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죽음준비교육이 중장년층에게 미치는 심리적영향연구

        신금주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지금까지 주로 노인층을 대상으로 실시되어왔던 죽음준비교육을 중장년층에게 조기에 확대실시하고, 죽음준비교육이 중장년층에게 미치는 심리적 영향을 연구하였다. Ⅱ장에서 죽음의 여러 가지 의미를 살펴보고, 죽음과 불안, 주관적 안녕감, 영적 안녕감, 용서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논했으며,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중장년층을 연구대상으로 12회기의 죽음준비교육의 내용과 단계를 살펴보고, 죽음준비교육에 참여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죽음에 관한 불안척도, 주관적 안녕감척도, 영적안녕척도, 용서척도를 프로그램 전후에 실시한 연구방법에 대해 소개하였다. Ⅳ장에서는 죽음준비교육을 전후하여 죽음에 대한 불안, 주관적 안녕감, 영적 안녕감, 용서정도에 변화가 있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V장에서는 본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죽음준비교육은 죽음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키고, 삶의 만족도를 높이며 부적정서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영적 안녕감과 용서정도를 증가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죽음준비교육의 실천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준비교육의 대상을 노년층뿐만 아니라 삶을 활발하게 살아가야하는 더 젊은 시기의 중장년층으로 확대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죽음준비교육의 범위는 죽음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자신의 죽음준비뿐 아니라 그 죽음의 과정을 포함하고, 자신과 중요한 관계가 있는 타인의 죽음 및 과정까지도 대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죽음준비교육의 효과는 삶의 만족도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으며 부적정서를 감소시키나, 정적정서를 높이는 과정을 보완하여 보다 효과적인 교육이 되어야할 것이다. 넷째, 죽음준비교육이 용서정도, 특히 정적용서인지를 높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용서와 관련된 프로그램 내용을 보완, 강화함으로써 부정적인 인간관계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연구대상이 비교적 학력수준이 높고 집단 상담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중장년층 1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연구결과를 전체 일반에게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앞으로 충분한 크기의 표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연령, 학력, 성별, 지역, 종교 등 다양한 변인에 따른 죽음준비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시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통전적 신앙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연구 : 해피엔딩스쿨을 중심으로

        김영효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727

        통전적 신앙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연구 - 해피엔딩스쿨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의 발달은 인류에게 찬란한 미래를 약속함과 더불어 자연의 파괴와 인간생명의 위협이라는 그림자를 함께 안겨주었다. 지금 인간의 세계는 ‘상태학적 위기’의 차원을 넘어 ‘총체적 죽음의 위기’에 처하였다. 죽음이 극히 개인의 문제로 사사화 되어 공적 의미를 상실해가고 있다. 그러나 교회의 전통은 죽음은 공적 사건으로 좋은 죽음은 공동체에 큰 가르침을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편협하고 왜곡된 죽음 이해를 바로잡고 온전함에 이르는 통전적 죽음준비교육을 지향한다. 먼저 죽음에 대한 다각적인 이해를 통해 죽음에 대한 이해를 추구하고, 각 종교별로 죽음관을 비교연구한 후에 삶의 완성으로서 죽음, 자기 존재의 궁극적 완성으로서 죽음이해를 통해 통전적인 죽음이해를 제시했다. 이후에 죽음준비교육의 사례를 교회사의 전통에서 살펴보고 죽음준비교육의 실례들을 소개함을 통해 죽음에 대한 공적차원의 이해를 넓히는 제안을 해 보았다. 다음으로는 죽음준비교육의 이론적 기초로서 제임스 파울러의 ‘신앙발달이론’을 통해 죽음은 인간발달의 전 과정을 통해 배우고 가르쳐야 할 중요한 과제이며, 발달의 마지막 단계로 보았다. 그리고 제임스 로더를 통해서는 삶과 죽음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위해 성령의 개입을 통한 변화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후에 죽음준비교육의 방법론적인 근거로 토마스 그룸의 ‘참여와 나눔의 방법’(Shared Praxis)을 제시했다. 토마스 그룸의 이론은 삶의 성찰과 나눔의 과정에의 참여를 통해 죽음의 문제에 대면하도록 안내한다. 이후에 아름다운 마무리와 행복한 죽음을 위한 해피엔딩스쿨을 제시했다. 이 모델은 필자의 교회에서 실시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으로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주일오후에 10주 과정으로 실시한 프로그램이다. 학습자가 삶에서 일어나는 죽음의 문제에 대해 스스로 성찰하고 하나님의 이야기를 통해 죽음에 대한 성서적인 비전을 가지고 다시 삶으로 나아가도록 다양한 활동과 체험, 나눔을 통해 깨달을 수 있도록 했다. 필자의 교회에서 이 프로그램을 실제 실행한 후에 프로그램 전반에 대한 평가를 했고, 죽음주니교육에 대한 제언을 통해 통전적인 신앙을 위한 죽음준교육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지향점은 죽음에 대한 배제와 회피의 사회현상을 기독교 신앙과 복음 안에서 인간 발달단계의 각 단계에 해결해야 할 발달과업으로 이해하고, 죽음을 통한 삶의 완성, 죽음교육을 통한 삶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통해 현재의 삶을 긍정하도록 하는 전인적이고 통전적인 신앙형성을 돕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A Study of Prepare death education For Holistic Faith - With Emphasis on Happy Ending school - Kim Young Hyo Major of Ministry &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Ministry Presbyterian University & Theological Seminary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embraced the shadow of the threat of destruction of nature and human life with promises a glorious future for mankind. Now the human world was put to beyond the dimensions of the 'state chemical crisis' overall death risk'. Death is extremely angry judge to personal problems we are going to lose the public means. But the tradition of the Church is death, death is good at public events gave a great teaching community. this study aims intolerance as far as preparing a holistic education leading to death rectify the distorted understanding of death integrity. First, seek the understanding of death through the multifaceted understanding of death, and was given the death energized understanding through death understood as the ultimate perfection of death, exists as a complete self-study comparison of life after death pipes each religion . In the case of death after preparation training I saw a proposal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public dimension of death through that introduces the example of a report prepared at death education in the tradition of church history. Followed by death through "faith development theory as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death of James Fowler, ready to learn through education is an important task to teach the entire course of human development, seen as the final stage of development. And through the James Lauder it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change through the intervention of the Holy Spirit to change the perception of life and death. Thomas Groom after the death of preparing a methodology based education presented a 'way of participation and sharing' (Shared Praxis). The theory of Thomas Groom is guided to face the problem of death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reflection and sharing of life. Since the school was given a happy ending for a happy death with a beautiful finish. This model is a 10-week program conducted by the deaths preparatory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to target a Sunday afternoon program conducted by the author of the Church. Learners were asked to help realize themselves reflect on the issue of life and death takes place in a variety of activities and experiences have a biblical vision for the death through the story of God to go back to life, through sharing. We made an assessment of the overall program after the actual execution of this program in my Church, gave the death proposes the possibility of death given for the energizing faith education through the proposals on education. Orientation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social phenomenon of exclusion and avoidance of death in the Christian faith and the developmental tasks that need to be addressed at each stage of human development in the gospel stage, completion of life through death to life through death education through a new awareness to help the holistic and energizing faith formation to affirm this life is the purpose of the study.

