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교육청 6급 이하 학교근무자를 중심으로

        박규운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79

        <국문요약>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교육청 소속 6급 이하 학교근무자를 중심으로 -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박규운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교육청 소속 6급 이하 학교근무자를 대상으로 직무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그들이 현장에서 실제 느끼는 직무만족도에 대하여 측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일선 현장에서 근무하는 지방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직무만족도 향상 방안을 탐색한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영역별 변인(직무, 환경, 조직 등)에 따른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직무만족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배경변인(성별, 직급, 혼인여부, 근무기관, 근무연수 등)에 따른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직무만족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직무만족도 향상 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선행연구 및 관련이론을 분석하고 울산광역시교육청 소속 6급 이하 지방교육행정직 공무원들에게 직무만족도 측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요인에서는 대체적으로 평균을 약간 넘는 정도의 만족도를 보이고 있었다. 특히 그중 교육행정직 공무원으로써의 사명감과 직무의 중요성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었으나 그와는 반대로 교육행정직 공무원에 대한 사회적인 평가에 대하여는 가장 부정적으로 인식을 하고 있었다. 둘째, 환경요인에서는 직무요인보다 높은 정도의 만족도를 보이고 있었다. 그 중 근무분위기의 민주성에 대하여는 매우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었으나 사무실의 시설 및 환경상태에서는 불만족의 결과를 보이고 있었다. 셋째, 조직요인에서는 보수, 인사, 교육훈련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보수요인에 대하여는 매우 불만족한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인사요인에 대하여도 불만족을 나타내고 있었는데 그 중 승진제도의 공정성과 전보제도의 공정성에 대하여 회의적인 반응이었다. 마지막으로 교육훈련요인에 대하여는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무원 보수의 현실화가 시급하다. 매년 물가는 치솟고 있지만 그에 반해 공무원 봉급 인상률은 물가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그 말은 즉, 봉급이 실질적으로는 삭감되고 있다는 뜻이다. 또한 교육행정직 공무원은 일반행정직 공무원이나 교원과 비교를 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급여를 받고 있다. 이에 대해 교육행정의 특성에 맞는 수당의 신설과 맞춤형 복지 포인트의 상향조정이 필요하다. 둘째, 인사제도의 개선이다. 많은 교육행정직 공무원들이 승진과 전보제도의 공정성에 의문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대해 학연, 지연 등 정실주의를 배제하고 승진제도의 객관화를 기해야하며, 기피근무지의 근무자에 대한 우대, 전보 시 희망근무지의 최대한 반영 등이 필요하다. 셋째,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인원 확충이다. 일선학교에 근무하는 교육행정직 수에 비해 예산액, 학생 수, 교직원 수 등 학교의 규모가 너무 커지고 있다. 학교에 근무하는 교육행정직의 수를 확충하여 업무과다, 업무회피 등에 의한 갈등요소를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교육행정직 공무원들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울산광역시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사교육 실태 분석 연구

