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삶과 적응에 관한 연구

        신예정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50

        북한이탈주민들은 기존에 그들이 생활했던 사회주의 체제와는 상반된 자본주의 체제에서 생활하면서 다양한 차원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경제적으로는 낮은 취업률, 불안정한 고용형태, 저임금 및 불안정한 수입원 등을 극복하여 경제적 안정을 이뤄야 하며, 장기적으로는 한국인으로서의 일체감을 형성해야 한다. 이것은 북한이탈주민들이 한국사회에 적응하기 위하여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이를 위해 가장 선행되어야 할 것은 북한이탈주민들이 한국사회에 얼마나 잘 적응하고 있는지 적응형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이들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그러나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적응에 관한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주로 북한이탈주민들의 적응실태 및 지원현황을 포괄적으로 밝히는데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사회적응의 다양한 측면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지 못하였고, 점차 증가하는 가족단위 입국자들의 다양한 특성 또한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인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들의 경제적, 심리적, 사회적 적응 형태와 사회연결망 형태, 가족의 적응 형태를 구체분석하여 그들의 사회적응력을 제고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즉 북한이탈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그들의 객관적인 상황과 그에 대한 본인의 주관적 평가를 살펴보고, 그러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일차적으로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적응력 제고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며, 이차적으로는 한국사람들이 북한이탈주민들을 이해하는데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크게 사회적 삶(경제적 배경, 가족 형태, 사회연결망 형태)에 대한 부분과 사회적응 형태(경제적 적응 형태, 심리적 적응 형태, 사회적 적응 형태)에 관한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부분별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북한이탈주민들은 경제적으로는 주·객관적 모든 측면에서 부적응 형태를 보인다. 특히 여성과 무직자들은 경제적으로 부적응상태에 있다. 반면에 취업자들은 경제적 적응력이 높다. 심리적 측면에서는 매우 안정된 적응 형태를 보인다. 다만 북한에 가족을 두고 온 경우 죄책감으로 힘들어하고 있지만, 부적응이라 판단할 정도는 아니다. 사회적 측면에서는 적응과 부적응이 혼재하고 있다. 즉 생활적 측면에서는 적응이 순조롭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중적 의식구조로 인해 의식적 측면에서는 부적응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적응은 북한이탈주민들이 한국에서 조직이나 단체에 소속해서 생활해 나갈 때 상당부분 해결이 가능하다. 사회연결망 형태는 이중적이다. 사회구성원들과 외형적 친분관계는 형성하고 있지만 내면적 친분관계로까지는 발전하지 못하고 있는 단계이다. 특히 가족과 함께 생활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들이 폐쇄적인 연결망 형태를 나타낸다. 가족형태는 매우 긴밀하다. 가족의 긴밀한 유대관계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심리적 적응에는 긍정적 영향을 주지만, 사회적 적응과 사회연결망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북한이탈주민들의 경제적, 심리적, 사회적 적응형태, 사회연결망 형태, 가족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변수는 직업유무로 모든 적응형태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사회연결망과 가족형태는 경제적, 심리적, 사회적 적응형태와 연관성을 보이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연결망 형태는 북한이탈주민들의 경제적, 심리적, 사회적 적응형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즉 사회연결망이 다양하고 친밀할수록 경제적, 심리적, 사회적 적응이 순조롭게 이루어진다. 둘째, 가족형태 중에서도 특히 가족간의 긴밀한 유대관계는 북한이탈주민들의 경제적, 심리적, 사회적 적응 형태에 영향을 미친다. 가족간의 긴밀한 유대관계는 경제적 적응과 심리적 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사회적 적응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사회연결망과 가족형태는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낸다. 즉 가족간 유대관계가 깊을수록 사회연결망은 제한적이고 폐쇄적인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경향은 여성 북한이탈주민들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대다수가 가족 동거자인 여성 북한이탈주민들은 가족간의 깊은 유대관계로 인하여 사회연결망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실태별 분석을 통합해본 결과 북한이탈주민들이 가장 적응을 잘하고 있는 분야는 심리적 측면이다. 특히 가족이 있는 북한이탈주민들의 경우 매우 안정된 심리상태를 보인다. 반면에 북한이탈주민들의 적응력이 제일 떨어지는 부분은 경제적 적응 분야로, 특히 불안정한 고용상태의 여성과 무직자의 경제력이 제일 떨어진다. 그렇지만 경제적 적응을 취업자들로 한정해 볼 때, 그들은 객관적으로 어려운 경제적 조건을 잘 극복해 나가면서 경제적응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에서의 조직생활을 통해 한국사회에 대한 적응력 역시 향상시켜가고 있다. 이러한 사실에 비춰 볼 때 북한이탈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취업정보 제공, 직업훈련의 강화, 훈련기간 동안의 경제적 지원 등을 통해 그들에게 직업을 제공해 준다면 그들은 본인의 힘으로 한국사회에 잘 적응해 나갈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심리적, 사회적 적응 형태와 사회연결망, 그리고 가족의 적응 형태를 실태별로 구체분석 하였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북한이탈주민들이 처해 있는 상황을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파악하였고, 그것에 대한 본인의 평가 역시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작업은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적응을 위한 객관적 조건과 주관적 조건을 제고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크게 세 가지의 한계를 지니고 있다. 첫째는 조사대상의 한계이다. 북한이탈주민들의 경우 소재파악 및 접촉이 어려우며, 소재파악이 되어도 북한이탈주민이라는 특수한 신분 때문에 응답을 회피하는 경우가 많다. 결국 본 조사는 소재파악이 가능한 1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할 수밖에 없었으며, 최종 응답자는 54명에 불과하기 때문에 이를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둘째는 심층연구를 병행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54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근거로 실태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실태별 구체분석 과정에서 심층연구가 병행된다면 북한이탈주민들이 지니고 있는 이중적인 의식구조나 지극히 개인적인 문제들까지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비교분석을 하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후속작업으로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인구학적 배경과 수준이 비슷한 한국사람들과의 비교, 북한에 있었을 때의 상황이나 경험과 비교한 한국에서의 적응실태 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그들의 객관적 현실에 근거한 보다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적응력 제고 방안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North Korean Defectors should obtain the economic stability, first of all, to get used to the Korean society, and further to develop the sense of unity as a Korean. The first task to solve for this purpose is to concretely recognize how well North Korean Defectors adapt themselves to the Korean society, and to identify the factor of affecting their adaptation to the society. However, since existing studies on the soci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have been mainly focused to explore the status of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s well as the status of support in general, they failed to analyze the various aspects of social adaptation in detail and showed the limit in that it failed to consider various features of ever-increasing family-basis entrants. Based on this,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ir social adaptation ability by concretely analyzing the economical, physical and social adaptation, the social networks and family forms of North Korean Defectors. That is, this study explored their objective status and analyzed the variables affecting this result through survey on North Korean Defectors. This tasks will become the fundamental materials for enhancing the social adaptation abil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firstly, and the reference for Korean to understand the North Korean Defectors secondly. As a result of study, North Korean Defectors were found not to properly adapt to the society in terms of economy from all the aspects including subject aspect and object aspect. In particular, women and unemployed failed to adapt themselves in terms of economy. To the contrary, employed showed high economic adaptation ability, and showed the status of very stable adaptation in terms of psychology. Provided, however, the North Korean Defectors who left their family behind in the North Korea suffered from guilty, but not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regarded as maladjustment. In social aspects, both the adaptation and maladjustment exist. That is, North Korean Defectors showed harmonious adaptation in term of daily life, but showed the maladjustment in terms of mind-set due to dual ways of thinking. However, North Korean Defectors can solve problems in terms of social adaptation if they live in the organizations or groups for them in Korean. The type of social network is double-faced. Even though they formed the friendship with social members in outward form, but failed to develop it to the internal friendship. In particular, the North Korean Defectors who live with their family showed very close connection networks. The family is tightly related and connected. Close relations with the member of family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but negative one on the social adaptation and social network. As a result of combining the analysis per status, it is found out that the North Korean Defectors have well been adapted in psychological aspect. In particular, the North Korean Defectors with family showed the highly stable mental status. In the mean time, the North Korean Defectors showed the poor performance in adapting themselves in terms of economy. In particular, the unemployed women and the unemployed showed the bad economic ability. However, when we consider the employed only for economic adaptation, they are found not only to overcome the difficult economic conditions, get accustomed to the economic situation, but also to improve their adaptation ability by living at organizations in Korea. Judging from this, North Korean Defectors seem to adapt themselves to the Korean society by themselves if they are given with economic supports including the supply of various employment information, reinforcement of occupational training and economic support for the training period. That is, to supply the opportunity of employment to North Korean Defectors is judged to be the best way of enhancing the adaptability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economic, psychological, social adaptation status, social network and family forms of North Korean Defectors. This study exactly and concretely explored the situation where North Korean Defectors are faced, as well as my judgment on this situation. Accordingly, this study will become the reference for exploring the ways of improving the subjective conditions and objective conditions for soci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ree aspects. First one is its limitation on the target of survey. Since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location and to make contact with, and even if we found out their locations, they often avoid answering the survey due to their special position as North Korean Defectors. In this circumstances, this study had surveyed only 125 persons whose locations are identified, and obtained the final answerers of only 54 persons. Given this,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generalizing the result. Second, it failed to carry out the in-depth study at the same time.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s based on the questionnaires of 54 North Korean Defectors. If the in-depth study is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in the course of concrete analysis per status, it may successfully recognize extremely personal problems and double-faced ways of thinking that only North Korean Defectors have. Finally, this study failed to carry out various kinds of comparative analysis. If the social and demographic background of North Korean Defectors are compared with those with similar background, status of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with similar situation or experience are further studied, it may result in the concrete and realistic ways of enhancing the adaptability based on their objective reality.

