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아·청소년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보람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한민국 만 2~18세 소아·청소년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소아·청소년들에게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비만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도구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3차연도(2015)와 제7기 1차연도(2016), 2차연도(2017) 원시 자료를 사용하였고, SPSS 26.0 Version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chi- square test,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만 2~18세 전체 소아·청소년, 미취학 아동, 초등학생, 중·고등학생에서 부모 비만 여부가 대상자 비만에 영향을 미쳤다(p<0.05). 전체 대상자에서 ‘부모 모두 정상’ 군보다 ‘부모 중 한 명 혹은 모두 비만’ 군에서 비만이 발생할 가능성은 단변량분석,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순으로 4.27배(p<0.001), 2.74배 (p<0.001) 높았다. 연령별로 나누어 단변량 분석 결과, ‘부모 한 명 혹은 모두 비만’ 군에서 비만이 발생할 가능성은 미취학 아동,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순으로 2.27배(p<0.05), 1.91배(p<0.05), 2.63배(p<0.001) 높았으며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에서도 2.82배(p<0.05), 2.15배(p<0.05), 2.45배(p<0.05) 높았다. 2) 만 2~18세 소아·청소년 대상자의 연령이 올라갈수록, 부모 둘 중 한 명 이상이 비만일수록, 부모가 흡연자일수록 비만 여부에 영향을 미쳤다(p<0.05). 단변량 분석 결과, 미취학 아동보다 비만이 될 가능성은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순으로 2.28배, 3.18배 증가하였으며(p<0.001)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에서도 1.87배, 3.16배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p<0.001). 아버지가 흡연을 ‘함’ 군에서 비만이 될 가능성은 단변량분석,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순으로 1.50배(p<0.05), 1.42배 높았고(p<0.05), 어머니가 흡연을 ‘함’ 군에서 비만이 될 가능성은 단변량분석,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순으로 2.02배(p<0.05), 2.06배(p<0.05) 높았다. 3) 초등학생 군에서 부모 비만 여부, 성별, 아침 식사 여부, 어머니 흡연 여부가 비만 발생에 영향을 미쳤다(p<0.05). 단변량분석에서는 성별이 초등학생 대상자 비만 여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남자’ 군보다 ‘여자’ 군에서 비만이 될 가능성은 0.54배 낮았다(p<0.05). 아침 식사를 ‘함’ 군에서 ‘안함’ 군보다 비만이 될 가능성은 단변량분석,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순으로 0.35배(p<0.05), 0.37배 낮아(p<0.05) 일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어머니가 흡연을 ‘함’ 군에서 그렇지 않을 때보다 비만이 될 가능성은 단변량분석,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순으로 3.36배(p<0.05), 2.72배 높았다(p<0.05). 4) 중·고등학생 군에서 부모 비만 여부, 아버지 흡연 여부 변수가 대상자 비만에 영향을 미쳤다. 아버지가 흡연을 ‘안함’ 군보다 ‘함’ 군에서 비만이 발생할 가능성은 단변량분석,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순으로 2.29배(p<0.05), 2.05배(p<0.05)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볼 때 소아·청소년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은 부모 비만 여부와 연령이었다. 부모의 비만이 자녀의 비만으로 대물림되는 것은 유전적인 요인을 배제할 순 없지만, 부모의 식습관, 생활습관을 어려서부터 그대로 물려받거나 함께 공유할 시간이 많기 때문이라 생각되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점차 부모의 손길에서 벗어나 과식, 패스트푸드와 불량식품 위주의 잦은 간식, 불규칙한 아침 식사와 결식 등으로 불량한 식습관이 형성되고 습관화됨으로써 비만 발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연령별 일상생활 패턴에 따른 비만 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적절하게 개발하고 기혼 비만 성인의 비만 프로그램에 그들의 가족 또한 참여하여 올바르고 건강한 생활습관과 식습관을 다 함께 공유하고 배우며 자녀의 비만 예방에 관심을 가지고 노력하도록 격려 해야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obesity among children and teenagers between 2 years old and 18 years old in Korea and to help develop effective and practical obesity prevention programs for them. The National Health Nutrition Survey data from 2015, 2016 and 2017 are used as a research tool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6.0 version. Frequency analysis and percentage,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analyz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In this study, obesity from parents affected pediatric youth obesity (p<0.05). The odds ratio in one or both parents are obese group was 4.27 (95% C.I 2.8-6.4) in a univariate analysis and 2.74 (1.8-4.0)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s a result of univariate analysis by age, the odds ratio was 2.27 (1.0-4.7), 1.91 (1.1-3.0), and 2.63 (1.6-4.2) respectively in the order of preschooler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0.05).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were 2.82 (1.1-6.6), 2.15 (1.1-4.0), and 2.45 (1.2-5.0) (p<0.05). 2) In the ages between 2-18 years old, the older the children, the more obese the parents were, and the more the parents smoked affected the children’s obesity (p<0.05). As a result of univariate analysis, the odds ratio of obesity pediatric adolescents was 2.28 (1.5-3.4) and 3.18 (2.1-4.7) in elementary school,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0.001).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the odds ratio was 1.87 (1.1-2.9) and 3.16 (2.0-4.9) in elementary school,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0.001). When the father was a smoker, the odds ratio were 1.50 (1.0-2.0) and 1.42 (1.0-2.0) in the order of univariate analysi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0.05). When the mother was a smoker the odds ratio were 2.02 (1.2-3.4) and 2.06 (1.0-3.9) (p<0.05). 3) Parents’ obesity, gender, breakfast and mother’s smoking affected the obes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0.05). In univariate analysis, gender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obes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t according to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he odds ratio was 0.54 (0.3-0.9) in the female group rather than the male group (p<0.05). The odds ratio for children who ate breakfast was 0.35 (0.1-0.6) and 0.37 (0.1-0.8) in order of univariate analysi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odds ratio for mothers who smoked was 3.36 (1.6-6.8) and 2.72 (1.0-7.0) (p<0.05). 4) In middle and high school groups, parental obesity and father smoking variabl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bject obesity (p<0.05). When the father was a smoker, the odds ratio was 2.29 (1.3-3.8) and 2.05 (1.0-3.9) in order of univariate analysi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0.05). The main factors affecting obes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age and parent obesity. Parental obesity can be inherited, but the genetic factors can not be ruled out; however, children have a lot of time to inherit or share their parents' eating habits and lifestyle from childhood. As age increases, overeating, fast food, frequent snacks, and irregular meals and eating are considered to have an effect on obesity. Therefore, according to age, obesity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appropriately developed according to the daily life patterns, and the whole family should b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the obesity program so that they can share healthy lifestyles and prevent their children from obesity.

