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녀대학생의 진로선택모형 검증

        이지연(Jee Yon Lee),양난미(Nan Mee Yang)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07 사회과학연구논총 Vol.17 No.-

        이 연구는 사회인지 진로이론(Lent·Brown·Hackett, 1994)에 근거하여 사회인지 진로변인간의 관계가 남녀 대학생 집단에서 동일한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 재학생 1,066명이었고 사회인지 진로이론을 근간으로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흥미, 목표, 사회적 지지와 장애 등 변인간의 관계를 남, 녀 집단별로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의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기본모형의 적합도지수의 크기와 수정모형가 적합도 비교결과에 따르면 남학생과 여학생집단 모두에서 변인간의 관계는 동일하였고 일부 경로계수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모형에서 흥미의 경도계수는 자기효능감을 제외하고, 결과기대, 목표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여학생의 경우 남학생들보다 사회적 지지와 장애의 관계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남녀 대학생들을 위한 진로상담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및 본 연구의 한계점을 기술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utility of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CCT; Lent, Brown, & Hackett, 1994) in predicting career choice among men and women. Research participants were 1,066 college students. Multi-group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difference in career choices among men and women. Three models were tested on each group and then path coefficient differences of each group are analyzed based on the best fit model. Findings indicated that the SCCT-based model produced good fit to the data across gender type and that some path coefficient differences are present. Meanings and limitations on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중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이지연 ( Jee Yon Lee ),황현숙 ( Hyun Sook Hwang ),장진이 ( Jin Yi Jang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2 중등교육연구 Vol.60 No.2

        본 연구는 중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우울과 경험회피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고, 경험회피가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수도권 에 위치한 광역시 소재 중고등학교 교사 303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우울, 경험회피 등에 대하여 설문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우울과 경험회피에 각각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직무스트레스 하위영역 가운데 교육과정, 인간관계, 조직 구조, 사회적 인정만이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교육과정만이 경험회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Baron 과 Kenny 검증 결과 경험회피는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를 부분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 있을 수 있는 심리적 기제를 탐색하고, 경험회피가 매개변인으로서 작용함을 보여 줌으로써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교육 및 상담적 개입에서 수용이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중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 전략과 방법을 모색하는 데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between work stress and depression in teachers. 303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surveyed and data from them analyzed. First, results indicated that work stress significantly influenced dspression and experiential avoidance. The results of Baron & Kenny test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stress and de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d significance in the exploring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depression which is caused by work stress and suggested that the acceptance-commitment treatment might be useful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the depression caused by work stress. The implication for future studies and education and counseling practice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Finally, the study`s limits and further discussion were suggested.

      •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몰입과 소진과의 관계에서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의 매개효과 검증

        이지연(Lee Jee Yon),변석민(Byun Suk Min),이채희(Lee Che Hee)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8 韓國敎育論壇 Vol.7 No.2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소진에 있어 교수몰입과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가 어떤 완충역할을 하는지 규명해 보고 교사상담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수몰입,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와 소진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296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교사들의 소진에 미치는 교수몰입과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비교해 보고 교수몰입이 교사들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교수몰입, 소진, 교수몰입과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의 관계에 대해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생을 가르치는 것 자체에 몰입하는 경향이 강할수록, 즉 교수몰입 수준이 높을수록 부정적 기분을 완화시킬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이 강해지는 경향성이 있었다. 둘째,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와 소진의 하위요인간 관련성을 보면, 강한 부적 상관을 보여 교사 자신이 부정적 기분을 완화시킬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이 강할수록 정서적 탈진감, 비인간화와 같은 소진을 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는 교수몰입과 교사의 소진 사이를 완전 매개하고 있었다. 즉, 교사가 가르치는 일 자체에 몰입정도가 높을수록 자기의 부정적 기분을 완화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신념이 강화될 것이고 이것이 교사직무를 통해 느낄 수 있는 소진을 덜 경험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teaching flow and burnou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296 teachers who had worked in Incheon, Kyounggi-province were stud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eaching flow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and burnout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teaching flow. Next,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revealed that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had direct effects effects medicated by teaching flow on burnout.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판 수용-행동 척도의 타당화: 청소년 표본을 중심으로

        이지연 ( Jee Yon Lee ),박미란 ( Mi Ran Park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3 중등교육연구 Vol.61 No.1

