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범아 동양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만족도,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대학생활 적응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전공만족도 하위요인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어떠한가? 셋째, 사회적지지 하위요인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어떠한가? 넷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하위요인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어떠한가? 다섯째, 전공만족도,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적응과 관련된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경북 Y시에 소재한 D대학교에 재학 중인 320명의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22년 10월 11일부터 10월 19일까지 한 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39명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만족도,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대학생활 적응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다. 둘째, 전공만족도 하위요인 중 일반만족, 관계만족 요인이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사회적지지 하위요인 중 부모지지, 친구지지, 교수지지 요인이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친다. 넷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하위요인 중 목표선택, 미래계획 요인이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전공만족도,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중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전공만족도,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수준을 높이기 위해 대학과 학생들은 자기효능감을 강화하고 사회적지지 체계를 구축해야하며 자신의 진로를 위해 다양한 준비활동에 참여 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더불어 대학에서는 다양한 교육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통한 전공만족도 향상과 교수와 학생들이 정서적인 유대관계를 지속할 수 있는 많은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ollege life adjustment in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First, how are major satisfaction,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ollege life adjustment associated with one another? Second, how do the sub-factors for major satisfaction affect college life adjustment? Third, how do the sub-factors for social support affect college life adjustment? Fourth, how do the sub-factors fo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ffect college life adjustment? Fifth, how do major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ffect college life adjustment? With the aim of analyzing the relative impact of the variables related to college life adjustment in college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in 320 students at D University in Y City, North Gyeongsang Province over a week from October 11 to 19, 2022 and the data from 239 students were finally collected. An SPSSWIN 25.0 program was used to process the collected data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major satisfaction,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ollege life adjustmen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Second, general satisfaction and relational satisfaction among the sub-factors for major satisfaction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 college life adjustment. Third, parental support, peer support, and professor support among the sub-factors for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 college life adjustment. Fourth, goal selection and future planning among the sub-factors fo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 college life adjustment. Fif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more strongly affects college life adjustment than major satisfaction or social support does. To put these results together, major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ffect college life adjustment in college students. With the objective of raising the level of college life adjustment for college students, both colleges and students need to reinforce self-efficacy, build a social support system, and positively devise a plan for participating in diverse activities in preparation for career. In addition, colleges need to improve major satisfaction through diverse types of educational service and programs and make a lot of institutional devices that allow professors and students to keep emotionally bonded to each other.

      • 대학생이 지각한 헬리콥터 양육과 삶의 만족도,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 : 성격 5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주정숙 충북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하는 헬리콥터 양육과 삶의 만족도 및 대학생활적응(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학교애착)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성격 5요인이 유의하게 조절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4년제 대학생 4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헬리콥터 양육은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를 부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헬리콥터 양육은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또한 부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셋째, 대학생이 지각한 헬리콥터 양육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성격 5요인 중 외향성이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이 지각한 헬리콥터 양육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성격 5요인이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헬리콥터 양육과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 중 학업적응 간의 관계에서 외향성의 유의한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헬리콥터 양육과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응 간의 관계에서 친화성의 유의한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외향성이 높을 때, 헬리콥터 양육이 삶의 만족도와 학업적응에 미치는 부적 효과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화성이 높을 때 헬리콥터 양육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부적 효과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헬리콥터 양육이 대학생의 행복과 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헬리콥터 양육과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와 적응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외향성과 친화성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므로, 교육현장과 상담장면에서 대학생의 외향성과 친화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어야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helicopter parenting, college