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뇌사 장기기증 동의 관련 요인 : 한국장기조직기증원 자료 기반

        김보경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한국장기조직기증원으로 통보된 뇌사추정자의 기증 적합성 평가 및 뇌사추정자 가족과의 면담 결과를 기록한 내용을 바탕으로 뇌사 장기기증 동의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파악하여 가족 면담 전략을 개발하고, 뇌사 장기기증 활성화 정책 및 홍보,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되었다. 2022년 1월부터 12월까지 한국장기조직기증원으로 통보된 뇌사추정자 중 한국장기조직기증원 소속 장기구득간호사와 뇌사추정자의 가족이 면담을 진행한 6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통보된 뇌사추정자의 일반적·의학적 특성과 의료환경 및 뇌사추정자 발굴과정 특성에 대한 빈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각 특성에 따른 뇌사 장기기증 동의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카이제곱 분석을 시행하였다. 카이제곱 분석 결과 유의한(p=.05) 특성에 대하여 영향력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뇌사추정자의 일반적·의학적 특성에서는 연령대(p=.005)와 결혼 상태(p=.005), 의식수준(p=.001)에 따른 뇌사 장기기증 동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의료환경 특성에서는 의료기관의 병상 규모(p=.019)와 진료과(p=.001)에 따라 뇌사 장기기증 동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뇌사추정자 발굴과정 특성에서는 뇌사추정자 통보방식(p=.036), 통보 당시 가족 의사 확인 여부(p<.001), 면담 횟수(p<.001)에 따라 뇌사 장기기증 동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뇌사 장기기증 동의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뇌사추정자의 연령대가 20~39세, 40~59세이며, 법적 배우자 없고, 의식수준이 Coma일 때 뇌사 장기기증 동의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원 중인 의료기관 규모가 599병상 이하이고, 주 진료과가 신경외과가 아닌 기타 진료과인 경우, 통보 당시 가족 의사가 확인된 경우, 면담이 2회 이상 시행되었을 때 뇌사 장기기증 동의 확률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뇌사 장기기증 동의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뇌사추정자의 일반적·의학적 특성과 의료환경 특성, 그리고 뇌사추정자 발굴 과정 특성에 따른 면담 전략을 개발하여 뇌사추정자 가족과의 면담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amily interview strategy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that affect brain-dead organ donation consent, and to increase the consent rate for brain-dead organ donation. From January to December 2022, the records and family interview results of 611 potential brain death who had family interviews among potential brain death reported to the Korea Organ Donation Agency(KODA) were analyzed. Chi-square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donation consen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ach potential brain dea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environ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curement process, an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influenc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rain death organ donation consent depending on the age group(p=.005), marital status(p=.005), level of consciousness(p=.001) and hospital size(p=.019), medical department(p=.001), notification method(p=.036), family's donation opinion confirmation at the time of notification(p<.001), and number of interviews(p<.001). If the brain death donor is 20 to 39 or 40 to 59 years old, there is no legal spouse, the level of consciousness is Coma, the hospital size is less than 599 beds, and the main medical department is not neurosurgery, the family's donation opinion was confirmed at the time of notification, interviews were conducted more than twice, the probability of consent to brain death organ donation was significantly high. In order to increase the consent rate for brain death organ don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rview strateg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brain death donor, and medical environment, procurement process characteristics and apply it to interviews with the family of brain death donor.

