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 특이적 유전자 프로모터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데이터마이닝 시스템 개발

        황규명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논문은 염색체나 유전자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정리하는 방법이 아닌 신체의 조직별 발현 특성의 유전자 데이터를 기준으로 체계적으로 간 특이적 발현 유전자 데이터베이스를 구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 논문의 간 특이적 발현 유전자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분석시스템 개발을 위해 사람의 간 특이적 유전자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구현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서열 비교 분석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서 LSPD(Liver specific promoter database), TiGER Database(Tissue-specific gene expression and regulation), EPD(Eukaryotic Promoter Database), HUGO Gene Nomenclature Database의 공개된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데이터마이닝 시스템을 이용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웹 기반의 정보 검색 시스템으로 구축하여 사용자가 질의어를 통해 검색하여 유전자의 정보와 transcription factor, EST등을 검색할 수 있다. 서열 비교 분석시스템은 DNA, RNA, Protein의 서열 사이를 비교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사용자가 분석하고자 하는 유전자 서열을 간 특이적 발현 유전자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유전자의 정보와 상동성이 높은 서열들을 알아내어 그 기능을 유추하거나, 관련 있는 서열간의 관련 기능 부위 등을 사용자가 예측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현되었다. This thesis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liver-specific gene expression database based on tissue-specific gene data, not some chromosomes or genes on a chromosome. In order to develop this system that has been founded on liver-specific gene data, I have collected a lot of information on genes expressed specifically in human liver and have finally made the analysis system that utilizes the output database. The main sources from which I have collected the data necessary for this study are several useful public databases such as LSPD (Liver Specific Promoter Database), TiGER (Tissue-specific Gene Expression and Regulation) database, EPD (Eukaryotic Promoter Database), and HUGO Genome Nomenclature database. The biodata mining system that I have developed in this work is a kind of web-based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which allows users to retrieve gene information, transcription factor, and EST etc. by means of various queries. In addition, the system has pairwise sequence alignment utility as a sub-module which makes it possible that the functional information and sites of a query sequence can be inferred with homology information obtained from sequence alignment between the query sequence and entry sequences of the database.

      • 서부 경남 지역의 만성 C형 간염 환자에서 C형 간염바이러스 유전자형의 분포

        이창민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배경: C형 간염 바이러스(HCV)의 유전자형은 인터페론 치료에 대한 반응과 만성 C형 간염의 진행을 포함한 임상경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CV 유전자형의 분포는 지역 및 인종에 따라 다르며, 국내에서는 유전자형 3형이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서부경남 지역의 만성 C형 간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유전자형의 분포와 유전자형 3형에 대한 임상적 특성을 조사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방법: 2004년 5월부터 2008년 3월까지 HCV 항체 양성이면서 HCV RNA를 정량 측정한 31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의무기록의 후향적 검토를 통하여 대상 환자의 인구통계학적 및 임상적 특성, HCV 유전자형, 가능한 바이러스획득 경로를 조사하였다. 인터페론 치료 완료 후 24주 이상 추적이 잘 이루어진 80명을 대상으로 조기 바이러스 반응 (EVR, early virologic response)와 지속 바이러스 반응 (SVR, sustained virologic response)을 조사하여 각 유전자형에서의 치료 반응도 분석하였다. 결과: 총 316명의 만성 C형 간염 환자들 중, 43.7% (138명)이 유전자형 1형이었으며, 47.4% (150명)이 2형이었고, 8.9% (28명)이 3형이었다. 이 28명의 3형 유전자형을 가진 환자들의 가능한 HCV획득 경로는 문신 (22.6%), 피어싱 (19.4%), 수혈 (16.1%), 정맥 약물 사용과 침술 (각각 12.9%)등이 있었다. 28명의 유전자형 3형 환자들 중, 남자가 60.7% (17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40.3 ± 10.4세로서 다른 유전자형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p<0.01). HCV 유전자형 3형의 분포는 매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2004년:5.3%, 2007년:9.7%). 항바이러스 치료 완료 후 24주 이상 추적했던 전체 80명 중 유전자형 3형 환자는 11명으로 EVR는 100%였고, 1형, 2형 환자에서 96.1%, 95.3%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모두에서 치료 종결시 바이러스 반응이 있었다. 그러나 SVR은 유전자형 3형에서 81.8%로 유전자형 2형 (90.7%)보다 낮았으며 유전자형 1형 (61.5%)보다 매우 우수하였다 (p=0.005). 결론: 서부경남 지역에서 만성 C형간염 환자의 유전자형 3형의 빈도는 8.9%로 다른 국내 보고에 비하여 높았으며, 해마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향후 HCV 유전자형의 분포의 지역 및 시간에 따른 변화에 대한 전국 단위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Hepatitis C virus (HCV) genotype has been known to influence the response to interferon therapy and the clinical outcome including disease progression in the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C (CHC). There are geographic and ethnic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HCV genotype. Genotype 3 was reported to be very rare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fine the distribution of HCV genotyp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genotype 3 among the patients with CHC in West Gyeongnam province of Korea. Method: Three-hundred and sixteen patients who had antibody to HCV and HCV RNA were collected during May 2004 through March 2008. The author investigated the demographic data, HCV genotype, possible risk factors for acquiring HCV, and response to antiviral response (early virologic response, EVR & sustained virologic response, SVR) by retrospective review of the patients' medical records. Results: Among 316 patients with CHC, 43.7% (138) had genotype 1; 47.4% (150) had genotype 2; and Genotype 3 accounted for 8.9% (28). The frequency of HCV genotype 3 increased gradually from 5.3% in 2004 to 9.7% in 2007. Among 28 patients with genotype 3, 60.7% (17) was male. The patients with genotype 3 were younger than ones with genotype 1 or 2 (40.3 ± 10.4 vs. 53.8 ± 13.2/53.9 ± 12.1 years, p<0.01). The common possible risk factors for acquiring HCV were tattooing (22.6%), ear piercing (19.4%), transfusion (16.1%), injection drug use (12.9%), and acupuncture (12.9%). Twenty-one out of the 28 patients with genotype 3 started to receive antiviral therapy and 11 completed 24 weeks of interferon and ribavirin therapy. Among 80 patients with CHC followed for 24 weeks after completion of antiviral therapy, 11 had genotype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VR among the genotype 1, 2, and 3 (96.1% vs. 95.3% vs. 100%, respectively). However, the genotype 3 showed 81.8% of SVR which was lower than that of genotype 2 (90.7%) and higher than that of genotype 1 (61.5%) (p=0.005). Conclusion: The frequency of HCV genotype 3 in the West Gyeongnam province i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those in the previous Korean reports. It showed a gradual increase with the passing of the years. These findings suggest a possible chronologic difference as well as geographic and ethnic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HCV genotype. The close supervision on tattooing or piercing should be required. Further nationwide organized study on the geographic distribution and chronologic change of HCV genotype should be warranted.

