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상생리대 사업의 젠더정치 : '생리빈곤'을 통한 여성청소년 문제의 재구성과 선택적 개입

        탁수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7

        This thesis analyzes how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by government and private institutions have reconstructed the "adolescent girls’ problem" from a feminist perspective. These programs have been introduced since the 2016 "insole girls" scandal — an issue about a girl who could not afford to buy sanitary pads and used shoes' insoles instead. The "insole girls" scandal was an unverified incident, in which it is unclear whether the "insole girl" really existed or whether the incident occurred. The scandal originated from a tweet on Twitter regarding a controversial debate about the announcement of the price-raising plan by Yuhan-Kimberly, the dominant producer of feminine hygiene products in Korea. The tweet mentioned, "I heard that a friend of mine used shoe insoles instead of sanitary pads." Korean media outlets reported the tweet extensively under the headline "insole girls" scandal. After the news broke, the government and private institutions, such as corporations and NGOs, introduced and implemented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for adolescent girls in low-income households as an "emergency plan" to address the issue. In the process, adolescent girls' poverty and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agendas, which require long-term and structural solutions, were subsumed under procedural discussions on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emphasizing the seriousness of "period poverty."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process and effect of reducing the difficulties of adolescent girls' lives to "period poverty" and sanitary pads from a gender perspective. To this end, this thesis conducts literature reviews, critical discourse analyses, and in-depth interviews. Accordingly, it requires the analysi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laws, articles, and images related to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Additionally,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early March to the end of August 2021 with 16 "beneficiaries" of the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and ten other program participants, including activists from civil society organizations,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the local government, and companies. Key finding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became a place where the various contexts and needs of the government and private institutional actors converged. This thesis places the sanitary pad voucher program, organiz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within the context in which women's agendas have been institutionalized as "social services," focusing on family policies as low birth rate solutions since the 2000s. During the Kim Dae Jung and Roh Moo Hyun governments, the women's movement agendas that infiltrated national organizations were institutionalized as family agendas, such as childcare. The governments institutionalized women’s or family agenda as "services" with specific targets through the social service voucher system introduced in the new public management administration. The sanitary pad voucher program, introduced in 2019, was a sort of extension of the existing women's policies, focusing on supporting "unprivileged women" through social services and not on structural inequality and discrimination issues. Meanwhile, private companies articulated their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with language such as "rights," "care," and “empowerment.” They sought to represent themselves as companies contributing to social change, being more "careful" institutions tha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Following the "insole girls" scandal, NGOs expanded their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to Korea, conducted in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sphere targeting the "Global South." NGOs have adopted new "crisis" representation strategies suitable for Korean society, mobilizing the "insole girls" scandal as primary advertising material for fundraising. In the field of Korean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through which the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partner, the heterogeneous contexts and needs of government and private institutions converged into one goal: supporting sanitary pads for adolescent girls in low-income households. Second, the discourse of the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reveals how adolescent girls' agendas are problematized in Korean society and the dynamics in which adolescent girls are positioned as "deserving" subjects to receive public resources. In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the government and private institutions appeal for patriarchal protection and relief for "girls at risk," using patriarchal paternalism discourse, or emphasize that the "same starting line" should be provided in adolescence using liberal fair discourse. They also position the programs as investments in "productivity" regarding the family or population relative to adolescent girls' ability to reproduce, using the low birth rate frame, an essential topic of women's policy in Korea since the 2000s. Alternatively, they emphasize the gendered and classified normative sexuality of "girls at risk." As such, although the "insole girls" scandal is referred to as a "poverty" issue among adolescent girls, the process of intervening to address the problem has been dominated by rhetoric emphasizing adolescent girls' reproductive health and the need for protection and the provision of "equal opportunity" in adolescence. Third, the belief that "protecting" adolescent girls through sanitary pad support instead becomes a mechanism that invisiblizes the complex difficulties of adolescent girls' lives, where age, gender, sexuality, and class intersect. The idea of caring for adolescent girls with segmented services such as sanitary pad voucher programs makes it challenging to possess a holistic perspective on the needs and competencies of these lives. Meanwhile, like other program participants, "beneficiaries" are also the subject of recognizing and interpreting the "insole girls" scandal or the advertisements of the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The "beneficiaries" also view and analyze the stigmatized figure of “girls at risk” represented in the program, reconstructing the meaning of the support they receive. Thus, adolescent girls who participated in this thesis sometimes ignored the programs, refused to identify themselves in the "beneficiary" category, or were internally conflicted while strategically using the grammar of the dominant discourse necessary to be considered a "deserving beneficiary." This thesis argues that critical feminist inquiry should intervene in the existing trend in which adolescent girls’ menstruation is problematized and “protected” by the government and private institutions in a patronizing manner. This ‘selective’ protection ignores the complex challenges and needs of adolescent girls’ lives, thereby making it more challenging to find comprehensive and structural solutions to adolescent girls’ poverty and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agendas. This thesis contributes to feminist knowledge on policies and programs regarding Korean adolescent girls. This thesis also aims to further politicize the feminist discourse on sanitary pad distribution programs by situating and analyzing the programs in the larger Korean gender politics. 본 논문은 2016년 ‘깔창생리대’ 사건 이후 정부와 민간의 무상생리대 사업이 어떻게 ‘여성청소년 문제’를 재구성하고 선택적인 개입을 제도화, 상품화해왔는지를 분석한다. ‘깔창생리대’ 사건은 사실상 그 당사자의 존재나 사실여부 등의 실체가 불분명한 사건이었다. 이는 국내 주요 생리대 제조업체인 유한킴벌리의 생리대 가격 인상 계획 발표에 대한 논란이 일던 가운데 한 트위터 이용자가 ‘내 친구가 생리대 대신 신발 깔창을 사용했다더라’고 남긴 트위터 게시글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국내 언론사는 해당 게시글을 ‘깔창생리대’ 사건이란 명명과 함께 대대적으로 보도하였고, 정부와 민간은 해당 사건에 대한 ‘긴급대책’으로서 저소득층 여성청소년 대상 무상생리대 사업을 도입‧시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장기적이고 구조적인 해결책을 요하는 여성청소년의 빈곤 및 성‧재생산 건강 의제는 ‘생리빈곤’의 심각성에 대한 강조와 생리대 지원 사업에 대한 절차적 논의로 수렴되어갔다. 본 논문은 이처럼 여성청소년의 어려움이 ‘생리빈곤’으로 환원되었던 과정과 효과를 젠더 관점에서 분석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문헌연구, 비판적 담론 분석, 심층면접 방법론을 활용한다. 연구자는 여성청소년 대상 무상생리대 사업과 관련된 정부‧지자체 법령, 기사, 이미지 등을 분석하였고, 2021년 3월 초부터 8월 말까지 무상생리대 사업의 ‘수혜자’ 16명 및 지자체, 기업, NGO, 시민사회단체 등 ‘기타 사업참여자’ 10명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상생리대 사업은 정부와 민간 기관 행위자들의 각기 다른 맥락과 필요가 만나는 장이 되었다. 본 논문은 여성가족부 주관 생리대 바우처 사업을 2000년대 이후 여성의제가 저출산 대책으로서의 가족정책을 중심으로 ‘사회서비스’화되어온 맥락 아래 위치시킨다. 김대중‧노무현 정부 시기 국가기구에 진출한 여성의제는 아이돌봄 등의 가족의제를 중심으로 제도화되었다. 이때 여성/가족 의제는 신공공관리(New Public Management) 행정의 일환으로 도입된 사회서비스 바우처 제도를 통해 각기 구체적인 표적을 지닌 ‘서비스’로 제도화되었다. 2019년 도입된 생리대 바우처는 그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서, 구조적 불평등과 차별보다는 사회서비스를 통해 ‘저발전된 여성’을 지원하는 데 집중하는 기존 여성정책의 흐름을 따랐다. 한편, 민간 기업은 무상생리대 사업을 ‘권리’, ‘돌봄’, ‘역량강화’의 언어와 접합시켰고, 이를 통해 사회변화에 기여하는 기업이자 정부‧지자체보다 ‘세심한’ 돌봄을 제공하는 기관의 위치를 점하고자 했다. NGO는 ‘깔창생리대’ 사건을 기점으로 국제개발에서 글로벌 남반구를 대상으로 진행해오던 생리대 지원 사업을 국내로 확장했다. NGO는 국내 사업 모금광고에 ‘깔창생리대’ 사건을 주요한 광고 소재로 동원하는 가운데, 한국사회 맥락에 걸맞은 새로운 ‘위기’ 재현 전략을 취했다. 민관협치 형태를 띠는 무상생리대 사업의 장에서, 이 같은 정부와 민간의 이질적인 맥락과 필요는 저소득층 여성청소년 대상 생리대 지원이라는 하나의 목표로 수렴되었다. 둘째, 무상생리대 사업 담론은 한국사회에서 여성/청소년 의제가 문제화되는 방식 및 여성청소년이 공적 자원을 배분 받을 ‘자격’이 있는 주체로 위치 지어지는 동학을 드러낸다. 무상생리대 사업은 가부장적 온정주의 담론을 통해 ‘위기 소녀’에 대한 가부장적 보호와 구제를 호소하기도 하고, 자유주의적 공정 담론을 통해 청소년기에 ‘같은 출발선’을 제공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기도 한다. 또한 2000년대 이후 여성정책의 주요 화두가 된 저출산 프레임을 경유하여 무상생리대 사업을 여성청소년의 몸이 지닌 (가족/인구 재생산의 측면에서의) ‘생산성’에 대한 투자로 위치시키기도 하고, 성별화되고 계급화된 ‘위기 소녀’의 규범적 섹슈얼리티를 강조하기도 한다. 이처럼 ‘깔창생리대’ 사건은 소위 여성청소년의 생리‘빈곤’ 문제로 일컬어지지만, 그에 대한 개입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는 빈곤보다는 여성청소년의 재생산 건강, 청소년기 기회의 평등 및 보호의 필요성 등을 강조하는 수사가 지배적이었다. 셋째, 생리대 지원을 통해 이들을 ‘보호’한다는 믿음은 도리어 나이, 젠더, 섹슈얼리티, 계급이 교차하는 복잡다단한 삶의 어려움을 비가시화하는 기제가 된다. 생리대 바우처 같은 분절적 서비스로 여성청소년을 돌본다는 발상은, 이들 삶의 필요와 역량에 대한 총체적인 관점을 갖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 한편, ‘수혜자’는 여타 사업 참여자들과 마찬가지로 ‘깔창생리대’ 사건이나 무상생리대 사업 광고를 접하고 해석하는 주체이기도 하다. ‘수혜자’들 역시 무상생리대 사업에서 재현되는 낙인화된 ‘위기 소녀’ 형상을 보고 해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자신이 받는 지원의 의미를 재구성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 참여한 일부 여성들은 생리대 지원을 외면하거나 ‘수혜자’ 범주와 동일시하기를 거부하기도 했고, ‘자격 있는 수혜자’로 여겨지기 위해 지배 담론의 문법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가운데 내면적 갈등을 느끼기도 했다. 본 논문은 정부와 민간에 의해 여성청소년의 월경이 시혜적인 방식으로 문제화되고 ‘보호’되는 작금의 경향에 대한 여성주의 관점의 비판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선택적’ 보호가 복잡다단한 여성청소년의 삶의 어려움과 필요를 생리대로 환원한다는 점, 그로써 여성청소년의 빈곤 및 성‧재생산 건강 의제에 대한 포괄적이고 구조적인 문제해결 모색을 어렵게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 같은 본 논문의 분석 내용은 기존의 가출, 성매매를 비롯한 ‘위기’ 경험 중심 여성청소년 담론이 2010년대 중반 ‘생리빈곤’을 중심으로 전환되었던 과정을 포착하고 그 정치적 함의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십대 여성에 대한 정책적‧사회적 개입과 그 함의를 다루어온 여성주의 지식에 기여한다. 또한 본 논문은 한국사회에서 여성청소년의 빈곤과 섹슈얼리티가 다루어져온 역사적, 정치적 맥락 속에 무상생리대 사업을 위치 짓고 비판적 질문을 제기한다는 점에서, 무상생리대 사업의 연령‧소득기준, 시행절차 등에 집중되었던 기존 여성운동 의제를 확장하는 실천적 의의를 지닌다.

