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과학기술인 지원정책에 ‘여성’은 있는가

        주혜진(Chu, Hye-Jin) 한국여성연구소 2014 페미니즘 연구 Vol.14 No.2

        과학기술분야의 여성이라는 소수집단을 직접 대상으로 한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과 <여성과학기술인 육성 및 지원에 관한 기본계획>은 젠더 관점에 의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했으나, 그 내용은 젠더가 사라진 인재육성정책 혹은 노동수급정책의 성격을 띤다. ‘여성이 사라진’ 여성과학기술인 지원정책의 추진은 사실 개인능력주의라는 과학기술 전문가 사회의 오랜 훈육 이데올로기와 적절히 부합했으며, 여성들 스스로도 이를 타당하게 여기기도 했다. 여성주의와 연대가 없었던 여성과학기술인 정책결정 및 추진 결과는 전문인 양성을 통한 일정 수준의 여성 비율을 달성하는 데 치우칠 뿐, 젠더 세력화를 통한 젠더관계의 평등한 변화를 유도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 십여 년 간 지원 정책은 꾸준히 추진되어 왔지만, 여성과학기술인들은 ‘여전히 여성이 견디기 힘든 과학기술 공동체’임을 이야기한다. 여성주의 전문가들에 의해 촉진된 참여토론(타운미팅)에서 여성과학기술인들은 여성의 특수성과 여성의 지위 향상 요구가 부각된 정책사업들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다고 이야기 했다. 정책의 상대적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AHP조사에서 여성과학기술인들은 기존 추진전략의 우선순위가 변경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주장했고, 보다 중요한 지위에서 결정권을 행사하는 것, 보다 능동적으로 정책 형성의 과정에 참여하고 지식을 생산할 기회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기했다. 타운미팅이나 계층분석방법(AHP) 조사 참여는 정책의 내용을 스스로 생산하고 우선 순위를 정하는 민주적 정책 결정 절차에의 동참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험의 축적은 여성과학기술인 스스로가 필요한 정책 지식과 입장을 형성하는 과정에 참여함을 의미하며, 앞으로 과학기술자 사회에 구성될 거버넌스에서 다른 참여자들과 동등한 힘을 행사할 수 있는 자산이 될 것이다. National policies and law on women in science and technology were designed to promoting women and addressing gender issues in those areas. However, gender perspectives has been diluted and current policies and law give an strong impression of human resource policies. ‘Gender-blind’ policies for women in science and technology is consistent with the individual achievement ideology which has been working for a long time as the disciplinary mechanism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fields careers. There still has been growing concern about the issue of women’s under-representation and lower level of women’s empowerment in scientific careers. At the Town-Meeting activity facilitated by feminists, women in science and technology actively engaged in dialogue and exchanged views on national policies, taking into account gender perspectives. They emphasized the action plan to promote gender equality and prioritized the elements of policy through which performed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Women’s participation in democratic policy-making should contribute to develop individual policy knowledge and gender standpoint. This capability can be the salient element of governance bringing significant improved status of women in science and technology fields.

      • KCI등재

        여성주의 연구방법으로서 젠더분석과 기술혁신

        김혜련 ( Kim¸ Hyu-ryu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0 가톨릭철학 Vol.0 No.14

