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상현 Univ. of Iowa 1991 해외박사
이차원적으로 간단히 구성한 인공심장모델의 정상상태에서의 층류 및난류유동을 수치해석에 의 하여 고찰하였다. 심실내 혈류유속이 최고로 되는이완기상태에서 구성한 심실 모델의 유출구에는레탄 삼첨판막을설치하였고 유입구에는 삼첨판과 일첨판 두가지 모델을 설정하여 수치해를구하여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카티젼좌표에서 유한분석법을 이용하여지배방정식의 해를 구하였는데 난럽�k-ε-E 모델을 이용하였다. 수치해를 구하기위한 알로리즘으로 SIMPLER 방법을 계산하였다. Re수는 유입관의 지름과 평균유입 속도를 기준으로 층류계산에서는 600,난류계산에서는 6000에서 갭�구하였다. 수치해석 결과에 의하면심실내의 상대적 정체지역이나 와류현상이 유입구에 삼첨판할 때 보다일첨판을 설치할 때 덜 일어났다. 따라서 유입구에 일첨판을 설치할 경우심실내의 혈씩廢걷�이루어져서 혈전침전의 원인을 줄일 수 있다는사실을 알 수 있다. 심실내의 유입구부근에류전단응력 역시삼첨판보다는 일첨판에서 작은 값을 보여주었다. 이 결과는 인공심장내에서높은 단응력이 일어나는 지역과 혈전이 생기는 지역과 서로 밀접한연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여본 연구에서 계산한인공심장내에서의 혈류모양과 난류전단응력은 실험적으로 구한 값들과 근접한보여주었다. 수치해석에 의한 심실내 유동분석은 결과적으로 일첨판이삼첨판보다 혈역학적으로 였�사실을 증명하였다.
서울 등 대도시의 경우 자동차 배기가스가 전체 대기오염 배출량 중 80%(가솔린 및 디젤 자동차 배출가스)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는 환경부의 보고가 있었다.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대기오염문제의 심각성 때문에 환경 오염물질 배출규제를 위한 법규를 강화하고 있으며, 자동차 배기가스 검사 방법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감독하기 위해 새로운 환경오염 제도를 도입 하고 있다.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배출가스는 연소실에서 연소한 연료가 연소하여 고온 고압의 가스가 배기관을 통하여 배출 되는데 그 내부에는 많은 유해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취지로 우리나라도 선진국에서 환경오염규제목적으로 시행하는 운행차 배출가스 정밀검사를 2002년 5월부터 광역시를 비롯한 인구 50만 이상지역에서 현재 시행하고 있으며, 매년 확대 시행하여 2~3년 후에는 전국적으로 시행할 예정으로 있다. 이러한 일련의 조치는 환경오염이 자동차 배출가스에서 기인하며, 운행 자동차인 경우 배출가스억제 방침으로 자동차의 철저한 점검 및 정비가 유해 배출 가스양을 줄이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실험하고 자료를 분석 하였다. In large cities such as Seoul, automobile discharged gas takes up 80% of the atmosphere contamination as repor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Currently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are strengthening laws and regulation against environment contaminating substance discharge regulation due to the seriousness of the contamination problem of the atmosphere, and introduced new environmental pollution system in order to effectively manage and supervise method of automobile exhaust gas. The discharged gas from automobile gets discharged through discharging pipe as high pressurized combust gas as they get combust in the combustion area, and this contains various harmful materials. For this effect, our country will enforce same vehicle discharge gas inspection as the developed countries with the purpose to environmental pollution regulation starting from May 2002 against cities with over 500,000 residents such as a big city. It also will be expanded every year, and after 2-3 years it will be carried out through out the whole country. These series of measures has been experimented and the results has been analyzed in the aspect which, environmental pollution are caused by discharged gas by automobile, and in the case of operating automobile, through restraining discharging gas policy the amount of discharged toxin gas will be decreased thorough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the automobile.
