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대성 개념과 유럽통합(이론)의 위기: 기능주의 통합(이론)의 딜레마

        김미경(Kim, Mi-Kyung)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21 문화와 정치 Vol.8 No.4

        이 연구는 두 가지 질문을 제기한다. 첫 번째 질문은 2010년 유로존 위기와는 달리, 2020년 팬데믹 위기에서 왜 유럽연합 국가들은 공동채권발행에 합의에 성공했는가라는 경험적 사실에 관한 질문이다. 두 번째 질문은 팬데믹 위기에서 유럽연합의 공동채권발행이 유럽 연대성의 관점에서 설명될 수 있다면, 유럽 연대성이란 무엇인가라는 이론적 질문이다. 이 연구는 먼저, 두 번째 질문, 연대성 개념에 관한 이론적 논의와 가설의 제안을 통해 첫 번째 질문, 팬데믹 위기에서 공동채권발행에 대한 합의가 어떻게 가능했는가를 분석한다. 이 연구가 제기하는 핵심 논지는 다음 세 가지다. 첫째, 유럽연합 국가들의 연대성에 대한 인식은 슈만 선언 이후 유럽통합의 목적과 가치로서 연대성 개념에서 유럽통합과정을 지속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연대성 개념으로 전환했으며, 바로 이 인식적 전환이 유럽의 기능적 통합과정을 이끌었다. 둘째, 유럽 연대성을 통합과정을 지속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는 기능주의적 인식은 불가피하게 유럽통합의 최종 목적은 무엇인가 그리고 유럽 연대성의 현실은 어떠한가라는 질문을 제기하는 유럽연합 국가들과 시민들의 도전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유럽 연대성에 대한 상이한 인식의 갈등이 현재 유럽연합이 직면한 존재론적 위기의 근원임을 주장한다. This study raises two questions. The first question is about the empirical fact that, unlike the 2010 Eurozone crisis, why the EU countries can succeed in agreeing to a joint bond issuance during the 2020 pandemic crisis. The second question is the theoretical question of what is European solidarity if the EU"s joint bond issuance in the pandemic crisis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European solidarity. The three main arguments are raised by this study: First, the understanding of solidarity among EU countries has shifted from the concept of solidarity as the purpose and value of European integration to the concept of solidarity as a means to continue the European integration process after the Schumann Declaration, and this cognitive shift made the functional integration process of Europe be possible. Second, the functional thinking of European solidarity as a means to continue the process of integration inevitably generates many challenges from EU countries and citizens who take the questions of what is the ultimate goal of European integration and what is the reality of European solidarity seriously? Finally, this study argues that the conflict among different perceptions of European solidarity is the root of the existential crisis facing the European Union now.

      • KCI등재후보

        용산참사 되짚기

        조현철(Cho, Hyun Chul)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1 神學展望 Vol.- No.173

