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합게임과 비영합게임 지도방안

        박숙현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게임 이론은 수학적으로 많은 부분을 다룰 뿐 아니라 경제학, 정치 외교학, 군사학, 전자 공학 등의 여러 방면에 응용되고 있다. 또한 근래에 이산수학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므로 7차 교육과정에서 교과서의 개편과 함께 게임이론이 이산 수학의 교과 내용으로 들어오게 되었다. 그런데 현행 개편된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취급되고 있는 게임 이론의 내용은 극히 기본적인 문제만을 다루고 있다. 따라서 그러한 문제의 바탕이 되는 이론적 내용은 미흡하여 게임이론의 지도 목표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 거라 생각된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그 결함을 보충하고자 게임이론의 기본적인 내용, 정리, 게임 이론의 풀이 방법을 다루고, 그러한 것들에 관한 몇 가지 예들을 만들어 다룸으로써 그 개선점을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론은 고등학교에서 취급되고 있는 게임이론의 내용이 좀더 풍부하고 깊이가 있는 내용을 취급해야 되겠다는 점이다. In recent years, game theory plays more roles not only in mathematics but also in economics, electronic engineering, international politics and military science. In the 7th revision of mathematics curriculum before college, game theory is introduced in discrete mathematics for high school students. In this paper, we review the content of game theory in the revised curriculum and provide more theoretical backgrounds in game theory including fundamental concepts, key theorems and examples with detailed solutions.

      •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다문화집단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H대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을 중심으로

        박숙현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한국 사회는 결혼이민자, 외국인노동자, 외국인유학생 등의 유입이 급속히 증가하면서 점차 다양성을 띤 다인종·다문화 사회로 이행되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이질적인 집단 속에서 사회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문화적 역량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민자, 외국인노동자, 외국인유학생에 대한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사회적 거리감에 대해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미래 사회의 주역으로서, 미래의 사회복지사로서 이들의 문화적 역량의 증진을 제고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G광역시 소재 H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삼았다. 자료 수집은 2010년 10월 25일부터 2010년 11월 4일까지 11일간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231개의 설문지 모두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분석을 위해서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기술통계, 빈도분석, t-test와 ANOVA, 상관분석, 위계적회귀분석(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와 관련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이 결혼이민자, 외국인노동자, 외국인유학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접촉 및 다문화 관련 교육 경험이 결혼이민자, 외국인노동자, 외국인유학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이 결혼이민자, 외국인노동자, 외국인유학생에 대해 갖고 있는 고정관념과 감정이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4]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결혼이민자, 외국인노동자, 외국인유학생에 대한 인지도와 호감도가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은 결혼이민자, 외국인노동자, 외국인유학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결혼이민자에 대해서는 접촉 및 다문화 관련 교육 경험 중 외국에 가 본 경험이, 외국인유학생에 대해서는 교류모임참가 경험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국인노동자에 대해서는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결혼이민자, 외국인노동자, 외국인유학생, 세 집단 모두에서 고정관념과 감정이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결혼이민자와 외국인노동자에 대해서는 고정관념의 하위변인 중 우수성과 감정의 하위변인 중 긍정적 정서가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외국인유학생에 대해서는 고정관념의 하위변인 중 합리성과 감정의 하위변인 중 긍정적 정서가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 결혼이민자, 외국인노동자, 외국인유학생에 대한 호감도가 세 집단 모두에서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이들 집단에 대한 인지도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대상 집단에 대한 고정관념, 감정, 외국에 가 본 경험과 교류모임참가 경험, 호감도가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함으로써 다문화 집단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 기초하여 대중매체나 기타의 여러 통로를 통해 피상적으로 습득된 잘못된 정보로 인해 형성된 편견적 고정관념과 감정을 바로 잡도록, 사회복지실천에 앞서 사회복지 교육과정에 전공기초과목으로 포함시켜 다양성에 대한 존중이 사회복지의 중요한 가치로써 인식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다문화 집단과 직접적으로 어울려 좀 더 적극적인 상호 교류를 통해 사회적 거리감을 줄일 수 있도록 다문화 관련 기관이나 지역사회 자원과 연계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At present, Korean society is quickly transforming into a multi-racial/multi-cultural society with diversity as there is a rapid growing influx of foreign workers, students and immigrants for marriage. In line with this, the need for cultural capacity interacting socially within different groups is on the rise. On th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the method to enhance cultural capacity of social work undergraduate students by figuring out the factors affecting social distance toward foreign workers, students and immigrants for marriage. For this study, the survey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from October 25 2010 to November 4, 2010, targeting social work undergrauate students at H University in G Metropolitan City. The returned 231 questionnaires were analysed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es,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e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es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es, utilizing SPSS 12.0 statistic program.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does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 undergraduate student affect social distance on foreign workers, students and immigrants for marriage? [Research Question 2] How does social work undergraduate student's contact and educational experience with people of other cultures affect social distance toward foreign workers, students and immigrants for marriage? [Research Question 3] How does social work undergraduate student's feeling and stereotype on foreign workers, students and immigrants for marriage affect social distance? [Research Question 4] How does social work undergraduate student's recognition and favorable impression on foreign workers, students and immigrants for marriage affect social distance? Major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 undergraduate student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distance toward foreign workers, students and immigrants for marriage statistically. Secondly, the contact with foreign culture by traveling abroad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distance toward immigrants for marriage statistically. And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cultural interchanging meeting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distance toward foreign students. However, the contact and educational experiences of other cultures don't have an effect on social distance toward foreign workers. Thirdly, the feeling and stereotype on foreign workers, students and immigrants for marriage have an effect on social distance. Upon closer examination, the superiority among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stereotype and the positive emotion among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feelings have an effect on social distance toward foreign workers and immigrants for marriage. And the rationality among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stereotype and the positive emotion among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feelings have an effect on social distance toward foreign students. Fourth, the favorable impression on foreign workers, students and immigrants for marriage has an effect on social distance toward three groups. And the recognition on these groups doesn't have an effect on social dist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se stereotype, feelings and favorable impression on targeting groups as well as experiences traveling abroad and participating in cultural interchanging meetings have an effect on social distance, which helps to seek for methods to reduce social distance toward the multicultural groups.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that the respect for diversity should be recognized as an important value of social welfare through primary subjects of educational programs for social welfare so that the biased stereotype and feelings formed by wrong information from mass-media and other routs can be correct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In addition, various programs connecting resources of local community and institutions related to multi-culture should be developed so that social distance can be effectively reduced through more active mutual exchanges with multi-cultural groups.