        이 글의 목적은 젠더분석을 여성주의 연구방법으로 제안하고, 젠더분석이 과학과 기술의 여러 분야에서 실제로 어떤 기술적ㆍ실천적 지식 혁신을 가져왔는지를 보여주는 데 있다. 젠더분석은 궁극적으로 여성의 삶에서 불평등을 해소하고 공정성과 역량강화를 위해 실질적인 변화를 모색하는 것을 추구하지만, 그러한 실천적 목표를 정당화하기 위해 먼저 합리적인 절차에 의거한 타당한 지식 산출에 기초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제도적ㆍ정책적 전략을 세우기에 앞서 젠더분석은 이른바 ‘지식 문제’에 대해 합리적이고 타당한 논증을 제시한다. 즉 젠더 분석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편견과 무지에 기인하는 지적 손실을 막고 풍요롭고 도덕적으로 정의로운 삶을 영위하기 위해 균형 있고 책임감 있는 지식 생산 과정과 실천 방안을 모색하려 한다. 이 글의 전반부는 젠더와 ‘지식 문제’에 중점을 두어 논의한다. 여성주의 과학 기술과 연관하여 지식 문제는 지식 생산에서 젠더의 입지가 무엇이며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인가 하는 물음을 둘러싸고 전개되어 왔다. 과학적 지식과 젠더는 아무런 내적관계를 갖지 않는다고 보는 전통적 입장에 따르면 젠더는 오히려 과학적 지식을 오염시키는 오염변수가 될 수 있다. 과학자 자신의 개인적인 기호나 편견이 그가 탐구하는 학문에 개입하지 않아야 하듯이, 젠더는 단지 연구자의 개인적인 문제일 뿐이므로 과학적 지식과는 연관성이 없다는 것이다. 그 반면에 현실의 변화를 도모하는 기술가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변수들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현실 세계를 초기 조건으로 갖는다. 변화를 추구하는 일은 연구자 자신을 비롯하여 기술의 잠재적 수혜자들의 신체적 필요와 욕구, 그리고 사회적 역할과 긴밀하게 연관된다. 그러므로 과학 연구와 기술 개발 과정에서 연구자의 젠더를 중요한 변수로 다루는 것은 오히려 객관적이고 풍성한 지식 산출을 유도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젠더를 고려하지 않는 과학이나 기술은 피폐한 최소주의적 지식을 산출할 수밖에 없다. 이 글의 후반부에서는 젠더분석을 연구방법으로 삼아 과학과 기술 분야에서 새로운 지식의 생산과 기술 혁신을 이룬 사례를 고고학과 자동차공학에서 제시한다. 여성의 삶에서 유의미한 활동들의 성격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고고학적 자료에 접근할 때, 그러한 이해 없이는 접근할 수 없는 지적 지평이 열리고 창의적인 상상력을 통해 과거의 기술의 양태를 복원해낼 수 있음을 보일 것이다. 자동차 공학의 경우, 여성 운전자의 필요와 욕구를 분석하여 종래의 남성중심적인 자동차 설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과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었던 볼보사의 YCC 사례를 보여줄 것이다. The aim of the paper is to offer ‘gender analysis’ as feminist research method, and to show how gender analysis can make possible knowledge innovations in science and technology. Gender analysis ultimately pursues to dismantle the barriers against autonomy and equality and to bring about ‘material change’ in women’s life. However, gender analysis as research method first must deal with the so-called ‘knowledge problem’ in order to justify itself as the matrix of rational, objective, and just knowledge. Therefore, feminist philosopher of science and technology attempts to offer a valid argument for gendered scientific knowledge before s/he delves into decision making procedures toward new institutions and policies. That is to say, gender analysis aims to protect men and women from intellectual loss due to gender-insensitivity and to offer practical initiatives for inducing the balanced and responsible knowledge producing process. I give some of the successful examples of knowledge or technical innovations from delivering gender analysis as research method in the latter part of the paper. I pick up two instances from Archaeology and Automobile engineering. Olga Soffer succeeded in making ‘a big find’ through reconstructing and reenacting of women’s craft and textile technology. Such findings can only be made possible by creating imaginative and gender-sensitive narratives. Women engineers team at the Volvo auto company designed the concept car ‘YCC’ in 2004. The car was designed to satisfy the professional and tasteful female driver. The design team applied Ergovision to YCC in order to accommodate the physically non-standard drivers and to enhance the level of security. The outcome was satisfactory and the team got the positive feedbacks from the professional dealers and ordinary people.