      • 사회적 지지가 생활시설 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이병환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32447

        장애인의 사회적지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체계적인 사회적 지지의 실증적 조사가 미비하였고, 그나마 이전의 연구들은 표본대상에 있어 대상기관이나 대상자수에 있어서 지극히 제한적이었고 사회지지의 개념설정에 있어서 지극히 단편적인 접근에 불과하였다. 또한 사회적지지가 필요한 생활시설거주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체계적인 연구조사를 통하여 실증적인 이론적 근거를 찾고 사회 복지적 개입 대책을 세울 수 있는 이론적 차원에서의 근거를 제시하는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생각할 수 있다. 본 연구를 위해서 문헌연구를 통해 삶의 질과 사회적지지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선정하였으며, 경기도에 위치한 3개의 생활시설 146명의 생활시설 거주 장애인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생활시설 장애인의 삶의 질 수준을 살펴본 결과 항목 별 삶의 질 차이는 존재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일상생활 능력과 삶의 질과는 다소 강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조사대상자의 일상생활 능력이 높을 수 록 삶의 질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일상생활 능력과 삶의 질 하위영역에서는 친구 및 대인관계 영역에서 상관관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과는 다소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하위영역 중 의·식·경제정도는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 하위영역에 중 친구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신체 및 건강영역에서는 낮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생활시설 장애인의 삶의 질 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생활시설 장애인들의 사회적지지망 구축과 그로 인한 삶의 질 향상의 목표를 달성 할 수 있도록 개입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생활시설 장애인은 정상인이나 재가 장애인들에 비해 낮은 사회적 지지기능정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지지체계 육성 및 자원개발이 필요하다. 사회적 지지 그 하부영역 중 사회적 교제는 사회적응 즉, 여가생활, 직업상의 역할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이 크므로, 이에 대한 적극적 개발 및 장려가 요구된다. 생활시설 장애인이 어떠한 형태로 사회지지를 얻고 있는지 파악하고,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에 대한 정확한 평가는 생활시설 장애인 중심의 서비스 개발을 가능하게 하며, 이것을 통한 삶이 질 향상을 이룰 수 있다. 문제 상황 정서적 지지가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는 것은 생활시설 장애인들이 타인이 자신들의 마음을 편하게 대해주지 못하고 있으며, 옳은 방향제시해주고 용기를 북돋아 주는 지지의 역할을 하는데 부족하다고 지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정서적 지지를 위한 지지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시급하리라 생각한다. 또한 생활 장애인들이 지역사회와 단절되어 시설 내 에서만 생활하고 있고 특별한 프로그램이 없으면 타인과의 교류의 기회가 적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사회적 기술훈련 프로그램이나 사회교제가 많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생활시설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낙인이 만연한 열악한 현실을 고려하여 이들의 사회적 교제 대상을 기관으로 한정한다면 이들이 더욱 사회와 격리되는 현상을 초래 할 수 있으므로 지양해야 할 것이다. 그것의 대안으로 지역사회재활서비스를 이용한다면 이를 통하여 형성된 동료 간의 상호원조집단이 생활시설 장애인의 사회교제에 중요한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지역사회 내에서 자조집단을 형성하고 원조자로부터 도움 받는 기술 및 사회적 지지를 받아들이는 기술 뿐 만 아니라 도움을 주는 기술 등에 대한 훈련을 통하여 생활시설 장애인들이 사회적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하다. 사회복지사는 촉진자 및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집단내사회적지지 교류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접근해야 한다. 이러한 접근은 생활시설 장애인의 자신감과 자부심을 향상시키며 집단성원간의 상호이해와 수용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를 통하여 장애인들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삶의 질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지지기반은 경제적, 신체적, 사회적으로 취약한 생활시설 장애인들에게는 특히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생활시설 장애인들이 생활하는데 모든 것을 정부에 의지하며 생활하고 있고 소득, 의료, 주거, 고용, 생활환경 등이 비장애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실정을 고려해 볼 때 사회적 지지가 부족한 장애인들이 느끼는 삶의 질은 상대적으로 더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장애인들의 사회적지지 수준이 낮을 경우 사회적 지지망을 강화, 유지하는 것으로 사회복지 정책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고 이것을 수행하기 위해 장애인복지 분야 전문가 역할이 중요함을 밝힌다. 따라서 현장의 전문가들은 생활시설 장애인의 사회적 지지망을 사정하고 이에 개입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갖출 필요가 있다. 정책적 측면에서는 생활시설 장애인 관련 시책이 사회적지지망 구축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concern about social support of handicap enhanced however, there were insufficiency from actual proof research of systematic social support . The former research was very limited to the target it was just short access to put setting concept of social support. we have no research the Disabled in residential institutions needed social support . This research is some specific that showed the basis of theory and, it finds logical reason through the research for the establish policy of social welfare. The result of research is below. 1st, it revealed that there were no relation within statistical data about life quality of the Disabled in residential institutions. however the handicap had different qualities among variety part of life. it was interested between life ability and life quality of the subject. it′s means that the subject′s quality enhanced as much as their life ability enhanced. also in life ability and low part of life quality, we got a high relational data at the part of friends and personal relations. somehow it was closed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life quality. but at low part like clothes, food, economy are lowest relation comparably. The social support revealed high effect to friends and personal relation in low scope and comparably in physical and part of health low effect. however totally the Disabled in residential institution life quality lift up as much as social support lifted up. base on this result we could find the way enhance to setting social support network of accommodation handicap and level up of their life quality. The Disabled in residential institutions are need promote support system and to develope resource than normal person, or home stay handicaps. because they are belonging to low social support than normal. Social association within social support is effect broadly, and positively to social suitability so to speak leisure, role for job therefor for this we should develop actively and promote it . We should know how the Disabled in residential institutions getting social support and exact evaluation of what they need are able to service development that handicap centered accommodation by this it accomplished life quality enhancement. according to the research emotional support, situation of problem are low level. We could see by this result the Disabled in residential institutions is conscious that to make them comfort with normal , to indicate them correct direction , and support role to encourage them are not enough. So make support system from emotional support is priority. We have to try to give them much more chance to social associate, social technical training program which formed personal relationship base on the research that the handicap isolate from community and their compound is only in accommodation and they have no opportunity to acquaintance other without specific program. We keep away from the method that limited party to associate with them for inferior reality of what people treat to them and see them. although the way is dangerous because it could be more isolate handicap from community . but We should be another approach we can participate local community ,livelihood , service. Through it they could help each other and it will brings AH to important effect. Therefore we should form self helping group in community and training them with variety technique , ability not only