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교육에서 PDCA 및 ADDIE 모형을 활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모형 및 교수설계 방안 개발

        이민효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PDCA를 활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모형을 개발하고, ADDIE 모형 기반의 교수설계 방안을 개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육에서 PDCA를 활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절차는 어떠한가? 둘째, 대학교육에서 PDCA를 활용한 최적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모형 및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셋째, 대학교육에서 역량기반 교육을 위한 교수설계모형을 위한 절차는 어떠한가? 넷째, 대학교육에서 역량기반 교육을 위한 최적의 교수설계모형 및 구성요소는 무엇인가? 역량기반 교육과정 모형을 수립하기 위해 선행문헌 고찰을 통해 PDCA를 활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모형 초안의 구성요소와 설계 원리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모형은 해당 분야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총 2회의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후, ADDIE 모형을 바탕으로 역량기반 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방안을 개발하였다. 교수설계 방안 개발을 위해 해당 분야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총 3회의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ADDIE 모형을 활용한 역량기반 교수설계 최종 모형에 대해서는 모형의 내적 타당도를 실시하여 모형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와 이에 근거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에서 핵심역량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수립하기 위해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PDCA의 절차모형에 따라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위한 세부 수행내용을 제시하고 11개의 하위 단계, 21개의 범주, 63개의 구성요소를 개발하였다. 둘째, 대학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모형은 Plan(계획), Do(실행), Check(평가), Act(개선)의 4단계의 절차에 따라 개발되었다. Plan(계획) 단계는 ‘교육환경 분석’, ‘핵심역량 개발’, ‘교육목표 수립’의 주요 수행내용으로 개발하였다. Do(실행) 단계는 ‘요구 분석’,‘교육과정 설계’,‘대학의 인프라 분석’,‘평가방법 개발’의 주요 수행내용으로 구성하였다. Check(평가) 단계는 ‘역량기반 교육과정 평가’,‘학습자의 역량 향상 정도 평가’의 주요 수행내용으로 개발하였다. Act(개선) 단계는 ‘강화를 위한 도약’,‘새로운 계획 수립’의 주요 수행내용으로 개발하였다. 셋째, 대학에서 역량기반 교수설계모형 방안을 개발하기 위해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역량기반 교수설계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는 역량기반 수업 시 참조할 수 있는 상세지침을 ADDIE 모형의 5단계에 따라 11개 범주의 세부 지침을 세부적으로 개발하였다. 넷째, ADDIE 모형 기반의 역량기반 교육을 위한 교수설계 최종 모형은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5단계의 절차에 따라 단계별 지침을 개발하였다. ADDIE 모형에 따라 개발된 단계별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분석 단계는 ‘교육목표 및 환경 분석’,‘교육과정 분석’,‘학습자 분석’의 구성요소를 개발하였다. 설계 단계는 ‘학습목표 설계’,‘역량기반 수업의 평가 요소 설계’, ‘역량기반 수업의 전략 수립 및 절차 설계’, 개발 단계는 ‘평가 계획 수립 및 도구 개발’,‘수업 계획안 개발’의 구성요소를 개발하였다. 실행 단계는 ‘수업 전’,‘수업 실시’의 구성요소를 개발하였으며, 평가 단계는 ‘역량기반 수업설계 및 실행에 대한 평가’,‘평가를 통한 피드백’에 대한 내용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모형 및 교수설계 모형은 대학에서 체계적이고, 순환적인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수립하고, 교수자가 양질의 역량기반 수업을 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교육에서 역량기반 교육을 위한 기초 교수학습 자료 및 교수전략으로 유의미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

      • 대학교양교육으로써 레저승마 적용가능성과 가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이지영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At a time when interest in horses and popularization are taking the initiative and preemptive support of the administration, the public's interest in leisure horseback riding is also increasing nationwide. However, so far, cases and studies of leisure horseback riding have been limited to youth and rehabilitation treatment and university horseback riding, which can foster leaders, has been alienated. From the standpoint of overcoming these limitations, leisure horseback riding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university education by considering university talents as active being with abundant potential in expanding the base of horseback riding and fostering lead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leisure horseback riding education programs, problems and requirements felt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consumers, explore horseback riding literacy that university talents can acquire through liberal arts education and leisure horseback riding programs.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used a narrative qualitative method.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five who participated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in liberal arts education and two experienced horseback riding guidance and supervised horseback riding. Data collection considered of pre-interview questionnaires, distribution collection, interview preparation, preliminary interviews, in-depth interviews and data analysi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inductive category analysis. In other to increase the integrity of the data, a multilateral verification method and peer verification were perform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physical educ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is that physical education has shrunk a lot in existing liberal arts education programs, and it is not enough to meet the needs of educational consumers. It was insufficient to reflect the needs of educational consumers, such as lack of diversity in programs and bias toward theory. Second, the applicability of leisure horseback riding as a liberal arts education is quite favorable to the maintenance of new and mental and social health through horseback riding, fostering horseback riding literacy and one's own happy lif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e liberal arts education program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pplicability and value of leisure horseback riding as a university education requires not only horseback riding skills but also horse-raport formation, knowledge and mental education.