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UN장애인권리협약이 한국 장애인복지정책에 미치는 영향

        정도선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703

        This study examines the rehabilitation welfare policies of persons with dis abilities in Korea and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has a purpose that look for the directions of rehabilitation welfare polici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through analyzing ‘the influences by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on Korea Rehabilitation Policies'. Rehabilitation welfare polici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are welfare measure, hiring policy, service system etc that are based on the law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which were enacted and revised by influences of UN Convention on t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mainly the influences that have been changed after UN Convention on t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by comparison and analyzing between the rehabilitation welfare polici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and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policies, except laws, are analyzed by customer, allowance, transmission system, finance. In this study, Rehabilitation welfare polici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started in earnest after Seoul Paralympic Games which were held in the late 1980s, prior to the 1990s,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recognized simply as subjects of benevolent and medical welfare polic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fter enactment of Employment Promotion Act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Act in 1990, they began to be recognized as subject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coming in the 2000s, rehabilitation welfare polici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began to have a view that disabilities are emphasized by social influences which were caused by domestic inflows of specialists who studied rehabilitation and welfare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domestic increased levels of educational attainment and life improvement, increased needs of the disabled family parties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for welfare policy and disabilities policy, and international exchange of perspectives on disabilities. Now we have reached the level that enacts practical policies through which persons with disabilities could enjoy lives even in normal people and that formulates policies with participation of subjects with disabilities. In the 2000s,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at is the international policy on human rights presented clearly the direction of Rehabilitation welfare polici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and it called for changes in the perspective of the world about persons with disabilities, ensuring basic human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enacting 82 provisions which can bring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nd proposed standards in which even persons with disabilities at anywhere around the world are ensured the rights which are set forth in it. As duties of a nation of the Ratification, Korea is making efforts to ensure human rights and the right remedy for the Disabled Discrimination Act legislation, strengthen the security of independent living, enact law for disabilities pension as reform and improvement of recognition about law and implement immediately welfare infrastructure construction, to reserve duty set forth in each section, except for a provisions concerned with life insurance policy.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profound impact on the rehabilitation service paradigm and policy. In particular. prohibition of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enact a obligatory provision to provide reasonable accommodations and to serve legal foundation of understanding to help the right remedy, these mean that policies to ensure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mainly as care level has developed the rights guaranteed to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guarantees for human rights of women with disabilities and for independent living of communities and guarantees for the maternal rights, these remove women's multiple discrimination which can be caused by interaction with environmental factors surrounding women with disabilities, and these allowed women with disabilities to recover both women's rights and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t the same time that comes close to a foot can be. And for everybody should not have any stigma against persons with disabilities through an amendment of the Welfare Act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from time to begin training, to serve improvement of recognition of disabilities through teaching with textbooks is evaluated as much better methods to improve an recogni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an removing prejudices which yet have been made, and i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training textbooks should be developed as those that are impacted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not as compassion and benevolence. Social integr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active participation in communities are closely engaged with independent living, there have been mobility support, individual services, family support services,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which remove barriers to ensure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all the people to access conveniently public institutions and buildings of communities through universal design, and employment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plan is being expanded to achieve economic independenc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Even in education, it is not recommended to adhere only to switch to integrated environment from isolated environment, but it is proper that exclusion, restriction, separation should be prohibited to live in an integrated environment since the beginning of training, consequently social integration efforts of the education system should be made. In Korea, subjects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formulating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장애인재활복지정책과 UN장애인권리협약에 대해 살펴보고, UN장애인권리협약이 우리나라재활복지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 장애인재활복지정책의 방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장애인재활복지정책은 UN장애인권리협약의 영향을 받아 제․개정된 장애인관련법으로부터 법에 근거하여 시행되는 복지시책, 고용정책, 서비스제도 등으로써 장애인권리협약과 우리나라의 장애인재활복지정책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장애인권리협약 이후 변화한 내용을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법 이외의 정책은 대상자, 급여, 전달체계, 재정으로 선택분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 장애인재활복지정책은 서울장애인올림픽이 개최된 1980년대 후반부터 본격화되었는데, 1990년 이전까지 장애인은 단순히 시혜적․의료적 장애인복지정책의 대상자로 인식되었다. 1990년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이 제정되면서부터 직업재활의 대상자로 인식되기 시작하였고 2000년도에 들어오면서 장애인재활복지는 미국과 유럽에서 유학한 재활전문가들의 국내유입과 국내의 교육수준 및 생활수준의 향상, 장애인당사자와 장애인가족의 장애인재활복지정책에 대한 욕구 증대, 장애인정책에 관한 국제교류 등으로 장애를 사회적 영향을 강조하는 관점으로 선회하게 되었으며, 이제는 비장애인과 동등한 삶을 누릴 수 있는 실질적인 정책의 도입과 장애당사자의 자기결정권을 중요시 하는 정책을 장애당사자의 참여로 만들어가는 수준에 이르게 되었다. 장애인권리협약은 2000년대에 우리나라 장애인재활복지정책의 방향을 명확하게 제시한 국제인권정책으로 장애인에 대한 세계인의 관점변화를 촉구하고, 장애인의 기본적인 인권보장과 삶의 질을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82개의 조항을 제정하여 세계 어느 곳의 장애인이라도 이 협약에서 명시한 권리가 보장되도록 표준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미 장애인권리협약이 2006년도 제정되어 있었고, 이 협약을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우리나라의 대표단이 참여하고 있었으며, 장애인연맹세계대회가 한국에서 개최되는 등 국제사회의 움직임이 장애인차별금지법의 제정 등 한국의 장애인정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 것이다. 우리나라는 2007년 3월 30일 정부를 대표해서 보건복지부장관이 장애인권리협약에 서명하고 국회에서 2008년 12월 2일 통과되어 2008년 12월 12일 비준서를 유엔본부에 기탁함으로써 되어 2009년 1월 10일 부터 장애인권리협약이 발효되는 비준국이 되었다. 비준국의 의무로서 우리나라는 유보하기로 한 생명보험 관련 1개의 조항을 제외하고는 각 조항에서 명시한 인권을 보장하기위해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제정, 자립생활의 보장 강화, 장애인연금법 제정 등 법 제도의 개혁과 인식개선, 복지인프라 구축 등 국내 장애인재활복지 패러다임과 정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장애인에 대한 차별금지와 정당한 편의제공 의무를 규정하고 법의 판단 근거를 마련하여 권리구제를 하도록 한 것은 기존에 주류를 이루던 배려차원의 장애인정책이 장애인의 권리보장으로 발전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장애여성에 대한 인권신장과 지역사회 자립생활의 보장, 그리고 모성권의 보장은 여성과 장애, 그 외 장애여성을 둘러싼 환경적 요인과 상호작용함으로 발생하는 여성의 다중차별요소를 제거하고 장애여성이 장애인으로서의 권리와 여성으로서의 권리를 동시에 회복할 수 있도록 한 발 다가선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장애인복지법의 개정 등을 통해 국민 모두에게 처음부터 장애인에 대한 낙인을 가지지 않도록, 교육을 시작하는 시기부터 교육교재를 통해 장애인식개선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은 이미 갖게 된 선입견을 제거하는 것 보다 더욱 효과적인 장애인 인식제고 방법으로 평가되며, 교육교재 개발에 있어서 동정과 시혜의 시각이 아닌 장애인의 권리에 중심을 둔 교재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장애인의 사회통합과 활동의 참여는 지역사회 자립생활 영위와 매우 밀접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이동성 지원, 개별적 서비스, 가정 지원서비스, 활동보조 서비스 등 장애인의 자립생활을 위한 서비스와 지역사회 공공기관이나 이용 건축물의 접근성이 보장되도록 장애 장벽을 제거하고 보편적 설계를 통해 장애인뿐 아니라 누구나 편리한 건축물 환경을 만드는 노력이 있어왔으며, 장애인이 경제적 자립을 이룰 수 있도록 고용 및 직업재활 방안이 확대되고 있다. 교육에 있어서도 분리된 환경에서 통합환경으로 전환하는 일에 매달리는 것 보다 교육 시작부터 통합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배제, 제한 분리를 금지하고 있는데, 교육제도의 적극적 사회통합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장애인권리협약 제정에 우리나라 장애인당사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여성장애인이나 자립생활의 보장 등에서는 주도적 역할을 하였던 것만큼 국내의 이행에 있어서는 정부당국의 정책실현의지와 국민의 인권을 중요시하는 복지국가로서의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 장애인재활의 성경적 접근모델 연구

