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내·외 수학 성취도 검사에서 나타난 성별 차이에 관한 연구

        이영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2

        수학 학습 성취도와 태도에 관한 성별 차이를 발표한 기존의 연구는 남학생에게 유리한 결과를 제출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성별 차이에 대한 전통적인 견해를 반영한 것으로, 검사의 준거로 교내에서의 척도가 아닌 표준화된 검사도구로 조사되었다. 표준화된 검사에서는 남학생의 성취도가 우수하며, 특히 상위권의 학생들 사이에서 그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난다. 한편 성별 차이에 대한 새로운 견해는 교내검사에서 측정된 여학생의 높은 점수와 수업 태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교내검사에서는 성별 차이가 없거나 성별 차이가 발견되더라도 그 차이는 여학생에게 유리하게 나타나며, 중학생에서부터 대학생에 이르는 광범위한 표본에 대해서 일관적이다. 이와 같이 검사도구의 종류에 따라 수학 성취도에 있어서의 성별 차이가 대조적으로 나타나므로, 교외검사의 결과만을 중요시하는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교내검사의 결과를 함께 분석하는 입장에서 동일 표본의 교외점수와 교내점수를 동시에 비교 조사하였다. 또한 동일 학생의 교외점수와 교내점수의 차(差)에 대한 성별 차이를 비교하여 ‘남학생은 교외검사에서 우수하고 여학생은 교내검사에서 우수하다’는 가설이 우리 나라 교육 현장에서 적용되는지 확인해 보고자 한다. 만약 이 가설이 적용된다면 교내검사의 결과를 중요하게 다룸으로써 여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기존의 부정적인 인식 즉, 여학생은 남학생만큼 수학을 잘 해 낼 수 없다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날 수 있는 데 도움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교·내외 수학 성취도 검사에서 나타난 성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교외점수(X_(1))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한 1998학년도 학업성취도 평가 성적으로, 교내점수(X_(2))는 각 단위학교별로 출제한 1998학년도 1학기 기말고사 성적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문제는 교외점수(X_(1)), 교내점수(X_(2)), 차이점수(X_(1)-X_(2))에 대한 성별, 학교급별, 지역별, 성취수준별 차이와 각 변인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는 것으로 설정되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중학교 3개교와 고등학교 3개교 학생 중에서 남학생 786명, 여학생 779명의 교·내외 수학 성취도 점수를 수집하였으며 SPSS 7.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남학생은 교외점수(X_(1))와 차이점수(X_(1)-X_(2))가, 여학생은 교내점수(X_(2))가 약간 더 높았다. 둘째, 학교급이 높아짐에 따라 교외점수가 유의미하게 낮아졌으며, 고등학교 내에서도 인문계열은 자연계열에 비해 낮은 점수를 얻었다. 셋째, 교외점수에 대하여 강남 지역은 강북 지역에 비해 유의수준 0.1%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다. 넷째, 차이점수에 대하여 중학교에서는 여학생이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고등학교 인문계열에서는 남학생이 유의수준 1%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고, 자연계열에서는 남학생이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높은 점수를 얻었다. 다섯째, 차이점수에 대하여 강남 지역에서는 여학생이 유의수준 5%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으나, 강북 지역에서는 남학생이 유의수준 1%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여섯째, 차이점수에 대하여 강북 지역의 중학교에서는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남학생이 높은 점수를 얻었고 고등학교 인문계열에서는 유의수준 5%에서, 자연계열에서는 유의수준 1%에서 남학생이 높은 점수를 각각 얻었다. 한편 강남 지역의 고등학교 인문계열에서는 남학생이 유의수준 5%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으나, 중학교에서는 여학생이 유의수준 1%에서, 고등학교 자연계열에서는 여학생이 유의수준 5%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일곱째, 교외점수에 대하여 상위수준에서는 남학생이 유의수준 0.1%에서, 중위수준에서는 여학생이 유의수준 5%에서, 하위수준에서는 여학생이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높은 점수를 각각 얻었다. 여덟째, 교내점수에 대하여 상·중·하 모든 수준에서 여학생이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성취수준이 낮아질수록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외검사에서는 남학생이 우수하고 교내검사에서는 여학생이 우수하다’는 가설은 약간은 일치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는 없었다. 둘째, 그러나 세부적인 변인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차이점수에 대하여 강남 지역의 여중생과 자연계열 여고생은 남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얻어 가설에 일치하지 않았으나, 강북 지역에서는 반대의 결과가 나타나 가설에 일치하였다. 한편 수학에 대한 흥미와 수학적 능력이 비교적 낮은 집단으로 볼 수 있는 고등학교 인문계열은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여학생이 교외검사에서는 낮은 점수를 얻고 교내검사에서는 높은 점수를 얻었으므로 가설에 가장 잘 부합되는 표본으로 볼 수 있다. 익숙한 제재를 다루는 중학교 교외검사에서는 여학생의 점수가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남학생보다 높았다. 요약컨대 위의 가설은 성별 변인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은 아니며, 학교급 변인과 지역 변인 및 검사도구의 성격에 의해서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셋째, 성취수준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교외점수에 대해서는 상위수준의 남학생만이 높은 점수를 얻었고 중·하위수준에서는 반대의 결과를 얻었으므로 전체 표본으로 확대 해석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러나 교내점수에 대해서는 상·중·하 모든 수준에서 여학생의 점수가 높으므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수학을 잘 하지 못한다는 선입견에서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The existing studies of gender-related differences in mathematics achievement and attitude on mathematics presented results favorable to boys. Such results reflected traditional views of gender-realted differences. But many researchers used a standardized test as a conformity of studies. The performance of boys is superior to that of girls in standardized tests and in particular, its differences occured largely to students in high grade. Meanwhile, an alternative view of gender-related differences has focused on better girls' mathematics grades than boys's in classroom exams and attitude in mathematics courses. Gender-related differences are not found in classroom exams but its differences appear, if any, favorable to girls. Moreover, the differences are quite consistent across samples of varying selectivity for junior high through university mathematics courses. The gender-related differences in mathematics achievement is contrasted by the kind of examination means. While Existing studies only make much of the results of standardized tests, this study concurrently compare and examine grades of standardized tests(the following is denominated as 'X_(1)'), classroom exams(the following is denominated as 'X_(2)') and gender difference on the difference of X_(1) and X_(2)(the following is denominated as 'D') in the same sample. Therefore, in our country, it will be confirmed an applicability of the hypothesis that "while boys are superior to girls in X_(1), girls are superior th boys in X_(2)". If it can be applied, by deal importantly with the results of X_(2), we maybe give help to girls in overcoming the negative fixed idea that girls can't be as good as boys at mathematics To analyze the gender-related differences occurred in standardized tests and classroom exams, the data of this study are sampled as follows. As the grades of standardized test(X_(1)) are choosed the mathematics scores of National Achievement Evaluation tested in 1998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as the grades of classroom exam(X_(2)) are selected the mathematics scores of the first term exam tested at each school in 1998. This study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gender, school, district and achievement grade and the effect of their mutual action in X_(1), X_(2) and D. For this study, 3 middle schools and 3 high schools in Seoul are selected. So, the mathematics scores of 786 boy students and 779 girl students in X1 and X2 are sampled. And the analysis is proceeded with SPSS 7.0 Statistics Packag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oy students receive somewhat better grades than girl on X_(1), girls do better than boys on X_(2), but the results are not significant in the statistical aspect. Second, as the school grade is promoted, the scores in X_(1) goes down. In particular, the department of literature gets worse mathematics grades than the science department in high school. Third, the students in Kangnam district get significantly better scores than those in Kangbuk on X_(1) under Significance Level 0.1%. Fourth, middle school girls score better than boys on D, high school boys do better than girls on the contrary. Fifth, girls receive higher D score than boys in Kangnam district. On the contrary, boys do higher than girls in Kangbuk district. Sixth, in Kangbuk district, boys get higher scores on D than girls without regard to school grade. But, in Kangnam district, boys receive higher scores on D than girls in the literary department of high school, whereas girls do than boys in middle school and the science department of high school. Seventh, in high achievement grade, boys get higher X_(1) score than girls. But, girls do than boys in middle and low achievement grade. Eighth, girls receive better X_(2) score than boys in all achievement grades. In particular, as the achievement grade goes down, girls get significantly higher X_(2) score than boys. By results mentioned above, this study acquires the conclusion as follows. Statistic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not completely significant but somewhat agree with the hypothesis that 'the boys are superior to girls in standardized test but girls are superior to boys in classroom exam.' To judge them in detail, the truth of the hypothesis is determined not only by gender but also by characteristics of examination tools, school grade and district.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특성과 사회적 지지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의 매개효과와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이상욱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9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volunteering characteristics and social support on successful aging of older adults. Als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volunteer satisfaction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among main variables. The sub-factors of successful aging consist of an autonomous life, an active participation in society, self-efficacy, and ego-integrity.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on older adults who age 60 or older and live in Gwangju and Jella province to collect data for this study. This study analyzed the responses from a total of 542 participants holding volunteer experience. Using SPSS 25.0 for data analysis, reliability for main variable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with Duncan for post hoc testing were performed. Also, hierarchal linear regression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ve effects of main variables on successful aging. Using AMOS 24.0,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SEM) was us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volunteer satisfaction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 mediating model.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study found that the average score of successful aging(the range: 1~5 points) was 3.87 in the whole group. The men was scored 3.92, which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women. In terms of sub-domains of successful aging, the men had significantly higher active participation in society and self-efficacy than women. The average hours of monthly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for both the men and women was 9.47 and 10.71 hours, respectively, but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on monthly participation. The motivation of volunteering was 3.47, which was higher than the median score of 3 points. The men had a significantly higher motivation than the women. Although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on leisure and self-development motivation and purposive motivation, the motivation of recognition and connected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the men than the women. The average size of family·friends·neighbors network was 3.11. The mean of social support from family·friends·neighbors was 3.66. Social support that includes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was higher than the median score of 3 points but not statistically different across the gender. The volunteer satisfaction was 4.06, which was higher than the median score of 3 points but no gender differences have been identified. Next, when examining successful aging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successful aging was perceived as high in the married whole group that has religion,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s and a good health and economic status. The male group in 60s ad 70s had higher score of autonomous life and self-efficacy than that in 80s. On the other hand, the female group in 80s had higher score of self-efficacy than counterparts in 70s. All things together, the young-old male group is likely to perceive successful aging as high in terms of autonomous life and self-efficacy. The old-old female group is likely to perceive higher self-efficacy. When examining volunteering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hours of monthly participation was higher among the men with a better education and economic status. In addition, the men who have a spouse had higher hours of monthly participation than counterparts with no spouse. In terms of volunteer motivation, the old-old female group had a higher motivation of the recognition and connectedness. Both the men and women who have low educational backgrounds had a higher motivation of recognition and connectedness. On the other hand, purposive motiv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both the men and women with high education. The women who have a good health status had a higher leisure and self-development motivation. In addition, purposeful motivation was higher among the women with a better economic status. Social network siz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le group according to education and the presense of spouse. The network of family·relatives and friends·neighbors was significantly larger in the male group who is high in educational backgrounds and has spouse. Meanwhile, the size of friends·neighbors network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emale group according to the age. The friends·neighbors network was significantly larger in the female group who ages is 80s. This suggests that the network of friends·neighbors that can provide emotional support and replace the role of the family had an important effect on the lives of the old-old female group, as there is overall tendency for them to bereave from the loss of spouse or live separately with their adult children. Family suppor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education, the presence of spouse, religion, health and economic status. The men who has a spouse, religion, better education, health and economic status above the average had a higher family support. On the other hand, the women who ages over 80 perceived higher family support than 70s. Also, the women with a good economic status had higher family support than counterparts who are economically disadvantaged. Support from friends·neighbors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the men with religion, low age, and high education. Furthermore, the men had a higher support from friends·neighbors when economic status is perceived as normal. In contrast, the women who perceived a good economic status had a higher support from friends·neighbors. Volunteer satisfaction had gender differences according to