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혈액투석환자의 의료보장유형에 따른 인구통계학적 특성, 치료 결과, 사망률 차이: 대한신장학회 말기신부전 등록자료(2001-2017)를 이용하여

        김경민 을지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인구 고령화와 당뇨병, 고혈압 등의 만성 질환의 증가로 만성 콩팥병 환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국내 투석환자 수는 지난 10년간 2배 이상 늘었으며, 10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말기 신부전 환자의 약 85%가 혈액투석을 선택하고 있는데, 혈액투석은 고도의 장비, 재료, 다량의 약물, 검사가 필요한 고 비용 의료 서비스로서 의료 보험 재정에 끼치는 영향이 크다. 이에 정부에서 2001년부터 혈액투석을 받는 의료급여 환자들에게 정액수가제를 도입하였는데, 이 정액수가가 실제 치료에 드는 비용보다 적어 의료기관에 적자를 유발하여 의료급여 환자들이 상대적으로 불평등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의료보장 유형에 따른 투석 과정 및 결과 등의 차이에 대한 분석은 그동안 소수의 논문만 있어왔으며, 주장하는 바가 서로 상반되어 아직 결론을 내리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의료보장 유형에 따른 건강보험 환자군과 의료급여 환자군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치료 과정, 치료 결과, 생존 및 사망에 대한 비교 분석을 하여 관련 연구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대한신장학회 말기신부전 등록사업 자료 중 정액수가제 도입 이후인 2001년부터 2017년까지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2001년 이후에 혈액투석을 시작한 만 19세 이상, 80세 이하의 말기 신부전 환자이다. 두 군 간의 인구사회학적, 임상적 특성, 치료 과정 및 치료 결과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카이 제곱 검정(chi-squared test)과 t-검정(t-test)을 시행하였다. 나아가 두 군 간의 사망원인, 사망률, 사망률 비를 산출하여 사망에 대한 비교 분석을 하고, 각 군의 생존 확률을 카플란-마이어(Kaplan-Meier curve)방법으로 추정하였으며, 로그-순위검정(log-rank test)를 이용하여 두 그룹의 전반적인 생존 확률을 검정하였다. 또한 콕스 비례위험 모형(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을 이용하여 공변량들의 효과를 보정한 의료급여 환자군의 위험비를 분석하였고, 추가로 보정의 수준을 달리한 분석 모델을 적용하여 사망 위험비를 산출하였다. 총 52,574명의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 65세 이상의 연령군의 비율이 건강보험 환자군에서 높았으며, 말기 신부전의 원인 중 당뇨병은 의료급여 환자군에서, 고혈압과 만성 사구체신염은 건강보험군에서 많았다. 치료 과정 지표 중에는 사용중인 인 억제제 종류, 조혈제 종류, 주당 투석 횟수에서 의료보장 유형에 따른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부갑상선 호르몬 억제제와 투석막의 면적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의료보험 환자군에서는 칼슘 계 인억제제의 사용 비율이 높았고, 건강 보험 환자군에 비하여 최근에 개발된 비 칼슘계 인 억제제를 사용하는 비율이 더 낮았다. 조혈제 중 최근에 개발된, 반감기가 긴 약물들은 건강보험 환자군에서 사용 비율이 더 높았고, 주당 투석 횟수는 의료급여 환자군에서 비율이 더 높았다. 치료 결과 지표 중에서는 헤모글로빈, 알부민, 인, 부갑상선 호르몬 등 검사 결과 수치에서 투석환자 치료 목표치 달성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투석 적절도 지표 중에서는 잔여신기능, 혈압 조절정도, 투석간 체중 증가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건강보험 환자군에서 의료보험 환자군에 비해 검사 결과의 치료 목표치 달성율이 높았다. 잔여 신기능의 보존과 혈압이 조절은 건강보험 환자군에서 관리되고 있는 비율이 높았으며, 투석간 체중의 증가는 의료급여 환자군에서 더 많았다. 이후 나이와 성별을 매칭한 후 카플란-마이어 생존곡선을 통해 두 군간 시간에 따른 생존 확률을 비교하였을 때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01), 의료급여 환자군에서 건강 보험 환자군에 비하여 전반적인 사망 발생 위험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차이는 나이와 성별로 구분해서 분석하였을 때에도 의료급여 환자군이 건강 보험 환자군에 비하여 사망 발생 위험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1000인년당 사망률은 건강보험 환자군에서 27명, 의료급여 환자군에서 31명으로 의료급여 환자군에서 높았으며, 사망률 비(Mortality rate ratio)는 1.2(95% Confidence Interval;CI 1.076-1.230)였다. 콕스 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하여 공변량 보정을 한 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의료급여 환자군에서 사망 위험은 보정하지 않았을 때 건강보험 환자군에 비하여 1.28배(95% CI, 1.20-1.37, p<0.001)높았고, 나이와 성별, 말기신부전의 원인 질환, 동반 질환 등을 보정한 다중 분석에서는 1.41(95% CI, 1.32-1.51, p<0.001)배 높았다. 또한 보정 수준을 달리하여 의료급여 환자군의 위험비를 분석하였을 때, 나이와 성별을 보정한 의료급여 환자군에서의 사망 위험은 건강보험 환자군에 비하여 1.45배(95% CI, 1.36-1.56, p<0.001)높았고, 말기 신부전 원인 질환(HR: 1.42, 95% CI: 1.33-1.52, p<0.001)과 동반 질환 순(HR: 1.41, 95% CI: 1.32-1.51, p<0.001)으로 추가 보정하였을 때 의료급여 환자군에서 높은 위험비가 지속되는 것을 보였으나, 위험 비는 다소 감소하는 방향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국내 혈액투석 환자들에 대하여 대표성을 가지는 대한신장학회의 등록 자료를 이용하여, 의료보장 유형에 따른 환자들의 특성과 투석의 과정과 치료 결과, 생존, 사망 등을 포괄적으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의료급여 환자군에서 상대적으로 미흡한 치료의 과정, 결과 지표, 상대적으로 높은 사망 등의 전반의 향상을 위하여 보건의료의 정책적 개입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의료급여 환자들의 건강 불평등의 문제에 대한 인식을 환기하고 의료급여 환자의 건강 형평성 제고를 위한 의료 정책과 제도 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 醫療欲求 變化에 따른 醫療保險給與의 課題

        朱貴善 全州大學校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medical insurance system has developed with rapid social changes for about 30 years since it was founded in the beginning of the 1960s. It was established as successfully as unparalleled in history and was estimated that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social welfare. Furthermore in 1988 medical insurance benefits were expanded for the whole people and under establishing a law of the national health the medical insurance system will be expected to perform a part of social welfare as further developed social security system.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medical security system, our country adopted the way that this system was applied in stages to the level which had strong need for medical treatment and was easily to apply to. As a result, our country can be estimated to realize the medical insurance security of the whole people as well as not to weigh on national economy for a short period. The reason that the medical insurance of the whole people could be realized for a short time was that the policy of low insurance fee was employed and as a result, the medical system could be easily expanded to the civil self-employed persons without any resistance about the burden of insurance fee when the medical insurance was established. This policy of low insurance primium had an effects on applying medical insurance to the whole people, however, in other aspect, this policy reduced the plan of insnce finance so much that it kept medical insurance from playing a role as social insurance. Our medical insurance system suitably keeps up with the medical need of the people in the process of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the medical insurance system. If not, to study what problems are and what problems an allowance of the medical insurance system has,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1) Need for medical insurance is studied in the aspect of need for medical security of the people, beneficiaries