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의과대학생과 전공의를 위한 경제·금융 교육과정 개발과 평가

        김태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의사는 경제와 금융에 대해서 몰라도 괜찮을까? 의사들은 한 사람의 건강한 시민으로서 ‘개인-직업인-의료시스템의 구성원’이라는 다양한 층위에서 환자를 매개로 사회와 상호작용하며 살아가지만, 그 상호작용의 중요한 구성 요소인 경제와 금융에 대해서는 무관심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경제와 금융에 관한 지식은 한 개인으로서 건실한 의료인으로 기능하기 위해서, 직업인으로서 환자와 의사소통하기 위해서, 그리고 의료 시스템 전문가로서 활동하기 위해서, 또 미래의 독립된 의사로서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를 선택하기 위해서 필요한 하나의 기초 상식이다. 미래의 의사로 활동하게 될 의과대학생과 수련을 받고 독립된 의사로 활동하기 위해 준비하는 전공의들의 경제·금융 문해력은 높지 않은 수준이다. 관련하여 기본의학교육 및 졸업후의학교육에서 제공되는 경제·금융 교육의 부족함이 하나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당사자인 의과대학생과 전공의들은 경제·금융 교육에 대한 높은 요구도를 보이고 있다. 해외에서는 기본의학교육이나 졸업후의학교육 수준에서 경제·금융 교육을 제공하였던 사례가 드물게 있지만, 해당 교육과정들은 교육학적 방법론에 입각하여 개발되었다기보다는 몇몇 개인의 경험과 지식에 기반을 두어 만들어진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국내에서는 이러한 교육이 수행되었던 사례나 의과대학생과 전공의의 경제·금융 문해력 수준에 대한 연구조차 마땅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의과대학생과 전공의를 위한 경제·금융 교육과정을 교육학적인 방법에 의거하여 개발하고 실제로 교육을 수행한 뒤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는 경제·금융 교육과정 구안, 타당화, 최종안 도출, 전공의를 위한 경제·금융 교육과정 설계, 수행, 평가의 총 6 단계로 진행되었다. 각 단계별로 문헌 검색, 홈페이지 검색, 설문, 표적집단토의법, 회의 등의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기본의학교육-졸업후의학교육 연계 경제·금융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설문과 표적집단토의법을 통해 교육목표, 도달역량, 세부주제를 타당화할 수 있었다. 의과대학생을 위한 경제·금융 교육과정은 ‘개인의 건전한 경제생활을 추구하는 방법을 기술할 수 있다', ’의료시스템의 경제학적 원칙과 적용 방안을 설명할 수 있다'의 두 가지 교육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설정하였으며, 전공의를 위한 경제·금융 교육과정은 이에 더해 ‘임상의사로서 환자의 사회경제적 배경을 이해하는 데 경제·금융 지식을 적용할 수 있다'는 교육목표를 추가로 달성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의과대학생을 위한 경제·금융 교육과정과 전공의를 위한 경제·금융 교육과정 모두에서 ‘경제학적 관점에서 행위에 따른 문제와 위험을 파악할 수 있다', '경제학적 용어를 사용하여 문제 상황을 기술할 수 있다', '경제학적 관점에서 행위에 따른 기대 수익과 효과를 분석할 수 있다'는 세 가지 도달역량을 달성할 수 있도록 강의를 배치하였다. 전공의를 위한 경제·금융 교육과정 중 ‘전공의를 위한 자산관리', ‘전공의를 위한 대출', ‘전공의를 위한 연말정산', ‘전공의를 위한 국민건강보험제도', ‘전공의를 위한 민영보험제도'의 5개 세부주제를 대상으로 파일럿 강의를 수행하였다. 강의는 VOD로 촬영하여 온라인 배포하였으며, 설문과 표적집단토의법을 통해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설문을 통해 본 교육과정에 대한 보통 이상의 흥미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지식의 변화, 그리고 보통 이상의 행동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표적집단토의에서는 교육과정에 대한 전공의들의 적절한 교육 수요와 더불어 ‘개인의 건전한 경제생활을 추구하는 방법을 기술할 수 있다'에 해당하는 강의들에 대한 전공의들의 더 높은 흥미도를 예상하였고 이는 평가 설문에서 근소하지만 높은 흥미도와 전반적으로 더 높은 조회수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해당 강의들이 필수교육으로 제공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찬성과 반대 의견이 모두 확인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 교육과정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패널들의 일치된 의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의과대학생과 전공의를 대상으로 교육학적 방법론에 의거하여 경제·금융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수행한 뒤 평가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추후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프로그램을 확장시켜 각 의과대학 및 수련병원의 의과대학생과 전공의 교육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의사 개인의 재무적 안녕을 달성하여 건실한 의료인을 양성하고, 의사의 환자에 대한 사회경제적 이해를 높이고, 의사들로 하여금 의료 시스템에 대한 전문가적인 시각을 갖는 데 도움을 주고, 의과대학생과 전공의의 진로 선택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연구를 통해 확인된 경제·금융 교육과정에 관한 다양한 의견은 의료 관련 직역 종사자 및 여타의 전문직 종사자에 대한 경제·금융 교육과정 개발에 추가로 활용될 수 있다. 향후 후속 연구로서 기본의학교육-졸업후의학교육 연계 경제·금융 교육과정 전체를 완성시키기 위해 의과대학생을 위한 경제·금융 교육과정을 타당화하고 평가하는 연구와, 전공의를 위한 경제·금융 교육과정에서 ‘임상의사로서 환자의 사회경제적 배경을 이해하는 데 경제·금융 지식을 적용할 수 있다’는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강의를 보완하는 연구가 추가로 이루어질 수 있다. Objectives Do doctors have to know about economics and finance? While physicians interact with society through patients on individuals, professional, and systemic levels, they often remain indifferent to an important component of this interaction; economics and finance. However, the knowledge on economics and finance serves as a cornerstone for becoming an independent medical professional, communicating with patients, working as a healthcare systems expert, and choosing a suitable career for oneself.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preparing to work as an independent physicians in the future generally possess a low level of economical·financial literacy. The paucity of economics·finance education provided in basic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has been pointed out to be one of the reasons behind such phenomenon. However,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have a high demand for economics·finance education. Although there are a few rare cases of economic and financial education being offered in basic or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in other nations, these programs were mainly developed based on the experiences and knowledge of a select few individuals, rather than educational methodology. In Korea, no cases of such education has been confirmed, as well as a research on economical·financial literacy of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Method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economics·finance education curriculum for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based on educational methodology and to implement and evaluate the curriculum.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six stages: development of an economics·finance education curriculum, validation, finalization of the curriculum, planing, execution, and evaluation. The methods utilized in each stage of the research included literature review, website search, survey, focus group discussion, and meetings. Results Through this study, a comprehensive economics·finance education spaning basic medical education and post-graduate medical education was developed. Through surveys and focus group discussion, the educational objectives, competency, and specific topics were validated. The economics·finance education program for medical students was designed to achieve two educational objectives: ‘being capable of describing how to pursue a healthy personal economic life’ and ‘being capable of explaining the economic principles and its applications on the healthcare system.’ In addition to these, the economics·finance education program for residents set an additional educational objective of ‘being capable of applying economical·financial knowledge to understand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of patients as a clinical physician.’ In both the economics·finance education curriculum for medical students and the economics·finance education curriculum for residents, students were required to achieve three competencies on taking the curriculum: ‘being able to recognize problems and risks in economic perspectives,’ ‘being able to describe the situation using economic terminology,’ and ‘being able to analyze the expected returns and effects of actions in an economic perspective.’ Among specific topics of the economics·finance education program for physicians, a pilot lecture series was conducted on five of the specific topics: ‘Asset Management for Residents,’ ‘Loans for Residents,’ ‘Tax Settlements for Residents,’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for Residents,’ and ‘Private Insurance System for Residents.’ The lectures were recorded on video and distributed online, and evaluated through surveys and focus group discussions. The results of the survey indicated a higher than moderate level of interest,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knowledge, and higher than moderate level of behavioral changes. Focus group discussion revealed an modest level of educational demand for the program, as well as an elevated interest in lectures related to ‘how to pursue a healthy personal economic life.’ This was evidenced by the higher level of interest in the survey and overall higher viewership. However, there were differing opinions on whether these lectures should be mandatory, with some in support and others against. Nevertheless, there was a consensus among the panel on the necessity of the entire education program.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n economics·finance education program for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based on educational methodology. The program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may be expanded and utilized in medical education at each school and training hospital. This would help individual physicians to achieve financial well-being and thereby fostering a capable medical professional, enhance the social-economic understanding of physicians towards their patients, help develop an expert perspective on the medical system, and assist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in career selection. The diverse opinions on the economics·finance education program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can also be further utilized in the development of economics·finance education programs for other healthcare professionals. Furthermore, further research may be conducted to validate and evaluate an economics·finance education program for medical students in order to complete the comprehensive curriculum. In addition, another future research may be conducted to add complementary lectures to fully attain the educational objective of ‘applying economical·financial knowledge to understand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of patients as a clinical physician.’

