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개발도상국 대상 국내 CM제도 정착을 위한 CM업무 및 대가 모델링 : 캄보디아 사례를 중심으로

        임동의 동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2

        2015년 해외건설 수주는 유가하락에 따른 발주량감소, 엔화·유로화 약세, 수익성 악화 방지를 고려한 기업들의 선별적 수주 노력 등으로 해외건설 수주액이 급감하고 있으나, 아시아지역의 해외건설 수주는 강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최근 동남아시아 개발도상국의 지속적인 경제발전, 건설수요의 증가, 낮은 건설 품질 및 전문 인력 부족, 건설 제도와 법률적 기반취약 등의 이유로 한국형 CM제도 도입 사업이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한국형 CM제도는 그 하위기준으로 업무범위, 대가기준, 선정절차 등이 존재하며, 업무범위에 따른 한국형 대가산출 방식에 따라 기준이 수립되어 있어, 개발도상국의 현지 여건에 맞는 기준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 건설 산업이 보유한 풍부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약 15년에 걸쳐 수정과 보안을 거친 국내 기준의 변화과정을 파악하고, 캄보디아 현지실정에 맞으면서도 국내 제도의 큰 체계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CM업무범위와 대가기준을 모델링 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전략으로 「수요국 실정 반영」, 「국내 CM제도 벤치마킹」, 「글로벌스탠다드 도입」의 세 가지 전략을 수립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캄보디아 도입의 적정성 및 중요성을 판단하여 CM업무범위와 대가기준을 모델링 하였다. CM업무범위는 건설기술진흥법 하위기준인 국토교토통부 건설사업관리 업무지침에 기반을 두어, 이를 글로벌스탠다드화한 업무범위를 제시하였다. 글로벌스탠다드화를 위하여 미국건설관리협회(CMAA)에서 제안하고 있는 방식과 유사한 한국건설관리협회(CMAK)기준으로 업무체계를 재구성하여 초기 업무범위를 도출하였으며, 해외경험이 풍부한 실무진대상 설문조사를 통한 CM업무의 중요도 및 캄보디아 현지 적용성을 판단한 핵심 업무범위를 도출하였다. 또한, 캄보디아 현지 건설부 공무원의 의견과 한국건설관리협회의 자문을 받아 단계별/기능별 패키지화할 수 있는 Matrix 형태의 캄보디아 CM 업무범위를 모델링 하였다. CM대가기준은 건설기술진흥법 하위기준인 국토교통부 건설사업관리 대가기준에 기반을 두어, 캄보디아 현지에 적용이 불가능한 요소 및 현지 문화와 업무관행 등을 고려한 대가기준을 모델링 하였다. 국내의 대가기준은 큰 틀에 있어서, 글로벌스탠다드인 실비정액가산방식(Cost Plus Fixed Fee)을 따르고 있다. 하지만, 직접인건비 산정에 있어서 공사난이도 및 보정계수를 적용토록 하고 있으며, 이는 국내의 건설 환경 및 기준에 맞춰져 있다. 따라서 이 부분에 대한 캄보디아 현지화에 대한 필요성이 있었으며, 해외경험이 풍부한 실무진 기반으로 자문을 받아 캄보디아 CM 대가기준을 모델링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모델은 개발도상국의 국내 CM제도 도입에 있어서 디딤돌이 될 수 있는 기초연구결과로써, 후속 진행될 개발도상국의 국내 CM제도 도입에 있어서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결과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Amount of global construction orders (overseas construction business/orders) in 2015 was sharply decreased due to falling oil prices, weakening the Yen(¥) and the Euro(€) and profit-minded contracts of the companies. On the other hand, overseas construction business in Asia has remained strong. Business based on Korean CM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have been conducting for the Southeast Asian (developing country) by reason of the increasing of construction demand, low construction quality, professional labor shortages and weak construction legal. However, standards which is adapted local conditions in developing countries are required for work scope and fee structures, because Korean CM system was made for their construction environment. The objective of study is to model CM work scope and fee structures for developing country based on Korean CM system. In this study, CM work scope and fee structure were made with the three strategies; 「Reflect demand country circumstances」, 「Benchmark Korean CM system」 and 「Introduce global standard」. First, CM work scope of this study was modeled on considering work scope of global standard (Construction Management Association of America; CMAA), and Construction Management Association of Korea (CMAK) of Korea'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n addition, CM work scope was determined through survey of the experts for evaluate work importance and local applicability. This results were converted to a matrix form that is possible to order functional & phase package. Second, CM fee structure modelling was based on structure of Korea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is modelling was considered the non-local application elements, the local culture and business practices in Cambodia. The Cost Plus Fixed Fee is being applied for Korean CM fee structure, however, the construction difficulty and correction factor for calculating direct labor costs are based on Korean construction environment and standard. So, this parameters was revised through consultation with experts. This Models are a basic determination that could be a stepping stone for introducing the Korean CM system in developing countries. This study will help to be a Korean CM system introduced in developing countries.

