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설화 다시쓰기를 통한 서사적 글쓰기 지도방안 연구

        김보경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 Study on Instruction of Narrative Writing through the rewriting of tales Kim Bo-kyung Advisor : Prof. Kim Hye-young Majo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The Seventh Curriculum i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ncourages rewriting and imitating writing aiming at creative acceptance and active creation in literature education. The most common instructional method of specific creative activities is rewriting. Previous studies on narrative writing and rewriting are limited to presenting methods of writing education, and there are few studies on methods to improve creative writing. Therefore, this study is to develop methods to improve descriptive writing ability of learners using rewriting of narratives. This study developed programs to rewrite simple narratives to find effective writing instruction methods. Chapter Ⅱ examines studies on existing narrative structures and based on the results and identifies structures of <Baridegi Baridegi Princess Bari> and <Father's Heritage> to develop standards to analyse subjects' rewriting. Then educational meaning of rewriting was examined to prepare an instructional foundation of narrative rewriting. Chapter Ⅲ asked subjects to rewrite <Baridegi Baridegi Princess Bari> and <Father's Heritage> and analysed what they creatively rewrote according to characters, events and backgrounds. Then the results were analysed and problems in rewriting were found based on statistical results. Chapter Ⅳ organized the concepts and purposes of rewriting based on what the subjects rewrote and rewriting activities presented in textbooks and stated that the most appropriate activity to reach the goal of literature education is narrative writing through the rewriting of tales. To reach the goal of literature education,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ing a narrative writing instruction method through the rewriting of tales. For the purpose, this study asked subjects to rewrite narratives as a whole rather than segmentally and discovered that the subjects are able to write creatively with this way.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prepared a foundation for further studies on comprehensive writing beyond creative writing though it has a limit that it was not able to develop better instructional methods. ABSTRACT 설화 다시쓰기를 통한 서사적 글쓰기 지도방안 연구 김보경 지도교수 : 김혜영 국어교육 전공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문학교육에 있어서 창의적이고 적극적인 문학 수용과 창작을 목표로 다양한 개작과 모작 활동들을 장려하여 문학창작의 생활화를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창의적인 문학 활동의 구체적 방법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것이 다시쓰기이다. 서사적 글쓰기에 대한 연구와 설화 다시쓰기를 활용한 선행 연구에서는 주로 창작 교육의 방법을 제시하는데 국한되어, 문학적 글쓰기와 연관시킬 수 있는 방안과 서사적 글쓰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설화 다시쓰기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서사적 글쓰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서사적 글쓰기 지도방안의 모색을 위해 구조가 비교적 단순한 설화를 활용하여 다시쓰기를 실시하였다. 제 Ⅱ장에서는 기존의 설화 구조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본 다음 이를 바탕으로 <바리데기 바리데기 바리공주야>와 <아버지의 유물>의 구조를 파악하여, 학생들이 다시쓰기 한 글의 분석을 위한 기준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다시쓰기의 교육적 의의를 살펴봄으로써 설화 다시쓰기를 활용한 서사적 글쓰기 지도방안 모색의 바탕을 마련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바리데기 바리데기 바리공주야>와 <아버지의 유물>을 학생들이에게 다시쓰기하도록 한 다음 인물, 사건, 배경으로 나누어 창의적으로 다시 쓰인 부분을 구체적으로 찾아보았다. 그리고 이를 중학교, 고등학교로 나누어 통계치를 나타내봄으로써 학생들 글에서 나타난 다시쓰기의 문제점들을 찾아보았다. 제 Ⅳ장에서는 실제로 학생들이 다시쓰기 한 글과 교과서에 제시된 다시쓰기 활동들을 토대로 다시쓰기의 개념과 목적을 정리한 다음, 문학교육의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활동이 설화 다시쓰기를 통한 서사적 글쓰기임을 밝혔다. 그리고 문학교육의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존의 다시쓰기 활동들의 비판적 검토를 바탕으로 설화 다시쓰기를 통한 서사적 글쓰기 지도방안을 모색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글을 쪼개보는 것이 아닌 전체 보기로써의 설화 다시쓰기 활동을 통해 한편의 서사적 글을 쓸 수 있도록 지도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지도를 하였을 때 실제 학생들이 창의적으로 서사적 글쓰기를 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 더 나은 지도 방안을 모색해가는 연구까지 나아가지는 못했다는 점이 이 논문의 한계라고 할 수 있겠으나 다시쓰기를 기존의 부분적인 변용으로써의 창의적인 지도방법으로만 활용하기보다 전체적인 서사적 글쓰기를 지도하는데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새로운 연구들이 나오기 위한 바탕을 마련한다는 점에 이 논문의 의의를 둘 수 있다고 보겠다.

