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출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쉼터거주 가출청소년을 대상으로

        전종설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 나라에서 청소년의 가출이 지난 몇 년 동안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대다수의 가출청소년들은 가정을 떠나 유해 환경과 접하게 되면서 절도, 약물 사용, 윤락행위 등의 비행 및 우울, 자살충동, 낙담 등의 여러 가지 심리사회적 부적응 행동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출청소년들의 부적응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부적응 행동을 감소시키며 이들을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가출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가출청소년들의 부적응 행동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지속적으로 지적되고 있는 가출 횟수 및 기간, 자아존중감, 가족관, 부모의 학대, 가출 후 비행또래와의 접촉을 선별하여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총 10군데의 가출 청소년 쉼터에 거주하고 있는 108명을 대상으로, 부적응 행동, 가출 횟수 및 기간, 자아존중감, 가족관, 부모의 학대, 가출 후 비행또래와의 접촉 특성에 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분석 에 사용된 자료는 총 98부(남 78, 여, 19)였으며, SPSS/WIN 8.0을 이용하여 Cronbach's a,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 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부모구성에 따른 조사대상자들의 가출횟수 및 기간, 자아존중감, 가족관계, 부모의 학대, 가출 후 비행또래와의 접촉에 대해 알아보았다. 성별에 따라서는 각 변수들이 거의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부모구성에 있어서는 가출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계부모일 때가 가장 가출 기간이 길었고 편부모일 경우에도 친부모에 비해 가출 기간이 길었다.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계부모일 경우에 친부모일 때보다 가출 횟수가 많았으며, 계부모, 편부모일 경우 친부모일 때보다 가족관계가 좋지 못했고 부모의 학대도 더 많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출 후 비행또래와의 접촉에서도 계부모, 편부모 일 경우가 친부모일 때보다 더 많았다. 셋째, 변수들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가출 횟수를 제외한 가출 기간, 자아존중감, 가족관계, 부모의 학대, 가출 후 비행 또래와의 관계는 모두 가출청소년의 부적응 행동과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넷째, 가출 횟수 및 가출 기간, 자아존중감, 가족관계, 부모의 학대와 가출 후 비행또래와의 관계의 변수 중에서 어떤 변수가 가출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을 유의미하게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결과, 자아존중감, 부모의 학대, 가출 후 비행또래와의 접촉, 가출 기간의 순으로 영향력을 많이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출 횟수와 가족관계는 영향력을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가출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은 단일한 요인에 의해서라기 보다는 가출 전후의 여러 가지 요인들 즉 가출 횟수 및 가출 기간, 자아존중감, 가족관계, 부모의 학대, 가출 후 비행또래와의 접촉 등의 복합적인 요인들을 통해 일어나는 것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가출 기간, 자아존중감, 부모의 학대, 가출 후 비행또래와의 접촉은 부적응 행동에 대한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졌다. 이는 가출 청소년들의 부적응 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가출 기간을 감소시키고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도록 도와야 하며 비행또래들과 접촉을 줄이기 위한 접근과 더불어 무조건적으로 가출 청소년들을 가족에게 되돌려 보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가족 문제에 대한 접근을 하는 것을 통해 이들이 부적응 행동을 줄이므로, 이들이 사회에 적응하여 생활해 나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The number of runaway adolescents has rapidly increased, and in examining the lives of adolescents after engaging in various forms of maladjusted behavior; consisting of running away, theft, drug use, and prostitution, to name a few; these young people displaye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characterized as depression, grief, disappointment, and suicidal ide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justed behavior and factors such as the recurrence and duration of running away, self-esteem, abuse from parents, and contact with delinquent peers after running away. Data from a sample of 108 male and female runaway adolescents who lived in shelters for runaway adolescents was collecte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a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gender and parental status differences in maladjusted behavior. However the cases involving single and step parents did exhibit more severe maladjusted behavior. Secondly, there were mino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ertaining to the marital status of parents in relation to the period of duration for runaways. Those cases who were under the care of step parents had the longest duration. Even though there was no great statistical difference, those cases with step parents and single parents had more negative family relationships, along with more parental abuse, and more contact with delinquent peers after running away, than those with biological parents. Thirdly, in examining th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every independent variable except the recurrence of running away had correlations with a dependent variable in the form of maladjusted behavior. Fourthly, the variables in the cause model accounted for 25.8%, of the variance in maladjusted behavio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following approaches should be taken in order to decrease maladjusted behavior among runaway adolescents. The duration needs to be shortened, along with the amount of recurrence. Also the self - esteem of runaways needs to be increased, and they need to be prevented from contact with delinquent peers after running away. Families with abuse problems need to be followed up after the runaway returns home.