student's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djustment (academic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personal-emotional adaptation, institution commitmen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then to analyze whether the big 5 personality traits significantly moderate their relationship. To this end, we surveyed 439 students at 4-year colleg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analyzed the moderation effect,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elicopter parenting predicted college student's life satisfaction negatively and significantly. Second, helicopter parenting predicted college student's school adjustment negatively and significantly. Third, among the big 5 personality traits, extroversion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elicopter parenting and college student's life satisfaction. Fourth, the big 5 personality traits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elicopter parenting and school adjustment. Specifically, extroversion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elicopter parenting and academic adaptation. In addition, agreeableness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elicopter parenting and social adaptation. For students with high extroversion, the negative effects of helicopter parenting on college student's life satisfaction and academic adaptation were reduced. For students with high agreeableness, the negative effect of helicopter parenting on social adjustment was reduc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helicopter parenting may negatively affect college students' happiness and school adjustment. The results also suggest the important roles of extroversion and agreeableness in the relations between helicopter parenting and college students’ life satisfaction and school adjustment. Considering these findings, it is important to find ways of improving the extroversion and agreeablenes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educational or counseling programs

      • 외국인유학생 대학생활만족도의 영향요인 연구

        상경위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한국에서 공부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각 변인에 대한 설명력의 정도를 파악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에서 공부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찾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학생활만족도에 대한 개념과 관련이론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학교적 요인, 한국어 숙달수준, 사회적지지, 여가활동참여로 구분하여 연구의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김해시의 인제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있는 251명의 외국인 유학생을 전수 조사하였고, 회수된 179부 중 무효응답 1부 배고 178부의 조사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를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한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제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있는 외국인유학생들의 대학생활만족도가 보통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을 살펴보면, 여자가 남자보다 10%정도 많았고, 나이는 26세가 가장 많았다. 국적별로는 중국인 유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체류기간은 3년 이상이 가장 많았다. 응답자의 학교적 특성에서는 지난학기 성적이 4.0이상이 67명으로 응답자의 54.9%에 답했으며, 과정별로는 대학원석사과정이 38.8%로 가장 높았으며, 전공분야별로는 인문사회과학대학분야가 71.8%로 가장 많았다. 등록금조달방법은 장학금을 받는 유학생이 89.3%로 상당히 높았다. 생활비부담감의 평균은 4.29이며, 거의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유학생들의 한국어숙달수준 현황을 살펴보면, 외국인유학생의 한국어실력은 보통수준으로 나타냈다. 사회적 지지는 평균값이 2.97점으로 중앙값 3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여가활동 참여는 평균값이 2.23점으로 중앙값 3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제대학교에 다니는 외국인유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는 국적, 생활비부담감, 사회적지지, 여가활동참여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외국인유학생 대상자의 중국국적을 가지고 있는 학생이 기타국적 가진 학생보다 대학생활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밝혀졌으며, 생활비부담감이 큰 학생, 사회적지지가 낮은 학생, 여가활동을 적게 참여하는 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외국인유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는 사회적 지지수준을 통해 측정하였다. 사회적 지지수준이 높을수록 한국에서 대학생활에 있어서 어려움이 많이 줄이기 때문에 대학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사회적 지지수준임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의와 정책적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인제대학교에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만족도 높기 위해 사회적 지지를 높혀야하며, 구체적이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회로부터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현재 인제대학교에서 공식적인 외국인 유학생회가 없으며, 외국인 유학생의 사회적지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 외국인 유학생회를 만들 필요가 있다. 둘째,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인 친구를 많이 사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현재 인제대학교에 있는 단체 활동을 보면 각 전공별로 있는 MT와 대외교류처에서 외국인 유학생대상으로 하는 문화탐방이 있다. 그 중 대외교류처에서 하는 문화탐방은 외국인 유학생들만 참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한국인 학생도 같이 참여하여 함께 교류할 수 있는 계기가 되면 좋을 것이다. 셋째, 외국인 유학생이 수업의 발표와 과제에 대해 교수님이나 친구의 도움을 많이 받을 수 있도록 전공튜터링제도를 실시해야한다. 인제대학교 대외교류처에서 하는 튜터링제도가 있다. 이 제도는 외국인 유학생의 학습을 도움을 많이 되었지만 참여하는 팀별로 한국어 학습이 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한국어 학습 뿐 만 아니라 전공 수업 역시 힘든 학생들이 있는데 이들에게는 같은 전공의 멘토와 연결되어 한국어 학습만이 아니라 전공을 함께 공부할 수 있는 전공 튜터링제도가 필요하다. 넷째, 외국인 유학생이 필요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외국어 외국어 홈페이지를 확대하여야 한다. 한국학생들은 기존 인제대학교 홈페이지 등을 통해 학교생활에 필요한 정보 등을 쉽게 찾을 수 있지만 언어 능력이 부족한 경우 이해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외국인 유학생회 등과 같이 외국인 유학생들이 쉽게 접근 할 수 있고 외국인에게 필요한 정보도 제공되고 그 정보들이 각국의 언어로 제공이 된다면 외국인 유학생들은 필요한 정보를 쉽게 얻고 학교에 적응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대학생의 사회적지지수준, 스포츠참여수준 및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

