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의료분쟁에서의 조정성립 관련요인 :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조정사례(2012-2014) 분석

        권선화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국민 건강보험의 시행 및 국민들의 생활수준 향상, 의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의료서비스의 이용의 증가와 더불어, 의료소비자들의 권리의식도 함께 신장됨에 따라 이와 관련한 의료분쟁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의료분쟁을 해결하는 방법에는 민·형사 소송을 제기하는 것과 당사자간 화해, 제3자의 개입을 통한 조정 또는 중재의 대체적분쟁해결방식(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ADR)이 있다. 소송을 통한 분쟁해결의 경우, 의료의 특수성으로 소송이 장기화되고 적지 않은 소송 비용이 든다. 의사는 방어진료나 위축진료를 하게 되며, 이는 의학기술의 발전을 저해하고 의료서비스 제공을 왜곡시킨다. 또한 소송의 결과는 승자와 패자로만 양분되기 때문에 어느 당사자에게도 만족을 주지 못한다. 반면 ADR을 통한 분쟁해결은 소송에 수반되는 소모적인 감정적 낭비, 시간 및 경제적 비용 등의 대립을 없앨 수 있다. 더욱이 의료분쟁은 법학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해당분야의 전문지식까지도 요구된다는 점에서 의료분쟁의 합리적 해결방법으로 그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료분쟁에서의 ADR을 통한 분쟁해결의 실증적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으며, 이에 본 연구는 의료분쟁의 대표적인 ADR인‘조정성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의료분쟁의 효율적인 해결과 나아가 의료분쟁의 조정제도 정착에 이바지하고 향후 정책입안자들이 관련 제도를 개선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주요 외국 및 우리나라의 의료분야 대체적분쟁해결제도를 개괄하였고,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에서 심의한 결과 의료기관에게 책임이 있다고 판단하여‘배상’을 결정한 사례(2012-2014) 총 578건을 분석하여 환자 요인, 의료기관 요인, 사건 및 조정과정 요인에 따른 조정성립 관련 요인을 확인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SAS version 9.2를 사용하였으며, 기술 분석 및 chi-square, logistic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에서 조정한 총 578건의 사례 중 조정이 성립된 건수는 287건으로 전체 사례의 49.7%이었다. 각 요인을 모두 보정하여 다변수 분석을 한 결과, 의료기관의 설립주체는 개인그룹에 비해 사회복지 또는 재단법인의 교차비가 4.61, 학교법인의 교차비는 3.41이었다. 전문가 자문 건수는 3개 이상 자문을 한 그룹 대비 전문가 자문을 하지 않았던 그룹의 교차비가 6.53이었다. 조정결정금액은‘150만원 이하’그룹 대비‘800만원 초과’그룹의 교차비가 0.47이었다. 처리기간은‘60일 이하’그룹 대비‘61-120일’그룹의 교차비가 1.79이었다. 이 연구는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에서 조정한 의료분쟁 사례를 대상으로 하여 조정성립의 관련 요인을 분석한 연구로, 의료분쟁에서의 ADR에 관하여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도된 실증적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가지는 함의는 의료분쟁의 조정성립에 있어 당사자 요인뿐만 아니라 분쟁사건의 특성 및 조정과정에서의 요인에 따라 조정성립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정책적으로는 특히 특수법인 형태의 국공립 의료기관에서 의료분쟁 발생 시 공신력 있는 기관의 조정제도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의 마련, 의료분쟁사건의 표준화된 배상지침 및 분쟁해결기준의 마련, 전문위원의 동기부여 등 관리 강화, 의료기관의 배상책임보험 의무가입 등 보험가입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 의료 ADR 전문인력의 육성 및 표준화된 조정과정의 정립, 의료분쟁사건의 국가적 차원의 보고시스템 구축이 필요할 것이다. The implementation of a national health insuranc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increased uses of medical service owing to advances of medical technology, and increased awareness of medical consumers’ rights have led to a continuous rise of medical disputes. There are several methods to resolve medical disputes, including civil or criminal lawsuits, parties reaching an agreement, and mediation or arbitration by a third party called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ADR). Civil or criminal lawsuits for medical disputes result in a considerable amount of litigation costs, and medical lawsuits tend to last a long term. Risks for lawsuits push physicians to practice defensive medicine or undertreatment, undermining advances of medical technology and distorting the provision of healthcare services. Lawsuits result in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winner and loser, which is unsatisfactory for both parties. On the other hand, resolution of medical disputes through ADR is beneficial in that it eliminates the consumptive waste of emotions that accompany lawsuits and overwhelming time and financial expenses. Furthermore, the fact that medical disputes require expertise in the field in addition to legal knowledge, further increasing the acceptance of ADR as a reasonable method of resolving medical disputes. Nevertheless, there are virtually no empirical studies on resolution of medical disputes through ADR. Hence, the present study sought to assist the efficient resolution of medical disputes and implementation of measures regarding medical disputes as well as providing basic data for policymakers by analyzing the factors that affect “mediation,” the most popular type of ADR for medical disputes. This study summarized ADR for medical disputes in key foreign countries and Korea through a thorough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and examined a total of 578 cases (2012-2014) in which the Consumers Dispute Settlement Commission ordered “compensation” with the fault on the part of the healthcare institution to verify factors related to patients, healthcare institutions, and mediation depending on the case and mediation process. SAS version 9.2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descriptive analyses, chi-square, and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Of the total 578 cases, 49.7% of cases had succeeded in mediation.