      • 김말봉의 『찔레꽃』과 대중작가선언의 젠더정치 연구

        김혜경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6

        이 논문은 1930년대 대표적 대중소설인 김말봉의 『찔레꽃』에 함의된 젠더정치에 주목하되, 매체, 독자 등의 문제에 대해서도 부수적으로 고려함으로써 중층적 이해에 도달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요컨대 김말봉이 식민지 여성작가로서 남성중심적 문학장을 돌파하기 위해 언론매체의 힘을 빌려 대중에 호소하고자 했던 것이라면, 대중성과 젠더의 문제는 상호구성적일 수밖에 없다. 이 둘의 결합에서 어떤 긍정성과 부정성이 산출되었는지를 검토하는 작업에 필자는 집중하고자 했으며, 이를 위해 지금껏 연구에서 그다지 중시되지 않던 대중작가선언에 주목하게 된 것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이다. 물론 그의 대중작가선언은 당대 문학장의 남성중심성을 돌파하려는 의도였고, 이와 동시에 자신의 생활고에 따른 선택이기도 했다. 하지만 그의 선언은 이러한 젠더정치나 작가의 빈곤이라는 개인적 요인을 넘어 좀더 적극적인 해석도 가능하다. 무엇보다도 본격문학의 시장이 아직 확립되지 않은 과도기였던 당대 문학장의 모순적 상황을 바로 직시했던 김말봉은 자신의 선택을 당당하게 밝혔다는 점에서 주목할 가치가 있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김말봉은 무엇보다 좋은 글을 쓰고 싶었지만 당대문단의 남성엘리트 중심성에 가로막혔으며, 생활고 또한 심각했다. 이러한 현실을 타개할 방법은 당대 대중과의 직접소통이 가장 유효할 것이라고 그는 판단했고, 대중작가선언은 그러한 자신의 결정에 따른 상징적 표현으로 ‘와야 할 미래의 현재화’를 위한 시도였다. 즉 김말봉은 문단의 남성중심성을 돌파하기 위해, 그들보다 더 큰 권력을 지닌 신문자본을 적극 활용하기로 했던 것이다. 1930년대 민간신문들이 본격적으로 기업화되기 시작하면서, 김말봉은 이 상업성(대중성)에 주목했고 신문 매체의 힘을 활용해서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김말봉은 대중작가선언과 『찔레꽃』 연재를 통해 독자대중의 호응을 유도해냄으로써 문학장의 남성중심성에 균열을 만들고 자신의 생활고 역시 해결할 수 있었다. 물론 문단의 중심성을전복시키려는 의도가 있었던 만큼 용기를 필요로 하는 일이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분명한 것은 김말봉의 선언은 자신의 ‘미래를 앞당기려는’ 기획이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신문기업의 힘을 빌린다 함은 ‘양날의 칼’일 수밖에 없었다. 민간신문의 기업화는 주로 식민지적 근대화에 따른 도시독자들의 오락물에 대한 욕구, 그리고 식민권력의 검열강화와 관련되는 것이었으며, 그들이 요구하는 대중성 역시 이와 유관하다. 신문자본에의 의존으로만 문학장의 모순을 돌파한다는 선택에는 한계도 따른다. 그 한계란 바로 신문 연재소설은 독자대중의 고정관념을 상당히 민감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것, 즉 역으로 종속되기 쉽다는 점이다. 물론 실제로도 그는 자신의 작품에서 대중의 반응을 중시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대중들의 기대지평에만 일방적으로 매몰되지 않는 모습도 발견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특히 『찔레꽃』에서 기생을 주인공과 대비되는 인물로 설정했다는 점은 대중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선택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기생을 문학에서 재현하는 방식에서는 기대지평을 배반하는 작가의 목소리도 적극적으로 드러난다는 점에서 그가 지향하는 대중성의 성격을 알 수 있다. 결국 김말봉의 대중작가선언은 순수한 자발적 의지에서라기보다는 여성작가를 타자화하는 당대 문학장의 남성엘리트권력과 검열강화라는 식민지권력의 이중 억압을 피하면서도 글을 써서 자신의 현실적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행해졌을 타율적 성격이 강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김말봉의 대중작가선언은 단선적으로만 인식해서는 안 되며, 선언을 둘러싸고 있는 정치적․문화적․시대적 배경과 관련지음으로써 복합적으로 인식해야 하는 선언이라는 것이다. 당시 순수문학만을 고집하던 문단을 향해 “순수귀신을 몰아내라”는 식의 그의 격정적 발언들이 대중작가선언으로 갈음되기도 하지만 본격문학에 대한 양가성이나 검열에 대한 저항 의식 등도 분명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므로 식민지 여성작가가 민족과 젠더의 이중적 억압상황에 놓여있었다면, 김말봉의 대중작가선언은 이런 억압을 동시에 돌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낸 것이라 평가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ttain a inter-layered understanding by delving into the gender politics conveyed in Kim Mal-bong's Wild rose Flower a prominent popular novel from the 1930s, while also incidentally exploring topics related to media and readership. In essence, if Kim Mal-bong, a colonial female writer, aimed to connect with the public and challenge the male-dominated literary landscape by harnessing the influence of the media, the interplay between popularity and gender becomes pivotal. The primary focus was to analyze the positive and negative outcomes stemming from this convergence. In this regard, particular attention was given to the declaration of popular writers, an aspect that hasn't received significant attention in prior research. Certainly, her declaration as a popular writer aimed to challenge the male-dominated nature of the contemporary literary landscape, but it also stemmed from the challenges she faced in her own life. However, her declaration can be viewed in a more positive light, transcending the confines of gender politics and personal hardships like poverty. Above all, the significance lies in the fact that Kim Mal-bong, confronted with the complex dynamics of the literary world during a transitional period when a mature literary market had yet to take root, proudly proclaimed her choice. Kim Mal-bong aspired to become an exceptional writer above all else, but she found herself obstructed by the male-dominated literary landscape of her time, compounded by her own challenging life circumstances. In her assessment, direct engagement with the contemporary public was the most effective means to surmount this reality. Thus, her declaration as a popular writer served as both a symbolic expression of her resolve and an endeavor to 'usher the future into the present.' Essentially, Kim Mal-bong opted to actively harness the influence of newspapers, which held greater sway than the literary elite, in order to dismantle the male-centric literary world. As the 1930s saw the earnest commercialization of private newspapers, Kim Mal-bong astutely recognized the potential within this realm of popularity and endeavored to address practical issues by leveraging the power of the media. By stimulating a positive response from readers through her declaration as a popular writer and the serialized publication of Wild rose Flower Kim Mal-bong succeeded in cracking the previously impervious shell of the male-dominated literary realm and resolving her own life challenges. Undoubtedly, this endeavor demanded considerable courage, given that it aimed to disrupt the entrenched literary establishment. Nevertheless, it remains evident that Kim Mal-bong's declaration was a strategic plan to 'advance the future'. However, harnessing the influence of a newspaper company was a double-edged sword. The commercialization of private newspapers was primarily driven by the urban readers' thirst for entertainment in the wake of colonial modernization and the tightening grip of colonial censorship, and this demand for popularity was intricately linked to these developments. Relying solely on newspaper capital to navigate the literary landscape's complexities also came with its set of limitations. One of these limitations was the need for sensitivity to prevailing reader stereotypes in crafting newspaper serialized novels, making them susceptible to subordination. While the author did emphasize the public's response in her work, it's worth noting that she didn't confine herself solely to public's horizons of expectations. Particularly intriguing is the choice of portraying Gisaeng as a character contrasting with the protagonist in Wild rose Flower a choice that piqued the curiosity of the public. However, within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Gisaeng, the author actively voiced perspectives that challenged the expected narrative, revealing the nature of the popularity she aimed to cultivate. Kim Mal-bong's declaration as a popular writer emerges not from a purely voluntary will, but as a strategic response to her own practical challenges. It's an act of defiance against the dual oppressions of the male-dominated literary elite, which often otherized female writers, and the intensifying censorship by colonial powers. This declaration should not be viewed from a one-dimensional perspective but as part of a complex tapestry woven from the political, cultural, and historical contexts of the time. Her forceful critiques, like "cast out the ghost of purity", aimed at the literary establishment's insistence on pure literature, signify not just a shift towards popular writing but also reveal an underlying ambivalence towards authentic literature and a strong resistance to censorship. In a parallel context, colonial female writers, grappling with the double burden of ethnic and gender oppression, find resonance in Kim Mal-bong's stance. Her declaration, therefore, can be seen as a pathfinder in breaking through these overlapping layers of suppression. Relying on the power of newspaper corporations inevitably resembled handling a double-edged sword. This dependency was largely a result of the colonial modernization that fueled urban readers' desire for entertainment and was closely linked to the increased censorship by colonial authorities. The popularity that these newspapers pursued was related to these factors. Choosing to address the contradictions of the literary field solely through newspaper capital had its own set of limitations. One significant limitation was the need to be acutely aware of the entrenched views of the reader public in serialized newspaper novels, making them prone to a certain degree of influence. Kim Mal-bong displayed an attentive approach to public reactions in his works. However, he did not completely succumb to public expectations. His decision to cast a courtesan as a contrasting character to the protagonist in Wild rose Flower was a tactic to stimulate public interest. In portraying the courtesan, the author’s voice actively challenges these public expectations, thus revealing the nature of the popularity Kim Mal-bong sought. Therefore, Kim Mal-bong's declaration as a popular writer had a predominantly influenced nature. This approach was more about finding a way to navigate the dual pressures of the male elitist power in the literary field, which marginalized female writers, and the heightened censorship by colonial authorities, while also addressing his own practical problems. This means Kim Mal-bong's declaration as a popular writer requires a multifaceted understanding, considering the encompassing political, cultural, and historical backdrop. His forceful statements targeting the literary circles committed to pure literature, which later transformed into his declaration as a popular writer, also reflected an ambivalence towards serious literature and a mindset of resistance against censorship. Hence, given the dual oppression faced by colonial female writers in terms of nationalism and gender, Kim Mal-bong's declaration can be seen as an effort to discover an approach to overcome these concurrent challenges.

      • 한국 축첩 관습 폐지에 관한 연구

        이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03

        이 연구는 근대 한국에서의 축첩 관습 폐지 과정에 대하여, 1920년대 신여성으로부터 시작되어 1950~1960년대 법 개정을 위해 사회운동을 벌인 초기 한국 페미니스트들의 활동까지의 흐름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1922년부터 1962년까지 축첩반대 투쟁을 벌인 주인공이 누구인지, 그들이 축첩 관습 폐지를 위해 무엇을 했는지, 어떤 이유로 성공하거나 실패했는지와 같은 핵심 쟁점들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하여, 뉴스, 잡지, 법 제정 과정 속기록 등 역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했다. 해당 과정은 1920-1930년대 근대 교육을 받은 신여성이 시작한 계몽 단계, 식민지 근대 법제화에 의존한 단계, 그리고 젠더 정치의 힘을 통해 입법 과정에서 여권신장을 할 수 있게 하는 여성운동 단계를 거쳐 이루어졌다. 세 단계의 투쟁 끝에 여성에 의해, 여성을 위해 진행된 사회 운동은 정부 차원의 관심을 불러일으켰으며, 결과적으로 여성운동가들이 주도한 사회 운동은 축첩 관습의 종말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다. The study focused on the abolishment of concubinage in modern Korea, which an issue started from Sin-Yosong in 1920s until the early Korean feminists acted with social movements fought for legislation changes in 1950-1960s. To answer the question of who played against the concubiange system, what they did for anti-concubiange, and for what reason they succeeded or failed in their time, using texual anylysis, this study observed historical resources contained news, magazine and records of the legislative process from 1922 to 1962. Women's activism against concubiange went through three phases: In the 1920s and 1930s, the ‘new woman’ who conducted modern education, the operation of the law that relied on colonial modern legalization, and the formation of the women's movement that allowed women to increase their power in the legislative process through the power of gender politics in the 1950s and 1960s. After three stages of struggle, it was to be women-initiated social movements in the streets that called the attention of the governmet and finally sounded the bell for the end of concubinage.

