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침례교회의 사회복지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진환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상담복지대학 2012 국내석사

        RANK : 250671

        한국의 기독교는 단 시간 안에 놀라운 부흥을 가져왔다. 그러나 개인 영혼의 구원에만 신경을 쓰고 노력한 결과 교회의 커다란 외형의 확장은 이루어지만 구원 받은 사람이 어떻게 삶을 실천해야 하는가에 대해서 많은 사후관리가 부족하고 소홀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믿지 않는 자들과 타 종교인들이 기독교에 대한 인식과 시선을 올바로 보지 못했다. 이러한 반응으로 교회가 사회에 대한 영향력 상실은 잃어버리는 것 같고 사랑의 종교인 교회가 마치 자기들만 아는 이기적인 집단으로 매도되는 현실로 변했다는 인식이 되어진 것이 아닌가? 성경 말씀에서 ‘네 이웃을 내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사회복지활동을 말씀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며, 따라서 사회복지 활동을 하는 것은 중요한 사회복지 대책이 되리라본다. 본 연구는 교회의 본질과 사명, 기능 및 역할, 교회사회복지의 정의 및 특징 등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였으며 목회자, 교역자 및 성도 중심으로 교회사회복지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후 도시, 농촌의 5개 침례교회 사회복지 실태를 파악하여 문제점을 도출해내고 나아가 교회사회복지활성화를 위하여 교회 사회복지는 교회가 주체가 되어 취약 계층을 향한 복지활동을 통하여 교회 자체를 지역사회화 하는 것을 의미 한다고 할 수 있다. 교회가 사회적 책임을 인식하고 지역사회주민과 교인과 함께 성장하기 위해서 실천해야할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목회자 및 교역자, 성도들은 교회사회복지가 교회의 본질적 사명임을 인식하고 있으나 교회가 성장과 선교 전략에 밀려 사회복지 실천에는 소극적이므로 목회자의 사회복지에 대한 올바른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목회자가 느끼는 사회복지 실천의 장애 요소는 재정 부족 및 사업 수행의 인력의 부족에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과감한 교회 재정의 구조 개혁과 전문 인력 양성 및 자원봉사자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교회와 교회, 교화와 관계기관과의 협력 체계를 통하여 사회복지 관련 전문지식이나 기술을 구축하고 유기적인 지역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해야 한다. 위와 같이 활성화방안이 이행 될 때 교회는 혼탁한 사회 속에서 공신력이 회복되고 선교의 터전이 확장될 것이며 교회의 본질적인 역할을 감당케 될 것이다. Christianity of Korea has brought surprising revival in a short period of time. However, it only focused on individual's salvation. As a result, church's exterior extension is achieved, but lack of following up control for those who are saved. Therefore, can't see the right view and consciousness of non-believer and other religious people. Because of this reaction, people tend to think church lost impact on society and abuse as selfish group. It is true that social welfare activity doesn't follow that the bible said 'to love your neighbor as you love your bod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o social welfare activity can be a countermeasure for social welfare. This study based on church's essence, order, ability, and role, and church social welfare activity's justice and feature. Moreover, check the factor that influence church social welfare activity center by pastor and religious worker and find out reality of five baptist churches in rural area. Furthermore, for church social welfare invigoration, church becomes principle agent and through welfare activity for minor, make church involves in social community. These are the following things that church needs to practice in order to recognize its social duty and develop with the believer. First, pastor, religious worker, and believers recognize that churhc social welfare in church's essential duty, but it pilled up by growth and strategy for missionary. Therefore, pastor's right understanding about social welfare is required. Second, the disturbing factor that pastor feels is about lack of finance and peopl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church needs to reform church's finance affair and develop professional worker and volunteers. Third, church and church, through church's agency concern cooperation network tighten up expertise and technique. When this invigoration way works, church recovers its public confidence from the corrupted world, extends place of missionary and work as a vocation of church.

      • 한국 다문화 가정에 대한 기독교 상담 접근 방안

        박영희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상담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 가정에 대하여 기독교 상담적 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첫째, 다문화 가정의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다문화 가정에 대한 성경적 관점은 어떠한가, 셋째, 다문화 가정에 대한 효율적인 기독교 상담의 방안은 무엇인가에 대한 것이다. 한국의 다문화 가정은 한국인과 다른 민족 또는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포함된 모든 가정, 국제결혼 가정, 외국인 근로자 가정, 북한이탈주민 가정, 외국인 유학생 가정을 총칭한다. 한국의 총 외국인의 수는 120만명에 이르며 부부간의 이혼, 자녀 양육의 어려움, 의사소통의 어려움, 경제적인 문제와 한국인 구성원들간의 갈등, 한국 사회에서 편견과 선입견 등의 어려움 속에 쌓여 있다. 기독교 상담자는 한국의 다문화 가정이 “모든 민족에게 가서 제자를 삼으라(마28:18)”는 말씀에 따라 다문화 가정이 하나님 나라를 향한 복음 전파의 대상임을 깨닫고 기독교 상담을 통하여 그들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예수 그리스도께로 인도받아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도록 돕는다. 이를 위한 기독교 상담 방안으로서, 첫째, 기독교 상담자의 정체성을 유지할 것, 둘째, 다문화에 대한 열린 마음을 가지고 있을 것, 셋째, 다문화 가정을 위한 상담 및 가족 관계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 할 것, 넷째, 프로그램 구성시 쉽고 간결하게 구성하며 한국인 구성원들의 어려움을 반영하는 태도를 취할 것, 다섯째,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을 위한 언어, 문화, 기독교 세계관 교육을 할 것, 여섯째, 전문 기관과의 연계 체계를 구축할 것, 일곱째, 체계적인 기독교 다문화 전문 상담사의 훈련과 교육, 자격증 제도 등을 설립 할 것이 제시되었다. 기독교 상담은 다문화 가정이 기독교 상담 방안을 통하여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그들의 어려움이 축소되어지며 그들이 한국의 국제적 선교적 재원이 되도록 도울 수 있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Christian counseling approach to multicultural families that are increasing in the Korean society.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is first to find out how the actual condi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Second, how is the Bible-based viewpoint on multicultural families? Third, what is a way of efficient Christian counseling for multicultural families?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generally designate all families that include people different from Korean people or persons who have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and the number of total foreigners in Korea amounts to 1.2 million.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are surrounded with the difficulties because of divorce, raising children, communication, economic problems, conflict between Korean family members and foreign family members, and prejudice and preconception in Korean society. Christian counselors realize that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are a target of the Gospel's spread toward the kingdom of God according to words that "disciple people in all nations, baptizing them in the name of the Father, and the Son, and the Holy Spirit (Matthew 28:29)”, solve their difficulties through Christian counseling and help them recover a relationship with the God by being guided to Jesus Christ. By the literature review, the following approach was suggested. First, the identity of Christian counselors should be kept. Second, Christian counselors should have an open mind on multiple cultures. Third, Christian counselors should develop programs for improving family relationships of multicultural families. Fourth, Christian counselors should take an attitude that reflects difficulties of Korean family members by composing it easily and simply in case of developing a program. Fifth, Christian counselors should educate language, culture and Christian world view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Sixth, it is necessary for Christian counselors to construct a linkage system with specialized institutions for multicultural families. Seventh, also needed for Christian counselors are specialized education, training, supervision, and certification programs that which set them apart from general counselors. Christian counseling should help multicultural families recover a relationship with the God, make their difficulties reduced, and help them become international Christian missionary resources.

