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의 학교교육과정에 제시된 특수교육 관련 내용 분석

        홍혜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학교교육과정에 제시된 특수교육 관련 내용이 특수학급 설치 여부, 학교 규모, 지역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 설치 여부에 따라 특수교육 관련 내용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교 규모에 따라 특수교육 관련 내용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지역에 따라 특수교육 관련 내용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라북도에 있는 426개 초등학교 중 300개 초등학교의 학교교육과정을 수집하고, 학교교육과정의 특수교육 관련 내용 분석표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이 설치된 학교가 설치되지 않은 학교보다 학교교육과정에 특수교육 관련 내용을 더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내용도 구체적이고 명료하게 제시하여 질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규모 학교가 소규모 학교보다 학교교육과정에 특수교육 관련 내용을 더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내용이 형식적인 수준에 그쳐 질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에 위치한 학교와 군에 위치한 학교가 학교교육과정에 제시하고 있는 특수교육 관련 내용은 거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질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특수학급 설치 여부는 학교교육과정에 특수교육 관련 내용을 제시하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교교육과정에 제시된 특수교육 관련 내용은 질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모든 교사가 특수교육의 중요성을 바르게 인식하고 교육활동 곳곳에서 특수교육을 지원하고 통합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내용을 학교교육과정에 포함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ifferences of contents related special education on school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by whether a special class is set up or not, school size, reg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what kind of differences are contents related special education by whether a special class is set up or not? Second, what kind of differences are contents related special education by school size? Third, what kind of differences are contents related special education by region? In order to resolve the above questions, collected 300 school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s among 426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jeollabukdo and analyzed by analysis table of contents related special education of school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centage of content related special education was higher in schools which set up a special class than schools which not,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qualitatively, too. Second, percentage of content related special education was higher in big-sized schools than small-sized school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qualitatively because of presenting contents formally. Third,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between percentage of content related special education in schools located in city and schools located in countr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qualitatively. As above, whether a special class is set up or not is important factor in presenting contents related special education. But it is not sufficient qualitatively. Therefore, as all teachers recognize rightly the importance of special education and support it on all sides of educational activities, it is included contents to practice inclusion school curriculum.

      • 역량중심 교육과정에서 중학생의 영어능력 성장 모니터링 성적표 탐구 : 대안교육 특성화중학교 사례를 통해

        서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nglish report card is an alternative resource in education, which evaluates students' English competencies instead of grading of each subject and emphasize the complex outcomes of a learning process rather than mainly focusing on what learners are expected to learn about in terms of traditionally-defined subject content. This is an alternative method of English evaluation that can make students learn English of their own accord and expect them to be adaptive to the changing needs of society.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this paper interviewed two teachers and six students of two Alternative Schools in Gyunggi-province, which have already gotten permission that can reconstruct of English curricular structure by the government. Secondly, it investigated the systems of instruction, grading assessment, and reporting that are based on students demonstrating that they have learned the knowledge and skills they are expected to learn as they progress through their education in two Schools. Finally, it examined the possibilities to find alternative method of English evaluation through English report card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conclusion, this study requires the following supporting: First of all, teachers are willing to implement cross-curricular themes, actual subject matters, and flexible structure in English class. Secondly, teachers should try to give their students feedback consistently and should be able to available for making students' weak points into strong points. Finally, this stable supporting grading system should be given to teachers for recording students' various assessments and to students for self-monitoring English competencies as well. Therefore, the general goal of an English report card base competency curriculum is to ensure that students are acquiring the knowledge and skills that are deemed to be essential to success in school, careers, and in their adult life.

