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현황과 장애요인 분석

        조혜연 ( Hye Yeon Cho ),이상원 ( Sang Won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운영현황과 교육 시 교사가 경험하는 장애요인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초등학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교사 115명의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선행연구를 기초로 개발된 교육현황과 장애요인을 알아보는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 현황을 알아보고,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에 있어 교사가 경험하는 장애요인을 분석하였으며, 설문지 결과 분석은 엑셀과 i-STATistic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초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 운영현황과 교사가 경험하는 장애요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에 장애를 느끼는 교사는 장애를 느끼지 않는 교사에 비하여 수업시간에 ‘생물다양성‘과 ‘먹을거리‘ 주제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시할 때, 대부분의 교사들은 ‘기후변화’, ‘에너지’, ‘생물다양성’, ‘물의 이용’과 같은 환경 영역의 주제를 선택하는 것으로 볼 때, 환경, 사회 및 경제 영역에 대한 균형성을 가진 주제를 발굴하고, 그에 맞는 다양한 교재 및 수업자료를 개발이 요구된다. 둘째, 지속가능발전교육에 장애를 느끼는 교사는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대중매체를 통해 교육자료를 수집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인터넷에서 다양하고 질 높은 교육 자료를 얻을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지속가능발전교육 강화를 위한 필요 요소에는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확대’와 ‘교재 및 수업자료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어 공감대가 형성되고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수업 자료들이 확충되는 등 여건이 조성될 때 초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 결과, 초등학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활성화되도록 하기위해서는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전문성 함양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자료개발이나 연수 기회의 확대와 같은 노력이 요구되는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in elementary school and ESD, identifies the barriers fa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oing ESD. The survey was carried out by teachers who were selected to work at the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questionnaire which has been developed from based on the advanced research was modified and us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the barriers of ES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object,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The Excel and i-STATistics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facing barriers in ESD rather than teachers not facing barriers are inclined to have more education topics of ``biodiversity`` and ``food``. But, most ESD topics that are used in elementary school class are composed of the environmental domain such as ``climate change``, ``energy``, ``biodiversity``, ``water use``. So, it needs further development of a well-balanced topic among environment, economy and society domain. Second, the teachers facing barriers of ESD rather than teachers not facing barriers need to support the educational materials with diverse and high quality on the internet, because they tend to obtain educational materials through the mass media than others. Third, most teachers need ``Expanded awareness of ESD`` and ``Expansion of teaching materials on ESD` to support the activation of ES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activate ESD of elementary school if ESD is included in curriculum after expanding the awareness and forming an educational consensu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need the awareness cultivation and professionalism of elementary teachers on ESD to activate ESD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on ESD, expansion of more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함양한 음악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 연구: 생활화 영역을 중심으로

        윤관기(Gwan Ki Yun)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1 음악교육공학 Vol.- No.49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과 필요성이 확대되는 과정에서 새롭게 개발되고 있는 음악과 교육과정 속에 지속가능발전의 접근 가능성을 다뤄봄으로써 음악교과를 통해 지속가능발전 태도를 함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속가능발전(SD)과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개념과 정의를 살펴보고, 지속가능발전교육의 3가지(환경적, 사회적, 경제적)관점의 핵심내용과 타 교과 교육과정에 적용된 내용을 정리하였으며,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핵심내용을 토대로 음악과 교육과정 생활화 영역에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교육과정이 개정될수록 사회적 관점의 요소(음악과 행사, 음악과 건강, 문화유산)가 명확하게 제시되었다. 둘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환경, 경제적 관점보다 사회·문화적 관점의 SDGs(3번, 4번, 7번)에서만 관련성을 찾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발전목표의 SDGs 요소들 일부에서 생활화 영역의 요소와의 관련성을 찾아 적용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2021년 4월 교육부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기초소양 및 역량 함양 교육을 강조한다는 보도자료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새로이 개발되는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지속가능발전의 핵심내용 및 가치방향을 이해하고, 생활화 영역을 통해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천할 수 있도록 개정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realiz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school music education based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subject in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which is being newly developed in the process of increasing awareness and necessity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t is meant to provide direction. To this end, the concepts and definition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reviewed, and the core contents of the three (environmental, economic, sociocultural) perspective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contents applied to other curricula were summarized, and based on the core content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field of making music a way of life was applied to music and curriculum.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as the curriculum was newly revised, the elements of social perspective (music and events, music and health, cultural heritage) were clearly presented. Second, the relevance was found only in the SDGs (No. 3, 4 and 7) from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rather than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perspectiv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inally, some of the SDGs elemen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suggest the possibility to find and apply the relevance to the elements of making music a way of life. As can be seen in the press release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emphasizes basic literacy and competency-building education to prepare for a sustainable future in April 2021, in the newly developed music and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ore content and value direc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make It needs to be revised so that students can actively practic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music a way of life.

