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안전통제감의 조절 및 매개효과 검증 :

        이경은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Effect of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Nurses: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 of Safety Control by Kyeong Eun, Lee (Advisor: Prof. Sang Hee, Kim, Ph.D., RN.)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egree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safety control, and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nurses and to verify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safety control in the effect of safety culture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Methods: This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and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26 to August 26 in 2021. The subject were 144 nurses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study and had worked more 6 months. In this study, the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safety control,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nurses were used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WIN 26.0 program.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of the participants was 29.27±5.00 years old. Female was 91.0%(n=131). The largest percentages of religion ‘none’ 69.4%(n=100), unmarried 75.0%(n=108), accounted for bachelor’s degree 78.5%(n=113). Working department is ‘Surgery ward’ 34.0%(n=49), ‘Medical ward’ 32.6%(n=47), ‘Intensive care unit’ 18.8%(n=27), ‘Emergency Room’ 14.6%(n=21). Position are ‘Staff nurse’ 53.3%(n=77), ‘≥Charge nurse’ 46.6%(n=67). The average of total clinical career is 7.36±5.97 years and current department career is 4.63±3.11 years. The largest percentages of average were working hours per week ‘32-<40 hours’ n=51.4%(n=74), Job satisfaction ‘Neutral’ 51.4%(n=74) and Physical burden ‘A little hard’ 44.4%(n=64). Experience of safety education was 97.2%(n=140) in the past 1 year and M±SD was 1.54±0.80. Experienc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was 66.7%(n=96) and Among them experienc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reporting ‘Yes’ 94.8%(n=91) in the past 1 year. Among 96 people, the largest percentages were ‘Accidental falls’ 78.1%(n=75), medication error 46.9%(n=45), other 2.8%(n=4) that was multiple response. Witnessing a patient safety incidents of colleague ‘Yes’ is 86.1%(n=124) in the past 1 year. 2.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was 3.73±0.45 out of 5 points, Safety control was 3.58±0.45 out of 5 points, and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were 4.28±0.34 out of 5 points. 3.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eral characteristics i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scores were found experience of writing report when experienc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in the past 1 year(t=2.68, p=.009) and witness a patient safety incidents of colleague in the past 1 year(t=2.99, p=.003). In terms of experience of patient safety incidents reporting, written patient safety incidents report was more than none. In terms of witnessing a patient safety incidents of colleague, witnessed it was more than none. 4.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r=.30, p<.001), and safety control (r=.31, p<.001). Between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and safety control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r=.56, p<.001). 5. Safety control had a completely mediating effect(Z=2.32, p=.020) in the effect of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But Safety control did not have moderating effec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afety control of nurses had a completely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 of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safety control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and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so affects to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In order to increas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if an intervention plan that can strengthen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and safety control is found,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could be improved. Key words: Patient safety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안전통제감의 조절 및 매개효과 검증 이경은 (지도교수: 김상희) 간호학과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인식, 안전통제감과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를 확인하고, 환자안전문화인식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안전통제감의 조절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함이다. 