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관광학에서 인간의 주관성에 관한 현상학적 접근

        이보미 한국관광학회 2023 관광학연구 Vol.47 No.6

        이 연구는 인간의 주관성에 관한 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방법론에 결여되어 있는 현상학의 철학적 이념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현상학에는 이념과 방법이 혼재해 있으며 어떻게 보면 서로가 서로를 규정할 정도로 밀접한 연관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관광학에서 현상학은 주로 인간의 주관성에 관한 질적 연구의 방법론으로서만 접근되며 현상학의 궁극적이념이 아닌 자신들의 고유 이론으로 채워버리는 일들이 종종 일어나고 있다. 현상학은 주관이라는 존재를 객관적으로당연시하지 않고(방법론: 에포케), 주관이 우리에게 주어지는 방식에 집중하는 것이며(방법론: 현상학적 환원), 우리의경험이 우리의 주관을 결정하고 있음을 해명하는 것이다. 방법은 방법에 개시되는 현상학적 사상에 기초하여야 하고, 괄호 안의 방법론은 괄호 앞의 철학적 원리와 때놓고 생각할 수 없는 동전의 양면과도 같은 것이다. 현상학을 사태 그자체에서 제대로 규명해야 모든 존재통일체를 나 자신으로 그리고 의미를 가지고 의미를 부여하는 능력들을 가진 나의주관성으로 환원할 수 있다. 우선, i) 객관적 세계에서 주관적 세계에로의 귀환을 위해 심리학적 주관성과 현상학적 주관성을 비교 고찰하고, ii) 현상학적 주관성의 구성의 기원인 시간성, 생활세계, 신체성의 본질적 특성에 대해 논하면서 동등한주관성의 기틀을 마련한다. 이를 바탕으로 상호주관성의 의미를 드러내고 이는 곧 현상학이 함축하는 신체-주체적 자유로서 기존 자유 개념의 한계를 어떻게 넘어서는지 해명할 수 있을 것이다. 현상학은 자유의 궁극적인 의미를 드러냄으로써여행과 일상, 주관과 객관, 사실과 이론의 경계를 허물며, 끝내 의미로 가득 찬 우리들의 일상성의 참 모습을 더욱 풍부하고 철저하게 긍정할 수 있게 해주는 태도의 전환임을 일깨워 줄 것이다. Through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human subjectivity, this study seeks to explain the philosophical ideology of phenomenology that is lacking in its methodology. Ideology and methodology combine to form phenomenology, and in some ways, they are so intertwined that one defines the other. However, phenomenology is frequently employed in tourism sciences primarily as a methodology for qualitative research on human subjectivity, which is not phenomenology's primary objective. The goals of phenomenology are to clarify how our experiences shape our subjectivity, to avoid taking subjectivity for granted as something objective (epoke methodology), and to concentrate on how subjectivity is given to us. The phenomenological concepts presented in the method must serve as its foundation; the methodology in brackets is the converse of the philosophical principles in brackets. In order to reduce the unity of all existence to myself and my subjectivity with its capacity to create meaning and impart meaning, phenomenology must be correctly identified in the event itself. First, i) psychological subjectivity and phenomenological subjectivity are compared in order to move from the objective world to the subjective world. The foundation of equal subjectivity is then established by discussing the origins of the construction of phenomenological subjectivity, namely temporality, lifeworld, and corporeality. Based on this, the significance of mutual subjectivity is made clear, which in turn explains how phenomenology suggests a body-subjective freedom that can aid in going beyond the boundaries of conventional concepts of freedom. Phenomenology enables us to see the change in perspective that ultimately enables us to more deeply and thoroughly embrace the genuine nature of our everydayness, which is full of meaning.

