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상황 학습을 기반으로 한 외국인 유학생 대상 문화 문식력 교육 연구

        황쉐윈 배재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831

        외국인 유학생은 한국에서의 성공적인 학업 수행을 위하여 한국어 능력을 비롯하여 문화 능력, 학업 능력, 컴퓨터 활용 능력 등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다양한 능력에 더하여 문화 문식력 또한 유학생으로서 갖추어야 할 능력 가운데 하나라 할 수 있다.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요구되는 문화 문식력은 다양한 문화 맥락이 혼재되어 있는 환경에서 자문화와 타문화에 대한 이해 및 공생의 방식을 찾기 위한 능력으로서 대학 공동체 생활에 원활하게 참여하고 높은 학업 수행을 성취해 내기 위한 핵심적 능력이다.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 문식력을 이루는 구성요소를 설정하고 문화 문식력의 교육 내용을 설계한 후 문화 문식력을 배양하기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는 데에 초점을 두었다. 구성주의에 기반을 둔 현대 외국어교육 논의에서는 언어와 문화가 이해되고 사용되는 상황 맥락적 요소들을 강조하면서 이를 교육 설계에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한국어교육에서도 상황 맥락을 강조한 문화 교육의 논의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은 학습자를 문화 주체자이자 적극적 참여자, 창조적 해석자로 키우지 못하고 있으며, 목표 문화에 대한 비판적 수용과 자국 문화에 대한 자존감 고취를 도모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더 나아가 문화 교육의 최고 단계인 문화적 인간을 길러냄으로써 창조적 문화인을 양성하는 수준에 근접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문화 교육에서 문화 지식의 일방향적 전수나 단순 체험보다는 문화의 기능 수행력 향상과 창조적 행위자 양성에 초점을 두고 새로운 문화 교육 내용이 구안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지금까지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 교육은 외국인 유학생들의 문화 간 의사소통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파악하려는 노력이 다소 부족했고, 목표 문화에 적합하지 않은 행동방식에 대해서는 교정적 관점을 적용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즉, 외국인 유학생들로 하여금 목표 문화와 모문화를 비교해서 차이점과 공통점을 인식하게 한 후 목표 문화의 가치관과 규범을 준수하고, 목표 문화에 적응해야 한다는 일방향적 관점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바로 이에 대한 반성적 관점에서 출발하여 외국인 유학생들을 주체적인 문화 학습자로 규정하고 목표 문화를 넘어서서 세상 지식 전반을 확충하고, 문화 간 의사소통을 활성화 시키며 독자적인 문화 해석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문화 문식력 교육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 문식력 신장을 교육 목적으로 상정하고 문화 문식력의 개념을 재정립하였다. 문화 문식력은 인간이 선천적으로 갖추고 있는 능력이 아니라 건강한 학습 공동체 생활을 통해 습득될 수 있는 능력이자 상황에 기반을 둔 교육 환경에서 의식적인 훈련을 통해서 함양할 수 있는 능력이다. 본 연구에서 문화 문식력은 사회 공동체 생활에 참여하기 위해 기초가 되는 과거와 현재의 수직적·수평적 세상 지식을 바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문화 문식력은 담화 공동체가 가치 있게 여기는 의사소통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능력이며, 비판적 사고력과 자신의 고유한 견해를 논리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으로 개념화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 문식력을 ‘세상 지식으로서의 문화 문식력, 공감과 소통으로서의 문화 문식력, 독자적 해석으로서의 문화 문식력’의 세 범주로 나누어 그 하위 요소들을 설정한 후 문화 문식력의 구인을 마련하고 교육 방안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문화 문식력 교육은 외국인 유학생 개개인이 목표 문화 집단에서 다른 구성원들과 상호관계를 형성하는 데에 긍정적 태도를 취하고 공동체가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공동체 의식을 확립하고 자존감 높은 성장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와 같은 문화 문식력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상황 학습 이론’을 문화 문식력 교육에 접목하고자 하였다. 상황 학습 이론을 접목하기 전에 현재 한국에서 유학 중인 학생들이 기존의 문화 교수-학습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과 요구를 하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맥락 중심성, 자기 주도성, 기록 중심성, 프로젝트 기반성, 협동적 또래 학습 지향성’의 다섯 가지를 교수-학습 원리로 도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문화기술지, 자기 기록 작성법, 스토리텔링, 언어·문화 교류 프로그램 등의 문화 문식력 교수-학습 방법을 구안하여 대학 축제에서의 민족지학적 문화 학습 활동, SNS를 통한 한국 문화 경험의 스토리텔링, 한·중 대학생 간 문화 교류 프로그램 등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적용한 사례를 상세하게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문화 문식력 교육은 외국인 유학생들이 세상 지식을 확충하고, 의사소통의 활성화를 진작시키며 독자적 해석력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일차적으로 중요한 함의를 가진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 문식력 교육 방안을 ‘상황 학습’에 기반을 두고 이론화하여 세부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고 그 구체적 실천 사례들을 교육적으로 검증한 데에 의의가 있다. For successful academic experiences in Korea, foreign students do not only need Korean language skills, but also cross-cultural skills, academic abilities, and computer literacy skills. In addition to these various skills, cultural literacy is another skill that a foreign student must acquire. Cultural literacy is an ability that provides cross-cultural understanding and a method of co-existing within a multicultural environment, which is a critical skill for assimilating into communal living as a university student and acquiring high academic achievements. This research focuses on creating a teaching-learning model that develops cultural literacy, by identifying components of cultural literacy for foreign students, and planning educational content for cultural literacy. Discussions surrounding modern foreig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constructivism emphasize the situational and contextual elements in which the language and culture are understood and used, and such ideas are actively reflected in education plans. Lately, eve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emergent