방법: 연구 설계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자료 수집 기간은 2021년 7월 26일부터 8월 26일까지였다. 연구 대상은 B광역시 소재 1개 상급종합병원과 1개 종합병원에서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6개월 이상의 근무 경력을 가진 간호사 1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설문지는 환자안전간호활동, 안전통제감, 환자안전간호활동 측정 도구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6.0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평균 연령은 29.27±5.00세였으며, 성별은 여자가 131명(91.0%)명이었다. 종교는 무교가 100명(69.4%)이었으며, 결혼상태는 미혼이 108명(75.0%), 교육 정도는 4년제 대학교 졸업 113명(78.5%)으로 가장 많았다. 근무 부서별로는 외과계 병동 49명(34.0%), 내과계 병동 47명(32.6%), 중환자실 27명(18.8%), 응급실 21명(14.6%)이었으며, 직급은 일반간호사 77명(53.5%), 주임간호사 이상 67명(46.6%)이었다. 총 임상경력은 평균7.36±5.97년이었고, 현재 근무부서에서의 경력은 평균 4.63±3.11년이었다. 평균적으로 일주일에 근무하는 시간은 32시간 이상 40시간 미만 74명(51.4%)이 가장 많았고 직무만족도는 보통 74명(51.4%), 육체적 부담 정도는 약간 힘듦 64명(44.4%)이 가장 많았다. 최근 1년 이내 140명(97.2%)이 환자안전 교육을 받아본 경험이 있었으며, 평균 1.54±0.80회이었다. 환자안전사고는 96명(67.5%)이 경험한 적이 있었고, 환자안전사고의 종류는 다중응답으로 낙상 75명(78.1%), 투약 오류 45명(46.9%), 기타 4명(2.8%)이었다. 최근 1년 이내 환자안전사고경험을 한 대상자들 중에서 보고서 작성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91명(94.8%)이었다. 동료의 환자안전사고 경험을 목격한 적이 있는 대상자는 124명(86.1%)이었다. 2. 대상자의 환자안전문화인식은 평균평점 5점 만점에 3.73±0.45점이었고, 안전통제감은 5점 만점에 3.58±0.45점이었으며, 환자안전간호활동은 5점 만점에 4.28±0.34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는 환자안전사고를 경험하였을 때 보고서 작성 경험(t=2.68, p=.009), 동료의 환자안전사고 경험 목격(t=2.99, p=.003)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최근 1년 이내 환자안전사고를 경험하였을 때 보고서 작성 경험이 없는 대상자보다 보고서 작성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높았고, 동료의 환자안전사고 목격 경험이 없는 대상자보다 목격 경험이 있는 대상자의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4. 대상자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은 환자안전문화인식(r=.30, p<.001)과 안전통제감(r=.31,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안전통제감(r=.56, p<.001)에서도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안전통제감은 환자안전문화인식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었고(Z=2.32, p=.020),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안전통제감의 완전매개효과는 있었으나, 조절효과는 없었다. 즉, 안전통제감이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자안전간호활동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여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환자안전간호활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안전통제감을 강화시킬 수 있는 중재 방안을 모색한다면 환자안전간호활동 수행이 향상될 수 있겠다. 주제어: 환자안전문화인식, 안전통제감, 환자안전간호활동

      • 간척지에 식재한 이태리포플러의 생육, 생리, 형태 및 목재특성에 미치는 SCB액비의 영향

        이경은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 liquid fertilizer (SCBLF) on growth, physiology, morphology and wood quality of poplar planted in a reclaimed tideland. The poplar tree species, P. euramericana, was planted in unused land in Saemangeum reclaimed tideland in Gimje City, Jeollabuk-do Province in Korea for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 was done in 0.6 ha of planting site during the fall, 2012. Two different treatments SCBLF and control treatment were set up in the plantations with three replications of each treatment. The amount of SCBLF that applied for each time of the treatment was 5 L and the duration of the experiment last for 180 days. The soil on the experimental site of SCBLF treatment had higher contents of NH4-N and NO3-N than those of the control. The adaptive indices of poplars at SCBLF treatment and control were 98% and 83%, respectively. In growth characteristics, the average net height of the treated plots (143.7 cm) were greater than those of the control (65 cm). Similarly, the DBH in the treated plots (27.73 mm) was greater than those of the control (19.73 mm). For the average of leaf area, the SCBLF treatment showed broader than those of the control. Moreover, the annual average of above-ground biomass production was better at the SCBLF treatment (6.4 ton ha-1) than those of the control (3.2 ton ha-1). In the study of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he photosynthetic rate and the water use efficiency at SCBLF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The total chlorophyll and carotenoid contents were higher in SCBLF than those of control. Therefore, SCBLF treatment on P. euramericana plantations in reclaimed tideland helped for the tree growth, physiological and morphological responses of P. euramericana. And it can be contributed to wood pellet utilization. Key words: Poplar, 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 liquid fertilizer (SCBLF), Reclaimed tideland, Growth, Physiologic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Wood quality 본 연구의 목적은 목재에너지림의 목재펠릿으로의 양적인 측면으로 (1) 가축분뇨 저농도 액비를 간척지에 조성된 포플러 단벌기 맹아림에 처리하여 가축분뇨 처리에 따른 포플러의 생육, 생리적, 형태적인 변화를 고찰하는 것과 질적인 측면으로는 (2) 대체에너지인 연로로서 목재펠릿의 활용 가능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새만금 간척지에 조성된 단벌기 바이오매스 생산림을 대상으로 SCB액비 처리에 따른 포플러의 생육, 생리적, 형태적, 목재펠릿 활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2년에 조성된 포플러 단벌기 바이오매스 생산림에서 2014년 5월부터 10월까지 조사되었다. 