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의 생활공간이동성에 따른 우울의 예측요인 및 보호요인 검증:생태학적 체계이론 접근

        김지원 서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과 2024 국내박사

        RANK : 247807

        노인 인구의 증가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 중 하나가 노인의 우울이다. 노년기에 발생하는 우울은 비전형적인 양상을 보이며, 신체적 질환과의 동반이환률이 높고, 신경인지장애와 연관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우울은 환경의 영향에 따라 유병률이 달라질 수 있는데 노인이 경험하는 환경이 축소되면 우울은 증가될 수 있다. 노인은 일반성인보다 거주지역의 환경적 특성에 영향을 더 많이 받기 때문에 환경변화가 우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노인이 거주하는 지역사회의 물리적 환경을 변화시키는 이동성과 우울 간 관계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노인은 우울로 인해 활동이 감소되면 생활공간이 축소되어 이동성이 감소하게 되기도 하지만, 노인의 이동성 감소는 생활공간 축소와 연관되며 그 자체로도 우울을 증가시키는 요인이다. 따라서 노인이 경험하는 환경에 따라 우울의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생활공간이동성에 따라 경험할 수 있는 환경이 달라지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도 다를 수 있다. 또한 보호 요인은 우울을 증가시키는 환경적 예측요인의 영향을 완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춘천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생활 공간이동성과 우울 간의 관계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목적을 가지고 탐색하고자 한다. 첫째, 생활공간이동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둘째, 생활공간이동성의 정도에 따라 생활공간이동성이 낮은 집단과 생활공간이동성이 높은 집단으로 나눈 후 생태학적 체계요인을 기반으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각각 분석한다. 셋째, 각 집단에서 확인된 예측요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보호요인인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 생활편의시설 접근성에 의해 조절되는지 검증한다. 연구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공간이동성이 낮을수록 노인의 우울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생활공간이동성이 낮은 집단에서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으로는 개인체계의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 만족도가 검증되었다. 사회환경체계의 노인복지관 이용유무, 여가문화시설 이용유무는 생활공간이동성이 낮은 집단에서만 검증되었다. 또한 예측요인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의 보호요인에 의해 조절되었다. 셋째, 생활공간이동성이 높은 집단에서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으로는 개인체계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가 예측요인으로 검증되었지만 사회환경 체계에서는 검증되지 않았다. 또한 예측요인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 효능감, 회복탄력성, 사회적지지의 보호요인에 의해 조절효과가 있었으며, 생활편의 시설 접근성은 생활공간이동성이 높은 집단에서만 조절효과가 있었다. 사회환경 체계의 외체계에 해당하는 요인은 두 집단 모두에서 예측요인으로 검증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생활공간이동성의 정도에 따른 집단별 노인의 이동 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물리적·사회적·문화적 환경의 개선을 제안하였다. 생활공간 이동성이 낮은 집단에게는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고 노인복지관을 통해 여가 문화 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를 높일 것을 제안하고, 생활공간 이동성이 높은 집단에게는 사회시설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여가문화 프로 그램의 제공을 제안하였다. 또한 우울한 노인을 조기에 발굴하기 위하여 두 집단 모두에게 노년기 우울의 특징과 우울 검사의 필요성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결과의 의의 및 제한점과 더불어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번호 이동성 도입에 따른 소비자 행동 연구 : 실제 사업자 전환여부에 관한 추적조사를 통해