        곽도영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울산지역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사교육 실태와 원인, 사교육비 지출의 정도를 학생의 인식면에서 실증적으로 조사·분석함으로써 장기적이고 효과적으로 사교육을 경감시킬 수 있는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울산지역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사교육의 실태는 남녀별, 학년별, 지역별, 아버지의 연령, 학력, 직업별, 가정의 수입정도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나. 울산지역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사교육실시 동기는 무엇인가? 다. 울산지역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은 사교육과 학교교육을 어떻게 비교하여 인식하고 있는가? 라. 울산지역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은 고액과외와 사교육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이라 인식하고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 해결을 위하여 본 연구는 울산지역의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 689명을 대상으로 ‘울산지역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사교육 실태에 관한 설문지’라는 제목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울산지역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54.6%가 주로 학원에서 수학과목을 중심으로 사교육을 받고 있으며 사교육을 받는 주요한 동기로는 46.3%의 학생들이 ‘학교성적 향상을 위해서’라고 반응하였다. 사교육 실시 기간은 방학중과 학기 중에 모두 받는다고 응답하였으며 학기 중에 사교육을 받는 시간은 주로 밤 11시에서 1시사이라고 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로서 울산지역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학업성적 향상을 위해 사교육에 상당히 의존하고 있으며 방과후에도 계속되는 사교육에 지쳐있음을 알 수 있다. 학생들이 학업성적향상을 위해 학원을 찾는 주요한 요인으로는 선행학습과 반복학습에 따른 주입식 교육의 효과가 있다고 보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학교나 교육당국은 학생들이 정상적인 학교교육과정에만 충실해도 학업 성적 향상이나 대학입시에서 불이익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시험문제 출제 시 지나치게 교육과정을 앞서 나간 내용이나 탈 교과서적인 내용이 포함되지 않도록 해야하며, 학업성적향상에 부담을 느끼는 학생들을 위해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다양한 수준을 고려한 내실 있는 교수-학습활동으로 사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줄여나가야 한다. 둘째, 월평균 사교육비는 20~30만원미만 지출 학생이 가장 많았는데, 응답자의 43.1%가 가족의 월평균 수입으로 200~300만원미만이라고 응답한 것으로 보면 가계비에서 1인 자녀가 차지하는 사교육비의 비중이 10%가량 된다. 만약 자녀가 2명 이상이라면 다른 교육비는 제외하고라도 사교육비만 한 달에 40~60만원을 차지하는 꼴로 가정경제에 상당한 부담이 됨을 알 수 있다. 울산지역 학생의 67.1%도 부모님이 사교육비에 대해 부담감을 느끼고 있다고 응답하고 있다. 이러한 사교육비의 부담으로 인하여 미래를 위한 저축은 염두에 두지도 못하고 오로지 자녀의 교육만이 미래를 위한 투자라는 생각으로 모든 가정경제를 쏟아 붓고 학부모의 가계는 위축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럴 경우 자녀가 부모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 자녀와 부모사이에 갈등이 생겨나고 사교육 문제가 가정과 사회문제로 비화될 수도 있다. 셋째, 울산지역의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사교육이 학교교육보다 모의고사 성적향상, 대학입시에 더 도움을 준다고 느끼고 있다는 것은 우리 나라의 사교육문제가 대학입시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육당국이 강압적인 방법을 통하여 사교육문제에 접근하는 것은 더 이상 그 효율성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사교육 수요자가 원하는 방향을 정확히 파악하여 정책을 추진해나가야 할 것이다. 그런데 정부가 지난 2월 17일 발표한 사교육비 경감 종합대책은 사교육수요를 ‘e-learning 체제 구축’과 ‘수준별 보충수업실시’, ‘재능 영어 과외수요 충족’방안을 통해 사교육을 공교육으로 흡수하려고 한다는 면에서는 긍정적이나 전체적인 면에서 볼 때, 이는 오히려 학교교육정상화 보다는 ‘관제 사교육’ 공급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는 염려도 하게 한다. 교육당국은 학교현장과 긴밀한 연대 속에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정책을 개선하여 나감으로서 우리나라에 만연해 있는 사교육을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학교교육을 정상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앞으로의 교육계획을 묻는 항목에서 여건이 된다면 사교육을 받겠다는 학생이 38.9%, 대학 입학시까지 계속하여 사교육을 받겠다는 학생이 22.9%인 것으로 보아 앞으로도 울산지역의 사교육문제는 쉽게 줄어 들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교육당국은 사교육 문제에 대하여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활동으로 사교육을 필요로 하는 공교육의 구조적인 결함을 개선하고, 더 많은 재정의 확보와 교육시설에 대한 투자를 통하여 학교교육환경을 학생 개개인의 교수-학습권이 존중되는 방향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urvey is to serve as a basis for establishing policies to reduce private tutoring, by specificall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expenditure as well as the state of the private tutoring over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in the area of Ulsan Metropolitan city. The major concern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1) To survey the patterns of the private tutoring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2) To analyze the major factors which affected the private tutoring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3) To examine the attitudes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on school education and private tutoring. 