        본고는 용산참사를 계기로 분명하게 드러난 한국의 도시재개발의 문제점들을 가톨릭 사회 교리의 연대성과 보조성의 원리에 근거하여 검토하고, 도시재개발이 인간에게 참되게 봉사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사회 교리는 하느님의 모상으로 창조된 인간의 존엄성 보존을 근본 목표로 한다. 연대성은 인간의 사회적 본성에 필수적인 상호 의존에 상응하는 윤리적인 덕이며, 또한 이웃 사랑과 깊게 관련된 그리스도교의 덕이다. 보조성은 개인과 하위 조직에 대한 상위 조직의 올바른 도움이나 개입의 방식에 관한 것으로, 개인과 하위 조직의 자유와 자기결정권과 창의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하느님 안에서 서로 긴밀히 의존하고 있으며, 하느님의 모상으로 창조된 인간의 완성을 위해서는 연대성과 보조성의 원리가 사회에서 구현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먼저 사회 교리에 나타난 연대성과 보조성의 원리를 살펴보고, 한국의 도시재개발사업의 실태를 개괄한 후 도시재개발사업의 문제점들을 지역 주민의 참여 배제, 지역 주민들의 갈등과 대립, 낮은 재정착률, 거주환경의 악화, 거주 가능 가구 수의 감소, 강제 철거로 인한 인권 침해로 나누어 이를 연대성과 보조성의 관점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우리는 이 검토 과정을 통해서 현재 한국의 도시재개발사업에서 인간의 완성을 위해 없어서는 안 될 연대성과 보조성이 얼마나 무시되고 있는지, 이 두 원리가 얼마나 중요하며 무엇을 요구하고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필자는 인간의 존엄성을 무시하는 현행 도시재개발사업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이 사업의 공공성이 회복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연대성과 보조성의 원리가 구현되어야 함을 지적하고자 한다. 연대성과 보조성을 통한 도시재개발의 비판적 성찰은 도시재개발이 인간의 진정한 발전을 위한 참된 토대가 되도록 촉구할 것이다. The author aims in this essay to critically examine, by means of the principles of solidarity and subsidiarity in Catholic social teaching, issues of South Korea’s urban redevelopment, which were plainly disclosed by the Yongsan Disaster, and thereby to seek a way in which urban redevelopment may genuinely serve human beings. Catholic social teaching aims fundamentally to preserve the dignity of human beings, created in Imago Dei (Image of God). Solidarity is at once an ethical virtue, which corresponds to interdependence essential to the social nature of the human being, and a Christian virtue deeply related to love of neighbor. Subsidiarity is the principle regarding the right way in which larger organizations in society help or intervene in behalf of individual human persons or smaller organizations, and it aims to ensure individuals and smaller ones freedom, self-determination, and creativity. The principles of solidarity and subsidiarity must be actualized in society for the integral growth of human beings, who are intimately interdependent in God and created in Imago Dei. This essay first reviews these two principles and then offers an overview of the actual conditions of urban redevelopment. Issues in urban redevelopment are then examined as they are categorized into the exclusion of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conflict and confrontation among local residents, low rate of resettlement, the deterior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residential houses, and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due to forced removal. This examination discloses how extensively solidarity and subsidiarity, which are prerequisite to the fulfillment of the human person, are being disregarded, how important they are, and what they require. The author concludes the article, remarking that the public nature of the project must be recovered to overcome these problems in redevelopment which damage the dignity of the human person and that it can be achieved through the realization of the principles of solidarity and subsidiarity. Critical examination of urban redevelopment using the principles of solidarity and subsidiarity leads to a demand that redevelopment become a genuine ground for authentic development for humans.

      • KCI등재

        시민사회와 사회정의의 맥락에서 본 연대성의 위기와 그 극복 -뒤르깽, 하버마스, 롤즈 그리고 왈쩌의 입장을 중심으로-

        남현주 ( Hyun Joo Nam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1 사회보장연구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사회에서 연대성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이유를 밝히고,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연대성의 경험적 출처를 제공하는 현실공간을 확인한 후, 사회정의라는 개념을 통해 그것의 규범성을 견지해 보자는 것이다. 이때 연대성의 경험적 공간을 확인한다는 것은 우선 연대성의 이념이 형성되는 현실공간을 시민사회(civil society)에서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연대성의 위기와 시민사회의 위기가 공속관계에 있으며, 위기의 극복은 결국 시민사회의 활성화에서 모색되어야 함이 이론적으로 논증될 것이다. 또한 연대성의 규범성을 견지한다는 것은 연대성을 규범적으로 정당화함으로써 그것의 자발적 실천성과 규범적 구속력을 보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하여 연대성이 어디까지 정의의 원칙을 전제하며 어떻게 사회정의론의 맥락에서 정초되는지 물을 것이다. 연대성이 제도화된 현대복지국가 안에서 이러한 논의는 연대성의 위기를 극복하고 사회통합을 이루기 위하여 우리사회가 거쳐야할 수많은 사회적 토론의 장에서 합리적이고 건설적인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why solidarity fails to work in the modern society; to overcome such a "crisis," finding the ground that provides empirical sources of solidarity; and maintaining the norm of solidarity through the concept of social justice. Finding a empirical ground means finding a physical space where solidarity is formed in a civil society. Through this process, it is expected to theoretically prove that solidarity crisis and civil society crisis belong to a common relationship, and thereby overcoming the crises requires invigoration of civil society. In addition, maintaining the norm of solidarity refers to normatively justifying solidarity and thereby guaranteeing voluntary actions and normative binding forces. To this end, questions arise regarding to what extent solidarity is premised on the principle of justice, and what context of social justice solidarity begins. In a modern welfare state where solidarity is institutionalized, such discussion shall contribute to rendering reasonable and constructive communication in many social discourses that are necessary to overcome solidarity crises and completing social unification.

