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0년대 여성소설에 나타난 '자기 돌봄'의 윤리

        김미현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9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3

        Since the 2010s, a focus of ethics has shifted toward ‘the other’ from the ‘subject’. The reason why was that raising a question about the subject composing the modern developmental logic led to the dominant voice to criticise the alienation or exclusion of the other. As such, when representing the focal movement from the subject to the other into literature from a profound dimension, an emphasis is put on the ethics of ‘care’. The existing ethics centered on the subject was based on ‘justice’. On the other hand, the ethics centered on the other is based on ‘care’. In particular, in the 2010s ‘care crisis’ when values including ‘empathy·devotion·cooperation’ are being threatened, such care ethics is being re-illuminated as the new feminist ethics. Of course, the care ethics is a controversial concept criticised even from the feminism since the care ethics itself can make females move back to the status of the patriarchal suppression. A solution to overcome these limits of the care ethics may be the ethics of ‘self care’. The ‘self care’ ethics is the very concept which complements one-sided and selfless aspects of loss possessed by the care ethics from mutual and self-preserving aspects of selection. As for young feminist writers's novels created during 2010s, 『Women and Evolving Enemies』by Kim Sum, 『About the Daughter』by Kim Hye-jin and 『Four Neighbor's Dinner Table』 by Gu Byeong-mo create the ethics a narrative in common. The reason why is that they criticise suppression and ideality of the existing care ethics and extend it to the feminist ethics positive and active which denies both idealization and derogation of females. Particularly, these novels are significant feminist novels in that they are embodying the ethics of ‘self care’ in terms of ‘dependency-responsiveness-intersectionality’. 2010년대 들어 윤리학의 초점은 주체에서 타자로 이동했고, 이런 이동을 심층적 차원에서 담론화할 때 부각되는 것이 돌봄 윤리이다. 돌봄 윤리 자체가 ‘정의의 타자’로서 동일성이나 독립성을 중시하는 근대적 주체의 나르시시즘에 대한 비판으로 기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런 돌봄 윤리를 여성주의적 윤리와 연관시키는 논의 또한 늘어나고 있다. 2010년대 들어 공감·헌신·협력 등의 여성적 가치가 위협받는 ‘돌봄 위기’ 상황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런 여성주의적 돌봄 윤리는 페미니즘 내부에서도 비판이 제기되는 논쟁적 개념이기도 하다. 돌봄 윤리 자체가 여성 종속의 수단으로 악용되면서 여성을 억압했던 과거로 퇴행할 수 있다는 위험성 때문이다. 이런 돌봄 윤리의 위험성을 극복할 수 있는 계기를 ‘자기 돌봄’의 윤리에서 찾을 수 있다. 자기 돌봄 윤리는 돌봄 윤리 자체가 일방적이고 이타적인 ‘상실’이 아니라 관계적이고 자기 보존적인 ‘선택’ 행위임을 보여주면서도 돌봄 제공자 또한 돌봄을 받아야 할 돌봄 의존자임을 간과했다는 사실에 대한 반성을 반영하는 긍정적이고도 생산적인 윤리 개념이다. 2010년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여성소설가들의 주목 받는 장편소설인 김숨의 『여인들과 진화하는 적들』, 김혜진의 『딸에 대하여』, 구병모의 『네 이웃의 식탁』은 이런 여성주의적인 자기 돌봄 윤리가 처한 곤궁함과 정당성을 동시에 서사화한다. 김숨의 소설은 공존이라는 허구의 억압성을 돌봄 윤리의 기본 전제인 의존의 정당성으로 내파한다.(2장) 김혜진의 소설은 희생이라는 돌봄 가치의 자본화를 비판하면서 그에 대한 저항으로 자기 서사를 통한 민감한 반응성을 강조한다.(3장) 구병모의 소설은 평등을 강조하는 이웃 공동체의 불평등성을 통해 자기 돌봄 내부에서도 일어나는 균열과 충돌을 인정하는 교차성의 개념에 주목한다.(4장) 이런 과정 속에서 이 소설들의 자기 돌봄 윤리는 첫째로는 여성만이 아닌 모든 인간을 돌봄 윤리에 의존해야 할 할 보편적 타자로 확대시킨다는 것, 둘째로는 여성주의적 돌봄 윤리 내부에서도 존재하는 차별과 차이를 구체화시켰다는 것, 셋째로는 자기 돌봄 윤리가 공존·분배·평등 중심의 정의 윤리나 일방적이고 이타적인 일반적 돌봄 윤리와는 모두 차이나는 새로운 여성 윤리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것 등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후보