      • 한국근대문학과 식민지의 '사적 영역' : '경제적 개인'의 성적 구성

        강지윤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01

        이 논문은 한국근대문학의 ‘사랑의 서사’가 자본주의와 맺고 있는 성적(性的) 구성의 특성을 ‘사적 영역’의 식민지적 성격을 고찰함으로써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근대문학의 탄생 과정에서 ‘사랑의 서사’가 ‘자유연애’ 담론을 통해 ‘자유로운 개인’이라는 근대적 주체를 주조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동시에 근대적 주체의 탄생 과정은 자본주의 상품 시장 속에서 근대성을 체험하고 또 소비의 주체로서 ‘개인’의 정체성을 학습하는 것이기도 했다. 무엇보다 ‘자유연애’는 자본주의 시장 경험을 핵심적으로 수행했다. 그러나 ‘사랑의 서사’가 ‘감정’이나 ‘내면’의 통해 매개한 ‘개인’에 대한 상상과 식민지의 자본주의 시장에서 계발되기 시작한 경제적 개인주의라는 관념은 곧 서로 적대감을 드러내게 된다. 이후 한국근대소설사는 식민지기를 관통하며 ‘사랑’과 ‘돈’의 적대라는 모티프를 반복 변주함으로써 자신의 기원적 이야기인 ‘사랑의 서사’를 ‘다시쓰기’하고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근대소설을 발명한 서구에서도 자유연애를 통한 결혼과 부르주아 가정의 이데올로기적 문제성은 근대소설의 핵심적 주제 중 하나이지만 한국근대소설에서 부부와 연인의 성적 관계의 갈등과 모순은 식민지 조선에 착근되기 시작한 자본주의적 체제 하의 ‘돈의 지배’에 훨씬 더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서사화된다. 한국근대문학의 ‘사랑의 서사’가 자본주의와 맺고 있는 특성을 사유해보기 위해서는 ‘개인’이라는 근대적 주체와 ‘공적영역/사적영역’이라는 구도의 식민지적 특수성을 재구성해 서사적 구조의 배경으로서 조감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식민지에서 ‘개인’이라는 근대적 주체성과 ‘사적 영역/공적 영역’의 문제는 ‘국가’와 ‘민족’이 배리되는 상황과 관련하여 복잡하고 역설적인 성격을 띠게 된다. 천황제 가족국가라는 발상을 내면화해온 일본이나 강력한 민족주의와 해방 후 국가주의를 경험한 한국에서 사적 영역은 이념적으로 비대한 공적 영역의 지배하에 있었던 것으로 체험되었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일본의 천황제 가족국가 관념이 개인을 국가의 세포로 이해하고 소속의 논리를 절대화해 충성을 당위적 덕목으로 이해했다면 일본 제국 하의 식민지 조선에서는 국가와 개인의 관계에 ‘민족’이라는 또 다른 변수가 작용했다. 이러한 차이는 식민지 조선에서 일본의 경우와도 다르게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 사이의 이데올로기적 의미 연관을 찾는 것을 어렵게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조선민사령이 사권(私權)의 거점을 재산권에 국한했다는 사실에서 보듯이 정치적 주권이 없는 식민지에서 ‘개인’은 제도적 측면에서 ‘경제적 개인’으로 특화되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인민주권의 상상에 기반한 정치적 대의 제도가 없었던 식민지에서 ‘개인’의 의미가 공적 기구 안에서 수행성을 갖는 과정은 자본주의적 적응으로 수렴되어 갔을 것이다. 말하자면 식민지 조선의 근대성 경험은 ‘개인’을 경제적 영역에 고착시키는 성격을 갖는데 동시에 이는 ‘개인’의 의미화 그 자체를 중층적으로 방해하고 있었다. 이러한 ‘개인’은 전근대의 가부장적 신분귀속으로부터도, 제국주의 국가의 지배로부터도, ‘민족’이라는 공동체로부터도 독립분화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위치에 놓여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 때 ‘경제적 개인’이란 기본적으로 남성-지식인을 의미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낭만적 사랑’을 통해 한국근대문학에 ‘자유로운 개인’의 의미를 도입한 ‘사랑의 서사’는 식민지적 자본주의가 ‘개인’과 ‘사적 영역’에 가한 이 같은 모순이 가장 민감하게 포착될 수 있는 지점이었다. This dissertation explores the sexual relation between the ‘narrative of love’ and capitalism in Korean modern literature by looking at the coloniality that structures the private sphere. In the formative process of establishing Korean modern literature, the ‘narrative of love,’ along with the discourse of free love, plays a pivotal role in shaping the modern subject, or the individual. The modern subject is also assembled by its own experience of modernity as subject of consumer in the capitalist market. In this course, the discourse of free love performs a greater part of the individual’s experience of capitalism. Yet, the sense of the individual appears to be contradictory due to their different routes of development: on the one hand, the individual is imagined through its emotion and internality; on the other hand, the individual is represented through the newly developed notion of economic individualism in colonial capitalism. In this regard,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fiction is in its constant reconstruction through mobilizing a particular motif ? the antagonism between ‘love’ and ‘money’? repetitively yet differently. While the love and marriage through free choice and the ideology of the bourgeois family have been established as prevailing themes within the context of Western literature, it is colonial capitalism that more intimate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on the sexual relation and its contradiction between couples and lovers in the narrative of Korean modern novel.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narrative of love’ and capitalism in Korean modern literature, it is necessary to trace the narrative structure in which the individual as modern subject is reformulated in the dichotomy of private and public spheres. What complicates the issue of the individual as well as the private and public spheres is the negation of nation/state. In the case of Japan that presents the Emperor System as standard norm or that of Korea that develops strong ethnic nationalism and statism after liberation, the private sphere appears to be under the public sphere’s dominance. In addition, while the Japanese idea of Emperor System places the individual as cell of the state by mobilizing the logic of absolute belonging to the family-state, colonial Korea under Japanese rule has another crucial factor that complicates the relation between the state and the individual: the nation. The issue of nation in colonial Korea thus renders finding ideological meaning in the private and public spheres difficult. As the fact that the Chos?n Civil Affairs Ordinance confines the private right to the property right alone, the individual is strictly formed as economic individual in the level of social system in colonial Korea. Since neither political sovereignty nor the representative democracies as political system exists in colonial Korea, it is clear that the individual becomes performative while appropriating and adapting themselves to capitalistic logic. Put differently, modern experience in colonial Korea places and even confines the individual to the economic domain, yet simultaneously it interferes the making of the individual. The individual, specifically the male elite in my analysis, faces more difficulties in being separated as independent subject from the premodern patriarchal social hierarchy, the imperial domination, and finally, the nation. The ‘narrative of love’ that incorporates the liberal individual into Korean modern literature is, therefore, the site in which the contradiction of colonial capitalism imposed upon the individual and the private space is most subtly accumulated.