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the odds ratio of a social welfare or an incorporated foundation founding a healthcare institution compared to an individual group founding a healthcare institution was 4.61, and that of an educational foundation founding a healthcare institution was 3.41. In addition, the odds ratio of the group not consulting experts for advice compared to the group with at least three expert consultations was 6.53. The odds ratio of mediation amount at the highest group compared to the lowest group was 0.47. The odds ratio of processing period at 61-120days compared to less than 60days was 1.79.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factors related to mediation in medical dispute cases that were mediated by the Consumers Dispute Settlement Commis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empirical study conducted in Korea with regards to ADR for medical dispu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s that the results of mediation may be differed depending on the factors related to the parties, characteristics of the dispute case, and factors in the mediation process in settling mediation in medical disputes. Against this backdrop, there is a need to implement measures to utilize the mediation system by an institution with public confidence when medical disputes arise in national public healthcare institutions in the form of special corporations, develop standardized compensation policies and resolution standards for medical dispute cases, reinforce management, develop measures to increase insurance enrollment such as mandating health institutions to enroll in liability insurances, foster medical ADR professionals and establish a standardized mediation process, and establish a national reporting system for medical dispute cases.

      • 평생학습설계를 지원하는 e-포트폴리오 시스템 개발

        권선화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개인의 다양한 학습경험에 대한 사회적 활용 기반 구축 방안의 하나로 전문 직업 및 자격, 초․중등 학력 연계 정보 등의 평생학습설계를 지원하는 e-포트폴리오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사용한 학습자들의 반응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 절차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학습설계를 지원하는 e-포트폴리오 시스템의 개발이다.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설계원리 도출을 위해 먼저 국내외 유사 학습설계 지원 시스템 및 e-포트폴리오 시스템에 관한 사례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기존 e-포트폴리오 시스템 사용자 대상 반응 조사를 실시하고, 전문가 IPA 및 델파이 조사를 통해 평생학습설계에 대한 정의 및 e-포트폴리오 시스템에 대한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평생학습설계를 지원하는 기능들은 관련 문헌 연구 및 사례 분석을 통하여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개발된 평생학습설계를 지원하는 e-포트폴리오 시스템을 사용한 학습자의 반응이다. 기존 e-포트폴리오 시스템에 대한 학습자 반응 조사를 실시하고 개발된 시스템을 새롭게 제공하였을 때 학습자 반응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생학습설계를 지원하는 e-포트폴리오 시스템 설계원리는 개인의 생애단계에 적합한 맞춤형 평생학습설계의 제공, 학습자의 인생 비전과 목표 달성을 위한 평생학습 계획의 구체화, 경력개발을 위한 학습계획과 진로 경로의 구체화의 세 가지이다. 이러한 설계원리에 따라 개발된 평생학습설계를 지원하는 e-포트폴리오의 구성요소는 첫째 전문 직업 탐색 경로 안내, 둘째 자격 취득을 위한 평생교육프로그램 정보 연계 셋째, 초․중․고등 학력 취득 경로 안내이다. 기존 e-포트폴리오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학습자와 새롭게 개발된 평생학습설계를 지원하는 e-포트폴리오 시스템의 반응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스템 인식에 관한 8개 항목, 즉 용이성, 유용성, 필요성, 긍정적 인식, 활용 의향, 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 서비스 품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두 집단의 사용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유의미한 차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유의한 항목은 필요성, 긍정적 인식, 활용 의향, 정보 품질, 서비스 품질이었으며, 유의하지 않은 항목은 용이성, 유용성, 시스템 품질 항목이었다. 학습자들은 학습이력 누적․관리가 주기능인 기존의 e-포트폴리오 시스템보다 새롭게 개발된 평생학습설계를 지원하는 e-포트폴리오 시스템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만족스러운 반응을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한국 영어몰입교육의 나아갈 길 : 영어 공교육 정책과 핀란드의 사례 비교분석