      • 초등학교 교사의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와 실천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정상원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In Korean elementary school, many teachers try to improve their instruction and class. In these efforts, many teachers are interested in the 'understanding by design' and 'backward design' as the useful way for designing the class level curriculum to improve their instruction and class from foundation. In these attentions, many studies inquired the theoretical issues and the application of backward curriculum design in schools and classroom. Nonetheless, there is little information about the practical methods or strategies for doing backward design. As the result of these contex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tried to adopt backward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to their classroom easily have given up or done it in wrong way. Thus,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actical methods and strategies of backward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that can be the guideline to implement the backward design by inquiring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actical applications of it in elementary school. And, this study tried to find third way for integrating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area beside action research to inquire the way that the theory works in practical area. So, this study set up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contexts of elementary school that influence the backward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Second, what kinds of methods and strategies d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e to do the backward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Third, What are the strategies tha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e for success of backward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used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s the research method. Because, this study aided to find the substantial theory that represents the phenomenon of elementary teachers' practice and practical methods in doing backward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Ten teachers joined this study as participants. The raw data was gathered from interview, participant observation, documents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 The raw data was analyzed as following the process of Glaser(1978)'s coding procedure that is composed of three kinds of coding, those are open coding, selective coding and theoretical coding. In open coding, four hundreds codes were drawn from raw data and categorized in subcategories. After selecti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ccess strategies for backward design and implementation as core category, selective coding was followed to saturate the core category and found the relationship with categories. Finally, the categories was labeled with the Glaser(1978)’s coding families to establish the substantial theory abou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ckward design and implementation. As a result, this study discovered three categories from the analysis. These were the four images that represent contexts of elementary school, the methods and strategie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e in doing backward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a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ccess strategies for backward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First, the elementary school had four kinds of images related to backward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these we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differences about backward curriculum desig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difficulty to do backward design method, the people who have non-cooperative attitude to doing backward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arou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traditional school curriculum implementation way that is not fit with backward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indifferent in doing backward design and implementation because they had not enough time to prepare, did not find uniqueness about backward design from other curriculum theories, did not think they need to do backward design, had antipathy against new theory.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difficult in doing backward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it's theoretical concepts and it’s unfamiliarity. S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d the backward design and implementation in superficial ways. The lack of understanding about subject was the cause of the image. too. The peer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influence negatively the teachers’ backward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with uncooperative attitude. The traditional ways that the school implement the curriculum like test with a multi-choice questions, national school book, and the planning way to in implement school curriculum was the negative image for doing backward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too.. Seco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ed several methods and strategies to do backward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Those are using various materials and ways to derive enduring understand, composing essential questions and performance assessment task systematically, organizing learning experiences with creative way before adopting WHERETO model.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ed various kind of materials lik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schoolbook and teacher's guidebook, context around school and classroom. for deriving enduring understands. And they used their own methods to derive enduring understand, those are hermeneutic approach, analytic approach, using reflection and intuition and constructing enduring understands with diagram. The methods tha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e for composing essential question is making various questions and doing careful selection from those and making that from the enduring understand directly. For composing performance assessment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ed existing performance assessments or made new one. The method for making new performance assessment were starting from the GRASPS elements, strengthening the narrative nature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s, and concerning the core ability.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laned the class with traditional way that they usually use but refine that with WHERETO model. Thir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dopt a few success strategies to their backward curriculum implementation. Those were focusing on their purpose and student level than backward curriculum theory, being delicate in class, overcoming the three misconception, approaching to definitiveness by cooperative and constant reflective approa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implemented the backward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in various way according to their intention and the student's level. A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reful attentions led to the success of backward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in class level with various way that were placement of student's desk, putting some materials that can led the student concentrate on the task, providing enough chances and methods to present and reflect their performance. A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ried to overcome the misconceptions with redefining paradigm. Cooperative and reflective design support the teacher to progress their design. In conclusion, these discussions can provide meanings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or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se discussion can provide useful methods that can help the teachers to success in doing backward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educational administrator, these discussions can provide the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effective support method to promote the spread of backward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in elementary school.

      • 2015 개정 기본 교육과정과 공통 교육과정 국어과 의미네트워크 분석

        이규철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Korean language course and the common curriculum in the basic curriculum of the 2015 revision are analyzed by semantic network analysis.Specific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meaning of the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Korean language course of 2015 revised basic education curriculum? Second, what is the significance network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common education curriculum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For this purpose, 77 primary, secondary, and high school Korean language achievement standard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elementary school 1st and 2nd grade achievement standards, words such as 'interest', 'expression', 'sound' were analyzed and words such as 'letters' and 'words' were used in 3rd ~ 4th grade achievement standards of elementary school. In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chievement standards, 'word' was unified by centrality, and 'sentence' was emphasized in 1st ~ 3rd grade achievement standards of middle school. In grades 1 ~ 3 of high school, 'grasp', 'contents', 'letters' occupy the largest percentage. In summary, in elementary school, activity consists mainly of interest in the most basic part in the order of sound, attention, expression, and word. In middle school, activity about basic sentence type that can act in sentence unit is formed. In high school, the emphasis is on the grasp of main contents and basic etiquette in the order of letters, contents and grasp. Next, 97 Korean language achievement standard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elementary school achievement standards for 1st and 2nd graders, 'writing', 'ji gi', and 'attitude' were analyzed. In grades 3 ~ 4 of elementary school, "writing" and "writing" occupy the largest percentage in grades of achievement. Elementary grades 5 ~ 6 achievement standards emphasize "writing" In the standard, 'content' and 'follow' appeared, and in the first grade achievement standard of high school, 'writing', 'reading', and 'writing' are emphasized respectively. Overall, attitudes are emphasized in the first to four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in the fifth to six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communication of spoken words' is emphasized by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It consists of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speaker and listener. In middle school, each area emphasizes the essence part through 'higher awareness'. High school emphasizes attitudes in each area, and activities are describ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social interaction, reading, process checking, writing, and rewriting. In the future, efforts should be made to acquire diverse knowledge in the basic curriculum composition and to establish the Korean language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a balanced area to nurture a rational high thinking ability.