      • 말기암 소아청소년을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

        이경은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소아암은 소아 질병 사망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최근 우리나라에는 매년 1,000명 이상의 소아암 환자가 진단받고 있으며, 그 중 약 30%는 죽음을 맞이한다. 우리나라에서 말기암 소아청소년의 간호는 주로 일반 병동이나 중환자실에서 호스피스 전문간호사가 아닌 일반간호사들이 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동의 죽음을 경험하는 간호사들은 임종간호에 대한 부담, 의사소통의 어려움, 강한 애착이 형성된 아동의 상실로 인한 고통을 경험한다. 이는 간호사 자신 뿐 아니라 환자의 돌봄의 질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말기암 소아청소년을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의 본질과 의미의 구조를 이해하고 더 나아가 그들을 위한 지지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1년 이상 말기암 소아청소년 돌봄을 경험한 병동 간호사 6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6년 3월 1일부터 동년 7월 20일까지 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심층면담으로 면담횟수는 총 18회로 참여자별 평균 3회였고 추가적인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이메일과 휴대폰 메시지를 필요에 따라 주고받았다. 자료분석은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근거로 자료수집과 분석의 순환적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그 결과 8개의 구성요소와 20개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 도출된 말기암 소아청소년을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의 8개의 구성요소는 ‘아이와 부모에게 선뜻 다가가지 못함’, ‘심신을 짓누르는 일의 부담으로 이중고에 시달림’, ‘애틋한 또 다른 엄마가 됨’, ‘떨쳐버릴 수 없는 마음의 짐’, ‘가슴이 텅 빈 듯 한 애통함’, ‘죽음을 앞둔 아이의 부모에게 동반자가 되어줌’, ‘다시 힘을 내어 일어남’, ‘참 간호의 의미를 발견하고 자라감’이었다. 간호사들은 말기암 소아청소년 돌봄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 없이 임상에 투입되어 죽음을 앞두고 있는 아이와 부모를 어떻게 대해야할지 모르는 당혹감과 스스로 자신의 죽음을 알게된 아이를 대하는 막막함을 느꼈다. 간호사들은 죽음에 임박한 상황에서 자신의 마음을 추스를 시간도 없이 과도한 업무에 치여 과부하에 걸렸으며 통증 관리의 어려움과 돌봄의 관점이 다른 의료진과 갈등을 경험했다. 간호사들은 마치 엄마처럼 죽어가는 아이를 돌보았고 준비없는 죽음을 맞이하는 아이들에 대한 연민을 느꼈으며 죽음으로 떠나 가슴에 새겨진 아이들을 잊지 못했다. 간호사들은 자신의 역할과 치료에 대한 한계로 인한 무력감과 아이의 죽음에 대한 죄책감, 자신의 아이를 잃은 것과 같은 상실의 고통을 경험했다. 간호사들은 힘들게 하는 부모를 견뎌내면서 부모의 힘든 상황에 동반자가 되어주었다. 간호사들은 힘들게 투병하면서도 활력소가 되어주는 아이들을 통해 다시 힘을 얻었고, 소진을 극복하고 아이를 성숙하게 떠나보내기 위해 노력했다. 간호사들은 더욱 최선을 다해서 죽음을 앞둔 아이를 돌보았고 생명과 죽음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지게 되었으며 죽음을 앞둔 아이를 돌보는 간호사로서의 보람과 의미를 찾게 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말기암 소아청소년을 돌보는 간호사의 경험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말기암 소아청소년을 돌보는 간호사를 위한 교육과 지지방안, 관리 중재를 위한 기초자료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소아암 청소년 대상 미술치료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콜라주 기법을 활용한 개인미술치료 중심으로

        김진주 용인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소아암에 대한 인식이 만성질환으로 변화됨에 따라 소아암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과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변수로 회복탄력성에 대한 중요도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콜라주 기법을 활용한 개인미술치료가 소아암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2016년 7월 2일부터 2016년 10월 3일까지 D도시 K대학병원 입원중인 소아암 청소년 3인을 대상으로 총 14회기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양적 분석을 위해 사전 사후 검사 도구로 청소년용 회복탄력성 척도(Youth Korea Resilience Quotient-27; YKRQ-27)를 사용하여 양적 결과 변화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작품 주제, 대상자의 행동 변화, 정서에 주목하여 회기 진행에 따른 변화 양상을 회복탄력성 하위요인별로 질적 분석하여 양적 분석 결과에 대한 내용을 보완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콜라주 기법을 활용한 개인미술치료를 통해 소아암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은 향상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미술치료를 통해 감정을 인식하고 조절하게 되었으며, 현실에 대해 통합하고 수용하는 태도를 보여 문제해결의 대처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콜라주 기법을 활용한 개인미술치료를 통해 소아암 청소년의 대인관계능력은 향상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관계 형성에 대해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변화하였다. 셋째, 콜라주 기법을 활용한 개인미술치료를 통해 소아암 청소년의 긍정성은 향상되었다. 연구대상자의 부정적 정서가 감소되었으며, 현실에 대한 긍정적 요소의 발견을 통해 삶의 만족도와 감사성향이 증진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통해 소아암 청소년의 부정적인 정서들이 콜라주 기법의 개인미술치료를 통해 자기표현의 기회를 갖게 되었으며, 반복된 기법을 통해 자기조절능력이 증진되고 대인관계가 확장되어 긍정성에 영향을 줌으로써, 소아암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현재 항암치료 중인 소아암 청소년을 대상으로 외상에 대한 조기 중재를 통해 대상자의 회복탄력성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를 예방하고자 하였으며, 그에 대한 선행 자료를 제시하였다. 또한 소아암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을 위한 미술치료 중재의 실증적 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소아암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하여 콜라주 기법을 활용한 개인미술치료를 수행한 본 연구가 향후 소아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임상현장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une with the changes of recognition of childhood cancer as a chronic disease, the importance of resilience is on the rise as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psycho-social adaptation and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with childhood cancer. This study aims to inquire into the influences of individual art therapy based on collage technique on resilience of adolescents with childhood cancer. For the purpose of this, this study carried out art therapy programs of 14 sessions, oriented to 3 adolescents with childhood cancer hospitalized at K University Hospital of D City, from July 2 to October 3 of 2016. To make a quantitative analysis, this study counted on Youth Korea Resilience Quotient-27; YKRQ-27) as a pre/post test tool and compared the quantitative results. By paying attention to the subject of art work, behavioral change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ir emotions, a qualitative analysis by subfactors was made regarding the changed aspect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sessions, to complement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drawn from the research proces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individual art therapy based on collage technique helped adolescents in improving self-control capacity. Moreover, the research participants showed attitudes of integrating and accepting the reality, which led the problem-solving coping behavior to the positive dimension. Secondly, through the individual art therapy based on collage technique, adolescents with childhood cancer showed improv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research participants demonstrated spontaneous and active attitudes in terms of the changes of relationship formation. Thirdly, the individual art therapy based on collage technique contributed to improving positivity of adolescents with childhood cancer. The negative emotion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lieved while the positive emotions were strengthen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made it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adolescents with childhood cancer could have the opportunity of self-expression of negative emotions through the individual art therapy based on collage technique, and they can enhance self-control capacity and exp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rough the repeated technique, giving influences on positivity, which ultimately contributes to improving resilience in adolescents with childhood cancer. This study intended to improve resilience of the adolescents with childhood cancer who are under the anticancer treatments, through the early mediation of trauma, and ultimately prevent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while presenting the preceding data relevant to the subject. Moreove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it proposed empirical materials of art therapy mediation for resilience in adolescents with childhood cancer. This study regarding the individual art therapy based on collage technique for the improvement of resilience in adolescents with childhood cancer expects to be helpful in the future for the clinical field of art therapy oriented to adolescents with childhood cancer.