      • 기독교 상담모델로서 성경적 코칭

        김주철 한영신학대학교 상담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study aims to apply the widely-used coaching paradigm as a biblical counseling took in christian counseling and also to suggest the biblical counseling standards, a christian duty, as a general counseling model. Especially, it attempts to find the solution to the fundamental problems and spiritual directionalities in biblical perspective that is lacked in general counseling. Also, it attempts to suggest alternative solutions to the limitations in counseling the general population with christian counseling techniques through the positive code of coaching. Many people in modern world struggle to find a better life and become more mature physically, mentally, socially, and spiritually. Also, the christians always have to remind themselves of their identity as christians while counseling. Furthermore, to treat mild mental or emotional conditions to serious illnesses, such as addiction, and to help the others live a full life after recovering the relationships christian counselors have to possess appropriate biblical perspectives and theories. Therefore, the theory of christian counseling and the theoretical examination of the Bible are crucial keys in finding the reason behind many problems and also in discovering solutions. Currently, many areas in our society are emerging with various leaderships using the coaching paradigm including the successful christian counseling models. As mentioned in Seligman’s positive and happy paradigm changes in the 21st century, the changes in the field of counseling will become an opportunity for many to feel a deeper spiritual catharsis through the theory of biblical coaching and its applicative model. The coaching method that follows the Bible closely and the confrontation and suggestions will enable a high-quality counseling to show the possibilities of changing the person being coached(PBC) himself, which is a principle purpose of biblical coaching, for those who are looking for happiness and success through the power of th Holy Spirit with in the methods. This study first made sure of the foundation of the biblical coaching to suggest the models of christian counseling using the modern technique of coaching. Then, using this foundation, it examined the general concepts and contents of coaching to add the coaching counseling techniques and ultimately suggested the expanded application of biblical coaching as a model of Christian counseling. This study, in particular, added the biblical values and concepts to the Hidedake’s three coaching philosophies as follows: First, anybody in God has unlimited potential; Second, all the answers to life exist within the person himself, not the problems; Third, to use the potential and to improve one’s life, the individual needs the biblical coaching. In other words, for the PBC’s whole development and problem-solving, biblical coaching should be applied to all the counseling areas. This study examined the biblical coaching in individual counseling, Sunday school in churches, healing family relationships, training the fathers, and in faith communities for its role of managing and leading and also looked at the possibilities of approaching in teenager counseling, healing and recovery area, and professional area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e W-Model, one of the main models of biblical coaching, as a standard of christian counseling for the grafting of coaching and also the theories to generalize it. In presenting the biblical coaching model, this study presented the fundamental theory of ABCD in showing the biblical coaching model and its basic concepts. Also, as a process of recovering the shape of God and finding the order of creation, biblical coaching is also a process of experiencing God’s love and practicing the unlimited love, which is shown in the main steps of biblical coaching, LOVE. Through the 8-step process of W-Model and its subdivisions, I hope to see the PBC’s full healing, recovery, growth and maturation and furthermore, a more holy spiritual development. The future directions of this study can be directed towards the biblical coaching programs that can be used in general counseling scenes and proving their effectiveness. 본 논문은 현재 다양한 영역에서 그 빛을 발하는 코칭페러다임을 성경적 상담의 도구로 바꾸어 기독교 상담에서 적용해 보고자 하는 목적과 함께 이 시대 크리스찬의 사명인 성경적 상담의 틀을 일반적 상담모델로서 제시 할 필요성을 느껴 연구하게 되었다. 연구결과 일반상담의 입장에서 나타나는 영성부족은 성경적 관점에서 그 방향성과 근본적인 물음의 해결책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기독교상담의 제한점인 일반인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어려움은 코칭이라는 긍정적인 코드를 가지고 접근 할 수 있다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다수 현대인들은 더 나은 상태로의 삶을 지향하면서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분야 모두를 성숙시키고자 하는 열망이 있다. 또한 크리스찬은 상담현장에서 기독교인이라는 정체성을 늘 염두 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더 나아가 심리 정서적 가벼운 증상에서 중독과 같은 심각한 병리현상을 치료하고 적극적으로 관계를 회복하며 성숙한 삶을 살도록 돕기 위해 기독교 상담자들은 성경적 관점과 원리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런 맥락으로 기독교 상담 이론과 성경적 코칭의 고찰은 그 문제의 원인을 찾아 온전한 해결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어 많은 의미와 중요성을 지닌다. 이제 셀리그만이 언급한 것처럼 긍정과 행복의 21세기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상담현장은 성경적 코칭이라는 이론과 실행의 모델을 통해 더 깊은 영적 카타르시스를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되리라 본다. 성경이라는 텍스트를 통한 코칭과 말씀에 입각한 직면과 제안은 성경적 코칭의 근본 목표인 PBC 자신의 변화 가능성과 함께 그 안에 있는 성령의 능력으로 행복과 성공을 찾는 이들에게 차원 높은 상담과 풍성한 결실이 맺혀 질 것이다. 본 연구는 말씀에 근거한 성경적상담의 관점을 코칭이라는 현대 범용적인 도구를 적용하여 기독교상담의 모델로 제언하고자 먼저 기독교상담의 고찰을 통해 성경적 코칭의 기초인 토대를 다져 보았다. 이제 그 토대 위에 코칭기법들을 덧입히고자 일반적인 코칭원리와 철학, 내용들을 살폈으며 그 결과 기독교 상담 모델로서 성경적 코칭의 영역을 확대 적용해 보았다. 특히 히데다케의 3가지 코칭 철학에 성경적 가치와 원리를 더하여 첫째, ‘주안에 있는 인간은 누구나 무한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며’ 둘째, ‘인생문제의 모든 답은 바로 문제가 아닌 그 사람 내부에 있고’ 셋째, ‘잠재력을 발휘하고 탁월한 삶을 위해서는 성경적 코치가 필요하다’ 는 것으로 보았다. 즉 PBC(Person Being Coached)의 온전한 성장과 문제 해결을 위해 성경적 코칭이 상담의 전 영역에 적용되어야 한다. 개인적 상담현장과 교회학교, 가족치료, 아버지학교 그리고 신앙공동체에서의 청지기 리더십들의 역할로서 성경적 코치와 청소년상담, 치유회복 영역, 기타 전문영역에서의 성경적 코칭의 접근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코칭접목을 통한 기독교상담의 틀로서 ‘성경적 코칭’의 주요모델인‘ W-Model’과 이를 일반화하기 위한 이론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성경적 코칭 모델을 제시함에 있어 그 기본원리를 성경을 중심으로 ‘기본원리 ABCD’를 제시하였다. 인간들의 하나님 형상회복과 창조질서를 찾는 과정으로서 성경적 코칭은 모든 과정이 하나님의 사랑을 체험하는 과정이다. 그 체험한 사랑을 실천하는 과정으로 ‘성경적 코칭의 주요과정- LOVE’를 통해 제안하고 있다. 이 W-Model의 8 단계별 세부 코칭과제를 통해 많은 PBC들의 온전한 치유와 회복, 성장과 성숙, 나아가 거룩한 성화를 기대한다. 아쉽게도 상담현장에 일반화 하고자하는 목적의 성경적 코칭 프로그램 제안과 그 검증은 다음 연구 과제로 남겨 두었다.

