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LiveMath를 도구로 한 고등학교 함수 단원 웹사이트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김문섭 昌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10학년 함수 학습에 있어서, LiveMath를 도구로 한 고등학교 1학년 함수 단원을 웹 상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설계 구현하고, 구현한 웹사이트를 학교 현장에 적용, 그 결과를 분석 제시함으로써 현장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 내용을 설정하였다. 1. 고등학교 10학년 함수 단원을 LiveMath를 도구로 활용하여 웹사이트를 개발한다. 2. 개발한 웹사이트를 고등학교 10학년 교수 · 학습에 시험 적용하여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진단한다. 첫 번째 연구내용을 수행하기 위한 LiveMath 특성과 활용방안을 고찰하고, 개발 방향과 개발 논거를 마련하여 웹사이트를 개발하였다. 두 번째 연구내용을 수행하기 위하여, 경남 창원시 C여자고등학교 1학년 학생 5개 학급 175명에게 학생 실태조사와 개발한 웹사이트를 담당교사가 교수 · 학습에 직접 적용한 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생의 입장에서 보면 · 지필 환경의 수업에 익숙해져 있는 학생들에게 인터넷을 통한 Web자료의 제공은 신선한 충격과 호기심을 자극시켜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 그래프의 변화과정을 학습자가 직접 조작하여 관찰할 수 있으므로 기본적인 개념, 원리, 법칙의 이해를 쉽게 하여 함수의 그래프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하여 탐구력을 높일 수 있다. · Web자료의 특성상 수업시간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하여 자료를 공유할 수 있어 가정에서도 예습과 복습이 용이하기 때문에 학습자 스스로 학습 계획을 세워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할 수 있다. · 평가 점수( 70점 기준 )에 따라 특별보충과정( 70점 미만 ), 심화학습 및 재량활동( 70점 이상 )으로 학습 단계를 세분화하여 단계형 수준별 학습이 가능하다. · 탐구력 신장과 자기 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한 서술형 탐구형 학습지를 제공하여 구체적으로 조작된 문항보다는 복합적이고 통합적인 반응을 요구할 수 있다. · 본시학습 후 TEST과정에서 문제선택 버튼을 누르면 문제를 랜덤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어 기존의 일회성 웹자료와는 달리 늘 새로운 문제를 제공하여 본시학습에 대한 이해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교사의 입장에서 보면 · 본 자료의 실태조사 설문지를 통해 나타난 수학에 대한 낮은 이해와 관심도를 Web을 통해 수업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시킴으로서 학생이 수학을 새롭게 생각하는 생각 전환의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 · 종래의 지필 환경 수업 방식에서 탈피하여 Openended Approach 수업을 전개할 수 있다. · LiveMath 프로그램의 활용은 주입식, 고정식의 칠판 수업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직접 수치를 대입하여 그래프나 식의 변화를 관찰해 봄으로써 학생들의 흥미와 학습욕구를 더욱 유발시켜 수업분위기를 한층 더 생동감 넘치고 활기 있게 만들 수 있다 · 학생들에게 개별 학습을 진행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탐구형 학습지를 통해 학생개개인의 수업에 대한 이해도를 체크할 수 있고 '지도교사 조언'란을 이용하여 학습들의 이해 수준에 맞게 지도해 줌으로서 원활한 수업 진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 '학습자료' 매뉴를 통해 본 자료의 모든 파일과 관찰하기 화면에 맞는 탐구 학습지를 제공하기 때문에 LiveMath의 간단한 기능만 익힌다면 교사의 입장에서 수업 자료를 준비하는 데 시간의 제약을 없애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와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LiveMath를 활용한 함수 교육은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뿐만 아니라, 수학 성취도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 효율적인 스왑을 위한 컴파일러 기반의 메모리 사용 힌트 시스템

