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학불안요인과 극복방안에 관한 연구

        이재웅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21세기의 사회에서는 수학적 지식이 과학과 기술 분야뿐만 아니라 인문과학 및 음악, 미술 또 일상생활에 이르기까지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날이 갈수록 발달하는 정보화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서 수학은 단편적인 기술 연마가 아닌 다양한 지식을 종합하여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문제 해결력과 자신의 사고를 정확히 전달하고 타인의 사고를 합리적으로 비판할 줄 아는 의사 소통력, 논리적인 추론력 등 수학적인 힘이 더욱 요구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오늘날의 학교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절실해 지고 있으나 현실의 학교에서는 무엇보다도 경쟁사회에서의 우수한 전인격적인 현대인으로 키워내는 역할을 담당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어 학생의 학업 성취력의 향상과 수학 능력의 신장에 주력해야 하는 피할 수 없는 입장에 처해져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학교에서의 교육은 전인교육의 장으로서 보다는 입시대비를 위한 교육이 가장 큰 목표처럼 여겨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에 따라 저학년에서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부담감이 커져서 수학적 즐거움이라는 것을 경험하기 전에 자신의 수학점수에 신경을 쓰게 되고 해당과목에 흥미를 느끼면서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책임과 의무에서 학습량을 늘리게 되어 수학에 대한 부정적이고 기피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학에 대한 두려움과 거부감을 수반하여 수학성취뿐만 아니라 직업선택에 있어서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수학에 대한 기피현상과 부진한 수학 성취도를 설명하는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수학 불안이다. 이처럼 수학불안을 극복하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현재도 수학불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적절한 처치 방법의 개발이라는 필요 때문에 수학불안 연구의 필요성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연구되어 온 많은 선행 연구들을 종합 분석해 보고, 실제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이 느끼는 수학불안과 그 요인을 분석, 파악하여 수학 학습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한다. 더 나아가 학생들이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바람직한 자세를 지니게 하고 수학 학습효과를 높이며 아울러 학생 스스로 수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지닐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고등학생의 시험불안과 자아존중감 및 부모 양육태도의 관계

        최미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study tries to assess the relative factors such as self-esteem, types of parents, grade or sex which may influence a students susceptibility to Test Anxiety. Three basic premise were proposed; 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est-anxiety and self-esteem of students?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est-anxiety and types of parenting?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of students and types of parenting? The study was carried out at a highschool located at the Anyang City, Kyonggi-Do Dostrict. A total of 300 students were used for the Test. One hundred and fifty(150) 1st year students comprising equal numbers of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A further one hundred and fifty students from the third year comprising both male and female were also studied. Among 300 samples 273 were taken into a final analysis. Initially,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to determine factors relating to the individual students, their parents, their self-esteem and reaction to tests in general. It was decided to put self-esteem and parenting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est anxiety as a dependent variable. Analysis showed that an Authoritarian father greatly influences test anxiety.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overcome test anxiety is the students self-esteem in the school. Students whose parents were either authoritative or permissive had the least influence. There was no difference shown between mothers or fathers parenting style. Generally, a mothers parenting style has less influence than the fathers. Economic factor, educational attainment and occupation of parents only marginally affected test anxiety. For students who may suffer test anx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counselling such students. One can analyse the basic factor causing test anxiety and point the way to develop self-esteem, especially in the school.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이 경험하는 시험불안에 대한 연구로서 학생개인의 심리적 요인으로 자아존중감과 가정 환경적 요인으로 부모양육태도가 이들의 시험불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지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시험불안과 학생의 자아존중감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2. 시험불안과 부모양육태도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3.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부모양육태도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연구 대상은 경기도 안양시 소재 인문계고등학교 1, 3학년 남, 여학생으로 각150명의 설문을 실시하고 그 중에서 273명의 결과를 사용하였다. 학생들을 통하여 부모의 사회경제적 특성분포를 측정하였다. 