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through this study. First, follow-up research is needed to see how the equestrian literacy acquired by participating in the liberal arts education horseback riding program of university talents can be well carried out in daily life and how it is possible. Second,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flect the requirements of liberal arts education consumers in other to ensure that university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horseback riding literacy is carried out in a substantial manner. 말(馬)에 대한 관심과 대중화가 행정의 주도적이고 선제적 지원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지금 이 시점에 레저승마에 관한 국민들의 관심도 또한 전국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레저승마 활용사례나 관련연구들은 유소년, 재활치료 등에 한정되어 있었고, 대학교양 승마는 소외 시 되어왔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보면 대학교양교육이 승마의 저변확대와 지도자 육성에 큰 몫을 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대학인재들을 잠재력이 풍부한 적극적인 존재로 간주하여 대학교양교육에서 레저승마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양교육에서 레저승마 Leisure riding 적용가능성과 가치에 관한 탐색이며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내러티브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대학 교양교육에서 체육 수업에 참여했던 5명과 승마를 지도 감독했던 경험이 있는 지도자 2명이다. 자료수집은 인터뷰 사전 질문지 작성, 배부 수거, 인터뷰 준비, 예비면담, 심층면담, 자료분석 등으로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 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자료의 진실성을 높이기 위해 다각도 검증법, 동료간 검증 등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양교육에서 체육에 대한 인식은 기존의 교양교육프로그램에서 체육은 많이 위축되어 있으며, 교육수요자들의 욕구 충족에 많이 부족하다.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족, 이론에 치우침 등 교육수요자 요구반영이 미흡하게 나타났다. 둘째, 레저승마의 교양교육으로써 적용가능성은 승마를 통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 유지에 상당한 우호적인 입장으로 승마리터러시 육성과 자신의 행복한 삶의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다수의 의견이 있어 레저승마의 가치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대학교양교육으로써 레저승마의 적용가능성과 가치 관점에서 본 교양교육 프로그램에 있어 레저승마프로그램에는 기승술 뿐 아니라 말과의 라포 형성, 말에 대한 지식과 정신 교육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대학인재들의 교양교육 승마 프로그램에 참여함으로써 습득한 승마리터러시가 일상생활 속에서 잘 영위되어질 수 있는 지, 어떠한 방법으로 가능한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승마리터러시 개발을 위한 대학교양교육이 내실있게 이루어지게 하기위해서 교양교육수요자들의 요구사항을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할 것이다.

      •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증진을 위한 대학교육의 역할 : 부산 지역 대학생들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강도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국내 대학생들의 다문화사회인식과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대학교육의 역할을 제안하고자한다. 설문은 다문화사회에 대해 국내 대학생들의 인식을 세분화하여 조사하기 위해 총 다섯 종류의 항목으로 진행하였다. 각 항목은 문화다양성, 문화교류, 다문화수용성, 취업 및 고용 차원, 대학교육으로 구성되었고 5점 Likert척도와 서술형 문항으로 결과를 수집하였다. 국내 대학생들이 평소에 인지하고 있는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문화다양성 척도에 나타난 결과에서 응답자들은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가정구성원에 대한 인식이나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는 태도를 보였으나 국내 대학생들의 외국인 및 이주민과의 관계나 교류에 대한 측정을 위한 문화교류 척도에서 응답자들은 다문화가정구성원들이 우리나라의 관습과 문화에 더 익숙해져야한다는 조사 결과를 통해 상호문화에 대한 교류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며 다문화가정 구성원들이 우리나라의 적응을 위해 더 노력해야한다고 생각함을 알 수 있다. 국내 대학생들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인식과 타문화에 대한 배경지식여부를 통해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다문화수용성 척도를 통해 응답을 수집하였다. 응답자들은 외국인 유학생과 소통이 부재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문화차이를 느낀다고 조사되었으며 대학에서 국내 대학생과 외국인 유학생의 원활한 교류를 위한 교육과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국내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는 매우 높은 편이며 따라서 국내 대학생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인식이 대학 내 인식을 넘어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으로 확대될 것으로 가정하고 취업 및 고용 척도를 조사하였으며 응답자들이 다문화가정 구성원들로 인해 내국민들의 일자리가 줄어들었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내국민과 이주민 및 외국인 유학생들의 취업지원 유형이 달라야한다는 응답이 대다수였기에 국내 대학생들이 다문화가정구성원으로 인해 취업이나 고용부분에 있어 큰 위기를 느끼거나 다문화구성원과의 사회적 공존에 있어 거부감은 없지만 지원 유형에 있어 차별을 두어야 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설문 결과를 통해 다문화사회에서 국내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대학교육의 역할을 4가지로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교과과정에서의 다문화교육 연계가 필요하다. 국내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증진을 위해 선택교양과목 뿐 아니라 필수교양과목 및 전공과목을 통해 각 전공에 융합한 교과과정에서의 다문화교육 연계가 중요하다. 둘째, 다문화수용성을 위한 전공 연계 교육과정 개발을 제안한다. 전공 연계과정을 통해 다문화가정 구성원과 공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지닐 수 있으며 학과 뿐 아니라 대학 전체 내 학생 간 소통을 기대할 수 있다. 셋째, 외국인 유학생 취업 연계프로그램이 진행되어야한다. 취업연계프로그램을 통해 대학차원을 넘어 사회차원에서까지 다문화수용성의 증진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넷째, 대학 내 전체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 인식개선교육 강화가 필요하다. 대학생을 위한 다문화수용성 증진 교육은 학과, 학교 차원의 노력과 학교 내 구성원 간의 융합을 통해 진행되어야하며 국내 대학생들과 외국인 유학생의 의견을 수립하여 인식개선교육을 계속적으로 개발해야한다. 그러므로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증진을 위해서 대학차원에서 다양한 교육적 노력이 이뤄져야하며 지속적으로 다문화연계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연구해야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이다.

