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회복지역사연구의 가치, 필요성과 연구방향

        박종삼 한국사회복지역사학회 2018 사회복지역사연구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 연사연구계의 공통관심인 ‘연구의 가치, 필요성, 그리고 연구방법의 방향성’ 을 제시하는 데 있다. 사회복지 역사는 아직 ‘통사’로서 연구가 되어 있지 않아, 한국사회복지의 역사적 정체성 정립에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또한 지금까지 연구된 사회복지 자료에서 왜곡된 사실들이 발견 된다. 비전공 사회복지 역사연구자들에 의하여 근대사회복지역사가 연구되어, 사회복지 역사연구의 주제 선정, 사료의 수집과 분석 등에서 사회복지의 역사적 정체성이 결여되어 있다. 또한 사회복지의 일차적 사료가 급속히 상실되어 가고 있다는 사실에서 연구의 가치와 필요성 그리고 방법론 방향 제시의 학술 적, 실용적 배경이 된다. 지금까지 객관성이 결여된 역사연구의 방법을 탈피하기 위하여 ‘역사학’적 학문 기반의 연구이론을 제시하였다. ‘병시적 관찰과 통시적 관찰’ 그리고 ‘사회복지역사관의 정립’등이 그 예 이다. 타 인접학문에 종속되어 있거나 파묻혀 있는 한국사회복지 역사를 독립적으로 연구해야 하며, “누 구를 위한 사회복지 역사연구인가?”의 질문을 중심으로 연구가들의 시대적 ‘역사 의식’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directions for research on 'value, necessity and research methods of Korea Social Welfare History.' Korean Social Welfare (hence, KSW) History has not yet been compiled as a whole set, and thus creates historical identity formation problem The issues of 'distortions'' in current KSW history caused by non-social welfare scholars' (ie., church historians etc.) writings, such as selecting KSW historical issues, collection of researech materials, and analysis of the data, which are lacking in historical identity of KSW. Another issue is the fast loss of historical materials of KSW. These are some of the academic and pragmatic reasons for this study. The objective scientific nature of historical study is reviewed, and propose some theories of "historical science", such as 'Synchronische and Diachronische approaches', and a View of KSW History" "For whom KSW history should be researched ?' is the proposed queston for establishing "Historical Consciouness" of KSW historical researchers.

      • 한국 근대 민간사회복지 연구 동향과 과제 : 관련 저서를 중심으로

        이방원 한국사회복지역사학회 2020 사회복지역사연구 Vol.3 No.-

        본 논문은 사회복지역사 개설서와 한국 근대(1876-1945) 사회복지에 관한 심화된 연구서의 내용 분석 을 통해 한국 근대 민간복지의 연구동향을 분석한 연구이다. 먼저, 한국 근대 사회복지에 대한 내용이 수록된 21종의 사회복지역사 개설서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서구 중심의 선진국 사회복지 변화의 한 부분으로 한국의 사회복지 변천을 살펴보고 있어 한국 복지의 변천을 집중적으로 살펴보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 대상인 근대 민간복지 부분에 대한 서술은 한국 최초의 사회복지역사서라고 할 수 있는 구자헌의 한국사회복지사 이후 최근 출간된 사회복지역 사 개설서까지 서술 내용은 크게 발전되었다고 볼 수 없다. 또한 각 저서에 소개된 민간복지 기관의 기 본정보가 잘못 서술된 것이 종종 눈에 띈다. 한국 사회복지역사 연구가 집적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내 용 보완 및 수정에 대해 앞으로 전면적인 고민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한국 근대 사회복지에 관해 이전 사회복지역사 개설서와 차별되는 심화된 내용이 수록되어 있 는 홍금자, 안상훈 외, 박정란, 오토모, 이방현 외의 저서 5개를 분석했다. 5종의 저서를 통해 한국 근 대 민간복지에 대한 시대구분 및 개관, 각 시기에 존재하였던 주체, 대상, 민간복지 기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고, 주요 기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활동의 내용과 그 평가를 읽을 수 있었다. 그러나 각 저자마다 활용 사료의 범주가 상이하고, 관점의 차이로 서술의 내용과 평가에도 차이가 나타난다. 앞으 로 한국 근대 민간복지의 주체별, 분야별, 지역별 연구가 다양한 각도에서 이루어져 연구자들 간에 존재 하는 차이의 간극을 메꾸어 나가고, 한국사회복지역사의 비어 있는 내용들이 채워지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f modern Korean private welfar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opening of the social welfare history and the in-depth research on modern social welfare in Korea(1876-1945). First of all, the analysis of 21 types of social welfare history books containing information on social welfare in modern Korea showed that there was a limit to focusing on the transformation of Korean welfare as it was part of the social welfare changes in advanced countries centered on the West. The description of the modern private welfare section,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cannot be considered to have been greatly improved since Koo Ja-heon's "Korean Social Welfare History," the first Korean social welfare history book. It is also often noticeable that the basic information of private welfare institutions introduced in each book is misrepresented. In a situation that research on Korean social welfare history is being concentrate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upplementing and revising the contents. Next, five books on modern social welfare in Korea written by Hong Keum-ja, Ahn Sang-hoon, Park Jeong-ran, Otomo, and Lee Bang-hyun which are different from previous social welfare history books were analyzed. The five books provided information on the classification and opening of modern Korean private welfare, subjects, and private welfare institutions that existed during each period, and detailed activities and evaluations of major institutions were read. However,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the description and evaluation are seen due to differences in each author's perspective and each author using a different category of utilization feed. Through future research, it is believed that evaluation of modern Korean private welfare by subject, sector, and region should be conducted from various point of view.