      • 출산정책의 문제점 및 향후 개선 방향 연구

        박숙현 韓國外國語大學校 政治行政言論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Problems in and Future Improvement Directions for Childbirth Policy The Republic of Korea is aging most quickly in the world, as seen in the super low total fertility rates of 1.3 or fewer children. By 2020, South Korea will hit the demographic cliff when production population decreases on a full scale, as baby boomers are incorporated into the elderly generation (Directions for 3rd Master Plan against Low-Birth Aging Society, 2015). This prognosis raises the worry of failure in sustainable development by economic recession etc. Even if a birth rate recovery occurs, there is a time difference by the time when newborn population enters into economic activities and alleviates social caregiving burde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urgent measures (1st Master Plan against Low-Birth Aging Society (draft), 2006). Approximately 60 trillion KRW have been invested into policies to ease low fertility since 2006, but there has been no rise in birth rate. The 3rd master plan against the low-birth aging society is being currently worked out. The 3rd master plan is to be implemented from 2016 through 2020, the last five years of low caregiving burden. As the period is called a golden time for increasing birth rates, any effective policy should be drawn up to succeed in achieving the target (Directions for 3rd Master Plan against Low-Birth Aging Society, 2015). South Korea has been fixed as a low-fertility country mainly because strong birth control policies were carried out from the 1960s on. As a result, a birth rate reached 2.08 children which fall short of 2.1 children, a population alternative level. Nonetheless, the ROK government continued to go ahead with the birth control policy, thus making it impossible to touch off the second baby boom. At last, the population control policy led to a birth rate of around 1.6 children. It was not until June 1996 that the government entered into a population quality improvement period. It is a great regret that the government did not promptly switch its policy into a birth encouragement mode at that time. If any birth encouragement policy had been executed as in France, it could have prevented the current serious super low birth. In the population quality improvement period, the government implemented policies for maternal protection, gender balance etc based on low birth maintenance for socio-economic development. In this period, the plasticity principle of birth control policy worked, and preference for a small number of children was dominant among people, who were ready to practice contraception on their own initiative. In addition, fertility rates dropped more after the IMF crisis in 1997, and super low birth rates of 1.3 or fewer children lasted from 2001 on, as women received high level education and entered into society. At last, a birth encouragement policy began to be enforced in 2006, but people had already been accustomed to low marriage rate, late marriage, late childbearing etc. Population aging forces a nation to lose its growth energy with decrease in producible population, labor population aging, increase in supporting expenses for the elderly, economic recession etc. This study intended to design a method to get over the lingering low birth in the long run. Preceding studies indicate that one's will to marry and give birth is affected by unstable employment, private tutoring, dual burden of work and family, gender equality etc. The chronic low birth should be overcome with a strong will through population education, private tutoring punishment, and so on. In particular, South Korea is asked to implement any practical policy by expanding a childbirth budget drastically, like France which does not allow couples to avoid childbirth for an economic reason by giving allowances, e.g. family allowance given till twenty years of age in case of two or more children.