연구항목으로는 수고, 흉고직경, 엽면적, 바이오매스, 광합성률, 수분이용효율, 총 엽록소 함량, 카로티노이드 함량, 기공의 특성, 목재의 함수율, 회분량, 발열량, 리그닌과 홀로셀룰로오즈함량을 조사하였다. 생장과 생리적 변수들을 조사한 결과, 수고와 흉고직경, 엽면적, 바이오매스, 광합성률과 수분이용효율은 SCB액비 처리구가 무처리에 비해서 높았고, 총 엽록소 함량, 카르티노이드 함량 또한 SCB액비 처리구가 무처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형태학적 변수들을 조사한 결과 기공의 특성은 액비처리구가 기공의 개폐 정도의 차이가 나타났다. 목재펠릿의 활용가능성 측면으로는 두 처리구 모두 함수율, 회분량, 발열량 1등급 펠릿 기준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SCB액비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포플러의 생장과 생리적 활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SCB 액비가 목재펠릿의 활용가능성인 질적인 측면은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포플러의 생육과 생리적인 양적인 향상에 기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요어: 포플러, SCB 액비, 간척지, 바이오매스, 목재펠릿

      • 금속조각으로 형상화된 꽃 이미지 : 본인 작품 중심으로

        이경은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07년 사이에 제작되어 전시한 바 있는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하였다. ‘자연’은 예로부터 인간의 생활터전인 동시에 관심의 대상이었다. 자연이 지닌 아름다움과 장엄함은 인간으로 하여금 늘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이 되었으며, 지금까지 예술의 근본적 대상물로써 끊임없이 표현되어지고 있다. 이렇듯 예술과 자연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 자연을 대상으로 한 창작활동은 시대와 작가의 시각적 척도에 따라 조형의지로 표현되고, 현대 미술의 흐름은 대상을 재현하기 보다는 주관적인 내면을 반영하는데 그 본질적 의미를 두고 있다. 현대사회는 문명의 발달로 인한 정신적 황폐함과 소외감은 오히려 변함없는 순수한 자연으로 되돌아가고자하는 욕망을 갖게 한다. 가장 근원적 이면서도 본질적인 자연의 모습은 정체되어 있는 것이 아닌 생성과 소멸이란 자연적 순리의 반복을 통해 그 순수함을 유지하고 있다. 그 중 꽃은 다양한 색채, 풍부한 질감, 형태의 조형미, 부드럽고 유연한 곡선 등 외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심리적 안정감과 함께 기쁨, 사랑, 희망, 의지 등을 상징하는 내적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자는 자연 중에서 특히 인간과 친숙한 꽃의 실체를 소재로 하여 체험한 현실과 내면세계에서 느낀 내적심상의 이중적인 면을 시지각을 통한 경험으로 자연의 대상에 신선한 이미지의 생명력을 부여하고 자연을 시지각의 차원에서 공간적으로 재구성 하였다. 본연구자의 작품에서 꽃의 이미지는 활짝 피었을 때의 꽃 형태를 선택하였고, 내면에 자리하고 있는 ‘자유스러움’과 ‘의지’ 등을 그런 꽃들의 이미지를 통해 함축적으로 표현 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서론에서는 작품의 연구동기와 목적을 본론에서는 작품형성의 이론적 배경과 작품을 분석 하였다. 작품분석으로 본 연구자의 내면 속에 잠재하고 있는 정서를 꽃 이미지를 통하여 형상화한 철, 스테인리스스틸로 제작한 조각작품들을 해석해 보았다. 부드럽고 연약한 꽃의 보편적인 이미지를 강하고 차가운 철이라는 재료로 표현한다는 것은 다소 무리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외적 이미지에 국한하지 않고 본 연구자는 소재와 재료가 가진 본질의 속성을 연구하였고 그 속성 중에서 유사성을 발견하였으며 또한 접목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꽃이란 자연물과 표현매체인 철이란 자연물의 관계를 설정하고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research is centered on the researcher's works made from 2003 to 2007. 'Nature' has become men's living site and simultaneously, a target for men's interest. Its beauty and grandeur have become the objects that human beings have wanted to express, and nature has been continuously expressed as a basic object of arts. That is, arts and nature are in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Creative activities based on nature are expressed with the will of modeling, depending on the period and artists' visual scale, and the intrinsic meaning of modern arts lies in reflecting the subjective mind rather than reproducing an object.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civilization, the modern society becomes full of mental ruin and a sense of alienation so it desires to return to pure nature that is not changed. The appearance of nature, which is most fundamental and intrinsic, is not stagnant, but remains pure through the repetition of the natural scientific principles of creation and disappearance. Among the objects in nature, a flower has various external images through colors, quality, formative beauty of shapes, soft and flexible curved lines, etc, and it has psychological beauty symbolizing pleasure, love, hope, and will. This researcher used the substance of a flower that is especially familiar with human beings, and spatially re-organized its double aspects - the reality that the researcher experienced, and the internal mental image that the researcher felt - at the visual level by giving the vitality of a fresh image to flowers. In the works, the images of flowers when they are in full bloom were selected for the works, and 'freedom' and 'will' which are positioned in the researcher's mind were implicitly expressed through the images of flowers. In the part of introduction, the research motive and purpose of the works were discussed, and in the main tex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works and the works themselves were analyzed. This paper analyzed 11 formative works made with the images of flowers, irons, and stainlesses based on the internal emotions residing in the researcher, and through this analysis, it intended to propose the possibilit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formative arts.