discussions regarding cultural education have emphasized the situational context. However, it seems that the current Korean cultural education system fails to make learners active participants and creative interpreters; it is unsuccessful in promoting critical acceptance of the target culture, and inspiring pride for their country. Moreover, it seems that it is not the highest level of cultural education that gives rise to cultured people and creative culturati. The researcher conducted this study on cultural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with critical minds, arguing that contents for new cultural education—focused on improving cultural performance and producing creative culturati—must be planned, rather than focusing on one-way learning and simple activities.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lacks the efforts needed to locate the core of problems surrounding cultural communication with foreign students, and that corrective perspectives are applied to behaviors that do not fit the target culture. Therefore, this study starts with the reflective stance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may have emphasized a one-sided perspective that foreign students must follow the values and norms of the target culture by acknowledging and compar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it and their own culture. Using this starting point as a guideline, this research aimed to design a cultural literacy education that: defines foreign students as independent cultural learners, expands the overall knowledge about the world beyond the target culture, invigorates communication between cultures, and cultivates abilities enabling the original interpretations of cultures. Thus, this research aims to increase the cultural literacy of foreign students and reestablish the concept of cultural literacy. Cultural literacy is not an innate ability. It is an ability that can be acquired in healthy learning communities, and increased through conscious training within educational environments based on situated learning. In this research, cultural literacy is based on vertical and horizontal knowledge about the past and present world, which provides the foundations for communal living. In addition, it is an ability that allows for active participation in communication, which is highly valued in a discursive community. It has been theorized that it enables one to logically express critical thinking and one’s own opinion. Therefore, in this research, cultural literacy was divided into three domains as follows: “cultural literacy as knowledge of the world, cultural literacy as sympathy and communication, and cultural literacy as independent interpretation.” After defining their sub-elements, attempts are made to arrange recruitment for cultural literacy and specify the educational plan. Cultural literacy education enables individual foreign students to achieve positive attitudes toward establishing mutuality with other members in the target culture community. It also helps to establish community spirit, and promote growth with a high sense of self, through the accomplishing of community-assigned roles. To meet such goals for cultural literacy, this research attempts to incorporate “situated learning theory” into cultural literacy education. Before incorporating the situated learning theory, surveys were conducted to grasp what perceptions and demands are required for the current cultural teaching-learning for foreign students in Korea,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five teaching-learning principles were derived as follows: “focusing on context, self-directedness, focusing on documentation, being project-based, and orientation to cooperative peer learning.” Based on thes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cultural literacy such as ethnography, self-reporting methods, storytelling, and language and culture communication programs were designed. Cases to which they were applied—including practices in ethnographic cultural activities at college festivals, telling stories about the cultural experiences in Korea, and cultural communication programs between Korean and Chinese students—are reported in detail. The cultural literacy educ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hold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hat it allows foreign students to expand their knowledge about the world, enhances their communication, and reinforces their independent interpretation abilities. This study holds further significance in that it designed a detailed teaching-learning model by theorizing the cultural education plans for foreign students based on “situated learning,” and academically verified with detailed practice cases.