      • 독거노인의 사회복지 프로그램 이용 만족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 경기도 김포시를 중심으로

        황영숙 한영신학대학교 상담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study is an inquiry into programs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those who experience them, namely, senior citizens who live alone. Specifically, it investigates how these programs relate to their users' quality of life, and how user satisfaction levels influence their quality of life. This study combined document-based and reality-based investigations. The former made reference to theories related to welfare of the senior citizens, as well as studies in academic theses and journal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living alone, the realities of programs for the elderly, and the satisfaction of the senior citizens with their quality of life. The latter analyzed programs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satisfaction levels in respect to them centered on men and women aged 60 and older living alone and using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social welfare center for the elderly in Kimpo City, Gyeonggi Province. The study also used theoretical bases to analyze how individual backgrounds influenced the quality of life of these senior citizens.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f men and women living alone and who were using the facilities for elderly recreation and physical education and the elderly social welfare center in Kimpo City. A practical study was carried out using 189 respon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enior citizens under study were using various programs at various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they generally expressed positive views about the programs. Second, the senior citizens under study generally viewed their quality of life negatively. Sub-factors of quality of life included social relations, which were viewed positively, and physical health, state of mind, and life environments, which were viewed negatively. Third, differences were noted in respect to satisfaction with programs based on gender, state of health, economic situation, and the length of use of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Satisfaction with programs were higher for women than men, and also tended to be higher the healthier the individual's physical health and economic state, and the longer they used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Fourth, differences in how these senior citizens viewed their quality of life were also noted based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excepting gender. Viewed broadly, quality of life was viewed more positively the younger, physically healthier, economically secure, and the longer they used the facilities. Fifth, am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age, health and economic stability had the most significant impacts on perception of quality of life. Turning to sub-factors, age had a negative (-) impact on physical health, while health and economic security had positive (+) impact. Therefore, the elderly under study who were younger, healthier and more economically secure possessed positive views of their actual state of health. In regard to state of mind, health and economic stability had the most significant impact. As regards social relations, health had the most impact. As for life environment, age had a negative (-) impact, while health and economic security had positive (+) impact. Just as with physical health, the senior citizens under study who were younger, healthier and more economically secure also viewed their life environment positively. Sixth, user satisfaction with social welfare facilities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quality of life.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higher the senior citizen's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s) at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the more positive their perception of quality of lif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s) also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ub-factors for "quality of life" such as physical health, state of mind, social relations, and life environment. Also, the sub-factors most greatly affected by program satisfaction may be listed in order of greatest to least:life environment, state of mind, social relations and physical health. 본 연구는 노인복지시설에서 실시하는 프로그램을 경험한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이러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이 그들의 삶의 질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실증적 조사 연구를 병행하였으며 문헌연구에서는 노인복지관련 이론서와 학위논문 및 학술지 등 바탕으로 독거노인의 특성, 노인 복지시설 프로그램의 현황 및 실태, 그리고 독거노인의 삶의 질 만족 관련 연구를 살펴보았다. 실증적 조사 연구에서는 경기도 김포시에서 운영되고 있는 노인 복지시설 및 노인복지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남녀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복지시설 프로그램 이용 실태와 만족도를 분석하고, 이론적 근거에서 분석된 독거노인의 개인적 배경이 이들의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김포시의 노인 여가체육 시설 및 노인복지센터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남녀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89명의 응답자료를 이용하여 실증적 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거노인들은 다양한 복지시설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그 프로그램에 대한 이용 만족도는 대체로 긍정적인 수준이었다. 둘째, 독거노인들의 삶의 질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부정적인 편이었다. 삶의 질에 대한 하위 요인으로 구분해 보면 사회적 관계만이 긍정적이었으며, 신체적 건강, 심리, 생활환경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거노인들의 개인적 특성 중 성별, 건강상태, 경제상태, 그리고 복지시설 이용기간에 따라 프로그램 만족도에 차이가 있었다. 프로그램 만족도는 남자보다 여자가, 건강과 경제상태가 양호할수록, 그리고 복지시설 이용기간에 길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독거노인들의 삶의 질에 대한 인식도 성별을 제외한 개인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삶의 질 전체적으로 볼 때에는 연령이 낮고 건강 및 경제상태가 양호하며, 복지시설 이용기간이 긴 독거노인일수록 삶의 질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독거노인의 개인적 특성 중 연령, 건강 및 경제상태는 삶의 질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삶의 질의 하위 요인별로 살펴보면 신체적 건강에 대해 연령은 부(-)의 영향을 미치며, 건강 및 경제상태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령이 낮고 건강과 경제적인 상태가 양호한 독거노인들이 신체적 건강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심리에는 건강과 경제 상태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관계에는 건강상태가 영향을 미친다. 또한 생활환경에는 연령이 부(-)의 영향을 미치며, 건강과 경제상태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체적 건강과 마찬가지로 연령이 낮고 건강과 경제적 상태가 양호한 독거노인들은 생활환경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인식한다고 할 수 있다. 여섯째, 복지시설 이용 만족도는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복지시설의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 수준이 높을수록 전반적인 삶의 질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프로그램 만족도는 삶의 질의 하위 요인인 신체적 건강, 심리, 사회적 관계, 그리고 생활환경에도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프로그램 만족도의 영향력 크기는 생활환경, 심리, 사회적 관계, 신체적 건강의 순서로 나타났다.