        권선화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urrent English public education policy in Finland and Korea in order to make propositions for the desirable English Immersion Program in Korea. This study is all the more meaningful in that propositions of this study are based on the new educational policy released in 2008 by the new government. Because the government's new education policy toward efficient accomplishing English education within public education that doesn't require private lessons. First of al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istorical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Immersion Program which began in Canada and discussed it as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teaching a second language. Next, this study examined a Curriculum, Teacher training and Educational Testing Service of an English public education policy in Finland and Korea. At th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some propositions for English immersion program in Korea as follows. 1) The curriculum should reflect skills in reading,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in order to make a well-balanced program. 2) The government should reinvigorate in-service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English Program In Korea(EPIK). The training programs for the teachers need to be more focused upon the application of TEE(Teaching English in English) within current classrooms. 3) In addition, the government should develop English Efficiency Test connected with school curriculum. There should be balance among four language skills, listening, speaking, writing and reading. Most of all, for successful English Immersion Program in Korea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of the communities, consistent economical and political supports from the government, and the systematic connection between school curriculum and government's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 치아상실 환자들의 보철치료 전과 후의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요인

        권선화 嶺南大學校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suggest measures to understand and manage expertly patients with tooth loss and to provide basic data about efficient treatment plans and effective treatment methods by figuring out factors impacting on anxiety and depression before and after dental prosthetic treatment in case of tooth los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248 patients with tooth loss and over age of 20 in 14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in Busan and Gyeongnam areas, and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on them before and after oral examination and dental prosthetic treatment from July 2013 to December 2013. The data was analyzed with SPSS 19.0 for Windows. First, as a result of level of anxiety and depression before and after dental prosthetic treatment, in anxiety, normal people increased from 69.4% before treatment to 78.2% after that, while in depression, normal people increased from 53.2% before procedure to 64.1% after it. Second,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f significance of changes in anxiety and depression before and after dental prosthetic treatment, anxiety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7.62 before treatment to 5.74 after that(p<0.001), and depression also reduced significantly from 39.09 before treatment to 37.37 after it(p<0.001), resulting to reduce anxiety and depression of patients with tooth loss. Thir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bout factors on anxiety and its decrease before and after dental prosthetic treatment, of independent variabl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variable had positive effects on anxiety and its decrease before and after dental prosthetic treatment while final education variable showed negative effects. Among additional independent variables to clinical features, fear variable had positive influence on anxiety and its decrease before and after dental prosthetic treatment while entire body health perception showed negative effects on anxiety and its decrease before and after treatment and oral health status had negative effects on anxiety before treatment. Among additional independent variables to medical service, trust on dental hygienist and distrust on dentist had positive effects on anxiety after dental prosthetic treatment. Among additional independent variable to dental prosthetic treatment, variable of person who is responsible for cost of the treatment showed negative effects on decrease of anxiety. Fourth,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bout