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기부적응도식과 장애학생 어머니의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검증

        박춘희 ( Chun Hee Park ),이지연 ( Jee Yon Lee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1 人間理解 Vol.32 No.1

        본 연구는 장애학생 어머니가 지각한 초기부적응도식과 양육스트레스가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 고등학교 특수학급과 특수학교 장애학생의 어머니 2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부적응도식과 양육스트레스는 정적 상관관계를, 양육스트레스와 심리적 부적응도 정적상관관계를 보여, 초기부적응도식이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는 높아지고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심리적 부적응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둘째, 초기부적응도식이 심리적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양육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부분매개 모형이 선택되었다. 즉 양육스트레스는 초기부적응도식과 심리적 부적응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초기부적응도식으로 인해 심리적 부적응을 경험하는 장애학생 어머니에게 양육스트레스가 작용하여 심리적으로 더욱 힘들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심리적 부적응(대인예민성, 우울, 적대감, 불안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장애학생의 어머니에게 부정적인 심리와 우울한 감정을 변화시키고, 양육스트레스를 경감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상담적 개입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maladaptive schemas and parenting stress were related to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mothe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this end, 274 mothers of high school special class students and special school students in Incheon city region participated. Correlational analyses showed that all the study variabl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each other, which means that as the mothers have greater maladaptive schemas, they tend to experience more parenting stres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ests of mediation effects revealed that parenting str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maladaptive schema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counseling interventions that assist mothe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experience substantial degree of parenting stress and subsequent psychological maladjustment.

      • KCI등재

        청소년의 부모화 경험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

        강원희 ( Won Hee Kang ),유순화 ( Soon Hwa Yoo ),윤경미 ( Kyung Mi Yun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0 중등교육연구 Vol.58 No.3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화 경험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고, 성별에 따라 부모화 경험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일반계 남, 여 고등학교, 전문계 남녀공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고등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중 347부를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정준상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첫째, 부모화 경험과 심리적 부적응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화 경험 중 불공평과 정서적 돌봄이 심리적 부적응과 관련이 있었으며, 심리적 부적응 중 우울/불안, 신체증상, 위축의 변인이 부모화 경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성별에 따라 부모화 경험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부모화 경험 중 불공평이 심리적 부적응과 가장 관계가 높았으며, 심리적 부적응 중 우울/불안이 부모화 경험과 관련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부모화 경험과 심리적 부적응의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부모화 경험에 노출된 청소년의 심리적 적응을 돕기 위해서 학생의 성별에 따라 적절하게 부모화 경험을 다룰 수 있는 상담과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7 high school students(142 boys and 205 girls). To analyze the dat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following results from this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ification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Second, unfairness of parentification and emotional caregiving were related to psychological maladjustment significantly, anxiety/depression, somatic complaints, and withdrawal were related to parentification significantly. Third,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was higher in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chool counseling services must implement a program for treating cases of parentification in adolescents.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강화(Jiang, Hua),배은경(Bae, Eun-Kyung) 한국아동복지학회 2018 한국아동복지학 Vol.- No.62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광주 · 전남 지역 거주에 거주하는 9-20세의 다문화가정 청소년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은 종교가 없는 경우, 한국어능력을 낮게 인식할수록,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많을수록, 적응유연성 수준이 낮을수록 심리적 부적응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심리적 부적응 간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적응유연성이 높은 집단에서는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많을 때 심리적 부적응이 완만하게 높아지는 양상을 보이지만, 적응유연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많을 때 심리적 부적응의 차이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셋째, 문화적응스트레스의 하위영역인 적응과정상의 스트레스와 차별스트레스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정청소년의 차별스트레스가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적응유연성 변수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적응유연성을 강화할 수 있는 정책적 ·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experienced by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ir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the role of resilience as a moderator.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16 adolescents aged 9 to 20 years old from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nnam Province. The results from the hierarchical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for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had no religion, the lower the levels of Korean proficiency they perceived, the higher their levels of acculturation stress, the lower their levels of resilience, and the higher their levels of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ey reported. Second, resilience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In other words, in the group of adolescents with high levels of resilience, as the level of acculturation stress increased, the level of psychological maladjustment gradually increased. However, in the group with low levels of resilience, as the acculturation stress increased, the level of psychological maladjustment dramatically increased. Third, resilience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rimination stress (a subcategory of acculturation stres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resilience can be a protective factor that can lower the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ven in an environment with a high level of stress from discrimination. Based on the results,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정긴급성의 매개효과