      • 지적장애 특수학교의 수업장학 운영실태와 요구분석

        김보경 대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how to improve the level of supervising and the quality of classes in special schools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by surveying the standards of teachers awareness and operating progress. Data for the study was collected by deploying 30 questionnaires related to operating progress, awareness, and improvements of supervision to 280 teachers from 9 different special schools for the mentally disabled. The data obtained from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14.0 program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analysis of field supervision progress in special schools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type of supervision was mostly the fellow supervising and most often hosted by the director of the board. Two sessions of supervision were conducted at special schools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during 2011. Supervision classes were processed primarily by the administrators and fellow teachers and class research council is being held by the classroom observers. Teachers in physical education, music, art, and social studies preferred the supervising sessions the most, whereas the teachers in subjects like Korean and math showed the lower affinity with it. In addition, teachers at special schools had a tendency to neglect the application of the results from supervision to improve the future curricula.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preferred attending to the experimental lessons as a measure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from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teachers’perception on supervision at special schools. In addition, they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supervision and stated that attending to lessons by other teachers could be a good opportunity to acquire information on teaching skills therefore to improve teaching quality. Teachers were participating to the supervising sessions in a relatively positive attitude and trying to the extent to facilitate the operation. The areas that teachers want to be supervised through those sessions include overall teaching skills and problematic behaviors caused by the students’ disabilities. The impact of supervision on improvements in real-life teaching was accepted as medium or not so high. Teachers were equipped with the general information about supervision sessions however they were not popular enough for them to actually be participate in. Therefore, it seems that more opportunities of supervision sessions for current teachers must be provided. The significance and needs of the supervision sessions are well-understood by many teachers but it puts them under pressure to present new creative lessons that are much different from the ordinary ones. Third, classroom observation and analysis must be thoroughly structured and systematic and class research council should be centered on classroom analysis for the efficient supervision. Class research is most effective when disclosed open lecture for specific classes and for the entire unit classes to resolve issues in classrooms. Also, video recording or partial disclosure of the lecture should be avoided. For human resources organization for supervision sessions it is the most desirable to mix experts, teachers, and care takers and the representative must have ample experience i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In order to activate supervision sessions, it is required to provide the various training opportunities for improving teaching skills, financial support, and education to reinforce current teaching workforce of proper understanding in supervision. Especially for the supervision in special schools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it has to move toward a direction that can improve classroom activities and teaching skill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 few suggestions are made for the supervision in special schools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First, the outcome of the supervision sessions should not end as a formal procedure but expand to the mean of development by feedbacks of fellow teachers as forming a culture of supervision for the community. Second, it is required to conduct researches of the impact of supervision activities by special-education teachers and expertise development in the special schools to the subjects of the education or the students as well as studies of supervision progress. Third, studies which can gather data from the generalized region or broaden target subjects are needed in order to identify trends. Finally, advanced study that can analyze the inner problems and the real-world problems of supervision managers and teachers must be performed as well as the analysis of supervision procedures by in-depth qualitative research.

      • 유교 소외론의 이념형적 구성과 적용

