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장기 학대 경험이 대학생의 문제성 음주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심다연,이지하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effect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 on problem drinking are mediated by college adaptation among college students in early adulthood. Study participants (n=638) were college students from 35 universities in nationwid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test direct and indirect pathways from childhood abusive experience to problem drinking via college adaptation. The adverse childhood experience was directly associated with problem drinking in their early adulthood. SEM provided significant support for a model linking adverse childhood experience to problem drinking through college adaptation. Consequence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 persist into early adulthood for college students, through continuation of college adaptation, suggesting the need for interventions in college campus settings. The influence of alcohol problems warrants further attention. Such findings suggest that targeting students who were exposed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in relation to their immediate college environment holds particular potential to reduce problem drinking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장기 학대경험이 문제성 음주에 미치는 영향과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전국 35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638부의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성장기 학대경험은 Adverse Childhood Experience, 대학생활은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 문제성 음주는 신행우(1998)의 연구에서 개발한 문제성 음주 척도로 측정하였고, 결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대경험의 유무에 따라 성장기 학대경험이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대학생활적응에 더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대경험의 유무에 따라 성장기 학대경험이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문제성음주의 행태를 더 많이 보이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장기 학대경험과 문제성 음주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한 결과, 성장기 학대경험은 문제성 음주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대학생활적응을 매개하여 간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생활적응이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대학생의 문제성 음주에 대한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학대행위 중단을 위한 가족치료적 접근방법과 효과성에 대한 사례연구

        심다연(Da Yeon Shim),박태영(Tai Young Park) 한국아동복지학회 2014 한국아동복지학 Vol.- No.48

        본 연구는 아들을 학대하는 어머니(클라이언트)에 대한 가족치료 사례를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클라이언트의 아들을 학대하는 행위에영향을 미친 요인들과 가족치료자의 개입방법, 그리고 가족구성원들의 변화요인들을 살펴보는 데 있다. 가족치료자는 클라이언트의 학대 행위 중단을위해 정신분석적 대상관계 이론, 가족체계이론, 상호작용적 의사소통 모델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클라이언트의 자녀 학대 행위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원가족에서 미해결된 정서, 전이된 감정, 부부갈등, 원가족에서 전수된 방식으로 나타났다. 둘째, 클라이언트의 자녀 학대 행위의 중단을 위한 치료자의 개입기법으로 원가족에서 미해결된 정서와 전이된 감정을 다루고 역기능적이었던 방식을 기능적인 새로운 방식으로 변화시키는 것 등이었다. 셋째, 가족들의 변화된 내용은 클라이언트의경우 미해결된 정서를 해결하게 된 것이며 다른 가족구성원들은 클라이언트를 이해하고 변화를 위해 노력하게 된 것이었다. 이러한 변화 과정을 통해 클라이언트는 자녀의 학대 행위를 중단하게 되었고 감정조절이 안 되었던 자녀의 증상도 완화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자녀를 학대하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가족치료적 개입방법의 효과성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analyzed a family therapy case for a mother(client) who abused her son. The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client’s abusiveness towardthe son, the therapist’s intervention method, and the changes made by the familymembers. In order to stop the client’s abusive behaviors, the therapist employedpsychoanalytical object relations theory, family systems theory, and interactionalcommunication model. The finding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thatinfluenced the client’s abusiveness toward the son were unresolved emotions from thefamily-of-origin, transferred emotions, marital conflicts, and maltreatment inheritedfrom the family-of-origin. Second, the therapist’s intervention modality to help theclient discontinue abusing the son included dealing with unresolved emotions from thefamily-of-origin and transferred emotions, and transforming the dysfunctional methodinto a functional one. Third, as a result of family therapy, the client solved herunresolved emotions and the other family members understood the client and madeefforts for change. Through this process of change, the client stopped abusing the sonand the son’s symptoms of being unable to control his emotions were relieved. In aconclusion, this study proves the effectiveness of family therapeutical interventionmethod for the client abusing the son.

      • KCI등재
      • KCI등재

        취업 장애인 1인가구의 대인관계능력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 매개효과 분석

        박수선,심다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4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Vol.28 No.1

        본 연구는 취업 장애인 1인 가구의 지역사회 적응에 필요한 대인관계능력과 개인적 요인인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장애인 1인가구가 행복한 생활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조사한 장애인고용패널조사 7차년도 2차 웨이브 자료(2022) 중 1인가구 828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SPSS Process Macro 4.3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대인관계능력과 자아존중감이 생활만족도 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인관계능력은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대인관계능력이 자아존중감을 경유하여 생활만족도에 이르는 경로는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대인관계능력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1인가구의 사회적 고립 문제가 대두되는 현대 사회에서 취업장애인 1인가구를 대상으로 생활만족도와 관련하여 대인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장애인 1인가구 스스로 자신의 삶에 주체가 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를 둘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single-person households maintain a happy life by analyzing how interpersonal skills necessary for community adaptation and self-esteem, which are personal factors, affect life satisfaction. The self-esteem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with SPSS Process Macro 4.3 using data on 828 single-person households sourced from the seventh wave of the Disability Employment Panel Survey(2022) conducted by the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of the Korea Disability Employment Service.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skills and self-esteem on life satisfactio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hile it was found that higher self-esteem was associated with higher life satisfaction, interpersonal skill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is association. The path from interpersonal skills to life satisfaction via self-esteem was deemed statistically significant, suggesting that self-esteem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skills and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 the life satisfaction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single-person households in a modern society in which the problem of social isolation experienced by individuals in single-person households is emerging. Furthermore, it provides a direction for these individuals to become the main actors of their own l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