      • 치과위생사의 근로권리인식과 업무수행의 법적보호인식에 관한 연구

        배유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1

        This study explores dental hygienists' perception of their right to work, legal protection within the scope of work, patient complaints, and clinical work conditions. A survey was conducted on 154 dental hygienists with over one year of experience, yielding 146 valid responses. The overall average score of dental hygienists' perception of their right to work was 3.53±0.64 points. 'Pregnancy experi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score of 'pregnant workers' rights, being 3.45±1.11 points (p = 0.002) higher than no experience. In perception of 'annual/paid leave', 'larger institutions' scored 4.04±0.61 points (p = 0.045) higher than dental clinics. 'Larger institutions' also scored 3.37±0.93 points (p = 0.013) higher than dental clinics in perception of pregnant workers' rights. Dental hygienists' experience of patient dissatisfaction during legal duties averaged 2.39±1.05. 'No patient complaints' was the most common response at 89.4%. 'Simple complaints' accounted for 28.5% in 'deposit removal', 24.1% in 'dental impression', and 20.6% in 'intraoral radiography'. 'Negative SNS reviews', 'abusive language/assault', 'economic compensation claims', and 'civil/criminal complaints' were less than 3% for all tasks. 'Civil/criminal complaints' had the fewest responses, with 0.4% in 'temporary charging' work and 0.3% in 'correction wire installation/removal' work. The overall average score for perception of legal protection in relation to legal duties was 3.61±0.95 points. For directly performed legal duties, the average score was 3.66±0.97 points, and for preparatory legal duties, it was 3.52±0.98 points. Those with '3-4 years' work experience' had higher perception scores for 'temporary filling', 'dental impression', and 'intraoral diagnostic radiography' tasks compared to other groups. 'Larger institutions' scored 4.00±1.04 points (p = 0.034) in 'installation/removal of orthodontic wires', showing a higher perception score of legal protection than dental clinics. Regarding patient complaints, 47.7% responded 'no in-house rules', 22.8% responded 'in-house rules for simple complaints', 8.8% responded 'in-house rules for abusive language/assault', and 8.8% responded 'in-house rules for economic compensation demands'. The overall average score for perception of concordance between legal work and clinical practice was 2.64±1.14 points. Difficulties due to legal scope included 'unclear job boundaries' (56.0%), 'work beyond legal scope at their superior's direction' (38.8%), and 'work outside the legal scope voluntarily' (5.2%). 'dental laboratory work such as making temporary crowns' accounted for 24.7% of work performed outside the legal scope, 'Periodontal-related surgery such as root planing or assisted periodontal surgery' accounted for 16%, and 'prosthetic treatment such as occlusal adjustment' accounted for 13.3%. The most burdensome task among dental hygienists' duties was 'dental laboratory work such as making temporary crowns' (45.8%). The second most burdensome task was 'prosthetic treatment such as orthodontic therapy' (26.7%). The third most burdensome tasks were 'dental laboratory work such as making temporary crowns', 'treatment such as filling a cavity', and 'surgical-related tasks such as dental implant insertion or surgical assistance', each accounting for 17.9%. Among dental hygienists performing duties outside the legal scope, patient complaints accounted for 53.4% of 'simple complaints'. 