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아동센터지원 아동복지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대전·세종·충청지역 중심

        신희진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1695

        지역아동센터지원 아동복지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대전· 세종· 충청지역중심-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신 희 진 지도교수 : 공 계 순 지역아동센터는 아동의 보호·교육, 건전한 놀이와 오락의 제공, 보호자와 지역사회의 연계를 통해 아동의 건전육성을 위한 종합적인 아동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아동복지시설이다. 아동복지교사는 아동복지교사 지원사업으로 시작되어 지역아동센터의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전문적인 교사이다. 정부의 충분하지 않은 지원과 사회적 인식의 부재로 근무조건이 열악하지만 아동복지교사의 노력으로 아동복지서비스의 일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본 연구는 아동복지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고,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아동복지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완화와 직무만족도 향상 방안을 마련하여 궁극적으로 아동의 보호 및 교육의 질을 향상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복지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는 어느 정도인가 ? 둘째, 아동복지교사의 인구학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아동복지교사의 인구학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라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넷째, 아동복지교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조사연구방법은 대전광역시·세종자치시·충청남도 및 충청북도 지역의 아동복지교사 2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통계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복지교사의 성별이 여성이 99%, 연령이 50대가 48.8%, 학력은 대졸 64.1%로 많았다. 아동복지경력은 2년 이상 3년 미만이 20.6%, 아동복지교사의 동기는 여가시간활용이 38.3%, 고용형태는 비정규직이 71.3%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는 평균 2.88, 직무만족은 평균 3.75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의 하위 변수별로 평균은 대인관계스트레스(평균 3.11), 교육활동스트레스(평균 2.90), 역할관련스트레스(평균 2.62)순으로 나타났다. 대인관계 스트레스에서는 아동대인관계 스트레스(평균 3.64)가 교사대인관계 스트레스(평균 2.61)보다 높았다. 교육활동 스트레스에는 학습활동도구 스트레스가(2.94)가 학습활동준비 스트레스(2.85). 역할관련 스트레스는 역할갈등(3.09), 역할과다(2.57), 역할 모호(2.22)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복지교사의 인구학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연령 및 근무유형에 따라 교사대인관계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학력 및 교육활동 분야에 따라 학습활동준비 스트레스에 차이가 있으며, 아동복지교사가 된 동기에 따라 아동대인관계 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복지교사의 인구학적 특성과 직무관련 특성에 따라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없었다. 다섯째, 아동복지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분석에서 모든 직무스트레스 하위유형과 직무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는 역할모호(-.420), 학습활동도구스트레스(-.373), 역할갈등(-.328), 학습활동준비(-.302), 역할과다(-.296), 교사대인관계(-.200), 아동대인관계(-.136)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중회귀 분석한 결과, 역할모호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및 논의를 통하여 제안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의 하위변수 중 아동대인관계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난 점을 고려하여, 아동복지교사와 아동과의 관계를 향상하고 아동대인관계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근무방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아동과 유대관계와 친밀감을 높일 수 있게 지역아동센터 배정과 배정 시간에 대한 조정을 하여야 한다. 둘째, 아동복지교사의 직무교육에 있어서 그 내용에 대한 구성을 지역아동센터의 맥락에서 아동과의 관계형성 및 아동에게 심리정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현장 적용가능성이 높은 교육으로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아동복지교사의 맡은바 교육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 기타 지원인력간의 역할에 대한 명확한 구분과 아동복지교사의 교육프로그램이 계획대로 잘 진행될 수 있도록 전체 프로그램의 수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며,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공간, 교구, 교재를 지원 받아야 한다. 넷째, 아동복지교사의 고용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하여 정규직으로의 전환과 복리후생적인 처우를 개선해야 한다. 다섯째, 아동복지교사의 연령대가 40대를 넘어 50대가 많아지는 상황이며, 아동복지교사로서의 경력도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는 특성이 지역아동센터 내에서 역할에 반영이 되어야 한다. 여섯째, 아동복지교사의 스스로의 업무 능력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교과 학습 교수법, 아동심리, 인성교육 등 교육 프로그램을 잘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아동복지교사들의 학습모임 등을 활성화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 무상급식 논쟁을 통해 본 복지에 대한 언론의 보도태도 분석