        서문성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재활에 있어서 성경적인 접근을 시도하여 사회복지에 주도적 역할을 감당해야 할 교회를 중심으로 장애인 재활에 관한 성경적이고 효과적인 모델을 제안함으로써 장애인의 정상화와 통합화를 가능케 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전인재활의 모델로 제시된 실로암(SILOAM)모델을 장애인 재활의 성경적 접근모델로 적용하여 사례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최초의 다운증후군 영화배우인 강○○와 뇌병변 연극배우 길○○, 지적장애를 가지고 열심히 일하며 복음을 전하는 이○○을 대상으로 사례분석연구를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한 달간 각각 3회 이상 만나며 인터뷰 등을 진행해서 정보를 수집하고 실로암(SILOAM) 모델을 틀로 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사례분석연구의 주요결과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교회는 아무도 발견하지 못했던 연구대상자들의 재능과 강점을 찾아내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편견의 시선을 가지고 장애인을 바라보기 때문에 그들의 약점을 보게 되고 시혜와 동정의 대상으로 여긴다. 하지만 복음 위에 선 교회는 그들의 강점을 적극적으로 찾아낸 것이다. 예수님을 믿는 사람은 구원받은 하나님의 자녀로서 장애 여부와 상관없이 동등하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은 모두 합력하여서 선을 이루어야 하고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내야 한다. 교회는 믿음이 없던 연구대상자들에게 복음을 전했고 성경공부 등을 통해 이 같은 정체성을 심어주었다. 하나님은 개개인을 향한 큰 계획을 가지고 계신다. 각자에게 독특한 개성과 강점을 심어주셨다. 하지만 그것을 장애인 개인이 발견하고 개발하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때문에 그 일을 교회가 감당해야 한다. 교회는 어두운 세상을 밝혀야 할 사회적 책임이 있기 때문이다. 믿음 안에서 자신의 강점과 진로를 발견하고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서 열심히 달려 나갈 수 있게 한 것이다. 다시 말해 하나님의 계획을 찾게 해준 것이다. 강○○와 이○○은 N대학교를 통해서 교육의 기회를 제공받았다. 다운증후군과 지적장애라는 무거운 짐을 가지고 대학교에 입학한다는 것은 무척 힘든 일이다. 또한 강○○와 길○○은 D기획사를 통해서 연예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았다. 연예계에 발을 들여놓는다는 것은 비장애인에게도 무척 어려운 일이다. 그들은 이와 같은 기회의 제공을 통해서 그들의 길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이○○은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았다. 이처럼 장애인 재활에 있어서 끊임없는 기회의 제공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그들은 이제 자신들이 혼자 사는 것이 아니고 하나님과 함께 살고 있다고 믿는다. 때문에 행동 하나하나에도 신경을 쓴다. 자신이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하나님의 이름이 욕되기도 하고 높임을 받기도 하기 때문이다. 매사에 최선을 다함으로써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그를 통해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하고자 한다. 이는 사람 낚는 어부로 부름 받은 예수님의 제자로서의 삶이다. 이러한 사도로서의 삶은 많은 사람들에게 복음의 선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 이는 실로암(SILOAM) 모델을 통한 복지가 곧 선교라고 하는 측면을 잘 드러내준다. 이 땅의 교회가 이러한 복지를 통해서 더욱 효과적으로 복음을 전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교회에 성경적 재활모델을 근거로 몇 가지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는 우선 복지대상자(Eligibility)를 찾아 나서야 한다. 둘째, 복지 대상자의 정체성을 확립해 주어야 한다. 셋째, 교회는 ‘하나님의 지도책’에 제시된 비전과 방법으로 복지 대상자를 인도하고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넷째, 교회는 복지 대상자에게 여러 가지 다양한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다섯째, 교회는 복지 대상자를 궁극적으로 사도로서 살아갈 수 있게 해야 한다. 여섯째, 교회는 이러한 복지가 곧 선교가 될 수 있게 해야 한다.