        박재암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스포츠참여를 활성화 시키고 학교에서의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이와 관련된 주요 요인에 대하여 가정과 사회 및 학교를 아우르는 통합적인 연구를 실시하고자 부모, 형제•자매, 친구, 선•후배, 교수•교사와 같은 다양한 지지제공자의 사회적 지지와 스포츠참여수준 및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G시에 소재한 3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비 확률 표본추출법(non-probability sampling)중 편의 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표 집한 총 45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들 중 질문문항의 일괄적인 처리 혹은 무응답, 오 기입 등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는 58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392부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 통계 학적 요인에 따른 스포츠참여수준, 학교생활만족도, 사회적지지 수준의 차이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사회적지지가 스포츠참여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에 있어서 부모의 평가적 지지와 정서적지지, 형제•자매의 평가적지지•물질적지지•정서적지지, 친구의 평가적지지•물질적지지, 선•후배의 평가적지지가 스포츠참여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지지가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에 있어서 부모, 형제•자매, 친구, 교수•교사의 정서적지지 및 선•후배의 평가적지지는 전반적인 대학생활의 질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부모, 교수•교사의 물질적지지, 형제•자매의 평가적지지, 친구, 선•후배의 정서적지지는 대학교육의 질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 선•후배의 물질적지지, 형제•자매, 친구, 교수•교사의 정서적지지는 행정•복지 서비스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참여수준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에서, 스포츠참여수준은 전반적인 대학생활, 행정•복지서비스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ocial support level, sports participation level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for increasing college students' sports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school and comprehensive study of supporter like family member, friend, teacher, professor. this research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by analyzing data from 392 students drawn from 3 different college in "G" city by apply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irst, study indicate statical difference of sports participation level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level according to democratic Characteristics. second, analysis of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sports participation level shows that parent's estimative and emotional support, friend's estimative and material support, elder and junior' estimative support have influence on sports participation. third, analysis of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level shows that emotional support of parent, elder·junior, friend and teacher·professor has influence on overall school life satisfaction. material support of parent, teacher·professor, brother·sister and emotional support of friend, elder·junior have influence on quality of school education. material support of parent, elder·junior and emotional support of brother·sister, friend, teacher·professor have influence on administration and welfare satisfaction. forth, analysis of influence of sports participation level on school life satisfaction level shows that sports participation level has influence on overall school life and administration and welfare satisfaction.

      •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송윤정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703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Major Satisfaction,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교육학과 송 윤 정 지도교수 조 규 판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전공선택동기 하위요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전공만족도 하위요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교수-학생 상호작용 하위요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다섯째,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부산시에 소재하는 4개 대학교 학생 580명을 대상으로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566명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1.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다. 둘째, 전공선택동기의 하위요인 중 내재적 동기가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환경적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전공만족도 하위요인 중 일반만족, 관계만족, 교과만족이 학업적 적응에, 관계만족과 인식만족은 사회적 적응에, 관계만족은 개인-정서적 적응에, 일반만족, 인식만족, 교과만족은 환경적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하위요인 중 친밀감과 신뢰감이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개인-정서적 적응, 환경적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대학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하여 대학입학 시 전공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흥미나 적성에 맞춘 진로지도가 고등학교 과정에서 필요하다. 또한 전공만족도와 관련된 다양한 교육적 서비스 제공 및 교수와 학생이 정서적으로 유대관계를 지속할 수 있는 대학의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 주요어 :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

      • 대학생의 필라테스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소연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필라테스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두 변인 간에 심리적 행복감이 매개로서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서 필라테스를 참여하고 있는 대학생 209명과 참여하지 않는 대학생 202명을 대상으로 총 411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WIN 26.0과 AMOS 26.0을 사용하였고, 연구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과 조사도구의 타당성 검증을 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위한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또한, 변인의 일반적 특성 확인을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실시하고, 왜도와 첨도를 통해 정규분포 가정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측정 변인 평균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증과 ANOVA 검증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으로 Scheffé 검증을 시행하였다.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도의 상관관계 분석과 심리적 행복감의 매개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를 단순회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으로 실시하고 Sobel test를 진행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로 첫째, 필라테스 참여자와 비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도의 차이에서 필라테스에 참여한 대학생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필라테스 참여자들의 참여 기간은 길고, 횟수와 시간은 많을수록 신체적 자기개념과 심리적 행복감 그리고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 변인 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 자기개념, 심리적 행복감, 생활만족도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생활만족도 관계에서 심리적 행복감의 매개역할을 검증한 결과 전체 대학생에게 있어 심리적 행복감은 부분 매개 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에게 의미 있는 모형의 구조임을 검증하였다. 