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근거리 무선전력전송 효율 분석

        김건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논문에서는 등가 회로를 기반으로 다양한 측면에서 루프 공진기로 구성된 자계결합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을 분석했다. 부하 저항에 따른 입력 리액턴스 거동을 관찰함으로써 최대 효율을 위한 최적 부하 조건과 결합 계수가 높을 때 기존의 최적 부하에 비해 넓은 대역을 갖는 새로운 최적 부하 조건을 도출하였다. 이것은 열악한 환경에서 WPT 시스템을 설계 할 때 유용하게 이용용 될 수 있을 것이다. 분석한 이론을 회로 및 EM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해보니 매우 일치했다. 추가적으로 자계 결합계수를 분석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두 루프간의 기하하적 구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표현하였으며, 구조의 비율과 루프의 배치 관점에서 명확하게 기술되었다. 추가적으로 음의 유효투자율을 갖는 메타 물질을 포함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을 적절한 등가회로로 모델링하고 분석하였다. 메타 물질이 시스템에 삽입될 경우 음의 투자율로 인한 자계 집속으로 인해 두 공진기간 결합계수는 slab의 손실이 크더라도 증가한다. 하지만 이러한 slab의 손실을 반영한 공진기의 유효 Q-factor는 감소한다. 결국 증가한 결합계수와 감소한 유효 Q-factor의 곱으로 구해지는 성능지수가 slab 없이 구해지는 성능지수보다 클 경우에만 효율 향상에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slab의 손실이 큰 경우에는 사용하는 slab의 폭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하나의 송신기와 다수의 수신기로 구성된 자계결합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효율 및 최대 효율을 갖게 하는 최적 부하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주어진 환경하에서 최대 효율을 가지면서 수신기간 원하는 전력비를 갖도록 하는 방법을 고찰하였으며, 단순화 된 식도 함께 제공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식은 매우 단순하면서도 정확하여 실제 상용 제품 등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survival in hospice cancer patients

        김건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연구 목적: 호스피스-완화의료는 말기암 환자의 증상 완화와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말기암 환자의 여명 기간에 따른 증상과 삶의 질의 변화를 조사하여, 서로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향후 말기암 환자의 올바른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 하였다. 연구 방법: 말기암 진단으로 수도권 6개 종합병원에 호스피스-완화의료 목적으로 입원한 166명 중 사망이 확인된 13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자들은 입원시 MDASI-K 설문지를 통해 증상과 이들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기록하였다. 본 연구는 환자의 여명 기간에 따른 증상 및 삶의 질의 유병률과 중증도의 연관성을 알아보았으며, 부가적으로 환자의 여명 기간에 따른 ECOG 기능 지수의 연관성도 조사하였다. 결과: 여명 기간과의 연관성에서 증상 및 삶의 질 저하의 대한 평균 점수는 MDASI-K 19 가지 항목 중 17가지 부문에서 여명 기간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신체적 증상 및 정신사회적 증상 모두 대부분의 항목에서 여명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이는 기존의 다른 연구에서 정신사회적 증상은 여명과 유의한 연관성은 보이지 않는다는 결과와는 다른 결과이다. 유병률에서는 8가지 항목에서만 여명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으며, 이는 상대적으로 높은 유병률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ECOG점수 악화에 따라 여명 기간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말기암 환자에서 증상 및 삶의 질의 변화는 여명 기간과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으며, 신체적 증상 뿐만 아니라 정신사회적 증상도 여명 기간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따라서 말기암 환자의 효과적인 증상 조절을 위해서는 여명에 따른 환자의 증상과 삶의 질의 변화 과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따라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 중심단어: 말기암, 증상, 삶의 질, 유병률, 중증도, 여명 기간

      • Pina Bausch 작품에 나타나는 연출기법 연구

        김건영 대구가톨릭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적으로 수많은 축제와 공연이 개최되고 있다. 이러한 문화행사들 중 공연예술분야인 무용, 음악, 오페라, 뮤지컬 등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오늘날 우리나라의 공연예술 시장은 국제적인 수준으로 도약하고 있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문화예술 분야 특히 공연예술에 여가시간을 활용하고 있다. 이처럼 공연예술은 각종 매체의 발달과 더불어 우리들 생활 깊숙이 존재하게 되었다(신정아, 2007). 21C에 들어 우리나라의 무대공연예술은 생산과 수용 미학적 측면에서 내용과 형식의 많은 변화를 보이고 있다. 무대공연예술 또한 현실의 재현이라는 고전적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전통적인 극의 요소들을 해체하며, 다양한 무대기호들을 통해 새로운 형식들을 시도하고 있는 것이다(이상복, 2003). 이렇듯 무대공연예술시장은 급변하고 있다. 이러한 현 상황에서 공연예술에서의 연출의 영향력은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어 왔고 또한 더 부각되고 있다. 공연예술이 점차 다양화된 방법으로 표현되다 보니 그 만큼 한 차원 높은 무대기법들이 도용하게 되고 공연예술의 각 부분 즉 조명, 음향, 무대등을 총 망라하여 아우를 수 있는 연출가의 역할이 공연 작품성 및 흥행성을 포함한 공연의 성패를 좌우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공연예술의 영역들은 복잡하고 전문화적인 분업화를 이루고 있으며, 안무가, 연출가, 조명예술가, 무대장치 등 여러분야로 나누어지고, 무용, 연극, 오페라, 뮤지컬 등 여러 공연예술분야에서 행하여지고 있다. 