      • KCI등재

        日本語に見られる主観性・間主観性の一考察 ─ 補語の省略・明示現象から ─

        権槿玲 한국일본학회 2018 日本學報 Vol.0 No.115

        본고는 일본어 보어의 생략 및 명시현상을 통해 주관성 및 간주관성을 고찰한 것이며 주관성의 정도성을 함께 고찰한다. 주관성 정도의 조건으로 “화자의 시제적 사태파악” “화자의 제어적 사태파악” “화자의 자기중심적 사태파악”의 세 가지를 설정한다. “시제적 사태파악”은 화자가 다루는 사태가 미래시점일수록 주관성이 강하다고 판단한다. “제어적 사태파악”은 화자가 사태를 제어할 수 있는 만큼 주관성이 강하다고 보며 “자기중심적 사태파악”은 화자가 사태와 청자 중 사태를 보다 의식했을 때 주관성이 강하다고 판단한다. 보어의 생략현상은 화자가 청자와 정보를 공유한다고 인식하므로 “제어적 사태파악” 및 “자기중심적 사태파악”에서 주관성이 약한 것으로 고려된다. 명시현상은 화자가 화제 안의 대상을 명시함으로써 화자 자신이 제어할 수 있는 영역에 있다고 판단되며 이는 화자가 청자보다 사태를 먼저 의식하여 발화하는 인지과정을 거친 것으로 판단되어 주관성이 강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주관성은 명시현상에서 보다 강하게 나타나는 반면 간주관성은 화자가 청자의 존재를 인식하는 것이 나타나는 생략현상에서 보다 강하게 보인다. 또한 이는 관련성이론에서의 관련성이 명시현상에서 보다 명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입증된다. This paper presents a study that explores the subjectivity and inter-subjectivity from ellipses and the explicit phenomena of Japanese complement. Furthermore, the degree of subjectivity is considered through these two phenomena. To consider the degree of subjectivity, I specified the following three points: "timely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which is judged to be stronger by speaking in the future tense, "the controlling situation of the speaker," which is judged by the speaker who is in control, and the "self-centered situation of the speaker," which is judged by considering the speaker’s situation more than that of the listener. In ellipsis phenomena, the speaker shares the complement with the listener and the degree of subjectivity is weak. In the explicit phenomenon, the speaker specifies the target which is in the controllable area of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was previously aware of the situation, thus the subjectivity is higher. The subjectivity is judged to be strong in terms of an explicit phenomenon, whereas inter-subjectivity is thought to be strongly indicated in the phenomenon of ellipses where listeners have a conscious existence. This is also supported by the fact that the theoretical relevance appears more clearly in explicit phenomena than in ellipsis.