        정억철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2004년 1월 1일부터 이동통신시장에는 사용자가 전화번호에 구애받지 않고 사업자를 선택할 수 있는 번호이동성제도가 도입이 되었다. 시행을 앞두고 사업자간의 이해득실 문제와 이에 따른 제반비용에 대한 논란이 있었지만 이용자의 편익증진과 이동통신시장에서의 유효경쟁체제 구축을 위한 환경조성을 위해서 이동성제도가 필요하다는 판단에 의거하여 도입, 실시되고 있다. 사업자별로 시차를 두어 실시가 된 번호 이동성제도는 아직 완전한 시장이 형성이 되진 않았지만 도입초기 실시된 소비자들의 행동 연구에 의해 차후 예측이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본 연구자는 실제이동통신시장에서 번호이동성제도가 소비자들의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와 사업자를 선택함에 있어서 소비자들에게 중요한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해 봄으로써 고객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번호이동성의 개념과 의의, 도입방식에 대해 살핌으로써 번호이동성제도에 대한 이해를 하고자 하였고, 번호이동성제도를 먼저 도입하여 실시하고 있는 해외사례에 대해 문헌을 통해 고찰해봄으로써 문제점과 각국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또한 도입전 각종기관과 이동통신사예측자료를 통해 실제 시장과 비교하여 보았고, 2004년 1월부터 4월까지의 이동전화 시장에 대한 현황을 정리하였으며, 마지막으로 1, 2차에 걸친 고객조사를 통해 각 사업자별 고객들의 사업자선택의중요한 점과 전환하지 못하는 사유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사업자 전환에 번호이동성제도 도입의 취지가 반영이 잘되고 있는지를 연구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번호이동성 제도의 도입으로 고객들은 원하는 이동통신회사를 자신이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는 전화번호를 변경하지 않고 바꿀 수 있어 불편함은 덜었지만 사업자를 선택 또는 변경함에 있어서 단말기 가격이나 이동통신회사에서 제공하는 통화품질, 요금제도, 고객혜택 등의 다른 요소들도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번호이동성제도를 통해 사업자 전환을 하였지만 이동통신회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나 품질에 대한 각각의 만족도가 상이한 결과를 보일 때는 추후에도 사업자변경이 계속될 여지가 있음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다양한 마케팅활동을 통하여 고객의유치도 중요하지만 고객을 계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현재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에 대한 끊임없는 노력과 이를 통한 고객만족을 실현함으로써 번호이동성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다. 해외사례를 살펴볼 때 우리나라는 시기적으로 번호이동성 도입이 다소 늦은 감은 있으나 고객만족을 위해 첫발을 내딛었다는 것에 의의를 두고 앞으로도 이동통신서비스의 고객만족을 위해서 정부는 번호이동성 제도의안정화와 고객을 배려하는 제도를 적극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On January 1, 2004, the mobile number portability system was introduc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s market, through which mobile phone subscribers can switch to a different service provider while retaining their phone numbers. The system was introduced to increase benefits for users and create environment for an effective competition system in the mobile communications market, despite the problem of conflicting interests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disputes over related costs for its introduction. The mobile number portability system, which was implemented with time lags according to different service providers, has yet to be fully established in the marker. However, under the assumption that projections can be made according to studies on consumer behavior during the initial stages of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that affect consumer behavior by identifying the key factors for consumers in selecting a service provider and how the mobile number portability system affects consumer behavior in the real mobile communication market.

      • 소득계층의 이동, 안전성 그리고 계층 간 이동의 용이성에 관한 연구

        강곤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소득계층의 이동, 안전성 그리고 계층 간 이동의 용이성에 관한 연구는 사회이동성에 관한 논문이다. 사회이동성 중에서도 소득이동성을 중점적으로 연구하며, 소득이동성에 대한 여러 연구질문에 대해서 대답한다. 소득이동성에 대한 연구질문을 소득 10 분위 단위로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하나, 한국사회의 이동성은 어떻게 변모 했는가? 둘, 소득이동성의 추이는 년도 별로 어떻게 되는가? 셋, 어떤 소득구간이 제일 정체되어 있는가? 넷, 소득구간 별로 얼마나 다른 소득분위로 이동할 수 있는가? 소득분위 이동성에 본격적인 분석에 앞서 추정 상에 한계점을 보완한다. 원래 건강기대수명을 구하기 위해서 개발이 되었던, 다상태 접근법을 소득분위 이동성 연구에 접목한다. 기존 소득이동성 연구는 시점, 비선형성, 나이, 표본의 내생적인 오류로 인한 추정상의 한계점이 지적된다. 이 중 나이와 표본의 내생적인 오류를 제외한, 시점과 비선형의 추정상의 문제점을 다상태 접근법을 통해서 보완할 수 있다. 다상태 접근법을 이용한 소득분위 이동성 연구의 최대 장점은 다양한 소득이동성에 대한 개념을 하나의 방법론으로 종합적으로 비교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소득분위 이동성 연구를 표본코호트 DB와 한국노동패널로 비교·분석한다. 한국노동패널이 일반적인 표본수집 방법으로 얻어진 것에 비해 표본코호트 DB는 행정 데이터를 통해서 사전에 모수를 알아 소득분위를 포함한 다양한 층으로부터 얻어진 자료이다. 사전에 소득분위에 대한 층이 존재하기 때문에, 소득분위에 대한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성별과 연령에도 층이 존재하며, 100만명의 소득분위 자료가 2002년부터 2013년까지 중도절단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노동패널보다 표본코호트 DB는 표본의 내생적인 오류의 가능성으로부터 보다 자유롭다. 마지막으로 나이에 대한 오류의 가능성을 보완하기 위해서 가구주, 가구원, 전체가구로 나누어 소득이동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 Combinatorial mobile IP : a study on efficient mobility management using minimized paging and local registration in mobile IP environments

