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study on compositions by Soojin Lee

        이수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이수진의 두 명의 타악기 주자와 피아노를 위한 <Light>(2015), 금관 오중주를 위한 <Disparate Fanfares>(2015), 색소폰과 콘트라베이스를 위한 소품 모음곡 <Doors>(2014), 솔로 클라리넷을 위한 <Wall>(2015), 소프라노와 챔버 앙상블을 위한 <Three Songs>(2015)에 관한 연구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각 작품의 작곡 의도를 밝히고, 그 의도가 음악에서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알아보는 것에 있다. 첫째, 두 명의 타악기 주자와 피아노를 위한 <Light>(2015)은 서로 다른 형태의 빛을 음악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악기의 음색으로 빛을 표현하기 위해 금속성의 타악기 음색을 주로 사용하여 작곡되었다. 첫 악장 <Illuminant>에서는 어두운 공간이 한줄기 빛으로 인해 환해지는 인상이 비브라폰의 특수주법을 통해 얻어지는 다양한 음색을 중심으로 표현되었다. 이 악장은 연주자들로 하여금 연주 시에 해석의 자율성을 가질 수 있도록, 도형악보와 소극적 우연성 음악의 특징을 차용하여 작곡되었다. 두 번째 악장 <Sparkle>은 상대적으로 동적인 빛의 모습인 '반짝임'을 묘사한 것으로, 주제 a, b, c가 끊임없이 변주되며 이어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주제의 강세는 주제가 끊임없이 변주됨에 따라 예측할 수 없이 이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강세의 움직임은 물체의 반짝임을 묘사한다. 둘째, 금관 오중주를 위한 <Disparate Fanfares>(2015)는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진 네 개의 팡파르로 구성된 모음곡이다. 이 곡은 연주 시 무대에서 다섯 악기를 넓게 배치하도록 지시되어 있는데, 이는 청자들이 무대에서 펼쳐지는 소리의 이동에 집중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첫 곡 <Suggestion>에서는 금관악기의 특수 주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조음으로 짜여진 생경한 질감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두 번째 곡 <Limitation>은 다섯 개의 음(D, F, A, C#, E♭)만으로 작곡된 팡파르로, 변화하는 리듬과 극적으로 지정된 셈여림에 집중하여 작곡되었다. 세 번째 곡 <Augmentation>은 긴 음가로 연주되는 증화음의 선율을 통해 음악의 ‘확장’에 집중하여 쓰여진 곡이다. 마지막 곡 <Standardization>은 가장 정형화된 형태를 가진 팡파르로, 기억하기 쉬운 선율을 의도적으로 반복하여 청자가 능동적으로 음악을 예측하며 감상할 수 있게끔 한다. 조음으로 시작하여 각인될만한 선율로 이어지는 이 모음곡의 구성은 첫 곡 <Suggestion>의 구성을 통해 암시된 것이다. 셋째, 색소폰과 콘트라베이스를 위한 소품 모음곡 <Doors>(2014)은 네 개의 소곡과 세 개의 간주곡으로 이루진 모음곡으로, 네 개의 소곡은 각기 다른 심상(긴장, 불안, 익살, 정적)을 표현한다. 반면 세 개의 간주곡은 통일된 주제에서 각각 발전 된 것이다. 여러 곡에 걸쳐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악기간의 모방기법은 모음곡에 통일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넷째, 솔로 클라리넷을 위한 <Wall>(2015)은 자유형식의 곡으로, 곡의 주인공이 자신 내면의 벽 앞에서 느끼게 되는 여러 감정들을 음악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주인공의 정서는 클라리넷의 특수주법을 통한 다양한 음색으로 표현되었다. 통절형식으로 작곡되었지만, 악절마다 의미를 부여하고 그 의미에 따라 악절의 순서를 조합하여, 벽으로 막아 외면하고 싶지만 통제 할 틈 없이 비집고 나오는 내면의 감정이 구조적으로 표현되었다. 다섯째, 소프라노와 챔버 앙상블을 위한 <Three Songs>(2015)은 아일랜드의 시인 스파이크 밀리건 (Spike Milligan , 1918~2002)의 시 <Feelings>, 영국의 시인 앨프리드 노이스(Alfred Noyes, 1880~1958)의 시 <Daddy Fell into the Pond>, 미국의 시인 로버트 프로스트 (Robert Frost, 1874~1963)의 시 <Stopping by Woods on a Snowy Evening>를 가사로 인용하여 작곡된 세 개의 가곡모음이다. 각 곡은 가사의 흐름을 따른 통절형식으로 작곡되었으며, 시가 가지고 있는 감정을 음악적으로 표현하는 데에 집중하여 작곡되었다. 작곡하는 과정에서, 시가 함축하고 있는 정서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간주들이 삽입되었다. 이와 같이 이수진의 다섯 작품을 통해 다양한 인상과 감정을 음악적으로 표현하려는 작곡가의 시도를 살펴보았다. 특히 본 연구를 통해 여러 악기들의 특수주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다채로운 음색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이수진의 경향을 파악 할 수 있었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compositions written by Soojin Lee. Compositions discussed in this writing are Light for Piano and two Percussion (2015), Disparate Fanfares for Brass Quintet (2015), Doors-Miniatures Suite for Saxophone and Contrabass (2014), Wall for solo Clarinet (2015), and Three Songs for Soprano and Chamber Ensemble (2015). All pieces were premiered on 27th November 2015 in Soojin Lee's graduation recital held in Ewha Woma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eal the intentions and compositional methods of Soojin Lee's compositions. Light for Piano and two Percussion (2015) embodies two different images of lights. To describe the images of light with timbre, various kinds of pitched and unpitched metal percussion instruments were mainly used along with piano. The first movement, "Illuminant," expresses a scene of a dark space being lightened up. Such scene was depicted with various timbres obtained from extended techniques of Vibraphone. This movement is intended to be flexible in its rhythm. Thus, small scale aleatorism and graphic notation was adopted. The second movement, "Sparkle," depicts an image of sparkling object by continuing variations of theme a, b, and c. Such image of light is expressed with unpredictably shifted accents of the themes. Disparate Fanfares for Brass Quintet (2015), is a suite of four fanfares. In order to let audience focus on shifts of sounds on stage, specific stage configuration that places the instruments far away from each other was appointed. Use of unpitched sounds of extended techniques such as air sound and mouthpiece pop can be understood a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Suggestion," the first piece of this suite. The second piece, "Limitation," is a piece composed with only five notes: D, F, A, C#, E♭. Rhythm patterns and its variations, along with drastic dynamic changes can be perceived as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this piece. In "Augmentaion," the third piece of this suite, augmented chords and notes with augmented durations play main role, as implied in its title. The last piece, "Standardization," intentionally repeats recognizable melodies, letting the audience predict music while listening. This last piece best fits the common concept of a fanfare. Disparate Fanfares begins abstract with its first piece but gradually becomes less abstract and accessible as it flows. Such formation of this suite is reflected in the form of "Suggestion," which starts with unpitched sounds but develops into accessible melody in its ending. Doors-Miniatures Suite for Saxophone and Contrabass (2014) is a suite composed of four miniatures and three interludes. While three interludes share mutual theme, four miniatures embody different kinds of emotions such as tension, strain, comic, and static. Imitation between two instruments is shown throughout the suite for several times, adding unity to the suite. Wall for solo Clarinet (2015) is a through-composed piece that bears several emotions a protagonist feels when he faces a indestructible wall inside of him. Several Clarinet extended techniques such as air tones, key clicks, and multiphonics are used to create various timbres that symbolize the emotion the protagonist bears. Though through-composed, constituents of pieces are grouped and constructed in a way that can express the image of anger piercing through the wall of the protagonist. Three Songs for Soprano and Chamber Ensemble (2015) is a suite of songs that adopt three different poems as its lyrics. Adopted poems are Feelings by Irish poet Spike Milligan (1918~2002), Daddy Fell into the Pond by British poet Alfred Noyes (1880~1958), Stopping by Woods on a Snowy Evening by American poet Robert Frost (1874~1963). All of the songs are through-composed, following the flow of the poem. With various timbres and harmonies, inherent scenes and emotions of the poems are expressed more clearly. In order to reveal the emotions that lie between the lines, interludes were inserted. In conclusion, analyzing five compositions of Soojin Lee reveals the composer's various musical experiments on expressing diverse images and emotions with music. Among all, utilizing diverse timbres produced from various extended techniques can be understood as characteristic tendency that Soojin Lee has.

