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베르사체 패션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의 미적 특성 : 도나텔라 베르사체 작품을 중심으로

        이원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Fashion is a wordless means of communication that expresses and communicates the internal and external worlds of aesthetics of human that represent certain aspects of society, economy, politics, culture, and art. The expression of sexuality through garments is the psychological desire toward human body and fashion. Versace is a globally successful Italian fashion brand that has focused on experimenting with its own various methods of expressing sexuality. Its leading designers Gianni Versace and Donatella Versace have consistently pursued a creative world of design, focusing on glamour, femininity, and sensuality to express sex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concept of sexuality to understand sexual character of Versace, examine the sexual character of Versace in terms of glamour, femininity, and sensuality, and analyze the aesthetic forms and characters of sexuality in Donatella Versace's fashion since 2000. For this purpose, I studied both literatures and case studies. I studied literatures on wardrobes, preceded studies, and online resources. For case studies, I analyzed Versace women's collection by examining collection catalogues since 2000 and fashion Websites (i.e., www.firstviewkorea.co.kr, www.style.com, etc). The scope of this study was set to the period from the transition of era after Gianni Versace's death in 1997 until a decade after Donatella Versace's takeover in 2000. In detail, Chapter 2 discussed the concept of sexua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ity in Versace's fashion in terms of glamour, femininity, and sensuality. First, sexuality means sexual desires, sexual identity, and sexual practice and is inclusive of sexual emotions and every sexual relationship. Second, the characteristic of glamour in Versace's fashion is shown as the glamour relating to wealth or celebrity, hand-craft, mythical motif, and the Veblen effect. The characteristic of femininity in Versace's fashion is expressed through the use of drapes, sequinn, and see-through materials with chic character and many hand-crafted ornaments. Sensuality in Versace's fashion is characterized by ‘men's pleasure’, exposure of women's sexual body parts, sexual fetishism, and use of slits to create visual sensuality. The sensuality of ‘women's pleasure’, product fetishism, and sensuality of wearers are also included. Chapter 3 examined the fashion of Donatella Versace and its aesthetic characters by classifying types of sexuality and designs. First, Donatella Versace is continuing the reputation of Versace by bringing a fresh air into Gianni Versace's existing image of ‘colorful sexiness.’ She created the new look of 'Sexy Elegance' that combines sexiness with elegant and refined luxury. She retained the unique sexy concept of Versace while adding practicality and sophisticated elegance to lead the new era of Versace fashion. Second, Donatella Versace's fashion can be classified into minimal sexuality, ethnic sexuality, neo-classic sexuality, decadence sexuality, and romantic sexuality that can be described as below: 1. Minimal sexuality is extreme simplicity that minimizes the use of ornamental designs. It was expressed as straight silhouettes and mini lines and was combined with consumers' desire to show off their sexual attractiveness. 2. Ethnic sexuality was inspired by exotic traditional dyes, fabrics, patterns, embroideries, and accessories from outside Europe, such as Africa, India and the East in general. Various colors, including primary colors, beiges, and complementary color contrasts, were used and animal and floral prints were combined with ethnic elements and sexuality. 3. Neo-classic sexuality began as an admiration of Ancient Greece. The traditional drapes were revived and combined with sexuality to express eroticism. Thin and light materials, such as chiffon, elastic jersey, and shiny satin, were used to create the drapes. 4. Decadence sexuality was characterized by the exposure of sexual demand to dismantle the traditional aesthetics and the destruction of order and morality in pursuit of pleasure and the surrealism of the Absolute World. The combination of decadence and sexuality was expressed as the dominatric look, which emphasized women-dominated or aggressive sexuality, or the darkness of the end of a century by using demon-like makeup styles. 5. Romantic sexuality was not about recycling past styles or designs, but about memories and reminiscence. To emphasize soft and feminine characters, together with romantic and fantastic images, chiffon, light see-through materials, and polished looks were combined with pink or violet and sexually intriguing sexuality. Based on the above types and designs, the aesthetic characters of Donatella Versace's sexuality were classified into elegance, adoption, decadence, and sensuality and analyzed as follows: 1. Elegance was the symbol of upper class and was combined with conservative and classical emotions to be expressed as the elegant dresses of Ancient Greek goddesses using drapes that smoothly flew along the human body. 2. Appropriation involved borrowing various elements from primitivism, images or dresses from a certain time in history, ethnic wardrobes, or artworks and distorting them into different objects or reinterpreting them as intended by the designer. 3. Decadence was expressed as negative associations, such as decadence, degradation, nihilism, and despair, images of sexual love, and stimulating pleasure. It mostly used silhouettes with irregular hemline, silhouettes relating to fetish and corset, and polished materials. 4. Sensuality was expressed as X-line silhouettes, mermaid silhouette, body-conscious silhouette, and deshabille that expose the body line through see-through and are open and exaggerating. See-through, glittery, and stretch materials were used and slits were created to directly express the intrinsic desire toward sex. In result of the analysis, the sexuality of Versace after 2000 continued on with the glamour, femininity, and sensuality elements of Gianni Versace's fashion through the 1980s and 1990s. Donatella Versace's unique characteristic is that she emphasizes the elegance of femininity more than colorfulness and valued 'women's pleasure' in the expression of sensuality. This study analyzed the types of sexuality and the designs of Versace's fashion in expressing female sexuality through sensual fashion to derive Versace's aesthetic characteristics.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examined the fashion styles of modern people in a great depth. Th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ould make a good guideline for the study of appearance-oriented fashion trends and understanding the intrinsic psychology of women who are willing to express their sexuality to contribute to the creative development of fashion design. 패션은 무언의 의사소통으로서 그 시대의 사회, 경제, 정치, 문화, 예술 등의 일면을 나타내는 인간의 내적, 외적인 미의식 세계를 표현하고 전달한다. 의복을 통한 섹슈얼리티(Sexuality)의 표현은 인체와 패션에 대한 심리적 욕망이다. 베르사체는 섹슈얼리티를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디자인 시도에 우선순위로 두고 국제적인 성공을 거둔 이탈리아 브랜드이다. 베르사체의 대표 디자이너인 지아니 베르사체(Gianni Versace)와 도나텔라 베르사체(Donatella Versace)는 섹슈얼리티를 표현하기 위해 글래머와 여성성, 관능성을 중심으로 창의성을 발휘하는 디자인 세계를 일관되게 펼쳐왔다. 본 논문의 목적은 베르사체 패션에 나타난 섹슈얼리티를 파악하기 위하여 섹슈얼리티의 개념을 살펴보고, 베르사체 패션에 나타난 섹슈얼리티를 글래머, 여성성, 관능성으로 나누어 고찰한 후, 2000년 이후 도나텔라 베르사체 패션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의 유형과 미적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와 사례연구를 병행하였다. 복식 관련 서적, 선행 연구 논문, 인터넷 자료 등의 관련 자료들을 위주로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고 사례 연구는 2000년 이후 현재까지 국내외 컬렉션 화보집 및 패션정보 사이트 www.firstviewkorea.co.kr, www.style.com 등 베르사체의 여성복 컬렉션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범위는 1997년 지아니 베르사체 사망 이후 과도기와 세기말적 시점을 지나 도나텔라 베르사체가 왕성하게 활동을 시작한 2000년부터 2009년까지 10년간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제2장에서는 섹슈얼리티의 개념 및 베르사체 패션에 나타난 섹슈얼리티를 글래머, 여성성, 관능성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섹슈얼리티란 성적인 욕망들, 성적인 정체성, 성적 실천을 의미하는 것으로 성적인 감정과 성적으로 맺게 되는 관계들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둘째, 베르사체 패션에 나타난 글래머의 특징으로는 부나 셀레브리티(Celebrity)를 이용한 글래머, 수공예, 신화적 모티브, 베블렌 효과로 나타났다. 베르사체 패션에 나타난 여성성의 특징으로는 드레이프 활용, 세퀸, 시스루 소재를 많이 활용하였고, 시크한 여성미, 다양한 수공예적 장식을 활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베르사체 패션에 나타난 관능성의 특징으로는 ‘남성적 쾌락’에 의한 관능성, 여성의 성적부위 노출, 성적 물신주의, 페티시, 슬릿 활용 시각적 관능성이 나타나며, ‘여성적 쾌락’에 의한 관능성, 상품 물신주의, 착용자의 관능성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제3장에서는 도나텔라 베르사체의 패션에 대해 고찰하고, 도나텔라 베르사체 패션을 통해 섹슈얼리티의 유형과 디자인을 분류하여 미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첫째, 도나텔라 베르사체는 지아니 베르사체의 디자인 특징인 ‘현란한 섹시함’이라는 베르사체의 기존 이미지에 신선한 바람을 불어넣으며 베르사체의 전성기를 이어나가고 있다. 그녀는 섹시함과 함께 우아하고 정제된 럭셔리한 이미지를 담은 ‘섹시 엘레강스(Sexy Elegance)’ 룩을 탄생시켰으며 베르사체 고유의 콘셉트인 ‘Sexy’ 이미지를 지키면서도 실용성과 세련된 우아함을 부각시킨 새로운 베르사체 패션을 이끌어왔다. 둘째, 도나텔라 베르사체의 패션 분석 결과는 미니멀 섹슈얼리티, 에스닉 섹슈얼리티, 네오 클래식 섹슈얼리티, 데카당스 섹슈얼리티, 로맨틱 섹슈얼리티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미니멀 섹슈얼리티는 단순미의 극치로 장식적인 디자인을 가능한 배제시킨 스트레이트 실루엣, 미니 라인 등의 단순화된 실루엣으로 표현되었으며 성적 매력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욕망인 섹슈얼리티와 결합하여 나타났다. 2. 에스닉 섹슈얼리티는 유럽을 제외한 아프리카나 인도, 동양풍의 민속 전통염색, 직물, 패턴, 자수, 액세서리에서 영감을 얻어 디자인한 것이 특징으로 나타났다. 색상은 원색배색, 베이지 톤, 보색대비, 등 다양하게 사용되었으며, 동물문양, 꽃문양 등으로 아이디어의 원천인 에스닉(Ethnic)요소와 섹슈얼리티의 결합으로 표현되었다. 3. 네오 클래식 섹슈얼리티는 고대 그리스에 대한 동경으로 고대 복식의 특징인 드레이프로 고전 의상을 재현한 복식으로 에로티시즘을 표현하는 섹슈얼리티와 함께 결합하여 나타났다. 소재는 드레이프를 표현하기 적합한 얇고 가벼운 시폰이나 신축성 있는 저지, 광택 나는 새틴 소재가 사용되었다. 4. 데카당스 섹슈얼리티는 성에 대한 욕구를 노골화시켜 전통미를 해체하고 탐미적 경향과 절대적 세계에 대한 초월적 갈망으로 질서의 파괴와 윤리도덕의 타락 현상을 표현하는 특징으로 나타났다. 데카당스와 섹슈얼리티의 결합은 여성 지배적이며 공격적인 섹슈얼리티를 강조한 도미나트릭스 룩(dominatrix look)이나 악마 이미지의 메이크업을 통해 세기말 시대정신을 반영한 암울한 이미지로 표현되었다. 5. 로맨틱 섹슈얼리티는 과거의 스타일이나 디자인을 재활용한다는 차원이 아닌 추억과 회상이라는 감성의 전달 매체로 적용하며, 부드럽고 여성스러운 로맨틱과 환상적인 이미지를 강조하기 위하여 시폰 소재, 얇고 비치며 부드러운 소재, 광택 소재, 핑크나 바이올렛 색상과 성적인 욕망을 자극하는 섹슈얼리티와의 결합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유형과 디자인 분석을 바탕으로 도나텔라 베르사체의 패션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의 미적 특성을 우아성, 차용성, 퇴폐성, 관능성의 4가지로 분류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아성은 상류 계층의 상징이자 보수적이며 클래식한 감성이 혼합되어 인체를 따라 부드럽게 흘러내리는 드레이프(drape)를 활용하여 고대 그리스 여신 이미지를 우아한 드레스로 연출하였다. 2. 차용성은 원시주의나 특정한 시대의 이미지 또는 과거시대의 의상이나 분위기 또는 에스닉적인 의상, 예술작품에서 다양한 요소들을 차용함으로써 오브제를 변형시키거나 디자이너 자신이 의도한 새로운 방식으로 재해석하여 표현되었다. 3. 퇴폐성은 퇴폐, 쇠퇴, 허무, 절망과 같은 부정적인 것들로 각인된 이미지와 성애화된 이미지, 자극적 향락으로 나타나며 헴 라인이 불규칙적인 실루엣, 주로 코르셋 형태의 페티시에 연관된 실루엣, 광택 소재가 활용 되었다. 4. 관능성은 투시를 활용한 노출과 더불어 개방적이면서도 인체를 과장하는 X형 실루엣, 머메드, 바디 컨셔스 실루엣, 데자비에 스타일로 나타났으며 시스루 소재, 글리터리, 스트레치 소재, 슬릿을 사용하여 성에 대한 내면적 욕구를 의복에 직접적인 방법으로 표출하였다. 분석 결과 2000년 이후 베르사체 패션에 나타난 섹슈얼리티는 지아니 베르사체로 대표되던 1980년대와 1990년대 베르사체 패션의 섹슈얼리티인 글래머, 여성성, 관능성의 특징적 요소들이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도나텔라 베르사체 특유의 패션 특징은 여성성의 표현에 있어 현란함보다는 우아함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능성의 표현에 있어서도 ‘여성적 쾌락’의 표출에 비중을 두었다. 본 연구는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관능적 패션을 통해 표현하는 베르사체 패션의 섹슈얼리티의 유형과 디자인을 분석하여 미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패션에 표출된 현대인의 스타일을 심도 있게 파악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현대의 외모지향적인 패션트렌드 연구에 지침이 될 수 있으며 섹슈얼리티를 표출하고자 하는 여성의 내면 심리를 파악하여 패션 디자인의 창의성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노인기 섹슈얼리티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백유미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노인기 여성의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섹슈얼리티를 증진시키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여성 노인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기 섹슈얼리티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내용과 운영방법은 어떠한가? 둘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성 노인 집단은 섹슈얼리티의 특징인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에 있어 비 참가집단에 비해 변화가 있는가? 셋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성 노인 집단은 섹슈얼리티의 관련 변수인 우울, 스트레스, 자아통합감이 비 참가집단에 비해 변화가 있는가? 프로그램 개발하는 과정은 먼저 1단계로 문헌연구를 통하여 노인을 성장 발달적 관점에서 조명하였고, 노인기 섹슈얼리티를 다양한 이론적 관점에서 이해하였다. 2단계로는 본 프로그램에 어떤 상담이론을 적용할 것인지 모색하였고, 선행 연구를 통해 인간의 성장 발달을 강조하는 인간 중심 상담 원리가 노인 상담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고찰하였다. 3단계에서는 노인들 300명을 대상으로 섹슈얼리티에 대한 프로그램 요구 분석 결과를 구체화하여 전문가 의견을 수렴한 후 프로그램 초안을 구성하였다. 4단계에서는 선행연구 탐색을 통해 노인기 섹슈얼리티 증진을 위한 관련 변인을 우울, 스트레스, 자아통합감으로 설정하였고,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각 회기별 요소를 구체화하였다. 회기별 요소는 노인의 성 이해하기, 생리적 성 이해하기, 사회적 성 이해하기, 정서적 성 이해하기, 젠더 커뮤니케이션 등이다. 5단계에서는 프로그램 초안을 작성하였으며 6단계에서는 프로그램에 대한 양적, 질적 평가를 통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7단계에서는 실험실시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보완하여 8단계에서 최종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인간 중심 상담 원리를 바탕으로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반 구조화된 집단상담 형식으로 각 회기는 140씩 8회기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목표 1) 자기 이해와 배우자에 대한 이해 증진 2) 섹슈얼리티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여 긍정적인 성에 대한 인식의 전환점 마련 3) 노인기 발달과업에 대응한 효과적인 대처 기제 즉 용서하기, 공감하기, 자기표현하기, 대화법 향상 4)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삶을 있는 그대로 수용함으로써 자기 만족감 증진이다. 연구에서는 A복지관에 다니는 여성노인들 8명을 대상으로 섹슈얼리티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으로의 효과 검증을 위하여 양적연구와 병행하여 과정 분석을 통한 질적 평가 방법을 중심기법으로 사용하였다. 먼저 양적 분석에서 참가집단 노인들은 집단상담 참가 후, 비 참가집단에 비해 성지식, 성태도, 성행동이 향상되었다. 또한 스트레스는 낮아지고, 자아통합감은 높아졌다. 즉 섹슈얼리티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노인기 스트레스와 자아통합감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전반에 걸친 진행과정과 각 회기별 내용에 대한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관계에 대한 자기이해 부분에서는 적극적인 개방 및 이해로 소극적 자기표현이 능동적 자기표현으로 변화되었다. 둘째 섹슈얼리티에 대한 개념정립 부분에서는 신체적․심리적 매력 찾기를 통해 자신감과 성지식이 높아지고, 태도는 허용적으로, 성행동은 능동적으로 변화됨으로써 신체적․심리적 노화로 인한 자신감 저하와 부정적인 성 인식이 성에 대한 긍정적 인식으로 변화되었다. 셋째 젠더 커뮤니케이션 부분에서는 배우자 공감하기, 용서하기, 이해하기 등을 통해 효과적인 소통 방식을 습득하여 배우자에 대한 정서적 불만족, 대화와 소통의 어려움 등을 극복하도록 하였다. 넷째 자기만족(자아통합감) 부분에서는 상대에 대한 부담감과 삶이 지치고 힘듦에 대한 자기 삶의 부정이 프로그램을 통해 상대를 이해하고, 행복한 노년을 위해 삶을 수용하고 자기만족이 상승되도록 하여 자아통합감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섹슈얼리티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자기이해, 배우자와의 이해를 통해 부부관계 만족도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고, 섹슈얼리티 구성요소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여 긍정적인 성 인식의 전환점을 마련 하였다. 또한 노인기 발달과업에 대응한 용서하기, 공감하기, 자기 표현하기 등을 통해 부부관계 증진에 효과가 있었고 무엇보다도 자존감의 증진과 삶에 대한 수용적 태도 증진을 통해 자아통합감이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연구에 참여한 대상이 소수이고, 대체로 건강한 여성노인과 경제적 수준이 보통이상인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다른 부부들에게 일반화하는데 무리가 있다. 결론적으로 노화나 노령이라는 생물학적 요인으로 인해 노인들의 정서적 결속에 대한 기회와 친밀성을 추구하는 행위가 단절되어서는 안 되며, 프로그램을 통해 부부관계가 증진되고, 자신의 자아통합감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인간중심