      • 醫科大學生들과 一般大學生들의 스트레스 程度 및 健康習慣 比較

        都在洙 경북대학교 1992 국내석사

        RANK : 248703

        의과대학생들간과 일반대학생들의 스트레스 정도 및 건강습관을 비교하기 위하여 대구시내 재학중인 의과대학생 341명과 일반대학생 551명을 대상으로 1992년 3월 10일부터 1992년 3월 30일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스트레스정도의 비교에서는 좌절, 탈핍성, 그리고 자기지각 항목에서 일반대 학생들이 의과대학생들보다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특히 남학생보다 여학생들이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최근 고민문제는 의과대학 남학생들의 경우 39.3%가 학교시험 및 성적이 가장 중요한 고민문제라고 대답하였고, 일반대학 남학생들도 22.5%가 학교시험및 성적이 가장 중요한 문제라고 하였다. 그러나 두번째 많은 문제로 의과대학 남학생의 5.2%, 일반대학 남학생의 21.4%가 장래진로라고 대답하여 두 군간에 큰 차이가 있었다. 여학생들에서도 비슷한 경향이었다. 건강습관은 흡연율이 일반대학 남학생들에서 75.0%로 의과대학 남학생의57.7%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이외에도 수면습관과 아침식사 습관도 의과대학 남학생들이 일반대학 남학생들보다 유의하게 좋았다(P<0.05). 그러나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비율은 일반대학 남학생들이 58.0%로 의과대학 남학생의 33.7%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의과대학 여학생의 아침식사를 매일하는 비율이 67.6%로 일반대학 여학생의 48.0%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15일간의 상병율은 일반대학생들이 69.1%로 의과대학생들의 57.8%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15일간 유병율과 유의한 관련이 있는 스트레스 항목들은 의과대학생들에서는 행동유형의 스트레스가 유의한 관련이 있었으며 (P<0.05), 일반대학생에서는 불안반응의 스트레스 항목이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P<0.01). 의과대학생들간의 성별 스트레스 정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학년별 스트레스 정도 비교에서는 2학년이 3학년에 비해 자기지각 항목(P<0.05)과 불안반응 항목(P<0.01)에서 더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의과대학생들이 일반대학생들보다 스트레스를 덜 받고 있으며 건강습관도 더 좋으며 15일간 유병율도 낮았다. To compare the degree of stress and health habits between medical students and non-medical students, We recruited 341 medical students and 551 non-medical students in Taegu city during the period 10, March, 1992 - 30, March, 1992. The non-medical students had much experienced stress than medical students did, for frustration, isolation, self-assessment items on stress(P<0.05). Especially, femele students reported more stressful than male students did. Of male medical students, 39.3% reported that examination and score was the most important problem 22.5% of non-medical students also reported that examination and score was 21.4% of non-medical students reported job problem was the most important problem, whole only 5.2% of medical students reported. The proportion of smoking in non-medical male students (75.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57.7%) in medical male students(P<0.05). The habits of sleeping and breakfast in medical 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better than those in non-medical. Meanwhile, non-medical male students(58.0%) did regular exercise more frequently than medical male students(33.7%)(P<0.05). The habits of breakfast in medical female students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that in non-medical female students(P<0.05). Fifteen day prevalence in non-medical students(69.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57.8%) in medical students. Stress item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ifty-day prevalence were A-type behavior in medical students (P<0.05) and anxiety reaction in non-medical students (P<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s of stress by sex, whereas, the second grade of medical students had much experienced stress than third grade in terms of self-assessment (P<0.05) and anxiety reaction (P<0.01). In summary, the medical students had much experienced stress, had better health habits and lower 15-day prevalence than non-medical students.