      • 남창가곡 노래 선율과 거문고 주법의 비교연구

        이수진 한양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63

        국문초록 본 논문은 남창가곡 26곡을 대상으로 노래 선율과 거문고 주법에 나타나는 관련성을 고찰한 논문이다. 이 글에서는 남창가곡에 출현하는 거문고 주법을 살펴보고, 악곡 계열별로 거문고 주법의 출현 양상을 분석하였으며, 노래 선율과 거문고 주법과의 비교 · 분석을 통하여 노래 선율에 따른 거문고 주법의 활용 양상과 유형을 고찰하였다. 우선 남창가곡에 출현하는 거문고 주법은 아래와 같이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문현 주법 : ① 슬기둥 · 살갱 주법( ?, ?, ?) ② 싸랭 주법(?) ③ 흥 주법(文) 청현 주법 : ① 단청 주법(上, 中, v上, ?) ② 연청 주법(上-中, 中-v下, 上-中-下, 上-中-?-下) ③ 文 복합 주법(文-中-下, 文-中-?-下) ④ 小 복합 주법(上-小-中-下, 上-小-中-v下) 단일 주법 : ① 자출 주법 (?, ·?·, ··?, ···?) ② 전성 주법(?, ?··) ③ 퇴성 · 추성 주법(?, ?, ․?․, ??, ???) ④ 기타 주법(?, ?, ?) 복합 주법 : ① 자출 결합 주법(?, ?, ?, ?) ② 전성 결합 주법(?, ?, ?, ?) ③ 자출 역안 주법(?, ?, ?, ?, ?, ?, ?) ④ 퇴성 괘 이동 주법(?, ?) 다음으로 거문고 주법을 악곡의 계열별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를 노래 선율과 비교하여 그 활용 양상과 유형별 특성을 각 주법별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음으로 거문고 주법을 악곡의 계열별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를 노래 선율과 비교하여 그 활용 양상과 유형별 특성을 각 주법별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현 주법 중 ? · ? 주법은 초수대엽과 이수대엽 계열, ? 주법은 삼수대엽 · 농 · 낙 계열, ? 주법은 편 계열 악곡에 자주 사용하며, 흥 주법은 모든 악곡의 동일한 박에서 고정적으로 출현한다. 문현 주법은 ㉮-1 동일음 진행, ㉮-2 주법의 앞 · 뒤 동일음 진행, ㉯-1 노래를 받아서 거문고가 연주함, ㉯-2 거문고를 받아서 노래가 연주함, ㉱-1 다른 진행 등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이 중 ㉮ · ㉯유형이 문현 주법의 79%를 차지한다. 이 경우 노래와 거문고 선율은 같은 음이거나 한 박 이내에 같은 음이 출현하여 유사한 선율선을 이루므로, 이는 헤테로포니의 전형적인 양상이라 하겠다. 둘째, 청현 주법은 각 악곡의 같은 위치에 규칙적으로 출현하여 악곡의 형식을 뚜렷하게 부각시키고 있다. 청현 주법은 ㉰ 연결음, ㉱-1 다른 진행, ㉲-1 종지, ㉲-2 중간 종지 ㉳ 괘 이동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이 중 단청 주법인 ‘中 · v上 · ?’을 제외한 모든 주법이 ㉲-1과 ㉲-2유형으로, 전체 청현 주법의 73%에 해당한다. 가곡은 악곡 계열별로 각 악장의 시작 선율이 서로 다른 경우가 많지만 종지에서는 청현 주법을 활용한 동일 선율을 사용하며, 노래 선율에 구애받지 않고 종지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셋째, 단일 주법 중 모든 악곡에 나타나는 유일한 주법은 ··?이며, 우조 악곡에서는 …?, ? 주법, 계면조 악곡에서는 ?··, ․?․, ???, ?, ? 주법이 출현한다. ·?·, …?, ??, 기타 주법은 각 악곡의 같은 위치에 비교적 규칙적으로 출현한다. 단일 주법은 ㉮-1 동일음 진행, ㉮-3 동일음에서 장식적 선율의 다른 음으로 진행, ㉯-1 노래를 받아서 거문고가 연주함, ㉯-3 노래와 거문고가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연주함, ㉰ 연결음, ㉱-1 다른 진행, ㉱-2 노래 지속음 · 거문고 분할로 진행 등 일곱 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1유형이 단일 주법의 23%이며, ㉮ · ㉯유형을 합하면 57%에 해당한다. 단일 주법은 악조별로 다른 출현 양상을 보이지만, 선율선은 노래와 동일하거나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유사한 형태를 이룬다. 넷째, 복합 주법은 우조 악곡에서는 ?, ?, ?, ?, ?, ? 주법, 계면조 악곡에서는 ?, ?, ?, ?, ?, ?, ? 주법이 나타난다. ?, ?, ?, ? 주법은 우조와 계면조 악곡에서 모두 나타나며, ?, ?은 각 악곡의 같은 위치에 출현한다. 복합 주법은 ㉮-1 동일음 진행, ㉯-1 노래를 받아서 거문고가 연주함, ㉯-2 거문고를 받아서 노래가 연주함, ㉯-3 노래와 거문고가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연주함, ㉱-1 다른 진행 등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이 중 ㉮와 ㉯유형이 복합 주법의 73.7%를 차지한다. 복합 주법은 악조별로 사용하는 주법이 뚜렷하게 구분되지만, 노래와 거문고가 대부분 동일하거나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유사한 선율형을 이룬다. 이와 같이 문현과 청현 주법은 악곡별로 일정한 위치에 규칙적으로 출현하여 가곡의 형식 구조를 공고히 함으로써 악곡에 안정감을 준다. 반면에 왼손 주법인 단일 주법과 복합 주법은 악조별로 출현 양상을 달리하면서 악조의 특성을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악조의 구분 없이 관행적으로 사용하여 악곡에 통일감을 부여하기도 한다. 거문고의 고유한 주법은 노래 선율과 다른 진행을 보이는 경우보다 동일한 선율을 연주하거나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노래 선율을 지지하며, 리듬을 분할하여 선율선에 다양성을 부여하고 있다. 이 논문은 남창가곡 전체 26곡을 대상으로 노래와 거문고 선율의 상호 관계를 거문고 주법을 중심으로 비교 ·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새롭게 알게 된 노래 선율과 거문고 주법의 상관관계는 가곡의 선율 구조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노래 선율과 거문고 선율이 지니는 이 같은 상호 관련성을 찾아 본 것은 고악보에 거문고 선율만 기록된 채 전하고 있는 옛 가곡의 노래 선율을 유추해 볼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일정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유아교사 인성과 교사 역할수행과의 관계