education, the presence of spouse, religion, and economic status. Volunteer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ale group that has a spouse, religion and education above high school graduation. Also, the male group with economic status above the average had a higher volunteer satisfaction. However, the women had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volunteer satisfac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relative effects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volunteering, social support, and volunteer satisfaction on successful aging was 56.4% in the whole group. Both the male and female group showed a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presence of spouse, economic status, purposive motivation, the size of friends·neighbors network, family support, and volunteer satisfaction. Nonetheless, education significantly predicts successful aging in only male group. Age, health status, and the size of family·relatives network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female group. As a result, the effects on successful aging are different across the gender. The results from regression analysis indicate that the size of friends·neighbors network and family support significantly predict successful aging for both the men and women. On the contrary, the size of family·relative network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ccessful aging of women. All things together,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predicts successful aging that includes the autonomous life, active participation in society, self-efficacy, and ego-integrity. As a result, this study findings supports successful aging theory. Furthermore, there was a full mediation of volunteer satisfaction in the path of the hours of monthly participation and successful aging in the whole group. Also, volunteer satisfaction had a ful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motivation and successful aging in the male and female group, respectively. In addition, both of the group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volunteer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uccessful aging. However, the mediating effect of volunteer satisfaction in the path of social network size and successful ag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in the male group. It seems that the men feel satisfied with volunteering and perceives successful aging as high, when the number of family·friends·neighbors who they contact increases. The conclusion based on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volunteer satisfaction had a full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urs of monthly participation and successful aging in the whole group, which supports activity theory to some extent. Secondly, volunteer satisfaction showed a full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motivation and successful aging in the male and female group, respectively.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motivation theory. The implications from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volunteering so that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men and women can be heightened. Measure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volunteering involve social awareness of volunteering, recognition and reward system,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customized volunteer programs. Specifically, an improvement of social awareness on volunteering can be achieved by discovering successful cases of volunteer activities through publicity or campaigns. In addition, a suitable recognition and reward system for volunteering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participation of older adults. Time Bank implemented by Nowon-Gu in Seoul and Social Allowance System introduced by Gwangsan-Gu in Gwangju enable older adults to save the time and use the store credit when they need help, increasing their volunteer satisfaction. Meanwhile, in light of the research findings that the men and women with better educational backgrounds showed a higher purposive motivation, a variety of customized volunteer programs that meet the appropriate needs should be implem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men and women, such as an aptitude, capability, and motivation to participate. Considering social support from family·friends·neighbors was found to influence volunteer satisfaction and successful aging of the men and women, it is important to create a self-help group that allows older adults to exchange services or resources necessary to themselves by interacting with informal group. In particular, it is recommended that a small group be created in order to enable the elderly men to build mutual relationship with a variety of friends and neighbors, as well as family, sharing leisure and hobbies with one another. Based on the results that the size of family·relatives network affects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women, it is necessary that various programs to organize family gathering on a regular basis be provided so that the women can have an opportunity to interact with the family and relatives available to help with one another, and maintain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m. Also, there is a need for measures to increase an easy access to these programs that the elderly women can participate in community. 본 연구는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특성과 사회적 지지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특히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의 매개효과와 이러한 변수들 간의 관계에서 남녀노인 성별차이를 함께 살펴보았다. 성공적 노화의 하위요인은 자율적인 삶, 적극적 인생참여, 자기효능감, 자아통합감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을 위해 광주광역시와 전남·전북 지역에 거주하며, 자원봉사 경험이 있는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을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사후검정으로 Duncan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고,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특성과 사회적 지지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의 매개효과와 성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AMO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성공적 노화, 노인자원봉사활동 특성, 사회적 지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전체노인 집단에서 성공적 노화는 1~5점 범위에서 평균 3.87점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 노화를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성별차이를 살펴본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적극적 인생참여와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높았다. 노인자원봉사활동 월 참여시간은 평균 10.10 시간이었고, 남성과 여성간 월 참여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는 1~5점 범위에서 평균 3.47점으로 중간값 3점보다 높았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가 유의하게 높았다. 참여동기를 유형별로 살펴보면, 여가 및 자기계발 동기와 대의적 동기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인정 및 소속 동기는 남성이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가족·친구·이웃 관계망 크기를 나타내는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특성은 1~5점 범위에서 평균 3.11점, 가족·친구·이웃 지지를 포함하는 기능적 특성은 3.66점으로 중간값 3점보다 높았으나 성별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는 1~5점 범위에서 평균 4.06점으로 중간값 3점 보다 높았으나 성별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성공적 노화를 살펴보면, 학력이 높고, 건강상태와 경제상태가 좋고, 배우자와 종교가 있는 노인이 성공적 노화를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 노화의 성별차이를 살펴보면, 60, 70대 남성이 80대 이상보다 자율적인 삶,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높은 반면, 여성은 80대 이상이 오히려 70대보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성은 연령이 낮은 집단에서 자율적인 삶과 자기효능감이 높았고, 여성은 연령이 높은 집단에서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원봉사활동 특성을 살펴보면, 월 참여시간은 남성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학력이 높고 경제상태가 좋은 남성 집단에서 월 참여시간이 높았다. 또한 배우자가 있는 남성이 배우자가 없는 남성보다 자원봉사활동 월 참여시간이 유의하게 높았다.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를 살펴보면, 연령이 높은 여성의 인정 및 소속 동기가 높았고, 학력이 낮은 남성과 여성의 인정 및 소속 동기가 높았다. 반면, 학력이 높은 남성과 여성은 대의적 동기가 유의하게 높았다. 건강상태와 경제상태는 여성 집단에서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건강상태가 좋은 여성 집단에서 여가 및 자기계발 동기가 높았고, 경제상태가 좋은 여성 집단에서 대의적 동기가 높았다. 본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특성은 가족·친척 관계망 크기와 친구·이웃 관계망 크기로 구분하였다. 가족·친척 관계망 크기는 남성노인의 학력과 배우자 유무에 친구·이웃 관계망 크기는 여성노인의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우선 학력이 높고 배우자가 있는 남성 집단에서 가족·친척 및 친구·이웃 관계망이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연령이 80대 이상인 여성 집단에서 친구·이웃 관계망이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고령의 노인이 배우자와의 사별을 경험하거나 비동거 자녀와 떨어져 지내는 경우가 많으므로 일상의 도움과 정서적 지원을 제공하면서 가족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친구·이웃 관계망이 노인의 삶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사회적 지지의 기능적 특성은 가족 지지와 친구·이웃 지지로 구분하여 집단별 차이를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가족 지지는 연령, 학력, 배우자 유무, 종교유무, 건강상태, 경제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성의 경우 80대 이상 집단에서 가족 지지가 70대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기혼이면서 종교가 있고, 학력이 높고, 건강상태가 보통 이상인 남성 집단에서 가족 지지가 유의하게높았다. 경제상태는 보통 이상인 남성과 경제상태가 좋은 여성 집단에서 가족 지지가 유의하게 높았다. 친구·이웃 지지는 종교가 있고, 연령이 낮고, 학력이 높은 남성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경제상태에 따른 친구·이웃 지지의 성별차이를 살펴보면, 경제상태를 보통으로 지각하는 남성 집단과 경제상태가 좋은여성 집단에서 친구·이웃 지지가 유의하게 높았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의 성별차이를 살펴보면, 학력, 배우자 유무, 종교 유무, 경제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기혼이면서 종교가 있고, 학력이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남성 집단에서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는 유의하게 높았다. 경제상태는 보통 이상인 남성 집단에서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높았다. 여성의 경우, 경제상태가 좋은 집단에서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나 집단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주요 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과 이러한 변수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전체노인 집단에서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특성, 자원봉사활동 특성, 사회적 지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의 상대적 영향력이 56.4%로 높았고, 건강상태, 경제상태, 대의적 동기, 친구·이웃 관계망 크기, 가족 지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성별차이에서는 남성과 여성 각각 배우자 유무, 경제상태, 대의적 동기, 친구·이웃 관계망 크기, 가족지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공통적으로 유의하였다. 하지만 남성 집단에서는 학력이, 여성 집단에서는 연령, 건강상태, 가족·친척 관계망 크기가 유의하게 나타나 성별에 따라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특성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의 매개효과와 집단구조 모형에서의 성별차이를 살펴보면, 전체노인 집단에서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는 월 참여시간과 성공적 노화의 경로에서,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와 성공적 노화의 경로에서 완전매개 효과가 있었고, 사회적 지지의 기능적 특성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가 있었다.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해 Bootstrapping을 실시한 결과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는 p<.05수준에서 유의하였다. 남성과 여성 집단에서도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와 사회적 지지의 기능적 특성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는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두 집단은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는 완전매개 효과가 있었고, 사회적 지지의 기능적 특성과 성공적 노화의 경로에서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특성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의 매개효과는 남성 집단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나 친밀감을 느끼면서 자주 연락하며 지내는 가족·친구·이웃이 많을수록, 남성은 자원봉사활동에 만족감을 느끼고, 성공적 노화를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반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전체노인 집단의 월 참여시간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의 완전매개 효과로는, 월 참여시간이 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으나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를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성과 여성 모두 여가 및 자기계발 동기, 인정 및 소속 동기와 대의적 동기를 포함하는 자원봉사활동 참여동기는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를 매개로 성공적 노화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컨대 이러한 결과는 활동이론과 동기이론을 일정 부분 지지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회귀분석 결과에서도 남성과 여성 모두 친구·이웃 관계망 크기와 가족지지가 성공적 노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친척 관계망 크기 역시 여성의 성공적 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고, 성별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보면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기능적 특성은 남성과 여성의 자율적인 삶, 적극적 인생참여, 자기효능감, 자아통합감을 포함하는 성공적 노화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로, 이는 성공적 노화 이론을 지지한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결론에 기반한 주요 함의는 다음과 같다.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를 제고시킬 필요가 있다.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는 노인의 사회적 인식 개선, 인정 및 보상 체계 구축, 다양한 맞춤형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 계발 등이 요청된다. 구체적으로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은 홍보나 캠페인을 통해 봉사활동에 대한 성공사례를 발굴하고 관심 있는 노인에게 적정수준의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노인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적절한 인정 및 보상 체계가 이들의 참여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서울시 노원구에서 시행한 타임뱅크나 광주광역시 광산구에서 도입한 사회활동 수당 제도는 노인들이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시간을 저축하고 이들이 도움을 필요로 할 때 지역화폐나 상품권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장려하여 지속적인 봉사활동 참여와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적인 사례라 볼 수 있다. 한편, 학력이 낮은 집단에서 인정 및 소속동기가 높고, 학력이 높은 집단에서 대의적 동기가 높은 연구결과에 비춰 노인의 적성, 능력, 참여동기 등의 개별적 특성을 고려하여 적정한 욕구를 충족시킬만한 다양한 맞춤형 자원봉사 프로그램이 요청된다. 사회적 지지의 기능적 특성도 남성과 여성의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와 성공적 노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바, 가족·친구·이웃으로 구성되는 일차적 집단과 사회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필요한 서비스나 자원을 주고받으며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자조집단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특히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특성이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와 성공적 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남성노인의 경우, 가족 뿐만 아니라 보다 더 다양한 친구나 이웃 등과 소모임을 형성하는 방안도 권장할 수 있다. 즉 남성들이 가족·친구·이웃 관계망을 통해 상호신뢰를 구축하고, 스스로 가치 있는 존재로 인식하면서 이들과 여가나 취미활동을 공유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한편, 여성의 경우, 가족·친척 관계망 크기가 성공적 노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에 비춰 가족 뿐만 아니라 친척들과의 사회적 관계망을 넓히는 노력이 필요하다. 도움이 필요할 때 연락할 수 있는 가족이나 친척 관계망이 여성의 성공적 노화 수준을 높이는 자원이 되므로 멀리 떨어져 지내거나 자주 왕래하지 못하는 가족원들과 정기적인 모임을 가지면서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더 적극적으로 계발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이러한 프로그램에 여성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높이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 Sex/Gender differences in the risk of ischemic heart disease according to lifestyle, health care utilization, and medication adherence