receive help but also share other their talent. that′s the answer. The social worker have to approach to meeting with social support group in each community as a role of promotor ,and coordinator. Such the approach lift the Disabled in residential institutions their self esteem ,confidence, and great help to join and appreciate each member of community. By this report we could check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to the Disabled in residential institutions how they feel quality of their life subjectively. The social support foundation is very important fact to the Disabled in residential institutions who lack of financial, physical, social. in fact the Disabled in residential institutions depend on government all. their income, medical, residence, employment, and surrounding are worse than normal. this is reality of them so handicaps feel their life quality become more lower that′s why we need attention of it. So in case the handicap′s social support level is low. the social welfare policy should represent to strengthen and maintain social support network. for this doing the role of social worker is very important. so expert of field worker need to equip technical knowhow, ability skill all for that. in political side the policy of the Disabled in residential institutions need to accomplish with response of social support network

      •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독거여부의 조절효과: 남녀노인 비교를 중심으로

        이현주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연구는 남녀노인의 집단을 구분하여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독거여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았다. 선행연구에서 사회적 지지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인 측면보다 주관적으로 인지한 기능적인 측면이 삶의 만족도에 더 큰 설명력을 가진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노인의 가장 크고 중요한 사회적 지지체계가 가족임을 감안할 때 노인의 독거상태가 사회적 지지와 상호작용을 통해 어떻게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나아가 노인은 성별에 따라 축적되어 온 경험 및 가치관의 상이함으로 심리 사회적 특성 및 삶의 질 등 다른 특성을 나타내고 있어 남녀노인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5차 본조사 및 부가조사 자료를 활용하였고, 분석대상은 65세이상 노인 4,039명이다. 분석방법은 SPSS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 통해 삶의 만족도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주효과 및 사회적 지지와 독거여부의 상호작용항을 단계적으로 투입하여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는 남성노인이 여성노인보다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남녀노인 모두 독거여부에 따라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연령은 성별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으나 학력, 주관적 건강상태, IADL, 주관적 경제상태 만족도는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나타내고 있다. 남성노인과 여성노인 모두 가장 큰 설명력을 가지는 변수는 주관적 경제상태 만족도로 나타났다. 셋째, 남성노인과 여성노인 모두 사회적 지지 중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정보적 지지는 삶의 만족도와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독거여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남성노인의 독거상태는 삶의 만족에 유의하지 않았고, 여성노인의 독거상태는 삶의 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독거여부가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지 살펴본 결과 남성노인은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에 대해 독거여부가 조절효과를 가지며, 평가적 지지에 대해서는 독거여부의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성노인의 모든 영역에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남녀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독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특히 사회적 지지의 기능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성별 및 독거여부에 따라 삶의 만족도는 다른 결과를 보이고 있어 각 집단의 특성별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성노인의 경우 독거여부는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에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남성노인의 경우 독거상태가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에 조절효과를 보이고 있어 독거남성노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역별 지원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living alone. In the previous studies, social support was identified 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d it was reported that the more subjectively perceived functional aspect had a greater explanatory power on life satisfaction than the structural aspect of social support had.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oldest and most important social support system is the family,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the elderly living alone affects life satisfaction through social support and interaction. Furthermore, the elderl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such as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life, because of differences in experiences and values ​​that have been accumulated according to gender. This study utilized the 5th main survey and additional survey data of the National Elderly Security Panel Survey.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4,039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For the analysis, SPSS was use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by using the one-way distribution analysi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elderly me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than in elderly women one. Both elderly men and women showed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depending on whether they lived alone. Second, in the relationship of demographic factors to life satisfaction, age had different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der, but satisfaction of educational attainment, subjective health status, IADL, and subjective economic status were positively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It shows a positive effect. The most explanatory variable for both men and women was subjective satisfaction with economic status. Third, in both elderly men and women, emo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evaluation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but information support was not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ving alone and life satisfaction, elderly men living alone was not significant in life satisfaction, and elderly women living alone had a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 influence of living alone regulates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the elderly men have a moderating effect on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But control of living alone on evaluation support was found to be ineffective.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in all areas of elderly women.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living alone on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f elderly men and women on life satisfaction, and especially focused on the functional aspects of social support. The results showed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gender and living alone, confirming the necessity of approaching each group's characteristics. For elderly women, living alone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o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case of elderly men, the status of living has a moderating effect on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measures to support social support for elderly men living alone.