42.3% of dental hygienists answered that the psychological burden when performing work outside the legal scope was 'a little burdensome'. The Labor Standards Act sets minimum working condition standards, and dental hygienists, as workers, should understand relevant laws. They perform tasks within legal scope, requiring safe and legal protection. This calls for improvements in laws and systems. This study provides data for future research on the Labor Standards Act, helping dental hygienists understand their rights and perform tasks within legal scope in practice.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근로권리인식과 법적 업무범위에 따른 법적보호인식, 환자 불만, 임상 업무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현행법과 선행연구논문 등을 참고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치과 의료기관에서 근무 중인 임상경력 1년 차 이상의 치과위생사 15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고, 무성의하거나 불성실한 응답 8부를 제외하여 최종 146부를 분석하였다. 치과위생사의 근로권리인식 전체 평균 점수는 3.53±0.64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의 차이는 ‘임신 경험 있음’이 ‘임산부 근로자’의 권리 인식 점수 3.45±1.11점(p = 0.002)으로 임신 경험 없음보다 더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근무 기관 유형 중 ‘치과 병원 이상 규모의 기관’에서 ‘연차·유급휴가’의 권리 인식 4.04±0.61점(p = 0.045)과 임산부 근로자 권리 인식 3.37±0.93점(p = 0.013)이 치과의원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치과위생사의 법적업무 수행 중 환자 불만 경험은 전체 평균 2.39±1.05점으로 나타났다. 치과위생사 법적업무 시 ‘환자 불만 행동 없음’이 89.4%로 가장 많은 응답을 보였다. 환자 불만 행동 중 ‘단순 불만 제기’는 ‘치석 등 침착물 제거’업무에서 28.5%, ‘치아본뜨기’업무에서 24.1%, ‘구내 방사선 촬영’업무에서 20.6%의 순으로 나타났다. ‘SNS 부정적 후기’, ‘욕설/폭행’, ‘경제적 보상’, ‘민사/형사 고발’은 모든 업무에 대해 3%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적은 응답의 환자 불만은 ‘민사/형사 고발’로 ‘임시충전’의 업무 0.4%, ‘교정용 호선 장착 및 제거’의 업무 0.3%로 나타났다. 치과위생사 법적 업무에 대한 법적보호인식의 전체 평균 점수는 3.61±0.95점, 치과위생사 법적업무 중 직접수행 업무의 전체 평균은 3.66±0.97점, 치과위생사 법적업무 중 진료준비 업무의 전체 평균은 3.52±0.98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의 차이는 ‘근무경력 3년 이상 4년 이하’가 ‘임시충전’ 업무 4.03±0.80점(p = 0.006), ‘치아본뜨기’ 업무 3.90±0.86점(p = 0.043), ‘구내 진단용 방사선 촬영 업무’ 3.87±0.94점(p = 0.021)으로 다른 그룹보다 법적보호인식 점수가 높은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근무기관 유형 중 ‘치과병원 이상 규모의 기관’에서 ‘교정용 호선의 장착 및 제거’ 업무가 4.00±1.04점(p = 0.034)으로 치과의원보다 법적보호인식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환자 불만 처리에 대한 ‘원내 규칙 없음’ 47.7%, ‘단순 불만 제기 관련 원내 규칙 있음’ 22.8%, ‘욕설 또는 폭행 관련 원내 규칙 있음’ 8.8%, ‘경제적 보상 요구 관련 원내 규칙 있음’ 8.8%로 나타났다. 법적업무와 임상 실무의 일치 인식의 전체 평균 점수는 2.64±1.14점으로 나타났다. 치과위생사 법적 업무범위로 인한 어려움은 ‘업무 경계 불명확’이 56.0%, ‘상사 지시로 법적범위를 벗어난 업무 수행’ 38.8%, ‘자발적으로 법적범위를 벗어난 업무 수행’은 5.2%로 나타났다. 법적범위 외에 수행하고 있는 업무는 ‘임시치관 제작 등의 치과 기공실’ 업무가 24.7%, ‘치근활택술 등의 치주 관련 수술 또는 치주 수술보조 행위’ 16%, ‘교합조정 등의 보철 진료 행위’ 13.3% 순으로 나타났다. 요구되는 업무 중 가장 부담을 느끼는 업무의 1순위는 ‘임시치관 제작 등의 치과 기공실 업무’가 45.8%, 2순위는 ‘교합조정 등의 보철 진료 행위’가 26.7%, 3순위는 ‘임시치관 제작 등의 치과 기공실 업무’, ‘근관치료 등의 보존 진료 행위’, ‘치과 임플란트 식립 등의 외과 관련 수술 또는 외과 수술보조 행위’ 세 가지 업무가 각 17.9%로 나타났다. 법적범위 외 업무 수행 중 환자 불만 경험은 ‘단순 불만 제기’가 53.4%로 나타났고, 심리적 부담 인식은 ‘조금 부담 있음’이 42.3%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치과위생사가 노동의 필수사항인 근로권리를 충실히 인식하고, 확실하게 보장받으며, 명확하게 제시된 법적 업무범위 이내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추후 근로기준법 관련 연구와 법적 업무범위의 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監理와 CM의 業務範圍 比較 分析을 通한 責在監理의 發展方案