측정도구는 학생 개인과 부모의 정보를 알아보기 위한 문항들과 시험불안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부모양육태도 척도들이 사용되었으며, 시험불안과 학생의 자아존중감 유형, 부모의 양육태도와의 관계, 자아존중감과 부모양육태도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시험불안에 대하여 학생의 학년별, 성별, 및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 등이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시험불안과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유형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서 척도를 통한 자아존중감 점수를 상.중.하집단으로 나누어 상집단과 하집단의 시험불안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으로 자아존중감과 시험불안은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자아존중감 하위영역 중에서 시험불안과 관계에서 통계가 가장 유의미한 것은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 총체적 자아존중감의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 총체적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시험불안이 낮게 나타났다. 시험불안과 부모양육태도의 관계에서 부모양육태도와 시험불안의 상관관계 분석결과와 부모양육태도와 시험불안의 회귀분석 결과에서 부모양육형태가 권위주의형일 때 시험불안이 높게 나타났으며, 민주형과 허용형 양육형태의 경우는 시험불안이 낮게 나타나는 아버지, 어머니의 경우 모두 같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은 아버지의 양육태도보다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자아존중감과 부모양육태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의해서 t-검증을 실시한 결과에서 아버지, 어머니 모두의 양육태도가 민주적 양육형태 일 때 학생 개인의 자아존중감의 네 하위영역이 모두 높게 나타났고, 권위주의적 양육형태에서는 자아존중감이 낮게 나타났다. 권위주의적 양육형태의 부모 하에서 성장하여 자아존중감이 낮은 학생일수록 시험불안이 높게 나타나고, 민주적 양육형태의 부모 하에서 성장하여 학교에서의 자아존중감과 총체적 자아존중감이 높은 학생의 경우 시험불안이 낮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시험불안과 학생들의 학년과 성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t-검증을 실시한 결과 3학년이 1학년보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아주 적은 차로 시험불안이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결과는 아니었다. 부모요인으로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시험불안의 관계에서는 부모학력에 따른 자녀 시험불안의 집단별 차이검증, 부모직업에 따른 자녀 시험불안의 집단별 차이검증 결과 부모 학력별, 직업군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유의미한 결과는 아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시험불안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부모양육태도 유형의 차이를 분석하여 제시함으로써 시험 불안을 겪고 있는 학생 상담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갑상선암 수술환자의 스트레스, 불안, 우울과 삶의 질 관계

        진정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갑상선암 수술환자의 스트레스, 불안, 우울 정도를 파악하고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횡단적 연구이다. 2012년 4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서울시 소재 3차 종합병원에서 갑상선엽 절제 수술을 받은 갑상선암 환자 182명을 대상으로 수술관련 스트레스, 불안, 우울, 삶의 질 점수를 측정하는 우편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AS 9.4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chi-square 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통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교육수준(p=0.025), 종교(p=0.035), 직업경험에서 남녀 그룹 간 유의한 빈도차이가 나타났다(p<0.001). 2) 연구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을 살펴본 결과 저칼슘혈증(p=0.014), 의사에게 과거 질병진단 여부에서 남녀 그룹 간 유의한 빈도차이가 나타났다(p=0.003). 3) 연구 대상자의 건강행태 특성을 살펴본 결과 흡연 여부(5갑 이상) 변수에서 “전혀 안함”이라고 응답한 남자 그룹(N=15. 38.46%), 여자 그룹(N=140. 97.9%)간 유의한 빈도차이가 나타났다(p<0.001). 음주 여부 변수에서 남자 그룹은 “현재 음주”(N=32. 82.05%), 여자 그룹은 “마신 적 없다”(N=77. 53.85%)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두 그룹 간 유의한 빈도차이가 나타났다(p<0.001). 4) 갑상선암 수술환자의 스트레스는 불안과 약한 양의 상관관계(r=0.436, p<0.001), 우울과 강한 양의 상관관계(r=0.591, p<0.001), 삶의 질과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548, p<0.001). 불안은 우울과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0.558, p<0.001), 삶의 질과 약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0.453, p<0.001). 우울은 삶의 질과 강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0.712, p<0.001). 스트레스 하부 요인에서 가족, 역할 관련 요인은 1위(r=-0.514, p<0.001), 정신적 변화 관련 하부 요인은 2위(r=-0.512, p<0.001), 신체적 변화 관련은 3위(r=-0.490, p<0.001)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5) 남자 그룹에서 스트레스 하부요인 “신체적 변화 관련”(t=-4.49, p<0.001), “정신적 변화 관련”(t=-3.96, p<0.001), “검사·수술·치료 관련”(t=-2.26, p=0.024), “부작용·재발 관련”(t=-4.81, p<0.001), “식이제한·약물복용 관련”(t=-2.11, p=0.035), “경제적 관련”(t=-2.69, p=0.011), “학교·직장 관련”(t=-4.44, p<0.001), “가족·역할 관련”에 따른 삶의 질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3.87, p<0.001). 여자 그룹에서 스트레스 하부요인 “신체적 변화 관련”(t=-4.13, p<0.001), “정신적 변화 관련”(t=-5.19, p<0.001), “선택 관련”(t=-2.02, p=0.043), “검사·수술·치료 관련”(t=-3.91, p<0.001), “부작용·재발 관련”(t=-4.47, p<0.001), “식이제한·약물복용 관련”(t=-2.11, p=0.035), “진료절차, 병원 내부환경 관련”(t=-2.21, p=0.027), “성적 요인”(t=-3.57 p<0.001), “경제적 관련”(t=-3.19, p=0.001), “학교·직장 관련”(t=-2.86, p=0.004), “가족·역할 관련”에 따른 삶의 질 수준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5.52, p<0.001). 6) 남자 그룹에서 불안 하부요인 “기질 불안 관련”(t=-2.97, p=0.003), “상태 불안 관련”(t=-2.13, p=0.034), “기질-상태 불안 점수의 합”에 따른 삶의 질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2.74, p=0.006). 