      • 장기기증희망자의 뇌사, 장기기증 및 이식에 대한 지식과 태도

        서영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 초록 의학기술의 발달로 인간의 평균수명이 증가하고 장기이식술도 또한 말기 장기 부전증 환자와 가족에게 삶의 희망을 안겨주는 유일한 치료방법이 되고 있으며, 장기기증 활성화 방안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장기기증희망자의 뇌사와 장기기증 및 장기이식과 관련된 지식과 태도를 연구함으로서 장기기증의 활성화 전략, 홍보 및 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은 G시에 소재한 종합병원 장기이식센터에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장기기증희망자로 등록한 대상자 91명이다. 자료수집은 2008년 1월 28일부터 2월 28일까지였으며, 연구도구는Hillman(1984)이 조직 및 장기기증과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관하여 개발한 도구를 주애은(1995)이 번역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4.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 처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장기기증희망자의 뇌사와 장기기증 및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서 지식 점수는 21점 만점에 평균 9.61 ± 3.47점으로 지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태도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4.24 ± 0.97점으로 매우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주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사와 장기기증 및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 정도는 학력유무(F= 4.492, p= .006), 헌혈유무(t= 2.815, p= .006), 장기기증희망 등록기간(F= 3.493, p= .011), 장기기증과 장기이식 교육 참가희망 여부(F= 8.353, p< .0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장기기증과 장기이식에 대한 태도 정도는 직업(t= 2.256, p= .027), 부모생존 유무(F= 1.304, p= .017), 장기기증희망 등록 사실에 관한 가족들의 인식 여부(t= 2.254, p= 0.027), 가족에게 장기기증 및 사후기증 권유 여부(F= 4.110, p= .009)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4. 대상자의 뇌사, 장기기증 및 장기이식에 대한 지식과 태도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으로 볼때, 장기기증 희망자의 뇌사와 장기기증 및 장기이식과 관련된 지식과 태도에 있어서 지식 정도를 높이고 태도를 계속 긍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장기기증, 장기이식과 관련된 교육 및 홍보자료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The advance in medicine has increased the average human life span and organ transplantation is viewed as the only treatment that offers hope to terminal patients with organ failure and their families. To make organ transplantation prevailing, securing organ donators is important above a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nowledge and attitude about brain death, organ donation and organ transplantation in the organ donation candidate, so it could provide brain death the develop motivation and education for organ donation. The subjects were 91 candidates, they enrolled in organ tranplantation center of general hospitals in G city. All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28 to February 28, 2008. And this study adopted a Korean version of measurement tool(Ju Ae-eun, 1995) that was adapted and modified to meet Korean sentiments and culture, which was originated from a questionnaire form on common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tisue/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Hillman, 1984).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a SPSS WIN 14.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ers; 1. The mean score of knowledge was 9.61 ± 3.47, showed relativelylow. The mean score of attitudes was 4.24 ± 0.97 showed rela tively high. 2. The knowledge about attitude about brain death,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according in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differences by academic career(F= 4.492, p= .006), blood donation experience(t=2.815, p= .006), registered period of desired organ donation(F= 3.493, p= .011), and self-motivation to particpation in education related to organ donation and trans plantation(F= 8.353, p< .000). 3. The attitudes about attitude about brain death,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according in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their attitudes depending upon occupation(t= 2.256, p= .027), presence of parents(F= 1.304, p= .017), family's consent(t= 2.254, p= .027), family's recommendation on organ donation in donor's lifetime or after his death (F= 4.110, p= .009). 4. The relationship of knowledge and attitude was not statistical significantly(r= .043, p= .683). People who hope to be organ donators should be informed about brain death, organ donation and organ transplantation in detail, and they should be inspired to stay positive about organ donation. How to make it happen should carefully be considered, and education and public information materials about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are required to have organ donation more widespread.

      • 뇌사자 장기기증 지식이 태도와 실천의지에 미치는 영향 : 일부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최현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논 문 개 요 뇌사자 장기기증 지식이 태도와 실천의지에 미치는 영향 지도교수 : 최 만 규 제 출 자 : 최 현 주 이 연구는 일부 대학생을 대상으로 뇌사자 장기기증 관련 지식이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와 실천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는 일부 대학생 5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내용은 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뇌사자 장기기증 일반정보, 뇌사자 장기기증 지식, 태도 등으로 구성하였다. 뇌사자 장기기증의 지식은 뇌사자 장기기증의 정의에 관한 핵심지식, 의학적 지식, 법률 및 관리체계 지식 그리고 현황 및 실태 지식 등 네 가지 영역으로 분류하여 총 23개 문항의 설문을 구성하였다. 태도는 정서적 태도, 인지적 태도 그리고 행동적 태도 등 세 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총 20개의 설문문항으로 이루어졌다. 태도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어의구별척도 12문항 등을 추가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 총점은 23점 만점에 평균 10.87점으로 47.3%의 정답률을 보였고, 뇌사자 장기기증 지식에서 가장 중요한 지식인 뇌사자 정의에 대한 핵심지식의 경우 40.5%의 정답률을 보여 전체 평균에 비해 뇌사자 정의에 대한 핵심지식의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기증에 관련된 일반정보 중 대상자의 교육경험이 지식수준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대상자의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점수는 최대 5점 만점에 평균 3.20점이었으며 종교 간에 뇌사자 장기기증 요인 별 태도가 차이를 보이는 지에 대한 검증에서 인지적 태도를 제외한 모든 태도에서 기독교가 무교보다 더 긍정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3) 뇌사자 장기기증 관련 지식과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핵심지식은 인지적 태도를 제외한 모든 영역의 태도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그 외의 의학적 지식, 법률관계 지식, 현황 및 실태에 관한 지식은 정서적 태도를 제외한 전체 및 인지적, 행동적 태도와 정(+)상관관계가 있었다. 4) 핵심지식, 법률관계 지식이 전체 태도에 대해서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으며 특히, 핵심지식이 가장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정서적 태도에 대한 지식의 영향력은 핵심지식이 유의하였고 인지적 태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법률관계 지식, 현황 및 실태에 관한 지식이 기여하고 있었다. 또한 행동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역시 핵심지식이 중요한 요인이었다. 5) 대상자들의 뇌사자 장기기증 지식과 어의구별척도를 사용한 태도 차이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지식 전체 점수와 어의 구별척도를 사용한 전체 태도 점수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의학적 지식과 법률관계 지식 그리고 현황 실태 지식은 모든 태도와 정(+)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뇌사자 장기기증 관련 지식이 어의구별척도를 사용한 태도 차이에 주는 영향력을 분석하기위하여 회귀 분석한 결과는 전체 태도를 예측하는데 법률관계 지식이 유의하였고 인성수용성 태도에 대한 지식의 영향력은 법률관계 지식, 현황 실태 지식이 유의하였다. 6) 뇌사자 장기기증 관련 지식이 본인의 장기기증 희망 여부(실천의지)에 주는 영향력의 정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네 개의 영역별 뇌사자 장기기증 관련 지식 중에서 핵심 지식이 실천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7) 일부 대학생을 대상으로 고등학교 뇌사자 장기기증 교육과정의 정규화에 대해 알아본 결과 대상자 중 279명(55.0%)이 ‘고등학교 정규 교과목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추천과목으로는 생명과학(생물) 과목이 24.1%로 가장 높았다. 뇌사자 장기기증 지식이 장기기증 태도와 실천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며, 지식 중에서도 뇌사자 장기기증의 정의에 관한 핵심지식이 가장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뇌사자 장기기증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을 배양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그 방안의 하나로 초·중·고등학교 정규 교과과정에 관련 내용을 포함시켜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겠다.

