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애기장대의 생장과 스트레스 반응에 관여하는 non-coding RNA의 발현과 기능 분석

        정현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Recent computational analysis of expressed sequence tags and expression analysis in plants revealed a variety of non-coding RNAs that are transcribed but not translated to functional proteins. Non-coding RNAs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small open reading frame RNAs (sORF RNAs), microRNAs (miRNAs), and short-interfering RNAs (siRNAs). Small ORF RNAs are several hundreds to thousands nucleotides-long mRNAs that contain several coding regions producing less than 100 amino acid-long peptides. miRNAs and siRNAs are 20 to 25 nucleotides-long RNA transcripts that have an ability to bind complementary mRNAs, thereby suppress target gene expression by either mRNA cleavage or translational repression. Although many recent reports propose that non-coding RNAs play diverse roles in growth, development, morphogenesis, and stress responses of plants, the biological roles of different types of non-coding RNAs remain to be elucidated. In this thesis, one sORF RNA designated AtGUT15 and one miRNA designated miRNA417 were investigated for their tissue-specific and stress-responsive expression patterns and the functional roles i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Arabidopsis thaliana under normal growth or various abiotic stress conditions. AtGUT15 and miRNA417 are expressed through all growth stages and ubiquitously in all organs including stems, roots, leaves, and flowers. The expression of AtGUT15 and miRNA417 was moderately regulated by cold, drought, or salt stress and by ABA treatment. Loss-of-function mutants of AtGUT15 displayed a much faster bolting compared to wild-type plants under normal growth conditions, implying that AtGUT15 may be involved in regulating bolting time in Arabidopsis plants. To prove the biological roles of miRNA417, transgenic Arabidopsis plants that constitutively overexpress miRNA417 under the control of cauliflower mosaic virus 35S promoter were generated and their phenotypes were analyzed under normal and stress conditions. Results showed that overexpression of miRNA417 had no effect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Arabidopsis plants under normal growth conditions. However,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the transgenic plants were retarded compared with the wild-type plants in the presence of high salt or ABA. These results imply that miRNA417 plays a role as a negative regulator of seed germination in Arabidopsis plants under salt stress. No cleavage of the putative targets for miRNA417 was observed by the overexpression of miRNA417 in the transgenic plants, suggesting that miRNA417 exerts its role by translational suppression mechanism.