      • KCI등재

        난자 : 생명기술의 시선과 여성 몸 체험의 정치성

        조주현(Cho Joo-hyun) 한국여성학회 2006 한국여성학 Vol.22 No.2

        이 글은 황우석 교수팀의 줄기세포기술의 연결망에 “난자”가 어떻게 개입되는지, 그물적, 담론적, 사회적 요소들을 규명해보는 것을 통해, 궁극적으로 복제줄기세포기술이 여성에게 어떤 영향을 끼칠지를 논의해보려는 시도이다. 연구자는 여성이 복제줄기세포 연구에서 행위성을 확보하기 위해 모성의 책임에 기반한 여성의 인권개념이 작동할 수 있는 공간을 창출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를 다음 세 가지 논점들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여성의 몸에서부터 아기, 태아, 배아, 난자의 순서로 개체화 시킨 후, 개체 간의 분리와 대립을 정당화시키는 생명기술의 시선이 난자, 배아, 태아, 아기와 유기적으로 통합된 것으로 인식하는 여성 몸의 체험과 충돌하고 있다. 둘째, 배아줄기세포 기술에서 새롭게 획득된 개체적 존재로서의 “난자”의 의미는 6,70년대 근대화 과정에서의 국가의 여성출산력 조절 정책, 80년대 국가의 출산력조절, 가부장제가족의 유지, 그리고 신출산기술의 상호규정의 결과로 나타난 성감별 후 여아낙태 현상, 90년대 시험관 아기시술을 통해 구현된 도구적 모성의 연장선상에 있다. 셋째, 여성의 재생산권을 인권의 맥락에서 공식화하고, 인권을 존중하는 국가주의의 실천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함께 권리 개념에 반영되지 않은 여성의 모성 경험을 사회적 현실로 언어화하고 궁극적으로 권리 개념으로 번역하는 작업의 병행이 요구된다는 점을 지적했다. This work attempts to analyse the way “egg” is inserted into the network of Professor Hwang Woo Suk's research in SCNT biotechnology by identifying its material, semiotic, and social elements and to examine the eventual implications that SCNT biotechnology has on woman. To secure woman's agency in SCNT biotechnology, the author proposes to create the space in which women's human rights based on the responsibility of motherhood can operate properly. The main part of this work can be roughly summarized by the following three arguments. First, it is emphasized that the semiotic visual biotechnology that, after individuating child, fetus, embryo, and egg in that order from woman's body, justifies separation and opposition among these objects directly runs into conflict with the women's embodied experience that recognizes child, fetus, embryo, and egg as an organically integrated whole. Second, it is argued that the concept of “egg” as an individuated being, that has been newly generated by SCNT biotechnology, is a natural offspring of those utilized by the nation-state policy to control women's fertility during 60's and 70's modernization process, the phenomenon of abortion of female fetus that occurred as a result of interaction among fertility control by the nation-state, maintenance of patriarchal family, and new reproductive technology in 80's, and the instrumental motherhood realized through IVF technology of 90's. Third, it is urged that nationalism that incorporates and reformulates woman's reproductive rights in human rights vocabulary and respects human rights thus reformulated be practised. Along with it, it is pointed out, parallel efforts to codify mothering experience, that has not been properly incorporated in the framework of human rights, into discourses as socially existing substance and, eventually, to translate into the language of human rights are needed.