      • 평생교육단과대학생이 인식한 교육서비스 질,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몰입 및 심리적 안녕감의 구조적 관계

        서범원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평생교육 단과대학생의 교육서비스 질,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몰입 및 심리적 안녕감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평생교육 단과대학생의 교육서비스 질,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몰입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둘째, 평생교육 단과대학생의 교육서비스 질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셋째, 교육서비스 질,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습몰입 및 심리적 안녕감의 구조적 관계에서 평생교육 단과대학생의 배경특성에 따른 조절효과이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평생교육 단과대학생의 교육서비스 질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심리적 안녕감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학습몰입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학습몰입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교육서비스 질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은 유의미하게 매개하였으며, 교육서비스 질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몰입이 이중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에 따라 교육서비스 질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가계소득에 따라 교육서비스 질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평생교육 단과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교육서비스 질 인식 제고,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학습몰입 강화가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

      • 초등학교 교사와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 비교 연구

        조효진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PPCF’의 목표개념을 바탕으로 하여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 그리고 배경 변인에 따른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 각각의 체육목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되었다. 연구 대상은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경기도에 근무하고 있는 초등교사 총 465명과 광주교대, 서울교대, 공주교대, 전주교대에 재학 중인 교육대학생 총 1071명, 계 1536명을 표집 하였다. 측정 도구는 “체육목표 인식 검사 설문지”로서 Jewett & Mullan(1997) 등이 체계화한 목표·과정 중심 교육과정 개념틀(Purpose Process Curriculum Framework : PPCF)을 조미혜(1992)가 우리 실정에 맞게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등교사와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체육목표 인식은 성별, 교과, 운동 기능의 수준, 체육 교과 선호도, 체육 교과 중요성의 인식 정도에 따라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남자의 경우 집단 상호 작용 개념 인식에 있어 교육대학생이 초등교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 심리적 안정성, 의사소통 개념 인식에 있어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과별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의 체육목표 인식도에서 체육과에서는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의 체육 목표 인식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예능 교과에서는 물체 조작 개념과 의사소통 개념에서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인문 교과에서는 의사소통 개념 인식에 있어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고, 자연 교과에서는 물체 조작 개념,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의사소통 개념에서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운동 기능에 따른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의 체육목표 인식도에서는 자신의 운동 기능이 상이라고 생각한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자신의 운동 기능이 중이라고 생각한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은 의사소통 개념 인식에서, 자신의 운동 기능이 하라고 생각한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은 심리적 안정성 개념 인식에서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체육 교과 선호도에 따른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의 체육목표 인식도에서 체육을 좋아하는 집단에서는 심리적 안정성과 집단 상호 작용 개념 인식에 있어 교육대학생이 초등교사 보다 높게 나타났고 보통인 집단에서는 심리적 안정성과 의사소통 개념에서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을 좋아하지 않는 집단에서는 물체 조작 개념, 심리적 안정성,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인식에서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 교과의 중요성 인식 정도에 따른 초등교사와 교육대학생간의 체육목표 인식도에서 체육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집단에서는 의사소통,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집단 상호 작용 개념을 교육대학생이 초등교사 보다 높게 나타났고, 보통이라고 생각한 집단에서는 심리적 안정성, 물체 조작, 의사소통의 개념에 있어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은 성별, 교과, 운동 기능의 수준, 체육 교과 선호도, 체육 교과 중요성의 인식 정도, 교직 경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공간적 정향, 생리적 효율성, 물체 조작 개념에서 남자가 여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교과에 따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체육과를 이수한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가 가장 높게 나왔고, 대체적으로 인문 교과를 이수한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가 가장 낮게 나왔다. 운동 기능의 수준에 따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운동 기능이 상, 중, 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체육 교과 선호도에 따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좋아함, 보통, 좋아하지 않음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체육 교과 중요성의 인식 정도에 따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공간적 정향, 집단 상호 작용 개념, 생리적 효율성 개념에서 체육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집단이 보통인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중요하지 않다고 답한 초등교사는 없었다. 