4) To analyze the perspectives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on solving the problems of private tutoring and the expenditure of it. To accomplish those concerns, this study employed a questionnaire survey [An Analytic Study on the Private Tutoring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in Ulsan]. Six hundred and eighty-nine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in Ulsan participated in this surve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54.6% of the subjects investigated were currently involved in attending private tutoring outside school. In particular, 29.5% of them were taking a math lesson from a tutor in an academic institute. About an incentive to get private tutoring, 46.3% of subjects replied they had received it for improving school grades. Most of them were mainly taking private tutoring from 11 p.m to 1 a.m, during a term as well as during a vac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is survey, it is reported that most students in Ulsan considerably rely on private tutoring and they are getting exhausted with attending private tutoring late. The major reason for the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private tutoring might be that it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ir academic achievements. Accordingly, the government should let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know that when they take the school curriculum faithfully they don't receive any disadvantages related to the entrance of university. Therefore, the questions of University Scholastic Aptitude Test should be taken from the textbook. And the school education is required to reduce the need for the private education by offering various teaching activities of higher qualities. Secondly, the average monthly cost for their private tutoring was between 200,000 won to 300,000 w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is, expenses spent on private tutoring was over 10% of the household income. Excessive expenses can be a great burden to each household. Actually, 67.1% of the subjects responded like that. Owing to the burden of private tutoring expenses, the parents who have children in high school hardly save money for their future, and spend most of their income on their children's education. Regardless of this devotion, if children's achievements don't meet their parents' expectation, the conflict between the children and the parents come out and the problems of private tutoring might be the social problems. Thirdly, most students reported that they considered private tutoring more helpful in improving their grades of college entrance exam than school education. It was shown that the problem of private tutoring is related to the entrance exam of college. Accordingly, the government should perceive what the private tutoring consumers want, and develop the various educational policies. Fourth, 22.9% of subjects replied that they would continue to participate in the private tutoring if possible. This was shown that the private tutoring in Ulsan would not be easily reduced. For the solution of the private tutoring, the government should have constant interests and studies on the problems of the private tutoring, revise the school education in a way to receive the private education unnecessary. In addition, much more financial invest for improving the circumstance of the school education should be done.