      • KCI등재

        독일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생성 및 전개

        정기섭(Chung Ki Seob) 한독교육학회 2010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5 No.3

        본 연구는 독일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언제부터 주요한 교육적 경향이 되었고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지속가능발전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개념을 명확하게 이해하는데 관심을 가졌다. 또한 그를 통해 시사점을 생각해 보고자 하였다. 독일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개념은 1992년 리우 회의에서 채택된 ‘의제 21’로부터 기인하고 있으며, 1990년대 말부터 환경교육을 대체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학교 교육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이 구체화되기 시작된 것은 1999년부터 2004년까지 실시된 BLK-Programm 21을 통해서이며 그 결과들이 학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토대를 이루고 있다. 독일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생성과 전개의 과정을 통해 지속가능발전교육은 지속가능발전에 기여하는 교육으로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영역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을 지구적 관점에서 의식하고 해결에 참여할 수 있는 ‘형성역량’을 기르는 교육으로 이해된다. 본 연구를 통해 생각해볼 수 있는 점은 지속가능발전교육이 독일 학교교육개혁의 기본방향이 되고 있다는 것이며, 환경적, 생태적, 사회적 주제들이 개별적으로 다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호의존적 관계에서 다루어짐으로써 의식적으로 지구적 관점의 사고와 행위를 형성하도록 노력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교사교육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영역을 중요하게 인식함으로써 예비교사들에게 지구적 차원의 교육적 안목을 기르고 있다는 점이다. Das Grundanliegen dieser Arbeit liegt darin, durch die Studie über die Entstehung und Entwicklung der Bildung für nachhaltige Entwicklung in Deutschland den Begriff “Nachhaltige Entwicklung” und “Bildung für nachhaltige Entwicklung ” klar auzuzeigen und daraus einige Bedeutungen für unsere Schulen herauszustellen. Dafür beschäftigt sich diese Arbeit damit, wann die Umlabellierung von Umweltbildung zur Bildung für nachhaltige Entwcklung begann und beendete, und dann wie Bildung für nachhaltige Entwicklung sich entwickelte. Entstehung der Bildung für nachhaltige Entwicklung beruht sich auf die ‘Agenda 21’, die 1992 in Rio der Janeiro verabschiedet wurde. Am Ende 1990er Jahre begann die Umlabellierung von der Umweltbildung zur Bildung für nachhaltige Entwicklung und am Anfnag 2000er Jahre beendete. Mit BLK-Progamm 21, das vom 1999 bis 2004 durchgeführt wurde, wurde Bildung für nachhaltige Entwicklung in der Schule konkretisiert. Die Ergebnisse des BLK-Programms 21 boten den Schulen die Basis für Bildung für nachhaltige Entwicklung. Bildung für nachhaltige Entwicklung soll der nachhaltigen Entwickling dienen. Dessen Ziel ist der Erwerb der ‘Gestalungskompetenz’, die die Probleme im ökonomischen, sozialen und ökologischen Berich im globlaen Aspekt erkennen und patizpativ lösen kann. Aus dieser Arbeit können wir die folgenden Bedeutungen ziehen: Erstens, Bildung für nachhaltige Entwicklung wirkt als die ständige Grudlage für Schulreform in Deutschland. Zweitens, die ökonomischen, sozialen und ökologischen Themen werden nicht separat behandelt, sondern interdependent, sodass es zur Gestaltung globaler Denken und Handeln dienen kann. Drittens, Bildung für nachhaltige Entwicklung wird bei der Lehrerbildung und -weiterbildung als den wichtigen Lehr-und Lernbereich anerkannt.