        명안일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1

        Construction industry in Korea is being largely changed due to both the restructuring in production system after the international opening of construction market and the financial Crisis by so-called "IMF era". The gist of the construction policies in Korean Government focuses on improving construction techniques and managerrents in order to compete in the intemational market. It is natural that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Korea acquires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within the urgently changing world system. The government has performed a supervision system in order to prevent untrustworthy construc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construction since January, 1994. Despite its positive aspects, however, there were some problems: it was said that it was useless. Considering the work scope, it was surveyed that the cost, time, and safety management had their clear basis on regulations, however, they were approximately and officially performed for the most part. There were some limits in its management and its development because of the deficiency in technique and administration of the supervision. On the other hand CM(Construction Management) was known to be logical and scientifically developed construction system in the international market and was affirmed to be hopeful effects when it was activated. If the present supervision has some problems and limits in management, it must be improved to compete in the international marke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work scope and the limit of both the supervision and the CM throughout the regulations, make clear their problems and propose developed plans. (1) The work scope of the supervision was divided into project management, cost management, time managermnt, quality management, safety management and environent management in current regulations. Analyzing the work management of the surveyed supervision, cost, tirne, and safety management were performed approximately in compared to the quality management because of lacking in both the number of specialists and the authority of the supervisors. So, what is mst necessary is developing the related software and training the specialists. (2) Because the work scope significantly duplicated between the supervision and the CM in the construction phase, it would be likely to be careless in the management due to the obscurity of responsibility in the work scope. Hence, it must be clear in the limits of the work scope throughout both the managemt guidance and enactrmnt of the management atrangmnt. (3) Considering the domestic conditions, the selected construction contract was more available than the contract scope of the construction life cycle in the CM contract. Therefore, the continuous investment in both the development of techniques and the systematic work of quality control were needed in these cases. (4) The successful management of preventing untrustworthy construction in the CM without the supervision was not possible to perform in th CM of the construction life cycle, in spite of the activated CM. Therefore, the anticipated errors must be decreased throughout the completed supervision system which had the ability to prevent untrustworthy construction.

      • 주택 재건축.재개발 정비사업에서 건축사사무소의 전문관리 업무범위 개선방향

        김창겸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0

        Some related laws with rebuilding, redevelopment,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and urban environment improvement were integrated into the 'urban & residential environment maintenance' law, and government's efforts improving residential environment were now getting greater. But rebuilding projects were being operated inefficiently because of lack of a participant's experiences in rebuilding projects. Therefore after referring concerned literature about problems of rebuilding project consultant management and architect's roles in managing rebuilding projects, and investigating a case study of undergoing rebuilding projects in Masan city, proper guidelines of architect's consulting role were suggested in order to operate rebuilding project properly snd efficientl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present rebuilding projects, roles among architects and rebuilding project consultants are overlapped or vague because role guidelines among participants are not clearly divided. Therefore by defining rebuilding project consulting work in details, role guidelines among participants were divided clearly. Second, architect's participating time to rebuilding projects was considered. The ground rule of the rebuilding project is 'developing after planning'. Architect's early participation is needed inevitably for the plan, but architect is actually participating after organizing a promotion committee. Therefore architect needs to participate before organizing a promotion committee. Third, while existing RPCM-at-risk contracting type causes excessive payment for service cost, it is short of the ability to consult rebuilding project. Therefore for architect having the ability to manage rebuilding project consults as the subject of rebuilding project consulting, A-E-RPCM contracting type was suggested. Fourth, in the present 'urban & residential environment maintenance' law, the standard contract for selecting a construction company is exist, but the standard contract for deciding proper rebuilding consultants and architects aren't exist. Therefore to make up specialty of the promotion committee and to consult efficiently rebuilding project, improved service guidelines for architectural design were suggested. This study surveys improvement ways for architect's role guidelines in housing rebuilding project consulting management, but further researches must be continued through the analyses with actual cases of efficiently consulted projects for improving architect's role in RPCM.