        이 연구는 Hayes 등(2004)에 의해 개발된 수용행동 질문지(Acceptance & Action Questionnaire) 9 문항형의 한국판 타당화를 실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청소년 244명으로 구성된 표본 A와 청소년 348명으로 구성된 표본 B를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표본 A를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적경험의 부정적 평가``요인과 ``사적경험 회피하기``의 2요인 구조가 산출되었다. 2요인 7문항은 문항-전체간 상관이 높고 내적합치도는. 65로 나타났다. 또한 표본 B를 대상으로 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발견한 2요인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개발된 수용행동 질문지 척도(K-AAQ)의 준거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우울 척도, 걱정 척도, 주관적 안녕감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두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research is aimed at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Acceptance & Action(9 items)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by Hayes, Hayes, Strosahl, Wilson, Bissett, Pistorello and Toarmino(2004). Todoso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ith sample B(348 Adkolescents)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vfirmatory factor analysis, it appeared that two factor structure consisting of ``negative evaluation of inner experiences`` and ``avoidance of personal experiences``. The 7 items show high correlation between items. Reliability from inter-item consistency reliability is .65. Correlation analysis is applied to evaluate between conformity of scale and related propriety. From the analysis suggest that validation has K-Acceptance & Action Questionnaire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evaluation concerns depression, worry, and the negative relationship with evaluation concerns subjective well-being. Finally, the limits and further discussion of the study are suggested.

      • KCI등재

        완벽주의 성향과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가 초등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지연 ( Jee Yon L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1 아동교육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의 직무경험에 영향을 주는 주요 기제로 대두되고 있는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가 교사의 완벽주의성향과 교사소진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교사들의 소진현상을 이해하고 소진예방에 있어 완벽주의와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의 역할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 및 인천지역 초등학교 교사265명을 대상으로 주요 변인들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Ping(1966)의 2단계 방법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완벽주의 성향,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 및 소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교사의 완벽주의 성향과 소진은 다소 높은 정도의 정적 상관을 보였고, 소진과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는 낮은 정도의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교사의 완벽주의요인과 소진과의 관계에서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 요인의 조절효과를 알아본 결과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가 높을수록 교사의 완벽주의 성향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이 정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완벽주의 성향이 높은 교사일수록 소진 수준이 높고 부정적 기분조절의 어려움을 경험하며, 부정적 기분조절기대치가 높을수록 완벽주의성향으로 인한 소진현상을 적절하게 조율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한 시사점들을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oderating of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burnout of the elementary teacher, to help to prevent excessive burnout and overcome by understand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trouble of the elementary teacher and leading them to express in desirable ways through regulating emotion. This study executed correlation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main variables from 500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under Incheon Metropolitan city, examined measurement model and moderating effects of effects of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by using Ping`s two-step model.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perfectionism, burnout,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showed that there was a little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fectionism and burnout, a little high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and burnout, a low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erfectionism and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Second, the analysis on moderating effects of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in relationship of perfectionism and burnout showed that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had a moderating effect on perfectionism and burnout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fectionism also had a negative effect on burnou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implies tha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high level of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can control their burnout well compared to those with the low level of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Especially when school teachers have the high level of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the negative effect of perceived burnout decreases. Implications and limitation for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정서행동장애학생 어머니의 성공적인 통합교육인식에 대한 개념도

        이지연 ( Jee Yon Lee ),한수진 ( Soo Jin Han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0 人間理解 Vol.3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행동장애학생 어머니들이 지각하는 성공적인 통합교육인식을 개념도를 통해 밝히고, 성공적인 통합교육인식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개인의 실행수준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10명의 정서행동장애학생 어머니들이 성공적인 통합교육인식에 대해 작성한 진술문을 정서행동장애학생 어머니가 산출, 종합, 분류하고, 이를 기초로 다차원 척도와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129명의 정서행동장애학생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산출된 성공적인 통합교육인식의 중요도와 개인 실행수준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 68개의 성공적인 통합교육의 구체적인 진술문이 산출되었으며, 이를 개념도 분석을 한 결과 성공적인 통합교육인식은 첫째, ``사회·제도적인 역할``, ``부모의 역할``, ``통합학급교사의 역할``, ``특수학급교사의 역할``, ``도우미교사의 역할`` 범주로 구분되었다. 둘째, 모든 범주에서 성공적인 통합교육인식의 중요도와 실행 수준의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났다. 또한, 모든 범주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정도에 비해 실행수준을 낮게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개념도를 통하여 성공적인 통합교육인식을 5개 범주로 밝혀냄으로써, 통합교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정서행동장애학생의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통합교육의 실제적인 측정도구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resent study explored what mothers of students with emotional behavioral disorders perceived as successful mainstreaming.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mothers, and key sentences were extracted, sorted and rated. Results from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68 statements emerged with regard to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Results from concept mapping indicated that successful mainstreaming were further categorized into 5 domains, i.e., the role of society and system , the role of parents , the role of inclusion class teachers , the role of special class teachers , the role of assistant teachers . Addition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all categories in terms of degree of importance and practice level of inclusion in education. Implications for developing programs and measures for inclusive educa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 모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검증