      • 유전자변형 식품의 위험인지와 위험수용성에 관한 연구 : 전문가와 일반인의 시각차이를 중심으로

        김은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전세계적으로 유전자변형 식품은 해마다 생산이 급증하고 있으나, 인체 및 환경에 대한 부작용의 개연성을 증명하는 연구결과가 없고, 안전성을 평가하는 통일된 방법이 마련되지 않아 유전자변형 식품에 대한 안전성 논란은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본 연구는 유전자변형 식품에 대한 전문가와 일반인의 위험인지와 위험수용성에 대해서 실증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전자변형 식품에 대한 전문가 집단과 일반인간의 위험인지의 하부 개념 즉 위험의 이익, 위험의 심각성, 위험의 통제가능성이 모두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세 가지 변수의 평균으로 구성된 위험인지 역시 전문가와 일반인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전문가 집단이 일반인보다 유전자변형 식품을 덜 위험하게 인식하였다. 둘째, 유전자변형 식품에 대한 전문가 집단과 일반인간의 위험수용성의 하부 개념 즉 윤리적 수용성, 경제적 수용성, 기술적 수용성 모두 두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세 가지 변수의 평균으로 구성된 위험수용성 역시 전문가와 일반인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전문가 집단이 일반인보다 유전자변형 식품을 더 수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전자 변형식품에 대한 위험인지 요인과 위험수용성 요인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유의수준 0.01에서 모든 요인들간의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p<0.01). 전체적으로 위험인지 요인과 위험수용성 요인간에는 비교적 강한 부(-)의 상관관계(-0.746)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전자변형 식품에 대해 위험하다고 인식할수록 수용하는 정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위험인지가 위험수용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우선 유전자 변형식품에 대한 윤리적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지 요인은 위험의 이익과 위험의 통제가능성이었다. 다음으로 위험의 경제적 수용성에 위험인지의 세 가지 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문가는 위험의 통제가능성, 위험의 심각성, 위험의 이익 순으로 설명력이 높았으며, 일반인은 위험의 이익, 위험의 심각성, 위험의 통제가능성 순으로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 번째는 기술적 수용성으로 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지 요인은 위험의 이익, 위험의 심각성, 위험의 통제가능성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유전자 변형식품에 대한 기술적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지 요인은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전문가는 위험의 기술적 수용성에 위험인지의 세 가지 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반인은 위험의 이익과 위험의 통제가능성만이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위험수용성 요인을 모두 포함한 위험수용성에는 위험인지의 세 가지 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문가는 위험의 통제가능성, 위험의 심각성, 위험의 이익 순으로 설명력이 높았으며, 일반인은 위험의 이익, 위험의 통제가능성, 위험의 심각성순으로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앞의 연구에서 일관적으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은 위험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지 요인 중, 전문가 집단에 있어서는 위험의 통제가능성이, 일반인에게 있어서는 위험의 이익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전자변형 식품에 대해서 전문가 집단이 바로 과학자 혹은 전문가이기 때문에 유전자변형 기술과 관련하여 그 것이 가져올 수 있는 위험을 통제할 수 있는가가 위험 수용성 판단에 중요한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일반인에게 있어서는 위험의 이익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일반인이 소비자로서 유전자변형 식품이 주는 이익에 대해서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일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전문가와 일반인들간에 유전자변형 식품에 대한 위험인지와 위험수용성의 차이는 사회적으로 낭비가 되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즉 유전자변형 식품이 정말 안전하지 않고 생태계나 인체에 유해하다면, 식품을 먹는 인간이나 생태계의 여러 생물체에게는 좋지 않는 영향만 발생시키면서 다국적 기업의 이윤추구에 대상이 되는 것이다. 반면 유전자변형 식품이 인체에 무해하며 환경에도 우려할 만한 부작용을 가져오지 않는다면, 이는 값싸고 질 좋은 식품을 먹을 수 있는 기회를 잃어버리는 것이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공정한 입장에서 유전자변형 식품에 대한 정보를 일반인들에게 제공하고 일반인들의 우려를 낮추어야 할 것이다. 한편 일반인들도 무조건 위험하다고 회피할 것이 아니라 올바른 정보를 제공받아 의사결정을 내려야 할 것이다. 이번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먼저, 유전자변형 식품에 관한 설문을 함에 있어서 일반인의 경우 유전자변형 식품에 대해서 전무한 사람들은 조사대상자에 포함될 수 없었다. 두 번째로 유전자변형 식품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려면 매우 단순한 질문 밖에 할 수 없었으며 설문내용도 심층적으로 위험인지와 위험수용성을 측정하지 못했던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일반인들이 잘 알지 못하는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답을 표시하여 결국 위험인지 조사결과에 큰 오류를 낳게 할 수도 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적절한 연구방법이 나오기 전까지는 이러한 조사 설문과정상에 나타나는 한계는 어느 연구에나 조금씩 포함된 것이라고 인식하고 이번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연구의 함의 및 정책적 시사점을 두 가지로 제시해 볼 수 있다. 첫째, 실제로 유전자변형 식품에 대한 전문가와 일반인의 위험인지와 위험수용성의 차이를 알아볼 수 있었다. 특히 GMO환경 안전성 평가 분야에서 연구하는 전문가 고한규씨는 개발되는 유전자변형 식물이 생태계에서 잘 적응할지에 대해서는 자연계 스스로가 이를 결정하며, GM에 대해서는 일반인이 걱정할 정도의 위험요소가 되고 있지 않다고 하였다. 오히려 폭발적인 인구증가는 GMO의 연구를 가속화시킬 것이라고 하였다. 한편 일반인들은 전문가에 비해서는 다소 위험인지 수준이 높고, 위험수용성이 다소 낮더라도 유전자변형 식품이 기술로써 앞으로 발전하는 것에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따라서 지속적인 기술 발전에 대해서는 일반인들이 필요로 하는 유용한 물질을 연구개발, 생산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둘째, 이번 연구에서는 위험인지와 위험수용성간에 강한 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통해 정책의 시사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즉 일반인들과 전문인들간에 위험인지, 위험수용성 측면의 차이에 대해서, 일반인들에게 유전자변형 식품이 가지는 이익에 관한 정보를 더 많이 제공하여 최소한 무지에서 오는 GM 식품에 대한 위험을 일반인들에게 해소시켜야 한다.