of medical security. Our process of development seems to have adopted only efficient way to introduce and establish medical insurance system without delay in the decision and study on the policy of medical insurance system so far. However, to expand a function as social security of medical insurance system, the effort to raise the content of the people should be made at present of the medical insurance era of the whole people. But medical desire seems not to be steady, but t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s of social situations. If medical insurance was enforced as a system without grasping these changes of medical insurance need, there must be a limit as well a crisis of customer secession. Accordingly, at first the study inspects the changes of medical insurance of the people based on a change of social conditions in aspect of the public contents of medical insurance system as a function of social security(ChapterⅡ, Paragraph 1) 2) It is checked the present allowance condition of medical insurance based on the changes of medical need and studied what problems are. The ways of medical insurance being selected by all the countries of the world show each different shape according to the condition faced by each nation. The difference seems to be based on economic, social, political circumstances of each country. Our country looks like a same case. Our country implemented a free medical treatment to an low income group based on a Livelihood Protection Law before introducing medical insurance system. Enacting rules on medical insurance, our country started medical insurance business on January, 1977 and then, the level which had the strongest need was available to medical security first of all. The present allowance condition of medical insurance is studied at present of the medical insurance era of the whole people and it is considered on the allowance problems which can't be coping with the change of medical need are.(ChapterⅢ) 3) On this study it is considered on the allowance problems which are demanded urgently to solve the problems not to cope with change of medical need suitably. To do this, the collimation point is looked at by studying a scope of an allowance of foreign medical insurance and through this the allowance problems of medical insurance are studied to secure medical insurnace need for the public health under the change of rapid social environment( IMF, economic recession, the desire of substantial lifehood security, need of medical security as right to live(Chapter Ⅳ)). Chapter V. Conclusion Among nations, which introduced medical insurance system as a social security system, except state socialism it was established as successfully as unparalleled in history and was estimated that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social welfare. People, beneficiaries, however, show less content on this. To switch from administration waiting for the people to administration looking for the people, what the people think and want should be grasped and to establish a line of policy according to the survey, the Korean Gallup takes a public opinion on the whole public health welfare and the results reflect those problems. As a result, on thes study the dissatisfaction of this public medical insurance is told in consumers' stand. To do this, an allowance of medical insurance and contents of health security goods at private insurance companies are inspected and the demand for an allowance of public medical insurance is grasped by analysing trustable data for investigation. On chapter Ⅲ on this study, we can confirm that people want to be insured for health insurance goods of private insurance companies at their own expense because of being short of the present medical insurance. This shows us that the need of security for danger form diseases is now changed to demand. A field of medical insurance of social security also activates the policy of these private insurance companies which positively develope health security goods and increase members based on this. The concrete ways are considered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an allowance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interest on healthy life. As checked on this study(Chapter Ⅲ, Paragraph 1), interest on public health is raised highly and demand for desease prevention and control no less than medical treatment is also grasped. Therefore a scope of a health examination should be expanded in a preventive treatment in an allowance of medical insurance. Second, a scope of an allowance of medical insurance should be established suiting an aging society. And for them who sacrificed themselves for national welfare and economic development, it is also one way that government enforces a security as a system of medical protection for at least social security. Ways of expanding the level of an allowance should be considered regarding the consumers' burden on insurance premium because of increase of elderly population and increasing tendency of chronic diseases. This consumers' demand was already checked on Chapter Ⅲ, Paragraph Ⅱ. To do this recuperating allowance for chronic diseases should be enforced because the present medical insurance centers acute diseases or ones share in expenses should be lowered sharply to a proper age group(old people) Third, proper provision is needed against a tendency of high-quality examination and treatment. Because of the raise of individual income, living level, the introduction of medical insurance system, the need of medical insurance of the people is so high-quality that it results in a serious crisis on finance of medical insurance. At this position which introduced medical insurance era of the whole people and improved unified system by integrating scattered associations, a proper step should be adopted such as DGR which had a plan to enact from the coming July, 2000 against this crisis and was postponed.