넷째, 대학생의 필라테스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 생활만족도 사이에서 심리적 행복감의 매개역할을 검증한 결과로 필라테스 참여자와 비참여자 모두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필라테스 참여집단의 심리적 행복감 매개효과 수치가 비참여 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즉, 필라테스 참여를 통해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이 높아질수록 심리적 행복감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생활에 대한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심리적 행복감이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생활만족도 관계에서 중요한 변인이자 부분 매개로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본 논문의 최종 목적인 대학생의 생활만족도 증진에 있어서 심리적 행복감과 운동이 중요한 역할임을 검증하였다. 더불어 수많은 운동 중 하나인 필라테스의 참여는 대학생에게 신체적 및 정신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대학생에게 필라테스 참여를 적극적으로 추천하고자 하며, 더 나아가 남녀노소 모두가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필라테스 프로그램을 모색하여 필라테스 운동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기대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psychological happiness was effective as a mediator between the two variables in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physical self-concept following Pilates participation on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a total of 411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209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Pilates and 202 non-participating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survey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used SPSS WIN 26.0 and AMOS 26.0, and Cronbach's α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was calculated to calculate frequency and percentage to analyz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In addition,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s, and the assumption of normal distribution was confirmed through skewness and kurtosis. In addition, independent sample t verification and ANOVA verification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study subject, and Scheffé verification was conducted as a follow-up verification. To find out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psychological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and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happiness, Baron and Kenny (1986) conducte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is, first,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Pilates were higher in the difference in physical self-concept, psychological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between Pilates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In addition, Pilates participants had a longer participation period, and the more times and time they had, the higher their physical self-concept, psychological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physical self-concept, psychological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each variable had an effect, and physical self-concept, psychological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all had a positive (+)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happi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and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it was found that psychological happiness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all college students.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happiness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college students participate in Pilates, both Pilates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Looking closely at this, the psychological happiness mediating effect of the Pilates participating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n-participating group.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hysical self-concept of college students through Pilates participation,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happiness and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life.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psychological happiness is an important variable and partial mediu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hysical self-concept and life satisfaction, and that psychological happiness and exercise are important roles in enhancing college students' life satisfaction.

      • 부모의 권위주의 성향이 대학생 자녀의 자아정체감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설영숙 한영신학대학교 상담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s the research about impact to university student's self-identity & school life satisfaction from parents' authoritarianism tendency. The focus of a study is an impact to Seoul, Gyeonggi province university student's self-identity & school life satisfaction from parents' authoritarianism tendency & correlation Seoul, Gyeonggi province university student's self-identity &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their authoritarianism tendency. I distribute the questionnaire doing a sample survey randomly 262 university student on school 5 university of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 order to collect a positive data of this study, analysis the 258 data used finally. A study period is from March 23, 2011 to May 3, 2011, a study process is made the questionnaire collecting research tool on basic theological background disclosed precedent study, implements a survey about pollee's general characteristic, parents' authoritarianism tendency about student's lateness, university student's self-identity & school life satisfaction by made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analysis frequency & technology statistical analysis, t sample,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Program as following research analysis. First, the result calculating a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s each below main cause of main measurement variable of this study, parents' authoritarianism tendency and university student's self-identity & school life satisfaction. If we consider 4 point of full marks of this criterion, pollee' student's parents' authoritarianism tendency is shown as not high, University students' self-identity is positive as whole average of university student's self-identity is 3.66. school life satisfaction