      • 2007 개정 교육과정 수학 1, 수학 2 교과서에 나타난 수학사 자료의 도입유형 분석

        장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수학사를 수학교육에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교사들이 수업시간에 가장 많이 의존하는 교과서에 수학사가 어떻게 도입되고 있는지 분석하여 교사들이 실제 교육현장에서 수학사적 수업을 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수학사 도입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수학Ⅰ, 수학Ⅱ 교과서 각각 10종을 대상으로 수학사적 내용을 단원별로 조사해보고, 이기영(1998)의 교과서 분석방법을 참고하여 5가지 유형으로 분석하였다. 1. 2007 개정 교육과정 수학Ⅰ교과서와 수학Ⅱ교과서에 나타난 수학사 자료의 도입유형 분포는 어떠한가? 가. 수학사 자료의 교과서별 도입유형 분포는 어떠한가? 나. 수학사 자료의 단원별 도입유형 분포는 어떠한가? 다. 수학사 자료의 주제별 도입유형 분포는 어떠한가? 2. 2007 개정 교육과정 수학Ⅰ교과서와 수학Ⅱ교과서에 나타난 수학사 자료의 도입유형에는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가? 20종의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도입된 유형은 수학Ⅰ, 수학Ⅱ에서 명시적-첨가형(A)이었고 묵시적 도입형(S)이 그 다음으로 많이 도입된 유형이었다. 전체적으로 도입된 수학사 자료의 수는 수학Ⅱ보다 수학Ⅰ에서 더 많았다. 이는 2007 개정 교육과정 수학 교과의 성격, 내용이 수학Ⅰ과 수학Ⅱ가 다르기 때문에 나온 결과로 보인다. 교과서별 빈도는 수학Ⅰ의 경우 교과서 G가 가장 높았으며 수학Ⅱ에서는 교과서 F가 가장 높았다. 교과서를 구성하는 단원별로 분석할 때 수학Ⅰ에서는 수열 단원이 수학Ⅱ에서는 미분법 단원에서 수학사 자료가 많이 도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수열이나 미분법의 교과 내용이 수학사적인 교수학습 자료로 이용될 수 있는 것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교과서에 제시된 수학사 자료의 주제를 유형별로 분석할 때 수학자, 수학자의 업적, 수학문제, 수학의 기원 및 발전과 관련된 내용들은 명시적-통합적-도입형(Ⅰ-1)으로 제시되고 있었으며, 이론의 변천과정이나 대립되는 이론의 논증과정 또는 연구를 통해 밝혀진 정리 내용을 소개하는 자료들은 명시적-통합적-전개형(Ⅰ-2)으로 제시되고 있었다. 첨가형 자료들은 대부분 교양 자료로서의 성격이 강하였다. 전체적으로 묵시적으로 도입된 자료(S)는 상대적으로 그 수가 적어서 교과서 서술에 묵시적 방식 보다는 명시적 방식이 더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완성된 형태로서의 수학 내용의 지식과 그의 활용이 아닌 학생들이 가진 오개념을 수학적 개념으로 변화시키고 수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촉진할 수 있는 이론의 변천과정이나 개념의 변화 과정을 다룬 자료의 수는 부족한 편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성격을 갖는 자료가 더 많이 개발되어 교과서에 도입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수학사가 거의 도입되지 않은 개념에 관한 수학사 자료를 개발하여 교과서 및 수학 수업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 의과대학 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통시적 고찰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중심으로

        안신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3

        국내 의과대학 교육과정의 개편에 관한 통시적인 연구가 없으므로 이 연구는 일개 의과대학에서 1970년 이후로 진행된 교육과정의 개편을 통시적으로 고찰하여 1) 교육과정 개편 전개의 시기를 구분하고, 2) 각 시기별로 이루어진 교육과정 개편의 핵심 과제들과 특징을 설명하며 동시에 교육과정 개편 과정을 통해서 관통하고 있는 지향점을 밝히고 3) 교육과정 개편이라는 변화에 영향을 준 요인들을 규명하여 의과대학의 교육과정 개편을 선도적인 방향으로 지속할 수 있었던 이유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국내 최초의 서양의학교육기관이자 지속적으로 선도적인 의학교육 개편을 해왔다고 평가받고 있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이하 연세의대)를 선정하였다. 교육과정 개편의 내용을 필요성의 인식과 목적의 설정, 설계와 실행 및 평가라는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구분된 시기별로 분석한 후 비교하였다. 