유가 담겨있다’, ‘아이들의 이야기가 곧 나의 이야기였다’, ‘그 사람 삶 속에 들어간다는 것’으로 살아내고 있는 이야기이다. 두 참여자의 이야기를 기반으로 연구자는 상담자의 내러티브 탐구 경험의 의미를 <내 안의 그림자와 만나는 용기>,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저편 넘어>, <관계 속에서 살아가고 살아 있음을 느끼는 삶>으로 생성하였다. 이은미와 김산에게 내러티브 탐구 경험은 연구 참여자들의 삶을 이해하는 목적으로 시작하였지만, 참여자들의 경험을 이해하는 것 뿐만 아니라 연구자 본인들의 삶을 더 깊이 이해하게 되었다. 내러티브 탐구가 그들에겐 학위 논문을 작성하는 연구 방법 그 이상의 무엇이었다. 이러한 경험이 상담자인 은미와 산이에게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생각의 틀의 변화를 가져왔고,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존중하는 것이 진정 인간에 대한 이해와 사랑이라는 것을 깨달을 수 있었다. 또한 인간의 삶의 경험은 각자 너무나도 고유하고 다르지만, 때론 관계 속에서 함께 살아가고 공통된 삶을 공유하기도 한다는 것이었다. 연구자가 발견한 내러티브 탐구 경험의 의미는 삶을 알아가는 과정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상담자들의 내러티브 탐구 경험 이야기를 통해 질적연구 경험이 상담자들의 삶과 경험에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를 세부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 결과를 기반으로 상담자 교육과 훈련에 있어 질적연구의 경험이 갖는 의미를 파악하고, 추후 상담 연구와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가정폭력 피해 이혼여성의 자기표상 변화과정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이정희 대구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84

        This study focuses on self-representation relating to the mistreatment relationship of domestic violence-victimized divorced women, and attempts to understand the self-representation made through representation intervention and the recomposition process of change. Towards that end, according to domestic violence-victimized women's experiences of relationships with their original family, (pre-divorce) current family, (post-divorce) major objects, implicit self-representation was re-described and clarified, so as to intervene in the subjects' changing into explicit level self-representation. Also self-representation made in the process and the process of change were deeply analyzed. Thus, this study observed the domestic violence-victimized divorced women with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is their self-representation shown in their experience of relationship with their original family, pre-divorce family, and current major objects?, what is the change of self-representation relating to representation intervention?, and how is the change process of self-representation made through representation intervention? And, a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nswering these questions, object relations theories were used. As the analysis framework of representation intervention, Karmiloff-Smith(1986)'s representation re-description model was used. Object relations theories have provided theoretical frameworks suitable for research on representation of internalized self and others in relationships. Notably, found to be very useful for this study was the Celani's dynamic analysis model of domestic violence which was based on object relations theories on self-representation relating to the reenactment of mistreatment relationship of domestic-violence women. An appropriat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as adopted herein. A qualitative case study can help understand the actual current major situational conditions, thereby achieving in-depth and total understanding. Five subjects were divorcees due to domestic violence, who experienced physical and psychological trauma within their original families during the growth period, who experienced the reenactment of mistreatment relationships even after divorce, and who experienced the rearing of one or more children.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data were collected.