is positive as Whole average of school life satisfaction is 3.42, but there is a distinction from a standard of satisfaction by each bellow main cause. Second, the result analyzing the difference of student's self-identity as a standard of parents' authoritarianism tendency, an self-identity is as 3.74 lower than 3.59 of one, the difference is profitable in statistics. therefore, The lower parents' authoritarianism tendency is, the higher their children's self-identity. The subjectivity, proprioceptive sensation, closeness of low main causes of self-identity is distinguished from in statistics as a standard of parents' authoritarianism tendency. Generally, the average of each low main cause is higher in group of low authoritarianism tendency. Third, the result analyzing the distinction of university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as a standard of parents' authoritarianism tendency is not meaningful whole average as well as low main cause of school life satisfaction is not meaningful distinction as standard of parents' authoritarianism tendency in statistics. therefore, university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is not relation to standard of parents' authoritarianism tendency. Fourth, the result analyzing the correlation of main cause of parents' authoritarianism tendency and student's self-identity, the coefficient correlation parents' authoritarianism tendency and student's self-identity is -.176, is weak (-) relation. in other words, the stronger parents' authoritarianism tendency is, the weaker children's self-identity is, but because the coefficient correlation size is not large, the effect is considered weak. Fifth, the result analyzing the correlation of main cause of parents' authoritarianism tendency and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whole coefficient correlation of main cause of authoritarianism tendency and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is not meaningful distinction. The partial statistics of low main cause is meaningful a little, the size is considered weak. To conclude, university student's self-identity is influenced from parents' authoritarianism tendency, the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is influenced from the environmental main cause and their school more than parents' authoritarianism tendency. that is, the establishment of self-identity is the task of development process of from adolescent period to extension of adolescent period, because of mental part, is influenced importantly by home environment and parents' effect. so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is shown various environmental main cause besides home is influenced multiply. Therefore, I suggest when considering region deviation this researcher need to research with a follow-up being higher generalization possibility of study result collecting pollee more extensively, not limited measurement tools children's aware, analyzing measurement tools parents make in direct and the necessity of study of considering parents' awareness distinction. 본 연구는 부모의 권위주의 성향이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서울, 경기지역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및 학교생활만족에 그들 부모의 권위주의 성향이 미치는 영향 및 서울, 경기지역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및 학교생활만족도와 그들 부모의 권위주의 성향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실증적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에 소재한 5개의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62명을 임의 표집 하여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258부였다. 연구기간은 2011년 3월 23일 부터 2011년 5월 3일까지였으며, 연구절차는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진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조사도구를 선정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작성된 설문지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권위성향,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학교생활만족도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분석, t검정, 상관관계분석으로 아래와 같은 연구결과로 분석하였다. 첫째, 본 연구의 주요 측정변수인 부모의 권위주의적 성향,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및 학교생활만족도의 각 하위요인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한 결과 조사대상 대학생들의 부모는 평균적으로 권위주의 성향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학생들의 자아정체감은 전체평균이 3.66으로 긍정적인 경향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만족도는 전체 평균이 3.42로서 대체로 긍정적인 편이라고 할 수 있지만, 각 하위요인을 보면 만족도의 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권위주의 성향수준에 따른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차이를 분석한 결과 권위주의 성향이 ‘상’인집단의 평균은 3.59로 권위주의 성향이 ‘하’인 집단의 평균 3.74 보다 낮으므로 부모의 권위주의적 성향이 낮을수록 자녀의 자아정체감 수준은 높다고 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각 하위요인의 평균은 권위주의 성향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더 높았다. 셋째, 부모의 권위주의 성향수준에 따른 대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교생활만족도의 하위요인 뿐만 아니라 전체 평균도 권위주의 성향 수준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는 부모의 권위주의적 성향과 관련이 없다고 할 수 있다. 넷째, 부모의 권위주의 성향요인과 자녀의 자아정체감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권위주의 성향 요인과 자아정체감 요인 간의 상관계수는 -.176으로서 약한 부(-)의 상관이 있었다. 즉 부모의 권위주의적 성향이 강하면 자녀의 자아정체감 수준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상관계수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그 영향력은 약하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부모의 권위주의 성향 요인과 자녀의 학교생활만족도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권위주의 성향 요인과 학교생활만족도 요인의 전체 상관계수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요인 중 일부분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지만 상관관계의 강도가 약한 편이라 가설의 일부만 지지되었다. 결론적으로 대학생들의 자아정체감은 권위성향의 부모로부터 대체적으로 영향을 받지만, 학교생활만족도는 부모의 권위주의적 성향보다 자신이 속한 학교나 환경적인 요인들이 변수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자아정체감의 확립은 청소년기로부터 청년기까지 연장선상에 있는 발달단계의 과업이며, 심리내적인 부분이라 가정 내의 환경이나 부모의 영향권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학교생활만족도는 가정 외의 여러 가지 환경적인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대학의 지역적인 편차를 고려할 때 조사대상을 보다 광범위하게 선정하여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후속연구와 더불어 부모의 권위성향을 자녀가 지각한 측정도구에 한정하기 보다는 부모 자신이 직접 작성한 측정도구도 함께 분석하는 것과 부와 모의 지각차를 고려한 연구도 필요함을 제안하는 바이다.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ocial Capital and Job Choice Motivation on Life Satisfaction of Chinese College Student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Place Attachment