      • 셰익스피어 love-tragedies 의 대화코퍼스에 대한 감성분석과 네트워크 분석

        이경은 한국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셰익스피어의 비극 작품들 중 세 편의 사랑 비극 (Romeo and Juliet, Othello, the Moor of Venice, Antony and Cleopatra)에서 모든 등장인물들의 대화코퍼스를 구축하여 Hutto and Gilbert (2014)가 개발한 Valence Aware Dictionary for Sentiment Reasoning (VADER) 감정 분석 사전과 Nalisnick (2013)이 연구에 사용한 기존의 AFINN 감정 분석 사전의 비교를 통해 비극 작품 및 등장인물 간의 대화코퍼스를 감정 분석하고 NetMiner 4.0을 통해 주요 등장인물 간의 네트워크 분석을 하여 주요 등장인물들이 가지는 네트워크가 부정적인지 긍정적인지를 살펴본다. 이러한 비극 작품 및 등장인물 간의 특징을 시간의 흐름에 따른 시간시각화로 살펴보고 이러한 시간시각화에서는 발견할 수 없는 등장인물 간 연결 강도를 네트워크 분석에 따른 관계시각화로 살펴본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의 네 가지 연구 질문의 답을 찾으려고 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 사랑을 주제로 한 비극 대화코퍼스의 감정 분석을 통해 비극의 특징을 보여주는 감정 패턴을 발견 할 수 있는가? 선그래프의 시각화를 통하여 관찰할 수 있는 패턴이 몇 가지가 있는지를 고려한다. 둘째, 감정 분석을 통해 비극과 희극의 차이점을 드러낼 수 있는 패턴 또는 단서가 있는가? 관찰된 사랑 비극의 감정 패턴이 사랑을 주제로 한 희극 세 편 (A Midsummer Night’s Dream, The Two Gentlemen of Verona, As You Like It)의 감정 패턴과 비교하여 어떤 뚜렷한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본다. 셋째, 본 연구에 사용된 감정 분석 사전인 VADER와 기존 연구의 감정 분석 사전인 AFINN 중 어떤 감정 사전이 감정 분석에 더 적합한가? 사랑 비극의 극의 흐름에 따른 남녀 주인공의 감정 변화의 선그래프 비교를 통해 살펴보고 이를 특정 대사의 누적 값과 해당하는 단어들의 점수를 비교하여 살펴본다. 넷째, 극의 흐름에 따른 남녀 주인공의 감정 변화와 주요 등장인물의 긍정/부정 감정의 변화도 설명 할 수 있는가? 남녀 주인공의 대화코퍼스를 통한 막 별 감정 분석과 주요 등장인물 간의 막 별 감정 변화의 시간시각화와 등장인물 간 연결 관계 네트워크의 관계시각화를 통해 살펴본다. This study explores a new sentiment analysis of dialogue corpora in Shakespeare's three love tragedies (Othello, the Moor of Venice, Anthony and Cleopatra and Romeo and Juliet). It also investigates sentiment valence of male and female main characters by comparing Valence Aware Dictionary for Sentiment Reasoning (VADER) and AFINN sentiment graphs. Furthermore, it shows some characteristics of major characters through visualizing their sentiment graphs and networks in the three love tragedy plays. Some characteristics of major characters, which cannot be found in sentiment analysis, can be identified by network relationships among major characters visualizing their intensity or strength. Knowing who is speaking to whom allows the flow of sentiment relationships to be tracked between characters and within plays with clear time-lines. In previous research, Nalisnick (2013) used the AFINN word list for sentiment analysis. My approach employs VADER suggested by Hutto and Gilbert (2014) to calculate the sentiment valences of dialogue corpora. VADER is a model used for text sentiment analysis that represents both positive or negative polarity and intensity (strength) of characters’emotion. In order to visualize the network structures, NetMiner 4.3 tools were used to create sentiment networks connecting each of the major characters. Here are my four research questions to study my aims: 1. Are there prominent sentiment patterns between three love-tragedy plays and three love-comedy plays? 2. Are there any clues to distinguish tragedy from comedy in the sentiment analysis? 3. Which sentiment dictionary is more adequate for sentiment analysis? 4. How do we find the sentiment relationships between major character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clearly distinguishing and analyzing human relationships described in the text written in English. Moreover, it can be extended to applying this approach to the sentiment relationships in plays, novels, or other registers written in other languages.