      • 의과대학생의 진로문제 인식 및 진로상담 프로그램 요구도에 관한 합의적 질적연구

        옥민수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의과대학생이 취할 수 있는 다양한 진로 중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은 개인의 자아실현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보건의료체계에서 효율적인 인적자원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의 의과대학 교육은 적절한 지식과 기술을 갖추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고, 의과대학생의 진로선택의 능력을 길러주는 데에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다. 이번 연구에서는 의과대학생을 위한 진로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의과대학생들이 진로 문제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고 있고, 필요한 진로상담 프로그램 내용 및 방식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총 23명의 의과대학생들을 대상으로 5번의 초점집단토의(focus group discussions)를 진행하였다. 선행 연구 검토, 연구팀의 논의 등을 통하여 개발한 반구조화된 가이드라인(semi-structured guideline)에 따라 초점집단토의를 진행하였다. 가이드라인은 크게 아이스 브레이킹, 도입/공통 질문, 진로상담 프로그램 필요성 인식,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생각, 기타 토론으로 구분되었다. 녹음한 토의 과정을 필사하여 이를 합의적 질적연구(consensual qualitative study)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연구 결과를 크게 의과대학 입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진로선택에 대한 고민, 기존 진로상담의 현실, 진로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구성, 진로상담 프로그램 진행 방법으로 정리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의과대학생들은 의과대학 입학을 결정할 때 주체적으로 선택하기보다 부모님 및 성적에 영향을 크게 받았다. 향후 진로선택에 있어서는 진로의 안정성 및 실현가능성, 예상되는 삶의 질 등을 고려하고 있었지만, 자신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는 의견도 많았다.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진로정보가 부족하고, 지도교수님과의 만남은 진로상담을 위해서는 큰 도움이 되지 않고 있었다. 대부분의 의과대학생들은 진로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해서 기대를 하고 있었지만, 자발적인 형태로 프로그램이 진행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또 의과대학생들은 진로상담 프로그램에서 전공의 과정 선택을 위한 과 정보, 병원 정보, 수련 뒤 정보 등 다양하고 구체적이며 객관적인 장보를 원하였다. 주체적이기보다는 타의나 상황에 따라 의과대학 진행을 결정하였던 대부분의 의과대학생들은 진로 문제에 있어서도 준비가 미흡한 상황인 것으로 보인다. 의과대학생들이 주체적인 진로 결정을 위하여 의과대학생을 위한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유급을 경험한 의과대학생의 적응과정 연구

        장익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85

        ABSTRACT The Failure Experiences of Medical Students and the Process of their Adaption Jang, Ik Dept. of Theolog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medical students, specifically in the adaptation processes of students having experienced failure, and to present directions to care. The subject of the study were 12 students that have experienced failure at least once as a registered student and attending school at the time. 8 of those students have experienced failure more than once, while 4 students, only once. Duration of study was from January of 2012 to January of 2013, in which 3 individualized deep-interviews were conducted. Collected data were open coded on basis of Grounded Theory (Strauss & Corbin, 1990), resulting in 160 codes, 34 concepts and 9 categories. Categories were further analyzed by axial coding to establish common demonstration of ‘acquisition of academic adaptation,’ ‘return to anxiety ridden life,’ and ‘acceptance to continued failure’ within aforementioned students. Furthermore, four stages of adaptation was established, the first being ‘acknowledgement of collapse due failure,’ second, ‘adjustment efforts in overcoming failure,’ third, ‘reinforcement of overcoming failure,’ and fourth, ‘finalization to adaptation.’ Thus, core category was established as ‘overcoming failure and processing adaptation’ with subcategories of ‘resistance to continued failure,’ ‘anxiety,’ and ‘self-discipline,’ leading to four types of adaptation: ‘driven,’ ‘conceited,’ ‘effortful,’ and ‘anxious.’ The ‘driven’ types were optimistic of their failure and were confident they will overcome the difficulties, maintaining their self-discipline actively. The ‘conceited’ types were less sensitive in understanding anxiety and their situation, while being resistant and overly confident in continued failure but were poor in self-discipline. The ‘effortful’ were more stable and highly resistant to continued failure while showing less confidence, but active in self-discipline, resulting in high academic adaptation . The ‘anxious’ type wee highly resistant to continued failure but were highly sensitive their surroundings, while being poor in self-discipline, resulting in low academic adaptation, demanding much help. The liberation model by Watkins Ali was used to spotlight the hidden mentality of ‘first-place-or-nothing’ and ‘disconnection from society’ present in medical students, while presenting a pastoral counseling model that involves ‘nurturing,’ ‘empowering,’ ‘liberating,’ and ‘reconciling,’ for ‘voluntary resources’ and ‘restoration of relationship.’ This research expands from previous studies of finding fault in individuals to encompassing the actual voices of medical students, presenting experience-driven theories to help understand overcoming processes. It also presents a systematic rehabilitation model as well as academic notes for failure-experienced medical students to become a new subject to their academic society. 국 문 요 약 유급을 경험한 의과대학생의 적응과정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유급을 경험한 의과대학생의 적응과정과 적응유형을 확인하여 이들을 위한 체계적 돌봄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의과대학생 중 유급을 1회 이상 경험한 총 12명의 학생으로 2회 이상 유급을 경험한 학생은 8명이며, 유급을 1회 경험한 학생은 4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2012년 1월부터 2013년 1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 참여자와의 개별적 심층 인터뷰를 근거이론방법론에 따라 자료를 개방 코딩하여 160개의 개념과 34개의 하의범주, 9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범주들 간에 연관성을 정렬하는 축코딩을 통해 ‘학업 적응감 획득’, ‘불안한 일상으로의 회기’, ‘재유급에 대한 수용’이라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유급을 경험한 의과대학생의 적응과정은 총 4단계로 구성되어 첫째, ‘유급경험 붕괴 인식단계’, 둘째, ‘유급극복 조정시도단계’, 셋째, ‘유급극복 강화단계’, 넷째, ‘유급극복 적응단계’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중심적 주제를 응축하고 핵심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핵심범주로 ‘유급을 극복하고 적응하기’로 설명할 수 있으며 속성은 ‘재유급에 대한 저항’, ‘불안감’, ‘자기관리’이었다. 핵심범주와 각 범주간의 가설적 관계유형을 통해 유급을 극복하고 적응하기의 4가지 유형으로 ‘주도형’, ‘자만형’ ,‘노력형’, ‘불안형’으로 구분하였다. 유급을 경험한 의과대학생의 적응과정에서 나타나는 4가지 유형 중 첫째 ‘주도형’은 자신의 유급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유급과 관련한 어려움들을 극복할 자신감과 확신을 통해 자기관리가 매우 적극적인 유형이었다. 둘째, ‘자만형’은 다른 유형에 비해 불안감과 주변 환경에 대한 평가의 민감성도 매우 낮고 재유급에 대한 저항과 자신감이 있으나, 자기 관리가 취약한 유형이었다. 셋째, ‘노력형’은 다른 유형에 비해 안정적이며 재유급에 대한 강한 저항을 보이고 자신감은 다소 약한 편일 수 있으나 적극적인 자기 관리로 학업 적응감 획득이 높은 유형이었다. 넷째, ‘불안형’은 재유급에 대한 저항이 매우 강하지만 타인에 대한 민감성이 매우 강하고, 자기관리 부족으로 학업 적응감 획득이 낮아 불안감을 느껴 실제적인 유급극복을 위한 도움이 필요한 유형으로 나타났다. Watkins Ali의 신학방법론을 통해 유급의 경험 속에 숨겨 있는 ‘일등주의에서의 실패’와 ‘관계의 단절’ 이라는 문화적 정황을 해석 할 수 있었고, 유급을 극복하고 적응하는 개인의 ‘자발적 자원’과 공동체로서의 ‘관계성 회복’의 통괄적 관점을 이루기 위한 목회상담 돌봄 모델로 ‘양육(nurturing)’, ‘힘 실어주기(empowering)’, ‘해방(liberating)’, ‘화해(reconciling)’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유급의 문제를 한 개인의 문제로 인식하던 기존의 연구를 넘어 유급을 경험한 의과대학생의 실제적인 이야기를 담아냈고, 이를 통해 유급을 극복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경험적 이론을 마련하였다. 또한 유급을 경험한 의과대학생이 유급을 극복하고 공동체의 새로운 구성원으로 회복하기 위한 체계적인 모델과 학문적인 자료를 제시한 연구라 할 수 있다.

