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의료분쟁의 실태에 관한 연구

        김유재 단국대학교 1994 국내석사

        RANK : 248703

        Medical dispute is increased average 4.8% per year, for danger of medical essence and social conditions. There has been a remarkable development in the field of medical science. However the harmful effects or dangers caused by the use of new medicine, new technology and machines are increasing at the same time. It is known that the level of development in medical techonology in Korea has been quite high, but the indemnity for damage done by medical accident is, in fact, formed by only market mechanism and market function. Although each part of a medical dispute agrees on the level of compensation based on an economic principle, the agreement does not make any perfect solution. That is, the agreement covers or suffices neither the emotional part of the victim, nor the distrust toward the injurner. Those dangers and uncertainties which result from the modern technology can bring about the medical malpractice. As whith these, the evaluation of right-consciousness of the patients has made medical malpractice understood as a lega issues, which resulted in the increased medical disputes. Especially, the recent medical disputes assume the aspect of collective shoudown between medical doctors and patients. Obviously medical disputes are on an increasing trend. This paper has studied these problems based on empirical data and sought to establish some methods for the settlement of medical disputes. As a result of this study, I found that the present relief measures against medical malpratice lacked the capability of setting. Consequently, I instist the followings as the means of settling medical disputes. Firtst, we should do our best to reduce the medical malpractices by raising the level of quality of medicine. Second, the medical disputes should be settled by objective and authoritative institution. Third, administrative and legal supports should be made to garantee the substantial activities of instititutions for the settling medical disputes. Fourth, we should ocnsider the level of national welfare,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medical industry and relief against medical malpractice simultaneously. Finally, I suggest new relief system that contains the medical compensation funds and the committee of mediation. In this study, I have emphasis on the actualized data analysis which accepted from medical damage patient family, several remedies in the medical dispute. 현대 醫學은 과거 어느 때보다 더 발달한 의학적 지식에 基礎한 良質의 醫療로 많은 患者에게 光明을 안겨 주었다. 그러나 의료의 복잡성과 더불어 醫療紛爭 또한 최근들어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오늘날에 있어서의 의료분쟁은 국민의 권리의식 향상과 사회일반의 불신풍조로 어우러져 量的 擴大와 質的 深化가 가속화됨으로서 患者側이나 醫療人側 그 어느 쪽에도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으로 치닫고 있다. 의료분쟁이 하나의 社會的 病理現象으로 대두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그 정확한 원인을 알아내어 적절한 처치를 하여야 한다. 의료분쟁은 결국 의료행위의 과정에서 의사 등 의료인에게 의료과오가 있거나,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발생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의료행위에만 전념해야 할 의사들이 의료분쟁에 시달려 많은 시간을 빼앗기고 방어적 진료로 인하여 소비자인 환자의 입장에서도 피해가 가중되고 있는 형편이다. 본 논문의 범위는 이상과 같은 의료분쟁의 실태를 전제로 다음과 같이 硏究範圍를 설정한다. 우선 의료분쟁 실태에 관한 의론적 기초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겠다. 그 내용에서는 의료분쟁의 槪念과 發生要因을 고찰하였고, 다음은 의료분쟁의 現況과 類型의 分析이다. 全國的으로 의료분쟁의 件數가 얼마나 되며, 처리 결과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이러한 사태를 자료를 통해 확인해 보면 지난 5년간(1990-1994 현재) 의료분쟁건은 총 5,613건으로 매년 평균 4.8%의 상승률을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의료분쟁 처리에 관한 제도적 해결 장치 미비로 인하여 환자와 의료인 모두에게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法律의 미비점과 실질적인 社會的 補償制度가 없는 현실은 국민의 健康權을 침범하고 있으며, 의사의 診療權을 威脅하고 있다. 다음은 의료분쟁 처리를 위한 한국의 현행제도에 관해 살펴 보았다. 의료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제도는 크게 過失責任 賠償方式과 無過失 責任賠償 方式으로 나눌 수 있는데, 우리나라는 기본적으로 과실책임 배상방식을 따르며, 이 제도에 따라 분쟁조정 기구를 갖추고 있기는 하나, 어느 하나 제대로 기능을 발휘하고 있지는 못하다. 끝으로 醫療紛爭의 處理를 위한 制度的 改善策은 무엇인가를 도출하였다. 먼저 醫療紛爭의 處理에 관한 外國의 事例를 살펴보고, 現行 韓國의 醫療紛爭 處理制度에 관한 法的 補完을 고찰해 보았다. 사실 의료분쟁의 해결을 논의함에 있어, 어느 한쪽이 一方的으로 권리를 주장한다면, 결국 어느쪽도 자기의 주장을 관철시키지 못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의료분쟁 해결의 기본방향을 제시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의 질적 수준을 높여 의료사고를 줄이는데 노력해야 한다. 둘째, 의료분쟁의 해결은 객관적이고 공신력있는 기구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의료분쟁 해결 기구의 실질적인 활동을 보장하기 위하여는 행정적 지원 뿐만 아니라, 법적 뒷받침이 확실해야 한다. 따라서 의료분쟁을 제도적으로 공정하고 신속하게 평가하여 환자들의 복잡하고 장기간의 소송절차와 많은 소송비용의 부담을 줄이고, 적절한 보상을 받을 수 있으며, 의료인도 소신껏 환자를 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독립성을 가진 기구가 조속히 설립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상은 本 硏究의 硏究範圍이다. 硏究方法은 文獻調査 方法을 원칙으로 하여 保社部 등 政府機關과 醫學協會에서 많이 연구한 바의 문헌을 중심으로 하였고, 의료분쟁 문제에 관심을 가진 소비자 단체와 학자들의 연구논문을 참고하였다. 본래 문헌 조사란 事例 硏究와 類似點이 있다. 그러므로 본 硏究의 硏究方法에서도 특정 문제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그것의 一般化를 추구하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 醫療紛爭調停制度에 관한 小考 : 型事處罰特例制度의 導入論議를 中心으로