        COVID-19 팬데믹 대응에서의 공중보건의료윤리: 관계적 자율성, 연대성과 돌봄윤리를 중심으로

        최재필(Jae-Phil Choi) 국가생명윤리정책원 2021 생명, 윤리와 정책 Vol.5 No.1

        본 연구에서는 Coronavirus 19 infectious disease(이후 ‘COVID-19’) 팬데믹의 지속 상황, 공중보건의료 임상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윤리원칙으로 여성주의 관계적 자율성, 연대성, 돌봄윤리를 검토하였다. 한국의 상황에 대한 복기는 곳곳의 돌봄 실패 현상들을 드러내었고, 보건의료 종사자들에게 큰 돌봄 부담을 떠안겼지만, 노동이 저평가되기 쉬움을 알려준다. 관계적 자율성과 피해자이면서 매개체인 환자의 관점에서 볼 때 감염병에 이환되어 격리되는 시민은 사회적, 역사적 맥락 안에 배태되어 있고, 감염병의 생태학적 그물망 안의 연결고리로서 완화된 책임을 진 환자로 적절한 보호와 지원을 요청할 권리를 갖는다. 팬데믹 보건의료체계 안에서 의료종사자들이 함께 환자의 치료를 위해 확대된 의무를 수용하고 대응하는 연대가 필요하였다. 인간의 상호의존성과 취약성에 근거한 연대성은 목소리를 가질 수 없는 환자들의 배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며 돌봄윤리의 가치를 재검토하게 한다. 인간은 누구나 불가피한 의존의 보편적 경험이 있어 사회에서 의존 현실은 기본값이다. 보건의료종사자는 환자의 감염병 이환이라는 취약성에 대한 응답으로 돌봄 관계를 다시 형성하게 된다. 환자의 안녕과 회복을 위한 돌봄 관계의 지원이 필요하고, 돌봄 노동자로서 보건의료종사자가 취약해지지 않도록 지원하는 정책이 둘리아의 원칙을 통해 적극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In this article, the feministic relational autonomy, solidarity, and care ethics were reviewed as a likely alternative that is an applicable ethical principle during the COVID-19 (coronavirus) pandemic in clinical public health settings. Reconstructing the COVID-19 situ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revealed the phenomena of the failure to provide care everywhere and a huge burden of care for healthcare workers, which could be undervalued. A quarantined citizen who contracted the infectious disease is an agent who is also embedded in a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 as well as a patient who has a reduced responsibility in the web of infectious diseases in the ecological relationships with others from the viewpoint of relational autonomy and the patient as a victim and vector. The citizen is entitled to ask for due protection and support. During the pandemic, health care personnel in the public health system needed to extend their solidarity in treating patients and responding to the pandemic. However, solidarity based on interdependence and vulnerability hardly solves the exclusion of the voiceless and require us to reconsider the value of care ethics. Everyone experiences universally inevitable dependencies, and so human dependency is the default value. Health care personnel build care relationships with patients in response to their vulnerability in contracting infectious diseases. Public support for the patient’s well-being and restoration is to be provided. However, I argue that support for public health personnel should be considered, so that they are not thrown into the vulnerable status,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Doulia.