      • 유전자 차별금지 법제도 개선방안 : 비교법제도론적 고찰을 중심으로

        김상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study objective is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act to prohibit genetic discrimination in Korea. This study was founded on the question of why genetic discrimination should be prohibited. In an ensuing discussion on the subject, the question was approached from three logical perspectives and involved the application of key ethical concepts, including distributive justice and the eugenic implications of new genetics. A genetic test process was applied using the four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The different opinions on genetic discrimination were presented, especially regarding the concerns of genetic testing, the perception of genetic information, and legislation, which were demonstrated by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with employers, insurers, employees, and medical doctors. Genetic discrimination was rarely experienced in Korea. By contrast, the individuals in other countries had a lot of experiences with, fears of, and had coped with genetic discrimination. It was determined that an act that prohibits genetic discrimination should be established in Korea, based on the cases of genetic discrimination in the employment and insurance sectors. Several suggestions for legislation of the prohibition of genetic discrimination were proposed, based on the application of general legislation principles and standards. The proposal is that a new, independent law that prohibits genetic discrimination needs to be established in Korea, similar to the Genetic Information Nondiscrimination Act of 2008 (USA) and the Act to Prohibit and Prevent Genetic Discrimination (Canada). General business transactions, other than those pertinent solely to the employment, insurance, and educational sectors, need to be added, with special provisions. The act should incorporate specific regulations, rather than general ones.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new legislation to prohibit genetic discrimination, it is expected that penalties for violations would need to be determined and applied. Organizations similar to that of the German Ethics Council on genetic diagnostics would need to be founded. Prior to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act prohibiting genetic discrimination, raising public consciousness about the issue would need to be effected through the dissemination of educational literature and awareness campaigns. With the development of cutting-edge biotechnology, the further development of genetic research and genetic testing often results in the unintended social consequence of genetic discrimination. If the increase and expansion of genetic testing are the demand of the present day, we must regularly study the ethical, legal, and social implications of genetic discrimination. 본 연구는 왜 유전자 차별이 금지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물음에서 시작하여 이에 대한 논리적․윤리적 근거를 제시하고, 유전자 차별의 국내외 현황 파악을 통해 우리나라의 유전자 차별금지법 제정을 위한 제안을 하고자 한다. 유전자 차별이 금지의 논리적 근거로는 예외주의, 표현주의, 인권주의 시각을 들었고, 윤리적 근거로서 롤즈의 분배적 정의와 새로운 유전학의 우생학적 함의를 검토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체로 유전자 차별에 대한 인식이 낮고, 이해당사자들은 유전자 검사 관심, 유정정보에 대한 인식, 입법화에 대해 각각 다른 견해를 보여주었다. 이에 비해 국외에서는 유전자 차별경험, 유전자 차별에 대한 두려움 및 대응 면에서 유전자 차별에 대한 인식이 비교적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고용 및 보험 영역에서의 유전자 차별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 유전자 차별금지법의 제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입법화의 원칙과 기준에 따라 우리나라 유전자 차별금지의 입법화를 위해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첫째, 우리나라의 유전자 차별금지법은 독립된 단독법안으로 새로 제정될 필요가 있다. 둘째, 차별금지 영역으로는 시대적 변화를 고려하여 고용, 보험, 교육 영역 외에 일반거래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야 하되 각 영역별로 반드시 구체적인 사항을 명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일반적 차별금지법 보다는 특수적 차별금지법을 제정하는 것이 실효성이 더 클 것이다. 넷째, 유전자차별 금지법을 제정할 경우 반드시 위반시 제재가 뒤따라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남녀고용평등법에 준하는 5년 이하 징역, 3천만 원 이하 벌금이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우리나라에도 독일의 유전자진단위원회와 같은 독립적인 심의기구가 설립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유전자 차별에 대한 의식고양이 선행되어야 한다.

