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영역 전문가들의 창의적 특성과 지각된 창의적 환경 요인에 대한 탐색

        이선영(Seon Young Lee),민지연(Jin Yeon Min),최차현(Cha Hyun Choi) 한국교육심리학회 2014 敎育心理硏究 Vol.28 No.4

        창의성은 개인내적 특성인 동시에 개인이 속한 조직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개인의 창의적 특성들이 영역과 직무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기 위해 기업영역과 비기업영역의 전문가 297명을 대상으로 창의성진단검사를 실시하였다. 기업영역 전문가들의 경우, 담당하는 직무에 따라 최고경영자, 중간관리자, 실무자로 구분하여 이들의 창의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더불어 이메일을 통한 후속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전문가들이 인식하는 창의성과 실제로 과제를 수행하는 필요한 창의적 능력간의 차이, 창의성을 조장하는 환경 요인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전문가들이 속한 영역에 따라 개인의 창의적 특성들은 차이를 보였는데 가령, 기업영역 전문가들의 경우 정교성과 종결저항에서 상대적으로 강점을 보이고 독창성과 추상성에서 취약한 특성을 보인 반면, 비기업영역 전문가들은 그와는 반대로 독창성과 추상성에서 높은 점수, 정교성과 종결저항에서 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다. 기업영역 전문가들의 경우, 직무유형에 따라 상이한 창의적 특성들(예: 최고경영자와 중간관리자는 독창성과 종결저항이 강점, 정교성과 추상성이 약점인 반면, 실무자는 반대의 특성을 보임)을 보여 개인의 창의적 특성이 자신이 속한 영역과 영역 내에서 담당하는 직무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다. 설문조사 결과, 전문가들이 일반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창의적 특성들과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창의적 특성들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고 창의성을 조장하는 환경요인에 대해서도 직급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창의성의 영역 및 과제 특수적 속성을 기업조직 전문가들을 주요 대상으로 확인해봄으로써 창의성의 다면적 속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창의성 증진 및 교육을 위해서 선행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상기시키고 있다. 뿐만 아니라 과제수행에 필요한 창의성 및 창의적 특성에 대한 이해, 영역(조직)에서의 창의성 증진을 위해서 개인내적 특성으로서의 창의성뿐만 아니라 과제특성에 적합한 창의적 특성과 환경요인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재확인함으로써 공교육 현장에서 창의성교육을 계획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개인이 잠재적 능력을 보이는 영역과 영역에서 담당하는 과제특성에 기반한 창의적 요소들을 포함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Creativity is not only an intrapersonal characteristic and/or ability but also an outcome of social and environmental systems. Using the figural version of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TTCT), this study examined creative characteristics, strengths and weaknesses, of individuals in business and non-business domains order to understand how individuals` creativity differs according to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domains and specific tasks with the domain. About 300 adults who were employed in business and non-business areas (e.g., public service, research and education, arts, medicine, journalism, law) and attended a 16-week creativity education program responded to TTCT. Of these participants, 25 adults responded to a follow-up email survey that examined their perceptions of creative characteristics and abilities needed for overall work environment and specific tasks they were in charge of. Major findings included that individuals` creative strengths and weaknesses differed by the type of domains. On TTCT, businessmen had strengths in elaboration and resistance to premature closure and weaknesses in originality and abstractness of titles, while it was the opposite for those in non-business domains. For businessmen, different creative characteristic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tasks they were engaged in. For example, CEOs, administrators, and managers had higher scores on originality and closure and lower scores on elaboration and titles, compared to staff members who showed their strengths in elaboration and titles and weaknesses in originality and closure. Perceptions about creative work environment and abilities varied by the individuals who were engaged in different tasks. Als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individuals` perceived creativity and actual creative abilities they used for at work. This study proved the multidimensional nature, such as the domain and task specific aspects of creativity and suggested that environmental factors enhancing creativity need to be considered in associa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domains and tasks as well as those of individuals.