      • 농인의 다양한 직업전략을 위한 전문직 진출 사례에 관한 연구

        배한선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71

        농인은 전문적인 취업알선기관의 직업재활서비스를 통하여 취업이 되었음에도 여전히 고용의 안정은 이루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농인의 잦은 이직과 부적응현상을 청각의 결함이라는 의사소통의 한계로만 일축하기 보다는 처음부터 고용환경이 열악한 단순생산직에 천편일률적으로 취업 알선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인의 고용안정을 도모하기 위하여 농인이 단순생산직이 아닌 다양한 직종에서 특정영역의 전문가로서 직업적 역량을 발휘하게 된다면 농인의 고용안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전문직고용 창출사례를 통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지역의 편차에 관계없이 전문직에서 종사하고 농인을 대상으로 전문직 진출전 종사업종과, 직업영역에 따른 이직요인, 전문직 진출경로, 전문직에서의 근속연수, 전문직 진출의 성공요인 등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인의 전문직 진출전 종사업종과 근속연수를 살펴 본 결과 단순생산직과 제조업에 종사하고 있었으며, 이 업종에서는 평균적으로 짧게는 3개월 길게는 1년 8개월 단위로 이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같은 제조업체에서도 업무의 성격에 따라 반복적인 업무패턴이 아닌 전문적인 기능을 필요로 하는 작업영역에 배치되었을 때에는 근속기간이 5~6년 정도로 월등히 높았다. 둘째, 전문직 진출전 직업력에 따른 이직요인을 조사한 결과 총 12개 사업체에서 외부적 요인으로 인한 이직이 7건 내부적 요인으로 인한 이직이 5건 이었으며, 외부적인 요인에서 이직은 경기침체로 인한 임금체불이 가장 많았으며, 내부적 요인에 의한 이직요인은 근로환경에 대한 불만족과 업무에 단조로움 직업적 자아실현의 상실로 인한 이직이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괄목할만한 점은, 처음부터 단순생산직종이 아닌 전문 직종으로 취업한 사례는 취업한 해부터 현재까지 이직 없이 고용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업무를 수행하면서 의사소통으로 인한 어려움은 있지만 심각히 이직을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전문직 진출 경로를 살펴본 결과 자립 취업발굴사례는 부모님의 조언이나 지인의 인맥으로 개별적으로 전문직종에 진출하였으며, 직업재활서비스에 의해 전문직으로 고용을 유도한 사례는 차별화된 직업재활계획을 통하여 전문직에 진출하게 되었다. 그러나 직업재활서비스를 거치지 않은 자립 취업사례라 할지라도 부모님과 지인(acquaintance)등의 조력자(assistant)의 원조와 지지로 전문직으로 진출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전문직종에서의 근속연수를 조사한 결과 자립취업 발굴사례는 약 10년 2개월이상, 전문직 창출 사례는 약 3년 5개월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전문직 종사자의 근속연수는 약 7년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짧게는 3개월 길게는 1년 8개월 단위로 이직하는 단순생산직종 보다 전문직종에서 상당히 장기적으로 직업을 유지한다는 결과이다. 더욱이 전문직창출사례는 20대를 대상으로 연구기간까지 근속연수를 산정하였기에 비교적 30-40대를 대상으로 한 자립취업 발굴 사례보다 근속연수가 짧게 나타났으나 앞으로 근로가능연령이 더 장기적인 것 을 감안하면 고용유지의 가능성이 더 크다는 것을 내포한다. 그러므로 농인은 단순생산직이 아닌 전문직종에서 장기적으로 고용을 유지하고 직업적 안정을 영위하고 있다는 결론을 갖는다. 다섯째, 전문직 진출의 성공요인을 분석한 결과, 전문직에 종사하고 있는 농인 모두 직장내/외에 직업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심리적 조력자를 두고 있었으며, 특히 직장내에서는 상사와 관리자의 각별한 조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전문직종에서의 고용안정을 위하여 심리적인 지지를 해주는 조력자의 여부는 농인의 직업적응에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전문직 근로현장에서의 의사소통방법은 업무에 필요한 간단한 동작을 제스츄어로 표현하고 간단한 구화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업무의 주요한 사항은 필담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문직에서 농인의 직업적 강점은 전문적인 기능에 대하여 탁월한 집중력을 발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감각적으로 시각을 활용한 업무능력이 발달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직에서 농인의 한계점은 청각의 결함에서 오는 의사소통의 문제를 가장 크게 느끼고 있었다. 농인 전문직 종사자는 직업능력과 업무적응을 신장시키는 가장 큰 난제로 의사소통의 문제점을 지적하였으며 농인의 언어인 수화로 직업생활을 영위한다면 전문직에서 요하는 전문 직업능력을 신장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직창출사례의 경우 체계적인 직업재활서비스를 실시한 결과 자립취업사례보다 구체적인 취업전략으로 더 빨리 전문직으로 진출할 수 있었다. 또한 취업의 모든 과정에 수화통역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한 결과 업무의 숙련정도가 훨씬 더 빨랐으며, 업무적응초기 심리적인 안정감도 더 크게 나타났다. 전문직에서 직업적 자아실현과 성취감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직업적인 성취감은 장기적인 고용을 유지하는데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농인 전문직종사자는 직업적 능력을 인정받았을 때 자신의 장애에 관한 열등감과 패배감을 극복하고 농인으로서의 자존감과 정체성을 회복하게 되었으며, 이것은 또한 긍정적인 자아상을 형성하는 심리재활적인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었다. 고도의 전문화된 사회에서는 한 가지 탁월한 전문적인 능력을 필요로 하며, 이러한 전문화된 기술을 습득하는데 청각의 결함은 때로는 강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것을 적재적소에 배치하고 활용하면, 직업재활전문가조차 상상할 수 없을 만큼 한 개인이 가진 직업적 능력과 사회적 영향력은 실로 무한할 것이다. 그것은 농인 개개인의 자아실현을 통한 직업안정에 기여하는 것은 물론, 농인도 당당히 우리 사회에 한 분야를 짊어질 전문가(professional)로 자리매김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It is our actual situation that the deaf have not realized their stabilities of employment as ever, though they were being employed through th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of professional employment mediation institutions. It may be considered that the frequent changes of occupation and maladjustment phenomenon have been occurred due to the results of monotonous employment mediation to the simple production services with inferior employment environment from the first time rather than spurning them as the limitations of defects in hearing. Therefore, to plan the employment stability of the deaf, this study would like to analyze what kind of effects will be affected on the employment stability of the deaf if the deaf enable to show their occupational competences as professionals for specific areas in various types of occupation other than simple production services through professional employment creation cases. Accordingly, by targeting at the deaf being engaged in the professional services irrespective of the regional deviation, the engaged types of business before entering into the professional services, occupational change factors in accordance with occupational areas, paths to enter into professional services, years of continuous service at the professional services and the success factors for entering into the professional services, etc. were considered. If summarize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the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view on the engaged types of business before entering into the professional services and years of continuous service of the deaf, most of them were engaged in the simple production services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in these types of business, it was shown that they had changed their occupations in the unit of three(3) months at the shortest and one(1) year and eight(8) months at the longest in average. However, in accordance with the nature of works even in the same manufacturers, the years of continuous service were extraordinary higher to the extent of five(5) ∼ six(6) years when they were placed in the working areas required for professional functions other than repetitive working patterns.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urvey on the occupational change factors in accordance with the occupational capabilities before entering into professional services, the changes of occupation due to the external factors were seven(7) cases and those due to the internal factors were five(5) cases among total of twelve(12) enterprises, and in the external factors, the changes of occupation were mostly occurred due to the overdue wages caused by the economic slump, and in case of the occupational change factors based on internal factors, the changes of occupation due to the unsatisfaction on the working environment, monotonousness of works and the loss of occupational self-actualization were acted as main factors. But, the cases employed as professional types of occupation other than simple production types of occupation from the first time have maintained their employment without any change of occupation from the year of employment until now, and it was investigated that they did not consider changes of occupation seriously though there were difficulties due to the communications in carrying out of their work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view on the paths to enter into professional services, the independent employment excavation cases were entered into professional types of occupation individually by utilizing advices of parents of personal connections of acquaintances, and the cases induced to the employment in professional services by th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were entered into professional services through differentiate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plans. However, even for the independent employment cases without passing through occup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we may know that they were entered into professional services thanks to the help and supports of assistants such as parents and acquaintances, etc.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urvey on the years of continuous service at the professional types of occupation, it was shown that the independent employment excavation cases had served for about more than ten(10) years, and the professional service creation cases had served for about more than three(3) years and five(5) months. This shows the result that they have maintained their occupations considerably longer than one(1) year and eight(8) months at the simple production types of occupation. Moreover, the years of continuous service for the professional service creation cases were shown comparatively shorter period than that for the independent employment excavation cases targeted at the persons at their thirties-forties since the years of continuous service for them were calculated for the years of continuous service until the period of this study with targeting at the twenties, but it contains that the possibility of maintaining employment is higher if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their ages possible to work in the future are much longer. Therefore, we have the conclusion that the deaf are maintaining their employment for a long time and conducting occupational stabilities while working in the professional types of occupation other than the simple production services. Fif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success factors for entering into professional services, all the deaf engaged in professional services have the psychological assistants possible to help conduct occupational lives within their workplaces/outside of workplaces, especially, it was shown that they were receiving particular assistances from their superiors and managers. Accordingly, it is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adaptability of the deaf in the occupation whether they have assistants supporting them psychologically for the employment stability in the professional types of occupation or not. As for the methods of communication at the workplaces in professional services,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cases of expressing simple motions required for the work and using simple cued speech along with them were most frequent, and the important matters of work was accomplished through conversation by writing. It was revealed that the occupational strengths of the deaf in professional services were to display excellent concentration powers on the professional functions, and especially, it was shown that the abilities to work by utilizing eyesights were sensuously developed. The uppermost limit of the deaf in professional services was felt most severely at the communication problem caused by the defect in sense of hearing. The professional workers with hearing difficulties indicated communication problems as the most difficult problems in expanding their occupational abilities and adaptabilities at the works, and it was shown that their professional occupational abilities required at professional services would be expanded greatly if they could conducted their occupational lives by using sign languages which are the languages for the deaf. To overcome these uppermost occupational limits, in case of the professional service creation cases based on th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the understanding and learning on the contents of work were faster than those for the independent employment cases thanks to the results of providing sign language services throughout the whole courses for employment, and as results of carrying out of the continuous guidance for adaptation, the professional occupational abilities along with psychological adaptabilities had been expanded. The occupational self-actualization and sense of achievement in professional services were shown very high, and the occupational sense of achievement was acted as an important cause for maintaining long-term employment. The professional workers with hearing difficulties overcame inferiorities and senses of defeat and became recovered their prides and identities as the deaf when occupational abilities were recognized, which mad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forming positive self-images possible to be expected also. In highly specialized societies, one excellent professional ability is required, and sometimes the defect in hearing can be acted as a strength in learning these specialized technologies. If place the right men in the right places and utilize them, the occupational abilities and social influence possessed by one individual will be actually limitless to the unimaginable extent even for th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s. It shows the possibility not only that the deaf can contribute to the occupational stability through self-actualization of each person with hearing difficulties, but also that the deaf too can be defined as professionals to take charge in one area of our society fairly.