      • 한국 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백미화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7

        South Korea is showing signs of being more vulnerable to the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with the rapid aging of the population and an increasing number of elderly single households. The high levels of depression and the explosion of suicidal mortality attest to the maximization of the need to enhance self-integration and reduce depression by meaningfully reflecting on past lives and accepting future lives positively.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preparatory death education as a part of social efforts to reduce the anxiety over the death of significant others and their upcoming death. The recent enactment of the「Hospice, Palliative Care and Medical Care Decision Making Law」has raised the concern about the dignity of death, but there is virtually not many opportunities to access to the environment or educational program to prepare for and confront the actual death. That is why the importance of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which provides real understanding of death, practical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death, reflection on the meaning of life and death.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suitable for the elderly in Korea today. In order to explore the elements that must be included in the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a systematic comparative analysis with current domestic and abroad death education programs was carried out. The proposed program was evaluated through its in-depth interviews with death education specialists to provide a new direction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Most death education experts have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program to be included an understanding of death, a variety of information about what to prepare and what to do in the process of death, mourning for bereavement and healing of loss. Suicide is also a must-have education that clearly define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dignity of life and death. Therefore, a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has been proposed that includes insufficient loss, grief, and mourning sessions for Korean elderly today. key words: death preparation education for elderly, self-integration, ability to cope with death, mourning, treatment of loss 대한민국은 급속한 고령화와 노인의 독거가구가 증가하면서 노인층의 정신적 건강에 적신호를 보이고 있다. 노인들의 높은 우울증과 자살 사망률 폭증은 지나온 삶을 의미 있게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삶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게 함으로써 자아통합감을 높여주고 우울감을 낮추어 줄 필요성이 극대화되고 있음을 방증한다. 또한 의미있는 주변인의 죽음과 자신의 다가오는 죽음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켜주는 사회적 노력의 일환으로 죽음준비교육이 필요한 상황이다. 최근「호스피스ㆍ완화의료 및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의 시행으로 품위 있는 죽음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나 실질적인 죽음을 준비하고 맞이할 수 있는 죽음대응 능력함양을 위한 환경이나 교육프로그램을 접할 기회가 사실상 부족한 실정이다.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삶과 죽음의 의미에 대한 성찰, 죽음과 임종, 사별에 관한 실질적인 지식과 정보를 제공해주는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는 이유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오늘날 실제 죽음이 일어나는 현장에서 필요한 사항을 알고 현실적인 준비를 행할 수 있는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요소를 선행연구와 문헌조사를 통해 탐색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는 죽음교육 프로그램과의 체계적인 비교 분석을 통해 한국 사회의 노인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제안된 프로그램은 죽음교육전문가와의 심층면담을 통하여 그 적합성을 평가받아 죽음준비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부분의 죽음교육 전문가들은 죽음에 대한 이해, 죽음이 일어나는 과정에서의 준비사항과 정리해야할 것들에 관한 다양한 정보, 사별에 대한 애도와 상실치유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자살 또한 생명의 존엄성에 포함시켜 품위 있는 죽음과의 차별성을 명확하게 정립한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현재 복지관등에서 진행되고 있는 죽음준비교육에는 미비한 상실ㆍ비탄ㆍ애도 교육이 포함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제안되었다.

      • 초등학생을 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박은실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7