      • 소아청소년 비의도적 손상의 위험 요인 분석

        김세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배경 및 목적 비의도적 손상은 우리나라 소아청소년의 주요 사망 원인 중 1위로 집계되고 있으며, 큰 장애 손실을 가지고 오는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그간 이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비의도적 손상은 예방이 가능한 질환이기 때문에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이를 예방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 연구는 기존의 국내외 연구결과들을 검토하여 소아청소년의 비의도적 손상에 관한 주요 가설을 검토함으로서 소아청소년의 비의도적 손상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인 위험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소아청소년의 사회경제적 요인, 건강 관련 요인, 부모 관련 요인을 포함하여 분석을 시도하였고, 이와 같은 결과가 가지는 의의를 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이 연구는 질병관리본부가 조사한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조사된 소아청소년 8,62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 중, 비의도적 손상을 경험한 경우는 618명이었다. 국내외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소아청소년의 비의도적 손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한 결과를 토대로 변수를 설정한 후, 기술 분석과 카이제곱검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은 사회경제적 요인만을 대상으로 한 ‘모델 1’과 사회경제적 요인과 건강관련 요인을 대상으로 한 ‘모델 2’, 사회경제적 요인, 건강관련 요인, 부모 관련 요인을 대상으로 한 ‘모델 3’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에는 SAS version 9.1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이 된 8,627명의 소아청소년 중 손상을 경험한 전체 손상자수는 618명으로 대상자의 7.1%이다. 소아청소년의 비의도적 손상에 대한 사회경제적 위험요인을 카이제곱검정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손상률을 보였고, 지역에서는 울산의 손상률이 가장 높았다. 로지스틱 회귀 분석의 결과, 성별은 남성이 여성일 경우에 비하여 손상발생의 교차비가 1.9 이었고, 울산에 거주하는 경우 서울 거주에 비하여 교차비가 1.6 이었다. 가구원수로 보정한 월평균 가구소득은 86만원 이하인 집단에 비하여 176만원 이상인 집단에서 교차비가 0.7 이었다. 또한, 평생음주경험이 없는 집단에 비하여 있는 집단에서 교차비가 1.6 이었다. 연령별, 의료보장형태별 분석은 몇몇 모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0-4세를 준거집단으로 하였을 때, 10-14세가 ‘모델 3’에서 손상발생의 교차비가 1.2 이었다. 지역의료보험 가입자를 준거집단으로 하였을 때, ‘모델 1’,‘모델 2’의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사업장(직장)가입자의 교차비가 1.1이었다. 연구 결론 이 연구는 기존 문헌 고찰을 통해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고, 우리나라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비의도적 손상의 사회경제적 위험요인을 분석한 첫 연구로서 소아청소년의 성별, 연령별, 거주지역, 소득수준, 의료보장형태별, 음주여부 등과 비의도적 손상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 소아청소년의 비의도적 손상은 단순히 개인의 건강 차원에서 중요한 문제일 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 차원에서도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위험요인과 비의도적 손상 간의 상관관계를 명확하게 규명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부모-자녀 보고의 차이에 따른 소아청소년의 비만 양상 : 소아청소년 비만군을 중심으로

        김지아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국내 과체중 및 비만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자녀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 대하여 부모와 자녀 간의 보고 불일치 여부 및 유형과 자녀의 비만 심각도와의 관계를 탐색한 연구이다. 지역 사회 기반 고도비만 소아청소년 중재연구의 기저선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총 120명의 소아청소년(평균 연령 = 11.4세, SD=1.5)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에 대한 부모-자녀 간의 보고 불일치를 측정하기 위해, 부모가 자녀의 정서 및 행동 문제를 보고하는 CBCL(Child Behavior Checklist, 아동 및 청소년 행동평가척도 부모용)과 자녀가 스스로의 문제에 대해 보고하는 YSR(Youth Self Report, 청소년 행동평가척도 자기보고용)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보고 일치 및 불일치 집단을 다음과 정의하였다: (1) 부모-자녀 간의 보고가 일치하는 집단 (CBCL=YSR); (2) 자녀만 스스로의 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보고한 집단 (CBCL<YSR); (3) 부모만 자녀의 문제를 심각하게 보고한 집단 (CBCL>YSR). 본 연구에서 자녀의 비만 심각도는 BMI를 성별 및 연령을 기준으로 산출한 BMI-Z점수를 활용하여 측정되었다. 또한 부모-자녀 간의 보고 불일치 유형과 자녀의 비만 심각도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공변인을 통제하기 위해, 연구 대상자의 성별, 나이, 사회경제적수준, 자아존중감, 어머니의 체지량지수 및 우울정도를 공변인으로 설정하여 통제하였다. CBCL을 활용하여 가족의 경제적 수준, 부모의 학력을 수집하였고, 어머니의 체질량지수와 같은 부모의 생리적 지표와 어머니의 우울 심각도, 자녀의 자아존중감을 포함한 심리적인 요인들도 함께 분석하였다. 보고 일치 및 불일치 여부에 따른 자녀의 비만 심각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내재화 문제에 대한 보고 불일치 여부와 자녀의 비만 심각도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현화 문제에 대한 보고 불일치 집단이 보고 일치하는 집단에 비해 자녀의 비만이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t=-2.352, p<0.05). 또한, 보고 불일치 유형과 자녀의 비만 심각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내재화 문제에 대한 보고 불일치 유형과 자녀의 비만 심각도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현화 문제에 대하여 자녀만 스스로의 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보고한 집단이 공변인들을 통제한 후에도 보고 일치하는 집단에 비해 자녀의 비만이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t=2.343, p<0.05). 즉, 자녀의 외현화 문제에 대한 보고 불일치는 자녀의 비만 심각도와 관련이 있었으며, 특히 자녀만 스스로의 외현화 문제에 대해 심각하다고 보고한 집단이 보고 일치하는 집단에 비해 체중 문제가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과체중 및 비만인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자녀 간의 보고 불일치와 자녀의 비만 심각도와의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이는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소아청소년 대상 선별도구인 CBCL과 YSR를 활용하여 부모-자녀 간의 보고 불일치와 자녀의 비만 심각도와의 관계를 탐색한 국내외 최초의 연구라는 의의가 있다. 또한 자녀만 스스로의 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보고한 경우, 가지고 있는 체중 문제들이 심각할 수 있기 때문에, 임상 현장에서 이들 집단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환기한다.