factors on depression and its decrease before and after dental prosthetic treatment, of independent variabl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variable had positive effects on depression and its decrease before and after dental prosthetic treatment while final education variable showed negative effects. Among additional independent variables to clinical features, time of tooth loss and fear had negative effects on depression before dental prosthetic treatment while entire body health perception and oral health status showed negative effects. For depression after treatment, drinking amount showed positive effects while entire body health perception, amount of exercises, number of teeth lost and whether to have favorite dental clinic had negative effect. For decrease of depression, fear variable showed positive effects. Among additional independent variables to medical service, distrust on dentist showed positive effects on decrease of depression after dental prosthetic treatment. Among additional independent variables to features of dental prosthetic treatment, variables of person who is responsible for cost of treatment and appropriateness of cost of the material had positive influences on depression after treatment while tooth function after treatment showed negative effects. Through this study’s results, factors on changes in anxiety and depression of patients with tooth loss before and after dental prosthetic treatment were confirmed.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study on factors of oral health to mental health in future, and it also requires diversified studies to understand and manage mental status of dental patients. 본 연구는 치아상실 후 시행하는 보철치료 전과 후의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치아상실 환자들을 좀 더 이해하고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효율적인 치료계획과 효과적인 치료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와 경남지역에 있는 14개 치과 병원, 의원에서 치아를 상실한 20세 이상의 환자 248명을 대상으로 2013년 7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구강검사와 보철치료 전과 후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SPSS 19.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보철치료 전후 불안과 우울 수준을 조사한 결과, 불안 수준은 보철치료 전 정상인 인원이 69.4%에서 보철치료 후 78.2%로 증가하였고, 우울 수준은 보철치료 전 정상인 인원이 53.2%에서 보철치료 후 64.1%로 증가하였다. 둘째, 보철치료 전후 불안과 우울의 변화를 유의성 검증한 결과, 불안은 보철치료 전 7.62에서 보철치료 후 5.74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01), 우울은 보철치료 전 39.09에서 보철치료 후 37.37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p<0.001) 보철치료 후 치아상실 환자의 불안과 우울이 낮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보철치료 전과 후의 불안 및 불안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일반적 특성에 투입된 독립변수 중 성별 변인은 보철치료 전과 후의 불안 및 불안 감소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종학력 변인은 보철치료 전과 후의 불안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임상적 특성에 추가 투입된 독립변수 중 공포 변인은 보철치료 전과 후의 불안 및 불안 감소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신건강인지 변인은 보철치료 전과 후의 불안에 부적 영향을, 구강건강상태 변인은 보철치료 전의 불안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의료서비스에 추가 투입된 독립변수 중 치과위생사 신뢰도, 치과의사 불신감 변인은 보철치료 후의 불안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철치료 특성에 추가 투입된 독립변수 중 보철물 비용부담자 변인은 불안 감소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보철치료 전과 후의 우울 및 우울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일반적 특성에 투입된 독립변수 중 보철치료 전과 후의 우울에 성별변인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종학력 변인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임상적 특성에 추가 투입된 독립변수 중 보철치료 전 우울에는 최근상실시기, 공포 변인은 정적 영향을, 전신건강인지와 구강건강상태 변인은 부적 영향을 미치며, 보철치료 후 우울에는 음주량 변인은 정적 영향을 미치며, 전신건강인지, 운동량, 상실치아 수, 단골치과 유무 변인은 부적 영향을 미치며, 우울감소에는 공포 변인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의료서비스에 추가 투입된 독립변수 중 치과의사 불신감 변인이 보철치료 후의 우울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철치료 특성에 추가 투입된 독립변수 중 보철치료 후 우울에 보철물 비용부담자, 보철물 가격의 적당성 변인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철 후 치아기능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치아상실 환자들의 보철치료 전과 후의 불안 및 우울의 변화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구강건강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치과환자들의 정신건강 상태를 이해하고 관리하기 위한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李應魯 作品의 抽象性 硏究 : 1960年代 以後를 中心으로