      • 헤겔 종교철학의 이해를 위한 기초로서의 논리학적 개념들에 관하여

        박남일(Nam-il PARK) 대구가톨릭대학교 가톨릭사상연구소 2023 가톨릭사상 Vol.- No.67

        “체계 없이 철학을 하는 것은 학문이 결코 아니다”(Enz.1, § 1, 59-60)라는 말처럼 근본학문으로서의 논리학은 헤겔 체계 이해를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 종교철학의 여러 개념도 논리학의 기초 개념을 통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 논리학은 헤겔의 체계 안에서 근본적인 원리이며, 스스로 이미 전체성의 논리이다. 논리학은 있는 것, 즉 존재 전체에 관한 학문이며, 전체성 스스로 안에 있는 절대적 형태에 관한 학문이다. 논리학은 종교를 포함한 실제적 학문 영역의 추론을 위한 사고의 도구를 제공한다. 특별히 헤겔의 논리학은 헤겔이 서론에서 “자연과 유한적 정신의 창조 이전에 그 영원한 본질에 있어서의 신의 서술”(WdL.1, 44)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처럼, 종교철학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신에 대한 이해와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종교철학의 이해는 논리학의 빛 안에서 더 명확해진다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종교를 학문적으로 다룰 때, 논리적 인식방법은 그 바탕에 놓여 있어야만 한다.”(VR.3, 80)라는 헤겔의 말은 종교철학 이해를 위한 논리학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이라 할 수 있다. 논리학은 종교철학의 여러 주제에 관한 논리정연한 연역을 가능하게 해준다. 논리학의 중요한 개념들, 예를 들어 실재성, 가능성, 우연성, 필연성 등의 개념은 절대자와 이와 관련된 종교철학적 사고와 관련되어 있다. 특별히 주관성의 개념은 논리학뿐만 아니라 절대정신, 특별히 그리스도교의 해석에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그리스도교의 원리를 헤겔은 주관성이라고 부르는데, 이것은 신을 절대적 주관성 혹은 절대적 인격성으로 인식하는 유일한 종교가 그리스도교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절대적 주관성은 객관으로서 즉자대자적인 내용을 가진다. 절대적 주관성의 개념에서는 논리학과 종교철학이 일치를 이루는데, 이것은 논리적이며 절대적인 주관성이 종교철학적인 주관성과 구별되지 않기 때문이다. 주관성의 사유적 자기관계인 절대적 주관성은 종교철학적 고찰에서 절대자의 진리로 이해되기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As the saying goes, “Philosophy without a system is not a science at all”(Enz.1, § 1, 59~60), logic as a fundamental discipline provides the basis for understanding Hegel’s system. Many concepts in religious philosophy can also be understood more deeply through the basic concepts of logic. Logic is a fundamental principle in Hegel's system and the logic of totality. Logic is the study of what is, that is, the entire existence, and the absolute form within the totality itself. Logic provides thinking tools for reasoning in practical academic areas, including religion. In particular, Hegel's logic is connected to the understanding of God, which is closely related to religious philosophy, as Hegel says in the introduction, “It is a description of God in his eternal essence before the creation of nature and finite spirit.”(WdL.1, 44)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understanding of religious philosophy becomes clearer in the light of logic. Hegel's words, “When we deal with religion academically, a logical method of knowledge must be laid at its foundation”(VR.3, 80), can be sai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logic for understanding the philosophy of religion. Logic enables logical deductions on various topics in religious philosophy. Important concepts in logic, such as reality, possibility, contingency, necessity, etc., are related to the absolute and related religious and philosophical thoughts.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subjectivity occupies an important place not only in logic but also in the interpretation of absolute spirit, especially Christianity. Hegel calls the Christian principle subjectivity because Christianity is the only religion that recognizes God as absolute subjectivity or absolute personality. This absolute subjectivity is objective, and it has an in-itself content. In the concept of absolute subjectivity, logic and religious philosophy are consistent because logical and absolute subjectivity is indistinguishable from religious and philosophical subjectivity. Absolute subjectivity, which is the subjective self-relationship of subjectivity, has an important meaning in the philosophical consideration of religion because it is understood as the truth of the absolute.

      • Q 방법론의 주관성

        Amanda Wolf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0 Journal of Human Subjectivity Vol.8 No.2

        Subjectivity is at the heart of Q methodology. Many published Q-methodology studies justify the use of Q methodology on the grounds that it enables the ``scientific study of subjectivity``. However, as numbers of publications of applied Q-methodology studies have grown over recent years, specific attention to the conceptual components of the scientific study of subjectivity has decreased. This article draws from the work of William Stephenson to offer a fresh look at ``subjectivity``. It positions the consideration of subjectivity in the overall design of a Qmethodology study, which starts with selecting a topic of interest, and continues through indentifying the concourse, sampling from the concourse, setting conditions of instruction, Q sorting, finding operant factors, and gaining insights and understanding. Q methodologists who give close attention to conditions of instruction, are aware of the Q sorters`` connection to concourse, and look beyond simple factor interpretations to the ``modes of behaviour`` of individuals will produce studies with depth and insight. 주관성은 Q 방법론의 핵심이다. 발행된 Q 방법론의 많은 연구들은 ``주관성의 과학적 연구``가 가능하게 한다는 이유로 Q 방법론의 사용을 정당화시키고 있다. Q 방법론을 적용한 연구들의 많은 출판물들은 최근 증가했으나 주관성의 과학적 연구에 대한 개념적 요소들에 구체적 관심을 두는 연구는 감소했다. 본 논문은 윌리엄 스티븐슨의 연구에서부터 ``주관성``에 대해 신선한 시각을 제공하는 것까지 다루고 있다. Q 방법론 연구를 위해 흥미로운 주제를 선택하고 콘코스 확인을 계속적으로하고, 콘코스로부터 샘플링을 하고 지시조건을 만들고, Q 소팅, 조작적 요인 발견, 통찰력과 이해를 얻는 전체적 설계 내에는 주관성에 대한 고려가 자리를 잡고 있다. 지시조건에 대해 면밀히 연구하는 Q 방법론자들은 콘코스에 대한 Q 분류자들의 연관성을 알고, 그리고 개인의 ``행동방식``에 대한 단순한 요인 해석을 예견하는 것은 연구에 대해 깊고 통찰력있는 결과를 만들어 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더-’의 주관성과 주관화에 대한 인지적 접근 : ‘-더라’의 주어 인칭 문제에 대하여

