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손창섭 1960년대 장편소설에 나타난 젠더 정치성

        허빛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litical significance focused on reversal of gender aspect in novels of Son Chang-seop in the 1960s. The reason why reversal gender aspect is important in the 1960s novel is because it is Son’s political uttering and expression of his time. The works of the 1950’s which have been created by Son Chang-seop, “post-war writer”, have formed his own world by presenting pathological characters and scenes from post-war society. On the contrary, Sohn Chang-seop's 1960s novels have not been properly valued, as they have been generally considered to be nothing more than popular novels until now. Most of studies, in particular, have judged Son Chang-seop as a writer unrelated to the ideology of the time. Son Chang-seop, however, looked at politics and society in the 1960’s based on gender and, further, reveal human unconsciousness.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is as a concept ‘gender politicity’. ‘Gender Politicity’ is a concept including that the basic concept of a gender of social sex and a realistic political ideology. In the 1960s, when Son actively working on his work, he was an dictatorship, and many literatures resisted undemocratic authority. Just as literature actively brought a political ideology existed, so does literature that embodied it. The abnormal and unconsolidated relationships between man-woman relationship, such as the disturbance and discord of the genders in his works of Son Chang-seop of the time, inflicht political cracks on the family form under the passive and stagnant, patriarchal and the nationalistic social system. Gender politicity thus creates an infinite difference in reality, and historically reveals conflicts between the male and the female in power and hierarchy as well as realigning male and female. At the same time, it allows gender to visualize the unconscious and non-visual political area. In dealing with Gender as a subject in his work, established male writers focused mostly on the identity of Gender and often followed the ideology of Gender. On the other hand, Sohn Chang-sub scrutinized Gender politics by confirming his subversive Gender position. Leaving the pure/participatory debate, which was the talk of literature at the time, he approached the public through the concept of gender policity. In other words, rereading Son's 1960s novel, it is also possible to identify his work and his writer's ability and significance. Based of discussion of gender policity,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 overall theme in novels of Son Chang-seop in the 1960s and the development of each individual piece. Chater 2 of this study discusses ‘Surplus male’ who lost his masculinity and the masculinity of nationalism which wanted to re-male it in the 1960s. The 1960s, considered the beginning of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were nothing but ruins that seemed impossible to be rebuilt as an extension of the postwar society of the 1950s. The gender location, which was reorganized after the Korean War, was deepening. At home and in the country, men did not demand men as they had before, and naturally men became surplus enough to be needed. The main characters of the 1950s short story "Surplus person" and 1960s feature novel "The Wall of the popularity" are the same names as Chun Bong-woo. This setting specifies the reversal of gender ‘Surplus male’ in the 1960s. ‘Surplus male’ relies on women of their time materially and spiritually because they are relatively