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필기인식을 위한 은닉마르코프모델의 최적화

        박미나 강원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47

        최근 소형 휴대용 단말 장치는 PC처럼 많은 기능을 수행 할 수 있으나, 크기의 제약으로 인해 키보드가 없는 대신 필기 인식 시스템이나 음성 인식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정된 계산 자원으로 인해 인식 시스템의 성능 향상과 메모리 사용의 최적화가 중요한 문제로 등장하게 되었다. 통계적 모델링 방법인 은닉 마르코프 모델(Hidden Markov Model: 이하 HMM)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특성을 지닌 데이터와 변형이 심한 데이터를 잘 모델링하기 때문에 인식 시스템의 중요 엔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많은 파라미터로 인해 메모리 사용량이 크며 계산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 특히 파라미터가 많을수록 모델링을 잘하는 특성을 갖고 있고, 해당 클래스가 아닌 다른 클래스에 대해서도 높은 확률을 출력하기도 한다. 모델의 크기와 파라미터 수 등은 필기 인식 시스템의 성능과 메모리 용량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단순하게 파라미터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은 변별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으며, 인식 성능에도 영향을 미친다. 한편, 변별력을 떨어뜨리는 다른 요인으로는 유사 클래스가 있다. 유사 클래스는 해당 클래스로 자주 오인식되는 즉, 혼동되는 클래스를 말한다. 이는 숫자 ‘6’이 숫자 ‘0’으로 자주 오인식 되는 것과 같은 것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렇게 변별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을 줄이고 인식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파라미터 수의 증가를 억제하는 방법으로 모델 선택기준 ALC(Anti-Likelihood Criterion)와 CMC(Confusion Model Criterion)를 제안하였다. 파라미터 수는 HMM 구조에 의해 결정되므로 최적의 HMM 구조를 찾는 문제를 모델 선택의 문제로 보았다. 다양한 구조를 갖는 HMM을 훈련시킨 후 그 중 최적의 모델을 선택함으로써 파라미터 수가 작으면서도 변별력 있는 모델을 찾는 방법이다. 제안한 ALC와 CMC는 해당 클래스 이외의 다른 클래스 확률을 이용하여 클래스간의 변별력을 향상하는 방법인데, ALC는 해당 클래스 이외의 다른 모든 클래스의 확률을 이용하는 방법이고, CMC는 해당 클래스로 자주 오인식 되는 유사 클래스의 확률만 이용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로 유사 클래스의 확률과 해당 클래스 확률을 결합하는 새로운 인식방법 DRCM (Discriminative Recognition using Confusion Model)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혼동 데이터를 구성하여 이를 훈련하여 혼동 모델을 만들고 이것을 최종 인식 단계에 이용하는 방법이다. 유사 클래스가 높은 확률을 출력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를 억제하여 해당 클래스의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도록 유도한다. 마지막으로 모델이 차지하는 공간 복잡도와 적당한 모델을 찾는 시간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 유사 모델들을 하나의 모델로 그룹화 하는 GM(Group Model)를 제안하였다. 클래스마다 모델을 따로 만들지 않고 모델들 가운데 유사도가 높은 것을 하나의 모델로 그룹화 하여 공간 복잡도를 줄이며 모든 모델을 찾지 않고 소량의 그룹 모델을 대상으로 찾기 때문에 메모리 사용량과 시간 복잡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1순위 인식률이 중요하지 않고, 정해진 개수의 후보 내에 정답이 들어 있으면 만족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HMM의 실제적 적용을 위한 기법들은 필기 인식 실험을 통해 그 유용성을 입증하였으며, 특히 온라인 필기 인식 시스템의 성능 향상에 기여 할 것이다. Nowadays small por표 devices such as PDAs are able to perform as good as PCs are, however, they usually adopt handwriting and/or speech recognition insead of keyboards, because of size limitation. Hence, it becomes an important problem to improve recognition system performance and effective memory use on limited computing resources. The hidden Markov model(HMM), which is a statistical modeling method, is widely used in recognition systems as an important engine, since it shows excellent modeling power for the data with large variation and changeable data for a time. It is often the case that large amount memory is required from a large number of parameters as well as large amount of computing time when using HMMs. The more parameters the HMM has, the better modeling performance it has. So it is very likely for an HMM to output high probability not only for the in-class data but also for the other confusing classes. The size of the models and the number of the parameters have a big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and memory usage of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Therefore, it is not helpful simply to increase the number of parameters, in order to improve the discrimination power and recognition performance. Meanwhile, the existence of similar classes is another factor that causes a lower discrimination ability. The similar classes are confusable classes whose data are often misrecognized to the proper class. For example, the digit '6' can be misrecognized to the digit '0'. This thesis, we propose a couple of methods that reduce the possibility of losing discrimination power, improving the recognition performance as well. Firstly, we propose model selection criteria, ALC(Anti-Likelihood Criterion) and CMC(Confusion Model Criterion), to restrain increasing number of parameters. We regard the HMM topology optimization problem as a model selection problem, since the number of parameters is determined by the HMM topology. In the model selection method, best model, which is defined by a model that has most discrimination power with less number of parameters, is selected among various topology HMMs already trained. ALC and CMC are proposed as the model selection methods to improve the discrimination power by using other class probability along with the in-class model probability. The ALC uses all the other class probability except for the proper class, while the CMC uses only similar class probability. Secondly, we propose a new recognition method, DRCM(Recognition using Confusion Model), which combines similar class probability with the in-class probability. This method utilizes confusion model probabilities on the final recognition step, after building confusion models by collecting and training confusion models using similar class data. The DRCM suppress similar class models to output higher probability, so that the proper model may yield the highest probability. Finally, we propose a model clustering method, GM(Group Model ), which groups similar models in order to reduce time and space complexity. Instead of making every model per class, it builds group models for the classes with high similarity, so it can reduce space complexity. Because it searches for only the group models, it also reduces time complexity. However this method is used only the case when the first candidate recognition rate is unimportant and the exact answer may be found in the candidate list. The utility of the proposed methods for HMM practical application in this thesis was demonstrated by the experiments, particularly contributing to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online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 실생활문제를 중심으로 한 흥미유발 수학 수업효과 : 고등학교 '이차방정식' 단원

