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유형이 학교생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의 역할을 중심으로

        이은혜,박화옥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2

        학교폭력 경험유형, 가해/피해/중복경험, 학교생활적응력,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매개효과, 조절효과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 on school adjustment among youth. The orignal data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of two elementary and three middle schools in A city of the Gyeonggi province in order to evaluate the satisfaction with school social work services and a secondar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ata from 1,162 students. Descriptive results reveal that about 25 percent of respondents were bully/victims.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factor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indicate that bully/victims were less likely than bully only or victims only to report being adjusted in school life. As protective factors, self-esteem fully mediated the negative effect of bully/victims on school adjust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ound to be strongest among those who had no school violence experience. Th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youth’s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differential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It is also needed to provide interventions that utilize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s resource factors to improve the school adjustment of youth with exposure to school violence.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유형이 학교생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학교폭력의 맥락에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어떠한 역할을 담당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경기도 A시의 3개 중학교와 2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2010년에 수집한 학교사회복지 서비스만족도 자료 중 총 1,16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응답자의 약 25%가 가해와 피해를 모두 경험한 중복경험자이었고, 위계적 회귀분석에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한 이후에도 중복경험 학생일수록 가해경험 또는 피해경험만 있는 학생보다 학교생활적응력이 더욱 낮은 경향을 보였다. 자아존중감은 중복경험이 학교생활적응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을 완전매개하는 보호요인으로 검증되었고, 사회적 지지는 폭력경험이 없는 집단에서 학교생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극대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폭력경험유형에 따른 아동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을 위해서는 경험유형을 고려하여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를 보호요인으로 활용하는 적절한 개입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 KCI등재

        성장기 학대 경험이 대학생의 문제성 음주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심다연,이지하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effect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 on problem drinking are mediated by college adaptation among college students in early adulthood. Study participants (n=638) were college students from 35 universities in nationwid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test direct and indirect pathways from childhood abusive experience to problem drinking via college adaptation. The adverse childhood experience was directly associated with problem drinking in their early adulthood. SEM provided significant support for a model linking adverse childhood experience to problem drinking through college adaptation. Consequence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 persist into early adulthood for college students, through continuation of college adaptation, suggesting the need for interventions in college campus settings. The influence of alcohol problems warrants further attention. Such findings suggest that targeting students who were exposed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in relation to their immediate college environment holds particular potential to reduce problem drinking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장기 학대경험이 문제성 음주에 미치는 영향과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전국 35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638부의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성장기 학대경험은 Adverse Childhood Experience, 대학생활은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 문제성 음주는 신행우(1998)의 연구에서 개발한 문제성 음주 척도로 측정하였고, 결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대경험의 유무에 따라 성장기 학대경험이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대학생활적응에 더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대경험의 유무에 따라 성장기 학대경험이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문제성음주의 행태를 더 많이 보이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장기 학대경험과 문제성 음주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한 결과, 성장기 학대경험은 문제성 음주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대학생활적응을 매개하여 간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활적응이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대학생의 문제성 음주에 대한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학교폭력 가해피해 중복경험 중학생의 특성 및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학교폭력 유형별 집단비교를 중심으로

        고경은,이수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5 청소년상담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chool life adjustment of the violent students with victims and offenders experience by comparing with offender group, victim group, and non violent group and the effect variables on school life adjustment. The data was from 2,091 middle school junior students who was surveyed in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MANOVA and Munti-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to test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school life adjustment of the violent students with victims and offenders experience were lower than in the other group. Also, their life satisfaction and evaluation of healthy were lower than in the other group. In the family variables, they experienced more mistreatment and less positive parenting than the other group. Also their friendship score was lower than non violent and offender group. From the multi-regression analysis, there were difference between effect variables on school life adjustment in groups. Ego-resilience was effective variable on school life adjustment of the violent students with victims and offenders. In the end, the implications for the intervention of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학교폭력 가해피해 중복경험의 학생집단을 중심으로, 가해, 피해, 비경험 집 단과 비교하여 학교생활적응 양상을 파악하고,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여 중복경험 학생들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그들의 학교생활적응과 학교폭력 개입을 위한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조사’를 통해 수집된 중학교 1학년 2,091명이었다.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중복집단, 가해 집단, 피해집단, 비경험집단 간의 학교생활적응 및 관련 변인들의 차이가 있는지 다변량 분산분석을 수행하였고,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위계적 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중복경험 학생들은 학교생활적응 및 하위요인에서 교사 관계를 제외한 학습활동, 학교규칙, 교우관계에서 다른 집단들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 나, 학교생활적응에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교생활적응에 영향 을 미치는 개인요인, 가족요인, 친구요인들에서 학교폭력 경험 유형간 차이가 있는지 살 펴본 결과, 중복경험 학생들은 다른 집단 학생들보다 삶의 만족도가 낮고 건강상태가 좋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가족요인에서 학대를 더 많이 받고, 긍정적 양육을 접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친구요인에서도 애착관계가 낮게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학 교폭력 경험 집단 유형에 따라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인들이 차이가 있 음이 나타났는데, 중복경험 집단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자아탄력성 이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학교폭력 중복경험 학생들의 학교 적응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복합 및 다중외상 경험과 대인관계문제 사이에서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