      • 朝鮮時代 依服紋樣 硏究

        정현주 淑明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85 국내석사

        RANK : 247647

        服飾은 인류의 발생과 그 기원을 함께 한다고 볼 수 있으며 자연적인 산물로 발생한 服飾은 어느 단계에 도달하면 그 민족 나름대로의 상징적이고 전통적인 문양을 갖는다. 문양은 衣, 食, 住生活에 바탕을 두었으며 生活에 기본을 두지 않은 문양은 존재할 수도 없다. 따라서 문양은 민족의 정서가 담긴 表現이라고도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지리적으로 中國과 인접하여 같은 문화권 안에서 성장하고 발전하여 왔으므로 중국적인 문양과 동일한 요소를 많이 내포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우리의 생활환경에 맞게 잘 발전시켜 한국의 고유한 문양으로 정립시켜 왔다. 본 논문에서는 오랜 역사와 전통성을 지니고 외래문명의 소용돌이 속에서도 굿굿이 우리의 맥을 이어온 韓國의 服飾 紋樣에 대하여 朝鮮時代를 中心으로 분석하였다. 그 內容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朝鮮時代 服飾을 男子 服飾과 女子 服飾으로 구분하고 男子 服飾에는 王服, 百官服, 士人服으로 女子 服飾에는 妃嬪服, 士人女服, 庶民 女服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한국의 전통의복이 조선시대에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朝鮮時代 服飾 紋樣의 種類로는 動物紋, 植物紋, 自然紋, 幾何紋, 其他 等으로 분류했다. 動物紋은 龍紋, 鳳凰紋, 麒麟紋, 鶴紋, 편복문, 蝴蝶紋, 鴛鴦紋, 虎紋 等이 있고, 植物紋은 四君子紋, 牧丹紋, 蓮花紋, 佛手柑紋, 天桃紋, 石榴紋, 葡萄紋, 瓢葫蘆紋, 梨花紋, 槿花紋, 唐草紋, 寶相花紋, 自然紋은 雲紋, 火紋, 山水, 水波紋, 幾何紋은 雷紋, 亞字紋, 卍字紋, 其他에 吉詳語紋, 十長生紋, 人物紋을 포함시켰다. 이러한 여러 문양중에서 十長生紋은 가장 韓國的인 문양으로 10가지의 모티브가 복합되어 하나의 문양을 구성하고 있다. 세째 朝鮮時代 紋樣의 性格으로 社會制度的 意味와 宗敎的 意味로 나누어 보았다. 朝鮮은 兩班, 中人, 常人, 賤人으로 구분되어 세습적인 신분제도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신분적인 특색을 나타내는데 가장 큰 역활을 한 것은 服飾이었고 그것에 나타난 문양은 上下의 계급을 알 수 있는 하나의 시각적인 심볼이 되었다. 龍은 만물의 祖로서 王을 상징하고 王家의 紋章으로 사용되었으며 翟紋은 王妃의 翟衣에 사용된 문양으로 王妃의 전용문이라 할 수 있다. 또한 王과 世子 世孫에도 上下를 구별할 수 있도록 補에 龍의 발톱 수를 달리 했고 王妃, 公主, 士女들의 스란치마에도 문양을 달리해 가며 제도적으로 신분의 차이를 나타냄을 볼 수 있다. 특히 공복인 상복의 흉배는 문무관의 표식이나 당상 당하의 구별을 나타내어 인간의 존엄성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또한 우리의 문양은 미적동기에서 출발하였다기 보다는 잠재된 의식의 한 단면이었으며 인간의 욕구와 기원의 상징을 종교적이고 주술적인 의미로 표출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十長生은 天桃紋과 함께 長壽의 의미로 편복紋과 葡萄紋, 石榴紋, 童子紋은 多男의 상징으로 牧舟紋은 富貴의 상징으로 雷紋은 마귀를 막기 위한 뜻으로 사용되었다. 이렇듯 조선시대 문양은 儒, 佛, 道, 巫의 사상을 내포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분석으로 복식에 나타난 문양을 통하여 여러가지 의미를 감지할 수 있고 선인들의 정신적인 맥락을 더듬어 볼 수 있으며 전통문양을 전승시키는 동시에 현대감각에 맞게 발전시켜 새로운 문양을 만드는데 커다란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Fashion and its ornaments which originated in early prehistoric age were produced naturally in every human society and they have yielded symbolic and traditional patterns native to the nation, as time passed on. Since these patterns also took a substantial root in clothing, food and housing lives of the nation, most of them could express the nation's real spirits and emotion. From earlier times, the Korean Peninsula has kept in contacts with China geographically and included many similar elements within the same cultural area, compared with the pattern in Chinese style, but they have developed their own patterns fit for the living environment, without loss of the national tempera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for the Korean pattern which has firmly succeeded to the national identity in the vortex from abroad, and it concentrated on those in Chosun dynasty. The contents an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ose clothes of Chosun dynasty classified by sex were subdivided for analysis. Out of them, those of women's were analyzed into queen and the royal concubines', ladies' and the female and men's into king's, all the officials', and scholars'. As the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traditional fashion of Korea was formed at Chosun dynasty. 2) Fashion patterns at that time were divided into animal, plant, nature, geometrical figure, and others. Of them, animal patterns comprised dragon, Chinese phoenix, giraffe, crane, turtle, bat, butterfly, lovebird, and tiger; plant patterns of the Four Gracious Plants (i.e. plum, orchid, chrysanthemum and bamboo), peony, lotus flower, citron, heavenly peach, pomegranate, grape, gourd flower, pear blossom, hybiscus syriacus, arabesque, and pipal flower; natural patterns of cloud, fire, landscape, and wavelet; geometrical patterns of coin, letter 亞 and □, and; letters of good omen, the Ten Longevity Creatures and fig ure patterns comprised the rest. Of these patterns, the Ten Longevity Creatures showed the best feature in Korean style, forming an integrated pattern with ten kinds of motifs. 3) The feature of those patterns was analyzed into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s; symbols of status, sociometric meaning, and religious meaning. Fashion and its ornaments seemed to play the greatest role in representing social status which was comparted hereditarily into the noble class, the middle class, commoners, and lowly people. Therefore the patterns found in them served as a visual symbol disclosing different social classes. As a forefather of all things, dragon symbolized a king and was then used for the insignia of the royal family. A peafowl pattern was decorated on queens' dresses only for them. Furthermore, claws of a dragon were differently ornamented on the royals' clothes so that they could tell the status even between king, Crown Prince and gradheirs, and different patterns on long skirts of queen, princesses and ladies also showed discriminative status of them. In particular, the embroidered insignia on the breast and the back of workaday clothes seemed to show class consciousness quite clearly, in parallel with even human dignity. Patterns in Korea comprised a section of subconsciousness, rather than originated in an aesthetic motif, and most of them made expression of the symbols of human needs and desires into a religious and incantational meaning. For example, the Ten Longevity Creatures and heavenly peaches were commonly used for long life, bat, grape and pomegranate for prolofic sons only, peony for wealth and prosperity, and coin for driving out demons, respectively. As such, deepened thoughts of Buddhism, Taoism and shamanism were included in the patterns of the dynasty. As shown in above results, ancestors' spritual clues could be appreciated in traditional patterns through coming in contact with the national living conditions and meanings. To develop traditional patterns fit for modern sense, I hope, seems to contribute to making new ones.