        박미나 강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수학의 ‘방정식과 부등식’ 단원의 ‘이차방정식’을 중심으로 실생활과 관련된 흥미유발 개념자료를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수학적 학습태도와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개발된 자료를 실험반 학생들에게 적용할 때, 실험반과 비교반 학생들의 수학적 학습 태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2) 개발된 자료를 실험반 학생들에게 적용할 때, 실험반과 비교반 학생들 사이에 학습 성 취도는 차이가 있는가?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여러 교과서나 수학사를 참고하여 실생활 문제를 찾아 활동지로 만들어 수업에 활용하여 흥미 유발을 시킨 후,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주체한 ‘수학적 학습 태도 설문지를 1학년 학생 두 반 실험반과 비교반에 배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검정하여 분석하였고, 분석한 자료를 통해 태도 반응 검사를 비교 해 볼 수 있었다. 또한, 형성평가를 통해 실험반과 비교반 사이에 학습 효과 유의미성을 t-검정하여 학업 성적을 비교해 볼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지를 통하여 학생들의 수학적 학습 태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형성평가를 통하여 학생들의 실생활 관련된 흥미유발 자료를 적용한 수업과 교사 중심의 학습 수업을 받은 학생들의 성취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이 연구는 실생활 관련 흥미 유발 학습 활용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한 여러 이론들과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실생활문제를 중심으로 수업을 하게 되면 수학 수업에 흥미를 유발하고, 학습내용, 개념, 원리 이해에 도움을 주며 수학 학습에 친밀감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좀 더 흥미 유발 학습 자료에 관환 많은 자료들을 학생들의 수준에 맞게 재구성하고 수업에 적용 가능하도록 학습 자료로 개발하여 수업에 도입함으로써 교수-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we develop and apply the interest inducing materials about quadratic equations from the unit of Equations and Inequalities of high school mathematics to investigate the impact on mathematical attitude and mathematical achievement. We select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for the study: 1) Will applying the interest inducing materials developed bring any differences in mathematical attitude between experimental class and comparative class? 2) Will applying the interest inducing materials developed bring any differences in mathematical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experimental class and comparative class? For the study, the 'mathematical learning attitude questionnaire' has been surveyed. Also we could compare the academic build-up assessment between comparable cla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post questionnaire, mathematical learning attitude was intensified in the experimental class. Second, From build-up performance assessment, differences of mathematical achievement were observed between the experimental class and the comparative class. From this study we conclude that the material based on real world problems will induce mathematical interest among students and help students to get easily learning contents, concepts, principles and understanding.

      • 우리나라 극한고온과 극한저온의 재현기간별 규모 산정 및 변화에 관한 연구

        박미나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the maximum highest temperature and the minimum lowest temperature by return periods in the Republic of Korea(ROK) using data from 14 weather stations and RCP(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scenarios. The average maximum highest temperatures for 5-, 20-, 50-year return periods in ROK were 35.5℃, 36.2℃, 36.4℃, respectively, showing greater in the inland areas like Seoul and Daegu while lower in the coastal areas and islands like Ulleung and Mokpo. The average maximum highest temperatures by 5-, 20-, 50-year return period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by 0.09℃, 0.17℃, 0.21℃ per decade, occurring once every 20 year in the past(1954~1984) was changed about once every 4.5 years. The average minimum lowest temperatures for 5-, 20-, 50-year return periods in ROK were –12.2℃, -13.2℃, -13.4℃. Because of the distinct effect of latitude, those were greater in the central areas while lower in the southern areas. At a similar latitude, due to sea effects, the magnitude of minimum lowest temperatures appeared greater in the east coastal areas than in the west coastal and inland areas. As minimum lowest temperatures for selected three return periods increased significantly by 0.47℃, 0.34℃, 0.22℃ per decade, the return period of minimum lowest temperature which occurred once every 20 year in the past changed to a longer cycle that occurs about once every 78 years. According to the RCP2.6 and 8.5 scenarios, the future maximum highest temperatures by selected return periods were projected to increase significantly, too. In RCP8.5, the increasing rates were larger in the most of areas except for the southern coastal and island areas such as Ulleung, Mokpo, Yeosu, and Jeju showing that maximum highest temperatures with 40℃ and higher were projected to occur once every 5 years in late 21st century. The return values of minimum lowest temperature was projected to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RCP2.6, and 8.5 scenarios, and the return periods of the minimum lowest temperature also changed into longer periods such as 5-year return period into 56-year and 20-and 50-year period into longer than 100-year one for RCP2.6 and three selected return periods into longer 100-year one for RCP8.5 scenario. As magnitude of extreme climate events increases drastically, impacts on human activities such as change of cultivation site for crops or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patients with hyperthermia expected to increase. Therefore, these results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 adaptation and mitigation strategies in various sectors such as disaster management and health are planned at national, regional and local levels. Keyword : the maximum highest temperature, the minimum lowest temperature, return periods, generalized extreme distribution, climate change, the Republic of Korea 본 연구에서는 14개 기상관측지점의 1954∼2018년 자료와 RCP 시나리오 기반 미래 전망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재현기간별 극한고온값과 저온값의 규모를 산출하고, 그 특성과 변화경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평균 5, 20, 50년 재현기간 극한고온값은 각각 35.5℃, 36.2℃, 36.4℃이고, 서울, 대구 등 내륙지역에서 높고, 울릉도, 목포 등 해안과 도서지역에서 낮다. 5, 20, 50년 재현기간 극한고온값이 10년당 0.09℃, 0.17℃, 0.21℃씩 유의하게 상승함에 따라, 재현주기가 변화하여 과거 20년에 한번 발생하던 극한고온은 약 4.5년에 한 번 발생하는 등 단주기로 변화하였다. 우리나라 평균 5, 20, 50년 재현기간별 극한저온값은 각각 –12.2℃, -13.2℃, -13.4℃로 나타났다. 극한저온은 위도의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나 중부지역에서 낮고 남부지역에서 높으며, 비슷한 위도 상에서는 바다효과로 인해 내륙, 서해안, 동해안순으로 낮게 나타난다. 재현기간별 극한저온값은 10년당 0.47℃, 0.34℃, 0.22℃씩 유의하게 상승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이에 따라 재현주기가 변화하여 과거 20년에 한번 발생하던 극한저온은 약 78년에 한 번 발생하는 등 장주기로 변화한다. 우리나라의 미래 재현기간별 극한고온값은 RCP2.6, 8.5 시나리오 모두 상승경향이 유의하게 나타난다. 특히 RCP8.5 시나리오에서 상승 폭이 크게 나타나, 먼 미래에 울릉도, 목포, 여수, 제주 등 남해안 및 도서지역을 제외한 10개 지역에서 40℃ 이상의 극한고온이 5년에 한번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 재현기간별 극한저온값은 RCP2.6, 8.5 시나리오 모두 유의한 상승경향이 나타난다. 재현기간별 극한저온값의 재현주기는 먼 미래에 RCP2.6 시나리오 기준 56년에서 100년 이상, RCP8.5 시나리오 기준 100년 이상의 장주기로 변화한다. 본 연구는 재현기간을 이용하여 극한기온현상의 빈도와 강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하고 그 변화를 파악하고 RCP2.6과 8.5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변화를 전망하였다. 극한고온의 규모가 지속적으로 커짐에 따라, 농작물 재배적지가 변하거나 온열질환자 수가 급증하는 등 인간 활동에 대한 영향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책을 제시하고 있는 보건, 방재 등 다양한 부문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주제어 : 극한고온, 극한저온, 재현기간, 일반화 극한분포, 기후변화