        신지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97

        서론: 허혈성 심장질환은 수십 년간 전 세계 사망원인의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허혈성 심장질환은 남성 질환으로 여겨졌으나 여성의 허혈성 심장질환의 이환율 및 사망률도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허혈성 심장질환의 위협은 계속되고 있으며 고령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주요 인자인 비만, 고혈당, 고혈압 및 제2형 당뇨(당뇨)가 늘어남에 따라 허혈성 심장질환 발생은 더 높아지는 추세이다. 허혈성 심장질환은 국내에서도 주요 사망원인이며, 고혈압과 당뇨 및 비만과 고혈당 등의 허혈성 심장질환의 주요 위험요인들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위험요인들은 생활행태요인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고혈압이나 당뇨는 주요 만성질환으로 그 자체로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지만, 합병증인 심장질환으로 발전하여 사망에 이를 수 있으므로 더욱더 관리가 중요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만, 당뇨, 고혈압, 허혈성 심장질환에 대한 관리나 치료에 대한 성별차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부족한 실정이다. 서구권 국가에서 수행된 선행연구에서는 의료이용이 성별에 따라 다르고 이러한 의료이용에서의 성별차이가 만성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건강의 주요한 요인 중의 하나로 성(性)은 모든 건강 관련 연구에 있어서 질병의 치료나 예방의 효율성을 위해 고려되어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주요한 원인에 대해서 성별차이 연구가 그동안 잘 수행되지 않아 그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므로 한국인에게서 허혈성 심장질환의 생활행태 관련 인자나 고혈압이나 당뇨의 만성질환에 있어서 의료이용이나 복약순응도가 성별에 따라 다른지 알아보는 게 필요하고, 이러한 성별차이가 허혈성 심장질환의 발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한국인의 생활행태, 의료이용, 복약순응도 등의 심장질환 위험인자에서 성별 차이를 파악하고, 허혈성 심장질환 위험과의 연관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첫 번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성인의 체질량지수, 공복혈당, 생활행태 (식생활, 흡연, 음주, 신체활동)에 따른 허혈성 심장질환 발생률의 성별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두 번째 연구는 한국 성인 중 약물치료를 시작한 고혈압 환자와 당뇨 환자를 대상으로 의료이용행태 및 복약순응도에 따른 허혈성 심장질환 발생률의 성별 차이를 분석하여 그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이 논문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표본코호트를 사용하였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2003~2006년에 건강검진을 받았으며 이전에 당뇨 및 순환계질환 병력이 없는 20세 이상 성인 남성 119,929명과 성인 여성 89,669명을 대상으로, 2015년 12월까지의 허혈성 심장질환 발생 여부를 추적하였다. 위험요인으로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 공복혈당과 식생활, 흡연, 음주, 신체활동 등의 생활행태를 조사하였고, 각 위험요인에 따른 허혈성 심장질환의 발생위험을 콕스 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2003~2006년 사이에 건강검진을 받고 허혈성 심장질환 병력이 없는 20세 이상 성인 중에서 새로 약물치료를 시작한 고혈압 환자 23,135명 (남성 11,942명; 여성 11,193명) 및 당뇨 환자 5,296명 (남성 3,193명; 여성 2,103명)을 추출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투약 치료 시작 시점으로부터 10년간 최대2015년 12월까지 추적하여 허혈성 심장질환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인년 (person-year)은 약물치료를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허혈성 심장질환 발생 시점까지 로 계산하였다. 의료이용 (인년당 평균 의료기관 방문횟수, 인년당 평균 본인부담금, 방문한 의료기관의 유형 및 위치) 및 복약순응도와 허혈성 심장질환의 인과관계는 콕스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 번째 연구에서는 남녀 모두에게서 비만(≥25 kg/m2), 고혈당(≥100 mg/dL), 과거/현재 흡연의 경우에 허혈성 심장질환의 위험이 증가하였고. 주 2회 이하의 음주는 허혈성 심장질환의 위험을 낮췄다. 생활행태 위험요인들의 수가 증가할수록 허혈성 심장질환의 위험도 남성 여성 모두에게서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증가는 특히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여, hazard ratio [HR]=3.21, 95% confidence interval [CI] 2.18–4.73; 남, HR=1.66, 95% CI 1.48–1.85; p=0.0001 for interaction). BMI와 공복혈당이 정상인 군이라도 남성에서는 육식 위주 식생활을 할 경우 허혈성 심장질환의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HR=1.26, 95% CI 1.14–1.38, p=0.0056 for interaction). BMI가 정상인 남성에서 과거/현재 흡연의 경우 허혈성 심장질환의 위험은 증가하였다 (HR=1.08, 95% CI 1.01–1.14; HR=1.05, 95% CI 1.0001–1.093, p=0.0065 for interaction). 비만이면서 고혈당인 남성의 경우에는 주 3회 이상의 음주가 위험을 증가하였으나 (HR=1.24, 95% CI 1.09–1.40, p=0.0074 for interaction), 남성과 달리, 여성의 경우 정상체중인 경우에 현재 흡연인 경우에만 허혈성 심장질환이 증가 (HR=1.24, 95% CI 1.11–1.39) 하였고 BMI와 흡연의 상호작용은 보이지 않았다 (p=0.2176). 두 번째 연구에서는, 고혈압 및 당뇨 환자 모두 상급/종합병원 이용자이거나 (고혈압, HR=1.76, 95% CI 1.61–1.92; 당뇨, HR=1.67, 95% CI 1.41–1.98), 인년 평균 12회 넘게 방문할 경우 (고혈압, HR=2.97, 95% CI 2.79–3.17; 당뇨, HR=3.61, 95% CI 3.15–4.15), 인년 평균 환자 부담 진료비가 상위 70%의 높은 수준일 경우 (고혈압, HR=1.55, 95% CI 1.41–1.69; 당뇨, HR=2.10, 95% CI 1.76–2.51), 복약순응도가 낮은 경우 (고혈압, HR=1.67, 95% CI 1.58–1.77; 당뇨, HR=1.53, 95% CI 1.36–1.72), 각각의 기준 그룹과 비교했을 때, 허혈성 심장질환의 위험이 증가하였다. 도시나 그 외 지역 한 곳의 의료기관을 방문한 환자에 비해, 도시 및 그 외 지역의 의료기관을 모두 방문 한 경우, 허혈성 심장질환 위험은 감소하였으며 (고혈압, HR=0.75, 95% CI 0.67–0.84; 당뇨, HR=0.77, 95% CI 0.60–0.98), 단일 유형의 의료기관만 이용한 환자에 비해 상급/종합병원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의료기관을 이용한 환자인 경우에도 허혈성 심장질환 위험이 감소하였다 (고혈압, HR=0.93, 95% CI 0.88–0.99; 당뇨, HR=0.87, 95% CI 0.77–0.97). 여성 고혈압 환자가 인년당 평균적으로 의료기관을 더 많이 방문하였으나 복약순응도는 남성이 더 높았다 (여성, 7.9 회, 64.1%; 남성, 7.5회, 65.5%, p<0.0001, p=0.0003). 여성 당뇨환자는 남성 환자보다 인년당 평균 의료기관을 더 방문하였고 복약순응도가 높았다 (여성, 7.3 회, 65.1%; 남성, 6.7회, 62.4%; p=0.0005, p<0.0001). 고혈압 및 당뇨 환자 모두 여성이 남성보다 허혈성 심장질환의 위험은 낮았으나, 복약순응도가 낮은 당뇨 여성의 경우 남성의 경우보다 허혈성 심장질환 위험이 크게 나타났다 (남성, HR=1.37, 95% CI 1.18–1.59; 여성, HR=1.81, 95% CI 1.51–2.16; p =0.0313 for interaction). 결론: 생활행태 위험요인에 따른 허혈성 심장질환에 미치는 영향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욱 두드러졌으며 체질량지수 및 혈당 수준에 따라 생활행태 요인이 허혈성 심장질환에 미치는 영향은 남성이 여성보다 더 밀접한 경향을 보였다. 기저 질환 종류 (고혈압, 당뇨)에 상관없이 의료이용 및 복약순응도는 허혈성 심장질환과 연관성을 보였고, 허혈성 질환의 위험은 남성 환자가 높았다. 고혈압 환자에서는 의료이용에 따라서, 당뇨환자에서는 복약순응도에 따른 성별차이를 보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개별 맞춤형 치료를 지향하고 있는 시점에서 허혈성 심장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프로그램에서는 체질량지수와 혈당 수준에 따른 생활행태 위험요인 및 의료이용과 복약순응도에서 나타나는 성별차이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더욱 명확한 근거자료 마련을 위해서 추후 사회경제적 수준이나 사회심리학적인 요소의 성별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는 무작위추출연구나 대규모의 코호트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번 연구는 한국인에게서 허혈성 심장질환 예방을 위해 주요 위험요인의 성별 차이를 고려해야 하는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성별차이에 관한 보다 많은 연구 가능성을 열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더 나아가서는 생활행태와 관련된 허혈성 심장질환의 예방 지침을 비롯하여 고혈압, 당뇨 등의 관리에서 성별차이를 고려하여 더욱 세심한 개별 맞춤형 생활관리 지침을 재정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ntroduction: For decades, ischemic heart disease (IHD) has been the leading cause of deaths worldwide. IHD was considered a men's disease; however, the mortality and morbidity rates of IHD among women have also been reported as high.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risk factors of IHD, including obesity (body mass index (BMI) ≥25 kg/m2), high fasting blood glucose (fasting blood glucose (FBG) ≥100 mg/dL), unhealthy lifestyles (mainly meat diet, smoking, alcohol consumption, and physical inactivity), and the growing incidence of hypertension (HTN)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T2D). However, few studies have report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sex and unhealthy lifestyles with the levels of BMI and FBG, or on sex/gender differences in the risk of IHD according to health care utilization and medication adherence in patients with HTN or T2D. Several studies conducted in western countries reported that health care utilization and medication adherence varied by sex/gender, which could affect the risk of IHD. Sex/gender needs to be considered in all disease research to improve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In Korea, few studies have explored sex/gender differences in IHD risk according to the modifiable risk factors of IH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whether lifestyle, health care utilization, and medication adherence of HTN and T2D are sex/gender-dependent and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these sex/gender differences and the risk of IHD among the Korean population.