      • 의과대학생의 학습환경에 대한 인식이 자기조절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미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71

        이 연구는 의과대학생의 학습환경에 대한 인식이 자기조절학습 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의과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전략과 학습환경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자기조절학습 전략과 학습환경에 대한 인식은 어떤 관계에 있는가? 셋째, 학습환경에 대한 인식이 자기조절학습 전략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해 천안에 소재하는 일 개 의과대학 4개 학년 3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305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로는 대학생용 자기조절학습 검사 도구와 존스홉킨스 학습환경척도(Johns Hopkins Learning Environment Scale, JHES)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Pearson 적률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의예과 2학년과 의학과 1학년이 의학과 2학년과 의학과 3학년 보다 자기조절 학습 능력이 더 높았다. 즉, 상급학년보다 하급학년의 자기조절 학습 능력이 더 뛰어났다. 또한, 학습환경에 대한 인식도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의예과 2학년과 의학과 1학년이 의학과 2학년과 의학과 3학년 보다 학습환경 전체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즉 상급학년보다 하급학년이 학습환경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성별에 따른 자기조절 학습 전략과 학습환경에 대한 차이를 보면 자기조절학습 전략은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학습환경의 하위요인 중 멘토링만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멘토링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이었다. 둘째, 자기조절학습 전략과 학습환경의 인식에 대한 상관관계를 보면, 자기조절학습의 하위 요소인 동기조절, 인지조절, 행동조절은 학습환경의 하위요인 중 소속감과 안전을 제외한 다섯 가지 요인들(친구집단, 사제관계, 면학분위기, 의미있는 참여, 멘토링)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학습환경에 대한 인식이 자기조절학습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학습환경의 하위 요인 중 친구집단, 멘토링, 면학분위기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자기조절학습 전략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친구집단, 멘토링, 면학부위기에 대한 인식이 좋은 학생들이 자기조절학습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학년에 따라 자기조절학습 전략은 유의미하게 변한다. 대체로 학생들은 상급학교로 진학할수록 자기조절학습 능력도 발달한다. 그러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자기조절 능력이 떨어지고 있다. 무엇이 이 우수한 인재집단의 잠재력을 퇴화시키고 있는지, 의학교육 현장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학습환경과 자기조절학습 전략은 상관관계가 있다. 자기조절을 잘 한다는 것은 학습에 대한 조절뿐만 아니라 환경에 대한 통제력도 갖고 있다는 의미이다. 자기조절을 통해 자신의 삶을 제어할 수 있는 학생은 삶의 질도 높고 정신적, 육체적으로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다. 따라서, 의과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대한 접근을 할 때에도 이 두 가지 척도는 의미있는 지표가 될 것이다. 셋째,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습환경의 개선이 필요하다. 좋은 학습환경은 학생들의 학습능력도 향상시키지만, 전문가로 성장하는데 있어 중요한 밑바탕이 된다. 각 대학의 현실을 고려하여 좋은 학습환경이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과, 어떻게 학습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을지에 대한 방안을 찾는 노력을 해야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erception of learning environment of medical students o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Specifically, the study gave answers for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is the perception of self -regulated learning strategy and learning environment of medical students by grade and gender?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perception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Third, how does perception of learning environment affect self - 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For answering those questions, we surveyed 365 students of a medical school in Cheonan, Korea and the data of 305 studen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s a measuring tool, the Self-Regulated Learning Scale developed by Jung, Mi-Kyung(2005) and the Johns Hopkins Learning Environment Scale(JHES) developed by Shochet, Colbert-Getz and Wright(2015)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4.0. The results were summarized below.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 - regulated learning ability by grad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lower graders was superior to upper graders. In addition, the lower graders were more positive about the learning environment than the upper graders. Second, the correlations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perceptions of learning environmen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other factors(community of peers, faculty relationship, academic climate, meaningful engagement, mentoring) except inclusion and safety. Third, the more positive perception of faculty relationships, mentoring, and academic climate you have, the bette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change according to the grade level. In general, self-regulated learning develops as students progress to higher education. However, in this study, the self regulating ability was getting worse as the grade goes up. Accurate diagnosis and improvement are needed to understand what causes the deterioration of the potential of this taleted group. Second,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self - 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re correlated each other. Good self-regulation means not only learning but also environmental control. A student who can control his or her life can have a high quality of life and can lead a healthy life mentally and physically. Therefore, these two measures will be meaningful indicators when evaluating the mental healths of medical students. Thir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learning environment to develop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tudents learn better in a good learning environment. It is an fundamental factor for becoming professional. Practically, we should try to find out what is good learning environment and how to improve the learning environment.