      • 지역아동센터의 정규운영프로그램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송숙 한영신학대학교 상담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find out the method to provide more systematic and substantial child welfare by analyzing their operation systems and the contents of the program as the comprehensive child welfare service organization, which supports children in the local families and seeks the healthy growth of them. To archive them, the researcher collected operation plans (monthly and weekly plans), constructed a frame to analyze overall objective, systematic, and quantitative records, and then, analyzed the present status of the regular operation programs apply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present status of the regular operation programs is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 shows that it actively follows the operational guidelines on educational support (learning guide·supplementary learning activity), homework guide program, special aptitude program, counselling and management program, and meal service. In cases of the art/athletic education, culture program, local resource connected program, and family support program, however, it should be more revitalized. Secondly, in the characteristics of opera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 runner, the educational support (learning guide · support), homework guide program, and meal service are shown active having nothing to do with the runner. Also, in the art/athletic education, special aptitude & culture program, and welfare & child care program,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ntents and operational rate by the runner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upport of professionals, usage of the support, financial guarantee and the condition of physical environment. IIn case of living support program, however, most of centers showed low operation rate. It may be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n it and insufficient networking with the inside resource of the local community. Thirdly,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cility size, the educational support (learning guide·support), homework guide program, welfare & child protection program, and meal service were active having nothing to do with facility size. But the special aptitude and culture programs were different in operation and its rate according to the workers' working condition, efficiency, financial guarantee, physical environment, and loc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result like these, the ways of improvement by suggesting implications in the aspects of actual and polic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should be a systemization of in-service training such as work training, continuing education for the workers of local child centers as the way of securing their speciality.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m considering workers' majors and training experience, we can bring about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effective management and child welfare servic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ervice of the local child center level through the realistic treatment and working condition. The follows are the ways of program development considering local and child center users' characteristics. We should develop a standardized program, which is suitable for that area. Therefore, we should develop local child centers' common level guidelines and plans, and distribute to the fields of the local child center. On the other hand, to secure the finance and physical environment, we should seek the ways of supporting physical environment through applying graded supporting system through the program contents and facility size and building connection with the welfare delivery and supporting system. Also, there should be a way of enlarged financial support like suitable level of fee, support of professionals through local child center consultative, and activation of consignment exchange. Next, for the building of the integrated assistance with the local social resources. there should be enlarged family support program forming networks between family, school, and local community, and should build a cooperative system that can induce active participation and activation in the local society. Lastly, to build more segmented and detailed delivery system and a way of expanding the management system, the local child information center should be divided into the center and local units, which are combined into nationwide at present. And there should be realigned delivery system through service arbitration and cooperative system between local child centers and related similar facilities.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the researcher has raised the local child center's unique fields and original roles as the comprehensive child welfare service organization such as child protection, rearing function for parents and smooth adaption at schools. In the future, there should be alternatives to seek the qualitative development, which is delayed due to the quantitative growth, such as the more systematic and effective following studies on the regular operation program of the local child center, development of nurturing manual after school for the daily management, and introduction of a evaluation system on the carrying out regular programs. For these, there should be a unification of delivery system, nurture of professionals, and construction of network and cooperative system between after school workers in the local area.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가 지역 내 가정의 자녀양육을 지원하고, 아동의 건전한 성장을 도모하는 기능을 적절히 수행하는 종합적인 아동복지 서비스 기관으로서의 역할 수행 과정에서 지역아동센터의 정규운영프로그램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운영 실태 및 프로그램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아동복지 실천을 위한 보다 구조적이고 실질적인 아동복지 서비스 제공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실행하기 위해 경기도 지역의 지역아동센터를 대상으로 내부 문서인 운영계획서(월간계획안, 주간운영계획)를 수거하여 내부문서의 기록물에 대한 내용 전반을 객관적, 체계적, 양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분석틀을 구성한 후 내용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정규운영프로그램 수행현황을 분석하였다. 정규운영프로그램 운영현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운영의 적절성은 교육지원(학습지도 · 학업보충활동), 숙제지도 프로그램, 특기적성 프로그램, 아동상담 및 관리 프로그램, 부모상담 프로그램, 급식제공은 운영지침에 따라 활성화 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예체능 교육, 문화프로그램, 지역자원 연계 프로그램,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경우 활성화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영주체별 운영프로그램의 특성은 교육지원(학습지도 · 지원), 숙제지도 프로그램, 급식제공은 운영주체와 상관없이 활성화 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예체능 교육, 특기적성, 문화프로그램, 복지 및 아동보호 프로그램은 전문 인력의 지원과 원조의 활용정도 및 재정확보와 물리적 환경의 조성여건에 따라 운영주체별 프로그램의 운영 내용과 운영 비율이 각각 상이한 결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운영주체와 상관없이 생활지원 프로그램의 경우 대부분의 조사대상 센터에서 낮은 운영 비율의 결과로 나타났는데 이는 생활지원 프로그램 실천에 대한 인식 부족과 지역사회 내(內) 자원체계와의 네트워크 형성이 부재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시설 규모별 운영프로그램의 특성은 교육지원(학습지도 · 지원), 숙제지도 프로그램, 복지 및 아동보호 프로그램, 급식제공은 시설규모와 상관없이 활성화 되어 있는 분석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특기적성, 문화프로그램은 종사자의 근무여건이나 업무효율, 재정확보 및 물리적 환경의 조성여건, 시설의 지역적 특징에 따라 시설 규모에 따른 운영 내용과 운영 비율이 각각 상이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실천적 측면, 정책적 측면에서 연구의 함의를 제시함으로써 지역아동센터 정규운영프로그램의 운영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전방안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전문성을 가진 종사자의 확보방안으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교육, 보수교육 등 연수과정의 구조화가 필요하다. 종사자의 전공 및 훈련 이수실적을 고려한 직무교육, 보수교육과정 개발을 통해 효과적인 운영관리와 아동복지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현실적인 처우와 근무여건 조성을 통해 지역아동센터의 질적 서비스 수준을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다음은 지역적 특징과 이용아동의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의 개발 방안으로써 그 지역에 적합한 정형화된 지역아동센터의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지역아동센터 프로그램의 공통수준 지도과정과 지침 및 활용방안을 개발해 지역아동센터 현장에 보급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재정확보 및 물리적 환경의 조성방안의 마련으로는 프로그램 내용과 시설 규모에 따른 차등지원제의 현실적 적용과 복지전달체계 상호간의 연계와 협력 시스템 구축을 통해 물리적 환경의 지원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적정 수준의 이용료 수납 등의 재정지원 확대개선 방안과 지역아동센터협의체를 통한 전문 인력 지원과 위탁교류의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지역사회자원과의 통합지원체계 구축방안은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자원과의 네트워크를 형성해 가족지원 프로그램 확대실시와 지역사회 내 인식개선과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참여와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는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보다 세분화 되고 구체화된 전달체계 구축 및 관리감독체계의 확충방안으로 전국적으로 통합되어 있는 지역아동정보센터를 중앙과 지방단위로 분리해 운영하며, 지역아동센터와 유사관련 시설들의 소관부처 간(間) 업무조정 및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전달체계의 재정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지역아동센터가 아동보호 및 부모의 양육기능 대행, 학교생활의 원만한 적응 등 종합적 아동복지서비스 기관으로서 지역아동센터 고유의 영역과 본연의 역할을 제고하였다. 향후 지역아동센터의 정규운영프로그램에 관련한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후속연구가 심화되어야 하며, 일과운영 관리를 위한 방과 후 보육 매뉴얼 개발, 프로그램 운영관리에 대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정규운영프로그램 시행에 대한 평가제도 도입 등 그동안 양적성장에 치우쳐 미루어온 질적 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전달체계의 일원화, 전문 인력의 양성, 지역 내 방과 후 보육 종사자 간 네트워크 및 협력체계를 구축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 사회복지이념과 평등성에 관한 연구 : 교육의 기회를 중심으로