      • 외국인유학생의 정보추구행태에 관한 연구

        양순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cademic and everyday life-related the information needs and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international students. As a first indicator for this purpose, researcher categorize the contents of the information needs and then survey to find out what is the most needed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needs, the strength of each of the information needs were compared. As a second indicator is the information seeking. Detailed sub-elements are activity level of information seeking, whether or not satisfied with information seeking, and barriers of information seeking. As a third indicator is information source. Detailed sub-elements are preferred information source and degrees of decision about usability. Another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btain whether or no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r example, nationality, ages, gender, degree process, major, korea residence perio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marital status and whether or not accompanied by family and affective aspects for example, alienation and self-esteem. Additionally this study made a survey for researching their overall use behavior CNU library focus on frequency of visit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with graduate course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Campus, and analyzed for frequency test, Chi-square test, one-way ANOVA, independent-samples t-test, correlation analysis o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s 17.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ternational students demand mostly Academic-related information. Then comes Self-development information, Economic life information, Social and cultural life information, and Health information in that order. 2) The strength of academic-related information needs average is 2.68 and the strength of everyday life-related information needs average is 2.79. The result shows that the latter is higher than the former but indicates that international students have low information needs overall. The highest strength of academic-related information needs is library use(2.92) and the highest strength of everyday life-related information needs is a part-time job(2.99). 3) In terms of positiveness, international students are more actively academic-related information seeking than everyday life-related information seeking. 4) In both academic and everyday life-related the information seeking, the major obstacle chosen most frequently by international students is that they don't know how to get information, and then the lack of services offered in English in that order. 5) 70.1% of international students are satisfied with academic-related information seeking and 68.7% of international students are satisfied with everyday life-related information seeking. Also the result shows whether or not satisfied with information seeking academic and everyday life-related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6) Preferred information sources for both academic and everyday life-related are informal information sources such as professors, assistants, friends, and colleagues and then internet in that order. 7) Both-all academic and everyday life-related, degrees of decision about usability of informal information sources such as professors, assistants, friends, colleagues, and families are the highest and then internet in that order. In other words, informal information sources are useful as well as preferred. 8) In connection with indicators of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in all aspects; information needs, information seeking, and information sources, variable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i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9)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the variables which is associated with frequency of library visits are degrees of decision usability about CNU library resources, degrees of decision usability about librarian, the strength of information needs such as course registration, understanding classes, writing a paper, career counseling, and foreign language skills improvement, the number of library services which they know, and frequency of use library homepage such as Borrowing/Returning inquiry, Search the library list , Off-campus access services and Interlibrary loan.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for variables, the frequency of library visits is greatly influenced by Borrowing/returning inquiry.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고등교육을 받고자 하는 외국인유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학업 및 일상생활 관련 정보요구 및 정보추구행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첫 번째 지표로서 정보요구의 내용을 범주화시킨 후, 이러한 정보요구 가운데 가장 필요로 하는 정보가 무엇인지, 그리고 각각의 정보요구의 강도를 비교하였다. 두 번째 지표인 정보추구에 관한 하위요소로서 학업 및 일상생활 관련 정보추구의 적극성 정도와 정보추구의 장애요인, 그리고 정보추구의 만족여부를, 세 번째 지표인 정보원에 관한 하위요소로서 선호하는 정보원과 정보원의 유용성 판단 정도를 통하여 외국인유학생의 정보추구행태를 밝히는 것을 연구문제로 삼았다. 또한 외국인유학생의 국적, 나이, 성별, 학위과정, 전공계열, 한국어구사수준, 한국체류기간, 결혼여부, 가족동반여부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정보추구행태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그 밖에 그들이 느끼는 소외감정도, 자아존중감정도와 같은 감성적 측면이 정보추구행태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더불어 연구자는 학업 및 일상생활 관련 정보추구행태 연구에서 드러난 외국인유학생의 도서관이용에 관한 인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 부가하여 그들의 전남대학교 도서관이용에 대한 전반적인 행태를 도서관 방문횟수에 초점을 맞춰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전남대학교 광주캠퍼스 석·박사 과정에 있는 외국인유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빈도분석, t-검정, χ²-검정,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SPSS Statistics 17.0으로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외국인유학생이 가장 필요로 하는 정보는 학업 관련 정보요구였다(58.5%).그 뒤를 이어 자기계발 관련 정보, 경제생활 관련 정보, 사회·문화생활 관련 정보, 건강 관련 정보 순으로 밝혀졌다. 2) 학업 관련 정보요구의 강도는 평균 2.68, 일상생활 관련 정보요구의 강도는 2.79로 나타나 학업 관련 정보요구의 강도보다 일상생활 관련 정보요구의 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 관련 정보요구와 일상생활 관련 정보요구 모두에서 대체로 낮은 정보요구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외국인유학생의 학업 관련 정보요구 강도 중에는 도서관이용에 관한 정보요구(2.92)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일상생활 관련 정보요구 강도 중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인 것은 아르바이트에 관한 정보요구(2.99)였다. 3) 정보추구의 적극성 측면에서 전남대학교의 석·박사 과정에 있는 외국인유학생은 일상생활 관련 정보추구(‘적극적’ 또는 ‘아주 적극적’ 50%)보다 학업 관련 정보추구(‘적극적’ 또는 ‘아주 적극적’ 78.8%)에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 외국인유학생은 학업 관련이든, 일상생활 관련이든 정보추구의 장애요인으로 정보를 얻는 방법을 모른다는 점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고, 근소한 차이로 정보가 영어로 지원되지 않는 점을 꼽았다. 5) 외국인유학생에게 학업 및 일상생활의 정보추구에 대해 만족하는가의 여부를 질문한 결과 학업 관련 정보추구에 대해 70.1%, 일상생활 관련 정보추구에 대해 68.7%가 만족한다는 응답을 하였다. 또한 학업 관련 정보추구에 대한 만족여부와 일상생활 관련 정보추구에 대한 만족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6) 가장 선호하는 정보원은 학업과 일상생활 모두에서 교수, 조교, 친구, 동료 등 비공식 정보원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은 인터넷이었다. 인터넷의 뒤를 이어 학업 관련 정보원으로 선호되는 것은 학교홈페이지였으며, 일상생활 관련 정보원으로 선호되는 것은 학교외국인유학생지원부서였다. 7) 외국인유학생은 학업 및 일상생활 관련 정보원으로 교수, 조교, 친구, 동료 등 비공식 정보원을 가장 유용하다고 평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인터넷이었다. 이후 순위부터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데 학업 관련 정보원으로는 학교홈페이지, 일상생활 관련 정보원으로는 학교외국인유학생지원부서를 유용하다고 평가하여 자신들이 선호하는 정보원을 또한 유용하다고 평가함을 알 수 있었다. 8) 정보추구행태의 지표가 되는 정보요구, 정보추구, 정보원에 대해 공통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인은 한국어구사수준인 것으로 밝혀졌다. 9) 도서관 방문횟수와 연관성을 갖는 변인들을 상관분석을 통해 알아 본 결과, 도서관소장자료의 유용성 판단 정도, 사서의 유용성 판단 정도, 수강신청, 수업이해, 논문작성, 진로상담, 외국어능력향상 등 학업 관련 정보요구의 강도, 알고있는 도서관 서비스의 수, 도서관홈페이지를 이용한 대출·반납조회, 도서목록검색, 교외접속서비스, 원문복사·상호대차 서비스의 이용빈도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이러한 변인들 가운데 도서관 방문횟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도서관홈페이지를 통한 대출·반납조회 이용빈도였다.