여자 그룹에서 불안 하부요인 “기질 불안 관련”(t=-5.27, p<0.0001), “상태 불안 관련”(t=-1.9, p=0.058), “기질-상태 불안 점수의 합”(t=-3.69, p=0.0001)에 따른 삶의 질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7) 남자 그룹에서 우울 평균 관련(t=-4.55, p<0.001), 스트레스, 불안, 우울 점수의 합에 따른 삶의 질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4.51, p<0.001). 여자 그룹에서 우울 평균 관련(t=-7.51, p<0.001), 스트레스, 불안, 우울 점수의 합에 따른 삶의 질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6.21, p<0.001). 8) 여자 그룹에서 결혼에 따라 삶의 질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0). 9) 남자 그룹에서 갑상선 외 침범(p=0.041), 여자 그룹에서 재발에 따라 삶의 질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2). 10) 여자 그룹에서 BMI(p=0.028), 남자 그룹에서 음주에 따라 삶의 질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42). 11) 스트레스, 불안, 우울을 독립 변수로 포함하여 삶의 질 수준에 대한 회귀분석 시행 결과 삶의 질에 대한 중요한 변수는 스트레스(β=-0.624)와 우울(β=-2.550) 변수가 갑상선암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규명되었으며, 전체 모형의 설명력은 56.3%이다(adjusted R2=0.563, p<0.001). 본 연구의 의의는 갑상선암 수술환자의 스트레스, 불안, 우울 정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 환자의 삶의 질과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이다. 아울러 중재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인구사회학적 특성, 질병 관련 특성, 건강행태 관련 특성을 고려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등 여러 측면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갑상선암 환자의 수술 후 삶의 질을 장기간에 걸쳐 고찰하는 반복 연구와 종단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study of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on thyroid cancer patients after surgery and it investigates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QoL). We conducted a post questionnaire measuring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related to thyroid surgery targeted at 182 people who had undergone a thyroidectomy in the 3rd degree at a general hospital in Seoul from April, 2012 to October, 2014.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chi-square 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AS 9.4 for Window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features) of targeting group in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frequency in the area of education level(p=0.025), religion(p=0.035) and job experience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p<0.001). 2)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of the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of targeting group in the study, a substantial difference in hypocalcemia(p=0.014) and past medical history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were observed(p=0.003). 3)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health behaviors-related characteristics in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frequency in "never smoking" of smoking history(5packs and more) variables between male(N=15. 38.46%) and female(N=140. 97.9%) groups(p<0.001). About drinking, the more prevalent group is "drinking group"(N=32. 82.05%) in male whereas "non-drinking group"(N=77. 53.85%) in femal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frequency between them(p<0.001). 4) The stress of the thyroid cancer patients in relation with operations showed a weak positive interrelation with respect to anxiety(r=0.436, p<0.001), a strong positive interrelation with respect to depression(r=-0.591, p<0.001) and a strong negative interrelation with respect to QoL(r=0.558, p<0.001). Anxiety showed a strong positive interrelation with depression(r=-0.453, p<0.001). Depression showed a strong negative interrelation with QoL(r=-0.712, p<0.001). In terms of stress sub-factors, the factors related to family, role(r=-0.514, p<0.001) showed the greatest amount of negative interrelation, those related to mental change(r=-0.512, p<0.001) showed the second most highest interrelation and those related to physical change were the third in relation to negative interrelation(r=-0.490, p<0.001) 5) In male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QoL due to stress sub-factors related to "physical changes"(t=-4.49, p<0.001), "mental change"(t=-3.96, p<0.001), "exam, operation, treatment"(t=-2.26, p=0.024), "side effect, recurrence"(t=-4.81, p<0.001), "restricted diet, medication"(t=-2.11, p=0.035), "finance"(t=-2.69, p=0.011), "school, company"(t=-4.44, p<0.001) and "family, roles"(t=-3.87, p<0.001). In female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QoL due to stress sub-factors related to "physical changes"(t=-4.13, p<0.001), "mental change"(t=-5.19, p<0.001), "selection"(t=-2.02, p=0.043), "exam, operation, treatment"(t=-3.91, p<0.001), "side effect, recurrence"(t=-4.47, p<0.001), "restricted diet, medication"(t=-2.11, p=0.035), "medical procedures and hospital environment"(t=-2.21, p=0.027), "sex"(t=-3.57 p<0.001), "finance"(t=-3.19, p=0.001), "school, company"(t=-2.86, p=0.004) and "family, roles"(t=-5.52, p<0.001). 