deficient compared to women. Therefore, ‘Surplus male’ avoids marriage because he cannot perform masculinity in his family and society. No matter how actively a woman pushes to marry a man, a man only repeatedly avoids marriage because he cannot face his own overturned masculinity. Cha Sung-chul, the main character of "As time goes by" feels uneasy when Jin-sook, who harbored affection, wants a direct expression of affection for him. Regardless of the nationalism of the time, which sought to rebuild the 1960s, seeks to reassign the reversed gender to power.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wants to consolidate national power by naming men and subordinate women to the family in order to rebuild the nation. However, artificial repositioning of the genders rather dictates the absence of men, revealing the illusion of nationalism. "All of a woman", "The Meaning of a marriage" requires attention in that it sharply criticizes deployment/replacement, production/reproduction through pregnancy/birth after marriage. Chapter 3 seeks to shed light on the fallacy of a male who has state power through an allegoryized reverse gender position. Because of the indecent portrayal of private marital relationships, "A married couple" and "The opposite sex studies" have not been recognized for their potential to read with allegory. However, interpreting the narrative based on abnormal marital relationships that "A married couple" and "The opposite sex studies" have in common can reveal new literary significance for each work. "A married couple" and "The opposite sex studies" have the same motif: reversed gentile position of female dominance, delusional jealousy of wife/husband, artificial/intentional, adult male character, the opacity of spouse's profession, and philanthropy. These motifs can be seen as referring to the obedience and sacrifice of the people, which were forced to justify nationalism that led to modernization projects in the 1960s. Doubtful figures constantly cast doubt on the order of the dictatorship, which appears to be sound on the surface of the people's conformity. They express political resistance to the oppressed Park Chung-hee regime by changing and recombining the gentile role. As such, Sohn wants to block any attempt by nationalism to return to the patriarchal system while taking away the indictment of the dictatorial regime. Chapter 4 depicts an attempt to dissolve the patriarchal family form and combine a new community through the reverse gender position. "Human classroom," "The Three Father and Daughter" have been criticized for their promiscuous and abnormal gender aspect. Sohn Chang-sub, however, doubts the patriarchal family system in Korean society, which has been standardized by the irony of deformed relationships between men and women. He seeks to break away from the blood-linkedism of Korean society by raising fundamental problems in "Human classroom" and "The Three Father and Daughter" The de-patriarchal male figures lead to reject the objectification of female figures and abrogates authoritarianism. This will dismantle the paternal family system and make attempts to combine the new contract community. In the process, the female character is reborn as a subject, forming a contract community based on her own needs, not on the existing family form. In particular, the contract community will maintain Gender equality because it follows the contractual provisions agreed upon by all. Son Chang-seop invokes an alternative contract community across the political and social gentler inequalities that the state has formed. 