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May 30 to October 2, 2013, with one time a week, six sessions, a total of 42 sessions, and a total of 110 hours. Based on life events according to various stages of representation intervention, subjects' self-representation contents were examined in terms of time and contextual aspects. In terms of time aspect, the total change process of self-representation relating to stages of representation intervention was analyzed. In terms of contextual aspect, the meaning of subjects' self-representation process change was analyzed with focus o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 findings relating to the above questions are outlined as follows. First, self-representation relating to the original family was expressed as myself not a family member, myself hated by father, myself as a shelter for and a protector of mother, myself demanded, and myself burdening the family. Self-representation relating to the previous family was expressed as myself deceived and betrayed, myself treated like a garbage can and attacked, myself futile and worthless, myself controlled as a prisoner, and myself treated like a garbage can and suspected. Self-representation relating to current major members was expressed as myself perceived as non-family member in relationship with children, myself always misunderstood and criticized, myself exploding into anger, myself overworking myself and wishing to do my duties, and myself estranged. As such, explicitness level 1 self-representation was further segmented and clarified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intervention. Second, subjects' self-representation changed from implicit-level representation to explicit-level representation according to stages of representation intervention. Explicitness level 1 representation through the re-description of intervention stage 1 was self-evaluation self-representation level, and enabled subject to be aware of emotions and behaviors relating to self-representation. Explicitness level 2 representation through intervention stage 2 re-description and interactive interpretation explored individual objects relations units with regard to the estranged and suppressed original family, and could have and identify emotional experiences relating to self-representation, object representation and relationships. Explicitness level 3 representation through intervention stage 3 re-description, interactive interpretation, and auxiliary self was a state wherein self-representation, explored by individual object relationship unit and by object, was partially connected and made explicit, and wherein mistreating myself, self-oriented self and central ego emerged, leading myself to divide into bad self-representation and good self-representation. If the bad side of the objects was not identified, moral defense and divisive defense were still maintained, and subjects remained partially at explicitness level 1 and 2. When clarification began in connection with self-representation relating to mistreatment relationship, attempts to change behaviors to shed self-representation began to appear. Explicitness level 4 through intervention level 4 re-description, interactive interpretation, and auxiliary self was a self-representation state wherein self-representation contents, explored by individual object unit and by object, were linked with negative self-representation and positive self-representation within central ego, allowing subjects to perceive total consistent self-representation. Subjects observed a change in their emotions, had self-understanding, and showed a response of self acceptance, and attempted behavioral change, thereby confirming their recomposed self-representation. Therefore, after representation intervention, domestic-violence-victimized divorced women's self-representation overall changed