        이경수 한영신학대학교 상담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민주사회에서 평등이념이란 모든 인간은 평등하게 창조되었다는 정신에 입각해서 모든 인간이 혈통, 신분, 인종, 재산, 성별에 관계없이 일체의 차별을 받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민주사회에서 개인이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참다운 평등을 실현하고 인간의 존엄한 가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존중해 주어야 한다. 특히 인간의 잠재능력을 계발할 수 있는 수단이 교육이라면 교육은 무엇보다도 교육의 기회를 통한 평등실현에 온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더구나 어떤 사회에서도 삶의 질의 사회적 조건이 단순히 객관적으로 주어지기만 하는 것이라기보다는 개인의 자아실현에 의해서 주체적으로 획득되고 성취되는 것이라 한다면 개인의 잠재능력의 계발을 위한 기회와 조건이야말로 가장 중요한 삶의 조건이 아닐 수 없다. 또한 현대의 제도화된 교육은 한 개인의 장래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이 점차 증대하고 있다. 한 개인이 받게 되는 교육의 질이나 종류에 따라서 그의 장래 직업이나 사회적 위신 등이 크게 달라진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현대 민주사회의 모든 국가들은 모든 국민이 능력에 따라 평등하게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평등교육의 원칙을 채택하고 있다. 우리 나라도 교육의 평등은 국가의 이념이 되었으며 헌법은 "모든 국민은 능력에 따라 평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라고 선언하고 있다. 교육의 기회를 통한 평등이라 함은 학생 개개인의 수월성 성취를 위한 교육기회, 학습여건 그리고 학업성취의 평등화를 보장하는데 있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것은 누구나 학교교육을 받는다고 해서 학생 개개인의 소질을 계발할 수있고 실지로 잘 배울 수 있느냐가 심각한 관건이 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사회복지이념의 관점에서 교육의 기회를 중심으로 평등과 관련한 학자들의 주장에서 교육평등실현의 한계요인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Rawl's의 정의론적 관점에서 교육의 기회를 통한 평등실현의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Equal ideology of democracy is that all human being created equally shouldn't be discriminated by lineage , statues, race, wealth, sex. Therefore, democracy should practice true equality for people to live humanly and respect them to accomplish noble value. Especially, above all, we should be devoted to educational equalization if education is a tool for developing the human's potential. Moreover ,if equality of life as social conditions is not only simply given but is independently acquired and achieved, “the opportunity and condition for developing person's potential ability"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life. In addition, the modern institutionalized education has increased the influence of the each person' future. According to the quality and kind of education one person receive, their future job and social statues will change. This is the reason that why all modern democratic nations has adapted the principle of equal education for people to receive. Equal education become a ideology of nation in our country and constitutional law declares that " All people has a right to receive education equally according to its ability. Equality through education aim at guaranteeing opportunity of individual enable achievement, studying environment and equalization of studying achievement. However, more important thing and serious issue are developing talents of each students and making them learn well through school education. So, this research will analyze the limited element of educational equal practice insisted by scholar related in educational quality in terms of social welfare ideology and find out issue point of equal practice through education from Rawals's Justice term as a solution.