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sex/gender on modifiable risk factors such as lifestyle, health care utilization, and medication adherence among the Korean population and to examine the association with the risk of IHD using medical big data. This study consisted of two sub-studies. The first sub-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festyle-related factors on the risk of IHD according to BMI and FBG levels by sex among Korean adults. The second sub-study aimed to examine sex/gender differences in the risk of IHD according to health care utilization and medication adherence among newly treated patients with HTN or T2D using cohort data from South Korea. Methods: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ational Sample Cohort version 2.0 (NHIS-NSC 2.0) was used in both studies. The first sub-study included 119,929 men and 89,669 women aged ≥20 years examined between 2003 and 2006 with no preexisting T2D or circulatory diseases that were followed-up until December 2015 to confirm IHD cases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ICD]: I20–I25). Data on lifestyle-related factors (BMI, FBG, diet, smoking, alcohol consumption, and physical activity) were collected at baseline. Lifestyle-related risk factors were mainly vegetable/mainly meat diet, former/current smoking, alcohol consumption ≥3 times/week, and no physical activity. Associations between these factors and the risk of incident IHD were examined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models. In the second sub-study, newly treated patients with HTN or T2D aged ≥20 years were extracted from the baseline population, who underwent health examinations between 2003 and 2006 without preexisting IHD in the NHIS-NSC 2.0. A total of 23,135 patients with HTN (11,942 men and 11,193 women) and 5,296 patients with T2D (3,193 men and 2,103 women)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nd followed-up for ten years to confirm IHD cases (ICD: I20–I25). Person-year was defined as the period from the treatment start date to the incidence of IHD. Association of IHD with health care utilization (the mean of health care visits, the mean out-of-pocket expenses, and the type and location of health care providers) and medication adherence was investigated using a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The hazard ratios (HR) of IHD according to health care utilization and medication adherence were adjusted for the known risk factors. Results: In the first sub-study, high BMI (≥25 kg/m2), high FBG (≥100 mg/dL), and former/current smoking we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for IHD in both men and women. Alcohol consumption ≤twice/week was associated with a lower risk of IHD in both men and women. The risk of IHD increased in women (HR=3.21, 95% confidence interval [CI] 2.18–4.73) and men (HR=1.66, 95% CI 1.48–1.85) in those with more lifestyle-related risk factors. This increased risk of IHD was greater in women than in men (p=0.0001 for interaction). The behavioral lifestyle effects (diet, smoking, alcohol consumption, and exercise) were more associated with the risk of IHD among men with the same BMI and FBG levels. Men had an increased risk of IHD with mainly meat diet in the group of BMI<25 kg/m2 and FBG <100 mg/dL (HR=1.26, 95% CI 1.14–1.38, p=0.0056 for interaction), former/current smoking in the group of BMI<25 kg/m2 (HR=1.08, 95% CI 1.01–1.148; HR=1.05, 95% CI 1.0001–1.093, p=0.0065 for interaction), and alcohol consumption ≥3 times/week in the group of high BMI and high FBG (HR=1.24, 95% CI 1.09–1.40, p=0.0074 for interaction). However, only current smokers with a BMI <25 kg/m2 were at increased risk of IHD in women (HR=1.24, 95% CI 1.11–1.39) without interaction of BMI levels (p=0.2176). In the second-sub study, both men and women patients with HTN or T2D had an increased risk of IHD when they visited tertiary/general hospitals (HTN, HR=1.76, 95% CI 1.61–1.92; T2D, HR=1.67, 95% CI 1.41–1.98) or visited health care providers >12 times/person-year (HTN, HR=2.97, 95% CI 2.79–3.17; T2D, HR=3.61, 95% CI 3.15–4.15). The risk of IHD also increased when the patients with HTN or T2D had a high level of out-of-pocket expense/person-year or showed medication non-adherence (HTN, HR=1.55, 95% CI 1.41–1.69, HR=1.67, 95% CI 1.58–1.77; T2D, HR=2.10, 95% CI 1.76–2.51, HR=1.53, 95% CI 1.36–1.72). However, the risk of IHD decreased when patients visited both urban- and rural-located health care providers (HTN, HR=0.75, 95% CI 0.67–0.84; T2D, HR=0.77, 95% CI 0.60–0.98) or used more than two types of health care providers (HTN, HR=0.93, 95% CI 0.88–0.99; T2D, HR=0.87, 95% CI 0.77–0.97) compared to each of the reference groups. Men with HTN were more adherent to medication than women with HTN, though women visited health care providers more frequently than men on average per person-year (men, 65.5%, 7.5 times; women, 64.1%, 7.9 times; p<0.0001, p=0.0003, respectively). In contrast, women with T2D showed greater medication adherence and a higher frequency of visits to health care providers than men with T2D (women, 65.1%, 7.3 times; men, 62.4%, 6.7 times; p=0.0005, p<0.0001, respectively). Both hypertensive and type 2 diabetic women patients showed a lower risk of IHD than men by 7% and 15%, respectively. Medication non-adherence was found to have more adverse effects on the risk of IHD in women with T2D than men with T2D (men, HR=1.37, 95% CI 1.18–1.59; women, HR=1.81, 95% CI 1.51–2.16; p=0.0313 for interaction). Conclusion: The impact of lifestyle-related risk factors on IHD was more pronounced in women than in men. Conversely, the behavioral lifestyle effects were more associated with the risk of IHD among men. In patients with HTN and T2D, men were more likely to develop IHD than women. Sex/Gender differences in the risk of IHD were observed in relation to health care utilization among patients with HTN and medication adherence among patients with T2D. These disparities might be considered when planning individual interventions to reduce IHD risk and suggest that programs to prevent IHD should consider lifestyle factors, health care utilization, and medication adherence along with sex/gender.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other sex/gender-specific factors such as psychosocial factors and socioeconomic levels on the risk of IHD in prospective cohorts or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This study suggests that sex/gender difference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revention of IHD in Koreans according to the modifiable risk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help improve the current IHD prevention programs and the management of HTN or T2D.