        이슬,정윤주,강진령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7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whether negative urgency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in the group of college students. Methods For this research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254 college students nationwide using the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PBI), the Korean version of the multidimensional Impulsivity Scale (UPPS-P),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and Beck's Anxiety Inventory (BAI). In addition, in order to confirm the role of negative urgency in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on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 research model was set up that parenting attitudes had a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psychological maladjustment.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administered and finally, SPSS PROCESS MACRO No. 4 model was appli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parenting attitude h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negative urgency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college student children. The negative urgency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college student children h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ir negative urgency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their psychological maladjustment. Conclusions The conclusions derived based on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At a time when the need for parents' education is emphasized in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arenting attitude experienced by children can affect their adulthood. This suggests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social safety net for not only teenagers but adults. In addition, by identifying that the negative urgency is a predicting variables of psychological maladjustment, it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pay active attention to prevent problematic behavior.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부모양육태도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부정긴급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전국의 대학생 254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PBI), 한국판 다차원적 충동성척도(UPPS-P), 우울 증상 척도(CES-D), Beck의 불안 척도(BAI)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부모양육태도가 심리적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긴급성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부모양육태도가 심리적 부적응에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를 모두 갖는 연구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빈도분석과 신뢰도 분석 및 상관분석, 마지막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 4번 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부모양육태도는 대학생 자녀의 부정긴급성 및 심리적 부적응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대학생 자녀의 부정긴급성과 심리적 부적응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 자녀의 부정긴급성은 부모양육태도와 대학생 자녀의 심리적 부적응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자녀의 문제행동에 있어 부모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본 연구를통해 자녀가 경험한 부모양육태도가 성인기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청소년 뿐 아니라 성인기까지도 사회적 안전망이 갖추어져야 하는 것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부정긴급성이 심리적 부적응의 예측 변인이라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문제행동을 예방하기 위해 개인적, 사회적으로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학교부적응 다문화청소년의 심리적 지원방안

        성수나(SooNa S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학교 부적응요인을 파악하여 다문화 청소년의 심리적 지원방안에 대한 정책이 수립하는데 있다.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학령기에 접어들면서 언어와 문화적인 차이, 사회적 차별로 인해 우울과 불안 등 정신적 어려움을 겪으면서 낮은 자존감과 대인기피 현상으로 학교부적응으로 이어지고 있다.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부적응 문제는 한국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후일 사회적 문제로 발전할 수 있으며 다문화 청소년의 심리적 지원은 서로 다른 가치관과 문화적 차별로 인한 가족 간의 갈등, 또래와의 관계 형성 등 여러 가지 심리적 이유로 학교 부적응 문제 예방과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다문화 청소년들의 자아 존중감을 증진하고 긍정적인 자아상으로 건강하게 성장하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가정, 교육기관, 지역사회의 협력하여 학교부적응 문제 해결방안을 위한 심리적 지원방안에 대한 정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policy for psychological support measures for multicultural youth by identifying the factors of school maladjustment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nter school age, they suffer from mental difficultie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due to language, cultural differences, and social discrimination, leading to school maladjustment due to low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avoidance. Multicultural youth's school maladjustment is a very important part of Korean society and can develop into a social problem later, and multicultural youth's psychological support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ng and solving school maladjustment problems for various psychological reasons, such as family conflicts due to different values and cultural discrimination, and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with peers.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create an environment to promote self-esteem and grow healthy with a positive self-image of multicultural youth, and to present policies for psychological support measures to solve school maladjustment problems in cooperation with familie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local communities.