        이수진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nalysis of relation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character and role performance Lee, Su Ji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Ha, Seung Min This study aimed to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and role perform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check up the effect on role perform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objects were 297 early childhood teacher‘s serving at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located at Jeonju-si and Wanju-gun, Jeonbuk. This study, after reversion and supplementation appropriate to this thesis trait, used a character self-estimation tool used by Chung Myung Ja(2016) after reversion and supplementation at the study of Jeon Jae Sun(2001). This study used again a questionnaire, revised and supplemented by Yang Gyeong Hye(2012) and Park Soo Jin (2009) on the basis of the role category presented by Saracho(1988), that was used for a study on teaching profession ethic recognition and role performance degre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character turned out to be positive. The attitude toward duties was the highest, and the area of self-development was the next. Second, as for the character depending on population of social variables, the character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in their 40s and 50s was the highest. The character of the married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not married, and the character of the teachers with the career longer than 10 years was high. The character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attaining the academic career of high school graduation had a positive character. The major subject didn't have an effect on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character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attaining day care teacher class1 and kindergarten teacher‘s class1 and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erving at national and public day care center was more positive. Third, the role performanc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was high. The role performance of the role as a counselor and advisor was the highest and the role as a planner and performer of daily plan was the next. Fourth, age didn'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but at the area of the role as curriculum designer',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ir 40s performed the roles better tha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ir 20s. The married early childhood teacher‘s performed the better 'role as a designer of curriculum', ' role as a planner and performer of daily plan', and 'role as an administrator and manager of administrative affairs'. The higher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better they performed their roles, but the academic career didn't show a difference. However, as for the 'area of the role as an administrator and manager of administrative affairs',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ttaining the academic career of graduate school performed their roles, but they didn't show a difference in majoring department. But the major subject didn't have an effect on a significant difference. As for the difference in certificates,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ttaining kindergarten teacher class1 performed their roles better than those attaining day care center teacher class1 or day care center teacher class2, 3. As for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the type of public institutio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erving at the national and public day care center performed the role better. Fifth, the character and role performance had a positive correlation. The more positiv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haracter, the higher the teacher's role performing was. Sixth, the subsidiary factors which had an effect on early childhood teacher‘s role performance were leading self-accomplishment, self-control, sympathetic understanding, duty performing attitude, and creative disposition. Seventh,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haracter subsidiary factor that had the most effect on their role performance was creative disposition, and duty performing attitude, leading self- accomplishment, sympathetic understanding, and self-control in order. key words : 인구사회학적 변인(population of social variables), 유아교사 인성(early childhood teacher‘s character), 역할수행(role performance)