      • KCI등재

        인공‘여성’지능과 기술자본주의에 대한 여성주의 현상학적 연구

        임현진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0 신학과 사회 Vol.34 No.1

        In the midst of discussions about diverse ethical issue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qualAI, a non-profit organization, has launched the genderless AI voice called Q in order to overcome gender stereotypes in AI industries. While their valid efforts have attracted some attention of several media sources, a question remains about Q's actual effectivenes. In this paper, I deal with the issue of AI mostly becoming artificial ‘female’ intelligence and explicate the feminist phenomenological meaning of gendered and genderless voice through two of Paul’s letters, Galatians and I Corinthians, and Heidegger’s analysis of “solicitude(Fürsorge).” Paul's contradictory messages about woman’s gender role “in Christ” and “in the churches” reveals the ontological gap between authentic and inauthentic solicitude. In the world of everydayness of “das man,” gender difference is a tool of inauthentic relationship in which Dasein "praximally for the most part" considers others a means of its own existence. In this everydayness Q's intended genderless idealism helpfully discloses non-binary gender but the feminist site of resistance against patriarchy is disoreiented. To fill up the gap and overcome female gender stereotypes depends on Dasein’s restoration of authentic solicitude through “projection(Entwurf)” by getting involved in the techno-capitalistic system and resist the reflection of gender prejudices that have penetrated big data. EqualAI already initiated as a good example, and I suggest that we continue the initiation through feminist phenomenological ethics of technology that explores women as a techno-minority in the world with the default setting of artificial 'female' intelligence. 4차산업 혁명이 급속도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윤리적 문제가 논의되는 가운데 최근 서구의 한 비영리 단체 EqualAI는 인공지능 비서 산업에서의 여성 음성 편향 문제를 극복하고자 무젠더(genderless) 음성 Q를 출시하였다. 이는 잠시 몇몇 매체의 관심을 끌었지만 Q의 실제 효과에 대해서는 의문이 남아있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인공지능이 대체로 인공'여성'지능으로 선호되는 사태를 다루고 갈라디아서와 고린도 전서에 나타난 젠더 역할에 대한 딜레마와 하이데거의 심려 분석을 통해 젠더 편견과 무젠더적 이상에 대한 여성주의 현상학적 의미를 해명한다. 여성에 대한 바울의 모순된 메시지는 "그리스도 안"의 본래적 심려와 "교회 안"의 본래적 심려 사이의 존재론적 간격을 드러낸다. “세인”의 일상성 안에서 젠더는 비본래적 심려관계의 도구가 되는데, 그 관계 안에서 현존재는 “우선 대개” 타인을 자신의 실존을 위한 수단으로 보고 타자 자신의 가능성을 부정한다. Q가 의도했던 무젠더의 이상은 이러한 일상성 안에서 논바이너리 젠더를 비은폐하지만 동시에 가부장제에 대한 여성주의적 저항의 방향은 분산된다. 존재론적 간격을 채워 인공지능 시장에서의 여성 젠더에 대한 고정관념 극복에 관한 한 무젠더 음성 보다는 본래적 심려를 회복하는 “기획투사”를 행하는, 구체적으로 말해 기술자본주의 시스템에 참여하여 빅데이타에 스며있는 젠더 편견이 반영되는 사태에 저항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러한 기획투사의 한 좋은 예를 EqualAI는 시작하였다고 볼 수 있으며, 필자는 인공‘여성’지능으로 디폴트 셋팅된 세계에서 기술소외층으로서의 여성을 탐구할 여성주의 현상학적 기술윤리학을 통해 이러한 시도를 지속하기를 제안한다.

      • KCI등재

        일・가정 양립 정책의 디커플링과 조직의 여성친화적 특성이 여성 과학기술인력의 생산성과 조직이탈에 미치는 영향

        황정윤,주혜린 한국지방정부학회 2022 지방정부연구 Vol.26 No.1

        그간 일・가정 양립정책에 관한 연구들은 일・가정 양립정책의 효과성을 탐색하는 동시에 이들 정책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대안을 탐색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그에 따라 일・가정 양립정책이 실제 여성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는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졌으며, 특히 제도의 디커플링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과 여성친화적 조직 특성이 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관해서는 논의가 부족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는 여성과학기술인력에 초점을 두어 일・가정 양립정책의 디커플링과 여성친화적 조직특성이 이들의 생산성과 조직이탈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0년~2019년 간 4,187개 조직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가정 양립정책의 디커플링은 여성과학기술인력의 생산성을 저해하고 조직이탈을 증가시키는 것으로나타났다. 즉, 여성인력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조직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조직 내에서 일・가정 양립정책의 실질적 실행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더하여, 조직이 여성친화적일수록 여성인력의 생산성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여성의 조직이탈 역시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장기적 관점에서 일・가정 양립정책의 디커플링을 줄이고 제도의 실행과 내재화를 위한 노력이 여성인력의 역량 강화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에 따라본 연구는 조직 내에서 관련 제도를 활성화되기 위한 적극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 KCI등재