      • 간호사의 법적 책임의 한계와 법 제도적 개선방안

        심보혜 고려대학교 법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98

        현대 의학은 나날이 발전하고 세분화되고 있다. 그에 따라 의료행위는 점차 복잡해지고 전문화되어 의료인 혼자서 할 수 없고, 실제 임상에서는 여러 의료종사자가 팀을 이루어 협력하여 행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한편, 의료에 대한 환자들의 권리의식은 향상되고 의료정보에 대한 접근이 쉬어짐에 따라 의료 분쟁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의료인과 그 외 의료종사자들 간의 업무와 책임문제에 대해서 독립적인 개별법이 아닌 의료법으로 포괄하여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의료법상의 포괄적인 규정만으로는 급속하게 발전하는 의료계와 환자 주권에 부응하지 못하고 의료분쟁 발생시 책임의 소재를 가리는데 문제가 되어 지속적으로 논의되어 왔다. 특히 전문화·분업화하고 있는 의료현장에서 간호사의 업무범위는 의료법에 규정되어 있는 의사의 지시와 감독을 받는 것 외에도 독자적인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2000년 전문간호사의 등장으로 점차 다양한 명칭의 전문직으로서 영역을 확대해 가고 있다. 종합병원급 이상에서는 일부 전문과목의 전공의 수급불균형으로 전문간호사, 전담간호사, 진료협력간호사(이하 ‘PA’, Physician Assistant), 체외순환사 등 다양한 명칭으로 간호사들이 권한을 위임받지 않은 상태에서 의사의 과중한 업무를 대신하여 시행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이처럼 간호사의 업무범위는 확대되고 이와 함께 간호사의 업무에 수반되는 위험도 증가하고 있어 의료사고의 발생 가능성 또한 커지고 있으며 간호사의 법적 책임 또한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지난 2015. 12. 29. 간호 관련 의료법이 개정되었다. 이번 의료법 개정에 의하면 의료법 제2조 제2항 제5호에 간호사의 세부적인 업무를 명시하여 간호사의 업무범위를 구체화하였다는 평가이다. 그러나 실제 임상에서는 전문간호사, 전담간호사 등 특수 파트를 담당하고 있는 간호사들이 일반간호사와 비교하여 여전히 고도의 전문성을 요구하는 독립된 간호업무를 시행하고 있음에도 이에 대한 언급은 없어 유형별 간호사의 업무범위와 책임을 명확히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고, 의료법 이외의 보건의료관련법에 명시되어 있는 간호사의 역할 및 업무범위와 중복 또는 상충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법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점차 법원도 간호사의 독립적인 의료행위를 인정하고 의사와의 관계에 있어서 의사를 보조하는 수준을 넘어서 수평적 분업형태를 인정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분업화되고 있는 의료현실에서는 의료사고 관련 문제에 있어서 의사를 중심으로 법률적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간호사와 관련된 업무범위나 의료과오 문제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간호사의 유형별 업무범위를 의료법과 간호사와 관련된 타 법령 등을 통해 정리해 보고, 간호사의 법적의무와 주의의무, 법적 책임의 한계와 문제점, 간호사 업무범위와 의료사고시 간호사의 책임에 대한 법원의 태도를 판례와 기존의 연구논문을 통해 분석해보았다. 더불어 2015년 개정된 우리나라 간호 관련 의료법과 외국의 간호법을 비교·검토하여 간호법의 단독입법의 필요성을 제안해 보았다.

      • 치과위생사의 구강보건 업무 범위 및 권한에 관한 다국적 비교

        장영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85

        본 연구에서는 세계치과위생사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Dental Hygiene, IFDH) 가입국 중 4개국을 대상으로 치과위생사의 구강보건 업무 범위와 권한을 파악하였다. 그 중 한국, 캐나다, 미국, 네덜란드를 대상으로 ‘치과위생사의 업무 범위 및 권한’ ‘치과위생사 관련 법’, ‘치위생교육제도’, ‘치과위생사 면허제도’를 비교하여 한국 보건치과위생사의 발전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치과위생사의 구강보건 업무 범위 및 권한에 관하여 다국적 비교를 하기 위해 내용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국의 수가 너무 많을 경우 결과가 정리되지 않을 수 있고, 중복되는 면이 있을 수 있다는 점에 근거하여 3개국을 분석대상국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국가별 치과위생사의 업무 범위 및 권한과 치과위생사 관련 법, 치위생교육제도, 치과위생사 면허제도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한국, 미국, 캐나다, 네덜란드 치과위생사의 구강보건 업무 범위와 권한을 비교해 보았을 때, 구강보건 업무 범위는 국가마다 달랐지만, 지역사회 주민들의 구강건강을 위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은 같았다. 캐나다, 미국, 네덜란드 보건치과위생사는 법적으로 자율형 의사결정에 관하여 보호받고 있었지만, 우리나라는 지도감독형으로 자율형 의사결정은 수행할 수 없었다. 둘째, 한국, 미국, 캐나다, 네덜란드 치과위생사 관련법을 비교해 보았을 때 업무 권한이 자율형인 국가는 주 법이나 치과위생사 단독법을 따르고 있었다. 지도감독형인 한국은 의료기사법에 명시되어 있었다. 자율형인 국가에서는 법적으로 자율적 의사결정을 명시하여 업무 권한을 보호하고 있었다. 셋째, 한국, 미국, 캐나다, 네덜란드 치위생교육제도를 비교해 보았을 때 우리나라 치위생교육의 양적, 질적 수준은 다른 국가와 비슷하였다. 네 국가 모두 보수교육이 시행되고 있었으며, 미국은 치위생교육의 질을 평가하는 제도가 있었다. 넷째, 한국, 미국, 캐나다, 네덜란드 치과위생사 면허제도를 비교해 보았을 때 국가고시는 네 국가 모두 시행하고 있었고 한국과 캐나다는 면허 신고제를 도입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보건치과위생사는 보수교육 참여를 통해 지속적으로 역량강화를 도모해야 할 것이다. 둘째, 보건치과위생사는 수행하고 있는 구강보건 업무를 기록하고 평가하여 구강보건 업무를 자율형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셋째, 자율적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는 보건치과위생사의 역량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자격인증제도, 교육의 질 평가, 보수교육제도의 체계적인 관리로 치과위생사의 역량 강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넷째, 정부에서는 보건치과위생사의 역량이 갖추어져 자율적 의사결정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치과위생사 관련 법 개정을 통해 자율적 업무 권한을 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seek a way Korean public health dental hygienists by comparing the work scope and authority of dental hygienists, dental hygienist-related law, dental hygiene training system, and dental hygienist license system among South Korea, Canada, United States, and Netherlands. Methods: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draw a multinational comparison about the oral health work scope and authority of dental hygienists. Results: First, the scope of oral health duty varied from country to country, but it was similar in that they were conducting projects for the oral health of community residents. In Canada, United States, and Netherlands, public health dental hygienists were legally protected with regard to autonomous decision-making, but Korean dental hygienists could not make an autonomous decision. Second, when comparing the dental hygienist-related law, countries with autonomous work authority were subject to the state law or a sole dental hygienist law. In South Korea, work authority specified in the Medical Technicians Act. Third, the level of dental hygiene training of South Korea was not lower than that of other countries. Continuing education and CODA(Commission on Dental Accreditation) accreditation was carried out. Fourth, when comparing the dental hygienist license systems, the national examination was taken in all four countries. Conclusions: First, dental hygienists in public health need to prepare for autonomous decision-making by continuously strengthening their capacity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in continuing education. Second, the Kore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should make an effort to improve the capacity of dental hygienists to make an autonomous decision. The certification system can be one way to achieve it. The quality of dental hygienist training must be evaluated using an objective indicator. Fourth, if the government considers that autonomous decision-making is feasible due to the enhanced capacity of public health dental hygienists, the ways to legally protect autonomous work authority can be reviewed through the amendment of the Dental Hygienist Act.