      • 화장품 구매와 브랜드선호도 강화를 위한 서비스 실태 및 고객만족도 연구 : 백화점 화장품 매장의 피부 관리 서비스를 중심으로

        박미나 동덕여자대학교 비만미용향장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화장품 구매와 브랜드선호도 강화를 위한 서비스 실태 및 고객만족도 연구 -백화점 화장품 매장의 피부 관리 서비스를 중심으로- 지도교수 강 신 옥 향장에스테틱전공 박 미 나 본 연구는 서울 및 위성도시 A, L, H, G, S 백화점 5곳의 화장품 매장을 중심으로 화장품 구매 전, 후 서비스의 종류와 방법에 관한 실태를 면접방식으로 알아보았다. 그리고 2014년 10월 3주간 20~60대 이상의 남, 여를 대상으로 두잇서베이의 설문조사 시스템을 활용하여 500명 대상 중 유효 468부를 SPSS 18. 프로그램으로 타당성 및 검사지의 신뢰도 Cronbach-α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빈도 분석하여 화장품 구매 전, 후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화장품 구매 및 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들 자료를 기술통계, 다중회기분석, T-TEST, 일원분산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서비스 종류에 따른 고객 만족도가 화장품 구매와 브랜드 선호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와 화장품 구매 고객이 선호하는 서비스의 종류를 알아봄으로써, 효과적인 구매 촉진 및 브랜드 선호도를 높이기 위한 마케팅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체험마케팅의 한 부분인 피부 관리 서비스 제공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과 마케팅 방법이 화장품 구매 및 브랜드 선호도와의 상관관계도 연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화장품 산업에 더 나은 고객 지향적 마케팅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화장품 산업의 마케팅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현재 화장품 매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화장품 구매 전, 후 서비스의 종류 및 방법 등에 관한 실태를 면접 방식을 통해 알아본 결과 ‘샘플 증정’이 가장 많았고, 간혹 ‘일정 금액 이상 구매 시 대용량 여행용 세트 증정’을 하며, 여름 휴가철에는 샘플과 함께 여행용 가방이나 파우치를 함께 증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마일리지 적립’ 후 현금처럼 쓰거나 구매 금액에 따라 누적된 점수로 고객등급에 따른 차등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백화점 화장품 내에 입점된 거의 모든 기초화장품 매장에서는 피부 관리 서비스를 진행 하고 있으나, 주로 고정고객 및 vip고객 등 그 대상이 매우 제한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두잇서베이 sns를 통한 설문조사 응답자 총 468명을 빈도분석 한 결과 연령은 30대가 246명(52.6%), 20대 108명(23.3%), 40대 90명(19.2%), 50대이상 23명(4.9%) 순으로 나타났고, 성별은 여자가 354명(75.9%), 남자 105명(22.4%)이다. 직업은 직장인이 228명(48.7%), 주부 103명(22.0%), 자영업 66명(14.1%), 학생이 32명(6.8%), 기타가 25명(5.3%)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주관적 피부타입은 ‘복합성 피부’ 응답자가 162명(34.6%)으로 가장 많았고, 건성 피부는 127명(27.1%), 정상피부는 48명(10.3%), 지성피부는 44명(9.4%), 민감성 피부는 42명(9.0%), 노화피부 및 기타라 응답한 자는 각 14명(3.0%)과 3명(0.6%) 이었다. 셋째, 두잇서베이 sns를 통한 설문조사의 응답자 총 468명 중 화장품 매장 이용 고객의 화장품구매 전, 후 서비스 제공 유 경험으로는 ‘샘플’을 받아본 경험자가 63.2%로 가장 많았고, ‘마일리지 적립 서비스’ 14.1%, ‘피부 관리서비스’ 유경험자는 8.1% 로 다소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피부 관리서비스가 일반 로드샵에서의 제공은 전무하고 백화점 내 화장품 매장에서 고정고객 , VIP고객 등 매출 발생 시 제공되는 서비스로 국한되고 있는 실정이라 피부 관리서비스 유경험자가 다소 적은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응답자 총 468명 중 화장품 매장 이용 고객이 선호하는 서비스의 종류를 알아본 결과 ‘샘플’이고 응답한자가 36.7%, ‘피부 관리 서비스를 선호한다’는 응답이 26.1%로 나타나, 피부 관리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장품구매 전, 후 제공되는 피부 관리서비스 유경험자의 만족도가 화장품 구매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질문에 응답자의 70.5%가 피부 관리서비스 유 경험 후 화장품 구매가 이루어졌으며 화장품 선호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유의확율 p<0.05로 답하였다. 다섯째, 현재 백화점 내 화장품 매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화장품구매 전, 후 서비스의 종류 및 방법 등이 매출 증진을 위한 판매촉진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으나, 그 한계점이 있어 본 연구자는 아래와 같은 방법을 제안하고자한다. 기존 매장 내에서만 제공되는 ‘샘플 증정’ 서비스를 백화점 홍보 DM 유인물에 부착하여 자사제품 홍보 및 인식을 높이고, SNS를 활용하여 샘플사용 후기 나 재방문 시 피부 관리서비스 쿠폰을 제공하여 체험마케팅을 적극 진행 하는 방법을 제안 해 본다. 그리고 일정금액 이상 화장품 구매 및 백화점 쇼핑 매출에 기여한 고객 대상 중심에서 과감히 탈피하고, 현재 진행하고 있는 피부 관리서비스 프로그램 메뉴개발 및 시간을 단축 할 필요가 있겠다. 현재 1~2시간가량의 프로그램에서 15분, 30분, 45분 등의 짧은 시간 내 스크럽 마사지, 핸드 스파, 헤드&솔더마사지, 미니 발관리 등의 프로그램 메뉴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 화장품 판매 촉진을 위해 특정 날 예를 들어 어버이날, 스승의 날 등에는 화장품 선물세트를 포장과 함께 카드를 넣어 한시적으로 판촉하고 있는데, 추가적으로 어버이를 위한 효도마사지, 부부를 위한 사랑마사지 등의 뷰티클래스를 열어 체험의 기회를 제공 해 줌으로 가족과 사랑하는 사람의 친밀감 형성에도 도움을 주며, 미래 잠재고객 유치로도 효과적인 마케팅방법으로 사료된다. 또한, 게릴라성 이벤트와 SNS를 접목한 마케팅 방법으로<카카오톡 플친> , <카카오스토리 소식받기>등록 시 추첨식 경품을 제공하는 마케팅 방법은 지속적인 광고 효과를 볼 수 있으며, 광고에 지출 되는 비용을 절감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몇몇 백화점 내 화장품매장에서 진행하는 힐링 마사지가 좋은 반응이 얻고 있는데, 이런 체험마케팅을 좀 더 적극적으로 확대하여 명절날 <명절 증후군 며느리를 위한 힐링 마사지> 성년의 날 <성년 자녀를 위한 피지제거 정화프로그램>이나 크리스마스 날 <커플마사지> special day event 등을 진행 하여 그 대상의 연령층을 넓히는 마케팅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설문 중 사측의 서비스 진행에 대한 안내 부재 및 서비스 진행 여부 인식 부족이라고 응답했는데, 이러한 결과를 보안 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젊은 층에게는 메일링과 톡플친구만들기 등 sns 활용 방법과 중, 장년층을 대상으로 한 문자서비스 알림 및 홍보전단 DM발송 등의 연령대를 고려한 홍보 방안도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 및 마케팅 제안방법이 화장품 산업 발전에 도움 되길 바라며 피부관리 서비스 유경험자가 다소 적었고, 두잇서베이 sns를 통한 설문조사로 일반화하기엔 다소 무리가 있다고 사료된다. 향후 많은 피부관리 서비스 유경험자를 대상으로 한 면접방식의 조사 자료가 보충되어야 할 필요가 있겠다.