      • 민관 합동형 개발사업의 갈등전개과정 분석 : - 평택 브레인시티 사업을 중심으로 -

        정현주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Future urban policy inevitably demands extended civil participation in various stages of development projects including low-cost-high-efficiency land space structural policy and fulfillment of various demands. Private and public joint development project, one of civil participated projects, will be highly likely to have various conflicts because of complicated interests like the difficulty of securing neutrality between commercialism and public nature and the uncertainty of who is responsible. The conflict, if got worsened, will turn into economic, psychologic and social damage according to business cancellation and legal suit, and into another conflict like loss of confidence on urban administration and enmity between pro and con residents.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onflict might be increased in promoting private and public joint development project. This research analysed the process that the aftermath of conflicts between business participants has an effect on success or failure of project promotion, and birth and spread of another conflict. In addition, it presented conflict management device to prevent conflicts able to be generated in promoting the private and public joint development project. As for the composition of this research's analysis frame, the conflict developing process was divided,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project promotion schedule, into potential conflict, perceived(felt) conflict, expression of conflict and aftermath stage. Analyzed were the conflict issue between direct and indirect stakeholders according to conflict stage and environmental factor, and the conflict management device used for conflict solution according to acting subject. Through such process of analysis, this research presented following political and theoretical suggestions to manage and prevent conflicts in promoting the private and public joint development project. First,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economic and legal conflict generating factor through thorough pre-review of project plan, and to prepare a countermeasure. When the public sector participates in the private and public joint development project,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n official institution to discuss the propriety of related laws and the result of business feasibility review, and to prepare a criteria. It is because in case of the private and public joint development project, lots of political factors are generated, but as a result,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project and legal and systematical irrationality cannot be overcome.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ystematical and administrative institution for conflict management. Even private and public joint development project show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ublic conflict, and project plan should include the plan of conflict management and response according to each project participant. A conflict adjustment agent is necessary for the project promotion period to evaluate and oversee it. Lastly, professional education is necessary to use efficiently cognitive accessive method out of conflict management methods. It was analyzed most important to prepare a system for professional education over efforts to improve professionalism on related field like public institution's development project, understanding of changed civil society like information sharing ability and improvement of civil conscience and raising recognition and method of the importance of conflict management. It is because indirect stakeholders recognized even private and public joint project as public project, and the cause of generated and deepened conflict in indirect stakeholders revealed as complain of public institutions' conflict management method. This research had following limits in analysis of conflict developing process. The object area of this research was under trial between direct stakehoders and a deep interview was hard to proceed between them. Therefore it was hard to identify and review the analysis of project structure and superficial conflict situation and deep contents. The entire process of conflict could not be analyzed as the conflict stage did not reach to the solution. Consequently, analysis of conflict development and conflict management strategy did not made concerning the entire process until completion(including cancellation) of the private and public joint development project. Therefore it was the limit that this research did not present a specific device to manage and prevent the conflict developing process from potential conflict to conflict solution. 앞으로의 도시정책은 저비용 고효율의 국토공간 구조정책과 다양한 수요충족 등 각종 개발사업의 민간참여 확대가 불가피 할 것이다. 민간참여 사업방법의 하나인 민관 합동형 개발사업은 민간자본 참여에 따른 사업성과 공공성 사이의 중립 확보 어려움, 책임소재 불분명 등 복잡한 이해관계로 인해 다양한 갈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질 것이며, 갈등이 심화될 경우 사업취소 및 소송 등에 따른 경제적·심리적 피해의 사회적 손실과 도시행정신뢰 상실, 찬반 주민 간 반목 등의 갈등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민관 합동형 개발사업 추진시 갈등관리과 예방의 중요성은 더 커지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민관 합동형 개발사업추진 사례를 통해 사업참여자간 갈등의 여파가 사업추진 성패와 또 다른 갈등의 발생과 확산되는 과정을 분석하고, 민관 합동형 개발사업 추진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예방하기 위한 갈등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분석의 틀 구성은 갈등전개과정을 사업추진일정을 기준으로 잠재적 갈등, 지각된(느껴진) 갈등단계, 갈등표출 및 여파단계로 구분하여 갈등단계별 직간접적 이해당사간의 갈등이슈와 환경적 요인을 분석하고, 갈등해결을 위하여 사용된 갈등관리방안을 시행주체별로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과정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민관 합동형 개발사업 추진시 갈등관리와 예방에 있어 다음과 같은 정책적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사업계획의 철저한 사전검토를 통한 경제적법적 갈등발생요인의 최소화와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공공부문은 민관 합동형 개발사업 참여시 관련법령 및 사업타당성 검토결과에 대한 적정성 논의가 이루어 질 수 있는 공식적 기구의 설립과 구체적인 기준마련이 중요한데 그 이유는 민관 합동형 개발사업의 경우 정치적 요인이 많이 발생하지만 결과적으로 사업의 경제성과 법적제도적 불합리성은 극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둘째, 갈등관리를 위한 제도적관리적 기구마련이 필요하다. 민관 합동형 개발사업이라도 일반적인 공공갈등의 특징을 보이므로 사업계획서에 사업참여자별 갈등관리와 대응계획을 포함토록하고 사업추진과정 기간동안 이를 평가하고 감독할 수 있는 갈등조정기구가 필요하다. 셋째, 갈등관리방법중 인지적 접근방식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전문교육이 필요하다. 공공기관의 개발사업 등 관련 분야에 대한 전문성 향상 노력, 정보공유 능력과 시민의식 향상 등 변화된 시민사회에 대한 이해, 갈등관리 중요성에 대한 인식고취와 방법에 대한 전문교육을 위한 제도와 지원책 마련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이유는 민관합동 사업이라도 간접적 이해당사자들은 공공사업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간접적 이해당사자들의 갈등발생요인과 갈등심화의 주요 요인이 공공기관의 갈등관리방식에 대한 불만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갈등전개과정 분석에 있어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연구사례대상지가 직접적 이해당사자간 소송이 계류 중인 상태로 직접적 이해당사자들의 심층면담 인터뷰 진행이 어려워 사업구조분석과 표면적 갈등상황 이외 보다 심도있는 내용의 확인과 검토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갈등단계상 해결과정에 이르지 못한 상태로 갈등전개 전 과정을 분석할 수 없어, 민관 합동형 개발사업의 사업완료(취소포함)까지의 전 과정을 기준으로 한 갈등전개 및 갈등관리전략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잠재적 갈등단계부터 갈등해소까지의 갈등전개과정의 갈등관리와 예방을 위한 구체적 방안제시에 대하여는 연구의 한계가 있다.