        최태환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인터넷에서 이동성을 관리하는 기법으로 Mobile IP가 각광을 받고 있다. Mobile IP는 인터넷에서 무선 데이터 통신의 기반 기술로 자리를 잡았음에 확실하게 보인다. 셀률라 망과는 다르게 인터넷은 분산 시스템이다. Mobile IP는 매크로 이동성 측면에서는 적합하나 마이크로 이동성 측면에서는 적합하지 못하다는 점이 있다. 인터넷에서 이동성 관리는 인터넷이 내재적으로 분산 시스템이며 위치 정보가 인터넷 상에 분산되어 있다는 점 때문에 어려운 점이 있다. 반면에 셀률라 망에서 이동성 관리는 셀률라 망이 중앙 집중 시스템이므로 더 자연스럽다는 점이 있다. 셀률라 망에서 이동성 관리는 위치 갱신과 페이징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반면에 Mobile IP는 단지 등록 방식만을 사용하고 잇다. 현재 많은 연구가 Mobile IP의 이동성 관리를 향상시키기 위해 만들어 졌다. 페이징과 계층적인 구조가 Mobile IP 환경에서 이동성 관리를 위해 제안되어 지고 있다. 페이징과 계층적 구조는 Mobile IP를 위해 새롭게 태어난 기술이 아니라 실제로 전화망에서 많이 이용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점은 Mobile IP에서의 이동성 관리가 셀률라 망에서의 이동성 관리를 많이 채용하면서 발전되오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 주는 것이다. 셀률라 망은 상업적으로 구현되어 있고 신뢰성 있고 견고하고 자연스러운 연결로 가입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해 주고 있다. 셀률라 망에 비해서 Mobile IP는 늦게 출발하였지만 인터넷은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고 결국에는 Mobile IP가 차세대 통신에서 이동 네트워킹을 위한 셀률라 망을 대체하게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어떻게 셀률라 망의 이동성 관리 기법을 받아 들여서 인터넷의 특성을 이용하여 적용하는지를 보일 것이다. 셀률라 망에서 많이 사용되는 계층적 구조와 페이징을 사용하지만 Mobile IP에 다르게 적용시킬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 전체 시그날 비용은 Mobile IP Regional Registration과 P-MIP와 같은 다른 마이크로 이동성 프로토콜에 비하여 줄어들었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Recent research on implementing mobility on the Internet is focused on using Mobile IP. Clearly, Mobile IP is the framework of wireless data networking on the Internet. Unlike a cellular network, the Internet is a distributed system. Mobile IP is well suited for macro-mobility but not for micro-mobility. Intrinsically, mobility management is hard to come by on the Internet since the Internet depends on the distributed nature of networks and location information is distributed around the Internet. On the contrary, the mobility management of cellular networks is more natural than that of the Internet since the cellular network is a centralized system. In the cellular network, mobility management uses two schemes such as location updates and paging. On the other hand, Mobile IP uses only registration. Currently, a lot of research efforts are being created to improve Mobile IP mobility management. Paging and hierarchical architecture are used for most proposed mobility management schemes in Mobile IP environments. Paging and hierarchical architecture are not newly developed techniques for Mobile IP. They are widely used techniques for telephone networks. This shows that mobility management in Mobile IP is progressing toward simulating mobility management on cellular networks. Cellular networks are commercially implemented and serving users with reliable, robust and seamless mobility. Compared to cellular networks, Mobile IP is the late comer. However, the Internet is ever-growing and Mobile IP will be the substitute of cellular networks for mobile networking in the next generation network. In this paper, we present how to adopt mobility management schemes on cellular networks and adapt them in Mobile IP without disrupting the nature of the Internet. We adopt widely used mobility management schemes such as hierarchical architecture and paging in cellular networks but adapt them to Mobile IP differently. We restricts paging to the area that has to be paged by using local registrations. In this way, we show that the total signaling costs are reduced compared to other micro-mobility protocols such as Mobile IP Regional Registration and P-MIP.