      • 한국의 생체장기 기증제도에 대한 윤리적 고찰

        김명희 연세대학교 2004 국내박사

        RANK : 248703

        1968년 미국 하버드대학의 뇌사 정의 특별위원회((Ad Hoc Committee of the Harvard Medical School to Examine the Definition of Brain Death)에서 뇌사를 죽음으로 인정하고 뇌사의 기준을 발표하였다. 이를 계기로 세계적으로 장기이식을 위한 장기 확보방법에 일대 방향전환이 이루어졌다. 이후 서구 여러나라들은 뇌사를 인정하는 법률을 정하고 이식용 장기를 대부분 뇌사자로부터 기증받아오고 있다. 한국의 경우도 늦은 감이 있으나 1999년 뇌사자로부터의 장기적출을 인정하는 법률을 제정하였다. 그러나 이런 법적 인정에도 불구하고 뇌사자 장기기증은 증가하지 않았고 아직도 90% 이상의 장기이식 수술이 생체기증자들에 의존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생체부분간이식 수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등 생체장기이식을 둘러싼 여러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생체장기기증은 이식수술의 한 과정일 뿐 아니라 기증자들의 삶의 한 부분이다. 기증자들은 기증 후에도 온전한 삶을 살아가야 한다. 생체장기기증의 문제점들에 대한 다양한 논의는 기증자들의 기증 후 삶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생체기증은 아름다운 미담이나 또는 장기매매의 의혹이라는 양분된 시각에서만 논의되고 기증자들을 둘러싼 의학적, 윤리적, 사회적 문제점들에 대해서는 공식적 논의나 연구가 별반 없었던 것이 현실이다. 이제 생체장기기증과 관련하여 진솔하고도 다각적인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 된 것 같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한국의 장기이식 관련 제도들을 생체장기기증에 초점을 두어 조망해보고 윤리적 문제점들은 없는지 검토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생체장기기증과 관련한 윤리적 판단의 기준으로 채택된 생명의료윤리의 네가지 원칙을 알아보고, 현재 한국의 생체장기기증과 관련된 제도 및 현황을 파악하여 이것들이 네원칙에 부합하고 있는지를 검토하여 현재 한국의 생체장기기증제도에 윤리적인 문제점은 없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현재 한국에서는 신장, 간장, 골수 등의 생체기증 만이 가능하다. 1969년 한국에서 최초로 신장이식이 실시된 이후 신장, 간장, 골수 등 생체장기기증을 한 사람들은 약 2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생체장기기증 절차를 살펴보면, 먼저 장기를 기증하고자하는 사람은 장기이식등록기관에 등록을 한다. 이후 기증받을 환자가 정해지면 서류를 제출하여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의 승인을 받아 장기이식의료기관에서 장기적출수술을 시행받도록 하고 있다. 관련 법률인 ‘장기등이식에관한법률’이 1999년에 제정되고 2000년부터 시행되었다. 법률은 장기매매를 금지하고, 16세 이하에서의 장기적출을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16세 이상의 미성년자의 경우 부모 등 4촌 이내의 친족에게 부모의 동의 아래 기증이 가능하며, 20세 이상의 성년인 경우에는 기증자가 이식받을 환자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장기이식의료기관이 장기이식등록기관을 겸할 수 있고, 장기이식등록기관이 장기이식을 받기 원하는 환자와 기증자를 모두 등록 받아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장기이식 비용을 장기이식을 받는 환자가 모두 부담하는 것이 원칙임을 법에 명시하고 있다. 한국의 생체장기기증 제도를 살펴본 바 장기이식의료기관에서 거의 모든 과정을 독자적으로 진행할 수 있었다. 이는 이식수술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고 설명을 하는 사람들이 이식을 받을 환자를 돌보는 의료진일 수 있어 객관적인 입장에서 기증자에게 적출 수술의 위험성 및 부작용 등에 대하여 충분한 설명하지 못할 가능성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미성년자의 장기기증이 부모를 비롯한 친족에게 가능하도록 하고 있어 거절했을 때의 가족 내의 갈등에 대한 부담감 등으로 인하여 자유로운 마음 상태에서 자발적으로 기증동의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자율성 존중 원칙이 훼손될 우려가 일부 존재한다. 또한 적절한 기증자 선별을 위한 신체 및 정신적 평가 과정 및 기준 등에 대한 구체적인 안이 없어 기증자의 선별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적절치 못한 기증 결정으로 기증자에게 장기적출이 해가 될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우리의 생체장기기증 제도는 악행금지 의무를 다하고 있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또 한편으로 생체기증자들이 기증 후에 지속적인 관찰 및 건강관리를 받도록 하는 제도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기증자들이 장기 적출 후 건강에 대한 안전보장을 받지 못 할 가능성이 있어 기증자들에 대해 선행 의무를 다하고 있다고 볼 수 없다. 정의 원칙과 관련하여 보면 비지정․비혈연기증(Non-directed unrelated donation)의 경우 수혜자를 시행기관에서 임의의 기준으로 정하고 있어 수혜자 선정에 있어서 공정성이 확보되지 못할 우려가 있으며, 법이 이식받는 환자가 모든 이식비용을 부담하도록 명시하여 비용을 감당할 수 없는 환자를 원칙적으로 이식 대상에서 제외되도록 하고 있어 정의 원칙이 지켜지고 있다고 볼 수 없다. 우리는 흔히 생체장기기증이 타인의 생명을 구하기 위하여 자신의 신체 일부를 떼어주는 숭고한 행위라고 이야기 한다. 이러한 숭고한 행위가 제도의 미비로 본래의 의도와는 다르게 인간을 목적이 아닌 수단으로 전락시켜서는 안 될 것이다. 목적이 선하다고 모든 수단이 정당화 될 수는 없다. 아무리 좋은 결과를 얻는 행위라도 윤리적으로 옳지 않다면 가치 있는 행위라 할 수 없다. 생체장기기증이 참 가치를 가지기 위해서는 그 과정은 윤리적이야 한다. 현재 한국의 생체장기기증 제도는 생명의료윤리의 네원칙 모두에 충실하지 못한 상황이라고 판단되었다. 그러므로 한국에서 생체장기이식이 더욱 폭 넓은 윤리적 정당성을 얻고 참 가치를 얻기 위해서는 관계자들의 생명의료윤리에 충실한 새로운 제도를 만들고자하는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In 1968, the Ad-hoc Committee of the Harvard Medical School to Examine the Definition of Brain Death first recognized brain death and announced the criteria for its determination. This has become globally a big turnover in securing organs, and many Western countries enacted the laws to approve brain death and such organs have been donated by people who died of brain death in most cases. In spite of the late enactment of the ''Act on Organ Transplantation Etc.'' to approve the organ in 1999, the organ donation from brain death has not been increased and still more than 90% of organ transplantation is depending on living donors. Recently, a rapid increase in living donor partial liver transplantation have revealed various problems on living organ donation in Korea. Living organ donation is not only a part of transplantation process but also a part of donor''s life, so that they should be able to live on a complete life after donation. Nevertheless, there has been no detailed medico-ethico-social discussions or approaches, but just a dichotomy between beautiful cherished work and organ sales, on living organ transplantation.