      • 생명과학I 방어 작용 단원의 과학사 교수 학습지도안 개발

        정현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cience history materials related to the Unit 'Defensive Action' in 2009 revised Life Science I for High School and develop a lesson plan for teaching science history in Learning Cycle Model. With the revision of educational course, 'Defensive Action' Unit related to immunity and health was independently added to 2009 revised Life Science I for High School and more contents were added than previous curriculum. Currently, there is still great lack of teaching materials for the unit. Thus, this study produced a teaching/learning plan by applying science history to teach science more effectivel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Defensive Action' Unit in Life Science I and collected, explored and analyzed materials of science history literature. Selected sub-unit from 'Defensive Action' Unit' was 'diseases and pathogens' for which study goal is to learn the characteristics of pathogens and disease prevention methods. Scientists selected in the history of immunology were Louis Pasteur, Robert Koch and Von Behring and the contents of science history were composed by linking discovery of microorganisms which are the cause of diseases, production of vaccines, proving germs and discovery of antitoxins altogether to demonstrate through what processes microbiology, immunology and bacteriology were developed. Stages of Learning Cycle Model were applied to basic 50-minute class in High School so that they can be applied to regular classes. By constructing the program in such a way that materials of science history can be applied to all of exploratory stage, concept introduction stage and concept application stage, study simultaneously developed teaching/learning plan and activities paper which includes reading materials for 1st session. Author of this study hopes that this teaching/learning plan can be utilized in educational fields and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difficult 'Defensive Action' Unit', for which materials are deficient, through biographical anecdotes of scientists and ultimately maximize learning effect by arousing students' interests. 본 연구는 2009 개정 고등학교 생명과학I 교과서의 방어작용 단원과 관련된 과학사 자료를 분석하고, 이를 활용하여 순환학습 모형의 과학사 교수 학습지도안을 개발 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육과정이 개정되면서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생명과학I에 면역과 건강에 관련된 방어 작용 단원이 독립되어 편성되었고 예전 교육과정 보다 많은 내용이 추가되었다. 현재 이 단원에 대한 교수 학습 자료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과학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교수 학습 방법으로 과학사를 적용한 수업자료를 개발하여 교수 학습지도안을 제작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생명과학I 방어 작용 단원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와 관련된 과학사 문헌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고찰하고 분석하였다. 방어작용 단원에서 선정된 소단원은 ‘질병과 병원체’로 병원체의 특성과 질병 예방방법을 이해하는 것이 학습 목표이다. 면역학의 역사에서 선정된 과학자는 루이 파스퇴르, 로베르트 코흐, 폰 베링으로 질병의 원인인 미생물의 발견과 백신 제작, 세균의 증명과, 항독소의 발견 업적을 서로 연결하여 미생물학, 면역학, 세균학의 발전이 어떤 과정으로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과학사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를 고등학교 정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고등학교 수업시간 50분을 기준으로 순환학습 모형의 단계를 적용하였다. 탐색 단계, 개념도입 단계, 개념적용 단계에 과학사적 자료를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1차시 분량의 교수학습지도안과 읽기자료가 포함된 활동지를 함께 개발하였다. 과학사를 적용한 교수 학습지도안이 교육현장에 유용하게 이용되어, 자료가 부족하고 어려운 내용의 방어 작용 단원을 과학자들의 전기적 일화를 통해 학생들이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궁극적으로 학생들의 동기를 유발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시키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초등학생의 민속춤 프로그램 참여가 문화간 인식에 미치는 영향

        정현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examines how participating in traditional dance program affects fourth-graders in terms of cross cultural awareness, in order to illuminate educational effect of traditional dance. Four fourth-grade classes of G grammar school located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he research grouped the classes in two as experiment group (27 male and 26 female students) and control group (24 male and 28 female students). Students in the experiment group participated in traditional dance program three times a week for ten weeks. The research revised a questionnaire for "study of students' perception of education on global understanding," of Lee soo yong(2004), a questionnaire for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ulture through educating Korean folk dance in secondary school." of Yoon sun hee(2006) and a questionnaire for "the effect of cultural comparison instruction through English dramatic play." of Kwon o jeong(2006). To demonstrate change in cultural awareness between two groups, the research analyzed the data using SPSS/PC+ 17.0 version of Window. The study utilized for analyzing collected data were reliability analysis & t-test. The research produced the following outcomes. Firstly, students' cross cultural awareness varies by demographic factors. More specifically, gender, experience of living abroad, parents' educational level affects students' level of cross cultural awareness. Female students show more tolerance and interest in different cultures than male students, and the differen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tudents with experience of living abroad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cultural relativity, more tolerance for different cultures and have more pride in Korean culture. Students whose parents received college education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cultural relativity, show more interest in different cultures and more pride in Korean culture compared to students whose parents received high school education or less. Secondly, participation in traditional dance program affects students' cross cultural awareness. Students in the experiment group show better understanding of cultural relativity, more tolerance and interest for different cultures compared to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Even within the experiment group, students' perception changes with the progress of the program. After students took the program, their understanding of cultural relativity improves and they show more tolerance and interest for different cultures. The research outcome shows that traditional dance program has positive effect on developing cross cultural awareness of grammar school students. Especially, since traditional dance is related to lifestyle and customs of particular cultures and easily accessible to people of all ages and both genders, it can be an instructive program to enhance cross cultural awareness.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민속춤 프로그램 참여가 문화간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금천구에 소재하고 있는 G초등학교 4학년 4개 학급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사전 검사를 통하여 동질적인 집단으로 보이는 각각 2개의 학급을 실험집단(남: 27명, 여: 26명)과 통제집단(남: 24명, 여: 28명)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에 주 3회씩 10주간 민속춤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조사도구는 이수용(2004)의 “국제 이해 교육에 관한 중학생들의 인식조사 연구”의 설문지, 윤선희(2006)의 “중학교 한국 민속무용 교육을 통한 전통문화 인식도 연구”의 설문지와 권오정(2006)의 “영어연극놀이를 통한 문화비교 지도의 효과 : 영어학습태도 및 문화이해를 중심으로”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문화간 인식 변화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자료 분석은 Window용 SPSS/PC+ 17.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변인의 하위변인별 신뢰도검증과 t검증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민속춤 프로그램 참여가 문화간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문화간 인식에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문화간 인식은 성별, 외국에 가 본 경험,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다. 성별에 따른 문화간 인식의 차이는 여자가 남자에 비해 문화에 대한 수용성, 문화에 대한 관심 및 흥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외국에 가 본 경험에 따른 문화간 인식의 차이는 외국에 가 본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외국에 가 본 경험이 없는 학생들보다 문화상대주의적 의식 성향, 문화에 대한 수용성, 한국에 대한 자긍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 또한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문화간 인식의 차이는 부모의 교육수준이 대졸 이상인 학생들이 부모의 교육수준이 고졸 이하인 학생들보다 문화상대주의적 의식 성향, 문화에 대한 관심 및 흥미와 한국에 대한 자긍심 부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 둘째, 민속춤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문화간 인식에 차이가 있다. 먼저, 집단간의 문화간 인식에 차이가 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문화상대주의적 의식 성향, 문화에 대한 수용성, 문화에 대한 관심 및 흥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 그리고 민속춤 프로그램 실험 처지 전후에 실험집단내의 문화간 인식에 차이가 있다. 민속춤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실험 처치 전에 비하여 실험 처치 후에 문화상대주의적 의식 성향, 문화에 대한 수용성, 문화에 대한 관심 및 흥미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민속춤 프로그램의 계획적인 적용은 초등학생의 문화간 인식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민속춤은 그 민족의 생활·풍속·관습 등이 포함되고,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쉽게 배울 수 있기 때문에 문화간 인식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유익한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교감의 장학기술에 대한 기대수준과 수행정도

