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안장애의 새로운 치료제로서의 Agomelatine

        민정아,채정호 대한정신약물학회 2011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22 No.4

        Anxiety disorders are the most common mental health problems and frequently cause functional impairment. Although current pharmacological agents are recognized to be effective, partial or total resistance to drug treatment and distressing side effects have leaded to continued search of a new pharmacotherapy of anxiety disorders. Agomelatine is a novel agent with a melatonergic agonist at MT1 and MT2 receptors and an antagonist at 5HT2C receptors. Despite substantial evidence of its antidepressant properties, the anxiolytic properties of agomelatine have been underscored. Therefore, this article reviews previous studies on anxiolytic properties of agomelatine. In several rat models, agomelatine actively reduces anxiety-related behaviors comparable to benzodiazepine. These anxiolytic properties seem to be mediated by both melatonergic and 5HT2C receptors. Randomized, double-blind, clinical trials demonstrated that agomelatine 25-50 mg/day significantly reduced anxiety symptoms in patients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s well as major depressive disorder. Recently, cases of panic disorder and social anxiety disorder successfully treated with agomelatine were reported. In addition, the tolerability of agomelatine seems broadly favorable, particularly in sexual dysfunction and discontinuation syndrome. Based on these sound efficacy and tolerability profiles, further studies on the use of agomelatine in anxiety disorders will be required for wider clinical application. 불안장애는 매우 흔하고 상당한 기능장애를 동반한 질환으로 다양한 약물들이 치료에 사용되고 있지만, 그 효과와 부작용 측면에서 다소 한계가 있어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에 대한요구가 있어왔다. agomelatine은 MT1 및 MT2의 작용제이며5-HT2C 수용체의 길항제라는 작용 기전을 가진 약물로, 임상연구들에서 항우울 효과가 입증된 데 비해서 항불안제로서의효과는 아직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다. 이에 본 종설에서는 agomelatine의항불안 효과에 대한 근거가 되는 약리학적 기전, 동물연구 및 임상연구에서의 항불안 효과, 내약성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agomelatine은 다양한 불안 관련 동물모델에서 불안을 의미 있게 감소시켰으며, 항불안 효과에는 멜라토닌 수용체와5-HT2C 수용체가 모두 관여하였다. 임상연구에서는 주요 우울장애와 관련된 불안증상 이외에도, 범불안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 대조 연구에서도 유의하게 주요 불안증상 및 동반된 신체불안, 불면을 호전시키고 일상생활 기능을 향상시켰다. 이 외에 치료저항성 사회불안증 환자및 성기능장애 등의 부작용으로 약물 비순응을 보이는 공황장애 환자들에서 유용한 대안으로 보고되었다. 항불안 효과에 있어 기존 치료제들과 동등하며 및 성기능장애와 중단증후군 증상을 비롯한 내약성 측면에서는 오히려 우수하여,agomelatine은 불안장애에서 기존 약물의 문제점을 극복할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의 가능성이 시사된다. agomelatine의 항불안 효과를 확정하기 위해서는 불안장애에서의 향후 더 많은 연구와 임상경험이 필요할 것이다. 장기간 치료 및 추적 연구를 통해 관해 및 재발방지 효과를 규명하고, 장, 단기 부작용에 대한 더 많은 자료가 필요 하겠다. 아울러 우울 및 불안과 관련된 감정 처리 과정의 변화와 스트레스로 인해 유발된 신경가소성 감소를 개선시키는 등의 효과에 대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항불안 효과와 관련된 심리학적 및생물학적 기전에 대한 연구도 동반되어야 하겠다.