      • KCI등재

        사회과에서 범교과 학습의 맥락으로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현 가능성

        강운선(Kang Woon 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이해 수준과 실천의지의 분 석을 통하여 사회과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운영할 수 있는 가능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비확률 표집으로 대구, 경북, 울산 지역에서 재 직 중인 사회과 교사 30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측정도구는 설문지를 사용 하였으며, 이해 수준과 실행 의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교차분석과 분산분석을 실시 하였으며, 분석을 위한 처리도구로 SPSS Ver, 17.0을 사용하였다. 사회과 교사의 이해 수준과 실행 의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2년 이후로 지속가 능발전교육의 패러다임이 ‘환경과 경제발전의 균형’으로부터 ‘환경, 경제, 사회의 조 화로운 발전’으로 변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응답자들의 대부분이 ‘환경과 경제발전 의 균형‘ 추구의 개념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환경, 경제, 사회의 조화로운 발전’으로 이해하는 비율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 영역의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에 대한 이해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제 영역과 사회 영역에 속하 는 내용에 대한 이해 수준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들은 지속가능 발전교육을 실행하는데 장애요인으로서 전문성 부족을 지목하였으며, 지속가능발 전교육을 시행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교사들은 시행하지 않는 이유로서 사회과의 관련성을 지목하였다. 넷째, 목표와 내용 요소에 대한 이해 수준은 낮지만 지속가능 발전교육을 실행하려는 의지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경력, 학교급, 성별 변인에 따라 이해 수준과 실천 의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하여 사회과 교사들이 전문성을 신장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한다면 범교과 학습 주제로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시행할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결론지었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범교과 학습으로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실효성을 거둘 수 있도록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련된 연수 프 로그램을 활성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possibility to integrat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in social studies through the level of social studies teachers’ understanding and practical willness toward ESD. For this I select 304 social studies teachers who are served in Daegu, Gyeongsangbuk-do and Ulsan area by nonprobability sampling.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item to measure conceptual definition of ESD, understanding on content of ESD, experience of ESD, barriers and teacher practical wilness toward ESD. The result are following. First, most of teachers answered that conceptual definion of ESD is balance of environment ptotec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a few teachers replyed that conceptual definion of ESD is balanced development among environment, economy, and society. Second, in terms of contents element of ESD, teachers discriminate contents of environment domain enough, their levels to recognize contents belonged to economy domain and society domain is very low. Second, teachers point out lack of expertise as barriers of educational practice. Third, in spite of their low understanding level, practical willness toward ESD is to appear high. Fourth,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as service career and whether teacher service middle school or high school influnced levels of understanding and pratical willness. Based on these results, I suggest hat implementation possibility ESD in social studies is enough, if only teachers have apportunity to strengthened a professionalism.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 관점에서 분석한 초등학교 3학년 음악 교과서