        인간에게 죽음은 전 생애에 걸친 마지막 여정이며, 누구나 다가오는 자연스러운 필연적인 사건이다. 죽음에 대한 이해와 죽음준비의 여부에 따라 죽음의 막연한 두려움과 고통은 개인마다 다르게 다가올 것이다. 죽음준비교육이란 우리의 삶이 기적임을 깨닫고, 삶이 행복한 것이라면 죽음도 막연한 두려움과 고통에서 벗어나 행복하고 아름다운 것임을 시작하게 해주는 교육방식이다. 따라서 학령기단계부터 죽음준비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죽음준비교육이란 무엇인가? 둘째,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어떻게 개발할 수 있는가? 이러한 연구목적과 연구문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설계 모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초등학생을 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의 절차에 따라서 초등학교 5-6학년군 학생을 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죽음준비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백워드 설계 모형에 기반 하여 9단계의 절차적 모형으로 구안하였다. 죽음준비 프로그램 개발 모형의 절차는 ①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② 핵심 개념 및 일반화된 지식 개발, ③ 성취 기준 개발, ④ 6가지 이해의 측면 개발, ⑤ 본질적 질문 개발, ⑥ 핵심 지식 및 핵심 기능 개발, ⑦ 수행과제 및 루브릭 개발, ⑧ 기타 증거 자료 개발, ⑨ 단원 수업 계획의 순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구안한 모형에 기초하여,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단원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단원은 초등학교 5-6학년군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단원명은 “세상에서의 마지막 순간”으로 설정하였다. 이 단원의 핵심개념은 ‘삶과 죽음’, 일반화된 지식은 ‘다양한 죽음의 의미를 통해 삶에서의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고, 살아가며 타인을 배려하는 마음을 기른다.’로 설정하였다. 이 단원의 성취 기준은 ‘①가치 있는 삶과 죽음의 관계를 설명 할 수 있다’, ‘② 죽음의 의미를 파악하고 애도하는 마음을 표현 할 수 있다’로 개발하였다. 이 단원의 6가지 이해의 측면은 ‘① 가치 있는 삶과 죽음 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한다.’, ‘② 삶을 통해 생명의 변화과정과 소중한 이유와 의미를 안다.’, ‘③ 죽음의 성찰을 통해 의미 있는 삶을 실천한다.’, ‘④ 가치 있는 삶과 죽음을 알고 그렇지 않은 삶과 죽음의 다른 관점 이 무엇인지 설명한다.’, ⑤ ‘죽음의 아픔을 겪은 타인에 대한 연민의 마음을 가진다.’, ⑥ ‘애도에 중요성을 알고 타인의 마음을 공감하고 실천한다.’로 설정하였다. 이 단원의 본질적 질문은 ‘죽음이란 무엇인가?’, ‘가치 있는 삶의 의미는 어떤 것일까?’, ‘가치 있는 죽음의 의미는 어떤 것일까?’, ‘상실을 겪은 타인에게 애도는 왜 필요한가?’이다. 이 단원의 수행과제는 첫째, 삶과 죽음의 의미를 알기 위한 역할극, 둘째, 가치 있는 죽음을 알기 위한 신문 만들기, 셋째, 아픔을 겪은 사람들의 마음치유와 생명의 소중함을 느끼게 하는 광고표어 만들기 이다. 수행과제 채점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루브릭을 개발하였다. 기타 증거 자료는 구술평가, 토론법, 자기평가를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매력적이고 효과적인 수업 설계 기법인 WHERETO 기법에 따라, 50개의 학습활동을 설정하였다. 이 단원의 분량은 총 15차시 분량으로 구성하였으며, ‘다양한 죽음’, ‘가치 있는 삶’, ‘아픔을 함께 나눠요’ 등으로 제재가 구분 될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세상의 마지막 순간’의 단원에 대한 템플릿을 개발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년기 중심의 죽음준비교육에서 벗어나 학령기부터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인식을 제고 하고, 이에 대한 관심을 고취 시키고, 초등학교 학생들의 발달단계와 정규 교육과정과의 관련을 통하여 죽음준비교육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둘째, 초등학생을 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학령기 단계에서부터 죽음준비교육을 체계적으로 교육하는 데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셋째, 죽음준비교육에 필요한 인식인 다양한 죽음의 의미와 생명존중, 타인에 대한 연민과 애도방법을 배우는 프로그램개발 연구를 제시함으로써, 초등학교에서 죽음준비교육 및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은 학령기뿐만 아니라 청소년기, 장년기, 노년기를 대상으로 한 죽음준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death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ath to man is the last journey throughout his life and is a natural inevitable event that is approaching to everyone. Depending on the understanding of death and the preparedness of death, the vague fear and pain of death will be different for each individua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death education from the "school age" stage.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set up. First, what is death education? Second, how can we develop a death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achieve research problems, we developed a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death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death education and program design model. An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th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the death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5-6 was designed. The death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as a 9 step procedural model based on the backward design model. The procedure for the death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model was consist of ① analysis of curriculum and textbook, ② development of big ideas and enduring understanding, ③ development of standards of achievement, ④ development of six facets of understanding, ⑤ development of essential questions, ⑥ development of core knowledge and skills ⑦ development of performance tasks and rubrics, ⑧ development of other evidence materials, and ⑨ development of unit lesson plan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unit about death education based on the model that the researcher designed. The unit developed in this study wa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5-6, and the unit name was set as "The Last Moment in The World". The big idea of this unit is life and death, and enduring understanding is to find out what is important in life through the meaning of various deaths, and to live their own lifes with cares for others.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is unit are that, ① we can explain about the relation between worthwhile life and death, ② we can understand the meaning of death and express mourning. The six facets understanding of this unit are: ① explain the reasons why worthwhile life and death are necessary. ② explain the process of life’s change and precious reasons and meaning through life. ③ practice the meaningful life through reflection about death. ④ analysis about worthwhile life and death, and explain what is different aspects of life and death are. ⑤ empathy for others who have suffered death. ⑥ reflect about importance to mourning, and sympathize and practice others' mind. The essential questions of this unit are "what is death?", "what is the meaning of worthwhile life?", "what is the meaning of worthwhile death?", "why mourning is important for others who have suffered loss? This study was to develop authentic assessment. Authentic assessment was playing role play, making newspaper, making advertising life. In order to obtain the reliability of the authentic assessment task, a rubric was developed. And this study was to develop oral assessment, discussion, and self assessment for the other evidence. This study was to develop 50 learn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WHERETO technique, which is an attractive and effective teaching design technique. This unit consisted of a total of 15 units, and sanctions could be distinguished by various deaths, valuable lives, and sharing pain. Finally,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template for the Unit of the Last Moment of the World.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ly, it would be fair to say that this research is meaningful from the point that it raises recognition of necessity of death education not only for old age, but for school age as well, increases interest about this issue, and shows the possibility of death education through relations between a stage of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regular education curriculum. Secondly,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contributes to systematical death education from the very school age through developing death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ly, it is meaningful for offering direction of development of death education and death education program by presenting the research of program development, which includes teaching children awareness, such as various meanings of death, respect for life, compassion toward others, and ways how to mourn for the others, that is necessary for death education. Fourthly, the model of advancement of death education, which was developed in these studies, will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death education program not only for school age, but also for adolescent, middle age, and old age.