      • 오대산 국립공원의 주요 삼림군집에서 고사목의 양과 양분동태

        이경은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고사목은 유기물 축적, 양분의 저장과 공급,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처 제공, 토양침식 방지 등 생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오랜 농경 역사와 높은 인구 밀도로 인한 숲의 이용, 산불, 전쟁 등과 같은 교란에 의해 고사목이 거의 축적되지 않았고, 또한 고사목의 생태학적 역할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고사목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식생형이 상존하는 오대산국립공원의 6개 대표식생군집(소나무-굴참나무림, 신갈나무-피나무림, 전나무림, 전나무-활엽수 혼합림, 물황철-버드나무림 및 아고산림)에서 고사목의 현존량과 양분함량을 조사하여 고사목의 형태, 부후등급, 종구성, 크기 및 고사원인의 영향을 비교하였다. 특히 전나무-활엽수 혼합림에서는 고사목과 양분의 연유입량과 연유출량의 동태, 고사목의 분포와 입지의 관계 및 고사목에서의 목본재생을 연구하여 고사목의 역할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고사목의 양은 소나무-굴참나무림이 0.7Mg/ha로 가장 적었고, 전나무-활엽수 혼합림이 31.9 Mg/ha로 가장 많았다. 아고산림을 제외하면 고사목의 수종은 대체로 현존식생의 우점수종과 동일하였다. 물황철-버드나무림과 아고산림은 snag의 비율이 각각 55.2%와 65.5%로 높고 stump의 비율이 낮아, 분해율이 낮으며 벌목과 같은 인위적 교란을 거의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나무림과 전나무-활엽수 혼합림은 벌목 흔적이 있고 부후등급이 높은 고사목의 비율이 각각 44.5%와 17.0%에 달하였다. 또한 전나무-활엽수 혼합림은 2006년 10월에 발생한 강풍에 의해 총량의 37.8%에 달하는 고사목이 발생했다. 소나무-굴참나무림과 신갈나무-피나무림은 군집의 기저면적이 높은데 비해, 부후등급이 높은 log의 비율이 낮은 것을 고려할 때 과거에 고사목이 많이 반출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강풍에 의해 고사목이 크게 증가한 전나무-활엽수 혼합림을 제외하고 모든 군집에서 부후등급이 낮은 고사목의 비율이 낮고 벌목의 흔적이 거의 없는 것은 근래 수십 년간은 교란이 없었다는 사실을 제시한다. 전나무-활엽수 혼합림의 경우 고사목의 양과 밀도는 고도와 살아있는 목본의 밀도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했다. 연간 고사목의 유입량은 0.7 Mg/ha/yr이었으나 유출량은 0.04 Mg/ha/yr로, 고사목의 반출이 없는 한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고사목 내 질소 함량은 0.6-37.7 kg/ha, 인은 0.2-11.7 kg/ha, 나트륨은 0.1-2.5 kg/ha, 마그네슘은 0.1-7.1 kg/ha, 칼륨은 0.4-21.9 kg/ha, 그리고 칼슘은 1.5-124.1 kg/ha이었으며, 고사목의 양이 많은 곳에 양분함량도 많았다. 전나무-활엽수 혼합림의 연간 고사목 내 양분함량은 나트륨이 83.5%로 가장 많이 유실되었으며, 칼륨은 6.9% 증가하였다. 그리고 부후가 가장 많이 진행된 등급의 고사목에서 목본 seedling의 밀도가 높았고, 그 중 시닥나무가 가장 많았다. 고사목에서 재생되는 수종은 중층과 하층에 우점하는 수종으로써 고사목이 이들 수종의 재생에 중요한 기여를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Coarse woody debris (CWD) performs a number of functions in forest ecosystems, including providing habitat, storing nutrients, and stabilizing the soil surface. CWD has been accumulated in Korea only minimally, owing to several disturbances including heavy forest use owing to a long agricultural history and a high population density, as well as forest fires and wars. Additionally, a lack of understanding regarding the ecological role of CWD has made it difficult to study CWD.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ss of CWD and nutrient contents from six representative forest communities in Mt. Odae National Park, and to compare them in terms of CWD type, decay class, species composition, size, and cause of death. In addition, particularly in mixed Abies holophylla-deciduous forest stands, mor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valuate the annual input and output of CWD and nutrients, major factors for CWD distribution and the role of CWD as a seed bed for tree regeneration. In this study, a Pinus densiflora-Quercus variabilis forest stand was the lowest CWD mass, at 0.7 Mg/ha, and the mixed Abies holophylla-deciduous forest stand was the highest value, 31.9 Mg/ha. With the exception of the subalpine forest stand, the majority of CWD species were similar to the current dominant species of each forest. The Populus koreana-Salix koreensis forest stand and the subalpine forest showed high snag rates, 55.2% and 65.5% respectively, as well as low stump rates. This indicates a low decomposition rate and almost no logging. On the other hand, in the Abies holophylla forest stand and the mixed stand, rates of CWD with a logging trace were 44.5% and 17.0%, respectively. Additionally, 37.8% of the total mass in the mixed stand was attributable to the effects of a strong wind in October 2006. In the Pinus densiflora-Quercus variabilis stand and the Quercus mongolica-Tilia amurensis stand with high standing basal areas, the low log mass of high decay class is indicative of