      •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융합적 이동성 관리 연구 : A Study on Converged Mobility Management for Multi-Screen Services

        전세일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806

        The concept of one-source, multi-use (OSMU) appeared as a result of the increasing popularity and diversity of screen devices. A service user is no longer dependent on a particular device and can enjoy the same application service. Since previous research on multi-screen services primarily focused on simple content-sharing between stationary nodes, it has limitations to be widely spread. To develop and advance existing multi-screen services, a converged mobility management framework facilitating the support of user mobility and a various types of multimedia streaming should be prepared. This dissertation is the first study that deals with converged mobility management for session-based multi-screen services unlike existing research centering on content-sharing method and video transcoding. This research presents an effective IP mobility management framework and, in particular, focuses on designing network architecture and protocols to support unicast/multicast-based multi-screen services under terminal and group mobility scenarios. Specifically, the content of this dissertation is as follows. First, we propose direct routing architecture to provide IP multicasting without a tunnel-based multicast data transmission mechanism in Proxy Mobile IPv6 (PMIPv6) that supports network-based IP mobility for next-generation wireless networks. Second, we suggest a network architecture and protocol for group mobility support in the PMIPv6 domain. When a multi-screen service user is moving in a vehicle, group-based mobility management is required to provide effective IP session continuity with a number of nodes within the vehicle. The proposed group mobility scheme minimizes protocol and data overhead by assigning and managing group ID. Third, we propose IP multicasting support and efficient handoff methods applicable to the aforementioned group mobility scheme for providing real-time multi-screen services within vehicles. Lastly, we present network architecture for converged mobility management based on protocol technologies proposed in each section and propose a protocol procedure combined with IP mobility management and a session transfer mechanism. 스크린 기능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들이 출시됨에 따라 하나의 컨텐츠 미디어를 여러 스크린 디바이스를 통해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One-Source, Multi-Use (OSMU) 개념이 등장하였다. 이에 따라, 서비스 사용자는 특정 디바이스에 의존하지 않고 동일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연구된 멀티스크린 서비스 기술은 고정화된 노드간의 단순 컨텐츠 공유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 서비스를 폭 넓게 확산시키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기존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실용화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지원과 사용자의 자유로운 이동성을 가능케 하는 융합적인 이동성 관리의 프레임 워크가 마련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기존 멀티스크린 서비스 연구에서 다뤄졌던 컨텐츠 공유 방안 및 비디오 코딩 연구 등과는 달리, 사용자의 다양한 이동성 시나리오를 전제로 세션 기반의 멀티스크린 서비스 지원을 위한 융합적 이동성 관리를 다루는 첫 번째 연구이다. 본 연구는 터미널 이동성과 그룹 이동성 환경 하에서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 기반의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효과적인 IP 이동성 관리 프레임워크를 제시하며, 특별히 네트워크 구조와 프로토콜의 설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세부적으로, 본 논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차세대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네트워크 기반의 IP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Proxy Mobile IPv6 (PMIPv6) 도메인에서 IP 멀티캐스팅을 가능케 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기존의 터널 기반의 데이터 전송 방법 없이 IP 멀티캐스팅이 가능한 직접 라우팅 구조를 제안한다. 두 번째로, PMIPv6 도메인에서 그룹 이동성 지원을 위한 네트워크 구조와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멀티스크린 서비스 사용자가 차량을 통해 PMIPv6 도메인에서 이동하는 경우 다수 사용자의 효과적인 IP 세션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그룹 기반 이동성 관리 방안이 요구된다. 제안하는 그룹 이동성 관리 기법은 기존에 제안된 다른 기법들과 달리 모바일 네트워크 별로 그룹 ID를 할당하고 관리함을 통해 프로토콜 및 데이터 오버헤드를 최소화한다. 세 번째로, 차량 내에서 실시간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앞서 제안된 그룹 이동성 관리 구조에서 적용가능한 IP 멀티캐스팅 지원 방안 및 효과적인 핸드오프 방안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각 장에서 제안된 기술들을 바탕으로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융합적인 이동성 관리 네트워크 구조를 제시하고, 멀티스크린 서비스 사용자가 내․외부를 이동하는 경우, IP 이동성 관리와 세션 전환 기법이 결합된 종합적인 프로토콜 절차를 제안한다.