        난자

        조주현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07 생명연구 Vol.8 No.-

        이 글은 황우석 교수팀의 줄기세포기술의 연결망에 “난자”가 어떻게 개입되는지, 그 물적, 담론적, 사회적 요소들을 규명해보는 것을 통해, 궁극적으로 복제줄기세포기술이 여성에게 어떤 영향을 끼칠지를 논의해보려는 시도이다. 연구자는 여성이 복제줄기세포연구에서 행위성을 확보하기 위해 모성의 책임에 기반한 여성의 인권개념이 작동할 수 있는 공간을 창출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이를 다음 세 가지 논점들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여성의 몸에서부터 아기, 태아, 배아, 난자의 순서로 개체화 시킨 후, 개체간의 분리와 대립을 정당화시키는 생명기술의 시선이 난자, 배아, 태아, 아기와 유기적으로 통합된 것으로 인식하는 여성 몸의 체험과 충돌하고 있다. 둘째, 배아줄기세포기술에서 새롭게 획득된 개체적 존재로서의 “난자”의 의미는 6,70년대 근대화 과정에서의 국가의 여성출산력 조절 정책, 80년대 국가의 출산력조절, 가부장제가족의 유지, 그리고 신출산기술의 상호규정의 결과로 나타난 성감별 후 여아낙태 현상, 90년대 시험관아기 시술을 통해 구현된 도구적 모성의 연장선상에 있다. 셋째, 여성의 재생산권을 인권의 맥락에서 공식화하고, 인권을 존중하는 국가주의의 실천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함께 권리 개념에 반영되지 않은 여성의 모성 경험을 사회적 현실로 언어화하고 궁극적으로 권리 개념으로 번역하는 작업의 병행이 요구된다는 점을 지적했다.

      • KCI등재

        문화정치학의 관점에서 본 여성노동과 젠더 레짐 : 여성노동자투쟁 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김영옥 상허학회 2017 상허학보 Vol.50 No.-

        본 연구는 여성노동자를 고려하지 않는 노동운동사의 곁에는 동일한 비중으로 여성노동자를 주목하지 않는 미디어 엑티비즘이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여성노동자와 여성노동자투쟁을 주목하는 다큐멘터리들과 그 생산 환경을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는 첫째, 일터와 노동, 그리고 노동자의 정체성을 구조화하고 규정하는 젠더 관점을 해체적으로 드러내고 둘째, 주류를 거슬러 역사쓰기로서의 기록과 기억의 탈가부장적ㆍ여성주의적 양식을 성찰한다. 마지막으로 문화 정치학의 관점에서 생산, 인식론적 비판, 전유 등을 포함하는 여성주의 문화실천의 가능성과 전략을 탐색한다. 본 연구는 구체적으로 70년대 후반 ‘똥물투척 사건’ 이후로 근 30여 년간 복직투쟁을 벌이고 있는 동일방직 여성노동자들의 투쟁을 다룬 <우리들은 정의파다>와 이랜드 홈플러스 비정규 기혼여성들의 점거농성을 기록한 <외박>을 '노동투쟁과 문화전쟁'의 치열한 장소로 분석한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idea that media activism lacking attention to women workers co-relates to the history of labor which is not concerned with female worker. By analyzing documentaries covering women workers, their struggles and the productive environments, <We Are Not Defeated>, <Stayed Out Overnight (2009)> this study aims to:first, reveal and deconstruct gender perspective that structures and regulates workplace, work itself and the identities of the workers, second, reflect on records of history-writing against the grain and memories of de-patriarchal, feminist way, third, explore possibilities and strategy in feminist cultural practices, with perspective in Cultural Politics, including production, epistemological criticism, appropriation, etc. This study specifically reviews and identifies the following documentary films as the sites of work struggle and culture war:‘We Are Not Defeated (2006),’ covering women workers’ 30-year-struggle to be re-employed after the unfair dismissal in the late 70s, and ‘Stayed Out All Night(2009)’ which records the protests of non-regular, married women workers against E-land Homever company’s discrimination.