이러한 공연예술은 시각예술이며, 공간예술이라 할 수 있는데 이것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연출의 기능이 필수적이라고 생각된다. “연출이란 하나의 주제를 관객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무대 위에서의 구체화하는 모든 과정을 말하며 작품을 선정하고 해석, 구성, 창조하여 완성된 공연예술로 만들어 내는 작품 해석자와 창조자의 역할을 한다. 작품의 방향을 결정한 다음에는 배역을 선정하고 극작가나 무대, 조명, 의상 디자이너들과 시청각적 표현방법을 협의하여, 작품의 템포나 리듬을 조절하여 전체적인 앙상블이 이루어진 무대예술로서의 완성품을 창조하는 것이다.”(정철, 2004). 현재 우리나라는 연극, 오페라, 뮤지컬 등 다른 공연예술분야에 비해 무용공연에서의 연출의 전문성은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무용전문 연출가가 전무한 상태이며, 체계적인 무용연출 교육도 미비한 것이 현실이다. 그래서 연극 연출가 출신들이 무용 작품 연출하곤 하는데 공연에서 흔히 발견되어지는 연극적 기법을 도입, 작품의 극적상황, 사실적 생동감등을 연극화 시키는 오류들로 인해 때때로 작품의 내용 전달을 혼란스럽게 하거나 무용의 고유의 특성을 약화시키기도 한다(박신정, 2006). 무용 제작에 있어서 춤을 만드는 작업이 안무자의 역할이고, 부수적인 극의 흐름을 이어 주거나 작품을 디자인 해주는 것이 연출자의 역할이라고 할 때, 때론 어디까지가 안무자의 영역이고, 어디까지가 연출자의 영역인지 흔히들 어려운 문제에 접하기도 한다. 안무자와 연출자간에 서로의 설정과 이미지가 잘 조화되어 기대 이상으로 작품의 극적 효과를 보는 반면, 반대로 처음의 안무자의 의도와 구상과는 달리 작품이 전혀 엉뚱한 방향으로 흘러 관객에게 이미지 전달을 제대로 못하는 경우도 있다(서강석, 2000). 본 논문은 독일의 표현주의 안무가인 피나 바우쉬(Pina Bausch)의 작품을 알아보고 작품 속에 나타난 연출기법을 분석하고자 한다. 작품의 의도를 관객에게 전달하기 위해 이러한 연출기법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무용연출이 발전하는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Currently, various festivals and performances are held nation wide in Korea. Among such cultural events,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occupies a significant portion such as dance, music, opera and musical. Here, the field of stage performing arts makes experiments with new forms through various stage symbols beyond the classical paradigm of 'representation of reality' by disrupting conventional stage elements. Furthermore the influence of stage directing on performing arts has been and continues to be a highly significant issue. As the expression methods of the performing arts became increasingly diversified, more sophisticated stage techniques were introduced. As a result, the role of the stage director came to significantly affect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work including the quality of performance and commercial success. Such performing arts is visual arts as much as spatial arts, thus the function of the stage director is crucial to maximize such visual and spatial artistic express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age direction technique of the works by the German expressionist choreographer Pina Bausch, and to apply her technique to the Korean performing arts scene. Ultimately it was to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the Korean dance in achieving an international reputation. The directing techniques of Pina Bausch shown in her works were as follows. First, she adopted the 'alienation effect' of Brecht. The alienation effect infiltrated into the emotion, expression, agony and anxiety in the pure dance form, and it freely moved across the genre of dance and play. It transformed the concept of the traditional choreography and valued the content of dance rather than its form. Second, she adopted the montage method. Montage can be seen as the most fundamental concept of the expression techniques of Pina Bausch. The scope of her dance was expand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auditory and visual elements with the existing dance form. Beyond the narrow definition of 'choreography' related with movement, Bausch expanded the scope of dance choreography and creation. Third, she adopted the collage technique. The dance theater of Pina Bausch was composed, as collage, of the opera script and music with the musical completion. Regarding the form of dance music, the voice, languages, and songs expressed a unique experience of an individual in daily living based on the dance step, movement study, study on themes and titles. In short, it was a method of liberal expression with the parody aspect via the 'collage' form in which dance, play, cinematic image, and music were intermingled with one