        김문섭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Because of high performance gap between main memory and HDD, system administrators are trying to configure their systems to have enough main memory for their workloads However, page reclamation is inevitable for recent trends. The size of the working set for modern workloads including big data and machine learning is exploding so that cannot be accommodated in the main memory. Fortunately, storage devices have evolved continuously. It will be common for high-performance systems to utilize such fast storage as a swap device. For such situation, smarter victim page selection is important. Common page reclamation systems in these days still select least recently used pages as victims, though they cannot handle the rapid change of data access pattern. To help the situation, modern operating systems provide special primitives that allow a program to hint their data access pattern to a system. However, professional experience and exhaustive analysis are required to use the primitives properly. To mitigate such problem, we introduce a compiler extension that provides profiling guided optimization for swap system. Our extension does static and dynamic analysis of a given workload to recognize the data access pattern of each program context of the workload. With the recognition, it injects code inside the workload that invokes primitives which hint the data access pattern to the system. The extension improves the performance of a realistic workload 2.66 times in memory pressure situation. SSD 등의 고성능 저장장치가 발전하면서, 저장장치와 메인 메모리간의 성능 격차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또한 최근에 빅 데이터 등 굉장히 많은 양의 메모리를 사용하는 워크로드들이 증가하여, 가까운 미래에 메모리 집약적 워크로드에서 고성능 저장장치를 스왑 디바이스로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메인 메모리와 저장 장치간의 성능 격차는 여전히 크기 때문에, 스왑이 발생하는 환경에서 메모리 집약적 워크로드의 수행시간이 크게 느려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스왑으로 인한 성능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적 및 동적 분석을 통해 워크로드의 데이터 접근 패턴을 프로파일링 하고, 이 정보를 바탕으로 워크로드에서 효율적인 스왑이 발생 할 수 있도록 데이터 접근 패턴에 대한 힌트를 만들어 워크로드가 수행되는 도중에 운영체제에게 힌트를 주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스왑 힌트 시스템은 메모리 부족 상황에서 SPECCPU2006의 메모리 집약적 워크로드들을 수행될 때, 기존 워크로드 대비 최대 2.66배 빠른 수행시간을 보였다.

      • 정금나무의 잎과 열매의 형태적 특성 및 우량 개체 선발 효과

        김문섭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en natural Vaccinium oldhami populations were studied to investigate leaf and fruit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election effect of superior trees of Vaccinium oldhami. The main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Leaf size of Mudeung population was larger compared with other populations. Daedun population showed the largest compound leaf size among populations. Naebyeon population was smaller in size of the leaf and the compound leaf than other populations. 2. Anmyeondo population was larger in length of fruiting lateral, number of fruits per punch, fruit width, fruit length and weight of fruits compared with other populations and Deogyu population was the smallest among populations. 3. According to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leaf and fruit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natural Vaccinium oldhami population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of the first group of Mudeung population, the second group of Gumo population and the third group of the other eight populations. 4. Selection effects with 5% selection level was estimated at 143% in number of fruits per punch, 298% in yields per one-year-old branch and 188% in weight of fruits.

      • 分權化時代의 地方政府 自主財源 擴充方案에 관한 硏究 : 忠淸南道를 中心으로

        김문섭 韓南大學校 地域開發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local autonomy has gained more popularity since 1991 in Korea. The financial independence should be guaranteed cause what the local autonomy means is to determine local businesses by its own resident. To ensure the local financial dependence,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would rather make their own budget than compete with each other, resulting in a zero-sum game. The prevention of tax omission, the detection of concealed source of taxation, and thorough tax collection has been considered as the expansion of local government's budget. However, the development of new source of taxation, the expansion of income besides revenue, the enlargement of profitable business, and the enterprise management by local autonomy, which is focused on the local government's self-effort, are suggested as a new budget expansion. Five plans for the expansion of autonomy revenue resource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introduction of the profits pursuit concept from a private corporation and the commission of the public affairs to a private corporation are suggested. Secondly, an adjustment of the source of tax revenue between national and local tax is suggested. To equal the national and local tax dividend, specific items of national tax should be handed over to the local government or changed to joint tax, and the tax relating property should be expanded to tax relating consumption for highlighting the local consumption tax. Thirdly, the adjustment of a rental fee and service charge, and the charge enforcement for free service are suggested to expand the income besides revenue. Fourthly, the application of natural resources within the local community and the expansion of the incentive are suggested as a part of a profit business. Fifthly, the commission of the taxation, such as the reduction of tax items rarely contributing to local budget, the management of a tax payment notice, the arrangement of tax payment, and the collection of tax arrears, to a private corporation are suggested.