        제천상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현대 사회가 발전할수록 대학생에 대한 기대와 요구가 점점 더 높아져 대학생들의 학습과 생활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 대학생들은 자신의 취업, 학업, 감정, 결혼, 정신건강 등 문제에 대해 갈수록 힘들어 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심지어 대학생들의 불안·우울·자살 등 일련의 사건들이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대학생에 대한 정의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넓은 의미에서, 대학생은 일반적으로 고등교육을 받고 대학 또는 그 이상의 학력을 가진 고급 전문인력을 가리킨다. 그들은 사회의 신기술과 선진적인 사상을 가진 사람들로서 사회 진보를 이끄는 선구자 역할을 한다. 좁은 의미의 대학생은 대학 및 그 이상의 고등교육을 받는 재학생을 의미한다. Dagnall 등(2019)의 생활만족도가 대학생의 정신건강 수준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며,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정신건강 수준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주장을 하였다. ‘소셜 네트워크 이론’에서 개인이 가진 지속성 있는 관계 네트워크의 본질은 자원의 총합이고, 개인이 보유한 사회적 네트워크의 규모와 양은 개인의 이익에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리고, 개인의 이익은 생활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외부 요인이며 대학생의 직업선택 동기도 역시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기초심리욕구이론(Basic Psychological Needs Theory)은 기본적인 심리 수요와 동기, 목표 지향, 행복감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자기결정론(Self-Determination Theory)에서는 개개인에게 자기발전의 수요가 있으며, 이는 후천적으로 습득되는 것이 아니라 선천적으로 지닌 자아실현의 기본 심리적 필요라고 주장한다. 이걸 등(2013)의 연구에 따르면 자기 효능감이란, 개인이 학업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과 학업,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능력에 대한 판단을 의미하며, 범리나와 비광위 등(2019)에서는 사회적 자본, 지역 애착 등을 통해 생활만족도를 예측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선행연구 내용을 종합하면, 대학생의 사회적 자본, 직업선택 동기, 자기 효능감, 지역 애착 및 생활만족도 사이에는 상호 관계가 있다. 선행연구에서 앞서 언급한 변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체계적인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또한 구조 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다양한 변수와의 인과 관계를 분석하는 학자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자본과 직업 선택 동기가 자기 효능감과 지역 애착을 통해 대학생들의 생활만족도를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자본, 직업선택동기, 자기효능감, 장소애착,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 목적은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생활만족 현황과 문제점을 조사하고, 설문자료를 통해 대학생의 사회적 자본, 직업선택 동기, 자기 효능감, 지역애착 실태를 실증하고자 한다. 둘째, 실증분석을 통해 사회적 자본과 직업선택 동기가 대학생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과 지역애착의 매개효과를 탐색하고자 한다. 셋째, 대학생의 생활만족도 향상, 생활스트레스 해소, 심리상태 개선을 위하여 사회적경제 관점의 정책적, 실천적 제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넷째, 사회적경제학 분야에서 대학생의 생활만족도, 직업선택 동기, 자기효능감, 지역애착 등의 연구결과를 확대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의 특성과 연구내용에 따른 다음과 같은 연구질문을 제시시하였다. 첫째, 대학생들의 사회적 자본, 직업선택 동기, 자기효능감, 지역애착, 생활만족도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의 사회적 자본이 자기효능감, 지역애착,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셋째, 대학생의 직업선택 동기가 자기효능감, 지역애착,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넷째,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지역애착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다섯째, 자기효능감과 지역애착은 사회적 자본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가? 여섯째, 자기효능감과 장소애착은 직업선택동기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가? 본 조사에서는 총 679부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그 중에 유효 설문지는 590부였으며 회수율은 86%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26.0 및 AMOS24.0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기술통계 분석을 통해 응답자의 기본 현황을 분석하고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 분석, 확인적 요인 분석 및 판별 타당도 분석하였다. 그리고 구조 방정식, 경로 분석 및 매개 효과 검정을 통해 각 변수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자본은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현저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조사 환경, 조사 대상 및 표본들의 문제로 인한 결과일 수 있다. 둘째, 직업 선택 동기는 생활만족도에 현저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자본은 자기 효능감에 현저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자본은 지역 애착에 현저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직업선택 동기는 자기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현저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직업선택 동기는 지역 애착에 현저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자기 효능감은 생활만족도에 현저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역 애착은 생활만족도에 현저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자본이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 효능감과 지역 애착은 완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업선택 동기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 효능감과 지역 애착의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정책적, 실천적, 학문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정책적 제안으로 첫째, 정책입안자들이 새로운 정책의 개선과 추진을 통해 대학생의 사회적 자본을 증가시켜 생활만족도를 향상시켜야 한다. 둘째, 기업들이 근무 환경 개선, 근무 보수 인상, 직원을 위한 합리적인 직업 계획 설정, 의료 보험을 비롯한 보장 제도 개선을 통해 대학생의 직업 선택의 외부 동기를 향상시킴으로써 생활만족도를 높여야 한다. 실천적 제안은 첫째, 대학생들은 자신의 직업 가치관과 직업 업무에 대한 관념을 바꿔야 한다. 자신에게 도전하고 자신의 역량을 제고해야 한다. 둘째, 학부모들은 교육 개념을 전환하여 자녀의 적성에 맞게 교육 방법을 취해야 한다. 또 가정의 사회적 자본을 발굴하는 것도 자녀의 성장과 취업에 중요한 현실적 의미를 갖는다. 학문적 제안은 첫째, 데이터 분석은 시간이 지나가면서 변수들 간의 상호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관계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반영할 수 없다. 이는 앞으로 논의해야 할 문제로 남게 된다. 둘째, 물리적 공간의 관점에서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물리적 공간의 특성을 찾아 물리적 공간과 변수의 관계를 통해 실질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도 있다. 