        이현정,장희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4 인지행동치료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외상의 유형에 따라 초기부적응도식 및 대인관계문제에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고, 복합외상을 경험한 경우 어떠한 심리내적 과정을 거쳐 대인관계 문제가 유발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복합외상과 대인관계문제 사이에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위해 3개 도시의 고등학교 7곳, 청소년 상담센터 4곳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생활사건 질문지, 복합외상 척도, 대인관계문제 척도, 초기부적응도식 척도로 구성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총 77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외상경험에 따라 외상이 없는 집단, 단순외상 집단, 대인간외상 집단, 복합외상 집단, 다중외상 집단으로 구분한 후 외상유형에 따른 초기부적응도식 및 대인관계문제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중외상 및 복합외상 집단으로 분류된 청소년이 외상이 없음, 단순외상, 대인간외상 집단보다 거절이나 단절과 관련된 초기부적응도식이 더 많이 나타나고 대인관계문제도 더 큰 것으로 나타나, 외상 경험의 유형에 따라 초기부적응도식과 대인관계문제에서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다음으로, 복합외상 및 다중외상 집단만을 대상으로 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 관계에서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이론적 경로구조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초기부적응도식이 외상경험과 대인관계문제의 두 변인사이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has tried to clarify what influence types of traumatic experiences in adolescence have on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and what this study has tried to verify are the following two points. First, it has clarified what differences adolescents show in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due to types of traumatic experiences. Second, in order to clarify the path of the causation of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through some psychologically internal course, this study has verified mediation effects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between complex traumas and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For this, the study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consisting of life event questions, a complex trauma scale, interpersonal relation scale, and an early maladaptive schema scale on adolescents from 7 high schools and 4 youth consulting centers in three cities, and then a total of 776 adolescents’data were used for the study. First of all,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on the basis of their traumatic experiences into the trauma-less group, the simple traumatic group, the interpersonal traumatic group, the complex traumatic group, and multiple traumatic group. Then,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differences in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due to types of trauma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shown among the groups in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due to types of traumatic experiences. That is to say, it turned out that groups with multiple or complex traumatic experiences showed more and greater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in early maladaptive schemas than groups with simple or interpersonal traumatic experiences. Next, in order to verify mediation effects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on traumatic experiences and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only in groups with complex or multiple traumatic experiences, this study established some theoretical models of path structure influencing them directly or indirectly, and verified them against the data. As a result of the data analysis, it turned out that early maladaptive schemas partially mediated the two variables, complex traumas and problems with interpersonal relations.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부모화 경험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

        강원희 ( Won Hee Kang ),유순화 ( Soon Hwa Yoo ),윤경미 ( Kyung Mi Yun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0 중등교육연구 Vol.58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화 경험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고, 성별에 따라 부모화 경험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일반계 남, 여 고등학교, 전문계 남녀공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고등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중 347부를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정준상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부모화 경험과 심리적 부적응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화 경험 중 불공평과 정서적 돌봄이 심리적 부적응과 관련이 있었으며, 심리적 부적응 중 우울/불안, 신체증상, 위축의 변인이 부모화 경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성별에 따라 부모화 경험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부모화 경험 중 불공평이 심리적 부적응과 가장 관계가 높았으며, 심리적 부적응 중 우울/불안이 부모화 경험과 관련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부모화 경험과 심리적 부적응의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부모화 경험에 노출된 청소년의 심리적 적응을 돕기 위해서 학생의 성별에 따라 적절하게 부모화 경험을 다룰 수 있는 상담과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7 high school students(142 boys and 205 girls). To analyze the dat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following results from this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ification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Second, unfairness of parentification and emotional caregiving were related to psychological maladjustment significantly, anxiety/depression, somatic complaints, and withdrawal were related to parentification significantly. Third,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was higher in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chool counseling services must implement a program for treating cases of parentification in adolescents.