경력에 따른 초등교사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에서 대체적으로 경력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은 성별, 학년, 교과, 운동 기능의 수준, 체육 교과 선호도, 체육 교과 중요성의 인식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남자가 여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심리적 안정성, 의사소통 개념에 있어 3학년, 4학년, 2학년, 1학년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과에 따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체육과의 체육목표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운동 기능의 수준에 따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운동 기능이 상, 중, 하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체육 교과 선호도에 따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에서 모두 좋아함, 보통, 좋아하지 않음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체육 교과 중요성의 인식 수준에 따른 교육대학생의 체육목표 인식도는 생리적 효율성, 심리적 안정성, 공간적 정향, 물체 조작, 의사소통, 집단 상호 작용 개념 모두 중요함, 보통, 중요하지 않음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physical education objective re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tudents. And this study was based on the theory of the purpose that Jewett and Mullan(1977) evolve of Purpose Process Curriculum Framework(PPCF).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465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in Kwang-Ju, Gyeonggido and Jeonlanamdo and 1071 students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Kwang-Ju, Seoul, Kong-Ju and Jeon-Ju were participated in this work. The research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Joe, Mi Hye's the questionnaire of physical education object recognition. The data were analyzed by subprogram with T-test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of the SPSS/PC.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alyzed in this study,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1.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objective recognition by sex, subject, the level of motor skill, preferences about physical exercise and recognition about importance of physical education . 2. Physical education objective re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pended on sex, subject, the level of motor skill, preferences about physical exercise, recognition about importance of physical education and teaching career. 3. Physical education objective recognition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tudents depended on sex, grade, subject, the level of motor skill, preferences about physical exercise and recognition about importance of physical education.

      • 대학생의 인간관계가 학업적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대학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박혜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개인이 경험하는 다양한 형태의 인간관계가 개인의 삶의 여러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중에서 대학생은 미성년이 아닌 성인으로서 폭넓은 인간관계를 새롭게 형성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아울러 대학생은 수강신청 등 학업적인 측면에서도 큰 변화를 경험하게 되며, 학습 환경과 내용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많은 대학생들은 학업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대학생에게 인간관계와 학업적 회복탄력성은 매우 중요한 변인이다. 최근에는 대학교육의 질 관리와 성과(대학교육만족도, 학업성취도)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그동안 대학생의 인간관계, 학업적 회복탄력성, 그리고 대학교육성과(대학교육만족도, 학업성취도)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각 변인 간 혹은 세 변인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확인하는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각 변인 간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를 기초로 세 변인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경험과학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활용하여 세 변인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학년과 졸업한 고등학교 소재지 통제 여부와 무관하게 대학생의 인간관계가 학업적 회복탄력성과 대학교육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학업적 회복탄력성 역시 대학교육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인간관계가 대학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학업적 회복탄력성이 일부 매개하는 것을 경험과학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학생이 폭넓은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학업적 회복탄력성 수준을 신장시키는 것이 대학교육성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t is well-known that various relationships with people affect many areas of one's life. Especially, undergraduate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R) are important because they newly form a wide range of relationships as adults. Meanwhile, undergraduates undergo major changes in their academic environment such as learning content and strategies, and many experience academic difficulties. Therefore, academic resilience (AR) is also a very important competency for undergraduates. Recently, interest in university educational performance (UEP) such as university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s also increasing. Studies on IR, AR, and UEP of undergraduates have been steadily conducted. However, studies that confirm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se variables are insuffici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mpirically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three variables. This study us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s a result, the IR of undergraduates has a positive effect on AR and UEP regardless of whether the control variables (grades, high school region from which students graduated) are set. Also, it is empirically verified that AR partially mediates the effects of IR on UE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orming a wide range of engaging IR and increasing the level of academic resilience can contribute to improve the educational performances of universities.