another. Additionally she arranged the stage with techniques of improvisation and sketch, and presented a complete work of dance theater by using diverse elements including the stage, lighting, music, video, costume, make-up and stage props. Such symbolic medium of Bausch, that is, directing element, put an emphasis on the understanding by the audience, that is, the audience identification. According to the above analysis, Pina Bausch developed a new form of dance theater by applying a certain format of stage elements such as subject matter, scene, instrument and device. Pina Bausch as reviewed by this study was the choreographer and the stage director with utmost importance in the world of modern performing arts. Considering the functional aspect of the stage directing to a work, the role of director is significant for the work. Here, Pina Bausch showed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the role of choreographer with the stage director. The orientation of a work can change depending on the director. Nevertheless, this study attempted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uch stage directing and to provide a useful material for the advancement of the dance directing and the Korean dance in achieving an international reputation, based on the directing techniques of Pina Bausch. Further studies should be made on the dance directing which can be defined by more accurate technique and descriptive method.

      • 노사관계에 있어서 고용안정성과 근무환경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인구통계학적 특성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건영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globalization, the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is becoming weaker and the business environment and situation are also being raised as a social issue in an unpredictable direction, and with the emergence of a new industrial revolution called the 4th industry, the work of human beings is turned into a machine. By replacing, jobs are rapidly disappearing. As a human with an unpredictable future, life is starting to be devastated by anxiety about the disappearance of jobs. People are at the heart of business operations. It can be sai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innovative management, and among them, labor-management relations determine the success or failure of a compan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effect of representative labor-management relations of companie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s described above, and through the study of these variab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bine the truth with the truth and solve it in a spiritual wa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established. Literature and empirical studies were conducted concurrently. In the literature research part, labor-management relation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re reviewed based on the theoretical contents and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the labor-management relations were organized effects Gender, that is, how it affect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through this, and a hypothesis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established research model.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labor-management relations in general organization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employment stability and working environmen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t combines the opinions of several scholars, empirical research cases, and analysis of questionnaires. The conclusion was draw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work environment and employment stability, which are the factors of labor-management relations, all or part of the work environment and employment stability factors were considered to have an effect on job satisfaction, but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model