      • 유전자원 출처공개 및 보호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한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곽육보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유전자원은 실제적 또는 잠재적 이용 가치가 있는 유전정보로써, 모든 생물이 지니는 자신의 유전현상을 표현한다. 유전자원은 생물다양성의 보호와 생물과학의 발전과 관련되어 있어 유전자원의 보호는 세계 각국이 대면해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 본 논문은 한국법, 중국법 및 국제협정의 유전자원 보호에 관한 이론적 기초와 실제 문제를 분석함으로써 유전자원 보호에 관련 규정의 개선방안을 연구한다. 1980년대 이후 생명과학 분야는 유전자공학의 대두와 함께 크게 변화하고 생명과학을 핵심으로 한 현대 바이오 기술의 발전과 응용도 크게 진보하였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국제사회에서는 생물과 유전자원 및 관련 전통지식에 대한 관리와 보호인식이 점차 강화되고 있다. 생물다양성협약의 3대 목적 중 󰡒발생하는 이익을 제공자와 이용자가 서로 공정하고 공평하게 공유하도록 한다󰡓는 목적을 이행하기 위해 채택된 나고야의정서는 당사국들에게 동 의정서의 성공적인 국내이행을 위하여 적절한 입법적, 행정적 또는 정책적 조치를 취하도록 하고 있다. 나고야의정서는 생물유전자원과 관련 전통지식까지 ABS에 포함하고 유전자원 접근 시 사전통보승인이 필요하며 유전자원 접근과 이익공유에 대해 유전자원 제공자와 이용자 간에 상호합의조건의 체결이 필요하다고 규정하였다. 생물다양성협약에 참여하는 중국, 브라질, 인도 등 개발도상국들은 출처공개제도를 도입하였다. 중국의 전리법 및 전리법 실시세칙 등에 따르면 유전자원 발명이 특허출원을 청구할 때 출원인은 청구서에 출원하려고 하는 발명이 어떠한 유전자원을 의존하여 창조되었는지 설명하고 출처공개 등기표를 작성하여야 한다. 이러한 출처공개제도를 두고 있지만 중국은 아직 이익공유, 벌칙 등에서 아직 미흡한 점이 있다. 한국은 중국처럼 출처공개제도를 도입하지 않았지만 나고야의정서의 국내 이행을 위하여 2017년에 「유전자원 접근 및 이익공유에 관한 법률」을 마련하였다. 한국은 주로 유전자원을 이용하는 이용국의 입장에서 유전자원의 접근 및 이익공유 조치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한국은 다른 국가의 유전자원을 이용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의 유전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유전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하여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법률과 국제협정 등을 통하여 유전자원을 보호하고자 한다. 생물다양성협약 및 나고야의정서에서 추구하는 이익의 공정하고 공평하게 공유하는 목적을 이행하기 위하여 많은 국가는 출처공개제도를 도입하였다. 이러한 세계적 흐름에 맞추기 위하여 한국에서 출처공개제도를 도입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구체적인 도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중국에서 이미 시행되고 있는 출처공개제도와 이익공유에 관한 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Genetic resources" means genetic material of actual or potential value where genetic material means any material of plant, animal, microbial or other origin containing functional units of heredity. Genetic sources are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biodiversity and the development of bioscience, so the protection of genetic sources is an important issue that countries around the world must face. Analyzing of the theoretical basis and practical problems of genetic resource protection in Korean law, Chinese law and international agreements, this thesis studies measures to improves regulations related to genetic resource protection. Since the 1980s, the field of life science has changed significantly with the rise of genetic engineering, an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odern biotechnology centered on life science have also advanced significantl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management and protection awareness of living things, genetic resources, and related traditional knowledge are gradually being strengthened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mong the three purposes of the Biodiversity Convention, the Nagoya Protocol, adopted to fulfill the purpose of ensuring that providers and users share the profits fairly and fairly with each other, requires the parties to take appropriate legislative, administrative or policy measures for the successful domestic implementation of the protocol. The Nagoya Protocol stipulated that bio-genetic sources and related traditional knowledge are included in ABS, prior notification approval is required for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mutual agreement conditions are needed between genetic resource providers and users for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benefit sharing. Developing countries such as China, Brazil, and India participating in the Biodiversity Convention have introduced a source disclosure system. According to China's Ionization Law and Ionization Law enforcement Rules, when a genetic resource invention claims a patent application, the applicant must explain what genetic source the invention is trying to apply for in the claim and fill out a source disclosure registration form. Although such a source disclosure system is in place, China is still lacking in benefit sharing and penalties. Although Korea did not introduce a source disclosure system like China, the "Act on Access to, Utilization and Benefit-Sharing of Genetic Resources" was established in 2017 to implement the Nagoya Protocol in Korea. In Korea, research on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benefit-sharing measures has been mainly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countries using genetic resources. However, Korea has various types of genetic resources as well as using other countries' genetic resources, so research to protect them should also be conducted. In this thesis, I intend to protect genetic resources through laws and international agreements between Korea and China. In order to fulfill the purpose of fair and equitable sharing of interests pursued by the Convention on Biodiversity and the Nagoya Protocol, many countries have introduced a source disclosure system. In order to keep up with this global trend, we would like to identify problems that may arise when the source disclosure system is introduced in Korea and present a specific introduction plan. It also proposes ways to improve the source disclosure system and benefit sharing system already in place in China.