        전휘(Tian, Hui) 숙명인문학연구소 2020 횡단인문학 Vol.6 No.1

        이 글은 ‘-더라’를 중심으로, 서술문에 쓰인 ‘-더-’의 주관성과 주관화를 ‘무대 모형’으로 설명하였다. ‘-더-’는 화자의 과거 경험을 전제로 하는 과거 관련 시제 형태이다. 이것은 ‘-더-’가 쓰인 문장이 반드시 화자를 참조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는 자기중심적 관찰 배열의 반영으로 상대적인 주관성을 띠고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 그러나 이때 참조 기준의 역할을 하는 화자는 문장에 명시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최대 지각 범위인 개념적 내용 안에 묵시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개념적 내용에 묵시적으로 존재하는 화자가 비동일 주어 제약의 해소와 동일 주어 제약을 통하여 일인칭 주어로서 문장에 명시적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은 관찰의 주체가 지각 관계에서 관찰의 대상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극단적인 자기중심적 관찰 배열의 반영이다. 이것은 ‘-더-’가 쓰인 문장이 최대의 주관성을 가지는 것에 해당된다. 요컨대 ‘-더라’의 비동일 주어 제약의 해소와 동일 주어 제약에 의한 주관성의 증가를 ‘-더-’의 주관화로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describes subjectivity reflected in the meaning of the retrospective tense deo which has restriction on subjective person as the stage model. The stage model reflects perceptual relationship between speaker and focus which are subject and object of observation. Optimal viewing arrangement which speaker is separated completely from the focus is an ideal situation in perceptual relationship. Hence, in most cases, speaker as a reference point with relatively objective observes the object of observation with relative subjectivity, called egocentric viewing arrangement in perception relationship. It is corresponds to the subjectivity of language. Deo which reflects egocentric viewing arrangement is a tense associated with the speaker’s past experience as a reference point, and so the sentence in which deo is used has relatively subjective. Though the speaker does not appear explicitly in the sentence, exists implicitly with relative objectivity in conceptual contents as maximal scope of perception. When speaker with maximal subjectivity becomes subject and object of observation, and it appears explicitly as I in the sentence in which deo is used, it is a result of increasing in subjectivity namely subjectification of deo.

      • KCI등재

        소방관과 경찰관의 ‘사용자 주관성’이 결정적 사고 관리 플랫폼에서 중요한가? - 연구 타당성과 신뢰성 검증을 강화하기 위한 Q방법론과 질문지법 결합 가능성을 중심으로 -