analysis did not show significant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two variables of, generally did not have a positive (+)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Second, in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work environment and employment stability, which are factors of labor-management relations, all factors of work environment and employment stability were considered to have an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model analysis, no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t was found that the two variables as a whole did not have a positive (+)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gender and years of service were considered to have an overall effect on the impact analysis on job satisfaction, but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nder and years of servic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First, genuine support for workers and fulfilling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workers. Second, if the organization has a stable atmosphere, it can lead to good results and become a company that can continuously develop. Third, it suggests that it is desirable to consider labor unions and workers as partners for corporate growth and to pursue a common goal rather than taking negative attitudes toward labor unions and activities. In summarizing this study, employers endeavor to create a work environment that satisfies workers, and labor-management relations where labor and management trust and depend on each other and stabilize employment make workers devoted to the organization, have loyalty, and have a sense of reward and accomplishment in work life. I can feel it. However, it is meaningless to achie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th physical employment stability and working environment as a person as the subject, and the subjective consciousness of labor and management officials through the association with truth is denied, and the labor-management relationship is maintained with a new consciousness as truth becomes the subject. If so, the organization's performance will be achieved through desirable labor-management relations. Key words: Labor-management relations, employment stability, working environmen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기술이 발달하고 글로벌화 되면서 기업들의 경쟁력은 점점 더 약화되고 경영환경 및 상황 또한 예측할 수 없는 방향으로 노사관계가 사회적 문제로 제기되고 있으며 4차 산업이라는 새로운 산업혁명의 등장으로 인간이 하던 일을 기계로 대체함으로써 일자리는 급격하게 사라지고 있다. 미래를 예측할 수 없는 인간으로서 일자리가 사라지는 것에 대한 불안으로 삶이 황폐해 지기 시작하고 있다. 기업 운영의 중심은 사람이다. 혁신적 경영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노사관계가 기업의 성패를 좌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상기와 같이 기업의 대표적인 노사관계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변수들의 연구를 통하여 육적인 방법이 아닌 진리와 결합하여 영적인 방법으로 풀어나가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는데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으며, 문헌연구 부분에서는 노사관계 및 조직효과성에 대해 이론적 내용과 선행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검토하였으며 노사관계가 조직효과성, 즉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이를 통해 연구 모형을 설정하고, 설정한 연구 모형을 기초로 하여 가설을 설정했다. 본 연구는 고용안정성 및 근무환경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일반적 조직에서의 노사관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여러 학자들의 의견과 실증적 연구 사례, 그리고 설문의 분석을 종합하여 결론을 도출하였고,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노사관계의 요인인 근무환경, 고용안정성과의 직무만족 영향분석에서 근무환경 및 고용안정성 요인 전부 혹은 일부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았지만 회귀모형 분석결과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못하면서 노사관계 요인의 2가지 변수가 대체적으로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력을 끼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노사관계의 요인인 근무환경, 고용안정성과의 조직몰입 영향분석에서도 근무환경, 고용안정성 요인 전부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았고, 회귀모형 분석 결과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못하여 노사관계 요인의 2가지 변수가 전체적으로는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력을 끼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성별, 근속연수가 직무만족과의 영향분석에서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았지만 통계 분석 결과 성별, 근속연수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첫째, 근로자를 진정으로 지원하고 사회적 책임까지 다하는 것이 근로자 발전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둘째, 조직이 안정적 분위기가 조성이 되면 좋은 성과로 이어지고 지속적으로 발전이 가능한 기업이 될 수 있다. 