        김보경 계명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교사상을 토대로 인간 소외론의 이념형을 구성하고, 그것을 통해 현대사회의 병리현상인 중독, 가족해체, 환경문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교 소외론의 이념형은 사서(四書)와 󰡔주역(周易)󰡕을 비롯한 유가(儒家)경전들을 통해 구성되었으며 이를 개인적 수준에서 중독, 공동체적 수준에서 가족해체, 인류적 수준에서 환경문제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유교적 소외론의 토대가 되는 유교적 세계관에 대해 살펴보았다. 유교의 세계관은 우주에 존재하는 만물이 근원적으로 하나이며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보는 통일체적 세계관과 모든 관계는 끊임없이 생명을 창조한다고 보는 생명의 세계관을 내용으로 한다. 둘째, 유교적 세계관에 근거하여 유교적 소외론을 이념형적으로 구성하였다. 유교의 관점에서 인간소외는 도덕성을 상실했을 때와 소우주적(小宇宙的)존재로서 살아가지 못할 때 발생한다. 인간의 존재론적 소외는 상보상생(相補相生)의 관계인 대대적(對待的)관계의 해체와 경쟁과 갈등으로 인한 도덕 공동체의 해체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유교 소외론은 군자(君子) 지향과 수신(修身)을 통한 도덕적 본성의 회복과 혈구지도(絜矩之道)와 정명론(正名論)에 입각한 상생적 대대관계의 정립, 예(禮)의 실천과 정명(正名)을 통한 도덕적 공동체의 복원, 인간과 자연의 순환과 균형을 통한 천인(天人)의 생태적 통합을 통하여 극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셋째, 현대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사회문제 중 소외현상과 밀접하게 관련을 맺고 있는 중독, 가족해체, 환경문제를 유교 소외론을 통해 분석해 보았다. 이들 문제는 각각 개인적 차원, 공동체적 차원, 인류적 차원의 문제에 해당하지만 모두 도덕적 본성으로부터의 소외, 대대적 관계로부터의 소외, 소우주적 존재로부터의 소외에서 비롯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유교 소외론의 이념형적 구성과 적용을 통하여 현대사회에서 실종된 인간본성과 공동체 질서를 회복할 수 있는 근거와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n ideal type (Idealtypus) based on Confucian thought and in this way analyze the pathology of modern society, namely, that of addiction, family disorganization, and environmental issues. The ideal type in Confucian alienation theory i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Four Books (Saseo, 四書) and Confucian scriptures such as The Book of Changes (Juyeok, 周易). In this study this ideal type was applied to addiction at an individual level, family disorganization at a communal level, and environmental issues at a world level. Detail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amines the Confucian world view which forms the basis of Confucian alienation theory. The Confucian world view comprises a unified view of all beings in the universe as being fundamentally one and organically connected. It also views all relationships as constantly creating life. Second, the ideal type in Confucian alienation theory is constructed on the ideological basis of the Confucian world view. From a Confucian viewpoint human alienation occurs when morality is lost and when a person cannot sustain live achieve fulfill a microcosmic existence. The reason for human alienation can be found in the dissolution of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s (daedaejeok gwangye: 對待的 關係) cooperative living (sangbo sangsaeng: 相補相生) and the dissolution of the moral community due to competition and conflict. According to the theory presented in this study, human alienation can be overcome by 1) recovery of the moral nature of human beings through self-cultivation (susin: 修身) and progression movement accession toward becoming superior men and women (gunja: 君子); 2) the establishment of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s based on understanding others from their position (hyeolgujido: 絜矩之道) and the theory of the rectification of names (jeongmyeongnon: 正名論); 3) the recovery of a moral community through the practice of propriety (ye: 禮) and the rectification of names, and 4) the ecological unification of heaven and humanity (cheonin: 天人) through the circulation and balance of human beings and nature. Third, addiction, family disorganization, and environmental issues, which are contemporary social problems closely related to alienation, were analyzed through this Confucian theory of alienation. These three issues occur on the individual, communal, and world level, but they all begin with alienation from moral human nature, alienation from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s, and alienation from a microcosmic exist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suggestion of a basis and method of recovering the original human nature and the moral order of communities, which have disappeared in modern society, through the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the ideal type (Idealtypus) in Confucian alienation theory.

      • 고객폭력성이 구성원의 정서노동에 미치는 영향

        김보경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객과 마주하는 서비스 종사원들은 다양한 유형의 고객과 상호작용하며, 종종 고객폭력성에 의해 노출되고 있다. 서비스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고객폭력성이 점점 더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고객폭력성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고객폭력성이 구성원의 정서노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또한 이직의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구성원의 정서노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Yagil(2008)의 연구에서 제안한 서비스 종사원에 대한 3가지 불향행동 유형, 즉 언어폭력, 물리적 공격성, 성희롱으로 나눈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서비스 직종에 종사하는 417명의 보험FC, 간호사, 승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2017년 11월부터 12월까지 약 한달 간 진행하였다. 고객폭력성, 표면행동, 심화행동, 이직의도를 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및 정서노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차원의 요인 중 성격(심리적 안정)을 통제변수로 설정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폭력성은 구성원의 표면행동과 심화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고객폭력성은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이직의도는 표면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심화행동에는 부(-)의 영향을 미쳤다. 이로써, 고객폭력성이 직접적으로 정서노동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간접적으로 이직의도를 통해 정서노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앞으로 고객폭력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시사점을 줄 수 있다.

      • 영상의 색채 보정에 의한 감성연구 : 영화와 드라마를 중심으로