        윤문정 한국예술교육학회 2019 예술교육연구 Vol.17 No.2

        ‘지속가능발전’이라는 개념은 산업 발전과 경제 성장에 따른 대기오염, 동물의 멸종위기와 생태계 파괴 등 늘어가는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처음 등장하였으나 점차 미래의 인류를 위해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하는 다양한 분야(빈곤, 질병, 차별, 안전 등)를 포함하게 되었다. 지속가능발전을 실천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범교과적‘지속가능발전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음악교육은 타 교육 분야에 비해 지속가능발전에 관 한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의미를 살펴보고, 초등학교 3학년 음악 교과서를 지속가능발전교육 관점에서 분석하여 음악교과의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음악교과서의 제재곡에는 다양한 생물과 생태계가 등장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천할 수 있 는 가능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재곡과 관련된 활동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지속가능발전교육 활동 이 있긴 하지만 그 수가 많지 않았고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경우는 적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속가능발 전교육을 위한 음악교육 활동을 마지막으로 제안하였다. Damage to the natural environment due to industrial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environmental pollution, destruction of ecosystem has become a global problem. As a way to solve these problems, interest in sustainable development has increased and efforts of each group have become active.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gun with environmental issues but it has included a variety of areas (poverty, disease, discrimination, safety, etc.) that must be continuously developed for the future humanity. Also, education is emphasized as a way to practice it. Compared to other fields of education, there is little research on sustainable development in music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third grade music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from the perspectiv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to examine the possibilities of practicing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of music subject and suggested directions to move forwa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t is found that various music and textbooks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through the appearance of various creatures and ecosystems. There are activities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ome of them were not directly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music education activit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were suggeted.

      • 유아를 위한 지역사회자원 활용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1)

        신미숙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5 No.1

        인류사회는 산업혁명 이후 인간의 이기심과 잘못된 생활방식으로 환경오염,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자원고갈 등과 같은 전지구적 문제들을 야기하면서 지속가능발전의 한계점에 봉착하게 되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으로 ‘지속가능발전’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에 UN에서는 지속가능 발전을 저해하는 문제들을 해결하고 지속가능발전사회 구현을 위해 유아기부터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각 국가마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이루어질 것을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 이처럼 UN에서 강조하고 있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은 그동안 이루어졌던 환경교육을 넘어 환경, 사회, 경제를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교육으로 지속가능한 미래사회를 위한 지식과 태도, 역량 등을 강화하는 교육이다. 특히 유아기에 이루어지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은 유아에게 익숙한 지역사회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발견한 문제들을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포괄하여 인식하고 해결하며 실천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를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해 유아들의 삶의 터전인 지역사회에서 지속가능발전 요소를 포괄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산과 하천, 공원 등의 자원을 주제로 선정하여 지속가능발전 역량이 강화될 수 있도록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만5세반 유아들을 대상으로 16주간 유치원 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행을 위한 필요조건과 충분조건 분석 : 퍼지셋 질적비교분석의 활용

        강운선(Woonsun K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이 연구는 수업 실행의 선행변수로 보고되고 있는 교사의 태도, 교사의 효능감, 교사가 지각하는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공유적 수업리더십, 비전제시, 전문성 개발) 등의 원인변수가 지속가능발전교육 실행을 위한 필요조건이나 충분조건으로서 기능하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설문 자료는 2018년 5월부터 2018년 9월까지 온라인 조사와 우편조사를 병행하여 수집하였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행을 위한 필요조건과 충분조건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퍼지셋 질적비교분석(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fs/QCA)방법을 적용하였으며, 통계처리도구로 fsQCA 2.5 버전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태도는 지속가능발전교육실행의 필요조건이다. 둘째, 교사가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긍정적 태도와 효능감이 높고, 교장이 공유적 수업리더십과 교사들이 전문성개발을 강조하는 리더십을 발휘하는 조건에서는 교사들이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행하기에 충분하다. 셋째, 교사들이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긍정적 태도를 가진 조건에서, 교장이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비전 제시와 공유적 리더십을 발휘하고, 교사들이 전문성을 개발하도록 강조하는 조건에서는 교사들이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행하기에 충분하다. 넷째,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교장의 리더십이 낮은 경우에도, 교사가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관한 긍정적 태도와 효능감이 높은 조건에서는 교사들이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행하기에 충분하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 실행을 위한 제안과 후속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Past research on ESD has used two principal approaches: large-N statistical studies estimating average effect sizes, or case studies presenting description. Notably lacking is the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of conditions determining ESD implementation. I used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fs/QCA) to identify pathways leading to ESD implementation. This study was based on a sample of 164 Korean teachers. The results were the following. 1) A positive attitude towards ESD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ESD. 2) I explored three distinct causal conditions that were sufficient to explain ESD implementation. 3) Causal condition 1 feature positive attitude towards ESD combined with high efficacy and high levels of leadership in the two sub-scales of principal leadership ( shared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developing people ) are sufficient to implement ESD. 4) Causal condition 2 features a positive attitude towards ESD combined with high levels of leadership in the three sub-scales of principal leadership ( shared instructional leadership , setting direction and developing people ) are sufficient to implement ESD. 5) The same outcome is achieved with a positive attitude towards ESD and efficacy, even though it is accompanied by low shared instructional leadership , low levels of setting direction , and low levels of developing people .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 suggested that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need to make efforts to include contents and methods related to ESD in the curriculum. Also, I suggested that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nclude ESD in their training programs. Through this research, I hope that fs/QCA will be more used for studies to discover causal relations to ESD.