      • 소아청소년과 의료 서비스 증진을 위한 사용자 경험 디자인 : 정서 건강을 중심으로

        김은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nhance the experience of stakeholders, medical personnel, patients, and guardians of the patients of pediatric, which is facing challenges in utilizing the medical system in South Korea.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fine user experience design that will improve the emotional health of sick children and their guardians, and medical professionals of hospital. The obstetrics and gynecology department, which thrived during the baby boom of 1955 to 1974, it is no longer a promising department due to the recent collapse of population caused by rapid low birth rates in Korean society. The falling of pediatric department also followed up with this trend flow. The pediatric doctors from clinics are needed to do other medical treatment aside from their major, such as cosmetic treatment due to the low medical cost and treatment that government has set for them. Thankfully, there were still doctors who love children with a sense of vocation, feel rewarded for saving lives of them. They were hero of Korea who have all contributed to the advancement of pediatric industry in Korea. The problem is that, as parents who care about their children, certain of them have been excused from nonverbal and verbal behaviors of atypical rudeness and verbal abuse to medical staff of hospital, which now has become a avoided and worst working environment for potential doctors who might can become a pediatric doctors. Physical assault, including slapping in the face in extreme cases, as well as verbal abuse and intimidation, have also been reported. Not only for that, but the pediatric medical teams were also sued in the mass death of babies at Mockdong Hospital of Ewha Womans University in 2017 and ruled not guilty after six years of litigation. The pediatric became an avoided department for young medical students after. As of 2023, the number of candidates for domestic pediatric doctors is 33, and it is expected to fall to single digits the next year. It is a natural thing that many of developed countries have struggles with low birth rates and population cliffs. However, that does not mean that unethical behavior during medical treatments is acceptable. Either of non-verbal and verbal harassment and physical assault will devastate people's feelings and can lead to deadly psychiatric problems. As an individual citizen, I cannot tackle a megaproblem such as the low birth rate, but as a designer, I may influence stakeholders' behavior through design process. This study's research methodologies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literature study, case study, experimental study, and final design product. The actual difficulties experienced from the macroscopic and microscopic viewpoints of pediatrics were explored in the case of literature study. The emotional problems of children were also studied in this study. It was important to collect more information, such as psychological status by color and studies related colors chosen by Korean children. In the case study, both international and domestic medical service design cases were studied. Cases were analyzed to get insights to be applied to many aspects of difficulties of pediatrics, studying and contemplating visual design, product design, spatial design, and user experience design. The cultural difference was also considered when it was studied. During the experimental study stage, the existing design methodology technique was applied to obtain the inconvenient points and perspectives of Department of Pediatrics stakeholders. To begin, a blueprint for analyzing medical services was constructed to acquire a big image of the complete trial. Following that, the experiment's goal, as well as the research's plan and objectives, are established. Following that,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used. The affinity map methodology was utilized to find interviews to gain insights. Four design products were created at the final product stage. The first is a medical information visualization wayfinding design map for SNU Children's Hospital to save lost time for finding locations. The second is a collection of collaged, textured, and deformed drawings describing each field of pediatrics. This can later be used to a variety of design scenarios and products. The third is series of stuffed dolls to improve rapport between medical staffs and patients. Finally, a mobile application was developed to improve the reservation system in large university hospitals. All the products were cre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and insights gathered from literature, case studies, and experiment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hich treats rare and incurable diseases in Korea, as well as other university hospitals in the metropolitan area, are utilized as examples to forecast when actual designs are applied and generate visual results.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new design system for the positions of three medical personnel, patients, and guardians on the problems utilizing the service design approach. 본 연구는 기존 한국 사회의 어려움을 겪고 있던 소아청소과(이하 소청과)의 이해관계자들, 의료진 및 환자, 그리고 보호자들의 의료 시스템 사용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특별히 소청년과 의료진과 이용자들의 정서 건강 증진을 중심으로 경험 디자인을 만드는 것 이 목표이다. 소청과가 의학 전공의들에게 기피되기 시작되었던 것은 그다지 오래되지 않았다. 예전 1955년부터 1974년의 베이비붐 시기 때 호황을 누렸단 산부인과, 더불어 소청과가 근래 한국 사회의 급격한 저 출산으로 인해 발생한 인구절벽 및 구조 붕괴로 더이상 유망한 과가 되지 않게 되었다.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의료수가와 처우로 인해 소청과는 내과진료과목 및 미용시술과 함께 운영되는 경우도 부지기수였다. 그렇지만 학문을 하는 학자들이 그러하듯이. 아이들을 사랑하고 소아 병증 현상을 해결하며 자신이 살린 아이가 커가는 모습을 보고 사람 살리는 일에 보람을 느끼는 소명의식을 가진 의사들이 소청과를 주로 지원하며 국내 소아 청소년 의학 발전에 이바지를 해왔다. 