      • 사회복지조직과 애드호크라시의 변화전략에 관한 연구

        안성환 한영신학대학교 상담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자유와 민주주의를 부르짖던 시대가 점차 복지민주주의 시대로 그 변화를 거듭해가고 있는 것이 오늘날의 복지국가의 양상이다. 또한 갈수록 심해져가는 소득격차와 빈부의 격차는 복지국가를 필요로 하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사회복지제도가 더욱 중요한 정치 수단이며 인간의 존엄성을 보장하는 사회적 장치가 된 것이다. 사회복지제도는 복지국가로서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고 인간의 기본권을 존중하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그중에서 사회복지조직이야말로 복지서비스를 수요자인 Client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선창구인 셈이다. 조직의 특성에 따라서 업무의 효율성과 효과성이 달라지고 수요자 욕구에 맞는 서비스를 적기에 그리고 적절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사회복지조직은 기존의 관료제적 조직으로 기계적이며 철저한 상하관계로 인한 경직성 등으로 인하여 사회복지서비스에 필요한 융통성과 자율성을 저해하고 있다. 인간이 서비스의 공급자이면서 수혜자가 되는 휴먼서비스 관계이기에 사회복지서비스는 살아있는 생물이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대처할 수 있는 조직으로의 애드호크라시가 필요하게 된 것이다. 애드호크라시는 임시적인 조직이며 특별한 업무를 수행하는 조직으로서 필요에 따라 조직의 위기시에 일정한 기간 동안 목적을 가지고 활동해서 그 목적을 달성하면 해체되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형태를 띤 조직이다. 이러한 조직을 사회복지조직에 접목시킴으로써 위기를 극복하고 좀 더 효율적인 사회복지서비스를 창출해내는 과정으로 삼고자 하였다. 그 예로 지역사회복지관의 모금에 대하여 적용하였고, 현재 대부분 심각한 재정난에 허덕이는 지역사회복지관의 재원마련에 애드호크라시적용을 제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위기시에 가장 효과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하여 각각의 역할과 목표를 정하고 일반 영리적인 기업에서 사용하는 마케팅 기법을 사용하여 사회복지관 모금에 적용하여 보았다. 또한 애드호크라시가 과업을 달성하고 활동을 마치더라도 향후 지속적으로 효과를 내기위한 대안과 방향을 제시해보았다. 이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직접 지역사회복지관에 접목시켜 실현해보지 못하는 안타까움이 있으며 나아가 다음 연구에 더욱 발전된 연구의 밑거름이 되었으면 한다. The aspect of today's welfare state is a change from the era of freedom and democracy to the era of welfare democracy. The widening income gap between rich and poor has been also required welfare democracy. Therefore, social welfare systems become important political means and social tools for secure human dignity. The social welfare systems are extremely significant for the welfare state to concern second-class citizens and respect natural rights. Above all,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will be ultimately windows to provide welfare services for clients. By the characteristic of the organization, th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asks will be different. This will make services that the client's needs meet supplied properly and timely.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bureaucracy systems are mechanical and rigid so that they are obstructing flexibility and autonomy which are needed for social welfare services. Adhocracy in the organizations, which can deal with matters flexibly as circumstance changes has been inevitable. The adhocracy means a temporary system for accomplishing a especial task. At a risk of the organization, Adhocracy performs a particular task for a certain period then, it is dissolved to return original position if it accomplishes the task. The adhocracy system combined with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expects that it can overcome a risk and create more efficient welfare services. For example, these day community welfare centers are in their financial difficulties so that I will suggest applying the adhocracy system for funding. Therefore, a task force team, which can perform its duty effectively at a risk situation, will be formed then it decides on each goal and role. In addition, marketing tools generally used for profit companies will be applied the welfare center's funding. Finally, I will present alternatives and directions of the development which will be effective continuously after the adhocracy attains their task.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is that I can't apply in reality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with the proposal. I hope the following researches are based on this research.