      • Method development for preparation of DNA/nanocomplexes useful in delivering genetic materials into cells : 유전자의 세포내 도입을 위한 나노 미립자 복합체의 개발에 관한 연구

        이경화 Graduate School of Sejong University 2004 국내박사

        RANK : 247807

        Ca-phosphate/DNA복합체를 이용하여 특정 유전자를 세포 내에 도입하는 기술은 1973년 Graham F.L와 Van der Eb에 의해 개발되어 사용되기 시작한 이후로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이 유전자 도입 기술은 유전자 치료와 유용 단백질 생산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핵심적인 기술로 사용되고 있는데, 특별한 장비나 재료가 필요한 것이 아니고, 간단하게 복합체를 만들 수 있고, 또한 비교적 높은 유전자 도입률을 얻을 수 있어, 유전자 도입에 폭 넓게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미세한 제조환경의 변화에 따라 복합체의 유전자 도입률이 급격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데에 많은 제약이 있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Ca-phosphate/DNA 복합체의 제조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써, 유전자 도입률을 향상시키고 제조환경의 미세한 변화에 대해서도 안정적인 복합체 제조 공정을 개발하여 인공조직 및 장기의 유전자치료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연구 목적을 두었다. Ca-phosphate/DNA 복합체를 이용한 유전자도입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해 세포의 농도, CaCl2 농도, HBS (HEPES buffer) 농도, DNA 농도, 복합체 제조 시간과 제조 온도 및 pH 등을 최적화하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또한, 대량의 Ca-phosphate/DNA 복합체 생산과 장기간 보관을 위한 저장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여 유전자 도입률을 1주일 이상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기존의 Ca-phosphate/DNA 복합체 제조 기술을 활용할 경우의 유전자 도입률의 최대화와 복합체의 저장이 가능하게 되었으나, 근본적으로 기존의 방법이 가지는 불안정성의 요소가 극복되지는 않은 상황이었다. 따라서, 기존의 제조법이 갖는 불안정성을 극복하는 새로운 제조법을 탐색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안정적이며 높은 유전자 도입률을 가지는 새로운 Ca-phosphate/DNA 복합체 기술을 개발하게 되었다. 새롭게 개발된 기술은 여러 가지 종류의 세포로 유전자 도입이 가능하며, 안정적인 유전자 도입률을 유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기술은 Ca-phosphate 입자를 우선적으로 제조하는 것에 기초를 두고 있다. 제조된 Ca-phosphate 입자를 포함한 용액에 DNA의 분산용액을 첨가하면 DNA가 입자표면에 흡착되어 Ca-phosphate/DNA 복합체가 만들어지고 이것을 세포에 도입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는데, 이것은 입자를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입자에 흡착되는 DNA 양을 다양한 시간의 범위에서 측정하여 그 동력학적 특성을 살펴 보았으며, 새로 개발된 Ca-phosphate/DNA 복합체 방법과 lipofectamine과 같이 기존에 산업체에 의해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유전자전달체들과의 비교 실험을 통해, 본 연구팀이 개발한 방법이 경쟁력 있는 유전자 도입률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Ca-phosphate/DNA 복합체 입자의 크기는 유전자 도입률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수십 나노미터 크기의 작은 복합체가 세포내로의 유전자 도입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작은 크기로 분쇄 시킨 Ca-phosphate 입자는 시간이 지나면 다시 응집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응집 현상은 유전자의 도입률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입자를 작은 크기로 유지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개발이 필요하였고, 그 결과 BSA (Bovine serum albumine)와 같은 단백질을 입자에 흡착시켜 입자들끼리 응집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었으며, 반면에 유전자 도입률에는 변화를 주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목적하는 세포에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유전자를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인공조직 및 장기를 활용한 유전자치료 연구가 더욱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a-phosphate precipitation technique has been one of the most common methods to introduce genetic information into a variety of cells. This is an effective non-viral gene delivery system but is also widely used to produce viral vectors in industries. However, since a narrow window of parameter values used for Ca-phosphate/DNA complexes preparation influences the transfection efficiency dramatically, the outcome differs among research groups. Therefore, through it is a simple and economical transfection method, acquisition of reproducibility has been a major issue, when the Ca-phosphate/DNA precipitation technique is used particularly in a large-scale transfection. In this study, key parameters for preparation of Ca-phosphate/DNA complexes were examined, and optimized for stable high transfection efficiency, which is an essential in gene therapy applications. To secure the reproducibility for large-scale applications, the effects of long-term storage of the Ca-phosphate/DNA complex were also examined. The DNA complex particles were suspended in the culture medium and sto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Full scale transfection efficiency maintained for a week when Ca-phosphate/DNA complexes were stored at 4℃, but dropped to a half from the beginning of storage at -20℃. In the newly developed method, DNA is added to the solution containing the pre-formed particles to produce Ca-phosphate particles with adsorbed DNA. Transfection efficiency obtained from these complexes was compared to those obtained from conventional reagents, Lipofectamine and Polyfect. In order to increase the transfection efficiency, sodium butyrate, chloroquine, glycerol, and DMSO were added during transfection, and their effects as elicitors were confirmed. Transfection to different cell lines was examined and showed cell line-dependent pattern. Transfection efficiency was particle-size dependent. As size of particles increased, transfection efficiency decreased. Since particle size could be controlled as small as less than 20 nm and trasfection efficiency was maintained high, this newly developed preparation method of Ca-phosphate/DNA complex seemed to be a useful tool for large scale transient trasfection used in gene therapy applications.