into positive self-representation as explicitness level 1 mistreating self state which made it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internalized objects and self was linked and integrated with explicitness level 4 negative self-representation and positive self-representation within central ego. Third, the integrated self-representation change process through representation intervention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self-representation explicitness levels, as divisive stage, cognitive division stage partial division stage, partial integration stage, and internalization stage. Divisive stage was where it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and identify self and objects, where anxiety was internalized so that divisive-type self-representation appeared in order to resolve anxiety through projection identification. Cognitive division stage was an impulsive self-representation stage where partial cognitive division of self and objects was achieved, where suppressed anger was vented and internalized again, and where mistreating self and hoping myself were still mixed. Partial division stage was a defensive-type self-representation stage where self and objects were partially divided and recognized, where complaints were expressed towards the objects, where affection relationships with mistreating objects were maintained, and where there was a dependent self state. Partial integration stage was a divisive self-representation stage where self and objects were not distorted but distinguished, where, in mistreatment relationships, negative emotions were neutralized through self condolence, and where there was a healthy central ego state. Internalization stage was an integrated self-representation stage where cognitive level recomposed self-representation, through continuous training and practice, was internalized, showing a mature central ego state. Thus, differences in self-representation change process in sequential representation intervention stages, and in non-sequential self-representation change process, as well as bad sides of the objects were distinguished. The effects of cognitive moral defense resolution on behavioral changes, self-acceptance and behavioral changes as a training and practice process of recomposed self-representation progressing into internalization stage, and the necessity of circulation methods of recomposed self-representation were discussed. Derived from such findings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took in-depth approach to self-representation change process relating to the reenactment of mistreatment relationship, unlike other domestic researches. Moreover,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as adopted, and it will thus facilitate the diversification of practical counseling research methods. Second, the representation intervention stage, applied to domestic violence-victimized divorced women, enabled an explicit level recognition of subconscious self-representation level, effectively recomposing the divisive negative self-representation into an integrated positive self-representation, and thu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pplied not only to domestic violence cases but also to other diverse clinical cases. Third, a need was indicated to undergo an internalization stage through training and practice in order to prevent the reenactment of the mistreatment relationship of domestic violence in terms of practical context, and to require a long-term integrated therapeutical involvement in domestic-violence female victims and victimizer males. Also, since mistreatment relationships are not necessarily formed in domestic violence