      • 의료급여제도 정책변화가 외래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 의료급여 1종 수급권자를 대상으로

        박철용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과다 의료이용 등 도덕적 해이를 줄이고 적정의료이용 유도 및 재정안정을 도모하기 위하여 시행된 여러 유형의 의료급여제도 정책변화가 환자의 의료이용에 어떠한 변화를 주었는지 도입 전?후 외래 진료일수와 외래 진료비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요양기관에서 청구한 의료급여수급권자의 진료비 지급자료로 국민건강보험 공단이 보유하고 있는D/B의 의료급여 진료정보를 이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 는 371,811명(남자 147,364명, 여자 224,447명)이며, 의료급여제도가 도입되기 이전인 2005년 7월 1일부터 2007년 6월 30일까지 2년간 및 제도도입 후 2007년7월 1일부터 2009년 6월 30일 까지 2년간 외래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진료내역을 연구자료로 이용하였다. 종속변수는 외래 진료일수와 외래 진료비이며, 설명변수는 제도도입 전후 이다. 혼란변수는 성, 연령, 거주지역, 요양기관 종별, 다빈도 질환명을 변수로 사용하여 각 변수와 진료일수 및 진료비의 차이는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각 변수마다 진료일수 및 진료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일반화 추정방정식(GEE :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을 시행하였다.연구결과는 제도도입 전후 외래 진료일수는 월 평균 1.95일에서 1.13일로 약 0.9일이 줄었고, 외래 진료비는 월 평균 50,859원에서 34,352원으로 16,507원이 줄어 들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p<0.0001).외래 의료이용의 빈도가 높은 순으로 7개를 선정하여 질환별 의료이용을 분석해 본 결과, 모든 질환에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추간판장애나 무릎관절증 등 도덕적 해이가 심한 질환에서 더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외에 만성질환으로 평소 진료가 필요한 질환인 고혈압성 질환이나 갱년기 장애 등에 있어서는 소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입원의 경우는 대부분의 질환에서 입원일수의 소폭 증가를 보였으나, 악성신생물의 경우 22.1일에서 3.3일로 18.8일이 대폭 감소하였다. 요양기관 종별로는 의원급에서 진료일수는 2.3일(54.2%)와 진료비는 28,013원(52.9%) 각각 큰 폭으로 줄어들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P<0.0001). 병원급에서도 약간의 감소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1034).의료급여제도 정책변화 이후 진료일수가 감소하는 것에 대해서는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제도도입 후 2년간의 종합병원 이용률의 감소는 외래 진료일수의 감소로 이어 졌다고 볼 때, 정책의 변화가 병원 이용에 대해서는 단기적 효과만 있었으나, 내원일수에 대해서는 장기적 효과도 있었다고 판단된다.이와 같은 결과들은 의료급여제도 정책변화의 근본 취지인 불필요한 과다 의료이용 줄이고 적정 의료이용 유도 및 재정안정 도모 등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할 것이며, 계속될 의료급여 정책 개선 및 보완에 참고가 되기를 기대한다. 향후 다른 연구에서는 의료급여제도 정책변화가 환자들의 의료이용 뿐만 아니라 건강의 유지관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경제적 부담 완화에 얼마나 기여를 했는지, 스스로의 건강관리 책임성이 얼마나 높아졌는지 등에 대한 검토와 제도적 측면에서 보완하고 개선해야 할 부분은 무엇인지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의료급여 정책변화에 따른 의료이용 변화 : 1개 국립종합병원 의료급여 1종 외래환자들을 대상으로

        박경자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의료급여 1종환자들에게 적용되는 의료급여 본인부담금 정책이 대상자들의 의료이용 및 진료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의료보호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건강보험 환자들에 비해 재원일수가 길고, 입원부적절률이나 재원부적절률도 높으며, 의료이용 자체가 불필요한 환자율도 높다. 정부에서는 의료급여 1종환자들의 불필요한 의료이용을 막고, 의료급여 재정누수를 줄이기 위한 방편으로 무료진료를 받던 의료급여 1종환자들에게 일정액(건강생활유지비)이상 의료이용을 한 후에는 본인이 진료비의 일부를 부담 하도록 정책을 변경하였다. 이 연구의 비교기간은 정책시행 전 2007년 1월부터 3월까지 3개월과 정책시행 후 2008년 1월부터 3월까지 3개월간 이었으며 자료는 서울에 있는 1개 국립종합병원의 요양급여비 명세서를 분석하였다.분석결과 정책시행 후에 외래방문건수는 10.3% 감소하였고 1인당 방문건수는 25.0% 감소하였으며, 환자수 변화는 6.7% 증가하였다. 여성, 50세이상 연령층, 재진환자의 방문건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주상병별 방문건수는 고혈압을 제외한 나머지 상병에서, 다빈도 상병은 뇌경색, 위염상병을 제외한 나머지 상병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외래진료비 분석에서는 환자수가 감소함에 따라 진료비도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수가상승률 1.5%를 보정한 후 총진료비는 10.7% 증가하였다. 정책시행 후 발생하기 시작한 총본인부담금은 15,429천원으로 총진료비 증가에 일정부분 기여한 것을 볼 수 있다. 외래건당진료비는 정책시행 전 37,200원에서 정책시행 후 45,900원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변수별 외래진료비 분석에서는 모든 변수에서 진료비가 증가했고, 특히 65세 이상 연령과 내과계를 제외한 변수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했다. 상병별 외래진료비 분석에서는 중증도(경증, 중증), 무릎관절증에서의 진료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다빈도환자 분석에서 총방문건수는 33.8% 감소하였고, 총환자수는 41.5% 감소하였다. 정책시행 전과 후를 동일한 사람으로 비교한 동일인다빈도환자 총방문건수는 80.4% 감소하였고, 동일인다빈도환자수는 71.4% 감소하였다. 