      • 대학교육의 국제화를 위한 외국인유학생 유치 활성화방안

        김화영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대학의 바람직한 국제화교육 정책수립을 위한 외국인유학생 유치방안에 관한 연구논문이다. UR협상에 교육분야가 포함되고 WTO체제의 본격적인 가동으로 말미암아 교육에 대한 타율적인 개방의 압력이 증대되는 오늘의 시점에서, 세계 어느 나라보다도 높은 교육열과 많은 교육비용에도 불구하고 국내교육서비스의 경쟁력은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더욱이 고등교육시장의 개방이라는 새로운 상황에 대비하여 대학에서 국제화 시대를 어떻게 수용하고 대처하느냐의 문제는 세계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데 필요한 새로운 가치관과 태도·능력을 갖춘 경쟁력있는 인력을 배출하는 교육여건을 조성하는 일이다. 또한, 이는 무한경쟁의 세계관계 속에서 한국의 생존을 보장하는 강력한 대응전략이 될 것이며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지위와 영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국가발전의 전략으로 작용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육 국제화의 의의와 과제를 찾고, 대학교육의 국제화를 위한 외국인유학생 유치정책의 현황을 조사·분석하여 문제점을 지적하고 외국인유학생 유치정책의 개선을 위한 실효성 있는 대안들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연구내용으로는, 서론에 이어 제2장에서 교육시장 개방과 관련한 대학교육국제화의 이론적 배경과 외국인유학생 유치의 필요성을 제기 하고, 외국의 유학생 유치정책 특히, 미국과 일본, 중국의 경우를 살펴보았고, 제3장에서는 연구의 모델을 제시하고 연구에 사용된 연구방법에 대해 서술 하였다. 사용된 연구방법으로는 선행연구문헌·학술지·통계자료 조사를 바탕으로 사례연구의 방법 등이 사용되었다. 제4장에서는 울산·부산지역에 소재하면서 외국인유학생유치 제도에 관심을 가지고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6개 대학을 중심으로 외국인유학생 유치정책의 현황을 정부초청 외국인장학생사업, 국제업무 담당기구 및 홍보활동, 외국대학과의 자매결연 체결현황, 외국인유학생 교류현황 등의 네 가지 측면에서 현황을 조사하였다. 제5장에서는 면접, 자료조사 등의 사례연구 통하여 밝혀진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에 대응한 외국인유학생 유치정책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문제점으로는, 첫째, 국비유학생과 자비유학생의 불균형, 둘째, 국제업무와 관련한 행정조직체제의 미비, 셋째, 외국인유학생의 국내 수학·생활 여건의 취약, 넷째, 유학생 유치를 위한 해외 유학박람회 등 홍보미흡 등이 지적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입각하여 국내대학의 외국인유학생 유치정책의 활성화를 위하여 결론적으로 제시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초청 외국인 장학생 사업의 확대·개편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국제교류 및 국제화교육과 관련한 행정체제의 정비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외국인유학생 수학·생활 환경이 개선되어야 한다. 넷째, 한국유학 홍보강화 및 한국문화 보급이 확대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대학의 바람직한 국제화교육과 관련한 다양한 영역 가운데 국내대학의 외국인유학생 유치정책과 관련한 부분에 집중하여 연구하였으며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네 가지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그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시간적·경제적 제약으로 국내 모든 대학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가 불가능하여 울산·부산지역에 소재해 있는 4년제 대학들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연구함으로써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본인의 연구가 교육개방시대를 맞이하여 우리의 대학의 국제화교육과 관련된 여러 측면을 개선하고 정책을 모색하려는 사람들을 위한 기초자료로 기여하게 될 것을 기대한다.