각 시기별 변화요인은 Kurt Lewin의 변화관리모델에 기반한 역장분석(force-field analysis)을 통해 규명하였으며, 이를 다시 통시적으로 비교하였다. 1970년 이후 연세의대에서 이루어진 교육과정 개편의 전개는 네 개의 시기로 나눌 수 있었다. 교육과정 개편의 결과로 드러난 교육과정 유형을 보면 1) 교과목중심 교육과정 시기(1, 2차, 1970-1995), 2) 장기-계통바탕 통합교육과정 시기(3차, CDP2004, 1996-2010), 3) 성과중심교육과정 시기(4차, CDP2013, 2010-현재)로 나누어지는데, 이는 연세의대가 의학교육 흐름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개편을 진행했음을 보여준다. 교육과정 개편은 교육계획위원회(1, 2차 시기)와 CDP 사업단(3, 4차 시기)이 주도했다. 제1차 시기는 1970년에서 1983년까지로 관습적 의학교육에서 교육학적인 접근을 도입하였고, 교육과정과 교수 전원에 대한 심도있는 평가가 이루어진 후 그에 근거해 교육계획위원회를 개설했다. 그리고 이를 중심으로 의학교육의 목적과 목표를 제정하고 학생중심교육을 지향하며 강의시간 감축, 임상실습의 확대, 통합교육과목 도입, 선택과목 확대 및 자율시간 도입 을 결정했으나 실행과정에 한계를 노정하였다. 1984년에서 1995년까지 진행된 제2차 개편은 교육과정의 큰 틀은 유지하면서 외적요인에 대응하는 보완적 성격을 지닌다. 3차 개편은 1996년 의학교육학과 개설과 의과대학 인증평가제도 시행 이후에 CDP사업단 주도로 진행되었다. CDP2004는 1996년에서 2010년에 걸쳐 장기-계통바탕의 통합교육과정을 전면적으로 도입하면서 강의시간의 대폭 감소와 자율시간 확대, PBL과 선택과목의 확대 등 제1차 개편에서 시도했던 학생중심 교육제도를 강화하고 실행하였다. 4차 개편, CDP2013은 2010년부터 시작되었는데 학생중심, 성과바탕, 연구중심의 통합교육을 구현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CDP2004의 교육과정 틀을 유지하되 절대평가제도의 도입, 연구력 교육과정 및 DMH교육과정 및 학습공동체를 도입했다. 모든 교육과정이 필수와 선택으로 운영되고, 모든 학생들을 개별적으로 학습지도하는 학생중심의 교육이 강화되었다. 이처럼 1차 교육개편 이후로 현재까지 통합교육과 강의시간의 감축, 선택과목의 확대, 자율시간의 확대를 지속적으로 다루며 학생중심의 의학교육을 지향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교육계획위원회의 교육관련 기획과 실행 기능 중 실행기능은 CDP2004 이후 도입된 광혜교육위원회에 이관되었으며, 의학교육학과는 이론적 제시와 학문적 연구, 교육지원실은 행정적 지원을 이루는 구조를 구축하였다. 시기별 변화에 있어 추진요인은 외부적으로는 세계적인 의학교육의 새로운 흐름, 의학교육인증평가기준의 변화, 사회적 변화가 있었으며, 연세의대는 이에 주도적으로 반응하였다. 내부적으로는 1차 교육과정 개편에서 이루어진 심도 있는 교육 평가 이후,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와 그에 근거한 비판적 성찰이 지속되어왔다. 이러한 성찰은 연세의대의 문화적 전통이 교육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는 것이며, 국내최초로 설립된 의학교육학과에서 영입한 교육학전문가들과 협업하여 더욱 전략적으로 발전한다. 이러한 발전은 교육과정 개편이 CDP라는 구조화된 사업으로 구현되는 것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교육과정 개편에서 주된 저항요인은 교육목적을 구현함에 있어 다른 의견을 지닌 교수들과 그 교수들의 인식의 바탕이 되는 관행과 문화(미국과 한국의 비교, 교실중심의 문화, 상대평가 기반 문화)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한 소통과 대응과정에서의 절차적 정당성은 변화관리에서 주요한 과제였다. 이상의 교육과정 개편에 대한 통시적 고찰을 통해서 연세의대가 당대 의학교육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교육과정 개편을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와 같은 변화 속에서 1차 교육과정 개편에서 도입한 학생중심의 교육을 지속적으로 지향함 또한 확인하였다. 국내 최초의 현대적 의학교육기관이라는 역사적 기원, 그리고 교육을 강조하는 문화적 전통, 이는 학생중심 교육을 지속적으로 지향하는 흐름을 이루었다. 이러한 가치지향은 여러 가지 저항요인에도 불구하고 교육과정 개편과 개선을 위해 끊임없는 비판적 성찰을 가능하게 해주었다. 이러한 가운데 연세의대가 최초로 개설한 의학교육학과는 ‘학생중심 교육의 지향과 그를 위한 비판적 성찰’을 교육학적 전문성에 근거하여 전략적인 방안으로 모색하는 과정을 순환하게 했다. 연세의대는 이런 흐름을 통해 지속적인 교육과정 개편 및 선도적인 의학교육 제도의 도입과 창안을 이루어 올 수 있었다.