      • 섹슈얼리티의 형성과정 및 개인적 의미 해석에 관한 질적 연구 : 미혼남녀를 대상으로

        박수선 숙명여자대학교 2004 국내박사

        RANK : 247807

        현재 국내 사회는 급변하는 성개방의 분위기와 개인주의 가치관 대두, 성의 다양성에 대한 인식 증가 등 전반적인 변화에 처해있으며, 이 안에서 미혼성인남녀들은 자신의 섹슈얼리티를 어떻게 형성해 가야하는지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최근 미혼을 대상으로 한 결혼 전 성행동에 대한 국내 연구결과 결혼을 기준으로 성행동 여부를 결정하는 사회제도적 의미보다 개인의 자발적인 선택의 의미가 더욱 강해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어 이에 대한 실제적, 심층적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Weis(1998)의 성각본 이론의 각 측면과 부모-자녀관계 측면을 구성틀로 적용하고 문화기술적 접근으로 심층면접법을 사용하여 미혼성인남녀의 시각에서 이야기하는 섹슈얼리티 형성 과정을 탐색하고 설명하는 방식을 통해 그들의 경험과 의미를 해석하였다. 심층면접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1970년대 중반 이후 출생자로 이성교제 경험이 있는 대학생을 포함한 미혼의 남성 7명과 여성 8명 총 15명이었다. 2003년 9월-12월까지 면접이 이루어졌으며 개인마다 한 회에 2-4 시간이 소요되었고, 총 2-4회의 만남을 가졌다. 심층면접을 통한 자료 분석의 전체적인 설계는 근거 이론적 접근법(Grounded Theory Approach)을 적용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자료 분석은 현상을 명명하는 개념화를 통해 범주화하고 이를 속성과 측면에 따라 발전시켜나는 개방적 부호화(open coding)를 통해 이루어졌다. 또한 연구의 전체적인 진행과정은 Spradley(1980)의 DRS(Development Research Sequence) 모형을 응용한 발전식 연구 사이클에 따라 이루어졌다. 각 회의 면접 종료 후 축어록을 토대로 보고서를 작성하여 다음 면접의 과제를 구체화하였으며 보고서를 매회 제보자에게 확인받음으로써 분석상의 오류를 최소화하였다. 또한 면접시 Hendrick 와 Hendrick(1986)의 사랑유형검사와 국내 임상에서 널리 쓰이는 성태도 문장완성검사, 스킨십 단계 측정을 보조도구로 이용하였으며 심층면접 진행과 분석에 이르는 전과정 동안 성관련 전공 석사이상 성상담 현장 실무경험자 1인과 가족학 박사급 1인의 자문을 받았다. 미혼성인남녀의 섹슈얼리티 형성과정을 성각본 이론의 세 가지 측면(사회문화적 측면, 대인적 측면, 심리적 측면)과 부모-자녀관계 측면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연구문제 (1)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남녀 제보자의 섹슈얼리티에 영향을 미치는 근간에는 가부장제가 있었다. 이를 기초로 사회전반이 남성과 여성에 대해 차별적 인식을 가지게 되고 인간의 섹슈얼리티를 결정하는 모든 인지과정에서 제한점으로 작용하였다. 어려서부터 순결이 무조건 당연하다고 여겼던 여성 제보자들은 사랑하는 이성과 스킨십을 하기 시작하면서 자신을 성적 존재로서 재발견하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육체적 성교여부를 기준으로 하는 전통적인 사회적 관점의 순결의 의미와 사랑의 표현이며 서로 친밀한 소통을 촉진시키는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생각하는 개인적 관점의 순결의 의미 사이에서 여성 제보자들은 내면적인 갈등을 겪고 있었지만 한 가지 분명한 점은 과거처럼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획일적인 순결 기준의 적용에 대해 강한 불만을 갖고 그것을 벗어나려는 의지를 보이며, 개인의 상황에 알맞은 실제적인 자신만의 순결의 의미를 찾고 있었다. 또한 대중매체는 여성 제보자가 자신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개별적인 의미를 부여할 수 없게 만들며 철저하게 순결에 대한 책임을 여성 개인의 탓으로 돌리는 커다란 사회적 기제 역할을 하였다. 대중매체는 성을 공개적으로 이야기할 수 없는 미혼 여성들의 유일한 성교육의 장이며 획일적인 여성모습의 산실이기도 하였다. 한편 남성 제보자들의 성사회화 과정은 대부분 비공식적 성교육을 통해 이루어졌는데, 남성 제보자들은 음란물, 포르노, 경험자들의 이야기, 성행위와 관련된 담론 등에서 확보한 정보를 나름대로 해석하여 종합적 지식을 가지고 첫 성교 경험을 통해 지금까지 배워왔던 남성상과 자신을 비교하였다. 남성주도적인 사회구조 속에서 생성된 왜곡된 남성상에 부합하기 위해 남성 제보자들은 성매매 업소를 연습의 장으로, 포르노를 성교육 수단으로 여기고 있었다. 남성의 성과 사랑에 대한 분리의식이나 성매매 문화 등은 남성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생물학적 특성 때문에 이루어진 것이 아닌 왜곡된 남성의 모습을 전제하는 사회적 조건 속에서,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점진적으로 형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성장기에 포르노를 접한다는 것은 여성의 몸에 대한 호기심 증가, 또래 놀이문화의 부족, 가정과 사회문화적 환경에서의 성의 허용에서 비롯되는 사회에서 요구하는 획일적인 남성으로 되어가는 필수적 과정임을 의미하였다. 대인적 측면에서 남녀 제보자들에게 영향력 있는 대상은 이성 친구였다. 성인이 되어 처음으로 교제하는 대상과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대인관계 확장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혼 여성이 이성친구와 성에 관한 의사소통을 나눌 수 있다는 것은 여성의 성적 욕구가 부정되는 사회적 현실에서 벗어나 자신의 욕구 파악, 상대와의 사랑확인, 자신을 당당한 성적 주체로 확인하는 과정을 의미하였다. 남성 제보자 역시 또래조직내의 성담론과 집단적으로 이루어지는 성행동으로 인해 쾌락을 쫓는 성경험을 지속하다가 사랑하는 이성을 만나게 되면서 주체적인 섹슈얼리티로 변모하는 과정을 겪었다. 남성과 여성 제보자 모두 주체적인 성적 의사결정형성 과정에 상대와의 성에 관한 의사소통이 필수요소로 작용하였다. 심리적 측면에서 여성 제보자의 성 의미의 변화는 자신이 남성 파트너와의 성경험에 노출되거나 성에 관한 새로운 환경을 접했을 때 이루어졌다. 섹슈얼리티가 개인의 정체성을 의미한다고 할 때 바람직한 성의 의미에 대한 이해는 여성의 주체적인 삶의 성찰로 이어졌다. 남성 제보자 역시 사랑하는 대상과 성경험을 하게 되면서 획일적으로 갖고 있던 여성의 순결이나 사회문화적 기준에 따른 왜곡되고 일측면적인 성에 대한 의미를 개인적인 측면의 개념으로 인식하는 과정을 겪었다. 사회문화적 맥락속의 피동적인 존재에서 자신을 재해석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서 주체적인 자아로 성장하는 근간을 형성하게 되었고 이러한 원동력은 자존감으로부터 기인하였다. 부모-자녀관계 측면에서 건강한 가족관계는 자녀로서의 안정된 정체성을 형성 하고 이는 자존감에 영향을 미쳐 제보자들의 주체적인 섹슈얼리티 형성의 필터역할을 하였다. 또한 부모자녀간의 건강한 상호작용은 파트너와의 성에 관한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촉진하는 주요한 영향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부모에게 신뢰받고 있다고 인식하고, 서로의 의견을 개방적으로 나눌 수 있는 의사소통 환경이 조성되며, 부모가 일관성 있는 자녀양육태도를 보일 때 여성 제보자는 스스로 가족내에 딸로써 안정된 정체성을 확립하여 주체적인 인격으로 성장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남성 제보자들의 집단적으로 이루어지는 성행동 의미는 가족안에서 신뢰받지 못한 정신적 압박감의 표출과 밀접하게 연결되었다. 상대와의 성행동에 어떤 의미를 두고 있는지는 ‘진정한 남성으로서의 정체성 확립과 삶을 살아가는 방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개인 삶에서의 가족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남녀 제보자들이 자신만의 섹슈얼리티를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 개인들의 정체성 형성과 성적 주체성 획득을 중심으로 살펴본 연구문제 (2)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문화적 맥락속에서 섹슈얼리티를 해석하기 위해 제보자들의 전기적 특성을 함께 고려하였으며, 성적 주체성의 획득은 주체적인 성적 의사결정과정을 통하여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우선 섹슈얼리티 의미의 주체적인 해석은 자신에 대한 책임, 자신의 욕구 파악, 진정한 사랑의 소통으로 요약된다. 여성 제보자들의 경우 각각 가족안에서의 딸로서의 정체성과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정체성, 그리고 남자친구와 공평한 관계를 유지하는 이성친구로서의 정체성이 개인이 처한 환경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상황에 따라 서로 보완적인 관계를 보여 주었다. 이들에게는 가족내에서의 딸의 위치, 남자친구와의 관계에서 애인의 위치, 자신의 사회적 역할 어느 하나 소홀히 생각할 수 없는 중요하고 의미 있는 자신의 모습이었다. 이러한 자신의 모습들은 개별적으로 인생에 대한 성찰로 이어지는 것이었으며, 이들은 여성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주변 환경의 고정관념을 비판적으로 의식하고 주체적인 자신만의 정체성을 구성하고 있었다. 남성 제보자의 경우 역시 가족 안에서 신뢰받는 대상으로 성장함으로써 긍정적인 자아정체성 형성을 할 수 있었으며 자율성을 강조하는 부모의 영향으로 성적 자기 결정 능력이 함양되어 매우 높은 성적 주체성을 보였다. 주체성이 결여된 섹슈얼리티 의미해석은 어머니에 대한 반발과 집단속에서의 존재감 확인으로 정리된다. 여성 제보자는 가족관계안에서 불안정한 자신의 정체성을 외부 환경에서 대체하려함에도 불구하고 진정으로 자신을 위한 방법이 무엇인지 알지 못한 채 위험한 성행동에 노출되어 있었다. 또한 남성 제보자 역시 부모와의 대화단절과 소원한 가족관계로 인하여 가족안에서 정서적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한 채 동성또래 집단과의 관계에 몰입함으로써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이들은 가족 안에서 자녀로서의 정체성과 사회적 정체성 모두 안정적이지 못하였으며 그러한 가운데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이끌지 못한 채 스스로 행복하지 못하다고 여기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혼성인남녀의 섹슈얼리티 형성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의미 있는 요소들을 살펴보고 정체성과 주체성의 맥락에서 전기적 접근을 통하여 그들의 섹슈얼리티의 의미를 해석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미혼성인남녀의 입장에서 바라본 섹슈얼리티의 실제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제보자들의 성적 경험은 단순히 몸을 이용한 생물학적 측면이상의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자신을 성찰하게 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조성하며, 나아가 사회문화적 테두리 안에서 자신의 존재의 의미를 찾는 과정이었다. 또한 제보자들의 이성교제 경험은 섹슈얼리티의 주요 변수로 작용하였으며, 건강한 부모-자녀관계가 주체적인 섹슈얼리티 형성과 해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미혼성인남녀의 섹슈얼리티의 주체성 향상을 위해서는 청년기 이성교제 및 건강한 부모자녀관계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전반적인 분위기 조성과 실제적인 인식전환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개인적, 가족적, 대인적, 사회적 측면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는 다차원적이고 실효성 있는 교육을 사회 정책적 측면에서 모색하여 사회전반적인 건강한 성 가치향상과 바람직한 성문화 정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주어야 할 것이다. The Korean society is now under a fast changing in terms of social and cultural atmosphere with regard to openness and appreciation of sexual norm driven by the prevailing individualism. Under these circumstances, most of the premarital adults are experiencing confusion about formation of their sexuality. This change of the premarital adults sexuality demands a practical research in depth.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formative processes and to interpret premarital adults sexuality meaning. The interviews have been executed based upon ethnography approach and method of interview in depth within the framework of the Weiss sexual script theory (1998) and parent-children relation. Thus, research on the sexuality of adult who will build families in a future society will provide an important barometer to estimate family life. This will also provide premarital education programs for strengthening families. The interview in depth has been conducted with unmarried 7 males and 8 females inclusive of college students, total 15 persons who were born 1974-1980 and living in Seoul and nearby suburban areas. A period of interviews were carried out from September until December 2003. Each interview was executed for 2 to 4 hours apiece, and each person had 2 to 4 interviews during the period. The subjects were asked open-ended questions about their sexuality. Open coding process, a part of grounded theory procedure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over all process of the research was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study cycle applied by the DRS (Development Research Sequence) model, which was designed by Spradley (1980). After each interview, the content of the interview was worked out into a report based upon an accumulation of words, which would give a concrete material aid to the next interview. In order to minimize the probability of mistakes in the analysis, the report was shown to the subject interviewee for his/her review. For the interview process, the typological scale on love by Hendrick & Hendrick (1986), the completing sentences test of sexual attitude, the measuring of skin-ship gradation have been applied as examination aids. And during the whole process of the interview in depth, one specialists holding doctorate degree in sexuality field and one sex counselor have presented as consultants.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sexuality scripts theory from three different views indicates that the female informants appeared to rationalize the fact that traditional concept of the chastity as defined by the socio-cultural level has been changed. It also indicated that there were very few sex educations in the society at large except for the public medias including the Internet. The male informants appeared to take the premarital sexual intercourse for a passage in the course of their becoming reborn a matured true male in order to correspond to the image of a male, which is, however, regarded as perverted in a male initiative social structure. They tend to regard the brothel as a sex training gallery and pornographies as sex education devices. The interrelation level indicates that positive interaction with the opposite sex has affected them in the course of their building up desirable personal relationship in the society and uplifting their sense of self-esteem. The smoother do they communicate on sexuality with their opposite sex partners, the more subjective becomes their concept of sexual identity. The internal level of sexuality, it is much dependent on the extent of individual inner recognition of sexuality. The female interviewees appeared to have opportunity to become introspective in sexual identity after having sexual intercourse with their sexual partners, whereas male informants appeared to experience the passage for them to become aware of the first-dimensional meaning of sexuality in terms of the social and cultural aspect, outgrowing their former comprehension of sexuality founded on the male superiority and on the female chastity. From the context of social and cultural, their experience of sexual appeared as the passage for them to grow into a subjective sexual identity, which served as a motif for their entertaining self-esteem. Such experience was almost identical for both sexes in a sense that they feel to born a new self. The parent-children relation view of sexuality,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their communication on sexuality lies in the extent of their realization on how positively their parents recognize their children. Next, this research is considered participants biography in order to interpretation of sexuality. Sexual subjectivity of informants are acquired under subjective sexual mind decision making process. Subjective interpretation of sexuality appeared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her/himself, understanding about owns need, true communication with partner. Anti-subjective interpretation of sexuality presented that contradiction to mothers view, conviction of self-existence in associate. They were unstable that children identity in family and social identity. Also, they dont lead their life subjectively. So they thought unhappines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ndicates that the sexuality of Korean premarital adults changes toward openness. However, they are as yet totally free from the sexual double standard, so much so that they are experiencing confusion without their sexual identity amidst the fast changing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It is, therefore, required to promote practical and multi-dimensional education on sexuality without cessation. Such educational approach will render a great service to the education for well-rounded personality and to the formation of family strengths.

      • 1990년대 후반이후 한국영화 여성의상에 나타난 섹슈얼리티 이미지

        정한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섹슈얼리티는 사회적 담론을 생산해가며 당대의 문화와 복식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한국에서는 90년대 후반 사회·문화적 환경 변화와 함께 영화 속 여성 등장인물에 대한 새로운 재현 방식이 나타났다. 대중매체의 영향력이 증대되어가는 현대사회에서 영화에서 다루는 성 담론에 대한 분석 작업은 중요하다. 동시에 복식은 개인의 정체성과 섹슈얼리티를 표현하는 일차적 지점으로, 영화의상은 영화의 서사적 구조와 시각적 예술성에 직접적인 관련을 맺으며 다양한 의미를 내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변화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 오랜 기간 동안 소외되어있던 여성의 섹슈얼리티의 변화양상에 대하여 고찰해보고, 복식의 섹슈얼리티 이미지와 이 시기에 제작된 한국영화 속 여성 의상에 나타난 섹슈얼리티 이미지의 관계를 고찰해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 한국영화에서 여성의상의 표현에 있어 여성의 성적 주체성의 획득과 변화하는 남녀의 성 역할 반영에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문헌연구와 사례분석을 병행하였다. 흥행성, 시대성, 영화 속 여성 등장인물의 섹슈얼리티와 의상의 중요성에 따라 선정된 17편의 한국영화 속 등장인물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섹슈얼리티는 사회적 규범, 성 정체성, 성적 욕망, 성 정치성을 아우르는 생물학적 성과 사회적 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영화에서 가장 빈번하게 쓰이는 사회적 자본이자, 복식의 표현력의 요인 중의 하나이다. 영화 속 복식인 영화의상은 등장인물과 영화의 시·공간적 배경의 표현과 영화의 시각적 예술미에 기여하는 요소로서, 시대와 영화 속 등장인물의 섹슈얼리티를 함의한다. 한편 영화 의상의 표현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현대 패션, 영화의상, 패션 사진 등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에 근거하여 도출된 여성성은 전통적 여성성, 관능적 여성성, 남성화된 여성성, 양성적 여성성, 무성적 여성성이다. 각 여성성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난 복식에서의 표현특성을 근거로 영화의상의 사례분석을 위한 틀로 삼았다. 본 연구는 신문과 잡지의 문헌을 참고하여 90년대 후반 이후의 한국사회에서 나타나는 여성 섹슈얼리티의 유형을 네 가지로 나누어 범주화 하였는데, 첫째는 가부장제, 일부일처제나 결혼제도 등 기존의 성에 관련한 사회적 ‘규범에서의 일탈’이다. 둘째는 남성화된 여성이나 기존의 성 역할이 전도되며 나타나는 ‘전통적 여성성의 해체’이며, 셋째는 이전에는 금기시되어 왔던 ‘적극적인 성적욕망의 표현’이다. 이 세 가지 범주는 90년대 후반 경제위기와 그로 인한 남성성의 위축과 여권향상, 그리고 성 개방 풍조로 인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넷째는 소비자본주의의 심화와 디지털 이미지 시대의 도래로 나타나는 ‘자본화된 여성의 몸’이다. 한편 이렇게 유형화시킨 여성 섹슈얼리티의 특성에 기반을 두어 영화 속 등장인물들의 특성을 연결시킨 결과, 한 가지 유형이 더 발견되어 이를 다섯째, ‘남성 폭력에 대한 저항’으로 분류했다. 각 유형에 해당하는 등장인물의 의상 표현특성을 분석한 결과, 규범에서의 일탈은 양성적, 무성적, 관능적 여성성을, 전통적 여성성의 해체는 남성화된 여성과 무성적, 관능적 여성성을, 적극적 성적 욕망의 표현과 자본화된 여성의 몸은 관능적 여성성을, 마지막으로 남성 폭력에 대한 저항은 비속적, 관능적, 양성적 여성성의 특성을 통해 재현되었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첫째, 한국영화 여성의상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특성은 에로티시즘이 발현된 관능적 여성성으로, 이는 여성 몸의 권력화 현상과 함께 여성의 성적 주체성 실현에서 나타나는 복식의 특성이다. 둘째, 커리어 우먼의 이미지로 나타나는 양성적 여성성성과 캐주얼한 이미지로 나타나는 무성적 여성성, 그리고 강인한 이미지의 복장전도를 통해 나타나는 남성화된 여성성으로 대표되는 성의 혼재 양상은 남성 지배 이념에서의 탈피와 기존의 이항 대립적이었던 성이 해체된 탈 여성성의 상징이다. 마지막으로 영화의상에서의 비속적 여성성의 이미지는 고급화된 취향이나 주류 패션을 거부하며 남성중심사회에 대한 저항의 수단으로서 취해진다. 이처럼 한국영화에서의 여성재현은 과거에 비해 주체적, 능동적으로 묘사되며, 보다 다원화된 성적 관계를 구성하는 여성 섹슈얼리티를 영화 속에서 구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한국 대중가요 가사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에 관한 질적 연구 -2000년~2019년 중심으로-