6) In male group, a significant difference in QoL level was observed in terms of anxiety sub-factors related to "trait anxiety"(t=-2.97, p=0.003), "state anxiety"(t=-2.13, p=0.034) and "total anxiety score"(t=-2.74, p=0.006). In female group, a significant difference in QoL level was observed in terms of anxiety sub-factors related to "trait anxiety"(t=-5.27, p<0.0001), "state anxiety"(t=-1.9, p=0.058) and "total anxiety score"(t=-3.69, p=0.0001). 7) In male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QoL due to "mean score of depression"(t=4.55, p<0.001) and "summed sore of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t=-4.51, p<0.001). In female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QoL due to "mean score of depression"(t=-7.51, p<0.001) and "summed sore of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t=-4.51, p<0.001). 8) In female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QoL due to marital state(p=0.010). 9)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QoL due to extra-thyroidal invasion in male(p=0.041), and recurrence in female(p=0.002). 10) A significant difference in QoL level was observed in terms of BMI of female group(p=0.028), and drinking habits of male group(p=0.042). 11) The regression analysis of QoL level including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showed that, as the important variables in relation to QoL, stress(β=-0.624) and depression(β=-2.550) had an effect on QoL(adjusted R2=0.563, p<0.001). The explanation is the model which is 56.3%.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lay the groundwork for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by analyzing the affecting factors of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in thyroidectomy patients, and investigating the relation with Qol. In addition,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we need to consider the various aspects such as physical, mental and social aspects considering a demographic, disease-related and health behaviors-related characteristics in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Based on this study, I suggest repeat and longitudinal study of thyroidectomy patient's QoL over the long term.

      • 학부모의 교육열이 자녀의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권영숙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배경변인에 따라 학부모 교육열과 자녀의 시험불안이 어떻게 다르며, 학부모의 사교육에 투자하는 비용과 시간, 심리적 지원으로 정의되는 교육열이 자녀의 시험불안(test anxiety)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기하였다. 첫째, 학부모들의 교육열은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자녀들의 시험불안은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학부모들의 교육열은 자녀들의 시험불안과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을 고려하여(대도시, 중소도시, 농촌) 6학년 학생, 학부모 각각 5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531명의 표집대상 중 442명의 설문이 수거되었으나 315명만이 유효한 설문지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χ2, t검증과 F검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F 검증 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집단 간의 차이 규명을 위해 Scheffe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연구 문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의 배경변인에 따라 학부모의 교육열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거주 지역이 대도시일수록 교육열이 높았으며, 부학력이 높을수록 자녀에 대한 심리적, 경제적지원이 높았다. 또한 월소득이 높을수록 자녀에 대한 경제적 지원이 높고, 사교육에 투자하는 시간이 길었다. 자녀의 성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어 남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들이 여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들보다 교육열이 전반적으로 높았다.둘째, 자녀들의 시험불안 수준은 5점 만점에 2.81로 높지 않았다. 이를 학부모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살펴보면 거주지역과 성별, 부연령, 모연령, 월평균소득 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대도시에 거주할수록 불안수준이 높고, 아버지 연령이 40대인 학생이 시험불안 수준이 높았으며 학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월소득이 많을수록 불안수준이 높았다. 하위범주인 정서불안은 걱정불안에 비해 크게 높게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부모의 교육열과 자녀의 시험불안과의 관계 연구는 학부모의 심리적 지원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의 시험불안은 높아졌다. 시험불안의 하위범주인 걱정불안과 학부모의 교육열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하위범주인 정서불안과 학부모의 교육열은 통계적으로 유의하나 상관계수가 너무 낮아 실제적 상관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시간이나 경제적 지원은 시험불안과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parents' zeal for education and test anxiety for their children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as well as how the time and money spent by parents on private education and parents' enthusiasm for education defining as a psychological support have effects on test anxiety for their children.