      • 고등학교 「중국어Ⅰ」 교과서 비교분석-2015개정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선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 문 초 록 빠르게 세계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2018년 현재 우리에게는 다른 국가들과 의사소통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로 인해 다른 국가들의 언어를 학습하는 것이 필수가 되었다. 특히 우리나라와 근접한 중국은 역사적으로 오래 전부터 우리나라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현재에도 정치, 경제, 외교, 문화 등 다방면에서 서로 의존관계가 높은 나라이다. 또한 중국어는 유엔(UN)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자, 한자 문화권의 대표적인 언어이다. 최근 한류의 영향으로 문화와 더불어 관광도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는 추세로 중국어 학습도 증가하고 있다. 더불어 우리나라의 중등교육에도 영향을 미쳐 많은 학교에서 제2외국어 과목으로 중국어를 선택해 수업을 하고 있다. 교육과정은 교사가 학교에서 수업을 진행할 때, 지침이 되는 것으로 동시에 교과서를 제작하는데 있어서도 방향을 제시해주는 중요한 존재이다. 특히나 올해는 2015개정교육과정이 새로 적용되었기 때문에 새로 개발된 교육과정의 내용이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이 되었는지 확인해보고 연구해보는 것 또한 중요한 일이라 생각한다. 새로 개정된 2015개정교육과정은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과 동시에 학생들이 학습할 내용에 흥미와 관심을 갖고, 스스로 학습에 대해 적극적인 태도를 배양할 수 있도록 함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2015개정교육과정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파악해보고, 이를 통해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창의융합형 인재 양성’과 더불어 학생들이 중국어에 대해 흥미와 자신감을 기를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지,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중국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수업을 할 수 있는지 등의 2015개정교육과정의 특징인 학생 중심의 수업 활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중학교 영어1 교과서 쓰기 활동 분석과 학습자의 인식 조사 : 2009 개정 교과서와 2015 개정 교과서의 비교