      • 日本文學敎育における芥川龍之介の女性像 : 이수진

        이수진 慶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47

        근대 사회로 접어들면서, 기존의 남성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다방면에서 여성들의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일본 근대 사회에서도 ‘청답’ 이라는 여성 문예지가 간행되었고, 여성들은 이 잡지를 통해 자신들의 주장을 펼쳐나갔다. 여성들은 기존의 인습적인 결혼에 반항하였고, 남녀평등, 자유연애를 주장하였다. 이렇게 여성들의 활발한 움직임은 사회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쳤으며, 근대 문학에 있어서도 작가들은 여성문제를 작품 속에서 표현하고자 하였다. 근대 문학의 많은 작가들은 그들만의 색깔을 가지고 여성을 표현했으며, 작가들의 작품 속에서 그려지는 여성상은 많은 연구가들의 연구 테마로써 활발히 연구되어지고 있다. 근대 문학의 주류 작가였던 아쿠타가와 류노스케도 근대 사회 당시의 여성 문제에 관심을 가졌으며, 여성의 정조, 결혼 문제 등에 대한 자신을 생각을 간담회를 통해 나타내곤 했었다. 소설의 소재를 고전 문학과 서양 소설 등에서 가지고 와서 현실과는 다른 세계를 작품 속에서 나타내고자 했던 아쿠타가와가 작품 속에서 여성을 어떻게 그리고 있을까라는 의문이 생긴다. 아쿠타가와의 선행 연구를 검토해보면, 아쿠타가와의 실존 여성과 작품에 등장하는 여성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연구되어져 왔다. 선행 연구는 오직 ‘여성’이라는 키워드 하나만을 가지고 작품을 보고 있으며, 남성과의 연관성을 배제하고 ‘여성’만을 직시하고 있어 여성의 선악을 논하는 흑백논리에 치우치는 경향이 있었다. 본 논문은 선행연구의 이러한 문제점을 비판하며 아쿠타가와의 여성상을 다른 방향으로 논해보고자 한다. 그의 작품 중 두 남성과 한 여성이 등장하여 사건을 전개해 가는 작품 세 가지 『츄우토(偸盜)』『케사와 모리토오(袈裟と盛遠)』『덤불 속(藪の中)』을 선택하였다. 이 세 작품의 ‘두 남성과 한 여성’이라는 남과 여의 관계성은 아쿠타가와의 여성상을 검토하는 것에 있어서 중요한 키워드라고 여겨진다. 이 키워드를 작품 속에서 구체적으로 다루면서 두 남성과 한 여성의 관계 속에서 여성은 어떠한 위치에 놓여 있는가, 어떠한 여성으로 표현되고 있는가를 논해보고자 한다. 『츄우토(偸盜)』의 경우, 타로우와 지로우라고 하는 형제와 샤킨이라는 한 여성에게 일어나는 사건을 전개해 나가고 있다. 그리고 『케사와 모리토오(袈裟と盛遠)』는, 케사와 모리토오가 케사의 남편을 죽이는 계략을 짜고 있으며, 『덤불 속(藪の中)』은 부부인 타케히로와 마사고가 도둑인 타죠마루를 만나면서 일어나는 사건을 그리고 있다. 이 세 작품을 비교, 분석해 보면, 몇 가지의 유사점을 찾을 수 있다. 먼저, 등장 인물의 구조이다. 두명의 남성과 한명의 여성이라고 하는 중심인물을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 세작품은 일본 고전 문학에서 그 소재를 취하고 있다. 또한 독백 구조도 보여지고 있다는 것이다. 『츄우토(偸盜)』에서, 샤킨의 묘사는 타로우와 지로우 두 남성의 독백 속에서만 찾아 볼 수 있다. 이들은 샤킨을 ‘유혹’하는 여성으로 묘사하고 있다. 샤킨의 살아가는 방식에 대하여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많지만, 타로우와 지로우는 점점 그녀의 매력에 빠져들고 만다고 고백하고 있다. 이것은 그녀가 가지고 있는 ‘힘’에 의한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즉, 그들에게 있어서 샤킨의 존재는 유혹에 빠지게 하는 힘을 가진 존재로 그리고 있다. 결국 이러한 샤킨에 의해 그들은 두 형제가 연적이 될 수밖에 없는 운명에 놓이게 된다고 한다. 샤킨을 차지하기 위해 타로우와 지로우는 누군가를 죽이든 누군가에게 죽음을 당하는 상황에 놓여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두 남성이 ‘죽음의 장’으로 이끌리게 되는 것은 바로 여성의 ‘유혹의 힘’에 의한 것이라고 그리고 있다. 