      • KCI등재

        해방기의 변화와 여성 교양인의 운명 -김남천의 연작소설 <사랑의 수족관>과 <1945년 8.15>에 대하여-

        김주리 한국여성문학학회 2011 여성문학연구 Vol.25 No.-

        Kim, Nam-cheon's novels <The Aquarium of Love> and <August 15,1945> groped for positive human figures in the confusion of World War and Liberation.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se texts at the point that what means the heroines' culture and practice. We aims to explain the meaning of private love and public practice that Yi, Kyeong-hee, daughter of a munitions plutocrats intimate Japanese Empire and Bark,Mun-kyeong, daughter of a fighter for national independence against Japanese Empire showed at the last years of Imperial domination and at the days of just liberation. In <The Aquarium of Love>, the heroine Yi,Kyeong-hee's love involves not rejection and criticism on her father as a munitions plutocrats intimate Japanese Empire but criticism and enlightenment on her lover, an intellectual as a nihilist. The other side, in <August 15, 1945> the heroine Bark, Mun-kyeong's love appears that she cuts off her father, a fighter for national independence through expropriating from her lover's marxism ideology lack criticism. In these novels, the heroines' lovers are both technocrats and intellectuals so they are estranged from their techincal jobs with debt perception on the liberation society. With this change, they show patriarchal figures that Kim, Gwang-ho oppressed his wife's passion for public practice and Kim,Ji-won destroyed his lover's private desire for love. In <August 15, 1945>,Kyeong-hee's public passion changed private acts and Mun-kyeong'sprivate desire changed public practice, so Kyeong-hee's critical culture becomes a depravity case and Mun-kyeong's culture becomes an adaptation case. In their worlds, public passion for political practice was not in accord with private desire for love. An educated woman with desire was braked, becamed a depraved one or a non-sexual one. 김남천의 연작소설 <사랑의 수족관>과 <1945년 8.15>는 파시즘(전쟁)과해방이라는 혼란 속에서 긍정적인 인간상을 모색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여주인공의 교양과 실천이 가진 의미를 비판하는 데 초점을 두고 두 텍스트를 해명해 보고자 한다. 전문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여성 교양인으로서 친일군수재벌의 딸 이경희와 해외 독립운동가의 딸 박문경이 일제 말기와 해방 직후 상황에서 보여주는 사적 연애와 공적 실천이 가진 의미를 해명하고자 하는것이다. <사랑의 수족관>에서 주인공 이경희의 연애는 친일 군수재벌 아버지에 대한 비판과 거부보다는 허무주의에 빠진 남성 지식인에 대한 비판과 계몽이라는 성격을 내포한다. 반면 <1945년 8.15>에서 주인공 박문경의 연애는주의자 애인의 세계관을 비판 없이 수용함으로써 독립운동가 아버지의 세계와단절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두 소설에서 여성 교양인의 연애 대상으로 선택된 기술전문가 남성들은 기술자인 동시에 지식인으로서 사회에 대해 일정한 부채의식을 가지고 해방기를 맞이하며 직업 기술의 세계로부터 멀어진다. 이와 함께 김광호는 아내의 공적 열정을 억압하는 가부장으로, 김지원은 애인의 사적욕망을 거세하는 가부장으로 형상화된다. <1945년 8.15>에서 경희의 공적 열정이 사적 행동으로 변화하고 문경의 사적 욕망이 공적 행동으로 나타날 때,경희의 비판적 교양은 타락한 것으로 발견되고 문경의 교양은 순응적인 것이되고 만다. 공적 열정(사명)과 사적 욕망(연애)은 해방기 여성 교양인의 세계에서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 욕망을 품은 교양인 여성은 해체되고, 타락하거나무성화된 존재가 되는 것이다.