      • 성격강점이 외국인유학생의 문화적응 및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유찬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830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강점이 외국인 유학생 집단의 문화적응과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이들이 타국 생활을 함에 있어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성격강점이 존재하는지를 탐색하는 데 있다. 먼저 외국인 유학생의 성격강점 및 덕목의 유형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성격강점, 개인주의, GNP와 문화적응 및 대학생활적응 간 정적관계가 있을 것이라 예상하고 이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성격강점의 덕목은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 보고 이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성격강점의 덕목은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하며 어떠한 덕목이 이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성격강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문화적응의 조절효과를 탐색하였다. 서울 소재 3개의 4년제 대학을 현재 재학중인 총 28개 국가 출신 외국인 유학생 총 11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의 성격강점을 알아보기 위해 성격강점 척도(Values in Action-Inventory of Strengths: VIA-IS), 문화적응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문화적응 척도(Vancouver Index of Acculturation: VIA), 대학생활 적응을 알아보기 위해 대학생활적응 척도(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Mannual: SACQ)를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외국인 유학생에게서 나타나는 성격강점 및 덕목의 유형을 발견할 수 있었다. 덕목은 지혜와 지식, 초월성, 용기의 순으로 나타났고, 성격강점은 공정성, 친절, 사랑, 호기심, 진실성으로 인류 공통적으로 선호되고 가장 빈번히 발현되는 성격강점의 유형과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둘째, 성격강점은 문화적응 및 대학생활 적응 모두와 정적관계를 보였으며, 개인주의는 문화적응과, GNP는 문화적응 및 대학생활적응과 모두 정적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지혜와 지식의 먹목과 하위 성격강점들 중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및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지 찾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성격강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문화적응의 조절효과를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시사점 및 미래의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블록체인 활용 온라인 플랫폼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의 이력관리를 중심으로

        임진호 한성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830

        As of 2019, about 160,000 international students are studying in Korea, and about 300,000 international students are expected to study in Korea by 2023, and it is required to carry out an integrated and systematic online platform for career path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migrant workers. At the time when an online platform is needed, through my thesis, it is proposed that the design of a crypto-currency compensation integrated online platform with exploiting blockchain technology and platform economy. In additon, the proposed system architecture and implementation methodology could be proven data reliablility and verification with exploiting blockchain technology. Otherwise, it could arise insufficiency in the online platform. What I presented online platform, so called “DoDream Chain”, have numerous features. First, it supports international students centered study abroad design through a smart contract between international students, local study abroad academies, and notarized translation agencies. Second, the online platform is able to supports the motivation for studying in Korea and career management through studying abroad career goals and career plans. Third, it could support dropout rate prevention by regular observation. Fourth, it is able to prepare for admiss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after graduating from the study abroad course, comprehensive history management for all courses. Fifth, it could show studying abroad realistically by comparing employment requirements with alumni of international students through employment matching which is configured to enable customized design of overseas studying life. On my thesis, it presents optimized solution about biggest concern of international students who want to study abroad to solve several problems that arise in the future, solution with exploiting blockchain technology and platform economy. In addition, I present a crypto currency compensation online integrated platform that applies blockchain technology for data reliability and verification. Hopefully, th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online platform that provides verified data shall build customized services for individual international students to prevent illegal staying and reduce dropout rates as a lighthouse. In particular, as a virtual currency rewarded online platform, I look forward to further research with exploiting this study in the direction that its usability can be increased in a various platform economy environments. 2019년 기준 약 16만명의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에서 유학을 하고 있으며, 2023년까지 약 30만명의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에서 유학을 할 것으로 예상되는 현실과 외국인 유학생과 이주노동자들에 대한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온라인 이력관리 플랫폼이 필요한 시점에서 본 연구를 통해 블록체인 기술과 플랫폼 경제를 활용한 가상화폐 보상형 통합 온라인 플랫폼 설계를 제시하고 구축 하였으며, 제시된 설계 방법론과 구축 방법론을 활용하여 온라인 플랫폼을 사용하지 않았을때의 비효율과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므로써 확보되는 데이터의 상호 신뢰성과 검증 확대를 증명하였다. 제시하는 온라인 플랫폼은 DoDream Chain으로 명명하며, 플랫폼의 구성은 첫째, 외국인 유학생, 현지유학원, 번역 공증기관, 간에 스마트계약(smart contract)를 통한 외국인 유학생 중심의 유학설계를 지원한다. 둘째, 유학 진로목표와 진로계획 수립을 통해 지속적인 한국유학의 동기부여와 경력관리가 가능토록 한다. 셋째, 주기적인 관찰로 중도탈락률 방지를 점검한다. 넷째, 외국인 유학생의 입학준비부터 유학과정 졸업후 전 과정에 대한 통합적인 이력관리를 한다. 다섯째, 취업매칭으로 외국인 유학생 동문과의 취업요건의 비교를 통해 현실적 유학생활의 맞춤형 설계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으며, 본 연구는 한국으로 유학을 희망하고 유학을 하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 사항인 유학 과정에서 발생하는 많은 문제를 블록체인 기술과 플랫폼 경제를 활용한 해결방안을 제시 하므로써 데이터의 신뢰성과 검증을 통하여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가상화폐 보상형 온라인 통합 플랫폼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로 검증된 데이터를 활용한 온라인 플랫폼 구축으로 발생하는 정보를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분석·제공하여 외국인 유학생의 유학결정과 경력관리 및 취업지원을 할수 있게 되기를 바라며, 외국인 유학생의 중도탈락 및 불법체류를 예방 할 수 있도록 외국인 유학생 개개인의 맞춤형 지원 서비스 구축을 위한 등대지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특히, 가상화폐 보상형 온라인 플랫폼으로써 다양한 플랫폼 경제 환경에서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는 방향으로 본 연구를 활용한 추가 연구를 기대한다.