        박혜숙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A Qualitative Study of Sexuality in the Lyrics of Korean Popular Songs - Focused on 2000~2019 - Park, Hye-sook Dept. of Child and Family Welfar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Ulsan Supervisor: Prof. Jung, Min-ja This study began as there was a need raised for checking the culture and psychology of sexuality throughout Korean society, as it experiences a new controversy surrounding sex.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ity in the lyrics of Korean popular songs in the 2000s. Through the results, this study would emphasize that the individual’s healthy sexuality would be important in creating a smoo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ce again. In addition, this study would bring into relief the necessity of social purification of sex culture so that sex can be harmonized in human life beautifully and healthily. Moreover, this study would provide the baseline material of the education for establishing adolescents’ upright values of sexuality and forming the psychology of sex for the acquisition of gender sensitivity. To achieve these purposes,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contents of sexuality represented in the lyrics of Korean popular songs, using qualitative analysis tool, NVivo R1. As for subjects, 600 songs ranked top 30 each year for 20 years from 2000 through 2019 were selected from the chart by period provided on Melon, an online music streaming websit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 behavior, for sexual fantasy and desire, in the expressions of fantasy, there were expressions of fluttering feelings softly and emotionally alluded to things while in the expressions of desire, there were active expressions of desire to achieve by revealing one’s desire naturally even in a short meeting achieved instantly. In the songs sung by female singers as narrators express their desires carefully, passively, and indirectly while those sung by male singers as narrators express active and direct sexual behaviors. Second, of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 behavior, in temptation and pleasure-orientation, raunchy and blatant expressions of sex and the body were revealed. The songs expressed the ecstatic feeling given by sexual pleasure by objectifying the body, indulged in pleasure and made bold expressions of making the listeners naturally imagine sexual intercourse. The songs sung by female singers as narrators objectified their bodies and expressed their attractiveness actively. The attractive body acted as competitiveness in achieving their desire in the expressions. The songs sung by male singers as narrators played with sexual language, expressed temptation like throwing a joke or objectified the female body, which made the listeners imagine sexual expressions. Because of the process of showing sexual behaviors plainly, they consisted of expressions that indirect stimulated them or made them feel vicarious gratification. Third, in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 behavior, affair expressed the emotions of coping with the situation in which the partner was interested in the other opposite sex despite they were dating a person or caught for the fact of double dating. In the songs sung by female singers as narrators, there were expressions of mixed feelings about the partner’s affair, but most were firm expressions in which they would never forgive that. On the other hand, in the songs sung by male singers as narrators, there were expressions of sad feeling painful and hurt by the partner’s affair or a passive attitude in which they could not boldly end the relationship though they were aware of the affair. Fourth, in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 attitude, for sex role stereotype, there were expressions of asking men for responsibility and sense of mission, not to cry because they were men, not to express their difficulties, and to sacrifice for the family, instead.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contents of asking women to accept the saying that the late marriage is disadvantageous to women, to accept the customs of the social marriage system and the double standard to ask them to allow man’s affair but not woman’s and only to commit themselves to him and discriminatory expressions in which women should be passive and halfhearted in love and sexual expressions to be sweet-tempered women. As for the contents that deal with a crack in the gender binary, there were expressions of the expressions of their attractiveness provocatively and confidently with sexual appetite and the active exercise of sexual subjectivity. Fifth, in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 attitudes, for devotion to the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benefit for each partner must be enough to make the continuation of the relationship worthy to achieve a balance between the partners. And yet, there were expressions of unequal relationships in which they devoted themselves, wishing the maintenance of the relationship, but the value between the partners does not make a balance but break, so they is not guaranteed with the partner’s devotion. Toward the late-2000s, in the expressions of intimacy, there were more contents of expressing temptation and sexual pleasure than those of devotion to the relationship. Sixth, to examine changes in sexuality by period from 2000 through 2019, in the expressions of sexual behaviors and sexual attitudes in the lyrics of Korean popular songs, starting 2010, the lyrics expressing sexual behaviors outnumbered those expressing sexual attitudes much. It is inferred that this phenomenon acts much more strongly that it goes beyond the existing sexual norms, in the formation of sexuality achieved centering around sexual behaviors. As for the causes for the change of the characteristics of sexual fantasy, desire, and pleasure-orientation in the expressions of sexual behaviors from the mid-2000s to the late-2000s, the strengthening of the function of pleasure of sex in the expressions of lov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sex, and the femininity functioning as a sexual subject entering post-modern era.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exuality in a person are affected by personal growth and family and social environments. Especially, in adolescents’ digital environment utilizing sound sources, popular songs have powerful influence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studies of sexuality should continue in the future, considering the ecological systems of parents, school and friends affecting sexual behaviors and sexual attitudes. Key Words: Sexuality, Sexual behavior, Sexual attitude, Popular song, NVivo R1 국 문 초 록 한국 대중가요 가사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에 관한 질적 연구 -2000년~2019년 중심으로-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성(性)을 둘러싼 새로운 논쟁을 맞이하면서 한국 사회 전체의 성문화와 성 심리를 점검할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2000년대 한국 대중가요 가사 속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개인의 건강한 섹슈얼리티가 원만한 대인관계 형성에 있어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자 한다. 또한, 성이 인간생활에서 아름답고 건강하게 조화될 수 있도록 성문화의 사회적 정화의 필요성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나아가 청소년의 올바른 성 가치관의 확립과 성인지 감수성의 습득을 위한 전성(全性) 형성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질적 분석 도구인 NVivo R1을 이용하여 한국 대중가요 가사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에 관해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음원사이트 멜론에서 제공하는 시대별 차트 2000년부터 2019년까지 20년간의 매해 인기순의 30위에 해당하는 600곡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 행동의 특성에서 성적 환상 및 욕망은 환상에 대한 표현에서는 설레는 감정들을 부드럽게 감성적으로 사물에 빗대어 표현하지만, 욕망은 순간적으로 이루어진 짧은 만남에서도 자신의 욕구를 자연스레 드러내며 성취하려는 적극적인 표현이 나타났다. 여성 가수가 화자인 노래에서는 조심스럽게 수동적으로 자신의 욕망을 우회하여 표현하지만, 남성 가수가 화자인 노래에서는 적극적이며 직접적인 성행동을 표현하고 있다. 둘째, 성 행동의 특성 중 유혹과 쾌락 지향에서는 성과 육체에 대한 선정적이고 노골적인 표현이 그대로 드러났다. 성적 쾌락이 주는 황홀한 감정을 몸을 대상화하여 표현하고 쾌락을 탐닉하고 자연스레 성행위까지 상상하게 만드는 과감한 표현들이 나타났다. 여성 가수가 화자인 노래에서는 스스로 자기 몸을 대상화하여 자신의 매력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 자신의 욕구를 쟁취하는데 매력적인 몸이 경쟁력으로 작용하여 표현되었다. 남성 가수가 화자인 노래에서는 성적인 언어를 유희화하여 상대에게 농담 던지는 듯한 말투로 유혹의 표현을 하거나 여성의 몸을 대상화하여 성적 표현을 상상하게 만들고, 성적 행동의 과정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표현들로 인해 간접 자극을 주거나 대리만족을 느끼게 하는 표현들로 이루어져 있다. 셋째, 성 행동의 특성에서 외도는 현재 사귀고 있는 연인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이성에게 관심을 두거나 실제로 이중적 교제가 진행되고 있는 사실이 상대방에게 발각이 된 상황에서 이에 대처하는 감정을 표현하였다. 여성 가수가 화자인 노래에서는 상대의 외도에 대한 복잡한 감정을 표현하지만 절대 용서하지 않겠다는 단호한 표현의 곡이 많았다. 반면 남성 가수가 화자인 노래에서는 상대의 외도에 대한 상처 받은 마음을 고통스럽게 아파하는 슬픈 감정을 표현하거나 외도를 알고 있으면서도 과감히 관계를 정리하지 못하는 수동적인 태도가 나타났다. 넷째, 성 태도의 특성에서 성 역할 고정관념은 남성에게는 남자이기 때문에 울어서 안 되고, 힘든 것을 내색하지도 말고 오히려 그럴수록 남은 가족들을 위해 희생해야 한다는 책임감과 사명감을 요구하는 표현이 나타났다. 반면에, 여성에게는 늦은 나이의 결혼은 여성에게 불리하다는 사회적 결혼제도의 관습과 남성의 외도는 수용하고 여성의 외도는 용납할 수 없으며 자신에게만 헌신하라는 성 이중기준의 잣대를 요구하는 내용과 여성은 사랑과 성적 표현에 수동적이고 소극적이어야 참한 여성이라는 차별적 표현이 나타났다. 젠더 이분법의 균열을 다루는 내용으로는 성적 욕망을 가지고 자신의 매력을 도발적이고 당당하게 표현하고 적극적 성적 주체성을 행사하는 내용의 표현들이 나타났다. 다섯째, 성 태도의 특성에서 관계의 헌신은 파트너 각자가 관계에서 얻는 혜택이 관계의 지속을 가치 있게 만들 만큼 충분히 커야 당사자 모두의 균형이 유지될 수 있었다. 그러나, 관계가 유지되기를 바라고 헌신했으나 당사자 간의 가치가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깨어져 상대의 헌신을 보장받지 못하는 불평등한 관계가 표현되었다. 2000년대 후반으로 갈수록 친밀감의 표현에 있어 관계의 헌신보다는 유혹과 성적 쾌락을 표현하는 내용이 많이 나타났다. 여섯째, 2000년~2019년 시대별 섹슈얼리티의 변화를 살펴보면 한국 대중가요 가사에 나타난 성 행동과 성 태도의 표현에서 2010년을 기점으로 하여 성 행동의 표현을 나타내는 가사가 성 태도를 표현한 가사보다 훨씬 더 많이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성행동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섹슈얼리티가 성적 친밀성을 이루는데 기존의 성적 규범을 넘어설 만큼 훨씬 더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 2000년대 중반에서 후반으로 갈수록 성행동의 표현에 있어 성적 환상 및 욕망, 쾌락 지향의 특성이 많이 나타나는 변화의 요인에는 사랑의 표현에 있어서 성의 쾌락적 기능의 강화와 탈근대로 접어들면서 성에 대한 인식변화, 성적 주체로서 기능하는 여성성이 원인으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한 인간의 섹슈얼리티 형성과 발달은 개인의 성장과 가족 및 사회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특히 음원을 활용하는 청소년의 디지털환경에서 대중가요의 영향력은 강력하다. 이에 성 행동과 성 태도에 영향을 주는 부모나 학교, 친구의 생태체계를 고려한 섹슈얼리티 연구는 추후 계속되어야 할 것을 제언한다. 주제어: 섹슈얼리티, 성 행동, 성 태도, 대중가요, NVivo R1