      • 한국 청년세대의 정치적 젠더균열

        김가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318

        이 연구는 한국의 청년세대 내 정치적 젠더균열, 즉 투표 선택에 젠더에 따른 격차가 있는지 살펴본다. 대다수의 서구 민주주의 국가들에서 여성이 상대적으로 남성에 비해 진보적 정치정향을 보이는 ‘현대적 젠더갭’이 공고한 것에 비했을 때, 한국에서는 전체적 수준의 정치적 성차가 명확히 발견되진 않는다. 그러나 이는 한국에 젠더갭이 아예 존재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세대교체의 과정 중에 있을 가능성을 내포한다. 또한, 2010년대 이후의 실제 선거결과들에서도 청년세대 내에 정치적 성차가 지속적으로 목격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도출한 다음의 두 가지 질문에 답한다. 첫째, 한국 청년세대 내 정치적 젠더균열은 존재하는가? 둘째, 청년세대 내 젠더갈등을 고려했을 때, 이들의 젠더의식이 정치적 젠더균열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가? 먼저, 한국 청년세대 내 정치적 젠더균열의 존재를 경험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누적자료를 위계적 연령-기간-세대 분석 교차분류임의효과 모형(HAPC-CCREM)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결과, 장기 자료에서 청년 남성 특히 90년대 전반생의 남성이 같은 세대 여성에 비해 보수적 투표정향을 보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어, 청년세대 내 젠더의식이 젠더균열과 맺는 관련성을 탐색하기 위해 제 21대 국회의원 총선거 후 시행된 <국민가치관과 사회인식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잠재집단분석(Latent Class Analysis)과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청년세대의 젠더의식은 성평등 및 성차별 현실에 대한 인식과 페미니즘에 대한 태도가 교차하여 존재하고, 젠더에 따라 태도의 유형이 상이함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이러한 태도 유형이 2020년 선거의 투표선택에서 발견된 청년세대 내 정치적 성차와 유의미한 영향을 맺는 요인임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의 청년세대 내 젠더의식을 둘러싼 갈등이 정치적 균열로써 지속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로써 이 연구는 세대와 젠더의 교차점에 위치한 청년세대의 정치정향의 경향과 젠더갈등의 지형에 대한 경험적 증거를 제시하는 함의를 가진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re is a political gender gap in the young generation in Korea; whether voting behavior differs by gender. Contrast to the most Western democracies' "modern gender gap" in which women show relatively progressive political orientation compared to men, in Korea, the political gender gap at the overall level has not been clearly found. However, there is the possibility that the gender gap is not absent in Korea, but rather is in the process of generational replacement. In addition, recent election results since the 2010s have consistently witnessed gendered political differences within the young generation. Along these lines, this study answers two questions derived from theoretical review: First, is there a political gender gap in the Korean young generation? Second, considering the gender conflict in this young generation, does their gender consciousness have an effect on political gender gap of the generation? First, to empirically confirm the existence of political gender gap in the Korean young generation, the Korea Social Survey (KGSS) cumul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HAPC-CCREM(Hierarchical Age-Period-Cohort Analysis Cross-Classified Random Effects Model). As a result, long-term data showed that male youth, especially those born in the first half of the '90s vote conservative party/candidate more than women do. Afterwards, with Latent Class Analysi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this study analyzed "National Values and Social Awareness Survey" data which was conducted after the 2020 21st Congressional Election in order to explore the relevance of gender consciousness in the young gener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ption of the reality of gender equality and gender discrimination, and attitudes toward feminism crosses, and the types of attitudes differ largely by gender. Accordingly, it was revealed that this attitude group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olitical difference in the young generation's voting choices in the 2020 ele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flicts over gender issues in the current young generation might be led into political cleavage. Thus, this study contributes to present empirical evidence of the tendency of political orientation and the landscape of gender conflict among the young generation at the intersection of generations and genders.