      • 후보유전자 접근법을 통한 사상체질 연관유전자 탐색

        유현주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유전적 특성을 지닌 체질의 객관적 진단을 위해 체질 간의 차이를 규정 하는 유전인자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상체질 간에 차이가 특히 높은 발한현상을 대상으로 후보유전자 연구법(candidate gene approach)을 통해 체질연관 유전자를 찾고자 하였다. 발한과 관련이 깊은 유전자 108개를 OMIM 및 BioGrid를 통해 검색하고, 이들의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NP) 542개를 최종 추출하였다. 피실험자 413명(태음인 197명, 소음인 89명, 소양인 127명)의 혈액에서 뽑은 DNA를 체질별로 pooling하고, restrict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RFLP)을 이용한 quantitative melting analysis(QMA)를 통해 SNP의 유전자형 빈도를 측정하였다. 유전자형의 체질별 빈도차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7개 SNP 중 그 차이가 가장 큰 interleukin 6 receptor(IL6R) 유전자의 rs4075015 SNP를 선정하여 추후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 SNP는 음인에 비해 양인에서의 minor allele frequency가 17∼18%정도로 낮았고, 특히 태음인과 소양인 사이에서 빈도차가 두드러졌다. 여러 임상 표현형에 대한 rs4075015 SNP의 유전적 영향을 체질별로 분석했을 때 태음인에서는 BMI(P = 0.0038) 및 간수치와 관련된 alkaline phosphatase(P = 0.033), alanine aminotransferase(P = 0.045), D-bilirubin(P = 0.04)에 대한 영향이 큰 반면, 소음인에서는 alkaline phosphatase(P = 0.0059)만이 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QMA 분석법을 융합한 새로운 후보 유전자 연구법을 통해서 IL6R 유전자의 rs4075015 SNP가 새로운 체질 연관 유전지표임을 밝혔고, 이 SNP의 임상표현형에 대한 유전적 영향이 체질별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체질의 유전적 해석에 대한 교두보를 마련하고, IL6R의 발한 관련성 연구의 기초를 확보하였다. Identification of genetic factors that differentiate the constitution types is demanding not only for objective diagnosis of the Sasang constitution but for provision of scientific rationale to this medical tradition. In order to meet this demand, we set out to search for genes that are involved in making up the Sasang constitution through a candidate gene approach. Since the perspiration patterns are known to be different between constitution types, genes affecting the perspiration patterns were thought to be related with constitution genes. One hundred and eight genes were retrieved from OMIM database using sweat-related keywords and 542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on those generegions were selected based on the haplotype structuresof east Asian population. Genomic DNAs from the blood of 413 subjects (197 Taeumin, 89 Soeumin, and 127 Soyangin) was pooled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al type. The genotype frequencies of the polymorphisms were measured by quantitative melting analysis (QMA) utilizing restrict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formed on the site of the polymorphism. The rs4075015 SNP of the interleukin 6 receptor (IL6R) gene representing the largest discrepancy in allele frequency between the constitutions was chosen for further analysis through individual genotyping among seven SNPs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minor allele frequency of rs4075015 was 17∼18% lower in yangyin than in eumi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aeeumin and Soyangin was more prominent. When analyzing the genetic effect of the SNP on various clinical phenotypes in each constitution, the main effects were on the BMI (P = 0.0038), alkaline phosphatase (P = 0.033), alanine aminotransferase (P = 0.045), and D-bilirubin (P = 0.04) in Taeumin. In Soeumin, only alkaline phosphatase (P = 0.0059) was influenced. In conclusion, rs4075015 SNP on the IL6R gene was identified as a constitution-related genetic indicator using a new QMA-meditated candidate gene approach. It is confirmed that the polymorphism has different influences on the clinical phenotypes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This work establishes a bridgehead for the genetic understanding of constitution to further elucidate the role of IL6R in sweating.

      • 결직장암 환자에서 p73 G4C14→A4T14 유전자 다형성 및 p73 단백질 발현의 연관성 : p73 G4C14-to-A4T14 Polymorphism and Its Relation to p73 Protein Expression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이경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807