      • KCI등재

        불안-우울 환자에서 역기능 호흡

        손인기,남범우,홍정완,이재창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21 정신신체의학 Vol.29 No.2

        Objectives:Although dysfunctional breathing is a common symptom in general population and affects qualities of life, it is still underdiagnosed. There are some studies of prevalence of it in astma, but few studies in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prevalence of it in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s, and to investigate whether anxiety and depressed mood influence it. Methods:135 patients diagnosed with anxiety or depressive disorders, and 124 controls were recruited. Nijmegen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dysfunctional breathing, and Hospital anxiety depression scale was used. Results:The prevalence of dysfunctional breathing in anxiety or depressive disorders was higher than that in control. In the linear regression model, anxiety accounted for 59.6% of dysfunctional breathing, but depressed mood did not. With covariate adjusted for anxiety, scores of dysfunctional breathing in anxiety or depressive disorders were higher than in controls. Conclusions:Dysfunctional breathing in anxiety or depressive disorders is higher than that in control. Adjusting anxiety, its difference is still. Anxiety affects dysfunctional breathing, but depressed mood does not. 연구목적: 역기능호흡은 일반 외래 진료에서 흔히 마주치는 증상이며, 삶의 질에 영향을 주지만, 간과되는 경우가 흔하다. 천식과 같은 호흡기 장애에서 유병률은 조사가 되었지만, 불안-우울장애에서는 연구가 적다. 본 연구는 정신과 외래에 방문한 불안-우울장애에서 역기능호흡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불안과 우울의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방 법: 본 연구는 135명의 불안-우울장애 환자(불안장애 54명, 우울장애 81명)와 124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역기능호흡 평가는 Nijmegen 척도를 사용하였고, 불안-우울의 정도는 병원 우울불안 척도를 사용하였다. 결 과: 환자군에서 불안, 우울과 역기능호흡의 점수가 대조군에 비하여 높았다.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역기능호흡의점수에 대하여 불안은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지만, 우울은 그렇지 않았다. 불안을 공변량으로 하여 비교하였을때에도, 환자군의 역기능호흡의 점수가 대조군보다 높았다. 결 론: 불안-우울장애환자들은 정상대조군보다 역기능호흡의 정도가 높다. 역기능호흡에 불안은 영향을 주지만, 우울은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불안을 조정하였을 때도 역기능호흡의 정도는 불안-우울장애에서 정상대조군 보다 높다.

      • KCI우수등재

        신경증적 불안에 대한 불교적 이해

        이충현 불교학연구회 2022 불교학연구 Vol.72 No.-

        Anxiety is the most vital concept in the understanding of psychopathology. It is regarded as the fundamental cause and effect of all neuroses and, it is also diagnosed as anxiety disorder, one of the major mental disorders. However, it was only in the 19th century, just two centuries ago, that anxiety became such an important issue in the history of human suffering. Freud is regarded as the person who laid the foundation for today's concept of anxiety from a pathological point of view.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Freud's theory of neurotic anxiety from a Buddhist perspective.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examines that theory and extracts key factors that explain neurotic anxiety well. Next, this study deals with the above analysis from a Buddhist perspective. Several concepts in Buddhism that are translated as “anxiety” are reviewed. Then, key factors of neurotic anxiety will be analyzed with the concept of “defilement (kilesa),” which is also regarded as the cause of mental suffering, and it is confirmed that defilement explains neurotic anxiety well. Based on this discussion, this study argues that the concept of neurotic anxiety matches the concept of defilement in both aspects: narrow and broad.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modern people involving communication between these two traditions focused on the mind and suffering. Therefore, an approach that not only compares the core causes and concepts of suffering in each tradition, but also discovers mutually compatible concept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further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these traditions and to enhance the essential understanding of human psychology and suffering. 서구 정신병리의 이해에 있어 불안은 가장 핵심적 개념 중 하나이다. 불안은 모든 신경증의 근본 원인 및 정서로 이해되거나, 진단의 맥락에서는 특정한 심리 장애로서 불안 장애이고 이는 다시 공포증, 강박증 등과 같은 하위의 신경증들로 구분되기도 한다. 이렇게 불안은 인간의 심적 고통을 해명하는데 핵심적 위상을 지니나, 인류 고통의 역사에 있어 불안이 주목받게 된 것은 불과 2세기 전인 19세기 이후부터였다. 그리고 프로이트는 병리적 관점에서 오늘의 불안 개념이 있도록 토대를 닦은 인물로 평가받는다. 본 연구는 프로이트의 신경증적 불안 이론을 불교적 관점으로 이해하는데 일차적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프로이트의 신경증적 불안 이론을 살펴보며 신경증적 불안을 설명하는 핵심 요인들을 추려낼 것이다. 그리고 불교적 관점에서 신경증적 불안을 이해할 것인데 먼저, 불안으로 번역되는 불교의 여러 개념들을 살펴본다. 그 다음, 신경증의 원인으로 간주되는 불안의 핵심 요인들을 불교 전통 내에서 역시 심적 고통의 원인으로 이해되는 번뇌의 관점으로 분석하며 어떠한 번뇌 개념들이 신경증적 불안을 잘 설명하는지도 확인한다. 이를 토대로 신경증적 불안 개념은 크게 협의와 광의의 두 측면에서 번뇌 개념들을 통해 접근가능함을 논할 것이다. 마음의 이치를 다루는 두 전통은 오늘날 서로 소통하며 현대인의 정신건강을 위해 많은 시도를 해오고 있다. 따라서 각 전통의 고통에 대한 핵심 원인과 개념들을 비교 및 해석하고 더 나아가 상호 호환 가능한 개념을 발굴하려는 시도는 앞으로 두 전통 간의 소통을 더욱 원활히 하도록 함은 물론 인간의 심리와 고통에 대한 본질적 이해도 함께 증진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불안과 그 대상에 관한 연구