      • 손창섭 1960년대 장편소설에 나타난 젠더 정치성

        허빛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317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litical significance focused on reversal of gender aspect in novels of Son Chang-seop in the 1960s. The reason why reversal gender aspect is important in the 1960s novel is because it is Son’s political uttering and expression of his time. The works of the 1950’s which have been created by Son Chang-seop, “post-war writer”, have formed his own world by presenting pathological characters and scenes from post-war society. On the contrary, Sohn Chang-seop's 1960s novels have not been properly valued, as they have been generally considered to be nothing more than popular novels until now. Most of studies, in particular, have judged Son Chang-seop as a writer unrelated to the ideology of the time. Son Chang-seop, however, looked at politics and society in the 1960’s based on gender and, further, reveal human unconsciousness.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is as a concept ‘gender politicity’. ‘Gender Politicity’ is a concept including that the basic concept of a gender of social sex and a realistic political ideology. In the 1960s, when Son actively working on his work, he was an dictatorship, and many literatures resisted undemocratic authority. Just as literature actively brought a political ideology existed, so does literature that embodied it. The abnormal and unconsolidated relationships between man-woman relationship, such as the disturbance and discord of the genders in his works of Son Chang-seop of the time, inflicht political cracks on the family form under the passive and stagnant, patriarchal and the nationalistic social system. Gender politicity thus creates an infinite difference in reality, and historically reveals conflicts between the male and the female in power and hierarchy as well as realigning male and female. At the same time, it allows gender to visualize the unconscious and non-visual political area. In dealing with Gender as a subject in his work, established male writers focused mostly on the identity of Gender and often followed the ideology of Gender. On the other hand, Sohn Chang-sub scrutinized Gender politics by confirming his subversive Gender position. Leaving the pure/participatory debate, which was the talk of literature at the time, he approached the public through the concept of gender policity. In other words, rereading Son's 1960s novel, it is also possible to identify his work and his writer's ability and significance. Based of discussion of gender policity,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 overall theme in novels of Son Chang-seop in the 1960s and the development of each individual piece. Chater 2 of this study discusses ‘Surplus male’ who lost his masculinity and the masculinity of nationalism which wanted to re-male it in the 1960s. The 1960s, considered the beginning of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were nothing but ruins that seemed impossible to be rebuilt as an extension of the postwar society of the 1950s. The gender location, which was reorganized after the Korean War, was deepening. At home and in the country, men did not demand men as they had before, and naturally men became surplus enough to be needed. The main characters of the 1950s short story "Surplus person" and 1960s feature novel "The Wall of the popularity" are the same names as Chun Bong-woo. This setting specifies the reversal of gender ‘Surplus male’ in the 1960s. ‘Surplus male’ relies on women of their time materially and spiritually because they are relatively deficient compared to women. Therefore, ‘Surplus male’ avoids marriage because he cannot perform masculinity in his family and society. No matter how actively a woman pushes to marry a man, a man only repeatedly avoids marriage because he cannot face his own overturned masculinity. Cha Sung-chul, the main character of "As time goes by" feels uneasy when Jin-sook, who harbored affection, wants a direct expression of affection for him. Regardless of the nationalism of the time, which sought to rebuild the 1960s, seeks to reassign the reversed gender to power.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wants to consolidate national power by naming men and subordinate women to the family in order to rebuild the nation. However, artificial repositioning of the genders rather dictates the absence of men, revealing the illusion of nationalism. "All of a woman", "The Meaning of a marriage" requires attention in that it sharply criticizes deployment/replacement, production/reproduction through pregnancy/birth after marriage. Chapter 3 seeks to shed light on the fallacy of a male who has state power through an allegoryized reverse gender position. Because of the indecent portrayal of private marital relationships, "A married couple" and "The opposite sex studies" have not been recognized for their potential to read with allegory. However, interpreting the narrative based on abnormal marital relationships that "A married couple" and "The opposite sex studies" have in common can reveal new literary significance for each work. "A married couple" and "The opposite sex studies" have the same motif: reversed gentile position of female dominance, delusional jealousy of wife/husband, artificial/intentional, adult male character, the opacity of spouse's profession, and philanthropy. These motifs can be seen as referring to the obedience and sacrifice of the people, which were forced to justify nationalism that led to modernization projects in the 1960s. Doubtful figures constantly cast doubt on the order of the dictatorship, which appears to be sound on the surface of the people's conformity. They express political resistance to the oppressed Park Chung-hee regime by changing and recombining the gentile role. As such, Sohn wants to block any attempt by nationalism to return to the patriarchal system while taking away the indictment of the dictatorial regime. Chapter 4 depicts an attempt to dissolve the patriarchal family form and combine a new community through the reverse gender position. "Human classroom," "The Three Father and Daughter" have been criticized for their promiscuous and abnormal gender aspect. Sohn Chang-sub, however, doubts the patriarchal family system in Korean society, which has been standardized by the irony of deformed relationships between men and women. He seeks to break away from the blood-linkedism of Korean society by raising fundamental problems in "Human classroom" and "The Three Father and Daughter" The de-patriarchal male figures lead to reject the objectification of female figures and abrogates authoritarianism. This will dismantle the paternal family system and make attempts to combine the new contract community. In the process, the female character is reborn as a subject, forming a contract community based on her own needs, not on the existing family form. In particular, the contract community will maintain Gender equality because it follows the contractual provisions agreed upon by all. Son Chang-seop invokes an alternative contract community across the political and social gentler inequalities that the state has formed. 본고는 손창섭 1960년대 장편소설에서 드러나는 역전적인 젠더 양상에 주목해 그 정치적인 의미를 규명하고자 하는 글이다. 손창섭 1960년대 장편소설에서 역전적인 젠더의 양상이 중요한 이유는 그것이 손창섭의 당대 정치적인 발화이자 발현이기 때문이다. ‘전후작가’인 손창섭이 창작해온 1950년대 작품들은 병리적인 인물과 전후사회의 풍경을 제시하며 자신의 고유한 세계를 구성해왔다. 이와 반대로, 손창섭 1960년대 장편소설은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통속소설에 불과하다고 여겨져 왔으므로, 제대로 가치평가 받지 못해왔다. 특히 대부분의 연구들은 손창섭을 당대 이데올로기와 무관한 작가라고 판단해왔다. 그러나 손창섭은 젠더를 바탕으로 1960년대 정치·사회를 조망했으며, 나아가 인간의 무의식을 드러내기도 한다. 본고는 이를 ‘젠더 정치성’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젠더 정치성’은 사회적 성이라는 기본적인 젠더의 개념과 현실적인 정치 이데올로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손창섭이 활발하게 작품 활동을 했던 1960년대는 독재 정권으로, 당시 다수의 문학들은 비민주적인 권력에 저항하고자 했다. 적극적으로 정치 이데올로기를 표면화한 문학들이 존재했던 것처럼, 이를 내재화한 문학 또한 실재한다고 볼 수 있다. 당대 손창섭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젠더의 교란, 불화 등의 비정상적이고 합일되지 않은 남녀관계는 수동적이고 정체된 가부장제 하의 가족형태와 국가주의적 사회체계에 정치적 균열을 가한다. 젠더 정치성은 이처럼 현실에서 무한대로 차이를 발생시키고, 역사적으로 남성(성)과 여성(성)이 갖는 권력 및 위계질서의 갈등을 드러낼 뿐만 아니라, 남성(성)과 여성(성)을 재배치시킨다. 동시에 역으로 무의식적이거나 비가시적인 정치적 영역을 젠더가 가시화할 수 있게 한다. 기성 남성 작가들은 작품에서 젠더를 소재로 다룰 때, 젠더 정체성에 주로 주목했으며 젠더 이데올로기를 그대로 답습한 경우가 다반사였다. 반면 손창섭은 전복적인 젠더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젠더 정치성을 면밀히 검토했다고 볼 수 있다. 당시 문학계의 화두였던 순수/참여 논쟁을 떠나 그는 젠더 정치성 개념을 통해 대중에게 다가갔다. 즉, 손창섭의 1960년대 장편소설을 재독한다면, 손창섭의 작품과 그의 작가적 역량 및 의의 또한 파악할 수 있다. 젠더 정치성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고는 손창섭 1960년대 장편소설의 총체적인 주제의식과 각 작품의 개별적인 전개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1960년대 남성성을 상실한 ‘잉여남성’과 이를 재남성화 하고자 했던 국가주의 남성성을 살펴보았다. 산업화와 근대화의 시초라고 여겨지는 1960년대는 전후 사회인 1950년대 연장선으로 재건이 불가능해 보이는 폐허에 불과했다. 한국전쟁 이후 재편된 젠더 위치는 더욱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었다. 가정과 국가에서는 이전처럼 남성(성)을 요구하지 않았고 자연히 남성들은 필요불충분의 잉여가 된다. 1950년대 단편소설「잉여인간」과 1960년대 장편소설「통속의 벽」의 주인공은 천봉우라는 동명이인이다. 이 설정은 1960년대의 ‘잉여남성’이라는 역전적인 젠더 재현을 명시화한다. ‘잉여남성’은 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결핍되어 있기 때문에 동시대 여성에게 물질적·정신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그러므로 ‘잉여남성’은 가정과 사회에서 남성성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결혼을 기피하게 된다. 여성이 아무리 적극적으로 남성과의 결혼을 추진하더라도, 남성은 자신의 전복된 자신의 남성성을 직면할 수 없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결혼을 회피하기만 한다. 『세월이 가면』의 주인공 차성철은 연정을 품고 있던 진숙이 그에게 직접적인 애정 표현을 원했을 때, 막상 그는 불안해한다. 이와 관계없이 1960년대를 재건하고자 했던 당대 국가주의는 역전되어 있는 젠더를 권력으로 재배치시키고자 한다. 박정희 정부는 국가 재건을 위해 남성(성)을 호명하고 여성(성)을 가정 내부에 종속시키면서 국가 권력을 공고화 하고자 한다. 그러나 인위적인 젠더 재배치는 오히려 남성(성)의 부재를 지시하게 되어 국가주의의 허상을 드러나게 한다. 「여자의 전부」, 『결혼의 의미』는 결혼 후 임신/출산을 통해 젠더 배치/재배치, 생산/재생산을 날카롭게 비판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3장에서는 알레고리화 된 역전적인 젠더 위치를 통해 국가권력이 지닌 남성(성)의 허실을 밝히고자 한다. 사적인 부부 관계를 외설적으로 묘사하기 때문에 「부부」, 『이성 연구』는 알레고리로 독해할 가능성을 인정받지 못해왔다. 그러나 「부부」, 『이성 연구』가 공통적으로 지니는 비정상적인 부부 관계를 기반으로 서사를 해석하면, 각자의 새로운 문학적 의의를 발견할 수 있다. 「부부」, 『이성 연구』는 동일하게 여성 우위의 역전적인 젠더 위치, 의처증/의부증, 성인군자 남성 인물, 배우자 직업의 불투명성, 자선 사업이라는 모티프를 갖고 있다. 이 모티프들은 1960년대 근대화·산업화란 근대화 프로젝트를 이끈 국가주의의 정당화를 위해 강요되었던 민중의 복종과 희생을 가리킨다고 볼 수 있다. 의심하는 인물들은 민중이 순응하는 표면상으로 건전해 보이는 독재 정권의 질서에 대해 끊임없이 의심을 가한다. 그들은 젠더적 역할을 변화시키고 재조합하면서 억압된 박정희 정권에 대한 정치적인 저항을 표출한다. 이처럼 손창섭은 독재 정권 폐해를 적출하면서 가부장제로 회귀하려는 국가주의의 시도를 차단하고자 한다. 4장에서는 역전적인 젠더 위치를 통해 가부장적인 가족 형태를 해체시키고 새로운 공동체를 결합시키는 시도를 그리고 있다. 『인간교실』, 『삼부녀』는 난잡하고 비정상적인 젠더 양상으로 인해 비판받아왔다. 그러나 손창섭은 기형적인 남녀관계라는 아이러니로 획일화된 한국사회의 가부장적 가족 제도를 회의한다. 그는 『인간교실』, 『삼부녀』에서 근본적인 문제제기를 하면서 한국사회의 혈연주의에서 탈피하고자 한다. 탈가부장적인 남성 주인공들은 여성 인물의 대상화를 거부하며 권위주의를 지양한다. 이로 인해 부계 가족 제도는 해체되고 새로운 계약 공동체의 결합 시도들이 이뤄진다. 이 과정에서 여성 인물은 비로소 하나의 주체로 거듭나며 기존 가족 형태가 아닌 자신의 필요에 따른 계약 공동체를 형성한다. 특히 계약 공동체는 모두가 합의한 계약 조항을 따르기 때문에 젠더 평등을 유지하게 된다. 손창섭은 국가가 형성한 정치·사회적인 젠더 불평등을 가로질러 대안적 계약 공동체를 체현한다.