      • 의과대학생의 학습 경험과 직업정체성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박규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71

        이 연구는 평범한 학생이 대학교육을 거치면서 형성해나가는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정체성에 주목하여 한국 의대생이 겪는 의대에서의 학습 경험과 직업정체성 형성 과정을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임상 실습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의대 본과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에서는 한국 사회의 특수한 사회문화적 맥락 안에서 의대생은 역동적으로 예비 의사로서의 직업정체성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들은 의대 입학 초기에는 의사를 동경하는 일반 사람들의 시선을 그대로 답습하고, 의대생을 이미 예정된 의사로 상정하는 사회적 인식으로부터 제공된 ‘주어진 정체성’을 학습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의대에서 다양한 학습 경험을 통해 직업정체성 형성이 촉진되거나 저해되고 있었다. 직업정체성 형성에 관여하는 의대 공동체는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이 제한적이고 치열한 경쟁 문화가 조성되어 있는 폐쇄적인 구조를 띠고 있었다. 이러한 의대 공동체 안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좋은 성적을 받는 것에 치중하고 성적과 관련 없는 일에는 수동적이었으며, 사회와 사람에게는 무관심한 태도를 보였다. 폐쇄된 의대의 학습 환경 속에서 좋은 의사가 아닌 좋은 학생을 목표로 삼게 된 결과 이들은 예비 의사로서의 가치, 행동, 태도를 위협받고 있었다. 임상 실습은 연구 참여자들이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학습 경험을 통하여 의사를 향한 일반인의 시선을 거두고 의사의 삶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기회가 되었다. 병원 안으로 진입한 이들은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무형식학습을 바탕으로 맥락 안에서의 실제적 지식을 습득하였다. 환자에 대한 책임을 우선시하는 의사의 모습을 보면서 긍정적인 롤모델을 형성하고 환자와의 만남을 통해 의사로서의 자신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 자문하였다. 그리고 개인적인 삶의 가치와 의사로서의 소명의식 사이에서 앞으로 어떠한 길을 걷는 의사가 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거듭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의대에서의 여러 가지 어려움과 고충 속에서도 이를 의사가 되기 위한 하나의 준비 과정으로 받아들였다. 병원의 실제적 맥락 안에서 상호작용에 바탕을 둔 무형식학습은 이들 스스로 의사가 된 자신의 모습을 그려보며 직업정체성의 주체로 자리매김하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의대생의 학습 경험과 직업정체성에 관한 논의를 바탕으로 대학에서의 의학교육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의대생이 사회적 인식이 제공하는 주어진 정체성을 탈피하고 정체성의 주체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지식과 기술 암기를 강조하는 교육에서 벗어나 의사에게 필요한 다양한 역량을 학습할 수 있는 교육이 요구된다. 둘째, 개방적이고 유연한 의대 문화와 상호작용이 활발한 무형식학습이 필요하다. 셋째, 의대생이 정체성 갈등을 극복하고 의사라는 직업의 의미와 가치를 스스로 찾아갈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지금까지 이 연구는 지식과 기술 개발에 편재된 의학교육과 비인간적인 의료 실태에 대한 비판적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한국 의과대학생의 학습 경험과 직업정체성 형성 과정을 탐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사회의 독특한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의과대학생의 직업정체성과 의과대학에서의 학습 경험에 대한 심층적이고 확장된 이해를 제공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전문직업인을 양성하는 대학의 역할에 대하여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roces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of Korean medical students and learning experiences in medical school. For this end, medical students in their fourth year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 of the study revealed that medical students dynamically formed their professional identity as a preliminary doctor in the specific sociocultural context of Korean society. The participants, in their earlier years, accepted 'given identity' provided from the social perception. The learning environment in medical school had some problems. The exclusiveness of medical school community with competition culture caused limited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 In this community, the participants obsessed with getting good grades while unconcerned with people and society, keeping passive attitudes to those unrelated to their grades. Their learning goal was to become a good student not a good doctor. The exclusiveness of medical school threatened values, behaviors, and attitudes of preliminary doctors. Clinical practice, meanwhile, was a great opportunity to literally understand a doctor’s life. The participants acquired practical knowledge through interaction with people in context-based informal learning environment. Doctors whose top priority is patients became their positive role models. They asked themselves what their role would be as a doctor in relationship with patients. They are in conflict between individual values and calling as a doctor, considering what kind of doctor they are going to be in the future. The difficulties in medical school were accepted as a preparatory process of becoming a doctor by medical students. In the context of hospital, informal learning based on interaction played a crucial role in becoming professional agency. This study suggests some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 First, in order for medical students to be agency of their professional identity,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programs encourage them to learn various competencies required by professional doctors. Second, open, flexible, and supportive culture of medical school should be created. Third, it is needed to create learning environment that allow medical students to find out the meaning and value of a professional doctor by themselves. The study starts with a critical consciousness in medical education focused on medical knowledge and skills and dehumanization in medicine. It is meaningful that the study provided an expanded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 identity and learning experiences of medical students, considering specific sociocultural context of Korean society, and sugges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roles of medical education.