      • KCI등재

        돌봄의 선언과 자기돌봄: 돌봄 이론의 정치적 전회와 비판이론의 윤리적 전회

        김성희 한국비교문학회 2023 比較文學 Vol.- No.89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ongoing debate on care in North America and the United Kingdom by examining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manifestos, such as The Care Manifesto. Care is a political agenda, not only moral conduct, after care-centered feminists revisited the feminine virtue of care, and Joan Tronto published Caring Democracy (2013). During the COVID-19 pandemic, various groups of scholars and activists developed care theories and put them into practice. This paper explores the recently emerging discourse of care by analyzing two books and one article: The Care Collective’s The Care Manifesto: The Politics of Interdependence (2020), Boston Review’s The Politics of Care (2020), and “The Politics of Care” (2021) co-authored by the editors and contributors of Contemporary Political Theory. First, this study critically reviews Joan Tronto’s Caring Democracy, which pioneered the political debate on care, and traces back to the origin of the political discussion of care and interdependence. To be more specific, this paper examines how various Declarations of Interdependence paved the way for the current debate on care. Examples include Will Durant’s “Declaration of Interdependence” (1945), Henry Steele Commager’s article (1976) with the same title, “Unanimous Declaration of Interdependence” (1968), written by local environmental activists in the San Francisco Bay Area, and Greenpeace’s “Declaration of Interdependence” (1976). Finally, this paper addresses self-care, developed by critical theorists such as Michel Foucault, Robert Doran, and Boris Groys. Self-care is a concept that refers to the practice of creating and organizing one’s own subjectivity and agency. Such self-care, which involves the creation and organization of subjectivity and agency, can be seen as enabling the writing of the manifesto genre, as exemplified by The Care Manifesto. This genre of writing is only made possible by the practice of self-care. Therefore, this article examines self-care, which can be considered the ethical foundation of the political discourse of manifestos regarding care, and discusses the ethical turn in critical theory that has made the discussion of self-care possible. 본 연구는 영미권의 ‘돌봄(care)’ 논의를 정리하고, 『돌봄선언』(2020)과 같은 선언적 글쓰기의 특징을 논구한다. 돌봄 중심 페미니스트들이 돌봄의 가치를 재평가하고 조앤 트론토가 돌봄 민주주의를 제안하면서 돌봄은 이제 개인적인 윤리적미덕이 아니라 집단적인 정치적 의제가 되었다. 특히 코로나-19의 범유행 이후에는 돌봄의 이론을 만들고 이를 실천으로 옮기려는 집단적 움직임이 두드러졌다. 본고는 이 중 영국의 연구자・활동가 집단 더 케어 컬렉티브(The Care Collective)의 『돌봄선언: 상호의존의 정치학』(2020), 미국 정치・문학잡지 『보스턴리뷰』가 펴낸 『돌봄의 정치』(2020), 그리고 북미 정치사상 학술지 『당대 정치이론(Contemporary Political Theory)』의 편집자들과 필자들이 쓴 「돌봄의 정치학」 (2021)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먼저 돌봄 이론의 정치적 전회를 촉발한 조앤 트론토의『돌봄 민주주의』(2013)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그리고 최근 잇따르고 있는 “돌봄선언”, “돌봄의 정치학”과 같은 선언의 계보를 추적한다. 구체적으로 말해, 윌듀란트의 「상호의존선언」(1945), 헨리 스틸 코메이저의 「상호의존선언」(1976), 샌프란시스코 베이 지역의 환경운동가들이 쓴 「상호의존을 위한 우리의 일치된 선언」(1968), 그리고 환경운동단체 그린피스의 「상호의존선언」(1976) 등이 어떻게현재 돌봄에 관한 선언과 정치학의 사상적 토대가 되었는지 밝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비판이론 전통(미셸 푸코, 로버트 도란, 보리스 그로이스 등)의 돌봄이라고 할 수 있는 자기돌봄의 문제를 제기한다. 자기돌봄은 나 자신의 주체・주관을 창조하고 구성하는 실천을 지칭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자기돌봄(주체・주관의 창조 및 구성)은 돌봄에 대한 ‘선언’이라는 글쓰기를 가능하게했다고 할 수 있다. 선언이라는 글쓰기 장르는 애초에 이 자기돌봄이 있어야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돌봄 선언이라는 정치적 언설의 윤리적 기초라고할 수 있는 자기돌봄에 대해 알아보고, 이 자기돌봄 논의를 가능하게 한 비판이론의 윤리적 전회에 대해 논구하고자 한다.