        金武省 慶熙大學敎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recent rapid academ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in the medical industry have made it possible to provide better medical services than ever before. Unlike the cases in the past, however, present medical malpractices are increasingly involved in medical disputes, due to the increased possibility of all the people to the medical service by the adoption of the national medical care insurance, the raised awareness of their rights, and the accessibility of various sources of information on the medical treatment through varying media. Nevertheless, the deficiencies of the social compensation and indemnity systems for such a problem have inflicted severe pain not only on patients but also on medical personnel. Since 1990, therefore, authorities in government and consumer protection organizations related to the medical service have recognized the severity of such a medical dispute problem and attempted to establish a medical dispute settlement bill for solving the medical dispute. However, such efforts have brought no visible effect because of the following reasons such as the conflict of interests from concerned parties. Exploring how to enact a desirable medical dispute settlement bill, this study is constructed as follows : Chap. Ⅰ. Introduction Chap. Ⅱ. General Consideration of the Medical Dispute Chap. Ⅲ. Foreign Cases of the Medical Dispute Settlement Bill in the Medical Dispute Chap. Ⅳ. A Possible Mediation System in the Medical Dispute for Korea Chap. Ⅴ. Issues of and Directions for the Enactment of the Medical Dispute Settlement Bill Chap. Ⅵ. Issue of the Enactment of an Exceptional Criminal Punishment Law Chap. Ⅶ. Conclusion The ultimate purpose of the mediation system in the medical dispute is to enable patients, who directly experience pain from medical malpractices, to receive prompt and appropriate compensation for their damages, and also to enable medical personnel to ensure their rights to medical service and their personal reputation. Such a system is believed to lay a fou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 stable medical care system in which all the people could enjoy medical services of good quality. Here are suggested the directions for establishing a desirable mediation system in the medical dispute as follows : First, the present system for solving the medical dispute does not perform its proper function, so that it is urgent to enact a medical dispute settlement bill. By doing so, we should organize an independent, neutral, and fair medical dispute settlement committee and thus make efforts to settle promptly and impartially medical disputes. Second, for revitalizing the existing liability insurance for doctors' reparation and also making up for its various problems resulting from the optional membership rule, we need to replace such a rule with the compulsory membership regulation that make all the medical institutions effect such liability insurance. This revision will ensure that medical personnel may no more escape from the burden of malpractice than damaged patients from malpractice can receive immediate and fair restitution. Third, many people do not accept the introduction of an special law for the exemption of criminal punishment of medical personnel, which exempt from the criminal punishment for their medical malpractices doctors who effect the existing liability insurance for doctors' reparation, an issue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compulsory membership to the liability insurance. But, we should make a considerate decision about such a problem by comparing the legal purpose of securing the equal punishment for criminals with the possible national loss from strictly executing the exceptional criminal punishment law. However,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such a special law, considering the increasing demand for medical services, the goodwill and urgency of medical treatment, the furtherance of active medical care, and the principle of equity in medical dispute settlement. It also matches with the right of people to health in that it relieves patients' pain from malpractices and also ensures the steady surroundings for their medical treatment. Even so, however, it is needed that a national consensus is reached on the introduction of such a law and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law. Finally,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social system for reducing medical malpractices from the start. Therefore, it is recommendable that the medical dispute settlement committee serves as an institute that grades the levels of medical malpractices, manages collectively the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and settlement of medical disputes, and explores and suggests methods for improving the mediation system for the medical dispute.

      • 최근 10년간 의료분쟁 해결방안의 흐름과 이에 기초한 입법방향 제시

        임강윤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의료분쟁의 합리적인 해결을 위한 입법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수행하는 방법으로 문헌고찰의 방법을 택하였으며 제3장과 제4장에서 1988년 이후 현재까지의 학위논문과 의료분쟁조정법안을 검토하였다. 제5장에서는 의료분쟁해결방안에 기초한 입법방향을 검토하였고 제6장에서 결론을 내리는 구성을 취하였다. 제3장에서 의료분쟁해결방안에 주안점을 두고 연구한 15편의 논문을 중심으로 기존 의료분쟁해결제도의 문제점과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유형별로 정리하였다. 기존 제도의 문제점으로는 의사배상책임보험제도의 실패, 대한의사협회 공제회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 의료법상의 의료심사조정위원회의 유명무실화를 들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는 의사배상책임보험의 재도입, 대한의사협회 공제회의 실효성 확보, 의료심사조정위원회의 활성화, 민사법상의 조정제도활용, 무과실보상제도 도입, 의료사고 보상기금 도입, 의료분쟁 조정법 도입, 전문감정제도 도입, 의료소송 전문법원의 설치, 소비자보호원의 이용 등이 제시되고 있다. 제4장에서는 의료분쟁조정법안의 입법추진 경과를 약술하고 법안의 쟁점별 흐름과 논의사항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법안의 쟁점별 흐름은 1994년 정부안, 1997년 국민회의안, 1997년 신한국당안, 1999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안, 2001년 보건복지부안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주요 쟁점사항으로는 조정전치주의, 무과실보상제도, 형사처벌특례조항, 진료방해 금지, 제3자개입금지, 공제조합에의 강제가입, 국가와 보험자의 구제기금참여를 채택할 것인지의 여부와 조정위원회의 구성문제, 보험제도의 형태로서 민간보험을 채택할 것인지 공제회로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 의료행위로 인한 피해배상의 범위에 설명의무위반을 포함할 것인지의 여부, 의료관계기관의 정의문제에 대한 논의를 다루었다. 제5장에서 의료분쟁해결방안에 기초한 입법방향을 검토하고 제6장에서는 검토 결과에 따라 결론을 내렸다. 의료분쟁조정법(안)은 의료공급자인 의료인의 의업권이 보장되면서 의료소비자인 환자의 불만을 실질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현실성 있는 방향으로 입법되어야 한다. 즉, 의료분쟁조정위원회는 민간주도의 특수공익법인으로 설립하고, 조정위원회를 상설화된 기구로 하며, 조정위원은 의사, 법조인, 공익 대표로 구성하되, 조정부는 진료과목에 맞게 10여개로 구성하여 실질적인 조사와 판단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 조정전치주의를 채택하여 조정에 강제성을 부여하고, 조정위원회에 제출된 증거는 민사소송에서 증거로 원용되는 것이 제한되어야 하며, 피해범위에서 설명의무위반을 배제하며, 불가항력적인 무과실사고 발생시 국가가 보상기금을 조성하여 무과실보상을 하도록 하고, 제3자개입을 허용하여 신속하고 합리적인 분쟁해결이 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단, 제3자개입을 허용하되 의료기관에서의 난동행위는 엄하게 처벌하고, 배상제도로는 의사배상책임보험을 도입하되 도입시 형사처벌특례조항과 연계하여 의업권 보장이 가능하도록 해야한다. 아울러 의료계가 사실상 사회보험체계내에 편입되어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손해배상액의 최고 한도액를 정하도록 한다. 현재 의료법에 규정된 의료심사조정위원회는 의료법에서 삭제하고, 의료분쟁조정법을 제정하여 의료소비자의 권익보호와 의료인의 의업권이 함께 보장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pose a direction of legislation for the reasonable resolution of malpractices.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and degree theses and the medical dispute arbitrary law since 1988 are reviewed in chapters 3 and 4. The direction of legislation based on the terms of settlement of the medical disputes is reviewed in chapter 5, and the conclusions are drawn in chapter 6. In chapter 3,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systems of resolving medical disputes and solutions are sorted out based on 15 theses that examined resolution processes of medical disputes.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systems of resolving medical disputes are as following : failure in the physicians' liability insurance system, ineffectiveness of the mutual aid committee under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and the name sake existence of the medical dispute review and arbitration committee in the medical law. The proposed measures for resolving these problems include the reintroduction of the physicians' liability insurance, securing of the effectiveness of the mutual aid committee under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activation of the medical dispute review and arbitration committee, utilization of the arbitr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civil law, introduction of no-fault compensation system, introduction of a malpractice compensation fund, introduction of the medical dispute arbitration law, introduction of the expert evaluation system, establishment of a court specializing medical disputes, and use of the Korea Consumer Protection Board. In chapter 4, the progress of pur suing legislation of the medical dispute arbitration is summarized and the history of each agenda in the law and items of discussion are reviewed. As for the history of proposals, this paper reviews a proposal by the government in 1994, a proposal by the National Congress for New Politics in 1997, a proposal by the National Assembly's Health and Welfare Committee in 1999, and a proposal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2001. The main items of consideration in the present study are establishment of compulsory arbitration, the no-fault liability system, a special clause on criminal punishment, the prevention of interference of medical practice, the prevention of the involvement of a third party, the compulsory enrollment in a mutual aid insurance, whether the government and insurers would choose to participate in a relief fund, the is sue of the arbitration committee composition, the discussion on whether to choose a private or mutual aid insurance system, whether to include the violation of the doctor's duty to explain the patient conditions to a patient in the range of damage compensation, and the discussion on the definition of medicine related facilities. The direction of legislation based on the method of resolving medical disputes is discussed in chapter 5, and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view are made in chapter 6. The medical dispute arbitration law has to be legislated in a realistic direction where the right to practice medicine by the supplier s, i.e., doctors, have to be guaranteed and at the same time, complaints by the consumers, i.e., patients, can be actually resolved. In other words, a medical dispute arbitration committee needs to be established as a special public company lead by private citizens, with the arbitration committee as a permanently established organization. The members of this committee should include doctors, lawyers, and representatives of the public, and the arbitration departments should include divisions to represent 10 medical departments. In addition, procedures within the arbitration departments should be based on actual investigations and judgement. Arbitration should be made compulsory so that each medical dispute would be arbitrated before going to the court. The use of the evidences submitted to the arbitration committee in civil suits should be limited. Physicians should not be liable for the violation of the physician's duty to explain the patient conditions to a patient. The government needs to establish a compensatory fund for those non-fault accident s that occurred beyond anybody's control. It should also allow the participation of a third party to expedite reasonable resolutions of medical dispues. While the involvement of a third party should be allowed, those causing disturbance at a medical facility should be punished severely. As for the system of compensation, the physicians' liability insurance should be introduced, but at the introduction, the doctors' right to practice medicine should be protected related with the special item of criminal punishment. At the same time,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medicine is incorporated within the social insurance system, a maximum limit should be set for the amount of liability. The current medical review and arbitration committee defined in the medical law needs to be annulled, and by amending the medical dispute arbitration law, the consumers' right to receive medical services and the physicians' right to practice medicine should be protected as well.