      • 고등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의 격식성과 수동태 연구

        박미나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본 논문은 고등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학습 자료의 진정성(authenticity)을 평가하기 위해 수동태 문장을 중심으로 격식성 이론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와 맥락을 같이 하는 국내의 선행연구들이 있었지만, 모두 교과서의 읽기 본문만을 분석하였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언어란 격식성(formality)에 따라 사용 양상이 달라진다는 것을 간과한 것이다. 가령, 영어 모국어 화자들의 경우 격식성이 낮은 구어체에서보다는 격식성이 높은 문어체에서 수동태 문장의 사용빈도가 높다는 관찰이 있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과서에 나타난 수동태 문장의 격식성, 수동조동사의 종류, 동작주 유무에 따른 수동태 문장 분류, ‘by+NP' 구조의 동작주가 나타나는 빈도수 분류와 수동태 사용 이유에 따른 수동태 문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구어체인 듣기, 말하기 대본에서보다 문어체인 읽기 지문에서 수동태 문장이 더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by+NP' 구조의 동작주 빈도수 역시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화자의 수동태 사용 양상에 대한 연구 결과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또한 동작주가 제시되는 경우에 대한 이유와 수동태를 사용하는 이유 역시 모국어 화자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교과서에서 나타난 수동태 문장 분석결과는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화자들의 수동태 사용에 관한 연구와 대부분 일치를 보였으므로 분석대상이었던 교과서들이 언어형식 중 수동태 측면에서는 어느 정도 진정성있는 자료로서 적절하게 제작되었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여전히 교과서에서는 수동 조동사로써 be 동사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get 동사를 제외한 동사는 거의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교과서가 더욱 진정성 있는 영어 학습 자료가 되기 위해서는 수동 조동사의 다양한 사용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Passive sentence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re analyzed on the basis of formality theory in this study as an attempt to validate the authenticity of learning materials used in Korean high schools. Previous research on the issue dealt with reading passages only, ignoring the observation that languages can vary depending on formality. This study is motivated by the fact that native speakers use passive forms of sentences more frequently in written English or highly formal register than in spoken or lower formal register. This study pays special attention to five categories: formality of passive sentences, varieties of passive auxiliary verbs, presence and absence of the agent, presence and absence of ‘by+NP’, the frequency of the ‘by+NP’ structure, and analyzing passive sentences based on the reason they a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passive sentences are found more frequently in written texts than in colloquial listening and speaking scripts. In addition, the frequency of ‘by+NP’ structure is similar to the study result of the passive forms used by native speakers. Also, the reasons that the agent is shown and passive forms are used, are agreed with the previous researches into passive forms used by native speakers. This study concludes that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used by Korean English learners are properly written as authentic learning materials as far as passive forms are concerned. That is, passive sentences presented for Korean students show similar distributional patterns as English native speakers. However, as auxiliary verbs of passive forms, ‘be’ verb is used at a very high rate and other forms of passive auxiliary verbs except ‘get’ seldom appeared. Therefore, to be more authentic materials, various auxiliary verbs other than ‘be' should be presented in English textbooks.

      • 댈러웨이 부인에 나타난 삶과 죽음의 공존