      • KCI등재

        관계적 돌봄의 철학

        허라금(Huh, Ra-Keum) 사회와철학연구회 2018 사회와 철학 Vol.0 No.35

        이 글은 돌봄의 사회화가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보살핌의 의미를 재점검한다. 돌봄 활동은 전통적으로 여성이 주로 해왔던 만큼 여성주의는 돌봄의 문제에 관심을 가져왔다. 여성에게 부당하게 지웠던 돌봄의 부담을 어떻게 나누는 것이 공정한 것인지, 재생산 노동에 대한 보상은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이 정당한 것인지가 여성주의 돌봄 논의의 주된 관심을 이어왔다. 그러나 하이테크 로봇이 돌봄 현장에 도입되는 등 급속한 변화의 현실에서, 돌봄을 단지 필요 노동의 문제로 접근하는 것은 돌봄의 사회적 가치를 조명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돌봄의 핵심을 취약성에 반응하는 인간적인 실천으로 보는 여성주의 돌봄윤리 논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관계적 가치와 실천으로서 돌봄을 이해하는 돌봄윤리에서는, 누군가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생명의 취약성에 대한 염려로부터 비로소 돌봄이 출발한다고 보고 있다. 인간적 염려가 빠진 돌봄은 ‘서비스’ 혹은 ‘관리’일 뿐, 진정한 의미의 ‘돌봄’이라 할 수 없다. 기계가 돌봄에 필요한 일들을 서비스하고 관리할 수는 있을지 모르지만, 돌봄 관계에 있어야 할 관심과 염려, 책임, 상호신뢰와 같은 것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이 글은 돌봄의 실천이 인간관계를 잇는 윤리적이고 정치적인 활동이 될 수 있도록, 돌봄 제공자와 돌봄 수혜자의 ‘의존의 관계’를 조직하는 방향으로 돌봄의 사회화가 전개되어야 할 것임을 제안한다. This article aims at reviewing the meaning of care at present, when socialization of care is being rapidly extended. As care activities have been traditionally conducted by women, feminists have focused on the issue of caring. Main concerns of discussions and debates on caring in feminist perspectives have included how fairly burdens of caring, which were unfairly imposed to women, should be shared and compensation for reproduction labor should be made. However, in the reality where high tech robots are introduced into the field of care, the approach to care as just an issue of necessary labor is limited to reveal social value of care.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on the argument by the feminist ethics of care considering the core of caring as humane practice responding to vulnerability. In the ethics of care understanding caring as relational value and practice, it is insisted that caring starts from concerns for vulnerability of a life which should depend on others. Caring without humane concerns is just ‘service’ or ‘management’ but it cannot be care of the genuine meaning of ‘care’. The reason is, even though machines might provide and manage services required for caring, we could not expected concerns, caring, responsibilities, mutual trust, and so on, which are required for care relations, from them. Therefore this article makes a suggestion that socialization of care should be oriented to organize the ‘relation of dependency’ between care-givers and care-receiver in order to make practice of caring as ethical and political activities to link human relations.