셋째, 노동조합 및 활동에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보다 노동조합 및 근로자를 기업 성장의 동반자로 생각하고 공통의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노사관계가 바람직한 것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를 종합하면 사용자는 근로자가 만족하는 근무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노와 사가 서로 믿고 의지하며 고용 안정이 되는 노사관계는 근로자들로 하여금 조직에 헌신하고 애사심을 가지며 직장생활에서 보람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사람이 주체가 되어 육적인 고용안정성과 근무환경으로 조직효과성을 이루는 것은 의미가 없으며 진리와의 연합을 통한 노사관계자들의 주체적 의식들이 부인되고, 진리가 주체가 되어 새로운 의식으로 노사관계가 유지되어 가면 바람직한 노사관계를 통한 조직의 성과가 이루어질 것이다. 주제어: 노사관계, 고용안정성, 근무환경, 조직효과성, 조직몰입, 직무만족

      • 도시유형별 교통부문 지속가능성 평가모형 개발

        김건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39

        도시는 삶의 터전이며 인구, 산업, 경제활동이 밀집되어 있으며 다양한 활동이 창출된다. 그러나 도시를 뒷받침하는 기반인 ‘교통’활동의 증가로 교통혼잡비용, 소음, 대기오염과 같은 사회적 문제가 유발되기도 한다. 급속한 산업화 이후 사람들은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이나 변화를 요구하였으며, 자연보전, 환경보호, 에너지 절약 등이 공통의 관심사가 되었다. 우리나라 역시 국제적 협약과 전 세계적인 공동대응에 발맞추어 여러 가지 정책과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 방법 중 하나가 도시교통부문 지속가능성 평가이다. 본 연구는 획일적인 도시교통 지속가능성 평가가 아닌, 도시를 그룹화하고 유형화(고밀형/분산형)하여 교통부문 지속가능성을 평가해보고 결과를 해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시유형별 차별화된 교통정책 수립의 근거를 찾아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도시구조, 도시기능 등 도시유형별 교통부문 지속가능성 평가기준의 구체화 (도시의 성격 파악) ․도시성격에 따라 도시가 그룹화(grouping) 되는가? (도시의 그룹화) ․도시그룹별로 교통부문 지속가능성에 차이가 있는가? (도시 그룹별 분석) ․도시그룹 내 도시 유형별로 교통부문 지속가능성에 차이가 있는가? (도시 그룹 내 분석) ․교통부문에서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 (지속가능한 도시교통 정책방향) 연구에 대한 분석결과 첫 번째로 가설 I에 대한 검증으로 도시그룹 구분과 교통부문 지속가능성 지수 사이에는 통계적 검정결과, (도시그룹 1과 도시그룹 3), (도시그룹 2와 도시그룹 4 및 도시그룹 5)를 제외하고는 모두 그룹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가설 Ⅱ인 ‘동종 도시그룹 내 고밀형 도시와 분산형 도시 간에 교통부문 지속가능성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통계적 검정결과 모형이 적합하였으며 도시그룹 3, 4에 대하여 모형이 산출되었다. 가설 Ⅱ 검정을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수행한 결과, 모든 도시그룹의 평균에 대한 t-검정 유의확률이 유의수준보다 커서 동일 도시그룹에 속한 도시는 그 유형에 관계없이 교통부문 지속가능성 지수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가설 Ⅲ인 ‘각 그룹의 고밀형 도시는 교통부문 지속가능성 지수가 유사할 것이다’는 고밀형 도시와 분산형 도시 모두 분산분석, 다중공선성, 공차계수 등을 확인한 결과, 모형이 적합하였다. 고밀형 도시는 (도시그룹 1과 도시그룹 3), (도시그룹 2와 도시그룹 4 및 도시그룹 5)를 제외하고는 모두 도시그룹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산형 도시는 (도시그룹 1과 도시그룹 3), (도시그룹 2와 도시그룹 4), (도시그룹 4와 도시그룹 5)를 제외하고는 모두 도시그룹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도시그룹별로 도시유형별로 교통부문 지속가능성을 평가해 보았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주요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첫째, 교통부문 지속가능성 평가는 우리나라 도시 전체를 대상으로 평가하는 것보다 도시그룹별로 평가했을 때 훨씬 유의미한 평가결과와 개선 대안을 마련할 수 있다. 도시그룹화 방법과 도시그룹 개수에 대해서는 여러 방법이 있겠지만 어떤 식으로든지 비슷한 성격의 도시들끼리 그룹화하고 유형화된다면 ‘가’라는 도시의 현재 위치와 지향해야 할 목표, 타 도시그룹에 비하여 우월 또는 열악한 지표가 무엇인지 파악하기 쉬우며, 이를 바탕으로 교통정책 마련이 용이해 질 것이기 때문이다. 둘째, 동일한 도시그룹 내에서는 도시유형을 고밀형 또는 분산형으로 구분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었다. 이는 현재진행형 또는 과거완료형이냐의 여부에 따라 도시유형이 구분될 수 있다는 점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i 도시그룹의 고밀형 도시는 j 도시그룹의 고밀형 도시와 교통부문 지속가능성 지수에 일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시그룹화가 도시유형보다는 더 큰 중요성을 갖는다는 점을 의미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도시의 기능적 성격이 산업․경제형인지, 주거형인지 등이 더 중요한 요인이라고 판단되었다. 셋째,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출발점인 교통부문에서는 고밀형 도시가 지속가능한 도시이고, 고밀개발이 도시의 교통부문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전제한 점은 결론을 유보하게 되었다. 즉 도시는 몇 가지 요소, 변수, 통계자료로 유형화하는 것은 판단착오를 유발할 수 있으며 평가시점, 평가방법, 평가시점의 통계, 시계열 자료 등을 면밀히 살펴보고 도시는 ‘살아 움직이는 진행형’이기에 도시그룹화가 현재로서는 더 의미 있다고 인식하였다.