      • 울산광역시의 다문화가정 자녀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 결혼이민자 중심으로

        박소영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79

        <국문초록> 울산광역시의 다문화가정 자녀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결혼이민자 중심으로 국제결혼이 급증하면서 울산광역시에도 다문화가정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자녀들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울산광역시를 초점에 맞춘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자녀교육에 대한 실질적인 어려움과 문제점이 제대로 파악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에 관한 실질적인 어려움을 여성결혼이민자의 관점에서 알아보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울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가정의 자녀교육의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자녀교육과 양육에 관련된 문헌연구와 실질적으로 여성결혼이민자들이 겪고 있는 문제점에 대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울산광역시의 다문화가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은 한국에서 거주한 기간이 짧은 경우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많았으며 대부분의 결혼이민자의 경우 자녀의 한국어를 빨리 습득하기 위해 일찍 어린이집에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의 어머니들이 자녀교육에 관한 정보를 얻거나 교류할 수 있는 방법을 알지 못하기에 전적으로 교육기관에 자녀교육을 맡기고 있었으며 한국어에 자신이 없어 자녀의 선생님과의 상담이나 교육정보를 교류하는 것을 꺼려하는 결혼이민자가 다소 있었다. 그러나 울산지역은 타 지역과는 달리 가정의 경제적이 여건에 관해서는 다른 한국가정의 경제적인 여건과 비슷하였으며 최근 다문화가정자녀의 교육지원으로 어린이집을 전액지원 받는 가정이 많아 경제적으로 크게 어렵지는 않았다. 다문화가정의 자녀가 고학년이 되거나 중·고등학생의 경우는 사교육비로 경제적인 부담이 있었으나 일반가정과 비슷하였다. 다른 선행연구와는 다르게 자녀들이 본인의 정체성에 대해서 혼란을 겪는 경우는 드물었으며 부모와의 관계에 있어서도 돈독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울산광역시의 결혼이민자들은 자녀교육에는 관심이 많았으나 실질적인 방법을 모르고 있기에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한국어교육 뿐만 아니라 자녀교육에 필요한 동화, 동요, 받아쓰기, 우리나라의 사회, 문화, 역사 등의 교과목 학습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설이 필요하며 다문화가정의 아버지, 시부모, 친척이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안정적으로 한국 사회에 적응하고 자녀교육에 있어서 소외되지 않도록 다문화가족의 이해와 지원의 교육이 우선되어야 하겠다. 또한 지역의 구청, 주민 센터 등에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지원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그러므로 미래의 우리사회를 형성해갈 결혼이민자들 또한 우리의 구성원이며 다문화가정의 자녀들 역시 글로벌시대를 이끌어나갈 인재이기에 이들이 지역에 소외되지 않고 자리 잡아 성장해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며 이에 대한 문제의 대책이 시급히 마련되어야 하겠다. ABSTRACT Study on the Problems of Children's Education at Multicultural Families in Ulsan Metropolitan City and Its Improvement; Focused on the Immigrants by Marriage Park So Yeong Majored in General So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University of Ulsan As the interracial marriage is increasing, in Korea, more multicultural families are found in Ulsan area as well nowadays and eventually the number of children from such families is increasing. Unfortunately, however, actual difficulties and problems of the children's education by female immigrants by marriage around Ulsan area are not well understood. In this regard, this study reviews actual difficulties of the education at the multicultural families at the standpoint of the female immigrants to Korea and tries to draw the improvements of the children's education at such families. In order to research the current status of the education by the foreign mothers residing in Ulsan area, various literatures related to the children's education and fostering them were reviewed and the problems and difficulties faced by the female immigrants were surveyed in depth by interview with them. The survey revealed that those with shorter period of living in Korea had more communication problems and most of them sent their children to the kid's pre-school to learn Korean language early. As many of the mothers immigrated do not know where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children's education and how to exchange with the neighbors for it, they depend on the pre-school education organizations for their children and some of the mothers are reluctant to consult with the Korean teachers and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m as the mothers are not confident with their Korean speaking ability. Unlike other regions in Korea, most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Ulsan area are economically affordable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as the kid's pre-school fees are subsidized entirely. When they become hig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or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the families are burdened with private education fee like other families. Unlike other precedent research, few of the children are confused with their identity and they maintain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Immigrants by marriage living in Ulsan area are keen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but they do not know practical way of proper education for the children. In order to achieve stable education for the children at the multicultural families, not only teaching Korean language but also providing the diversified classes such as fairy tales, children's songs, dictating Korean words and sentences, Korean society and history are required. Also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husband, parents-in-law and relatives of the female immigrants should be expanded for the foreign wife not to be isolated from the family and community and for such purpose understanding the multicultural families and supporting their education should be promoted. District office and town village center of the local government are required to organize systematic and specific support system for them. Immigrants by marriage are part of our society and they will undertake one of the axles establishing our local community and the children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will be one of the groups of the citizens to lead the global era. They should be taken care of, therefore, to be rooted in the local community and proper and efficient policy on their education should be arranged urgently.