      • 중국 지방도시의 문화산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한·중 지방도시 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 선순환 교육시스템 연구 : 조선대학교와 저쿠우사범대학교를 중심으로

        이배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21th Century witnesses rapid development of economy, culture, and Science and Technology, also decreased school age population, capital circle, imbalanced development and local economy. According to research, the phenomenon of population growth rate, school age population, capital circle population concentration is aggravating in Korea in recent years. In addition, due to industrial development and capital concentration, many professionals are in the capital circle, and the lack of local professionals and the loss of local excellent resources have led to uneven economic development in the capital circle, deepening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n the capital circle and the local area, and becoming an obstacle to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country. Currently, China also witnesses similar conditions. In the year 2010 and 2020, according to the 6th and 7th nationwide census, the school age population is gradually decreasing, and population aging is accelerating, leading to an imbalanced population structure. Therefore, wealth gap, population faulting, and concentration in the capital region are common problems that Korea and China face, whose root cause lies in the imbalanced development in the capital circle and the local area.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governments in the two nations issued the national policys of "Balanced development" and "Common prosperity". The policy goals of Korea and China are to eliminate the polarization in the capital circle and in the local area, wealth gap, increase social productivity, leading to the balanced economic development in the capital circle and in the local region. The important resource to realize "Balanced development" and "Common prosperity" is human resource, and the supply and nurturing of talent is closely linked to "education". Therefore, education is the precondition to promote "Balanced development" and "Common prosperity" nationwide. When researchers come to Korea for further study, through the in-depth study and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it is found that the Korean digital media education system is going through further improvement, and faster social and industrial development. However, the digital media education system development in the Local City University of China is slow and unbalanced in confronting social and industrial development. The researcher analyzes and studies the decreased population and changing industry, and the virtuous cycle education system of the Department of Manga and Animation, Chosun University, Regional City University. They also proposed that countermeasures for the activation of the cultural ecosystem of the university that the researchers work in, that is, Department of Animation, Zhoukou Normal University, and other Chinese Local City Universities. For the Chinese comic education development, personnel cultivating program that is international, cutting-edge, and with innovative conciousness, is seriously needed. The Korean Comic industry ranks third in the world, and its digital media education system is developing soundly. Korean cartoon education occupies a leading place in the world. On the contrary, the current comic education system in Chinese universities is witnessing unbalanced development. China borders Korea, with similar culture, historical background, and geographical environment. Therefore, the two nations are witnessing similar problems in their development process. In case of similar environment, this paper proposes the improvement plan that is suitable for Chinese comic education system focusing on Korean comic industrial development and professional talent nurturing and using Korean comic education system as reference. Especially for solving the problem of local hollowing because of students and professional talents' coming to the capital circle, excellent talents should be fostered through quality education to serve local companies. Combined with national policy, the cultural ecosystem should be stimulated through the bond of public institutions. For this, this thesis will draw lessons from the education model of cultural industry virtuous cycle system in the Department of Cartoon Animation, Korea Chosun University, and proposes reform plans suitable for the animation development in Zhoukou Normal University in China. When conducting the preliminary thesis theory research and sorting out the previous research literature, it was found that there are many papers analyzing the curriculum setting of college animation education. Most are focusing on three educational studies: "education, teaching, and education infrastructure(environment and facility)". However, this thesis is different. The key of this research is in "education system". As a local university, to maintain its balanced development with capital circle universities, Chosun University's education system in its animation department takes three curriculum projects as the pillar, including "entrance exam, education project, employment". The deepened part in the research