      • KCI등재

        역량기반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개발 연구

        이병준(Yi, ByungJ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6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이 학교교육 차원에서 점차 확산되어가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학습자층도 초기에는 교사를 중심으로 했으나 이제 점차 학생, 학부모, 시민으로 확대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개념이 어렵고 지속가능 발전에 대한 내용차원의 지식과 기술의 전달이 이루어지다보니 교육의 성과가 실천적 역량의 제고에까지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학습자들이 지속가능성 역량을 갖게 하는 것이 지속가능발전의 내용을 습득하고 이해하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는 인식이 실천가들 사이에서는 점점 더 확산되어가고 있다. 다시 말해 역량기반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필요성이 대두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좀 더 강력한 실천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속가능발전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프로그 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둔다. 그 결과 역량기반의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우선 DeSeCO을 통해 확산된 핵심역량에 기반한 지속가능발전역량 교육프로그램을 개발되었고, 둘째로는 지속가능발전의 내용을 구성하는 환경, 사회, 경제, 문화 영역의 역량개발 프로그램이 개발되었으며, 셋째로는 지속가능발전의 내용영역 전체를 아우르는 통합적 역량의 촉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tends to be spread gradually from an angle of school education. In the first stage, learners of ESD were teachers, but they are expanded to students, their parents and citizens now. However, the concept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s difficult and knowledge and technology are delivered from an angle of the conten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so outcomes of education cannot approach the improvement of practical competency. Therefore, doers gradually possess the awareness it’s more important to give learners sustainable competency rather than acquire and understand conten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other words, necessities of competency base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ome to the fore.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ducation program for development of sustainable development capability so that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an display stronger power of execution. As a result, competency based education program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an be greatly divided into three parts. First of all, education program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ased on key competency spread by DeSeCO was developed. Second,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 of environment, society, economy and culture areas, organizing conten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was developed. Third, education program for promotion of integrated competency for the whole conten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was developed.

      • KCI등재

        교육의 내재적 가치 관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교육적 고찰과 발전 방향 연구

        임효진(Hyo Jin Lim),이두곤(Du Gon Lee) 한국환경교육학회 2016 環境 敎育 Vol.29 No.4

        이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규명함으로써 교육적 의의를 찾고,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통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는 첫째, 교육의 내재적 가치 관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은 학생들이 사물과 현상을 볼 수 있는 안목을 길러준다. 둘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은 학생들이 본성을 회복하여 심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돕는다. 교육의 내재적 가치 관점을 반영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발전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은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더욱 지향해야 하며, 교육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교육관이 변화해야 한다. 둘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은 내재적 가치를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셋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평가 관점은 학생의 성장 과정에 중점을 두는 과정중심평가로 전환되어야 한다. 넷째,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내재적 가치 이해 증진을 위해 교사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내재적 가치에 대해 주목하면서,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기반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학교교육에서 더욱 탄탄한 교육적 토양을 갖고 성공적으로 자리 잡아가게 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by illuminating the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and to seek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ESD through the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SD from the perspective of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is worth forming a perspective to see phenomena for students. Various adjectival education and integrative perspective of ESD forms an insight wherein students see the world to be holistic, while extending the students experience. Second, ESD cultivates the primordial mind by restoring it to its original nature for the students. This enable students to feel a moral obligation and responsibility to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minorities, and acquire a good mindset in the course of helping others without expecting anything in return.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ESD reflecting the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is as follows: First, ESD should be more oriented to the intrinsic rather than the extrinsic (or instrumental) value of education, and change it to educational viewpoints to pursue the sustainability of education. Second, the teaching methods of ESD should be changed in the direction of enhancing the intrinsic value. Third, the evaluation of ESD should be converted to process-centered assessments that focus on the growth of students. Fourth, in the teacher trai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in-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the intrinsic value of ESD should be emphasized, and the programs should be designed to help experience the intrinsic value and recognize its importance. As elucidated about the intrinsic value of ESD through this research, ESD based on the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is expected to develop and to establish itself in schools.