      • 외국인 유학생의 언어문화 역량 증진을 위한 동아리 활동 연구

        김나운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815

        Despite the recent increase in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at Korean universities, many of these students have difficulty adjusting to university life. Accordingly, university institutions are seeking ways to attract foreign students and help them adapt. Therefore, in this study,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I would like to suggest clubs as extracurricular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club for international students is to improve language and cultural competence based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Academic Purpose For international students who come to Korea for academic purposes, the purpose and interests of club activities are improving Korean language skills, adapting to Korean culture and college, and interacting with Korean stud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club activities that can improve communication-based Korean language skills and cultural understanding skills through exchanges with native students who major in Korean language. In this study, based on collaborative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international students were able to demonstrate capabilities beyond their previous abilities. Through participation in clubs to activities, self-directed learning was realized. Prior to the application of cooperative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 ‘learning communication club’ was proposed for international student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activity, it was subdivided into 'learning-focused club' and 'relationship-focused club'. In order to find club activities suitable for the nature of each club, after conducting a survey on the needs of international students, the purpose of club activities and the club activities requested by foreign students were sought out. As a result of the survey analysis, the educational factor was the highest reason for club participation by international students. Among them,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were the most requested. Based on this,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various application methods to lear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rough club activiti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In addition, club activities are aimed at cultivating actual communication skills and a mutual understanding of cultures that are not covered in the curriculum. Also,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needs of foreign international students for each club activity type were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is, the activity type of 'learning and communication club', which can include both 'learning-focused club' and 'relationship-focused club', was presented. Throug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uch as ‘Blended Learning’, ‘Tandem Learning’, and cultural experience activities, which are considered important in recent tren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apply it in a club as extracurricular courses which were dealt with only in the curriculum proper in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club is to cultivate natural linguistic and cultural capabilities for learners, focusing on activities that combine educational clubs and clubs in the sense of leisure. Based on this, the language and culture clubs are conducted for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mainly deal with language and cultural exchanges between prospective non-native teachers and native-speaking teachers. 최근 국내 대학의 유학생 수는 증가하고 있으나, 많은 유학생들은 대학 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에 따라 대학 기관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의 유치 및 적응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비교과 프로그램 중 동아리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동아리는 자기주도학습과 협력 학습을 기반으로 자연스러운 언어 및 문화 역량을 향상시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학문 목적 유학생의 경우 그들의 동아리 활동 목적 및 관심사는 한국어 능력 향상, 한국 문화 및 대학 생활을 적응, 한국인 학생과의 교류이다. 따라서 외국인 학생을 위해 한국어를 전공으로 하는 모국어 학습자와 교류를 통해 의사소통 기반의 한국 언어 능력 향상 및 문화 이해능력을 동시에 신장시킬 수 있는 동아리 활동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협력 학습과 자기주도학습을 기반으로 협력을 통해 외국인 유학생의 본인의 역량 이상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동아리의 참여부터 활동까지 자기 주도적으로 스스로의 학습 의지가 실현되도록 한다. 협력 학습과 자기주도학습을 적용하기에 앞서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학습 소통 동아리’를 제시하였고, 활동 목적에 따라 ‘학습 중점 동아리’와 ‘관계 중점 동아리’로 세분화하였다. 각 동아리 성격에 맞는 동아리 활동 모색을 위해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진행 후 외국인 학생들의 동아리 활동 목적 및 요구하는 동아리 활동을 모색한다. 요구 조사 분석 결과, 외국인 유학생의 동아리 참여 목적은 교육적 요인이 가장 높았고, 그 중에서도 한국어 학습과 한국 문화의 이해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해 동아리 활동을 통한 자연스러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학습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적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동아리 활동을 통해 교과 과정에서 다루어지지 않는 실제 의사소통 능력 및 상호 문화 이해능력을 배양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각 동아리 활동 유형별 외국인 유학생의 요구를 분석하고, 이에 맞게 ‘학습 중점 동아리’,‘외국와 ‘관계 중점 동아리’를 모두 내포할 수 있는 ‘학습 소통 동아리’의 활동 유형을 제시하였다. ‘학습 소통 동아리’의 활동은 최근 한국어 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교수법 및 학습법인 ‘블렌디드 러닝’, ‘Tandem 학습’, 문화 체험 활동을 통해 기존 연구에서 교과 과정으로만 다루던 내용을 비교과 과정인 동아리 활동에 적용을 하고자 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동아리 성격 중 교육적 동아리와 여가적 의미의 동아리를 접목한 활동을 중심으로 학습자들에게 자연스러운 언어 문화적 역량을 함양시키고자 했다. 이를 바탕으로 언어문화동아리는 한국어교육을 전공으로 공부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기에 그 안에서 예비 비원어민 교사와 원어민 교사의 언어 및 문화 교류를 주된 목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대학 내 외국인 유학생 담당자들의 직업 정체성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전아영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815