이동평균법을 이용한 플러그인 타입 전동차 출입문의 고장예측에 관한 연구
김상현 한국교통대학교 교통대학원 2020 국내박사
도시철도에서 전동차는 고정된 편성으로 1편성에 4량부터 10량까지 다양하게 노선별로 승객 수요에 맞추어 운행되고 있다. 전동차는 크기별로 대형, 중형과 경전철로 나누어진다. 대형 전동차는 1량당 승객 정원이 150% 승차기준 212명으로 1편성 6량 기준으로 1,272명이 승차하게 된다. 전동차 운행 중 발생하는 고장의 12%는 출입문 시스템 고장으로 조치방법은 승객을 하차 후 차량기지로 전동차를 입고하여 사후검사 및 시험 후 운행을 재개하게 된다. 승객을 하차하고, 조치하는 과정에서 전동차가 지연 운행됨에 따라 다음역 부터 승차, 하차 대기 승객의 불편이 발생하게 되며, 특히 출퇴근 시간에는 승객 증가로 불편이 가중되며, 민원 발생이 증가한다. 출입문 시스템을 분류하면 구동장치는 공기식과 전기식으로 분류되고, 패널구조는 포켓 슬라이딩, 아웃 슬라이딩, 플러그인으로 분류된다. 플러그인 출입문을 장치별로 분류하면 제어장치, 설비장치, 패널과 회전부 장치, 비상핸들 장치, 안전장치로 분류되며, 고장 유형을 보면 단품 고장이 발생하는 장치는 제어 장치, 비상핸들 장치, 안전장치이며, 설비장치, 패널과 회전부 장치는 구동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다른 장치와 복잡하게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장치로 열림, 닫힘 시 각종 부품의 동작 과정에서 승객으로부터의 외부충격 및 차량의 진동 등에 따라 연결부가 조금씩 변형되면서 부품의 이상 마모 등에 의해 고장이 발생하게 되며, 조치방법 또한 다양하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도시철도 전동차 출입문 시스템에서 구동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다른 장치와 복잡하게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장치의 고장을 예측하기 위해 전기식 출입문 중에서 가장 복잡한 구조를 가진 플러그인 출입문의 구동 모터 전류량 변화를 분석하여 기계적 고장을 예측하기 위한 연구이다. 고장예측을 위해 첫째, 플러그인 출입문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 및 감시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또한, 년도 별로 필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동차 운행 중 발생한 출입문의 이상 동작에 의한 사후검사와 지연고장 건수를 분석하였다. 둘째, 2014년까지 수집한 출입문 관련 사후검사 및 지연고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후검사에서 발생한 불량 부품의 마모율, 손실률을 측정하여 부품의 마모로 인한 이상 동작 시점을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를 기반으로 고장을 예측할 수 있도록 출입문 열림, 닫힘 동작 시 출입문 패널과 회전부 장치에서 외부충격 또는 기계적 마모에 따라 변화하는 구동모터 전류량을 검출하여 정상 동작 시 보다 일정 수준 높게 되면 이상 동작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고장예측 기준 파형을 설정하였다. 고장예측 기준 파형을 사후검사에 적용한 결과 출입문 이상 동작을 모두 검출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용 후 신뢰성에 대해 와이블 분포 분석 결과 신뢰수준 90%에서 더 좋을 확률은 85.93%로 분석되어 신뢰성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출입문 설비장치, 패널과 회전부 장치 등 출입문 설비장치 불량에 의한 열차 지연고장은 적용 전보다 많이 감소하였으나, 일부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의 정상 동작하는 출입문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고장예측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고장예측 알고리즘의 높은 신뢰성을 얻기 위하여 이동평균 데이터 분석 방법을 통해 고장을 예측할 수 있는 고장예측 기준을 설정하였다. 새로운 알고리즘은 모터 전류 분석을 통한 고장예측 방법에서 부족하였던 모든 상황에서 이상 동작을 잘 검출하였다. 플러그인 타입 전동차 출입문은 구동 모터에 의해 기계적 인터페이스 과정을 거쳐 열림, 닫힘 과정을 반복하는 시스템으로 전체 동작 거리와 동작 시간 동안 모터 전류 변화량을 분석하면 열림과 닫힘 과정에서 승객과 부딪힌 충격 등으로 인해 롤러 및 벨트의 손상과 이상 마모 등의 문제로 발생하는 출입문 고장을 예측할 수 있다.