      • 고령운전자의 이동성(Mobility)과 삶의 질의 관계

        장혜란 충북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연구는 객관적인 이동행동 뿐만 아니라 이동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리적 기제 및 신체적 기제를 포함하여 이동성의 개념을 포괄적으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고령운전자들을 대상으로 이동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1에서는 이동성 질문지가 사용할만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가지고 있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만 20세 이상의 운전자 207명을 대상으로 이동성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2에서는 고령운전자의 이동성 수준을 확인하고, 고령운전자의 이동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고령운전자의 이동성 요인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만 65세 이상의 고령운전자 91명을 대상으로 이동성 질문지, 심리적 안녕감 질문지, 운전경험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이동성 질문지는 안전운전능력, 이동감소, 사회활동, 안전운전능력이라는 4개의 하위요인 구성되었다. 안전운전능력은 안전운전을 위해 필요한 신체적 능력을 얼마나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지를 의미한다. 이동감소는 운전자가 평소에 운전하는 양(시간, 횟수, 거리)과 속도가 감소했는지를 의미한다. 사회활동은 운전자가 얼마나 적극적으로 사회활동에 참여하는지를 의미한다. 안전운전능력은 특정한 운전상황에서 운전자들이 느끼는 자신감의 정도를 의미한다. 고령운전자의 이동성 수준을 살펴본 결과, 고령운전자는 일반운전자에 비해 평소에 운전하는 양(시간, 횟수, 거리)을 줄이며, 더 느린 속도로 운전을 하고 있었다. 또한 고령운전자는 안전운전을 위해 필요한 신체적 능력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으며, 특정한 운전상황에서 느끼는 자신감이 감소하고, 어려움과 불안감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고령운전자는 자원봉사, 취미활동과 같은 비공식적인 활동에 있어서는 일반운전자들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었다. 고령운전자의 이동성과 삶의 질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고령운전자의 이동성 수준이 높을수록 고령운전자의 심리적 안녕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운전을 위해 필요한 신체적 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적극적으로 사회활동에 참여하는 고령운전자일수록 더 행복하고 만족스런 삶을 살고 있다고 느낀다. 또한 특정한 운전상황에서 느끼는 자신감은 높고, 어려움과 불안감을 더 적게 경험하는 고령운전자일수록 자신의 삶이 행복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고령운전자의 이동성 요인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안전운전을 위해 필요한 신체적 능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고령운전자는 결단력이 있고, 독립적이며,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있었다. 특정한 운전상황에서 높은 자신감을 느끼는 고령운전자는 자신의 삶과 주변 환경을 효율적으로 통제한다고 느끼지만, 타인의 평가나 기대에 걱정하고, 중요한 결정을 할 때 타인의 판단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았다. 평소에 운전하는 양(시간, 횟수, 거리)과 속도가 감소한 고령운전자는 자신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며, 타인과 따뜻하고 신뢰로운 관계를 맺지 못하는 경향이 높았다. 반면에 사회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고령운전자는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자부심을 느끼며, 타인과 따뜻하고 친밀한 관계를 맺는 경우가 높았다. 본 연구는 고령자의 운전기회를 박탈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며, 고령자라도 안전운전의 적합성에 문제가 없을 때는 운전의 기회를 계속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주장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고령운전자가 연령증가에 따른 신체적 기능의 저하를 인식하고, 신체적 결손을 보완하기 위한 신중하고 조심스러운 운전의 필요성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measured a concept of mobility which is included objective travel behavior as well as psychological and physical mechanism that influenced travel behavior. And then,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and the quality of life in elderly drivers. In research 1, we evalua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obility Questionnaire(MQ)'. We tested 'MQ' to 207 drivers aged 20 years and older. In research 2, we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mobility and the quality of life in elderly drivers. Also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 that mobility of elderly drivers impacts on their quaility of life. We used 'MQ', 'Psychological Well-Being Questionnaire(PWBQ)'. 'Driving -experience Questionnaire(DEQ)' to 91 drivers aged 65 years and older. MQ consisted of 'Safe Driving Ability(ADA)', "Travel Decrease(TD)", 'Social Activity(SA)', and 'Situational Adaptability(SA)'. Mobility level of elderly drivers was lower than other drivers. The amount and speed of driving of elderly drivers reduced driving behavior than other drivers. Also, elderly drivers negatively assessed their physical ability for safe driving and felt a low confidence in specific driving situation. On the other hand, elderly drivers took parts in social activity constructively. A review of the relation of mobility and quality of life showed that mobility of elderly drivers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PWB. Elderly drivers with high mobility level felt so happy. This implies that mobility of elderly drivers is important thing in quality of life of elderly driver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research the influence that mobility of elderly drivers impacts on theirs quality of life. The mobility of elderly drivers had an effect on 'Autonomy', 'Environmental mastery', 'Self-acceptance', and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Elderly drivers who affirmatively assessed their physical ability were decisive and very proud of themselves. However, elderly drivers who felt a high confidence in specific driving situation were anxious about evaluation or expectation from another person. Elderly drivers who drives less and slower than others were never proud of themselves and did not maintain warm and satisfactory relations with other people. On the other hand, elderly drivers who take parts in social activity constructively were proud of themselves and maintained warm and satisfactory relations with their people.