        박미나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버지니아 울프(1882-1941)는 영국의 소설가이자 비평가이며 수필가이기도 하였다. 그녀는 20세기 중반에 영국의 가장 저명한 작가들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다. 그녀의 소설들은 리얼리티를 재창조하는 것보다 오히려 인상을 일으키려고 시도하는 문체, 인상주의 같이 묘사될 수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울프의 『댈러웨이 부인』에 나타난 삶과 죽음의 공존을 연구함에 있다. 『댈러웨이 부인』은 제 1차 세계대전의 종전 후 런던에서 살아가는 인물들의 소통과 공존을 위한 다양한 시도를 보여준다. 이 작품은 1923년 6월의 어느 하루 동안 런던에서 일어난 여주인공의 이야기를 글로 담은 소설이다. 삶과 죽음, 여성성과 남성성 같은 양극성 사이에서의 공존과 화해과정을 전하고자 한다. 댈러웨이 부인은 삶의 세계를 나타내는데 반하여 셉티머스 워렌 스미스는 죽음의 세계를 나타내고 있다. 대립적인 개념인 삶과 죽음처럼 이중적 태도를 보이는 버지니아 울프의 관점은 그녀의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상징적인 묘사를 통해 보여주고자 한다. 『댈러웨이 부인』은 많은 주제들 중 삶과 죽음을 중심에 두고 전달하고자 한다. 삶과 죽음이 서로 상반되면서도 삶 속에서 중요성을 유지하고자 서로를 여전히 필요로 함을 보여준다. 삶에 대한 버지니아 울프의 관점은 소설 속의 중요 인물인 댈러웨이의 관점을 통해 반영된다. 울프는 그녀의 일기에서도 “나는 삶과 죽음, 그리고 온전함과 온전치 않음”에 대해 논하겠다고 밝힌다. 댈러웨이 부인은 다른 인물들과의 상호 교류를 통해 삶에 대한 그녀의 관점을 구체화하고 형성화시킬 것이다. 그리고 삶에 대해 이러한 그녀의 관점에 깊은 영향을 받은 인물이 셉티머스 웨렌 스미스이다. 셉티머스는 죽음을 나타내고 그의 상호간의 교류 결핍은 삶에 대한 댈러웨이의 관점에 영향을 끼친다. 클라리사는 셉티머스를 만난 적은 없지만, 정신과의사 윌리엄 브래드쇼 경으로부터 파티 중에 그의 죽음을 듣는다. 셉티머스의 죽음을 들음으로써 죽음에 대한 댈러웨이의 관점이 바뀌게 된다. 셉티머스의 자살이 주는 메세지는 그녀에게 새로운 인식을 심어주며 비로소 삶 속에 존재하는 죽음을 받아들이게 된다. 댈러웨이는 죽음에 대한 인식을 직면하면서 죽음은 자아 소멸이 아니라 자아 방어 중 하나임을 발견하게 된다. 더욱이, 죽음은 삶의 한 부분이고 그 뒤에 이중성이 존재함을 깨닫는다. 그녀는 죽음은 인생의 끝이 아니라, 죽은 후에도 남아있는 사람들에 의해 계속 존재된다는 초월의식을 통하여 죽음에 대한 인식의 두려움으로부터 극복하게 된다. 이렇게 울프는 개인이 타인과 그리고 세상과 소통하며, 이질적인 존재들이 공존하는 곳에서 공동체적 삶의 가능성을 열어놓고자 한다. Virginia Woolf(1882-1941) was an English novelist, critic, and essayist. She was known as one of England's most distinguished writers of the mid twentieth century. Her novels can be best described as impressionistic, a literary style which attempts to inspire impressions rather than recreating realit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coexistence of life and death in Virginia Woolf's Mrs. Dalloway. The novel shows the various attempts at communication and coexistence of the characters in London of post-World War Ⅰ. It tells a story of the heroine that takes place in London on a single day, June 1923. The novel conveys the ideas of co-existence and reconciliation between polarities, such as life and death, feminity and masculinity: Mrs. Dalloway representing the world of life, while Septimus Warren Smith representing the world of death. Virginia Woolf's views on the duality of many ideas such as life and death are shown through her symbolic representation of them through the characters in her book. In Mrs. Dalloway, among the many themes the book relays, the duality of life and death takes center stage. Life and death, being complete opposites while still needing one another to maintain their significance in life, have many subtle yet important interplays in the story. Virginia Woolf's views on life are a reflection of Dalloway's views. Woolf even states in her diary "I want to give life and death, sanity and insanity." Because of this Mrs. Dalloway's interaction with other characters will shape and mold her views on life. The one character which has a deep impact on her views on life is Septimus Warren Smith. Septimus represents death and his interaction or lack of will effect Dalloway's views on life. Although Clarissa had never met him, she hears of Septimus's death in the middle of her party from a psychiatrist Sir William Bradshaw. Dalloway's views on death change upon hearing of this. The message of Septimus's suicide allows her a new cognition. It forces her to accept the role death plays in her own life. Mrs. Dalloway is forced to face the ideas of death and finds that death is not an act of self-destruction but one of self-defiance. Furthermore, she finds that death is a part of life and that there exists a duality behind it all. She overcomes her fear of death and obtains the lesson of transcendentalism, understanding that death is not the end of life, but an unseen part which may continue to survive. Woolf shows the potential community where an individual communicates with others and the world, and where different human beings coexist.