      • 韓國人의 顔面 및 口腔內 解剖學的 基準點測定과 垂直高經과의 關係에 대한 硏究

        박숙현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치과 임상 보철분야에서 무치악 환자의 총의치 제작시에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되는데, 특히 수직고경의 확립 역시 어려운 점이 많으나 이는 환자의 저작기능, 심미, 발음을 적절히 회복시켜주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20대 성인을 대상으로 인류계측적인 방법과 모형상 측정방법을 사용하여 얻어진 계측결과를 무치악 환자의 총의치 제작시 수직고경 결정에 기준이 되는 지침을 얻고자 함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영구치가 완전히 맹출되고, 영구상악전치와 소구치 및 제 1대구치가 있으며, 중심교합시 구치부간에 정상교합이 유지되는 20대의 한국인 성인 323명을 대상으로 양관골간 거리, 양동공간 거리, 양동공의 중심을 연결한 가상선에서 비하점까지의 거리, 측모의 형태, 손길이를 계측하였고, 또한 측정치들을 수직고경을 얻기 위한 Hayakawa의 예측식에 대입하여 이 식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또한 항목들 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양관골간거리와 치궁폭경과의 비율은 남자 3.26:1, 여자 3.21:1 이었으며, 수직고경과 치궁장경과의 비율은 남자 2.49:1, 여자 2.39:1 이었다. 2. 중회귀분석 결과, 수직고경(SN-Gn), 양관골간 거리(Zy-Zy), 치궁장경사이에 다음과 같은 상관관계식을 나타냈다(R^2=0.224). [ SN-Gn = 23.37 + 0.24x(Zy-Zy) + 0.29x치궁장경 ] 3. Hayakawa의 공식에 의해 얻어진 수직고경은 남자 68.0±43.16㎜, 여자 64.38±3.00㎜로 실측한 수직고경인 남자 68.05±3.78㎜, 여자 64.54±3.94㎜와 서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the guides of establishing vertical dimension by analyzing the facial and oral landmarks of Korean ad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rom this study. 1. The ratio of bizygomatic width to dental arch width was 3.26 : 1 in male and 3.21 : 1 in female, and the ratio of vertical dimension to dental arch length was 2.49 : 1 in male and 2.39 : 1 in female. 2. It was obtained by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that the correlative formula, vertical dimension = 23.37 + 0.24x bizygomatic width + 0.29x dental arch length.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 of vertical dimension acquired by means of Hayakawa's prediction (68.04±3.16㎜ in male, 64.38±3.00㎜ in female) and that of vertical dimension by this study.