      • 도시환경정비사업 내 공개공지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도시환경정비사업을 중심으로

        김건영 경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6차 변경 된 ‘2020년 목표 서울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의 개발유도 지침이 공개공지계획에 있어 실효성 있는 제도인지 관련제도와 비교․분석해봄으로써, 현 도시환경정비기본계획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방안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공개공지계획에 있어서 총체적이고 맥락적인 계획의 필요성을 주장하고자 하였고, 연구를 통해 얻은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적인 개발이 이루어져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 ‘도시환경정비기본계획(2005년 5차 변경)’이 도심부의 여건변화를 반영하기 위하여 ‘2020년 목표 서울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으로 6차 변경 되면서 개발유도 지침에 공개공지 부문이 세분화 되었다. 이러한 제도가 공개공지계획에 있어 실효성 있는 제도인지 개정 전․후를 비교해 본 결과, 도시 및 주거 환경정비법 상 공개공지 관련 수립지침의 부재로 공개공지계획 시 공통적으로 지켜야하는 건축법과 별반 다를 것이 없는 항목이 신설되어 개정되기 전과 괄목할만한 변경사항이 없다는 분석 내용이다. 둘째, 지구단위계획과 비교․분석해 본 결과, 지구단위계획 상 공개공지계획은 상위법인 건축법, 서울시 건축조례와 동일한 조성기준이 한 가지만 존재하고, 대부분은 제1종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을 통해 신설 된 조성기준들이다. 건축법과 서울시 건축조례, 도시환경정비기본계획에서 볼 수 없는 주변과의 연계성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미시적으로 제시되어 공개공지가 질적인 측면으로 계획 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반면, 도시환경정비기본계획 상 공개공지계획의 속성은 절반이 상위법인 건축법과 서울시 건축조례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항목이다. 신설된 기준 역시 공개공지계획을 위한 가이드라인이라기보다는 전면공지 상 건축선의 후퇴에 따른 공개공지설치 유․무에 관한 항목과 공개공지 내 환경조형물 설치에 관한 항목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지구단위계획과 같이 구성적으로 모태가 될 수 있는 수립지침이 지정되어야 할 것이다. 건축법과 같은 공통적으로 지켜야 하는 상위법에서는 설치기준 등과 같은 필수적인 요소들의 나열이라면, 하위법에서는 주변 환경과 공개공지의 적극적인 연계로 공개공지의 의의에 맞게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미시적인 측면의 조성기준이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제도상 조성기준만을 비교하고, 상업지구 업무용 건축물만을 사례로 들어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한계점이 있으며, 2010년 개정 된, ‘2020년 목표 서울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으로 실제 조성되는 공개공지와 개정되기 이전의 공개공지를 비교 ·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From a comparison of the guideline leading development by district with institutions related to it in order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 guideline is effective for the plan of public open space in the newly established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Urban & Residential Environmental Improvement Basic Plan Set for 2020", this research aims to draw problem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improving them.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research discussed the necessity of a comprehensive, contextual plan of public open space. The results of it are as follows. First, the sector of public open space was subdivided while "The Basic Plan for Adjustment of Urban Environments (established in 2005)", which caused various problems due to the separate development of districts, was being reorganized into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Urban & Residential Environmental Improvement Basic Plan Set for 2020" to reflect changed conditions of the city center. We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conditions before and after the adjustment, so as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 reorganized institution is effective for the plan of public open space.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remarkable change between the basic plan and the reorganized institution in that items which were not an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building codes were established due to lack of a guideline related to public open space under the law of urban & residential environmental improvement. Then, we mad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asic Plan for the plan of public open space by district and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Urban & Residential Environmental Improvement Basic Plan Set for 2020." According to analysis, the plan of public open space by district stresses qualitative aspect in the direction which makes public open spaces more convenient and more open to the public changing the criteria of creation of it to one which arranges houses considering the correlation with the space and which mainly focuses on the correlation with facilities (e.g. network of roads, green corridor, main pedestrian streets, assurance of sunshine, subway station building, underground shopping area, etc.) as well as adjacent area. However, the basic plan follows the criteria of the existing formal creation of public open space which is disconnected and easy to be privatized. In conclusion, first of all the guideline of establishment is required to be designated which can be the compositional matrix such as the plan by district. Low regulations should set up a criterion of establishment from a concrete, effective microscopic aspect appropriate to the significance of public open space by the link of public open space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ereas high regulations such as building codes should specify essential components (e.g. a standard of establishment). This research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institutional guidelines and chose as a scope buildings for business use. However, it is our limitation not to compare public spaces created under these guidelines. We shall leave it as the future's study to compare public spaces created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Urban & Residential Environmental Improvement Basic Plan Set for 2020" established in 2010 with public spaces created by other pl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