content conducted a concentrated study of the specialized "teaching curriculum, non-teaching curriculum", and "international exchange and industry-academy cooperation" in the animation department in Chosun University. About the "education system", this thesis firstly analyzes and sorts out the animation major entrance exam institutions in three universities in Korea and China respectively. Second, the education program refers to the contrast and analysis of the education programs of the curriculum and non-teaching curriculum, and international exchange in the animation department in six universities in the capital circle of Korea and China, middle and small size city, and local university. Thirdly, contrast and analysis is made about the employment and future after the animation department students in three colleges in Korea and China became graduates. At last, to analyze the education systems of the animation departments in Chosun University and Zhoukou Normal University, more detailed content contrast and analysis is conducted in terms of animation education and operation of the two universities. This thesis conducts contrast and analysis study of the animation department in the Gwangju Chosun University and Zhoukou Normal University of the Korean and Chinese Local City. The first part of this thesis conducts theoretical research of the related industry and social problems and policies of the cultural industry, animation, Korean "Balanced Development" and Chinese "Common Prosperity". The second part of this thesis conducts contrast and analysis of the animation education system in terms of entrance exam system, education program, and employment in Korean and Chinese Capital Circl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in medium and small size city and local city, Korea Hushi University, Korea Chosun University, Communication University of China, Shandong Institute of Arts and Crafts, and Zhoukou Normal University. After the author analyzes the paper, the development of animation education and cultural industry in local universities should be based on the development of virtuous cycle system among the company, university, and public institutions. Industrial development requires excellent talent, and the excellent education that nurtures talent. To nurture professional talent, support policies from government institutions and cultural industrialization in local cities are needed. Finally, to realize the virtuous cycl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ecosystem, policy support of the national and local cities is needed. Cultural industrialization and the revitalization of related enterprises are needed. Thirdly, an interconnected virtuous cycle of professional talent nurturing is needed, which can be said to be the "revitalization of cultural ecosystem".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the virtuous cycle substitution plan of the China Local City University and Local City Cultural Industry Revitaliza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population decrease and capital cycle talent concentration. This study will compare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education systems, to find out the effective plan that suits the Chinese common prosperity policy and Korean balanced development policy, and to provide good basic information to study the cultural ecosystem cycle development method in local city universities. Through this study, detailed analysis, research and sorting out are made of the animation department system in Korea and China. It was found that the development of the animation department education system in Chosun University can rapidly respond to the cultural change and social and industrial needs. The virtuous cycle education system of its cultural ecosystem is expected to be the plan for improving the animation department system in Zhoukou Normal University, and other local city universities in China. The production of this thesis is in the period from 2021 to 2022, with two years' study. Because of Covid 19, the field visit in Chinese and Korean universities and other realistic research has its space limitation. In addition, the animation education system of six universities in Korea and China are analyzed, and other universities are not involved. Therefore, the research content is not comprehensive enough, with room for improvement. Besides, this paper has limitations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beyond the three main research contents of entrance examination, education and employment, including educational infrastructure and teacher education development. However, if there are any opportunities, comprehensive research will be conducted on this topic. 21세기는 경제·문화·과학기술이 급성장하는 시대이자 학령인구감소, 수도권과 지방 경제발전의 불균형 시대이다. 한국에서 출산율 하락, 학령인구감소, 수도권 인구 쏠림 현상이 최근 몇 년 사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산업의 발전 및 자본의 집중화로 인하여 많은 전문인력이 수도권에 집중되어 지방에는 전문인력이 부족하고 지방의 우수자원이 계속 빠져나가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결국 수도권과 지방 간 경제발전의 불균형을 초래하였고, 수도권과 지방의 빈부격차가 더욱 심화되면서 국가의 균형발전에 장애가 되고 있다. 현재 중국도 비슷한 상황으로, 2010년과 2020년 중국의 제6차 및 제7차 전국 인구조사에 따르면 현재 학령인구가 점차 감소하고 인구 고령화가 가속화되어 인구구조의 불균형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빈부격차, 인구절벽, 수도권 집중 등은 중국과 한국이 직면한 공통적인 문제이며 그 근원은 수도권과 지방의 불균형에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은 '균형발전', 중국은 '공동부유'와 관련된 정책을 펴고 있다. 