변수별 방문건수분석에서는 경증환자, 외과계, 65세이상 연령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다빈도환자 총진료비는 38.4% 감소하였고, 변수별 외래진료비는 경증, 기타과계, 65-74세 연령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즉 의료급여 본인부담금 정책시행 후에 의료급여 1종 외래환자 방문건수는 감소하였고, 환자수 및 총진료비는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 총진료비는 환자들의 본인부담금 내역이 포함된 비용이므로 건강생활유지비 외에 본인부담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들의 경제적 부담감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다빈도 환자들의 총방문건수와 총진료비가 유의하게 감소함으로써 정책시행의 일차적인 목표는 달성한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의료이용을 줄인 환자들의 건강상태나 의료이용적절성을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향후 이들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의료급여 본인부담금 정책이 본래의 취지에 맞게 정착되기 위해서는 의료기관 종별을 달리한 연구나, 자료 및 대상자, 분석방법 등을 달리한 좀 더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the medical insurance policy for 1st-class patients' sharing of the medical cost would affect their uses of medical services as well as the medical cost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ompared the effects of the policy between a 3-month period (January ~ March, 2007) befor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and another 3-month period (January ~ March, 2008) after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while referring to the medical cost record of a national general hospital in Seoul. The special medical insurance patients tend to be rehospitalized longer than the ordinary medical insurance patients, while being more likely to be rejected for hospitalization or rehospitalization, and the ratio of the patients not required of the medical services themselves is higher. Hence, in order to prevent the 1st-class medical insurance patients for using the medical services unnecessarily and thereby, prevent leakages of the medical insurance fund, the government changed the policy to the effect that the 1st-class patients who had used free-of-charge medical services would share some of the medical costs beyond a certain amount of insurance payment (healthy life maintenance cost).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for the 3 months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of the new policy, the number of the 1st-class patients visiting the hospital as outpatients decreased 10.3%, that the number of visits per capita decreased 25.0% and that the number of the 1st-class patients increased 6.7%.In terms of outpatients' medical costs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policy, it had been anticipated that the medical costs would decrease in accordance with decrease of the patients, but the total medical costs for them increased 10.7% even after correction of 1.5% for raised medical costs. The total medical cost shared by the patients after the policy amounted to 15,429 thousand won, conducing to increase of the total medical costs. The outpatients' medical cost per capita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37,200 won before the policy to 45,900 won after the policy.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tients suffering from frequent diseases, it was found that the total number of their visits decreased 33.8% after the policy, and when the same patients suffering from frequent diseases were surveyed before and after the policy, it was found that the total number of visits decreased 80.4%. The number of the total patients decreased 41.5% after the policy and when the same patients suffering from frequent diseases were surveyed, the number decreased 71.4% after the policy.All in all, after the policy for the 1st-class patients' sharing of the medical costs, the number of the 1st-class outpatients' visits decreased, while their number and total medical costs increased. However, since the total medical costs included those shared by the patients, it is conceived necessary to research into the financial burdens of the patients sharing the medical costs beyond their healthy life maintenance payment. In addition, although the primary goal of the policy seems to have been achieved in terms of the significant decreases of frequent disease patients' total visits and total medical costs, it is deemed too early to judge about the health conditions or reasonable use of medical services of the patients who had reduced uses of the medical services, and therefore, a further research is deemed required to focus on them. In addition, in order to help establish the policy for the 1st-class patients' sharing of the medical costs, it is deemed necessary to research into it more specifically by using the wider sample of hospitals including various types of hospitals or varying data, subjects or methods of analysis.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for some reference data conducive to improvement and complementation of the medical insurance policy for patients' sharing of medical costs.