      • 문자교육용 CAI 프로그램의 입력방법이 지적장애아의 문자입력 속도와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김문섭 대구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문자교육용 CAI 프로그램의 입력방법이 지적장애아의 문자입력 속도와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자 대구, 경북지역의 정신지체학교 재학생 중에서 컴퓨터를 통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9~12세 아동 중 지능지수 50~70 사이의 아동 중에서 아래 조건을 충족하는 60명을 선정․배치하고, 입력방법(마우스 이용집단, 키보드 이용집단, 비교집단), 성별(남학생, 여학생)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후검사의 기술 통계량(평균, 표준편차)을 구하고, 각 실험대상변인들의 수준간 평균 차이의 유의성이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고자 2원 변량분석(Two Way-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자교육용 CAI 프로그램의 입력방법에 따른 지적장애아의 문자입력 속도는 키보드를 사용하는 것이 마우스를 이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이다. 문자교육용 CAI 프로그램의 입력방법이 지적장애아의 문자입력 속도에서 마우스집단과 키보드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키보드를 사용하는 집단이 마우스를 사용하는 집단보다 반응 속도가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성별간에 대한 비교에서는 마우스집단에서는 여학생, 키보드집단에서도 여학생이 더 효과적이었다. 하위영역인 낱자의 속도, 받침없는 낱말의 속도, 받침있는 낱말의 속도, 단문의 속도에서, 집단에서는 키보드를 이용하는 집단, 마우스를 이용하는 집단, 통제집단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우스를 이용하는 집단에서의 받침없는 낱말의 속도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키보드를 이용하는 집단에서도 받침없는 낱말의 속도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자교육용 CAI 프로그램의 입력방법에 따른 지적장애아의 문자입력 정확도에 있어 마우스를 이용하는 것이 키보드를 사용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이다. 성별간에 대한 비교에서는 마우스집단에서는 여학생, 키보드집단에서는 남학생이 더 효과적이었다. 하위영역인 낱자의 정확도, 받침없는 낱말의 정확도, 받침있는 낱말의 정확도, 단문의 정확도에서 집단에서는 마우스를 이용하는 집단, 키보드를 이용하는 집단, 통제집단의 순으로 나타났다. 마우스를 이용하는 집단에서의 받침없는 낱말의 정확도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키보드를 이용하는 집단에서의 받침없는 낱말의 정확도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지적장애아를 위한 문자교육용 CAI프로그램의 문자입력방법에 따른 문자지도에 있어서, 마우스와 키보드 중 어느 것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인가 하는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연구 결과가 제시하는 시사점이 지적장애아들의 문자교육용 CAI프로그램 개발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되며,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나이가 많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나 이 연구의 대상과 같은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반복할 경우에는 보다 많은 훈련기회와 많은 종류의 단어를 적용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effects of the input methods of the CAI program on the speed and accuracy of letter input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o doing, sixty students from special schools for the mentally retarded in Daegu-Gyeongbuk areas were selected based on the following three criteria: a) age: 9-12 years old, b) IQ: 50~70, and c) no previous experience on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Descriptive statistics (mean,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resulting from input methods (mouse group, keyboard group, comparison group) and gender (male students, female students). In addition, two-way ANOVA test was implemented to examine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interaction of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use a keyboard than to use a mouse when it comes to the speed of letter input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ore specifically, the mouse and keyboard groups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keyboard group demonstrated higher response speed than the mouse group. Regarding gender difference in the rate of letter input, females were more effective than males in both keyboard and mouse groups. Second, the mouse group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the keyboard group when it comes to the accuracy of letter input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Gender difference in the accuracy of letter input was also found: females were more effective in the mouse group, while males were more effective in the keyboard group. The present study was initiated to answer the question which input method (i.e., a mouse or a keyboard) is more effective in entering letters in the CAI program developed to teach letters to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Give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current stud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he CAI program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effect of input methods holds with other age groups (e.g., older students). In addition, future studies testing elementary students and replicating the current study need to incorporate more training opportunities and more kinds of words in the experimental design.