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take a view of current organ transplant related systems focusing on living organ donation and to review whether there is any ethical problem. Thus, this study examined and applied the ''Four Principles of Biomedical-ethics'' to review whether the Korean organ transplantation system related to the living donor organ transplantation satisfies the ''Four Principles of Biomedical-ethics'', and examined whether any ethical problem may occur in the current Korean living organ donation system. Currently, only kidneys, livers, and bone marrow are approved for living organ donation and since the first kidney transplantation in Korea in 1969, about 20,000 living donors donated their organs. Regarding the living organ donation procedure, the person who wants to donate his organ first register at the organ transplant registration center. Then, when the patient for transplant is determined, his organ would be procured at the organ transplant medical center with the approval of the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KONOS). According to the ''Act on Organ Transplantation Etc.'', it prohibits organ sales and organ procurement from the children under 16 years old. However, even those under 16 can donate their organs to their parents or near relatives to cousins under the their parent''s consent, and adults over 20 can appoint the patients who would receive the transplant. In addition, an organ transplant medical center can be an organ transplant registration center at the same time, and an organ transplant registration can manage both patients and donors. Also, the act provides that any cost for organ donation is responsible for patients, not donors. First, this shows that almost every process for donation at the organ transplant medical centers or registration centers is independent, which means that the information on risks and side effects of organ procurement might be insufficiently provided to donors in an objective position since the people who provide such information would be those who care the patients. Moreover, since the donation by minors is possible for their parents as well as near relatives, the Principle of Autonomy may be infringed due to the conflicts and burdens for their families. Second, the donor selection may not be accurate since there is no specific process standard on physical and mental evaluation for appropriate donor selection. This inappropriate determination may increase the possibility of more harm to donors. Therefore, our living donor transplantation system dose not satisfy the Principle of Maleficence. On th other hand, since any follow-up system or health management system for living donors are not provided, their health after organ procurement is not secured, which do not meet the Principle of Beneficence. Third, regarding the Principle of Justice, non-directed unrelated donation do not insure the fairness in beneficiary selection due to discretional criteria, and the burden of high transplant cost for patients may exclude those who can not afford, which dose not suit the Principle of Justice. We often say that living organ donation is a sublime work which donates a part of one''s own body to save someone''s life. Such a sublime work should not be degraded to the means, but the objects due to the lack of systems, and also all kinds of means can not be justified even though the objects are good. Even the acts which may produce good results cannot valuable acts if they are not ethical. The procedure should be ethical for living organ donation to be valuable. Currently, it is determined that the Korean living organ donation system is insufficient to satisfy the Four Principles of Biomedical-ethics. Therefore, all the related professionals should put their efforts to establish the new system which fully satisfies the biomedical-ethics to secure ethical justification and value on living organ donation.