      • KCI등재

        비정규직 노동자의 고용안정성 확보를 위한 투쟁의 유형화

        김주희(Joohee Kim)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3 産業關係硏究 Vol.23 No.4

        본 연구는 고용안정을 확보하기 위한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투쟁을 MDS 분석틀을 사용하여 쟁의행위를 한 비정규직 노동자 조직의 내부연대성의 수준, 정규직 노동자들의 연대인 외부연대 수준, 투쟁자원에 따라서 그 유형을 파악하였다. 정규직 노조간부와 비정규직 노조간부들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를 통해서 투쟁기금과 조직률, 정규직 노동자들의 비정규직 노동자에 대한 연대성을 각각 파악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에 따른 유형들의 투쟁특징을 분석한 결과 내부연대성, 투쟁자원, 정규직의 지원수준이 높은 유형의 경우 정규직과 유사한 쟁의행위를 하는 특징이 나타났으며(institutionalised struggle), 내부연대성과 투쟁자원은 높으나 정규직의 지원수준이 낮은 유형의 경우 외부 단체의 지원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특징이 나타났으며(externalised struggle), 내부연대성과 투쟁자원에 비하여 정규직의 지원수준이 월등히 높은 경우 정규직 노조의 지원에 대한 의존성이 높은 특징이 나타났고(substituted struggle), 내외부 연대성과 투쟁자원이 모두 낮은 경우 극단적인 투쟁 전략을 구사(fragmented struggle)하는 특징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정규직 노동자들의 지원수준과 비정규직 노조의 투쟁자원 수준이 극단적인 투쟁전략 구사 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영향요인이었다. This study classifies and analyses the struggles of non-regular workers in South Korea for employment security and equality with regular workers. The increase in non-regular workers in South Korea was accompanied by an increase in the volume and volatility of their confrontations with employers. Unlike the collective actions of regular workers, those of non-regular or subcontracted workers tend to be long-term, extreme and unorganised. Using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technique and data from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union workers and representatives, this study identifies four main types of confrontational struggles by non-regular workers, namely institutionalised, externalised, substituted and fragmented struggles.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reveal that regular workers contribute to the success of the collective actions of non-regular workers by providing resources, leadership and expertise in union activities. In addition to the support of regular workers, the findings also showed that the availability of resources is also important for sustaining their struggles.

      • KCI우수등재

        도덕의 원천으로서 ‘좋음’과 ‘옳음’

        박구용 한국철학회 2003 철학 Vol.74 No.-

        본 논문은 하버마스의 담론윤리학에 대한 내재적 비판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좋음’과 ‘옳음’이 윤리학 안에서 상호 보완적 관계에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 제약적 관계에 있음을 밝히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필자는 먼저 한편으로 담론윤리학이 ‘동기부여 문제’와 ‘정당화 문제’에서 옳음에 대한 좋음의 우선성을 수용해야만 하는 이유를 제시하고, 동시에 이러한 입장이 곧바로 도덕적 관점의 보편주의적 정당화의 모든 가능성을 부정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다른 한편 필자는 도덕적 원칙과 규범의 적용 영역, 특히 다원주의 사회 안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좋음들 사이의 충돌 해소를 위한 비편파적 절차의 적용 과정에서 좋음에 대한 옳음의 우선성이 인정되어야 한다는 근거를 제공한다. 이 과정에서 필자는 또한 담론윤리학의 약점이 인정 윤리학을 통해서 보완될 수 있는 가능성과 필요성을 논의할 것이다. 그런 다음 필자는 좋음과 옳음이 상호보완적 관계를 넘어서 상호 제약적이라는 것을 정의와 연대성의 관계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드러내고, 이 과정에서 다시한번 하버마스 담론윤리학이 지닌 강점과 약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하버마스는 개인화와 사회화의 동근원성 테제로부터 정의와 연대성이 상호 제약적 관계에 있다는 것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에, 담론윤리학이 옳음의 보편성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정의의 문제로 축소되지 않고, 연대성의 문제를 포괄하려고 시도한다. 그러나 필자의 판단에 따르면 담론윤리학 안에서 유지되는 연대성은 다원주의 사회 안에서 더 촘촘해지고 복잡해지는 공동체의 구체적 맥락을 상실한 내용 없는 연대성일 뿐이다. 근본적으로 하버마스가 제공하는 정의와 연대성의 동근원성 자체가 정의의 구체화를 통해서가 아니라 연대성의 추상화를 통해서 얻어진 것이라는 한계를 갖기 때문이다. 담론윤리학은 또한 상호 주관적인 호혜적 인정관계를 구체적 과정이 아닌 이상적 형식으로 축소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인정관계에서 특수성의 맥락을 소홀히 취급함으로써 연대성에 대한 정의의 우선성을 고착화시킨다. 필자는 담론윤리학이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정의와 연대성의 우위성을 고착시키지 않은 인정윤리학을 통해 보완해야 한다는 입장을 단편적으로 제시한다.