      • 신학대학교 학생과 일반대학교 학생의 수치심 경향성, 자기불일치, 우울,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비교 분석

        박미하 한영신학대학교 상담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55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s of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and general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hame-proneness and self-discrepancy on university students' depress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preliminary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way that questionnaire tests were administered to 227 students from theological universities and general universities.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by means of SPSS 10.0 program,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show higher degrees of mental stability than general university students in the actual self, the ideal self, the ideal/othe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 survey on gender difference shows that, in theological universities, female students have higher degree of shame-proneness than male students. In general universities, female students show higher degrees of shame-proneness, the ideal/other, and self-discrepancy than their male colleagues.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chool, the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who feel less satisfied with their school have higher degree of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and depression. The general university students who feel satisfied with their school show higher degree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rvey on the majors of the theological students reveals that those who major in theology have higher degree of mental stability in the real self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hereas those who major in general subjects have higher degrees of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other discrepancy, general discrepancies, and depression. In general universities, the Christian students have higher degree of mental stability in the ideal self and the ideal/other than non-Christian students. Third, the comparative analyses between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Christian students in general universities, and non-Christian students in general universities show the following results.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general university Christian students, and general university non-Christian students prove to have the degree of the real self in increasing order from the lowest to the highest. General university Christian students,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 and general university non-Christian students show an increasing order of the degree in the ideal self and the ideal/other. Theological university students, general university Christian students, and general university non-Christian students show a decreasing order of psychological well-being. Lastly, the final test has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and the variables in the degree of the ideal self and the deal/other. Fourth, depression has positive correlations with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and other discrepancy,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ctual/own discrepancy. Psychological well-being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ctual/own discrepancy, while having negative correlations with depression, shame-proneness, self-discrepancy, other discrepancy. Shame-proneness and self-discrepancy prove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depression by 43% of accountability, while shame-proneness have a higher degree of influence on depression. Shame-proneness and the actual/own discrepancy wiel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by 44% of accountability. Shame-proneness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In conclusion, shame-proneness and the real self operate as important variables in reducing depression and improving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make practical programs to deal with shame-proneness and the real self in cultivating the students' positive selves in the school atmosphere. 본 연구는 신학대학교 학생과 일반대학교 학생의 수치심 경향성, 자기불일치, 우울,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자기(self)관련 변인인 수치심 경향성과 자기불일치가 대학생의 우울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신학대학교와 일반대학교에 재학 중인 227명의 학생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 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학대학교 학생이 일반대학교 학생보다 실제 자기, 이상 자기, 이상/타인, 심리적 안녕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서는 신학대학교는 수치심 경향성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일반대학교는 수치심 경향성, 이상/타인, 자신불일치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교만족도에서는 신학대학교의 경우 학교에 불만족하는 학생들이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 우울이 높게 나타났고, 일반대학교는 학교에 만족하는 학생들이 심리적 안녕감이 높았다. 신학대학교 학생의 전공에 있어서는 신학전공 학생이 실제자기, 심리적 안녕감이 높게 나타났고, 일반전공학생은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 타인불일치, 전체불일치, 우울이 높게 나타났다. 일반대학교 학생의 기독교 신앙유무에 있어서는 이상 자기, 이상/타인에서 기독교 신앙을 가진 학생들이 기독교 신앙을 가지지 않은 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신학대학교 학생, 일반대학교 기독학생, 일반대학교 비기독학생의 세 집단간을 분석한 결과는, 실제 자기는 신학대학교 학생, 일반대학교 기독학생, 일반대학교 비기독학생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이상 자기와 이상/타인에서는 일반대학교 기독학생, 신학대학교 학생, 일반대학교 비기독학생 순으로 높았으며, 심리적 안녕감에서는 신학대학교 학생, 일반대학교 기독학생, 일반대학교 비기독학생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사후검정 결과, 이상 자기와 이상/타인에서 세 집단과 변인간에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우울은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 타인불일치와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고, 실제 자기와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심리적 안녕감은 실제 자기와 정적상관을 나타내었고, 우울,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 타인불일치와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수치심 경향성, 자신불일치가 우울에 유의하게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설명력은 43%였고, 수치심 경향성이 우울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수치심 경향성, 실제 자기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하게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설명력은 44%였다. 수치심 경향성은 심리적 안녕감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에 대학생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데 있어서 수치심 경향성과 실제 자기가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대학생의 긍정적인 자기(self)형성을 위한 대학환경 구성에 있어서 수치심 경향성과 실제 자기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 기독대학생의 종교성향 및 대학생활 적응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정은실 한영신학대학교 상담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기독대학생의 종교성향, 대학생활적응이 주관적 안녕감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서울시에 소재한 H 신학대학교에 다니 고 있는 대학생 195명의 학생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검사,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대학생의 종교성향과 대학생활적응, 주관적 안녕감의 관 계를 살펴본 결과 주관적 안녕감은 종교성향의 내재적 성향 및 대학 생활적응의 대학에 대한 애착, 정서적 적응, 사회적 적응, 학업적 적응 과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신체적 적응과는 낮은 정적상관이 있었다. 종교성향의 외재적 성향과는 낮은 부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기독대학생의 종교성향이 주관적 안녕감, 생활만족도, 긍정정 서, 부정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내재적 성향은 생활만족 도와 긍정정서에 영향을 미치고, 외재적 성향은 부정 정서에 유의미 한 영향을 주었다. 이에 대한 설명력은 34%(R2=.34)였다. 셋째, 기독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이 주관적 안녕감, 생활만족도, 긍 정정서, 부정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주관적 안녕감에는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 중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정서적 적응, 대학에 대한 애착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설명력은 49%(R2=.49)였으며, 신체적 적응은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이에 기독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는 종교성향과 대학생활적응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으므로 가정, 학교, 사회가 서로 상호작용하 여 다양한 접근 방식을 통한 관심과 지도가 필요하다. 또한 상담이나 프로그램이 마련된다면 실제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of 195 students of H Theology University located in Seoul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propensity of religion an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on the subjective well-being and used the SPSS WIN 18.0 program and thereb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obtained through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the relations of the propensity of religion,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ive well-being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mmanent propensity of religion and affection about the university, emotional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and scholastic adaptation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had low positive correlation with physical adaptation. It had low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external propensity of relig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the influence of the propensity of religion of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degree of life satisfaction,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 the internal propensity influenced the degree of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emotion and the external propensity influenced the negative emotion significantly. The explanatory power about his was 34%(R2=.34). Third,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the influence of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of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degree of life satisfaction,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 only scholastic adaptation, social adaptation, emotional adaptation and affection about the university among subordinate variables of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fluenced the subjective well-being significantly. The explanatory power about this was 49%(R2=.49), and physical adaptation failed to influence significantly. The propensity of religion and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significantly influence the subjective well-being of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and therefore it is needed for homes, schools and the society to mutually interact and thereby to be concerned and to direct through various approaches. In addition, it seems that if consultation or a program is arranged, it will help in a practical way.