      •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사회활동에 따른 삶만족도

        김종경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2446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사회적 지지, 사회활동과 삶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사회적 지지와 사회활동, 삶만족도 질문지를 실시하여 얻어진 자료를 기초로 노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사회활동에 따른 삶만족도를 알아본 후 우울의 조절효과를 검토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차로 사회적 지지가 삶 만족도를 10% 예언하였고, 이를 전제로 사회 활동이 18% 추가로 더 예언하여 전체적으로 28%의 예언력을 나타냈다. 둘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일차적 지지(가족, 형제), 이차적 지지(이웃, 친구 지지)는 삶만족도에 대한 예언력이 유의한 반면 삼차적 지지(전문가의 지지)는 삶만족에 대한 예언력이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사회 활동의 하위요인인 지역활동, 경제활동, 여가활동, 정치활동 모두 삶만족도를 예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우울은 삶만족도와 사회적 지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였지만, 삶만족도와 사회활동 관계에서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핵심용어 : 삶만족도, 사회적 지지, 사회활동, 우울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activity with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moderating effect of depression was also examin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group of 282 senior citizens who visited the elderly community center and general social community center in Daegu. Multiple regression was emplo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social support has 10% predictability for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d social activity additionally has 18% predictability. Secondly, among the sub-dimensions of social support, first factors(family support) and secondary factors(neighbor’s suppor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ability for life satisfaction but the third factors(expert’s support) did not. Thirdly, all of the sub-dimensions of social activity showed the predictability. Fourthly, the moder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the correlation of social support with life satisfaction was verified but the moder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the correlation of social activ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lso was discussed. Key terms : life satisfaction, social support, social activity, depression

      • 고령자 삶의 만족도의 다차원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사회적지지와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 및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장항채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32446

        본 연구는 급속한 고령화로 초래되는 변화에 주목하고, 변화가 가져올 사회적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포괄적이고 거시적인 고령화 정책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에 나타난 고령화에 따른 변화는 크게 두 가지로, 고령자의 빈곤율과 자살률을 들 수 있다. 높은 빈곤율과 자살률은 우리나라 고령화 정책의 실패를 반증하는 것으로 이것은 고령자 삶의 만족도의 객관적 척도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 삶의 영향관계를 포괄적이고 다차원적으로 접근하기 위하여 빈곤율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 요인 및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등 개인적 영역과 이러한 문제를 완화할 사회적 관계망인 사회적 영역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종합적 분석을 위해 다양한 변수를 설정하였다. 독립변수는 소득, 지출, 자산인 경제적 요인과 일상적 스트레스인 심리적 요인이며, 종속변수는 고령자 삶의 만족도로 하였다. 매개변수는 사회적 요인인 사회적지지, 조절변수는 일상적 스트레스에서의 대처전략으로 하였다. 그리고 종속변수인 고령자 삶의 만족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사회관계망의 범주를 기준으로 개인중심차원, 가족중심차원, 사회중심차원으로 분류하였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KReIS)의 6차년도(2015) 개인용 및 가구용 자료와 제 5차(2014) 부가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6차년도 본조사에서 60세 이상이고, 삶의 만족도 문항에서 무응답한 케이스를 제외한 총 5,09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고령자의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ANOVA를 실시하였고,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고령자 삶의 다차원적 만족도 분석결과에서는 여성, 후기 고령자, 저학력자, 무배우자, 서울지역, 월세 집단에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연령집단과 고령자 삶의 만족도 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고, 특히 80대 이상 후기 고령자에서는 사회중심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배우자유무집단과 고령자 삶의 만족도 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고, 유배우자 집단에서 가족중심 만족도가 높은 반면, 무배우자 집단에서 사회중심 만족도가 높고 가족중심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특히 미혼 집단에서 가족중심 및 삶의 만족도 전반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교육수준과 고령자 삶의 만족도 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고, 4년제대학미만집단과 4년제대학교집단에서 대체로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고학력집단에서 가족중심 만족도가 높고 개인중심 만족도가 낮은 반면, 저학력집단에서는 사회중심 만족도가 높고 가족중심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주거지별과 고령자 삶의 만족도 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고, 도지역에서 대체로 삶의 만족도가 높고, 서울지역에서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광역시에서는 개인중심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주거형태와 고령자 삶의 만족도 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고, 월세 집단에서 대체로 삶의 만족도가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소득분위와 고령자 삶의 만족도 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고, 1분위부터 5분위까지 분위가 올라갈수록 차원별 만족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사회중심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1, 2분위집단에서 개인중심보다 가족중심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고, 3, 4, 5분위집단에서는 가족중심보다 개인중심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지출분위와 고령자 삶의 만족도 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고, 1분위부터 5분위까지 분위가 올라갈수록 차원별 만족도가 대체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사회중심 만족도는 중분위에서 큰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1, 2분위집단에서 개인중심보다 가족중심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고, 3, 4, 5분위집단에서는 가족중심보다 개인중심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자산분위와 고령자 삶의 만족도 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였고, 1분위부터 5분위까지 분위가 올라갈수록 차원별 만족도가 대체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사회중심 만족도는 중분위에서 큰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1, 2분위집단에서 개인중심보다 가족중심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고, 3, 4, 5분위집단에서는 가족중심보다 개인중심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경제적 요인과 고령자 삶의 만족도 간의 영향관계 분석결과, 먼저 가계총소득과 차원별 삶의 만족도 간의 정의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소득별로는 근로소득, 금융소득은 정의 영향관계를, 국민기초생활보장급여소득, 사회보장소득, 기타소득은 부의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차원별 만족도에서는 개인중심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가족중심보다 사회중심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소득분위와 차원별 삶의 만족도 간의 정의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가계총지출과 차원별 삶의 만족도 간의 정의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지출별로는 식비, 교통통신비, 숙박비발생횟수는 정의 영향관계를, 주거광열수도비, 보건의료비는 부의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차원별 만족도에서는 개인중심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사회중심보다 가족중심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지출분위와 차원별 삶의 만족도 간에서 개인중심 삶의 만족도는 정의 영향관계를 나타냈고, 가족중심 및 사회중심 만족도에서는 영향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가계총자산과 차원별 삶의 만족도 간의 정의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자산별로는 부동산자산, 금융자산, 기타자산은 정의 영향을 나타냈다. 반면 부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나타내지 않았다. 차원별 만족도에서는 개인중심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사회중심보다 가족중심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산분위와 차원별 삶의 만족도 간의 정의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셋째, 심리적 요인과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 간의 영향관계 분석결과, 먼저 일상적스트레스와 차원별 삶의 만족도 간의 정의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일상적 스트레스별로는 경제문제, 건강문제는 정의 영향관계를, 가족관계, 주거문제, 상실감에서는 부의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일상적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간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은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위변수에서는 긍정적 대처전략의 경우 조절역할이 확인되지 않았으나, 부정적 대처전략은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사회적 요인과 삶의 만족도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계총소득과 삶의 만족도 간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사회적지지의 매개역할을 확인하였다. 하위 변수인 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평가적지지에서도 모두 매개역할이 확인되었다. 소득별로는 근로소득, 금융소득, 공적연금소득, 국민기초생활보장소득, 사회보장급여소득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타소득에서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소득분위와 삶의 만족도 간의 영향관계에서는 사회적지지와 하위변수의 매개역할을 확인하였다. 가계총지출과 삶의 만족도 간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사회적지지의 매개역할을 확인하였다. 하위 변수인 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평가적지지에서도 모두 매개역할이 확인되었다. 지출별로는 식비, 교통통신비, 문화생활비, 숙박비발생횟수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주거광열수도비, 보건의료비에서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출분위와 삶의 만족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사회적지지와 하위변수에서도 매개역할을 확인하였다. 가계총자산과 삶의 만족도 간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사회적지지의 매개역할을 확인하였다. 하위 변수인 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평가적지지에서도 모두 매개역할을 확인하였다. 자산별로는 부동산자산, 금융자산, 기타자산에서는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나, 부채에서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자산분위와 삶의 만족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사회적지지와 하위변수의 매개역할을 확인하였다. 일상적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간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사회적지지의 매개역할을 확인하였다. 하위 변수인 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평가적지지에서도 모두 매개역할을 확인하였다. 일상적 스트레스별로는 스트레스 전반과 경제문제 스트레스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족관계, 건강문제, 주거환경, 상실감 스트레스에서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일상적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간의 영향관계에서 사회적지지와 하위변수에서도 매개역할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고령자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포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종합적이고 거시적 정책방향 설정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일원적 삶의 만족도를 다차원적으로 확장하여 분석함으로써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정책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하위변수의 실증분석을 통해 추상적인 삶의 만족도 논의를 미시적이고 실증적 차원에서 확인함으로서 구체적이고 실효적인 정책적 제언을 제공한 점에 의의가 있다.