        조원근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1695

        국문초록 무상급식 논쟁을 통해 본 복지에 대한 언론의 보도태도 분석 조 원 근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지도교수 : 이 용 재 6·2지방선거를 전후하여 언론매체가 무상급식 정책에 대한 논쟁을 보도하면서 복지의 방향성에 대한 논의가 확산되었다. 이러한 언론보도는 향후 복지에 대한 방향을 예측할 수 있는 길이 될 것이다. 대부분의 국민들은 사회복지에 대해 언론매체에서 제공하는 관련뉴스와 정보를 통해 이해하고, 그 이미지를 형성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무상급식정책을 둘러싼 국내 언론의 보도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구체적으로 연구목적을 다음과 같이 세웠다. 첫째, 신문이 무상급식정책과 관련하여 어느 정도의 관심을 갖고 보도하였는지를 기사수량, 보도유형, 필진의 구성 등 일반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신문이 무상급식정책을 보도하면서 얼마나 정확하고 심층적으로 보도했는지 제목의 서술형태, 출처 밝힘 여부, 대안의견 제시 여부 등 신문의 전문성을 살펴보았다. 셋째, 신문이 무상급식에 대해 어떤 보도태도와 복지성향을 나타내는지? 성향을 나타냈다면 보편적 복지와 선별적복지에 대하여 어떤 복지성향을 가지고 보도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대상은 신문기사를 대상으로 하며 분석대상기간은 김상곤 경기도교육감이 당선된 2009년 4월부터 서울시장 보궐선거가 끝난 2011년 10월말까지 2년 7개월간의 보도된 것으로 하였으며, 분석대상매체는 조선일보, 동아일보, 경향신문, 한겨레신문 등 4개 일간지로 하였다. 기사 수집은 신문기사검색시스템 ‘KINDS'와 ’파워조선‘을 활용해 ’무상급식‘으로 제목을 포함해 본문내용까지 검색하여 양적분석을 하고 내용분석을 위하여 검색된 기사 가운데 정확도(일치도) 순으로 정렬하여 각 언론사별로 100건씩의 기사를 표본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상급식에 대한 보도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양적분석과 내용분석을 병행했는데, 일반적 경향과 전문성, 보도관점으로 3가지 항목으로 분석기준을 구분하였다. 또한 각 분석항목마다 세부항목을 나누어 분석했다. 무상급식과 관련한 신문기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대한 분석으로 기사수량, 기사유형, 필진의 구성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무상급식과 관련한 기사는 양적으로 상당히 많은 양을 나타냈고, 기사유형에서 단순보도의 비율이 높았으나 기획·연재나 사설, 칼럼을 통한 보도들도 상당한 양이 보도되어 언론이 무상급식과 관련한 복지의 방향성에 대하여 뉴스로서의 가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 신문사들은 제목의 서술 형태에서 의견제시형 서술이 제일 많았는데 언론이 복지의 방향성에 대한 의견을 적극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해석된다. 대안의견제시 유형에서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부분 무상급식 단계적 실시’ 의견을 제시하고 있으며, 경향신문과 한겨레신문은 ‘전면무상급식의 단계적 확대’를 제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보도관점을 알아보기 위한 보도태도분석에서는 전체적으로는 긍정적의견이 21%, 중립적 의견이 56%, 부정적인 의견이 23%로 나타났으나,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중립이거나 부정적인 보도태도로 전면무상급식정책에 대하여 ‘복지 포퓰리즘’이라는 시각을 가지고 선별주의적인 입장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경향신문과 한겨레신문은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이고 지지적인 보도태도를 보임으로써 무상급식정책에 대해 무상의무교육의 차원에서 확대 실시하여야 하며, 저소득층 아이들의 낙인을 방지하여야 한다는 주장으로 보편주의적인 입장을 나타내고 있어 서로 상반된 입장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경찰공무원의 심리적 탈진과 심리상담의 요구에 관한 조사 연구 : 충남경찰을 중심으로

        박수경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679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이 겪고 있는 심리적 탈진감과 상담에 대한 요구 및 기대에 관한 조사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경찰공무원의 직장 및 가정에서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상담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남지역 경찰공무원 322명을 대상으로 심리적 탈진감과 상담에 대한 요구 및 기대 수준을 조사하여, 빈도분석과 성별 및 직급에 따른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공무원의 심리적 탈진감은 보통이상이다. 탈진감의 수준은 성별 및 직급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찰공무원은 상담에 대한 요구조사에서 경찰공무원들은 심리상담을 받아본 경험이 대부분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앞으로 상담받고자 하는 의사 또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공무원의 업무능률 및 개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심리상담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복리후생분야에 대한 문제와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고 도움받고자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담받고자 하는 주제는 업무관련 주제에서만 여자경찰관이 남자경찰관 보다 상담을 더 받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담 주제에 대한 직급별 차이에서는 개인 상담 분야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담에 대한 기대에 관한 조사에서, 경찰공무원들은 심리 상담을 받고 난 후 개인의 삶의 질이나 업무효율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며, 상담을 통해 문제해결을 위한 정보제공을 받고자 한다. 그래서 지정된 지역사회 전문상담기관에서 상담 받고자 하며, 개인상담의 형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담을 받을 경우 자신들의 기대가 충족되지 않거나 비밀이 노출될까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담교육 프로그램을 선호하는지 조사한 결과, 자기개발 문제를 다루는 경력개발 상담을 우선 실시해주기 바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경찰공무원 조력프로그램, 정서-대인관계를 다루는 개인 상담, 단기상담을 통한 자체사고방지 상담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들이 상담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파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경찰공무원을 위한 상담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has been peformed to researched the police's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the demand and expectation of counseling. Through the study has suggested the counseling direction to improve their life quality at a police station and the policy's home. For this, it has been aimed at 322 police officers in Chungnam Privince and examined their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the demand and expectation level of counseling. Also, the frequency analysis and difference analysis depending on gender and ranks have been perform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olice's level of psychological exhaustion is beyond the average. The degree of exhaustion is statistically meaningfully different depending on gender and ranks. Second, in the survey of counseling demand, most of the police have rarely been consulted and the doctors for further counseling also are insufficient. It is assumed that psychological consultation is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work efficiency and the individual life quality. In addition, they are put in trouble of well-fare and are under stress, so they want some help. Regarding the theme of counseling, the female police want more counseling only related to the job. In case of difference depending on ranks, there is only difference in individual counseling. Third, in the research of counseling expectation, the policy expect their individual life quality and work efficiency to improve after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to get some information through the counseling. Therefore, they want to be consulted in the designated counseling institute of local community and prefer individual counseling. However, they are concerned that counseling might not meet their expectation or their privacy would be exposed. Also, in the survey of preference for counseling instruction program, people want the counseling of career development including the self-development to precede and they require the assistance program and individual counseling related to emotion-interpersonal relations and prevention of accidents within them through the short-term counseling.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hat it has perceived how the police recognize the consultation and it is expected to be a basic data for setting the counseling direction for the police.