        김정훈 ( Junghoon Kim ),이동규 ( Dongkyu Lee ) 한국정책학회 2023 韓國政策學會報 Vol.32 No.3

        오늘날 자원의 배분이나 조정, 지휘 문제 해결을 위한 플랫폼이 활용되고 있지만, 플랫폼에서 중요한 사용자의 주관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노력은 미흡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현장대응에서 핵심적인 소방과 경찰을 대상으로 Q방법론을 통하여 플랫폼 사용자의 주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더 나아가 질문지법의 결합을 통하여 주관성 유형의 분포 및 인구통계학적 특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Q연구 결과 3개의 구분된 요인을 파악하였다(의사소통 우선시 유형, 체계적 계획 강조 유형, 정보의 조직화 중시 유형). 2차 설문조사 결과, 체계적 계획 강조 유형, 조직화 중시 유형, 의사소통 우선시 유형 순으로 주관성이 분포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이들의 경력이나 통합현장지휘체계 필요성, 결정적 사고 관리 플랫폼의 필요성 인식은 주관성 유형에 차이를 발생시켰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소방과 경찰이라는 사용자의 주관성을 통하여 결정적 사고 관리 플랫폼에 대한 다양한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Q방법론의 한계의 극복 및 양적연구와의 결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방법론적인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형 결정적 사고 관리 플랫폼 구축과 관련한 기술적·기능적 요구사항뿐 아니라, 다양한 법·제도적 요구사항과 관련한 우선순위를 확인하였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oday, various platforms are being used to solve the issues of the allocation of resources, coordination, and control. However, not enough effort has been made to understand the subjectivity of the important users of the platform. To address this issue, the researchers tried to use the Q method on firefighters and police officers who are critical in field respons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ubjectivity of the users of a platform. Further, the researcher combined this method with the questionnaire method in order to confirm the distribution of the types of subjectivity and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 researcher’s review of the Q method revealed three separate factors (communication-centered type, organized plan-centered type, and information organization type.) The second survey showed that subjectivity prevailed in the order of the organized plan-centered type, information organization type, and communication-centered type. Especially the difference in the types of subjectivity was caused by their experience, the need for an integrated field command system,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need for a critical accident management platform. This study implies that various priorities were identified on the critical accident management platform through the subjectivity of the users, who were firefighters and police officers. Also, the study provided a methodological implication that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Q method and combination with a quantitative study. Lastly, the study provides implications in policy development in that it indemnified not only the requirements for technicalities and functionalities for establishing a Korean critical accident management platform but also the priorities related to various legal and institutional requirements.