      • 쪽방촌의 사회적 삶 : 서울시 동자동 쪽방촌을 중심으로

        정택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446

        본 연구는 서울시 동자동 쪽방촌 주민들의 사회적 삶에 관한 에스노그라피로, ‘동자동 쪽방촌’이라는 환경(milieu) 속에서 주민들의 사회적 삶이 어떠한 형태로 나타나며 그 효과는 무엇인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에서 ‘사회적 삶’이란 개인과 개인 간의 관계(3장), 산 자와 죽은 자 간의 관계(4장), ‘사회’와 ‘우리’에 대한 표상(5장), 정치적 연대와 집합행동(6장)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며, ‘환경’이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3장), 무연고 사망자 장례(4장), 각종 단체의 무료 물품 지원(5장), 쪽방촌의 노후한 건물과 저렴쪽방 사업(6장)과 같이 주민들의 삶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공식적·비공식적 개입을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연구현장은 서울시 용산구 동자동 일대에 위치한 일명 ‘동자동 쪽방촌’으로, 연구자는 동자동 내에 위치한 주민자조조직을 중심으로 2019년 5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총 9개월간의 현장연구를 진행했다. 본론의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2장에서는 동자동의 변화에 관해 고찰했다. 한국 전쟁 이후 피난민이 밀집하는 지역이었던 동자동은 1960년대 산업화 과정에서 등장한 도시 하층 노동 인구가 밀집하는 공간으로 변모했으며, 외환위기 이후 대규모의 불안정 노동 인구가 흡수되면서 그 규모는 더욱 확대되었다. 이후 약 20년의 세월 동안 쪽방촌 주민들은 노령과 건강문제로 인해 ‘노동할 수 없는 인구’가 되었고, 이와 함께 기초생활수급, 무연고 장례, 무료 물품 지원 등의 개입이 주민들의 생존을 위해 가장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았다. 3장에서는 주민 정영희의 이야기를 통해, 기초생활수급이라는 매개 속에서 개인과 개인의 관계가 개인 삶을 파괴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정영희는 가족이나 시설에 대한 의존을 거부한 채 기초생활보장제도가 제공하지 못하는 돌봄의 공백을 남편 홍인택과의 관계를 통해 채우고자 했다. 이러한 욕구는 빈민, 정신지체 장애인, 여성으로서 정영희가 겪어온 상실과 폭력의 경험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기초생활보장제도가 제공하는 경제적 자원은 정영희가 주체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는 수단이자 홍인택과의 관계를 지속하게 해주는 매개였지만, 이러한 경제적 매개는 매우 불안정해서 정영희는 두 사람 사이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명의도용과 약물 거래 등 자신의 삶을 위협하는 행위에 손을 뻗칠 수밖에 없었다. 4장에서는 주민 강영섭과 故최경철의 이야기를 통해 무연고 사망자 장례가 산 자와 망자 사이의 연결을 허락하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주고자 했다. 무연고 장례 속에서 망자의 물질화된 몸(유골)이 다루어지는 방식은, 망자에 대한 애도와 기억의 시간을 빼앗고 망자의 정체성을 희미하게 만들었으며 망자에게 ‘나쁜 죽음’이라는 낙인을 부여했다. 강영섭은 최경철의 장례를 무연고 장례가 아닌 일반 장례로 치르고 그의 유골을 한강이 내려다보이는 곳에 뿌림으로써 죽음 이후에도 그와의 연결을 이어가고자 했다. 그러나 ‘무연고자’라는 제도적 낙인을 회피하는 과정은 쉽지 않았다. 최경철에 대한 돌봄의 책임을 오롯이 감당하는 과정에서, 강영섭 자신의 건강과 경제적 상황은 서서히 파괴되었다. 5장에서는 동자동 쪽방촌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단체의 무료 물품 지원이 어떠한 지점에서 대립하는지 살피고, 여기에서 형성되는 ‘사회’와 ‘인정’의 모습은 무엇인지 살피고자 했다. 무료 물품 지원이 내포하는 자활과 자립의 서사는 주민들의 ‘의존’을 낙인화함으로써 지원 물품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주민들을 윤리적 ‘악’으로 격하했다. 또한, 물품 지원에 수반되는 줄서기는 주민들을 통제의 대상이자 순응적 주체로 만들어내는 정치적 효과를 내포했으며, 특정한 기준에 따라 지원 대상에서 배제되는 경험은 주민들로 하여금 박탈감을 느끼도록 만들었다. 때때로 주민들은 행정기관과 기업들의 실적을 증명하기 위한 ‘그림’과 ‘작품’이 되어야 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주민들은 돌려줌의 기회를 제공하지 않는 공짜식사에서 마치 ‘거지’가 된 것과 같은 인격과 자존감의 손상을 느꼈다. 주민들은 줄 세우기와 공짜 식사를 거부하고 노동과 호혜를 통해 상호인정의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서로에게 인격과 체면을 부여하고자 했다. 6장에서는 동자동 9-20번지의 노후한 건물을 둘러싼 일련의 사건 속에서 삶의 공간에 대한 주민들의 몫이 부정당하는 모습을 보여주고자 했다. 개발국가 시기 동자동의 빈민 거주 지역은 도시 하층 노동력의 저장소로서 암묵적으로 용인되었으며, 1980년대 이후에도 이 지역은 재개발 이익과 비용을 저울질하는 시장 논리 속에서 아무런 개입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그대로 방치되었다. 그 결과, 60년의 세월 동안 서서히 낡고 마모된 동자동의 노후한 환경은 주민들의 일상적 삶이 되었다. 2019년, 쪽방촌의 노후함이 서울시 저렴쪽방 사업을 불가능하게 하는 주된 위협으로 등장하면서 주민들의 불만과 분노는 정치적 연대와 집합행동으로 나타나지 못했고, 주거권이라는 저항의 언어는 무력화되었다. 또한, 저렴쪽방을 둘러싼 서울시와 건물주의 설전 속에서 동자동 쪽방촌은 ‘삶의 공간’이 아닌 ‘노후한 건물’, 혹은 이익 창출을 위한 ‘부동산’으로 이야기되었고, 이 과정에서 노후함과 열악함을 견디며 쪽방촌을 삶의 공간으로 만들어 온 주민들의 역사는 고려되지 않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혈연가족, 자립과 자활, 의존의 낙인화 등 빈곤에 대한 개입이 전제하는 규범과 삶의 형식 속에서 주민들은 ‘버려짐(abandonment)’을 경험했다. 때때로 이들은 인격 손상과 박탈감을 피하고 인정과 돌봄의 부재를 메꾸기 위해 이러한 개입 자체를 거부하거나, 이를 받아들이면서도 또 다른 사회적 실천을 통해 삶의 온전함을 획득하고자 했다. 이는 빈곤의 문제가 물질적 측면을 넘어 빈곤에 대한 개입이 고려하지 못하는 사회적 삶의 측면, 즉 상호돌봄과 관계, 인정과 연대를 포함하는 포괄적 문제라는 점을 의미한다. 둘째, 본 논문이 기술하고자 한 주민들의 사회적 연결은 역설적으로 그 내부에 부분적인 자기파괴를 동반하는 ‘취약한’ 형태로 나타났다. 주민들이 보여주는 개인과 개인 사이의 사회성, 산자와 망자 사이의 사회성, ‘사회’ 만들기의 과정, 정치적 연대와 집합행동은, 돌봄과 파괴, 책임과 자기소모, 환대와 타자화, 투쟁과 무력함 사이에서 주민들의 경제적·육체적·정신적 삶을 갉아먹고 ‘우리’로서의 느낌과 실천이 온전한 모습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만들었다. 취약한 연결 속에서 주민들의 일상적 삶은 서서히 파괴되었으며, 주민들은 세계 안에서의 위치와 존재 방식, 인격과 자존감, 사회적 관계와 연결, 필요와 욕망이 총체적·부분적으로 부정당하는 경험을 하기도 했다. 셋째, 취약한 연결 속에서 주민들이 경험하는 ‘사람됨’의 부정, 상호돌봄과 사회적 관계의 박탈은 결코 온전한 형태의 ‘삶’으로 이어질 수 없었다. 버려짐의 공간으로서 ‘동자동 쪽방촌’에서 살아간다는 것은, 취약한 연결 속에서 만들어지는 파괴적 결과와 자기소모, 인격 손상과 무력함을 견뎌내는 일의 연속이자, 삶의 온전함을 획득하기 위한 시도와 실패가 끊임없이 반복되는 과정이었다. 주민들의 삶을 개선하려는 수많은 개입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쪽방촌 주민들이 경험하는 삶은 취약한 연결 속에 배태된 채 나타나는 ‘버려짐’과 다르지 않았다. 이러한 결론은, 제도화된 개입이 빈민의 사회적 삶 속에서 어떠한 효과를 만들어내며 빈민 당사자는 이를 어떠한 형태로 경험하는지에 대한 논의를 통해 빈민/주민운동의 영역이 더욱 포괄적인 차원으로 확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생겨난 ‘사회적 버려짐의 공간(social zones of abandonment)’과 그 바깥 사이의 부분적인 연결은 타자와 사회적 버려짐에 대한 윤리적 응답의 가능성을 환기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s an ethnography on the social lives of the residents in Dongja-dong Jjokbang-Chon (dosshouse or flophouse village), the urban enclave of poverty in Seoul, South Korea. In this article, I analyze the forms of social lives of residents that are constituted in the milieu of 'Dongja-dong Jjokbang-Chon.' By referring to the 'social lives,' I imply a relation between individuals (chapter 3), relation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ceased (chapter 4), society as a representation (chapter 5), political solidarity and collective action (chapter 6). By referring to the 'milieu,' I imply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Policy (chapter 3), public funeral for the unclaimed death (chapter 4), material support provided by various organizations (chapter 5), decrepit buildings of Jjokbang-Chon and Low-Cost Jjokbang Policy (chapter 6). The field of this research is so called 'Dongja-dong Jjokbang-Chon,' located near Dongja-dong, Yongsan-gu, Seoul. Related fieldwork had been conducted for 9 months from May 2019 to February 2020 in Dongja-dong Jjokbang-Chon. In Chapter 2, I focus on the historical change of Dongja-dong Jjokbang-Chon. The region, where it used to be a place for war refugees after the Korean War, had been transformed to a place that lower class workers converged for low cost accommodation. The size of the Jjokbang-Chon has been increased since the economic crisis in 1997, due to large precarious population created by neoliberal transformation of Korean society. For 20 years after the crisis, the residents became a population who can not work due to old age and bad health condition. During this period, both formal and informal