      • 죽음준비 교육을 통한 노인들의 목회적 돌봄에 관하여

        박돈희 계약신학대학원 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7

        A. 요약 21세기 한국은 고령화 사회이다. 고령화 사회의 노인교육과 목회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고령화 사회 이전의 노인목회와는 다른 모습이어야 한다. 우리 사회도 이제 급속한 과정을 거쳐 후기 산업사회로 전환되고 있고 이에 따라 발생하는 복잡 다양하고 심각한 노인문제를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시각에서 조명하여 노인들의 새로운 욕구를 충족하는 보다 신축성 있고 개혁적인 서비스 관계망을 구체적으로 수립해야 하는 이 때이다. 이런 시점에서 죽음 교육을 통한 목회적 돌봄에 관해 연구를 해 보았다. 죽음을 가까이 맞이하는 자들이 바로 노인들이기에 Ⅱ장에서 노인 그들은 누구인가, 노인의 정의와 개념, 성경 속에서의 노인에 대한 이해를 연구 하였으며, Ⅲ장에서는 죽음에 대한 이해와 교육의 필요성으로 죽음이 과연 무엇인가 어떠했을 때 우리는 사람이 죽었다고 할 수 있는가 또한 성경적인 죽음은 어떠한 것인가를 연구해 보았으며 Ⅳ장에서는 죽음과 임종의 심리적 단계 및 이해로 퀴블로 로스(E. Kubler-Ross)가 주장하는 임종 환자가 경험하는 다섯 단계를 고찰해 보았다. Ⅴ장에서는 임종 환자를 위한 목회적 돌봄에서 죽음은 생(生)의 한 가운데서 인간이 직면하는 가장 큰 위기이며 상실이다. 그리스도가 일생을 통해 병든자와 고통 받는 자의 벗이 되었음을 알고, 바울이 말한 “우는 자들과 함께 우시오”(롬 12:15)라는 마음으로 함께 서서 도와주는 지탱의 목회 사역을 감당해야 한다. 또한 죽는 자와 남는 자를 위한 목회적 돌봄에 대해 어떻게 죽어 가는 자와 남은 자들을 위한 사역을 감당해야 하는 가를 고찰하였으며, 이를 돕기 위해 고난과 고통에 대하여 적극적인 이해와 함께 부활과 영원한 생명에 대한 확신으로 가득차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죽음은 우리 인간이 대면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그래서 모든 인간은 자신에게 부여된 삶을 사는 동안 앞으로 다가올 죽음이라는 사건에 대해서 생각하게 되어 있고 또한 자신의 삶의 유한성을 인식하며 살아가게 되어 있다. 보베(Bovet)가 말했듯이, “죽음이란 그저 마지막이 아니라 언제나 또한 새로운 시작이다. 저편에 이미 잠들어 있는 자들에게 뿐만 아니라 여기 지상에 남아 있는 자들에게도 그렇다. 목회 현장에서 이러한 사실들을 신빙성 있게 증언하면서 우리는 삶과 죽음에 관하여 올바른 목회 사역을 감당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인간사회 속에서 한 사람을 돕고 위로하는 도구는 다른 사람들의 따뜻한 관심과 지지 그리고 끝까지 함께 있어주는 관계이며 이것으로 충분하다. 그래서 세상에는 공동체가 존재하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우리 모두는 죽음에 대한 준비를 끊임없이 해야 하며 내 자신뿐 아니라 나의 가족과 친척, 그리고 타인들의 죽음에 대한 준비도 해야 할 것이다. 하나의 현상을 보면서도 어떤이는 부정적으로 보기도 하고 다른 이는 긍정적으로 보듯이 죽음 또한 긍정적인 면에서 용기를 가지고 준비하면 언젠가 자신의 삶을 또 다른 시작으로 인도해 줄 안내자로서 생각하고 유한한 삶 속에서 더욱 더 소중하고 보람되며 가치있게 느끼며 살 수 있을 것이다. B. 제언 죽음은 인생의 가장 충격적인 사건이다. 죽음이란 그것을 내다보고 대비하기를 피하기에는 너무나 중대한 하나의 사건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인과 오늘의 목회현장에서는 이 문제를 주의 깊게 생각하지 못하고 있다. 그저 장례식에 참석하여 예배를 드리는 것으로만 소임을 다 한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또한 불교와 유교 사회에서 하나의 금기 사항으로 취급되어 온 성의 문제처럼 말하거나 듣기를 꺼려해 왔다. 이러한 상태는 마치 낙천주의자들이, “죽으면 내가 없고, 내가 있으면 죽음이 없다. 그래서 나와 죽음과는 관련이 없다.”는 식으로 죽음에 대하여 언급조차 하기 싫은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오늘의 가정은 핵가족화로 가족의 임종을 알려주지 않고 죽음으로부터 도피하는 비인간화된 가정으로 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병원의 의료진들은 단순히 환자의 통증을 진정시키고 육체적 죽음의 순간을 될 수 있는 대로 지연시키려고 하고 있다. 그러므로 다른 어느 때보다도 고통과 죽음에 관한 교육이 죽는 이와 남는 이에게 행하여질 필요가 절실하다. 왜냐하면 죽음에 대해서 생각하고 이야기하는 것이 우리의 기분을 우울하게 한다고 생각할 이유가 없다. 오히려 죽음에 대한 무지와 공포가 우리의 생생한 삶을 그늘지게 할 수 있다. 우리가 죽음을 제대로 알고, 사실 그대로 받아들임으로써 죽음의 그림자를 지울 수 있으며 우리의 일생이 오히려 그와 같은 공포와 불안에서 해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병원의 병상에서나 목회 현장에서 죽는 이와 남는 이를 올바르게 돌보기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해 본다. 첫째로, 우리사회가 병자, 불구자, 실패자, 노인, 그리고 임종자에게 어떠한 자리를 부여하고 있는가를 관심 있게 보아야 한다. 둘째로, 대부분 임종을 맞이하는 층이 노년층이기에 자신들이 거동할 수 있는 날까지 자신이 스스로 일을 처리하기를 원할 때는 자신의 지혜와 경험을 나눠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며, 또한 죽음을 맞이할 때에도 가능한 품위 있게 죽기를 바라고 있는데 이러한 노인들에게 가족과 교회공동체의 돌봄과 지지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로, 노인들의 영적 감수성의 발달은 교회 내의 여러 치유적인 자원들을 통해 이루어지게 해야 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노인들의 톡특성과 은사들을 통해 심방이나 기도모임, 기타 교회내의 봉사활동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서 다른 이들에게 많은 돌봄을 제공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넷째로, 죽음준비 교육을 전문적으로 배운 사역자 양성이 시급한 실정이다. 현재 죽음 준비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곳은 삶과 죽음을 생각하는 모임과 기독교 정신을 가지고 있는 기독교 가정 사역 연구소가 있기는 하다. 다섯째로, 모든 세대에 걸쳐 죽음교육이 되어져야 할 것이다. 죽음을 터부시하는 사회적인 경향으로 인해 부모들은 아이들의 다양한 경험들을 통해 제기되어지는 죽음이라는 물음에 대한 적절한 대답을 주지 못하거나 무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런 이유로 해서 아이들은 죽음에 대해 막연한 공포와 두려움과 같은 부정적이고 잘못된 인식을 가지고 성장하도록 방치하는 셈이 되어 버린다. 이렇게 성장한 이들이 부모가 되어 똑같은 방식으로 자녀들을 죽음이라는 것을 어둡고 두려운 존재로 교육하는 셈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정작 자신이 노인이 되어 죽음이 임박할 때 아무런 준비 없이 맞이할 수밖에 없으며 그런 이유로 두렵고 고통스러운 죽음을 맞이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각 시기에 따른 발달단계에 맞추어 적절한 죽음교육은 매우 필요하며 이러한 교육은 죽음을 맞이하는 그 순간 뿐 아니라 인간의 삶의 전 영역에 걸쳐 인생을 보람 있고 가치 있게 살아가게 하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제공할 것이다. C. 결언 현대의 고령화는 개인적으로는 노년기의 연장을 의미하므로 노년기를 효율적이고 유익하고 보낼 수 있도록 노인들의 사역은 그 중요성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점점 고령사회로 변해가는 현실 속에서 적극적인 대응방안으로써 노인사역은 더 이상 한국교회가 간과 할 수 없는 중차대한 의 목회사역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교회는 노인 평생 교육을 통해 끊임없는 자기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며, 노인 자신의 전문 영역을 심화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전문가 지도자로서의 역량을 발휘하게 하며, 차세대 노인들을 위한 교육 전문지도자의 자질과 지역사회 어른으로서의 위상을 정립하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회는 젊은 세대와의 교류증진 및 세대 간의 이해를 통해 세대 차이에서 오는 소외와 고립감을 극복하여 세대 공동체의 모델을 제시함으로 노인들이 신체적, 심리적 건강을 균형 있게 가꿀 수 있는 환경과 여건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또한 노인사역을 위한 특별위원회를 교회 안에 개설해야 하며, 노인교육에 필요한 전문 교역자 및 헌신된 평신도의 자원을 훈련시키고 동기유발을 해주어야 할 것이다. 교회는 노인들에게 기독교 신앙 교육에 중점을 둔 올바른 세계관과 인생관 및 구원의 확신을 갖게 하고 천국과 영생의 소망을 가지고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또한 교회는 노인의 영혼을 돌보고 전인적으로 양육하는 센터가 되어야 한다. 교육이란 전인적으로 돌보고 양육하는 것이다. 물론 정부에서도 다각적인 노인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정책도 펴고 예산도 준비하고 있다. 그러나 큰 틀에서는 항상 사각지대가 있게 마련이다. 이 사각지대를 교회에서 맡아 채워주는 것이다. 노인들을 위해 함께 기도하며, 노래하고, 울고, 웃고, 놀아주며, 나누고, 공부할 때 그리스도 안에서 성장하게 될 것이다. 교회는 노인들에게 영혼의 돌봄의 진정한 공동체를 경험 할 수 있게 해 주어야 한다. 교회 안에서 노인들이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지고, 가치 있는 존재로서의 존경과 보살핌, 교회의 사역에 공헌한다는 의식과 정서적 지지와 돌봄의 내용들을 계속 인지하며 지속해 나갈 때 그들이 지금까지 살아온 인생 속에 가슴속 깊이 묻어 놓은 한(恨)이 풀어지며, 마지막에 그들의 인생이 꽃피우는 결실을 맺게 될 것이다.