        정현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의 장학은 과거에 비해 자율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학교를 중심으로 한 교내자율장학활동의 활성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학교 경영이나 교내 자율장학의 모든 책임이 학교장에게 있다고 할 수 있겠으나 교사들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장학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사람은 교감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교내 자율장학 담당자로서의 교감의 역할 수행은 교사들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교감의 장학기술에 대한 기대수준과 수행정도가 성별, 직위별, 경력별, 학교규모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평가하고, 이를 통하여 초등학교 교감이 갖추어야 할 중요한 자질이 무엇인가를 파악해봄으로써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교내 자율장학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교감의 인화적 기술에 대한 기대수준과 수행정도는 배경 변인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1)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교감의 인화적 기술에 대한 기대수준은 배경 변인별(성별, 직위별, 경력별, 학교규모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교감의 인화적 기술에 대한 수행정도는 배경 변인별(성별, 직위별, 경력별, 학교규모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교감의 경영적 기술에 대한 기대수준과 수행정도는 배경 변인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1)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교감의 경영적 기술에 대한 기대수준은 배경 변인별(성별, 직위별, 경력별, 학교규모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교감의 경영적 기술에 대한 수행정도는 배경 변인별(성별, 직위별, 경력별, 학교규모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교감의 실무적 기술에 대한 기대수준과 수행정도는 배경변인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1)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교감의 실무적 기술에 대한 기대수준은 배경 변인별(성별, 직위별, 경력별, 학교규모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교감의 실무적 기술에 대한 수행정도는 배경 변인별(성별, 직위별, 경력별, 학교규모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넷째,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교감의 장학기술에 대한 기대수준과 수행정도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이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들을 분석한 후 인천광역시 소속 초등학교 중에서 23개 학교의 교사 4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질문지 중에서 부적합한 질문지를 제외한 395부를 통계처리 하였다. 측정도구는 이윤식(1999: 582)의 장학담당자의 자기평가 도구 설문지(Ⅰ)의 모형을 참고로 하여 제작하였으며, 연구자가 근무하는 학교의 동료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for Windows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성별, 직위별은 T-test, 경력별, 학교규모별은 ANOVA로 차이검증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는 집단을 확인하기 위해서 사후검증(Scheffe′test)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은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감의 인화적 기술에서 기대수준의 전체 평균값은 4.23으로 나타났고, 변인별 기대수준의 차이는 성별, 직위별, 경력별, 학교규모별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인화적 기술에서 수행정도의 전체 평균값은 3.35로 나타났고, 변인별 수행정도에서는 성별과 학교규모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직위별과 경력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직위별에서는 부장교사(M=3.51)가 일반교사(M=3.31)보다 높게 평가하였고, 경력별에서는 16년 이상의 교사(M=3.56)가 5년 이하의 교사(M=3.19)와 6년-15년 이하 교사(M=3.29)보다 높게 평가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교감의 경영적 기술에 대한 기대수준의 전체 평균값은 4.27로 나타났고 변인별 기대수준은 직위별, 경력별, 학교규모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성별에서 여교사(M=4.31)가 남교사(4.16)보다 높게 기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영적 기술에 대한 수행정도의 전체 평균값은 3.57로 나타났고 변인별 수행정도는 성별, 학교규모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직위별, 경력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직위별에서 부장교사(M=3.70)가 일반교사(M=3.53)보다 높게 평가했으며, 경력별에서 16년 이상의 교사(M=3.75)가 5년 이하의 교사(M=3.49)와 6년-15년 이하 교사(M=3.48)보다 높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교감의 실무적 기술에 대한 기대수준의 전체 평균값은 4.20으로 나타났고 변인별 기대수준은 Recently encouragement of learning is emphasized more than ever and the activation of study promotion activities with the center on schools is urgently asked for. All the responsibilities for school management and self-control study encouragement in campus are set on principals but it's the assistant principal that maintains ties with teachers and induces teachers' active participation to conduct enhancement of learning in school. Role implementation of vice-principal as a self-regulation study promotion person in charge is vital for its direct influences on teachers. In this study we evaluate what differences are in expectation extent and achievement degree to assistant principal's study boost technique perceived by primary school teachers in accordance with gender, status, career and school magnitude and whereby as grasping what is the most important temperament that primary school teachers must have, exert our utmost so that we promote concrete study in school. The research titles to accomplish this study goal are as follows. Firstly, what differences are in expectation extent and achievement degree to vice-principal's personal harmony skill recognized by prim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surrounding variables? 1) What distinctions are in anticipation level to assistant-principal's between-men peace technique realized by prim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surrounding variables, for example gender, status, career and school size? 2) What distinctions are in execution grade to assistant-principal's between-men peace technique realized by prim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surrounding variables, for example gender, status, career and school size? Secondly, what dissimilarities are in expectation extent and achievement degree to vice-principal's management skill apprehended by prim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surrounding variables? 1) What disparities are in anticipation level to assistant principal's management technique seized by prim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surrounding variables such as gender, status, career and school size? 2) What disparities are in operation grade to assistant principal's management technique seized by prim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surrounding variables such as gender, status, career and school size? Thirdly, what inequalities are in anticipation extent and achievement degree to assistant principal's task technique grasped by prim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surrounding variables? 1) What inequalities are in expectation level to vice-principal's task skill apprehended by prim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surrounding variables, for example gender, status, career and school magnitude? 2) What inequalities are in execution grade to vice-principal's task skill apprehended by prim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surrounding variables, for example gender, status, career and school magnitude? Fourthly, what relations are to expectation extent and operation degree against vice-principal's study promotion skill discerned by primary school teachers? To solve this study problem, we posted a question to 420 teachers of 23 school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fter we analyzed relevant documents and preceding researches and processed statistically 395 sheets except for inappropriate data. We created measuring tools with reference to self-esteem utility questionnaire(I)'s model of Lee, yoonsik(1999: 582)'s person in charge of study promotion and after preexamining targets of 20 fellow teachers in the place researchers work, we modified and supplemented data in tow by an advisor. We utilized T-test according to gender and status and ANOVA according to career and school size by means of program of SPSS for Windows 15.0 and to find out the statistically valid group, performed post-hoc analysis(Scheffe′ test). Research conclusion on expectation extent and execution degree to vice-principal's study promotion skill discern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as follows. Firstly, teachers expect favorable and comfortable relationship with fellows that can be models. Vice principals have to listen to teachers, offer teachers the opportunity to communicate the ideas and make a good relationship with teachers not ignoring newly appointed teachers' expectation level but cultivating communication skills and personal harmony technique at swiftly changing ages. Secondly, female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school management and interest in schools is growing more and more. Yon don't differentiate female teachers from male teachers any more. Teachers' good opinions should be reflected on the school management and teachers ought to be given various opportunities to develop their capability and display it. Assistant principals have to execute duty assignment, appointment and form master disposition to the principle in a rational and democratic way and mitigate teachers' stress in the school life of task achievement reducing odd duties. Thirdly, To induce teachers to take in his instructions and advices in a positive way, vice-principal must polish the professional ability, acquire the better method and skill on lesson unceasingly and be able to advise teachers in a concrete way. To help teachers with the research achievement, assistant principal is obligated to foster his expertise and analyse and evaluate a research subject. Fourthly, a vice-principal has to learn the personal harmony skill, the most important of three study promotion techniques that he should obtain and apply it to practical affairs. Even though a vice-principal is splendid at the management skill and the practical skill, teachers will be unwilling to absorb assistant principal's study uphold technique without harmony with themselves. I will propose as follows for a desirable implementation of the promotion of learning. Firstly, we have known there are huge and distinctive differences in teachers' anticipation extent and operation degree to vice-principal's education bo