      • 선택의료급여기관 제도가 만성질환을 가진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김민정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Purpose: Designated doctor system has implemented since July 1, 2007 in Korea, for the purpose of considering health promotion of medical aid beneficiaries and financial effectiveness of medical aid system. Accordingly this study conduct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health care utilization and the cost before and after introducing that system and to find out the factors related to those differences, providing policy data necessary to improve designated doctor system.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0 medical aid beneficiaries with one or more chronic diseases, included in designated doctors system during 2012, and analyz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health service utilization such as total benefit days, outpatient days, medication days, hospital stays and the number of utilizing health service institutions, and claimed medical expenses with paired-t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18.0 program.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especially in total benefit days among those with brain lesions, outpatient days among those designating higher class general hospitals, and medication day among those with brain lesions, and, however, some increases in many cases after designating medical institutions to medical aid beneficiaries in the study. The length of hospital stays significantly increased, especially among females, those of 65 years old and more, those with the first class of medical aid, those without handicap; those with notified chronic illnesses, those designating neurologists, and those designating medical institutions in small or middle-sized cities. However, the number of utilizing medical institutions significantly decreased in most cases after the designation, especially in such groups including both males and females, age group of 65 years and above, the 1st class of medical aid, the handicapped physically or with brain lesions, those with miscellaneous illnesses, those designating higher class general hospitals, those designating orthopedists, and those designating medical institutions in small or middle-sized cities. Medical expenses increased in most cases after designating medical service institutions, especially increasing significantly in the groups of both males and females, 65 years and above, the 1st class of medical aid, those without handicaps, those with miscellaneous illnesses, those designating hospitals, those designating orthopedists, and those designating medical institutions in small or middle-sized cities. Conclusion : The results proved that the application of designated doctor system led to reducing the utilization of outpatient services effectively, and, however, were not effective on the aspects of cutting down the costs of medical aid. Therefore a detailed scheme to designate health care institutions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seriousness of the illness and the class of medical institutions in order to seek not only health promotion of the beneficiaries but also the effectiveness of medical aid finance.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unnecessary spending of inpatient expenses should be reduced by designating health care institutions for long-term hospitalized patients with the same illness, and a pertinent scheme should be derived in linked with health care suppliers. 목적 : 의료급여 수급자들의 건강증진 및 의료급여제도의 재정효율성 제고를 목적으로 2007년 7월 1일부터 시행된 선택의료급여기관 제도의 도입 전·후 의료이용 차이 및 비용을 비교 분석하고, 이러한 의료이용 차이에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여 선택의료급여기관 제도의 개선점에 필요한 정책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 경남 일개 시에서 2012년에 선택병의원 지정이 되어있는 의료급여 수급권자 중에서 1개 이상의 만성질환이 있는 대상자 200명을 대상으로 선택병의원 지정 전 1년간과 지정 후의 총 급여일수, 외래일수, 투약일수, 입원일수, 이용 의료기관수 등의 의료이용 특성과 진료비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과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선택의료급여기관 지정 후 총 급여일수는 뇌병변 장애를 가진 대상자, 외래일수는 상급종합병원, 투약일수는 뇌병변 장애를 가진 대상자에서 특히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오히려 증가한 경우도 많았다. 입원일수는 선택병의원 지정 후에 대부분 증가하였으며, 특히 여성 환자, 65세 이상, 의료급여 1종, 장애가 없는 대상자, 만성고시질환, 신경과, 중소도시 의료기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용 의료기관 수는 지정 후에 대부분 감소하였으며, 특히 여성 환자, 65세 이상, 의료급여 1종, 지체 혹은 뇌병변 장애를 가진 대상자, 기타 질환, 상급종합병원, 정형외과, 중소도시에서 통계적으로 특히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진료비는 선택병의원 지정 후 대부분 증가하였으며, 특히 남녀 환자 모두, 65세 이상, 의료급여 1종, 장애가 없는 대상자, 기타질환, 병원, 정형외과, 중소도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선택의료급여기관 지정 전후의 의료이용과 진료비의 변화와 관련된 환자 및 의료기관의 특성 요인은 장애여부가 외래일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외에는 없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선택의료급여기관 제도 적용이 외래 의료이용 감소에는 효과가 있었으나 의료급여 재정 절감 측면에서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건강증진 도모와 의료급여재정 효율성을 제고하려면 질환의 중등도와 의료기관 종별에 따라 세부적인 선택의료기관을 지정할 수 있는 방안이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동일 상병으로 장기 입원하고 있는 장기입원 대상자에게 선택의료기관 지정을 통하여 적절한 치료 후 퇴원을 하게 함으로서 불필요한 입원 진료비 지출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이를 위한 의료공급자와의 연계 방안의 도출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 의료급여사례관리를 통한 진료비 절감방안 연구 :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주정희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의료급여제도는 생활유지 능력이 없거나 생활이 어려운 저소득 국민의 의료문제를 국가가 보장하는 공공부조 제도로 건강보험과 함께 국민 의료보장의 중요한 수단이 되는 사회보장제도이다. 