      • 노인 학습자를 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이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학습자가 자신의 죽음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 죽음준비교육프로그램을 상호작용이론 중 하나인 Walker의 자연주의적 모형에 따라 개발하고 그 효과를 입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죽음학의 제 영역인 죽음, 죽음의 과정, 사별과 관련된 주요 이슈와 내용을 살펴보았고, 이러한 죽음학이 교육 프로그램으로 어떻게 구현되어 실행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 노인 학습자에게 적합한 죽음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노년기라는 발달 단계에 도달한 사람들이 죽음에 대하여 어떠한 태도와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발달적 전망을 통해 살펴보았고, 이것을 노인 학습자에게 적합한 죽음 교육 프로그램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교육 노년학적 지식이 필요한지를 살펴보았다. 위와 같이 이론적 배경에서 논의된 것을 기초로 하여 노인 학습자에 적합한 죽음교육 프로그램을 상호작용이론에 기초하여 개발하였다. 즉 프로그램 개발 관계자들의 숙의와 2회에 걸친 노인 교육 현장에서의 프로그램 진행을 통하여 노인들의 욕구와 반응에 따라서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 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개발된 프로그램을 노인복지관에 다니는 노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실행하였고,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가능성 및 효과를 Parlett & Hamilton의 서술적 평가 모형(illuminative evaluation model)에 기초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얻게 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에 참가한 노인들은 수업활동을 통하여 다른 사람의 죽음에 대한 경험을 이야기하면서 자기 자신의 죽음에 대한 감정을 점검하고 확인해나갔다. 노인들은 죽음을 고통, 해방과 자유, 삶의 의미를 빼앗아 가는 것, 자기 이미지를 해체시키는 사건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수업에 참가한 노인들은 강의와 집단 활동, 다과 시간 등을 통하여 죽음준비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였고, 자기다운 삶을 사는 것, 마음을 비우고 양보하는 것, 시신 처리 방식을 결정하는 것 등을 죽음준비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노인 학습자를 위한 죽음준비교육프로그램의 성과로는 노인학습자들이 학습활동을 통하여 자기 자신이 지나온 삶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고, 죽음과 관련된 감정이 발산, 정화되었으며, 학습 활동에 대한 만족감을 표현한 것을 들 수 있다. 이상의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프로그램 개발 모형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개인차가 크고 죽음에 대한 인식이나 태도가 다양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건강 및 신체적 특성, 성격 및 정서적 특성, 죽음준비정도, 죽음불안 정도, 학습관, 선수학습 및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 등을 고려하여 교육 방법, 프로그램 내용, 프로그램 회수 및 배열 등을 조절하여 융통성 있게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그러한 개발과정에서의 프로그램 진행자-학습자의 상호작용 패턴을 질적으로 기술하여서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대안들을 제시할 수 있었다. 둘째, 노인학습자를 위한 죽음준비교육프로그램 개발 과정의 성과로는 문헌 고찰과 2회의 노인교육현장에서 프로그램을 직접 실행해본 경험에 비추어 죽음준비교육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혀낸 것이라 할 수 있다. 그것은 건강 및 신체적 특성, 성격 및 정서적 특성, 죽음준비정도, 죽음불안정도, 학습관, 선수학습 및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 등이었다. 셋째, 노인의 학습에 대해서는,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노인 학습자들에게 죽음에 대한 정보를 단순히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강의와 집단 활동을 통하여 자신의 지나온 삶을 정리하고 죽음에 대한 의미를 생각해보는 가운데 삶과 죽음이 지금의 생활에 주는 의미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학습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결과와 결론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첫째, 죽음준비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죽음학이 하나의 독립된 학문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제도적, 사회적 풍토가 필요하고, 그러기 위해서 관련 학문들 간의 연계와 협력 체계가 필요하다. 둘째, 죽음에 대한 개념이나 죽음 준비의 정도 등이 같은 노년층이라도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으므로 참가 대상 층을 50대, 60대, 70대 등으로 세분화하여 각 대상 층에게 적합한 내용 영역을 개발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죽음은 누구에게나 반드시 찾아오는 보편적이며 절대적인 현실이다. 그러므로 죽음준비는 노인층뿐만 아니라 인생 주기의 전 단계에 있는 사람들이 더욱 충실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평생교육의 차원에서 실시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연령층의 학습자들을 고려한 다양한 수준의 죽음준비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죽음준비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진행할 사람들에 대한 교육이 요구된다. 죽음준비교육프로그램은 연구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특성들을 고려하여 각 학습 상황에 적합하도록 시행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죽음준비교육을 진행할 사람들이 이에 대한 사전 지식과 정보를 교육받고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형태로 교육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적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prove it's effects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which help the aged prepare one's own death, through one of the interactive theory, the Walker's naturalistic model.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such following contents were dealt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study's program, issues and contents related to death, dying and bereavement, which are in the province of thanatology, were examined. In addition, observations of how these materialize and is performed to an educational program were made. Also, in order to develop an appropriate death education program, observations of what sort of attitudes and understanding people who have reached the stage of senescence have, toward death were made through advancing perspective. Also, what specific types of knowledge of educational gerontology would be necessary to embody into a suitable death education program was inspected. As stated above, based on the discussed theoretical background, an agreeable death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under the basis of the interactive theory. That is, with the process of adjusting and supplementing, the final program was deducted through the deliberation of the people concerned in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and through the progress of the program in the actual place of educating the aged, in accordance with the desires and reactions of the aged. The program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stated above, was put in operation upon the aged, who were actually using the welfare facilities. The possibility of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o the facilities and its effect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based on Parlett & Hamilton's illuminative model. The interpretations of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ged attending the classes were able to inspect and confirm their emotions toward their own death, through talks about others' experiences about death. They perceived death as pain, liberation and freedom, something that deprives one of its significance of living, a happening that dismantles one's own image. Second, the aged attending the class exchanged their opinions on preparing their death through the lecture, group activities, tea times and etc. They understood preparation of death as living one's life as oneself, vacating one's mind and conceding, deciding in which method they want their corpse to be treated. Third, the result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for the aged were the increase in the understanding of the lived past, purification and evaporation of their emotions related to death, and expressing satisfaction towards the classes. The following could be concluded in the study, based on the results above. First, in relation with the model of development of the program, the study takes into consideration that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have huge difference among individuals and their various attitudes or understanding towards death, and therefore, their health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personality as well as sentimental characteristics, the extent of anxiety and preparedness for death, perspectives towards the program, learning about death beforehand and the expectations towards the program. The method of educating, the contents of the program, the time and arrangements of the program were adjusted to develop a flexible program, bearing all of the above in mind. An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pattern of interactions between the progressor and the learner were described qualitatively, enabling alternative proposals to be easily presented in the occasions of practical use in education. Second, the product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s developing process for the aged could be stated as making clear, the factors that affect the education to prepare death for the aged, through the experiences of inquiry into documents and two real practices in the place of educating the aged. The factors are health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personality as well as sentimental characteristics, the extent of anxiety and preparedness for death, perspectives towards the program, learning about death beforehand and the expectations towards the program and etc. Third, the course of study of the program in the study for the aged, did not simply deliver information about their death but offered chances to organize their past through lectures and group activities, and to truly discover the significance of present life, the existence of death provides, while thinking over the point of deat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bove, propositions concerning the succeeding study are as the following. First, in order to activate the death preparatory education, it is necessary of an ordered and social features that enables thanatology to be approved as an independent study. And to achieve that, related studies linked with cooperating organizations, are required. Second, how the aged perceive the concept of death or the degree of death preparation differs in the class of age. Therefore in the succeeding study, the participants should be subdivided into age groups of fifties, sixties, seventies etc and specific contents agreeable to each group needs to be developed. Third, death is a universal and absolute reality that visits everyone without fail. Hence, it is necessary for the preparation of death be practiced as a lifelong education, not only concerning the aged, but for everyone, each in various stages of the life cycle, so that people would live a more devoted life. On behalf of this, the succeeding study should also concentrate on developing diverse standards of death education program, taking into account, the learners of various age groups. Fourth, education of people who will develop and maintain the death education program is demanded. As could be seen in the results of the study of death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successfully carry out the program, it should be operated in appropriate situation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s. In order to do so, educational efforts toward people who will take charge of the death education, such as educating them with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advance so that they would be capable of enforcing appropriate forms of education for the learners, are needed.