      • 총체적 언어교육 접근이 유아의 언어 표현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정현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총체적언어교육접근에 기초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이를 유아들에게 실험처치로 실시한 후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총체적언어교육접근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표현력에 어떠한 효과가 있을 것인가? 2. 총체적언어교육접근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어떠한 효과가 있을 것인가? 본 연구는 전남 장성군에 위치한 Y초등학교병설유치원의 2학급 4,5세 유아 3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연령, 거주지역, 부모의 교육받은 년수 및 언어표현력과 창의성에 대한 사전검사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측정도구는 언어표현력을 측정하기 위해 장영애(1981)가 제작한 언어능력 검사 중 언어표현력 변인을 검사하였으며 창의성의 측정은 Torrance의 창의적 사고력 검사 중 도형검사 A, B 형을 사용하였다. 실험집단은 총체적언어교육접근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부호중심접근 프로그램에 의해 진행되었다. 실험처치는 주5회 6주동안 걸쳐 실시하였고, 사전·사후검사 후 수집된 자료는 SAS system으로 전산처리하여 t검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체적언어교육접근 프로그램은 유아의 언어표현력을 의미있게 향상시켰으며, 언어표현력의 하위영역인 단어수, 문장수, 내용의 연계, 창의적 표현 등의 항목도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총체적언어교육접근 프로그램은 유아의 창의성을 의미있게 향상시켰다. 또한 창의성의 하위영역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등에서도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총체적언어교육접근은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창의성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how the effects on young children's ability with language expression and creativity after being exposed to a program based on whole language approach. The detailed subj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much does whole language approach program have an effect on young children's ability with language expression? 2. What kinds of effects will produce young children's creativity after whole language approach program has been applied to young children? For this study, two classes consisting thirty-four kindergarten young children around 4 to 5 years old were chosen attached to "Y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Chang-sung, Chonna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rough the pre-survey with regards to ability with language expression and creativity. Other factors considered were age, residence area, and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The test of variable factors, which affect language expression, was mainly examined. This is one of the test methods designed by Chang Young-ahe in 1981. However, for estimating creativity, diagram test A, B was chosen, one of the Torrance's test methods for estimating creative consideration. A whole language approach program was tes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and a code-approach program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This test was carried out five times a week for 6 weeks and the result of the pre-test and main test was computerized with the SAS system.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 whole language approach program evaluated young children's ability of language expression and developed significantly sub-categorized items like the number of words, number of sentences, relation with contents, creative expression, etc. Second, a whole language approach program meaningly evaluated young children's creativity. It also made an progress In sub-categorized items such as fluency, flexibility, creativity, elaborateness, etc. As a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whole language approach program has an effect on young children's development of language expression and creativity.