      • 초등학생의 부적응행동 감소와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자기조절상담 사례연구

        박미나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조절 상담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아동의 부적응 행동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를 알아보기 위한 사례연구이다. 이 연구는 전북 I군에 속한 초등학교 3학년 학생 2명을 대상으로 2013년 3월부터 4월까지 주 2회 1시간씩, 총 10회기를 자기조절상담 프로그램 수행기간으로 설정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두 명의 학생을 사례로 정규 학교 수업시간, 쉬는 시간 등의 학교생활에서 참여자들의 행동을 관찰과 면담, 기록물 등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상담 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 사례1의 참여자는 부적응 행동 영역 중 위축, 우울/불안, 공격성이 감소되었고, 사례2의 참여자도 위축, 우울/불안, 공격성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조절상담 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 사례1의 참여자는 자아탄력성의 하위영역 중 대인관계, 활력성, 감정통제, 낙관성이 증진되었고, 사례2의 참여자는 대인관계, 활력성, 감정통제적 성향이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는 자기조절상담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부적응 행동영역 중 위축, 우울/불안, 공격성을 감소시키고 자아탄력성의 구성요소인 대인관계, 활력성, 감정통제적 성향을 증진시키는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아동이 자신의 행동과 사고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바탕으로 환경적 어려움을 이겨내고 적응적인 삶의 주체로 성장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이 적응적이고 탄력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체계화된 자기조절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이러한 교육이 중․장기적으로 꾸준히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 색면을 통한 공간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박미나 안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aims to establish a theological basis of the works to which the researcher applied color field based on the emotional concept of colors, an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focusing on colors, important elements in paintings. The use of colors plays an active role in paintings through studies by lots of painters. The colors have existed as visual and emotional symbols and had been developed until autonomy that painters expressed their emotions, ideas, and desires was granted. Since colors in paintings were emphasized and expressed from Matisse that represented the autonomy of colors, rhythm, harmony and etc by adopting subjective expression of momentary colors and objects according to Monet's light, an impressionism artist in the 19th century to Kandinsky who granted musicality to colors, the meaning of autonomy was more embossed. Coming into abstract art in the 20 century, objects become almost extinct due to the emphasis on colors. And color-field painting appeared, wishing for visual purity that colors had. Color-field painters were interested in expressing their ideas as noble and sublime things, purifying their emotions through colors. Their deep colors and unlimited sizes of canvases made spectators feel a sense of owe. Although color-field painting had extreme abstract, it predicated permanent desires to deliver emotions and meanings. Colors and color-field were applied as an expression medium that allowed painters to express their inner worlds in their own ways as well as their subjective emotions. The researcher's works attempted to emphasize the emotional role of colors as well as associate images of colors. In addition, through plant images and decorative patterns seen in the works, happy energy and vitality were expressed, and especially, the researcher attempted to describe vital energy of plants as endless energy seen in paintings, not dying out as time went by. 지금까지 색채의 회화사적 고찰과 회화에 나타난 색면공간을 통해 내면적 심상과 회화의 조형성을 이끌고 있는 색채에 대해 알아보았다. 회화에 있어서의 색채와 색면은 시각적 표현 수단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화가의 내면세계를 색채와 색면으로서 개인의 정신적인 감정을 자신만의 방법으로 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색채는 화가들로부터 회화에서의 의미를 부여받고 인간의 감정을 나타내는 회화적 중요한 요소로서 가치를 인정받게 되었다. 그리고 색채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는 화가들의 작품은 지금도 계속 내어 보여 지고 있다. 다른 조형요소로부터 해방됨으로써 색채는 자율성을 획득하게 되었으며, 그것은 원근법에서의 독립과 색채의 공간성 확립, 평면적 화면의 구현을 실현할 수 있었다. 이미지 표현에 있어 색채는 단순한 대상에 대한 재현의 역할에서 벗어나 연상되는 색이나 고유의 색에 관계없이 화가자신의 내부세계로 시선을 돌려 표현하는 동시에 주관적 감정의 표현매체로써 활용되고 있다. 다시 말해 색채는 인간의 의식세계라 할 수 있다. 색면추상회화에 있어 색채는 시각적인 자극에 의하여 순수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정서적 역할을 하기도 하며, 자율적 세계를 한층 심화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본인은 추상적 색면과 이미지적 형상을 결합하여 함축적인 설명을 첨가함으로써 색면추상의 난해성으로부터 탈피하여 보다 쉽고 편하게 감상 할 수 있는 작품을 제작하였다. 초기작품에 나타나는 집의 형상과 식물이미지, 그리고 후기작품에 첨가된 장식적인 패턴은 행복에너지와 시들지 않는 생기를 표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인은 작품연구를 통하여 색면회화란 단순한 색채의 대비 또는 조화가 다가 아닌 색채의 정신성의 표현이라는 것이 어떻게 보면 쇠를 담금질 하듯 미묘하고도 부단한 노력을 필요로 하는 어려운 작업이라는 것을 알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색면을 통한 공간표현」을 위해 내디딘 첫 발이었으며, 앞으로의 작품 제작에 있어서는 색채와 색면의 효과적 사용을 통해 다양한 표현방법을 모색하며, 시각적 아름다움만이 아닌 깊이가 있는 새로운 회화의 공간을 추구하고자 하는 바이다.