결국 두 남성의 화해와 샤킨의 살해는 ‘죽음의 장’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방법이 되고, 샤킨의 죽음은 당시 아쿠타가와의 ‘에고이즘을 떠난 사랑’과 연관지어 생각할 수 있다. 『케사와 모리토오(袈裟と盛遠)』의 경우, 케사라고 하는 인물은 고전 문학의 정녀로서 유명한 인물을 새롭게 변형하여 아쿠타가와만의 케사로 탄생시킨 인물이다. 남편을 대신하여 죽게되는 정녀의 모습을 아쿠타가와는 ‘간부’라는 이미지로 변형시키고 있으며, 앞서 언급한 샤킨과 같이 자신의 사랑을 위해 죽음도 마다하지 않는 ‘간부’‘에고이즘의 사랑’이라고 연결 지어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아쿠타가와의 정녀 파괴는 다른 작품에서도 보여주고 있으며, 여성의 정조성을 은연중에 강조하면서 그렇지 못한 여성의 뒷면을 밖으로 드러내고자 하는 의도를 엿볼 수 있었다. 특히 이 작품은 케사 자신의 독백 부분이 있으며, 이 독백 부분에서 기대되는 여성심리 묘사는 오히려 모리토오가 묘사하는 케사의 모습에 그 농도를 짙게해 주는 역할만을 하고 있다. 케사 자신이 말하는 케사의 모습은 더욱더 정녀 케사와는 반대의 ‘간부’ 케사의 모습을 절실히 그리고 있는 역할만 할 뿐이다. 『덤불 속(藪の中)』의 경우, 주요 인물인 타죠마루, 타케히로, 마사고의 진술을 중심으로 마사고라고 하는 여성이 어떻게 그려지고 있는가를 보고자 하였다. 타죠마루의 진술에 따르면, 마사고는 남편을 죽이고 타죠마루를 따라가고자 하는 여성이었으며, 남편을 죽이기 위해 타죠마루를 ‘유혹’하는 강한 힘을 발휘하는 여성이었다. 타죠마루는 이러한 여성의 힘에 의해 자기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타케히로를 죽이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타케히로의 진술에 따르면, 도둑 타죠마루에 대한 원망 보다, 부인 마사고에 대한 원망으로 가득하다. 타죠마루가 마사고에게 자신의 부인이 되지 않겠냐는 질문에 마사고는 이제껏 볼 수 없었던 아름다운 얼굴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타케히로는 이러한 부인의 행동을 ‘죄’라고 하고 있다. 이 두 남성의 진술에서 마사고는 ‘둘 중 한 사람은 죽어주세요’라고 한다. 즉, 두 남성에게 있어서 마사고라고 하는 존재는 남성을 ‘죽음의 장’으로 이끄는 여성인 것이다. 그렇다면, 마사고 자신은 어떻게 진술하고 있는가. 그녀는 자신의 수치심을 남편에게 보였다며 남편과의 동반자살을 시도한다. 마사고는 남편을 죽이지만, 정작 본인은 죽을 힘이 없었다고 한다. 이러한 마사고의 행동은 여성의 ‘배신’의 행동을 보여주고 있다. 여성에 대한 불신과 에고이즘이 있는 사랑으로 인한 인생의 고통을 느끼고 있었던 아쿠타가와의 심정을 잘 표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아쿠타가와의 세 작품 『츄우토(偸盜)』『케사와 모리토오(袈裟と盛遠)』『덤불 속(藪の中)』에서 보여지는 여성은, 남성에 의해 그려지고 있는 여성이다. 그리고 이러한 여성은 남성에게 있어서, ‘죽음의 장’으로 이끌고 있는 ‘유혹의 힘’을 가진 존재이다. 두 남성은 이 힘에 이끌려 서로를 죽이고 죽음을 당하는 연적의 관계로 대립하지만, 결국 두 남성간의 연대감을 느끼고 화해를 함으로써 인생의 고뇌를 느끼게 하였던 ‘제악의 근원’인 여성을 배제하고자 한다. 두 남성과 한 여성이라는 삼각관계의 구도를 이루고 있다고 생각되어지지만, 결국 두 남성의 연대관계와 한 여성의 대립구조는 남과 여라고 하는 남녀이원론적 성차를 기축으로 하여 나타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아쿠타가와의 세 작품을 통해 얻어진 결과이며, 그 이외의 다른 작품에서는 또 다른 양상을 찾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 이외의 다른 작품과의 차이점을 통해 또 다른 여성상의 특징을 향후의 과제로 남기고 싶다.