      • 세포 이동성에 있어서 MAPK 신호전달 경로의 조절기관 규명

        송현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박사

        RANK : 247806

        암세포의 부착 및 침윤 그리고 이동을 포함한 암의 전이는 암치료를 어렵게 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정상세포를 악성으로 진행하게끔 하는데 있어서 관여 하는 분자적 기전을 이해하기 위하여 먼저 정상 신경교종의 이동성을 유도하는데 필요한 기전을 연구하기 위하여 본 실험에서는 두가지 신경교종 세포들을 이용하여 세포의 이동과 glial cell-derived neurotrophic factor (GDNF) 사이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다. High-grade C6 세포는 low-grade Hs683 세포보다 이동성이 훨씬 크며 GDNF의 분비 수준 또한 높았다. Hs683 세포에 GDNF를 처리한 결과 C6 세포에 상응하는 수준으로 이동성이 증가하였으며 이 결과는 신경교종 세포의 이동을 촉진하는 GDNF의 autocrine 또는/및 paracrine 효과를 제시하는 것이다. 다음에는 GDNF에 의한 Hs683 세포의 이동성 유도에 있어서 c-Jun N-terminal protein kinase (JNK),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 (ERKs) 그리고 p38 MAPK를 포함하는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와의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GDNF를 처리한 세포에서 뚜렷한 JNK, ERKs, 그리고 p38 MAPK의 활성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MAPKS의 저해를 통하여 GDNF에 의한 Hs683 세포의 이동성 유도에 있어서 MAPKS가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은 정상적인 세포의 특징을 가친 Hs683 세포에서 GDNF가 신경교종세포의 이동성 증가를 촉진하는 분자적 기전을 제시함으로써 신경교종의 악성진행 과정을 좀더 잘 이해할 수 있었으며 있도록 하였다. 한편, 암의 발생은 종종 지속적으로 활성화된 Ras 신호전달 경로에 의하여 세포가 악성 표현형으로 변화됨으로써 일어난다. Ras 하위 신호분자에 관한 선행 연구 결과, Ras family 중 하나인 H-Ras에 의하여 Ras downstream effector 분자인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MAPK)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되어 세포 침윤성 및 이동성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 유방암 세포의 악성 진행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 matrix metalloproteinase(MMP)-2의 발현에 영향을 끼쳤다. 본 실험에서는 우선 활성화된 MKK6 도입에 의한 p38 MAPK 의 인산화가 MCF10A 세포에서 침윤성 및 이동성을 유도하기에 충분함을 관찰하였으며 이 결과를 통하여 세포의 침윤성에 있어서 p38 MAPK 이 중요한 역할을 함을 확인하였다. MKK6-p38 MAPK 신호전달 기전의 활성화로 인하여 MMP-9에는 영향이 거의 없는 반면, MMP-2는 뚜렷하게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이는 MKK6-p38 MAPK 신호전달 기전에 의한 MMP-2의 up-regulation이 H-Ras로 유도되는 침윤성 및 이동성에 핵심 단계임을 제시하는 것이다. MCF10A 인간유방상피세포의 침윤성 및 이동성과 관련된 p38 MAPK 기전에 의한 MMP-2의 전사 조절을 규명하고자 실험 결과, MMP-2 promoter의 5'deletion mutant 구조를 이용하여 MKK6- 및 H-Ras-activated MCF10A 세포에서 MMP-2 promoter의 가장 큰 감소가 일어나는 부위가 AP-1 결합 부위가 포함된 -1591 bp에서-1259 bp임을 관찰하였다. 이 결과는 AP-1 결합 부위가 MMP-2 Promoter 활성화에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EMSA와 AP-1-driven plasmid를 이용한 luciferase assay를 통하여 MKK6 또는 H-Ras에 의한 AP-1의 DNA결합 및 전사 활성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Immuno-inhibition assay를 통하여 AP-1 family 중의 하나인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ATF)2가 MKK6- 및 H-Ras MCF10A 세포에서 활성화되며 AP-1 부위에 결합하여 MMP-2 유전자의 발현에 관여하는 전사인자라는 것을 규명하였다. MKK6나 H-Ras에 의한 ATF2의 활성은 MCF10A 세포의 침윤성 및 이동성의 유도뿐만 아니라 MMP-2의 promoter 활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들은 ATF2가 MKK3/6-p38 MAPK 신호전달경로와 MMP-2의 up-regulation을 이어주는 필수적인 전사인자이며 ATF2의 활성화가 인간유방상피세포의 악성 표현형으로의 변화를 유도하는 데 있어서 직접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본 실험들을 통하여 정상 신경교종세포에서의 GDNF를 통한 이동성 증가의 기전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또한 악성표현형의 변화가 유도된 세포를 이용하여 유방암의 악성진행에서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사인자를 규명하였다. The primary cause of therapeutic failure in the treatment of malignant tumors is metastasis including that attachment, invasion, and migration of tumor cells. In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the malignant progression of glioma cells, we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cell migration and glial cell-derived neurotrophic factor (GDNF) secretion of two glioma cell lines which differ in their invasive phenotypes. Here, we show that the