      • 여성 섹슈얼리티의 자본화에 대한 창작 연구 : 창작소설 <비트의 세상> 외 2편 첨부

        이현숙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6

        여성 섹슈얼리티의 자본화에 대한 창작 연구 -창작 소설 <비트의 세상> 외 2편 첨부- A Study on the Capitalization of Women's Sexuality in Creative Works - With Three Creative Works Including The World of Beats - 문예창작학과 이 현 숙 지 도 교 수 이 국 환 본고는 현대 사회에서 자본과 여성 섹슈얼리티의 유기적 연관성에 주목한 연구로 필자의 창작품 <비트의 세상>외 2편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통해, 자본에 의해 소외되고 있는 여성의 정체성을 고찰한다. 즉, 소설에 등장하는 여성 인물을 중심으로 여성의 성과 자본, 권력의 관계를 해석한 것이다. 방법론으로 부르디외의 육체자본 및 문화자본에 대한 정의를 차용하였으며, 여성의 몸이 성적으로 강조되고 이를 여성 자신이 내면화 하는 기저에는 현대 사회의 소비자본주의 가치관이 작용하고 있음을 제시한다. 텍스트로 필자의 창작품 세 편을 선정했는데, 창작품 <비트의 세상>에서는 우리 사회에서 여성의 섹슈얼리티가 자본으로 인식되어가는 배경으로 소유지향적 실존양식에 기인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즉, 섹슈얼리티를 활용해 경제자본이 풍부한 남편과 결혼하고 상류계층의 소비생활을 영위하지만 현실에 만족하지 못하는 여성을 등장시킴으로써 상업자본주의적 물질에 의해 황폐해져 가는 인물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인물이 맹목적으로 타자를 지향함으로써 영원한 결핍에 시달리게 되고 이로 말미암아 소유지향성이 반복, 재생산되고 있음을 강조한다. <자드락비 내리는 날>에서는 여성이 교육이나 사회 진출, 복지혜택 등 여러 방면에서 남성과 동등한 기회를 부여받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여전히 경제자본을 비롯한 권력구조는 남성에게 편향된 현실을 그린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 속에서 하위주체인 여성은 섹슈얼리티를 활용해 상위주체의 남성으로부터 경제자본을 지원받는 것이 사회적으로 묵인되고 있음을 형상화한다. 그러한 사회적인 묵인 또는 종용이, 결국 여성의 성뿐 아니라 인격 자체를 남성의 대상물로 만들고 있음을 지적한 것이다. <낙원의 문>에서는 성형수술에 많은 돈을 투자하고 고급 취향의 취미를 체화시켜 경제자본을 갖춘 남성에게 접근하는 인물을 통해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상품으로 기획하고 있는 세태를 보여준다. 그러한 기획은 기성세대에 의해 의도되어, 소설 속 인물은 순수한 애정관계인 연인을 버리면서까지 성적 상품으로 개발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전형을 보여주는 인물을 형상화함으로써 반성적 성찰을 유도한다. 세 편의 작품에 등장하는 여성들은 최소한의 생계비마저 보장되지 않는 하층민부터 상류층까지 그 계층이 다양하며, 이들의 소유를 지향하는 욕망은 충족되는 순간 곧 결핍을 느낄 수밖에 없다. 본고는 이러한 현상에 대해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구조적 문제에서 원인을 제기한다. 즉, 소유지향적 가치관 때문에 상위계층의 소유 또는 소비를 흉내 내게 되는 타자지향적 가치관이 형성되고, 소유지향성과 타자지향성에 의해 여성의 성은 더욱 자본화되고 있음을 주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소유지향적이고 타자지향적인 사고방식이 여성들로 하여금 성을 활용해 소유 욕망을 충족하거나 신분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유도하고 있음을 고찰한 연구라 할 수 있다. 주요어 : 섹슈얼리티, 육체자본, 문화자본, 외모지상주의, 대상화, 상품화, 존재지향적 실존양식, 소유지향적 실존양식

      • 베트남전쟁 소설에 나타난 성(性)과 섹슈얼리티 연구

        김자영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6

        본고는 박영한의 『머나먼 쏭바강』과 황석영의 『무기의 그늘』, 이상문의 『황색인』 그리고 이원규의 『훈장과 굴레』와 안정효의『하얀전쟁』을 대상 작품으로 하여 베트남전쟁 소설에 나타난 성(性)과 섹슈얼리티를 고찰하였다. 다섯 작가 모두 베트남전쟁에 참전한 작가라는 공통점을 가지며 이들 작가는 자신의 참전 경험을 바탕으로 작품을 창작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성(性)이 생물학적 차이를 의미한다면 젠더는 사회 문화적으로 형성된 성 정체성을 의미하며 섹슈얼리티는 성과 관련된 권력 관계, 계급, 인종, 사회, 문화 등 보다 광범위한 범위에서 사용된다. 본고는 이러한 섹슈얼리티의 개념과 생물학적 성(性)의 개념인 남성과 여성이 베트남전쟁이라는 공간 안에서 성(性)과 섹슈얼리티가 어떠한 방식으로 욕망되고 억압되며 표출되는 가를 살펴보았다. 그럼으로써 당대 한국 사회가 산업화 시대로 향하는 발전주의 경제 체제 안에서 베트남전쟁 소설이 갖는 문학적 성취 또한 고찰하고자 했다. 먼저 2장 박영한의 『머나먼 쏭바강』에서는 '매춘'을 중심으로 성적 과잉의 성(性)과 섹슈얼리티가 등장한다. 다른 소설에 비해 비교적 이른 시기에 발표된 박영한의 『머나먼 쏭바강』은 격전지에서의 전투 장면보다는 주로 베트남전쟁에서 일어나는 '매춘'과 '성병'이 작품의 근간을 이룬다. 전쟁이 혼란과 혼돈의 예외적 국가 상황이라고 했을 때 『머나먼 쏭바강』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목적성 없는 모습으로 성(性)과 매춘에 집착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성(性)과 섹슈얼리티는 쾌락적 경향을 띠며 여기서 나타나는 성(性)의 모습은 숭고함은 사라진 채 오직 동물적 감감과 본능으로서만 작품 서사의 중심에 선다. 그러다가 등장인물들은 하나같이 귀국을 앞두고 현지 여성과의 일탈된 관계를 정리한다. 작품에서 이러한 한국군의 모습은 가부장적 한계와 모순을 갖는다. 3장 황석영의 『무기의 그늘』에서는 베트남전쟁의 다면성을 표상하는 성(性)과 섹슈얼리티가 나타난다. 먼저 베트남민족해방전선 비밀 요원으로 활동하는 팜 민은 베트남 민족을 위해 자신의 사랑을 희생시킨다. 작품에서 유일하게 순수한 인물로 설정된 팜 민은 혁명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데 이는 통일을 이룩한 북베트남 민족의 모습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두 번째로는 남베트남 정부군 소령인 팜 꾸엔과 한국의 기지촌 출신 여성인 오혜정을 중심으로 하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도구화된 성(性)의 모습을 살펴 볼 수 있다. 이 둘의 관계는 진정한 인간 대 인간의 관계가 아니라 두 사람 모두 베트남전쟁이라는 공간에서 많은 돈을 벌기 위한 목적만 지니고 있는 인물로 그려진다. 마지막으로는 전쟁의 잔혹한 모습을 보여주는 강간이다. 『무기의 그늘』에서는 베트남여성에게 일어나는 반인륜적 강간의 모습이 보고서 형식으로 기술된다. 이러한 서술 방식은 베트남여성에 대한 미군의 잔인성을 독자들에게 보다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4장 이상문의 『황색인』에서는 성(性)과 섹슈얼리티가 혼종되어 나타나면서 아시아인의 비극을 보여준다. 『황색인』에서는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그리고 베트남전쟁이 다뤄진다. 작품의 중심인물인 박노하를 중심으로 그의 외할머니는 일제강점기에 일본인 남성으로부터 강제로 임신을 하게 되어 박노하의 어머니를 낳았다. 박노하의 어머니는 한국전쟁에서 남편과 잠시 떨어져 지낸 사이에 남편의 친구인 사회주의자 나영대에게 강간을 당하여 박노하을 낳는다. 박노하는 자신이 아버지의 친자가 아니라는 사실에 충격을 받고 도피의 방안으로서 베트남전쟁에 자원한다. 자원한 베트남전쟁지에서 사랑하게 된 연인도 프랑스 점령기 때 그녀의 어머니가 프랑스군으로부터 강간을 당하여 그녀를 출산한 것이다. 이렇게 이상문의 『황색인』에서는 혼종된 모체의 성(性)과 섹슈얼리티가 등장하며 강간으로 발생된 모체의 혼종성은 결국 아시아인의 비극을 상징한다. 5장 이원규의 『훈장과 굴레』에서는 죽음의 비극으로 귀결되는 낭만적 성(性)과 섹슈얼리티가 나타난다. 주인공 박성우는 남베트남의 민사심리전 장교로 활동하는데 마을을 평정하는 과정에서 베트남 여성인 미야와 사랑에 빠진다. 그러나 박성우와 미야의 관계는 낭만적 사랑의 모습만을 띠지 않는다. 미야를 향한 박성우의 마음은 철저히 남베트남에 대한 자신의 욕망을 투영하면서 둘의 관계가 발전하는 양상을 보인다. 박성우는 탁월한 전략으로 민사심리전 임무를 수행하여 높은 성과를 올려 훈장을 받지만 결국 자신이 남베트남에서 추구하던 이상이 무너지는 것을 목격해야만 했다. 이 작품에서 박성우가 사랑한 미야는 결국 민족해방전선에 의해 마을 사람들과 함께 죽음을 맞고 박성우가 이룬 그의 이상이 담긴 업적은 모두 수포로 돌아간다. 결국 작품의 제목처럼 박성우가 국가로부터 받은 훈장은 남베트남 사람들을 죽음으로 가게 하였으며 그러한 훈장은 박성우에게 굴레로 작용한다. 끝으로 6장 안정효의 『하얀전쟁』에서는 한국인의 죽음으로 성(性)과 섹슈얼리티의 불모성이 나타난다. 『하얀전쟁』에서는 과거 베트남전쟁의 시·공간과 현재 한국의 사회적 배경이 교차 서술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 작품에서는 베트남전쟁에 다녀온 참전 군인이 한국 사회에서 적응하지 못한 채 계속해서 하강적 구도로써 나락으로 떨어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먼저 주인공 한기주의 전쟁 이후의 삶은 생산력을 상실한 성 불능의 신체로 나타난다. 여자와의 잠자리에서도 발기가 되지 않으며 불임 검사를 해보았지만 정상이라는 판정을 받아도 아내와의 사이에서는 아이가 생기지 않는다. 또한 직장에서는 좌천되는 등 계속 해서 추락하는 하강적 삶의 구도를 보여준다. 또한 베트남전쟁지에서 죽음을 위한 애도 행위로서 매춘이 등장한다. 다른 작품에선 매춘이 의미 없는 성적 과잉으로 나타나거나 여성을 성적 대상화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면 『하얀전쟁』에서는 베트남전쟁에서 죽음을 맞이하기 전 자신의 죽음을 애도하기 위한 제의 행위로서 매춘이 등장한다. 그리고 베트남에 참전한 한국군의 죽음이 『하얀전쟁』에서는 주된 서사를 이룬다. 이들 참전 군인에게 베트남전쟁은 끝나지 않은 전쟁이며 현재진행형의 전쟁으로 작용한다. 결국 이들은 참전으로 인한 트라우마로 현실사회에서 적응하지 못한 채 죽음을 맞는다. 이는 한국군의 죽음의 불모성을 드러내는 성(性)과 섹슈얼리티의 모습으로 그려진다. □ 주제어 : 베트남전쟁, 베트남전쟁 소설, 성(性), 젠더, 섹슈얼리티, 매춘, 이데올로기, 트라우마, 혼종성(混種性) In this paper, the aspects of sex and sexuality in the novels about the Vietnam War were examined through Park Yeong-han’s The Distant Songba River, Hwang Seok-yeong’s Shadows of Weapons, Lee Sang-mun’s Asians, Lee Won-gyu’s A Medal and a Bridle and Ahn Jeong-hyo’s White War. All the five writers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they participated in the Vietnam War, and it’s meaningful that they wrote their novels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s of joining the war.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sex and sexuality in the five writers’ novels about the Vietnam War. While sex means biological differences, gender refers to the identity of sex that has been formed socially and culturally, and sexuality is used in a broader scope of the power relations, class, race, society, culture and etc. related to sex. This paper aims at finding literary achievements of the novels of the Vietnam War in the progress-oriented economic system heading toward the era of industrialization in Korea in 1970s and 1980s through the relevant writers’ novels. In addition, what meanings the Vietnam War, which has become the foothold of the economic development of Korea, has in the writers’ novels, and how sex and sexuality have been embodied were analyzed. First, in Chapter Two, sexuality of sexual excess appears centered around ‘prostitution’ in Park Yeong-han’s The Distant Songba River. Park Yeong-han’s The Distant Songba River, which was published earlier than the other novels, is mainly about ‘prostitution’ and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in the Vietnam War rather than about battle scenes in the ferocious battlefield. As a war means an exceptional national situation of confusion and chaos, the characters in The Distant Songba River are obsessed with sex and prostitution with no purposes. Sexuality in this situation tends to be hedonic, and sex in this case becomes the center of the story only as an animal instinct and sense with its nobleness disappeared. Then, all the characters sever their deviant relationship with women in Vietnam before they come back to Korea. In the novel, this images of Korean soldiers show patriarchal limitations and contradiction. In Chapter Three, in Hwang Seok-yeong’s Shadows of Weapons, sexuality represents various aspects of the Vietnam War. First, Pham Minh working as a secret agent of the Vietnamese National Liberation Front sacrifices his love for the Vietnamese people. Pham Minh, who is described as the only innocent person in the novel, sacrifices himself for the revolution, which can be seen to mean the people of North Vietnam that has achieved the unification. Second, the novel describes sex as a tool in the capitalistic society focusing on Pham Qu'en, a major of the government army of South Vietnam, and Oh Hye-jeong from the Korean military camp tow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persons is not a true one between a human being and another, but both of them only pursue the goal of making a lot of money in the Vietnam War. Lastly, the novel reveals the brutality of the war through rapes. In Shadows of Weapons, the terrible rapes forced to Vietnamese women are described in the form of a report. This narrative style can be seen to play the role of delivering the American army’s cruelty toward Vietnamese women to readers more objectively. In Chapter Four, sexuality becomes mixed and Asians’ tragedy is represented in Lee Sang-mun’s Asians. In other words, Asians deals with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Korean War, and the Vietnam War. The main character of the novel is Park No-ha, and his maternal grandmother forced to have a baby by a Japanese m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gave birth to Park No-ha’s mother. Park No-ha’s mother was raped by Na Yeong-dae, her husband’s friend and a socialist, while she was separated from her husband for a while during the Korean War, and gave birth to Park No-ha. Park No-ha was shocked at the truth that he was not his father’s real son, and voluntarily joined the Vietnam War as a way to escape. His lover that he came to love in the Vietnam War was born because her mother was raped by a French soldier during the French rule. In this way, in Lee Sang-mun’s Asians, the sexuality of the mothers of hybridity appears, and the hybridity of the mothers which have occurred because of rapes ultimately symbolizes Asians’ tragedy. In Chapter Five, romantic sexuality ending up as death appears in Lee Won-gyu’s A Medal and a Bridle. Its main character, Park Seong-woo, works as an officer of civil affairs and psychological warfare in South Vietnam, and falls in love with a Vietnamese woman, Miya, while suppressing a village. However, the relation between Park Seong-woo and Miya is not just romantic. Their relationship develops while Park Seong-woo completely projects his desire for South Vietnam in his heart for Miya. Park Seong-woo carries out his mission of civil affairs and psychological warfare with excellent strategies, brings about good results, and wins a medal, but in the end, he has to witness his ideals he has pursued in South Vietnam collapsed. In this novel, Miya that Park Seong-woo has loved ended up being killed with other villages by the National Liberation Front, and all of Park Seong-woo’s achievements of his ideals were proved to be failures. As the title of the novel, the medal that Park Seong-woo has got from the government finally leads the South Vietnamese to death, and the medal works as a bridle on Park Seong-woo. Lastly, in Chapter Six, the sterility of sexuality is shown through a Korean’s death in Ahn Jeong-hyo’s White War. White War has the structure of the past of the Vietnam War and the present social background of Korea described in turn. In this novel, a veteran of the Vietnam War can’t adapt to Korean society and continues to fall into the bottomless pit in a descending structure. First, the life of the main character, Han Gi-ju, after the war is represented as his impotent body that has lost productivity. He can’t get an erection when sleeping with a woman, and even though he has been diagnosed as being normal after a sterility examination, he can’t make his wife get pregnant. Moreover, he becomes demoted in his work, and shows a descending structure of life that keeps falling. In addition, prostitution appears as an act of condolence of death in the Vietnam War. While prostitution appears as meaningless sexual excess or women become sexually objectified in other novels, prostitution appears in White War as a ritualistic act to mourn one’s own death before one is killed in the Vietnam War. Also, the death of Korean soldiers in the Vietnam War consists of the main story in White War. The death of veterans from the war is mainly dealt with in the novel, and to these veterans, the Vietnam War hasn’t ended, and works as an ongoing war. They eventually die without being able to adapt to the real society due to their trauma from the war. It’s depicted by the sexuality revealing the sterility of the death of the Korean soldiers.