        김보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영화의 제작방식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전환되면서 촬영 당시에는 표현하지 못한 분위기나 감성을 색보정 기술을 통해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영상색채는 내러티브나 인물의 심리를 묘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감독, 촬영감독, 영상 컬러리스트 등의 제작자가 연출하고자하는 색감이나 분위기에 대한 보정 기술은 발전하고 있지만, 관객들과 연출자의 의도가 소통하고 있는지는 자세하게 다루어지지 않았다. 즉, 제작진이 보여주고자 하는 감성에 시청자들이 동감하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영상색채에 대한 시청자의 감성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감성 분포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정 감성을 전달하기 위한 영상 보정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콘텐츠나 보정영역에 따라 감성의 차이가 있는지 등을 알아본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장센의 요소로 영화색채의 특성과 색보정 기술에 대한 이론을 살펴본다. 또한 영상의 색채와 감성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한다. 둘째, 실증적 조사로 영상색채에 대한 감성 평가를 실시한다. 전역적 그리고 지역적으로 보정한 색채에 대해 시청자들의 감성반응을 알아보고 영상의 색상과 톤을 중심으로 시청자의 감성 분포를 제안한다. 또한 통계적 검증 방법을 사용하여 색채별로 영향을 주는 감성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한다. 연구의 결론으로 전역적으로 보정한 영상색채에 대한 시청자의 반응을 알아보았으며 색상과 톤을 중심으로 시청자의 감성 분포를 제안하였다. 시청자들은 영상의 색채를 바라볼 때, 밝기나 온도감에 대한 판단을 하며 감정 상태와 관련된 반응을 보이기도 하였다. 색채 보정을 통해 온도감을 표현한 경우 시청자들은 연출한 바에 동감하였지만, 감정 상태를 나타낸 경우 시청자들의 반응은 연출한 바와 맞지 않았다. 또한 지역적으로 보정한 영상색채에 대한 시청자의 감성을 알아보고 색상과 톤에 대한 시청자의 감성 분포를 제안하였다. 콘텐츠에 따라 감성에 영향을 주는 보정영역과 색채속성에 차이가 있었다. 클로즈업 샷 영상에서 시청자들은 얼굴의 밝기를 먼저 인식하고 롱 샷 영상에서는 배경의 색상을 우선적으로 판단한다. 특히 클로즈업 샷 영상에서 얼굴의 밝기에 대한 공통적인 감성이 존재하였다. 배경 영역에 보정한 색채에 대해 시청자들의 공통감성이 존재하며 콘텐츠에 따라 감성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상의 색채보정을 통해 연출하고자하는 분위기가 관객에게 잘 전달될 수 있는 색채감성 활용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를 통해 전역적 또는 지역적으로 보정한 영상색채와 감성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색상과 톤에 대한 시청자의 감성 분포를 제안하였다. 이는 영상의 색상, 명도, 채도의 입장에서 관객과 소통의 간격을 좁히는 방향을 제시한 점에서 연구의 의미가 있다. As filmmaking methods change from analog to digital, mood or emotion that was not expressed during the filmmaking can be expressed through color correction techniques. Image color plays an important role to describe narratives or emotions of the characters. Technical aspects of color and atmosphere that the producers, such as directors, cinematographers and colorists want to express are developing, but the intent of directors and communications with the viewers have not been investigated.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to investigate if viewers are sympathize with emotions that the producers are trying to sh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emotions of the viewers by image colors and suggest its emotion distribution. Also, direction of the image correction in order to deliver specific emotions will be suggested and difference of emotions according to the contents or correction area will be investigated. The progr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as an element of mise-en-scène, attributes of film color and theory of color correction techniques will be investigated. Also, previous studies of relationship between colors of images and emotions will be reviewed. Secondly, emotions assessment on image color with empirical research will be implemented. Viewers emotions on global and local correction colors will be drawn, and the distribution of emotions based on color and tone of image will be suggested. Also, by using statistical verification methods, emotions that have effects according to colors will be selected and comparison analysis for this will be conducted. In conclusion, this study investigated emotions of viewers on globally corrected image colors. Moreover, the distribution of emotions with viewers on global color based on color and tone was suggested. Emotions of viewers on colors of images were shown in cognition of brightness, temperature sense and emotional reactions. Also, viewers sympathized with setting the scene for time and temperature sense from color correction, but viewers disagreed with directing emotional states. In addition, this thesis looked into viewers emotions on locally corrected image colors, and the distribution of emotions with viewers on local color based on color and tone was suggested. There were differences in correction area and color attributes that have effects on emotions according to contents. In close-up shot image, viewers recognized brightness of the face first before background. In long shot image, they preferentially judged color of background before face. Especially, there were common emotions of viewers according to brightness of the face in close-up shot image. Also, there was a common emotions for background color and there could b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ntents. This study had a purpose of suggesting color emotion application plan to deliver mood to the viewers. Through this study, it investigated a relation between globally or locally corrected image colors and emotions. Also, it suggested the distribution of emotions with viewers according to color and tone of images. It is worth researching due to suggest a direction to reduce the gap of communication with viewers from the perspective of color, brightness and saturation.

      • 인터넷 쇼핑몰의 패션제품 구매자 쇼핑성향과 고객자산 및 행동의도 간의 인과관계 분석