        홍준기 한국현상학회 2001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17 No.-

        불안은 주체의 근원적 정서다. 프로이트는 불안을 위험 신호로 정의했으며, 라캉은 프로이트와 특히 키에르케고르적 실존철학 전통을 집대성해 불안에 관한 새로운 정신분석학적 이론을 남겼다. 라캉에 따르면 불안은 욕망의 주체로의 성숙을 촉구하는 요청이며 인간 주체성의 환원할 수 없는 본원적 정서다. 라캉은 이러한 맥락에서 데카르트의 의식철학을 뒤집으며 ‘불안, 그것은 우리를 속이지 않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본 논문은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에서의 불안 개념을 출발점으로 삼아 논의를 시작한다. 초기 불안 이론에서 후기 불안 이론으로의 변화 과정을 추적하면서, 프로이트가 남긴 미해결의 문제를 다시 붙잡아 라캉의 불안 이론과 연결시킴으로써 논의를 심화한다. 또한 본 논문은 라캉의 불안 이론과 키에르케고르의 불안 개념을 비교 연구한다. 이를 통해 라캉에게 와서 정신분석학적 전통과 실존철학적 전통이 통합되었음을 보여주며, 정신분석학의 숨어 있는 선구자로서의 키에르케고르의 의의를 조명한다. 또한 본 논문은 심리 치료 사례 연구를 통해 실천적 과정으로서의 정신분석학ㆍ철학의 불안 개념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밝힌다.