      • KCI등재

        성장기 가정 내 폭력 경험이 성인 초기 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모간의 폭력 관찰 경험과 자신에 대한 폭력 행동 경험을 중심으로

        안귀여루,서경현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3 No.4

        It is the aim of present paper to examine the effects of experienced violence and observed violence in original family on adaptation in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the degree of contribution of two types of aggression in family were examined. Participants were 220 college students. Among them, those who have experienced violence from mother are 60.3%. And 52.3% reported violence from father. Those who have observed their parents violent behavior are 28.8%. These childhood ‘experienced violence’ and ‘observed violenc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early adulthood adaptation. But its effect is dependent on participant's sex. Experienced violence from mother is positively related to confidence in scholastic achievement in female. Experienced violence from father is positively related to trumatic symptoms and trait anxiety in male. On the other hand, observed violence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raumatic symptoms, impulsivity, depression, self-esteem and trait anxiety. Most important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observed violence explains early adulthood adaptation more significantly than experienced violence. The discussion addressed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for future research and for clinical practice. 본 연구의 목적은 성장기 가정 내에서 경험한 부모간의 폭력 ‘관찰 경험’과 부모로부터 받은 폭력 ‘행동 경험’이 성인 초기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들 두 종류의 경험 중 어떤 것이 심리적 부적응과 더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사람은 모두 220명이었으며 이들 중 어머니로부터 폭력적인 행동을 경험하였다고 보고한 사람은 60.3%였고 아버지로부터 폭력적인 행동을 경험하였다고 보고한 사람은 53.2%에 이르렀다. 한편 성장기에 부모간의 폭력 행동을 관찰한 적이 있다고 보고한 사람은 전체의 28.8%였다. 성장기 가정 내 폭력과 성인기 심리적 적응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폭력 경험의 경우 어머니로부터 받은 폭력 행동은 심리적 적응과는 관련이 없었으며, 아버지로부터 받은 폭력행동의 경우 외상 증상과 특성 불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모 상호간의 폭력 행동 관찰 경험은 외상 증상, 충동성, 특성 불안,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여주었다. 한편 성장기 부모로부터의 직접적인 폭력 경험과 부모간의 폭력 행동의 관찰경험이 초기 성인기 적응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알아보고자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장기 폭력 경험이 성인기 적응 중 충동성, 특성불안, 외상 증상을 유의하게 설명할 수 있으며 세 가지 폭력 경험 중에서 부부폭력 목격 경험만이 유의하게 이들 적응 변인들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반수경험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윤중,유재연 (사)한국직업자격학회 2019 직업과 자격 연구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hether the group who took a semester off to get an admission of better college(the experience of ban-soo) has different background factor with the other group. And,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hether this experience had an effect on satisfaction of college and adjustment of college life. For this purpose, the data of the GOMS 2014 ~ 2015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background factors between the ban-soo experienced group(B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most frequently chosen criteria for selecting colleges in the BSE group were “the CSAT and school grades”. The criteria for choosing majors were high in the order of “academic interest and aptitude”, “academic and school grades”, and “career and job prospects”. The BSE group had higher “academic interest and aptitude” responses than comparison groups, but had lower “academic interest and aptitude”. Second, it has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B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adapting to college life, such as grades, major curricula and content, and so on. Finally, the BSE group differed from the control group in relation to college life adaptation, but did not affect the level of the whole satisfaction with the college.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is study was empirically verified by noting the phenomenon of the BSE that frequently appears in college.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e implications of applying to college life by the BSE were derived. 본 연구에서는 반수경험자들의 대학이전 요인에 대해 살펴보고 반수경험이 대학생활적응과 학교에 대한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2014~2015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수경험집단과 대조집단은 대학이전 요인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반수경험자 집단의 대학 선택 기준은 ‘수능 및 학교성적’이 가장 많았고 전공 선택의 기준은 ‘학문적 흥미와 적성’과 ‘수능 및 학교 성적’, ‘직업 및 취업전망’의 순으로 높았다. 또한 반수경험집단은 대조집단에 비해 ‘수능 및 학교 성적’ 응답은 높지만 ‘학문적 흥미와 적성’ 응답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반수경험집단은 대조집단에 비하여 학점, 전공 커리큘럼 및 내용, 수업방식 및 질에 대한 만족도, 전공에 대한 만족도, 전공교수진의 능력과 열의, 진로관련 상담 및 지원제도, 학교 환경에 대한 만족도 등은 낮았지만 복수전공 선택, 토익점수를 비롯한 진로준비행동에는 더욱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활 적응에 있어 반수경험집단과 대조집단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반수경험은 대학생활적응과 관련하여 대조집단과 차이를 보였지만 대학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수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반수라는 현상에 주목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데 중요한 의의가 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반수경험자들의 대학생활적응과 관련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해외거주경험이 있는 초등학생의 문화적응 및 문화정체성 발달: 초등학교 6학년 영어학습자 사례 분석