      • 지역교회 장애인 가족을 위한 영적재활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

        박성식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71

        장애인의 재활에 있어서 전인적 재활(Holistic Rehabilitation)은 중요한 것이며, 전인적 재활로서의 영적재활은 그 이상의 전인적 회복의 재활 분야가 될 것이다. 영적재활이 이루어 져야 할 현장은 지역에 있는 교회들이다. 예수님께서도 육적 치유가 필요한 현장에서 육체적인 질병을 해결해 주시는 육적 재활과 더불어 구원의 문제를 해결해 주시는 영적 재활을 통해 영과 육의 온전함을 이루시는 전인적인 재활을 행하셨다. 영적재활은 영과 육, 나아가 혼의 재활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전인적인 접근과 목적 개념으로서 재활의 실현이라 할 수 있다. 장애인들은 모든 시대를 통해 볼때 차별의 대상이었다. 성경의 배경이 되어왔던 고대 이스라엘과 예수님 당시의 팔레스타인의 상황이나 오늘날 한국교회 안에서나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예수님처럼 그 당시 사람들에게 죄인시 취급받고 별시를 받아온 가난한 사람들을 온전한 구원을 위해서 육적인 치료와 더불어 영혼의 치유를 위해 돌보셨던 것처럼, 그러한 예수님의 마음을 가지고 있는 교회 지도자들이나 학자들을 통해서 장애인도 이제는 이 사회 안에서 당당한 인격이며, 행복을 누릴수 있다는 길을 제시하였다. 장애인을 교회 안에서 돌보기 위해서 그동안 여러 가지 기관과 프로그램들의 노력들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장애인에게 있어 직업적, 교육적, 사회적 재활치료도 중요하지만, 이와 더불어 ‘영적재활’로 장애인들을 회복시키는 곳은 교회이다. 교회는 이제 장애인들에게 전인적 재활로서 영적인 재활의 현장이 되야 할 것이다. 하나님의 섭리와 계획하심의 관점에서 장애인과 그의 가족들에게 신앙 프로그램을 통해 얻은 효과는 너무나 놀라운 결과를 보게 하였다. 그리고 하나님의 구원계획의 시간표 안에는 반드시 장애인들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지역 교회 안에서 영적재활은 사회적 독립성과 더불어 장애인의 전 인생를 넘어서 시간의 영원성을 생각할 수 있는 죽음 이후의 영생의 문제와도 관련이 있다. 어느 재활의 분야가 한 사람의 인생을 넘어서 죽음 이후의 세계까지 생명을 유지 할 수 있는 일들을 할 수 있는 것은 없을 것이다. 그것이 바로 교회가 책임져야 하는 궁극적 사명인 것이다. 그래서 현장을 통해 경험한 일반적인 신앙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얻은 영적재활을 통하여 온전한 통합을 이룰 수 있는 확신을 가지게 되었다.