즉, 생활유지 능력이 없거나 생활이 어려운 국민들에게 발생하는 의료문제 즉, 개인의 질병, 부상, 출산 등에 대해 의료급여서비스(진찰, 검사, 치료)를 제공하는 제도이다. 이러한 의료급여제도를 이용하는 의료급여수급자는 대다수가 저학력자나 고령자가 많아서 올바른 의료이용에 대한 정보가 취약함으로써 합리적 의료이용을 위한 의사결정에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더불어 만성질환자의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증대하고 있으나 적절한 상담 및 관리서비스의 제공이 미흡하며, 과다‧과소의료이용자의 사전발굴 및 예방전략으로 수급자의 불합리한 의료이용으로 인한 건강위험 요인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불어 과다한 의료이용으로 인한 의료급여비 급증을 적정하게 관리하기 위해 수급자에 대한 의료급여 재정의 효율적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출발하였다. 본 연구는 의료급여수급자에 대한 의료급여사례관리 역할과 의료급여 사례관리 접근방법이 의료급여수급자 진료비 절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더불어 정부에서 진료비 재정안정화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는 의료급여사례관리가 진료비 절감에 대하여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의료급여사례관리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전라북도 의료급여 사례관리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효율적인 진료비 절감 방안을 모색하여 보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2011년 8월부터 2012년 8월까지 전북지역 내 61개소 요양병원에 입원중인 의료급여대상자에 대한 적정의료이용 사례관리를 6개월 동안 2년 연속 개입하였다. 2011년도에는 1,598명을 2012년도에는 2,105명을 대상으로 전수 관리하여 의료급여대상자 입원여부 및 건강상태 확인, 장기입원자 사례관리, 의료급여기관 사례관리를 실시하였다. 의료급여관리사가 수행하고 있는 사례관리 진료비 절감을 규명하기 위하여 전라북도 내 요양병원에 입원 중인 의료급여수급자를 대상으로 사례관리 개입 전과 개입 후의 의료이용에 관한 사례관리 효과를 비교하여 단일 집단 전후 비교설계를 하였다. 진료비를 국가가 지불하는 의료급여 제도의 특성상 의료공급자의 도덕적 해이가 나타날 수 있으며, 수요측면에서도 의료이용 남용 및 오용에 따른 비효율적인 의료이용에 대한 심각한 문제를 낳고 있는 사례를 요양병원 사례관리에서 착안하여 접근한 결과 전북지역에서는 최초 요양병원에 대한 사례관리를 개입한 전후 결과를 비교하여 보면, 기관부담금이 79억 5백만원으로 11.49%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나 전국은 기관부담금이 4,993억 9백 3천만원으로 18.39%의 증가율로 전국현황과 비교하여 봤을 때 6.9%나 낮은 증가율을 보임으로써 진료비 절감에 기여하였다. 전라북도의 요양병원 수의 증가추세는 2010년도에는 전국 20.5%를 차지하여 전국 3위, 2011년도에는 21.7%로 전국 4위, 2012년도에는 22.9%로 전국 4위를 차지하고 있어 최근 3년간 높은 수를 지속적으로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현행 의료급여제도가 갖고 있는 체제상 요양병원 사례관리에 대한 접근은 진료비 절감을 위하여 필요한 사례관리 접근방법이 될 것이다.

      • 의료급여 전자복지카드 정보시스템 모형 설계

        김혜영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의료급여제도는 국민기초생활보장 대상자 등 일정수준 이하의 저소득층 즉 경제적으로 어려운 사람들에게 국가에서 기본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회보장제도이다. 최근에는 보건의료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국민의 의료욕구 증가, 고령화에 따른 노인수급자의 증가 및 희귀 난치성 질환자 확대 등에 따른 의료급여 지출규모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수급자 및 의료공급자의 비용의식 부재로 인한 불필요한 의료이용 및 의료비 증가로 인한 진료비 절감을 위한 다양한 제도 개선 및 방법이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이에 본 연구는 진료비절감을 위해 도입된 의료급여자격시스템의 변경전후의 의료이용실태를 분석하여 의료급여 대상자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적정한 의료이용을 유도함으로써 의료급여 재정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의료급여정보시스템 발전 모형을 제시하였다.본 연구의 조사 자료로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보유하고 있는 2006년도 65세이상의 장기의료이용자 32,501명을 대상으로 2007년 1월부터 9월까지의 의료비 청구내역과 의료급여자격시스템의 진료승인내역을 이용하였다. 65세 이상의 장기의료급여대상자들은 여성일수록 의료급여 이용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7.1~9월까지의 9개월간 월평균 29,860명이 1인당 약367만원의 총진료비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도변경전후 3개월간의 진료비 분석 및 제도변경전후로 진료이력이 모두 있는 자를 대상으로 한 총진료비의 평균의 차에 대한 검정에 있어서도 제도변경후 의료급여자격시스템 도입으로 인한 진료비 절감효과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의료급여자격시스템의 진료비 절감은 실시간 자격확인, 실시간 진료승인으로 인한 효과와 사례관리, 의료급여대상자 탈락, 의료급여종별 변경, 병원진료기피 등의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절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스템은 타요양기관의 진료내역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당일에 여러 기관 진료가능, 다른 의료급여 요양기관간의 중복투약 가능 등 대상자 보건복지 욕구별 서비스 관련 정보와 다른 기관과의 연계 및 협조가 충분치 않음을 확인하였다.