        p73은 종양억제유전자인 p53과 구조적, 기능적으로 유사하여 세포의 증식 억제 및 세포자멸사를 유도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정확한 종양 발생 관련 기전은 밝혀져 있지 않다. p73 유전자 다형성과 p73 단백 발현이 종양 발생 및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일부 종양에서 보고되었다. 그러나 한국인 결직장암 발생에서 p73 유전자 다형성 및 p73 단백 발현의 역할에 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종양 발생과의 관련성이 알려지고 있는 p73 G4C14→A4T14 유전자 다형성 (p73 GC/AT 다형성)과 결직장암 발생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p73 단백 발현 정도 및 임상병리학적 인자들 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p73 유전자 표현형 빈도는 동아대학교 의료원 외과에서 수술한 결직장암 주위의 정상 조직 383예와 정상 대조군 혈액 469예에서 중합효소 연쇄반응과 confronting two pair primers (PCR-CTPP)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p73 단백 발현은 결직장암 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을 이용하였다. p73 유전자 다형성은 결직장암군에서 GC/AT형이 44.6%, AT/AT형이 7.6%로 나타나 정상대조군에서 GC/AT형의 36.9%, AT/AT형의 5.3% 보다 높게 나타났다 (p=0.012). 결직장암군에서 p73 유전자형에 따른 결직장암 발병 위험률을 비교해보면, GC/AT와 AT/AT 유전자형이 GC/GC 유전자형에 비해 결직장암 발병 위험률이 높았다 (adjusted OR, 1.46; 95% CI, 1.10-1.94; and adjusted OR, 1.72; 95% CI, 0.98-3.03). 또한 p73 유전자 다형성이 있는 60세 미만의 사람 (adjusted OR, 2.22; 95% CI, 1.39-3.55), 그리고 남자 (adjusted OR, 1.91; 95% CI, 1.31-2.77)에서 결직장암 발병 위험률이 높게 나타났다. p73 유전자 다형성은 60세 미만의 사람이 60세 이상의 사람보다 높게 관찰되었으나 (p=0.03), 성별, 조직학적 유형, 침윤 깊이, 림프절 전이 유무 그리고 Dukes 병기와는 연관성이 없었다 (p>0.05). 종양 조직에서 p73 단백 발현은 총 383명 중 252명 (65.8%)에서 양성으로 관찰되었으며, p73 단백 발현은 p73 유전자 다형성이 있는 경우 (GC/AT+AT/AT)가 200예 중 136 (68.0%)예로 GC/GC 유전자형 183예 중 116 (63.4%)예의 단백 발현율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나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p=0.339). p73 단백 발현을 유전자형에 따라 살펴보면, GC/GC 유전자형은 183예 중 116 (63.4%)예, GC/AT 유전자형은 171예 중 121 (70.8%)예 그리고 AT/AT 유전자형은 29예 중 15 (51.7%)예에서 양성 발현이 관찰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p=0.086). p73 단백 발현 빈도는 종양의 침윤 깊이에 따라 증가하여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0.003), Dukes 병기가 진행될수록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p=0.057). p73 단백 발현 빈도는 환자의 성별, 나이, 조직학적 유형 그리고 림프절 전이 유무와는 연관성이 없었다 (p>0.05). 본 연구에서는 p73 유전자 다형성이 결직장암 종양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종양 조직에서 p73 단백 발현과의 연관성은 찾을 수 없었다. p73 단백 발현 빈도는 종양의 침윤 깊이와 상관 관계가 있어 결직장암의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결직장암을 대상으로 시행한 p73 유전자 다형성에 관한 연구로서 분자 역학 및 분자 병리학적으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다발성골수종 환자에서 MYC 유전자 변이의 임상적 및 유전학적 특징

        민성희 울산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배경: 다발성 골수종에서 유전적 변이는 다발성 골수종의 병태 생리와 그 예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MYC 유전자 변이는 Burkitt 림프종과 여러 B cell 림프종에서 중요한 병태생리적 가치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나쁜 예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서는 MYC 유전자 변이가 병태생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예후인자로서의 가치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FISH(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를 이용하여 다발성골수종에서 나타나는 MYC 유전자 변이의 종류를 살펴보고, MYC 유전자 변이가 있는 다발성 골수종의 임상적 특징과 다발성 골수종에서 나타나는 다른 유전자 변이들과의 관계, Risk stratification stage와의 연관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다발성 골수종에서 MYC 유전자의 예후인자로서의 가치를 예측해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총 82명의 다발성 골수종을 진단 받은 환자의 골수 검체를 이용하여 검사를 진행하였다. 환자군의 평균연령은 62세(38~87세)이고, 남성 52명 여성 30명 이었다. 골수 검체에서 MYC 유전자의 변이는 FISH(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방법을 이용하여 검사하였다 (Cytocell, c-MYC Breakapart Probe and Cytocell, MYC Breakapart Probe). 모든 환자들에 대해서 다발성 골수종 FISH panel(1q, IGH/FGFR3, IGH/CCND1, 13q, IGH/MAF, TP53) 과 염색체 검사를 시행하였다. 환자에서 검사실 검사 결과와 유전자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고, 환자들에 대한 다발성 골수종의 위험도 평가(international staging system (ISS), revised international staging system (R-ISS), Mayo stratification of myeloma and risk-adapted therapy (mSMART), IMWG consensus on risk stratification in multiple myeloma (IMWG))을 진행하였다. MYC 유전자 변이가 있는 환자군과 없는 환자군을 전체 생존율과 1년 생존율로 비교하여 예후를 예측하였다. 결과: MYC 유전자의 변이는 총 35명(42.7%)의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이중 19명(54.3%)의 환자는 유전자의 수적 증가(gain)를 보였고, 15명(42.9%)의 환자는 MYC 유전자의 재배열(rearrangement)이 관찰되었다. 1명(2.9%)의 환자에서 MYC 유전자의 10개 이상의 증폭이 관찰되었다. MYC 유전자 재배열 그룹이 LD와 골수에서의 형질세포 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p<0.05). Plasma cell labeling index(PCLI)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으나(p=0.074) MYC 재배열 그룹이 PCLI가 1을 초과하는 경향을 보였다. MYC 유전자 재배열 그룹은 hypodiploidy 그룹과 유의하지는 않지만 (p=0.055) 전체적으로 서로 연관성이 있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다른 유전자 이상과의 분석에서, MYC 재배열 그룹은 IGH/FGFR3, IGH/MAF 재배열과는 서로 배타적으로 존재하였다. MYC 유전자의 변이는 여러 가지 위험도 평가방법들과는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P>0.05), MYC 재배열 그룹과 불량한 예후를 보인다고 알려진 고위험군 유전자 이상그룹(IGH/FGFR3, IGH/MAF, TP53 deletion)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1q gain이 있는 그룹에서 MYC 재배열의 양성과 음성인 군간의 비교에서, MYC 재배열 양성군이 혈색소 수치와 LD값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MYC 유전자의 재배열이 있는 환자군은 전체 생존율에서는 MYC 유전자 이상이 없는 환자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145), 1년 생존율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서 MYC 유전자의 변이는 다양한 형태를 보였으며 IGH/FGFR3, IGH/MAF 재배열과 같은 유전자 변이와는 독립적으로 존재하였다. 높은 LD값, 골수내 형질세포 분율, 높은 PCLI 는 MYC유전자의 재배열이 다발성골수종에서의 악성 형질세포의 과도한 증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대상 환자수가 적고 추적기간이 짧았지만 MYC유전자 재배열을 가진 환자들이 낮은 1년 생존율을 보여 MYC 유전자 재배열이 다발성골수종에서 불량한 예후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MYC 유전자 재배열을 검출하는 FISH 검사를 다발성골수종의 FISH 패널검사에 포함시키는 것을 제안한다. Introduction: MYC gene rearrangement is frequently observed in non-Hodgkin lymphoma including Burkitt lymphoma and aggressive B-cell lymphomas. However, only a few studies have been recently conducted on MYC gene rearrangement in multiple myeloma (MM).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MYC gene aberrations and their correlation with other genetic abnormalities. Methods: A total of 82 patients with MM were examined at the time of diagnosis. The median age was 62 years (range, 3887); the study included 52 males and 30 females. We performed the Immuno-FISH using MYC breakapart probe in bone marrow samples.Chromosomal analysis and MM FISH panel for 1q, IGH/FGFR3, IGH/CCND,13q, IGH/MAF, and TP53 were performed on all patients. We also analyzed laboratory data and MM scoring results (International Staging System, Revised International Staging System, Mayo Stratification of Myeloma and Risk-Adapted Therapy, and IMWG Consensus on Risk Stratification in Multiple Myeloma). Results: MYC gene aberrations were detected in 35 (42.7%) patients. Nineteen patients (54.3%) had gain in MYC gene copy number. MYC gene rearrangements were detected in 15 patients (42.9%). One patient showed MYC gene amplification more than 10 copies. MYC gene rearrangements showed higher LD level and higher plasma cell proportion in bone marrow examinations (p<0.05). Patients with MYC gene rearrangements showed tendency to high plasma cell labeling index (p=0.074). Patients with MYC gene rearrangements had a relation of hypodiploidy (p=0.055). MYC gene rearrangements did not accompany IGH/FGFR3 translocation and IGH/MAF translocation. MYC rearrangements or gains were not associated with any scoring system (P>0.05). In patients with 1q gain, patients with MYC gene arrangements showed higher LD level (p<0.05). Though, hemoglobin levels were lower in patients without MYC gene rearrangements (p<0.05). MYC gene rearrangement showed lower 1 year survival rate (p<0.05). Whereas, overall survival rate did not show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s: MYC gene rearrangemen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lasma cell proportion in bone marrow, suggesting that MYC gene play a role in excessive proliferation of neoplastic plasma cells. The relationship between MYC gene rearrangement and poor prognostic factors such as high LD, high plasma cell proportion, and high plasma cell labeling index, could be an evidence of negative prognostic influence of MYC gene rearrangement. MYC gene rearrangement were associated with worse 1 year survival rate. The finding suggest MYC FISH should be included in multiple myeloma FISH panel.