        본 연구는 5년 이상 대학 내에서 외국인 유학생의 유치 및 관리 담당자로서 근무한 행정담당자 4인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유학생 담당자로서 직업 정체성을 형성한 경험을 살펴보았다.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대학 내 외국인 유학생 관리 담당자라는 직업적 과정에서 연구참여자들이 경험한 것을 살펴보고 이러한 경험이 그들의 삶에서 차지하는 의미를 삶의 연대기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4명의 심층면담자료를 최종연구 텍스트로 활용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경험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경험의 의미는 <비를 피할 곳을 찾아가다>, <그치지 않는 폭우에 절망하다>, <미지의 세계 속 함께하는 동료를 찾다>, <다시 빗 속으로 들어가다>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발견한 이들의 직업정체성 형성 및 발달과정에서 발견되는 시사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 유치 관리 담당자의 직업정체성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유학생 관리 담당자로서의 교육적 보람]이었다. 둘째, 외국인 유학생 유치 관리 담당자의 직업정체성 형성에 방해물이 되는 것은 [급변하는 관련정책과 행정시스템의 혼란]이었다. 셋째, 외국인 유학생 유치 관리 담당자의 직업정체성의 형성은 [서로 다른 직업적 역할수용]의 과정이었다. 넷째, 외국인 유학생 유치 관리 담당자의 직업정체성의 확립은 [담당자의 전문성 구축 추구]의 결과로 알아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학 행정가가 대학 내 국제교류 업무를 담당함으로써 경험하게 되는 것들이 직업정체성에 미치는 특징들을 살펴보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정립하기 어려운 대학 내 외국인 유학생 담당이라는 특수한 직무를 맡으면서 발생하는 담당자를 둘러싼 개인적, 관계적 사회적 변화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탐색하였다. 이는 담당자들의 내면에 일어나는 심리적 어려움과 담당자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외부적 요인들을 살펴보고 이들을 위한 심리적, 사회적 개입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대학 내 외국인 유학생 유치・관리 담당자로 근무하기를 희망하는 이들에게 직업역할 수행과 갈등, 그리고 극복과정에 대한 구체적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직업 이해도를 높이는 안내 자료로서의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과 정책적 지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occupational identity as a university coordinator in recruiting and managing international students. Using a narrative methodology, the autho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people who have been working for over five years in chronological records. The paper explained the occupational experiences of the interviewees and the meaning in their lives as coordinators. The author used four in-depth interview materials and extracted the meaning of occupational experiences. The meaning consists of four elements as follows: taking shelter from the rain, falling into despair with an endless downpour, finding colleagues in the unknown world, and walking back in the rain. The research implications in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in occupational identity are as follows. Firstly, the key element to establishing the occupational identity was a sense of educational accomplishment. Secondly, the obstacle of occupational identity was "turbulent policies and disorder of the system." Thirdly, the formation of occupational identity was an accepting process of different occupational duties. Lastly, the confirmation of occupational identity is linked to the pursuit of professionalism.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nvestigated the elements affecting to development of an occupational identity while coordinators have recruited and managed international students. It also used longitudinal research method to inspect individual, relational, social changes around the coordinators with their undefinable and extraordinary duties. It identified external factors which may affect their job performance and noticed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which may arise from the inside of their minds. The paper's contribution lies in providing the baseline data for psychological and social intervention towards the coordinator. Moreover, it can be a guideline for potential coordinators to understand the job with specific examples about job performance, conflicts, and overcoming adversity. Lastly, the paper included the policy proposal,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roposals for follow-up studies.