      • 일본의 사회복지역사연구의 최근 동향과 연구방법

        오토모 마사코 한국사회복지역사학회 2019 사회복지역사연구 Vol.2 No.-

        본고는 1. 들어가며 2. 일본의 사회복지역사연구의 동향: 어떤 것이 연구되고 있는가? 3. 사회복지역사 연구방법: 관점‧틀‧이론 및 역사 데이터의 취급방법 4. 일본의 한국사회복지역사연구 5. 역사로 배우고 미래에 건다: 한국학술교류에 기대하는 것 등 5개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근대 산업사회에 대응하는 호칭 으로 탄생한 ‘사회복지’란 복합적인 사회사상(事象)은 전근대에서도 ‘사회’에 있어 인간생활의 안정과 행 복추구를 영위하는 행위로서 그 역사를 따라갈 수 있다. 거기에는 사람들의 생활상의 효혜성, 부의 분배 구조가 있다. 또 일상적인 ‘사회’의 ‘복지=행복’을 추구하는 일과 행위에 대한 사람들의 의사와 신념은 가치와 이념, 나아가 사상으로 결집되어 발전해왔다. 오늘날 한국과 일본은 복지국가와 복지사회를 구축 하여 공통성이 높은 아시아문화권의 두 지역으로 함께 발전을 지향하고 있다. 나아가 사회복지전문직 및 사회복지학의 성립 등 사회적 상황에도 공통점이 있으며 관련 교육과 연구의 진전, 심화 등 직면한 공 통과제를 갖고 있다. 역사인식에는 각각의 주체, 즉, 국가와 정치정당, 지역사회 그리고 또한 가족과 개 인마다 다른 스토리가 있다. 그러나 사람들의 역사적 스토리에 큰 차이가 있을 경우 혼란을 가져와 정 치적 문제로 전환된다. 우리는 양국의 복지사회의 진전을 공통목표로 사람들과 사회의 역사적 인식과 관 심에 과학적으로 대응하는 노력을 쌓아올리지 않으면 안 된다. The main subject is 1. Firstly, 2. The trend―the history of social welfare study of Japan, 3. The study method―point of view, frame, theory of the history of social welfare and historical materials, 4. Study of the Korean history of social welfare in Japan, 5. Hope for the academic inter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Korea and Japan have been built the welfare state and welfare society and aim at it’s development, and this 2 areas of East Asia have in common the cultural sphere. We have to make an effort for the progress of the welfare society of Korea and Japan together, and we must show to the people about the history of social welfare scientifically.