대처방안으로 수명의 연장으로 인해 점점 증가하는 의료급여 노령인구를 중점 관리하고, 의료급여수급자의 요구사항과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의료이용 행태를 수진자별로 모니터링하고 분석할 수 있는 의료급여 정보시스템 발전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에 복지카드를 이용한 수진자별 의료이용 및 보건복지관련 정보네트워크 구축, 서비스 연계제공, 사례관리 확대를 통한 의료급여 정보시스템관리 체계 구축은 의료급여수급자의 적정의료 이용을 유도하고 효과적인 보건의료정책 및 의료비 절감에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Medical Aid Program is a social security system, which provides basic medical services to low income population. As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and increase in life expectancy, the number of elderly population with chronic disease increases. The more elderly population with low income increases, the higher financial burden for managing Medical Aid Program gets attention. Furthermore, the fact that beneficiaries and health care providers tend to be less cost conscious makes it necessary to reduce medical waste (i.e., provision of unnecessary and duplicate c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edical services use among Medical Aid Program elderly beneficiaries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Medical Aid Program eligibility verification system. The system was designed to save the medical expenditures through verifying beneficiaries' eligibility on the spot and encouraging appropriate medical service use. The study sample includes 32,501 elderly patients from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Registry. The sample was limited to those who have used any medical services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new system. The study period is from January to September, 2007.Results show that male patients had higher medical expenditures; female patients spent on average about 29,806Won per month. Comparison of medical expenditures for three months in each prior and post periods showed decrease in medical expenditure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new system. Decrease in medical expenditures under Medical Aid Program supports that new features of the new system―real-time eligbility verification and medical services approval, case management―produced medical savings for Medical Aid Program.However, the system still fail to capture those who use the same medical services in many health care providers on the same day. In order to reduce the redundant and unnecessary use of the same medical services, the researcher suggests electronic welfare card information system, which interconnects various health care and social work institutions for the same beneficiaries' information sharing. The electronic welfare card information system should help managing overall Medical Aid Program and making both beneficiaries and health care providers cost conscious.

      • 의료급여 수급권자 유형에 따른 이용 만족도 연구 : 경기 북부 일부지역 수급권자를 중심으로

        권준성 동국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Medical care is public aid for medical service of the poor people based on government support like a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as a one of the social security system. Medical care is operation of public aid system providing role of minimum medical security net for the poor under the minimum cost of living. Since 2007, medical care system has been big change at the whole system. According to the new medical Act since July, 1, 2007, it started cost sharing system charged of portion of medical fee to the patient with right of medical care to prevent medical abus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ttempted to innovated medical care system in terms of demand, supply and management in order to proper treatment fee of the medical care. Among the main issues, it is partial payment of first type patient of medical care at the whole medical fee, support system for the health life and selected system of hospital. Of cause, there are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using satisfaction of medical care system from the people getting a right. After that, this study tried to find actual condition and assessment of medical care system.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improvement way of medical care system to provide better satisfaction for the people with right. To approach the above purpose, this study surveyed using satisfaction degree based on each type of the people who have a right of medical care service at the hospital, community center and others in northern part of kyonggido. From this survey, this study obtained the result as follow: Firstly, people with right have that knowledge of the medical care system is the middle level generally. In addition, among the type of questionnaire, they have the lowest level at the amount of day to use of the medical care system. Secondly, they think that satisfaction of selection rule for people with right is the highest level among the using satisfaction of medical care system. Third, people with second type of the right is the lower level of satisfaction at the areas such as using satisfaction about selected rule of the people getting a right, article of medical fee except benefit, process of medical treatment at the hospital among using satisfaction of medical care based on the each type of people with right. From this result, the study suggest more subsidiary from the local government for the expansion of finance of medical care system for the people getting a right of it. From solution of this matters, it will become more efficiency and reasonable system for the low income group.