      • 지역사회 재활시설 체육서비스의 문제점과 역할 및 방안 : 장애인복지관을 중심으로

        오준협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71

        이 연구는 지역사회 재활시설 체육서비스의 문제점과 역할 및 방안에 대하여 알아보고 지역사회 재활시설 체육프로그램의 내실과 전문성 강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4단계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1단계는 문헌고찰 단계, 2단계는 면담조사 단계, 3단계는 자료 분석 단계, 4단계는 논문작성 단계로 진행하였다. 이 연구의 심층면담은 체육지도자, 행정가 등 전문가 15인으로 이루어졌으며 심층면담 연구도구는 반구조화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질적 연구 방법 중 귀납적 범주 분석으로 범주화 하였으며, 특수체육 교수 3인에게 안면타당도 검사를 받았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 참여목적은 재활 및 건강증진, 신체활동추구, 사회성향상, 정보공유 및 네트워크, 삶의 질 개선 및 추구, 여가·취미활동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 장애요소로는 시설부족 및 노후화, 지도자 및 프로그램의 부족, 접근성 및 이용시간의 문제, 인식·심리적 문제, 비용문제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 초기접근 향상을 위해 프로그램 진행, 재활 및 체육 정보제공, 시설보강 및 접근성 향상, 예산지원 및 협력 등이 방안으로 나타났다. 넷째, 체육서비스 홍보 역할 및 방안은 온라인 홍보, 오프라인 홍보, 체육활동·견학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이용료 문제는 예산의 한계, 외적비용 발생, 장비구입 문제, 무료 프로그램의 한계, 기관운영에 이용료 사용문제로 나타났으며, 방안으로는 가치 실현, 재투자에 활용, 정부의 제도 및 예산 활용, 바우처 활용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재활운동 및 체육 참여를 위해 재활운동 및 체육 개념의 정립 및 개발, 기반구축, 체육시스템 마련, 전문 인력배치, 프로그램 마련 등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생활체육 방안은 정보제공, 기반구성을 통한 지원계획 마련, 목표 및 흥미 유도, 이용자 욕구에 맞는 프로그램 계획수립 등을 제시하였다. 여덟째, 체육 지도자 문제는 열악한 근무 환경, 인력수급문제, 지도자의 전문성 부재, 장애이해 부족이며 그 방안으로는 인력 양성, 법적 지원, 처우 개선 등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프로그램 문제는 종목중심의 체육, 이용자 욕구 파악 부족, 장비개발 및 구입문제, 홍보 및 시설문제, 장애특성에 맞는 프로그램 부족으로 나타났으며 방안으로는 효율적 공간배치 및 전문지도자 확충, 장애특성에 맞는 프로그램 계획수립 및 제공, 체계적인 관리 및 인식개선을 제시하였다. 열째, 체육 지원 조직의 문제는 예산·시설·장비문제, 지도자 부족, 지도자와 사회복지사 간 소통문제, 업무 과중문제이며 그 역할 및 방안은 체육회지도자 파견, 시설의 조직 구성 및 운영방안, 특성에 따른 관리를 제시하였다. 열한 번째, 체육 시설문제는 장소·이동·장비문제, 공간효율성 부족, 편의시설 부족, 시설노후화, 비장애인과의 충돌로 나타났으며 해결책으로 지원체계 마련, 재원확보, 견문확대, 유기적 시스템화, 편의성 제공, 전문 장비보강, 접근성 향상을 위한 계획수립, 예산지원 및 협력을 제시하였다.

      • 중증장애인자립생활운동의 활동보조서비스가 중증장애대학생의 학교생활 및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정중규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71

        자립생활은 장애인 복지의 궁극 실천 이념이며 목표이다. 한 인간으로 사회 속에 태어나 그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자리매김하면서 자신의 삶을 영위하고 그를 통하여 자아실현을 이루고 싶은 꿈은, 사람이면 누구나 다 지니고 있을 것이다. 하물며 장애를 지니게 되면서 사회환경적 제약으로 인하여 인간다운 삶 자체를 온전히 누리지 못하고 있는 장애인들에게 있어 자립생활의 실현은 단순히 복지적 차원을 뛰어넘어 인권확보 차원에서도 참으로 소중하기만 하다. 여기에 중증장애인자립생활의 가치와 필요성, 그 철학적 근거가 있는 것이다. 그런데 중증장애인들에게는 일상생활활동을 돕는 활동보조서비스와 같은 지원서비스가 함께하지 않으면 아무리 법적 제도적 장치가 갖추어진다 하더라도 지역사회 내에서의 온전한 일상생활 영위와 그로인한 사회통합이 거의 불가능하다. 그것은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장애학생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1995년부터 「특수교육대상자 대학입학 특별전형제도」가 도입 실시됨으로서 장애학생 수가 점차 늘어가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교육현실은 아직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특히 중증장애학생인 경우 이들의 개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강의, 불공평한 학습평가, 수행하기 어려운 과제물 부과, 편의시설 미비 등으로 인해 학업수행상의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대학사회의 대책은 아직 걸음마 단계로 연구 자체가 일천하다 하겠다. 중증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펼쳐지는 활동보조서비스가 이들의 생활관 내 공동생활을 비롯한 학교생활 및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나사렛대학교에 재학 중인 중증장애대학생을 대상으로 중증장애인자립생활운동에 있어 핵심 요소인 활동보조서비스가 중증장애대학생의 학교생활 및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과 만족도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중증장애대학생의 학교생활에 있어 활동보조서비스의 지원 및 대학 내 자립생활센터 설치의 필요성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연구조사는 2006년 10월 16일부터 11월 3일까지 나사렛대학교에 재학중인 중증장애학생 128명을 설정하여 본 연구자가 제작한 조사도구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회수된 조사자료는 SPSS 12.0 for Windows를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분석결과, 가장 중요한 사항은 활동보조서비스가 중증장애대학생의 생활관 생활을 비롯한 학교생활과 학습효과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난 점이다. 특히 학교생활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부분에서 일상생활에서의 자신감 회복과 대인관계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와 활동보조서비스가 생활보조와 같은 단순한 기능적인 측면에서의 효과 이상으로 이용자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었음을 나타내주고 있어 중증장애인에게 있어 활동보조서비스의 가치와 함께 궁극적으로 활동보조서비스를 비롯한 자립생활 지원 서비스의 지향점을 나타내준다는 의미에서 유의미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서 볼 때 중증장애학생의 학교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활동보조서비스를 비롯한 자립생활지원서비스의 보다 체계적인 실시의 필요성과 이를 원스톱식으로 일원화하여 체계적으로 집행하고 총괄할 수 있는 대학 내의 자립생활지원서비스 지원체계의 구축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앞으로 중증장애학생의 입학이 더욱 늘어갈 것이라고 예상되고 있기에 각 대학마다 장애학생지원센터의 설치가 반드시 필요하리라고 본다. 더 나아가 자립생활운동을 우리 사회에 뿌리내리기 위하여서는 관련법과 제도의 정비 및 장애당사자의 의식개혁과 실천적 운동도 중요하지만 우리나라 현실에 맞는 자립생활 모형과 프로그램을 찾아내고 만들어가는 노력도 병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에서부터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세계 최초의 자립생활센터로써 미국 버클리대학교자립생활센터가 미국의 자립생활운동과 활동보조서비스를 주도했다면 국내 최초이자 유일의 대학교 내 자립생활센터로써의 나사렛대학교 중증장애인자립생활지원센터의 우리나라 자립생활운동에서의 선도적 역할과 기능 그리고 향후 활동이 기대되는 까닭도 이 때문이라 하겠다 Independent Living(IL) is the ultimate goal and mission of the well-being of people with disability. Everyone might have their dream, because we are human-being, to be a member of a society, lead one's life and actualize one's self. Everyone does, how much more does the disabled who are restricted by limitation of social environments to enjoy their human lives. For the disabled, living independently is so precious in terms of human rights as well as just well-being. Herein lies the reasons of importance and value of the severly disabled people's self-reliance. However, without supports, like Personal Assistance Services(PAS), it is almost impossible for the disabled to lead their lives and for us to integrate the society, even though we have the legitimate systems. It is the same for the college student with disabilities. Although the number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has been increasing since 1995 when the government effectuated the law 「Special systems for the Student with Disabilities Entering the University」, the environments of education are still not satisfying. And especially college student with severly disabilities are suffering from inappropriate class ignoring their interest, unfair evaluation of study, hard assignments to do, and the short of convenient facilities. The plans for them of universities are not sufficient, and pre-investigations for this are also poor. So it is necessary to have the investigations about the assistance system's effect of school-life including community life and study in living space. Thus, I try to find out the way to vitalize the support for assistance systems and the necessity of setting up the center for self-reliance in the student with severly disabilities' universities by checking the effect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which is a crucial factor of independent life movement of student with severly disabilities, to students' accomplishments and satisfactions with researching the students of Korea Nazarene university. To achieve the object of research, I took the examination of theories and documents. Research had been done from Oct. 16, 2006 to Nov. 3, over the 128 selected student with severly disabilities going to Korea Nazarene university, with the tool which I devised.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statistically by SPSS 12.0 for Windows, which made the process through frequency and cross analysis.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most important result was the outstanding-positive effect of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on the students' lives and accomplishments. Especially, it was said a lot that the service helped students in terms of improving relationships and confidence. This means that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help students in terms of not only the simple-functional life assistance but also improving their well-being. Hence, it is truly meaningful that the result also shows the goal of self-reliance services and the value of services, including the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for the severly disabled. Given these results, it is urgent for universities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setting up service systems and establish the one stop unified system, including services for assistance of life and moving, which can be controlled systematically. And it i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student with severly disabilities will grow, each university might be required to set up the center for the student with severly disabilities. Plus, to generalize the Independent Living moveme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related the laws and regulations and awaken our mind and practice movements. But what is more important find and make the proper models and program fitting to our society. So we need more systematic and professional researches from the university. With respect to this, the initiative role for self-reliance of severly disabled people and activities of Korea Nazarene university(Center for Independent Living of Korea Nazarene university : CILKNU), which is the first and only university as the self-support center, are expected. And the fact that the Center for Independent Living in the world is Berkeley university shows more.