        김보경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인터넷 시장의 공급과잉으로 쇼핑몰간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쇼핑몰을 운영하는 업체들은 고객자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기존의 고객을 유지하면서 고객과의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패션제품군은 인터넷 쇼핑몰에서 거래금액이 가장 많은 주요 품목으로 기업의 안정적인 수익을 보장 받기 위해 고객자산의 확보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몰의 고객자산의 구성요인을 가치자산, 브랜드자산, 관계자산으로 분류하고 행동의도는 추천, 충성도, 재구매, 전환비용으로 구성한 후, 고객자산 구성요인간의 상관관계 및 쇼핑성향과 고객자산 및 행동의도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인터넷 쇼핑몰 패션제품 구매자의 쇼핑성향과 고객자산의 구성요인인 가치자산, 브랜드자산, 관계자산의 2차 위계요인과 행동의도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여 인터넷을 통해 패션제품을 판매하는 기업에게 기존 고객과의 관계강화 및 유지를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패션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고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거나 직장이 있는 만 18세 이상 만 39세까지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기법으로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18.0Win과 AMO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자산 구성요인인 가치자산, 브랜드자산, 관계자산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쇼핑성향이 가치자산, 브랜드자산, 관계자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객자산 구성요인 중 가치자산은 행동의도인 추천, 재구매, 충성도, 전환비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자산은 충성도, 전환비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관계자산은 추천, 재구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브랜드자산은 고객의 인지적 측면에 관계자산은 태도적인 측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인터넷 쇼핑몰에서 패션제품 구매자의 쇼핑성향은 쾌락성 추구, 유행성 추구, 경제성 추구, 편의성 추구 총 4개의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고객자산 구성요인 중 가치자산은 배송 및 안전, 상품구색, 품질, 가격, 디자인, 응대 총 6가지의 2차 위계요인으로 브랜드자산은 브랜드 인식 및 태도,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신뢰로 관계자산은 결속, 정서적 몰입, 우대의 3가지 2차 위계요인으로 각각 추출되었다. 셋째, 쾌락성 추구 쇼핑성향은 고객자산 구성요인 중 가치자산의 2차 위계요인에서 디자인, 응대, 품질의 순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유행성 추구 쇼핑성향은 디자인만을 경제성 추구 쇼핑성향은 상품구색, 가격, 배송 및 안전, 디자인, 품질의 순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편의성 추구 쇼핑성향은 품질, 응대, 배송 및 안전, 디자인, 가격, 상품구색의 순으로 모든 가치자산 2차 위계요인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넷째, 쾌락성 추구와 편의성 추구 쇼핑성향은 고객자산 구성요인 중 브랜드자산의 2차 위계요인에서 브랜드 인식 및 태도, 브랜드 이미지 , 브랜드 신뢰의 모든 브랜드자산 2차 위계요인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유행성 추구 쇼핑성향은 브랜드 인식 및 태도와 브랜드 이미지의 순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경제성 추구 쇼핑성향은 브랜드자산 2차 위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쾌락성 추구 쇼핑성향은 고객자산 구성요인 중 관계자산의 2차 위계요인에서 정서적 몰입과 우대의 순으로 경제성 추구 쇼핑성향은 우대, 편의성 추구 쇼핑성향은 결속과 정서적 몰입의 순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특히, 유행성 추구 쇼핑성향은 결속, 우대, 정서적 몰입의 순으로 모든 관계자산 2차 위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가치자산의 2차 위계요인 중 배송 및 안전은 충성도와 전환비용, 상품구색은 추천과 재구매의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품질은 충성도와 전환비용, 가격은 전환비용과 추천의 순으로 디자인은 추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응대는 충성도, 재구매, 전환비용, 추천의 순으로 모든 행동의도 구성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브랜드자산의 2차 위계요인 중 브랜드 인식 및 태도는 재구매, 추천, 충성도의 순으로 브랜드 이미지는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브랜드신뢰는 충성도, 전환비용, 재구매, 추천의 순으로 모든 행동의도 구성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관계자산의 2차 위계요인 중 결속은 충성도와 전환비용의 순으로, 우대는 추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몰입은 재구매, 추천, 충성도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인터넷 쇼핑몰에서 패션제품 구매자의 쇼핑성향은 고객자산 구성요인인 가치자산, 브랜드 자산, 관계자산에 영향을 미치며 이 중 브랜드자산과 관계자산은 고객의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쇼핑 시 추구하는 성향에 따라서 고객자산 구성요인의 하위차원에 대한 인식과 행동의도 또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인터넷을 기반으로 패션제품을 판매하는 기업은 주요 고객의 쇼핑성향을 파악하고 표적고객을 상대로 차별적인 고객자산을 구축하는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elationships with customers have become necessary for maximizing profit and customer satisfaction. Thus,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 between customer equity, customers’ shopping orientation and purchase intension for Internet shopping malls. Moreover, the causal relations between secondary hierarchical factors of the customer equity, and shopping orientation of the purchaser of fashion goods at Internet shopping malls were investigated to provide companies that sell fashion goods via Internet with the resourceful information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marketing strategy that entails strengthening and maintaining relationship with existing customers. Data were collected by a questionnaire survey after conducting a pilot test. The pilot test was conducted to 50 from June 25, 2012 to July 2, 2012, and the preliminary questionnaire was revised based on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The final survey was conducted to 776 adult customers in the age range of 18 to 39 and with purchasing experiences of fashion goods at Internet shopping mall. For the data analysis, SPSS 18.0Win and AMOS 18.0 statistical programs were us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value equity, brand equity and retention equity which is customer equity components were found to manifest correlation, while shopping orientation exerted significant effect on value equity, brand equity and relationship equity. Moreover, value equity in customer equity did not affect referral, re-purchase, loyalty and switching cost in purchase intention. Brand equity exerted significant effect on loyalty and switching cost while relationship equity exerted significant effect on referral and repurchase. Likewise, brand equity exerted significant effect on relationship equity from the customers’ cognitive side from the attitudinal aspect. Second, four factors of shopping orientation were extracted: pursuit of pleasure, pursuit of trend, pursuit of economic value and pursuit of convenience. Among the customer equity components, value equity was extracted to six factors: delivery and safety, product assortment, quality, price, design and response. Meanwhile, brand equity was extracted