      • 디자인 교육에서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협동학습 모형에 관한 연구

        박미나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 정보화사회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인간을 길러내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능력을 일깨워 주는 창의성 계발을 위한 교육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특히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 창의성은 통찰력과 인지력 등을 바탕으로 주어진 문제에 대해 유연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하며 독창적이면서도 유용한 해결안을 만들어내는 능력 또는 사고과정이므로 이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창의성을 요구하는 디자인 문제는 개인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공동적인 것이므로 구성원간의 협동적 사고과정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협동학습은 학습과정의 사회성을 바탕으로 하여 학습 환경이나 학습구조 변화의 관점에서 제안된 일종의 강화된 소집단 활동이며 긍정적인 상호의존성을 바탕으로 서로의 학습에 대하여 책임을 공유함으로써 학습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하는 교수-학습의 방법이다. 우리는 혼자서 생각 할 때는 미처 발견하지 못한 사실을 여러 사람들이 모여 생각할 때 발견하는 경우가 많다. 아이디어를 실현하는 과정에서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참여의식이 충분한 상태라면 성과는 더욱 높아질 수 있다. 또한 개인의 지식과 경험보다는 집단 구성원간 협동을 통해 얻어진 지식과 경험의 양과 질이 더욱 창조적일 가능성이 크며. 이러한 협동학습의 강점은 특히 아이디어 발상 단계에 있어서 아이디어의 다양한 조합과 자극은 물론 좋은 질의 아이디어를 풍부하게 생산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교육에서 협동학습의 전반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해 보고 창의적 사고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아이디어 발상 단계에서 효과적인 협동학습 모형을 연구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시킴으로써 협동학습이 아이디어 발상 단계에서 학습자의 창의성 향상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교수-학습방법을 개선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협동학습 모형을 제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창의성의 본질과 협동학습 이론에 대하여 문헌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둘째,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현행 교육과정과 교과를 분석하여 디자인과 수업에 활용 될 수 있는 협동학습 모형을 모색해 보고 다양한 협동학습 모형에서 공통된 요소들을 추출하여 아이디어 발상 단계에 적합한 모형을 구상하였다. 셋째,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협동학습 모형을 구안하였으며, 실제 수업을 진행할 때 필요한 학습지도 계획안을 구체적으로 연구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제시한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협동학습 모형은 디자인을 처음 접하게 되는 학습자들에게 체계적으로 아이디어 발상의 내용과 방법을 지도하여 디자인 전 분야에서 창의적 아이디어를 발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실업계 고등학교 1학년의 재량활동 시간에 편성하였으며 주 1회 2시간으로 6주차 과정의 수업 안으로 계획되었다.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협동학습 모형은 협동학습의 이해 단계, 그룹 형성단계, 사회적 기술 훈련 및 팀웍 다지기 단계, 주제 선정 및 계획 수립 단계, 아이디어 발상 단계, 발표 및 평가 단계의 순으로 총 6단계로 나뉜다. 첫 번째, 협동학습의 이해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협동학습을 바르게 이해하고 장점을 살려 아이디어 발상 학습활동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두 번째, 그룹 형성 단계에서는 학생들의 협동기능, 자료, 과제의 성격, 시간 등을 고려하여 4~5명의 이질집단으로 그룹을 형성한다. 세 번째, 사회적 기술 훈련 및 팀웍 다지기의 단계에서는 함께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절차나 행동을 설명하고 리더십, 의사소통 기술, 신뢰감 형성, 갈등의 조정 등 사회적 기능들을 익힌다. 또 간단한 문제를 제시해 기발한 아이디어를 도출한 팀에게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팀웍을 다지고 학습 동기를 유발한다. 네 번째, 주제 선정 및 계획수립 단계에서는 제시된 주제망의 범위 내에서 학간 토의를 통해 팀별 소주제를 선정하고 학습 전행의 구체적 계획을 세운다. 다섯 번째, 직접적 아이디어 발상의 단계로 크게 세 단계로 다시 나눌 수 있는데 자료수집 및 아이디어 발산의 단계에서는 설정된 주제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표현력이 부족한 학생들을 위해 문자와 언어로 아이디어를 생성한다. 변환의 단계에서는 발산된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이미지화 시키면서 확대 발산한다. 수렴의 단계는 해결안들을 축소 수렴시키는 과정으로 최적의 안을 선정하고 최종 보고서나 발표를 위해 아이디어를 정리하는 단계이다. 여섯 번째, 발표 몇 평가 단계에서는 팀별로 전개시킨 내용을 학급전체에 발표하고 아이디어와 학습 과정에 대한 자기 평가와 동료 평가를 실시한다. 협동학습을 활용한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 교육의 유용성과 아이디어 발상 능력의 증진효과 및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제 수업을 실시한 후 연구자에 의해 관찰된 평가 내용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취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구성원간의 아이디어 결합이나 교환, 새로운 아이디어 창출에 대한 자극이나 피드백이 활발하여 아이디어의 전개능력과 창의적인 아이디어 도출에 효과적임이 나타났다. 특히 학생들이 아이디어 발상단계에서 창의적인 발상의 어려움을 겪을 때, 동료들과의 집단 사고 과정을 통해 사고력의 확장과 자신감을 얻을 수 있었으며 기초적 표현 기술이 부족하고 디자인에 흥미가 적은 학생도 자신의 능력에 맞는 활동을 통하여 학습동기가 높아졌다. 또한 문제해결에 대한 효과적인 기술들을 상호 관찰하고 배울 기회를 갖게 되어 이후에 디자인 문제를 보다 쉽게 해결할 수 있는 학습의 전이 능력이 강화되었으며 사회성 함양과 인성적 측면에도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얻음으로써 본 교육 모형이 학생들의 아이디어 발상 능력의 증진과 사회성 함양 및 학습태도의 긍정적 변화에 효과적임을 시사 받을 수 있었다. For the upbringing of self-controlling and creative humans to lead the informatization society of the 21st century, the education for creativity development to awaken the students' abilities is essential above all. In particular, in design education creativity is the ability or thinking process to flexibly and reasonably think and draw creative and useful solutions for the assigned issues based on an insight and perception so that a study on this can be considered to be essential. In addition, because the design issue which demands creativity is not limited to an individual but to the public, the cooperative thinking process between members is necessary above all. The cooperative learning is a type of limited reinforced small group activities in a viewpoint of learning environments or learning structure changes based on sociality of the learning course and is a teaching-learning method which enables positive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course by sharing responsibilities for mutual learning based on affirmative mutual dependence. Some facts that are not discovered by thinking alone sometimes are realized by joint thinking of many people. In the course of realization of an idea, if the sense of participation with a joint goal is sufficient, the outcome will be much higher. Furthermore, the knowledge and the quantity and quality of experiences acquired by cooperation between group members have bigger possibility to be more