      • 지역교회의 장애인복지선교 발전을 위해 나아갈 방향 연구

        최석주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천안시 쌍용동에서 현재 장애인복지선교가 지금까지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를 확인해보고 앞으로 발전 방향이 무엇인지에 대해 설문을 통한 연구결과의 형식으로 접근하였다. 본 논문은 장애인복지선교와 관련된 대학교의 석․박사 학위논문, 장애인복지선교와 관련된 학회 논문집에 수록된 논문들, 장애인복지선교와 관련된 정기간행물과 국내 도서 등을 조사하였으며, 천안시의 몇 교회를 선정하고 설문지를 돌려 교회들의 장애인복지선교의 현황과 개선방안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고, 장애의 정의 및 현황, 장애인복지와 선교에 대해 살펴보았다. 장애인복지선교라는 말이 한국교회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는다. 장애인복지선교라는 말은 한국교회가 먼저 사용한 말이 아니라 장애인 선교단체에서 먼저 사용했다. 한국의 복음화를 위해 헌신했던 외국의 선교사들이 장애인복지선교를 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었지만 장애인복지선교라는 관점에서 시작했던 것은 아니었고 한국선교를 위한 접촉점으로 장애인복지선교가 부분적으로 이루어 졌던 적은 있었다. 장애인들이 대부분 삶의 외곽에서 힘겹게 살아야만 했으므로 한국교회가 그들에 대한 관심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었지만 장애인복지선교라는 관점에서 되었다기보다는 구제의 측면에서 돌아보았기 때문에 한국교회의 장애인복지선교는 조금도 발전될 기미가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장애인복지선교의 필요성으로는 교회는 생명을 소유하고 나누어 주는 기관으로 교회야말로 장애인들이 필요로 하는 것, 가장 기본적인 생명자원을 갖고 있다. 교회는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시키는 전진기지로써 장애인에 대한 사랑과 이해와 섬김의 에너지가 저장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교회는 장애인복지선교에 힘을 써야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 현재 거주하고 있는 장애인으로는 2005년 기준으로 214만 명으로 추정하고 있고 전체 인구의 4.59%가 장애인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보건복지부 장애인 실태조사, 2006). 2005년 통계에 의한 장애유형별 장애 중 제일 많이 차지하는 유형으로는 지체장애인으로 1,005,617명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반면 천안시에는 2007년 6월 기준으로 18,535명의 장애인이 천안시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 그 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유형으로는 역시 지체장애로 9,452명이 천안시에 거주하고 있다(충청남도 시․군별 장애인 실태조사, 2007). 지역 내 교회들의 장애인복지선교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재정확보의 어려움을 들 수 있다. 둘째, 자가 건물 확보의 어려움이 있다. 셋째, 전문 지도자 확보의 필요성을 들 수 있다. 넷째, 장애인의 교육, 취업, 결혼, 자녀 교육, 자녀 결혼 등에 어려움이 있다. 다섯째, 교회의 대형화 추세도 부지불식중에 장애인선교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근거로 발전을 위한 해결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장애인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편의시설의 충분한 설치가 필요하다. 셋째, 교육이 있어야 한다. 넷째, 재정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 다섯째, 전문지도자의 양성이다.

      • 산재장해인의 사회·심리재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종균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71