      • 의료분쟁조정법 입법과정에 관한 연구 : 정책네트워크와 정책흐름 통합 모형을 중심으로

        송명환 성균관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2011년 3월 11일 국회를 통과하여 2012년 4월 8일부터 시행된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이하 “의료분쟁조정법”)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제정되었는지를 정책네트워크와 정책흐름 통합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한다. 의료분쟁조정법은 23년의 논의 끝에 통과된 법률이다. 오랜 시간 다양한 정책이해관계자 간의 이견과 반대로 인해 통과가 쉽지 않은 법률이었으며, 18대 국회에서도 법안 통과를 예상하기 힘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의료분쟁조정법이 제정되었다. 이러한 입법과정을 보다 분명하게 이해하고자 본 연구는 정책네트워크모형(Policy Network)과 정책흐름모형(Policy Stream Model)을 활용한다. 정책네트워크의 주요 구성요소인 정책행위자는 일반적으로 정부, 시민단체, 국회, 정당, 전문가 등을 들 수 있겠으나, 의료분쟁조정법과 관련된 주요 정책행위자는 시민단체와 의료계, 정부이다. 정책결정과정을 단순화하면 정책조정기와 정책결정기로 나눌 수 있는데 의료분쟁조정법은 장기간의 정책조정기를 가졌다. 우선 정부 내에서 부처 간 협의가 쉽지 않았으며, 정부제출법안, 의원입법안, 청원안으로 발의된 의료분쟁조정법은 결국 회기 내에 통과되지 못하여 자동 폐기되는 과정을 반복하였다. 그러나 18대 국회에서 동 법안이 최종적으로 통과되었는데 정책네트워크모형을 통해 주요 정책행위자, 이해관계 및 상호작용을 살펴본 결과, 핵심 이해관계에 대한 협상 부재 및 정책 협의과정 중에 다양한 비토포인트가 존재하여 장기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는 정책논의구조가 확인되었다. 또한 정책네트워크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적 맥락을 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하여 살펴본 결과 의료서비스의 소비자중심주의가 대두되고 의료소송이 증가하는 가운데 참여정부에서 시작된 의료서비스 산업 선진화 흐름 속에 이명박정부는 서비스산업 선진화 전략 하에 고부가 서비스산업 분야로서 글로벌헬스케어 산업을 선정하기에 이르렀다. 이는 의료분쟁조정법 정책결정에 점화장치(triggering device)로 작용하였고, Kingdon이 언급한 정책흐름 세 가지가 결합하여 정책의 창(policy window)이 열리게 되었다. 이후 정부는 의료분쟁조정법 제정을 외국인환자 유치를 위한 인프라로 인식하였고, 기획재정부와 보건복지부가 정책선도자로서 의료분쟁조정법의 제정을 추진하고 점검하였다. 또한 외국인환자 유치라는 새로운 이해관계 발생은 정부 뿐 아니라 의료계도 의료분쟁조정법 마련에 보다 적극성을 띠게 되었다. 아울러 입증책임의 전환 조항이 삭제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대안에 대하여 일부 시민단체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끝까지 반대의견을 제출하였으나, 더 이상 의료사고로 인한 국민들의 피해를 방치할 수 없다는 정부, 국회, 시민단체 등 주요 정책참여자들의 절박함, 이번에 기회에 열린 정책의 창이 닫힐 수도 있다는 정책행위자들의 정책결정과정 경험 및 정책매개자로서 정부와 18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의 법안심사소위원회 위원들의 적극적 노력은 의료분쟁조정법이 최종적으로 국회에서 통과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 의료분쟁에서의 조정성립 관련요인 :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조정사례(2012-2014) 분석