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issues are raised: First, is parents' zeal for education different per its background variables? Second, is children's test anxiety different depending on its background variables? Third, does parents' enthusiasm for education have anything to do with their child's test anxiety? To resolve above issues, the study targeted 531 of 6th grade students and their parents from 5 classes in big cities, 5 in small-to-mid cities and 4 in rural areas, to take into account different regions (small, medium an big cities, and rural areas). Out of 531 sampling targets, 442 surveys were collected, but only 315 were valid. Reliability to measure parents' psychological support for education and test anxiety was Cronbach' α(.76) and Cronbach' α(.91), respectively. Chi-square test, t test, F 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analyze the data. If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F test, Scheffe posterior test was performed to account for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zeal for education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In other words, parents living in large cities showed bigger enthusiasm for education, and richer and more well-educated parents gave greater financial and psychological support to their children. Moreover, higher monthly income was translated into more financial support to their children and longer time for private education. Children's gender also played a significant role: Parents of male students was proven to have bigger enthusiasm than those of female students. Second, children's level of test anxiety scored 2.81 in the scale of 5. Anxiety level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parents' background variables: Residential area, gender, father's/mother's age and monthly income. Namely, if the residential area is a big city, their level of test anxiety was high. Students whose fathers were in their 40s possessed bigger anxiety than others, and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greater monthly income of parents also were factors boosting test anxiety for their child. Emotional instability, a low category, was not much higher than anxiety. Third, the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zeal for education and children's test anxiety revealed that parents' higher psychological support raised their child's anxiety level. Though there was a statistical 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emotional instability and parents' enthusiasm for educa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too low to produce any actual relation. Time of private tutoring and financial support appeared to have no influence on test anxiety.

      • 발표불안 감소를 위한 소집단 발표훈련 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엄은남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생의 발표불안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소집단 활동을 통한 발표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발표불안과 소집단 활동에 관한 제 이론과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프로그램 개발의 준거를 마련하고, 이에 입각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와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 소집단 활동을 통한 발표훈련을 받은 집단과 훈련을 받지 않은 집단은 발표불안 정도에서 차이를 보일 것인가? 가설 1: 소집단 활동을 통한 발표훈련을 받은 집단과 훈련을 받지 않은 집단은 발표불안 정도에서 차이를 보일 것이다. 가설 2: 소집단 활동을 통한 발표훈련을 받은 집단과 훈련을 받지 않은 집단은 자아평가 불안에서 차이를 보일 것이다. 가설 3: 소집단 활동을 통한 발표훈련을 받은 집단과 훈련을 받지 않은 집단은 사회적 기술에서 차이를 보일 것이다. 가설 4: 소집단 활동을 통한 발표훈련을 받은 집단과 훈련을 받지 않은 집단은 발표불안 증상에서 차이를 보일 것이다. 위와 같은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 6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기본 훈련 프로그램 33회, 주 훈련 프로그램 10회를 약 6주에 걸쳐 실시하였다. 실험처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임만택(1994)이 번안한 발표불안 검사와 양갑렬(1990)이 사용한 발표행동 평정 척도를 초등학교 4학년 수준에 맞게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발표불안 검사를 사용하였다. 사전․사후 검사 후 연구 결과에 대한 통계처리 및 분석은 SPSS /Windows V.11.0을 이용하여 집단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집단 활동을 통한 발표훈련을 받은 집단은 발표불안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를 보여주었다. 즉, 소집단 활동을 통한 발표훈련은 초등학교 아동의 발표불안 감소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소집단 활동을 통한 발표훈련을 받은 집단은 발표불안 하위요소에서 모두 의의 있는 차이를 보여주었다. 자아평가 불안, 사회적 기술, 불안증상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를 보여 주었다. 