      • KCI등재

        인도의 상업적 대리모 연구

        허라금(Huh, Ra Keum),조소연(Cho, So Yeon) 한국여성학회 2015 한국여성학 Vol.31 No.1

        이 논문은 지구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대리모 시장의 거대구조 속에서, 대리모 여성의 실제 경험이 갖는 함의가 무엇인지를 탐색한다. 이를 위해 우선, 상업적 대리 출산과 경제 논리로 매개된 지구적 재생산 위계구조가 제3세계 여성에 대한 몸의 착취를 가져왔음을 비판해 온 페미니즘의 프레임을 통해, 인도의 상업적 대리모 증가의 요인과 현황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인도 대리모 여성들을 지구적 대리모 시장에서 행위자가 아닌 피해자로 위치시키는 서구식 식민주의적 관점을 지양하면서, 제 3세계 여성 당사자의 경험을 민족지학적 관점으로 접근하여 가시화할 것을 제안한 판데(Pande)의 연구를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인도 현지의 대리모 여성들과 대리모 시술 병원, 그리고 여성의 건강권을 중심으로 대리모의 법적 권리를 주장하고 있는 인도 여성단체인 ‘사마(Sama)’ 활동가의 입장 등을 고려하면서, 가족에 대한 기존의 개념과 질서, 관계에 균열을 낼 수 있는 대리모 수행의 가능한 의미들을 탐색한다. This study here is to seek implication of actual experiences of Indian surrogate women in the grand structure of increasingly globalized market for fertility industry. For this, we begin by examining the factors, and the current situations of growing market of Indian commercial surrogacy, from the framework of feminism which has criticized that hierarchical structure of global reproduction that is intertwined with commercial surrogacy and logic of economy, has led to exploit female bodies in the third world. Second, we are to review several researches of Amrita Pande, who challenged the western colonialism perspective that simply situates Indian surrogate women not as agents, but as victims in the global surrogate market, therefore proposed the feminist ethnographic approaches to capture third world women’s lived experiences. And finally, considering the each position of Indian surrogate women, Akanksha infertility clinic, Sama activists who advocate legal rights to protect surrogate women by focusing on the women’s health issue, on surrogacy, this study concludes with researching on conditions required for actualizing the possibility of surrogate performance to disrupt conventional concept, order, and relations of family.

      • KCI등재

        사이보그수사학에 나타난 몸의 형상화

        현남숙 한국여성철학회 2012 한국여성철학 Vol.18 No.-

        이 논문은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수사학에 나타난 몸의 경계 위반과 재정립을 분석하고 그것이 갖는 여성주의적 함의를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몸에 관한 전통적 관념은 몸을 인종, 생물, 인공물/자연물의 단위로 구분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해러웨이는 사이보그 개념을 중심으로 하여 여성/남성, 기계/유기체, 동물/인간, 인종간, 젠더간 경계를 위반, 해체한다. 이러한 해러웨이의 작업은 형상화에 의존한다. 테크노 페미니스트로서 해러웨이의 대표적 형상화는 사이보그이다. 그 안에 몸의 젠더간 구분을 해체하는 ‘여성인간ⓒ’, 인종간 경계를 허무는 ‘테크노 뱀파이어’, 생물종간 경계를 넘나드는 ‘온코마우스™’이 위치한다. 이러한 형상화는 자연-문화 안에서 “함께 되어감”의 동반종으로 자리매김된다. 몸의 해체와 확장을 돕는 이러한 형상화는 오늘날 여성주의의 주요한 문제영역들과 맞닿아있다. 해러웨이는 성정체성, 인종, 생물공학이 전제하고 있는 차별적 경계를 새로운 시각으로 흩트리는데, 이는 기술과학의 장 안에서의 여성의 몸을 설명하는 데도 기여한다. 이러한 해러웨이의 수사학은 기존의 몸 개념에 도전하는 여성주의의 담론에 시사하는 바 크다. 몸의 관계성을 보여주는 이러한 작업은 테크노 생태계의 친족관계 안에서 여성의 몸을 이해하는 지평을 넓혀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