      • 2030 청년 유권자의 젠더갈등과 정당정치 : 제20대 대선을 중심으로

        김다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03

        본 연구는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새롭게 대두된 청년 여성 민주당 지지, 청년 남성 보수당 지지와 같은 유권자 사이의 젠더갈등이 앞으로 우리나라 선거에서 정치적 균열로 대두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지금까지 한국에서의 정치균열로서의 젠더갈등에 대한 논의는 대부분 사회구조적인 접근법에 초점 맞추어 왔으며, 이는 최근에 등장한 현상을 충분히 설명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발견하였다.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정치균열로서의 갈등의 문제를 사회구조적인 문제가 아닌 정치적인 요소로 설명하고, 이를 통해 젠더갈등이 과연 우리나라의 정치균열로까지 자리매김할 수 있는지에 대한 답을 내리고자 한다. 젠더갈등을 정치적 요인으로 분석해내기 위해 선택한 이론적 접근법은 ‘정당동원론’이다. 해당 접근법에서 정당은 단순히 정치적 균열의 영향을 받는 수동적인 존재가 아닌 유권자를 동원하는 능동적인 행위자로 간주된다. 즉, 정당은 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해 정치갈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유권자는 이에 반응하면서 상호관계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정당과 유권자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커뮤니티 담론 분석을 진행하였다. 유권자의 반응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분석적 틀 중에서 커뮤니티 담론 분석을 선택한 이유는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정당 및 후보자가 20·30 청년세대 동원을 위한 방안으로 커뮤니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기 때문이다. 커뮤니티 담론 분석은 선거에서 청년 유권자들의 지지율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되는 몇 가지 쟁점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 힘 모두 청년 세대를 동원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었으며, 정당의 정치적 요인에 따라 성별, 세대별 유권자들의 반응이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선거가 다가올수록 더불어민주당은 청년 여성 유권자, 국민의 힘은 청년 남성 유권자를 더 적극적으로 동원하고자 하였고, 정당의 동원 정책의 변화에 따라 유권자들의 반응 역시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담론 분석 이후에는 청년세대의 반응이 선거의 후보자 선택까지 이어졌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여론조사와 대선패널조사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여론조사 시기별 지지율의 변화 추이와 성별이 후보자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해당 분석 과정을 통해 20·30 청년 유권자의 지지율이 정당의 동원전략과 같은 방향으로 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대선패널조사 결과를 활용한 회귀분석 결과에서 여론조사에서 볼 수 있었던 정당의 유권자 동원 과정과 비슷한 결과가 확인되면서,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등장한 2030 청년세대의 젠더갈등은 정당의 유권자 동원을 목적으로 한 정치적 요인의 결과로 등장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의 선거에서 정당에 동원되는 사회 갈등과 유권자가 다양한 형태로 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내포한다는 점에서 연구적 함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Can the gender divide among voters, such as the emergence of young women's support for the Democratic Party and young men's support for the Conservative Party in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emerge as a political fissure in future elections in South Korea?" While seeking an answer to this question, we realized that most of the discussions on gender conflict as a political fissure in Korea have focused on socio-structural approaches, which have the limitation of not fully explaining this recently emerged phenomenon.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the problem of gender conflict as a political fissure as a political factor rather than a socio-structural problem and to answer whether gender conflict can be established as a political fissure in Korea. The chosen theoretical approach to analyze gender conflict as a political factor is 'party mobilization theory.' In this approach, political parties are viewed as active actors that mobilize voters, rather than passive entities that are simply affected by political fissures. In other words, political parties actively use political conflict to win elections, and voters react to it and form a mutual relationship.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community discourse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parties and voters in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Among various analytical frameworks to examine voter responses, we chose community discourse analysis because political parties and candidates actively used community as a way to mobilize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in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The community discourse analysis focused on several issues that we belie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hange in support among young voters in the election. We found that both the Democratic Party and the Conservative Party were making great efforts to mobilize the younger generation, and that voters' responses varied by gender and generation depending on the political factors of the parties. In particular, as the election approached, the Democratic Party tried to mobilize young female voters, and the Conservative Party tried to mobilize young male voters more actively. We found that voters' responses varied as the parties' mobilization policies changed. After analyzing the discourse, we examined the changes in approval ratings over time and the impact of gender on candidate preferences using data from opinion polls and presidential panel surveys to determine whether young people's responses led to their choice of candidates. In particular, th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results of the presidential panel survey confirmed similar results to those seen in the opinion polls, suggesting that the gender conflict among the 2030s emerged in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as a result of political factors aimed at mobilizing voters. These results have research implications as they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social conflicts and voters mobilized by political parties in future elections may change in various ways.