      • KCI등재

        창의성의 영역성에 대한 수행집단간의 비교연구

        이정규 한국영재학회 2003 영재교육연구 Vol.1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등학교의 교육현장에서 창의성의 영역성이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을 전체학생 집단, 고창의성 집단, 저창의성 집단의 3개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집단에서의 영역성을 비교 규명하는 것이다. ‘능력-분화가설’에 기초하여, 4개 영역간의 상관관계, 영역-일반성의 변인과 영역-특수성의 영역간의 상관관계, 그리고 영역-특수성에 대한 영역-일반성의 상대적 예측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가설과는 오히려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즉, 저창의성 집단에서는 영역-특수성을 지지하였으나, 전체학생과 고창의성 집단에서 영역-일반성과 영역-특수성의 어느 한쪽을 일방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운 결과가 나타났다. 오히려 영역-일방성과 영역-특수성이 상호 보완 또는 통합되는 영역-상보설이 지지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spute over creativity domain at schools in Korea. In other word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reativity domain among all subjects, a group of high level performance, and a group of low level performance in creativity. Based on ability-differentiation hypothesis, correlation among 4 domains, correlation between divergent thinking variables of domain-generality and 4 domains of domain-speciality,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have been computed. The results are opposed to the hypothesis. The group of low level performance is related to domain-speciality. The group of high level performance, however, has relationships neither domain-generality nor domain-speciality. Instead of differentiation between domain-generality and domain-speciality, the results support the domain-complementarity.

      • A Combined Hough Transform based Edge Detection and Region Growing Method for Region Extraction

        Nguyen N.T.B.,김용권(Yongkwon Kim),정진완(Chin-Wan Chung),이석룡(Seok-Lyong Lee),김덕환(Deok-Hwa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논문지 : 데이타베이스 Vol.36 No.4

        CBIR(Content-based Image Retrieval) 시스템의 질의 처리에 사용되는 모양 특징은 크게 경계 기반과 영역 기반 등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경계기반 특징은 간단하지만 영역 기반 특징에 비해 효과적이지 않다. 영역 기반 모양 특징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시스템은 먼저 영역을 추출해야 한다. 하지만 기존의 영역 기반 시스템들은 구현이 복잡하고, 특히 정확한 영역 추출이 어려우며 영역 간의 위치적인 관계가 거리 모델(distance model)에 반영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Canny 에지 검출과 Hough 변환에 기반하여 목표 내부의 에지를 검출하고, 이와 함께 영역확장을 이용하여 목표 물체 내부의 영역을 정확히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영역 간의 인접 관계를 이용한 수정된 IRM(Integrated Region Matching)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는 모양 특징을 이용한 유사성 검색에서 영상 간의 거리 모델로서 사용된다. 그리고 실험을 통해 수정된 IRM 기법과 우리의 영역 추출 기법이 효과적임을 보였다. 실험 결과는 새로운 영역 추출 방법이 기존의 다른 방법보다 훨씬 우수함을 보여준다. Shape features in a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CBIR) system are divided into two classes: contour-based and region-based. Contour-based shape features are simple but they are not as efficient as region-based shape features. Most systems using the region-based shape feature have to extract the region first. The prior works on region-based systems still have shortcomings. They are complex to implement, particularly with respect to region extraction, and do not sufficiently use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regions in the distance model. In this paper, a region extraction method that is the combination of an edge-based method and a region growing method is proposed to accurately extract regions inside an object. Edges inside an object are accurately detected based on the Canny edge detector and the Hough transform. And the modified Integrated Region Matching (IRM) scheme which includes the adjacency relationship of regions is also proposed. It is used to compute the distance between images for the similarity search using shape featur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effectiveness of our region extraction method as well as the modified IRM. In comparison with other works, it is shown that the new region extraction method outperforms others.

      • KCI등재

        한국의 해양영역인식에 관한 연구 - 해양영역의 변화를 중심으로 -

        백병선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8 해양정책연구 Vol.33 No.1

        In the past, Maritime area was mainly a domain of national security, but it is came to be expanded into the domain of trade and exchanges between countries after Cold War. In particular, coastal nations were strengthened under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which promoted the awareness change of maritime domai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aritime domains in order to effectively sustain the survival and prosperity of the nation in the age of the sea. This study formulates South Korea’s concept of the Maritime Domains Awareness based on the changes into awareness of the Maritime Domains such as security, safety, economy, environment, and cooperation. 해양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하게 되자 일부 국가들은 해양영역인식(Maritime Domain Awareness), 즉 해양영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분야에 대한 효과적인 이해를 통해서 해양영역에 관한 제반 정책과 활동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미래의 바다는 한국의 생존 및 번영, 그리고 국민행복의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한국의 해양에 대한 의존성이 더욱 증가하고, 해양영역도 확대된다는 측면에서 해양영역을 정부 부처별 개별적으로 인식하기보다는 국가적 차원의 해양영역인식을 기반으로 미래 해양의 시대에 국가의 생존과 번영을 효과적으로 이어가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한국의 해양영역에 대한 인식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안보, 안전, 경제, 환경, 협력 등 5가지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의 해양영역인식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였다.