      • 태권도 참여형태·기간 및 성별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 차이 연구

        정현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태권도 참여의 심리적인 효과를 구명하기 위한 것으로 참여형태·기간 및 성별에 따라 신체활동의 참여, 지속 및 기능향상과 관련된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태권도 참여형태와 성별에 따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태권도 참여형태와 참여기간에 따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태권도, 리듬태권도의 경험이 없는 20∼30대 남녀 각각 110명, 일반적인 태권도를 참여하는 집단 남녀 각각 110명, 태권도에 음악과 리듬의 요소를 가미한 리듬 태권도를 참여하는 집단 남녀 각각 105명을 대상으로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고 측정 도구는 우리말로 번안된 Ryckman(1982)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척도(Physical Self-Efficacy Scale)를 사용하였다. 세 집단의 차이를 보기 위하여 컴퓨터 통계프로그램인 SPSS를 이용하였으며, 이원변량분석과정을 거쳐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후 사후검증으로 단순효과검증방법과 Tukey검증 방법으로 비교 검증하였다. 통계적 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나타난 연구결과와 그에 따른 검증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먼저 태권도 참여형태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신체적 자기효능감, 그리고 이의 하위변인인 인지된 신체능력과,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을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째, 태권도 참여형태와 성별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하위 변인인 인지된 신체능력에 대해서 참여형태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신체적 자기표현자신감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사후검증을 통해 여자집단 내에서의 참여형태에 따른 차이, 남자집단 내에서의 참여형태에 따른 차이, 그리고 남녀 집단간의 참여형태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여자집단내에서는 비참여 집단보다는 일반태권도 집단이, 그리고 일반태권도 집단보다는 리듬태권도 집단이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된 신체능력 또한 위와 같은 결과가 나왔으나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에서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남자집단내에서는 비참여 집단과 일반태권도 집단간에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난 반면 일반태권도 집단과 리듬태권도 집단간에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리듬태권도 집단이 일반태권도 집단보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왔다. 인지된 신체능력 또한 위와 같은 결과가 나왔으나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남녀집단간의 비교분석 결과 남녀 비참여 집단, 남녀 일반태권도 집단, 남녀 리듬태권도 집단 중 비참여 집단에서만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비참여 집단에서 남자 집단이 여자 집단보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인지된 신체능력 또한 위와 같은 결과가 나타났고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둘째, 태권도 참여형태와 참여기간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하위 변인인 인지된 신체능력에서는 참여형태에 따라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신체적 자기표현자신감에 대해서는 참여형태, 기간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대한 사후검증 결과 일반태권도, 리듬태권도 모두 태권도 참여기간이 6개월 이상 지속되었을 때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6개월 이상인 일반태권도 집단과 리듬태권도 집단을 비교했을 때 리듬태권도 집단이 일반태권도 집단보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태권도 참여에 있어서 단기간이 아닌 지속적인 참여가 요구되어지고 지속적인 참여는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를 종합해 보면 첫째,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태권도에 참여했을 때 남녀 모두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주며, 특히 리듬 태권도를 참여하였을 경우 보다 더욱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태권도를 참여하지 않는 비참여 집단에서 나타난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남녀간의 격차는 일반태권도, 리듬태권도를 참여하고 있는 집단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여자의 태권도 참여가 남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던 여성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남자의 경우는 태권도 비참여 집단과 일반태권도 집단간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일반태권도 집단과 리듬태권도 집단간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남자집단에 있어서 리듬과 음악을 접목시킨 리듬태권도는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태권도 참여기간에 따른 신체적자기효능감은 단기간이 아닌 6개월 이상 참여했을 때 더 효과적이며 일반태권도 보다는 리듬태권도를 지속적으로 참여했을 때 더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a psychological effect of Rhythm Tae-kwon Activity participation, that is, Physical Self Efficacy related to participation, continuation, capacity influence of physical activity, which are expected to play a positive influence. In this study, there were two hypotheses set up. First, the physical self efficacy will differ by gender of Tae-kwon-do participation group, and secondly, it will differ by the period of participation. The survey was taken on 100 men and women in their 20∼30 years who has not experienced any rhythm Tae-kwon-do at all, and to test the validity of the hypotheses, another 110 men and women who has experienced Tae-kwon-do, and 110 men and women who has particularly experienced Rhythm Tae-kwon-do were chosen to measure their physical self efficacy. As a measuring tool, the Physical Self-Efficacy scale translated into Korean was used. To see the difference between three groups, the computer statistics program SPSS was us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Two-way-anova and were compared and tested with simple effect test and Tukey-verification method. The statistic attention level was set up to p<0.5. Through such research and hypotheses verification I have come to a conclusion as the following. First, PSEI(Physical Self Efficacy Index) differences related with Tae-kwon participation forms may be scrutinized through the total score of PSE(Physical Self Efficacy), RPA(Recognized Physical Ability) which is actually included in PSE, and PSEC(Physical Self Expression Confidence). PSEI related with Tae-kwon participation forms have significant difference through the sex distinction based on the three groups. Especially, by the RPA(Recognized physical ability) a subordinate factor of PSEI, does show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participation form. The other factor PSEC(Physical Self Expression Confidence) shows a similar result, however without mutual effect only participation forms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ase of men, there wasn't a big difference in the total of PSE within the participated groups and non participated groups. The PSEC was higher in the rhythm Tae-kwon group than the ordinary Tae-kwon group. It was the same for the Rhythm Participation Activity, however there wasn't much difference within PSEC. As coordinated results, through verification between gender, the total of PSE was shown in the Nonparticipation group of men and women. The Nonparticipation group of men were higher than the Nonparticipation of women. The Rhythm Tae-kwon Group also were in results as above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within PSEC. Secondly, the PSEI(physical self efficacy index) of Tae-kwon activity had relation with participating form and participating duration. The RPA(Recognized physical ability) as a subordinate factor of PSEI had relation only with participating form, and in PSEC(Physical Self Expression Confidence), participating form and duration both did not show any related difference. After such examination, General Tae-kwon and Rhythm Tae-kwon both showed relation with PSE when continued for more than 6months. And comparing the two groups in this case, Rhythm Tae-kwon Group was higher than General Tae-kwon Group in total score of PSE. This shows that Tae-kwon participation requires durable participation rather than a short term, and such durable participation does have a positive effect. As synthesizing the results above, first, in the case of participating in Rhythm Tae-kwon Activity there are positive changes in PSE for both men and women, and this is higher for Rhythm Tae-kwon than General Tae-kwon participation. Secondly, the differences of PSEI of Non participation group in the distinction of gender does not appear within the General Tae-kwon Participation and Rhythm Tae-kwon Participation Group. Therefore both General Tae-kwon Participation and Rhythm Tae-kwon Activity gave women highly positive effects in enhancing PSE. Thirdly, in the case of men, there are no differences between Non Participating Group and Rhythm Tae-kwon Participating Group bu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eral Tae-kwon Participation Group and Rhythm Tae-kwon Participation Group. Therefore, Rhythm-Tae-kwon-do with rhythm and music do have influence in increasing PSE within the men's group. Fourthly, PSE is higher when participating duration is more than 6months, and Rhythm Tae-kwon has higher PSE compared to General Tae-kwon in long term.

      • 해부용 시체의 방사선 사진과 환자의 컴퓨터 단층촬영 사진을 이용하여 복장뼈 칼돌기와 갈비연골의 형태계측과성별 차이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f morphometry and sexual dimorphism in xiphoid process and costal cartilage by using the radiography of ca

        사원충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84

        연구의 목적은 환자의 가슴 컴퓨터 단층촬영(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 사진과 해부용 시체의 복장뼈 칼돌기와 갈비연골을 방사선으로 촬영하여 얻은 사진에서 연골들의 형태계측과 석회화 양상을 분석하여 남자와 여자의 차이를 밝히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재료는 46구 해부용 시체의 복장뼈와 갈비연골을 방사선으로 촬영하여 얻은 사진들과 926명 환자의 가슴 컴퓨터단층촬영 사진들이었다. 연골의 구조와 석회화 양상은 multiplanar reconstruction과 curved-planar reconstruction, maximum intensity projection, volume rendering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복장뼈 칼돌기와 갈비연골의 형태와 크기를 측정하고 각각 분류하였다. 복장뼈 칼돌기의 석회화 양상은 석회화 밀도와 형태, 부위에 따라서 6개의 유형 즉, 중심형(central, C)과 주변형(peripheral, P), 세갈래형(trifurcate, T), 기시형(original, O), 복합형(mixed, M), 비특이형(nonspecific, N)으로 구분하였다. 갈비연골의 석회화 양상은 주변형(peripheral, P)과 중심 혀모양 (central lingual, Cl), 중심 공모양 (central globular, Cg), 가장자리 점모양 (marginal spot, Ms), 중심 막대모양 (central rod, Cr), 가장자리 막대모양 (marginal rod, Mr), 집게발모양(crab-claw) 달걀껍질모양(egg-shell)으로 분류하였다. 967명의 시체와 환자들의 복장뼈 칼돌기를 앞쪽에서 본 형태를 분석한 결과는 끝이 뾰족한 모양(pointed shape)이 434개(44.88%), 타원 모양(oval shape)이 398개(41.16%), 포크 모양(forked shape)이 135개(13.96%)였다. 가쪽에서 본 형태를 분석한 결과는 끝이 앞쪽으로 휘어진 모양이 223개(23.06%), 끝이 뒤쪽으로 휘어진 모양이 196개(20.27%), 에스자 모양(앞쪽으로 휘어진 다음 뒤쪽으로 휘어짐)이 21개(2.17%)였으며, 갈고리 모양으로 심하게 앞쪽으로 구부러진 경우가 14개, 뒤쪽으로 구부러진 경우가 19개였다. 복장뼈 칼돌기의 구멍 유무를 관찰한 결과, 967명의 시체와 환자들 중 553명(57.19%)에서 구멍이 관찰되었다. 이 구멍의 크기와 수에 따라서 분류한 결과, 직경이 5mm보다 큰 구멍(L)이 307개(55.52%)에서, 직경이 5mm보다 작은 구멍(S)이 159개(28.75%)에서 관찰되었고, 큰 구멍과 작은 구멍이 모두 있는 경우(LS)가 37개(6.69%)였으며, 작은 구멍이 2개 이상인 경우(SS)가 50개 (9.04%)였다. 복장뼈 칼돌기의 석회화 양상을 유형과 성별에 따라 분석한 결과, 중심형(C)은 51명의 남자와 219명의 여자에서 관찰되었다(P < 0.01). 주변형(P)은 287명의 남자와 27명의 여자에서 관찰되었다(P < 0.01). 세 갈래형(T)은 107명의 남자와 8명의 여자에서 관찰되었다(P < 0.01). 기시형(O)은 47명의 남자와 43명의 여자에서 관찰되었고(P = 0.03), 복합형(M)은 40명의 남자와 28명의 여자에서 관찰되었으며(P = 0.72), 비특이형(N)은 74명의 남자와 36명의 여자에서 관찰되었다(P = 0.26). 복장뼈 칼돌기의 석회화 정도는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10대부터 30대 사이에 석회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복장뼈 칼돌기의 석회화 양상은 중심형(C)과 주변형(P), 세 갈래형(T)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칼돌기의 석회화는 10대부터 30대 사이에 빠르게 진행된 후, 남자는 70대 이후부터, 여자는 60대 이후부터 서서히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갈비연골의 석회화 유무를 관찰한 결과 926명 환자들 중 837개(90.39%)에서 석회화가 관찰되었다. 이 중 석회화 유형과 성별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중심 혀모양(CI)은 19명의 남자와 251명의 여자에서 관찰되었다. 주변형(P)은 492명의 남자와 27명의 여자에서 관찰되었다.중심 혀모양(CI)과 주변형(P)이 함께 나타나는 복합형(Cl+P)은 20명의 남자와 14명의 여자에서 관찰되었다. 중심 혀모양(CI)과 주변형(P)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중심 혀모양(CI)은 대부분 여자였으며(P < 0.01), 주변형(P)은 대부분 남자였다(P < 0.01). 갈비연골에서 집게발모양(crab-claw)의 석회화는 40세 이상의 7명 남자와 30세 이상의 45명 여자에서 관찰되었다(P < 0.01). 중심 혀모양(CI)과 주변형(P)이 함께 나타나는 복합형(Cl+P)과 중심 공모양(Cg), 가장자리 점모양(Ms), 중심 막대모양(Cr), 가장자리 막대모양(Mr), 달걀껍질모양(egg-shell)의 갈비연골 석회화 유형에서는 성별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가슴 컴퓨터단층촬영(MDCT) 사진과 해부용 시체의 복장뼈 칼돌기와 갈비연골을 방사선으로 촬영하여 얻은 사진에서 연골들의 형태계측과 석회화 양상을 잘 분석할 수 있다. 복장뼈 칼돌기의 형태는 성별에 따라 차이는 없다. 복장뼈 칼돌기의 석회화 양상 중 중심형(C)은 대부분 여자이고, 주변형(P)과 세 갈래형(T)은 주로 남자이다. 갈비연골의 석회화 양상 중 주변형(P)은 대부분 남자이고, 중심 혀모양(CI)은 주로 여자이다. 그러나 중심 공모양(Cg), 가장자리 점모양(Ms), 중심 막대모양(Cr), 가장자리 막대모양(Mr), 달걀껍질모양(egg-shell)의 석회화 유형에서는 성별 차이가 관찰되지 않고, 단지 나이의 기준으로만 이용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복장뼈 칼돌기와 갈비연골의 석회화 양상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이는 사람해부학과 법의학에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공직가치 변화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2013∼2021년 집단별·정권별 차이를 중심으로