      • 박물관·미술관교육과 연계한 중학교 미술교육의 활용 방안 연구

        송애경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capability to appreciate and criticize has been considered very important in Middle School Education, so have the educational roles of museums and art galleries - developing programs for kids, parents and teens - and the programs should be the medium through which museums and galleries can meet the various needs and play specific functions. This thesis was aimed at drawing up plans for middle school art classes to enhance the power of observation, intuition and expression through substantial learning experiences; presenting feasible ways such as developing lesson plans connected with museums and galleries and applying them to the class. As a result of study, learning art connected with museums and galleries can help students to experience the creative work process; can enable them to discover the traditional art values in the historical contexts; and can help them to have an eye for a good sense of beauty, aesthetical attitudes. In order to relate the museums and galleries education with Middle school Art systematically and consistently, first of all, it is required to develop programs which can be merged in the school curriculum. It is also advisable to utilize local cultural assets. Second, some aspects of contents and methods, programs should include professional and special activities more efficient than those held inside school; can be the field for mutual understandings and cultural exchanging. Taking advantage of museums and galleries, experience-study programs connected with school can be a practical alternative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s in school curriculum. The programs should be with philosophy and educational path so that they can help extend the meaning of experience to hands on experience with school Third, in terms of operating system, there are some qualifications to be made. It is beneficial to cultivate the professional work force who charge museum education. Curators should be well informed on school in general and with expert knowledge about exhibition and with plenty of experiences in dealing with middle school students. A grade-unit visit, a usual practice, has turned out having several problems in security and viewer's attitude. Therefore, school teachers should perceive the necessity of a class-unit visit and be accustomed to it. Pre-training for learners should be done and school art classes are related to diverse and significant level education programs. Through these efforts and changes, Museums and Galleries will be reborn as a place that anyone wants to visit over and over again not just one-time visit. 국문초록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감상능력과 비평능력이 점차 중시되면서, 최근박물관과 미술관은 학부형과 어린이, 청소년 관람객들을 상대로 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등, 그 교육적 기능이 더욱 활성화되고 있다. 이에 박물관? 미술관도 변화된 문화 환경 속에서 보다 다양하고 구체적인 교육적 기능과 역할을 담당해야 하는 시대적 요구에 직면해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박물관 미술관과 학교교육의 연계성을 살펴보고 박물관?미술관(일부)의 탐방을 실시하여 중학교 미술 교육이 이론에만 치중되지 않고 실질적인 체험학습을 통해 관찰력, 직관력, 표현력을 높이는 방안을 구안하고자하였다. 연구의 결과, 박물관?미술관을 연계한 미술 교육을 통해 창조적 작업과정을 경험할 수 있고 과거 현재 미래의 맥을 이어주는 전통미술의 가치를 발견하고 주변 세계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향유할 수 있는 심미적 태도를 육성할 수 있으며 박물관 미술관을 연계한 중학교 미술수업의 학습지도안을 개발 적용함으로서 교육현장에서 바로 적용 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경험적인 유의미한 미술교육이 실현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박물관?미술관교육과 중학교 미술교육이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연계하기 위하여 첫째, 현실적으로 가장 먼저 개발되어야 할 것은 학교와 연계할 수 있는 박물관 미술관 프로그램이며 박물관?미술관프로그램을 교육과정과 잘 융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박물관?미술관 견학과 문화재 탐방을 통해 지역의 미술자료와 문화재를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다.둘째, 교육 내용 및 방법 면에서 교육 내용은 학교에서 하기 힘든 전문적이고 특별한 활동을 체계적으로 조직·구성하고,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역사회 내 구성원들의 문화공간과 소통의 장이 되기 위한 우수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또한 중요하다. 박물관과 미술관의 장점을 살린 보다 체계적이고 심화된 학교연계 체험학습 프로그램은 학교 교육의 부족함을 보완하고 해결해 줄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의도적인 교육방향과 철학이 존재하여 체험의 의미를 확장·심화할 수 있는 직접 체험식 학교연계 박물관·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셋째, 운영 방법 면에서 사전교육을 실시하고 다양하고 수준 높은 교육 프로그램을 미술수업과 연계하여 운영하는 것이다. 전시에 대한 전문지식과 아울러 중학생의 특성과 흥미, 학교 운영에 대해 교육 받은 전문 큐레이터가 필요하다. 관람태도, 안전문제 등의 많은 문제의 근원이 되는 학년단위 체험학습 관행을 지양하고 교사들 스스로도 학급단위 체험학습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익숙해질 필요가 있으며 박물관·미술관에서도 다양하고 수준 높은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일회성 방문이 아닌 계속 찾고 싶은 체험학습 장소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중학교 미술 교사로서 생생한 현장 목소리를 바탕으로 살펴본 박물관·미술관 체험학습의 문제점과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박물관?미술관 교육과 연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적극 반영하여 중학교 미술교육에 활용 보완하고 박물관?미술관과 지역사회 그리고 문화예술교육의 공교육 혁신을 선도해 나가기를 기대한다.