      • 우리나라 초등학교 미술교육에 요하네스 잇텐 기초조형교육의 적용·발전방안 연구

        김문섭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looking to find ways for the future of fine arts education in Korea by studying contents and methods of Johannes Itten’s basic formative education which is in the middle of our current fine arts education of Korea. First of all, this study looked into the contents and method of Johannes Itten’s basic formative education which is basic frame of our current curriculum and curriculum of fine arts education revised in 2007. Johannes Itten’s education is so called specialized design education of Bauhaus, but the basic idea of his education is not just an delivery of knowledge but the fine arts education based on creativity, so his education is more effective when centered on to those of elementary school kids. Target of fine arts education revised in 2007 is not to raise art specialist but to enhance aesthetic sensitivity, creative expression, criticism, ability and attitude to appreciate fine arts through various arts. In order to so, how to express themselves by learning art design and developing creativity is the most significant matter. So, this study is to apply Johannes Itten’s basic formative education to our curriculum of fine arts education, to assess it’s value and to find ways to develop it. First of all, the standard of what and how we comprehend by aesthetic experience. We can encounter arts from not just works of art but everything that surrounds us. It is to understand element and principle of arts through the all senses of sight, touch, taste, smell and hearing. In this way, we can get not only physical development but accurate and new relations with throwing away own stereotypes. Secondly, matter of means what and how to express arts in terms of expression. We can have creative thoughts through expressing what we feel with various themes such as the feeling and intentions of things represented. It also should be through close study and direct experience of materials and tools to express things and through repeated practice to make the elements and method to our own in terms of expression. Students can develop their ability to solve problems through these activities. So, we should be careful for students about what theme to suggest and determine material and methods for their expression. Thirdly, understanding of wok of art and history of art as an appreciation. Appreciation part of Itten’s basic formative education is not sufficient because it is composed of element and material to analyse arts. It is more important to have learning ability to speech and social ability through the chance to communicate with others about their own feelings and understandings of arts than just an understanding of design element and principle from appreciation. If Itten’s basic formative education is applied to our current elementary curriculum as above, we can expect effective education not just for art education but for entire education process and for real life experience. But it’s natural to have problems if applied blindly without filtering. So, if we apply Itten’s basic design course to our elementary curriculum with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to our situation, we can expect better result. 이 논문은 우리나라 현행 미술교육의 기본 틀이라 할 수 있는 기초조형교육을 검토하기 위해 그 중심에 있는 요하네스 잇텐의 기초조형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연구하여 앞으로 우리나라 미술교육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현행 교육과정에 있어 기본 틀인 요하네스 잇텐의 기초조형교육에 대한 내용과 방법을 분석하였고, 2007 개정 미술교육과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요하네스 잇텐의 교육은 바우하우스의 전문 디자인 교육이라 할 수 있지만 그에게 있어 가장 근본적인 교육의 이념은 단순한 지식 전달에 있는 것이 아니라 창의성 중심의 미술교육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초등학교의 아동들에게 이루어 져야 더욱 효과적인 결과를 보여줄 수 있다는 것이다. 2007 개정 미술교육과정의 목표는 미술 전문가를 기르기 위한 것이 아니라 미술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미적 감수성, 창의적 표현 능력, 비평 능력을 기르고, 미술 문화를 향수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는데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조형 감각을 익히고 창의성을 개발하여 그것을 어떻게 표현하느냐가 중요한 문제이다. 그렇기 때문에 요하네스 잇텐의 기초조형교육을 우리나라의 미술교육과정의 내용 속에 적용하여 보고 그에 대한 평가와 발전 방향을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첫째, 미적 체험 영역으로 무엇을 어떻게 이해하는 지에 대한 기준이다. 미술이라는 부분을 단순히 미술작품에서만이 아니라 주변 환경에서 접하는 모든 것을 통해 이루어 질수 있다는 것이다. 조형 요소와 원리를 이해하는 방법으로 시각, 촉각, 미각, 후각, 청각 등 모든 감각을 통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신체발달뿐만 아니라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을 버리고, 정확하고 새로운 이해관계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둘째, 표현 영역으로 무엇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적인 문제이다. 조형의 주제로서 단순히 사물의 형태를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물이 가지고 있는 느낌 또는 사물을 가지고 표현하려는 의도 등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표현하는 것을 통해 창의적인 생각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어떻게 표현을 해야 하는 방법으로서 재료와 도구에 대한 철저한 탐구와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조형의 표현방법에 있어 그 조형요소와 방법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기 위해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이루어 져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는 학생들에게 문제해결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주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주제를 제시하고, 표현의 재료와 방법을 정해주는 것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감상 영역으로 미술작품과 미술문화에 대한 이해관계이다. 잇텐의 기초조형교육에 있어 감상부분은 조형요소와 원리를 분석하는 자료로서 이루어 졌기 때문에 조금은 아쉬운 점이 있다. 감상을 통해 조형요소와 원리를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감상을 통해 이를 언어화 하여 발표 또는 토론의 기회를 주어 서로 이해 정도와 느낌들을 주고받는 것을 통해 언어 학습능력과 사회적 학습능력 등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잇텐의 기초조형교육을 현재 초등미술 교육과정에 적용한다면 단순한 미술교육만이 아니라 모든 교육의 교육과정, 또는 실생활에서도 필요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이 이루어 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장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단점도 있기 때문에 단순히 여과 없이 접목시킨다면 많은 문제점이 생기는 것은 당연하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 교육 실정에 맞게 연구하여 수정, 보완한다면 더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