        權善和 경기대학교 조형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의 창조적 충동은 이중의 구조를 갖고 있으며, 그 중의 하나가 추상 충동이다. 이러한 추상 충동은 현대 회화의 특수성이 아니라 고대부터 이어져 내려 온 보편성으로 이해되어야하며, 현대 한국화의 추상성에 대한 연구와 이해에 있어서도 이 점은 예외가 아니다. 본 논문에서는 서구의 앵포르멜 양식의 도입 이후 ‘국제적 보편성’을 갖는 양식으로 발전한 한국화의 추상성을 이러한 보편성의 개념 속에서 통시적(通時的)인 시각으로 그 양식적 특성과 사상적 배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아직도 자주 한국화의 추상 경향이 서구문화의 유입에 의한 것으로, 즉 우리의 미의식 및 조형의 역사와는 별개의 것으로 이해하는 성급한 이론들에 대해 한국화의 추상 경향은 그 이전부터 이미 이 땅의 미의식과 사상에 그 근거를 두고 다양하게 전개되면서 자연스럽게 현대의 추상표현과 연결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한국화에 있어 추상성의 정신적 배경과 역사적 전개에 대한 고찰을 위하여 본 논문의 본문은 6장으로 나누었으며, 제 1장은 서론으로 현대 한국화의 추상성을 연구하게 된 목적과 그 범위 등을 밝혔다. 제 2장에서는 한국 추상 회화의 원류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선사시대의 빗살무늬토기로부터 천전리 암각화, 조선시대의 문인화의 유희성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한국화에 있어서의 추상성의 태동이 갖는 회화사적 의의를 살펴보았으며, 한국화의 새로운 경향에 영향을 준 서구 추상표현주의와 앵포르멜의 미학과 동양적 전통과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이들의 미학과 조형적 연관성을 밝혔다. 제 3장에서는 사생을 착실히 수행하되 사의로 독자적인 표현방법을 찾아가면서 궁극적으로 사생과 사의가 융화되는 반 추상(半 抽象)을 주장한 고암 이응로의 정신세계를 살펴보았다. 제 4장에서는 고암의 1960년대 이후의 대표적 작품중 수묵과 운필 자체의 표현잠재력을 활용하여 자연풍경의 요체를 율동감 넘치게 형상화하여, 사의에 의한 표현적 특질을 설득력 있게 제시한 반 추상(半 抽象) 그림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제 5장에서는 한자를 이용해서 문자추상이란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여 그것을 세계인의 보편적 조형미로 변형 창출한 고암의 추상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제 6장은 결론으로서 한국 전통 회화에 있어서의 추상성은 6천년 이상이 땅에서 펼쳐진 조형의 역사 속에 이미 추상표현은 그 양식적 전개 및 미학적 배경에 있어서 이미 고유의 것을 확고히 하고 있었음을 보여 주며 또한 그러한 이 땅의 조형적 풍토에 뿌리를 두고 서구 추상표현주의 영향을 받음으로서 새롭게 현대적인 시각으로서 다양하게 전개됨을 확실히 규정함과 고암의 미술사적 과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Man's creative instinct has a double structure and one of them is abstract impulse. This abstract impulse must be understood not in the side of the specificity of modern painting but in the side of the generality descended impulse from an ancient art, and this aspect has to be based upon in studying and understanding the abstractness of Korean painting. in this thesis, I try to consider, in the side of universality, the abstractness of Korean painting of the style's characters and ideals surrounding which has developed into a 'national universality' since Informel style was introduced. And I want to assert that the abstraction found in Korean painting was rooted in prior ideas from the old stone ago and it was developed in a variety of ways and naturally connected with a abstractness. This assertation goes against rash theory as people believe that the tendency toward abstraction of Korean painting was the result of the inflow of western culture which is somehow different from our own aestheic thinking and the history of diagram. I divide this thesis into 6 chapters in order to consider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and historic process of abstractness in Korean painting. In chapter 1, the introduction, I research the purpose, range and method of studying the tendency to make Korean painting abstract are made clear. In chapter 2, the original on abstract painting of Korea was researched, and it's meaning in the Korean painting was reviewed by analysis about from Comb-Pattern Pottery in the prehistoric age to petroglyph in Cheonjun-li and the play instinct of a painting in the literary artist's style in the Chosun age. Also Western abstract expressionism that influenced newly in painting of Korea, aesthetics of Informel and relations with oriental traditions was researched to know their relations between aesthetics and the formative art. In chapter 3, the mentality of Lee, Eung-lo with the pen name of Goam was researched. He insisted semi-abstract that reconciled ultimately between sketching and 'Saui' pursuing expression method alone by 'Saui' while sketching faithfully. In chapter 4, semi-abstracts, shaping natural scenery actively using expression latency in India ink and strokes of the brush itself and presenting persuasive expressional character by 'Saui' in his representative works after the year 1960 was researched. In chapter 5, the meaning in his abstract, making universal art and design by pioneering new field called 'character abstract' using Chinese character was researched. In chapter 6, in conclusion, the abstract in Korean traditional painting with the history of formative art since six thousands year shows surely that it's form and aesthetics background is the original. Also, in this study was researched the fact that the abstract in Korea has been developed newly and variously in modem sense effecting by Western expressionism on the formative foundation, and reviewed art historical problem to solved on Goam in future.