      • 장애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죽음준비교육 요구에 관한 조사연구

        이찬미 동국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Humans are absolutely equal before death. To humans, death means the one no one can avoid, regardless of their age, gender, social status, economic ability, and religion. Thus, death preparing education is necessary for everyone without distinction of people with disability or people without disability. But there are rare organizations where death preparing education is offered for people with disability. And if any, the organization offers an one-time event. In addition, there have been rare studies on the death or death preparing educ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y. An analysis of the attitudes toward death and need for death preparing education in people with disability is a basic operation to develop a death preparing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disability. Thus, this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ttitude toward death and need for death preparing education in people with disabi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using a random sampling method among adults with disability, aged 19 or older who have one or more disabilities, from meetings or groups for people with disability, or welf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s, South Korea. The total number of the subjects used for statistics was 280.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 v. g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ttitude toward death and need for death preparing education in people with disability was be found to have an overall open mind about death. But they had a tendency to avoid death or put it under taboo. With respect to a fear about death, it was observed that they relatively less felt it. Second, they answered that they had heard about death preparing education, but the majority of them felt the need for death preparing education. Thus, they responded that if an opportunity for the education was given, they would for sure participate in it. This suggest they feel a higher need for death preparing educ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as people with disability overall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s death, they had often heard of death preparing education and that as they had a less degree of putting death under taboo, they felt the higher need for death preparing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eparation of a death preparing education program should be made through a differentiated approach depending on the type of disability, presence or absence of family members, and onset of disability in people with disability according to their attitude toward death. And death preparing education needs to be expanded to all ages. Also, people with disability, who are not exposed to death preparing education, need to be informative of death preparing education by conducting the promotion of the death preparing education. The thought of the death, which anyone may contemplate at least once as a human being, may be necessary for everyone, regardless of people with disability or those without disability. Since studies involv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have rarely conducted, further studies are needed in the future. In addition, a death preparing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imed to help people with disability so that they can establish the right attitude towards to death, based on various studies. Thus, the curriculum is required to be implemented step-by-step in the long term, not one-time, along with a follow-up study that monitors changes after the education. Since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limited to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reas,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attitude toward death and need for death preparing education in people with disability. Thus, it is considered that further studies through more systematic sampling are needed. Howev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nvestigated the attitude toward death and need for death preparing education in people with disability even in a situation when there have been few studies conducted on the ‘attitude toward death’ and need for ‘death preparing education’ in people with disability.