셋째, 다른 분야의 학자들과 협력하여 본 연구의 내용을 더욱 깊이 있게 탐구하여 대학생들의 생활만족도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 With the diversified development of society, public expectations and demands on the contemporary college student group are getting higher and higher, which makes them under great pressure in both study and life. The confusion of college students in employment, study, emotion and marriage is increasing, and the mental health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are becoming more and more serious. A series of negative events about college students' anxiety, depression and suicide have also become hot issues in the society. There are two main interpretations of university students. Broadly speaking, college students are generally defined as senior specialists trained by the state in society who have received higher education with a university degree or above. They are people with new technologies and cutting-edge ideas in society, and also refer to the pioneer group that leads social progress. In a narrow sense, college students refer to students who are receiving full-time or part-time higher education at undergraduate level or above. The results of Dagnall et al.(2019) in their article on psychometric assessment show that life satisfac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dica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increase of life satisfaction is conducive to the improvement of psychological well-being. From the "social network theory", the persistent network of relationships that an individual has is essentially the sum of certain resources. The size and number of social networks possessed by an individual affect the size of personal interests to a certain extent, and personal interests are an important external factor directly affecting life satisfaction. College students' job choice motivation is also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ir life satisfaction. Basic Psychological Needs Theory suggests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motivation, goal orientation, well-being. Self-determination theory suggests that there is a developmental need in individuals that is not acquired but innate, the basic psychological need for human self actualization. Li Jie et al.(2013) showed that self-efficacy refers to the judgment and confidence of individuals in their ability to successfully complete academic tasks and increase academic and life satisfaction. Fan Lina and Fei Guangyu et al.(2019) found that social capital, and place attachment both positively predicted life satisfaction. Therefore,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social capital, job choice motivation, self-efficacy, place attachment and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have covered the above variables, but no systematic research has been formed, and no scholars have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of the above variables, so this paper studies how social capital and job choice motivation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group through self-efficacy and place attach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job choice motivation, self-efficacy, place attachment, and life satisfaction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The main research objectives are the following. First,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and demonstrate the actual situation of social capital, job choice motivation, self-efficacy, and place attachment of college students through survey data. Second, Explore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job choice motivation on college students' life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place attachment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ird, Propose policy suggestions from the socio-economic perspective that are conducive to improving college students' life satisfaction, relieving their life stress, and improving their psychological condition, and practical suggestions. Fourth, Expand the research results of life satisfaction, job choice motivation, self-efficacy, and place attachment of college students in the field of social economic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propos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the research content. First, what is the current status of social capital, job choice motivation, self-efficacy, place attachment, and life satisfaction among college students?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social capital on self-efficacy, place attachment, and life satisfaction? Third, what is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job choice motivation on self-efficacy, place attachment, and life satisfaction? Fourth, what are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and place attachment on life satisfaction? Fifth, do self-efficacy and place attachment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social capital and life satisfaction? Sixth, do self-efficacy and place attachment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job choice motivation and life satisfaction? Combin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 sorte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using the Chinese college student population as the object, social capital and job choice motivation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study, self-efficacy and place attachment as the mediating variables, and life satisfaction as the dependent variables. A total of 679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in the formal survey, with 590 valid questionnaires and a return rate of 86%. The text study used SPSS26.0 and AMOS24.0 to analyze the data.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sample was explored by descriptive analysis,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data and the discriminant validity among variables were examined by reliability te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discriminant validity analysis. Structural equations, path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s test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intrinsic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Social capital has a positive but not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which may be due to the survey environment, the survey respondents and the sample. Job choice motiva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ocial capital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Social capital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lace attachment. Job choice motivation has a positive but not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which may be due to the survey environment, the survey respondents and the sample. Job choice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lace attachment.