      •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중학생을 중심으로

        배명옥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1679

        국문초록 본 연구는 최근 만연한 학교폭력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과 함께 그 주요한 요인으로서 네 가지 영역을 전제함으로 출발하였다. 그 네 가지 요인은 개인요인, 가정요인, 학교요인 및 지역 사회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연구자는 먼저 이 네 가지 요인에 대한 그 동안의 연구 자료들에 근거하여서 그 특성들을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이어서 연구자는 선택한 특정 그룹의 설문조사를 실행한 후, 그 조사의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 설문조사는 신흥 도시인 세종시의 남·여 중학교 학생들을 그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설문조사의 분석 결과로서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서 첫째로 지역 사회요인에 속하는 폭력매체에 대한 노출, 이어서 둘째로 학교요인의 한 요소인 또래 관계 그리고 마지막으로 개인적 요인으로 분류되는 공격 및 충동성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서 폭력 매체에 노출된 빈도수 그리고 좋은 또래 관계의 형성과 개인의 높은 공격 및 충동성의 성향은 학교폭력 가해의 주요한 원인으로 판명되었다. 다른 한편으로 성별의 차이에 대한 설문조사의 결과는 남자 학생의 경우 폭력 매체에 대한 노출과 또래 관계 순서로 그 영향력이 나타났고, 여학생의 경우 자료 분석에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청소년 문화에 관한 다양한 연구와 개발이 요구되어지며 청소년 문화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폭력매체에 대한 통제 및 정부의 법적 재제가 강화되어야 하겠다. 현대사회의 상업성 대중매체는 일회성 오락을 위하여 온갖 자극적 프로그램과 폭력적 영상물을 남발하고 있다. 대중매체의 심의기준을 강화하여 음란폭력물로부터 학생들을 보호해야 할 것이다. 연구 조사에서 학교폭력의 가해 경험과 피해경험의 상관관계는 .597로 높게 나타난 것으로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은 분명한 선이 있다고 보기 어렵고 모두 피해자로써 예방교육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각 학년별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있어서 학년별 시기에 맞는 수준으로 학교폭력예방교육사가 프로그램 훈련을 받고 학교현장에 투입되어야 하며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학교폭력 예방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남·여 대상으로는 학교폭력에 있어서 여학생 보다는 남학생의 가해 및 피해 발생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남학생 중심으로 이루어진 학교에 필수적으로 예방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 1위는 언어폭력으로 조사되었다. 중학교 청소년의 일상에서 언어사용에 있어서 아무런 뜻이나 의미도 모르며 폭력적인 말과 욕, 비하적인 함축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 영향이 학교폭력을 유발하는 시발점으로 볼 수 있다. 청소년의 일상에서의 언어 사용은 심리·정서적인 부분에 큰 영향을 주며 나아가 신체폭력을 유발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학교폭력 예방교육 시 중학교 1학년 때에는 바른 언어 사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프로그램이나 가해 행위가 나타나는 원인을 살펴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1학년 학교폭력 가해요인으로 성적 및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공격 및 충동성이 높을수록, 폭력매체를 많이 접할수록 학교폭력 가해행위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음을 참고하여야 한다. 중학생 유형별 학교폭력 피해 경험 2위는 성폭력으로 나타났으며 학년별 학교폭력 가해 경험에서 중학교 2학년에서 성폭력에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중학교 2학년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있어서는 성폭력 예방교육을 강화 할 필요가 있으며, 사이버 매체 교육을 병행하여 사이버 성폭력에 대한 각성도 요구되어진다. 특히 중학교 2학년 교실 문화에서 흔히 나타나는 장난으로 신체 접촉, 핸드폰 사진 촬영 및 유포가 상담 현장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의 한계점은 연구에 포함된 가해 및 피해 요인 중 주로 가해요인 중심이었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학교폭력요인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주로 학교폭력 가해행위와 관련된 요인에 관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기 때문에 본 연구에 포함된 요인들도 가해행위와 관련된 요인들 위주로 검토되었으며, 피해요인들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 피해자 중심의 요인과 대안 등은 더 구체적인 조사 및 연구가 앞으로 진행되어야 할 부분이라 보여 진다. 또 다른 한계점으로는 조사대상자 표본추출에 있으며, 세종특별자치시 일부 중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므로 이를 청소년 전체의 특징으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본다. 학교폭력의 실태 조사에 있어 구체적이고 다양한 접근 방법으로의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본다.