      • 죽음 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박진흥 목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7

        인간은 누구나 죽을 수밖에 없지만, 죽음을 준비해야 한다는 의식이 매우 희박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죽음 준비교육이 노인의 자아통합감, 죽음불안,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죽음 준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충북 C노인복지관 이용 노인을 대상으로 총 23회의 죽음 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아통합감, 죽음불안, 생활만족도의 교육 전?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사회과학을 위한 통계패키지(SPSSWIN 13.0K)을 사용하여 각종 변수들의 교차분석, t-test, 분산분석(ANOVA) 방법을 이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죽음 준비교육 프로그램 참여 노인의 자아통합감, 생활만족도는 교육 전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아졌으며, 죽음불안은 유의한 수준에서 낮아졌다. 또한 죽음 준비교육 프로그램 참여노인의 자아통합감, 생활만족도, 죽음불안의 변화 폭은 비참여 노인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죽음 준비교육 프로그램은 노년기의 발달과업 성취와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노인복지 실천영역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죽음 준비교육을 확대 실시하되, 교육수준과 연령 등 참여노인을 유사집단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죽음 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가 노인의 참여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노인의 프로그램 참여도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죽음 준비교육의 교육과정을 체계화하고 능력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여 죽음 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실시할 필요가 있다. Human beings fall far short of the intention of preparing for death even though they are destined to die. For that reason this study is to aim at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death preparation program for the elderly so as to comprehend its influences on ego integrity, death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study aim, the total 23 death preparation programs for the elderly at Chungbuk C Welfare Center had been implemented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to see the changes of ego integrity, death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carrying out the programs. In addition, the statistical analyses of collected data had been done using such methods as crosstabulation analysis of all kinds of variables, t-test, and ANOVA with the statistical software SPSSWIN(13.0K). This study shows that ego integrity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ho had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had increased a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hereas death anxiety had decreased. According to this study the elderly who had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also have bigger changes in ego integrity, life satisfaction and death anxiety at statistical significant level than those who had not. This, therefore, shows that the death preparation program has positive influences on achieving the development task of old age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thought to be desirable to expand the death preparation program for the aged in the practical area of elderly welfare by composing the identical group in consideration for educational standard, age, and program participation. Also, new plans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must be worked out, considering that the elderly' participation makes a difference in death preparation program. Furthermore, it is needed to make plans to enhance the death preparation program by organizing it systematically and fostering competent experts.

      •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양로시설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오혜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오늘날 의학 기술의 발달과 생활수준 향상으로 인해 인간의 수명은 길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노인의 양적 증가에 관심을 가지는 것도 중요하지만 노인의 삶의 질적인 측면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노인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가 죽음 수용이며 죽음 수용은 많은 학자들이 노년기에 이루어야 할 중요한 과업이라고 이야기 한다. 그러나 노년기에 겪게 되는 신체적·정신적 노화, 배우자와의 사별, 경제적 여건의 악화, 사회적 역할 상실 등으로 인해 죽음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기 힘든 환경에 있다. 대부분의 노인들은 죽음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으로 인해 우울의 정도가 높으며 삶의 질이 낮으며 이로 인해 신체적, 심리적 질환의 발생이 가속화되기도 한다. 노인 중 양로시설 거주 노인은 지역사회 거주 노인에 비해 사회적, 심리적으로 취약하여 죽음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기 어려워 이에 대한 개입이 필요한 상황이다. 죽음준비교육은 죽음이 주는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죽음이 현재의 삶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목적하며 이에 대한 긍정적인 연구 결과들이 밝혀졌다. 국내에서 이루어진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지닌다. 첫째, 죽음준비교육 참가자가 대부분 노인대학과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으로 양로시설 거주 노인을 위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둘째, 죽음준비교육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한 사전-사후 검사가 주를 이루었고 교육의 효과를 보다 정확히 측정하기 위한 추후 검사를 실시한 연구는 없었다. 셋째, 국내에 표준화된 죽음준비교육이 없으며 현재 많이 활용되고 있는 박지은(2009)의 프로그램은 죽음학 학자 Corr(1995)가 제시한 죽음준비교육의 4가지 차원 중 3가지만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양로시설 거주 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였고 이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사후-추후검사를 하였다. 또한 박지은(2009)의 프로그램에 Corr(1995)의 죽음준비교육의 4가지 차원(인지적 차원, 정서적 차원, 행동적 차원, 가치적 차원) 모두를 프로그램 내용에 적용하여 보다 다각적인 죽음준비교육이 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죽음준비교육이 양로시설 거주 노인의 죽음불안과 우울 및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A양로시설에 거주하는 노인 중 비동일통제집단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여 사전-사후-추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참여자는 총 46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을 위해 카이스퀘어 검증(chi square : x²)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증(Independent Sample t-test),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 대응표본 t 검증(Paired Sample t-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양로시설 거주 노인의 죽음불안을 유의미하게 감소시켰으며 그 효과는 추후검사에도 유지되었다. 둘째,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양로시설 거주 노인의 우울을 사후검사와 추후검사 시 까지 유의미하게 감소시켰다. 셋째,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은 양로시설 거주 노인의 삶의 질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으며 그 효과는 추후검사에도 유지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 및 함의는 실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양로시설 거주 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추후검사까지 실시하여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였다.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단순히 죽음 불안을 낮추는 것뿐만이 아니라 사회복지의 궁극적 목표인 삶의 질을 향상시켰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People are living longer these days thanks to medical advancement and a higher standard of living. The Quality of elderly people’s life is as important as the growth of the elderly population. One of the critical factors that determine the quality of elderly living is acceptance of death, which many scholars regard as an important task that people should manage in their old ages. However, it is hard for elderly people to accept the notion of death positively amid physical and psychological deterioration, bereavement of spouses, declining financial condition, and the loss of their social roles. A majority of elderly people feel quite depressed due to vague anxiety over death, and suffer from a poor quality of life, which might accelerate physical and psychological illnesses. In particular, elderly people residing at nursing homes are more vulnerable socially and psychologically compared to those living within the community, and they need intervention as it is hard for them to positively embrace the notion of death. The purpose of death education is to mitigate negative impact of the notion of death so that death could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resent life. In this regard, promising research outcomes have been produced. However, previous studies on death education in Korea presented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most participants were attendants of elderly colleges or users of elderly welfare facilities, and research was not done for elderly people at nursing homes. Second, most studies were based on pre- and post-education test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death education, and no research involved a follow-up test to measure the effect of education more accurately. Third, there is no standardized program for death education in Korea, and the widely used program developed by Park(2009) addresses only three out of four dimensions of death education proposed by a thanatologist Corr(1995). Noting these limitations, in this study, death education was given to elderly people at nursing homes, and pre-, post-education tests as well as a follow-up test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s for research methodology, the widely used Park’s death education program was adopted with all four dimensions by Corr (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and value) to provide a more diversified angl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death education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death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for elderly people at nursing homes. Forty-six elderly people at nursing home A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y are a heterogeneous group of people, and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 group and a control group, to undergo pre-, post-education tests and a follow-up test. With the collected data, x² test was conducted to test homogeneity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and paired sample t-test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using SPSS Win 22.0. Mai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eath education program significantly reduced death anxiety of elderly people at nursing homes, and this effect was maintained until a follow-up test. Second, the death education program significantly alleviated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at nursing homes, in both post-education test and follow-up test. Third, the death education program improved quality of life for elderly people at nursing homes, and this effect was maintained until a follow-up test. These findings provide useful implications in developing a practical death education program for elderly people at nursing homes, and the study secured a high level of credibility and validity by conducting a follow-up test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study produced an empirical evidence to show that the death education program not only mitigates anxiety over death but also enhanced elderly people’s quality of living, which is an eventual goal of social welfare programs.