        고은옥 ( Ko¸ Eunok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4

        본 연구는 해외거주경험이 있는 초등학생들의 삶의 과정을 이해하고 문화정체성을 파악함으로써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한 효과적인 초등교육 및 초등영어교육활동을 운영하는데 기여하기 위하여 실행되었다. 해외거주경험이 있는 네 명의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로써 학생들의 경험을 문화적응(Kim, 2015) 및 문화정체성(Choe, 2010; Banks, 2015) 발달단계로 분석하였다. 해외거주경험, 모국 재적응경험, 영어사용에 대해 학생별로 한 차례의 개별면담과 두 차례의 집단 면담을 진행하였고, 면담내용은 전사하여 초점 분석하였다. 연구 참가자들은 타문화적응 및 모국문화 재적응과정에서 인식, 수용, 통합의 문화적응단계를 두루 경험을 한 것으로 보였다. 또한 그들의 제1언어 정체성과 제2언어 정체성이 균형을 이루어 가는 모습을 보였고, 문화정체성 발달단계는 사회적 맥락이나 대화 주제에 따라 역동성 있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의 교육적 시사점으로는 해외거주경험이 있는 학생을 이해하기 위해서 문화적응 및 문화정체성 발달단계를 활용할 필요가 있고, 공교육 차원에서 이들을 지지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 있다. 초등영어교육에서는 영어학습에 관한 동기부여가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는 점과 교육과정에 학습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을 기를 수 있는 요소를 강화하여 세계시민으로서 문화정체성을 기를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리고 해외거주경험이 있는 초등학생을 영어교과수업의 조력자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A초등학교 6학년 일부 아동을 대상으로 한 점과 다중언어정체성을 다루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으나, 초등영어교육현장에 실재하는 학습자에 대해 깊이 있는 이해와 교육적 접근 방법을 제안한 점에 있어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and cultural identity development of elementary returnee students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general and English education in public elementary schools. This case study covers four students who had previously lived abroad. Each student participated in an individual interview as well as two group interviews about their experiences abroad and subsequent return. The interview transcript was focus-analyzed with the developmental frame of cultural adaptation (Kim, 2015) and cultural identity. As a result, every student went through the cultural adaptation developmental level of awareness-acceptance-integration. While students’ bilingual identity(Choe, 2010) seemed to remain balanced positively, their cultural identity development(Banks, 2015) shifted based on social context or conversational issue. The resulting information suggests that we should view these students’ experiences within the frame of cultural adaptation and cultural identity development in order to support students and enhance community competence. It also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motivating students of language learning constantly, and designing and practicing English curriculum with cultural elements. This study provided a further understanding of returnees in elementary school and an effective education approach for them.

      • KCI등재

        학교생활 적응성이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태곤(Kim, Tae Gon) 한국민간경비학회 2012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1 No.4