      • KCI등재

        헤겔의 형식적 주관성과 개인방송

        최행준 유럽문화예술학회 2019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0 No.2

        본 논문의 목적은 헤겔의 낭만적 예술형식에서 형식적 주관성에 관한 개념을 통해 개인방송의 문화적 의미를 포착하는 것이다. 개인방송이 공중파는 물론 케이블 방송 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기술력과 자본력 그리고 콘텐츠 구성 능력에서 월등한 공중파와 케이블 방송을 개인방송이 잠식하는 것은기현상이다. 급기야는 공중파와 케이블 방송이 개인방송의 콘텐츠를 모방하는 현상까지 일어나고 있다. 개인방송의 약진은 기술력과 자본력 그리고 콘텐츠 구성 능력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헤겔은 낭만적 예술형식에서 형식적 주관성을 서술한다. 그는 예술표현에서 형식적 주관성을 한편으로는 더 이상 아름답지 않은 예술, 지리멸렬해진 예술로 비하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이종적인것의 연쇄가 경이로운 예술, 생명성과 시간성이 응축된 예술, 정신이 감각성과 화해한 예술로 평가한다. 모든 예술에 대한 헤겔의 평가는 양가적이고 모순적이니 이행하는 예술 형식 속에서 드러나는예술 진리가 일면적임을 염두에 두며 전체 속에서 파악해야 한다. 필자는 개인방송의 콘텐츠가 헤겔의 형식적 주관성과 상응한다고 생각한다. 개인방송은 당위, 중심, 노정이 아니라 현실, 주변, 연쇄를강조하는 시대정신의 산물이다. 논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헤겔의 형식적 주관성이 갖는 위상을 헤겔의 예술철학과 낭만적 예술형식의 관계 속에 고찰한다(2장). 이 과정에서 절대적 내면성과 정신적 주관성이 낭만적 예술형식, 특히 형식적 주관성에 드러나는 방식이 밝혀진다. 둘째, 주관적 우연성과 있는 그대로의 대상성이 개인방송의 어떤 부분과 상응하는지 논의한다(3장). 이 과정에서 개인방송은 전문가를 지향하는 것과 평균 이하의 일반인을 지향하는 콘텐츠로 나뉘고, 일반인을 지향하는 콘텐트가 우연성 및대상성과 갖는 관계가 밝혀진다. 셋째, 예술가의 기술과 감각성의 심화 관점에서 개인방송을 검토한다(4장). 이 과정에서 헤겔이 진단한바, 기술과 감각성의 심화가 개인방송 콘텐츠 창작과 소비의 주요한 정신과 세계 상태임이 밝혀진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apture the cultural meaning of personal broadcast through the concept of formal subjectivity in Hegel 's romantic art form. Personal broadcast is encroaching the cable broadcasting market as well as the ground waves. It is a great honor for personal broadcasters to overcome ground waves and cable broadcasts that are superior in terms of technology, capital, and content composition. Suddenly, ground waves and cable broadcasting are taking place to mimic the contents of personal broadcasting. Personal broadcasting is not explained by technological power, capital, or content composition ability. Hegel describes formal subjectivity in the form of romantic art. On the one hand, he underestimates formal subjectivity in artistic expression as art that is no longer beautiful or that which has been eroded. But on the other hand, he valued the formal subjectivity as a marvelous art of a chain of heterogeneous, a condensed art of vitality and time, and a reconciliation art of mentality and sentience. Hegel's assessment of all arts is both ambivalent and contradictory, so keep in mind that the art truth revealed in the art form is limited. I think that the content of personal broadcasting corresponds to the formal subjectivity of Hegel. Personal broadcasting is not duty, center, or road, but is a product of the spirit of the era that emphasizes actuality, periphery, and chai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paper, first, I consider Hegel's formal subjectivity in the relation of Hegel's philosophy of art and romantic art form (Chapter 2). In this process, how absolute inwardness and spiritual subjectivity are exposed in the romantic art form, especially in formal subjectivity, are revealed. Second, I argue that subjective contingency and objectivity as it corresponds to personal broadcasting (Chapter 3). In this process, personal broadcasting is divided into contents aiming at professionals and below average, and contents aiming at below-average are found to have a relationship with contingency and objectivity. Third, I review personal broadcasting in terms of an artist 's skill and sensibility of deepening(Chapter 4). In this process, as Hegel diagnoses, it is revealed that the technology and the deepening of sensibility is the spirit and the world state of personal broadcasting contents creation and consumption.

      • KCI등재

        댄 그레이엄의 작품에서 나타난 상호주관성에 대한 고찰 -M. 메를로-퐁티의 지각이론을 중심으로

        정소라 ( So La Jung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6 美學·藝術學硏究 Vol.46 No.-