      • KCI등재

        중년 여성의 발달 트라우마를 회복하는 영적 글쓰기 교육

        고수진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2022 신학논단 Vol.108 No.-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to help middle aged women, who can overcome their anxiety. In this society, called the era of new anxiety, many people are suffering from “anxiety disorder.” This is because social anxiety and personal anxiety occur simultaneously. The entire generation, not only for a specific age group, experiences anxiety, but even for adults, they are immature in dealing with it. The middle of adulthood can be said to be the time when anxiety appears. Developmental anxiety that appears in middle age, that is, anxiety about aging and death, causes existential anxiety. Moreover, changes in family relations in middle age and rapidly changing societies, especially fendemics, can cause “pan-anxiety disorders” by deepening social anxiety. Karl Gustaf Jung suggests that while it is disturbing because the opposite aspect of personality emerges in middle age, it is possible to move toward a complete personality when integrating the unconscious shadows of individuals and society. James Lauder, on the other hand, saw Jung’s proposal as religious, but not theological, and only self-transformation through Christ’s intervention was a theological interpretation. However, he agreed that middle age, when the existential anxiety of aging and death emerges, is a time when religious and spiritual education is needed more than ever. Unconscious anxiety in middle age emerges through trauma. Therefore, if you reflect on the trauma that appears through physical signs and emotional upheaval, you can face individuals, families, and social and cultural shadows. This study proposes spiritual writing by integrating trauma with anxiety in middle-aged women and helping self-transformation. The important object relationship in spiritual writing education is Trinity God. And the ultimate purpose is to allow middle-aged women to overcome anxiety, to experience self-transformation and to go forward for whole personality by spiritual writing. This study takes such this issue into account based on literature and empirical researches. Although this study has some weakness, it could encourage study how to develop ability which can control their anxiety, developmental trauma and how to transform their self for middle aged women in their faith. 새로운 불안의 시대라 불리는 현 사회에서 많은 이들이 ‘불안장애’를 겪고 있다. 사회적 불안과 개인의 불안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특정 연령대만이 아닌 전 세대가 불안의 정서를 경험하고 있다. 그리고성인이라 할지라도 불안을 다루는 데는 미숙하기 그지없다. 성인중기는불안이 출현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중년기에 출현하는 발달적 불안 곧노화와 죽음에 대한 불안은 실존적 불안을 유발한다. 더욱이 중년기의 가족 관계 변화와 급변하는 사회, 특히 펜데믹 현상은 사회적 불안을 심화시킴으로 ‘범불안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칼 구스타프 융(Karl Gustaff Jung) 은 중년기에는 인격의 대극적 측면이 출현하기 때문에 불안하지만, 개인과 사회의 무의식적 그림자를 통합할 때 온전한 인격을 향해 나아갈 수 있다고 제안한다. 반면 제임스 로더(James Loder)는 융의 제안이 종교적이지만, 신학적이지 않다고 비판하면서 오직 그리스도의 중재를 통한 자아변형이 신학적 해석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노화와 죽음의 실존적 불안이 출현하는 중년기가 그 어느 때 보다 종교적, 영적 교육이 필요한 시기라는 데 동의한다. 본 연구는 중년기의 불안이 트라우마(trauma)를 통하여출현한다고 해석하였다. 따라서 신체적 징후, 감정적 격변을 통하여 출현하는 트라우마를 성찰한다면 개인과 가족, 사회・문화적 그림자를 직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불안이 내재된 트라우마를 통합하고, 자아변형을 돕는 교육으로 영적인 글쓰기를 제안하고 싶다. 영적 글쓰기 교육에서 중요한 대상관계는 삼위일체 하나님이다. 그리고 궁극적 목적은 중년 여성이 영적인 글쓰기로 불안을 극복하고, 자기변형을 경험하면서 온전성을 회복하게 하는 데 있다

      • KCI등재

        사회불안 유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고통 감내력과 회피대처의 매개효과

        노승혜,조현주 한국상담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9 No.2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anxiety on depression depends on the situations. Also, the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nd avoidance coping strategy between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were investiga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50 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Gyeongbuk area and their answers to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AMOS 22.0. Results indicated that the distress tolerance mediated not only between performance anxiety and avoidance coping but also between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avoidance coping. Also, avoidance coping significantly effect on the depression.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nd avoidance coping between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depression was significant, but the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nd avoidance coping between performance anxiety and depress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ver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불안을 수행 불안과 상호작용 불안으로 세분화하여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사회불안과 우울의 관계에서 고통 감내력과 회피대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북지역 대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수행 불안, 상호작용 불안, 우울, 고통 감내력, 회피대처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수행 불안 및 상호작용 불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고통 감내력과 회피대처의 매개효과를 구조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행 불안, 상호작용 불안, 회피 대처 및 우울은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며, 고통 감내력은 나머지 측정변인들과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고통 감내력은 수행 및 상호작용 불안과 회피대처 사이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피대처가 우울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 불안은 고통 감내력과 회피대처를 매개로 우울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행 불안은 우울에 대한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의 실제 및 추후연구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