      • 남성훼절소설의 섹슈얼리티 연구

        신민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고의 목적은「정향전」, 「지봉전」, 「종옥전」, 「오유란전」등 남성훼절소설에 나타난 섹슈얼리티를 연구하는데 있다. 남성훼절소설에서 섹슈얼리티 표출양상은 첫째, 훼절자는 통과제의 구조를 통해 성에대한 경험을 겪게 된다는 점, 둘째, 훼절의 모든 과정은 훼절계획자의 계획과 감시 안에서 이루어지며 훼절자와 훼절계획자의 갈등은 웃음으로 해결된다는 점, 셋째, 여성은 남성의 시선으로 타자화 된다는 것이다. 남성훼절소설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의 의미는 권력과 지식을 재생산한다는 것이다. 남성훼절소설의 통과제의적 구조는 지배 이데올로기를 내면화시켜 남성들의 섹슈얼리티는 자연스럽고 긍정적으로 그려진다. 통과제의구조는 그들의 성적 욕망을 더욱 확대 시키며 향유층의 공감을 이끌어 내는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지배층의 정치성을 표출하기위해 성이 이용되었다. 훼절자는 성욕을 부정함으로 권력에 도전하게 되는데 훼절계획자는 훼절을 이용하여 도전자를 굴복시켰다. 남성훼절소설은 권력의 주체가 성을 조직적으로 관리하고 조절 하여 통제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으며 성이란 권력 안에서 잘 관리되어야 하며 적절히 조절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반면 여성의 섹슈얼리티는 남성의 성적 향유와 지배층의 우월성을 강화시키는 도구적, 수동적이다. 여성들은 남성들의 성적 향유를 정당화 시키고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받아들이게 하며 남성 성욕의 정당성, 권력관계에서 우월성을 증명하는 효과적 장치가 되었다. 남성훼절소설은 남성섹슈얼리티를 강화시키는 서사이며 그 중에서도 잠재적 주체인 훼절계획자, 즉 권력의 중심인 남성들을 위한 이야기로 남성의 섹슈얼리티를 더욱 공고히 하며 지식과 권력을 재생산 하는 담론인 것이다. 본고는 남성훼절소설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의 의미를 고찰함으로 남성훼절소설에 담긴 다층적인 모습을 살피는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 한일 근대문학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의 변용