결함 노드가 존재하는 RPL 기반 네트워크를 위한 빠른 재전송 기법
본 논문은 표준 네트워크 프로토콜인 RPL의 하향 라우팅 시 단점과 노드 오작동 시의 취약점을 지적하고, 문제점 개선을 위해 RPL Non-storing 모드 상에서 활용될 수 있는 빠른 재전송 기법을 제안한다. RPL은 사물인터넷 네트워크와 같은 LLN(Low power and lossy network)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이나 상향 라우팅 중점 설계로 인해 하향 라우팅 시에 상향 라우팅과 비균등한 성능을 나타내며, 오작동 노드 발생 시에 대체가능한 부모 노드 정보 활용의 부재 및 DAO 전송 지연으로 인한 패킷 손실 문제를 야기시킨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들에 착안하여 FR-TC 기법을 제안하고, 하향 라우팅 경로 형성 시 아들∙이웃 노드 정보의 전달 및 활용, 이웃 노드 정보 활용 소스 라우팅으로 인한 루프 방지, 누적된 이웃 노드 정보에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활용한 하향 라우팅 경로 선택을 도입한 GOFR-TC 기법을 최종적으로 제안하였다. 기존 RPL Non-storing과 제안 기법은 최근 각광받고 있는 사물인터넷 관련 운영체제인 Contiki OS 내에 구현되었으며, Cooja 시뮬레이터를 활용해 성능 평가가 수행되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Fast Reroute(FR) scheme that can be used in RPL non-storing mode to solve the problem of downlink routing when node malfunction occurs in RPL based networks. RPL is a standard protocol for Low Power and Lossy Networks(LLN) such as the Internet of Things(IoT), and it shows unequal performance according to routing direction due to the design focusing on upward routing. In addition, when faulty nodes exist in the network, the packet loss problem is caused due to the DAO transmission delay and absence of utilizing other parent information to replace the legacy path with an alternate path. This paper focuses on these problems and proposes FR-TC scheme. In addition, we introduce GOFR-TC scheme that includes delivery and utilization of child/neighbor node information in downward routing path formation, preventing loops due to source routing when using neighbor node information and downward routing path selection using accumulated neighbor node information based dijkstra algorithm. The existing RPL non-storing and proposed method is implemented in Contiki OS, which is a popular object internet related operating system, and performance evaluation is performed using Cooja simulator.
김상현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1995 국내석사
This study is based upon observation of present real estate brokerage system, in comparison with foreign real estate system and analysis of problems on statutes of Korea real estate brokerage that shows several types of improvement plans in existing real estate brokerage system. As considered improvement measures of which are as follows. First, it is to strengthen training of an intermediary. i) development program for training. ii) providing a training institude and organs of education. iii) upgrading the quality of specialist through out public relations. Second, it is to make have correct understanding an intermediary role and to strengthen public relations about people. As looking specialist attitude, the major points of which are as follows : i) having a correct understanding of honest real estate operation guarantee freedom of economic and the right of property. ii) being effort attitude for making reasonable price. iii) explain about important thing and providing service. To strengthen publicity activities for general people prevents an accident of real estate transaction and its methods which is a seminar, to production and distribute public relation, as dimension the sponsored the knowledge of real estate for people. Third, it make improvement in quality of service as specialization of real estate brokerage. Such for this solve, a licenced real estate agent make an effort to clean up their problems. Fourth, to manage information - distributive network give stabilization of import to an intermediary, cutting down the expenses and time to a client and to expand choice width of decision. Fifth, a network of information of real estate transactions and under exclusive contract with real estate have to fixed early stage. Such for this as follows : i ) the government and enterprisers have to do equipment investment and development program and training for members. ii ) having environment using of members. iii ) getting using ability of members. iv ) public relation about information of convenience. v ) early establishment networks of information real estate transactions. Sixth, for strengthen of principles rule have to provide self regulation of real estate broker. Seventh, it is to strengthen guidance control of real estate association of real estate broker. It is difficult to give satisfactory results only efforting of the government for the above improvement plans of real estate system. They efforts theirselves with client at same times. We make understand real estate that is not methods of property accumulation. Moreover, under having correct understand of life residential of people it is possible to give satisfactory their efforts for improvement plans. As looking a step farther, it is important to effort intermediary who a part of raise the efficiency for land.