interventions became a necessary means for the poor’s survival. In Chapter 3, I show that the relation between individuals is established in a destructive form, when the relation is mediated by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Policy. Jung Younghee refuses to rely on her family or welfare facilities, and instead attempts to fill in the vacuum of care resulted from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Policy through the relation with her husband Hong Intaek. Her aspiration for care and relation has been emanated from her past experiences of loss and violence. Although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was a means that enabled her to live a autonomous life and to maintain the relation with Hong Intaek, this economic mediation is too unstable that she got herself involved in the illegal activities menacing her future life. In Chapter 4, I show that Public Funeral for the unclaimed death does not allow the connection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ceased. The way the materialized body of the unclaimed death is dealt with in the public funeral deprives of the time for mourning and remembrance, obscures the identity of the deceased, and stigmatizes the unclaimed death as abnormal. Kang Youngsub struggled to maintain his connection with the deceased by intentionally avoiding the public funeral and by scattering the ashes of his friend’s on his own. However, it was arduous to avert the stigma of 'the unclaimed death.' While he shoulders a responsibility for the care of his friend, his health and economic condition has been destructed little by little. In Chapter 5, I examine at what points free commodity supports activities from various organizations in Jjokbang-Chon are against each others, and focus on the forms of society and recognition that are established during these activities. The narrative of 'self-help' and 'self-reliance' postulated in free commodity support denounces the residents as ethical 'evil' by brandizing residents’ dependence. In addition, the line-up accompanied by support activities embodies the political effect of making the residents a pliable subject. In addition, the experience of being excluded from support under certain criteria made residents feel deprived. From time to time, residents have to be a "picture" to prove the performance of administrative agencies and businesses. Finally, in a free meal that does not offer the residents a chance to reciprocate, the residents feel that their personality and self-esteem are impaired. By refusing lining up and free meals, and by forming a relation of mutual recognition, they seek to give each other personality and face. In Chapter 6, I show that the residents' share for space of living is negated in a series of process surrounding the dilapidated building of 9-20 in Dongja-dong. During the period of the developmental regime, the Dongja-dong area had been connived as a repository of urban lower-class labor force. Even after the 1980s, the area was left untouched without any interventions with the market logic weighing profits and expenses. As a result, the decrepit environment of Dongja-dong, slowly worn out over 60 years, has become a part of daily life of the residents. In 2019, the residents' discontent and anger failed to emerge as a political solidarity and collective action, and residential rights as a language of resistance was incapacitated since the disrepair of Jjokbang-Chon emerged as a main threat to Cheap Jjockbang Policy. In addition, amid the altercation betwee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the building owner over the policy, Dongja-dong Jjokbang-Chon was considered only as a decrepit and dilapidated building or as a real estate for profit-making, not as a space of living. Meanwhile, the history of the residents who have made Jjokbang-chon a space of living was disregard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idents experience 'abandonment' amid the norms and forms of life presupposed by the interventions into poverty, such as families, self-reliance and self-support, and the brandizing dependence. The residents refuse the interventions to avoid an impairment of personality and to make up for the absence of recognition and care, or, while accepting them, they attempt to gain the integrity of life through other social practices. This means that poverty is a comprehensive problem that goes beyond material aspect, a problem that includes the aspects of social life, namely mutual care, relations, recognition and solidarity. Second, the social connections of the residents this article intends to describe appear in a 'vulnerable' form, which implies that they emerge with partial self-destruction within them. Between care and destruction, responsibility and self-undermining, hospitality and otherizing, struggle and incapacitation, the social lives of the residents have gnawed their economic, physical and mental lives, and preclude the feeling and practices as 'we.' In the midst of these vulnerable connections, the daily lives of the residents have been slowly destroyed and they experience a total or partial denial of their existence in the world, personality, self-esteem, social relations, needs and desire. Finally, the denial of personality, and deprivation of social relations and mutual care, experienced by residents in the vulnerable connections, never leads to an intact form of 'life'. Living in the 'Dong-dong Jjokbang-Chon' as a zone of social abandonment amounts to a prolonged endurance of destructive results, self-undermining, impairment of personality, and incapacitation, which are created within vulnerable connections. It is also the same as constant repetition of attempts and failures to acquire the integrity of life. Despite the numerous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lives of residents, the lives that residents experience in the vulnerable connections are no different from 'abandonment.' These conclusions show that anti-poverty movement and community organization can be extended to comprehensive dimension, by including the argument about the effect of institutionalized interventions on the social lives of the poor. The partial connections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zone of social abandonment, formed through this article, will evoke the possibility of ethical responses to the other and the social abandonment.