      • 국내 외국인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예측모형 : 대처-적응 문화맥락적 모형을 중심으로

        김오숙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81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related to the university life adjustment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The research method is to build a hypothetical model based on a conceptual framework of Chun’s Contextual Model of Stress & Coping and literature reviews. An acculturation stress scale, a self-efficacy scale, a coping measure, a cultural orientation measure, a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and a demographic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at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orea.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s were assessed and found to be adequate. The data was collected between June 1, 2013 and July 15, 2013, from international students at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orea.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in English and Chinese were distributed. Out of 400 questionnaires, 363 were included in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 18.0 for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model was tested with AMOS 20.0. Before confirming the hypothesis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 measurement model was developed in order to verify the convergent validity and the discriminate validity of the factors to be applied. In particular, this research utilized a high order factor analysis method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factors organized in high order fashion. As a result, from the initial 19 pathways, 12 pathways remained. The assessment of the modified model specifications showed desired fit, with χ2=75.87(df=26, p< .001), χ2/df=2.91, GFI= .96, AGFI= .90, NFI= .93, CFI= .95, RMR= .02, RMSEA= .07. Based on the findings above, Chun’s Contextual Model of Stress & Coping was found to be a obvious and appropriate model for explaining the university life adjustment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In particular, the results show that self-efficacy had a strong influence on increasing university life adjustment; while international students with individualistic tendency were well-adjusted to university life in Korea, international students with collectivistic tendency could become better adjusted by enhancing their self-efficacy or using self-efficacy as the mediators for decreasing acculturation stress, or strengthening active coping.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the successful university life adjustment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it is necessary to devise strategies and solutions to increase the self-efficacy of intentional students and encourage active coping. 본 연구는 국내 외국인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Chun 등(2006)의 대처-적응 문화 맥락적 모형을 근거로 외국인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가설적 예측모형을 제시하고, 모형의 적합도와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공변량 구조분석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요인은 집단주의 성향, 개인주의 성향, 문화적응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적극적 대처, 소극적 대처, 대학생활적응의 총 7개, 14개의 하부요인으로, 측정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한 후 사용하였다. 2013년 6월 1일부터 7월 15일까지 서울 소재 일 개 대학(원)에 재학중인 외국인유학생을 363명을 대상으로 임의표본추출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를, AMOS 20.0을 이용하여 공분산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인과관계 및 경로를 검증하기 위해 AMOS 20.0을 이용해 최종 모형을 검증한 결과 χ2=75.87(df=26, p< .001), χ2/df=2.91,GFI= .96, AGFI= .90, NFI= .93, CFI= .95, RMR= .02, RMSEA= .07로 모형의 간명성과 전반적 적합지수에 있어서 가설적 모형보다 개선되었다. 총 19개의 가설 중 12개가 채택되었고 7개의 가설이 기각되었다. 본 연구에서 외국인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는 직접적으로 개인주의 성향, 문화적응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적극적 대처, 소극적 대처가 영향을 미쳤고, 자기효능감과 적극적 대처를 매개로한 간접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즉 개인주의 성향이 높고, 자기효능감이 높으며, 적극적으로 대처할수록 대학생활적응도가 높았고,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검증한 Chun 등(2006)의 대처-적응 문화맥락적 구조모형은 국내 외국인유학생의 특성을 반영한 대학생활적응을 설명할 수 있는 간명하고 적절한 모형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연구 결과 외국인유학생의 한국 대학생활적응을 증진시키는데 자기효능감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개인주의 성향의 유학생은 대학생활적응을 잘하나, 집단주의 성향의 유학생은 자기효능감을 향상 시키거나,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수로 문화적응스트레스를 감소시킴으로, 혹은 적극적 대처를 강화함으로써 대학생활적응력을 높일 수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외국인학생들의 성공적인 국내 대학생활적응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외국인유학생의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적극적 대처를 격려하기 위한 전략과 방안모색이 요구된다.

      •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다문화집단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H대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을 중심으로