      • E-book 게임을 활용한 중국어 교수-학습 지도방안 연구

        권선화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0년대 이르러 여러 분야의 도서가 E-book화하고 있으며, 이는 책의 혁명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교육 분야에서도 학습자들의 욕구에 따라 서책형 교재는 E-book(디지털 교과서)으로 변모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현실은 서책형 교재로 학습을 진행하거나 또는 E-book으로 수업을 해도 서책형 교재와 구성과 짜임이 다르지 않은 형태로 E-book을 제작한 효과는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다. 이에 덧붙여, 중국어 교재 또한 E-book을 활용한 교재를 찾아보기 힘들며, 현존하는 초급형 중국어 교과서도 이에 발맞춰 가지 못하는 현실이다. 그래서 E-book을 활용한 중국어 학습방안을 만들고자 하였으며, 일반 서책형 구성에서 벗어나 ‘게임’이라는 요소를 도입하여 E-book 게임을 활용한 중국어 학습방안을 연구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기존의 E-book에 대한 선행연구와 게임을 학습에 적용시킨 선행연구를 살피며, 이 자료를 가지고 E-book 게임을 활용한 중국어 학습적 효과와 그 적합성을 연구하고 이에 적용시킬 학습동기 유발 이론을 살펴본다. 이 후에 본격적으로 E-book에서 비춰질 화면들을 제작한 중국어 학습화면을 제시하여 학습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E-book 게임이라는 요소로 중국어 학습을 효과적으로 하는 것에 초점을 두었고, 이를 위해 E-book안에서 학습자들을 이끌어갈 캐릭터를 설정할 것이다. 하지만 전적으로 교사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리고자 E-book 화면 중간중간에 교사의 역할을 넣을 것이며, 학습지도안에도 교사의 역할을 비중있게 다룰 것이다. 이것이 뜻하는 바는 학습동기유발 이론을 이용하여 자기주도학습을 이끌어 내고자 하는 의미도 있지만, 결국 자기주도학습을 하기 위해선 이 학습을 지도하는 교사의 역할도 필요하다는 바를 제시한다. 이같이 교사와 캐릭터의 진행하에 E-book에서 중국어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를 진행할 것이며, 이를 위해 녹음 기능, 쓰기 기능, 음성 인식기능을 제시할 것이다. 이는 기존의 E-book과 차별성을 두어 좀더 학습적 기능을 갖춘 E-book의 업그레이드 됨을 의미한다. 그리고 게임을 기존에 있던 단순 게임으로만 구성하지 않고, E-book이라는 자체 특성을 살려 E-book안에서 할 수 있고, 학습자간에 할 수 있는 게임의 의미와 각 단원마다 제각각 존재하는 게임이 아니라 단원마다 이어지는 시나리오 게임을 중심으로 구성할 것이다. 이것은 학습자들에게 흥미를 일으키며 학습을 유지하게 하는 원동력으로 중국어 교과에 있어서 교육적 효과를 창출할 것이다. 2000年以后, 各种书籍都出现了电子书, 这说明书的革命开始了。而且教育部门按照学生的需求,书本形式的教材渐渐演变成E-book。可是现实中,无论使用课本学习,还是以E-book上课,结构上也看不出与用传统课本学习的差异,无法突显用E-book学习的效果。同样地,学习汉语时难以找到活用电子书的教材,现存的初级汉语教材也跟不上实际的学习需求。因此决定企划活用E-book的汉语学习方案,摆脱一般书籍型的构成,引进‘游戏’因素,其目的为研究在 E-book活用游戏的汉语学习方案。为了此研究,首先分析现存的E-book有关的研究和在学习适用游戏的研究,根据得出的结果研究用E-book活用游戏学习汉语的效果和适合性,并检查在此研究适用的学习动机理论。其后安排汉语学习于E-book画面中的实践学习方案。 本论文主要讨论在E-book中,用游戏学习汉语的效果,从而为E-book建立引导学习者的角色。为了呈现教师的重要性,在E-book和学习指导方案中必须包括教师的指导内容。这表示利用学习动机理论来引导自我学习,而最重要的是,为了自我学习必须需要教师的学习指导。E-book内包括听、说、读、写四方面的汉语学习,在教师和引导学习者的角色的指导下进行。为此提出录音功能、作文功能、声音识别功能。这意味着与现今的E-book有差异性,将会出现有学习功能的E-book。还有不只把游戏因素作为现实中简单的游戏,而是利用电子书本身的特性,在当中创建与课文连接的游戏。这是为了引起学习者的兴趣,并且维持他们学习汉语的原动力,在教育中国语会创造出良好的教育效果。

      •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문제의 특성과 협력학습방식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권선화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problem types and collaborative learning methods on learning performance in the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s. The study problems statements are as follows; 1) Do the types of problems(well-structured problems, ill-structured problems) in the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s have any impact on learning performance? 2) Do the collaborative learning methods(collaborative learning, individual learning) in the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s have any impact on learning performance? 3) Are there any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problem types and collaborative learning methods? For the study purpose, the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s which were available to provided two types of problems(well-structured problems and ill-structured problems) and two different collaborative learning methods(collaborative learning approach and individual learning approach) according to the problems types given. Total 80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treat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A pre-test and mid-term examination i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the group equivalence validation. The treatment group was provided the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could experience student-learning contents interaction, student-student interactions as well as student-tutor interaction in order to solve problems on the web.