      • KCI등재

        유가철학에서 간호의 돌봄 윤리 모색

        최연자 범한철학회 2008 汎韓哲學 Vol.48 No.1

        The care ethics is regarded as developing and alternative ethics to the rule-based ethics that have dominated the west, and estimated as a new and effective ethics against the moral crisis. Also nursing ethics is moderately accepted the care ethics of the west. But complexity situation of nursing need to caring not only care ethics but also ethics of resolution to moral conflict or dilemma. The ethics which integrates universality with particularity seems to be the reasonable ethics in the nursing situation. Emphasized by the confucian ethics means is not the holding on to the fixed norm or the leaning to one extreme but the adaptability to the time and circumstances. The practice of Ren(仁) in social relations means the care to other people and naturally aims to harmonize with the ethics of social community through extending the sphere of personal ethics. Confucian ethics showed Ren(仁) as the best principle of life to resolution of the moral dilemmas. It is supposed to be a continuum of the distinguishing between right and wrong according to the Ching(經) and the groping for accommodations by means of the Kuan(權) with searching for the Sun(善). It tells us that the Confucian ethics is oriented toward the integration of the rightness and goodness. The ethical clauses in Confucianism have various and dynamic norms and practical standards, and its range is very wide. Such norms show the unified and universal moral practice, organically related with Ren(仁) as an essence. It is said to be coherent to the nursing care as a new reasonable ethics in the pluralistic society. 최근 배려윤리가 주지 주의적 정의윤리를 비판하고 새로운 대안윤리로 등장하면서 간호윤리에서도 상당부분 이를 수용하고 있다. 그러나 생명과 관련된 복잡하면서도 긴급한 간호 상황에서는 배려윤리를 적용하면서도 진정한 도덕적 갈등이나 딜레마까지를 해결할 수 있는 간호 상황의 돌봄 윤리가 필요하다. 즉 간호의 돌봄 윤리는 보편성과 특수성(관계성상황성구체성 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통합적 모델로서 매 순간 도덕적 감수성으로 인한 실천행위의 지침을 제공 할 수 있는 실천윤리이어야 하겠다. 유가윤리는 모든 윤리적 원리나 규범을 인정하지만 그것들을 절대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상황에의 적합성을 윤리의 문제로 삼는다. 그리고 사회적 관계 속에서의 仁의 실천은 자기가 원하지 않는 것을 남에게 하지 않는 타자에 대한 돌봄, 즉 나의 마음을 미루어 상대방의 마음을 헤아리는 것으로 개인의 심성확충을 통해 나와 너의 수평적 관계에서 자연스럽게 사회공동체 윤리와 조화를 이루어 나간다. 또한 도덕적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절대적인 삶의 원리로서 仁을 제시하고 있으며 경과 권 그리고 선의 방식을 사용하여 그 적절함과 올바름을 동시에 지켜 나간다. 곧 유가윤리는 경에 따라 시비를 판단하고, 권을 사용함으로써 시비판단을 상황에 적용시켜 융통성을 모색하면서 결국 개인과 사회에 이익이 되는 선을 추구한다. 그러므로 유가윤리는 옳음과 좋음의 통합 즉, 보편윤리와 목적윤리의 통합을 지향하면서 仁을 절대적 삶의 원리로 제시하여 恕의 실천행위를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다양하면서도 역동적인 가치규범과 실천규범을 이끌어 온 유가의 윤리덕목은 그 범위가 매우 넓고 다양하여 간호의 돌봄 윤리를 위한 동양의 새로운 통합적인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박완서 소설 속 돌봄 인식 방식 연구