        권선화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전국민 건강보험의 시행 및 국민들의 생활수준 향상, 의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의료서비스의 이용의 증가와 더불어, 의료소비자들의 권리의식도 함께 신장됨에 따라 이와 관련한 의료분쟁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의료분쟁을 해결하는 방법에는 민·형사 소송을 제기하는 것과 당사자간 화해, 제3자의 개입을 통한 조정 또는 중재의 대체적분쟁해결방식(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ADR)이 있다. 소송을 통한 분쟁해결의 경우, 의료의 특수성으로 소송이 장기화되고 적지 않은 소송 비용이 든다. 의사는 방어진료나 위축진료를 하게 되며, 이는 의학기술의 발전을 저해하고 의료서비스 제공을 왜곡시킨다. 또한 소송의 결과는 승자와 패자로만 양분되기 때문에 어느 당사자에게도 만족을 주지 못한다. 반면 ADR을 통한 분쟁해결은 소송에 수반되는 소모적인 감정적 낭비, 시간 및 경제적 비용 등의 대립을 없앨 수 있다. 더욱이 의료분쟁은 법학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해당분야의 전문지식까지도 요구된다는 점에서 의료분쟁의 합리적 해결방법으로 그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료분쟁에서의 ADR을 통한 분쟁해결의 실증적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으며, 이에 본 연구는 의료분쟁의 대표적인 ADR인‘조정성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의료분쟁의 효율적인 해결과 나아가 의료분쟁의 조정제도 정착에 이바지하고 향후 정책입안자들이 관련 제도를 개선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주요 외국 및 우리나라의 의료분야 대체적분쟁해결제도를 개괄하였고,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에서 심의한 결과 의료기관에게 책임이 있다고 판단하여‘배상’을 결정한 사례(2012-2014) 총 578건을 분석하여 환자 요인, 의료기관 요인, 사건 및 조정과정 요인에 따른 조정성립 관련 요인을 확인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SAS version 9.2를 사용하였으며, 기술 분석 및 chi-square, logistic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에서 조정한 총 578건의 사례 중 조정이 성립된 건수는 287건으로 전체 사례의 49.7%이었다. 각 요인을 모두 보정하여 다변수 분석을 한 결과, 의료기관의 설립주체는 개인그룹에 비해 사회복지 또는 재단법인의 교차비가 4.61, 학교법인의 교차비는 3.41이었다. 전문가 자문 건수는 3개 이상 자문을 한 그룹 대비 전문가 자문을 하지 않았던 그룹의 교차비가 6.53이었다. 조정결정금액은‘150만원 이하’그룹 대비‘800만원 초과’그룹의 교차비가 0.47이었다. 처리기간은‘60일 이하’그룹 대비‘61-120일’그룹의 교차비가 1.79이었다. 이 연구는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에서 조정한 의료분쟁 사례를 대상으로 하여 조정성립의 관련 요인을 분석한 연구로, 의료분쟁에서의 ADR에 관하여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도된 실증적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가지는 함의는 의료분쟁의 조정성립에 있어 당사자 요인뿐만 아니라 분쟁사건의 특성 및 조정과정에서의 요인에 따라 조정성립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정책적으로는 특히 특수법인 형태의 국공립 의료기관에서 의료분쟁 발생 시 공신력 있는 기관의 조정제도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의 마련, 의료분쟁사건의 표준화된 배상지침 및 분쟁해결기준의 마련, 전문위원의 동기부여 등 관리 강화, 의료기관의 배상책임보험 의무가입 등 보험가입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 의료 ADR 전문인력의 육성 및 표준화된 조정과정의 정립, 의료분쟁사건의 국가적 차원의 보고시스템 구축이 필요할 것이다. The implementation of a national health insuranc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increased uses of medical service owing to advances of medical technology, and increased awareness of medical consumers’ rights have led to a continuous rise of medical disputes. There are several methods to resolve medical disputes, including civil or criminal lawsuits, parties reaching an agreement, and mediation or arbitration by a third party called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ADR). Civil or criminal lawsuits for medical disputes result in a considerable amount of litigation costs, and medical lawsuits tend to last a long term. Risks for lawsuits push physicians to practice defensive medicine or undertreatment, undermining advances of medical technology and distorting the provision of healthcare services. Lawsuits result in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winner and loser, which is unsatisfactory for both parties. On the other hand, resolution of medical disputes through ADR is beneficial in that it eliminates the consumptive waste of emotions that accompany lawsuits and overwhelming time and financial expenses. Furthermore, the fact that medical disputes require expertise in the field in addition to legal knowledge, further increasing the acceptance of ADR as a reasonable method of resolving medical disputes. Nevertheless, there are virtually no empirical studies on resolution of medical disputes through ADR. Hence, the present study sought to assist the efficient resolution of medical disputes and implementation of measures regarding medical disputes as well as providing basic data for policymakers by analyzing the factors that affect “mediation,” the most popular type of ADR for medical disputes. This study summarized ADR for medical disputes in key foreign countries and Korea through a thorough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and examined a total of 578 cases (2012-2014) in which the Consumers Dispute Settlement Commission ordered “compensation” with the fault on the part of the healthcare institution to verify factors related to patients, healthcare institutions, and mediation depending on the case and mediation process. SAS version 9.2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descriptive analyses, chi-square, and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Of the total 578 cases, 49.7% of cases had succeeded in mediation.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the odds ratio of a social welfare or an incorporated foundation founding a healthcare institution compared to an individual group founding a healthcare institution was 4.61, and that of an educational foundation founding a healthcare institution was 3.41. In addition, the odds ratio of the group not consulting experts for advice compared to the group with at least three expert consultations was 6.53. The odds ratio of mediation amount at the highest group compared to the lowest group was 0.47. The odds ratio of processing period at 61-120days compared to less than 60days was 1.79.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factors related to mediation in medical dispute cases that were mediated by the Consumers Dispute Settlement Commis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empirical study conducted in Korea with regards to ADR for medical dispu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s that the results of mediation may be differed depending on the factors related to the parties, characteristics of the dispute case, and factors in the mediation process in settling mediation in medical disputes. Against this backdrop, there is a need to implement measures to utilize the mediation system by an institution with public confidence when medical disputes arise in national public healthcare institutions in the form of special corporations, develop standardized compensation policies and resolution standards for medical dispute cases, reinforce management, develop measures to increase insurance enrollment such as mandating health institutions to enroll in liability insurances, foster medical ADR professionals and establish a standardized mediation process, and establish a national reporting system for medical dispute cases.

      • 의료분쟁 조정의 재원조달 방식에 관한 연구 : 전문가들의 델파이 방법을 통한 접근

        박대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의료분쟁에 대한 의료인들의 분쟁해결을 위한 노력의 회피 및 방관, 환자측의 탈법적인 실력행사 및 이에 따른 타협적 해결방식이 일반화 된 것은 의료분쟁을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의 미비와 분쟁해결 비용에 대한 부담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의료법상의 분쟁조정에 관한 규정들을 두고 있으나 이들은 의료인에게 행정적 의무를 부과하는 의미만을 가질 뿐이며 적절한 의료분쟁을 조절하기에는 미흡한 실정이다. 또 의사들은 과도한 의료분쟁 해결비용의 부담을 피하기 위해 자신의 책임을 회피하는 경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때문에 의료소비자인 국민들은 합리적인 해결방식을 찾지 못해 정당한 배상을 받지 못하고 결국은 사생활을 포기하고 불법적인 실력행사에 매달리게 되는 등의 피해를 입고 있다. 의료인 또한 의료기관내에서의 실력행사를 두려워해 방어진료를 하게 되고 목숨이 경각에 달린 환자의 진료를 회피하는 등 적잖은 부작용이 야기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국민과 의료인에 고도의 불신상황을 빚는 한 원인이 되고 전반적인 의료풍토를 어지럽히고 궁극적으로는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의료위기 확산과 방어진료의 증가는 검사비용을 증가, 내원일수 감소, 투약건수 증가 등 의료비 상승을 초래한다. 의료분쟁의 증가 및 해결 기간이 장기화됨에 따라 분쟁 당사자인 환자와 의료인이 지출하는 직접비용뿐만 아니라 분쟁 해결에 소요되는 간접적 사회비용이 급증하고 있다. 적정한 의료서비스의 질을 유지하면서 의료분쟁을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분쟁해결비용에 대한 의료기관의 직접적 부담을 감소시키면서 환자의 손해와 손실에 대한 적절한 보상을 위한 제도적 기제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 의료분쟁 해결을 위한 재원조달 방식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의료분쟁 관련 전문가들의 고견을 토대로 효율적 재원조달 방식을 전망하는 델파이 기법을 사용했다. 설문은 전문가들이 제시한 방안을 취합, 재질의 하는 방식으로 진행 됐으며 이를 토대로 최종 대안을 도출했다. 또한 연구의 배경과 목적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기존문헌을 고찰했다. 설문결과를 토대로 다수의 전문가들이 고려하는 의료분쟁해결을 위한 효율적 재원조달 방식을 취합한 결과 정부 차원의 의료분쟁 해결기구를 설립하고 이 기구의 재원은 국민건강보험에서 조달하는게 가장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됐다. 특히 현재 건강보험 수가에서 위험도 상대가치를 반영하고 있는 만큼 이 재원을 의료분쟁 해결기구의 재원으로 활용하면 정부, 의료기관, 환자 모두에게 설득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란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 의료분쟁 발생 현황 및 진료과목별 분쟁 특성 분석 : 2006년 한국소비자원 자료를 중심으로