      • KCI등재

        유럽 연대성(European Solidarity)의 딜레마: F4(Frugal Four)를 위한 변명

        김미경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22 글로벌정치연구 Vol.15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undamental motives of the four frugal European countries that opposed the issuance of EU common bonds discussed in the context of the pandemic crisis. Was it because of their strong European skepticism and weak European solidarity that they opposed the issuance of common bonds? This study proposes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to argue that they opposed the issuance of EU common bonds in that they want to pursue a protest for the diversity of European solidarity and the rescue of European integration. To examine the empirical validity of the alternative interpretation, this study analyzes why the four frugal countries opposed the issuance of joint bonds from the perspective of unique characteristics in their national fiscal systems and redistribution policies. On the basis of this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claims that the Frugal four’s conceptions of European solidarity are influenced by their own contexts and perceptions of national solidarity institutionalized through their fiscal systems and redistribution policies. This study also argues that the Frugal four’s opposition to the issuance of common bonds reflects the European solidarity dilemma to mean that the deepening of European integration does not strengthen European solidarity, but rather leads into a situation in which the crisis of European solidarity deepens. 이 연구는 팬데믹 위기 상황에서 논의된 유럽연합 공동채권발행을 반대했던 검약한 4국의 근원적인 행위 동기를 분석하고자 한다. 과연 검약한 4국이 공동채권발행을 반대했던 것은 그들의 강한 유럽 회의주의와 약한 유럽 연대성 때문인가? 이 연구는 검약한 4국의 공동채권발행에 대한 반대는 유럽 연대성의 다양성과 유럽통합의 구조(the rescue of European integration)를 위한 항의로 볼 수 있다는 대안적 해석을 제안한다. 이 연구는 대안적 해석의 경험적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왜 검약한 4국이 공동채권발행에 반대했는가를 그들의 국가 재정체제(national fiscal system)와 재분배정책에서 고유한 특성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고, 유럽 연대성에 대한 검약한 4국의 인식은 재정체제와 재분배정책으로 제도화된 국가 연대성(national solidarity)에 관한 그들의 고유한 맥락과 인식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주장한다. 또한 이 연구는 검약한 4국의 공동채권발행에 대한 반대는 유럽통합이 심화할수록 유럽 연대성이 강화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유럽 연대성의 위기가 심화하는 상황, 즉 유럽 연대성의 딜레마를 보여준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연대성의 국제법상 법적지위에 관한 고찰 - 국제법상 법의 일반원칙으로서 연대성 -

        김진엽 ( Jinyup Kim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法學論集 Vol.25 No.3

        지구상의 거의 모든 국가들은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기구의 설립 및 국제협정의 채택 등과 같은 다양한 조치를 취하여 왔다. 이와 같은 공동의 목표달성(즉, 당면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동등한) 주체들(즉, 국가들)이 호혜(reciprocal)의 관점이 아닌 서로 (상이한 의무를 부담하며) 협력하는 것(즉, 상호간에 돕는 것)을 연대성(solidarity)이라고 한다. 이러한 연대성은 여러 분야에 걸친 수많은 국제법 규정, 국가들의 관행 및 국제문서에서 발견되어 왔으며 국가들간의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여 왔다. 이와 같은 연대성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제법상 연대성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및 어떠한 법적 지위를 점하고 있는지 등에 관한 심도있는 고찰이 현재 국내 학계에서 거의 행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본 논문에서는, 연대성이라는 개념이 국제법상 어떠한 법적 지위를 가질 수 있는지에 중점을 맞추어 논의하였다. 즉, 국제법상 1차 규칙에 해당하는 국제환경법, 국제해양법, 국제경제법 등의 관련 원칙들 뿐만 아니라 국제법상 2차 규칙에 해당하는 국가책임법에서의 관련 규정들을 분석하고 특히, 지역적 차원에서의 국가관행 등을 살펴봄으로써 연대성이라는 개념이 얼마나 널리 국제사회에서 이용되어 왔는지에 대해 제시함으로써 법의 일반원칙으로서의 지위를 획득할 수 있음을 고찰하였다. Almost all the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taken diverse measures to address a number of problems facing them, such as climate change, terrorism and protectionism. As discussed in this article, it is defined as (international) solidarity that equal entities (i.e. sovereign states) undertake (a different degree of) mutual obligations to address such problems (i.e. attain common goals) in a non-reciprocal manner. Although the concept has played important roles in the international arena and thus, a number of scholars and commentators have discussed its significance in international law, as few articles have been found on the status and roles of solidarity in international law within Korean international law society, this article would like to explore what solidarity means in international law and what status it obtains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a wide array of international conventions and principles and relevant institutions and treaties at a regional level. That is, not only primary international rules such as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and law of the sea but secondary rules such as the law of state responsibility were analyzed in this article, based on which how widely the concept of solidarity has been used by countries in the world was discussed. On that basis,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concept has obtained the status of general principle of law provided in article 38(1) of the Statute of the ICJ.