      • 단일벽 탄소 나노튜브(SWCNT)와 유기 전자 주게 물질인 TTF 유도체와의 전하전달 현상에 관한 연구

        이수진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Numerous applications using singlewall carbon nanotubes (SWCNTs) have been conducted due to their excellent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spite of that, the coexistence of metallic and semiconducting SWCNT in commercial CNT products has interrupted the advances of technological applications including electronic devices and chemical/bio-sensors. Recently we have reported the charge-transfer interaction between SWCNT and tetrathiafulvalene (TTF), a well-known organic donor, in which TTF has differently interacted toward two types SWCNTs. Herein we report the selective interaction of SWCNTs with TTF during charge-transfer interaction, and the spectroscopic characterization with Raman, UV-vis-NIR. Dramatic decrease of RBM corresponding to metallic species in Raman spectrum and increase of characteristic semiconducting absorption bands in UV-vis-NIR of TTF-SWCNT show that TTFs selectively participate in charge-transfer reaction with metallic SWCNTs. We expect the charge-transfer interaction using organic electronic materials is technologically critical to control electrical properties of SWCNTs.

      • 이준호 작곡 피리협주곡

        이수진 추계예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전통적인 요소의 창작물 보다는 시대적인 흐름과 대중들의 기호에 맞춘 창작곡들이 주를 이루기 시작하면서 피리가 가지고 있는 전통적인 의미의 연주는 물론 고유의 음색과 음량이 전통적 음악어법을 기반으로 한 창작곡들의 필요성을 느끼며 본 연구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에 본고는 이준호 작곡의 피리협주곡 <상령산>을 대상으로 연구 분석하였다. 이 곡은 총 232마디로 ��단락부터 ��단락까지 12단락으로 구성되어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상령산>을 크게 2악장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독주피리와 그에 따른 관현악의 형식 및 선율, 장단분석에 따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악장 �� - 9/8박자 ��=45빠르기로 본격적으로 상령산의 주제선율이 나오기 전 연주되는 도입부로, 짤막한 동기(Motive)의 출현과 함께 관현악연주로 집중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 - ��=30빠르기로 <관악영산회상> 중 ‘상령산’의 1장과 2장이 등장하고, 비교적 원곡의 느낌을 많이 표현한 단락이며, 전통적인 요소를 많이 느낄 수 있다. �� - ��=45빠르기로 도입부 4마디와 ‘상령산’의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2장과는 다르게 원곡의 장단을 반으로 축소하였고, 한 장단이 끝날 때마다 연결구 2마디를 붙여 편곡하였다. �� - 6/8박자 ��=45빠르기로 경쾌한 리듬이 특징인 단락이다. 장단은 타령장단과 거의 흡사한 구조로 진행되고 있다. 독주피리의 선율은 앞 단락들과는 다르게 동적이며 규칙적이고 경쾌하게 작곡되었다. �� - 앞 단락의 8마디를 그대로 반복하였기에 ��단락으로 봐도 무방하다. 악구가 반복됨으로써 안정감과 통일성을 부여한다. �� - 9/8박자 ��=45빠르기로 1악장의 마지막 단락으로 ‘상령산’의 4장을 편곡하였다. ��단락의 도입부를 차용하였고, ��단락의 리듬패턴을 사용하였으며, 2악장으로 자연스럽게 넘어가기 위한 연결구가 존재한다. 2. 2악장 �� - 12/8박자 ♪=76빠르기로 조성과 음계가 변화하였기 때문에, 1악장과는 색다르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화성적인 경과음을 자주 사용하며 선율의 변주와 동형진행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크게 주제 선율에 따라 악구를 ‘A-B1-B2-C’로 나눌 수 있다. �� - 이 곡에서 제일 리드미컬하고 유일하게 화성적 진행이 화려한 단락으로 클라이막스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 - <평조회상> 중 ‘상령산’의 1장을 가지고 만들어진 단락이다. 비교적 선율과 장단의 축소 없이 그대로 사용되었다. 독주피리의 선율에 관현악이 대위적으로 대선율이나 화성반주로 진행이 되는 특징이 있다. �� - ‘상령산’의 1장과 2장을 이어주는 간주역할을 하며 ��단락의 ‘A’주제를 그대로 반복하며 화성적인 움직임이 아닌 선율적인 움직임으로 진행하고 있다. �� - ‘상령산’의 2장을 편곡한 단락이다. 준박이 많은 원곡의 진행구조를 살려 카덴자(Cadenza)형식으로 풀어 넣었다고 볼 수 있다. 이 곡에서 연주자의 기량과 ‘상령산’의 전통적인 요소를 가장 마음껏 펼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 - 마지막 단락으로 종지부의 역할을 한다. 독주피리가 등장하지 않으며 오로지 관현악으로 마무리된다. 이준호 작곡의 피리협주곡 <상령산>은 서양음악의 작곡형식이 아닌 <관악영산회상>과 <평조회상>의 ‘상령산’을 중심으로 작곡된 곡이다. 화성의 사용이나, 서양음악을 연주할 때 사용하는 연주 기법들은 분명히 사용되었으나 다른 관현악보다는 전통적인 상령산의 선율을 그대로 사용하였기에 주제선율자체에 전통적인 요소가 많이 포함되었다. 독주 연주가 많기 때문에 연주자는 이곡을 연주함에 있어 <상령산>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시김새를 효과적으로 사용해야 할 것이다. 또, 연음형식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서양관현악의 절대적인 역할인 지휘자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지휘자가 없는 전통음악에서처럼 연주자들 간의 호흡이 중요시되는 곡이라고 생각이 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상령산>속에 내재되어있는 전통적인 요소들에 대한 세부적인 곡 분석을 통하여 향후 이 곡을 연주하고자 하는 연주자들의 창작곡 연주에 있어서 본 연구가 음악적 이해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Since the mainstream moved to the creative musics which fit the stream of time and public taste rather than musics with traditional components, I studied the analysis to meet the need of creative musics based on the traditional meaning of piri play as well as genuine tone and sound with traditional musical expressions. Accordingly, Here I studied the piri concerto <Sangryeongsan> by Lee, Junho. This piece consisted of totally of 232 bars and 12 paragraphs (�� paragraph to �� paragraph). However, This study divided the song in two 2 movements and the summary of study results of analysis on the solo piri and melody, format and rhythm of orchestral music is following : 1. First movement �� - 9/8 time ��= 45 pace It is an introduction which come before the main melody, which presents the motive and concentrates into the orchestral music playing. �� - ��=30 pace It appears on the 1st movement and 2nd movement of ‘Sangryeongsan’ from <Gwanakyoungsanhwesang>, and it is paragraph with relatively more feelings of original and makes you find much traditional components. �� - ��= 45 pace It is composed of 4 bars and 3rd movement of ‘Sangryeongsan’. Unlike 1st and 2nd movements, it reduced the rhythm of the original into half and arranged by adding 2 bars as melodic link �� - 6/8 time ��=45pace this paragraph is characterized by its light rhythm. The rhythm proceed in similar structure as that of taryeong. The melody of solo piri play is composed regular and light unlike preceeding paragraphs. �� - Because it repeats the preceeding 8 bars, it can be seen as paragraph ��. It gives stability and consistency with repeated sections. �� - 9/8time ��=45pace Being the last paragraph of 1st movement, it borrowed the introduction of �� paragraph and used the rhythm pattern of ��paragraph and there is a musical link to move to 2nd movement smoothly. 2. 2nd movement �� - 12/8time ♪=76pace Because tonality and scale changed, it can be felt different than 1st movement. It is characterized by variation in melody with use of harmonic transient chord and scale sequence. It can be divided largely into ‘A-B1-B2-C’ according to subject melody. �� - It can be considered as climax of the song which is most rhythmical and has colorful harmonic progression. �� - Of <Pyeongjohwesang>, it is made from 1st movement of ‘Sangryeongsan’. Relatively similar melody and rhythm are used without reduction. It i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orchestra as counter line and harmonic accompaniment to the solo piri play. �� -It functions as a bridge between 1st and 2nd movement. It repeats the ‘A’ subject of �� paragraph and progresses with melody rather than harmony. �� - It is the arrangement of 2nd movement. It has the progression of the original with Cadenza structure. The player can show one’s ability and the traditional component as much as he can. �� -It is the last paragraph and acts as the end of the song. It ends with orchestra without solo piri play. Lee’s <Sangryeongsan> is centered on ‘Sangryeongsan’ of <Gwanakyoungsanhwe> and <Pyeongjohwesang> rather than musical composition of western music. The use of harmony and performing technique are clearly present but because it used more melody of traditional Sangryeongsan than other orchestral music, it includes many of the traditional factors in the subject melody. Since it has many solo plays, players must have high understanding of the song and use Sigimsae effectively. Also, because it actively used prolong sound, the conductor whose is key role in western orchestral music is important but without a conductor in korean traditional music, coordination among players is important as well. Thus, I hope this analysis on the traditional factors in <Sangryeongsan> can help future performers of the song understand the creative music.