전이성 대장암에 있어서 Irinotecan과 Capecitabine 복합화학요법에 대한 연구
김상현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Combination chemotherapy of Irinotecan plus capecitabine in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Backgroud The combination of fluorouracil and leucovorin has been a standard therapy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until recently. Many of academic papers are showing that each of irinotecan and capecitabine prolongs survival in patients with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tumor response and toxicities of irinotecan and capecitabine combination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as the first line or second line therapy. In addition, the efficacy and toxicity of two regimens of irinotecan and capectibine combination chemotherapy were evaluated. Methods We inspected retrospectively patients with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who received irinotecan and capecitabine combination chemotherapy. Patients were treated by two different regimens. IX regimen was consisted of irinotecan(240 mg/m2 on day 1) as 90 minutes infusion and capecitabine (1000 mg/m2 from day 2 to day 15) per oral. IX2 regimen was consisted of irinotecan(100 mg/m2 on day 1 and day 8) as 90 minutes infusion and capecitabine (1000 mg/m2 from day 2 to day 15) per oral. These regimens were repeated by 3-week intervals. Results Forty-eight patients with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who received irinotecan and capecitabine combination chemotherapy were assessd in this study. The median age of the patients was 52 years(range;20-72) and the dominant sites of metastasis were the liver and lung in 30 and 15 patient respectively. Among 48 patients, 36 patients were evaluated at response rate. The overall response rate was 22.2% including 8 partial responses but no complete response. The overall response rate for the first line therapy and scond line theapy was 28.6% and 17.4% respectively.(p=0.278) The overall response rate for IX regimen and IX2 regimen was 27.2%, 20% respectively.(p=0.354) 48 patients were evaluable for toxicity. Grade 3 or 4 hematologic toxicities were leucopenia(6.3%), anemia(4.2%) and thrombocytopenia(2.1%). However, thrombocytopenia was occurred in IX2 regimen group. Diarrhea and Nausea/vomiting were more common during treatment and the incidence of grade 3 or 4 (severe) diarrhea was 26.9%(13 patients. The other 3 or 4 grade non-hematologic toxicity was stomititis(14.6%), Neurotoxicity(2.1%) and hand-foot syndrome(6.3%). Conclusions Treatment with irinotecan plus capecitabine showed superior response to a widely used regimen of fluorouracil and leucovori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and tolerable toxicity. Fluorouracil(5-FU)과 leucovorin의 복합화학요법은 진행성, 전이성 대장암에 표준적인 요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연구결과 irinotecan과 capecitabine은 각각 진행성, 전이성 대장암 환자에게 생존기간을 연장시켰다. 본 연구는 진행성, 전이성 대장암에 1차 치료(first line therapy) 또는 2차 치료(second line therapy)로 사용된 irinotecan과 capecitabine 복합화학요법의 독성과 반응율을 평가하고, irinotecan과 capecitabine 복합화학요법시 서로 다른 투여방법에 따르는 반응율과 독성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국립암센터에서 전이성 대장암으로 진단되어 irinotecan과 capecitabine 복합화학요법을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환자들은 다음의 두 가지 방법으로 치료를 받았다. IX군에서는 제 1일에 irinotecan 240 mg/m2를 포도당 500 ml에 혼합하여 90분간 정주하고, capecitabine 1000 mg/m2을 1일 2회 경구로 제 2일부터 15일까지 2주간 복용하고 3주째는 휴식하는 방법을 매 3주간격으로 시행되었다. IX2군에서는 제 1일과 8일에 각각 irinotecan 100 mg/m2를 포도당 500 ml에 혼합하여 90분간 정주하고, capecitabine 1000 mg/m2을 1일 2회 경구로 제 2일부터 15일까지 2주간 복용하고 3주째는 휴식하는 방법을 매 3주간격으로 시행되었다. 대상 환자중 분석 가능한 48명 환자의 의무기록를 검토 분석하였다. 환자나이의 중간값(범위)은 52(20-72)세이었고, 주된 전이부위는 간과 폐로써 각각 30명, 15명이 전이되었다. 대상 환자 48명중 반응를 평가할 수 있었던 환자는 36명이었다. 반응율은 22.2%로 36명중 8명이 부분반응이었다. 1차 치료(n=21), 2차 치료(n=15)시의 반응율은 각각 28.6%, 17.4%로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278) IX군(n=11)의 반응율은 27.2%, IX2군(n=25)의 반응율은 20%이었다. 48명이 독성평가를 받았다. 3도 또는 4도의 혈액학적 독성은 백혈구감소증 6.3%, 빈혈 4.2%, 혈소판 감소증이 2.1%이었다. 이 때 혈소판 감소증은 IX2군에서만 발생하였다. 오심/구토, 설사가 치료 중에 가장 빈번하게 나타난 비혈액학적 독성이었고, 3-4도의 비혈액학적 독성은 설사가 26.9%(13명)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다. 그 밖에 3-4도의 비혈액학적 독성은 구내염 14.6%, 신경독성 2.1%, 수족증후군 6.3% 등이었다. 결론적으로, 전이성 대장암 치료시 irinotecan과 capecitabine 복합화학요법은 투여방법에 따라 반응율 및 독성의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