      •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의 100년 역사 연구

        김범수 한국사회복지역사학회 2022 사회복지역사연구 Vol.5 No.-

        본 논문은 100년의 역사를 갖고 있는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의 발전과정에 참여한 주요 인력과 주요 사 업내용, 장애요인과 극복방안, 민간단체와 정부기관의 역할은 무엇이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 도되었다. 1921년 태화여자관(Woman’s Center)으로 시작된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은 복음센터 (Evangelistic Center)로써 기독교 복음전도를 목적으로 출발하였다. 그러나 태화사회관은 사회센터(Social Center), 사회봉사(Social Service), 사회복지(Social Welfare)를 통해 기독교 복음을 사회 속에 확산시키 려 노력하면서 인보관의 역할을 수행해 왔다. 때문에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은 우리나라 커뮤니티 센터로 서 최초로 시작된 인보관으로 인정되고 있다.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은 1939년 4년여에 걸쳐 한옥으로 태화사회관을 새롭게 건립하고, 새로운 사업을 추진하려고 하던 중 조선총독부에서는 태화의 모든 재산 을 압류하고 여러 해 동안 폐쇄조치에 들어갔던 잊지 못할 사건도 있었다.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의 역사 는 어느 한 시설의 역사가 아니다.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은 우리나라에 최초로 설립된 인보관으로 일제 강점기, 미군정기, 한국전쟁, 전후복구시기 등 설립 당시부터 현재까지 수많은 파란의 역사를 잘 감당 극복해 왔다. 이러한 역사적 의미를 갖고 있는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은 영국의 토인비 홀, 미국의 헐 하 우스처럼 많은 논문으로 기록되어 알려져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study not only the main services including obstacles and its solutions the Taiwha Christian Community Center(TCCC) has provided but also the personnel who have participated in the organization which has a history of 100 years. This article also tries to analyze the role of private organizations and the government relating to TCCC. During the past 100 years, TCCC experienced many obstacles sometimes but overcome them eventually. Starting as a Woman’s Center in 1921, TCCC played a key role in Korea as an Evangelistic Center based on Christian evangelism. Working as a Settlement House. in addition, TCCC tried hard to spread the Christian gospel to society by working as Social Center and providing Social Service and Social Welfare. For this reason, TCCC has been recognized as the first settlement house and as a community center in Korea. In 1939, when TCCC was trying to build a new Taiwha Community Center in a Hanok(traditional Korean house) style and proceed with new projects,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confiscated all of Taihwa's property and shut it down for years. The history of TCCC is unique in the history of Korean Social Welfare. From the beginning of the first settlement house established in Korea to the present, TCCC has endured many difficult periods: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 Korean War, and the post-war restoration period. Considering this history, TCCC should be properly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ocial community centers in Korea like Toynbee Hall in England and Hull house in the United States.

      • 원주시 사회복지협의회 설립과 실천의 역사적 의미

        송정부 한국사회복지역사학회 2018 사회복지역사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공공과 민간의 협치가 사회복지발전에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민간복지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지역의 사회복지협의회의 발전과정을 역사적으로 살펴보고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주민의 복지향상을 위해 전국의 사회복지협의회 설립내용을 보면 2018년 4월 현재 시‧군‧구협의회 설치 현황은 전국 226개 시군구 중 151개 설치(67%), 75개가 미설치(33%) 되었으며, 설치된 151개 중 법인등기는 143개소이며, 8개는 현재 비법인으로 운영하고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1995년 9월1일 설립된 원주시사회복지협의회의 설립배경과 활동내용 등을 역사적 의미로 검토하여 앞으로 기초자치단체에서 시군구사회복지협의회의 사업과 발전방향에 기여하는 방법을 찾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reviews the history of Wonju-city Council on Social Welfare and suggests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future.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between public sector and non-profit sector should be emphasized in social work practice. Council on Social Welfare(CSW) is a successful model based on the collaboration between public sector and non-profit sector. 67% of local governments have CSW(151/226) and the most of CSW are working by public foundations(143/151) in Korea. Wonju-city Council on Social Welfare is the first CSW in Korea, established in Sep. 1995. Therefore, the review of the history and practices of Wonju-city Council on Social Welfare will provide recommendations for future.