      • 한·중 전통의사제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왕비 경희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83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수명 연장을 위한 의료기술은 진보하고 있는 반면, 그에 따른 노령화와 만성질환의 비율의 증가 등은 인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전통의학은 오랫동안 끊임없이 계승, 발전하여 인류의 건강을 지키는 데 중요한 공헌을 해 왔다. 그러나 지난 세기 이래 서양의학의 빠른 치료효과와 의료장비의 발달, 그리고 과학적인 치료방법은 전세계의 의료체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반면, 사회발전과 의료위생 구조의 변화에 따라 건강 회색지대(Gray Zone)인 사람과 노인병, 만성질환환자가 늘면서 난치병 치료에서 서양의학의 한계가 점점 뚜렷해지고 있다. 이에 반해 전통의학은 부작용이 적고 가격이 저렴하며 독특한 치료기법으로 건강회색지대, 노인병, 만성병, 난치병 등의 분야에서 강점이 점차 드러남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전통의학의 인기가 다시 높아지고 있다. 한의학과 중의학(中醫學)은 한국과 중국의 전통의학으로서 같은 의학이론체계에서 기원했지만, 역사에 따라 완전히 다른 의료체계로 발전하였다. 한국은 전통의학의 계승과 발전에 더 중점을 두어, 한의학을 기존의 전통적인 의료문화에 기초하여 발전시킴으로써 독보적인 의료문화를 형성하고자 한다. 1951년 국민의료법의 개정을 통해 한의학과 양의학의 두 체계가 공존하며 동등한 법적 지위를 갖는 이원화된 의료체계를 마련하게 된다. 그러나 의료와 한방의료의 불분명한 선언적 구분으로, 의료장비나 기구의 활용 등 영역에 관한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미래의 의료 분야에서는 현대 과학기술의 교차와 융합에 관한 더 많은 법적인 문제들을 야기할 것이다. 중국에서는 중의학(中醫學)과 서의학(西醫學)이 서로 융합, 발전하는 태세이다. 국가는 중서의결합의학(中西醫結合醫學)을 장려하며, 중의학과 서의학이 서로 장점을 취하고 단점을 보완하여 단일 영역에서 획득할 수 없는 결과를 얻고자 하며 공동적으로 중국의 의료위생사업에 공헌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현대 과학기술 수단을 이용하여 중의학 서비스를 제공하는 학력중의사(學歷中醫師)를 양성할 뿐만 아니라, 중의학의 전통이론과 방법을 응용하여 중의학 서비스를 전개하는 민간중의사(民間中醫師)제도도 유지, 발전하고 있으며 국가의 정책지원하에 중의, 서의, 중서의결합의의 다방면의 의료체계를 공동 발전시키고 있고 세계 전통의학시장에도 진출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중의사(中醫師)의 의료행위에 대한 제한이 많지 않기 때문에 중의학은 질병의 치료 및 중대한 의료 응급 상황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발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서의결합, 중·서의학을 병용하는 것이 중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제의 큰 특성이다. 연구에 따르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있어서 호흡기 질환이나 순환기 질환에 대해서는 서의학이 중요한 치료수단이 되지만, 회복기에 있어서 환자의 체력 회복 및 폐의 잔존 염증의 흡수를 촉진하는 데는 중의 재활치료가 효과적이었다고 한다. 이와 같이 중의학과 서의학은 각각 장점을 가지고 있어 상호 보완하고 협동하면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중국의 위생보건사업은 이미 중의학과 서의학의 상호 보완과 조화로운 발전을 촉진하는 것을 특색으로 하여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한국은 이원화된 의료체계하에서 의사와 한의사의 상호 신뢰부족, 이해관계 충돌, 중복의료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의료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한 보완책으로써, 의학과 한의학의 독립적인 체계를 유지하면서 의사와 한의사가 상호 협력하여 진료하는 협진제도를 장려하고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한의사제도와 중의사제도의 비교를 통하여 한의사제도에 대한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한국 의료체계 상의 갈등을 해결하고 협진제도의 설립에 대한 법제적 연구의 첫걸음이 됨으로써 한의학의 세계 시장 진출에 촉진제가 되고자 한다.