      • 죽음準備敎育이 죽음에 대한 態度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硏究

        방선자 인제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죽음준비교육 수강생의 죽음준비교육이 죽음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으로 3개 죽음준비교육기관 수강생 1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실증분석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죽음준비교육에서는 Likert 10점 척도에서 전체적으로 평균 8.27로 전반적으로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이해는 매우 높게 나타났고, 영역별로 죽음에 대한 준비, 삶의 의미 찾기와 목표 설정, 죽음 간접체험, 죽음과정과 죽음에 대한 이해의 순으로 교육의 이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에 대한 태도의 경우 Likert 5점 척도에서 전체적으로 평균 3.74로 ‘조금 그렇다’에 가까이 나타나 상대적으로 죽음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두려움, 회피, 위기관리의 순으로 긍정적인 생각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죽음준비교육과 죽음에 대한 태도 등 연구대상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정(+)의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죽음준비교육간, 또 죽음에 대한 태도 간, 또 죽음준비교육과 죽음에 대한 태도 간에서 한 변수가 긍정적이면 다른 변수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죽음준비교육 중 ‘죽음과정과 죽음에 대한 이해’에서는 연령별, 종교별로, ‘죽음 간접체험’에서는 경제상태별, 건강상태별로, ‘죽음에 대한 준비’에서는 성별, 직업별로, ‘삶의 의미 찾기와 목표 설정’에서는 학력별, 직업유무별, 경제상태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넷째, 죽음에 대한 태도 중 ‘죽음에 대한 두려움’에서는 경제상태별로, ‘죽음에 대한 회피’에서는 성별, 학력별, 동거형태별로, ‘죽음에 대한 위기관리’에서는 직업유무별, 경제상태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죽음에 대한 두려움에는 ‘죽음과정과 죽음에 대한 이해’가, ‘죽음에 대한 회피’에서는 ‘삶의 의미 찾기와 목표 설정’이, 또 ‘죽음에 대한 위기관리’에서는 ‘죽음 간접체험’와 ‘삶의 의미 찾기와 목표 설정’이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이 있었다. 본 연구의 함의와 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수준을 수강생의 수준과 환경, 배경에 따라 세분화하고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즉, 학교교육 대상인 아동청소년과 대학생 청년층이나, 또는 직장인까지 교육대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목적에 맞게 차별화된 교육 내용의 개편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상관관계 분석에도 나타났지만 각 교육내용 간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나고 또 각각의 교육훈련 내용이 죽음에 대한 태도에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회귀분석을 보면 유의적인 영향력이 없는 교육내용이 많다. 이는 사전적인 교육내용 자체는 분별력이 있으나 실제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관계를 보면 각 교육내용의 차별성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죽음준비교육의 전문화를 위한 교육내용의 효과성을 촉진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 죽음준비교육 내용 중 죽음에 대한 준비는 죽음에 대한 태도에 전혀 영향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 죽음과정과 죽음에 대한 이해와 죽음에 대한 태도, 죽음 간접체험과 죽음에 대한 태도에서도 하나의 영역에만 유의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넷째, 학술적인 토의와 수강생과의 피드백을 통하여 한국인의 성향에 맞는 죽음준비교육 내용이 하루빨리 정립되어야 한다. 죽음준비교육이 서구에서 먼저 시행되었기 때문에 교육내용이 그대로 도입된 부분이 많다. 서구의 이성적, 합리적 성향이 강하지만 동양은 종교적, 정서적 성향이 강하므로 이 같은 차이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다섯째, 공교육 안에서 죽음준비교육이 제도화되어야 한다. 미국, 독일과 일본에서는 이미 공교육으로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어릴 때부터 죽음준비교육을 통해 인간의 존엄성과 생명의 소중함, 삶과 죽음에 대한 문제를 윤리적인 면, 가치관의 측면에서 다루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