        김나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68

        Abstract A Research on the Changes of Public Service Value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 Focused on the differences in groups and regimes from 2013 to 2021 - Kim, Na Young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Research on Human Values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subjects in the field of Intellectual Studies. Especially,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iz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high technology and capitalism, the damage in human dignity is a rising problem. Thus, the significance of invisible values and beliefs has come into the spotlight. Also, due to the development of ‘AI’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e modern society is going through a vast change in various values. Hence, the government seeks to respond to ever-changing needs of the People by promoting different methods in Personnel Supplement, and preceding innovative attempts in Administrative Activities and Policy Procedures. Meanwhile, along with Public Values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Administrative Ideology, Administrative Ethics, and Public Work Ethics have steadily caught the attention of the Public Administrators. Throughout those discussions, the concept of 'Public Service Values' has been gradually established. Sever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is concept as well. However, due to the doubt on Public Officials’ professionalism and responsiveness that had been occured from the events such as ; the international pandemic from COVID-19 in the recent years, the tragic sinking of ferry Sewol in 2014, the unprecedented impeachment of the Korean President in 2016 has always been the subject of judgment, along with a disgraceful modifier called ‘Soulless Public Officials.’ To examine the trend of change in 'Public Service Values(PSV)', survey data of <An Awareness Survey on Public Career>, collected over 9 years from 2013 to 2021, is used in this paper. The changes in Ethical, Democratic, Professional, Humanistic Values, and overall changes in Public Office are examined. Various analyses were attempted in order to classify them as groups and regimes. In additi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hange in the value of public office are classified into personal, organizational, and political factors, while Pooled OLS Regression was used. Individual factors were divided into the Generational Difference (the MZ generation/the non-MZ generation), Gender Differences (Male/Female Public Officials), the differences in Employment Paths (Open Competitive Employment/Career Competitive Recruitment) and the differences in Position (Management Positions/Non-management Positions). The Organizational factors include Career Development Managemen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nnovation Culture. The Political factor was focused on the change in regimes over time. The analysis shows that PSV gradually decreased from 2013 to 2021. Based on the average comparison and T-test, similar changes were shown by ethical, democratic, professional, and humanistic values. Influencing factors are classified into Major Personal, Organizational, and Political factors after analysis through Pooled OLS Regression. Thus, the following results were specifically derived. First of all, considering the Generational Differences as an personal factor, the MZ generation shows a relatively lower trend in PSV than that of the non-MZ generation. Secondly, th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PSV shows that the overall value of female public officials is lower than that of male public officials. Thirdly, the PSV of national government officials is lower than that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Fourthly, in terms of differences in employment channels, on the other hand, PSV of public servants by open competitive employment was lower than that by career competitive recruitment. Lastly, the difference in ranks among personal factors shows that those who have non-management positions (level 6 or lower) tend to have lower PSV than those who are in management positions (level 5 or higher). As such, five of the personnel factors all seem to gradually decrease from 2013 to 2021. It can be said that the values and beliefs of an individual are based on personal values of today’s MZ generation living in a flood of high-tech digital and global information, compared to those who are living with collectivist values in the past. Also, even though the status and the treatment of Woman Public officer have been raised generally, it cannot be divorced from the situation which values Women’s role at home more. In addition, because the national public officials have relatively less direct contact with the citizens compared to local public officials, a lack of experiences or conditions for solidifying the PSV exists. In particular, psychological factors of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and policy non-compliance can also be seen as one of the related factors due to the relocation of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to Sejong City, etc. When it comes to the difference in the hiring process, the hypothesis establishes that public officials from open competitive employment would have a higher value than those from career competitive employment. However,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that of public officials from career competitive employment is in fact, higher. Since the 2014 Ferry Sewol incident, the lack of professionalism of general public officials has been criticized, causing public servants from open competitive employment to view themselves as the cause of questions and identity confusion as expert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Ministry of Personnel Management in December 2014,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the conceptual arrangement and value standards for PSV in 2016. The education seems to be more effective for public officials in management positions at level 5 or higher, the difference in position, i.e. in managerial and non-managerial positions. In addition, compared to non-management positions of level 6 or lower in management positions, i.e. as a supervisor, the inspection and ventilation effect on the PSV plays a greater role. Next, when it comes to organizational factors, career development managemen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nnovative culture all show positive significance for the PSV. Especially in career development management, PSV was mostly affected by the questionnaires such as ; "I'm being placed in a suitable job to properly demonstrate my capabilities.", "I have enough opportunities for proper education and training/skill development if necessary for performing my duties.", and "Career Development System is helpful in enhancing professionalism.“ Lastly, when it comes to political factors, it shows that PSV had gradually decreased as the Moon Jae In government, taking power from 2017 to 2021, replaced the Park Geun Hye government, which took power from 2013 to 2016. It shouldn't be considered as an sole influence which was caused of just a regime change - the impact of major historical events must be considered together after the 2014 Ferry Sewol sinking, 2015 MERS outbreak, and 2016 the unprecedented candlelight vigils and impeachment of the president over the manipulation of state affairs, along with the ongoing COVID-19 outbreak since 2020. As a result of the study, looking at the timing of a slight increase or decrease in the value of public office examined, it can also be confirmed that it is linked to such historical events. Keywords: public service values, changes of values, group differences, regime change, MZ generation, generational differences, gender differences, differences in affiliation, employment path, position differences, management positions, career development managemen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nnovation culture 국 문 초 록 공직가치 변화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2013∼2021년 집단별·정권별 차이를 중심으로 김 나 영 행정학과 행정학 전공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인간가치에 대한 연구는 지적탐구의 영역에서 오랜 기간 주요한 주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더욱이 제4차 산업화와 첨단기술의 발달, 자본주의가 만능인 시대에 인간 존엄성의 훼손을 우려하며 가치와 신념과 같은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 또한 더욱 부각되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로 인해 현대사회는 다양한 가치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정부는 변화하는 국민들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인력충원의 다양성을 도모하고, 행정활동과 정책과정에 있어서 혁신적인 시도를 꾀하고 있다. 그동안 ‘공적가치’, ‘공공가치’, ‘행정이념’, ‘행정윤리’, ‘공직윤리’ 등 ‘공공성’에 관한 연구와 더불어 ‘공공봉사동기’와 같은 공직에 종사하는 인간에 대한 윤리와 동기에 관한 연구들이 행정학자들의 꾸준한 관심을 받아왔다. 이러한 논의들 속에서 ‘공직가치(Public Service Values: PSV)’에 대한 개념은 서서히 정립되어왔으며, 최근 PSV에 대한 여러 연구들이 다양하게 진행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최근 몇 년에 걸친 코로나19사태라는 팬데믹(pandemic) 현상과 더불어 국내에서는 2014년 세월호 침몰 사건, 2016년 사상초유의 대통령 탄핵 등으로 인해 공직자들의 전문성과 대응성에 대한 의문점은 ‘영혼없는 공무원’이라는 수식어와 함께 늘상 심판의 대상이 되어오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13년부터 2021년에 이르기까지 9년간에 걸쳐 수집된 <공직생활에 대한 인식조사>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공직가치 전체에 대한 변화 추이와 윤리적·민주적·전문적·인본주의적 가치별로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 이를 집단별·정권별로도 분류하여 여러 가지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또한, 이러한 공직가치 변화에 대한 영향요인을 개인적 요인, 조직적 요인, 정치적 요인으로 구분한 뒤 Pooled OLS Regression을 시도하여 주요 영향요인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먼저, 개인적 요인으로는 세대차이(MZ세대/비MZ세대), 성별차이(남성공무원/여성공무원), 채용경로차이(공채/경채), 직급차이(관리직/비관리직)로 나누었으며, 조직적 요인으로는 경력개발관리, 변혁적리더십, 혁신문화를, 정치적 요인으로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정권교체를 영향요인으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공직가치는 2013년부터 2021년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으로 서서히 하락하는 추이를 보였는데, 이는 평균비교와 T-검정을 통해 공직가치 유형별로 윤리적 가치, 민주적 가치, 전문적 가치, 인본주의적 가치별로도 비슷한 변화추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관한 영향요인으로서 개인적·조직적·정치적 주요요인으로 구분하여 Pooled OLS Regression을 통해 분석해본 결과,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우선, 개인적 요인으로서 세대별 차이에 있어서는 MZ세대가 비MZ세대에 비해 공직가치가 비교적 낮은 추세를 보여주었으며 둘째, 공직가치에 대한 남녀의 차이를 보면, 여성공무원의 공직가치가 남성공무원의 공직가치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가공무원의 공직가치가 지방공무원의 공직가치에 비해 낮게 나타난 반면, 넷째, 채용경로 차이에 있어서는 공채 공무원에 비해 경채공무원의 공직가치가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개인적 요인 중 직급의 차이에 있어서는 비관리직(6급이하)이 관리직(5급이상)에 비해 공직가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5가지로 분류된 집단의 공직가치는 2013년부터 2021년에 이르기까지 서서히 하락하는 양상도 동일하게 보였다. 이는 개인의 가치관과 신념이 과거 집단주의적 가치보다는 첨단 디지털과 글로벌 정보의 홍수 속에 살고있는 오늘날의 MZ세대의 개인적인 가치관을 반영한 결과라고 할 수 있으며, 여성공무원의 지위와 대우가 전반적으로 상승하고 개선되었다 할지라도 여전히 가정 속에서의 역할이 더욱 중요한 여성의 사회적인 상황과도 괴리될 수 없는 연구결과라고 판단된다. 또한, 국가공무원은 시민들과 일선에서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경우가 지방공무원에 비해 비교적 적기 때문에 공직가치가 더욱 공고히 될 수 있는 경험이나 여건이 다소 부족한 것으로 보여졌다. 특히 중앙행정기관의 세종시 이전으로 인한 중앙정부 공무원의 심리적인 요인과 정책불응 등도 관련 요인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채용경로에 대한 차이에 있어서는 경채 출신 공무원의 공직가치가 공채 출신 공무원에 비해 더 낮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으나, 분석결과 경채 출신 공무원의 공직가치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4년 세월호 사건 이후로 일반직 공무원들의 전문성 결여에 대한 비판과 지적이 있은 이후로 공채 출신의 공무원이 스스로 전문가로서의 의문점과 정체성 혼란이 원인이라 보았다. 직급차이 즉 관리직과 비관리직에 있어서는 2014년 12월 인사혁신처의 설립 이후로 2016년 공직가치의 개념적 정리와 가치 기준을 마련함으로써 이에 대한 교육이 5급이상의 관리직 공무원에 더욱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관리직 즉 상사로서의 위치에서는 6급이하의 비관리직에 비해서 공직가치에 대한 고취와 환기효과가 더욱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여진다. 다음으로 조직적 요인에 있어서는 경력개발관리, 변혁적리더십, 혁신문화 모두 공직가치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경력개발관리에 있어서 즉, “나는 내 역량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는 적합한 업무에 배치되고 있다.”, “나는 업무수행에 필요한 경우 적절한 교육훈련/능력발전 기회를 충분히 가질 수 있다.”, “경력개발제도는 전문성 제고에 도움이 된다.”의 설문문항에 있어서 공직가치가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치적 요인에 있어서는 2013년부터 2016년에 집권한 박근혜 정부에서 2017년부터 2021년에 걸쳐 집권한 문재인정부로 교체되면서 전반적으로 공직가치가 서서히 낮아지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단순히 정권교체에 의한 영향으로만 보기보다는 2014년 세월호 침몰사고, 2015년 메르스 사태, 2016년 국정농단에 대한 촛불시위와 대통령 탄핵이라는 초유의 사태를 거쳐, 2020년부터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19사태에 이르기까지 역사적으로 주요한 사건들의 영향 또한 함께 고려해야 하는 변수라고 할 수 있다. 연구결과 공직가치의 미세한 상승 또는 하락에 관한 시기를 살펴보면 이러한 역사적 사건과 맞물려 있음도 확인할 수 있다. 핵심어: 공직가치, 가치변화, 집단차이, 정권교체, MZ세대, 세대차이, 성별차이, 소속차이, 채용경로차이, 직급차이, 관리직, 경력개발관리, 변혁적리더십, 혁신문화