        나승철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2009 개정 중학교 영어1 교과서와 2015 개정 중학교 영어1 교과서 쓰기 영역 간의 비교를 통해 현행 2015 개정 영어1 교과서의 쓰기 활동, 장르 및 소재상의 차이점과 특징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 중학교 1학년 학습자의 쓰기 활동, 장르 및 소재에 대한 선호도 및 효과성 인식 조사 결과를 제시하고, 이를 2015 개정 교과서 쓰기 영역 분석의 결과와 비교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교수자가 2015 개정 교과서 쓰기 영역의 특징을 충분히 이해하고, 학습자 선호도 및 효과성 인식을 고려하여 교과서 쓰기 영역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고, 궁극적으로 영어 쓰기 교수·학습 과정의 개선에 기여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2009 및 2015 개정 영어1 교과서 각 5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고, 서울특별시 소재의 중학교 1학년 23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쓰기 활동의 성취기준에 따른 분류에서 2015 개정 영어1 교과서와 2009 개정 영어1 교과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쓰기 활동의 장르에 따른 분류에서 2015 개정 영어1 교과서와 2009 개정 영어1 교과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셋째, 언어 소재 기준에 따른 분류에서 2015 개정 영어1 교과서와 2009 개정 영어1 교과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넷째, 쓰기 활동, 장르 및 소재에 대한 학습자의 선호도와 효과성 인식은 2009 및 2015 개정 영어1 교과서의 쓰기 활동, 장르 및 소재 구성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위 문제에 답하기 위해 2015 개정 영어과 중학교 쓰기 영역 성취기준, 장르별 쓰기 분류(Hedge, 2005) 그리고 언어 소재 목록을 분류 기준으로 활용하였다. 설문지는 각 분류 항목에 대한 학습자의 선호도 및 효과성 인식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결과에 대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영어1 교과서의 쓰기 영역은 2009 개정 영어1 교과서와 비교해 그 활동 수에 있어 양적 감소를 보였다. 한편, 성취기준에 따른 쓰기 활동 분류 결과에 따르면 ‘어휘 및 어구’ 활동은 2009 개정 영어1 교과서 5종과 비교해 2015 개정 영어1 교과서 5종에서 그 개수는 감소하였지만, 비율은 증가하였다. 그리고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쓰기 활동의 양적 감소 추세에도 불구하고 ‘짧고 간단한 글’ 항목이 2009 개정 교과서에 비해 2015 개정 교과서에서 그 빈도와 비율이 모두 증가하였다. 둘째, 장르에 따른 쓰기 활동 분류 대상인 문단 단위의 쓰기 활동은 2009 개정 영어1 교과서 5종과 비교해 2015 개정 영어1 교과서 5종에서 빈도의 차이가 없었으나, 그 비율은 증가하였다. 장르에 따른 쓰기 활동 분류 결과 ‘정보제공 글쓰기’ 활동이 두 교육과정 모두에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다. 셋째, 쓰기 소재 분석 결과 ‘환경 문제, 자원과 에너지’ 소재는 2009 개정 교과서에서는 한번도 등장하지 않았지만, 2015 개정 교과서에서는 4번(6.6%)에 걸쳐 등장하며 그 빈도와 비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사회생활, 대인 관계’, ‘취미, 오락, 여행, 건강, 운동’, ‘정치, 경제, 역사, 지리, 수학, 과학, 교통, 정보 통신, 우주, 해양, 탐험’ 소재는 2009 개정 교과서 5종에 비해 2015 개정 교과서 5종에서 큰 폭으로 그 빈도와 비율이 감소하였다. 넷째, 성취기준에 따른 항목에서 2015 개정 영어1 교과서 구성은 ‘어휘 및 어구’ 항목에 대한 학습자의 선호도 및 효과성 인식에 부합하는 반면에 ‘그림, 사진’ 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선호도 및 효과성 인식이 긍정적인데 반해 이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장르별 쓰기 활동 분류 항목에서 ‘정보 제공’ 글쓰기 장르에 대한 2009 및 2015 개정 영어1 교과서의 구성은 학습자의 선호도 및 효과성 인식과 적절히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2015 개정 영어1 교과서의 구성은 ‘창의적 글쓰기’와 ‘공적인 글쓰기’ 장르에 대한 학습자의 선호도 및 효과성 인식 반영의 측면에서 다소 미비한 것으로 판단된다.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교육 현장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비교적 적은 양의 쓰기 활동을 활용해 학습자의 심층적인 쓰기 학습 경험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학습자 중심의 수업 설계가 필요하다. 동시에 영어 쓰기의 교수·학습 과정에서 궁극적으로 학습자가 문단 단위 이상의 글쓰기를 경험하고 해당 성취수준에 이를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할 필요가 있다. 한편, 학습자의 선호도 및 효과성 인식이 교과서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쓰기 활동, 장르는 교수자가 수업에서 확대 및 강조하여 활용하고, 보충·심화 학습 자료로서 추가적으로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과 비교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언어 소재 활동에 대해 교사는 교수·학습 과정에서 확대 및 강조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학습자의 언어 소재에 대한 선호도 및 효과성 인식이 교과서 구상에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 경우, 이를 고려하여 수업에서의 쓰기 소재의 비중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the writing area of the 2015 English1 textbook by comparing the writing area of the 2009 and 2015 English1 textbooks. In addition,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of first-year middle school learners to investigate their preference for writing activity, genre and subject matter, and study whether the 2015 textbook conforms to the learners’ preferences and perceptions on effectiveness. An analysis to ensure that the textbooks’ writing areas adequately reflect learners' preferences and perceptions on effectiveness has not been conducted so fa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acilitate effective use of the textbooks at educational sites an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In this study, ten types of English1 textbooks from 2009 and 2015 were analyzed, and 239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The results of this sutdy are as follows. First, the writing area of the 2015 English1 textbook showed a quantitative decrease in the number of activities compared to the 2009 English1 textbook. Second, the frequency of ‘Word and Phrase’ activities decreased in the 2015 textbooks compared to the 2009 textbooks, but the ratio increased. In addition, the 2015 textbooks showed less frequency and proportion of ‘Picture, Photography, and Chart’ writing compared to the 2009 textbooks. Third, as a result of classifying by genre, ‘Information’ showed the largest proportion from both curricula. Fourth, the frequency and ratio of ‘Environmental Issue’ in the 2015 textbooks increased compared to the 2009 textbooks. ‘Social Life, Hobbies, Entertainment’ activities have decreased in frequency and proportion in the 2015 textbooks compared to the 2009 textbooks. Fifth, the English1 textbook 2015 did not adequately reflect learners' preference for ‘Picture, Photography, and Chart’ activities. Classifications by genre did not adequately reflect learners' preference for ‘Creative Writing’ and ‘Public Writing’.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sites. The 2015 curriculum requires a learner-centered class design to use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writing activities to guide learners through their in-depth learning. In addition, writing activities, genres, and subject matters that are not adequately reflected in the textbooks need to be utilized by teacher by expanding and emphasizing the activities and further utilizing them as supplementary learning materials. Finally, in order to teach and learn how to writing in English, teachers need to identify the learners’ preferences and perceptions to writing acitvities and positively utilize the activities which showed high preferences by the learners.