alone, a need was indicated to expand education and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children, youth and general adults, and to institutionalize a system to treat and correct victimizers and to provide counseling to victims. Fourth, this study applied the foreign object relations theory on domestic violence-victimized women to domestic women, making it meaningful. This will contribute to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and effectiveness of counseling practice. Fifth,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on self-representation change process will be useful for counselors not only for domestic violence female victims but also for male victimizers and victimized children. Sixth,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help explore a social support system direction for domestic violence-victimized divorced women. This study awakened to the seriousness of domestic violence, indicated a need to require social intervention to reduce such damage, and provided a reference for social welfare workers and counselors to upgrade their job aptitude.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 이혼여성의 자기표상에 초점을 두고 표상개입을 통하여 나타나는 자기표상의 내용과 변화하여 재구성되는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가정폭력 피해 이혼여성의 원가족, (이혼 전)전가족, (이혼 후)현재 주요대상과의 관계경험에 따른 암묵적인 자기표상의 내용을 재기술하고 명료화하여 명시적 수준의 자기표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개입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기표상의 내용과 변화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 이혼여성을 대상으로 ‘원가족, 전가족, 현재의 주요대상과의 관계경험에서 나타난 자기표상의 내용이 무엇인가?’와 ‘표상개입에 따른 자기표상의 변화 내용은 무엇인가?’, ‘표상개입을 통해 나타난 자기표상의 변화과정은 어떠한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의 답을 얻기 위한 이론적 틀로는 대상관계이론을 활용하였으며 표상개입의 분석적 틀은 Karmiloff-Smith(1986)의 표상재기술모형을 활용하였다. 대상관계이론은 관계속에서 내재화된 자기표상와 타인표상에 대한 표상연구에 적합한 이론적 틀을 제공해 왔다. 특히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학대관계 재연과 관련된 자기표상에 대하여 대상관계이론에 입각하여 제시된 ‘Celani의 가정폭력에 대한 역동분석모델’은 이 연구에 매우 유용하였다. 한편 연구자는 이 연구에 적합한 연구방법으로 질적사례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질적사례연구는 실생활에서 벌어지는 현재의 현상에 대하여 주요 정황조건들을 이해함으로써 심층적이고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가정폭력이 주요원인이 되어 이혼하였으며 성장기에 원가족 안에서 신체적, 심리적 외상을 경험하였고 이혼 후에도 학대관계 재연을 경험한 한 명 이상의 자녀에 대한 양육경험이 있는 여성 5명이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개별면담에서의 면담자료를 통하여 수집하였으며 개별면담은 2013년 5월 30일부터 10월 2일까지 1주일에 1회, 6회기에 걸쳐 총 42회기, 110시간으로 진행되었다. 질적사례연구의 분석에서는 표상개입의 각 단계에 따라 생활사건을 중심으로 파악한 참여자들의 자기표상 내용을 시간과 맥락적 차원에서 검토하였다. 시간적 차원은 표상개입의 단계에 따라 연결되는 전체적인 자기표상의 변화과정에 대한 분석이며 맥락적 차원은 참여자들이 나타내는 자기표상 변화과정이 맥락 속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유사점과 차이점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연구질문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폭력 피해 이혼여성의 원가족, 전가족, 현재 주요대상과의 관계경험에서 나타난 자기표상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원가족과 관련된 자기표상의 내용은 개입 1단계에서는 ‘가족의 일원이 아닌 나’, ‘아버지에게 미움받는 나’, ‘엄마의 피난처, 보호자가 되어야 하는 나’, ‘요구되어 지는 나’, ‘가족에게 민폐인 나’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성장기동안 가족과의 관계경험에서 가족의 일원으로 받아들여지지 못하고 찬밥, 구박덩어리, 하녀, 외톨이 등의 자기표상을 형성하면서 자유의지를 가진 한 인간이자 어린 여성인 딸로서 온전히 인정받지 못하고 수용되지 못하며 존중받지 못했던 자신을 경험하였다. 따라서 가족구성원 중 누구와도 친밀함을 느끼지 못하고 고립된 존재로 마치 있는 듯 없는 듯한 존재로 살아왔다. 관심의 부족으로 인해 참여자들은 적절한 양육적 보살핌을 받지 못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침범적인 사건들에 대해서도 누구 하나 위로하거나 의지할 만한 이가 없는 무가치한 자신을 경험하였다. 이전가족과 관련된 자기표상의 내용은 ‘속임 당하고 배신당하는 나’, ‘쓰레기통 취급받고 공격당하는 나’, ‘한심하고 가치없는 나’, ‘감옥 속 죄수같이 통제되는 나’, ‘쓰레기통 취급받고 의심받는 나'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학대당하는 아내로서 의심받고 공격당하며 통제되고 착취당하고 배려받지 못하고 배신당하는 자신에게 좌절하여 가해남편을 수동공격하고 자기를 포기하는 자신을 경험하였다. 또한 약한 엄마로서 아이들 앞에 무기력하고 수치스러우며 삶에 지쳐 아이들을 방임하거나 통제하고 화를 냄으로써 어린 시절 자신이 경험한 정서적 내용들을 재연하였다. 