즉, 소집단 활동을 통한 발표훈련은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평가 불안과 불안 증상의 감소, 사회적 기술의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소집단 활동을 통한 발표훈련이 아동들에게 발표경험을 많이 가지게 하고 발표기술을 익히게 하여 발표불안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발표에 자신감을 가지게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아동들의 발표의욕 부족으로 수업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 현장에서 학급 담임이 반 아동들에게 쉽게 적용하여 그들의 발표불안 누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발표에 어려움을 겪는 아동들에게는 발표행동의 기술을 습득하게 하여 발표불안을 감소시키고, 일선 교사들에게는 발표지도 방법을 제공하여 아동들의 발표의욕을 향상시켜 활발한 자기 주도적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기초를 마련해 줄 수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학년 초 단기간에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 보다 더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장기간에 걸친 지속적인 지도가 될 수 있는 장기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연구 대상자가 서울시에 소재한 한 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 학생들이었으므로 연구결과의 해석을 초등학교 전체 아동으로 일반화하는 데는 제약이 따른다. 또 사전 사후 검사만 실시하였으므로 성숙효과나 그 밖의 실험 외 변인은 통제되지 못했다. 본 논문은 2002년 11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development of speech training with small group to help elementary students decrease their speech anxiety and its effects. For the accomplish of the above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hypotheses were formulated on the basis of theoretical literature and relevant study: 1. The public speech training with small group would make significant difference in speech anxiety between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2. The public speech training with small group would make significant difference in speech anxiety of self-estimation between test and control group. 3. The public speech training with small group would make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skills between test and control group. 4. The public speech training with small group would make significant difference in speech anxiety symptoms between test and control group. This study compared the change in public speech anxiety, and sub factors(the anxiety of self-estimation, the social skills, the speaking anxiety symptoms) between test group students and the control group students, after public speech training with small group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0 4th grade elementary students. The students were assigned to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The public speech training with small group was made for the test group students, but no program was executed for the control group students. For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the public speech anxiety test was executed before and after the public speech training with smal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ublic speech training with small group is effective for the decreasing of the public speech anxiety statistically(t=4.469 p<.01). Second, the public speech training with small group is effective for the decreasing of the anxiety of self-estimation and statistically(t=4.393, p<.01). Third, the public speech training with small group is effective for the decreasing of the speech anxiety symptoms statistically(t=4.476 p<.01). Fourth, the public speech training with small group is effective for the increasing of the social skills statistically(t=3.969 p<.01). In conclusion, the program would make the students have a lot of experience and skills for public speech and help the teachers with difficulties teaching students who have speech anxiety so prevent increasing their speech anxiety in advance. So the training is effective for the decreasing public speech anxiety of elementary students, and the increasing their confidence for public speech.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Education

      • 요양병원 치매환자 가족을 둔 노인과 일반노인의 치매관련 불안, 지식 및 건강증진행위 비교

        박혜정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입원중인 치매환자 가족 노인과 일반노인의 치매 발병 불안, 치매 지식 및 건강증진행위 비교를 통해, 입원중인 치매환자 가족노인의 건강 취약성을 파악 하고자 한 조사 연구이다. 치매환자 가족 노인은 경인지역에서 편의 추출한 일개 치매노인 병원에서 모집한 환자 가족 90명이며, 치매환자가 없는 일반노인은 입원환자 가족 노인과 학력, 성별, 연령 분포를 동일하게 맞추어 노인 복지관과 노인정에서 모집한 90명이었다. 조사에 사용된 도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치매 관련 환경 요인, 치매 발병 불안, 치매 지식, 건강증진행위로 구성된 설문지이다. 불안은 시각적 상사 척도, 치매 지식은 조현오(1999)가 개발한 치매지식 도구, 건강증진행위는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를 이용하였다. 조사는 2010년 10월 20일부터 31일 까지 연구자와 5명의 연구보조원에 의해 수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그룹 간 동질성 비교, 불안, 지식, 건강증진행위의 그룹 간 차이검정과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일반적 특성 범주에 따른 그룹 간 평균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그룹 간 일반적 특성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치매관련 환경 변수는 차이를 보였다. 즉 환자가족 노인보다 일반노인에서 가족, 친구 외 치매환자가 더 많았으며, 치매가 아닌 다른 건강문제에 대한 걱정이 더 많았다. 