      • 비절연형 고승압 소프트스위칭 양방향 DC-DC 컨버터에 관한 연구

        정현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에너지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 및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과 같은 분야에서 에너지 저장소자(배터리, 슈퍼커패시터 등) 내의 에너지를 충전하고 방전하는 역할을 하는 양방향 DC-DC컨버터에 대한 중요도와 역할이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PWM plus phase-shift (PPS) 스위칭 기법을 적용한 비절연형 고 승·강압이 가능한 소프트스위칭 양방향 DC-DC 컨버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컨버터는 높은 승·강압비를 가지며 (기존 벅/부스트 컨버터 보다 2배)와 3레벨 구조로 낮은 스위치 전압정격(고전압 측 전압의 50%)을 갖는다. 또한, 양방향 동작 모드에서 불연속전류모드 Discontinuous current mode, DCM)뿐만 아니라 연속전류모드(Continuous current mode, CCM)에서도 모든 스위치가 영전압스위치(Zero voltage switching) 턴 온 을 성취할 할 수 있다. 또한, 제안하는 컨버터를 한 모듈로 두 개의 모듈을 이용하여 입력-병렬/출력-직렬(input-parallel/output-series, IPOS) 구조의 컨버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컨버터의 병렬구조로 인해 저전압 측 전류와 고전압 측 전압에 인터리빙 효과가 있고 직렬구조로 인해 높은 승·강압비 (기존 벅/부스트 컨버터에 보다 약 3.5배)와 소자들의 낮은 전압정격(고전압 측 전압의 약 30% 수준)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CCM 동작에서도 모든 스위치가 영전압 스위칭 턴 온을 성취한다. PPS 스위칭방법은 제안하는 컨버터의 양방향 동작 모드가 대칭적이도록 만들어 제어를 용이하게한다. 위상천이각도를 이용하여 출력전력의 크기와 방향을 제어함과 동시에 듀티비를 이용하여 고전압 측 커패시터 전압들을 동일하게 하여 제안하는 컨버터의 양방향 동작 모드에서 소프트스위칭을 최적화하고 소자들의 전압 정격을 최소화한다. PPS 스위칭 기법의 개념과 동작 원리를 기반으로 제안하는 컨버터의 출력전력, 제어전략 등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수동소자 설계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단일 모듈의 제안하는 컨버터와 IPOS구조의 제안하는 컨버터의 원리와 타당성을 각각 3kW와 2kW 급의 시작품을 통해 검증하였다. In applications such as energy storage systems (ESS) and microgrid systems, The importance and role of bidirectional DC-DC converters that charge and discharge energy in energy storage devices (batteries, supercapacitors, etc) are gradually becoming important. This paper proposes a non-isolated soft-switching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for high step up/down with pulse width modulation plus Phase-shfit (PPS) switching technique. The proposed converter has a high step up/down ratio (twic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buck/boost converter), and a low switch voltage rating(half of the voltage on the high voltage) with a three-level structure. In addition, in both operation mode, all switches can achieve zero voltage switching (ZVS) turn-on not only in the discontinuous curent mode (DCM), but in the continuous current mode (CCM). Also, the converter of input-parallel/ouput-series (IPOS) structure using two proposed converter modules is proposed. The proposed converter has an interleaving effect on the low voltage side current and the high voltage side voltage due to the parallel structure, and a high step-up/down ratio (approximately 3.5 time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buck/boost converter) and low voltage rating of the devices. Likewise, in CCM operation, all switches can achieve zero voltage switching turn-on. The PPS switching technique facilitates simple control structure by making the proposed converter’s bidirectional operation mode symmetrical. The phase-shift angle is utilized to regulate the amount and direction of power flow of the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while the duty cycle is utilized to balance the voltage between high voltage side capacitors, which results in optimized soft-swtiching and minimized voltage rating of devices. Based on the concept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PPS switching technique, the output power and control strategy of the proposed converter are analyzed, and a design guideline of the passive components is presented. Also, the principle and validity of the proposed converter of the single module and the IPOS structure of the proposed converter are verified through prototypes of 3kW and 2kW, respectively.