        명혜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805

        まさに‘女性’は、韓日の近代期に形成された一つの階級であった。近代以&#26469;、生物&#23398;的な側面からの&#35251;点を皮切りに、女性の身&#20307;と言葉、行動などに&#38306;する限りない議論が展開されている。なお、社&#20250;科&#23398;は女性を、ジェンダ&#12540;やセクシュアリティ理論により&#30740;究し、活&#30330;な言&#35500;を&#30330;展させてきた。 本稿は、近代韓&#22269;と日本で&#30330;表された文&#23398;作品に映った女性の生き方とセクシュアリティに焦点を&#24403;てた。社&#20250;的ㆍ&#27508;史的ㆍ文化的な脈絡の中で規定され活用される情況を捉えて、再&#26908;&#35388;を試みたのである。近代と共に誕生した女性たちは、新女性からプロレタリア女性へ、そしてモダンガ&#12540;ルへと&#22793;貌し、終局には現代女性である軍&#22269;の女性となった。常にそのセクシュアリティの&#22793;容を繰り返えして絶え間ない生命の燃&#28988;を&#32154;けてきたのである。したがって本&#30740;究では、セクシュアリティの&#35251;点から、&#24403;時の朝鮮作家の文&#23398;作品と日本作家の作品を次のように分析してみた。 第一、近代初期&#27431;米から流入したロマンチックラブの受容と展開、それに伴う朝鮮&#12539;日本&#20001;&#22269;社&#20250;の反&#24540;などを考察した。第二、資本主義の台頭とともに誕生したプロレタリア階級に焦点を&#24403;てたプロ文&#23398;作品を通じて、&#27177;力による性的搾取と性的蹂&#36505;を問題とし、その&#35251;点からの分析を試みた。第三、モダンガ&#12540;ルの登場と彼女たちの性的逸&#33073;をにライトを&#24403;て、これも生命の一つの流れとして把握した。と同時に&#25126;&#20105;末期の1940年代において&#25126;&#20105;協力作家と&#31216;される女性作家の作品を通じて、彼女らの選&#25246;と&#25126;略を分析して女性&#23398;的考察を試みた。 文&#23398;&#30740;究が最終的に&#24112;する姿は結局&#32207;&#20307;批評または&#32207;合的&#30740;究であろう。本稿は&#32207;&#20307;的&#30740;究の形を取り、各部分を十分に&#26908;討し、重要な部分をどれ一つも略さず&#23550;象の姿を浮き彫りにしようと努めた。そこから近代の女性たちの生き方が再&#26908;&#35388;され、さらにセクシュアリティの新しい&#30740;究が進行&#12539;&#20307;系化された時、韓日の近代文&#23398;に表象されたセクシュアリティの&#22793;容に&#38306;する&#30740;究は、韓日における文&#23398;史の重要な一角を&#25285;うであろう。 &#30740;究範&#22258;はロマンチックラブをテ&#12540;マとしているモダニズム系文&#23398;の胎動から出&#30330;した。一つの新しい思想的傾向が&#21454;容され&#25313;散した時、そこには必要不可欠な理由がある。この必要不可欠な理由を探し出すのが何より重要であると思い、母胎を探る作業を行なった。&#30740;究の範&#22258;は、朝鮮と日本近代期(1910年代~1940年代)に&#30330;表された文&#23398;作品とし、長編小&#35500;5編、中編小&#35500;2編、短編小&#35500;21編、評論6編、&#38609;誌2編を用いた。 本稿での&#30740;究方法は比較文&#23398;的側面である。比較文&#23398;は、多&#27096;な文&#23398;作品とその周&#36794;の&#32207;&#20307;的&#20869;容を相互&#38306;係によって&#30740;究するのが本&#26469;の領域である。韓&#22269;近代のモダニズム系文&#23398;とプロレタリア文&#23398;は大部分おいて日本を中&#32153;者として 受容された。したがって、韓日間の影響史と、それを受容せざるを得なかった理由と、文&#23398;の&#20869;容が持つ意味抽出に重点を置いて作業した。このような方法をとることで、韓&#22269;の近代モダニズム系文&#23398;の位相が新しく評&#20385;されるだろうし、ひいては新しい意味が付&#19982;されることを期待する。 本稿では、近代(1910年~1940年代)を次の三つの時期に分けて論じた。 第1期は、近代文明が流入し、新女性の出現があった1910年代初盤から1920年代の半ばに&#21306;切ってこれは本論の第2章にあたる。第2期は、マルキシズムが&#31216;揚されプロレタリア女性が台頭した1920年代の半ばから1930年代の半ばまでに限定。これが第3章にあたる。第3期は、世界&#32076;&#28168;大恐慌によって性の商品化の時代が到&#26469;、モダンガ&#12540;ルの誕生を迎えた1930年代の半ばから1940年代の半ばまでで、第4章にあたる。さらに詳しく分けると、第1期にあたる1910年代初めから1920年代の半ばの韓日には新女性と新しい女が登場していた。彼女たちは新しい&#23398;問を習得し&#27431;米の新思想を積極的に受け入れて新しい文化の主役として浮上していた。第2章では、特にこの時期においては米&#22269;のエレン&#12539;ケイの&#24651;愛&#35251;が韓日&#20001;&#22269;の女性たちの手引きになったことを主張。小&#35500;のヒロインに焦点を合わせてセクシュアリティの諸&#27096;相を導出した。さらに、日本の大正期に形成された生命思想において朝鮮との影響&#38306;係を比較分析するために、第2章の第1節では、ナ&#12539;ヘソクの「キョンヒ」と宮本百合子の『伸子』、そして女性&#38609;誌『&#38738;&#38812;』や『新女子』の創刊&#36766;を分析して、韓日&#20001;&#22269;の新女性たちの啓蒙的な言&#35500;である<人間らしく>生きる方法とロマンチックラブの&#30330;見について論じた。ここでは主にベルグソンの『創造的進化』(1907)と鈴木貞美の『大正生命主義と表現』(1995)、『生命で&#35501;む日本近代』(1996)を理論書として取り上げた。第2節では、キン&#12539;イルヨプの「自&#35226;」と田村俊子の『彼女の生活』を通じ、ロマンチックラブの受容過程を分析した。また、&#21416;川白村の『近代の&#24651;愛&#35251;』から‘&#24651;愛至上主義’の考察及び有島武&#37070;の評論『惜みなく愛は奪ふ』を中心に‘エゴイスチックな愛’と生命の接点について言及した。と同時に、韓&#22269;のソン&#12539;ジンウの「&#24651;愛論」とイ&#12539;カンスの「婚姻に&#38306;する&#29421;い識見」、ヨム&#12539;サンソプの「個性と芸術」、「朝鮮小&#35500;家の&#24651;愛&#35251;」などを分析、韓日間の影響&#38306;係を明らかにした。第3節では、キム&#12539;ミョンスンの「振り替えた時」と宇野千代の「幸福」を取り上げ、ロマンチックラブの展開過程を追究した。ここでは金子洋文の『近代帝&#22269;日本のセクシュアリティ』(1930)を主に使用した。第4節では、キム&#12539;ドンインの「じゃがいも」と&#27178;光利一の『悲しみの&#23550;&#20385;』を分析して、第1期の新女性たちの主義と主張が&#20001;&#22269;の男性作家たちにどのように反映したのかを&#26908;&#35388;した。そのためメアリ&#12540;ダグラスの『汚穢と禁忌』(1969)を理論書として使い、‘不正’と‘&#27972;化’との&#38306;係を明らかにした。 その結果、韓&#22269;の新女性と日本の新しい女はロマンチックラブを通じて近代的なセクシュアリティを表明、制限的あっても&#20001;&#22269;社&#20250;に生命の燃&#28988;として認められた。しかしこのような女性たちの開放的なセクシュアリティはパ&#12540;トナ&#12540;と思った男性知識人たちによって阻止されることとなり、韓&#22269;の新女性(ナ&#12539;ヘソク、キム&#12539;イルヨプ、キム&#12539;ミョンスン)は社&#20250;から葬られた。これを&#25945;訓にした次世代女性作家たちはプロレタリア文&#23398;者を標榜してプロ文&#23398;に&#23554;念するようになった。 ‘여성’은 한일 근대기에 형성된 하나의 계급이었다. 오늘날 과학은, 여성에 대한, 여성의 몸과 말이나 글, 행동 등에 대한 무수한 담론을 증식시켜 왔다. 또한 사회 과학은 여성을 생물학적 측면에서 바라보는 관점을 시작으로, 젠더와 섹슈얼리티 이론에 의한 여성의 사회학적 측면 연구에 활발한 의욕을 보이고 있다. 본고는 근대 한국과 일본에서 발표된 문학 작품에 투영된 여성의 삶과 섹슈얼리티가 사회적·역사적·문화적 맥락 속에서 규정되고 활용되는 정황을 포착하여 재조명하였다. 근대와 함께 탄생한 여성들은, 신여성에서 프롤레타리아 여성으로, 모던걸로, 그리고 종국에는 현대여성인 군국의 여성으로 그 섹슈얼리티의 변용을 거듭하며 끊임없는 생명의 연소를 시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당시의 조선 작가들의 문학작품과 일본 작가들의 작품을 섹슈얼리티의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분석을 시도하였다. 첫째, 근대 초기에 유입된 로맨틱 러브의 수용과 전개, 그리고 그에 따른 한일 양국 사회의 반응 등을 살펴보았다. 둘째, 자본주의의 대두와 함께 탄생한 프롤레타리아 계급을 조명한 프로 문학 작품을 통해, 권력에 의한 성적착취와 콜론타이즘적인 성적유린을 문제적 시점에서 분석하였다. 셋째, 모던걸의 등장과 그녀들의 성적일탈을 조명하여, 이 또한 생명의 한 흐름으로 파악하였다. 아울러 전쟁 말기인 1940년대의 전쟁협력 작가로 알려진 한일 여성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그들의 선택과 전략을 읽어내어 소통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문학 연구가 최종적으로 귀착할 모습은 결국 총체 비평 또는 종합적 연구일 것이다. 부분 부분이 충실히 연구된 단계에서 중요한 부분을 어느 하나도 생략하지 않은 채 대상의 모습을 종합적으로 드러내는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총체적 연구를 가늠하고자 하였다. 앞으로 근대의 여성들의 삶이 재조명되고 이에 따른 섹슈얼리티의 새로운 연구가 진행되어 체계화될 때 한일 근대문학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의 변용에 대한 연구는 한일 문학사의 중요한 한 부분으로써 그 역할을 다할 것이다. 연구범위는 로맨틱 러브를 테마로 한 모더니즘계열 문학의 태동에서부터 출발하였다. 하나의 새로운 사상적 경향이 수용되어 확산될 때에는 거기에는 필연적 이유가 있다. 이 필연적 이유를 찾아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모태(母胎)를 찾고자 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한국과 일본 근대기(1910년대~1940년대)에 발표된 문학 작품을 그 대상으로 하였으며, 주 텍스트로는 장편소설 5작품과 중편 2작품, 단편소설 21작품, 평론 6작품, 잡지 2편을 사용했다. 본고에서의 연구방법은 비교문학적 측면이다. 비교문학의 기본적 목적은 각양각색의 문학과 그 주변의 총체적 내용을 상호관계에 따라 연구하는 것이 본래의 영역이다. 한국 근대의 모더니즘계열 문학과 프롤레타리아 문학은 대부분 일본을 중계자로 하여 수용하였기 때문에, 한일 간의 영향사와 이를 수용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와 내용이 갖는 의미 추출에 중점을 두어 작업하였다. 이러한 방법이 동원됨으로써 우리나라 근대 모더니즘계열 문학의 위상이 새롭게 평가 될 수 있으며, 나아가 새로운 현재적 의미가 부여되리라 믿는다. 본고에서는 근대(1910년~1940년대)를 다음과 같이 세 시기로 나누어 논하였다. 제1기는 근대화의 문물이 들어오고 신여성의 출현이 있었던 1910년대 초반부터 1920년대 중반으로 하였으며, 본 논문의 제2장에 해당한다. 제2기는 마르크시즘이 유입되어 프롤레타리아 여성이 대두한 1920년대 중반부터 1930년대 중반까지이며, 논문의 제3장에 해당한다. 제3기는 세계경제 대공황으로 인해 성의 상품화 시대가 도래, 모던걸의 탄생을 맞이하게 되는 1930년대 중반부터 1940년대 중반까지로 논문의 제4장에 해당한다. 세부적 방법을 말하자면, 제1기에 해당하는 1910년대 초반부터 1920년대 중반의 한일 여성들의 동향을 살펴보면, 한국에는 신여성, 일본에는 새로운 여자(新しい女)가 등장하였다. 