        범불안장애환자의 정신생리적 반응

        정상근,황익근,Chung, Sang-Keun,Hwang, Ik-Keun 대한수면의학회 1997 수면·정신생리 Vol.4 No.1

        연구목적 : 범불안 장애환자에서 스트레스작업에 의한 정신 생리적 반응양상이 건강대조군과의 사이에 어떠한 차이가 있고, 정신생리적 반응과 불안평가척도들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 범불안장애환자 23명과 건강군 23명을 대상으로, 기저기전 해밀턴 불안평가척도, 상태-특성불안검사, 기저기직전 스트레스작업직후 검사종료시 주관적 스트레스정도, 기저기와 휴식기 및 두 가지 스트레스작업(암산과 이야기작업) 동안의 정신생리적 측정치들(피부온도, 근전도, 맥박, 피부전도반응)을 평가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1) 근전도는 암산작업 직후 및 이야기작업 직후 휴식기간에, 맥박수준은 암산작업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전체기간에 불안장애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2) 피부온도의 경우 암산작업시 놀람반응, 근전도의 경우 암산작업시 놀람 및 회복반응 모두, 피부전도반응의 경우 암산작업 직후 회복 반응에서 불안장애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적은 변화량을 보였다. 불안장애군내에서 스트레스작업시 피부전도반응만 놀람반응에 비해 회복반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적었다. 3) 기저기전 상태불안점수가 높을수록 이야기작업 직후 휴식기간의 피부전도반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해밀턴 불안평가척도와 특성불안점수가 높을수록 암산과 이야기 작업기간중, 특성불안점수가 높을수록 이야기작업 직후 휴식기간중 피부전도반응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4) 근전도에서 상태불안점수가 높을수록 이야기작업시 회복반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적었다. 피부전도반응에서 해밀턴 불안척도점수가 높을수록 암산작업시 놀람반응이, 이야기작업시 놀람반응이, 상태불안수준이 높을수록 이야기작업시 놀람 반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컸다. Objectives: The psychophysiologic response pattern between healthy subjects and patients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d the relationship among anxiety rating scales and those patterns in patients were examined. Methods: Twenty-three patients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AD) and 23 healthy subjects were evaluated by Hamilton Rating Scale for Anxiety(HRSA) an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before baseline stressful tasks. Subjective Units of Distress were evaluated just before baseline period, immediately after stressful tasks, at the end of the entire procedure, and psychophysiologic measures, i.e., skin temperature(ST), electromyographic activity(EMG), heart rate(HR), electrodermal response(EDR) during baseline & rest and during two psychologically stressful tasks (mental arithmetic, TM; talk about a stressful event, TT) were also evaluated. Results: 1) AD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EMG level during rest after stressful tasks and higher HR level during all period except TM compared to control group. 2) AD group showed lower change in the startle response(SR) of ST, in the SR & the recovery response(RR) of EMG during TM, and in the RR of EDR immediately after TM than control group. AD group showed that the RR of EDR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SR during stressful tasks. 3) We found that there was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tate anxiety and the RR of EDR after TT in AD group. We also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HRSA score and the SRs of EDR during stressful tasks, and between state anxiety and the SR of EDR during TT.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patients with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how higher autonomic arousal than healthy subjects and decreased physiologic flexibility or reduced autonomic flexibility.