        신은하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의료분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사회의 인식이나 법적 제도적 장애요인 때문에 의료 제공자들이 의료에서의 오류에 대한 문제들을 공개적으로 논의하는 것을 금기시하여 왔고,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진료제공과정에서의 오류 발생 규모, 유형, 오류 결과 및 해결 방법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의 축적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이에 본 연구는 의료분쟁의 현황 및 그 경향을 분석하여 향후 비슷한 유형의 의료분쟁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고, 합리적인 분쟁 해결제도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연구자료로 사용한 것은 2006년 1년 동안 한국소비자원에 의료피해구제로 신청된 의료분쟁 사례들 중에서 주요 5개 진료과목 분쟁 사례들로 내과, 정형외과, 치과, 산부인과, 성형외과 분쟁 사례들이다.연구 방법으로 먼저 주요 5개 진료과목 의료분쟁 사례의 일반적인 특성 및 진료과목별 특성을 SPSS 통계프로그램 12.0을 사용하여 빈도 및 교차분석을 하여 유형화하였다. 1단계 분석에서는 카이제곱 검정 및 Kruskal wallis test를 통해 일반적 특성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고, 2단계 분석에서는 로지스틱회귀모형으로 합의에 영향을 미치는 환자 및 의료기관의 일반적 특성과 포아송회귀모형을 이용하여 합의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환자 및 의료기관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였다.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1. 환자 연령으로 내과와 정형외과는 50세 이상의 고연령 환자가 다른 진료과목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2. 의료기관의 종류는 개인의원이 43.9%로 가장 많았고, 의료기관의 지역분포는 서울이 48%로 가장 많았다.3. 의료분쟁 발생 원인으로 부작용 발생 또는 상태악화가 88.6%로 가장 많았고, 치과와 성형외과는 치료 효과미흡으로 인한 분쟁이 다른 진료과목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4. 진료과목별 의료사고 내용으로 내과는 암 진단지연이 27.9%로 가장 많았고, 정형외과는 수술 후 감염 발생이 19.0%로 가장 많았으며, 치과는 치료 효과미흡이 31.9%로 가장 많았다. 산부인과는 분만 후 신생아 손상과 진단지연이 각각 11%로 가장 많았고, 성형외과는 외과적 수술 또는 시술 후 흉터 발생이 27.8%로 가장 많았다.5. 전체 의료분쟁 중에 의료진이 주의의무 또는 설명의무를 소홀히 하여 의료사고 발생에 기여한 부분이 있다고 판단된 경우는 73.4%이고, 귀책사유로는 주의의무 소홀이 61.9%, 설명의무 소홀이 11.4%였다.6. 치과와 성형외과는 설명의무 소홀이 귀책사유가 된 경우가 각각 21.4%로 다른 진료과목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7. 합의율이란 의료사고 결과에 대해 의료진에게 귀책사유가 있다고 판단된 분쟁 건에 대해 합의권고가 진행된 후 금전적인 배상을 통한 합의가 이루어진 비율을 말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 합의율은 67.5%로 분석되었다.8. 의료진의 귀책사유에 따른 합의율은 주의의무 소홀시 70.1%로 설명의무 소홀시 53.3.%보다 유의하게 높았다.9. 합의에 영향을 미치는 환자 및 의료기관의 변수를 모두 통제한 결과, 치과가 내과에 비해 유의하게 합의율이 낮았고, 의료사고 결과로는 부작용이 발생되어 치료기간이 연장된 경우에 비해 치료효과 미흡시의 합의율이 유의하게 높았다.10. 진료과목별 평균 합의금액은 산부인과가 12,474,858원으로 가장 높았고, 치과가 3,754,844원으로 가장 낮았다.11. 의료진의 귀책사유에 따른 평균 합의금액은 주의의무 소홀시가 8,245,575원으로 설명의무 소홀시 986,344원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환자 및 의료기관의 일반적 특성을 통제한 결과는 주의의무 소홀시의 합의금액이 설명의무 소홀시의 합의금액에 비해 약 5.9배 높았다.12. 의료사고 결과에 따른 합의금액은 치료기간만 연장된 경우에 비해 환자 사망시 5.25배, 장애 발생시 9.11배 유의하게 높았다.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진료과목에 따라 분쟁의 양상 및 해결 양상이 서로 다르며, 진료과목별로는 유사한 의료분쟁이 반복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분쟁 해결의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분쟁의 소지를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불가능하므로 추후 연구들을 통하여 진료과목별 의료과오 및 분쟁의 특성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예방이 가능한 의료과오는 예방하고, 분쟁의 소지가 많은 의료행위는 합리적 분쟁 해결 기준을 마련함으로써 분쟁을 효율적으로 해결하려는 노력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Despite continuous increase in medical disputes, open discussion by medical providers about problems of medical malpractices has been put under a taboo due to social recognition or legal and institutional obstacles, thus practical data of the scale, type, result, and solution of such medical malpractices during medical service are being accumulated to a very insufficient degree in Korea.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was attempted to prevent similar forms of medical dispute from occurrence and provide fundamental data to prepare reasonable dispute resolution system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medical disputes and the trend.As study material, the dispute cases from major 5 medical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orthopedics, dentistry, obstetrics and gynecology, and plastic surgery were selected among the medical dispute cases which had been raised to KCA for relief of medical malpractices in a year of 2006.As study method,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edical dispute cases from major 5 medical departments and the characteristics by medical department were conducted with a statistics program SPSS 12.0, and those characteristics were categorized. In Step-1 analysis, significance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as identified through χ2-test and Kruskal wallis test. In Step-2 analysi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and medical institutions which might influence mutual agreement were analyzed with logistic regression model and those which might influence an agreed amount were analyzed with Poisson regression model.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1. For age, aged patients of 50 years or more were significantly more in internal medicine and orthopedics compared to the other medical departments.2. For type of medical institution, clinics accounted for the most part as 43.9% and for regional distribution of medical institutions, they were most distributed in Seoul as 48%.3. For cause of medical dispute, occurrence of adverse event or aggravation of the disease accounted for the most part as 88.6%; in dentistry and plastic surgery, low treatment effect accounted for significantly more part compared to the other medical departments.4. For content of medical accident by department, delayed diagnosis of cancer accounted for the most part as 27.9% in internal medicine, infection after surgery as 19.0% in orthopedics, low treatment effect as 31.9% in dentistry, damage to a neonate after delivery and delayed diagnosis as each 11%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and a scar after surgical procedure as 27.8% in plastic surgery.5. Among total medical disputes, the cases judged to result in medical accident due to medical staff's negligence of duty care or explanation care accounted for 73.4%; negligence of duty care accounted for 61.9% and that of explanation care 11.4%.6. In dentistry and plastic surgery, the cases judged to result in medical accident due to medical staff's negligence of explanation duty accounted for each 21.4%,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other medical departments.7. An agreement rate means a rate of agreement made through monetary compensation after agreed recommendation is made for a dispute judged to be attributable to medical staff for the medical accident. In this study, it was analyzed to be 67.5%.8. An agreement rate by the reason attributable to medical staff was significantly higher upon negligence of care duty as 70.1% than upon negligence of explanation duty as 53.3%.9. As a result of controlling all the variables of patients and medical institutions likely to influence mutual agreement, an agreement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in dentistry than internal medicine. After medical accident, adverse events occurred, where an agreement rate upon low treatment effect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extension of a treatment period.10. For a mean agreed amount by medical department, it was the highest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as 12,474,858 won and the lowest in dentistry as 3,754,844 won.11. For a mean agreed amount by the reason attributable to medical staff, it was significantly higher upon negligence of care duty as 8,245,575 won compared to upon negligence of explanation duty as 986,344 won. As a result of controll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and medical institutions, an agreed amount upon negligence of care duty was about 5.9 times higher than upon negligence of explanation duty.12. For an agreed amount as a result of medical accident, it was each 5.25 times and 9.11 times higher significantly upon patient's death and disorder, compared to just extension of a treatment period.Putting the above-mentioned results together, it could be found that the aspects of medical disputes and the solution are different by medical department, and similar medical disputes are repeated by medical department. The most desirable method of dispute resolution is to prevent a cause of dispute to the root. However, it is actually impossible thus continuous efforts should be made to efficiently solve medical disputes through further studie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medical malpractices and disputes by medical department from various angles to prevent medical malpractices as many as possible and establishing reasonable criteria for resolution against disputable medical practices.