high-grade C6 cells are more migrative and secrete more GDNF than the low-grade Hs683 cells, suggesting that the migrative capacity of glioma cells may be linked to the GDNF production. Treatment of the Hs683 cells with GDNF significantly increased migration comparable to the C6 cells as evidence by transwell migration assay and wound migration assay. The result reveals an autocrine and/or paracrine effect of GDNF on promotion of the glioma cell migration. To elucidate a molecular mechanism for the effect of GDNF, we examined the involvement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including c-Jun N-terminal protein kinase (JNK),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 (ERKs) and p38 MAPK in Hs683 cell migration induced by GDNF. A prominent activation of JNK, ERKs and p38 MAPK was observed in Hs683 cells treated with GDNF. By using chemical inhibitors and dominant negative (DN) mutant constructs of these MAPKs, we showed that the activation of JNK, ERK-1/2 and p38 MAPK was critical for Hs683 cell migration induced by GDNF. Our findings revealing a molecular mechanism for the promoting effect of GDNF on glioma cell migration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rapeutic interventions to prevent the malignant progression of human gliomas. Human tumors frequently exhibit constitutively activated Ras signaling which contributes to the malignant phenotype. We previously showed that p38 MAPK is a key signaling molecule differentially regulated by H-ras and N-ras, leading to H-ras-specific cell invasive and migrative phenotypes in MCF10A human breast epithelial cells. In this study, we further investigated the role of p38 MAPK pathway in the induction of metastatic potential in MCF10A cells as a "gain of function" study. First, we tested whether the activation of p38 MAPK can confer invasive and migrative abilities in MCF10A cells which were originally non-invasive and nonmigrative. A significant role for p38 MAPK in cell invasion is further supported by the observation that p38 MAPK activation by constitutively active mutant MAP kinase kinase (MKK)-6 transfection is sufficient to induce invasive and migrative phenotypes in MCF10A cells. Activation of p38 MAPK MAPK pathway by transfecting MKK6 caused a selective up-regulation of MMP-2. We also studied to elucidate the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MMP-2 by p38 MAPK pathway leading to the invasive and migrative phenotypes of MCF10A breast epithelial cells. By using 5' deletion mutant constructs of MMP-2 promoter, we showed that deletion of the AP-1 site spanning -1591 bp to -1259 bp caused the greatest reduction of MMP-2 promoter activity both in MKK6-and H-Ras-activated MCF10A cells, suggesting that the AP-1 binding site is critical for the MMP-2 promoter activation. DNA binding and transcriptional activities of AP-1 were increased by MKK6 or H-Ras as evidenced by EMSA and luciferase assay using a AP-1-driven plasmid. By performing an immunoinhibition assay, we revealed the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ATF)2, which was activated in MKK6- and H-Ras MCF10A cells, as a transcription factor for MMP-2 gene expression through binding to the functional AP-1 site. Activation of ATF2 by MKK6 or H-Ras was crucial for MMP-2 promoter activity as well as induction of invasive and migrative phenotypes in MCF10A cells. This is the first report revealing ATF2 as an essential transcription factor linking MKK3/6-p38 MAPK signaling pathway to MMP-2 up-regulation, providing evidence for a direct role of ATF2 activation in malignant phenotypic changes of human breast epithelial cells.