      •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대학환경풍토지각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백소현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1679

        국 문 초 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정서지능, 대학환경풍토지각의 정도를 알아보고 정서지능과 대학환경풍토지각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정서지능과 대학환경풍토지각, 대학생활적응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들의 정서지능과 대학환경풍토지각이 대학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셋째,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정서지능의 영향이 대학환경풍토지각에 의해 매개되는가? 충남에 있는 H대학교 남녀학생 389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참여자들은 정서지능 척도, 대학환경풍토지각 척도, 그리고 대학생활적응 척도를 포함한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얻어진 자료를 대상으로 SPSS 19.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AMOS 20.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상관관계분석 결과 정서지능, 대학환경풍토지각, 그리고 대학생활적응은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정서지능은 대학환경풍토지각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학환경풍토지각 요인 중 사교지향성이 정서지능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정서지능은 대학생활적응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지능의 요인 중 정서조절이 대학생활적응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학환경풍토지각도 대학생활적응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환경풍토 요인 중 사교지향성 요인이 대학생활적응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 인구통계학적 변인으로는 대학생의 성별과 학년이 대학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지능의 요인 중 정서조절, 정서표현, 감정이입이 대학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환경풍토지각 요인 중 사교지향성과 예절지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결과, 정서지능이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정서지능이 대학환경풍토지각 요인 중 사교지향성에 영향을 주어 대학생활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지능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대학생활에 적응을 더 잘하는데, 그 이유는 부분적으로 정서지능이 높은 학생들이 자신의 대학환경풍토를 더 사교지향적으로 느끼기 때문임을 시사한다. 주요어 : 정서지능, 정서조절, 대학환경풍토지각, 사교지향성, 대학생활적응

      •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아동인권 인식과 이행실천수준에 관한 연구

        전지영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679

        〔국문초록〕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아동인권인식과 이행실천수준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전 지 영 지도교수 : 공 계 순 지역아동센터는 현재 취약계층 아동들의 권리를 보장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시설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아동권리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정도와 실제로 아동의 권리를 이행하는 정도를 알아보며, 또한 아동권리 중요성 인식정도와 실제 아동권리 이행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지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아동권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이 아동권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실제로 이행하는 정도는 어떠한가? 셋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의 아동권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실제이행에는 차이가 있는가? 넷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변인(성별, 연령, 학력, 경력 등)에 따른 종사자의 아동권리 중요성 인식 및 아동권리 이행정도는 어떠한가? 다섯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가 근무하는 환경(지역아동센터 설립주체, 아동 수, 근무일)에 따른 종사자의 아동권리 중요성 인식 및 아동권리 이행정도는 어떠한가? 여섯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는 아동권리 중요성 인식과 아동권리 이행정도와 관련이 있는가? 일곱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아동권리 중요성 인식과 아동권리 이행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다. 연구방법은 충청남도 천안 및 아산지역의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시설장, 생활복지사)를 대상으로 총 180명을 편의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아동권리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권리의 4영역별로 보면, 보호권에 대한 인식 평균이 가장 높으며, 참여권이 가장 낮았다. 아동권리 중요성 인식정도에 대한 영역별 설문에서 평균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아동에 대한 안전한 급식과 방임된 아이들의 정서적, 신체적 보호였다. 참여권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연령이 50대 이상일수록 평균 점수가 낮았다. 둘째, 아동권리 실제이행 정도는 ‘대체로 잘 이행하고 있다’ 로 나타났다. 아동권리의 영역별로 보면, 아동권리 중요성 인식과 동일하게, 보호권 이행정도가 가장 높으며, 참여권 이행이 가장 낮았다. 보호권에서는 아동권리 중요성 인식처럼 안전한 급식과 아동의 방임으로부터 신체적, 정신적 보호가 높았다. 전체 42개 항목 중 평균 점수가 가장 낮은 항목은 생존권에서 특히 ‘나만의 공부할 장소를 갖는 것’과 ‘속옷과 의복이 깨끗하도록 충분히 갈아입을 수 있도록 해주는 것’ 이었다. 셋째, 대체적으로 아동권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보다 실제 이행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종사자변인(성별, 연령, 결혼여부, 학력, 직급, 경력 및 근무기간)은 아동권리 인식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동권리 이행에서는 학력이 높은 대학원 졸업자가 보호권 이행정도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아동센터 근무기간이 1년 이상 2년 미만인 종사자의 아동권리 이행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다른 근무기간 종사자와 비교하여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역아동센터 변인(설립주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 수, 근무일)은 아동권리 중요성 인식 및 이행정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직무스트레스와 아동권리 이행정도는 약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와 아동권리 중요성 인식에 대해서는 회귀식 자체가 모두 성립하지 않았으며, 아동권리 이행에 있어서는 참여권에 대한 이행에 있어서 직급과 직무스트레스가 아동권리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제언하자면, 종사자들의 아동권리의 중요성 인식이나 행동의 기준점을 분명화하기 위한 대상아동에게 정기적인 설문과 상담을 통하여 지속적인 지침개발 및 교육 필요성이 대두된다. 직급이 낮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고 이는 실제 아동권리이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므로, 종사자들에게 경력, 연령, 학력, 직급에 따라 인권에 대한 교육 및 프로그램이 달라져야 하며, 시설장과 생활복지사간의 역할 분담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균형 있는 업무를 수행해야 한다. 더불어 시설장은 생활복지사 및 기타 종사자들의 어려움 및 고충을 해결해주기 위하여 노력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이 논문의 한계점은 국내에 있는 전 지역아동센터의 아동권리인식의 중요성과 실제 아동권리 이행정도를 파악하기엔 미흡하다는 것이다. ABSTRACT The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implementation about children's rights among workers of Community Children Centers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he Gradute School Hoseo University Cheona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Gye Soon, Kong ) Community child centers are currently taking the responsibility of a greatly important role in guaranteeing the rights of children, a vulnerable social group. By targeting workers in these community children centers, the study is looking into the degree of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hild rights and seeing if, in reality, the degree of which the child rights are being fulfilled. Also,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re ar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degree of awareness of importance on child rights and the degree of fulfilling the child rights. This study will be carried out with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kind of perception do workers in community children centers have on the importance of child rights? Second, to what degree do the workers in community children centers guarantee the child rights in order to actually fulfil the rights? Third,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child rights and the actual fulfillment? Fourth, what factors (gender, age, qualification, career, etc.) of the workers effect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child rights and actual fulfillment of those rights? Fifth, whether the environment (community children centers subject of foundation, the number of children, working days) of the workplace for workers have an effect on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n child rights and actual fulfillment of those rights? Sixth, is work stress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the workers on the importance of child rights and actual fulfillment of those rights? Seventh, what factors effect the perception of the workers on the importance of child rights and actual fulfillment of those rights? The method of study was done by collecting data from carrying out a survey. The total of 180 workers were surveyed as the sampling target in community children centers in the area of Chungnam-do, Cheonan and Asan. The findings of the study, first, showed that child rights were being significantly perceived. Looking at the child rights in four different areas, the average of perception on the protection rights was the highest, whereas the participation rights was the lowest. The highest points that were shown on the survey in different areas of the importance of the degree of awareness on child rights were on safe meals and children's emotional and physical protection for those who were neglected.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in terms of participation rights showed that those over the age of 50 had a low average point. Second, child rights and actual fulfillment degree was shown as 'generally, fulfilling well'. By looking at the child rights in terms of age, the degree of fulfillment of protection rights was the highest, equally with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hild rights, the fulfillment of the participation rights were the lowest. From the protection rights, just like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hild rights, the protection on safe meals and physical and emotion protection for neglected children was high. From the total of 42 questions, the section with the lowest points were on rights to live, especially, 'having my own space to study' and 'giving enough underwear and clothes to stay clean'. Third, statistically it showed that the actual degree of fulfillment was lower than the overall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n child rights. Fourth, the factors of the workers (gender, age, marital status, qualification, career, experience and period of work) did not statistically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child rights. However, in terms of fulfilling the child rights, the higher the academic ability of the postgraduate the degree of fulfillment on protection rights was higher. Furthermore, the degree of fulfillment in child rights in workers who worked in these centers for more than a year but less than two statistically were lower compared to workers with different periods of work. Fifth, the factors of the community children centers (subject of foundation, the number of children using the center, the working days) did not statistically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n child rights and degree of fulfillment. Sixth,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light correlative relation with the work stress and fulfillment of child rights. Seventh, in terms of the social workers an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hild rights, the recurrent method was not established itself, and in terms of fulfilling the child rights, rank and work stress in fulfilling the child rights put on an influence on the participation rights. In accordance with the study, the need for continuous guide development and education should be on the rise, in order to make clear of the awareness of the workers on the importance of child rights and the fixed standard of action, through regular surveys and advice towards the target children. As the lower the rank of the worker the higher the work stress and because it gives a negative effect on the actual fulfillment of the child rights, there is a need for education and programs in accordance with the experience, age, qualification and rank of the worker. The delegation of roles of the facility manager and residential social worker should be specified clearly in order to conduct the duties with balance. Furthermore, facility managers should be in the position to solve the problems and difficulties of the residential social worker and other workers. The limitation to this thesis is that there is insufficient data in order to grasp the importance of the awareness of child rights and the actual degree of fulfillment of the child rights in all community