heavy CWD use from the forest in the past. However, the minimal logging trace in the CWD of low decay class in all forest stands indicates that there has been no anthropogenic disturbance for several decades since the designation of the relevant area as a National Park in 1975. CWD mass and density is correlated positively with altitude and live tree density in the mixed stand. Annual CWD input was 0.7 Mg/ha/yr and output was 0.04 Mg/ha/yr, which is indicative of an increase in CWD mass. The nutrient contents of CWD in six forest stands ranged from 0.6 to 37.7 Mg/ha for nitrogen, 0.2 to 11.7 for phosphorus, 0.1 to 2.5 for sodium, 0.1 to 7.1 for magnesium, 0.4 to 21.9 for potassium, and 1.5 to 124.1 for calcium. They are highly associated with the CWD mass of each community. The annual nutrient contents of CWD in the mixed stand were the highest loss value, 83.5%, in sodium, and the increasing rate of potassium was 6.9% The recruitment of tree seedlings was more predominant on the CWD of high decay class, and among the tree seedlings, Acer tschonoskii var. rubripes was the most dominant. The majority of tree species recruited on CWD were either understory or middle story species. Therefore, CWD may contribute to the maintenance of the structure of the mixed forest stand.

      • 조선후기 여성들의 삶과 보자기 : 조각보를 중심으로

        이경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키자는 취지에서 출발했으며, 조선후기 여성들의 생활문화 속에서 사용된 보자기 중 조각보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를 위해서 조선시대 여성들의 삶과 관련이 있는 각종 규훈서 연구 및 조각보의 실물 고찰을 행했고 전문가와의 면담연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후기의 여인들에게 침선이라는 것은 여성이라면 누구나 갖추어야 할 주요 덕목이었다. 침선의 첫 단계는 조각천 잇기였으며, 직물이 귀했던 당시 옷을 재단하고 남은 자투리가 그 재료로 활용되었다. 둘째, 조선 후기 사회에서 보자기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각종 문헌자료와 풍속화를 살펴본 결과, 보자기는 의·식·주 생활에서 상용보로 사용됨은 물론, 예의·상징적인 차원에서도 사용되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용보에는 상보·목판보·반짇고리보·머릿보 등이, 비 상용보에는 기러기보·폐백보·함보 등의 혼례용보가 있었다. 셋째, 조각보가 제작된 이유에 대해서는 상용보로의 활용, 제작행위의 즐거움, 기원적 행위라는 측면에서 살필 수 있었다. 궁중에서 제작·사용된 궁보의 크기에 따른 용도 파악을 기초로 민간에서 사용된 조각보의 용도에 대해 고찰한 결과, 조각보를 구성하는 직물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직물 조각보는 세탁이 용이하다는 특성상 주로 상보·빨래보 등으로 사용되었다. 한편 견직물 조각보는 세탁이 어렵기 때문에 옷감이나 패물보 등 더러움을 타지 않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특히 각양각색의 색 조각천을 조화롭게 배치·제작한 견직물 조각보의 경우는 여성들의 혼수품으로 준비된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들 견직물 조각보는 혼수문화의 산물로, 여성들의 근검·절약정신 및 침선솜씨를 가늠할 수 있는 척도였다. 본고는 조선후기의 조각보가 단순히 그 미적인 관점에서의 연구대상이 아닌, 당 시대 여성들의 삶 속에서 자연스럽게 제작·사용된 의미 있는 일상용품이었다는 측면에 초점을 두고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research, started for the purpose of succeeding and developing the traditional culture, aims at study of wrapping cloths used by women in the Joseon Dynasty. For this purpose, both literature surveys focused on women's life in Joseon Dynasty and observation of real materials were done. And also interviewing experts on the fabrication of sewing craft-works in the Joseon Dynasty was carried out together. The results show that; First, needlework was an essential virtue for all wom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fundamental step of sewing was putting the remnants of cloths together. In the Joseon Dynasty, cloths were valuable things, so the remnants of cloths were useful materials for the practice of needlework. Second, wrapping cloths were used in various purposes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As the result of studying literatures and genre paintings, it is considered that wrapping cloths were used not only as necessities of life but also as expression of salutation or courtesy. In other words, they were used as table covers, wooden platter covers, workbox covers, kerchiefs and so on in daily life, and they were also used on special occasions like wedding ceremony. Third, reasons of making wrapping cloths can be explained as the practicality and the pleasure of fabrication of wrapping cloths and as a method of supplication. By researching common