      • KCI등재

        비교과영역에 대한 교사평가기준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남수경(Nam, Soo-Kyong),김갑성(Kim, Kapsu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6

        이 연구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교원능력개발평가 중 교사평가에 적용 가능한 비교과영역의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 및 외국의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교사평가 내 비교과영역의 의미를 밝히고, 미국, 영국, 일본 등 주요국의 교사평가에서 활용되는 비교과영역의 평가지표를 분석하여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비교과영역의 교사평가지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비교과영역의 개념은 생활지도, 학급경영, 전문성 개발, 상급자나 동료, 학부모와의 의사소통이나 협력, 기타 행정 능력 등으로 구성되며, 비교과영역에 대한 교사평가란 이와 관련된 교사의 직무수행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주요국 사례 분석 결과, 미국과 영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일본의 비교과영역 교사평가의 비중이 높았으며, 3국의 비교과영역 관련교사평가 영역은 학생과의 관계와 수업 외 지도활동, 전문성 개발, 학습 환경 조성, 대인관계와 의사소통, 기타 업무능력 등으로 나타났다. 비교과영역 개념 정의와 주요국의 교사평가 중 비교과영역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 비교과영역의 교사 평가영역으로 학생관리, 전문성 개발, 학습 환경의 조성, 대인관계와 의사소통, 기타 업무 능력으로 선정하였고 각 영역의 평가기준(안)을 제시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non-teaching area evaluation indices” that can be applied to teacher evaluation, which will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To carry out this task, literature survey and foreign case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present the meaning of non-teaching area evaluation section in teacher evaluation. Then, non-teaching area evaluation indices used in major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Japan were analyzed to propose a Korean version of the indices. Based on the literature survey, non-teaching area evaluation is defined as evaluation of teachers’ability to perform in the areas of life guidance, class management, specialty development, communication or cooperation with higher ranking teachers, colleagues, and parents of students, and other types of administration. Analysis of teacher evaluation in non-teaching areas showed that the share of non-teaching area was relatively higher in Japan in comparison with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Non-teaching area evaluation in the three countries consisted in relationship with students, supervision of extra-scholarly activities, specialty development, creation of learning environment, interpersonal relations and communications, and other capabilities. Based on literature survey, definition of non-teaching area evaluation, and non-teaching area assessment in teacher evaluation in major countries, the following realms were proposed as indices (draft) of non-teaching area evaluation that can be applied to Korea: student management, specialty development, creation of learning environment, interpersonal relations and communication, and other capabilities.

      • 아브라함 카이퍼의 하나님 주권사상 실천과정, 오늘날의 의미

        이상원(Sang Won Lee) 개혁주의이론실천학회 2011 개혁주의 이론과 실천 Vol.- No.1

        영역주권론은 사회의 각 영역들이 유기적으로 긴밀한 연관관계 안에 있으면서도 동시에 각 영역들은 그 영역들에 고유한 하나님의 고유한 법의 규범적 통치 아래 있음을 명확히 한다. 이 사상은 현 한국정부의 정책의 철학적 토대가 되고 있는 실용주의가 경제의 영역의 원리를 정치를 비롯한 다른 영역들에까지 무차별하게 확대적용하고 있다는 비판의 근거가 될 수 있다. 영역주권론이 제시하는 국가의 기능은 사회의 각 영역들에서 나타나는 갈등을 조정하는 조정자의 역할이다. 이 기능은 국가기관에게 부과된 정치적 소명이다. 따라서 국가기관은 이 소명을 가장 중요한 업무로서 수행해야만 한다. 이때 정부는 다른 사회의 영역들 위에 군림하는 기관이 아니라 다른 사회의 영역들 옆에(naast) 위치하여 다른 사회의 영역들의 소명과 전문성을 존중해 주면서 그 영역들을 살려내어 꽃피우게 하고 영역들이 지나치게 열심을 내어 다른 영역들을 침범하고자 할 때 제재를 가함으로써 모든 영역들이 적절하게 제 자리를 차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섬기는 자리에 위치한다. 영역주권론이 제시하는 또 하나의 국가의 기능은 가난한 자들을 보호하는 것이다. 이 기능 안에는 경제적 지원이 포함된다. 따라서 국가는 자기 힘으로 생계유지가 불가능한 한계선상의 시민들의 기초생계를 경제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영역주권론은 국가의 소명과 사회의 영역들 가운데 하나인 교회의 소명을 구분함으로써 신정국가를 배제하고 교회가 국가의 소명에 국가가 하는 방식으로 참여하는 것을 명확하게 거부한다. The theory of sphere sovereignty states clearly that all spheres of society are closely related one another, but, at the same time, each sphere is normatively guided by the divine laws, which are proper to that sphere. We can criticize from this perspective that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extensive application of pragmatism into overall spheres of society is not right, for pragmatism is the principle which is proper to the economic sphere, not always proper to other spheres. The theory of sphere sovereignty suggests the mediation of social conflicts among social spheres as the function of government. This function is the political calling given to the government. Therefore the government is obliged to accept this function as one of its foremost duties. When the government executes this function, it does not dominate other social spheres from above those shperes but stand beside them, respecting their proper callings and expertises, helping their developing their own peculiarities, controlling their intervention into matters of other spheres, and ultimately making them keeping their own rooms of activities. One more important function of government suggested by the theory of sphere sovereignty is to protect the poor citizens. This function includes financial support. The government is obliged to support the basic livelihood of poor citizens who suffers financially in the borderline situation. Finally, the theory of sphere sovereignty refuses theodicy by distinguishing the calling of government from the calling of the church. In other words the church must not take part in political matters in the same way by which government does.