      • 16세기 향약의 연대성에 대한 연구 : 이황의 『향립약조』를 중심으로

        윤남식 한국사회복지역사학회 2018 사회복지역사연구 Vol.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향립약조를 통해 16세기 향약의 연대성을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16세기 향약의 연대성의 특성은 첫째, 지역 사회의 좋은 풍속(향풍)을 바탕으로 한 사회통합의 특성, 둘째, 사회 지도자(유학자)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도덕적 특성, 셋째, 벌조 조항 중심(권선보다 징 악 강조)의 규범적 특성, 넷째, 향촌사회의 자치성, 다섯째, 공(公) 의식, 여섯째, 향약 작성 과정에서 드러난 절차적 민주성, 일곱째, 교육(교화)을 통한 실천성이다. 이 연구가 지역사회복지에 시사하는 점은 사회지도층과 지식인 계층 및 사회복지 종사자의 사회적 책무성 강화, 실질적인 지방자치성의 확보로 지역사회복지의 강화, 실천을 담보한 복지교육의 내용과 범위의 확장, 공공성을 토대로 한 지역사회복지 강화이다. 이 연구가 16세기 향약의 연대성의 특성을 『향립약조』라는 하나의 향약으로 이해하는 것에 제한점이 있으나, 『향립약조』를 통해 조선 향약의 초기에 나타난 향약의 연대성을 살펴보았다는 데 의미 가 있다. 이후 연구에서, 조선시대 전(全) 과정을 통한 향약의 연대성을 살펴보기를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olidarity in Hyangyak of the 16th century through the “Hyangripyakjo”. The results of the article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lidarity in the 16th century Hyangyak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integration based on the good customs of the community. Second, morality that emphasizes social responsibility of leaders in society. Third, the normative nature of the punishment-oriented. Fourth, the autonomy of community. Fifth, publicness based on the idea of public. Sixth, procedural democracy appeared in the making of the Hyangyak. Finally it is the practical nature through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mmunity welfare is to strengthen the social accountability of the social leaders, the intellectual class and the social welfare workers, to strengthen community welfare by securing the autonomy of community), to expand the content and scope of welfare education to ensure practice, and to strengthen community welfare based on publicness. Although in this study, there is a limit to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solidarity of the 16th century Hyangyak through the one called “Hyangripyakjo”,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solidarity of Hyangyak through“Hyangripyakjo”, In the following study, I suggest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olidarity included in the Hyangyak of the entire period of the Joseon.

      • KCI등재

        담화윤리의 언어적 특성 연구 ― 하버마스의 연대성 개념을 중심으로

        김선욱 대동철학회 2004 大同哲學 Vol.24 No.-

        하버마스의 담화윤리는 소통 행위 이론의 핵심인 화용론의 구성에 심각하게 의존하고 있고, 담화윤리가 다른 윤리 이론과 차별화 되는 것은 거기에 전제된 언어 개념의 독특성에 따른 것이다. 하버마스는 담화윤리를 통하여 정의와 연대성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모두 잡으려 한다. 정의와 연대성은 각각 칸트의 옳음(the right) 중심의 윤리적 사고와 좋은(the good) 중심의 윤리적 사고가 중심적으로 추구해 온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하버마스의 설명 과정은 불완전하다. 하버마스가 설명하는 양자의 관계는 연대성이란 정의의 이면이라는 주장으로, 이는 연대성이 진정한 연대성이 되기 위해서는 항상 정의에 의해 수반되는 한에서 만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차이를 인식하고 서로 다른 개인과 서로 다른 문화간에 대화와 연대성을 가능케 하는 원리로서는 적절히 기능할 수 없는 약점이 있다. 이것이 하버마스의 담화윤리의 한계가 그것이다. 차이를 강조하는 것이 단순한 시대적 유행이라서가 아니라, 개인과 사회, 문화적 차원에서 본질적으로 다름을 인정할 수밖에 없는 현대의 경험을 통해 우리는 차이에 민감한 대화의 원리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우리는 담화윤리에서 적극적인 도움을 기대하기 보다 한나 아렌트나 찰스 테일러에게로 눈길을 돌리는 것이 자연스러워 보인다.