      • 장기기증 태도 및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계획행동이론 변인, 공감적 성향, 사회적 유대감, 보살핌 원칙을 중심으로

        허방역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장기기증 태도 및 장기기증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기존 계획행동이론의 설명력을 한 층 더 높이기 위해 계획행동이론의 ‘행동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과 ‘지각된 행동통제력’의 변인에 개인적 성향 변인인 ‘공감적 성향’, ‘사회적 유대감’ 그리고 ‘보살핌 원칙’변인을 추가하여 장기기증 태도 및 장기기증의도에 예측모형을 제안하였다. 34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장기기증 태도에는 도구적 태도, 통제력, 자기 효능감, 공감적 관심이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장기기증의도에는 경험적 태도, 도구적 태도, 자기 효능감, 관점 수용, 보살핌 원칙이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예측모형은 장기기증 태도에 대해 28%를 설명하고 장기기증의도에 대해 60%를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장기기증과 관련하여 가장 많은 예측모델로 제시된 계획행동이론의 변수를 포함하고 이에 추가로 개인적 성향 변수를 포함하여 장기기증 태도 및 장기기증의도에 대한 설명력을 높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attitude and intention regarding organ donation by applying an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further enhance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existing planned behavior theory, the new predictive model applied in this study adds three more personal propensity variables, namely Empathic Traits, Social Connectedness and Principle of Care to primal variables including Attitude Towards the Behavior,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among 348 college students, Instrumental Attitude, Controllability, Self-efficacy and Empathic Trai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s organ donation. Experiential Attitude, Instrumental Attitude, Self-efficacy, Perspective-taking and Principle of Car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organ donation. The model applied in this study explains 28% of the attitude towards organ donation and 60% of the intention of organ donation. This study helps to better explain the attitude and intention of organ donation by adding variables that are not included in the previous studies.

      • 장기기증의 경전적 근거와 불자들의 인식

        박동범 동국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Despite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modern medicine, there is a growing number of patients with organ failures whose only means of cure is through internal organ transplantation. In spite of the development in cutting-edge medicine and organ transplantation including immunosuppressant, the situation is that patients with organ failures still go through the disappointment and deaths due to the lack of organs required for transplantation. In this paper, the purpose is to find out about life discussed in Buddhism and promote change in awareness of organ transplantation as well as invigorate it among Buddhists. For the question of what is life, it is difficult to make just one statement to answer. This is because that question is the most original issue from all of the perspectives of philosophy, medicine and religion. The life in Buddhism is a mutually dependent existent in mutual relationships that harmonizes or parts by nidana, therefore looks at the world relations as the world of life. Each existence does not exist in individuals, but maintains its life through integration with other existences. For examples of organ transplantation that appeared in the scriptures, there is the story of Lord Shiva who has achieved dana-paramita through the offering of the body, and also the story of banyahaeng of saltaparyun budda who has risked his life, which shows that you and I are indifferent and the practice of six paramita. In Mahayana Scriptures, there are not only the mention of food, clothes, flowers, women and children, slaves, gold, silver, cloisonné and carriage, but it also discusses the eyes, the blood of the body and barrow which are related to organ transplantation. Drawing an inference from this, it can be said that there was the dana of organ transplantation from 2,500 years ago. Knowing that organ transplantation is indifferent from Buddhist journey and the lesson of dana, it is hoped that the Buddhists recognize the situation that only 2% of the Korean population is registered for organ transplantation, and that there will be more Buddhists willing to donate their organs from Buddhism, which is called the religion of life. It is because organ transplantation is a virtue that should be actively recommended and practiced as to practice Bodhisattva. As a method of vitalizing organ transplantation, Buddhist colleges or schools can place in subjects like ‘the need for organ transplantation’ in their curriculum, whereas monks can prepare time for education on the respect for life through Buddhist services. Also, they should actively educate through priesthood the value and the necessity of organ transplantation.

      • 장기기증 캠페인의 메시지 소구 유형과 사회적 유대감이 캠페인 메시지에 대한 반응과 장기기증 태도 및 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민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장기기증 캠페인의 소구 유형(호혜적/공감적)과 개인 차이인 사회적 유대감이 장기기증 캠페인 메시지 태도, 장기기증 캠페인 메시지의 심리적 저항, 장기기증 태도, 장기기증 행위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실험은 호혜적/공감적 소구로 구성된 메시지를 보여주었다. 이를 바탕으로 2(소구 유형: 호혜적/공감적) x 2(사회적 유대감: 높음/낮음)의 설계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장기기증 캠페인 메시지 태도와 메시지의 심리적 저항에서 호혜적 소구 유형이 공감적 소구보다 우호적인 메시지 태도와 낮은 메시지의 심리적 저항이 나타났다. 사회적 유대감은 메시지 태도와 저항에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지만, 두 변인의 상호작용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장기기증 태도는 사회적 유대감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사회적 유대감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태도가 우호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행위 의도에서는 사회적 유대감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두 변인의 상호작용은 유의미하게 관측되었다. 장기기증 태도는 두 변인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장기기증 캠페인은 감성에 호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힌 기존의 믿음과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의의를 살펴보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reciprocal/empathetic appeal types and social connectedness on response to the campaign message, attitude and behavior intention to the message for organ donation campaign. The experience participants responded to either reciprocal typed or empathetic typed message about organ donation campaign. So the whol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appeal type (reciprocal/empathetic) x social connectedness (high/low) factorial experimental design. As a result, the attitude and the psychological reactance of organ donation campaign message show positive attitude of message and low psychological reactance of message. Social connectedness didn’t show significant result on the attitude and the psychological reactance to message, but the interaction with two variables show significant effect. The attitude to organ donation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connectedness. The behavioral intention did not produce significant result on social connectedness, but the interaction with two variables show significant effect. The attitude showed no interaction with the two variables. 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have been discussed.