      • 공공도서관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이채연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79

        Education offers an indispensable attribute to adapt well, wisely respond and live in happy lives under the ever-changing era with knowledge and information as well as complicated and diversified contemporary society. Among the foregoing aspects, the life-time education that implicates the life time from the cradle to the grave will be even more dearly required in the days to come. Therefore, a public library has become a place of life-time education as the representative institution to provide life-time education while operating life-time education program and providing diverse information for local residents as well as providing books and publications. Looking into the studies on life-time education program of public libraries, it could largely be divided into three-fold in status of operation of life-time education program of program, level of satisfaction and its facilitation plan. Under the studies on level of satisfaction among the foregoing, studies have been undertaken in many other regions, but not many studies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for the life-time education program of public libraries have been conducted in Ulsan Metropolitan Ci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lement the questionnaire survey of level of satisfaction for adults who are actually taking the life-time education program of public libraries to find out the status on participation in life-time education, and find the improvement point thereto in attracting the participation in life-time education in a way of presenting the facilitation plan for the life-time education program of public libraries. For this purpose, the survey on level of satisfaction was implemented for adults that used the public library under the Board of Education of Ulsan Metropolitan City and a total of 176 valid questionnaires were retrieved.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6 personal background attributes in gender, age, education, occupation, marital status and household income, 10 questions on participation experience in the life-time education program of public libraries with current participation program, participation period, participation purpose, participation route, improvement and so forth, and 6 contents in analysis of level of satisfaction for the life-time education program of public libraries with level of satisfaction on program, level of satisfaction of lecturer and students, education facilities and environment, education outcome, administrative service and general level of satisfaction for 16 questions, consisting for a total of 32 questions. The retrieved questionnaires used the SPSS program to implement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nd dispersion analysis, and based on the foregoing, following plan is presented for attracting and facilitating the participation of the life-time education program of public libraries. First, diversified and high-level programs are developed and operated by actively reflecting the demands of students. Second, the lecture hours have to be flexibly adjusted for employees, students and others that are not participated well and the lecture hours are extended or increase the frequency to steadily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ird, pleasant education environment is to be built up by purchasing required equipment and materials and securing the space for life-time education to flawlessly undertake the life-time education. Fourth, aggressive publicity activities are required by facilitating diverse publicity method to effectively undertaking the life-time education by expanding students and heightening participation. And, lastly, it is required to provide differentiated programs for each institution in collaboration with other life-time education institutions and use in collection with diverse services as well as strengthen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with the effort in close cooperation for operation. 사회가 복잡·다양해지고 지식과 정보의 홍수 시대라고 불리고 있는 지금, 변화하는 사회 속에 잘 적응하고 현명하게 대처하며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 교육은 필수 불가결한 것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요람에서 무덤까지 평생에 걸친 교육을 의미하는 평생교육은 앞으로도 더욱 절실히 요구될 것이다. 이에 공공도서관도 도서의 대출이나 이용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평생교육을 실시하는 대표 기관으로서 평생교육의 장이 되고 있다. 현재 공공도서관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공공도서관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실태, 만족도, 활성화 방안 이렇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만족도 연구에서는 타 지역의 경우 실시가 많이 되고 있지만 울산광역시에서는 공공도서관 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연구가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실제 수강하고 있는 성인들에게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평생교육의 참여 상황에 대해 파악하고 그에 따른 개선해야 될 점을 찾아 평생교육의 참여를 유도하고 나아가 공공도서관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울산광역시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176부의 유효 설문지를 회수할 수 있었다. 설문지는 개인적 배경 특성으로 성별, 연령, 학력, 직업, 결혼여부, 가계소득 6문항, 공공도서관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경험으로 현재 참여프로그램, 참여기간, 참여목적, 참여한 경로, 개선사항 등 10문항, 공공도서관 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분석으로 프로그램 만족도, 강사와 수강자 만족도, 교육시설 및 환경, 교육성과, 행정서비스, 전반적 만족도 등 6개 내용으로 16문항 등 총 3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회수한 설문지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기술통계,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참여를 유도하고 활성화 하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강자들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해 다양하고 수준 높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해야 한다. 둘째, 참여가 잘 되고 있지 않는 직장인들과 학생 등을 위해 강좌 운영시간을 탄력적으로 조정하고, 수강기간을 연장하거나 또는 주 횟수를 늘려 꾸준히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평생교육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필요한 기자재를 구입하고 평생교육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여 쾌적한 교육환경을 조성해야 된다. 넷째, 수강자들을 확대하고 참여를 높여 평생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다양한 홍보방법을 활용해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펼쳐야 한다. 마지막으로 다른 평생교육기관과 협력하여 각 기관마다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서비스를 연계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행·재정적 지원이 강화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된다.