        최근 산업재해자 수와 사망자 수는 정부의 산재예방정책에 힘입어 조금씩 감소하고 있으나, 중대재해가 점점 늘어나 산재장해인의 수는 늘어나고 있다. 산재장해인의 경우에는 중도 장애인으로써 선천성 장애인인과는 달리 장애수용의 어려움을 겪으며, 우울이나 불안 등의 심리적인 문제, 가족 간의 갈등, 경제적인 문제, 직업적인 문제 등에 관한 경험으로 인해 개인적․사회적 영역에서 자신을 비롯한 가족부양의 역할을 포기 하도록 암묵적으로 강요된다. 이러한 사회적 관계는 더욱 심화되어 대인관계나 사회에서 소외되는 현상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산업재해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그리고 산재장해인의 특수성에 기인한 학습된 무력감 등으로 인하여 사회복귀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현재 산업재해보험의 목표는 근로자의 원상회복에 있으나 우리나라의 산재보험에 대한 관심은 주로 재정안정화에 집중되어 있거나 산재예방에 대한 중요성을 환기시키는 수준이고 산재장해인에게는 요양급여를 통한 치료의 보장과 치료종결 후 장해급여 및 재해로 인하여 사망한 산재근로자 가족에게 유족급여의 지급을 통한 최소한의 생활보장에만 중점을 두어 왔을 뿐 치료종결 후 장해가 남아 있는 산재장해인의 직업복귀, 사회복귀 등의 재활에 대한 노력은 상대적으로 취약하였다. 산재장해인들은 선천성장애인들과는 달리 산재이전의 취업경험 등으로 인해 특정전문지식과 기술, 직업인으로서의 소양 등을 갖추고 있어 심리적인 갈등을 해소하고 장해로 인하여 발생하는 사회활동에 대한 어려움을 사회재활서비스를 제공하여 해소한다면 다른 장애인들에 비해 사회복귀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산재장해인의 사회복귀를 위해서는 산재장해인들은 사회․심리적 재활이 우선되어야 직업재활 등의 동기부여가 된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재장해인의 사회․심리적 재활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요인을 찾아보고 효과적인 사회․심리적 재활을 위하여 요인상호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산재장해인들의 사회복귀를 촉진 할 수 있는 사회․심리재활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산업재해로 인하여 근로복지공단의 의료재활서비스를 받은 경험이 있는 전국의 산재장해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산재장해인의 사회․심리재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선행연구에서 연령, 장애유형, 교육수준, 결혼유무, 성숙한 정서, 자아기능, 경제수준, 자조집단, 일상생활에 활동제약, 직업생활 등이 산재장해인의 사회․심리재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외된 주 수입원, 후유증, 가족 간의 갈등, 병원에서 치료받은 기간, 장해보상의 어려움, 심리상담 유무 등을 스트레스, 우울 증상, 자살기도, 사회복귀에 대한 두려움, 삶의 질의 변화등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산재장해인들은 산업재해 후에 후유증이나 합병증이 있을 경우에 스트레스 상황이 많아지고, 우울 증상이 더 많이 생기며, 사회복귀에 대한 두려움이 많아지고, 삶의 질이 더 낮아진다. 둘째, 가족 간의 갈등이 많을수록 스트레스 상황이 많아지며, 우울 증상도 더 많이 느끼고, 자살을 더 많이 생각하고, 사회복귀에 대한 두려움을 더 느끼며, 삶의 질이 낮아진다. 셋째, 산업재해보상이나 기타 장해보상으로 어려움을 겪은 경험이 많을수록 스트레스 상황은 늘어나고, 우울 증상도 많아지며, 사회복귀에 대한 두려움을 더 느낀다. 넷째, 산재장해인들은 심리 상담을 받은 경우에 받지 않은 경우보다 삶의 질이 더 높다고 생각했다. 결국, 산업재해 후에 합병증이나 후유증이 많을수록, 가족 간의 갈등이 많을수록, 장해보상에 어려움이 많을수록 심리 상담을 경험하지 않을수록 산재장해인들은 사회․심리재활에 어려움을 느낀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사회․심리재활의 방법으로서는 가족상담, 동료상담, 자조집단지원, 사례관리, 자기역량강화 프로그램 등의 심리재활프로그램과 운전면허지원, 가족구조개선, 여가생활지원, 지역사회연계프로그램 개발 등의 사회재활프로그램이 요구된다.

      • 보호작업시설 직업재활종사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유혜경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71

        보호작업시설 직업재활종사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본 연구는 직업재활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전국의 보호작업시설 직업재활종사자를 대상으로 보호작업시설의 특성과 직업재활종사자의 직무만족도를 파악하고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직업재활종사자들의 직무만족을 통해 보호작업시설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전국 177개 보호작업시설의 직업재활종사자 531명을 대상으로 2008년 4월 16일부터 4월 30일까지 15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50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150부 중 연구에 부합하지 않는 설문 10부를 제외한 14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for Window를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백분율, 교차분석),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 (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호작업시설 직업재활종사자의 개인적 특성을 살펴보면 여성 근무비율이, 연령대로는 30대가, 직업훈련교사의 비율이 높았고, 대졸이상의 학력이 높게 나타났다. 전공은 사회복지를 전공한 종사자들이 많게 나타났고 자격증도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한 경우가 많았다. 근무경력을 살펴보면 2년 미만의 경력자가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급여수준을 보면 2,000만원 이상-2,5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고 결혼여부는 기혼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종교는 기독교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호작업시설 직업재활종사자의 기관환경 특성을 살펴보면 운영주체로 회복지법인이 운영하는 곳이 많았고, 운영형대로는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곳이 생활시설에 부설되어 운영하는 곳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직장이 소재한 지역의 지리적인 환경은 대도시가 많았고, 행정구역별 근무비중에서도 수도권 지역이 많았다. 고용계약형태는 정규직이, 인건비 예산출처로 국고의 비중이 높았다. 입사경로는 공채의 비중이 높지만 친척 및 지인소개의 비중도 높은 편이었다. 시설에 입사하게 된 이유로는 전공을 살리기 위해서가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동기없음과 사명감이 비슷한 비율을 나타내면서 상반된 의견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 특이한 점으로 보인다. 업무비중은 행정업무와 보호고용 및 작업활동지도가, 담당하는 장애유형은 지적장애가 가장 많았으며 지체장애, 정신장애가 그 뒤를 이었다. 셋째, 보호작업시설의 자원동원 활동특성을 살펴보면 자원동원을 하는 보호작업시설이 많았고, 자원동원활동을 하지 않는 이유로는 기존의 사업 때문에 시간과 노력을 투자할 여유가 부족하기 때문에라는 이유가, 자원동원 활동을 주로 담당하는 사람은 시설장과 직업훈련교사가 함께 하는 곳이 가장 많았다. 넷째, 보호작업시설 직업재활종사자의 직무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인 직무만족 수준은 보통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을 결정하는 8개 하위척도별로는 직무, 감독, 동료관계, 기관에 대한 만족도가 전체 직무만족도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고 보수와 승진영역에서는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급여, 자원동원 담당자로 나타났다. 연령이 높을수록, 급여가 많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았고, 시설장과 직업훈련교사가 함께 자원동원활동을 할 때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보호작업시설에 승진제도를 도입하고, 승진의 공평성과 투명성을 확보하여 직업재활종사자의 근로의욕 고취 및 직무성과를 높인다. 둘째, 직업재활종사자의 보수를 적정한 수준으로 향상시켜 직업재활종사자의 삶의 질을 높인다. 셋째, 보호작업시설 업무 내 행정업무의 정비를 통하여 직업재활 업무의 효율성을 높인다. 넷째, 보호작업시설 직업재활종사자들의 보수교육을 체계화시켜 직업재활종사자의 전문성을 높인다.