wrapping cloths based on studies of court wrapping cloths, it i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fabrics in respect of the ways of using them. Ramie patchwork wrapping cloths were used as table covers, laundry covers and so on for their easiness of wash. On the other hand, for silk patchwork wrapping cloths, they are hard to wash. So they were mainly used as cloth covers and accessory covers. Especially, silk patchwork wrapping cloths with harmonic arrangement of colorful remnants were used as dowry. These, as products of wedding culture, showed a bride's diligence, frugality and skill of needlework. This paper has importance in researching patchwork wrapping cloths by treating them as daily-life necessities of women, not just as aesthetic materials.

      • 집단미술치료가 이주노동자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경은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Migrant workers' children experience acculturative stress as they immigrate to another country.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acculturative stress of Mongolian migrant workers' childre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7 Molgol children who were attending an international school within the metropolitan area. They were all in 7th grade, 2 male and 5 female students. The children participated 18 programs of group art therapy from March 5, 2007 to July 2, 2007. It was 60 minutes per program and it was carried out once a week.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Sandhu and Asrabadi(1994)'s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 was used for pretest and posttest. SPSS 14.0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intervention of group art therapy resulted significant decrease of acculturative stress from 102.43 to 85.43(p<.05). In a subordinate realm, 'homesickness' showed significant decrease(p<.01). These results show that art therapy contributes to the decrease of acculturative stress of Molgol children. Art therapy allowed them to express the loss of homeland, and the loss of relatives back home. On the other hand, 6 other subordinate realms did not show significant decrease. There were some difficulty explaining the program to the participants because they immigrated to Korea recently that they could not speak nor understand much of Korean language. 본 연구에서는 집단미술치료가 이주노동자 자녀들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 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집단미술치료가 이주노동자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이 연구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수도권 내의 한 외국인학교의 몽골 이 주노동자 자녀 중 중학교 1학년 학생 7명으로 선정하였다. 선정한 치료집단을 대상으 로 2007년 3월 5일부터 7월 2일까지 일주일에 1회기로 60분씩하여 총 18회기의 집 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집단미술치료 계획부터 진행까지 연구자가 모두 담당하였고 연구도구로는 Sandhu와 Asrabadi(1994)의 외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문화적응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SPSS 14.0 프로그램을 이 용하여 paired t-test를 통해 사전, 사후를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집단미술치료 실시 후 문화적응 스트레스 척도의 전체평균이 102.43점에서 85.43점 으로 감소하여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집단미술치료 가 이주노동자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감소에 유의한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보여준 다. 구체적으로 하위영역 중에서는 향수병 영역이 13.57에서 9.71로 p<.01 수준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이는 집단미술치료가 이주노동자 자녀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중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슬픔의 정서적인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지각된 차별감, 지각된 미워함, 두려움, 문화적 충격, 죄책감, 기타 영역은 감 소하기는 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나온 것은, 다른 어려움보다도 향수병 영역의 어려움이 가장 컸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실험집단의 이주노동자 자녀들의 대부분이 한국어를 잘 하지 못하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주제 설명과 작업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에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있어 심층적으로 하위영역을 다루는 데에 있어서 한계가 있었다고 생각된다.