      • 중학생의 흡연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박인경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6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ender differences in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predict smoking experienc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 conduct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secondary data from the 2009 Needs Assessment of the Education Welfare Project. The sample included a total of 1,733 first and second year students from 10 middle schools located in the Gyeonggi province. Findings from the study showed that 2 out of every 10 students had smoking experiences, and the number of boys with smoking experiences was more than double the number of girl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boys' smoking experiences was experience with alcohol, then awareness of the harmful effects of smoking, school record, hostility toward others, conflict with parents, and the school's concern and support for student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girls' smoking experience was also experience with alcohol, followed by suicide attempt, awareness of the harmful effect of smoking, family structure, school record, and conflict with teachers. Thus, mutual factors that predicted smoking experience for both boys and girls were experience with alcohol, awareness of the harmful effects of smoking and school record.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following factors: hostility toward others, conflict with parents, and the school's concern and support for students which only predicted smoking experience among boys, and suicide attempt, family structure, and conflict with teachers which only predicted smoking experience among girls. Suggestions based on thes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o prevent smoking among boys and girls there is a need to pay attention to students' poor school records, provide education about the harmful effects of smoking and address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smoking and drinking. Second, there is a need to support boys in managing their hostility and difficulties, and improve schools' concern for their students. Third, there is a need to provide professional intervention for girls with personal difficulties, pay more attention to girls from broken families, and support the girls to improve their skills to manage other difficulties. Fourth, there is a need for a gender differentiated approach to provisions of and interventions for smoking prevention. Fifth, the government needs to recognize students' smoking experiences and take stronger actions. Sixth, there is a need for more professionals to prevent and solve students' smoking habits. 본 연구는 중학생의 흡연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과 사회환경 요인들을 알아보고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2009년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욕구조사인 2차 자료를 사용하여 경기지역 10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과 2학년 총 1,733명을 대상으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체 연구 대상의 10명 가운데 약 2명 정도가 흡연을 경험하였고, 흡연을 경험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2배 이상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은 음주경험이 흡연경험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이어서 흡연 유해성 인식, 학교성적, 타인에 대한 분노, 부모와의 갈등, 학교의 관심과 지지로 나타났다. 여학생 역시 음주경험이 가장 큰 요인이었으며, 이어서 자살시도, 흡연 유해성 인식, 가족구조, 학교성적, 교사와의 갈등이 유의미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흡연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남녀 공통으로 음주경험, 흡연 유해성 인식, 학교성적이었으나, 남학생은 타인에 대한 분노, 부모와의 갈등, 학교의 관심과 지지가, 그리고 여학생은 자살시도, 가족구조, 교사와의 갈등으로 나타나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제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흡연예방을 위해서 남녀 공통으로 흡연과 음주와의 높은 관련성을 고려한 예방교육, 흡연 유해성 교육, 낮은 성적의 학생들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둘째, 남학생의 경우 분노감을 다스릴 수 있는 능력, 갈등상황을 다스릴 수 있는 능력, 학교차원의 관심과 지지가 필요하다. 셋째, 여학생의 경우 내적 어려움이 있는 학생들을 위한 전문가의 개입, 양부모가 아닌 가정에 대한 관심, 갈등상황을 다스릴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넷째, 흡연예방을 위한 대책과 개입에는 성별에 따라 차별적 접근이 필요하다. 다섯째, 청소년의 흡연경험 실태를 인식하고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여섯째, 청소년의 흡연예방과 해결을 위한 전문가가 필요하다.

      • 성별차이에 따른 협동학습이 수학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김응석 목원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55

        새로운 사회적 요구를 수용하기 위하여 중등수학의 목적은 '수학적 힘'을 신장하는 것으로 제시되어 있다. 이는 과거의 전통적인 교육법의 개선이 필요함을 의미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수학적 힘을 효과적으로 길러줄 수 있는 새로운 교수학습법의 개발되어 학교현장에 점진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협동학습은 이를 위한 효과적인 수업모형으로 제시되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협동학습의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들은 항상 일치하고 있지는 않으며 협동학습의 효과는 학습집단의 구성방법, 협동학습을 계획하고 유도하는 방법, 실제 협동학습모형으로 진행되는 학습내용 등 여러 요인에 의하여 강하게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협동학습모형이 개발되었다. 일반적으로 중등과정에서의 협동학습의 경우 이질적인 집단구성이 동질적인 집단구성에 비하여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수학교과에는 STAD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협동학습에 관한 연구 중 성별차이에 따른 협동학습의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이 분야의 연구결과들은 상당부분 상이한 결론을 내리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성별차이에 따른 협동학습이 중등수학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특히, 협동학습이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되는 중등 8나 단계의 도형영역에서 협동학습환경이 성별, 수준별에 따른 효과의 차이가 있음을 검증해 보았으며 상위인지영역에서의 협동학습효과를 분석해 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대전에 소재하는 D 중학교 2학년의 남녀 2개 학급(남학생 반 39명, 여학생 반 35명)이었다. 대상학급은 그동안의 수학점수를 비교하여 사전학업성취도가 차이가 없다고 인정되는 두 학급을 선정하였으며 실제로 선택된 두 실험 집단의 도형영역에 대한 사전학업성취도의 차이가 없음을 1학년 도형영역의 내용을 중심으로 시행한 사전 학업성취도 검사를 t-검증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었다. 선택된 두 실험 학급에 대하여 정규수업시간을 이용하여 4주간 동일한 형태의 협동학습을 실시하였으며 4주간의 실험처리 직후 연구자가 개발한 사후학업성취도 검사 문항을 통하여 두 집단간의 학업성취도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도형영역에 대하여 협동학습을 시행한 직후 사후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여 그 평균의 차를 t-검증해 본 결과 남학생반과 여학생반의 성취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각 반의 수준별 집단에 대한 비교에서도 동일한 분석을 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2. 사후 성취도 검사에 사용된 20문항 중 상위인지영역에 속하는 10문항을 택하여 1과 동일한 분석을 한 결과 남학생반의 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각 반의 수준별 집단에 대한 비교에서도 하위그룹에서는 두 집단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중위그룹과 상위그룹에서의 통계검증결과는 각각 남학생반이 여학생반에 비하여 높은 학업성취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new aim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is "Getting the Mathematical Power", which is a reflection of social request. This means that traditional teaching method might be changed and so many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re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the power of mathematics of students and they are gradually introduced to school. Cooperative learning is suggested as an efficient model to achieve that purpose and becomes an active research field of education of mathematics. But, in general, the research results on the effect of the cooperative learning do not coincide. It is also known that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depends very strongly on the method of grouping, the plan and system of the class model and the concent of teaching. Because of this, several models for the cooperative learning are introduced. In general, it is known that the group of the different kinds of students is better effective than the homogeneous group in case of middle school and it is also known that the STAD model is suitable for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There are studies concerning to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based on the sexual difference but they suggest different type of conclusion. In this thesis, we examine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based upon sexual difference to mathematical scholastic achievement in the middle school. We are especially interested in case of the 2nd grade middle school geometry since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cooperative learning may be effective in the 'proof education'. We test the effect of cooperation learning based upon the sexual difference, and the ranking of students, We also test these effects under the restriction of the higher recognition area. Two test classes, boy's class and girl's class, were selected from the same middle school located in the Taejeon. We checked the score of mathematics in order to choose the test classes and confirm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wo test classes in the pre-knowledge on geometry by using pretest. After 4 weeks lesson according to STAD model, we test the two classes using problems developed by us and analyzed the results by using statistic verification methods( t-test, z-test). We obtain the following results; 1. After the 4 weeks lesson we analyzed average scores of the post-test of two test classes by using t-test but cannot find any meaningful difference. Also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when we compared those of each levels of both classes. 2. The scholar achievement of boy's class is turned out to be higher than that of girl's class when we compare them by using the 10 problems in the post-test which is in the higher recognition level. In fact,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low-ranking students but we can find there are som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middle or high-ranking students.