      • 청소년의 자기결정권 보장방안 연구 : 생체장기기증을 중심으로

        정수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South Korea is highly dependent on living donation regarding transplantation. Hence, the transplantation rate, child to parent, is reaching 3-5% on total living donation every year. However, the research on adolescents' true willingness to donate seems rare on the contrary to the high rate. If the recipient is a parent and he/she is a guardian of an adolescent, then the adolescent may have been under pressure during the process of determining living donor for parents. How much would the donor's autonomy be respected without any coercion? The adolescent is not solely independent from parents. If the adolescent is not free from any coercion on deciding living donation, his/her dignity, right to life and self-determination are ignored. Also, the operation may give the adolescent severe trauma. I have conducted survey on 317 high school students, asking their opinions about living donation to their families. 266 students (85%) are willing to donate their organs such as kidney and liver to their families regardless of the side effect. 31 students (10%) realize that the side effects of transplantation are not as risky as expected so they tend to donate more after knowing the adverse effects. 14 students(5%) oppose to be living donors even if the recipient is a member of family. They could picture that they might be in jeopardy due to the side effects. Because of family discord, some students tend to donate others rather than their parents. Majority of students are willing to donate their organs to families but the opinions of minority still remain unreflect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n adolescent is to donate his/her organ to parents while the adolescent's autonomy is not respected. The adolescent's self-determination right and bodily integrity should be respected. Germany legally prohibits adolescents' living donation. The IRB in transplantation proceedings concerns the minority when it comes to living donation in U.S.A. 13 countries in Europe have gathered to establish the guidelines in order to protect the living donors. Since, Korea does not have any safety guidelines to protect the adolescents as living donors, we need to set a strict guidelines which could reflect opinions of adolescents. 우리나라 장기이식은 생체장기기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가족에게 이식을 하는 미성년자의 이식률도 전체 생체장기이식 수술 중 매년 3~5%에 달한다. 이렇게 높은 장기이식률에 비해 미성년자인 장기이식 기증자의 진정한 의사반영이 얼마나 되는지에 관한 사례연구는 드물다. 장기이식이 필요한 당사자가 부모이나, 이 부모는 미성년자의 보호자이기도 하다. 가족 내에 기증자가 되는 청소년은 수혜자인 친부모나 형제지간에 경제적으로 정신적으로 의존적인 관계에 있어서, 강압이나 주변 분위기에 못 이겨 생체장기이식 동의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는 청소년의 존엄성, 자기결정권, 생명권에 위배되는 행위이다. 국가와 성인이 보호해줘야 하는 청소년의 인권과 건강은 장기이식이 필요한 말기환자의 건강을 되찾기 위해 이식수술로 신체적인 침습이 되어 추후 신체적·정신적 위해가 갈 수 있다. 이와 관련되어 청소년의 평상시 의견을 파악하기 위해 일반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가족에게 자신의 장기를 기증할 의사를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결과, 85%의 학생은 합병증 여부와 상관없이 가족에게 자신의 신장이나 간을 기증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10%는 이식수술 후 겪을 합병증이 생각보다 크지 않고, 자신의 생명에 지장이 없어서 더 기증할 의향이 높아졌다고 했으나, 5%인 8명의 청소년은 상대가 가족이더라도 자신의 장기를 기증하고 싶지 않다는 거부의사를 밝혔다. 이들은 합병증으로 인해 자신의 신체에 위협을 느끼며, 일부는 가족 간의 관계가 좋지 않아 오히려 타인에게 장기기증을 할 의향이 있다고 밝힌 학생도 있었다. 이런 소수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고, 이식수술을 결정할 때 환자의 입장만 고려하여 보호받아야 할 청소년의 인권은 존중 되지 않은 상태로, 생체장기기증자가 되어 이식 수술을 할 수도 있다. 청소년 생체장기기증의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독일은 아예 미성년자의 생체장기이식을 법으로 금하고 있다. 미국도 윤리위원회에서 최대한 사회적 약자의 입장에서 생체장기기증을 고려한다. 유럽은 13개 국가가 모여 생체장기기증자를 보호하는 가이드라인을 확립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청소년의 생체장기기증자를 보호하는 특별윤리위원회를 구성하고, 청소년시기에 생체장기이식수술을 했던 사람들을 전수조사 하여 결과에 맞는 가이드라인을 구축, 청소년을 위한 법적 지원 장치와 사회적 차원에서 지지할 수 있는 합의가 필요하다.