      • 제1차 교육과정기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의 발행과 내용 서술

        지영은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제1차 교육과정은 1954년 4월 20일 문교부령 제35호로 제정, 공포된 ‘교육과정 시간배당기준령’ 이후 1963년 2월 15일 문교부령 제120호로 개정된 ‘교육과정령’이 공포되기 전까지 시행된 교육과정이다. 제1차 교육과정은 해방 이후 미 군정기를 벗어나 대한민국이 수립된 후 정부가 처음으로 주도해서 만든 교육과정이다. 해방 이후 일제에 의해 파괴된 민족 정통을 복구하고 교육 체제를 바로 세우는 일은 매우 중요했다. 이에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1949년 12월 교육법을 공포하고 새로운 교육과정을 제정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한국전쟁으로 인해 미뤄졌고, 결국 한국전쟁이 끝난 이후 1954년 4월 ‘교육과정 시간배당기준령’이 공포되고 이듬해에 각급 학교 교육과정이 공포됨으로써 제1차 교육과정이 등장하게 되었다. 제1차 교육과정기의 국사 교과서 집필은 역사학자들이 주도하였다. 교과서는 역사의 시작점부터 현재까지의 내용을 다루어야 하는 교재이다. 그러므로 당시 교과서 집필자들은 자신의 전공 분야를 포함한 전체 시기에 대해서 서술해야 했다. 역사학자들이 교과서를 집필함에 따라 교과서 서술에 차이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았다. 이 때문에 제1차 교육과정기 국사 교과서에서는 교과서 용어 또는 내용의 불통일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비교적 집필자의 재량이 반영된 교과서 서술로 인해, 교과서마다 같은 주제를 두고 설명하는 내용이 조금씩 상이했다. 학교 현장에서는 국사교육 내용의 불통일로 인한 혼란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이에 본고는 제1차 교육과정기 국사 교과서의 내용 서술이 차이가 나는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고에서 제1차 교육과정기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를 연구하기 위해 살펴본 주요 자료는 고등학교 8종 국사 교과서와 제1차 교육과정 문서, 대한민국 󰡔관보󰡕, 그리고 「국사교육 내용의 통일」이다. 이 자료들을 바탕으로 첫째, 교육과정과 교과서 발행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제1차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문교부 󰡔관보󰡕를 통해 교과서 검인정 목록을 정리하였다. 1956년에 유홍렬 󰡔한국사󰡕, 이병도 󰡔국사󰡕, 이홍직 󰡔우리나라 문화사󰡕, 홍이섭 󰡔우리나라 문화사󰡕의 4종 교과서가, 1957년에는 김상기 󰡔고등국사󰡕, 조좌호 󰡔우리나라 문화사󰡕, 최남선 󰡔고등국사󰡕, 역사교육연구회 󰡔고등국사󰡕의 4종 교과서가 검정 통과한 사실을 확인하여, 고등학교 8종 교과서의 검정 연도와 발행 종수를 정확하게 정리하였다. 둘째,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 체계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당시 교육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각 8종 교과서의 대단원명 구성을 비교하며 교육과정과의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각 단원별 비중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8종 교과서마다의 다양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교과서 집필자와 교과서 내용 서술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비교 분석 주제는 고조선, 삼국통일전쟁, 동학농민운동 등 3개였다. 이는 당시의 역사학적 사정과 집필자의 연구 성과를 교과서의 내용 서술과 대조해봄으로써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3개의 주제를 분석한 결과, 교과서마다 같은 사건을 두고 서술하는 방식이 다소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집필자의 역사관에 따라 사건을 해석하는 데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고 동시에 당시 교육과정의 규정성은 그리 높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제1차 교육과정기 각 교과서에서 드러나는 차이점은 결국 제2차 교육과정기에 들어서 「국사교육 내용의 통일」에 의해 교육 내용의 통일로 나타난다. 본고에서는 역으로 「국사교육 내용의 통일」에서 통일된 내용을 확인하여 제1차 교육과정기의 국사교육 내용의 다양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고를 통해 제1차 교육과정과 더불어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 대한 이해, 그리고 역사학 성과가 교과서에 얼마나 반영되었는지 살펴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는 당시 교육과정에 대한 면모와 특징에 대한 이해는 물론, 당시까지의 역사학의 사정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The first curriculum is the curriculum from the "Standard Decree for Curriculum Time Dividend" enacted and promulgated by Ordinance No. 35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on April 20, 1954, to the promulgation of the "Curriculum orders" revised by Ordinance No. 120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on February 15, 1963. The first curriculum was the first curriculum led by the government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outside the U.S. military period after liberation. It was very important to restore the national authenticity destroyed by the Japanese colonial rule after liberation and to establish an educational system. Accordingl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in 1948, the Education Act was promulgated in December 1949 and a new curriculum was enacted. However, it was delayed due to the Korean War, and after the end of the Korean War, the "Curriculum Time Dividend Standard Decree" was promulgated in April 1954, and the school curriculum at various levels was promulgated the following year, resulting in the first curriculum. Historians led the writing of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during the first curriculum. Textbooks are teaching materials that must deal with the contents from the beginning of history to the present. Therefore, Textbook writers at that time had to describe the entire period outside their major field. In this regard, Textbooks at that time were likely to reflect the historical views of textbook writers. What was pointed out as a problem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during the first curriculum was the inconsistency of textbook terms or contents. Due to the textbook description reflecting the author's discretion, the contents of explanation with the same topic were slightly different for each textbook. At the school site, confusion occurred due to the inconsistency of the contents of the Korean history edu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a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ause of the difference in the description of the contents of the history textbook during the first curriculum. In this study, the main materials examined to study the history textbooks of high schools during the first curriculum are the eight types of history textbooks, the first curriculum documents, the official gazette of Korea, and the unification of history education contents. Based on these material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iculum and textbook issuance was examined. By examining the first high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high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at that time was subdivided, and the textbook accreditation list was confirmed through the Ministry of Education's official gazette.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iculum and the textbook content system was examined. By looking at the curriculum at the time, the composition of the large-scale name of each of the eight textbooks was compared to confirm the difference from the curriculum. And by comparing the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each unit, the diversity of each of the eight textbooks was confirm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xtbook author and the textbook content description was examined. The analysis topics were based on a total of three themes: Gojoseon, the Unification War of the Three Kingdoms, and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and the differences in descriptions for each of the eight textbooks were compared. It was intended to grasp the relationship by comparing the achievements of historical studies according to the authors' majors with the content description in the textbook.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hree topics, it was found that the method of describing the same event was slightly different for each textbook. This show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interpreting events according to the author's view of history,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regulation of the curriculum at the time was not very high. The main data examined in this paper to study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during the first curriculum are eight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the first curriculum documents, the Korea Gazette, and the Unification of History Education Contents. Based on these material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iculum and textbook issuance was examined. The first high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was examined, and the textbook certification list was organized through the Ministry of Education's official gazette. In 1956, it was confirmed that four textbooks, Yoo Hong-ryul 󰡔Korean History󰡕, Lee Byung-do 󰡔Korean History󰡕, Lee Hong-jik 󰡔Korean Cultural History󰡕, Hong Yi-seop 󰡔Korean Cultural History󰡕 were approved. In 1957, it was confirmed that four textbooks of Kim Sang-ki 󰡔High School Korean History󰡕, Cho Jwa-ho 󰡔Cultural History󰡕, Choi Nam-sun 󰡔High School Korean History󰡕, and History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High School Korean History󰡕 were approved. The year of examination and the number of issuance of eight high school textbooks were accurately summarized.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iculum and the textbook content system was examined. By looking at the curriculum at the time, the composition of the large-scale name of each of the eight textbooks was compared to confirm the difference from the curriculum. And by comparing the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each unit, the diversity of each of the eight textbooks was confirmed.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xtbook author and the textbook content description was examined. The subjects of comparative analysis were Gojoseon, the Unification War of the Three Kingdoms, and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This attempted to grasp the relationship by comparing the historical situation at the time and the author's research results with the content description of the textbook.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hree topics, it was found that the method of describing the same event was somewhat different for each textbook.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interpreting events according to the author's view of history,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regulation of the curriculum at the time was not very high. The difference revealed in each textbook of the first curriculum eventually appears as the unifica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 by "unification of the contents of national history education" in the second curriculum. Conversely,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diversity of the contents of national history education during the first curriculum by confirming the unified contents in 「Unification of the contents of national history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we can examine the understanding of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along with the first curriculum, and how much the achievements of history were reflected in the textbooks. Such research will enable not only an understanding of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at the time, but also an understanding of historical achievements up to that time.