불안, 지식,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그룹 간 비교에서는 지식이 환자가족 노인에서 일반노인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불안은 환자가족 노인보다 일반노인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건강증진행위는 일반노인이 환자가족 노인 보다 높았다. 불안, 지식, 건강증진행위 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불안과 건강증진행위만 관련성이 있었는데, 환자가족 노인은 양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일반노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부적 관련성을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불안은 일반노인의 경우, 직업이 있는 노인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 본인의 건강상태가 나쁘다고 인지할수록 불안이 높았다. 또한 만성질환을 갖고 있는 노인, 친구 중 치매환자가 있는 노인, 치매에 대해 생각해본 경험이 있는 노인에서 불안이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치매환자 노인의 경우는 치매이외 다른 건강문제에 대한 걱정이 많은 노인에게 불안이 유의하게 높았다. 지식은 일반노인의 경우, 일반적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가 없는데 반해 치매환자 노인의 경우는 다른 건강문제에 대한 걱정이 적을수록 지식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한편, 건강증진행위와 관련해서 일반노인의 경우, 배우자가 있는 노인, 신앙생활을 하는 노인, 월수입이 충분한 노인, 지각된 건강 상태가 좋은 노인, 친구 중 치매환자가 없는 노인의 건강증진행위가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환자가족 노인의 경우는 직업이 있는 노인, 신앙생활을 하는 노인, 가족 친구 이외 치매 걸린 사람이 있는 노인, 다른 건강 문제에 대한 걱정이 있는 노인에서 건강증진행위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일반노인에 비해 치매환자 노인의 경우 치매에 대해 더 잘 알고 불안도 낮으나, 건강증진행위는 매우 취약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치매환자 가족 노인에 대한 관심과 치매 예방과 건강증진의 위험군으로서 이들에 대한 간호학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노인의 불안이 정서인식에 미치는 영향 : 주의 편향을 중심으로 : Focusing on the attentional bias

        정혜윤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Cognitive theories of anxiety disorders have proposed that biased selective information-processing biases of threatening information is a prominent cognitive factor in the causation and maintenance of anxiety. The major goal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of emotional facial expressions and the level of geriatric anxiety and to understand whether bias in emotional information recognition is related to attentional bias. In Study 1, included in facial expressions of happiness, sadness, anger, fear, and neutral emotions, 50 morphed faces were created from a neural expression to a fully emotive expression at 2% intervals. The subjects were asked to indicate the frame in the sequence of pictures showing emotion as well as to identify the illustrated emotion.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threshold for the correct identification of a angry facial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geriatric anxiety tendency as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and that the threshold for the correct identification of a fear facial expression was not quite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in the geriatric anxiety tendency as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In Study 2, a modified version of the probe detection task was used to investigate the time course of attentional bias for facial emotion in geriatric anxiety tendency group and normal group. Facial pairs were presented two exposure durations, 50ms and 1500m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attentional bias in anxiety. Results showed that, in comparison with normal group, geriatric anxiety tendency group was more vigilant for angry facial expression at the shorter exposure duration(50ms). However, the results also indicated significant avoidance of angry facial expression. These results ar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is suggested. 불안을 설명한 인지이론에서는 심리적 위험과 신체적 위협의 내용을 가진 외부 자극에 선택적 편향을 보인다는 점이 불안 증상의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가정한다. 본 연구에서 불안이 높은 노인이 불안이 낮은 노인에 비해 위협적인 정서가를 반영한 분노와 공포 표정을 민감하게 인식하는지 확인하였다. 그리고 얼굴표정에 나타난 정서 유형의 판단 속도와 주의 처리 기제 간의 관계에 관해서 알아보았다. 연구 1은 노인 집단의 불안 수준에 따라 분노와 공포 표정에서 정서인식 편향이 나타나는지를 비교하였다. 고 불안 노인 집단(26명)과 저 불안 노인 집단(26명)을 대상으로 행복, 슬픔, 분노, 공포의 네 가지 기본정서 사진을 활용한 몰핑 기법을 사용한 정서 인식 과제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 간의 정서판단 정반응률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고 불안 노인 집단이 저 불안 노인 집단에 비해 분노 표정의 단서 출현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공포 표정에서도 고 불안 노인 집단의 경우 더 민감한 반응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 2는 불안이 높을수록 특히 부정적 정서반응의 정보처리에 있어 초기에는 주의가 편향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억압하려는 경향을 보인다는 ‘경계-회피’패턴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고 불안 노인 집단의 주의가 자극의 제시시간에 따라 각기 다른 경계-회피 패턴을 보이는지를 검증하였다. 