      • 의료보장 가입유형에 따른 노인의 건강 및 의료이용 수준의 차이 분석 : 고관절 골절 중심으로

        서문실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2017, South Korea officialy became an aged society as elderly who is over 65 years old account for more than 14 percent of entire population. We expected that country become super-aged society by 2026. Among OECD countries, South Korea’s aging rate is the fastest at 17 years. As the age society progresses, hip fracture tend to increase every year and cause high mortality rate and disability, poor quality of life, and increased medical expenses. South Korea has a two-tiered national health security program; premium-based National Health Insurance (NHI) and subsidized Medical Aid program (MA). According to NHI and MA program, health level differences such as health knowledge, medical access, and medical utilization are reported. By using insurance claims data fom the 2016 Health Insurance and Review Assessment Service – Adult Patient Sample, we aimed to compare the prevalence and healthcare utilization for hip fracture between the contributory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the public assistant Medical Aid beneficiaries ages above 65. The annual prevalence rate of hip fracture aged 65-69 was 55.3 per 10,000 MA beneficiaries and 18.6 per 10,000 NHI beneficiaries, yielding a MA to NHI ratio of 3.0. Age group of 65-69 and 70-74, Medical Aid beneficiaries are 2 times more likely to get hip fracture than National Health Insurance beneficiaries. However, age group of 75 or older, we found out that there is no statistically difference between NHI and MA beneficiaries. The higher prevalence of hip fracture enrolled in MA than NHI suggests unfavorable health disparity in the poor elderly population. However, similar health care utilization for hip fracture between the two groups implies little inequity in health care services according to the economic status of the elderly in South Korea. 2017년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총인구의 14%를 넘기며 고령사회에 진입하였고, 2026년에는 본격적인 초고령사회로 진입될 것으로 예상한다. OECD 국가 중에서도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17년으로 가장 빠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령화 사회가 진행됨에 따라 노인성 질환 중 고관절 골절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골절 이후 높은 사망률과 장애, 삶의 질 저하, 의료비용 증가 등의 원인이 된다. 우리나라의 의료보장은 국민건강보험과 의료급여 2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 국민의 97%를 건강보험, 나머지 3%를 의료급여로 시행하고 있다. 의료보장 가입유형에 따라 건강지식, 의료 접근성, 의료이용 등 건강 수준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된다. 이에 의료급여 가입 노인들은 건강보험 가입 노인들에 비해 건강 수준이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2016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청구데이터 고령환자표본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건강보험 환자와 의료급여 환자 간의 고관절 골절 유병률과 고관절 골절 관련 치료를 위한 의료이용 및 비용을 비교분석하며, 의료보장 가입유형에 따른 노인의 건강 및 의료이용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고관절 골절 관련 건강보험 환자와 의료급여 환자간의 유병률을 비교 분석한 결과 젊은 노인층(65~69세 연령군) 의료급여 환자의 유병률은 10,000명당 55.3명 건강보험 환자는 10,000명당 18.6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약 3배 정도의 차이를 보였고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의료급여 환자와 건강보험 환자 유병률의 차이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고관절 골절 관련 치료를 위한 건강보험 환자와 의료급여 환자 간의 의료이용 및 비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 연간 환자 1인당 입원건수. 외래방문 횟수, 총 입원진료비, 총 외래진료비, 입원청구 1건당 재원일수, 그리고 고관절 골절 관련 입원치료의 요양기관유형별 의료이용에서 의료보장 가입유형 두 군에서의 통계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최소자승법 선형회귀분석을 통하여 변수를 보정 한 후 고관절 골절 관련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환자의 오즈비를 분석한 결과 65-69세 연령군에서 건강보험 환자 대비 의료급여 환자의 오즈비가 2.49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청구데이터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65세 이상의 노인 건강보험 환자와 의료급여 환자 간의 고관절 골절 유병률과 치료를 위한 의료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젊은 노인 연령군(65-69세)에서 유병률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지만 연령이 높아질수록 유병률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고관절 골절 치료를 위한 노인 건강보험 환자와 의료급여 환자간의 의료이용 및 비용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건강보험 환자 대비 의료급여 환자에서 고관절 골절 유병률이 높지만 치료를 하는 의료이용 및 비용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 환자 대비 의료급여 환자에서 건강 수준이 낮기 때문에 의료이용 및 비용에서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긍정적인 결과이며 고관절 골절 관련 의료급여 환자와 건강보험 환자 간의 문제점이 없는 것으로 결론을 내릴 수 있다.

      • 의료급여제도의 운영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채혜자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길버트와 스펙트(N.Gilbert & H.Specht)의 정책분석틀을 활용하여 저소득층의 의료문제를 해결해주기 위한 제도인 의료급여제도의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의료급여제도의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검토결과 우리나라의 의료급여제도는 적용대상, 급여내용, 관리운영, 재정 등의 면에서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의료급여제도가 지닌 여러 가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현 시점에서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들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의료급여 수가 및 약가의 인하, 장기 요양 시설 및 지역사회보건복지 서비스 공급 확충, 적정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의료급여 심사 체계 개선, 필수 의료 서비스의 급여 확대, 의료급여 관리체계의 강화, 의료급여의 재원을 다양화, 의료급여 진료비 체불 방지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개선방안을 추진해 나감으로써 통해 저소득층을 위한 의료보장제도인 의료급여제도가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The medical insurance practical situation and its problem have been analyzed in order to solve the realistic problems of low income earner medical problem. in this study with the analysis frames for policy made by N.Gilbert & H.Specht. And with its basis, this study has tried to find out resolutions for these problems. According to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medical insurance in Korea has several problems in part of its applied objects, its contents of payment, management, and financial situations. For solving these problems that medical insurance system has, we can consider below suggestions in this situation. That is, there can be several suggestions such as decreasing medical insurance fee and medicine, supporting medical clinic and local social medical center, improving management system for proper medical service, expanding medical service area for essential medical treatments, enhancing the payment system for medical expense, and expanding sources of financial, and equipping system for medical payment management. With these suggestions for solving current problems, it can help make basis for medical care insurance system for small income earners with resonable and effective 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