      • 도움요청을 하지 않은 알코올 의존자의 특성

        김단비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ental health status of alcoholics seeking no help and non-alcoholics and determine if there was any difference by gender of alcoholics seeking no help. This study used the raw data from the fifth (2010-2012) and sixth (first, 2013)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rom 2010 to 2013; a total of 19,887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non-alcoholics, who scored ≤19 in AUDIT, and into alcoholics, who scored ≥20; of those scoring ≥20, 1,048 seeking 'no' help were categorized into alcoholics seeking no help.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total of 19,350 respondents―1,048 alcoholics seeking no help and 18,802 non-alcoholics―with the exception of 37 help-seeking alcoholics. As for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ental health status in Question 1,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gende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length of sleep, depressive symptom experience status, the stress perception rate, and suicidal ideation. Specifically, there were significantly more males than females in the alcohol-dependent group, which included 887 males (85.0%) and 161 females (15.0%), while the non-alcohol-dependent group included 8,380 males (50.4%) and 10,422 females (49.6%). As for the dominant age group, 255 persons (26.3%) were aged 45-54 in the alcohol-dependent group and 4,117 (22.3%) were aged 35-44 in the non-alcohol-dependent group. 422 (41.9%) were college graduates or at higher education levels in the alcohol-dependent group and nearly a half of the non-alcohol-dependent group―7,719 (46.3%)―were college graduates or at higher education levels. The alcoholics tended to think that their health status was at the average level, scoring an average of 2.95(SE:) for perceived health status, and the non-alcoholics showed lower levels of perceived health status, scoring an average of 2.79(SE:). As for mental health status, the alcoholics had poorer mental health than the non-alcoholics: the former scored higher for length of sleep, depressive symptom experience status, the stress perception rate, and suicidal ideation. As for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mental health status in Question 2, inter-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age, marital status, marital conditions,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eption status, length of sleep, depression, stress,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Specifically, the males were aged 44.69 years and the females 33.75 years on average. The females were about twice more likely to be unmarried than the males: 60 (39.5%) vs. 124 (19.8%). The female group included about four times more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than the male group: 9 (8.3%) vs. 16 (2.2%). As for mental health status, the females scored higher for length of sleep, depressive symptom experience status, the stress perception rate, and suicide attempts than the male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etween alcoholics and non-alcoholics.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make different approaches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etween alcoholics and non-alcoholics. Second, since alcoholics have poorer mental health and clients with higher levels of depression,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are more likely to be alcohol-dependent, it is necessary to form a network with hospitals, addiction-related institutions, communities, and welfare centers and build a system in assessing them in a community with the objective of determining alcoholic status through screening, finding alcohol problems at the early stage, and making connection with therapeutic practice. Third, the vulnerable factors for alcoholics seeking no help were identified and it is necessary to make different approaches to male and female alcoholics on the basis of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making a therapeutic intervention in alcoholics seeking no help. Fourth, the females had poorer mental health. It is necessary to make different approaches to alcohol problems between males and females, taking such a gender difference into account, and intervention should be made in alcohol-dependent women, taking into account mental health status, including length of sleep, depressive symptom experience status, the stress perception rate,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attempt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creening tool for alcohol problems, focusing on length of sleep, depressive symptom experience status, the stress perception rate, suicidal ideation, or suicidal attempt status among female clients in a community. Lastly, most alcoholics were neglected in a community, seeking no help. It is necessary to give information about alcohol-related evil practices and problems as well as about the plans for returning to therapeutic practices, to find alcoholics through outreach or other methods, and to make relevant service more accessible so that they can seek a help. 본 연구는 도움을 요청하지 않은 알코올 의존자들과 비알코올 의존자에 대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정신건강 특성을 알아보고, 도움요청을 하지 않은 알코올 의존자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2010-2013년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2010-2012), 제6기(1회차, 2013)의 원시자료로 전체 응답자 19,887명 중 AUDIT점수로 19점 이하는 비알코올 의존자, 20점 이상은 알코올 의존자로 선별하였으며, 20점 이상은 도움요청과 관련한 질문을 통해 ‘아니요’라고 응답한 1,048명을 도움요청을 하지 않은 알코올 의존자로 보았다. 도움요청을 한 알코올 의존자 37명을 제외한 도움요청을 하지 않은 알코올 의존자 1,048명과 비알코올 의존자 18,802명으로 총 19,850명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정신건강 특성을 살펴본 결과 성별, 연령, 결혼 상태, 교육수준, 수면시간, 우울증상 경험 여부, 스트레스 인지율, 자살생각에서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알코올 의존자의 경우 성별이 남성이 887명(85.0%), 여성이 161명(15.0%)으로 나타났으며 비알코올 의존자는 8,380명(50.4%), 여성은 10,422명(49.6%)으로 알코올 의존자의 남성 비율이 월등히 높았다. 연령의 경우 알코올 의존자가 45-54세가 255명(26.3%)으로 높은 반면에 비알코올 의존자는 35-44세가 4,117명(22.3%)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육수준의 경우 알코올 의존자의 경우 422명(41.9%)이 대졸이상(전문대 포함)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비알코올 의존자의 경우 7,719명(46.3%)으로 절반 가까이 대졸이상(전문대포함)으로 나타났다. 알코올 의존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의 경우 평균 2.95(SE:.09)로 자신의 건강이 보통이라고 생각하는 경우로 나타났으며, 비알코올 의존자의 경우 평균 2.79(SE:.01)로 알코올 의존자보다 주관적 건강상태가 낮게 나타났다. 정신건강 특성에 대해서는 비알코올 의존자에 비해 알코올 의존자가 ‘수면시간’, ‘우울경험 증상 여부’, ‘스트레스 인지율’, ‘자살생각’에서 더 높게 나타나, 알코올 의존자가 비알코올 의존자에 비해 정신건강이 더 취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문제 2의 인구사회학적특성과 정신건강특성을 살펴본 결과 연령, 결혼 여부, 결혼 상태, 기초생활수급여부, 수면시간, 우울, 스트레스, 자살생각, 자살시도에서 성별 간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남성이 평균 44.69세로, 여성 평균은 33.75세로 나타났다. 결혼 여부에서 미혼의 비율이 남성 124명(19.8%)보다 여성이 약 두 배 높은 60명(39.5%)으로 나타났다. 기초생활수급자의 비율에서 여성이 9명(8.3%)으로 16명(2.2%)인 남성에 비해 약 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건강 특성을 살펴보면 ‘수면시간’, ‘우울증상 경험 여부’, ‘스트레스 인지율’, ‘자살시도’에서 남성보다 여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먼저, 알코올 의존자와 비알코올 의존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알코올 의존자와 비알코올 의존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다르게 접근 해야 한다. 둘째, 알코올 의존자가 정신건강에 더 취약하므로 지역사회에서 클라이언트들을 사정할 때 우울, 스트레스, 자살생각이 높은 클라이언트는 알코올 의존자일 가능성이 더 높기 때문에 음주 여부에 대한 스크리닝을 통해 알코올 문제를 가지고 있는지 함께 사정하여 조기 발견하여 치료현장으로 연계할 수 있도록 병원 또는 중독관련기관과 지역사회, 복지관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셋째, 도움요청을 하지 않은 알코올 의존자의 취약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하였으며, 도움요청을 하지 않은 알코올 의존자의 치료개입에 있어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여성 알코올 의존자와 남성 알코올 의존자에 대하여 다르게 접근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넷째, 여성의 정신건강이 더 취약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성별 차이를 고려하여 남성과 여성의 알코올 문제에 대한 치료와 개입이 다르게 접근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여성 알코올 의존자의 경우 정신건강 특성(수면시간, 우울증상경험여부, 스트레스 인지율, 자살생각, 자살시도) 등을 고려하여 개입이 병행되어야 한다. 특히 지역사회에서 여성 클라이언트 중에서 수면시간이 낮거나 또는 높거나, 우울증상 경험 여부, 스트레스 인지여부, 자살생각이나 자살시도여부에 대해 초점을 두어 알코올 문제와 함께 스크리닝 하기 위한 도구개발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대부분의 알코올 의존자들은 도움 요청을 하지 않은 채 지역사회에 방치되어있다고 볼 수 있다. 이들이 치료 현장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알코올에 대한 병폐나, 알코올의 문제, 혹은 치료현장으로 들어 올 수 있는 방안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아웃리치 등을 통해서 알코올 의존자를 발굴하고, 그들이 도움을 요청 할 수 있도록 서비스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