      • 울산 과학 영재 교육의 실태 및 개선방안

        박재섭 蔚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에서 실시되고 있는 과학 영재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울산 과학 영재 교육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울산광역시 과학 영재교육의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울산광역시 과학 영재교육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셋째. 울산광역시 과학영재교육의 개선점은 무엇인가? 이를 위하여 설문지에 의한 조사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설문지는 교사, 학부모, 학생으로 구분하였다. 교사용 설문지는 과학영재 목적 및 내용 10문항, 과학영재 판별 방법 및 도구 6문항, 영재담당교원 5문항, 기타 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또 학부모용 설문지는 과학영재 목적 및 내용 10문항, 과학영재 판별 방법 및 도구 7문항, 영재담당교원 5문항, 기타 3문항으로, 학생용 설문지는 과학영재 목적 및 내용 11문항, 과학영재 판별 방법 및 도구 6문항, 영재담당교원 5문항, 기타 3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울산광역시 과학영재교육원 재학생 및 신입생, 학부모, 영재담당교사 및 각 학교 영재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교사 등 총 570명에게 배부하였다. 그 중 회수된 523부를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생, 학부모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χ^(2)(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학생이 학부모와 교사보다 높은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영재교육의 목적에 대해서는 학생이 교사와 학부모보다 학생 개개인의 자아실현을 위한 잠재력 개발에 있다고 인식을 하고 있으며, 교사는 사회의 공동체 의식 함양에 관심을 두고 있었다. 과학영재교육의 형태로는 영재교육원 형태를 선호하고 있었다. 그리고 학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영재교육에 대해서는 보통이다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출석수업을 병행한 사이버 강의 개설에 학부모와 학생이 교사보다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영재교육의 내용으로서는 학부모와 학생이 창의력개발을 찬성하고 있었으며. 과학영재교육 시작 시기로는 학생이 교사와 학부모보다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시작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하였다. 현재 울산과학영재교육원에서는 4학년부터 시작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번 선발된 학생의 과학영재교육 기간으로는 2년이 적당하다고 인식을 하고 있었다, 과학영재교육의 횟수로는 교사와 학부모가 주당 1회에 높은 비율이 나왔으며. 학생은 학기중과 방학을 모두 활용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하였다. 울산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영재특성에 맞게 잘 갖추어져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생과 학부모가 과학영재의 판별 방법이나 도구로는 객관적 검사가 적당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생 교사 학부모 모두 과학영재의 판별에 있어서 과학에 대한 흥미·관심·적성이 효과적인 기준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과학영재를 판별할 때 고려하는 교과로는 교사 학부모 학생 모두가 수학, 과학을 고려해야 한다고 인식을 하고 있으며, 각 학교에서 적용하는 영재교육대상자 판별 방법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 학생의 인식에서는 적당하다고 인식을 하고 있었다. 그리고 과학영재교육원의 과학영재 선발 방식으로는 학부모가 교사와 학생보다 다단계 선발 방식을 선호하고 있다. 셋쩨, 각 학교에 영재 담당교사의 의무 배치에 대해 학부모와 학생이 교사보다 찬성을 하고 있으며, 교사도 높은 비율로 찬성을 하고 있다. 과학영재교육원의 과학영재교육은 학부모가 교사와 학생보다 초·중등교사 및 교수가 담당을 해야 한다고 하였다. 영재교육 담당교사 연수 시 필요한 항목으로는 학생이 교사와 학부모보다 과학분야에서의 실력, 전문성과 영재교사로서의 열의와 헌신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연수시간은 120시간 이상이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울산의 영재교육이 타지역보다 잘 되는 분야에 대해서는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만족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영재 선발 방법에 대해서는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 부정적인 측면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우리나라 전체적인 과학영재교육의 문제점으로는 학부모는 영재교육 기간의 부족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학생은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영재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에서의 영재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간을 확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며, 또한 영재교육프로그램개발에도 투자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 which way science gifted education was conducted in the city of Ulsan and what problems it was faced with in a bid to seek ways to elicit potentials from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enhance their ability and improve science gifted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follows: 1. How is science gifted education provided in the city of Ulsan? 2. What are the problems with science gifted education in Ulsan? 3. What are possible reform measures?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a survey was implemented with three different types of questionnaires that respectively targeted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The questionnaire for teachers consisted of 10 items about the object and content of science gifted education, 6 about gifted student identification, 5 about teachers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and 3 about other things. The questionnaire for parents was comprised of 10 items about the object and content of science gifted education, 7 about gifted student identification, 5 about teachers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and 3 about others. And the questionnaire for students was composed of 11 items about the object and content of science gifted education, 6 about gifted student identification, 5 about teachers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and 3 about oth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70 people who included students, new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at Institute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and teachers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at each school in Ulsan.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responses from 523 people were analyzed with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In order to see how the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perceived science gifted education, frequency analysis and x^(2)(Chi-square) test were implemented, an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below: First, the students felt the higher need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than the parents and teachers did, and the students believed that the object of gifted education was to develop students' potentials to facilitate their self-realization, while the teachers paid more attention to teaching students to be community-minded. Institute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was preferred as what they wanted to receive that education from, and the largest group of the respondents put a moderate value on gifted education provided by academies. The parents and students were more interested in a combination of offline and online classes than the teachers. As for what gifted education should focus on, the parents and students prized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the students found it more appropriate to start receiving science gifted education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compared to the teachers and parents. It could be inferred from the fact that they generally found it satisfactory for the Institute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in Ulsan to offer gifted education to fourth and higher graders. Concerning an ideal term of science gifted education, they felt that every selected student should take that education for two years. As for its frequency, once a week was preferred by the teachers and parents, whereas the students thought that it should be conducted during both regular school days and vacation. Second, the students and parents thought that objective tests should be implemented to identify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all the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believed that interest and aptitude should be the major criteria to identify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all the three groups agreed that math and scienc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identifying them, and they took a favorable view of each school's existing method to identify gifted students. As to in which way the Institute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should screen gifted students, the parents showed higher preference for multistage screening than the teachers and students did. Third, the parents and students found it more necessary for each school to compulsorily secure a gifted education teacher than the teachers did, and a large number of the teachers also agreed to that. The parents wanted the Institute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to hav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professors conduct gifted education more than the teachers and students did. Regarding what should be covered in training programs for gifted education teachers, the students placed more stock in superb expertise, zeal and commitment than the teachers and parents did, and gifted education teachers were wanted to take training courses for 120 or more hours. As for in which field of gifted education Ulsan outperformed the other regions, all the three groups expressed satisfaction at gifted education programs, but didn't view gifted student screening favorably. Concerning problems with overall science gifted education in Korea, the parents pointed out a shortage of gifted education term, and the teachers and students mentioned a lack of gifted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universalize gifted education in the future, the government should take steps to let students gain access to gifted education for a longer period of time, and should make more investment in developing gifted education programs.

      • 신문활용교육(NIE)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용술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63