그녀들은 신학문을 습득하고 구미의 신사상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새로운 문화의 주체로 부상했다. 제1기에 해당하는 제2장에서는 특히 이 시기에 엘렌 케이의 연애관이 양국 여성들의 지침서가 되었음을 주지, 소설 속의 히로인에 초점을 맞추어 섹슈얼리티의 제 양상을 도출해 내었다. 또한 일본의 다이쇼(大正)기에 형성된 생명주의에 대한 한국의 영향관계를 비교 분석하기위해 제2장 제1절에서 나혜석의 「경희」와 미야모토 유리코의 「노부코(伸子)」, 여성 잡지 「세이토」와 「新女子」의 창간사를 통해, 한일 양국의 신여성들의 계몽적 언설인 <인간답게> 사는 방법과 <로맨틱 러브>의 발견에 대해 조명하였다. 여기에서는 주로 베르그송의 「創造的進化」(1907)와 스즈키 사다미의 「다이쇼 生命主義와 表現」(1995), 「生命으로 읽는 日本近代」(1996)를 이론서로 사용하였다. 제2절에서는, 김일엽의 「자각」과 다무라 도시코의 「그녀의 생활(彼女の生活)」을 통해, <로맨틱 러브>의 수용 과정을 분석하였다. 또한 평론으로 구리야가와 하쿠손의 「近代의 □愛□」에서 ‘연애지상주의’고찰 및 아리시마 다케오의 「사랑은 아낌없이 빼앗는다(惜みなく愛は奪ふ)」를 중심으로 ‘이기적 사랑’과 생명의 접점에 대해 논하였다. 아울러 한국 작품으로는 송진우의 「연애론」과 이광수의 「혼인에 관한 좁은 식견」, 염상섭의 「개성과 예술」, 「조선 소설가의 연애관」등을 분석하여 한일 간의 영향관계를 분명히 하였다. 제3절에서는 김명순의「돌아다 볼 때」와 우노 지요의「행복(幸福)」을 통해, <로맨틱 러브>의 전개과정을 살펴보았다. 여기에서는 가네코 요분(金子洋文)의 「近代帝」日本의 섹슈얼리티&#30495;(1930)를 주 이론서로 사용하였다. 제4절에서는 김동인의「감자」와 요코미츠 리이치의 「슬픔의 대가(悲しみの代」)&#30495;를 분석해, 제1기 신여성들의 주의와 주장이 한일 남성작가들에게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메리 더글라스의 「汚穢와 禁忌」(1969)를 이론서로 사용해 ‘부정’과 ‘정화’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신여성과 일본의 새로운 여자들은 로맨틱 러브를 통해 근대적인 섹슈얼리티를 표명하였으며 이는 한시적이나마 양국 사회에 생명의 연소로써 인정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쁨도 잠깐, 여성들의 개방적인 섹슈얼리티는 파트너라고 생각했던 남성 지식인들에 의해 저지를 당하게 된다. 이에 한국의 신여성(나혜석, 김일엽, 김명순)은 사회적으로 매장되었으며, 이를 교훈삼은 차세대 여성 작가들은 프롤레타리아 문학자를 표방하며 프로문학에 전념하게 된다. 제2기인 1920년대 중반부터 1930년대 중반까지는 프롤레타리아 문학이 거대 담론으로 뿌리를 내렸던 시기이다. 1920년대 중반을 전후로 한일 양국 문단에 태동한 마르크시즘에 입각한 프롤레타리아 문학은 종래의 순수문학과 비교해 작품성이 떨어진다는 평은 있지만 문단에 끼친 영향의 지대함은 부정할 수 없다. 2기에 해당하는 제3장에서는 프롤레타리아 문학 속의 무산계급 여성을 둘러싸고 전개되는 섹슈얼리티에 중점을 두고 탐구하였다. 이 시기의 이론서로는 소련의 콜론타이에 의한 연애론을 들 수 있으며, 콜론타이즘적 시각이 섹슈얼리티와 결부되어 작품 속에 투영되어 있음을 추출해 내고자 하였다. 또한 근대 초기에 대두한 신여성들은 정조 이데올로기에 초점을 맞추어 가부장제를 매우 엄하게 비판해 왔기 때문에, 남성 지식인들을 당혹케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그녀들의 행동이나 발언은 일탈로 간주되어 억압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신여성들은 페미니즘 운동을 부문화해 가면서, 민족 운동이나 사회 운동으로 그 모습을 바꾸어 갔다. 제3장 제1절에서는 김말봉의「망명녀」와 노가미 야에코의 「마치코(&#30495;知子)」를 통해, 신여성들의 프로 여성으로의 변모를 둘러싼 고뇌와 <품위 있게> 사는 길을 선택한 배경을, 부르디외의 아비튀스 (「삐엘 부르디외의 世界」, 2007)이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제2절에서는, 유진오의「여직공」과 미야모토 유리코의「유방(乳房)」에 나타난 계급투쟁 현장에서의 남성동지에 의한 여성의 성적유린을 문제시 하였다. 이를 위해 가와무라 구니미쓰의 「섹슈얼리티의 近代」(1996)를 참고하였다. 제3절에서는 강경애의 장편소설 「인간문제」와 하야시 후미코의 장편 「방랑기(放浪記)」가 프롤레타리아 여성의 냉엄한 현실과 젠더적 고뇌가 잘 나타난 작품이라는 점을 주지하여, 장소 이동을 통한 여성들의 ‘방랑’을, E.Relph(1976)의 「장소와 장소상실」, 장석주의 「장소의 탄생」(2006) 등의 장소이론을 통해 고찰하였다. 제4절에서는 월북 작가 이북명의 일본어 작품「벌거숭이 부락(裸の部落)」과 백신애의「적빈」에 나타난 농민의 빈곤과 부성상실에 대한 문제를 시대상에 비추어 조명하였다. 여기서는 주로 오구라 지카코의 「젠더 心理&#23398;」(2000)을 사용하였다. 제5절에서는 강경애의「원고료 이백원」과 사타 이네코의 「잇꽃(くれなゐ)」을 프롤레타리아를 끝낸 ‘아내의 역할’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특히 그 동안의 정신적 지침서였던 마르크스즘이 막을 내리자 다시 가부장제로 회귀하려는 남편과 아내의 갈등을, 우에노 지즈코의 「家父長制와 資本制」(1990)를 통해 분석하였다. 1920년대 중반부터 30년대 중반까지 지속되었던 프롤레타리아 문학은 신여성들의 프롤레타리아 여성으로의 변모에 주목하며 마르크시즘 안에서 착취되는 여성들의 성문제를 부각시켜 그에 따른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자본주의의 대체 개념으로 신봉되었던 마르크시즘도 세계 경제의 난관 앞에서 그 한계를 드러내며 종말을 고하였다. 이어서 등장한 한일 양국의 모던걸들은 신여성이나 프롤레타리아 여성들과는 달리 적극적인 경제적 관념을 수반한 섹슈얼리티의 실천이 두드러진 세대였다. 제3기에 해당하는 1930년대 중반에 접어들면, 프롤레타리아 문학을 주도했던 문인들의 사상적 전향이 뒤따른다. 전향 후 그들은 대중에게 눈을 돌려 다시금 관능을 주제로 한 작품을 발표하였다. 1926년을 기점으로 신문과 잡지 등에 모던걸이라는 문구가 등장하기 시작하며, 소설 속의 여성들 또한 신여성들의 변모 된 형태인 모던걸이 차지하게 된다. 그리고 그녀들의 개방된 성의식과 섹슈얼리티는 많은 독자층을 확보하기에 이른다. 또한 모던걸은 관능미를 매개로 경제문제를 풀어가는 새로운 시대적 메신저로서 자리매김 된다. 모던걸의 존재 이유는 인습적인 부인의 도덕과 남녀관계나 생활양식을 과감히 파괴한 데에 있었다. 우리들이 모던걸에 주위를 기울이는 것은 그들의 출현이 좋은 의미에서든 나쁜 의미에서든 시대의 선구이기 때문이다. 적극적인 의미에서 보면, 그것은 구래의 습관에 대한 반항운동의 출현이며, 소극적인 의미에서는 신시대의 남자의 취미에 응하기 위해서 완성된 유행이자 시대정신의 산물이었다. 이 시기는 기자로 중국에서 활동한 미국인 아그네스 스메들레의 연애론이 이론서로서 탐독되었다. 제3기에 해당하는 제4장 제1절에서 취급한 이효석의 일본어 작품「은빛 송어(銀の&#40018;)」와 나혜석의「현숙」은 근대의 연애 담론인 로맨틱 러브에서 한 걸음 나아간 포스트 모더니즘적인 새로운 연애와 결혼형태를 제시하였다. 이를 조명하기 위해, 당 시대를 가늠할 수 있는 나혜석의 에세이,「우애결혼·시험결혼」(1930),「신생활에 들면서」(1935)와 장(윤)필화의 「여성ㆍ몸ㆍ성」(1999), 가노 미키요의 「買春과 日本文」(2002)을 이론서로 사용하였다. 제2절에서 취급한 김말봉의 일본어소설「고행(苦行)」과 우노 지요의「미련(未練)」은 기혼여성과 기혼남성에 의한 이른바 불륜이 테마이다. 이러한 일탈적 섹슈얼리티를 오구라 지카코의 「섹스신화 해체신서」(2005)와 기타자와 슈이치의「모던걸」(1924)을 통해 고찰하였다. 제3절에서는 이효석의「산협」과 미야모토 유리코의「한 송이 꽃(一本の花)」을 여성의 낳는성을 중심으로 재조명하였다. 여기서는 이효재의 「남성과 한국사회-한국사회의 남성 이데올로기」(1997)와 J.G.Frazer의 「황금가지」(장병길譯, 1990)를 통해 한국인의 생명관을 분석하였다. 제4절에서는 이효석의 일본어 소설「엉겅퀴의 장(&#34186;の章)」과 나카노 시게하루의「수양딸(娘分の女)」을 여성 섹슈얼리티의 타자화에 주목하여, 나라와 자존심을 상실한 한일 남성들의 자존심 회복에 대한 언설을 읽어내고자 했다. 김윤식의 「일제말기 한국작가의 글쓰기론」(2003)을 참고하였으며, 후쿠자와 유키치의 「文明論之略」(1875) 등을 통해 우생사상을 조명하였다. 아울러 1940년대 문학작품에 나타난 전쟁과 여성에 대해, 최정희의 일본어소설「환영의 병사(幻の兵士)」와 사타 이네코의「둔감(づかざりき)」을 통해 밝히고, 전쟁협력 작가로 낙인찍힌 두 작가와의 소통을 시도하였다. 여기에는 다카하시 데쓰야의 철학서 「국가와 희생」(이목譯, 2008)을 통해 그녀들이 행한 ‘선택’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으며, 두 소설의 공통 테마인 로맨틱 러브 구조를 밝히기 위해, 우에노 지즈코의 역작 「女子의 快&#27005;」(2006)에 언급된 <짝 환상>이론을 사용하였다. 프롤레타리아 문학이 막을 내린 1930년대 중반부터 대두한 모던걸들은 세계 대공황을 통해 이미 경제를 학습한 세대였다. 따라서 로맨틱 러브에서 추구했던 순정만으로는 의식주라는 ‘현실’을 해결할 수가 없었다. 그녀들은 경제난을 극복하기 위해 자신들의 섹슈얼리티를 사용했으며, 자유로움을 추구하기 위해 이혼과 불륜을 거듭하였다. 이러한 그녀들의 삶의 방식은 <일탈>로 간주되어 또다시 사회의 지탄을 받게 된다. 그러한 와중 속에서도 여성들은 끊임없이 낳는성에 대해 고민하며 남성의 뒷모습이 아닌 ‘여자’로서의 삶을 동경하는 진지함을 보였다. 본고는 한일 근대 모더니즘계열 문학과 프롤레타리아 문학에 나타난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비교문학적 측면에서 총체적으로 규명하였다. 한일 근대 문학에 대한 기왕의 연구는 대부분 한국과 일본 중 어느 한 쪽에 치중되거나, 인사이더 문학자에 대한 작가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작품론에 있어서도 세심한 고찰이 부족했다. 따라서 근대 초기 한국 문학자들이 대부분 일본 유학을 경험한 점에 착안하여, 먼저 그들의 창작에서 나타난 일본과의 영향 관계를 살피고, 기왕의 연구에서 간과 되었거나 소홀히 다루었던 점을 규명하는 데 주력하여, 근대문학 속에 표상된 여성의 몸, 언어, 삶에 대한 묘사를 젠더와 섹슈얼리티 이론에 의거 분석 재조명, 정립하고자 했다. 이상에서 밝혔듯이, 근대 소설 속에 묘사되는 여성들의 섹슈얼리티는 로맨틱 러브를 수용하며 태동하여, 소설 속의 여주인공들은 기생, 카페의 여급, 그림 모델, 대학 청강생 등으로 섹슈얼리티의 변용을 거듭하며 한동안 강한 생명력의 연소를 보인다. 신여성들이 ‘새로워지기’ 위해서는 구습이라는 엄격한 규범을 향해 정면으로 도전할 필요가 있었으나, 한국의 신여성들이 섹슈얼리티 문제를 거론하려 하면, 거기에는 이미 일본보다 더욱 엄격한 유교적 규범이 가로막고 있으므로 가일층 진보적이어야 했으며, 그에 대한 당연한 귀결로 보다 혹독한 비판을 받으며 가혹한 운명에 빠지게 되었던 것이다. 이 후로 한일 여성 작가들은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이론을 빌려 권력자에 의한 여성들의 성적 유린을 고발하는데 보조를 같이했다. 또한 여성들은 식민자 피식민자라는 각자의 입장에서 전쟁에 동원되어, 국책 협력 작가로 변모한 후에도, 로맨틱 러브 구조를 응용해 군국의 현대여성 이미지를 만들어 脫性化된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창조해 내었다. 아울러 한일 양국의 여성들은 페미니즘 운동이 시작된 이래로 줄곧 여성들 간의 연대인 시스터훗을 실천해 온 사실을 작품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처럼 한일 근대 초기에 수용된 <로맨틱 러브>는 1910년대를 시작으로 1940년대 중반까지 일관되게 소설의 한 테마로 자리매김 되어 왔으며, 끊임없는 섹슈얼리티의 변용을 꾀하여 생명력의 연소를 실천해 왔음을 규명하였다.