      • 도시재생지역의 토지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이수진 청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As urban decay worsens due to multiple factors from depopulation to stagnation of industries, for the purpose of helping the regional innovation and push forward the competitive Urban Regeneration Schemes, the local governments are strengthening the support system for the Urban Regeneration Schemes. And as the boundaries of the land-related managerial affairs become increasingly multi-dimensional over time, space, and system, in both physical and rights-related sense, Urban Regeneration Schemes demand new ways for the approach and management of lands. Thus, in order to present appropriate land management models for Urban Regeneration Areas, this study researches and reviews present situations and limits of land management situations for Urban Regeneration Schemes. As the official land management lags behind the physical environmental change of the Urban Regeneration Area, this is an attempt to design appropriate and alternative land management models. The limits of land management for Urban Regeneration Areas can be divided into three aspects. First,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s an assorted group of multiple organizations in the Urban Regeneration Areas, interacting in both direct and indirect ways, and each member organization manages their various lands and facilities on a single lot of land. Second, facility management is widening a gap between actual use and official use in Urban Regeneration Areas and is unable to answer the current demands. And third, the official records of the Urban Regeneration Areas are administered through registers and plans, but the system for the inter-record links and multi-dimensional land managements are not sufficiently provided. To overcome these limits, the appropriate land management for the Urban Regeneration Areas can be dissected into three parts. First is the designing of the administrational organizations to establish the basis for the land management over the Urban Regeneration Areas. It can be done by networking organizations, setting up a unified management object, and inter-system cooperation. Solidifying various functions of management organizations, objects, and systems will strengthen the maintenance system, and greatly save the time and cost. Second is the fair facility management schemes for the Urban Regeneration Area lands. It can be further divided into reorganization of the related laws, multi-dimensional purpose management, and multi-dimensional Parcel procurement, for a directly linked, multi-dimensional management between land plots and facilities. These can show the changing trend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may even predict the future. Third is the management of official records system to facilitate land management of Urban Regeneration Areas. It can be further divided into inter-record links, enhanced comprehensive real estate record, and implementation of parcel inquiries. If current horizontal lands and facilities management can be augmented with vertical management, it may hold official power by enhancing the value of the lands and facilities in Urban Regeneration Areas, and reorganizing public records. 인구감소, 산업침체 등 여러 요소로 쇠퇴가 진행되면서 도시재생 정책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지역의 역량강화를 돕고, 지자체는 주민과 함께 경쟁력 있는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도시재생사업 지원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또한 도시재생사업으로 인하여 토지와 관련된 물리적 사항 및 권리적 사항 등은 공간적·제도적·시간적 경계를 넘나들면서 토지관리 범위가 다차원화 되고 있어 새로운 토지관리의 접근 및 방법이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 사례지역의 토지관리 현황 및 한계를 조사·검토하여 바람직한 도시재생지역의 토지관리 모델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즉 도시재생지역의 물리적 환경변화에도 불구하고 이를 반영한 공적 토지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바람직한 토지 관리 모델을 설계하는 것이다. 도시재생지역의 토지관리 한계는 크게 관리조직, 시설물 관리, 공적장부 측면에서 살펴 볼 수 있다. 첫째, 관리조직은 도시재생지역내의 다양한 조직이 직간접적으로 연계되어 운영 되고 있으며, 또한 동일한 하나의 필지 위에 있는 토지와 시설물들을 별개로 관리하고 있다. 둘째, 시설물 관리는 도시재생지역의 토지용도는 실제 이용되는 용도와 공부상 관리되는 용도와는 다소 거리가 발생하고 있고 시대적인 용도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도시재생지역의 공부의 실제는 각종 대장 및 도면으로 관리되고 있으나 공부간의 연계 및 입체적 토지관리를 위한 공부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바람직한 도시재생지역의 토지관리 모델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첫째, 도시재생지역의 토지관리 기반의 확립을 위한 관리조직의 설계 이다. 관리조직의 설계로는 조직의 네트워크, 관리객체의 통합, 시스템의 연계로 제시 할 수 있으며, 관리조직, 관리객체, 관리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기능들을 통합적이고 공통적으로 활용하여 유지관리체계를 강화시킴으로써 비용 및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둘째, 도시재생지역의 토지관리 합리성을 위한 시설물관리 방안 이다. 시설물관리 방안으로는 관련 법규의 정비, 입체적 용도관리, 입체적 필지도입으로 제시 할 수 있으며, 토지와 시설물을 직접적으로 연계하여 입체적으로 관리를 하여야 한다. 이는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의 변화추이를 알 수 있으며, 미래의 예측도 가능해 질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셋째, 도시재생지역의 토지관리 활성화를 위한 공적장부의 관리이다. 공적장부의 관리 방안으로는 공부 간 연계, 부동산종합공부의 보완, 일필지 조사의 적용으로 제시할 수 있으며, 토지 및 그 시설물을 수평적인 관리에서 그치지 않고 수직적인 관리 까지 더한다면 도시재생지역의 토지와 시설물의 가치가 향상되고 공부를 재정비 함으로써 공적인 힘을 부여받게 될 것이라 판단된다.