      • 외모만족과 사회적 지지가 연기전공학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혜윤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2446

        본 연구에서는 외모만족과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기전공학생과 비연기전공학생의 비교를 통해 연구하였고 삶의 질을 긍정적인 측면에서의 삶의 만족과 부정적인 측면에서의 우울로 분류하여 연구 하였다. 삶의 질에 영향을 받는 변인들과의 관계를 분석 및 연구하여 삶의 만족도를 높이고 우울을 감소시켜 연기자로서 본격적으로 연기활동을 하기 이전인 연기전공학생의 삶의 질을 보완하고 자살 현상에 대한 예방차원에도 중요한 자료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 대상은 충청도 지역에 소재한 S대학에 다니는 연극 영화학과 학생 중 연기전공학생 89명과 일반학과 학생인 비연기전공학생 99명을 대상으로 총188명의 참여로 이루어 졌다. 본 연구의 연구도구는 김미옥(1997)의 외모만족도 측정도구, 황윤경(1995)의 사회적 지지도 측정도구, Diener(1985)의 삶의 만족도 척도, Ward, Mendelson(1961)이 개발한 Back우울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로그를 이용하여 전산 통계 처리 하였으며 외모만족과 사회적지지가 삶의 만족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 분석을 실시하였고 입력방식에 의한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기전공학생과 비연기전공학생의 외모만족과 사회적 지지를 비교해 보면 연기전공학생이 비연기전공학생보다 외모만족이 높게 나왔으며 외모에 대한 관심 및 외모 가꾸기의 인식 또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전문적인 연기전공학과의 특수성이 반영된 설문 결과로 보여 진다. 사회적 지지는 연기전공학생과 비연기전공학생 모두 유사하게 나타났다. 둘째, 연기전공학생과 비연기전공학생의 외모만족과 사회적 지지는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연기전공학생이 비연기전공학생보다 외모만족에 의한 삶의 만족이 높게 나왔다. 이것은 연기전공학생들이 외모에 대해 긍정적 정서의 만족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사회적 지지에서는 연기전공학생만이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사회적지지 안에서 정서적 지지만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연기전공학생과 비연기전공학생의 외모만족과 사회적지지에서는 외모만족만이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기전공학생의 우울이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연기전공학생의 외모만족과 사회적 지지가 비연기전공학생보다 삶의 만족과 우울 즉 삶의 질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처럼 연기전공학생의 외모만족과 사회적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대학생활안에서 삶의 만족을 높이고 우울을 미리 예방하는 동시에 개선책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연기자들의 자살 현상에 대한 예방차원에 중요한 자료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노인의 감정조절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연구