      • 한국 TERF 세력의 모순적 위치 설정과 자기 정당화 전략 : 글로벌 반(反) 트랜스 운동과 관계 맺기

        김지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299

        This study examines how South Korean TERFs engaged with international TERF groups and shap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categories of “Western feminism” and “Western society.” The legitimization of their movement involved interpreting and incorporating TERF activities from other parts of the world, coupled with the adoption of global transphobic narratives. Through critically examining these strategies, this paper contextualizes TERF issues in Korea within the broader landscape of international anti-trans politics. Korean TERFs have expanded and deepened their politics of hatred within the global trends of anti-trans politics, notably since their organizing period in 2018. This period witnessed the establishment of various TERF organizations in Korea, including the radical feminist publishing company “Yeolda Books,” numerous radical feminist groups at universities, and the Korean branch of the international TERF coalition known as “Women’s Declaration International (WDI).” Interestingly, these organizations consistently drew on the global context of the anti-gender movement, particularly prominent in the West, to construct their anti-trans campaigns. Nonetheless, there have been no studies exploring this dimension. Previous research either focused on analyzing Korean TERFs’ mobilization solely within the framework of domestic incidents or turned to Anglophone and European TERF movements to critique global TERF politics. Unlike these approaches, this article delves into how Korean TERFs interact with and interpret the global anti-trans movement. Specifically, it critically inspects the strategies employed by Korean TERFs to position themselves on an international scale, legitimizing a trans-exclusionary feminist perspective. Through this analysis, the study aims to illustrate that a complex web of relationships with other parts of the world shapes the orientation of the TERF movement in a particular society. Simultaneously, this paper seeks to explain the problematic nature of TERF’s politics of hatred.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TERFs and international anti-trans politics, centering on two key aspects. Firstly, it examines how TERFs in Korea have connected with the Western TERF organization WDI. Founded in the UK in 2019, WDI has multiple branches globally. It denounces the concept of gender while advocating for the use of “biological sex” as the defining factor for the category of women. Thus, it categorizes trans women as “fake women.” WDI actively campaigns against the global spread of gender ideology and transgenderism, asserting a commitment to women’s sex-based rights. The organization not only collaborates with various TERF groups but also serves as a prominent reference model for them. Additionally, WDI converges with conservative right-wing forces under the banner of “anti-gender” campaigns. In 2021, a branch of WDI with these distinct characteristics was established in Korea. Key TERF figures who had been organizing previously, such as the publishing company Yeolda Books and activists opposing transgender admissions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process. Relying on WDI’s international standing rooted in Western societies, they sought legitimacy and attempted to mobilize in Korea. The Korean branch of WDI consistently underscored the organization’s size and global reach, using the WDI’s “Declaration on Women’s Sex-based Rights” as a fundamental basis for their activism. The Korean branch employed these strategies to engage in various anti-trans movements, including interventions on the matter of trans women in the military and opposition to anti-discrimination legislation. Through an analysis of these cases, this article explores the context in which Korean TERFs are aligned with the international TERF organization established in Western society and how such collaborations have legitimized and fortified their political assertions. Secondly, this study analyzes the discursive strategies of Korean TERFs, delineating boundaries between “Western feminism” and “Korean feminism” to position themselves uniquely. While borrowing examples and logical structures from the transphobic discourse in the West, their alignment with it was not always seamless. On the one hand, Korean TERFs vehemently criticized the perceived failure of first-world Western feminism. They portrayed Western feminists as unsuccessful in preventing the “corset backlash” and the “transgender backlash,” attributing these shortcomings to their Western and white privileged perspectives. In contrast to their Western counterparts, Korean radical feminists positioned themselves as entities better equipped to lead more critical discussions. This framing is strategically crafted to assert the superiority and advancement of Korean radical feminism over first-world Western feminism. On the other hand, Korean TERFs subdivided the category of Western feminism and attached positive or negative connotations to different factions within it. They characterized “US feminism” as a failed movement submerged in gender theory and depicted “UK feminism” as a staunch opponent of gender theory. This differentiation strategy seems rooted in acknowledging that a complete repudiation of solidarity with the West might result in isolation. Employing these strategies, Korean radical feminists tried to assert their superiority by positioning