      • KCI등재

        인식론적 신념의 척도 재타당화 및 영역성 탐색

        박병기(Byung Gee Bak),정영주(Young Ju Chu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2 敎育心理硏究 Vol.2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였다. 첫째 목적은 박병기 채선영(2006)이 2 6 요인구조로 개념화하고 개발한 영역일반적 인식론적 신념 척도 SOPE를 수정하고 재타당화 하는 것이었다. SOPE는 12개의 요인 중 일부분에서 신뢰도가 낮게 나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목적은 인식론적 신념의 영역성을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 목적은 두 개의 과제를 포함하였다. 한 과제는 영역성 탐색의 선결조건으로서 영역특수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과 역사라는 두 가지 대비되는 영역에 해당하는 척도를 개발하였다. 둘째 과제는 인식론적 신념이 영역일반적인지, 영역특수적인지, 아니면 영역복합적인지 종합적인 방법으로 판단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J시에 소재한 인문계 고등학생 389명(남 189, 여 200)이었다. SOPE의 수정은 박병기 채선영(2006)에 제시된 12개 요인의 개념정의에 근거하여 모든 문항을 재검토하는 절차를 거쳤다. 수정된 척도는 전문가 3인에게 의뢰하여 내용타당성을 검토 받은 후 재수정하였다. 과학과 역사의 두 가지 영역특수 척도는 재수정된 SOPE의 문항들에 과학과 역사의 학문적, 교과적 특성이 반영되도록 구성하였다. 인식론적 신념의 영역성은 상관행렬분석, 평균차이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의 세 가지 통계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판단하였다. 연구결과, 수정된 SOPE-r은 신뢰도와 내용타당도에 있어서 양호한 척도로 인정받을 만하였다. 이 연구에서 새롭게 개발된 두 가지의 영역특수 척도 SOPE-hd와 SOPE-sd도 양호하였다. 영역성 탐색의 결과는 일률적인 결론을 내리기 어려웠다. 소박한 수준의 인식론적 신념에서는 영역복합성이 지지된 반면, 세련된 수준에서는 영역일반성이 지지되었기 때문이다. 말미에는 이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영역성 탐구의 향후 과제가 논의되었다. This study had two purposes. The first purpose was to modify the SOPE (Scale of Personal Epistemology), a domain-general scale of 2 6 structure developed by Bak & Chai(2006). The SOPE has 12 sub-scales, and low reliability problem has been repeatedly reported. The second purpose was to explore the ``domainality`` of epistemological beliefs. This purpose includes two kinds of task. One task was to develop, at least, two scales of domain-specific epistemological beliefs. The other task was to judge whether the epistemological beliefs are domain-specific, domain-general, or domain- complex through the utilization of various kinds of statistical techniques. Research subjects were 389 highschool students in a city of Korea. The items of SOPE were thoroughly modified based on the definition of 12 sub-scales. In order to improve the content validity of the scale, modified items were remodified after they were checked by 3 experts. Remodified scale was named SOPE-r. Science and history were chosen as specific domains. Two kinds of domain-specific scale, named SOPE-hd and SOPE-sd, were developed by adopting the 2 6 structure of SOPE. The ``domainality`` of epistemological beliefs was explored through examining the results of three statistical methods of correlation analysis, mean comparison, and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scales of SOPE-r, SOPE-hd, and SOPE-sd had high reliability. Conclusions on the ``domainality`` of epistemological beliefs were not clear. In the naive-level of epistemological beliefs, domain-complex was most appropriate. While in the sophisticated-level, domain-generality was highly appropriat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toward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개별 논문 : "국어" 교과서의 영역 통합 양상 분석: 문학 영역을 중심으로