한국과 중국 모두 수도권과 지역발전의 양극화 해소와 빈부격차 해소, 사회적 생산성 향상으로 수도권과 지방이 균형 있게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정책의 목표이다. '균형발전'과 '공동부유'를 실천하는 데 중요한 자원이 바로 인재 자원이다. 인재의 공급은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과 불가분의 관계이며, 따라서 국가의 '공동부유'나 '균형발전'을 촉진하는 데 있어서 교육이 기초가 되어야 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선결 조건이다. 연구자는 한국에 유학을 와서 한국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학습과 이해, 한국 대학교의 수업 과정을 통하여 한국의 디지털 미디어 교육시스템이 체계적이고 사회와 산업발전에 대한 대응에 빠른 데 반해, 중국 지방도시 대학교의 디지털 미디어 교육시스템과 발전이 사회와 산업발전의 대응에 다소 느리고, 불균형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연구자는 이러한 한국의 인구감소와 빠른 산업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지방도시 대학교인 조선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의 선순환 교육시스템을 분석하고 연구하여 연구자의 직장인 저쿠우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를 비롯한 중국의 지방도시 대학교의 문화생태계 활성화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중국 애니메이션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국제화, 첨단화, 다양한 창의력을 가진 인력양성 방안이 절실하다. 한국 애니메이션산업은 현재 세계 3위이며 디지털 미디어 교육시스템은 비교적 체계적으로 발전하여 애니메이션교육 방면에서도 선두에 서 있다. 반면 중국 대학교의 현재 애니메이션교육시스템은 다소 불균형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중국은 한국과 인접해 있어 문화적·역사적 배경과 지리적 환경이 비슷하다. 이 때문에 두 나라가 발전하면서 겪는 문제점도 비슷하다. 본 연구에서는 비슷한 환경을 가지고 있음에도 큰 발전을 이룬 한국의 애니메이션산업과 산업의 근간인 전문인력양성에 주목하였고, 이를 위해 한국의 애니메이션교육시스템을 참고하여 중국의 애니메이션교육시스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수도권 집중화로 인하여 학생과 전문인력이 수도권으로 이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지방 공동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적절한 교육을 통해 우수한 인력을 양성하여 지역의 산업체에 공급해야 하며 정책적인 부분에서는 공공기관과 연대하여 문화생태계를 활성화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문화산업의 선순환 발전을 도모하는 교육시스템을 운영하는 한국의 조선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를 벤치마킹하여 중국 저쿠우사범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의 발전을 도모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전반부에서는 이론적 연구를 위하여 문화산업과 애니메이션, 한국의 '균형발전'과 중국의 '공동부유'등 산업과 사회적 현안 및 정책에 대해 진단하였다. 본 논문 후반부에서는 한·중 양국의 대학 애니메이션학과 교육 프로그램의 비교분석을 위하여 중국의 수도권에 위치한 중국전매대학교, 중소도시에 위치한 산동공예미술대학교, 지방에 위치한 저쿠우사범대학교 3개 대학교와 한국의 수도권에 위치한 한국예술종합학교, 중소도시에 위치한 호서대학교, 지방에 위치한 조선대학교 3개 대학교의 애니메이션교육시스템에 대하여 입시제도, 교육프로그램, 취업 등 3가지 측면에서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기초적인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정리 및 비교 분석하면서 이론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였다. 선행연구 고찰 결과 많은 논문들이 '교과과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 다른 많은 연구들은 '교육, 교수, 교육 인프라(환경, 기자재)'3가지를 교육 연구의 주된 연구내용으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연구자의 논문은 선행연구의 '교과과정'이나 '교육, 교수, 교육 인프라(환경, 기자재)'의 내용과는 달리 '교육시스템'에 대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는데, 조선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가 지방도시 대학교로서 수도권 대학과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전략으로 운영하는 '입시제도, 교육프로그램, 취업' 등에 대한 교육시스템을 연구하였다. 연구의 심화 내용으로는 조선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가 특성화하고 있는 '교과, 비교과' 및 '국제화, 산학협력' 등에 대해 집중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교육시스템'과 관련하여 첫째, 한국의 3개 대학교와 중국의 3개 대학교의 애니메이션학과 입시제도를 분석, 연구하여 정리하였다. 둘째, 교육프로그램과 관련하여 교과과정과 비교과과정, 국제 교류 등에 대하여 한·중 수도권, 중소도시, 지방도시의 6개 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의 교육프로그램을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한국의 3개 대학교와 한국의 3개 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 학생의 졸업 후 취업 및 진로 등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선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와 저쿠우사범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의 교육시스템 분석을 위하여 두 대학의 애니메이션교육 및 운영 등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지방도시 대학교의 애니메이션과 문화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업체, 대학교, 공공기관의 선순환 시스템에 기반한 교육시스템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훌륭한 산업체에는 우수한 전문인력이 필요하고 현장에 필요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훌륭한 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 또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정부기관의 지원 정책과 지방도시의 문화산업화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결국 이러한 문화생태계를 위해, 첫째, 국가 및 지방도시의 지원정책, 둘째, 문화산업화 및 관련업체의 활성화, 셋째, 전문인력양성 교육 등이 상호 연계된 선순환이 필요하고 이를 '문화생태계 활성화'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인구감소와 수도권 집중화 등의 문제점을 당면한 중국 지방도시의 대학교와 지방도시의 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선순환의 대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한·중 양국의 교육시스템에 대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여 중국의 공동부유 정책과 한국의 균형발전 정책에 부합하는 효과적인 방안을 찾고, 지방도시 대학교의 문화생태계 선순환 발전을 위한 방법을 연구하는 데 좋은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한·중 애니메이션학과 교육시스템을 상세하게 분석, 연구 및 정리하였고 연구결과 시대의 변화와 사회적 산업적 요구에 발빠르게 대응하는 조선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과의 문화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선순환 교육시스템은 저쿠우사범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 그리고 중국의 타 지방도시의 대학교의 교육시스템 개선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2021년부터 2022년 2년간 진행한 연구로서 코로나로 인하여 중국과 한국대학교의 현장 방문 등 실제 조사연구에 물리적인 한계가 있었다. 더욱이 중국 및 한국의 6개 대학을 선정하여 애니메이션교육시스템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기 때문에 전면적인 연구로서 완벽하지 않은 부분도 있을 수 있다. 또한 입시/교육/취업 외 장비 교육환경 등 인프라와 담당교수 등에 대한 내용이 반영되지 않았다는 한계도 있지만 차후 기회가 된다면 이 주제를 포함한 포괄적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