      • 지역사회중심 스크립트를 이용한 사회극 놀이가 지적장애 아동의 표현언어 증가와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박숙현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ocio- dramatic play by community-centered scripts on the expressive language and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children who used a welfare agency in the city of G. The selected children were engaged in socio- dramatic play in 25 sessions during a nine-week period of time from January 5 to March 6, 2009, three times a week. A series of appropriate behavior were arranged based on Schank and Abelson(1977)'s theory and in accordance with particular time and spatial contexts, and a sociodrama play program was constructed by applying scripts respectively designed to attain a specific goal.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elatively fall behind general children in terms of the representation of ideas suggested by a script, and they eventually lag behind in terms of verbal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skills as well. Therefore the sociodramatic play program was prepared by utilizing scripts to improve the verbal expression of the children and curb their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To assess the expressive language of the children, the total number of utterance was measured according to Kang Young-taek(2006)'s modified method that was grounded in Garvey and Berninger(1981)'s definition, and the frequency of lasting dialog was checked, which was adjacency pair analysis used by Furman and Welden(1990) to evaluate the level of children's contribution to conversation in their study of communicative interaction. And an inventory used in Ka Jae-in(2007)'s study of the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employed to assess their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The frequency of expressive language and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was checked by this researcher and a assistant observer in each session to see if there were any changes. As a result of proceeding with the sociodramatic play,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The children got to learn about the given scripts for different situations in the course of being engaged in the sociodramatic play, and that enabled them to predict the next activities to follow. Therefore they faced little difficulties in participating in the sociodramatic play activities, and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spontaneous utterance and continuous dialog with others. And they underwent another positive change, which meant that their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was decreased. The structured environments of the script-based sociodramatic play allowed the children to perform the activities in an interesting and familiar manner, and a supply of reinforced intervention for expressive language and of behavioral intervention suitable for each situation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m to keep interacting with one another and express themselves through language. In addition, they were encouraged to have interest in something common, and that contributed to bolstering their expressive language and cutting down on negative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script-based sociodramatic paly had a good impact on the expressive language and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지역사회 중심 스크립트를 이용한 사회극 놀이가 지적장애 아동의 표현언어 증가와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위치한 장애인복지관 이용 아동들이며, 연구기간은 2009년 1월 5일부터 3월 6일까지 9주간, 주 3회, 총 25회기 동안 사회극 놀이활동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Schank와 Abelson(1977)의 이론을 바탕으로, 특정한 시간적․공간적 맥락에 따른 적절한 행위의 순서 계열이며 하나의 목표달성을 위해 조직된 스크립트를 이용한 사회극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스크립트가 형성되는 사상표상이 지적장애 아동에게는 비장애 아동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지역사회 활동에서의 언어적 표현와 의사소통 기술 능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지적장애 아동의 언어표현을 향상시키고 비언어적인 의사소통 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스크립트를 이용한 사회극 놀이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실험 측정도구는 표현언어 검사에서 Garvey와 Berninger(1981)의 정의를 바탕으로 강영택(2006)이 수정하여 사용한 측정법인 전체 발화수와, Furman과 Welden(1990)이 의사소통적 상호작용 분석 연구에서 아동이 대화에 기여한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했던 인접 쌍 분석 방법인 대화 지속횟수를 사용하였다.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평가에는 가재인(2007)의 「정신지체학생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연구」의 측정도구를 이용하였다. 표현언어와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평가 분석은 관찰자와 각 회기마다 발생한 빈도수를 측정하여 변화를 평가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진행 과정에 따라 스크립트를 이용한 사회극 놀이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크립트를 이용한 사회극 놀이를 통하여 연구대상자들은 각 상황에 맞는 스크립트를 습득하게 됨으로써, 다음 순서의 활동을 예견하여 아동이 각 사회극 놀이 활동에 어려움없이 참여할 수 있어 자발적인 발화와 타인과의 대화지속횟수가 증가하게 되었고, 그로 인하여 비언어적인 의사소통 행동은 감소하게 되는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스크립트를 이용한 사회극 놀이의 구조화된 환경은 아동에게 흥미롭고 친숙한 활동으로 진행되었으며, 강화된 표현언어 중재와 상황에 맞는 행동 중재를 통해 아동들끼리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하면서 언어적인 표현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또한 공동 관심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결과 대상 아동의 표현언어가 증가하고 비언어적인 의사소통 행동이 감소하게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결과를 비추어 볼 때, 지적장애 아동에게 스크립트를 이용한 사회극 놀이는 표현언어와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활동이다.

      • 식생활교육 추구 성향에 따른 식생활 적용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박숙현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dietary lif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dietary life education type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participants in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s an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to enhance dietary life education. The results of analyses conducted to classify the types of preferred dietary life education and the types of dietary life application an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factors are as follows: In terms of the types of preferred dietary life education, three factors including health-oriented type, knowledge-oriented type, and experience-oriented type were derived. In terms of the types of dietary life application, two factors including proactive application and emotional application were derived. The knowledge-oriented type and experience-oriented type were found to affect the proactive application and emotional application in terms of real-life application, and the proactive application and emotional application were found to affect the quality of life.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the dietary life education for adults in general, it is necessary to improve its accessibility by initiating and promoting various programs along with continuous support from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Moreover, in order to increase the real-life application and utilization of such programs, the importance of practical and theoretical education must be recognized, and efforts should be made in training specialized instructors. 본 연구는 식생활교육을 받은 교육생들의 식생활교육 추구 성향에 따라 실제 식생활 적용이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식생활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식생활교육 추구성향과 식생활적용 유형을 분류하고 요인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한 분석 결과, 건강추구형, 지식추구형, 체험추구형의 3가지 요인과 적극적 적용, 감성적 적용 2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지식추구형 교육 선호 유형과 체험추구형 교육 선호 유형이 실생활 적용에서 적극적 적용과 감성적 적용에 영향을 미치고, 적극적 적용과 감성적 적용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일반 성인들을 위한 식생활교육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와 지자체의 지속적인 지원과 함께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홍보함으로써 보다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교육 후 실생활 적용과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이론뿐만 아니라 실기수업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전문화된 강사의 양성에도 힘을 써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