문제는, 일부 환아의 보호자들이 스트레스를 견디지 못하고 의료진을 향해 저지르는 무례함ㆍ폭언 등의 비 언어적이며 또한 언어적인 행태에 대한 면죄부를 얻게 되었고, 이로 인해 소청과는 최악의 근무환경으로 알려져 기피되고 있었다. 언어폭력 및 일신을 협박하는 것을 포함하여, 극단적인 예로 뺨을 맞는 신체적 폭행을 당하는 경우도 생긴다. 이어서 2017년 벌어진 이대 목동병원 신생아 집단 사망 사건에서 의료진은 6년의 소송 끝에 무죄 판결을 얻게 됐지만, 법원과 행정기관, 그리고 국민들의 미성숙한 왜곡된 인식이 드러났고 이후 소청과는 몰락의 길을 걷게 된다. 2023년을 기준으로 국내 소청과 지원자는 33명이고, 내년에는 한 자릿수로 떨어질 것이라 예측되고 있다. 저출산과 인구절벽은 모든 선진국들이 겪고 있는 어찌 보면 당연히 온 결과지만, 의료 서비스 도중 가중되는 스트레스로 인한 비윤리적 이용행태는 용인되기 어렵다. 이는 사람의 정서를 황폐화시키며 심리적인 병증 현상으로 이어져 자칫하면 생명을 앗아갈 수도 있다. 이 상황에서는 세 종류의 이해관계자의 상황이 얽혀 있다. 소청과의 의료진은 혼잡하고 지원자 미달로 인하여 발생한 과중한 업무로 인한 의료 환경으로 지쳐 있고, 의료 서비스를 받는 환아는 신체적 병증으로 정신이 혼미하며, 보호자는 자녀의 걱정으로 극한의 스트레스를 받고 있어 제대로 된 사고를 하기 쉽지 않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문헌 연구, 사례연구, 실험연구, 그리고 작품연구로 총 네 가지로 나뉜다. 문헌 연구의 경우는 소아청소년과의 거시적, 미시적 관점에서 실제 봉착하고 있는 문제에 대하여 조사하였고, 소아의 정서적 문제들에 관련한 문헌 또한 수집하였다. 이후 연구에 사용될 색채 별 심리상태 및 아동들의 선호 색상 관련 연구들 등 향후 진행할 작품 연구에 필요한 정보들을 수집하였다. 사례 연구는 해외의 의료서비스 디자인 사례와 국내 의료서비스 디자인 사례를 조사하였다. 시각 디자인, 제품 디자인, 공간 디자인, 사용자 경험 디자인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고찰하여 소청과가 맞이하고 있는 문제들에 대해 다각도로 적용할 부분들 탐색하였다. 도출된 인사이트들을 통하여 작품에 대한 향후 방향성을 살펴보았다. 해외 서비스 디자인 사례, 특히 북미 및 유럽의 경우는 국내의 실정과 문화적으로 맞지 않은 경우도 있는 점을 고려하였다. 실험 연구에서는 기존 사용되는 디자인 방법론 프로세스를 통하여 소아청소년과의 이해관계자들이 겪고 있는 불편함과 의견을 수집하였다. 먼저 소청과 의료서비스를 분석하기 위한 블루 프린트를 설정하여 전체 실험의 거시적인 그림을 잡는다. 그 후 실험 목적을 세우고, 계획과 대상을 정립한다. 이후, 정성적 연구 방법인 심층 인터뷰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들을 친화도 맵 방법론을 사용하여 인사이트를 찾았다. 작품 연구에서는 진행되었던 문헌 연구, 사례연구, 실험연구에서 수집된 정보들과 인사이트들을 바탕으로 소아청소년과의 진료체증을 낮출 소아를 위한 의료정보 시각화 디자인을 진행하였고 소청과 의료서비스에 필요한 이해관계자 모두를 위한 디자인을 최종적으로 완성하였다. 국내에서 소아 희귀병 및 난치병을 다루는 서울대병원 및 수도권 지역의 다른 대학병원들을 예시로 삼아 실제 디자인들이 활용되었을 때를 예측하며 시각적 결과물을 도출해낸다. 본 연구는 앞서 말한 문제점들에 대한 의료진, 환자, 보호자 세 이해관계자의 필요를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사용하여 해결하는 것을 기대하고 있다.

      • 가구유형에 따른 소아청소년의 식생활 비교연구 :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010∼2011년도) 자료분석

        백연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소아청소년기는 성장•발달이 꾸준히 이루어지는 시기로, 이때의 건강한 식생활은 성장•발달에 기초가 될 뿐만 아니라, 나아가 건강한 성인기 삶을 이루는데 도움을 준다. 최근 한국사회는 이혼, 재혼, 미혼부•모,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인해 소아청소년의 건강한 식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구유형이 다양해지고 있다. 다양하게 변화된 가구유형과 소아청소년의 식습관 및 비만과 관련된 선행연구가 보고되고 있지만, 정량적 식이섭취자료를 이용하여 소아청소년의 실제 식이섭취와의 관련성에 대한 살펴 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장기 소아청소년의 가구유형에 따른 식생활을 실제 식이섭취자료를 이용하여 평가하고, 가구유형이 소아청소년의 식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분석 대상은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0∼2011년도)에 참여한 3∼18세 소아청소년 3,217명으로, 대상자의 가구유형은 부모 모두 함께 사는 가구, 한부모만 함께 사는 가구, 부모 함께 살지 않는 가구로 분류하였다. 부모 모두 함께 사는 가구의 소아청소년은 다른 가구의 소아청소년에 비해 조사 전 이틀 동안 아침을 결식한 비율(부모 모두 함께 사는 가구 vs 한부모만 함께 사는 가구 vs 부모 없이 사는 가구, 11.6% vs 20.9% vs 17.1%)이 적고 가족 구성원과 함께 아침(66.5% vs 56.8% vs 54.7%)과 저녁식사(76.8% vs 62.2% vs 67.0%)를 섭취하는 비율과 최근 1개월 동안 주 1회 이상 식이보충제를 복용한 경험(31.5% vs 21.2% vs 18.7%) 비율이 높았다. 한부모만 함께 살고 있는 대상자는 부모 모두 함께 사는 대상자에 비해 비타민 A와 비타민 B2의 %RNI가 더 낮았고(한부모만 함께 사는 가구 vs 부모 모두 함께 사는 가구, 비타민 A: 120.6% vs 136.5%, 비타민 B2: 118.5% vs 128.3%), 8개 미량영양소를 EAR미만으로 섭취하는 비율이 더 높았으며, 식품군 중 과일류 섭취 점수와, 평균 식품군 점수가 더 낮았다(과일류 섭취 점수: 34.2 vs 44.7, 평균 식품군 점수: 58.0 vs 62.9). 소아청소년의 식품군 섭취와 관련 있는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은 식품군마다 달랐으며, 가구유형은 과일류, 우유•유제품 섭취와 평균 식품군 점수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횡단적 연구디자인으로 가구유형과 소아청소년의 식생활과의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밝힐 수 없었다. 하지만 가구유형이 소아청소년의 식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하였고, 개정된 2010 식사구성안의 권장식사패턴을 이용하여 성장기 소아청소년의 식품군 섭취를 가구유형에 따라 평가한 첫 연구라는데 의의가 있다. 이후, 소아청소년의 식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환경적 요인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소아청소년암 아동 부모를 위한 인터넷 기반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 : 무작위 대조군 연구

        박미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diagnosis of cancer in children poses challenges in terms of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aspects for all family members. In particular, parents experience negative emotions such as depression, anxiety, and guilt due to the uncertain and complex treatment process of their children. However, families with high resilience are able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showing confidence in their potential growth and performing higher family functions during the treatment process. As such, families that are well-adapted to the treatment environment can play a buffering role in the stress experienced by the child during the cancer treatment process an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hild’s adapt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daptation of parents of children with cancer through interventions that promote family resil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ternet-based family resilience promoting program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cancer and to verify its effect on family resilience, depression, and family function. The Internet-based family resilience promoting program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cancer is based on the Medical Research Council’s program development framework and developed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resilience promoting programs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cancer (n=8), Walsh’s (1998) Family Resilience Framework, and the expert validation and preliminary investigation. The effectiveness evaluation of the developed program was a block randomization control group pre-post design, and a total of 41 primary caregivers among the parents of children diagnosed with leukemia or lymphoma at