      • 아동학대의 경험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장사경 한영신학대학교 상담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55

        현대사회에서 아동학대는 반드시 척결되어야 할 사회적 문제로 대두 되었다. 어느 시대이건 아동 학대는 존재되어 왔지만 오늘날 아동학대 경험이 사회의 2차적 문제로 심각히 인식되면서 아동 학대는 추방해야 할 사회적 공감을 형성하게 되었다. 아동학대의 문제점은 자라면서 청소년의 비행이나 범죄로 이어지고, 나아가 성인이 된 후에는, 폭력의 가해자로 아동 학대를 그대로 답습하는 악순환 고리로 작용하여 가정과 사회와 국가에 적지 않은 문제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그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이러한 아동학대의 문제는 한 개인이나 한 가정의 문제라는 좁은 의미의 범위를 뛰어 넘어, 아동학대가 청소년의 비행과 흉악한 범죄로 이어진다면 그로인해 지불해야 할 사회적 비용 또한 작지 않기 때문에 그 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다. 아동학대가 예전부터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현대사회에 들어와서는 더 큰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현대사회에 들어와서 가족구조가 핵가족화 되고, 맞벌이 부부가 늘면서 아동들을 잘 돌보는 부모나 친척들이 아동들의 주변에 없는 것도 문제가 되지만, 최근 이혼이 급격하게 늘면서 부모들의 불화로 인한 아동학대의 문제양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도 큰 원인중의 하나이다. 더불어 아동들에 대한 인권이 향상되면서 그동안 가정 내의 문제로만 국한 되었던 아동학대의 문제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인식에 기초하여 아동학대의 경험이 청소년 비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동학대와 청소년 비행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그 연관성을 알아보았고, 설문조사와 통계분석을 통해 아동학대가 청소년 비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첫째, 아동학대의 경험은 청소년 비행에 연관성이 있으며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가 알아보고자 하였다.. 둘째, 아동학대 경험을 예방함으로 청소년 비행을 예방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셋째, 아동학대경험이 있는 아동과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적절한 상담 및 심리치료가 왜 필요한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넷째, 아동학대를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제도적인 대책마련이 왜 절실한 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다섯째, 이러한 연구를 통해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개선 방안과 아동학대를 경험한 비행 청소년들의 사회성 회복을 위한 개선 방안도 연구하고자 하였다. 현재 국가차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아동학대의 예방적 조치들과 청소년 비행의 교육체계, 가정폭력방지법 실천을 통한 현실적인 대안을 바탕으로 향후 아동학대를 예방하고, 아동학대경험을 치료하여 청소년 비행을 줄일 수 있도록 제도적인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개인의 노력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일인 만큼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정책을 마련하고 전문성, 체계성을 갖추어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아동들과 청소년들이 삶의 현장에서 실제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효율적인 아동학대 예방프로그램과 치료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실천되어야 할 것이다. 이미 교육부와 복지부가 공동으로 학교 내 아동학대 방지를 위한 관계기관 간 협력체계 구축, 학교의 자발적 참여에 의한 가정·학교 내 폭력 문화 추방, 학부모의 참여에 의한 권리침해사례 모니터링, 체벌에 대한 사회적 관행과 인식 전환, 아동단체 주도 아동학대예방 캠페인 지원, 교직과정과 보수교육에 아동권리 교육 실시 등을 협력해 나가기로 결의한바 향후 지속적인 관심이 증대하여 나가야 할 것이다. In this thesis, I have, so far, justified childhood and adolescence by theoretical inquiry about child abuse and juvenile delinquency, and found out the developmental features of childhood and adolescence. I then have justified child abuse, studied the type, the cause the feature, and the state of it . After that I have carried questions on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alyzed by using SPSS VER. 12.0 Statistics Package. In the result, first of all, we could learn that all types of child abuse, physical, emotional, sexual, even a let- alone, effect on young people's wrong-doing. Secondly, the factors of child abuse influencing to young people's wrong behaviors are orderly emotional, physical, a let-alone and sexual of it. Thirdly, in order to prevent a recurrence of young people's wrong doing, it remains the fact that we need a solution about emotional abuse problems and remedies. In the ways of improvements for prevention of child abuse, Firstly, we need to enforce education about parents and rearers. Secondly, we need marriage preparation school program. Thirdly, husband and wife schooling is necessary. Fourthly, educating parents is required as well. Fifthly, healing counsel is also needed. Sixthly, there's a need to promote social, systematical surroundings for prevention of child abuse. Seventhly, I felt the necessity to intensify supportive centers for family health for parents education and programs of social welfare. In addition, the program of improvement for prevention to restore the community of a juvenile delinquent comes first, ensuring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operating welfare-access for the return of a juvenile delinquent. Secondly, professional middle-high school teachers is necessary. Thirdly, we need to magnify the gravity of the functions of school welfare workers. And then by the practice of preventive measure development, in a wider view point, developing a social movement is necessary, in a narrower view point, psychological counselling and remedies are needed by focusing on the emotional steadiness of youths and maltreatment offenders experienced child abuse. I have felt there had been limits to know relatives of juvenile delinquents and child abuse evidently because question inquiry has been targeted to question inquiry about general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 have felt regret that I have not carried question inquiry to more students. Therefore, In my study for next time, we could get more significant results, if the question inquiry is carried to focus on the general youth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