      • 컴플라이언스 담당자의 업무범위와 책임에 관한 연구

        이동원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69

        Historically internal control was started from accounting control for avoiding fraudulent accounting in USA. And then it encompassed administrative control. In 1992, COSO Internal Control - Integrated Framework comprised Compliance objective. So, objectives of internal control wer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operations', 'reliability of financial reporting', 'compliance with applicable laws and regulation' under 1992 COSO. But, the Integrated Framework was changed as Enterprise Risk Management Framework in 2004 including 'strategic objective' in its objectives instead of internal control by COSO. Internal control is an integral part of enterprise risk management. This enterprise risk management framework encompasses internal control, forming a more robust conceptualization and tool for management. So it means that internal control can achieve by enterprise risk management. Compliance system as internal control system in the financial companies of Korea was imported from USA in 2000 as cause analysis of IMF financial crisis. But the concept definitions and job scope of compliance function as part of internal control was not defined in laws and decrees. It was supplemented by best practices or standards of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s and private institution. So it makes several problems of liabilities and responsibilities such a example as work overlapping. Those problems are born from the insufficiency of understandings about corporate governance of Korean companies which are different from American companies' governance, and the deficiency of concept definition. So, it is needed the concept definition of internal control and every kind of risks. In this treatise, I want to set up the concept definitions of internal control and every kind of risks referring to global standards such as BCBS papers of BIS, 1992 report and 2004 Enterprise Risk Management Framework by COSO. Because these global standards has stood the test of time by lots of banks around the world, these documents remain in place as the definition of and framework for internal control and risk management. Every operation and business department needs the risk management and concept definition of risks. Especially, compliance and internal audit function need them for internal control. In this treatise, I recommend the definitions for 10 kinds of risks, namely compliance risk, legal risk, accounting & administrative risk, competition & treating customers fairy risk, operation risk, general risk(including credit or market risk, etc.), supervisor regulation risk, ethical risk, reputation risk, strategic risk. Compliance risk is defines as “the risk of legal or regulatory sanctions, material financial loss, or loss to reputation a bank may suffer as a result of its failure to comply with laws, regulations, rules, related self-regulatory organization standards, and codes of conduct applicable to its banking activities (together, “compliance laws, rules and standards”) by Basel Committee on Banking Supervision. Compliance risk is a risk of the widest scope including legal risk. It is very important for interpretation of ‘legal’ to define the scope of legal risk. The scope of 'legal' is composed by Constitution, laws, its implementing decrees, rules, regulations, related self-regulatory organization standards, code of ethics, code of conduct, manuals. For legal service department occasion, it can be hardly distinguishable whether they should control anywhere from Constitution to manuals. Korean Commercial Law makes the Compliance supporter system for compliance(legal only) control of big companies in 2011. In this treatise, the Compliance supporter should control the violation risk of Constitution, laws, its implementing decrees, rules, regulations, related self-regulatory organization standards. A difference of risk scope between financial company and general commercial company is reasonable application in Korea, because they are different from the type of industrial risk. Owing to a loophole of concept definition, the scope and liabilities of internal control in Korean laws, we should supplement the liabilities by criminal theories and the scope by interpretation of global standards. Such as this, Korean law need the legislate of a tentatively called "Corporate Internal Control Law" including all companies and government authorities to solve problems which is occurring by a loophole of concept definition, the scope and liabilities of internal control. Key Words : Internal control, Enterprise Risk Management, the Scope of Compliance, Liabilities of Compliance Function, COSO, Corporate Internal Control Law.