        본 논문은 댄 그레이엄의 1960년대 말 퍼포먼스에서부터 1970년대 비디오설치 작업과 파빌리온 작업을 메를로-퐁티의 신체 지각 이론을 통해 살펴보고자한다. 그레이엄은 자신의 작품에서 지각 자체를 실험함으로써 주체와 대상, 보는것과 보이는 것 간의 관계 그리고 주체와 타인 간의 관계에서 만들어지는 상호주관성에 대한 탐구를 해나간다. 이러한 탐구 과정에서 그는 관람자를 작품의 관찰자로서가 아니라 능동적인 행위자로서 설정한다. 그레이엄의 작품 분석의 한 축으로 가져올 모리스 메를로-퐁티의 지각이론은 모든 지식의 근원을 지각에서 얻을 수 있고 그 지각의 주체는 신체라는 것이 주장의 핵심이다. 메를로-퐁티는 우리 자신에 대한 인식 역시 지각을 기반으로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즉, 세계를 지각하는 것은 결국은 다시 지각하는 스스로를 향하게 함으로써 반성에 이르게 한다는 주장을 펼친다. 이런 관점에서 그는 타인역시 일종의 대상으로 보지 않고 세계라는 기반을 나와 공유하는 또 하나의 자아로 보았다. 나와 타인은 신체를 통해 내적 연결성을 지니고 있고, 다르게 표현하자면 살이라는 같은 조직으로 구성된 하나이지도 둘이지도 않은 관계에 놓여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메를로-퐁티는, 우리가 개별적 주관성을 먼저 확립하는 것이아니라 타인과 연결된 세계라는 기반 위에서, 즉 상호주관적 세계 위에서 자신의주관성을 갖게 된다는 입장을 취한다. 이와 같은 메를로-퐁티의 지각에 대한 탐구를 통해 얻어진 주체와 타인에 대한 고찰들은 고정된 개념으로서의 독립된 주체를 부정하려는 그레이엄의 입장과 맞닿아 있다. 지각을 통해 주체와 대상이 가역적으로 위치를 교환하며 자기인식이라는 과정에 이르는 것을 그레이엄의 작품에서도 읽어낼 수 있다. 또한 그레이엄은 지각의 과정에서 순수한 현존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타인, 상호주관성, 시간과 기억, 사회적으로 코드화된 의미들을 보여줌으로써 주장한다. 그레이엄이자신의 작품을 통해 드러내고 있는 것을 정리해보면, 첫째, 고정된 개념의 주체와대상을 부정한다. 그레이엄의 작품에서 관람자는 작품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관람자의 현존을 통해 작품의 의미는 비로소 생겨난다. 그러나 이때 관람자는 작품을 바라보고 있는 주체일 뿐만 아니라 보이는 대상이기도 하다. 둘째, 미니멀리즘과는 다르게 순수한 현존을 부정하고 주체가 지각할 때 얽혀 있는 여러 시간적, 공간적 맥락들을 보여주려 한다. 우리의 지각은 이러한 것들을 배제시킬 수가 없다는 것이다. 셋째, 하나의 개인이 아니라 타인과 만들어내는 사회 속의 주체를 드러내고자 한다. 이것은 결국 작품을 통해 상호주관성의 형성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그레이엄이 거울을 사용하든 비디오의 피드백 기능을 사용하든 그가 보여주려는 것은 자기 또는 타인을 바라봄으로써, 즉 지각함으로써 스스로에 대한 인식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다는 것은 지각에 이은 반성의 단계로 끌고 가며 주체, 즉 관람자는 보고 있는 자신을 보게 된다. 더 나아가 보고 있는 자신이 속한 맥락을 함께 지각함으로써 사회 속의 주체,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자신의 주체성을 깨닫게 된다. This study examines from performances in late 1960s to video installation art and pavilion works in 1970s through Merleau-Ponty``s theory of perception. Graham has explored the subject and the object, seeing and being seen, inter-subjectivity which mak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others by experiments of perception itself in his works. In this investigation process, he set up the viewer not as the observer of works but as an active performer. Maurice Merleau-Ponty``s theory of perception, which will be one of analysis of Graham``s works, mainly asserts that it can obtain every source of knowledge from perception and the subject of perception is the body. Merleau-Ponty asserted that the cognition of ourselves is also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is asserted that perceiving the world leads self-reflection to orient the perceiving subject. In this respect, he though other people as the other ego to share the world together, not as a kind of the objects. He thought that I have an internal connectivity through the body with other people, in other words, they are in neither one nor two relationship composed of the same organization, which is a flesh. Therefore, Merleau-Ponty took a position that we do not establish the individual subjectivity first, we have the subjectivity on the connected world with others, in other words, on the world of inter-subjectivity. This consideration about the subject and others from Merleau-Ponty``s study on perception meets Graham’s position to deny the independent subject as the fixed concept. The process which subject and object reversibly switch their positions through the perception and reach the self-awareness can be also read in Graham``s works. In addition, Graham asserted that pure presence was impossible in the process of perception, showing others, inter-subjectivity, time and memory and coded meanings in society. Summing up disclosures in Graham``s works, first, he denied the subject and object as fixed concept. In his works, viewer plays an important role to form the works. The presence of viewer completes the meaning of works. However, at this time the viewer is not only the subject to watch the works but also the object to be seen. Second, unlike minimalism, he denies pure presence and tried to show various entangled timely and spatial contexts when the subject perceived. Our perception cannot exclude these. Third, he tried to disclose the subject not as individual but as the subject in the society with others. Ultimately it shows the formation of inter-subjectivity through his works. In conclusion, whether Graham used a mirror or video feedback, he tried to show that the perceiving subject can reach his own perception, seeing oneself or others, that is, perceiving oneself. Seeing leads the step of self-reflection after the perception and the subject, viewer can see oneself who is seeing. Furthermore, the seeing one realizes the subject in the society and his subjectivity formed in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perceiving the context where he is