      • 중국 후난성 종합대학교 사회체육학과 교육과정 연구

        유연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국의 사회적 발전과 ‘교육계획’ 시행에 대한 현실적 문제에 대응하고자 현재 후난성 종합대학교 사회체육학과 설립과정과 교육 경험을 바탕으로 공통의 문제점들을 도출하고 현재 중국의 고등교육 발전단계와 사회적 수요를 바탕으로 사회체육학과 전문 인재양성과 교육과정의 설정에 새로운 교육 실천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필요성에서 시작하게 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중국 교육부에 의해 특성화 종합대학교로 선정되고, 행정구역에 의해 지리적 분포가 합리적인 후난성 5개의 종합대학교 사회체육학과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종합대학교 사회체육학과의 교육과정 설정에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고, 사회체육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설정과 사회체육학과의 발전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두고자 한다. 후난성 5개의 종합대학교 사회체육학과 현황에 대한 종합적인 조사와 교육과정의 특징과 구성을 파악하고 사회체육 전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중국 후난성에 소재하고 사회체육학과 교육과정을 개설한 후난시티대학교, 후난공업대학교, 후난과학대학교, 향남대학교와 소양대학교 총 5개의 종합대학교에 재직 중인 교수와 기업경영관리자를 연구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분석과 논의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첫째, 후난성 종합대학교 사회체육학과는 복합혁신형 인재와 전인교육을 중심 및 현대 교육, 건강이념, 기업가 자질과 능력, 복합혁신력을 겸비한 인재 육성을 위한 사회체육학과의 합리적인 교육과정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후난성 종합대학교 교육과정은 사회적 요구와 사회체육 업무의 실용적 특성 및 각 종합대학교 실제 사정을 고려하며 전문 인재의 육성을 목표로 사회체육학 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과학적이고 특성화된 조정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체육학과 전문 인재 능력 발전을 기반으로 사회적 요구를 지향하는 교육방안을 수립하고, 사회와 직업생활에 필요한 종합적인 능력을 높여 개인의 발전과 사회적 수요 및 효과적인 참고자료와 이론적 근거에 의해 교육과정을 개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결론에 따라 사회적 수요를 반영한 후난성 종합대학교 사회체육학과 교육과정 관련 연구를 토대로 양성목표, 교육과정, 교육과정 설정 및 사회요구에 부합하는 사회체육학과 전문인재의 양성방안을 제시하였으나 그 의의와 가치를 극대화하기에는 아쉬운 점이 있다. 이러한 부분은 이후에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라며 아래와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적으로 스포츠산업의 발전과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사회체육학 전공자들은 사회적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종합적 능력이 뛰어난 인재양성을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또한 사회체육학과 교육과정 설정의 자유도를 높임으로 교육과정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충분히 반영하여 발전된 교육환경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체육학과 교육과정의 분류 체계가 체육교육과 흡사한 경우가 많아 사회체육학과 학생들이 전문적 사고능력과 합리적 지식구조의 형성에 불리하다는 문제를 고려하여 사회체육학과 전공영역의 심층적인 재정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복합형 사회체육학과 전문인재의 양성은 종합대학교가 발전을 위한 이성적 선택이자 필연적 선택이다. 종합대학교의 사회체육학과는 사회발전에 순응하고 대학교와 학과발전의 특징을 강조하면서 양성목표와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명확하고 체계적인 교육과정 설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e context of real-life practical issues arising from China's social development and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initiatives, this study focuses on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sports and leisure studies Curriculum (collectively defined as SLS, although each university uses a different program name) at the universities in Hunan Province to ascertain common problems shared by these universities. Furthermore, based on current developments and trends in higher education in China and related social needs, this study proposes innovative action plans to cultivate professional talent in SLS and formulate effective curricula. The present study seeks to: 1) examine the SLS Curriculum of five universities in Hunan Province,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China as specialized universities and reasonably distributed by administrative district, to present creative insights into the SLS curriculum design offered at universities; and 2) provide fundamental resources and data for Curriculum designed to foster professional talent in SLS, which in turn will contribute to elevating the discipline to new heights. To overhaul the SLS Curriculum of the selected universities, includ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design, with a focus on cultivating competent professionals in this discipline, a series of surveys were conducted targeting corporate managers in the area of Hunan and the professors of the five universities where SLS Curriculum are offered (Hunan City University, Hunan University of Technology, Hunan University of Science and Engineering, Xiangnan University, and Shaoyang University). An analysis and discussion of the surve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universities in Hunan Province are advised to develop effective SLS Curriculum that cultivate well-rounded creative talent and promote holistic education, while incorporating cutting-edge educational tools, the philosophy of healthcare, entrepreneurial qualifications and capabilities, and innovation. Second, the universities in Hunan Province are encouraged to take into consideration social needs, the practical aspects of SLS-related management, and university-specific situations to design curricula for a SLS major in a more scientific and streamlined manner. Third, the universities in Hunan Province should prioritize social needs in formulating Curriculum for prospective professionals in SLS. In other words, these universities should be committed to equipping students with general abilities to prepare them for their social and professional lives and adjusting their existing Curriculum to take relevant data and rationales into account. Based on the above analytical findings of the SLS Curriculum that embrace social needs, this study proposes plans through which the entire process of a SLS program, including its objectives and design, can be better organized to facilitate the cultivation of related professional talent that society requires. Nevertheless, this study has fallen short of maximizing its significance and value. Accumulating data will deliver far more meaningful and significant analytical results, which future studies should address. With this in mind,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esented. First, consistent with advances in the sports industry and resulting market expansion, those who major in SLS should be motivated to meet social needs by formulating measures that foster capable and competent professional talent. Second, allowing greater flexibility in designing SLS Curriculum can enhance the independence and autonomy of educational planning, thus leading to more advanced academic environments. Third, the SLS curriculum is classified as being similar to physical education. Consequently, students majoring in SLS are at a disadvantage in honing their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rational insights. Thus, a sweeping redefinition of the discipline of SLS is needed. Fourth, fostering well-rounded professional talent in SLS is not only a rational choice, but also inevitable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universities. In a nutshell, university SLS Curriculum should stay abreast of social progress, play an integral role in enhancing core competences of universities and related academic departments, and promote continued research on systematic and seamless curricula aimed to cultivate professional talent and achieve educational objec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