고 불안 노인 집단(20명)과 저 불안 노인 집단(20명)은 50ms 및 1500ms동안 얼굴 자극 쌍을 본 후 두 얼굴 중에서 한쪽 위치에 제시된 탐침에 반응을 하는 수정된 탐침 탐사 과제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자극 제시시간이 짧을 경우 불안 수준이 높은 노인은 분노 표정의 편향점수가 행복 표정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집단 간의 정서유형에 따른 편향점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자극 제시시간이 길 경우 불안이 높은 노인 집단은 불안 수준이 낮은 노인 집단과 비교하여 분노 표정의 편향점수가 더 낮게 나타났으며, 불안 수준이 높은 노인 집단 내에서 분노 표정의 편향점수가 행복 표정보다 낮게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고 불안 노인 집단은 저 불안 노인 집단에 비해 위협적인 얼굴 표정 중, 특히 분노 표정을 과인식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고 불안 노인 집단에서 분노 표정의 정서 강도 역치가 낮아도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은 의식적이지 않고 자동적인 정보처리 과정에 영향을 받는 선택적 주의 편향이 개입되었다고 해석 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위협적 자극에 대한 역기능적인 자동적 처리가 불안 수준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전주의적 주의 편향은 부정적인 정보에 선택적으로 집중함으로 인해 자신의 제한된 심리적 자원을 적절히 사용하지 못하고 위협적인 얼굴표정에서 정서인식 편향을 일으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 초등학교 육상선수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경기 전 경쟁상태불안 수준의 차이

        최기택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제주도 초등학교 육상선수들의 경기 전 경쟁상태불안 수준을 성별, 경력별, 학년별, 종목별, 성적별로 나누어 비교 분석함으로써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은 물론 선수를 직접 지도하는 코치나 일선 지도자들에게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주특별자치도 교육감기 육상대회 및 제주시, 서귀포시 교육장배 육상경기대회(2007-2009)에 참여한 3~6학년 남․여 선수 400명을 대상으로 Martens, Vealey & Burton(1990)에 의해 개발된 경쟁불안 검사(Competitive State Anxiety Inventory : CSAI-2)를 실시하였고, 통계처리는 SPSS/win Program v. 12.0을 이용하였으며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및 사후 분석(Scheffe)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의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도 내 초등학교 육상경기 선수들의 성별에 따른 경쟁상태불안에서는 여자선수가 모든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제주도 내 초등학교 육상경기 선수들의 종목에 따른 경쟁상태불안에서는 인지적 상태불안과 신체적 상태불안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상태불안에서는 필드종목선수가, 신체적 상태불안에서는 트랙종목선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주도 내 초등학교 육상경기 선수들의 성적에 따른 경쟁상태불안에서는 신체적 상태불안과 상태자신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신체적 상태불안과 상태자신감 모두 비우수선수가 우수선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제주도 내 초등학교 육상경기 선수들의 학년에 따른 경쟁상태불안에서는 상태자신감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분석 결과 3, 5, 6학년선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5학년, 6학년, 3학년 순으로 상태자신감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제주도 내 초등학교 육상경기 선수들의 경력에 따른 경쟁상태불안에서는 상태자신감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분석 결과 경력이 높을수록 상태자신감이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improve athletes' ability to control their psychological condition and shorten the score by examining the competitive state anxiety and the effect of it on the matche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400 athletes, who participated in the athletic sports competition for Office of Education Athletic Meet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ere grouped in terms of genders, competition categories, ability levels, grades and careers, and their somatic and cognitive anxiety as well as status self-confidence were measured using Marten's Competitive State Anxiety Inventory-2(CSAI-2).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methods used were t-statistics and one-way ANOVA.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rived. First,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level of competitive state anxiety before competition according to the elementary school athletes' genders. But female athletes' level of competitive state anxiety showed a higher level than male athletes' in all primary factors. Second, there is statistical difference in level of cognitive and somatic state anxiety before competition according to the elementary school athletes' competition categories. Field Athletes' level of cognitive state anxiety showed a higher level than Track Athletes'. However, Track Athletes' level of somatic state anxiety showed a higher level than Field Athletes'. Third, there is statistical difference in level of somatic state anxiety and state confidence before competition according to the elementary school athletes' ability level. An inferior athletes' somatic state anxiety and state confidence showed a higher level than a superior athletes'. Fourth, there is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level of state self-confidence before competition according to the elementary school athletes' grades. Fifth grade athletes were highest followed sixth and third. Fifth, there is a statistical difference in level of state self-confidence before competition according to the elementary school athletes' careers. The higher the careers, the higher state self-confidence beca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