      • 인터넷전문은행에 관한 법적 검토

        이진원 성균관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0

        인터넷전문은행의 도입의 시도는 2001년과 2008년에 있었다. 그러나 당시에 다양한 의견이 대립되어 인터넷전문은행 제도는 도입되지 못했다. 최근 박근혜 정부에 들어와서 인터넷전문은행의 도입을 다시 시도했다. 2015년에 인터넷전문은행 도입안이 나올 당시에는 여러 법적 쟁점들이 있었고, 일부는 유권해석이나 규정 개정등으로 법적 문제를 처리하였다. 그리고 인터넷전문은행과 관련된 은행법 개정안이 2015년에 나왔지만, 19대 국회 내에 법안이 통과 되지 않아서 이 법안은 자동폐기 되어 다음 20대 국회에 비슷한 입법안을 기다릴 수밖에 없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외국의 인터넷전문은행 현황 및 입법의 분석과 법적 참고를 통해 우리나라 현실에 맞는 인터넷전문은행 설립하는데 좋은 대안을 찾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할 당시 은행법 개정안이 국회에 계류 중이었기 때문에, 본 연구는 계류 중인 법률안을 토대로 법률 쟁점을 보았고 이에 대한 사견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인터넷전문은행의 설립을 용이하게 하고자 인터넷전문은행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2015년도에 특히 인터넷전문은행과 관련하여 금산분리 완화에 관한 찬반의 의견이 많았다. 금산분리 완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정 비율 이상 지분을 취득할 때마다 인가당국이 대주주 적격 여부를 심사 하고 산업자본의 진입이 허용되는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현행법제는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상 비대면 실명확인을 하기 힘든 구조여서 금융위원회는 계좌개설에만 유권해석을 통하여 법리적 문제를 해결하였다. 하지만 유권해석의 한계로 인한 의문점이 없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행법제는 인터넷전문은행 정의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지 않으므로 법률개정을 통해서 영업점 개설까지 포함하여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업무범위와 관련해서 일반은행과 동일하게 적용하되 향후 시스템리스크 방지나 건전성 유지 차원에서 제한이 필요한 경우를 고려하여 본 연구는 인가시 부관이나 하위법령을 통해 제한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인터넷전문은행의 도산을 예방하기 위해서 꾸준한 감독과 규제로 소비자 보호에 힘쓸 필요가 있다. 그리고 전자금융거래에서 발생한 사고에 관하여 이용자와 사업자의 책임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균형적인 손해배상을 위한 책임분배를 제안하고 있다. In the year of 2001 and 2008, there was an attempt to introduce the internet primary bank. However, this system couldn’t be introduced due to the various opposed arguments at that time. With the beginning of Park Geun-Hye Administration, the introduction of the internet primary bank was reattempted. By the time of the internet primary bank introduction-plan was proposed in 2015, different legal issues were suggested. Some of the legal issues have been handled by the authoritative interpretation or revised regulations. Although the revised Banking Act amendment was proposed in 2015, related to the Internet Primary Bank, this bill was not passed and automatically disposed within 19th National Assembly. Therefore, there was no choice but wait for the similar legislation of the next 20th National Assembly. This thesis aims to find a suitable alternativ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internet primary bank, which corresponds with the reality of South Korea by analyzing a current state of overseas internet primary bank and by referring legal case like legislation. When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Banking Act amendment was pending in the National Assembly. Therefore, the study analyzes a legal issue based on it this, examining opinion. Meanwhile, the research explores a solution for the vitalization of internet primary bank to facilitate its establishment. The issue about easing off the separation of banking and commerce was controversial, particularly in 2015, related to the internet primary bank. I would like to suggest the plan to resolve an alleviation problem in a separation of banking and commerce. The authorities examine an eligibility of major stockholder and expand a permissible range of industrial capital gradually whenever it acquires shares over the fixed rate. Since the current legislative system under the Act on Real Name Financial Transactions and Confidentiality had difficulty to proceed the non-face-to-face real name verification,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resolved a juridical problem by authoritative interpretation, only available on opening a bank account. However, there is doubt due to the limitation of authoritative interpretation. Therefore, the research provides counterplan related to the issue. As a current legislative system has no regulation about the definition of internet primary bank, it needs to be clarified included opening a business branch through a revision of the law. The scope of business will be applied equally to commercial banks. In this study, the plan for the restriction through incidental provision or subordinate laws is provided, regarding the prevention of further system risk or maintenance of prudent finance. A protection of consumers with constant supervision and regulation is also required to prevent a bankruptcy of the internet primary bank. The study suggests a distribution of liability to proceed a balanced compensation between user and operator, occurring in the accident from the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