      •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경로의 탐색

        조원혁 명지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교통량의 증가로 인해 첨단 ITS(지능형 교통 체계 : Intelligent Transport System)연구가 중시되고 있으며 활발한 연구가 되고 있다. 또한 이중 차량 내에 탑재하여 각종 정보제공과 자동차의 자동운행의 역할을 맡게 될 자동차의 자동항법장치(navigator)의 연구도 주목받고 있다. 최적 경로 탐색 문제는 이러한 자동항법장치에서 필수적인 문제로 이를 위한 이제까지 대표적인 알고리즘으로 Dijkstra 알고리즘이나 A^*알고리즘, 또는 그에 대한 변형으로 양방성의 알고리즘들이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광범위한 도로망과 실시간으로 다변화하는 도로통과 여건을 고려하는 도로망의 문제에서는 탐색 소요시간면이나 알고리즘의 견고성의 입장에서는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알고리즘들에 대한 새로운 방법으로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s)을 제시하였다. 유전자 알고리즘은 자연계의 진화에서 영감을 얻어 최적화 및 탐색 알고리즘이다. 유전자알고리즘은 후보해들을 표현한 염색체들의 집단을 가지고 동작한다. 계속적인 세대가 지남에 따라 경쟁(적자생존)과 재생산 및 돌연변이에 의해 세대의 진화, 즉 좋은 해로의 탐색이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유전자 알고리즘을 최적경로 알고리즘에 적용하기 위해 부호화 방법, 적합도 함수, 재생산의 방식, 유전 연산자(교차, 돌연변이, 루프제거 연산자)등을 제시하고 있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시된 알고리즘과 다른 알고리즘과의 성능비교와 고찰을 하고 있다. Recently researches on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has been focus of attention due to the problems caused by increasing traffic. The study of car navigation system, as one of major contributions in ITS, has been conducted to provide users with useful traffic information. Finding optimal path is crucial ingredients to the car navigation system. There are several algorithms available' for the problem such as Dijkstra algorithm, A* algorithm and other bidirectional methods. However it is not easy to apply these algorithms to the problems because the rapidly changing conditions as well as the computational burden should be overcome. In this thesis, a new genetic algorithms(GAs) is proposed to address the problem. GAs are search algorithms based on the mechanics of natural selection and genetics. The basic idea is to maintain a populations of knowledge structures that represent candidate solution to the current problem. The population evolves over generation through competition (survival of fittest) and controlled variation (recombination and mutation). To apply GAs to searching optimal path, several schemes which include coding method, fitness function, reproduction method, genetic operator(crossover, mutation, loop_remove)are proposed. And simulation is performed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algorith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