        김정우 ( Jung Woo Kim ) 한국독서학회 2009 독서연구 Vol.0 No.22

        이 논문은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영역 간 통합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선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 지침, 편찬상의 유의점, 검정기준 등에서 영역 통합에 관한 조항이나 지침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검정을 통과한 23종의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여 각 교과서의 영역 간 통합 양상을 분석하였다.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교과서는 ``생활국어``교과서와의 연계를 강화하고, 대단원 차원에서 영역을 통합하며, 소단원에서는 영역별 활동을 독자적, 혹은 통합적으로 수행한 후, 단원의 끝에서 마무리 활동을 통합적으로 하는 체제가 주된 경향이다. 대단원의 영역 통합은 교육과정성취기준으로부터 도출된 학습 목표들 사이에 연관성이 있거나, 통합 활동이 용이한 성취기준들을 선별하여 대단원에 함께 묶는 식으로 이루어진다. ``문학`` 영역의 경우 16개 종은 문학 영역의 네 가지 성취기준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은 다른 영역과 통합하여 대단원을 구성하고 있고, 네 성취기준 모두를 타 영역과 통합적으로 구성한 적극적인 영역 통합의 교과서가6개 종이다. 지식 일변도의 문학교육을 피하고, 학습자에게 졸업 이후에도 지속될 문학 능력과 소양을 길러주는 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학교에서의 문학교육 시간에 스스로 무엇인가 의미를 실현하고, 적극적으로 상상하며, 느낀 것을 말하고 쓰는 활동 경험이 필요하다. 영역 통합형 교재는 그러한 방향의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의 디딤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integration of contents from other domains in ``Korean`` textbooks for middle school leaners. First, I have investigated the provisions in ``2007 National Curriculum``, ``Guide for developing textbooks``, ``Points to note on publishing``, ``Standards of authorization``. And I have analyzed the integration of 23 kinds of textbooks that had obtained authorization. Most of these textbooks have the organization that the contents from 6 domains of the National Curriculum are integrated at the main units level, and the activities of learners are drawn up independently in each domain at small units level. The integration at main unit level have relevances to objectives derived from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National Curriculum. In the literature domain, the 16 kinds of textbooks(of 23 ones) integrated at least one achievement standard of literature domain with those of other domain, and 6 kinds of textbooks aggressively integrated all four standards of literature domain with those of other domain. The textbooks based on integration of domains enable learners to have literary ability and literacy that could be continued after graduation from school.

      • KCI등재

        고등학생의 과학영역 창의성과 일반창의성, 메타인지, 과학 정의적 특성과의 관계

        유용현,강유진,김지나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1

        This study evaluated problem finding and the generation of solving-ideas in ill-structured situations in the area of science by targeting high school students. It subdivides problem finding and the generation of solving-ideas into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levels. In addition, the correlations with general creativity, meta-cognition,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the area of science were examin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96 students from 3 high schools in a metropolitan city. Sixty-one students who had answered all the questionnaires consistently and faithfully were analyzed. The questionnaires included meta-cognitive tests, an affective domain assessment system related to national level science, a TTCT (Language)-A type test, and FPSP questions (questions related to space waste). The correlations among scientific creativity, general creativity, and meta-cognition were low. In addition, although the correlation between problem finding in scientific creativity and interest in affective characteristics appears relatively high, the correlation between problem finding in scientific creativity and scientific cognition appears low.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scientific creativity has domain specificity and that area cannot be explained by measured general creativity. Scientific creativity with respect to problem finding and the generation of solving-ideas in ill-structured situations in the area of science could not be explained by meta-cognition. Scientific creativity can be better explained through affective characteristics related to science. 이 연구는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 영역의 비구조화된 상황에서 문제 발견 및 해결아이디어 생성과 관련된 과학 영역의 창의성과 일반창의성의 관계, 과학 영역의 창의성과 메타인지 및 과학 정의적 영역의 특성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광역시 소재 3개 고등학교 96명을 대상으로 검사하였으며, 이들 중 모든 검사에 성실하게 응답한 61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도구는 FPSP 검사지, TTCT(언어 A형) 검사지, 메타인지 검사지, 국가 수준의 과학 관련 정의적 특성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영역 창의성과 일반창의성은 낮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과학영역 창의성과 메타인지 역시 낮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만 과학영역 창의성과 정의적 특성은 상대적으로 다른 영역에 비해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영역 창의성은 일반 창의성으로는 측정하기 힘든 영역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비구조화된 상황에서의 문제발견과 해결아이디어 생성과 관련된 과학영역 창의성은 메타인지로 설명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과학영역 창의성은 오히려 과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이 더 잘 설명해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개인 영역의 소비가 소비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통합적 소비전략을 중심으로