      • KCI등재

        리처드 로티의 자유주의적 연대

        박대원(Park, Dae-won) 대한철학회 2013 哲學硏究 Vol.125 No.-

        이 글은 ‘연대성’에 대해 리처드 로티의 자유주의적 관점을 제시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로티는 ‘연대성’ 문제를 논의함에서 추상적 공동체에 맞추어 논의하는 게 아니라 근대 계몽주의의 사회적 산물인 자유주의 사회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고 있다. 그럴 때, 그는 자유민주주의 사회의 제도들과 실천관행들을 구체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자유주의적 연대성을 창출 하려고 시도한다. 그의 비판적 시각에 따르면 이런 기획을 위해서는 그간의 주요 시도들 특히 탈근대주의적 시도를 대표하는 푸코적 담론과 보편주의적 시도를 대표하는 하버마스적 담론은 크게 도움이 안 된다. 그가 보기에, 푸코적 담론은 자유주의 적 사회의 연대성 보다는 그 사회의 구성원들의 자율성을 증진하는데 도움이 되는 논의에 더 적합하고, 반면 하버마스적 담론은 자유주의 사회와 그 실천관행들을 이론적으로 정당화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만 그 사회의 연대성을 마련하는 데는 크게 도움이 안 된다. 그 이유는 자유주의 사회의 연대성은 인간의 보편적 본성을 발견함으로써 획득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사회의 구성원들이 겪는 구체적 고통이나 굴욕감과 같은 ‘잔인성’에 대해서 상세히 서술함으로써 그들이 잔인성을 줄이고 ‘우리-지향(we-intentions)’을 창출하고 확장시켜야 하는 구체적 실천에서 마련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는 이런 로티의 ‘자유주의적 연대성’을 인류 보편의 공통적 이성에 근거해서 그에 따른 보편적 정의원칙을 추구하고 정당화하는 보편적 ‘정의 연대’라고 보는 것도 아니고, 특정 공동체의 전통과 문화에 귀속된 적극적 가치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적극적 가치 연대’라고 규정하는 것도 아니며, 오히려 자유주의 사회의 구성원들 가운데 사회적 약자들이 겪고 있는 구체적 잔인성에 주목하고 그 잔인성을 줄여가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소극적 가치 연대’ 즉 ‘공감연대’라고 평가해 본다. 물론 이런 소극적 ‘공감 연대’는 한편으로 자유주의 사회의 냉엄한 현실에 대해서 너무도 낭만적으로 접근한 나머지 실질적 연대를 형성하는 데 한계를 보일 것이라는 우려와, 다른 한편으로 20C 이후 자유주의라는 미명하에 미국적 패권주의를 그대로 유지하려는 정치적 보수주의를 초래할 뿐이라는 비판으로 이어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런 우려와 비판이 있음에도 여전히 로티의 자유주의적 연대는 자유주의 사회에 대한 탈근대적 급진주의와 보편주의적 보수주의 양자를 가로지르는 탈근대적·탈보편적 개혁주의를 추동할 수 있는 현실적 대안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account solidarity, which Rorty takes not as a theoretical notion that legitimates the togetherness of an abstract community, but as an issue of neopragmatical practical philosophy. In so doing, he attempts to invent concretely liberal solidarity by improving liberal democratic institutions and practices, built upon the Enlightenment. Given this project, Rorty thinks Foucault's discourse better suited to a discussion of autonomy than that of solidarity, meanwhile Harbermas' discourse is thought to be a futile attempt to justify liberal democratic societies theoretically, though what he really wants is to form solidarity in actual society. It is Rorty's argument that the solidarity of liberal society not be delineated by finding out a common human nature, but be created by describing in detail to the members of society the cruel reality of pains and humiliations. In this paper, I claim that Rorty's proposal is a better practical alternative for the solidarity, improving liberal society's institutions and practices eff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