        이지연(Lee Jee Yon),백정빈(Baek Jung Bin) 한국교육실천연구학회(한국교육포럼) 2009 韓國敎育論壇 Vol.8 No.1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있어 모애착과 자기조절능력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자기조절능력이 모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5개교 5ㆍ6학년 남녀 학생 6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그중 595명의 설문지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WIN 12.0과 AMOS 4.0을 사용하였다. 모애착, 자기조절능력, 학교생활적응능력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설시하였고,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애착, 자기조절능력은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 능력과 정적 상관이 있어 모애착이 안정적일수록 자기조절능력이 우수하였고, 학교생활적응도 잘 하였다. 둘째, 모애착은 자기조절능력을 매개로 하여 학교생활적응능력에 영향을 주었다. 모형검증 과정에서 모애착은 학교생활적응능력에 직접적 영향 뿐 아니라 자기조절능력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도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examined how these two factors,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ther attachments and self control ability have influence on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and how their self control ability has an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ttachments and school life adjustment. Six hundred and twelve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 of 5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were surveyed and of these 595 cases were analyzed. The data was processed by SPSS WIN 12.0 and AMOS 4.0.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 attachments, self-control ability and school adjustment. Finally, the structural equating model was verified to figure out the self-control ability as the medi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mother attachments are stable, the more self-control ability is. And the more mother attachments are stable, the easier the students adjust themselves to school life. Self-control ability can easily be predicted through communication and sense of alienation which are dependent variables of the mother attachments. Second, mother attachments had a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ability by the medium of the self-control ability. In the process of the structural equating model verification, it was confirmed a partial mediation effect that mother attachments had direct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ability as well as in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by the medium of the self-control ability. Based on the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이타주의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 또래 수용도

        이지연(Lee Jee-Yon),이항심(Lee Hang-Shim)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07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1 No.2

          이 연구에서는 최근 긍정심리학의 한 주제로 주목 받고 있는 이타주의가 청소년들의 주관적 행복감과 또래 수용도에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수도권 소재 남녀고등학생 449명이 이타주의와 주관적 행복감, 또래 수용도를 측정하는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불성실하게 응답한 2부를 제외한 447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타주의 성향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주관적 행복감의 수준이 유의미하였다. 둘째, 이타주의 성향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또래 수용도가 유의미하였다. 셋째, 이타주의와 주관적 행복감간에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고, 이타주의와 또래 수용도 사이에도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하지만 또래 수용도와 주관적 행복감에는 유의미한 관련성을 볼 수 없었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볼 때, 청소년의 심리의 내적?외적 건강성을 높이기 위해 그들의 문제 행동에 집중하기보다, 이타주의 성향을 개발시키도록 교육하고 도와주는 것이 청소년 교육에 필요하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ltruism as a major issue of positive psychology on happiness and peer acceptance. The participants were 449 Korean high school students (male=230, female=219). 447 questionnaires excepting 2 insincere answer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SPSS(Version 12.0). The results of t-test were as follow. The students who got the higher altruistic score were happier than the students who got the lower altruistic score. Also, the students who got the higher altruistic score were more popular and acceptable among peers than the students who got the lower altruistic score. The correlations between altruism and happiness, between altruism and peer acceptance are significant, but the correlation between happiness and peer acceptance i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suggested that developing the altruism is more necessary for Korean adolescents education rather than focusing on the their problem-behaviors in oder to improve happiness and peer acceptance. We discussed sever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proposed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