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 was given the individual learning environment with only student-learning contents interaction and student-tutor interaction during the learning process. A post-test in mode of inquiry-tasks and a follow-up test with open questionnaire were conducted and data collected and analyz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results that the problem types had the effects on the learning performance(F=.04, p>.05). In general the well-structured problems require to seek explicit answers or solutions to all students, and to follow an iden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during the learning process. The situation with ill -structured problems, however, students could produce multiple answers or solutions on their own and approach diverse ways for problem solving. In spite of these different natures of problem types given, the study showed little different learning performance. Second, the collaborative learning methods in the web-based environment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learning performance(F=41.94, p<.05).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ctivities in the web based environments are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when student-student interactions were facilitated and supported rather than individual learning activities. Finall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ypes of problems and the collaborative learning methods influenced on their learning performance(F=16.54, p<.05). This results indicated the fact that no matter whether solving either well-structured problems or ill-structured problems, the learning performance could be influenced by the applied kinds of collaborative learning methods. To sum up, collaborative learning methods(especially the way of facilitating collaborative interaction among students) under the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s can be considered a major variable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for learning, rather than the problem types itself. Also, the study concluded that individual learning approach relatively are more appropriate for solving well-structured problems, and collaborative learning for ill-structured problems. 본 연구는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문제의 특성과 협력학습방식이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해 보고자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웹기반 학습에서 문제의 특성(구조적 문제, 비구조적 문제)이 학습자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가? 2. 웹기반 학습에서 협력학습방식(협력학습, 개별학습)이 학습자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가? 3. 웹기반 학습에서 문제의 특성과 협력학습방식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조적 문제와 비구조적 문제를 제시하고 이러한 문제의 특성에 따라 과제를 해결하는 협력학습방식으로 협력학습과 개별학습을 할 수 있는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총 80명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참여자들을 무선적으로 각각 40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배치한 후, 사전지식 수준을 파악하고 집단 간의 동질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전지식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시기상의 중간고사 성적도 활용하였다. 