      • KCI등재

        현존재의 실존과 불안의 두 얼굴: 잠복한 불안

        권순홍(Kwon, Soon-Hong)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6 No.2

        불안은 현존재에게 본래성의 가능성과 비본래성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그렇다면 불안은 두 얼굴이어야 한다. 현존재에게 본래성의 가능성을 제공하는 불안이 비본래성의 가능성마저 제공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물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현존재에게 본래성의 가능성을 제공하는 불안이 근원적 불안이라면, 그를 비본래성의 가능성으로 흐르도록 유인하는 불안은 잠복한 불안이다. 이 글에서는 우선 잠복한 불안의 실존론적 실상을 밝히는 한편 그 불안이 어떻게 현존재를 비본래성의 가능성으로 빠뜨리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잠복한 불안은 부단성, 은밀성 및 일상적 동행성의 특징을 보인다. 이 세 가지 특징에서 볼 때, 잠복한 불안은 현존재를 그가 언제 어디에서 일상적으로 무엇을 하든지 간에 쉬지 않고 부단히 따라다니면서 본래성의 가능성으로 가도록 압박한다. 그것도 그의 귀에 대고 속삭이듯이 은밀히 압박한다. 그 불안의 끊임없는 은근한 압박에 지친 나머지 현존재는 만사형통에 대한 기대 속에서 세인에 대한 환상을 스스로 그리면서 세인의 품으로 퇴락하고 싶은 유혹을 스스로 느낀다. 그 불안의 끈질긴 위협에 시달린 끝에 결국 현존재는 그 환상과 유혹을 빌미로 해서 세인의 공공성으로 귀순한다. 세인은 귀순한 현존재를 존재면책의 선물을 안기면서까지 환대한다. 세인은 현존재를 공공성으로 끌어들이기 위해서 구태여 거친 남성적 권력을 행사하지 않는다. 세인은 부드러운 여성적 권력답게 공공적 세계의 문을 활짝 열어놓은 채 존재면책의 선물을 들고 제 발로 귀순하기를 기다릴 뿐이다. 현존재가 비본래성의 가능성으로 흘러가는 것은, 그가 잠복한 불안의 위협에 대한 실존적 반발로 세인에 대한 환상과 유혹을 그리면서 스스로 세인의 공공적 세계로 귀순하는 까닭이다. The anxiety has two faces in that it presents the two possibilities of authenticity and inauthenticity to There-being. The anxiety, which presents the possibility of inauthenticity to him, can be called the latent anxiety. But, insofar as the anxiety leads him to the possibility of authenticity, it can be called the original anxiety. This treatise aims at elucidating the reason why the latent anxiety must drive There-being to the possibility of inauthenticity through the existential analysis of its ontological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The latent anxiety has three characteristics, namely, the constancy, the implicitness and the everyday concomitance. Taking these characteristics into account, it must threaten incessantly There-being into grasping the possibility of authenticity by whispering to him to approach it. But, on the contrary, he reacts against the constant, implicit threat of the latent anxiety. His existentiell reaction results in the illusion of the One and the temptation of the falling. At last, he defects to the public world of the One by not resolutely erasing the illusion and the temptation brought up in his existentiell reaction against the constant threat of the latent anxiety. The One warmly welcomes the defector to the public world, even giving the gift of the immunity from responsibility of being to him. The power of the One is not masculine but feminal. The One is softly waiting for There-being, who is constantly anxious about the groundless fact of existence, to defect to the open publicness of the One, instead of forcing him to defect. It is because There-being voluntarily defects to the public world of the One by reacting against the constant threat of the latent anxiety that he must be driven to the possibility of inauthenticity.

      • KCI등재

        불안과 연극성이 표현된 회화 연구

        정미정(Jung, Mi-Jung),조기주(Cho, Khee-Joo) 동서미술문화학회 2016 미술문화연구 Vol.8 No.8