      • 가정폭력이 자녀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정상래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1679

        ABSTRACT Domestic violence's effects on the children's maladjustment : mediated effect of self-esteem Sang-Rae Jeong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he Graduate school Hoseo University Cheona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Yong-Jae Lee) A study have a serious influence on children's maladjustment. So, children who accept maladjustment of children could be affected by positive or negative self-worth. This research debate domestic violence, self-worth and main cause of children's maladjustment, and analyze effect of domestic violence on children's maladjustment, but analyze control effect of self-worth to confirm these discuss. Thereby, this attempts to analyze effects of self-worth for children ho experience domestic violence on children's maladjustment. Therefore, this research collect research material of 367 people an use 364 departments. So, children who accept maladjustment of children could be affected by positive or negative self-worth. The gist of result by this research's problem is as follows. The first, outcome show that people do a lot of physical assault in spousal battery, and do more verbal abuse than physical assault in children violence by parents. The second, outcome show that the more conjugal relations do verbal and physical assault, the more children violence by parents do verbal and physical assault. The third, outcome show that the more people do domestic violence, the more the people do maladjustment in spousal battery, children violence and maladjustment. And outcome show that people do emotional maladjustment, behavioral maladjustment and social maladjustment. The research show that people do emotional maladjustment most of all. Following emotional maladjustment on the list were social maladjustment and behavioral maladjustment. The fourth, outcome show that the more do domestic violence in negative question, the less self-worth which is mediated effect of domestic violence. In the above domestic violence, children violence cause many side effect. this paper attempts to reject a proposal for this. The first, a social worker will need to perform a role of a cure for helping children who suffered domestic violence. The second, a social worker will need to perform a role of educationalist. The third, a social worker will need to perform a role of a mediator of resources for protective factor of children who suffer domestic violence. The fourth, a social worker will need to perform a role of person who publicize for prevention from domestic violence. The fifth, a social worker will need to perform a role of activist for revision of domestic violence. And finally, domestic violence is not problem of equivalent family, and seriousness of spreading problem from family's problem to social problem is more. Necessity reinforcing realization of nation about domestic violence is needed by active intervention of state on this. [국문초록] 가정폭력이 자녀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정 상 래 지도교수: 이 용 재 가정 내 부부폭력 혹은 자녀에 대한 부모의 폭력은 자녀의 부적응에 심한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자녀의 부적응을 받아들이는 자녀들은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자아 존중감에 의해서 달라질 수 도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논의를 확인하기 위하여 가정폭력, 자아존중과 자녀부적응의 요인을 도출하고, 가정폭력이 자녀의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가정폭력을 경험하는 자녀들의 자아존중감이 자녀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충남 아산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367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364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문제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폭력에서는 신체적 폭력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에 의한 자녀폭력에서는 언어적 폭력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부간에 언어적‧신체적 폭력을 많이 할수록 부모에 의한 자녀폭력도 언어적‧신체적 폭력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부폭력과 자녀폭력의 부적응에서는 가정폭력이 높을수록 부적응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부적응, 행동적 부적응, 사회적 부적응 중에서 정서적 부적응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다음은 사회적 부적응, 행동적 부적응의 순이었다. 넷째, 가정폭력의 매개효과인 자아존중감은 부정적인 문항에서 가정폭력을 많이 할수록 자아 존중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가정폭력은 여러 가지 부작용을 초래한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사회복지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복지사는 가정폭력 자녀를 돕기 위한 치료자의 역할을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사는 교육자의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가정폭력 자녀들의 보호요인을 위한 자원조정자의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넷째, 가정폭력의 예방을 위한 홍보자의 역할이다. 다섯째, 가정폭력법 개정을 위한 활동가의 역할이다. 가정폭력은 해당 가정의 문제로 국한된 것이 아니고 사회의 문제로 확산되는데 더 큰 문제가 있습니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하여 가정폭력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새롭게 강화할 필요성이 요구됩니다.