        김나정 ( Kim Najung ),유병희 ( Yu Byunghee ) 한국소비자학회 2020 소비자학연구 Vol.31 No.4

        본 연구는 개인 영역의 소비가 소비자 삶의 질에 기여하는 양상을 파악하고 이를 위해 전제되어야 하는 조건과 전략들을 모색하고자 한다. 소비자의 삶은 크게 일의 영역, 가정의 영역, 그리고 고유한 개인의 영역(personal domain)으로 나뉘는데 인생의 단계를 거치는 과정에서 각 영역별 상대적 비중이 달라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비중변화에 따라 해당 영역을 위한 소비의 양과 질도 변하게 된다. 20-40대의 국내 소비자 16인 대상 심층 인터뷰 결과, 소비자의 삶의 질 인식은 개인 영역을 위한 소비와 깊은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에게 있어 30대초반까지는 개인 영역의 소비를 구축해 가는 단계로, 소비자 자신의 진성 자아를 발견하고 강화하는데 기여하는 소비활동 여부에 따라 삶의 질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30대 중반 이상 연구참여자들의 경우, 가정과 일 영역에서의 역할부담 증가로 인해 개인 영역의 소비가 현저히 줄어드는 상황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이는 그들의 소비 만족과 삶의 질 인식을 낮추고 있었다. 하지만 그 중 일부는 시간, 재화, 에너지 등 소비를 위한 자원을 개인 영역의 자아를 위해 할애하는 방법을 터득하였고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삶의 질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제한된 자원을 삶의 영역별로 나누어 사용하는 소비자들보다 일-개인 영역의 통합, 가정-개인 영역의 통합, 그리고 일-가정-개인 영역의 통합 등 영역 간 통합 전략을 사용하는 소비자들이 더 높은 수준의 삶의 질을 영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중국어 학습 프로그램을 수강하는 30대 직장인 소비자는 외국어 능력 신장에 따라 개인 성장의 욕구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업무 능력을 배양하며, 이를 자녀 교육에 활용함으로써 일-가정-개인 영역을 효과적으로 통합시키고 있었다. 이는 통합적 소비 전략을 통해 자원의 한계를 극복하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개인 영역의 소비가 소비자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갖는다. In this study, we explore how personal domain consumption contributes to consumers’ quality of life and its preconditions. Life mostly consists of three domains - work domain, family domain, and personal domain - and the importance and the responsibilities associated with each domain vary as an individual enters different stages of life. Further, the changes in the relative significance of each domain of life can determine the quantity and the quality of consumption for that specific domain. The findings from 16 in-depth interviews with Korean consumers in their 20’s, 30’s, and 40’s revealed that consumers’ quality of life is closely connected with consumption in the personal domain. Individuals were engaged in forming their authentic self in their 20’s and early 30’s. The interviewees in their early ages were focusing on establishing consumption patterns in the personal domain that help them with confirming their authentic selves, and their consumption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seem to be affected by the extent to which the consumption solidifies and maintains their authentic self. Those in their mid and late-30’s and in their 40’s were experiencing steep reduction in personal domainrelevant consumption due to newly acquired family responsibilities and work life related duties, and this reduction negatively affected these consumers’ quality of life. However, some interviewees learned to allocate resources such as time, money and energy in consuming for their personal domains and they were able to maintain relatively high level of quality of life. Specifically, they utilized their resources through integrating consumptions in multiple domains of life, i.e., integrating work domain and personal domain, integrating family domain and personal domain, or integrating all three domains. For instance, a consumer in her 30’s who is taking Chinese language class was able to fulfill her personal need to grow, strengthen her competency for work, and educate her child thereby integrating consumptions in personal domain, family domain and work domain all together. This is an example of overcoming resource deficiency through integrative consumption stratigie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sustainable consumption in the personal domain in order to serve authentic self and thus to enhance consumers’ quality o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