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Place attachment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place attachment have a fully mediated effect on lif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of job choice motivation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place attachment had a partially mediated effect on life satisfaction. Policy suggestions, practical suggestions and academic suggestions are presented in conjunction with the research findings. Policy suggestions. First, suggestions for policy makers to improve the social capital of college students by improving and implementing new policies, thus improving their life satisfaction. Second, suggestions for enterprises to improve the job environment, increase job pay, provide reasonable career planning for employees, and improve conditions such as pension and medical care to improve the extrinsic motivation of college students to job, thus contributing to their life satisfaction. Practical suggestions. First, the advice for college students, college students should improve their professional values, improve their views on matters, and strive to challenge themselves so as to improve their self-cultivation. Actively pursue spiritual satisfaction and moderately pursue material satisfaction. Secondly, the advice to the families of college students, parents should change the concept of education and teach according to their ability.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explore the social capital of the family, which is of great practical significance to the growth and employment of their children. Academic suggestions. First, the analysis of data on the cross-sectional plane does not reflect whether there are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at different times or whether these relationships change in any way over time, which is an issue that needs to be further explored. Secondly, we consider analyzing correl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physical space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space and help solve practical problems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pace and variables. Thirdly, we hope that scholars from other disciplines can cooperate with each other and work together to further deepen the content of this study, so as to help the college student group improve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which can also help the local government, local enterprises and local economy to provide theoretical support for further development.

      • 교양체육 참여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동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교양체육 수업 참여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이를 토대로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지속적인 스포츠 활동을 교양체육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가를 연구하여, 대학 교양체육 수업의 발전과 활성화에 기여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의 대학생활 만족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교양체육 참여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대학생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C도시 소재의 K대학교의 졸업생을 제외한 2019년 9월까지 재학 중인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 편의표본추출법으로 350명을 표본추출을 한 후 설문지를 배포하고 작성,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26명의 표집을 이 연구에 사용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21.0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일원변량분석과 다중회귀 분석을 실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고등학교 유형, 고등학교 지역, 입학전형, 전공계열, 학년, 한 달 지출비용, 교양체육 참여횟수, 스포츠 관심수준)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성별, 입학전형, 전공계열, 학년, 교양체육 참여횟수, 스포츠 관심수준에서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인지된 신체능력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고등학교 유형, 고등학교 지역, 한 달 지출비용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만족도 차이의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은 교수관계, 학교행사, 학습활동, 학교생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학전형에 따른 대학생활 만족도 차이의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습활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유형에 따른 대학생활 만족도 차이의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교생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지역에 따른 대학생활 만족도 차이의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하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계열에 따른 대학생활 만족도 차이의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수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대학생활 만족도 차이의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수관계, 교우관계, 규칙준수, 학교행사, 학습활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달 지출비용에 따른 대학생활 만족도 차이의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수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양체육 참여횟수에 따른 대학생활 만족도 차이의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수관계, 학교행사, 학습활동, 학교생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관심수준에 따른 대학생활 만족도 차이의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우관계, 교수관계, 규칙준수, 학교행사, 학습활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양체육 참여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인지된 신체능력은 대학생활 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교우관계, 교수관계, 학교행사, 학습활동, 학교생활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신체적 자기표현 자신감 요인은 대학생활 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교우관계, 규칙준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교양체육 참여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대학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대학 교양체육의 활성화에 필요한 점이나 보완할 점을 파악하여 질 높은 수업의 운영을 통해 대학생의 교양체육 수업 참여를 증진시키고, 교양체육 수업 참여를 통해 학생들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높여 건전하고 높은 대학생활 만족에 기여 할 수 있도록 하는 여건을 조성해 주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