        김미영 국어문학회 2019 국어문학 Vol.72 No.-

        The Study focuses on women’s caring labor described in Park WanSeo’s novel 『Beginning of Alive Days』, 「She knows, I know, and Heavenknows」 and 「The Trance of Falling Sun」, 「Kindhearted Bokhee」. Untilnow, women’s caring labor has been recognized natural. However, whenit comes to women being subjected to receive caring, they tend to berejected. Main characters of aforementioned novels are dedicated to caringwhen they are “provider”, in the name of love, and when they become“receiver” of such care, they are rejected due to family power structure. This serves as an momentum for the female characters to become awareof their identity, questioning their caring relationship.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experienced by women in carrying outtheir care labor can be examined from Carol Gilligan's perspective onethics of care. Gilligan says moral judgments centering around care, relationship, and responsibility to make a determination of actions. Inaddition, she goes further even to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hatwomen are not such the being having obligations only to provide care,but they themselves are also supposed be the object of care. Thissuggests that the ethics of self care could be an alternative whenwomen try to overcome the violence of the patriarchal system they aresuffering while carrying out their care labor and seek for the possibility of gender dissolution. This study intended to look into the ways of care perception expressedin Park Wan Seo novels by classifying them into periods. In her novelsin the 1970s, female characters are expressed as the ones who becomeconscious of the duplicity inherent in the patriarchal system whilefeeling suppression, anger under their distorted and interdependent caringsituations. And in the 1980s, female characters show a change in theirperception of that they enter into a symbiotic relationship with their caredependents based on a trust and recognize themselves as a personentitled to be cared in such interdependent relationships. At this moment,the candidness inherent in the personal integrity emphasized by Gilliganworks as a counterstrategy to restore the identity damaged in the processof care labor. Lastly, this study sorted her novels out of the ones in the2000s as the works showing similar in terms of structure to the contentscovered in the ones in the 1970s and noted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with the passage of the time. Female characters attempt to recover theiridentity by choosing self-reliance through some changes in theirperception to embrace their life positively. Thus, this study was able to find out that those female charactersexpressed in Park Wan Seo novels acquire the possibility of self care bymeans of a gender dissolution attempted under their caring situations. Park Wan Seo novels suggest that women can realize the ethics of selfcare while acknowledging their own existence in their caring process andcarrying out interdependent care ethics. 이 논문은 박완서 소설 「살아있는 날의 시작」과 「집보기는 그렇게 끝났다」, 「저물녘의 황홀」, 「지 알고 내 알고 하늘이 알건만」, 「친절한 복희씨」속여성인물들의 돌봄 노동에 주목한다. 지금까지 여성이 돌봄을 수행하는 것은당연하게 인식되어 왔다. 그런데 여성이 돌봄의 의존자가 되는 것은 고려 대상이 아니었다. 작품 속 여성인물들은 돌봄의 수행자일 때는 ‘사랑’이라는 명목으로 노동력을 착취당하고, 의존자가 되었을 때는 돌봄을 거부당한다. 이는 여성인물들이 돌봄 관계에 의문을 품고, 자신의 정체성을 자각하는 계기가 된다. 돌봄 노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여성이 겪게 되는 인식의 변화는 캐롤 길리건의 돌봄 윤리 관점으로 규명할 수 있다. 길리건은 “돌봄”, “관계”, “책임”을 중심으로 한 도덕적인 판단이 행동을 결정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여성이 돌봄을 제공해야하는 의무만 지닌 존재가 아니라 자신도 돌봄의 대상이될 수 있다는 인식의 전환으로까지 나아간다. 이는 여성이 돌봄 노동을 수행 할 때 겪는 가부장제의 폭력성을 극복하고, 젠더 해체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할 때 ‘자기 돌봄’의 윤리가 그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논문에서는 돌봄 인식 방식을 시대별로 구분해 살펴보고자 했다. 1970년대 작품에는 여성인물이 왜곡된 상호의존적인 돌봄 상황 속에서 억압, 분노를 느끼면서 가부장제에 내재된 이중성을 ‘자각’하는 과정이 나타난다. 그리고 1980년대에 이르면 여성인물이 돌봄 의존자와 신뢰를 기반으로 공생관계를 맺고, 상호의존적인 관계 속에서 자신을 정당한 돌봄 의존자로 ‘인정’해나가는 인식 태도를 보인다. 이때 길리건이 강조한 “개인적인 성실성”에 내재된 솔직함이 돌봄노동 과정에서 훼손된 정체성을 회복할 대응 전략으로작동한다. 마지막으로 2000년대 작품에서는 1970년대 작품에서 다룬 내용과구조적인 측면에서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 작품을 선별해 시대적 경과에 따른 인식의 변화에 주목했다. 여성인물은 자신의 삶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인식의 변화를 거쳐 ‘자립’의지를 선택함으로써 자기 정체성의 회복을시도한다. 이로써 여성인물들이 돌봄 상황에서 시도한 젠더 해체 방식으로 자기 돌봄의 가능성을 획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박완서 소설은 여성이 돌봄과정에서 자기 존재를 긍정하고, 상호의존적인 돌봄 윤리를 수행하면서 자기돌봄의 윤리를 실현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 KCI등재