      • 민화의 조형성을 응용한 민담의 시각표현 연구 : 그림책「가시내」, 카미시바이「개미와 메뚜기와 물총새」의 제작과정을 중심으로

        이수진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근래 들어 많은 출판사에서 옛이야기그림책을 기획, 출간하고 있으며 그 중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민담그림책이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로 인해 많은 화가들이 자연스럽게 민담그림책을 경험하게 되었다. 일견 민담의 세계는 접근하기 쉬워 보인다. 하지만 경험하면 할수록 민담을 표현해내는 과정에 민담만이 가지는 독특한 어려움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민담을 공부하고 그림책작업을 진행하다 보면 우리의 전통민화와 민담의 영역이 다소 흥미로운 교집합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는 비단 필자뿐만이 아니라 많은 비평가와 이론가들도 동의하는 내용이다. 민담을 시각화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민화의 조형성과 더불어 그 정신적, 형식적 측면에 주목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민담과 민화의 연관성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자료가 미비하고 진척된 연구결과가 부족하여 민담을 시각화하는 화가의 입장에서는 아쉬움이 많은 상황이다. 필자는 민담의 시각화 과정에서 민화의 조형성을 접목하여 적게나마 나름의 성과를 경험할 수 있었고 그 경험치를 이 논문에서 보여주고자 한다. 아울러 국내에서 아직 생소한 장르인, 일본의 카미시바이(紙芝居)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카미시바이 특유의 현장감과 커뮤니케이션의 방법을 활용하여 ‘옛이야기 즐기기’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래 ‘들려주던 옛이야기’가 ‘보여주는 옛이야기’로 변화하고 있는 근래의 소통방식은 옛이야기를 어떻게 시각화하느냐의 문제를 더욱 중시하게 만든다. 이러한 시점에서 민담을 보여주는 두 가지 방식, 그림책과 카미시바이에 대한 제작과정과 그 결과를 교차 비교해 봄으로써 각 장르의 특징과 효용성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본 논문은 두 가지 민담작품 <가시내>와 <개미와 메뚜기와 물총새>를 각각 그림책과 카미시바이로 시각화하는 구체적인 작업과정과 결과에 대한 기록이다. 화가로서 민담을 시각화해 나가는 과정의 산물이라 하겠다. 수없이 많은 의문과 채우지 못한 숙제를 이어서 고민해줄 많은 옛이야기그림책 작가들의 관심을 기대해 본다. Recently many publishers publish picture books of folk tales. Among them, many of these are folk tales of picture books. Due to these changes many artists experience the world of folk tales, but the more one became experience, the more the expressive process of the folk tales and the unique challenges in them would be experienced. When we study folklore and experience picture books, the fact that our traditional folk tales and folk painting of the area form somewhat interesting intersection relationships is found. Not only the author but also many critics and theorists agree, therefore, in the process of visualization of a folk tale, an aesthetic value of folk painting would be on the spotlight naturally in the mental and formal aspect. However, specific research data concerning the association of folk tales and folk painting is not prepared and supposedly results in a rare research outcome progressed so that a sense of frustration remains from the position of artists. Meanwhile, I could experience the performance of its own as slight in the visualization process of the folk tales by linking with the aesthetic value of folk painting. The process and results in this paper is to be shown. Along with this, I would like to introduce about Japanese Kamishibai which is less known in Korea. Kamishibai is an area to access the folk tales in a different communications method. On this, I would like to present it as new possibilities of 'Enjoying folk tales.' Recently the way of the communication having changed from originally ‘Being heard folk tales' to ‘Showing folk tales' emphasizes on a question of how you make the folk tales visualized. At this point, I would hope you have an opportunity to cross-compare between the two methods showed in folklore and the production process and the results about picture books and Kamishibai. This paper documentates the process of specific tasks and results to visualize two kinds of folklore works, <Ggasinae> and <The Ant, the Grasshopper and the Kingfisher> into picture books and the Kamishibai respectively. As an artist, it can be a product of a process visualizing folk tales. The attention to picture book author of the many folk tales is expected to worry innumerably lots of questions and homework not completed one after an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