      • 반도체 나노 결정 배열에서의 전자 이동성 연구

        이지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6

        반도체 나노 결정은 태양전지, 발광소자, 트랜지스터 등의 다양한 적용 가능성으로 주목되는 물질로 개별적인 결정의 크기와 모양에 그 전자적인 성질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반도체 나노 결정의 산업적 응용을 위해서 특히 전자 전도성이 큰 물질의 개발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나노 결정의 크기가 커질수록 도약 횟수가 줄어들고 활성화 에너지도 작기 때문에 전자 이동성도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PbSe 나노 결정의 크기에 따른 전자 이동성에 관한 연구에서는 나노 결정의 크기가 6nm 이상에서는 크기가 커질수록 전자 이동성이 감소하는 실험 결과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나노 결정에서의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인 이해가 부족하다. 예를 들어 양자 우물 모델로 결정 간 결합 에너지를 계산하였을 때, 결정의 크기가 커질수록 결합 에너지가 작아지므로 이 현상을 기존의 전자 이동성을 계산하는 아인슈타인 식으로는 예측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나노 결정 배열을 크기에 따른 결정과 결정 사이의 결합 에너지와 활성화 에너지로 모델링하였다. 결합 에너지는 유효 질량 근사법으로 두개의 양자우물구조의 에너지를 통해 계산하였고 활성화 에너지는 기존의 충전 에너지 계산식으로 구하였다. 실시간 걸러진 경로적분법으로 시간에 따른 전하밀도를 시뮬레이션 하고 곡선 접합 하여 속도상수를 계산하여 크기에 따른 전자 이동성을 양자동역학적으로 계산하고 나노 결정의 크기에 따른 전자 이동성이 달라지는 이유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전자의 이동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도약 속도와 전하가 한번 도약 할 때 이동하는 거리로 나눌 수 있으며 최인접 도약 모델에서 한번 도약 시 이동하는 거리는 이미 정해져 있기 때문에 본 연구 모델에서는 결합 에너지와 충전 에너지의 영향으로 도약 속도가 결정된다. 결합 에너지는 결정 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며 따라서 결합 에너지가 크다는 것은 결정간의 상호작용이 큰 것이므로 전하의 이동이 빨라지게 된다. 충전 에너지는 전기적으로 중성인 이웃한 다른 나노 결정으로 전자가 이동하는 데에 필요한 에너지로 충전 에너지는 활성화 에너지와 비례한다. 따라서 충전 에너지가 크면 활성화 에너지가 커져 전하가 이동하기 어려우므로 전하의 이동은 느려진다. 결합 에너지가 크고 충전 에너지가 작을수록 도약 속도는 빨라진다. 우리 모델에서는 동일한 결정 간 간격 조건에서 결정의 크기가 증가하면 결합 에너지와 충전 에너지가 작아지며 이러한 두 파라미터의 상충작용으로 전자의 이동성이 결정되었다. 더욱이 결정 간 거리가 고정된 구조에서는 일반적으로 크기가 커지면서 최대 2배가량 전자 이동성이 증가하는 반면 PbSe실험에서는 약 20배 가량 전자 이동성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결정 간 거리에 따른 이동성 변화가 컸기 때문에 크기에 따라 결정 간 거리를 달라지게 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했다. 결정의 크기가 작을 경우 표면이 평면형태이지만 결정의 크기가 커지면서 곡면형태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수산화기와 같은 이온형 리간드는 결정 간 거리가 고정되지만 지방족 리간드처럼 요동이 가능한 경우 곡면에서 표면의 리간드가 벌어질 수 있어 생기는 리간드의 겹쳐짐 현상 때문에 결정의 크기가 커질수록 결정 간 거리가 줄어들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정의 크기에 따른 표면 변화로 인해 결정 간 거리가 크기가 달라지므로 전자 이동성의 급격한 변화가 생긴다. 또한 연구에서 충전 에너지 식에서 상호작용하는 인접한 결정의 개수인 β를 다양한 값으로 계산하였을 때에 β가 2인 모델에서 전자가 실험결과와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고 충전 에너지가 전하를 받아 전달해주는 가장 인접한 두 개의 결정과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이론 및 실험에서 설명하지 못한 크기에 따른 전자 이동성의 변화를 양자동역학계산을 통해 이해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부모와 자녀 세대 간 업무수행능력 이동성 연구

        박유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6

        직업 채용 시 학벌, 자격증, 어학 점수 같은 '스펙' 보다는 직무능력(업무수행능력)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를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는 업무수행능력을 통해 부모와 자녀의 세대 간 직업 이동성을 새롭게 정의하고 추정하고자 한다. 세대 간 직업 이동성에 대한 기존 선행연구들을 보면, 직무능력이 아닌 일의 형태에 따라 직업을 분류한 한국표준직업분류를 기반으로 이동성을 측정하였다. 그러나 부모와 자녀의 직업이 직업분류 상으로는 다른 직업군에 속하더라도 비슷한 직무능력을 요구하는 직업이라면 직업 이동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직업 분류가 아닌 직업이 요구하는 업무수행능력을 기반으로 직업 이동성을 추정한다면 기존 연구들과 다른 결과가 나올 것이라 예측할 수 있다. 분석 결과, 세대 간 직업 이동성과 실질 소득 사이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였으며 직업 이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나이, 성별, 교육수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세대 간 소득 이동성의 여러 메커니즘 중 하나로 직업 이동성이 상당한 부분을 차지함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