to three factors with brand recognition and attitude, brand image and brand reliability while relationship equity was extracted into three secondary hierarchical factors; unity, emotional immersion and special treatment. Third, pursuit of pleasure shopping orientation exerted significant effect in the order of design, response and quality when it comes to the secondary hierarchical factors of the value equity among the customer equity components. Pursuit of trend shopping orientation exerted significant effect only on the design. Meanwhile, pursuit of economic value shopping orientation exerted significant effect in the following order; product assortment, price, delivery and safety, design and quality. In particular, pursuit of convenience shopping orientation exerted significant effect on all the value equity secondary hierarchical factors in the following order: quality, response, delivery and safety, design, price and product assortment. Fourth, pursuit of pleasure and pursuit of convenience shopping orientation exerted significant effect on all the brand equity secondary hierarchical factors pertaining to brand recognition and attitude, brand image and brand reliability when it comes to the secondary hierarchical factors of the brand equity among customer equity components. Pursuit of trend shopping orientation exerted significant effect in the order of brand recognition and attitude and brand image while pursuit of economic value shopping orientation did not exerted significant effect on all the brand equity secondary hierarchical factors. Fifth, pursuit of pleasure shopping orientation exerted significant effect in the order of emotional immersion and special treatment when it comes to the secondary hierarchical factors of the relationship equity among the customer equity components while pursuit of economic value shopping orientation exerted significant effect on the special treatment in the order of unity and emotional immersion when it comes to the pursuit of convenience shopping orientation. In particular, pursuit of trend shopping orientation exerted significant effect on secondary hierarchical factors pertaining to all relationship equity in the order of unity, special treatment and emotional immersion. Sixth, delivery and safety among the secondary hierarchical factors of value equity exerted significant effect in the following order; referral and repurchase in the order mentioned when it comes to loyalty, switching cost and product assortment . Meanwhile, quality exerted significant effect on loyalty, conversion cost and price in the following order; conversion cost and referral. In particular, response exerted significant effect on all the components of the behavior intention in the order of loyalty, repurchase, switching cost and referral. Seventh, brand recognition and attitude among the secondary hierarchical factors of brand equity, brand recognition and attitude exerted significant effect on loyalty when it comes to brand image in the following order; repurchase, referral and loyalty. In particular, brand reliability exerted significant effect on all the components of the behavior intention in the order of loyalty, switching cost, repurchase and referral. Eighth, unity among the secondary hierarchical factors of relationship equity, special treatment exerted significant effect on referral in the order of loyalty and switching cost while emotional immersion exerted significant effect in the following order; repurchase, referral, and loyalty.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shopping orientation of fashion goods purchaser at Internet shopping mall affect value equity, brand equity and relationship equity, which are customer equity components. Among them, brand equity and relationship equity affected customers’ intention of behavior. It is possible to know that the awareness on the customer equity components’ sub level and intention are affected depending on the orientation pursued at the time of shopping. Accordingly, companies that sell fashion goods via Internet need to identify key customers’ shopping orientation and to develop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that entails developing differentiated customer equity targeting specific customers.

      • 규방가사와 서사민요에 나타난 조선 후기 여성의 고난과 극복 양상

        김보경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Kyubang-gasa (a form of women's poetry from the Joseon Dynasty) and Narrative Folk Song are poetry-literature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Dynasty with women from the rural nobility and commoner women as creators of the literature. These are literary genres with a simple form called tetrameter rhyme, through which women in that period sang their lives and emotions. Therefore, Kyubang-gasa and Narrative Folk Song can be said to be the life literature that described women's lives as the most authentic and realistic in that period.