        돌봄의 관점에서 살펴본 보육교사의 윤리적 딜레마

        박은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학논집 Vol.13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thical virtues involved in ethical dilemmas which child care teachers experienced in the field of education reviewed with the aspect of care. The participants were 50 child care teachers who responded to the study's questionnaire from April to June 2008. This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by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specialist and a researcher based on the NAEYC(2005)'s revised code of ethical conduct and statement of commitment.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yielded the following. First, teachers experienced conflicts in the relationships with children when they taught and guided children. That was to select the ethics of care based on consideration and respect or choose the ethics of justice based on fairness. Second, teachers experienced conflicts in the relationships with children's families. That was to select the ethics of care based on cooperation and connection with children's families or choose the ethics of harmony based on acceptation. Third, teachers experienced the conflicts in the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and the directors of child care centers. That was to select the ethics of care based on challenge or choose the ethics of adaptation based on courtesy. In conclusion, the examples of child care teachers' ethical dilemmas would be utilized as the basic materials for teacher education related with teaching ethics and for enacting of the code of ethics on the basis of the aspect of care.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이 현장에서 경험한 윤리적 딜레마들을 수집하여 이에 내포된 윤리덕목들을 돌봄의 관점에서 분석해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2008년 4월부터 6월까지 설문조사에 응한 총 50명의 보육교사들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NAEYC의 유아교사를 위한 윤리강령과 행동선언문(2005년 개정)의 내용영역을 토대로 유아교육전문가와의 협의를 통해 수정․보완하여 구성한 것이다. 설문응답 자료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들은 영유아와의 관계에서 그들을 교육 및 지도할 때 ‘배려와 존중에 근거한 돌봄 윤리’를 선택할지, 아니면 ‘공정성에 근거한 정의 윤리’를 선택할지 갈등하였다. 둘째, 보육교사들은 가정과의 관계에서 ‘가정과의 협력과 연계에 근거한 돌봄 윤리’를 선택할지, 아니면 ‘수용에 기초한 조화 윤리’를 선택할지 갈등하였다. 셋째, 보육교사들은 동료 및 기관과의 관계에서 ‘도전에 근거한 돌봄 윤리’를 선택할지, 아니면 ‘예의, 의리에 기초한 순응 윤리’를 선택할지 갈등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보육교사의 딜레마 사례들은 돌봄의 관점을 토대로 한 교직윤리관련 교사교육 및 윤리강령 제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돌봄정책의 새판짜기는 어떻게 가능한가?: 돌봄윤리 관점에서의 돌봄정책에 관한 비판적 고찰

        송다영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2022 비판사회정책 Vol.- No.77

        본 연구는 지난 20년간 돌봄정책이 확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돌봄의 위기가 강화되는 원인을 탐색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돌봄정책이 돌봄의 ‘결핍이나 공백’에의 대응을 넘어서 ‘부정의’의 관점에서 접근할 때 비로소 근본적인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음을 강조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한국사회 돌봄정책은 ‘사적 돌봄화’, 피돌봄자의 ‘특수한 의존자’로서의 존재 규정, 돌봄자의 ‘(파생적) 의존자’로서의 존재 규정, 돌봄 수행(doing care)의 타자화 방식을 기본 전제로 하고 있어서 부정의가 지속되어 온 것으로 보인다. 연구결과에서는, 지난 20년간 우리나라 돌봄정책의 기본전제가 작동되어 나타난 정책상 부정의와, 연관된 사회문제들을 제시하였다. 결론에서는, 우리나라 돌봄정책의 새로운 틀거리와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연명’이 아닌 삶: 중증치매에서 경관급식 실행의 윤리적 문제들