      •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지각(知覺)한 조직 내 의사소통이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 효과

        김장환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1679

        국 문 초 록 공공복지 업무를 수행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조직 내 의사소통이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증진시켜 직무몰입, 대인관계 능력의 효과를 파악하여, 수급자에게 맞춤형 통합서비스 제공을 하기 위한 역량 강화 및 폭넓은 전담공무원에 대한 참고 자료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에 근무 중인 741명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대상으로 445부의 우편과 직접방문을 통해 배포․회수, 이 중 422부의 응답 자료를 SAS 9.3과 AMOS 18버전을 통해 통계처리 하였으며, 응답자의 의사소통, 직무만족, 직무몰입, 대인관계의 측정치들의 평균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분산분석을 시행하였고, 직무만족도의 영향요인 분석을 위해 구조 방정식을 통한 경로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는 Cronbach's ɑ가 0.6 이상으로 나타났다. 자료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 통계량의 결과는 의사소통의 평균값이 3.497, 직무만족 3.020, 직무몰입 2.974, 대인관계의 평균값은 3.434로 나타났다. 둘째, 의사소통․직무만족․직무몰입의 차이 분석 중 사회인구학적 특성의 결과를 보면, 의사소통 차이는 연령층이 높은 집단일수록, 사회복지 직급과 급여 수준이 높을수록, 근무경력이 오래될수록, 전담공무원으로 근무하는 직무만족도가 만족할수록 의사소통이 잘 된다고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 결과는 나이가 높을수록, 종교 중 기독교가 기타 보다, 직급과 근무경력이 높을수록, 근속근무가 오래될수록, 급여수준과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좋게 나타났으며, 직무몰입의 차이는 연령․직급․근무경력․급여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만족할수록 직무몰입이 잘 된다고 나타났다. 대인관계의 차이는 남자가 여자보다 대인관계 능력이 좋다. 라고 나타났으며, 연령․직급․기혼자일수록, 근무경력․근속근무․급여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만족할수록 대인관계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의사소통이 직무만족․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의 상관관계에서, VIF 검증 결과 다중 공선성은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석 결과 의사소통과 직무만족, 직무몰입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하였으며 양의 관계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의사소통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회귀분석한 결과 의사소통은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설명하고 있으므로 즉, 의사소통은 직무만족에 0.242만큼 영향을 주고 있는 결과와 의사소통과 직무몰입의 분석 결과 의사소통은 직무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설명하고 있음으로 즉, 의사소통은 직무몰입에 0.185만큼 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넷째, 대인관계 능력 매개 효과 분석모형도는 포화모형도이며, 직무만족(직무몰입)에 대한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 효과 분석 결과를 보면, 대인관계와 의사소통 수준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직무몰입)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대인관계에서 의사소통 수준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수준도 높게 나타났다. SMC에서는 직무만족이 23.9%, 직무몰입이 11.6%, 대인관계는 19.3% 설명한다. 또 직무몰입에 대한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 효과 분석 결과는 의사소통이 직무만족(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인관계가 매개효과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의사소통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통계적 유의도가 나타났다. 본 연구자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조직 내 의사소통이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 효과도 있는 것으로 조사된바, 이를 통하여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와 관련한 자료 분석 및 전문성 확충을 위한 근무개선 시 현실적이고 적극적인 사회복지정책을 실천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주요어 : 의사소통, 직무만족, 직무몰입, 대인관계, 사회복지전담공무원

      • 장기요양수급 대상 보호자와의 친밀감과 의사소통이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생각에 미치는 영향