      • KCI등재후보

        성학대 피해 청소년의 귀인 양식 및 대처 전략과 심리적 부적응간의 관계

        권해수,이재창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3 청소년상담연구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소년보호교육기관 (구 소년원) 여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학대 피해 실태 및 성피해 경험이 심리 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성학대 변인, 성학대 귀인 양식 및 대처 전략이 성피해 경 험과 심리적 부적응을 어떻게 매개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소년보호교육기관에 수용 중인 126명의 여자청소년을 대상으로 성학대 경험 질문지, 성학대 귀인 양식, 성학대 대처 전략 척도, 간이 정신진단검사 (SCL-90-R)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석, 상관 분석 및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년보호교육기관에 수용된 여자 청소년의 65.87%가 성학대 피해 경험이 있었다. 둘째, 성학대 피해 집단은 비피해 집단에 비하여 심리적 부적응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부적응과 유의한 관계를 보이는 변인은 성피해 노출 경험, 주변 반응, 타인-비난적 귀인 양식, 표현-인지적 대처 전략 및 자기-파괴적 대처 전략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심리적 부적응을 예측 하는 변인으로는 성피해 노출 경험, 타인-비난적 귀인 양식, 자기-파괴적 대처 전략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 구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타인-비난적 귀인 양식과 표현-인지적 대처 전략이 심리적 부적응과 높은 상관을 보 이고, 특히 타인-비난적 귀인 양식이 심리적 부적응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이라는 결과는 소년보호교육기관에 수용 중인 성학대 피해 청소년들은 일반 성피해 청소년들과는 차별화된 상담 개입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그리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들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sexually abused experiences of female adolescents in a juvenile detention home and differences in the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mong different types of sexually abused female adolescents.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coping strategies, attribution style,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Four instruments (Sexual Abuse Experience Questionnaire, Sexual Abuse Attribution Style Inventory, Coping Resources Inventory for Sexual Abuse, and SCL-90-R) were administered on 126 girls who were in a juvenile detention home in Kyung-gi province. The main results were following: First, 65.87% of female adolescents experienced sexual abuse. Second, sexually abused female adolescents had more severe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an the subjects who had no experience of sexually abuse. Third, exposure to sexual abuse and subsequent responses from others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ther-blame attribution style, expressive-cognitive coping strategies, and self-destructive coping strateg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psychological maladjustment. Especially, other-blame attribution style, self-destructive coping strategies, and exposure to sexual abuse were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s. The results suggested personally experienced feeling on sexual abuse, attribution style, and coping strategy had more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adjustment than sexual abuse experience itself.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중학생이 지각한 가정의 심리적 환경이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조현경(Cho, Hyun-Kyung),김재철(Kim, Jae Chul) 한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가정의 심리적환경이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이론을 토대로 중학생이 지각한 심리적 가정환경이 학교부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학교부적응은 유의미한 부적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정의 심리적 환경을 부정적으로 인식할수록 학교부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연구 변인들 간에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습활동관계, 학교규칙준수는 모두 개방과 부적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중학생이 가정환경을 폐쇄적으로 인식할수록 학교생활 부적응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에게 매우 중요한 환경으로 작용하는 가정의 심리적환경과 학교생활부적응 관계를 밝힘으로서 중학생의 올바른 성장과 적응을 도모하고 학문적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This study tried to know family psychological environmen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how it affects their school maladjustment.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six classes of grade 1 and grade 3 each in creative discretionary activity class of "N" middle school. This school consists of boys and girls located in Seo-gu, Dae-jeon. There are 372 students. I included 351 questionnaires and excluded 21 questionnaires which did not have earnestness. 172 questionnaires are from grade 1, 179 questionnaires are from grade 3. I extracted and edited the family psychological environment measurement from "Family Psychological Process Measurement" by Won-sik Jung(1992). The school maladjustment measurement is from "School Maladjustment Behavior Measurement" by Gun-so Park(2003). These measurements are used in this study. Using these measurements, I controlled parents" socio-economic status(job, living standards, school free meals, education) about teacher relations, peer relations, learning activity relations, compliance of school rules which are the variables constructing school maladjustment. Then, I did hierarchical regression to compare the influence of family psychological environment(achievement, openness, love, autonomy). I did groups analysis to know the school maladjustment and the relation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grade 1 and grade 3) and sex. I also used SPSS 17.0 which is the analysis program. These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Even though it could be a weak explanation because of low numerical school maladjustment action, there is meaningful negative relation between family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their school maladjustment. It means that if students perceive family psychological environment negatively, the school maladjustment would get progressively higher. On the relation of variables, teacher relations, peer relations, learning activity relations, compliance of school rules have high negative relation of openness of family. According to these results, we can see that if middle school students grow up in an open family environment, their school adjustment would get progressively higher. Based on these results, I clarified the relation between family environment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for teenagers and school maladjustment. I will try to promote teenagers" proper growth and adjustment. I also would like to provide an academic foundation.