      • 윤리적 간호역량과 사회지능이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수미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윤리적 간호역량과 사회지능이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2년 7월 5일부터 8월 15일까지 이루어졌고, 연구 대상은 D시에 위치한 500병상 이상의 3개 대학병원 중환자실에서 6개월 이상 근무간 간호사 1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 도구인 윤리적 간호역량은 Lechasseur 등(2018)의 간호사의 Ethical Competence Model을 사용하여 Kang과 Oh (2020)가 개발한 Ethical Nursing Competence Self-rating Scale for Clinical Nurses (ENC-S-CN)도구로 총 20문항의 Likert 4점 척도를 이용하였다. 사회지능은 Goleman & Boyatzis (2008)의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척도를 바탕으로 Yeu (2012)가 구성한 총 24문항의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였다.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는 Sung 등(2006)이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구성한 총 33문항의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는 연령(F=3.635, p=.014), 최종학력(t=-2.137, p=.034), 임상경력(F=5.822, p=.004), 중환자실 경력(F=5.824, p=.004), 직위(t=-3.254, p=.001), 자신의 장기기증 희망 여부(t=7.409, p<.001), 가족의 장기기증 희망여부(t=5.993,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는 사회지능(r=.160, p=.039)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윤리적 간호역량과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윤리적 간호역량과 사회지능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457, p<.001)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사회지능이 높을수록 뇌사자 장기기증의 대한 태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사회지능(β=.143, p=.02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직위(β=.251, p<.001), 자신의 장기기증 희망 여부(β=.511, p<.001)였고, 이 변수들이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를 32.7% 설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중환자실 간호사의 사회지능이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의 중요한 영향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의료기관에서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사회지능 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전략적으로 적용한다면 뇌사자 장기기증 활성화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to identify the effects of ethical nursing competency and social intelligence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on their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for brain dead patients. Data collection is from July 5 to August 2022 made up to the 15th,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8 nurses who worked for more than 6 months in the intensive care unit of three university hospitals with more than 500 beds located in D city and conducted a survey. In this study, investigate ethical nursing competence, a total of 20 questions of Likert 4-score scale was used as an Ethical Nursing Competence Self-rating Scale for Clinical Nurses (ENC-S-CN) tool developed by Kang and Oh (2020) using the nurse's Ethical Competence Model by Lechassur et al. (2018). Social intelligence used the Likert 5-score scale of a total of 24 questions composed by Yeu (2012) based on the measurement scale used in the study of Goleman & Boyatzis (2008). Attitudes toward organ donation from brain dead people were constructed by Sung et al. (2006) to measure attitudes toward organ donation from brain dead people. A total of 33 questions were used on a Likert 5-score scale. the data collect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WIN 26.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ttitudes towards brain death organ don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age (F=3.635, p=.014), education level (t=-2.137, p=.034), clinical experience (F=5.822, p=.004), intensive care unit experience (F=5.824, p=.004), position (t=-3.254, p=.001), organ donation hope (t=7.409, p<.001), and family organ donation hope (t=5.993, p<.001). The attitudes towards brain death organ don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intelligence (r=.160, p=.039), and the correlation with ethical nursing competence was not significan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thical nursing competence and social intelligence. As a result, the higher the social intelligence, the higher the attitudes towards brain death organ donation. Factors influencing on attitudes towards brain death organ donation included hope for organ donation (β=.511, p<.001), position (β=.251, p<.001), social intelligence (β=.143, p=.026). These variables explained 32.7% of attitudes towards brain death organ dona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social intelligence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is an important influencing factor for attitudes towards brain death organ donation. Therefore, if medical institutions develop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the social intelligence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and apply them strategically, it will be helpful to promote brain-dead organ donation.

      • 뇌사자 장기적출수술에 참여하는 의료진의 외상경험이 외상후성장과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처유연성의 매개효과