      •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지식과 태도 연구

        이진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68

        본 연구는 앞으로 의료인이 되어 다음 세대의 뇌사자 장기기증 및 장기이식과 관련된 건강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될 의과대학생들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조사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로 뇌사자 장기기증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에 소재한 41개 의과대학 소속 학생들 중 임상실습과정을 모두 마친 본과 4학년 학생 723명이었으며, 연구도구는 대상자의 특성을 묻는 11문항,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을 묻는 16문항,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를 묻는 16문항을 포함한 총 43문항으로 구성하여 우편으로 배포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7년 10월 4일부터 11월 7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ANOVA(F-test)로 분석하였고, 관련요인분석은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를 실시하였다.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1) 의과대학생들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 점수는 16점 만점에 평균 8.11±2.4점으로 58%의 정답률을 보였다. 대상자의 80%이상이 정답을 맞힌 문항은 1개로 ‘장기기증 및 장기이식 대기자에 대한 모든 정보는 국가(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에서 통합 관리한다(81%)’이었으며 정답률이 20%이하로 낮은 문항은 ‘뇌사 장기기증자의 장례비는 장기이식자가 부담한다(19%)’와 ‘잠재뇌사자를 진단한 담당의사는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에 신고하여야 한다(11%)’이었다.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을 범주별로 구분했을 경우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의학적 지식은 3점 만점에 1.5±0.79점, 법률적 지식은 9점 만점에 5.0±1.79점, 뇌사판정절차에 대한 지식은 4점 만점에 1.7±0.89점 이었다.2) 의과대학생들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태도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40±0.49점으로 중간 정도로 나타났으며 대체로 긍정적인 태도로 나타났다. 대상자들은 ‘내가 만약 장기를 기증한다면 타인에게 선을 행한 것이다(91%)’와 ‘나는 뇌사자의 장기기증 및 이식이 의학적으로 바람직한 수술이라고 생각한다(86%)’ 문항에 대해 80%이상 긍정적으로 생각하였고, ‘사람의 죽음을 사람이 판단하는 것은 실수의 여지가 있다(73%)’, ‘환자의 가족이 기증요청을 받는다면 의료진에게 적대적인 감정을 표현할 것이다(53%)’순으로 50%이상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 및 태도 정도는 성별, 의과대학병원의 권역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뇌사자 장기기증 관련 특성에 따른 지식 정도는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정보 획득 경로, 본인의 장기기증 희망 여부, 장기기증 희망카드 소지 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태도에 있어서는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정보 획득 경로, 본인의 장기기증 희망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4) 대상자 특성에 따른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지식에 대한 요인으로 의과대학병원의 권역별 특성과 뇌사관련 정보 획득 경로 특성(전문적 경로)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태도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의과대학병원의 권역별 특성과 본인의 장기기증 희망 여부,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범주별 지식 특성 중 의학적 지식과 뇌사판정절차에 대한 지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5) 대상자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태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한 반면(r=0.055, p=0.142), 범주별 지식에 있어서 의학적 지식(r=0.135, p=0.001)과 뇌사판정절차에 대한 지식(r=-0.075, p=0.043)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결론적으로 의과대학생들의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정확한 지식은 대체로 낮은 비율로 조사되어 이에 대한 정확한 지식전달을 위한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는 학과특성을 고려하여 뇌사자 장기기증에 대한 정보 획득의 경로를 전문적 경로인 의대교육과정에 관련교육내용 보충, 실습 프로그램 마련 등이 효과적일 것으로 예측 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통해 미래의 의료인인 의과대학생들이 뇌사자 장기기증의 필요성과 과정, 역할을 이해하고 개인적인 신념을 확고히 하며 나아가 장기기증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고취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장기기증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study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medical students towards the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who will be in charge of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as health specialists in the future. It was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trategy to activate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In the study, the data had been collected from 723 medical students who have finished clinical practice courses in 41 medical schools in Korea. The method of the study was the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43 questions including 11 questions of general features, 16 questions of the knowledge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and 16 questions of the attitude to the organ donatio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4th of October in 2007 to the 7th of November in 2007.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for the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d ANOVA(F-test) by SAS program, for relating factor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for correlation by Pearson Correlation.The results were as follows1) The score of the knowledge of medical students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was on the average 8.11±2.4 of 16, that is, 58%. The item that over 80% of respondents chose the right answer was the only one question, that is, ‘The government(KONOS;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 should manage organ donation and all the information of recipients for transplantation(81%)’, and the items below 20% were that ‘Recipients should pay all the money for donor's funeral service(19%)’ and ‘The doctor diagnosed potential brain death should report to Korean Network for Organ Sharing(11%)’. When the researcher classified the subjects' knowledge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the results showed 1.5±0.79 of 3 in medical knowledge, 5.±1.79 of 9 in legal knowledge and 1.7±0.89 of 4 in decision processing of brain death.2) In the analysis of attitude of medical students to the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the average score was 3.40±0.49 of 5, which seemed they were relatively optimistic. Over 80% of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in two questions, those are, ‘If I donated organs, I would do good to other people(91%)’ and ‘I agree the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and transplantation are desirable medical treatments(86%)’, In contrary, it showed that over 50% had a pessimistic attitude to two questions, which are, ‘There might be a mistake to make a determination of person's death by human beings(73%)’ and ‘If family were requested organ donation, they would express their hostility to the medical staff(53%)’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knowledge and attitude to the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in gender and the location of university hospital. Another difference was caused by the ways to gain the information of it, and whether one accepts to organ donation or have the donor card or not. In the case of attitude, there were notabl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ways to obtain information of the organ donation and whether one accepts organ donation.4) In the analysis of the knowledge of general features, the important factors were confirmed statistically by the location of university hospital and the way to get the information for organ donation. And in the attitude, the medical knowledge and the progress of brain death were more meaningful among other factors statistically.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respondents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was not valuable statistically(r=0.055, p=0.142), on the other hand, in the medical knowledge(r=0.135, p=0.001) and the knowledge about progress of brain death(r=-0.075, p=0.043), were valuable statistically.In conclusion,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knowledge of medical students about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was pretty low. That is why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were needed for improving their knowledge. For the strategy, they should be added to the medical college curriculum and clinical practice program about organ donation. In addition, medical students w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progress and the role of organ donation in brain death through this program. Eventually, they would have positive attitude about the organ donation and contribute to expand it.