      • 數學 問題解決 過程에서 統制 行爲의 形性 水準 診斷에 관한 硏究

        김문섭 慶尙大學校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tudents’ control action levels and to analyze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The research questions are to develop systems of mathematics problems for identifying students’ control action levels, to analyze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ontrol action, and to diagnose their formation level of control action through the systematic analysis of control action in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For this study,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nd a focused experimental study were conducted. The concept of control and its components were examined with a wide research scope. And the applicability of Repkina and Zaika’s formation levels of control action onto the Korean mathematics class was investigated. In the experimental study, the sampled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were asked to solve the developed mathematics problems to get information on the students’ control action formation. Based on the data obtained,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nd indicators of the each formation level of control action were documented and analyzed. The attained indexes were utilized to diagnose the students’ formation levels of control action.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s including Repkina and Zaika’s study and other studies, six formation levels of control action were formulated: Level 1, the absence of control; Level 2, unintentional attention on control; Level 3, intentional attention on control; Level 4, intentional and practical attention on control; Level 5, potential and reflective control; and Level 6, practical and reflective control. For the experimental study, fourteen high school students were intentionally selected and asked to solve two sets of developed mathematics problems. They were also interviewed about their problem solving processes and control actions. Through the in-depth analysis o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and thinking process of the students as well as about their answers on the given problems, more accurate data was attained. In this study, four sets of mathematics problems (12 problems in total) were developed to gather data on the students’ formation levels of control action based on the variance of the components of control,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nd individual differences on control action. Additionally, two sets of mathematics problems (seven problems) out of 4 sets were assigned to the students and asked to solve them. When solving given problems, they were interviewed to investigate their control action that would not be shown in their problem solving. Based on the collected data concerning the control action in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their formation levels of control action were diagnosed from level 1 to level 6. In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diagnosing students’ formation levels of control action was identified. However,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to better develop and elaborate the tools and methodologies created from this research. This study can be used as a way of diagnosing the students’ formation level of control action in the mathematics classes and utilized as a reference material to find out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differentiated mathematics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