      • KCI등재

        日本語の文構成から見る主観性及び間主観性の考察 -主語、補語、述語の省略と明示を対象として-

        권근령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20 외국학연구 Vol.- No.52

        Japanese sentence structure is divided into subject, complement and predicate. It is considered that by omitting or clarifying these elements, the index of subjectivity and intersubjectivity is influenced. In this study, when the sentenc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subject, the complement, and the predicate are omitted or explicitly constructed, the subjectivity is analyzed by measuring the degree of subjectivity. As a result, it seems that the explicit phenomenon of predicate influences the subjectivity. It is considered that this is because the predicate has a function that means the speaking attitude of the speaker.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recognition of the speaker is most clearly expressed in the predicate. The subject has a weaker effect on subjectivity than the predicate, but it appears to have a certain effect because it expresses the speaker's viewpoint. However, since a complement is an element that exists to supplement the meaning of a predicate, it has little effect on subjectivity and intersubjectivity.

      • KCI등재

        日本語の述語部から見る主観性及び間主観性の一考察 ― 述語部の省略と明示を対象として ―

        権槿玲 한국일본학회 2020 日本學報 Vol.0 No.123

        본 논문은 일본어의 주관성 및 간주관성의 성질을 고찰하는 것으로 술어의 생략 현상 및 명시현상을 대상으로 분석한다. 또한 주관성의 정도성을 측정하는 것으로 분석을 진행한다. 술어의 생략현상에 있어서 화자는 청자가 생략부분에 대한 추측과 해석이 가능하 다는 점을 인식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청자는 자신이 추측 가능한 것이라고 판단하 고 해석하는 인지작용을 행한다. 술어의 생략현상에는 화자와 청자가 공동주의를 일 으키며 서로의 인지를 의식하는 것으로 보아 간주관성의 지표가 강하게 나타난다고 판단된다. 술어의 명시현상에서는 화자의 발화의도가 나타나는 술어를 명확하게 명시함으로 써 화자의 의사가 강하게 표출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화자는 술어의 명시현상 을 통해 화자가 의사를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한 언어 표출을 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술어부의 명시현상에서는 화자가 일방적으로 사태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의식표출을 하는 주관성이 강하게 나타난다고 분석하였다. 각 현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성이론으로 재분석한 결과 청자를 의식한 언어표출이 보이는 발화에서는 관련성 또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화자 와 사태의 이항관계에 집중한 발화에서는 청자가 기대하는 관련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This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plore subjectivity and inter-subjectivity from ellipsis and explicit phenomenon of Japanese predicate. To this end, an analysis was conducted by measuring the degree of subjectivity. In the ellipsis of the predicate, the speaker recognizes that a listener can guess and interpret the ellipsis. Furthermore, the listener performs a cognitive function that indicates that he can guess. In the ellipsis of the predicate, the speaker and listener raise a commonality. It was also found that the indicator of inter-subjectivity was strong. In the predicate explicit, it was identified that the speaker's intention was strongly expressed by clearly specifying the predicate that indicated the speaker's intention to speak. Analysis revealed that the speaker clearly expressed his intention through the explicit phenomenon of the predicate. Accordingly, in the explicit of the predicate, the speaker showed a strong subjectivity to determine the situation unilaterally and express his consciousness accordingl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each of the phenomenon, re-analysis was done using the relevance theory. Such re-analysis demonstrated that relevance also exists in statements which carried conscious speech expressions. However, in the statement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and the situation, the relevance that the listener expected was not pres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