Y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with 20 participants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21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and was conducted from June to October 2021. Each session of the program was conducted once per week for a total 70 minutes, comprising 10- minute for introduction, 50- minute for activity, and 10- minute for closing. A total of 4 such sessions were conducted individually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cancer through an Internet-based program led by a nurse for a 4-week period. The outcome variables were family resilience, depression, and family function, and were measured through online questionnaire three times in total: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4 weeks after completion of the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linear mixed-effect model using SPSS 25.0, and satisfaction was evalua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and interview after the program was comple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Internet-based family resilience promoting program showed a mo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hange in family resilience (β=13.214, p=.003) and family function (β=1.256, p=.018)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β=2.133, p=.187). All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howed a high program satisfaction score of 4.75 points out 5 points in total.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net-based family resilience promoting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an appropriate intervention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cancer who are required to spend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caring for their children, with fewer time and place constraints involved and providing convenient access. In addition, the nurse-led program will appropriately assess the individual needs of each family and provide interventions that can function at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level, so that they can adequately cope with various situations that occur during the treatment process of children with cancer. 소아청소년암 진단은 가족 구성원 모두에게 신체, 정서, 사회적인 측면의 도전에 직면하게 하고, 특히 부모는 자녀의 불확실하고 복잡한 지료과정으로 우울, 불안, 죄책감 등의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한다. 그러나 이러한 어려움에도 가족의 잠재적인 성장을 확신하며 치료과정에서 더 높은 가족기능을 하는 극복력이 높은 가족이 있다. 이처럼 치료 환경에 잘 적응한 가족은 아동이 치료과정에서 겪는 스트레스에 완충적 역할을 하고 아동의 적응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가족극복력 증진 중재를 통해소아청소년암 아동 부모의 적응을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소아청소년암 아동 부모를 위한 인터넷 기반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가족극복력, 우울, 가족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소아청소년암 아동 부모를 위한 인터넷 기반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은 Medical Research Council’s program development framework에 따라 소아청소년암 아동 가족의 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n=8), Walsh(1998)의 Family Resilience Framework을 기반으로 전문가 타당도 검증, 예비조사를 통해 개발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평가는 블록 무작위(Block randomization) 대조군 사전-사후설계로 2021년 6월부터 10월까지 서울 소재 Y대학병원에서 백혈병 또는 림프종을 진단받은 아동의 부모 중 주 돌봄자 총 41명을 실험군 20명, 대조군 21명으로 배정하여 시행되었다. 프로그램의 각 회기는 도입 10분, 전개 50분, 마무리 10분으로 총 70분동안 주1회, 총 4회기를 4주동안 간호사 주도로 소아청소년암 아동의 부모에게 개별로 인터넷 기반 프로그램을 통해 시행되었다. 결과변수는 가족극복력, 우울, 가족기능으로 프로그램 시작 전, 종료 직후, 종료 4주 후에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총 3회 측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SPSS 25.0을 이용하여 lineal mixed-effect model을 통해 분석하였고, 프로그램 종료 후 온라인 설문지와 면담을 통해 만족도 평가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터넷 기반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는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가족극복력(β=13.214, p=.003)과 가족기능(β=1.256, p=.018)의 변화량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우울(β=2.133, p=.187)에는 유의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모든 대상자는 4.75점(총점 5점)의 높은 프로그램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인터넷 기반 가족극복력 증진 프로그램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적고, 편리한 접근성으로 자녀의 돌봄에 많은 시간을 소요해야 하는 소아청소년암 아동의 부모에게 적절한 중재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간호사 주도의 프로그램은 각 가족의 개별적 요구도를 적절하게 사정하여 소아청소년암 아동의 치료과정동안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하고 신체, 심리, 사회적으로 온전한 기능을 할 수 있는 중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복합만성질환을 가진 자녀를 둔 부모의 소아청소년 완화의료 요구도

        윤혜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eds for pediatric palliative care (PPC) for parents having a child with complex chronic conditions (CCC)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needs for PPC according to their genera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the needs for PPC was measured using a 32-item instrument, developed by the researcher, integrating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on PPC. A cross-sectional survey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between March 28 and May 18, 2018. Parents (n=96) who had children under 18 years with CCC were recruited from the inpatient ward of Y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or through the online self-help group.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 IBM 23.0 program.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overall average needs for PPC for parents having a child with CCC was 3.58±0.33 out of 4. The average of all items was 3.00 or higher, which was generally high. 2. The needs for caring for a child was higher in order of physical, psychosocial, and spiritual care needs. In the sub-dimension, the preservation of physical function was the highest needs. Among the items, the highest needs was for seizure control. 