      • 고트프레드 레키보(Gotfred Rekkebo)의 『한국 사회사업 1955~1965』 고찰

        최원규 한국사회복지역사학회 2018 사회복지역사연구 Vol.1 No.1

        이 글은 노르웨이 부제(deacon)이자 간호사·사회사업가로 1955년부터 1972년까지 한국에서 활동한 고 트프레드 레키보(Gotfred Rekkebo, 1911~1993)의 사회사업 관련 활동에 관한 것이다. 그는 1950년 에 발발한 한국전쟁에 간호사로 파견되었다. 그는 현임 사회사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개별사회사업 (social case work) 훈련을 실시하였다. 그들을 병원, 고아원, 지역사회복지관 등에 파견하고, 그들에 대한 슈퍼비젼을 제공하였다. 1959년에는 그가 훈련시킨 개별사회사업가들과 함께 한국개별사회사업가 협회(Korea Case Workers’ Association)를 만들어 1967년 한국사회사업가협회 발족의 한 축을 담당 하였다. 17년(1955-1972)에 달하는 한국에서의 레키보의 활동은 한국 사회사업가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기여로 평가되는데, 특히 병원 기반의 의료사회사업의 출발을 이룩한 것은 주목할 만하다. 서울 마 포와 전남 목포 등지에서 그의 활동은 오늘날 수백개에 이르는 지역사회복지관 사업의 원형으로 자리매 김할 수 있다. 아울러 목포에서의 MAVA의 결성은 지역사회복지 증진을 위한 네트워크의 형성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각별하다. 한편 교육훈련의 방법론과 관련하여 볼 때, 현장의 사례들에 대한 토의를 중심으로 한 그의 노력은 실용적, 실천적 사회사업 교육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는 이론교육 중심이 라는 비판을 받아 온 한국 사회사업 대학교육과는 대비되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on Gotfred Rekkebo’s social work activities in Korea from 1955 to 1972. He was a deacon, a nurse, and a social worker from Norway. He was sent to Korea as a nurse during Korean War of 1950. He conducted social work training for the active social workers. He dispatched them to hospitals, orphanages,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provided them with a supervision. In 1959, he created the Korea Case Workers' Association, along with individual social workers who were trained by him. He was responsibl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in 1967. 17 years(1955-1972) of Rekkebo’s activities in Korea could be evaluated as a contribution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Korean social workers. It is also noteworthy that the start of the hospital-based medical social work in Korea had been achieved by his endeavors. His activities in Mapo area in Seoul and Mokpo city in Chonam province could be regarded as the prototypes of hundreds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addition, the formation of MAVA in Mokpo city was considered to be meaningful in that it was a network for promoting community welfare. On the other hand, in relation to the methodology of social work education and training, it could be concluded that his efforts centered on discussion of cases in the field were a practical method of social work education. This was contrasted with the Korean social work education, which had been criticized as the theoretical education centered.

      • 사회복지교육의 개척자 김덕준 생애에 관한 연구

        김범수,이선혜 한국사회복지역사학회 2024 사회복지역사연구 Vol.6 No.-

        본 논문은 우리나라에서 최초의 사회사업교육을 전개한 김덕준의 성장배경과 유학시절 그가 학습한 교 과과정, 그리고 사회복지교육계에 미친 영향을 서술적으로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김덕준 은 청소년 시절 일본의 기독교 사회개혁가이자 목사인 가가와 도요히코가 저술한 책을 읽으면서 감동을 받았다. 그가 쓴 일기에 의하면 매일 아침 본인도 빈곤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의 가가와 도요히코’가 되 게 해 달라고 하나님께 기도했다. 이러한 꿈을 갖고 있던 그는 1938년 19세의 나이에 일본 도시샤대학에 입학 한국인으로서는 최초로 사 회사업학을 공부한다. 그리고 고향인 함경북도 회령에 가서 교사로 근무하다가 북한이 공산화되는 것을 느끼고 서울로 내려온다. 서울에 와서 YMCA에서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다가 중앙신학교(현, 강남대학 교) 설립을 준비중에 있던 이호빈 목사와 운명적인 만남이 이루어진다. 1951년 한국전쟁중인 부산 피난 지에서 사회사업학과 학생 모집을 하고 1953년 제1회 학생을 모집 사회사업교육을 시작했다. 1957년에 는 사회사업교육여건이 좋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사회사업학회를 창립, 1981년에는 한국기독교사회 복지학회를 창립하고, 양 학회의 초대회장을 역임하였다. 본 논문에서 가장 큰 의미는 1938년 도시샤대학에 입학한 김덕준이 공부했던 교과과목과 당시 근무했던 교수진의 자료를 수집 살펴보았다. 이 밖에도 초창기 우리나라에 사회사업교육이 전개된 배경과 그가 미 친 업적 등을 분석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conduct a descriptive study of the growth background of Deok-Joon Kim, who developed the Korean social work education in the initial stage, the curriculum he studied while studying abroad, and the influence he had on the social welfare education. Kim's journey begin as a teenager inspired by the writings of Toyohiko Kagawa, a Japanese christian social reformer and evangelist. According to his diary, he prayed every morning to God to make him ‘Korea's Toyohiko Kagawa’ and to solve the problem of poverty. Having this dream, he entered Doshisha University in Japan in 1938 at the age of 19, becoming the first Korean to study social work. He then returned to his hometown, Hyeryung, Hamgyungbuk-do, and worked as a teacher, but when he realized that North Korea was becoming communized, he relocated to Seoul. In the capital city, he engaged in volunteer work at the YMCA and had a fateful meeting with Pastor Ho-bin Lee, who was preparing to establish Joongang Theological Seminary (Present Kangnam University). In 1951, social work students were recruited in the Busan refuge area during the Korean War, and in 1953, the first students were recruited and social work education began. In 1957, despite challenging conditions, he founded the Korea Academy of Social Work and served as its first president. Furthermore, in 1981, he established and became the first president of the Korean Academy of Christian Social Welfare. The biggest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hat it collected and examined the subjects studied by Deok-Joon Kim who entered Doshisha University in 1938, and the data of the professors during that time. Additionally, it provides insights into the early days of social work education in Korea and its achievements.