      • KCI등재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

        엄현정 ( Hyun-jung Eom ),민경화 ( Kyung-hwa Min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7 人間理解 Vol.38 No.1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심리적 부적응(불안,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인천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38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및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 자녀의 심리적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매개변인인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경험적 회피가 완전매개하는 모형이 최종모형으로 채택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를 증가시키고 이는 다시 경험적 회피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어 심리적 부적응을 심화시키는 이중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로 인한 우울 및 불안을 경험하는 대학생들의 상담적 개입에 대한 자료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on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maladjustment, while also examining the mediating roles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experiential avoid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ased on data from 382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Incheon indicated that the link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was fully mediated by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experiential avoidance. Specifically,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was positively related to college student`s maladaptive perfectionism, which, in turn, influenced experiential avoidance and eventually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ese results would provide basic directions for the research and practice of college students counseling. Study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아동의 지역아동센터 이용만족도와 심리적 부적응의 종단관계 분석

        노성향(Sung Hyang Rho) 한국보육학회 2021 한국보육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지역아동센터 이용만족도, 심리적 부적응의 변화추이를 파악하고 지역아동센터 이용만족도의 변화양상에 따른 아동의 심리적 부적응의 변화양상의 종단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지역아동센터 아동패널조사 2기 중 1차, 2차, 3차, 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는 SPSS 25.0과 AMO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1학년까지 지역아동센터 이용만족도 변화추이를 살펴본 결과 지역아동센터만족도는 비교적 높고,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1학년까지의 심리적 부적응의 변화추이를 검증한 결과, 평균값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1학년에 이르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지역아동센터 이용만족도와 심리적 부적응 변화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지역아동센터 이용만족도 초기값은 심리적 부적응 초기값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동의 지역아동센터 이용만족도가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장, 단기적인 측면에서 살펴보았다는 의의가 있다.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grasping the trend of changes in th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with community child center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s over time. Method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from the 1st, 2nd, 3rd, and 4th years of the 2nd term panel survey of from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analysis method used wa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using SPSS 25.0 and AMOS 25.0.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trend of changes in the satisfaction of community child centers in the 4th, 5th,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1st grade of middle school periods, the satisfaction of was relatively high and increased continuously.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change of psychological maladjustment from the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it was found that there was little change in the average value.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of community child centers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ime from the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Conclusion/Implications: The process of changing local child care center satisfaction can lead to changes in children"s psychological maladjustment.

      • KCI등재후보

        중국인 유학생이 겪는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사회-심리적 요인 분석

        임수진,한규석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6 No.3

        The number of Chinese students in Korean universities are on rapid rise for several years. The current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ir life by analyzing the psychological maladjustments they experience and their relevant factors. Two subscales of SCL-90-R were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depression and anxiety. We also investigated socio-individu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 of psychological maladjustments. Socio-psychological factors were age, sex, duration of stay m Korea, economic status of family, self- reported proficiency of Korean language, residential type, and health condition. Psychological factors were self-esteem, self-efficacy, and the perceived level of social support. Th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n psychological maladjustments were health condition and self-efficacy. Surprisingly, many relevant factors did not show meaningful influence on psychological maladjustments. Further analysis indicates that Chinese students tend to maintain a cultural island where Chinese students mingle mainly with other Chinese. Those living in the cultural island tend to report high level of psychological maladjustments. 본 연구는 한 지방의 국립대학에서 유학생활 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이 겪는 심리적 부적응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심리적 부적응은 우울척도와 불안척도를 갖고서 측정하였으며, 이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및 심리적 요인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회적 요인으로는 연령, 성별, 소속, 거주기간, 가족의 경제적 수준, 한국어 실력, 주거형태, 건강상태를, 심리적 요인으로는 자아 존중감, 자기 효능감, 사회적 지지를 파악하여 분석하였다. 심리적 부적응에 대한 예측 변인으로는 개인적 요인에서는 건강상태만이, 심리적 요인에서는 사회적 지지만이 유의미하 게 나타났다. 한국어 사용능력, 거주기간, 친한 한국인의 숫자 등과 같은 현지 문화적응에 도 움이 되는 변인들이 별 다른 예측력을 지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관련된 변인들의 분석은 이들 유학생들이 한국사회 문화에 적응하려는 노력을 많이 보이지 않고, 유학생끼리 어울리는 섬 생활을 하는 영장을 보이며, 섬 생활을 보이는 경우에 더욱 심리적 부적응을 겪 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