본고는 손창섭 1960년대 장편소설에서 드러나는 역전적인 젠더 양상에 주목해 그 정치적인 의미를 규명하고자 하는 글이다. 손창섭 1960년대 장편소설에서 역전적인 젠더의 양상이 중요한 이유는 그것이 손창섭의 당대 정치적인 발화이자 발현이기 때문이다. ‘전후작가’인 손창섭이 창작해온 1950년대 작품들은 병리적인 인물과 전후사회의 풍경을 제시하며 자신의 고유한 세계를 구성해왔다. 이와 반대로, 손창섭 1960년대 장편소설은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통속소설에 불과하다고 여겨져 왔으므로, 제대로 가치평가 받지 못해왔다. 특히 대부분의 연구들은 손창섭을 당대 이데올로기와 무관한 작가라고 판단해왔다. 그러나 손창섭은 젠더를 바탕으로 1960년대 정치·사회를 조망했으며, 나아가 인간의 무의식을 드러내기도 한다. 본고는 이를 ‘젠더 정치성’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젠더 정치성’은 사회적 성이라는 기본적인 젠더의 개념과 현실적인 정치 이데올로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손창섭이 활발하게 작품 활동을 했던 1960년대는 독재 정권으로, 당시 다수의 문학들은 비민주적인 권력에 저항하고자 했다. 적극적으로 정치 이데올로기를 표면화한 문학들이 존재했던 것처럼, 이를 내재화한 문학 또한 실재한다고 볼 수 있다. 당대 손창섭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젠더의 교란, 불화 등의 비정상적이고 합일되지 않은 남녀관계는 수동적이고 정체된 가부장제 하의 가족형태와 국가주의적 사회체계에 정치적 균열을 가한다. 젠더 정치성은 이처럼 현실에서 무한대로 차이를 발생시키고, 역사적으로 남성(성)과 여성(성)이 갖는 권력 및 위계질서의 갈등을 드러낼 뿐만 아니라, 남성(성)과 여성(성)을 재배치시킨다. 동시에 역으로 무의식적이거나 비가시적인 정치적 영역을 젠더가 가시화할 수 있게 한다. 기성 남성 작가들은 작품에서 젠더를 소재로 다룰 때, 젠더 정체성에 주로 주목했으며 젠더 이데올로기를 그대로 답습한 경우가 다반사였다. 반면 손창섭은 전복적인 젠더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젠더 정치성을 면밀히 검토했다고 볼 수 있다. 당시 문학계의 화두였던 순수/참여 논쟁을 떠나 그는 젠더 정치성 개념을 통해 대중에게 다가갔다. 즉, 손창섭의 1960년대 장편소설을 재독한다면, 손창섭의 작품과 그의 작가적 역량 및 의의 또한 파악할 수 있다. 젠더 정치성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고는 손창섭 1960년대 장편소설의 총체적인 주제의식과 각 작품의 개별적인 전개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1960년대 남성성을 상실한 ‘잉여남성’과 이를 재남성화 하고자 했던 국가주의 남성성을 살펴보았다. 산업화와 근대화의 시초라고 여겨지는 1960년대는 전후 사회인 1950년대 연장선으로 재건이 불가능해 보이는 폐허에 불과했다. 한국전쟁 이후 재편된 젠더 위치는 더욱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었다. 가정과 국가에서는 이전처럼 남성(성)을 요구하지 않았고 자연히 남성들은 필요불충분의 잉여가 된다. 1950년대 단편소설「잉여인간」과 1960년대 장편소설「통속의 벽」의 주인공은 천봉우라는 동명이인이다. 이 설정은 1960년대의 ‘잉여남성’이라는 역전적인 젠더 재현을 명시화한다. ‘잉여남성’은 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결핍되어 있기 때문에 동시대 여성에게 물질적·정신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그러므로 ‘잉여남성’은 가정과 사회에서 남성성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결혼을 기피하게 된다. 여성이 아무리 적극적으로 남성과의 결혼을 추진하더라도, 남성은 자신의 전복된 자신의 남성성을 직면할 수 없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결혼을 회피하기만 한다. 『세월이 가면』의 주인공 차성철은 연정을 품고 있던 진숙이 그에게 직접적인 애정 표현을 원했을 때, 막상 그는 불안해한다. 이와 관계없이 1960년대를 재건하고자 했던 당대 국가주의는 역전되어 있는 젠더를 권력으로 재배치시키고자 한다. 박정희 정부는 국가 재건을 위해 남성(성)을 호명하고 여성(성)을 가정 내부에 종속시키면서 국가 권력을 공고화 하고자 한다. 그러나 인위적인 젠더 재배치는 오히려 남성(성)의 부재를 지시하게 되어 국가주의의 허상을 드러나게 한다. 「여자의 전부」, 『결혼의 의미』는 결혼 후 임신/출산을 통해 젠더 배치/재배치, 생산/재생산을 날카롭게 비판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3장에서는 알레고리화 된 역전적인 젠더 위치를 통해 국가권력이 지닌 남성(성)의 허실을 밝히고자 한다. 사적인 부부 관계를 외설적으로 묘사하기 때문에 「부부」, 『이성 연구』는 알레고리로 독해할 가능성을 인정받지 못해왔다. 그러나 「부부」, 『이성 연구』가 공통적으로 지니는 비정상적인 부부 관계를 기반으로 서사를 해석하면, 각자의 새로운 문학적 의의를 발견할 수 있다. 「부부」, 『이성 연구』는 동일하게 여성 우위의 역전적인 젠더 위치, 의처증/의부증, 성인군자 남성 인물, 배우자 직업의 불투명성, 자선 사업이라는 모티프를 갖고 있다. 이 모티프들은 1960년대 근대화·산업화란 근대화 프로젝트를 이끈 국가주의의 정당화를 위해 강요되었던 민중의 복종과 희생을 가리킨다고 볼 수 있다. 의심하는 인물들은 민중이 순응하는 표면상으로 건전해 보이는 독재 정권의 질서에 대해 끊임없이 의심을 가한다. 그들은 젠더적 역할을 변화시키고 재조합하면서 억압된 박정희 정권에 대한 정치적인 저항을 표출한다. 이처럼 손창섭은 독재 정권 폐해를 적출하면서 가부장제로 회귀하려는 국가주의의 시도를 차단하고자 한다. 4장에서는 역전적인 젠더 위치를 통해 가부장적인 가족 형태를 해체시키고 새로운 공동체를 결합시키는 시도를 그리고 있다. 『인간교실』, 『삼부녀』는 난잡하고 비정상적인 젠더 양상으로 인해 비판받아왔다. 그러나 손창섭은 기형적인 남녀관계라는 아이러니로 획일화된 한국사회의 가부장적 가족 제도를 회의한다. 그는 『인간교실』, 『삼부녀』에서 근본적인 문제제기를 하면서 한국사회의 혈연주의에서 탈피하고자 한다. 탈가부장적인 남성 주인공들은 여성 인물의 대상화를 거부하며 권위주의를 지양한다. 이로 인해 부계 가족 제도는 해체되고 새로운 계약 공동체의 결합 시도들이 이뤄진다. 이 과정에서 여성 인물은 비로소 하나의 주체로 거듭나며 기존 가족 형태가 아닌 자신의 필요에 따른 계약 공동체를 형성한다. 특히 계약 공동체는 모두가 합의한 계약 조항을 따르기 때문에 젠더 평등을 유지하게 된다. 손창섭은 국가가 형성한 정치·사회적인 젠더 불평등을 가로질러 대안적 계약 공동체를 체현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