      • 효과적인 중학교 영어수업을 위한 Blended Learning 활용 방안

        이경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According to the social and educational needs in the Information Age, the purpose of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is to cultivate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English fluently. Moreover,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emphasizes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various teaching-learning features appropriate to individual learners' levels.These changes require new types of English teaching-learning models according to the learners' needs and proficiency leve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effective Englis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can improve learners' communicative competence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English textbook and can be utilized to achieve specific learning objectives in the classroom.Blended Learning has recently been raised as an educational solution to these changes. There is interest in Blended Learning because it is proving not to be merely a form of combing online and offline learning methods, but also a strategy designed to extract the best learning effect through a combination of various learning elements such as learning purpose, method, time and space, activity, and media.Yet despite the fact that Blended Learning is widespread, there is a lack of related research.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how an example of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an English class by using Blended Learning strategy.Chapter Two surveys Constructivism based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s of Constructivism. Chapter Two also presents the features of properly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through the shortcomings of the traditional offline lecture method and E-Learning and theoretical bases of the concept and features of Blended Learning.In Chapter Three, this study develops bo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off-line English learning in a classroom and on-line community-based project learning by using the Blended Learning strategy for one chapter of the English text book in order to manage the class more effectively. 다원화·정보화 사회에서 영어교육의 목표는 실제적이고 다양한 영어권 문화 학습을 통한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및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이와 더불어 제7차 영어과 교육과정은 과제 혹은 활동 중심의 수업 운영으로 학생들의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학교 현장에서의 면대면 교실 수업만으로는 의미있고 실제적인 영어 교수·학습을 실행하는 데 시간적·공간적인 제약이 따른다. 특히, 2005년 들어 도입된‘주 5일 수업제??는 도입 당시 월 1회만 실시했으나 2006년 들어서면서 2회로 늘었다. 따라서 학생들이 교실 이외의 공간에서 활동하는 시간이 길어졌기 때문에 새로운 개념의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여 변화하는 교육환경의 요구에 부응하고, 미래에 적합한 교수?학습 활동 모형을 제시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이와 같은 상황에서 본 논문에서는 전통적인 면대면 교실 수업에서 부족한 커뮤니티 활동을 온라인 학습을 활용하여 보완해 주면서, 동시에 면대면 교실 수업이 갖고 있는 집합식 교육의 장점을 병행함으로써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Blended-Learning을 이용한 교수·학습 방법을 연구하였다.Blended Learning은 다양한 교수 테크놀로지와 교육학적 교수·학습방법론,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통합을 전제로 한 교수·학습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단지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습 환경만을 결합하는 형태가 아니라 학습 목표, 학습 방법, 학습 시간과 공간, 학습 활동, 학습 매체 등의 다양한 학습 요소들의 결합을 통해 최상의 학습 효과를 도출해 내기 위한 설계 전략으로 그 개념과 영역이 포괄적이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Blended Learning을 활용한 교육이 기업에서는 활성화되고 있지만 학교 교육 차원에서는 아직 초보적인 단계에 머무르고 있어서 Blended Learning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따라서 본 연구는 영어과 교육과정 및 영어 교과서와 조화를 이루면서 실제 수업 현장에 적용이 가능한 Blended Learning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논문의 내용으로는 우선, 제7차 교육과정에서 중점을 두고 있는 자기주도적 학습과 교실 현장에 정보 통신 매체 기반의 학습 환경에 대한 필요성에 근간이 되는 구성주의 철학 및 교수·학습이론을 살펴본 후, 학교 현장에 Blended Learning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 면대면 교실 수업과 E-Learning의 차이점을 통해 적합한 환경을 살펴보고 Blended Learning의 개념과 특징을 알아보았다.마지막 부분에서는 실제적으로 영어 교과서의 한 단원을 선정하여Blended Learning을 활용한 영어수업 지도안과 온라인 커뮤니티 기반의 프로젝트활동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