      • 광주 충현원의 사례를 통해 본 한국 사회복지사업에서 민관관계의 전개 양상

        최원규 한국사회복지역사학회 2022 사회복지역사연구 Vol.5 No.-

        전라도 광주에 위치한 충현원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후 혼란기를 거치면서 고아원으로 시작된 민간사회 복지시설이다. 호남 지방을 선교 거점으로 삼았던 미국 남장로교 선교사들의 활동과 연결되는 이 시설은 1948년 발생한 여순사건과 그 후유증으로 다수의 고아가 발생한 일이 그 출발의 계기가 되었다. 1950 년에 발발한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전쟁고아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잠시 본국으로 귀국했던 선교사 들이 복귀하면서, 충현원은 선교단체 및 외원단체의 지원으로 보다 많은 아동들을 보호하게 되었다. 충 현원은 우리나라의 많은 사회복지시설들이 기독교 배경을 갖게 된 점을 잘 보여준다. 충현원의 초창기 발전 과정을 보면, 선교사, 외원단체 등의 지원이 현저하였는데, 이러한 외부 지원은 한국 민간사회복지 조직의 출현과 성장의 배경이 되었던 사정을 잘 보여준다. 한편 1970년대 이후 충현원은 탈시설화를 추 구하면서 시설 중심의 사회복지사업을 추구했던 일반 추세와는 다른 혁신을 보여주었다. 1981년에는 호 남종합사회복지관을 개설하여 운영하는 등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조직으로의 변신을 꾀하였다. 그러나 입 지여건이 갖는 한계와 더불어, 1991년 지방자치제도 부활 이후, 지방정치와의 불협화음으로 충현원은 약 화와 쇠퇴를 겪었다. 충현원은 한국 현대 사회복지사업에서 여전히 강한 국가, 초창기에는 상대적으로 강했으나 점차 약화된 민간이라는 불균형적인 민관관계를 보여준다. ChoongHyun Babies’ Home, located in Gwangju, Jeolla-do, is a private social welfare facility that began as an orphanag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chaotic period after liberation. This facility, which was connected to the activities of the American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aries who came to the Honam region as a missionary base, started with the Yeosu-Suncheon incident in 1948 and the number of orphans as a result of its aftermath. After going through the Korean War that broke out in 1950, the issue of war orphans came to the fore, and as missionaries who briefly returned to their home countries came back to the region, ChoongHyun Babies’ Home had protected more children with the support of missionary organizations and foreign voluntary organizations. ChoongHyun Babies’ Home showed well that many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Korea had a Christian background. Looking at the early development process of ChoongHyun Babies’ Home, supports from missionaries and foreign voluntary organizations were remarkable, and these external supports well showed the circumstances that served as the background for the emergence and growth of privat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Korea. On the other hand, since the 1970s, ChoongHyun Babies’ Home had pursued deinstitutionalization and showed an innovative route quite different from the general trend of pursuing facility-oriented social welfare projects. In 1981, Honam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 was opened and operated to transform itself into an organization for community welfare. However, in addition to the limitations of location conditions, after the revival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in 1991, ChoongHyun Babies’ Home had started weakening and declining due to dissonance with local politics. ChoongHyun Babies’ Home shows the unbalanced public-private relationship in Korea's modern social welfare field: the still strong state, and the private sector, which was relatively strong in the early days, but gradually weake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