      •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 필요성에 대한 제주지역 교사들의 인식 연구

        정현주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실시유형에 따라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의 필요성을 조사함으로써, 앞으로 교육복지서비스의 전문인력을 효과적으로 기획하고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에 대한 역할기대의 중요성을 알아보고 필요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복지서비스에 관한 문헌고찰과 설문조사로 이루어졌으며, 조사대상은 제주지역 학교 중 교육복지투자우선 지원사업 해당학교 7개교와 비해당 학교 4개교의 총 33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WI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의 일반적 사항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기술통계분석을 사용하였고, 교육복지서비스 도입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의 역할과 협력에는 교차분석과 독립표본T(t-test)검정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한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의 성별은 여자가 70.6%로 남자교사보다 많았고, 학교형태로는 제주시지역 초등학교가 38.8%, 제주시지역 중학교가 26.4%이며 서귀포지역 초등학교는 20.9%, 서귀포지역 중학교가 13.9%였다. 연령의 분포로는 다른 연령대보다 30-39세 이하의 교사가 30.6%, 40-49세 이하의 교사가 30.9%로 가장 많았다. 둘째, 교육복지서비스 도입과 필요성에 대하여 교사들은 교육복지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었고, 교육복지서비스가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복지서비스 도입의 필요성과 교육복지서비스 제도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광역자치단체의 교육복지서비스 제공의 필요성과 교육복지서비스의 법적‧제도적 장치 마련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의 역할기대 중요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서는 ‘학생과 가족의 인권을 보장하기 위한 옹호활동’과 ‘학교 내의 타전문직과 협력’, ‘학생의 문제를 예방, 해결하기 위해 외부전문기관과의 협력’, 그리고 ‘지역사회의 청소년 유해환경 개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교사들은 그들의 생활지도를 통해 해결하기 어려운 학생문제에 대한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의 원조를 바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생활지도를 통해 해결하기 어려운 학생문제에 대해 그 분야의 전문가의 협력을 원하고 있고 그 중간역할을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이 해주기를 원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교사와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의 협력관계 필요성 인식에서는 ‘학교장이 구성원의 의견청취와 업무지원’과 ‘교사들 간에 우호적이고 친밀한 관계’,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의 성실한 성품과 바른 언행’ 그리고 ‘학생에게 제공되는 교육복지서비스를 교사에게 알려야 하는 필요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라는 공간 안에서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교사와의 협력을 이루어가기 위해서는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의 개인적인 특성보다는 학교나 교사와 관련된 특성이 더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의 필요성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의 활동과 전문적인 역할 수행이 필요하며 교육복지서비스 제도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그리고 교육복지서비스의 종합적인 접근을 위해서 학교 내의 교육복지서비스를 위한 예산이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복지서비스는 학생-학교-지역사회의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교육복지서비스가 시범사업에 머물지 않고, 제도적으로 정착되어야 한다. 또한 실질적인 교육복지서비스 실천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과 함께 직접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중간관리자에 대한 교육복지서비스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학교장이 학교 구성원들의 의견을 수용하고 이해하는 학교의 집단문화 수준이 높아져야 하며,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은 지역사회 자원을 더욱 많이 연계해서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의 전문성을 충분히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교사들이 교육복지서비스에 대해서 더 많은 욕구를 가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이 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이에 대한 제도가 이루어지지 않은 현 상태에서는 제도화를 위한 노력과 지역사회중심의 전문적인 활동과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교육복지서비스 전문인력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역할 수행을 위한 교육복지서비스의 자질 향상과 직접적인 서비스 제공을 통한 접촉기회의 확대가 필요하다. 또한 교육복지서비스의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며 교육계 및 관련영역과의 연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school welfare service of Jeju province by examini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school welfare. Thus, the paper aims to go over the problems raised by previous studies about the roles of school social workers and to investigate the expected roles of the workers in different situations. This paper is divided into two sections,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The survey examined 330 teachers from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Jeju province. SPSS/WIN was applied to the data analysis. Frequency, mean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used to clarify the general trend of the survey results. Finally, T-test and crosstabs were used in intergroup variation. The surve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70.6% of the respondents were women when dividing them according to gender. When classified according to places, 38.8% of the respondents were from the elementary schools and 26.4% from the middle schools in Jeju City. On the other hand, 20.9% were from the elementary schools and 13.9% from the middle schools in Seogwipo City. The survey also classified respondents into five age groups - twenties, thirties, forties, fifties, and those older than sixties. The two largest age groups were people in their thirties(30.6%) and in their forties(30.9%). Second, most of the respondents argued that the school welfare service is necessary for it helps students adjusting to school life. They said that school welfare system should be widely implemented to many schools in Jeju province. They insisted that local governments should provide school welfare service by setting up legal bases. Third, the respondents were expecting several roles from the school social workers. School social workers are expected to protect the rights of students and their family. In addition, they should cooperate with other experts to prevent juvenile delinquency and protect students from various harmful environments. Based upon the survey results, we realized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want assistance from school social workers in solving several educational problems. Fourth, the survey results suggest that several factors influence school social worker's cooperation with different agents at school. Such factors are 1) school principal's active support of the school welfare system, 2) favorable and intimate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3) school social worker's sincerity and good attitude, and 4) the necessity to inform teachers about each school welfare service for students. It turned out that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and teachers more influence the cooperation rather than personal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 social worker. Based on the results, followings can be suggested. First, in order for school social workers to provide professional welfare services, continuous effort on systemizing the welfare service is required. To achieve the goal, schools must increase the budgets for school welfare service. Second, school welfare service requires systemic approach that intimately connects student, school, and local society. It is the only way that fully establish school welfare service in Jeju.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school welfare, it is necessary to educate middle managers about the welfare service for they must work together with school social workers. Third, the quality of the school system should be enhanced to a level in which school principal listens to the opinions of different agents in school. In addition, school social workers should incorporate the resources of the local society to fully show their speciality. Finally, the teachers must have more interest on school welfare service. Lastly, allocating school social workers at each school is ideal, but it is difficult to do so in current situation. Thus, it is necessary to systemize the welfare service and activate it in the local society level. In order to systemize the welfare service, it is better to increase the opportunity for schools to experience the service and enhance its qualit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duct more studies on school welfare and increase the cooperations among the related fie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