      • 의대생을 대상으로 한 입학동기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김지웅 가천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55

        동기는 행동을 일으키고, 행동을 지속하게 하고, 행동의 방향과 목표를 결정하는 내적인 힘이다. 동기는 자아결정이론에 따라서 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무동기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내재적 동기란 기능을 향상시키고 환경을 탐색하고 무언가를 배우고 신기함과 도전을 추구하는 생득적인 경향성에서 비롯된 동기를 의미한다. 외재적 동기는 행위자가 주체적으로 행동하느냐, 지배 받느냐에 따라 세분화 할 수 있다. 무동기는 외부에서 유인자극을 주거나 처벌을 가해도 학습하고자 하는 마음이 생기지 않는 상태이다. 동기는 목적을 갖고 그 목적이 의미 있는 것으로 만들면서 효과적인 학습이 될 수 있도록 하는 힘이 된다. 학생들이 공부의 가치, 중요성, 의미를 깊이 공감하며 학업에 임하는 것이 학습의 효율성이 높으므로 동기에 대한 연구는 중요하다. 이는 학생 개인의 학습 차원뿐만 아니라 교육 차원의 학습 지도 및 생활지도에도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의 동기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의과대학은 방대한 분량의 학습을 필요로 하며, 예과 2년, 본과 4년의 교육과정을 보유한 의대만의 특징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의과대학생에 초점을 맞춘 동기에 대한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현재 국내 의대생을 대상으로 한 입학동기 척도 개발은 전무한 상황이므로 의대생을 대상으로 한 입학동기 척도 개발을 진행하고자 한다. 의과대학생들의 입학동기 파악을 위한 예비조사를 개방형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진행한다. 예비조사 결과를 토대로 본조사를 위한 설문 문항을 제작함과 동시에 각 문항에 대한 검토를 전문가 자문을 거쳐 진행한다. 완성된 본 조사 설문을 토대로 본 조사 수행을 진행하며 최종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과정을 거쳐 최종 결과 분석을 진행한다. 의과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예비조사를 통해 입학동기 파악을 위한 본조사 설문 문항을 제작하였고, 제작된 설문을 토대로 진행한 2차 예비조사 상 자기결정이론에 입각한 동기의 문항 분류가 가능하며 내적타당도 검증 상 높은 신뢰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입학동기의 경우 무동기, 외재적 동기(부모의 기대, 사회적 지위, 직업적 안정성, 성적), 내재적 동기(자아실현, 적성)의 7요인으로 분류 가능하며, 각 하위요인간 상호상관을 살펴본 결과 자기결정력의 연속선상에 분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조사의 경우 척도 타당화를 위한 학업소진, 학업참여 등의 공인된 평가척도를 함께 포함해 진행하였다. 타당도 분석 결과 입학동기 하위항목 중 무동기의 경우 학업소진 하위항목인 정서적 고갈, 무능력감, 냉소성과 양의 상관관계를, 학업참여 하위요인인 열정, 헌신, 몰두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내재적 동기 하위항목의 경우 무능력감, 냉소성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열정, 헌신, 몰두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내재적 요인과 무동기의 경우 자기결정력의 연속선상에서 가장 멀리 위치한 만큼 그 성격이 가장 상이하다고 볼 수 있는데, 관련 변인과는 공변하고 상반된 것과는 반대로 변화하므로 공인 타당도가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외재적 동기의 경우 각 하위요인별로 학업소진과 학업참여와 일부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외재적 동기는 자기결정력의 연속선상에서 어디에 분포하느냐에 따라서 무동기 성향과 가깝거나, 내재적 동기의 성향과 비슷한 결과를 보인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또는 다른 일반 대학의 교육과정과 기본적으로 다른 의과대학이라는 특수한 상황에 초점을 맞추어 입학 동기 척도 개발을 하고자 한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추가적인 학습동기들과 함께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개개인의 학습 증진에 이용될 뿐만 아니라 대학 차원에서의 학생상담 프로그램 개발이나 지도교수의 상담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의과대학생의 공감, 번아웃과 우울 및 자살생각과의 관계

        성현숙 건양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연구는 우리나라 일개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공감능력과 번아웃 등의 수준을 파악하여, 공감능력과 번아웃이 우울 및 자살생각 등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일개 의과대학 재학생 29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 총 58문항을 자기기입식, 무기명으로 작성 제출받았으며, 조사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 5문항, 감정이입 28문항, 번아웃 도구 22문항,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생각 등 3문항 등으로 구성 설문조사를 실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분석결과, 공감능력 및 번아웃 그리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즉, 학년, 연령군, 가계수입, 출신지역 등은 우울 및 자살생각 등의 유의한 관련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감능력의 하부개념인 인지척도, 환상척도 및 감정이입 척도에서 학년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번아웃의 하위개념인 감성적 소진척도, 비인격화 척도, 개인적 성취척도 등이 학년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변량분석으로 우울과 자살시도에 대한 번아웃 및 감정이입 하부개념, 일반적 특성변수 등을 함께 투입한 로지스틱회귀분석에서 변수간의 관계만 확인하였으며, 유의한 요인으로는 스트레스만이 도출되었다. 이 연구 결과 일개 의과대학생에서의 공감능력과 번아웃은 학년이 증가됨에 따라 증가하며, 그 수준 또한 심각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empathy, burnout, stress,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in medical college students. Also,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each other variables and related factors were examined. Two hundred ninety six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mpleting questionnair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Maslach Burnout Inventory,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Burnout is highly prevalent among medical college students. In univariate analysis, there w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ree subdomain of empathy(p<0.05) and burnout(p<0.01) according to grade of medical college. High risk group of emotional exhaustion were more prevalent in male students(p<0.05). Prevalence of high risk group of emotional exhaustion and personal accomplishment increased by the grade(p<0.01) significantly. Prevalence of stressed students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with the grade of medical college(p<0.01). In multivariate logistic analysis, only a stress was significant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the subdomain of empathy and burnout were not related with a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empathy and burnout were not related with a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medical college students. However, further more bigger survey should be replicated to understand medical students, especially to identify the interrelationship with empathy and burnout additionally.