      • 지역교회의 장애인복지사업에 관한 연구

        김선애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실태조사를 통하여 현재 천안시에 소재하는 지역교회의 장애인복지사업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교회의 장애인복지사업의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여 사용하였으며, 천안지역 교회 204곳을 대상으로 장애인복지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의견을 물었다. 총 배부된 설문지는 204부였는데, 회수된 설문지는 103부였다. 회수된 설문지 가운데 통계분석에 적합하지 못한 6부를 제외한 9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는데, 수집된 자료는 SPSS 1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상관관계를 이용해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응답자의 대부분의 성별은 남자였으며, 연령은 40대가 가장 많았다. 또한 목회를 위한 신학 외에 부전공을 살펴보면 상담학, 사회복지학, 교육학 순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상당수의 목회자가 사회적인 욕구나 교회 공동체의 욕구에 부응하고자 노력하는 면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설문지에 응답한 교회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설립연수가 10년 이하가 많았고, 교단은 장로교가 과반수를 차지하였으며, 목회자의 근무연수는 10년 이하가 가장 많았다. 연구대상지역이 중소도시인 천안이어서 그런지 교회규모가 대부분 작은 편이었으며, 그에 따른 예산도 적은 편이었고, 교회 규모가 작으므로 인해 장애인들에 대한 여러 가지 시설이나 예산의 부족으로 장애인복지사업을 실시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셋째, 장애인복지사업을 하지 않는 교회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지금은 교회 규모가 작아 장애인복지사업을 하지 않고 있지만, 교회가 분명히 해야 할 일이기 때문에 앞으로 꼭 하겠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러한 응답은 교회가 장애인을 단지 돌봐야 하는 대상에서 함께 가야하는 공동체의 일원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상당수의 교회들은 장애인에 대한 복지를 지나치게 어렵게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장애인복지사업을 하고 있는 교회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장애인시설 방문 및 후원이 대부분이었고, 장애인복지사업의 실시목적은 이웃사랑의 신앙적 실천이었다. 사업의 대상자는 지체장애가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대상자의 선정방법은 교회 내의 사람과 복지시설 등에 대한 의뢰가 많았다. 장애인복지사업을 전담하는 부서는 과반수에 조금 못 미치고 있으며, 예산사용의 결정권자는 제직회나 담임목회자가 대부분이었다. 교회예산 중 장애인복지사업비의 비율은 5%미만이었으며, 그 비용은 교회 봉사비에서 충당하고 있었다. 교회 출석 장애인은 교회에서 제공한 차량으로 나오고 있으며, 소요시간은 15분에서 30분 정도가 소요되고 있다. 또한 교회에서 장애인복지사업을 실시하는 데 어려움은 전문적인 인력부족이었으며, 교회간 또는 교단간의 연합사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와 전문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천안지역 장애인복지사업에 대한 발전적 방향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장애인에 대한 의식의 향상 및 전환이다. 장애인도 하나님의 분명한 형상을 가지고 해야 할 몫을 가지고 존재한다. 단지 돌봄의 대상에서 이제는 공동체의 일원으로의 의식의 전환이 있어야 한다. 이것을 위해서 교회 내에서 천안시에 소재한 사회복지전문가들의 지속적인 교육을 교인들을 대상으로 전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장애인복지는 조직이나 체계를 세우기보다는 “지금, 여기”에서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재정적인 면이나 전문 인력을 확보하여 보다 체계적인 조직을 가지고 시작하는 것이 바램이지만 현실적인 상황은 그렇지 못하다. 대 부분의 교회가 지금 실천하지 못하는 이유를 여기에 두고 있다. 이것은 장애인복지가 사랑의 실천이라는 측면보다는 조직에 근거를 두고 있다는 단면을 보여주고 있는 실례이다. 초점이 사람이 되어야한다. 따라서 작지만 “지금, 여기”에서 실천하는 것이 바로 교회 내에서 장애인들을 한 공동체로 품어 나가는 길이다. 셋째, 교회간의 연계사업 및 전문 인력배치이다. 전문 인력은 우선 실행되어야 할 문제이다. 1차적인 돌봄에서 장기적인 계획을 가지고 자생능력 및 자기 실현성을 길러주기 위해서는 당장 직면한 문제를 해결해 주는 차원에서 보다 장기적인 계획을 가지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회가 단지 수치적인 자랑에서 벗어나 전문 인력을 확보하여 장·단기적인 계획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study, the state and problems in the welfare ministry for the disabled at local churches in Cheon-an were investigated. It was aimed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as a motive to activate the welfare ministry for the disabled in Church.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 were performed simultaneously, and 204 churches in Cheon-an were selected for the data about the welfare ministry for the disabled. 204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03 of them were responded. Among them, 97's were entered to the final analysis procedure after removing 6's incorrectly answered. Collected data was then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a commercial softwar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cience, version 11.0). Frequencies, percentiles, t-test were the methodologies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test parame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in the following. First, it was found that most respondents had interest in counselling, study of social welfare, education, as in order, as well as theology for ministry. This shows that large number of pastors were trying to satisfy the social demand or the demand of church community. Seco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hurches that responded were under 10years since their foundation, the Presbyterian church in majority and under 10 years in the average term of pastor's service. Owing to the small and medium-sized city of Cheon-an, almost churches were not supported enough to have the facilities and welfare ministry for the disabled. Third, most of the churches without the welfare ministry for the disabled considered it as required one and hoped to do it in the future, though they could not do it at present for lack of their system. This means that churches thought of the disabled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to come together, not as the object of care. It was also investigated that they regarded the welfare ministry difficult to perform. Forth, the ways of participation in the welfare ministry for the disabled were, in most part, the visit and the support to the institutional center for the disabled for the purpose of a religious practice of love for neighbor. Their objects were physically handicapped people in majority who were chosen by the request of a church member or welfare centers. The number of churches with the department in charge of the welfare ministry for the disabled did not reach the majority. The financial support was decided almost by church committee or chief pastor. The cost for the welfare ministry for the disabled occupied one part of public services at 5% below of the total finance of the church. The disabled person could commute to the church in a vehicle provided by the church. It took about 15-30 minutes. The difficulty in the welfare ministry for the disabled resulted from the lack of professional workers. The need of cooperation among churches or religious associations was also propos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and theoretical studies, followings were suggested toward the development of welfare ministry for the disabled in Cheon-an. First, the recognition of the disabled should be converted and developed that they have the shape of Lord like ordinary people and take part in our community as a member, not the object of care. For this recognition, the christians should be educated consistently by professional workers for the disabled. Second, it is more desirable to start "Now, Here" than wait until setup of system or organization. For most of churches did not preform the welfare ministry for lack of system. This shows that the welfare for the disabled has been based on the organization, not on the practice of love. The focus should be Man. A small practice of "Now, Here" is a way of embracing the disabled as a member of church community. Third, the cooperation among churches and the placement of professional workers should be needed. The latter should be required above all. A long term plan as well as the solution to the immediate problem is obligatorily necessary for the disabled to rejoice the autonomous life and self fulfillment in addition to fundamental care. The placement of professional workers helps the disabled to make both short-term and long-term pl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