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where Kyubang-gasa and Narrative Folk Song were prevalent, the civil servant examination system Gwageo, the backbone of Joseon, was disturbed, and the status system based on the traditional four classes of society (scholars, farmers, artisans and tradesmen) became confused. As such, changes were taking place throughout the society. The rural nobility, which was blocked from entering the central government and society, fell economically and lost control of the rural society. On the other hand, rich farmers who built wealth based on the monetary economy not only increased their influence on the rural society, but also tried to move to the upper class. Despite these fundamental social changes, Joseon Dynasty in the 18th century seems to strengthen its Confucian ideology centering on the rural society. Chinyeongje (a system in which a bridegroom takes the bride from her home to hold a wedding ceremony) and clan rules were institutionalized, and Naeoebeop (the law to regulate unknown men and women from seeing each other face to face) was practiced, resulting in women's social status and their position within homes rapidly falling. The rural nobility aimed to respond to social changes by strengthening Confucian ideologies in the home. As a result, Confucian ideologies such as Three Mandatory Rules for Women as well as women from the rural nobility became a practical life ideology.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Dynasty, the medieval values and systems were maintained on the surface, but at the base of society, the transition to a capital-oriented economic system was progressing. Women responded sensitively to the flow of capital based on their Confucian duty to take good care of the family, and they thus tended to strengthen their leadership in the family. This is a pattern seen beyond the class, and it can be seen through the works of Kyubang-gasa and Narrative Folk Song that women overcame difficulties and strengthened their self-consciousness even in difficult realities. Kyubang-gasa and Narrative Folk Song were created and enjoyed against such a complicated era. A review of Kyubang-gasa and Narrative Folk Song offers a look at the consciousness of women who lived under patriarchal Confucianism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a look at Kyubang-gasa and Narrative Folk Song at the same time allows us to grasp the lives of women in that period of Joseon.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Kyubang-gasa and Narrative Folk Song based on the theme of suffering and surmounting. These handle as the main topic the marriage, which is deemed the biggest inflection point in women's lives. Based on the analysis of work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yubang-gasa and Narrative Folk Song were analyzed, and the root causes of thes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were determined. As a result, women's subjective self can be found in both Kyubang-gasa and Narrative Folk Song. It is noteworthy that women's self-finding progressed, rather than individually, toward the development of women's consciousness and women's solidarity. The development of women's consciousness in the works can be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As a result, women's subjective self can be found in both Kyubang-gasa and Narrative Folk Song. It is noteworthy that women's self-finding progressed, rather than individually, toward the development of women's consciousness and women's solidarity. The development of women's consciousness in the works can be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There are works such as <Bokseon Hwaeumga> and <Husil Jangga> that express individual female consciousness through the appearance of individual characters, while there are a group of works such as <Jinju Nanggun> and <Cheopjip Bangmun> that give a look at the developmental pattern of women's solidarity and women's consciousness through the expansion of different versions of such works. Kyubang-gasa and Narrative Folk Song allowed women to communicate implicitly with other women who suffered the same. Through the creation and enjoyment of Kyubang-gasa and Narrative Folk Song, individual women who suffered could be included in the women's community and comforted and supported. The communication and literary aspects of Kyubang-gasa and Narrative Folk Song appear as female solidarity and female consciousness development. This paper selected and discussed a rare format that simultaneously handles Kyubang-gasa and Narrative Folk Song. Thus, traces of hierarchical interactions in Kyubang-gasa and Narrative Folk Song were found. A look at the Hwajeonga Song indicates that from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the Hwajeon game was played in individual villages, not among clans, making it possible to enjoy Hwajeonga. This means that the scope of the women's community was expanded to the scope of the village community that was not centered on status or relatives. At the same time, it means that the group of enjoying Kyubang-gasa also expanded. Indeed, in the case of <Doendong Eomi Hwajeonga>, it is stated that women with their status being middle-class later fell to the lower class. Considering that, originally, Kyubang-gasa was created mainly by women from the rural nobility, it did not include middle class women in its creation. As such,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modern aspects bey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eval literature based on status, through the mixing of those who enjoyed Kyubang-gasa. Through this process, the status can b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layers, but the works confirmed that the 18-19th century women who lived a relatively repressed life compared to men under the strengthened patriarchal system, showing their solidarity surpassing the hierarchy. The economically degraded women from the rural nobility had to live a hard life filled with labor without much economical difference from commoner women.