      • 의료사고 및 의료분쟁에 대한 치과위생사의 인식도 조사

        오진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치의학계에서는 의료사고를 일으킬만한 중환자나 응급환자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의료분쟁에 휘말리는 경우가 적었으나 요즈음은 의료분쟁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치과진료의 특성상 항상 보조인력이 한, 두명씩 치과의사의 진료를 도와주어야 하고, 치과의사의 의료사고로 인해 의료분쟁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의료법에서 정한 치과 보조인력의 진료영역에서 의료사고 및 분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의료기관의 친절도, 서비스 불만 등 진료외적인 요인은 치과 보조인력의 역할을 무시할 수 없다.본 연구는 2006년 현재 종합병원, 치과병원 및 의원에서 치과진료 보조업무를 하고 있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회수된 275명의 설문분석을 통하여 응답자에 관한 기본적인 자료조사 및 환자와의 불평, 불만 및 의료분쟁 경험도와 함께 의료관계법의 이해도를 측정하고, 치과진료 및 의료분쟁에 대한 전반적인 의식성향을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1. 설문응답자 중에서 향후 의료사고 및 분쟁이 발생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 또는 의구심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는 경우가 274명 중 251명(91.3%)이었다.2. 치과위생사의 업무, 진료에 대한 환자의 불평, 불만 경험률은 29.5%(81명)으로 나타나 치과관련 의료분쟁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3. 전체유형별 항목에 따른 환자의 문제제기 건수를 보면 직접적인 진료행위와 관련된 문제보다 불친절 및 진료비 등의 진료이외의 문제 제기가 1805건 중 349건(19.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4. 세부유형별 항목에 따른 환자의 문제제기 건수를 보면 환자가 치료와 관련하여 충분한 사전설명이나 동의를 구하지 않았다고 문제시 한 경우가 1805건 중 129건(7.1%)으로 가장 높았다.5. 치과위생사가 스케일링 시술 후 환자 진료기록부에 기록하는 경우는 267명 중 252명(94.4%)으로 나타났으나, 스케일링 시술 후 주의사항 설명 사실을 진료기록부에 기록하는 경우는 55명(20.8%)에 불과했다.6. 치과진료에 있어서 환자가 언급하지 않으면 특별히 전신질환 유무를 조사하지 않는 경우가 6명(2.2%)로 조사되었다.7. 환자 진료와 관련되어 응급상황 발생 시 응급조치를 시행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치과위생사는 104명(38.0%)으로 조사되었다.8. 근무지에 응급상황 발생 시 조치에 필요한 장비 및 약품을 구비해둔 경우는 115명(41.8%)으로 나타났다.9. 의료분쟁 발생 시 문제해결에 있어 의무기록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응답한 경우는 268명(97.81%)으로 나타났다.10. 의료분쟁 시 문제해결에 있어서 치료 전 설명 및 동의의 의무의 이행 여부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272명(99.3%)으로 나타났다.11. 의무기록의 의무보관연도가 10년이라고 옳게 응답한 경우는 160명(58.4%)에 불과했다.12. 치과위생사의 업무를 벗어난 파노라마사진 촬영을 해도 된다고 응답한 경우가 124명(45.3%), 치경부 레진수복을 해도 된다고 응답한 경우가 71명(25.9%), 유치발치를 해도 된다고 응답한 경우가 37명(13.5%)으로 나타났다.13. 환자의 비밀누설 금지와 관련하여 환자의 상태를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하는 것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응답한 경우가 24명(8.8%)으로 나타났다.14. 의료분쟁의 예방 및 대책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 272명(99.3%)이 필요하고, 167명(61.0%)이 시급하다고 답하였다.15. 재학 중 의료분쟁의 예방 및 대책에 관한 관련교육을 수료한 적이 없다는 경우가 186명(64.2%), 졸업 후 의료분쟁의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보수교육을 수료한 적이 없는 경우가 212명(77.4%)으로 나타났다.18. 향후 의료분쟁이 증가할 것으로 생각된다는 응답은 256명(93.4%)이었고, 그 원인으로는 83.3%가 인터넷, 방송 등의 매체를 통한 정보습득 기회의 확대를 꼽았다.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치과위생사와 관련한 환자의 불평, 불만 및 분쟁도 경험률이 응답한 치과위생사의 29.5%를 차지하고 있으며, 의료법에서 정한 의료인의 의무와 치과위생사의 직무범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어 앞으로 의료분쟁이 더욱 증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므로 주의의무, 설명 및 동의의무 등의 의무를 다함은 물론, 이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여야 하며, 의료법과 의료분쟁에 대한 예방 및 대책과 관련된 교육기회를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In the field of dentistry, there existed relatively few emergency patients or patients who need intensive care and thus had low medical dispute rates. However, these days, there is a general tendency of increased medical disputes. Although many medical disputes are caused by medical accidents of the dentists, because dental assistants are also lawfully involved in practicing dentistry, there is a possibility of medical disputes or medical accidents caused by dental assistants. Therefore, the role of the dental assistants cannot be ignored.This study consists of a survey given to dental hygienists currently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dental hospitals and private dental clinics. Following 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275 respondents' backgrounds, medical disputes rates including patients' complaints, their understanding of medical regulations and their general understanding of overall dental practice and medical disputes.1. 251 of 274(91.6%) respondents doubted the risk of medical accident and dispute.2. 81(29.5%) dental hygienist experienced complaint from patients. They have been working in the private dental clinic, the rate of this experience was high.3. 349 case of 1805(19.3%) the complaints by patients, highest percentage among its category, were those regarding dental fees and poor service.4. 129 case of 1805(7.1%) patients' complaints, highest percentage among it's subcategory, were those regarding the absence of explanations of precautions or request of agreements before dental treatment.5. 252 of 267 (94.4%) dental hygienists chart after a scaling treatment. However, only 55(20.7%) dental hygienists chart the fact of explaining the precautions.6. 6(2.2%) dental hygienists do not inspect patients' medical history, if patients don't mention it.7. 104 of 274(38.0%) dental hygienists responded to be capable of administering first aid treatment.8. 115(41.8%) dental hygienists have a first aid kit and equipment.9. In case of medical dispute, 268(97.8%) dental hygienists respond that, charting plays a big role in resolving the dispute.10. In case of medical dispute, 272(93.3%) dental hygienists respond that, explanation and agreement before treatment have an important role in settlement of dispute11. Only 160(58.4%) dental hygienists responded correct answer that the duration of keeping medical records is 10 years.12. 124(45.3%) respondents thought that it is legal for a dental hygienist to take a panoramic dental X-ray, 71(25.9%) respondents thought that it is legal practice cervical resin treatment by dental hygienist, and 37(13.5%) respondents thought that it is legal extract primary teeth by dental hygienist.13. 24(18.76%) respondents thought that it doesn't matter to tell patient's state to others14. 272(99.27%) responded that receiving education for the prevention of medical disputes was needed and of them, 61.0% thought it was urgent.15. 186(64.2%) has never had classes regarding the prevention of medical disputes while in school and 212(77.4%) has not had the same type of classes after graduating from school.16. 256(93.4%) responded that there will be even more of an increased number of medical disputes. Among them, 83.3% of respondents though that due to the increased opportunity of acquiring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and mass media.The study shows that 29.5 percentage of dental hygienists have experienced the medical disputes and complaints and they are lack of recognition of medical regulations and dental hygienist's official duty. So, there is a big potential of the percentage to increase. Therefore,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explaining precautions and requesting agreement before dental treatments and performing them are mandatory. Moreover, classes regarding the prevention and counterplans of medical disputes need to be widely offered.