사전지식 검사와 중간고사 성적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동질적인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3주 동안 실험집단에는 구조적 문제와 비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학습내용 및 웹 상에서 튜터와의 상호작용은 물론 동료학습자와 활발한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협력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통제집단에는 학습내용과 함께웹 상에서 튜터와의 상호작용만을 지원하는 개별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이후 탐구과제와 협력학습방식에 대한 반응 질문지를 통한 사후검사를 실시한 후에, 문제의 특성과 협력학습방식이 학업성취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문제의 특성은 학습자의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F=.04, p>.05).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습자가 구조적인 문제와 비구조적 문제 상황일 때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이러한 문제의 특성은 학업성취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학습자는 문제의 답이 정해져 있으며, 적절한 순차적 문제해결과정을 요구하는 문제 상황일 때와 비교적 문제의 정답이 없으며, 순차적 문제 해결 과정이 없고 정확하다고 볼 수 있는 정답이 하나 이상인 문제인 비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학습자들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둘째,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협력학습방식에 따라 학습자의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F=41.94, p<.05). 이는 웹을 통해 학습을 하면서 학습자들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개별학습 상황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보다는 동료 학습자간의 활발한 상호작용과 학습활동에 적극적인 참여를 보일 때 문제를 더 쉽고 효율적으로 해결해 나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웹기반 학습환경에서 문제의 특성과 협력학습방식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16.54, p<.05) 이는 구조적 문제와 비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학습내용과 웹에서 튜터와의 상호작용을 하는 개별학습과 학습내용과 웹 상의 튜터와는 물론 동료학습자와 상호작용을 통하여 학습을 하는 협력학습 방식에 따라 학업 성취가 달랐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웹을 기반으로 한 학습환경에서 학습자들은 문제의 특성보다는 학습하면서 동료학습자들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이 일어날 때 문제를 보다 쉽고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구조적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개별학습 방식이, 비구조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협력학습 방식이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사업 R&D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권선화 배재대학교 컨설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소기업청의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사업의 문제점 규명과 개선방안의 도출을 위해, 주요국들의 지원정책들과 비교분석을 수행하고, 사업의 전반적인 진행과정의 특징들을 분석한 것이다. 제2장에서는 혁신형 중소기업의 개념과 유형을 구분하고,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유형의 개념 정립과 혁신형 중소기업의 범주를 규명 및 연구동향을 검토했다. 3장에서는 우리나라 소기업 기술혁신지원정책의 수행과정에서 발생한 특성들과 각종 관련 제도의 강점 및 약점을 규명하고, 미국 등 주요국들의 중소기업 기술혁신지원정책을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결과를 기초로 4장에서는 우리나라 중소기업지원사업의 문제점 규명과 함께 전략과제를 도출하였다. 효과적인 중소기업 기술혁신지원정책의 수행을 위해서는 수행과정의 효율적 이행방안 도출과 함께, 장기적 관점에서 최적의 전략과제를 수립하는 것이 요구된다. This study is to make the comparative analyses of major countries’ supporting policies for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projects of Small-and-Medium Enterprises(SMEs) and derive the optimum policy implications for the conditions of Korea’s SMEs’ technological R&D projects. In chapter 2, we review the concepts and types of innovation-driven SMEs and identify the study movements of Korea’s SMEs based on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In chapter 3, we make the comparative analyses of supporting policies for SMEs in the major countries and Korea. In chapter 4, we identify the problems of supporting policies for innovation-driven SMEs in Korea and derives their strategic tasks. In conclusion, we should implement the specific and proper policy tasks for invigorating the SMEs’ technological innovation projects in Korea and achieving their high performa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