      • 생애사를 통해 본 여성노인의 섹슈얼리티

        김연순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5

        본 연구는 생애사 연구방법을 통해 여성노인의 섹슈얼리티와 그 의미를 노인의 관점과 여성의 관점을 견지하여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생애사 연구방법은 개인의 고유한 경험이 사회적 상황이나 사회적 규범과 만나면서 선택된 것으로 보고 그 선택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해석하고 의미부여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섹슈얼리티는 신체적 의미의 성(sex)뿐만 아니라 성과 관련된 모든 양태들을 포괄하는 총체적 개념으로 가장 사적인 영역이면서 동시에 사회적 구성물이다. 이러한 섹슈얼리티가 근·현대사를 살아온 한국의 여성노인에게 어떻게 경험되고 어떤 양태로 드러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여성노인의 섹슈얼리티가 갖는 사회적·개인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60~70대 여성노인 10명을 심층면접하였고, 분석은 범주적 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생애는 같은 시대를 살아온 세대적 특징을 보였다. 그러나 그 안에서 개인의 고유한 경험은 섹슈얼리티 인식에 차이를 드러내기도 하였다. 여성노인의 섹슈얼리티와 관련하여 살펴보고자 한 것은 주로 결혼생활을 시작으로 맺게 된 성적 관계와 성 욕구, 성과 관련된 규범적 태도 등이 어떻게 수용되고 해석되는지와 그 현재적 의미이다. 이를 통해 여성노인의 섹슈얼리티는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첫 번째의 유형은 여성으로서 삶이 부정적 경험과 갈등이 많았고, 시대적 아픔, 관습적인 제약을 강하게 받은 ‘훼손에 의한 부정(否定)’의 섹슈얼리티이다. 두 번째 유형은 남편과의 성적 관계가 균형적이지 못하여 여러 가지 욕망의 좌절과 지연(遲延)을 경험한 경우이다. 특히 연구참여자들에게 고정적인 것으로 인식되어지는 성 역할에 자신들의 삶이 부합되지 못했다는 평가는 아직까지 화목한 가정과, 안정적인 경제사정, 자신들의 사회적 성취 등을 아쉬움으로 표현하였다. 그러므로 다음 생, 또는 다음 기회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있는 ‘소외된 욕망, 아쉬움’의 섹슈얼리티이다. 마지막으로 남편과의 성적 관계가 친밀한 소통을 바탕으로 하고 있고, 배려를 통해 유지되고 있다고 믿으며 여성으로서의 삶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조화로움의 추구, 만족’의 섹슈얼리티이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들은 공통적으로 성 욕구는 노화로 인한 성 기능의 감퇴와 함께 자연스럽게 감소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연구참여자들에게 성 욕구에 대한 개인적 인식은 자신이 겪은 생애 경험과 성적 대상과의 경험, 그리고 사회적 규범의 내면화 정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연구참여자들은 성적 정체성을 모성적 존재로 보는 경향이 강하게 드러나고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이 성적 관계를 인식함에 있어서는 남성을 낭만적인 사랑의 대상이라기 보다는 외로움을 나누는 노년의 친구와 같은 존재로 표현하였다. 그러나 구체적으로는 그간의 성 역할 수행과 친밀감의 공유에 따라 상대에 대한 의미부여에 차이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연구참여자들은 노년을 맞아 섹슈얼리티에 제한된 삶보다는 총체적으로 자기애에 대한 노력을 더욱 갈망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러므로 사회적으로 여성노인의 섹슈얼리티에 대해 차별적 인식을 갖지 않는 태도와 함께 여성노인의 개별적 욕구 또한 전체적인 것으로 왜곡하지 않는 태도와 지원도 요구된다. 또한 그동안 여성노인이 자기결정권을 행사하지 못했고 일방적이라고 인식되어진 성적 관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노년기를 맞은 부부간의 친밀성과 배려를 중심으로 한 노년기 성 교육 프로그램과 노년기 부부관계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하다. 더불어 연구방법을 사용함에 있어 노년기 생애사 학습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생의 마지막 시기라고 알 수 있는 노년기에 자신과 타인과의 관계를 재조명해 보고 삶의 의미를 반추하면서 자아 통합의 기회로 활용 할 수 있는 노년기 생애사 학습 프로그램 개발도 요청되어진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Korean old women's sexuality in the aspects of age and gender. In this study, sexuality implies sexual feelings, attitudes, and activities from one's own experience and social relationship. In order to understand what sexuality is, the research of life history has been used; in this research, it is believed that an individual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his or her society. 10 women from sixties to seventies were in-depth interviewees. The result follows: Here are three types of old women's sexuality. The first type is formed by "destructive and denied sexuality" because of the conflicts between their own desire and social custom. The second one is shaped by "isolated and disappointed sexuality" due to their negative judgement on the ideal gender role. The last one is created by "harmonious sexuality" thanks to the sexual satisfaction with their husbands. Seemingly, they believe that it is a natural phenomenon for sexual desire to decrease as they are getting older. However, there exists an different individual recognition about their sexual requests according to private experience and the degree of accepting social convention. The most outstanding common feature is that they try to love themselves beyond their limited sexuality. In conclusion, it argues that the social attitude toward old women's sexuality has been considered to be wrong recently. This means we should make an effort to change our attitudes toward aged women's sexuality. In other words, we shouldn't have an discriminative angle toward it. At the same time, to have our understanding of old women's sexuality, the government have to develop sex education programs during old age and learning programs for life history of old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