3. The needs for caring for parents themselves was higher in order of psychosocial, bereavement, and spiritual care needs. In the sub-dimension, communication was the highest needs. Among the items, good communication with medical staff was the highest. 4. The difference in the needs for PPC according to the genera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CCC and their parent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when medical staff provide PPC for children with CCC and their parents, intervention for controlling physical symptoms and enhancing physical function should be given priority.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provide PPC that meets the needs of the parents, by facilitating communication with medical staff. 본 연구는 복합만성질환을 가진 자녀를 둔 부모의 소아청소년 완화의료 요구도를 알아보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아청소년 완화의료 요구도의 차이를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복합만성질환을 가진 자녀를 둔 부모의 소아청소년 완화의료 요구도는 연구자가 소아청소년 완화의료에 관한 국내외 문헌들을 통합하여 개발한 32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8년 3월 28일부터 5월 18일까지 서울특별시 소재 Y대학교 부속병원에서 복합만성질환으로 진료를 받고 있거나 복합만성질환의 온라인 자조모임에 가입되어 있는 18세 미만 소아청소년의 부모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최종 분석에 이용된 설문지는 총 96부이었으며 SPSS IBM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고,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고, 사후 분석은 Sheffé test 방법으로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복합만성질환을 가진 자녀를 둔 부모의 소아청소년 완화의료 요구도의 전체 평균은 4점 만점에 3.58±0.33점이었으며, 모든 문항의 평균이 3.00점 이상으로 전반적으로 요구도가 높았다. 2. 부모의 자녀에 대한 돌봄 요구는 신체적, 심리사회적, 영적 돌봄 영역 순으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하위영역에서 요구도가 가장 높았던 것은 신체기능의 보존 요구이었으며, 문항 중 요구도가 가장 높았던 것은 경련을 조절하는 것이었다. 3. 부모의 자신에 대한 돌봄 요구는 심리사회적, 사별, 영적 돌봄 영역 순으로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하위영역에서는 의사소통 요구가 가장 높았고, 문항 중 요구도가 가장 높았던 것은 의료진과의 의사소통이었다. 4. 복합만성질환을 가진 자녀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아청소년 완화의료 요구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자녀가 질병을 3개 이상 가지고 있는 경우, 그룹Ⅱ(기대여명이 제한적인 질환군)의 경우, 진단 받은 지 10년 이상 경과한 경우, 입원횟수가 10회 이상인 경우에 요구도가 가장 높았다. 5. 복합만성질환을 가진 자녀를 둔 부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아청소년 완화의료 요구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복합만성질환을 가진 자녀와 그 부모에게 소아청소년 완화의료를 제공 시 자녀에게는 신체증상을 조절하고 신체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를 우선적으로 제공하고, 부모에게는 의료진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대상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소아청소년 완화의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상자의 요구를 우선순위에 따라 반영한 소아청소년 완화의료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형 Broselow Tape 새로운 버전의 필요성에 대한 분석

        이미애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0

        논문개요 한국형 Broselow Tape 새로운 버전의 필요성에 대한 분석 제 출 자 : 이 미 애 지도교수 : 이 효 철 이 연구는 2005년도에 질병관리본부와 대한소아과학회에서 조사한 소아청소년 성장자료를 바탕으로 대한심폐소생협회 소아소생술 위원회에서 2019년도에 제작하여 만든 한국형 Broselow Tape(브로셀로우 소아소생술 테이프)가 2022년 현재의 상황에서도 계속 적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는 J시 2곳의 병의원인 D병원 소아청소년과와 J소아청소년과의원에서 영유아 건강검진 및 학생 건강검진 자료인 출생부터 만 10세까지 나이별로 각각 30명씩 소아청소년 4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21년 10월 12일부터 11월 26일까지 시행하였으며, 총 480명에게 설문지를 조사하였다. 연구 도구는 자기기입식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나이(개월), 키, 몸무게 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ver. for Windo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2005년 소아청소년 성장자료와 2021년 수집한 소아청소년 성장자료를 바탕으로 나이(개월)에 따른 키와 몸무게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단일표본 t검정(One Sample T-Test)으로 분석하였고, 오차 범위가 있어서 2021년도 수집된 자료의 나이(개월)에 따른 키와 몸무게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한국형 Broselow Tape(브로셀로우 소아소생술 테이프) 범위에 적용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05년 소아청소년 성장자료와 연구자가 직접 수집한 2021년 영유아 건강검진 및 학생 건강검진 자료에서 나이(개월)에 따른 키의 평균 차이는 출생-1개월이 6.96㎝(t=17.427, p<0.001)만큼 2021년이 2005년 평균에 비해 높았고,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개월은 0.96㎝(t=-2.083, p<0.05)만큼 2021년이 2005년 평균에 비해 낮았고,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개월(t=-0.363, p>0.05)은 2021년이 2005년 평균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6개월 2.42㎝(t=5.88, p<0.001), 6-9개월 1.45㎝(t=4.037, p<0.001), 9-12개월 4.33㎝(t=10.148, p<0.001), 12-16개월 2.77㎝(t=12.047, p<0.001), 16-21개월 4.89㎝(t=13.027, p<0.001), 21-26개월 5.88㎝(t=11.995, p<0.001), 26-36개월 7.64㎝(t=17.698, p<0.001), 3-4세 7.7㎝(t=16.364, p<0.001), 4-5세 6.19㎝(t=15.822, p<0.001), 5-7세 6.45㎝(t=10.397, p<0.001), 7-8세 6.19㎝(t=8.153, p<0.001)만큼 2021년이 2005년 평균에 비해 높았고,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9세(t=0.172, p>0.05)은 2021년이 2005년 평균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9-10세 5.22㎝(t=6.567, p<0.001)로, 2021년이 소아청소년의 키의 평균값이 2005년 평균에 비해 높았고,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 소아청소년 성장자료와 비교하여, 연구자가 직접 수집한 2021년 영유아 건강검진 및 학생 건강검진 자료에서의 나이(개월)에 따른 몸무게의 평균 차이는 출생-1개월이 1.35㎏(t=10.455, p<0.001)만큼 2021년이 2005년 평균에 비해 높았고,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개월은 0.77㎏(t=-6.318, p<0.001)만큼 2021년이 2005년 평균에 비해 낮았고,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개월(t=0.661, p>0.05)은 2021년이 2005년 평균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6개월 0.83㎏(t=6.256, p<0.001), 6-9개월 0.24㎏(t=2.408, p<0.05), 9-12개월 1.71㎏(t=9.714, p<0.001), 12-16개월 0.47㎏(t=2.626, p<0.05), 16-21개월 1.11㎏(t=7.854, p<0.001), 21-26개월 0.97㎏(t=5.516, p<0.001), 26-36개월 2.92㎏(t=13.159, p<0.001), 3-4세 3.9㎏(t=11.444, p<0.001), 4-5세 3.46㎏(t=10.907, p<0.001), 5-7세 4.53㎏(t=5.874, p<0.001), 7-8세 3.48㎏(t=5.713, p<0.001), 8-9세 10.68㎏(t=7.529, p<0.001), 9-10세 6.76㎏(t=5.648, p<0.001)로, 2021년 소아청소년의 몸무게가 2005년에 비해 높았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비교분석 한 결과, 2021년도 수집된 소아청소년 성장자료의 나이(개월)에 따른 키와 몸무게 평균이 2005년 소아청소년 성장자료를 바탕으로 제작된 한국형 Broselow Tape(브로셀로우 소아소생술 테이프) 범위에서 대부분이 벗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부터 소아청소년들의 성장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미국처럼 새로운 버전의 한국형 Broselow Tape(브로셀로우 소아소생술 테이프)을 제시하여 5-10년 주기로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 모든 응급현장과 병원의 응급실에서 한국형 Broselow Tape(브로셀로우 소아소생술 테이프)는 소아청소년들의 신체에 맞게 치료법을 제공한다. 