      •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교육 전략

        황혜연(Hwang Hey Yeon),김윤정 전북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교육문제연구 Vol.18 No.1

        본고의 목적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교육의 주된 관점을 설명하고, 학교내에서 이루어지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사례를 분석해봄으로써 그에 적합한 교육전략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속가능한 사회속에 포함되어져야만 하는 요소들에는 자연, 전체로써 집단, 사람들의 삶의 형태들이며, 지속가능한 발전의 원리는 환경적인 문제를 넘어서 모든 인간의 삶속에 도입되어져야 한다. 지속가능발전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살고 있는 사회공동체의 미래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룩할 수 있도록 지역공동체의 관련 영역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변화시키며 모험화시킬 수 있는 비판적 사고능력을 필요로 한다. 둘째, 한국 학교내에서는 다양한 동아리 활동과 학교 특성화 사업 등을 통해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동아리 활동과 지역사회와 연계한 프로그램속에서,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적 문제를 교육과 연계하여 고민해보고 해결해보도록 함으로써 비판적사고의 향상을 꾀하고, steam수업을 통해 경험적인 지식을 습득하게 하고 통합적인 사고력향상을 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좋은 프로그램들에 대해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자료를 찾아보는데 약간의 어려움이 있었고, 단기적인 프로젝트로 끝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한국의 학교교육현장에서 적절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발전과 실행을 위해서, 정부와 학교, 그리고 지역사회의 협력을 필요하다. 또한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기적인 국가 계획수립이 필요하며, 프로젝트 수업, 전략적 질문, 경험학습, 스토리텔링, 독서를 이용한 다른 교과목과 관련된 학습방법등과 같은, 학교에서 사용되어질 수 있는 적절한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그것을 잘 운영할 수 있는 적절한 교사교육과 교사의 배치, 그리고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ain the main point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xamine and analyze the examples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which has been practiced in education circumstances of Korea and think over appropriate strategies. The conclusions are following: First, sustainable development approach can be a framework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terms of whole society. The factors which should be included in the sustainable society are, at least, nature, group as an aggregate, mode of living existence of people. And the principle of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en introduced in all around human life area beyond environmental principal. To achiev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we needs the critic ability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hange of community for the sustainable future and make model for sustainable social development amid dynamic changes and various risk in our society. Second,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en done at school in Korea throughout various activities of groups and special projects. Various activities of groups and programs, which is connected with communities, improve critical thinking by worrying about problem associated with things around the children and searching solutions. Throughout Steam, children can obtain experienced knowledges and improve integrated thinking abilities. Also, children can extend the range of thinking through reading and obtain the mind of care, supporting each other. However searching materials about great programs shared with one another is a little difficult, and usually they are short-term projects. Third,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education program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in Korean Educational circumstances, we need the cooperation of the government, schools and local community. We need a long-term policy which is continued for period and we need to develop appropriate methods and apply to education environment in our school such as project learning method, strategic Questioning, experience learning, storytelling, the learning methods which is associated with other subjects using reading and so on. Also we need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to operat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well and appropriate arrangements of teachers and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