        박숙현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812

        최근 한국 사회는 결혼이민자, 외국인노동자, 외국인유학생 등의 유입이 급속히 증가하면서 점차 다양성을 띤 다인종·다문화 사회로 이행되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이질적인 집단 속에서 사회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문화적 역량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민자, 외국인노동자, 외국인유학생에 대한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사회적 거리감에 대해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미래 사회의 주역으로서, 미래의 사회복지사로서 이들의 문화적 역량의 증진을 제고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G광역시 소재 H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삼았다. 자료 수집은 2010년 10월 25일부터 2010년 11월 4일까지 11일간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231개의 설문지 모두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분석을 위해서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기술통계, 빈도분석, t-test와 ANOVA, 상관분석, 위계적회귀분석(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와 관련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이 결혼이민자, 외국인노동자, 외국인유학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접촉 및 다문화 관련 교육 경험이 결혼이민자, 외국인노동자, 외국인유학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이 결혼이민자, 외국인노동자, 외국인유학생에 대해 갖고 있는 고정관념과 감정이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4]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결혼이민자, 외국인노동자, 외국인유학생에 대한 인지도와 호감도가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은 결혼이민자, 외국인노동자, 외국인유학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결혼이민자에 대해서는 접촉 및 다문화 관련 교육 경험 중 외국에 가 본 경험이, 외국인유학생에 대해서는 교류모임참가 경험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국인노동자에 대해서는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결혼이민자, 외국인노동자, 외국인유학생, 세 집단 모두에서 고정관념과 감정이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결혼이민자와 외국인노동자에 대해서는 고정관념의 하위변인 중 우수성과 감정의 하위변인 중 긍정적 정서가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외국인유학생에 대해서는 고정관념의 하위변인 중 합리성과 감정의 하위변인 중 긍정적 정서가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결혼이민자, 외국인노동자, 외국인유학생에 대한 호감도가 세 집단 모두에서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이들 집단에 대한 인지도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대상 집단에 대한 고정관념, 감정, 외국에 가 본 경험과 교류모임참가 경험, 호감도가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함으로써 다문화 집단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 기초하여 대중매체나 기타의 여러 통로를 통해 피상적으로 습득된 잘못된 정보로 인해 형성된 편견적 고정관념과 감정을 바로 잡도록, 사회복지실천에 앞서 사회복지 교육과정에 전공기초과목으로 포함시켜 다양성에 대한 존중이 사회복지의 중요한 가치로써 인식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다문화 집단과 직접적으로 어울려 좀 더 적극적인 상호 교류를 통해 사회적 거리감을 줄일 수 있도록 다문화 관련 기관이나 지역사회 자원과 연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At present, Korean society is quickly transforming into a multi-racial/multi-cultural society with diversity as there is a rapid growing influx of foreign workers, students and immigrants for marriage. In line with this, the need for cultural capacity interacting socially within different groups is on the rise. On th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the method to enhance cultural capacity of social work undergraduate students by figuring out the factors affecting social distance toward foreign workers, students and immigrants for marriage. For this study, the survey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from October 25 2010 to November 4, 2010, targeting social work undergrauate students at H University in G Metropolitan City. The returned 231 questionnaires were analysed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es,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e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es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es, utilizing SPSS 12.0 statistic program.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does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 undergraduate student affect social distance on foreign workers, students and immigrants for marriage? [Research Question 2] How does social work undergraduate student's contact and educational experience with people of other cultures affect social distance toward foreign workers, students and immigrants for marriage? [Research Question 3] How does social work undergraduate student's feeling and stereotype on foreign workers, students and immigrants for marriage affect social distance? [Research Question 4] How does social work undergraduate student's recognition and favorable impression on foreign workers, students and immigrants for marriage affect social distance? Major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 undergraduate student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distance toward foreign workers, students and immigrants for marriage statistically. Secondly, the contact with foreign culture by traveling abroad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distance toward immigrants for marriage statistically. And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cultural interchanging meeting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distance toward foreign students. However, the contact and educational experiences of other cultures don't have an effect on social distance toward foreign workers. Thirdly, the feeling and stereotype on foreign workers, students and immigrants for marriage have an effect on social distance. Upon closer examination, the superiority among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stereotype and the positive emotion among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feelings have an effect on social distance toward foreign workers and immigrants for marriage. And the rationality among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stereotype and the positive emotion among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feelings have an effect on social distance toward foreign students. Fourth, the favorable impression on foreign workers, students and immigrants for marriage has an effect on social distance toward three groups. And the recognition on these groups doesn't have an effect on social dist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se stereotype, feelings and favorable impression on targeting groups as well as experiences traveling abroad and participating in cultural interchanging meetings have an effect on social distance, which helps to seek for methods to reduce social distance toward the multicultural groups.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that the respect for diversity should be recognized as an important value of social welfare through primary subjects of educational programs for social welfare so that the biased stereotype and feelings formed by wrong information from mass-media and other routs can be correct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In addition, various programs connecting resources of local community and institutions related to multi-culture should be developed so that social distance can be effectively reduced through more active mutual exchanges with multi-cultural groups.

      •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경북대학교를 중심으로 : With a focus on Kyung-pook University

        박세원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99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know about school adjustment of the international students who are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To achieve this purpose, the narrative research was adapted and conducted. The research field wa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ta for analysis are gained mainly from participant observation for 4 months from December, 2011 to April, 2012.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ternational students want to come here for Studying. The purpose of their studying overseas is for their future. They want to get a good job and they believe if they get a good job, they will be a better life or better social position. Why did they decide to come to Korea is a little bit complicated. One reason is that they were touched while they watched Korean drama and it took them here. Actually they like Koreans who are kind and Korea which is developed country. However, the most important reason is to get a scholarship. But, when they stay here in Korea, they face lots of problems. It contains studaying, relationship, economic situation and discrimination. Especially they feel burden when Koreans treat them badly. Furthermore, Headquarter of the university don't solve these problems and even they behave as if it is not their job or they don't know which part of the university has to solve. Therefore, International students are still suffering. So, it needs some more supporting.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ay assert that International students should have their dream and purpose first and then go for that, and Koreans should understand what their culture is and what they want. Then, International students who are in Korean, will have comfortable life when they stay here and Koreans will experience other countries' culture through them. It is one of the wonderful experience for them to have.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이다. 외국인 유학생들은 발전된 학문습득을 통해 더 윤택한 경제적 여건과 사회적 지위를 획득하려고 한다. 하지만 유학생활 중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한국어로 이뤄지는 수업, 관계, 경제적 어려움과 차별 등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며 어려움을 겪게 되는데,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외국인유학생들의 한국에서의 유학생활 중 의미와 목적을 찾을 수 있도록 한국인들과 대학본부의 배려가 필요하며, 외국인유학생들 역시 이러한 배려를 통해 서로 상호화합하며 서로의 문화를 공유하여 편견의 벽을 줄이고 서로에 대한 차이를 이해하고 노력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