        최근 학교폭력은 각종 언론 등에서 중요한 사회문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단순히 신문과 TV 그리고 SNS(Social Network Service)상에서 거론된 후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꿈과 미래인 청소년들이 학교폭력으로 좌절하고, 급기야는 자살에 이르기 때문에 사회 모든 분야의 관심과 방안이 절대로 필요한 것이다. 또한 학교 폭력예방을 위해 시청, 경찰, 교육청, 학교 교사, 학부모, 청소년 상담 센타 등 다양한 관계기관의 협조와 노력이 있어야 하겠다. 이와 관련해서 무엇보다도 먼저 학교폭력의 근본적인 원인을 연구해서 그 분석결과를 토대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한 문제일 것이다. 이 논문은 성별, 성격, 경제력, 학업성적, 부모형태 등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학교생활 적응성으로 교사와의 관계, 학우와의 관계, 학업성취도, 학교규칙준수 등 4개 하위변수 그리고 학교폭력 가해경험으로 금품갈취(강요) 가해경험과 신체(언어)폭력 가해경험 등 2개 하위변수를 두었으며, 총 32문항으로 자기응답식 설문을 통해 구성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제외한 모든 문항은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Likert 5점 척도로 측정하였으며, SPSS Statistics 20 for Windows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성의 차이분석의 경우 가정의 경제력과 학업성적은 학교생활 적응성 4개 하위변수에 모두 유의미한 평균값의 차이를 보여 가정의 경제력이 부유할수록 그리고 학업성적이 좋을수록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외향성의 학생이 내향적인 학생보다 교사와의 관계와 학우와의 관계에서 좋은 적응성을 나타냈다. 학교폭력 가해경험의 경우는 성별에서 주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신체(언어)폭력 가해경험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학업성적이 낮은 학생과 편부모 학생이 금품갈취(강요) 가해경험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교생활 적응성 중에서 교사와의 관계와 학교규칙준수는 금품 갈취(강요) 가해경험과 신체(언어)폭력 가해경험 모두에게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학업성취도는 신체(언어)폭력 가해 경험에 역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어 학교생활 적응성 분석을 통해 학교폭력 가해경험을 해소하기 위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Recently the school violence has been dealed with an crucially social problem in the mass media etc. Because the young people who are the future of the Republic of Korea suffer from the school violence and finally reach to suicide, such a phenomenon does not disappear right after being discussed on the newspapers and TV and SNS (Social Network Service). So the corncern and the plan are absolutely needed in all sectors of society. In this regard, the first thing we need to do is to study the root cause of the school violence and come up with ways on the basis of data analysis. This paper is composed of total 32 questions including demographicsoci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personality, economic strength, academic records, parents shape and the school life adjustment of four sub-variables like schoolteacher relationship, schoolfellow relationship, learning achievement, school regulation observance and the bullying experience of two sub-variables such as extortion(compulsion) experience, the body(language)violence experience. All questions except for demographic-sociological characteristics has been measured by Likert 5-point scale to analyze influence relationship and analyzed by SPSS Statistics 20 for Windows. In the case of difference analysis of the school life adjustment by demographic-sociological characteristics, the economic strength and the academic records have shown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mean value in four sub-variables of the school life adjustment. Moreover, extrovert showed the good adjustment in the teacher relationship and schloolfellow relationship than introvert. The case of the experience of bully has been analyzed that the boy students are higher than the girl students in the body(language)violence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tudents who have low school records and single parents are higher in the extortion(compulsion) experience. In the middle of the school life adjustment, the teacher relationship and school regulation observance showed negative(-)effect on both the extortion(compulsion) experience and the body(language)violence experience. Learning achievement also showed negative(-)effect on the body(language)violence experience.

      • KCI등재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정, 사회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임세영 ( Lim Seyeong ),박재연 ( Park Jaeyeon ) 한국청소년학회 2023 청소년학연구 Vol.30 No.7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족, 사회환경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개인요인은 부적응도식과 자아탄력성, 가정요인은 학대피해경험, 사회환경요인은 또래지지, 교사지지, 지역사회자본을 설정한 후, 학교생활부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검증을 위해 경상도지역 중학생 326명의 자료를 최종분석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대피해경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부적응도식, 또래지지, 지역사회자본 순으로 상대적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를 통해 청소년이 가정에서 보호자에 의해 경험하는 학대피해경험과 부적응도식은 학교생활에 부적응을 초래하는 가장 큰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또래지지를 높여주거나 지역사회자본을 형성하여 청소년이 활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여준다면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이 완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e relative influence of individual, family,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adolescents' maladjustment to school life. Accordingly, maladjustment schema and ego resilience were set as personal factors, abuse victim experience as family factors, and peer support, teacher support, and community social capital as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As for the factors affecting adolescents' maladjustment to school life, experience of abus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maladjustment scheme, peer support, and community capital in order of relative influence. Through this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experience of abuse and maladjustment scheme experienced by the guardian at home are the biggest factors that cause maladjustment to school life.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adolescents' maladjustment to school life can be alleviated if they increase peer support or form community capital to increase accessibility so that adolescents can utilize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