        강은경 목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32446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지만, 감정조절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진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감정조절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사회적 지지가 감정조절능력과 삶의 만족도 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절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노인복지 실천 현장에서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만 60세 이상 노인 58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분석하였다. 회수된 설문조사 자료는 통계분석프로그램(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노인의 감정조절능력 수준에 따른 사회적 지지의 평균, 노인의 감정조절능력 수준에 따른 삶의 만족도의 평균, 노인의 사회적 지지 수준에 따른 삶의 만족도의 평균 차이는 p<.001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아울러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종교·동거가족·결혼여부와 경제평가가 유의미성을 나타냈다. 감정조절능력과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R² 변화량도 유의미하게 증가하여 높은 수준의 사회적 지지를 보인 집단의 기울기가 중간 수준의 사회적 지지를 보인 집단의 기울기보다 더 가파르게 나타났다. 이는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감정조절능력의 영향력을 강화시키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노인의 감정조절능력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지지는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감정조절능력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감정조절능력과 사회적 지지 수준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원활한 의사표현을 위한 자기주장 훈련 프로그램 실행, 인관관계향상과 환경변화 적응을 위한 자조모임과 집단 프로그램 활성화, 현장전문가 양성, 정서적 관점의 서비스 강화, 사별 및 부부프로그램 등 지지프로그램 개발, 가족역할 및 사회적 지지체계 강화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다양한 교육기회제공과 정서적 지지 프로그램 지원, 노후준비 및 예방적 기능을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 노인에 대한 긍정적 시각과 지지가 이루어지는 사회 환경 조성을 위한 지원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핵심이 되는 개념: 노인, 감정조절능력, 사회적 지지, 삶의 만족도

      • 노인의 웰다잉 인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자아통합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손정화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445

        이 연구는 평균수명이 길어진 고령사회에서 좋은 죽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어떻게 하면 죽음을 잘 맞이할 수 있는지에 대한 웰다잉 인식의 필요성이 요구되면서 노인의 웰다잉 인식에 따른 삶의 질의 관계에서 자아통합감, 사회적지지 요인을 설정하여 이들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웰다잉 인식과 삶의 질 관계에서 자아통합감과 사회적지지가 매개한다는 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은 D광역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2020년 1월 20일부터 2020년 5월 20일까지 약 4개월간 구조화된 설문지로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다. 이들을 대상으로 배포된 설문지 480부 가운데 445부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 답변이 누락 되었거나 같은 번호에만 답을 하는 등의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설문지를 제외한 최종 428부를 표본화하여 실제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검증, F검증, ANOVA, Pearson 상관계수, AMOS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웰다잉 인식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검증에서 연령, 학력, 동거형태, 경제활동 유무, 사회활동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성별, 종교유무, 건강상태, 질환유무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자아통합감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검증에서 종교유무를 제외한 성별, 연령, 학력, 동거형태, 경제활동 유무, 건강상태, 질환유무, 사회활동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검증에서 건강상태와 질환유무를 제외한 성별, 연령, 학력, 종교유무, 동거형태, 경제활동 유무, 사회활동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검증에서 성별, 연령, 학력, 종교유무, 동거형태, 경제활동유무, 건강상태, 질환유무, 사회활동 등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력이 높고, 배우자와 동거, 경제활동과 사회활동을 하며 건강하고 질병이 없는 노인이 삶의 질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웰다잉 인식, 자아통합감, 사회적지지,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웰다잉 인식은 자아통합감, 사회적지지, 삶의 질과 정적상관이 나타났고, 자아통합감은 사회적지지, 삶의 질과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는 삶의 질과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웰다잉 인식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자아통합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살펴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웰다잉 인식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통합감과 사회적지지가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 성인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 : 학습참여동기의 간접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건부 직접효과를 중심으로

        서승경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32445

        This study tested the mediating effect of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ar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targeting adult learners attending college, then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finally, the mediation of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arning. A conditional direct effect was tested to simultaneously examine the effec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401 adult learners aged 25 or older attending two-year and four-year universities, and the final 346 copies of the data were analyzed as follow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and Process macro 4.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showed that adult learn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arning,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as a result of testing using Process macro Model 4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ar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of adult learner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rd, as a result of testing using Process macro Model 1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learn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learn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using Process macro Model 5,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mediated moderating effec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ducts an integrated study considering various factors that affect adult learners' life satisfaction by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learn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learning,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indirect effect of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learn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Through this, it can be said that basic data for revitalizing education and learning has been presented for adult learners in universities to maintain their studies in the future. Third, by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depending on the level of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learn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we established a basis for exploring specific strategies and measures for social support for adult learners. Fourth,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learn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influences life satisfaction through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that the influence of adult learn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strengthened by social support. The conditional direct effect that further increases life satisfaction was newly ident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great interest in adult learners and the need to build social infrastructure, and the need for educational intervention to improv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build a social support system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of adult learners attending college. It provided important implications and presented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ounseling programs for adult learners. Keywords: Adult learn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Social Support, Life Satisfaction, Conditional Direct Effect 본 연구는 대학에 재학중인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학습참여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후,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뒤, 최종적으로 학습참여동기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동시에 살펴보는 조건부 직접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년제와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25세 이상의 성인학습자 40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346부의 자료를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과 Process macro 4.2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에서 성인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은 학습참여동기,사회적지지, 삶의 만족도와 모두 정적 상관 관계를 보였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학습참여동기의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Process macro Model 4를 사용하여 검증한 결과,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성인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분석을 위해 Process macro Model 1을 사용하여 검증한 결과,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성인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건부 간접효과를 Process macro Model 5를 사용하여 검증한 결과, 매개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 학습참여동기, 사회적지지,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검증하므로써 성인학습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통합적으로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학습참여동기의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대학의 성인학습자가 학업 유지를 위하여 교육과 학습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고 볼 수 있겠다. 셋째, 성인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과 삶의 만족도의 영향관계에서 사회적지지가 지지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조절효과를 검증하므로써 성인학습자를 위한 사회적지지의 구체적인 전략과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넷째, 본 연구의 결과는 성인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는 학습참여동기를 매개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성인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의 영향력이 사회적지지에 의해 강화되어 삶의 만족도를 더욱 높여주는 조건부 직접효과를 새롭게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인학습자에게 큰 관심과 사회적인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대학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긍정심리자본 향상과 사회적지지 체제를 구축할 수 있도록 교육적 개입의 필요성에 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함과 동시에 성인학습자를 위한 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주제어: 성인학습자, 긍정심리자본, 학습참여동기, 사회적지지, 삶의 만족도, 조적부 직접효과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