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women from the rural nobility and commoner women showed a phenomenon whereby their sense of status disappeared due to the formation of consensus between each other and the commonality of lifestyles. In the meantime, the pattern of change in consciousness associated with socio-economic changes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Dynasty has tended to be researched mainly centering on male literatu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complement the gap created by this literature history in terms of women's literature. The general overview of classical history has thus far tended to revolve around men, and women's literature history tends to exist as an exceptional case. This may be because most of the existing classical literary works are from the Joseon Dynasty, but it has also been greatly influenced by the misconception of academia about women's literature. The perception has been prevalent that female literature is not only inferior in number to male literature, but also low in literary value. However, the creators of Kyubang-gasa and Narrative Folk Song were women who lived their lives with the limitations of the second half of Joseon, but there was no trying to overcome hardships. In this process of overcoming hardships, they did not give up their ego as a woman, and in the end, they are deemed to have achieved a literary achievement leading to women's solidarity 규방가사와 서사민요는 향촌사족여성과 평민여성을 문학 담당층으로 하는 조선 후기 시가문학이다. 4음보 율격이라는 간단한 형식을 가진 문학 장르로, 조선 후기 여성들은 이를 통해 자신의 삶과 감정을 노래하였다. 따라서 규방가사와 서사민요는 조선 후기 여성의 삶을 가장 진솔하고 사실적으로 표현한 생활문학이라고 할 수 있다. 규방가사와 서사민요가 성행한 18-19세기는 조선의 근간인 과거제가 문란해지고 사농공상(士農工商)에 기초한 신분체계가 혼란스러워지는 등 사회 전반에 걸쳐 변화가 일어나고 있었다. 중앙으로의 진출이 막힌 향촌사족(鄕村士族)은 경제적으로 몰락하여 향촌사회에 대한 지배력을 잃어갔다. 반면 화폐경제를 바탕으로 부를 쌓은 요호부민(饒戶富民)은 향촌사회에 영향력을 늘려갔을 뿐만 아니라 상층으로 이동을 시도하였다. 이런 근본적인 사회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18세기 조선은 향촌사회를 중심으로 유교적 이념을 강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친영제(親迎制)와 종법(從法)이 제도화되고 내외법이 관행화되는 등 여성들의 사회적 지위가 하락하고 가정 내 입지가 급격히 축소되었다. 향촌사족은 가정 내에서 유교적 이념을 강화하는 것으로 사회적 변화에 대응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향촌사족여성은 물론이고 평민여성들에게까지 삼종지도(三從之道) 등의 유교적 이념이 실천적 생활이념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조선 후기는 표면적으로는 중세적 가치와 체제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사회 기저에는 자본 중심 경제체제로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여성은 가정의 건사라는 유교적 의무를 바탕으로 자본의 흐름에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이를 통해 계층을 초월하여 다시금 가족 내 주도권을 강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처럼 여성이 어려운 현실 속에서도 고난을 극복하고 자의식을 강화하는 모습을 규방가사와 서사민요의 작품을 통해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복잡다단한 시대적 배경을 바탕으로 규방가사와 서사민요는 창작되고 향유되었다. 규방가사와 서사민요를 통해 조선 후기 가부장적 유교주의하에서 살았던 여성의 의식을 살펴볼 수 있다. 특히 규방가사와 서사민요를 동시에 살핌으로써 조선 후기 여성들의 삶을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본고는 고난과 극복이라 주제를 바탕으로 규방가사와 서사민요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들은 여성의 삶에 가장 큰 변곡점이라 할 수 있는 혼사를 주요소재로 한다. 작품 분석을 바탕으로 규방가사와 서사민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생기는 근본적인 원인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과적으로 규방가사와 서사민요 모두에서 여성의 주체적 자아가 발전하는 양상을 찾아볼 수 있다. 여성의 자아찾기가 개별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닌 여성의식과 여성연대의 발전으로 나아갔다는 점에서 주목할만하다. 작품에 나타난 여성의식의 발전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복선화음가>와 <후실장가>같이 개성적인 인물이 등장하여 발전적인 여성의식을 표출하는 작품이 있고, <진주낭군>과 <첩집방문>처럼 이본의 확장을 통해 여성의식과 여성연대의 발전적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작품이 존재한다. 여성들은 규방가사와 서사민요를 통해 자신과 동일한 고난을 겪는 다른 여성들과 묵시적으로 소통할 수 있었다. 규방가사와 서사민요의 창작과 향유를 통해 고통받던 개별적 여성은 여성공동체에 포함되어 위로와 지지를 받을 수 있었다. 이러한 규방가사와 서사민요의 소통문학적 측면은 여성연대와 여성의식 발전으로 나타난다. 본고에서는 규방가사와 서사민요를 동시에 다루는 드문 형식을 선택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에 규방가사와 서사민요에 나타난 계층교류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었다. 화전가를 살펴보면 19세기 중반에는 화전놀이가 가문이 아닌 마을 단위의 행사로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화전놀이의 범위가 신분이나 혈족에서 마을 단위로 넓어졌음을 뜻한다. 동시에 규방가사의 향유층이 확대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된동어미화전가>의 경우, 등장인물인 된동어미는 중인으로 태어나 여러 번의 상부(喪夫)를 겪으며 하층민으로 전락한 여성이다. 본래 규방가사는 향촌사족여성이 향유한 문학 장르로 중인 여성은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렇듯 규방가사에 나타난 향유층의 확대와 계층의 섞임은 신분을 기반으로 한 중세적 문학 질서를 넘어서는 근대적 면모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가부장적 유교주의의 강화로 인해 남성과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억눌린 삶을 살았던 18-19세기 여성들의 계층을 넘어서는 연대감을 작품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경제적으로 몰락한 향촌사족여성들은 평민층 여성들과 경제적인 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이 노동으로 점철된 힘든 삶을 살아야 했다. 19세기를 넘어 20세기 초반에 이르면 향촌사족여성과 평민여성은 생활양식의 공통점으로 인해 서로 간의 공감대가 형성되고 신분 차이의 의미가 거의 사라지면서, 계층이 뒤섞이는 현상이 나타난다. 그동안 이러한 조선 후기의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른 의식의 변화 양상은 남성 문학 중심으로 연구되어 온 경향이 있다. 본고의 연구결과는 이런 연구사의 틈새를 여성문학사적 측면에서 보완할 수 있다. 특히 고전문학사는 남성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여성문학은 예외적인 경우로 취급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현존하는 고전문학 대부분이 조선시대의 문학이라는 문제적 상황에서부터 유래한 것이나 여성문학에 대한 학계의 오래된 오해의 영향도 크다. 그동안 여성문학은 남성문학에 비해 수적으로 열세일 뿐만 아니라 문학적으로도 가치가 낮다는 인식이 팽배하였다. 그러나 규방가사와 서사민요의 창자들은 조선 후기라는 시대적 한계가 있는 삶을 살면서도 자신에게 주어진 고난을 극복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런 극복의 과정에서 이들은 여성으로서의 자아를 포기하지 않았고, 결국에는 여성연대로까지 나아가는 문학적 성취를 이루었다고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