        이지은(Jieun LEE) 한국과학기술학회 2020 과학기술학연구 Vol.20 No.3

        본 논문은 연명의료결정법의 시행 이후 새롭게 문제가 되고 있는 중증치매 환자에 대한 경관급식에 관한 윤리적 논쟁을 중심으로 제도화된 생명의료윤리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돌봄의 실천과 관계들에 대한 관심을 통해 생애 말기 돌봄의 윤리에 관한 논의를 확장할 것을 제안한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경관급식을 둘러싸고 생명의료윤리 담론과 일상적 돌봄 실천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상이한 형태의 지식들에 주목한다. 생명의료윤리가 환자의 ʻ신체ʼ에 대한 지식을 의사결정의 ʻ근거ʼ로 특권화한다면, 현장에서의 윤리적 실행에서 중요하게 부각되는 것은 관계적 실천 속에서 만들어진, 상황적이고 잠정적인 실용적 지식이다. 전자가 개별화된 신체의 ʻ객관적ʼ 기능에 주목한다면, 후자에서는 관계망 속에서 다른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는 몸의 잠재성이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각각의 앎의 방식은 생애 말기 환자가 어떻게 세계 내에 존재할 수 있게 될지, 그들에게 어떤 버전의 삶이 허용될 것인지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논문은 생애 말기 돌봄에 관한 윤리적 논의에 있어 그 근거가 되는 ʻ앎ʼ의 성격에 대한 질문을 던짐으로써, 생명의료윤리의 한계를 지적하고 윤리적 논의의 지평을 확장할 것을 주장한다. Tube feeding for patients with advanced dementia is widely practiced in geriatric hospitals and nursing homes. However, it still remains a controversial practice with no conclusive evidence that it improves health-related outcomes. The article focuses on different forms of knowledge that emerge around the problem of tube feeding for patients with advanced dementia. While debates in biomedical ethics often revolve around the question whether to tube-feed or not given medical uncertainties and how to make the decision, this article proposes to shift the focus to the ways in which ˈgoodˈ life may be achieved through practices of care. Close attention to practices, processes, and relations of care allows us to rethink ethics not as a set of prescriptive principles that center ˈinformed choicesˈ, but rather as something that is done in practice.

      • KCI등재

        영유아교사의 직업의식과 윤리: 포스트모던 윤리를 중심으로

        염지숙,방유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학논집 Vol.17 No.5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교사로서 가져야 할 윤리를 직업의식과 관련지어 포스트모던 관점에서 살펴보고 그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영유아교사의 직업의식과 윤리의식의 관계성을 탐구함으로써 연구의 필요성을 기술하였다. 그 다음으로, 포스트모던 담론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영유아교사가 지녀야할 윤리의식을 제시하고 실천방안을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1) 관계에 기초한 돌봄 윤리, 2) 해방적 관점에서의 페미니즘 윤리, 3) 다양성의 “평등한 공존”을 추구하는 다문화 윤리, 4) 생태주의에 기반한 생명존중 윤리.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들의 교직관 및 윤리의식의 형성을 돕기 위해 일관되고 풍요로운 철학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시발점으로 하여 영유아교육·보육분야에서 포스트모던 윤리 실천의 실제적 방식과 관련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thics of teaching as a professional consciousness which early childhood teachers must have; it also presented the practicality of those ethics from the postmodern perspective. Firstly, the aim of the study was described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 consciousness and the ethics of teaching. Secondly, the features of postmodern discourse were presented. Lastly, the study examined four ethics of teaching which are needed in the postmodern society to prepar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se ethics are the ethic of caring based on relationships, the ethic of feminism from the perspective of emancipation, the ethic of multi-culturalism which also pursues co-existing equality, and the ethic of life respect based on ecological ideology.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ward the making of a consistent and rich foundation of philosophy which will guide teachers of young children in the formation of both their own teaching profession and ethics of teac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