이러한 자기표상의 경험들은 마치 죽은 것과 같은 자기로 감정이 메말라 꿈도 없고 시간도 멈추어 버린 마비된 자신으로 느껴졌으며 이러한 유기불안과 공허감을 채우기 위해 다른 사람의 필요를 채우는데 필사의 힘을 다하였으나 고립된 자기와 유기불안의 두려움에 지배당하는 자기표상을 경험하였다. 현재 주요대상과 관련된 자기표상의 내용은 ‘자녀와 남과 같은 관계인 나’, ‘늘 오해받고 비난받는 나’, ‘쌓아놓고 화를 폭발하는 나’, ‘나를 혹사시키면서도 도리를 지키고 싶은 나’, ‘혼자 고립된 나’ 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현재 주요대상과의 관계에서도 기대가 묵살당하고 여전히 수용 받지 못하는 자신과 대상에게 죄책감을 느끼며 무기력한 감정을 주고 받음으로써 투사적 동일시를 통하여 의존하는 자신을 경험하였다. 참여자들은 원가족과 전가족에게서 경험하였던 오해받고 비난받으며 무시당하는 자신에 좌절하여 학대자의 역할을 재연하는 자신을 경험하였다. 또한 여전히 자신보다 다른 사람의 필요와 도리가 우선이고 자신의 욕구와 감정을 표현할 수 없으며 바라는 것이 허락되지 않고 해도해도 부족한 자기 표상의 내용을 확인하였다. 둘째, 표상개입을 실시한 후 가정폭력 피해 이혼여성의 자기표상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라는 연구문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표상개입 후 가정폭력 피해 이혼 여성의 자기표상은 명시 1수준의 내면화된 대상과 자기의 구분이 어려운 학대자기의 상태에서 명시 2수준에서는 대상과 자신에 대한 인지적인 감별이 나타났고 학대자기가 세분화되거나 희망자기가 등장함으로 분열된 자기표상이 나타났으며 명시 3수준에서는 학대자기와 자아도취적인 자기, 중심자아가 등장하여 부분적으로 연결되었으나 전체적으로는 분열된 자기표상으로 변화하고 마지막으로 명시 4수준에서는 부정적인 자기표상과 긍정적인 자기표상이 중심자아 안에서 연결되고 통합되어 전체적으로는 긍정적인 자기표상으로 변화되었다. 셋째, 표상개입을 통해 나타난 자기표상의 변화과정은 어떠한가라는 연구문제를 탐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표상개입을 통해 나타난 통합적 자기표상의 변화과정은 자기표상의 명시수준에 따라 분열단계, 인지적 분화단계, 부분분화단계, 부분통합단계, 내면화단계로 파악되었다. ‘분열단계’는 자신과 대상에 대한 감별 및 구분이 어렵고 불안이 내재화되어 이를 투사적 동일시로 해결하고자 하는 ‘분열형 자기표상’이 나타나는 단계이다. ‘인지적 분화단계’는 대상에 대한 투사적 동일시를 통하여 대상과의 실제적인 분화가 아닌 인지적인 분화를 나타내며 학대자기와 희망자기가 여전히 혼재하는 ‘충동형 자기표상’이 나타나는 단계이다. ‘부분분화단계’는 자신과 대상을 부분적으로 구분하여 인식하고 대상에 대한 원망을 표출하며 학대대상과 애착관계가 유지되어 있으며 의존적 자아상태를 보여주는 ‘방어형 자기표상’이 나타나는 단계이다. ‘부분통합단계’는 자신과 대상을 왜곡하지 않고 구분하며 학대관계에서 자기애도로 부정적인 감정을 중성화하여 나타내며 건강한 중심자아의 상태를 보여주는 ‘분화형 자기표상’이 나타나는 단계이다. ‘내면화단계’는 인지적 수준의 재구성된 자기표상이 지속적인 훈습과정을 거쳐 내면화되어 성숙한 중심자아의 상태를 보여주는 ‘통합형 자기표상’이 나타나는 단계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연구자는 표상개입단계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진 자기표상의 변화과정과 비순차적으로 이루어진 자기표상의 변화과정에서 나타나는 차이와 대상의 나쁜 부분을 감별하고 인식하는 도덕방어의 해결이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재구성된 자기표상이 내면화단계로 진행되기 위한 훈습과정으로서 자기수용과 행동변화 및 재구성된 자기표상의 순환방식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이상의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상담이론과 실천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함의를 가지고 있다. 첫째, 이 연구는 그 동안 국내연구에서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가정폭력 피해 이혼여성의 학대관계 재연과 관련된 자기표상의 변화과정’이라는 주제에 대하여 질적사례연구방법을 채택함으로써 자기표상의 내용을 심층적으로 규명하였고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가정폭력 피해여성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여 피해여성의 심리치료효과를 높이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이 연구에서 가정폭력 피해 이혼여성에게 적용한 표상개입단계는 무의식적인 자기표상의 수준을 명시적인 자기표상의 수준으로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분열되고 부정적인 자기표상에서 통합적이고 긍정적인 자기표상으로 재구성하는데 효과적이었으므로 가정폭력 외에도 다양한 임상장면에서 효과적인 개입자료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연구기법으로서 직접 적용하여 얻은 자기표상의 변화과정에 대한 연구결과는 가정폭력 피해여성 뿐 아니라 가해남성과 피학대 아동을 상담하는 상담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셋째, 연구자는 가정폭력이라는 학대관계 재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담의 실천적인 맥락에서 훈습과정을 통한 내면화단계를 거쳐야 해결될 수 있음을 제시함으로써 가정폭력 피해여성 및 가해남성에 대한 통합적이고 장기적인 치료적 개입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대관계는 단순히 가정폭력에서만 일어나는 현상이 아니므로 아동과 청소년 및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교육과 심리적 개입을 확장하고 가해자 교정치료와 피해자의 상담에 있어서는 장기 개입을 위한 사회적 제도화가 필요하다는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넷째, 본 연구는 외국의 사례를 통해 형성된 가정폭력 피해여성에 대한 대상관계이론을 국내 참여자를 대상으로 적용함으로써 대상관계이론이 적합한지를 한국 사회에서도 검증해 보았다는 점에서 이론적 함의를 가진다. 또한 대상관계이론을 적용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시점에서 국내 사례를 바탕으로 치료적 개입의 효과를 도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상담실천의 전문성과 효과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