        강태우 호서대학교 문화상담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1679

        우리나라는 2008년 7월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이 제도의 시행에 따라 요양보호를 받는 대상자들은 요양보호사로부터 신체활동과 이동, 식사, 배설, 옷 입기 등 일상생활의 도움을 받고 있다. 요양보호 대상자의 신체기능을 증진시키고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요양보호사들이 보다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 대상자와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하지만 요양보호 대상자가 고령이고 각종 질환 때문에 요양보호사와의 의사소통이 쉽지 않은 게 현실이다. 이에 따라 방문요양보호사들은 요양보호 대상자의 감정과 몸 상태, 의사표현 등을 직간접적으로 알려주는 보호자들로부터 요양보호 대상자와의 의사소통에 도움을 받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요양보호사와 요양보호 대상자와의 관계 즉, 의사소통과 친밀감 형성도 중요하지만 요양보호사와 요양보호 대상자 가족인 보호자와의 의사소통과 친밀감 형성 또한 중요하다. 무엇보다 요양보호사와 요양보호 대상자 보호자와의 친밀감과 의사소통은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요양보호사와 수급자와의 관계 형성에 대한 연구는 종종 있지만 요양보호사와 보호자와의 관계 형성에 대한 연구는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재가노인복지시설 요양보호사와 장기요양수급대상 보호자와의 친밀감과 의사소통이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요양보호사의 특성과 요양보호 대상자 보호자의 특성에 따라 친밀감 보다 의사소통이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사실을 확인했다. 첫째, 요양보호사 대부분은 50대 후반 여성 근로자로 생계유지 보다는 보람을 찾기 위해 직장을 선택했고 근무시간이 짧고 급여가 적더라도 자신의 일에 만족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특히 수급자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은 보다 질 높은 요양서비스를 위해 필요하지만 보호자와의 친밀한 관계를 형성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이어서 요양보호사와 보호자와의 관계 즉 친밀감 보다 의사소통이 직무만족에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나 업무를 위한 소통이 이뤄지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요양보호사들은 대체로 근무기간이 길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았고 근무시간이 4시간 이하로 짧은 경우도 높았다. 근무시간이 짧고 근무형태가 계약직이더라도 자신의 일에 만족하기 때문에 이직생각은 적다는 사실도 알 수 있다. 셋째, 수급자 보호자의 특성을 볼 때 요양보호사들은 보호자가 남성인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보호자로부터 부당한 요구를 받지 않는 경우에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하지만 수급자 보호자의 경제적 수준이 낮으면 이직생각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요양보호사들이 보호자의 경제수준이 높은 환경에서의 근무를 희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보호자와의 관계에 있어서 요양보호사가 여성의 경우 친밀감이 높았고 연령을 볼 때 51~55세 사이에서 친밀도가 높았다. 보호자가 수급자의 배우자인 경우에도 친밀도가 높았다. 근무일수는 많지만 근무시간은 4시간 이하로 근무시간이 짧을수록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은 잘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보호자와의 친밀감 보다는 의사소통이 잘 될수록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친밀감이 높을수록 의사소통이 잘 될수록 요양보호사의 이직생각은 낮았다. 성별, 근무기간, 건강상태는 이직의도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국 요양보호사들은 생계형이 아닌 일상생활에서 필요할 정도의 적은 급여를 받고 있지만 일에 대한 보람을 찾기 위해 직업을 선택했다고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근무시간이 짧거나 정규직이 아닌 계약직이라는 불안정한 고용형태에서도 자신의 일에는 대체적으로 만족감을 보였다. 또 부당한 요구를 하지 않는 60대 고령의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이 잘 이뤄졌고 직무만족 또한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보호자와의 친밀감과 의사소통이 잘 될수록 이직생각은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이 같은 분석결과를 볼 때 요양보호사와 보호자와의 친밀감 및 의사소통을 향상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 시스템 및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보호자는 요양보호사와의 친밀감 형성을 위한 의식교육, 요양보호사는 보호자와의 친밀감 향상과 원활한 의사소통 방법을 교육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 요양보호사와 보호자가 친밀감과 의사소통을 높일 수 있도록 요양보호사와 보호자 사이의 관계를 정립한 업무 매뉴얼 지침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매뉴얼을 통해 요양보호사는 보호자의 특성과 수급자의 가정환경 요인을 충분히 이해하고 가정환경 및 요양보호 대상자가 처한 상황에 맞게 친밀감 확보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이와 함께 원활한 의사소통으로 수급자에게 적절한 맞춤형 요양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주목할 만 한 점은 요양보호사들의 근무목적이 생계를 위함이 아니기 때문에 일과 후 자신의 여가시간을 갖기 위해 근무시간이 짧고 계약직을 선