        본 연구는 불안이 일상의 구조와 연관되어 있음으로부터 시작하고자 한다. 불안에 대한 문제의식은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불안이 아직 일어나지 않은 막연한 망상, 허상과 같은 공포증이 아니라 일상의 현실로부터 그리고 타자와의 관계로부터 발생한다는 것에 주목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불안의 상황은 위기에 빠져있는 연극하는 자아를 작품을 통해 원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한다는 점을 밝히고자 했다. 이는 하이데거가 일상의 평균성 안에서 불안을 감지하는 것이 곧, 본래적 자기를 찾을 수 있는 최적의 상태-빠져있음의 상황으로 언급한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또한 사르트르의 관점에서 불안이나 부끄러움은 타자의 시선속에서 발견되는데, 나의 세계를 훔쳐가는 존재인 타자의 등장과 함께 불안을 감지하며, 이것이 나를 원상태로 되돌릴 수 있는 반성의 계기를 마련해 준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불안의 성격을 토대로 회화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표현되는지와 불안과 연극성의 상관성을 연구했다. 이와 같은 특성과 함께 본 연구는 적극적인 현실 개입이라는 문제와 관련하여 자신의 존재를 잃지 않으면서 적극적으로 현실 안에 개입하거나 현실을 생성시키고 있는 작가 중 호크니의 작품세계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데이비드 호크니는 자신의 정체성과 관련한 불안을 작품으로 분석하듯이 현실을 묘사하고 있다는 점과 회화는 연극이라 언급하며 현실에 연출을 더하는 재현 방식과 함께 회화를 연극의 무대처럼 인식하는 구조를 제공했음을 알 수 있었다. 불안, 연극성과 호크니의 작품세계 연구는 현실의 결핍이나 불안이 작가에게 현실을 분석하고자하는 태도를 부여하며, 이는 이미지의 서사성이나 구상성으로 표현된다는 관련성을 찾아낼 수 있었고, 이러한 과정은 타자와 공존하는 일상에서 존재기분으로서 불안이 어떠한 예술적 표현방식으로 드러나는지 보여주었다. 이는 기분이나 감정에 대한 표현 방식에 관해 새로운 지향점을 보여주었으며, 앞으로 존재론적 불안, 즉 감정표현의 더 다양한 표현 방식의 연구에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starts from a hypothesis that anxiety is closely related to the structure of daily life. It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issue related to anxiety is not from fear caused by delusional thoughts or illusion that would not happen, but from daily life and the relation with others. Such state of anxiety could go back to normal through an artwork as it could be the momentum. This goes hand in hand with Heidegger"s argument that sensing anxiety in daily life is the perfect condition to a search for one"s self. Furthermore, in Sartre"s view, anxiety and shame are discovered through others" eyes; the very presence of others, who takes away one"s own world, leads to the state of anxiety. This gives one a chance to reflect oneself and provides momentum to go back to the non-anxiety state. Based on this characteristic of anxiety, this research looks at how the relation between anxiety and histrionics is expressed in paintings. In relation to the matter of intervention of reality, David Hockney"s paintings are chosen for the research for they actively involve in reality or create one without losing identity. He illustrates reality as if he is analyzing his anxiety related to his identity. His comments that paintings are like theater are well depicted in his pieces where he adds dramatic aspects along with structure as if the frame of the painting is the performing stage. The study on anxiety and histrionics in Hockney"s paintings enables to find a connection between deficiency and anxiety in reality; that anxiety inspired the painter to analyze the reality, which in turn made him express images in narrativity and concreteness. The study also shows that how anxiety as one of the emotions of daily life could be expressed artistically. Overall, the study suggests the new directional point in terms of expressing emotions or feelings in the perspective of art and has the potential to contribute diversified expressive methods of emotions, such as existential anxiety.