Byeon Jeung[辨證], which is to differentiate symptoms is a process of assessing the patient's condition. And like any other differentiation system, a ceratin pathological perspective is embedded. In Onbyeonghak(溫病學), new Byeon Jeung systems were designed to complement the insufficient, existing perspectives on acute epidemic febrile diseases. Oguktong(吳鞠通)'s Samchobyeonjeung(三焦辨證) is one of these newly designed systems. Though the meaning of Samchobyeonjeung varies among Onbyeong(溫病) researchers, they stand on common grounds of differentiating damp-heat disease[濕熱病]. However, Oguktong(吳鞠通) clearly demonstrated this system on epidemic febrile diseases. Researchers have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Oguktong(吳鞠通)'s approach, but thorough analysis of the subject has been insufficient. In this study, I have primarily studied the meaning of Samchobyeonjeung by analyzing《Onbyeongjobyeon溫病條辨》, followed by assessment of negative and positive aspects. The following are the conclusions and discussions of the research. In Yuwanso(劉完素)’s febrile disease pathogenesis theory which is the origin of Ohguktong's Samchobyeonjeung, the different types of febrile diseases are determined by the location of the gathered heat, which are the upper, middle and lower Jang and Bu[臟腑]. Moreover, he acknowledges that Heat diseases originate from problems in the upper part. This is similar to the Jang and Bu based description of febrile disease in the《Onbyeongjobyeon(溫病條辨)》. In this case, Samcho is the standard of differentiation. Samcho's meaning as Jang and Bu can also be found in Onbyeongjobyeon, where the functional differences according to dampness disease and epidemic febrile disease. In the case of dampness disease, Samcho is the location of the disease, whereas in the case of epidemic febrile disease, it is perceived as the waterway that spreads the epidemic febrile pathogenic energy through the flow of Jeonggi(精氣) as well as the medium for the Suseunghwagang(水升火降). In Onbyeongjobyeon, based on the preposition that heat pathogen damages the Eumgi(陰氣), the importance of the human Jeonggi(精氣) is stressed. Therefore, disease symptoms are described based on the five Jang organs[五臟] related Eum essence[陰精]. In treatment, it is the main principle to not damage body fluid and Eum essence. Treatment methods for each of the epidemic febrile disease of the upper, middle and lower parts mentioned also run in line with Yuwanso(劉完素)’s theory. In the Samchobyeonjeung(三焦辨證) of《Onbyeongjobyeon(溫病條辨)》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f Gi based on the Jang and Bu[臟腑] are stressed rather than the segmental Wigiyeonghyeol classification[衛氣營血辨證]. Also, in the Samchobyeonjeung(三焦辨證) system of《Onbyeongjobyeon(溫病條辨)》, the Suseunghwagang concept is reflected. Through research, negative and positive aspects of differentiating epidemic febrile disease with Wigiyeonghyeol classification and Samcho classification have been evaluated. The Wigiyeonghyeol classification holds its strength in responding to the rapidly changing disease, and is easier to comply with the general Chinese medical differentiation system. The Samcho classification is related to the traditional JangBu classification, and focuses on not damaging body fluids and Eum essence. Moreover, the holistic perception of the human physiology allows for an overall treatment approach rather than a focal one. The positive aspects of the Samcho classification can complement the Jeunggi focused Korean Traditional Medicine and may lead to a development of Korean Onbyeonghak(溫病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