      • 노인 학대유형의 분석에 관한 연구 : 중복학대를 중심으로

        김원천 호서대학교 문화복지상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1679

        본 연구는 노인학대 유형의 특징과 개념을 이해하고, 중복학대에 대한 요인을 이해하고자 질적인 접근(qualitative approach)을 하였다. 2009. 1월부터 2010년 2월까지 충남지역 노인학대 신고 접수(대면 13건, 전화102건, 온라인 1건)된 116사례를 수집하였다. 노인학대로 접수된 사례들을 먼저 학대군으로 분류하였다. 노인학대를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경제적 학대, 방임으로 나누고, 케이스를 선택하여 상담자료를 요청하였다. 상담된 내용을 다시 정리하여 중복된 유형이 나타난 사례들로 중복학대실태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론적 배경에서 제시한 생태학적 관점과 가정폭력 노인학대 이론에 근거하여 사례의 경향들을 부연설명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 제시한 생태학적 관점과 부양을 근거로 한 노인학대 모델에 근거하여 학대피해노인에게 학대의 결과로 발생하는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경제적 학대, 방임 등의 피해영역을 신체적 학대와 정서적 학대가 함께 발생한 사례, 신체적 학대와 방임이 함께 발생한 사례, 정서적 학대와 방임이 함께 발생한 사례, 정서적 학대와 경제적 학대가 함께 발생한 사례, 3가지 이상의 학대가 동시에 발생한 사례로 정리하였다. 자기방임과 성적 학대, 유기는 제외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첫째, 중복학대의 유형은 기존 분류에 충실하게 나타나는가였다. 상담의 결과들은 기존 분류의 판정기준에 의해 ?X점이 맞추어져 있기에 다른 유형을 찾는 것은 중복학대의 유형을 두가지 이론에 비추어 재정리해보는 시도였다. 물론 기존 분류의 유형별 판정기준에 없는 학대의 유형들이 있었으나 상담자별 단어를 고르기가 각각이기에 새로운 유형을 만드는 노력은 시도하지 못했다. 둘째, 중복학대의 유형은 두가지 이론으로 설명되는가였다. 생태학적접근방법과 부양을 근거로 한 가족폭력의 이론은 서로 일치하는 부분이 많았다. 두 이론의 전개가 한 개 이상의 학대가 발생하는 중복학대에 대한 이론으로 적합하였으며, 사례별 상황분석결과도 그러하였다. 생태학적 접근방법은 노인피해자의 위험요인과 가해자의 위험요인이 학대를 유발한다는 것이고, 부양을 근거로 한 가정폭력 노인학대모델은 피해자와 가해자가 함께 하는 관계상황이 강조되었다. 셋째, 중복학대의 발생에 따른 학대유형의 재정의 또는 사회복지적 대응방안은 노화에 따른 신체 및 심리적 기능의 약화와 그에 수반되는 가정 및 사회적 고립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방안을 논의하였다. 가정폭력의 다른 유형들에서 관찰되어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노인에 대한 학대는 학대의 행위 그 자체도 문제이지만 학대행위가 한두 번에 그치는 것이 아니고 대체로 같이 사는 가족구성원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노인을 대상으로 한 학대의 행위들은 우리 사회에서 발생비율 및 심각성이 점점 더해가고 있고, 따라서 사회 전체가 관심과 책임감을 가지고 실질적인 대책마련을 서둘러야 할 시점이라고 판단된다. 노인학대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는 요인들을 살펴보면 크게 피학대 노인들의 경제적 의존도와 학대자의 특성을 들 수 있다. 특히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및 경제적 상황은 학대 발생의 가능성을 추측해 볼 수 있는 주요 변수들로 밝혀졌다. 그리고 노인 학대는 경제적․신체적 의존상태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사회적으로 쉽게 노출되기도 어렵지만 특히 우리 사회의 전통적인 가족윤리와 정부의 효를 중심으로 한 노인 정책은 더욱 더 노인 학대를 은폐시키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concepts of elder abuse types and understand the duplicate factors for abuse. For this purpose, the qualitative approach was used. From January 2009 to February 2010, the 116 cases (13 interview cases, 102 phone cases, and 1 online case) were collected in the Chungnam Province through elder abuse hotline. The registered elder abuse cases were first divided into abuse groups. The elder abuse cases were divided into physical abuse, emotional abuse, and economic abuse. Then from the categories, cases were selected and the counseling resources were requested. After understanding the content and reorganizing them, the duplicate type cases presented were identified to understand the duplicate abuse status. And from the proposed ecological perspective from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based on the domestic violence elder abuse theory, described more of the trend of the cases. Based on the proposed theoretical background and support from the ecological perspective, the model of elder abuse was created. Based on that model, the neglect and damage zone such as physical abuse, emotional abuse, and economic abuse, which were caused as a result of elderly abuse was organized into physical abuse and emotional abuse cases that occurred together, physical abuse and neglect cases that occurred together, emotional abuse and neglect cases that occurred together, emotional abuse and economic cases that occurred together, and 3 or more cases of abuse occurred together. Self-neglect, sexual abuse, and abandonment were excluded. The first research content was "does the duplicate type of abuse appear faithfully in the existing category?" The interview conducted prior was focused on the existing classification criteria so looking for a different type of redundancy in the light of theory was to attempt to redefine it through two kinds of types of abuse. Of course there were abuse types that existed i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but because each interviewer chose different words, they didn't put in the effort in creating a new type. Second, "does the duplication of the type of abuse is explained in two names of theories" Ecological approach and the theory of family violence on the basis of dependency had many partial matches. The development of two theories fir for the abuse that occurred over a redundant theory and the per instance situation analysis showed the same results. Ecological approach was an approach that risk factors of the elderly victims and risk factors the perpetrators cause abuse on the elderly and the elder abuse model based on domestic violence of supporting the elders, stressed the conditions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victim and the perpetrator. Third, the type of redundant occurrence of abuse due to financial abuse or corresponding social welfare measures discussed the aggressive intervention o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features of aging and the accompanying weakening of family and social isolation. Just like it has been observed in other types of domestic violence, the acts of abuse of elderly abuse in itself is a problem but it can be said that the severity of this issue that is abuse act does not end with one or two times and the abuse is usually by family members living with the elders. In fact, the abuse of elderly people is becoming more and more in incidence and severity in our society. Thus, the society as a whole needs to have substantial interest and commitment measure to deal with this issue in a rapid mat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