      • KCI등재후보

        불안과 일상성: 마르틴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불안관을 중심으로

        김완종 한국기독교철학회 2022 기독교철학 Vol.33 No.-

        논자는 본 글에서 그리스도교의 불안의 의미를 확립하기 전에 철학에서 특히 현대철학의 거장 마르틴 하이데거의 작품에 나타난 불안(angst)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고찰한다. 또한 이러한 불안의 개념을 통해 그가 주장하려고 했던 바가 무엇인지를 평균적 일상성(durchschnittliche Alltäglichkeit) 속에 빠져 있는 그들-자아(das Man-selbst)로부터 본래적 자기(eigentlichen Selbst)로 이행하는 실존하는 인간 현존재의 탈근대적인 본래적 자기성을 탈은폐하는 것에 근거하여 주장한다. 이러한 불안은 하이데거를 따라 단순한 심리적 범주의 불안이 아니라 불안의 기능과 역할을 통해 존재론적 불안이라는 것을 모색하여 불안의 긍정성을 주장해 볼 것이다. 논자는 현존재의 비본래적 그들-자아로부터 현존재의 본래적 자기로라는 사태를 드러내는 불안인 본래적 불안과 학문의 토대와 그 학문의 토대를 숙고하는 인간 현존재의 자기성이라는 사태를 드러내는 본질적(wesenhafte) 불안 혹은 근원적(ursprüngliche) 불안을 구별하지 않고 불안이 인간 현존재의 자기성이라는 사태 전체를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동일한 것으로 주장하며 하이데거의 불안을 탐구한다. 불안은 공공성(Öffentlichkeit) 속에 빠져 있는 그들-자아를 개별화 시키어 현존재의 자기성인 존재가능(Seinkönnen)이나 탈존적(ekstatische) 존재가능을 열어밝혀준다. 즉, 불안이 일상 속에 매몰되어 자기상실을 한 채 편안함(das Zuhause)을 추구하는 인간 현존재에게 가장 고유한 존재가능으로 향한 존재를 드러내준다. 그들-자아는 안정되고 편안한 평균적 일상성을 원한다. 불안은 일상인들에게 섬뜩함(집과 같지 않음, unheimlichkeit)과 불편함이다. 이런 이유로 일상성 속에 살아가는 그들-자아는 편안하지 않은 불안을 회피한다. 불안은 일상성 속에 빠져있음(Verfallen)에서 돌아서게 하며 일상적 친숙함을 무너뜨린다. 그래서 불안을 수용하려는 담대함(Tapferkeit)과 불안에 대한 용기가 절실하다. 집과 같지 않은 상태, 마음이 불편하고 편치 않은 상태와 같은 불안은 그 이유와 대상이 규정되어 있지 않은 무이다. 무엇 때문에 무슨 이유인지 모르는 불안이 엄습한다. 그들-자아는 평균적 일상성 속에서 살아가는 모두가 그들이기 때문에 본래적 자기를 상실한 채 살아간다. 그들-자아에서 본래적 자기로의 이행이 필요하다. 이러한 본래적 자기가 근대적 의미의 인간상은 아니다. 이 본래적 자기로의 이행은 또 다시 근대적 주체로 회귀한 것 같지만 무세계적인 고립된 자아, 이성적 동물, 표상적 자아, 사유하는 자아 등으로 규정되거나 경계를 정할 수 있는 자아가 아니라 무규정적이며 끊임없이 자신의 존재가능을 성취해 나가는 단독적 자기(solus ipse)나 탈자적 자기(ecstatic self)이다. 자신이 주인이 되어 모든 것을 표상화시키는 표상적 자아나 모든 것을 자아 속으로 환원시키는 유아론(solipsism)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인간이 표상화를 통해 모든 것을 자신의 발아래 놓고 자신뿐만 아니라 자연과 세계 모두를 굴복시키는 근대적인 인간상을 비판한다. 이런 점에서 본래적 자기는 탈근대적이다. 인간은 불안하다. 그러므로 존재한다. 섬뜩한 불안은 일상성을 무너뜨려 그들-자아에서 현존재의 본래적 자기를 탈은폐한다. 불안은 긍정이다. In this paper, I claim that what Heidegger intends to say with Angst(anxiety) through his works based on disclosedness of trans-modern authentic self of existing human Dasein that has to transit from the They-self that is falling in the average everydayness to authentic Selfhood. I examine this angst is not psychological angst but ontological angst in terms of functions and roles of angst. I argue that both authentic angst and primordial angst are the same in terms of unconcealment of human Dasein’s selfhood without distinguishing authentic angst, which discloses transition from inauthentic the they-self to authentic selfhood and primordial angst, which discloses ground of science and human Dasein’s selfhood that is reflecting that of science. Angst individualizes the they-self who is falling in publicity and discloses potentiality-of-Being or ecstatic possibility-to-be of authentic selfhood of Dasein. That is to say, Angst reveals Being toward ownmost potentiality-of-Being for human Dasein who pursues the Being-at-home(das Zuhause) with human Dasein falling in everyday life. They-self wants to desire stable, comfortable and average everydayness. Angst is unheimlichkeit(the not-Being-at home) or uncomfortability to beings in the world. For this reason, They-self try to avoid this state of angst. Angst effects a break with the busy work and activity of everyday existence in which it is absorbed. This is why we should have a courage of angst. Angst like the not-Being-at home, the state of being uncanny is cannot be defined by object( wobor, in the face of something) and reason(worum, about something) of it-in other words it is Nothing(Nichts) because it suddenly appeared without reasons and object of it. That is, Angst is impossibility of determinateness of it. They-self lives without being authentic selfhood because she or he lives in such a way that no one is himself, everyone is the other. Thus, They-self has always been the They who lives in the average everydayness and yet They-self is has been no one. For this reason They-self needs transition from They-self to authentic selfhood. But this authentic self is distinguished from modern subjective self. The transition to authentic self seems to be return to modern subjectivity, but this authentic self is not isolated ego, rational animal, subjective self, representational self, and self who is thinking, but rather undefined, unfixed solus ipse or ecstatic self who continues to fulfill potentiality-to-be. That is, this self does not mean representational self that represents objects as a whole and solipsism that reduces everything to self. In this sense, authentic self is trans(post)-self. According to Heidegger we criticizes modern self, who becomes self gathered together(Ge-stell) and gathers together unlimitedly through standing over and against as object(Ver-gegen-ständlichung) which masters. Human beings are anxious therefore they exist. Angst like being uncanny disturbs everyday life and discloses authentic self of human Dasein. Angst is affi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