소아청소년들에게 사용할 장비의 크기와 약물의 적절한 투여량을 빠르게 결정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응급상황 시 약물투여 시간이 단축되어 응급상황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주제어 : 한국형 Broselow Tape, 소아청소년, 나이(개월), 키, 몸무게 Abstract Necessity of new version for Korean Broselow tape Mi Ae Lee Supervised by Professor Hyo-Cheol Lee In this study, based on the growth data of children and adolescents survey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d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s in 2005, the Korean Broselow Tpae produced in 2019 by the Pediatric Resuscitation Committee of the Korea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ssociation can still be applied in the current situation in 2022. Let's see if there 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80 children and adolescents, 30 each by age from birth to 10 years old, which are the data of infant health check-ups and student health check-ups at D Hospital and J Pediatric Clinic, two hospitals and hospitals in J cit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12 to November 26, 2021, and a questionnaire was surveyed to a total of 480 people. The research tool used the self-report method, and consisted of three items: age(months), height, and weight. The collected data is SPSS 24.0 ver. Statistics were processed using the for Window program. Based on the growth data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2005 and the growth data of children and adolescents collected in 2021,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height and weight according to age(months)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using One Sample T-Test. And since there is an error range, the height and weight according to the age(months) of the data collected in 2021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apply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o the Broselow Tpae range. This is the average difference in height according to age(months) in the growth data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2005 and the health checkup data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2021 and student health checkup data directly collected by the researcher. Birth-1 month was 6.96㎝(t=17.427, p<0.001) in 2021 compared to the average in 2005,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1-2 months, 2021 was lower than the 2005 average by 0.96㎝(t=-2.083, p<0.05),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2-4 months(t=-0.363, p>0.05), 2021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2005 average. 4-6 months 2.42㎝(t=5.88, p<0.001), 6-9 months 1.45㎝(t=4.037, p<0.001), 9-12 months 4.33㎝(t=10.148, p<0.001), 12- 16 months 2.77㎝(t=12.047, p<0.001), 16-21 months 4.89㎝(t=13.027, p<0.001), 21-26 months 5.88㎝(t=11.995, p<0.001), 26-36 months 7.64㎝(t=17.698, p<0.001), 3-4 years old 7.7㎝(t=16.364, p<0.001), 4-5 years old 6.19㎝(t=15.822, p<0.001), 5-7 years old 6.45㎝(t=10.397, p<0.001), 7-8 years old by 6.19㎝(t=8.153, p<0.001), 2021 was higher than the 2005 averag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ose aged 8-9 (t=0.172, p>0.05), it was found that 2021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the 2005 average. The year of 2021 was higher than the average of 2005 by 5.22㎝(t=6.567, p<0.001) for ages 9-10,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average difference in weight according to age(months) was 1.35 kg(t=10.455, p<0.001) at birth-1 month, 2021 was higher than the 2005 averag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1-2 months, 2021 was lower than the 2005 average by 0.77 kg(t=-6.318, p<0.001),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2-4 months (t=0.661, p>0.05), 2021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2005 average. 0.83㎏ at 4-6 months(t=6.256, p<0.001), 0.24㎏ at 6-9 months(t=2.408, p<0.05), 1.71㎏ at 9-12 months(t=9.714, p<0.001), 0.47㎏ at 12-16 months(t=2.626, p<0.05), 1.11㎏ at 16-21 months(t=7.854, p<0.001), 0.97㎏ at 21-26 months(t=5.516, p<0.001), 26-36 months 2.92㎏(t=13.159, p<0.001), 3-4 years old 3.9㎏(t=11.444, p<0.001), 4-5 years old 3.46㎏(t=10.907, p<0.001), 5-7 years old 4.53㎏(t=5.874, p<0.001), 7-8 years old 3.48㎏(t=5.713, p<0.001), 8-9 years old 10.68㎏(t=7.529, p<0.001), 9-10 years old 6.76㎏(t=5.648, p<0.001), 2021 was higher than the 2005 averag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these results, the average height and weight according to age(months) of the growth data of children and adolescents collected in 2021 is Broselow Tape produced based on the growth data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2005.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m were out of range. From this result, because the growth rat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s fast, a new version of Korean Broselow Tape is suggested, as in the United States, and it is necessary to upgrade it every 5-10 years. At all emergency sites and hospital emergency rooms, Korean Broselow Tape provides treatment tailored to the bod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t helps children and adolescents to quickly determine the size of the device to be used and the appropriate dosage of the drug. And it is judged that it will be helpful in emergency situations by shortening the drug administration time in case of emergency. key word : Broselow Tape, Children and Adolescents, Age(months), Height, We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