      • 被申請人의 調停節次 參與 決定에 影響을 미치는 要因 : 醫療紛爭調停法 第27條 第8項을 중심으로

        이용섭 高麗大學校 法務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의료사고로 인한 의료분쟁은 사람의 생명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분쟁이 발생할 경우 심각한 양상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많다. 그간 환자 측은 소송을 통한 합법적인 절차에 의한 구제 보다는 의료인과 의료기관을 상대로 항의하거나, 점거 및 농성을 하는 등 주로 물리적인 방법에 의존하는 경향이 많았다. 또한, 전문지식의 부족, 경제적 부담 등으로 정당한 손해배상을 받지 못하고 의료인은 진료권 침해와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해 진료에 전념할 수가 없는 등 환자 측과 의료인 측 모두에게 크나큰 손실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의료인과 환자 간의 신뢰 회복을 통한 안정적인 진료환경의 조성을 위해 1998년부터 ‘의료분쟁조정법’의 입법 노력이 전개되었고, 여러 진통 끝에 23년만인 2011년 3월 11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여 2011년 4월 7일「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 등에 관한 법률」공포 후 다음 해 4월 8일 시행되었다. 이에 따라, 의료분쟁조정제도가 도입되었고 이 업무를 신속·공정하게 수행하기 위해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이 설립되었다. 그러나, 법 시행 이후 의료분쟁조정제도는 커다란 난관에 봉착하게 되었다. 제도 시행 후 의료인 및 단체 등의 강한 반발로 인하여 조정절차가 피신청인의 참여 거부로 인해 개시되지 못하였고, 이는 의료사고로 인한 피해의 신속·공정한 구제와 보건의료인의 안정적인 진료환경의 조성이라고 하는 법의 취지 혹은 목적이 반감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의료분쟁조정제도는 환자와 의료인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제도이다. 물론, 조정중재원이 설립된 지는 불과 2년여 밖에 지나지 않았기에 오랜 진통 끝에 만들어진 이 제도가 하루아침에 모두의 의견을 반영하여 활성화되는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는 것 까지는 기대하기 어려울 지도 모른다. 다만, 이 제도로부터 발생되는 ‘사회적 안정성’과 ‘의료분쟁의 합리적 해결’이라는 효과를 신속하게 보기 위해서는, 우선 조정절차가 개시조차 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법으로 규율할 필요가 있고, 이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현행 ‘선택적 조정참여 제도’하에서의 문제들을 교훈삼아 이 제도를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론을 환자, 의료인, 학자, 정부당국이 논의하여 개선 해 나아갈 필요가 있다. 제도적 보완을 거친 ‘자동 조정절차 개시 제도’가 합리적인 의료분쟁의 해결과 더불어 의료의 특수성에 기인한 환자와 의료인과의 불필요한 오해와 불신의 간극을 더욱 줄여 주는 사회적 안정성에도 많은 효과를 줄 것으로 기대하면서 앞으로의 의료분쟁조정제도가 더욱 활성화되고 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 醫療紛爭과 ADR : 醫療紛爭調停法을 中心으로