creative than individual knowledge and experiences and the merit of this cooperative learning enable especially various combinations and stimuli of ideas and abundant production of good quality in the conception stage of ideas. Accordingly, this study intends to reveal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to creative improvement and learning attitude of learners in the conception stage of ideas and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 by searching for an overall utilization plan in design education, studying an efficient cooperative learning model in the conception stage of ideas based on creative thinking process and applying them to actual classes. The study on the following contents was progressed in order to suggest a cooperative learning model for creative idea conception. First, focused on literatures, the essence of creativity and cooperative learning theory that play the core roles in the creative idea conception were examined. Second, a cooperative learning model to be utilized for design and classes was searched and common factors from various cooperative learning models were extracted to plan a model appropriate for the idea conception stage by analyzing the current educational course and curriculum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ird, a cooperative model for the creative idea conception was drafted and a learning guide plan required for practical classes was examined and suggested.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 for a cooperative idea conception suggested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composed in the discretional activity time of the 1st grade of a technical high school and planned in the classes of the 6 week course, once a week for 2hours in order to conceive creative ideas in the total design fields by teaching the contents and method of the systematic. idea conception to the learners who experience design for the first time.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 for creative idea conception is divided into total 6 stages as the understanding stage of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formation stage, social technology training and teamwork reinforcement stage, topic selection and planning stage, idea conception stage and presentation and evaluation stage in order. First, in the understanding stage of the cooperative learning, it should be made for teachers to right understand the cooperative learning and make use of merits to be linked to the idea conception learning activity. Second, in the group formation stage, groups are formed with disparate groups composed of 4 to 5 considered students" cooperative function, materials, characters of assignments and time. Third, in the social technology training and teamwork reinforcement stage, the procedures or actions to achieve assignments together are explained and social functions such as leadership, communication technology, reliability formation and reconciliation of conflicts are learned. In addition, teamwork is reinforced and learning motive is induced by suggesting simple problems and compensating the team which draws a creative idea. Fourth, in the topic selection and planning stage, sub-topics are selected by team and concrete plans are established with the suggested topics through discussions between students. Fifth, in the direct idea conception stage, it can be divided into 3 stages largely and in the material collection and idea conception stage, ideas are created by collecting established topics and related materials and using letters and language for students insufficient in expressions. In the transformation stage, it is visualized, expanded and conceived by assorting the conceived contents. The collection stage as a reducing and collecting course of solutions is the stage to select an optimal plan and arrange ideas for the final report and presentation. Sixth, in the presentation and evaluation stage, the contents developed by team are presented to the whole class and self-evaluation and fellow evaluation about the ideas and learning course are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finding usefulness of the creative idea conception education utilizing the cooperative learning and positive changes to increase effect and learning attitude of idea conception ability, actual classes are performed and the observed evaluation contents and the questionnaire for the subject of stud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it was proved that the stimuli or feedbacks to idea combination or exchange between members and new idea creation were active so that it was effective to the developing ability of ideas and deduction of creative ideas. In particular, when student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creative conception in the idea conception stage, the expansion of thinking power and confidence could be achieved through the group thinking process with fellows and even students with insufficient basic expression technology and interest in design could raise learning motive through activities in compliance with their abilities. In addition, from the mutual observation of efficient technology about problem solving and acquirement of learning chances, the transition ability of learning which is able to solve design problems much easier became reinforced and by acquiring effective results to sociality cultivation and characteristic aspects, this educational model could be suggested to be effective to the increase of idea conception ability and sociality cultivation and affirmative change of learning attitu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