        김건영 울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2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attempting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 of coping flexibility mechanism in post-traumatic growth and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that trauma experience of healthcare workers participating in organ procurement of brain death have. The data of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a total of 170 healthcare workers, in a way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 who have experience in organ procurement surgery of brain death at least once at three tertiary general hospitals and one general hospital.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une 16, 2021, upon approval of Institutional review board, to September 30, 2021. The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dimension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characteristics related to organ procurement surgery, trauma experience, coping flexibility, post-traumatic growth, and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IBM SPSS statistics 24.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It was analyzed a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PROCESS macro (4.0 version) was used for mediated effect of coping flexibility.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trauma experience related to organ procurement of brain death was 0.44±0.50 out of 4, mean score of coping flexibility was 9.11±2.43 out of 14, mean score of post-traumatic growth was 2.97±0.88 out of 5, and mean score of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was 3.42±.44 out of 5. 2.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d features related to organ procurement surgery, number of organ procurement surgery that they participated in(F=3.29, p=.013), emotional difference in brain death depending on their of brain death age(t=4.09, p<.001), and experience of ethical dilemma(t=4.01, p<.001)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rauma experience. Regarding coping flexibility, the age(F=3.13, p=.046), marital status(t=-2.92, p=.004), occupation(F=4.19, p=.003), clinical career(F=3.92, p=.010), number of organ procurement surgery that they participated in(F=3.35, p=.012), and when they participated in organ procurement surgery(F=2.58, p=.039)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post-traumatic growth, gender(t=-2.30 p=.023), number of organ procurement surgery that they participated in(F=5.19, p<.001), and when they participated in organ procurement surgery(F=3.23, p=.014)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gard to the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marital status(t=-2.55, p=.012), occupation(F=11.48, p<.001), number of organ procurement surgery that they participated in(F=4.44, p=.002), when they participated in organ procurement surgery(F=8.06, p<.001), knowledge about process of declaring brain death(t=2.23, p=.027), and education about organ donation(t=2.03, p=.046)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 has shown between trauma experience related to organ procurement surgery of the subjects and coping flexibility(r=-.16, p=.043), and it has positive relation with post-traumatic growth(r=.20, p=.008). Coping flexibility was shown to have positive relation with post-traumatic growth(r=.20, p=.011) and the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r=.31, p<.001). 4. Among interference effects of the paths leading trauma experience related to organ procurement of brain death to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via coping flexibility, the path of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95% bootstrap CI=-.0823, -.0045). The trauma experience related to organ procurement surgery of brain death showed negative effect on path to coping flexibility(X on Y, B=-0.94, p=.011). Moreover, coping flexibility showed positive effect(M on Y, B=0.04, p=.005) on the path to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f mediated effect of coping flexibility that trauma experience of healthcare workers participating in organ procurement surgery of brain death ha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and the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trauma experience had no mediated effect of coping flexibility on post-traumatic growth, but it had full mediated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organ donation.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nterventional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improve coping flexibility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in order to regularly check psychological trauma of healthcare workers, identify those at high risk, and foster the positive attitude of healthcare workers toward organ donation. 장기기증에 대한 의료진의 태도는 뇌사자 가족의 기증 의사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다. 뇌사자 장기적출수술에 참여하는 의료진은 뇌사자가 죽음에 이르는 과정을 경험하면서 다양한 감정을 마주하게 되는데, 일부 의료진들은 슬픔, 공허함, 분노와 같은 외상을 경험하기도 한다. 따라서 뇌사자 장기적출수술에서 경험하는 외상에 심리적으로 적응하여 성장하고,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는데 대처유연성의 역할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뇌사자 장기적출수술에 참여하는 의료진의 외상경험, 대처유연성, 외상후성장 및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수준을 파악하고 외상경험이 외상후성장과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처유연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장기적출수술에 참여하는 의료진의 외상경험이 외상후성장과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처유연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연구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2021년 6월 16일부터 9월 30일까지 3개의 상급종합병원과 1개의 종합병원에서 뇌사자 장기기증 수술에 1회 이상 참여한 경험이 있는 의료진 총 170명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설문지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장기적출수술 관련 특성, 외상경험(Impact of Event Scale, IES), 대처유연성(The Perceived Ability to Cope with Trauma scale, PACT), 외상후성장(Post Traumatic Growth Inventory, PTGI),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관한 도구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IBM SPSS statistic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대처유연성의 매개효과는 PROCESS macro (4.0 version)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적출수술과 관련된 외상경험은 4점 만점에 평균 0.44±0.50점, 대처유연성은 14점 만점에 평균 9.11±2.43점, 외상후성장은 5점 만점에 평균 2.97±0.88점이었으며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42±.44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장기적출수술과 관련 특성 중 외상경험에서는 수술참여횟수(F=3.29, p=.013), 뇌사자 나이에 따라 수술에 임하는 마음가짐의 변화(t=4.09, p<.001), 윤리적 딜레마 경험 여부(t=4.01,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처유연성에서는 연령(F=3.13, p=.046), 결혼상태(t=-2.92, p=.004), 직종(F=4.19, p=.003), 임상경력(F=3.92, p=.010), 수술참여횟수(F=3.35, p=.012), 수술참여시기(F=2.58, p=.039)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외상후성장에서는 성별(t=-2.30, p=.023), 수술참여횟수(F=5.19, p<.001), 수술참여시기(F=3.23, p=.01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서는 결혼상태(t=-2.55, p=.012), 직종(F=11.48, p<.001), 수술참여횟수(F=4.44, p=.002), 수술참여시기(F=8.06, p<.001), 뇌사판정절차 지식(t=2.23, p=.027), 장기기증에 관한 교육 여부(t=2.03, p=.04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적출수술과 관련된 외상경험은 대처유연성과 유의한 음의 관계(r=-.16, p=.043)가 나타났고, 외상후성장과는 양의 관계를 나타났다(r=.20, p=.008). 대처유연성은 외상후성장(r=.20, p=.011)과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r=.31, p<.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4. 뇌사자 장기적출수술과 관련된 외상경험이 대처유연성을 경유하여 외상후성장과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이르는 경로의 간접효과 중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의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95% bootstrap CI = -.0823, -.0045). 뇌사자 장기적출수술과 관련된 외상경험이 대처유연성으로 가는 경로에서 부적영향을(X on M, B=-0.94, p=.011) 나타났으며, 대처유연성이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로 가는 경로에서는 정적 영향을(M on Y, B=0.04, p=.005) 나타났다. 뇌사자 장기적출수술에 참여하는 의료진의 외상경험이 외상후성장과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처유연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외상경험과 외상후성장에서는 대처유연성의 매개효과가 없었지만 외상경험과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에서는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진의 심리적 외상을 정기적으로 측정하여 고위험군을 선별하고, 의료진의 긍정적인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를 함양하기 위하여 개인의 대처유연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