        서성운 高麗大學校 法務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A Study on Medical Dispute and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In March 11, 2011, twenty-three years after the Korean Medical Associated proposed legislating medical incident Special Cases, the Medical Malpractice and Medical Dispute Resolution Redress Act is about to come into effect in April 8, 2012 excluding some sections. The act is proposed to contain revisions to mediate, and arbitrate medical disputes and medical accidents, and reduce and fairly address damages and increase the overall atmosphere of places of medicine. The background of why the Medical Dispute Adjustment Act had been controversial for so long is different than those of other countries. These can be found by examining the key points that were most debated during the legislative process of enacting the Medical Dispute Resolution Act. These included proposed adjustments and relaxations to previous regulations that required patients to provide proof of malpractice, and cases where insurance claims from full coverage would turn into criminal cases and would associate penalties, and special circumstances. Patients would find it difficult to obtain proof of a doctor’s negligence, and wanted to give them selves a more advantageous position in an the event of a lawsuit, and doctors would like to avoid the escalation of a civil lawsuit that leads to criminal charges, as well as the unfair advantage patients have when trying to settle such matters out of course, privately. While the revised Medical Dispute Adjustment Act doesn’t enact a turnover for the responsibility of providing evidence of negligence, it includes an authority granted by law to enforce strong rights of investigation regarding emotional circumstances and arbitration of disputes, and that cases settled out of court must be agreed upon by both parties. Currently there exist regulators that intervene in settling medical malpractice disputes out of court, such as the Medical Review Board of Adjustment, and the Consumer Dispute Mediation Committee of the Korean Consumer Agency. However, the Medical Review Board of Adjustment is only grand in name, and the majority of small claims are handled by the Consumer Dispute Mediation Committee. According to the medical Dispute Adjustment Act, in order to mediate and adjust medical disputes, a special law was enacted to set up the Medical Dispute Resolution Arbitration to contain a Medical Dispute Resolution Arbitration committee to deal with disputes, and a separate team of experts to efficiently evaluate and resolve arising conflicts. The members of the committee that is responsible for emotional adjustment and arbitration of disputes are authorized to request the claimant and defendant, as well as third parties to testify or provide statements, and are allowed to obtain necessary resources for investigation. They are also authorized to enter freely places of medicine in ongoing dispute, and may fine up to 30 million Won to those who do not comply. Health professionals who have established an agreement or adjustment, or acquire a written deposition of agreement written by the victim, cannot be sued or charged even if they are found in guilty of negligence. Even if an adjustment is not successfully established, regardless of whether a case has been filed with the courts, the request for adjustment is stopped and its effects are recognized. Furthermore, if the victim of medical malpractice does not receive financial compensation even though the case was found in his favor, then the Arbitration committee is responsible for remuneration. Additionally, regulations are established in order to operate a mutual aid association that pays out compensation for medical malpractice, and compensates damages done to the body and life of a patient due to medical malpractice. Summarizing the above, a victim of medical malpractice files a claim to the Dispute Resolution Arbitration Board, then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is done by the judgement department, to be proceeded by the adjustment department to provide a final agreement, and once this is confirmed, Res Judicata is recognized. Such necessary steps are correlated to the procedures in the court system. Since Res Judicata is recognized, unless the courts find a reason to appeal the ruling, they cannot overturn the ruling. Therefore although the procedures may be similar to those of the courts, since they are a separate governing entity to that of the court system, the division of powers and whether or not it is constitutional is still a source of controvers. Key Words : Consumer Dispute Mediation Committee, Medical Dispute Resolution Arbitration, Medical Dispute Resolution Committee, Arbitration, Adjustments Arbitration, Medical compensation. 2011. 3. 11. 국회는 1988년 대한의사협회가 의료사고 처리특례법 제정을 국회에 건의한 후 23년 만에 의료분쟁의 조정 및 중재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의료사고로 인한 피해를 신속․공정하게 구제하고 보건의료인의 안정적 진료환경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조정 등에 관한 법률(이하 ’의료분쟁조정법‘ 또는 ’법‘이라고 한다.)을 제정하여 일부조문을 제외하고는 2012. 4. 8. 시행을 앞두고 있다. 그동안 의료분쟁조정법이 오랜 기간 동안에 걸쳐서 논란을 거듭하고 있는 것은 외국의 경우와는 배경이 다르다. 이는 그 동안 의료분쟁조정법안의 입법과정에서 주된 쟁점으로 되었던 핵심사항들을 보면 알 수 있다. 환자의 입장에서 주된 요구사항은 증명책임의 완화 또는 전환이었으며, 의사의 입장에서는 종합보험의 가입 등에 의한 형사 처분의 특례였다. 환자의 입장에서는 소송에서 의사의 과실을 증명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소송상 불리한 지위를 극복하기를 원하는 것이며, 또한 의사의 입장에서는 민사사건이 형사사건화 되는 현실을 탈피하기를 원하는 것이고 또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분쟁해결수단이 있는 경우에는 피해자가 부당하게 실력행사를 하는 현상도 줄어들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이번에 제정된 의료분쟁조정법은 증명책임의 전환은 규정하지 않고 있으나, 감정부에 강력한 조사권을 부여하고 있고, 형사 처분의 특례는 조정결정에 대한 동의에 연결시키고 있다. 의료사고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법원외 제도로서는 개정전 의료법에 의한 의료심사조정위원회와 한국소비자원의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등이 있었다. 그러나 의료심사조정위원회는 유명무실 하였고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는 다수가 소액사건 위주로 분쟁해결을 담당하고 있었다. 의료분쟁조정법에 따르면 의료분쟁을 조정하거나 중재하기 위하여 특수법인 형태의 의료분쟁조정중재원을 설치하고(법 제6조), 그 조정중재원에 의료분쟁조정위원회를 두어 분쟁을 해결하도록 하며(법 제19조 제1항), 신속한 분쟁해결을 지원하기 위하여 의료사고 감정단을 두도록 규정하고 있다(법 제25조 제1항). 감정단의 감정위원으로 구성되는 감정부는 신청인, 피신청인, 참고인 등을 출석시켜 진술하게 하거나 조사에 필요한 자료제출을 요구할 수 있고 의료사고가 발생한 의료기관에 출입하여 조사를 할 수 있으며, 이에 불응하는 자에게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법 제28조, 제53조 제2항). 분쟁해결의 원칙적인 형태는 조정결정이며(법 제33조 제1항), 기판력이 인정된다(법 제36조 제4항). 즉, 재판상 화해와 같은 효력이 있게 된다. 보건의료인이 업무상 과실 치상죄를 범한 경우에도 조정이 성립하거나 조정절차 중 합의로 조정조서가 작성된 경우에는 피해자의 명시한 의사에 반하여 공소를 제기할 수 없다(법 제51조). 조정이 성립되지 않아도 법원에 소를 제기하였는지 여부와는 관계없이 조정신청에 시효중단의 효력을 인정한다(법 제42조 제2항 제2호). 나아가 의료사고의 피해자가 이 법에 따른 조정(또는 소비자기본법에 따른 조정)이나 중재 판정 또는 법원의 판결로 금원의 지급을 명하는 승소판결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따른 금원을 지급받지 못하면 조정중재원이 대불 하도록 하고 있다(법 제47조). 또한 의료배상금을 지급하는 공제사업을 운영하기 위하여 공제조합의 설립에 관한 규정을 두며, 동 공제조합은, 불가항력적인 사유로 발생한 의료사고로 인한 환자의 생명, 신체에 대한 손해도 보상한다(법 46조). 앞의 내용을 정리하여 보면, 의료사고를 입은 피해자가 의료분쟁조정중재원에 분쟁조정을 신청하면 감정부가 직권으로 일체의 조사를 하여 이를 기초로 조정부가 조정결정을 하여 그 조정결정이 확정되면 기판력이 인정된다는 것이다. 조정중재원의 절차와 법원의 절차는 연계되도록 설계 되어 있다. 조정결정에 기판력이 인정되므로 법원은 재심사유가 존재하지 않는 한 조정결정을 심사할 수 없다. 따라서 외형상 법원의 재판과 그 구조가 다를 바 없는데 법원과는 구별되는 기관이므로, 헌법상 권력분립의 원칙 등과 관련하여 문제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