      • SNAPPS 교수방법의 임상실습 적용 및 도전과제 탐색 : 임상추론능력 및 자기주도학습 배양을 위한 SNAPPS 교수법에 대한 질적 고찰

        김이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55

        Background: Clinical reasoning is a fundamental competency which medical students must develop throughout their education period. Adult learning theory, intelligence development theory and reflective skill acquisition theory support that clinical reasoning ability is the key component of problem-solving in medical practice. Life-long and self-directed learning habits are also essential learning skills that medical school had to encourage to students. Those skills could make coping with rapidly changing medical knowledge and techniques. The SNAPPS(Summarize-Narrow-Analyze-Probe-Plan-Select) method is a clinical teaching method to promote students’ clinical reasoning skills and based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principle. It’s effectiveness in clinical teaching has been reported in some global medical schools. However, it has never been applied in South Korea. This study was started with two main questions; whether the SNAPPS could be a feasible teaching method in Korean clinical clerkship contexts and how could we adapt it to our teaching environmen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1) examine the feasibility of the SNAPPS in clinical clerkship teaching; (2) explore potential barriers and challenges in Korean medical environment. Methods: The author conducted a qualitative and exploratory study. Participants were 24 third-year medical students who rotated the core clerkship at the gastro-intestinal division of internal medicine in the same university based tertiary hospital in 2013. Eight series of pre and post intervention focused group interviews with semi-structured questions were conducted. After pre- intervention interview, an orientated workshop including of the short lecture which explaining what is the SNAPPS and how to apply into practice and case discussion including a role play. One clinical faculty in the gastro-intestinal division facilitated students to apply the SNAPPS to patients’ problems at the bedside and interacted with students using the sequence of the SNAPPS. Immediately after finishing 2-weeks rotation, students were re-invited to the post-interview. Participants were protected with personal information and psycho-social damages with agree.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and the author conducted a thematic analysis. Result: Most participants acknowledged several advantages of the SNAPPS method; it helped the students to take more structured assessment of patient problem identification and it also facilitated clinical reasoning process, and setting learning issues by themselves. However, most of them expressed unfamiliarity and concerns in the early phase of this study. Well-adaptive students utilize SNAPPS method by way of clinical reasoning. The steps of 'Narrowing' and 'Analyze' were reported as the most difficult process for students. The students reported several barriers both students themselves and external factors. As students’ factor, they reported unfamiliarity, defensive attitude of themselves to a new method, the SNAPPS and lack of confidence in medical knowledge and application of it. External barriers were identified including in sufficient orientation, burdens of workload, and indifference of other faculty members and residents. Conclusion: The SNAPPS method seems to facilitate and enhance clinical reasoning process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some students. The author explored barriers and challenges in adopting the SNAPPS into our clinical teaching environment. These findings could be used to develop a draft model of Korean version of SNAPPS clinical teaching method. To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methods which can enhance clinical reaso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more supportive and safer clinical teaching environment should be provided to students for allowing them to ‘think aloud’. Keywords: medical students, clerkship, clinical reasoning, self-directed learning 연구배경: 임상추론능력은 의과대학생들이 교육과정을 통해 습득해야 할 필수적인 역량으로서 성인학습이론, 성인인지발달이론, 성찰적 기술학습 이론 등이 이를 뒷받침 하고 있다. 임상추론능력을 의료현장에서의 문제해결에 핵심적이다. 평생학습 및 자기주도학습 또한 급속히 변화하는 의학 지식과 기술 발달에 대응하기 위해 의과대학에서 학생들이 함양해야 할 능력이다. SNAPPS 교수법은 학생들로 하여금 자기주도학습 원리에 바탕 하여 임상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는 임상 교수법으로 각국의 의과대학 연구에서 그 효용을 밝힌 바 있으나 국내에서는 한번도 적용된 바 없다. 본 연구는 다음의 두 가지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SNAPPS 교수법이 선행연구들에서 보이는 효용은 한국 의과대학 교육과정에서도 유효할 것인가? 또한 어떻게 SNAPPS 교수법을 국내 의학교육 환경에 적절하게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인가? 이에 따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임상실습과정에서 SNAPPS 교수법의 적절성을 평가하고, (2) 한국 의과대학 교육 환경에서의 잠재적 장애 요소와 도전과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동일 병원 소화기 내과에서 임상 실습에 임한 총 24명의 의학과 3학년 학생을 연구 참여자로 시행하였다. SNAPPS 교수방법이 적용된 임상실습 교육에 참여하기 직전, 연구팀에서 시행한 반-구조화(semi-structured) 된 사전면담과 SNAPPS교육방법에 대한 재교육을 통해 2차 노출 되었다. 필수임상실습인 내과 중에서 소화기내과 실습(2주 동안 시행) 기간 동안, 해당 교과목 숙련자인 동시에 SNAPPS 교수법을 숙지한 1명의 교수의 지도와 SNAPPS 교수방법이 적용된 임상 실습을 통한 교육 경험은 이후 사후 면담을 통해 성찰되고 해석되는 분석과정을 계획하였다. 결과: 연구 참여자의 과반수는 SNAPSS 교수법의 다양한 효용을 인지하였다. SNAPPS 교수법은 환자의 문제를 명확히 하는데 보다 구조적인 평가를 가능하게 하였으며 임상추론 과정 및 스스로 학습 내용을 선정하도록 촉진하였음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초기에는 대부분의 참여자들이 SNAPPS 교수법에 대해 익숙하지 않음과 우려를 표현했으나 적응한 학생 군에서는 SNAPPS교수법을 임상추론의 도구로 활용함이 관찰되었다. 좁혀들기와 분석하기의 과정이 연구 참여 학생들에게 가장 어려운 단계였다. SNAPPS 적용의 장애물은 학생 내적 및 외적 요인이 발견되었다. 내적 요인으로 새로운 방식에 대한 낯설음과 방어적 태도가 있었으며 외적 요인으로 부족한 준비와 부담감 그리고 지도 교수와 전공의들의 SNAPPS 교수법에 대한 무관심을 들었다. 결론: SNAPPS 교수법은 국내 의학교육 환경에서도 임상추론능력과 자기주도학습에 효용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SNAPPS 교수법의 적용에 있어 연구 참여자인 학생의 내적 요인과 교육환경의 외적 요인이 장애요인으로 확인되었다. SNAPPS 교수법의 한국적 적용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고취 및 의학교육의 질적이고 다면적인 접근, 학습자 중심의 환경이 임상 의학교육을 위해 조성되어야 한다. 중심단어: 의과대학생, 임상실습, 임상추론능력, 자기주도학습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