themselves as more advanced than “US feminism.” Concurrently, by acknowledging “UK feminism” as a reference point, they sought to keep the possibility of international solidarity open. This analysis shows that the political legitimization of Korean TERFs unfolds through a dynamic process of defining, engaging with, and occasionally demarcating boundaries between the international, Western, and Korean spheres. While they needed to maintain close connections with international TERF forces, they also emphasized the local contexts of the Korean TERF movement, using them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movements in other parts of the world and creating a unique position.The reactionary and conservative feminist movement in South Korea has “imported” the transgender debate from Anglophone and European discourse, connecting with and interpreting “the West” in a manner distinct from Western TERF discourse. However, Korean TERFs are problematic as they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perpetuation of the global anti-trans movement, akin to their Western counterparts. International transphobia gains legitimacy through rhetoric appealing to women’s rights and safety, with TERFs worldwide fueling this phenomenon. This article seeks to elucidate and critique Korean TERFs as part of global anti-trans politics. In presenting these findings, this paper endeavors to caution against the dangers and destructive potential of international transphobic politics that appropriates the language of feminism. 이 연구는 한국 TERF 세력이 국제 TERF 단체와 어떤 관계를 맺었는지, 그 과정에서 ‘서구 페미니즘’과 ‘서구 사회’라는 범주의 의미를 어떻게 규정해나갔는지 살펴보았다. 이들은 다른 지역에 분포한 TERF 세력의 활동, 글로벌한 트랜스젠더 혐오 논리 등을 해석하고 활용함으로써 자신들의 운동을 정당화했다. 이와 관련된 전략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작업을 통해 한국 사회의 TERF 문제를 국제적인 반(反) 트랜스 정치의 맥락 안에 배치해 읽어볼 수 있었다. 한국 TERF 세력은 반 트랜스 정치의 글로벌한 흐름 안에서 혐오정치를 확장하고 심화했다. 2018년 이후 이들의 조직화 시기를 들여다보면 이러한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시기는 래디컬 페미니스트 출판사 열다북스, 수십 개에 달하는 대학 내 래디컬 페미니스트 단체들, 국제 TERF 연대체 WDI의 한국지부 등 다양한 TERF 조직이 한국 사회에 설립된 때다. 해당 조직들은 트랜스젠더 반대 운동을 구축하기 위해 서구를 중심으로 한 전 세계적인 안티 젠더 운동의 맥락을 끊임없이 참조해왔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에 주목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기존의 연구들은 국내에서 벌어진 사건들에 국한하여 한국 TERF의 세력화 양상을 분석하거나, 영어권이나 유럽의 TERF 운동을 기준으로 삼아 글로벌한 TERF 정치학을 비판하는 작업에 주로 초점을 맞췄다. 이와 달리 이 글은 한국 TERF들이 글로벌한 반 트랜스 운동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그것을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 살펴봤다. 특히 이들이 트랜스젠더를 배제하는 페미니스트 관점을 정당화하기 위해서 스스로의 국제적 위치를 설정해온 전략을 비판적으로 분석했다. 이러한 검토를 통해 한 사회에서 펼쳐지는 TERF 운동의 지향점이 여타 지역들과의 복잡한 관계망 속에서 조형된다는 점을 밝히고자 했다. 동시에 TERF식 혐오정치가 왜 문제적인지를 설명하고자 했다. 이 연구는 다음의 두 가지 측면에 주목해 한국 TERF와 국제적 반 트랜스 정치의 관계를 읽어냈다. 첫째, 한국의 주요 TERF 세력이 국내에서 활동을 전개해나갈 때, WDI라는 서구 사회의 TERF 조직과 어떤 접점을 만들어왔는지를 들여다봤다. 2019년 영국에서 설립된 WDI는 세계 각국에 여러 개의 지부를 두고 있다. 이들은 젠더 개념에 강한 의문을 제기하며, ‘생물학적 성별’로 여겨지는 섹스를 여성 범주의 기준으로 삼는다. 이러한 관점하에서 트랜스여성은 ‘가짜 여성’으로 규정된다. WDI는 ‘생물학적 성별’에 기반한 여성 인권을 근거 삼아 젠더 이데올로기와 트랜스젠더리즘의 글로벌한 확산에 반대하는 운동을 적극적으로 개진하고 있다. 이 조직은 다양한 TERF 단체들과 협력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대표적인 참조 모델이 되어주기도 한다. 또한 WDI는‘안티 젠더’라는 기치 아래에서 보수 우파 세력과도 조우하며 협업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WDI의 지부가 한국에 설립된 것은 2021년이다. 출판사 열다북스, 숙명여대 트랜스젠더 입학 반대 활동가 등 그 이전부터 국내에서 결집했었던 주요 TERF 인사들이 이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서구 사회에서 설립되었던 WDI의 국제적 위상에 기댐으로써 정당성을 모색하고, 그것을 토대로 한국에서 세력화하려고 시도한 것이다. 이렇게 탄생한 WDI 한국지부는 WDI 연대체의 규모와 그 국제적 영향력을 여러 차례 강조했고, WDI가 작성했던 ‘여성의 성별에 기반한 권리 선언문’을 중요한 활동 근거로 삼기도 했다. 한국지부는 이와 같은 전략들을 활용해 군대 내 트랜스여성 문제에 대한 개입, 차별금지법 제정에 대한 반대 등 여러 가지 반 트랜스 활동을 전개했다. 이 글은 이러한 사례들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TERF들이 서구 사회에 설립된 국제 TERF 조직과 손을 잡은 맥락이 무엇인지, 그러한 맥락이 이들의 정치적 주장을 정당화하고 강화하는 데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 살펴보았다. 둘째, 이 연구는 ‘서구 페미니즘’과 ‘한국 페미니즘’이라는 범주 사이의 경계를 구분 짓고 자신들의 독자적인 위치를 설정하려고 한 한국 TERF들의 담론적 전략도 들여다보았다. 이들은 분명 서구의 반 트랜스 활동가들이 구축해놓은 트랜스젠더 혐오 담론에서 여러 사례와 논리 구조를 빌려 왔지만, 그것과 언제나 매끈하게 화합하는 것만은 아니었다. 한편으로, 한국 TERF들은 1세계 서구 페미니즘의 실패를 강하게 비판했다. 이들은 서구-백인 특권적 인식에 기반한 서구 페미니스트들이 ‘코르셋 백래시’와 ‘트랜스젠더 백래시’를 막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반면, 이들의 관점에서 한국의 래디컬 페미니스트들은 서구 페미니스트와는 달리 더욱 비판적인 논의를 주도할 수 있는 존재로 상정됐다. 이러한 프레이밍은 한국 래디컬 페미니즘을 1세계 서구 페미니즘보다 더 선진적이고 우월한 위치에 배치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이들은 서구 페미니즘이라는 범주 내부를 세분화하고, 그 각각에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의미를 덧씌웠다. ‘미국 페미니즘’은 젠더론에 물들어 실패해버린 운동으로, ‘영국 페미니즘’은 젠더론에 격렬하게 저항하는 운동으로 정의하는 식이었다. 이러한 차등화 전략은 서구와 연대하는 것을 전면적으로 거부하기에는 고립의 위험성이 크다는 인식에 토대를 둔 것으로 보인다. 이 전략들을 통해 한국 래디컬 페미니스트들은 ‘미국 페미니즘’보다 더 진보했다는 우월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그와 동시에‘영국 페미니즘’에 대해서는 ‘우리 한국 래디컬 페미니스트들’이 참조할 수 있을 만하다는 식으로 인정해 줌으로써, 이들은 국제적 연대의 가능성을 계속해서 열어놓고자 했다. 이와 같은 분석 내용을 살펴보면, 한국 TERF들이 국제, 서구, 한국이라는 축들을 계속해서 규정해나가고, 관계를 맺고, 때로는 경계를 그어내면서 정치적 정당화를 전개해왔음을 알 수 있다. 이들은 국제 TERF 세력과 가까이 연결될 필요가 있었으면서도, 한국 TERF 운동의 지역적 특성을 강조하고 그것을 통해 다른 지역의 운동과 자신들을 차별화함으로써 독특한 위상을 만들어낼 필요도 있었다. 한국에서 펼쳐진 반동적이고 보수적인 페미니스트 운동은 영어권이나 유럽의 담론으로부터 트랜스젠더 논쟁을 ‘수입’했다는 점에서, 서구 TERF 담론과는 다른 방식으로 ‘서구’와 연결되고 또 그것을 의미화해나갔다. 그러나 한국 TERF는 결국 서구권의 TERF와 마찬가지로 글로벌한 반 트랜스 운동의 지속에 기여하고 있으므로 문제가 있다. 국제적인 트랜스젠더 혐오는 여성의 인권과 안전에 호소하는 수사를 통해 정당화의 구실을 찾아가고 있으며, 세계 곳곳의 TERF들은 여기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이 글은 한국 TERF가 글로벌한 혐오정치를 확산하는 세력의 일부에 불과하다는 점을 명확히 밝히고, 그것을 비판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페미니즘의 언어를 전유한 국제적 트랜스 혐오정치의 위험성과 파괴력에 대해 경고하고자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