        신문활용교육(NIE)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울산지역 인문계고등학교 사회과 교육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울산지역 인문계고등학교 사회과 교사를 대상으로 신문활용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활성화 방안을 제시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신문활용교육의 의미와 효과에 대해서 이론적으로 고찰해보고, 신문활용교육이 사회과 교육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울산 지역을 중심으로 사회과 교육에서 신문활용교육의 현황과 교사들의 인식, 문제점과 개선점 등을 파악해 봄으로써 신문활용교육에 관한 연구와 활용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사회과 교수 학습 방법의 질적 향상을 통해 사회과가 목표로 하는 민주시민의 육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사회과 교육과 신문활용교육에 대한 이론적인 근거를 위해 단행본, 논문, 학술잡지, 인터넷 등을 참고하였다. 그리고 울산지역 사회과 교육과 신문활용교육의 관련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설문지를 제작하고, 울산지역의 13개 인문계 고등학교의 사회과 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1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회수된 97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신문활용교육은 수업에서 신문을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정보사회가 요구하는 정보처리 능력과 창의적 사고력의 신장을 위한 교육 방법으로 신문활용교육을 활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울산 지역은 신문활용교육이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다. 설문지 분석 결과에 따르면 그 원인은 교사 인식의 측면과 제도적 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교사의 인식은 첫째, 신문활용교육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 둘째, 새로운 교수 학습의 방법을 도입하는 것에 소극적이다. 셋째, 신문활용교육은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사람만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넷째, 신문활용교육의 교육적 효과는 인정하고 있으나 실제 수업에서 활용하는 것에는 다소 부정적이다. 그리고 제도적 측면에서는 첫째, 신문활용교육을 위한 시설이 미비하다. 둘째, 신문활용교육 연구회나 연수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 신문활용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안해 보면 첫째, 교사들의 인식의 변화를 위한 연수기회의 확대와 보조 자료의 제공이 필요하다. 신문활용교육이 활성화 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신문활용교육에 대한 지식의 부족이다. 따라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연수 기회의 확대와 수업에 사용할 수 있는 자료의 개발과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신문을 활용할 수 있는 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다. 신문이 활용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신문을 친근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시설이 필요하다. 학생들이 많이 다니는 장소에 신문을 볼 수 있도록 신문게시판이 설치되어야 하고, 인터넷에 숙달된 학생들의 성향을 고려할 때 인터넷으로 신문을 검색할 수 있는 시설이 요구된다. 셋째, 신문활용교육을 실시하는 학교나 교사에 대한 인센티브가 필요하다. 신문활용교육 시범학교나 연구학교, 연구회 활동을 장려하고 적절한 보상을 주는 것이 신문활용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좋은 방안이 될 것이다. 넷째, 신문의 안정적인 공급과 활성화를 위해 신문사와 협력이 필요하다. 신문을 수업에서 사용하기 위해 신문을 공급하는 문제와 신문이 수업에 사용될 수 있는 형식을 갖추는 문제는 신문사와의 협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신문활용교육을 정규 교육 과정으로 개설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현재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개설되어 시행하고 있는 창의적 재량활동 시간을 활용한다거나, 방과 후 교실 등을 활용할 수 있다.

      • Web2.0을 활용한 수학교육이 수학 학업성취도와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수학 3-가 도형 영역을 중심으로

        정수민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과 도형 영역의 효율적인 교수․학습을 위하여 웹2.0 환경의 콘텐츠를 개발하고, 우리 주변의 자연이나 생활 속에서 수학적 내용을 발견할 수 있는 내용을 학습자 스스로 UCC(User created contents)로 콘텐츠를 제작하여 공유함으로써 학생들이 수학교육에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유도하여 Web2.0을 활용한 수학교육이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 향상과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울산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중 연구자가 근무하고 있는 B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 60명을 선정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 학생들의 학력 수준은 울산광역시교육청 주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중위권 정도의 학업성취수준을 보였다. 사전 수학과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두 집단은 유의도 .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동질집단임이 검증되었다. 이를 근거로 3학년 2개 학급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비교집단은 일반적 학습을 적용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Web2.0을 활용한 학습을 적용하였다. 실험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와 Excel 2007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전 사후 t-검증을 실시하였고 유의 수준은 p<0.05로 하였다 본 실험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Web2.0 기반의 교수․학습 자료(Web과 UCC)를 개발하여 울산사이버가정학습에 탑재 활용함으로써 학습자가 학교가 아닌 다른 장소에서도 자유롭게 학습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을 마련해 주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직접 UCC 제작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상호작용을 통해 수학 도형 학습에 대한 흥미가 높아졌다. 둘째, 본 연구에서 Web2.0 기반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해 수학교육을 실시한 학생들과 교과서 위주의 일반적 수업을 실시한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를 비교한 결과, Web2.0 기반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한 실험집단의 수학과 학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학교육에 Web2.0 기반의 수학과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한 실험집단이 일반적 수업을 적용한 비교집단보다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향상되었다. 이는 학습자가 직접 제작한 UCC 등의 자료를 교육적으로 활용한 교수-학습이 일반적 학습에 비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비교집단의 학생들보다 내재적 동기, 학습기회의 개방성, 자율성 모든 영역에서 있어서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Web2.0을 활용한 수학교육은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을 통한 수학에 대한 학생들의 긍정적인 학습 태도 형성에도 매우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