      • 가출청소년의 실태 및 대책에 관한 연구

        기현철 한세대학교 경찰법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Young people, who are carry the future of the country on their shoulders, are in an incomplete stage where they have not been completely socialized, and this is the reason why environmental factors surrounding them can have a number of effects such as mental damages caused by disappointment, depression, psychological conflict, and such when they should be growing up full of dreams and hopes. Matters concerning the runaway teenagers who are away from home wandering the streets and exposed to unacceptable environments as they are seceded from their family, school, and community out of destitution, poverty, violence, child abuse and abandonment, and maladjustment at school are rising as serious social problems. However, the access rate of runaway teenagers to protective service systems is very low as there is a serious lack in comprehensive protection and service system. Therefore, active measures such as deploying counseling and promotion personnel directly to the areas where there is a concentration of runaway teenagers and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s about safe houses must be taken to aid runaway teenagers in getting access to protective service systems, and in order to increase the rate of early access to protective services, concentrated camping areas of runaway teenagers must be located, and through promotional activities such as providing guidance and information, connections with welfare services aimed at rehabilitating those who have returned from their seceded state must be expanded and high quality education must be made available so as to establish effective measures for protecting these teenagers. This thesis was written in order to contribute to protecting our teenagers who are the future of our country,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ways for reforming runaway teenagers, who are in important stages of their lives, based on results about factors which restrain behaviors that have to do with running away from home.

      • 가출청소년의 음악적 선호도에 대한 연구

        이승아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musical preference among juvenile delinquent in shelters according to their specific characteristic such as age, academic grade, and residential surrounding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88 juvenile delinquent who are under the protection of nine teenager-protect facilities throughout the nation such as Seoul, Gyeonggi, Gyeongnam, and Chungnam province. The researcher visited the shelters in Seoul and Gyeongnam and directly collected 18 questionnaires from the subjects. To other shelters, she mailed 70 and 18 questionnaires and analyzed them. The investigate data that this statistic analysis were based on was SPSSWIN 12.0. The method for this analysis employed a frequency-distribution that was designed to examine general preference of music of all subjects and cross-distribution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ause of different musical preference. The final outcome of this study was as what follows: This study had searched the amount of time the juvenile delinquent listen to music, their preferring music, the expanse that they spent on listening to music, any kind of activity that they were involved in regard to music, the purpose of such activities, their method of listening, and main cause that shaped their musical preference, and musical instruments that they favor. First, the statistics show that most juvenile delinquent (27.3%) in shelters spend their time on listening to music under one hour. Korean Popular Songs took up the first place of their musical preference (79.0%), which was followed by Dance Music (45.1%), and Ballard songs (62.4%). The most common way to be involved in music-related activity was merely listening to music through media (62.4%). Going to a singing room took up 30.5% of those activities. As to the purpose of their music-related activity, the statistics shows that the purpose to refresh their upset feelings took up 49.4% and to be released from stress was 39.5%. The above outcome indicates that listening to music helps juvenile delinquent in shelters to deal with their suppressed and upset emotional feelings. The main cause that form their preference of music lied on melody(30.6%) and theme or words of music followed the next (24.7%). The themes or words of their preference reflect their individual and social issue: joy of love (29.4%), frustration caused by break up (24.7%), and friendship (19.0%). As to musical instrument, keyboard instrument was preferred far above than any others (52.9%). Second, this study had examined whether there existed any element such as age, residential surroundings, and academic grade that might influence their musical preference. Surprisingly none of them proved to have influence upon their preference. This investigate indicates that juvenile delinquent in shelters favored most the Korean Popular Songs, and that listening to music assists juvenile delinquent in shelters to cope with their negative emotional feelings. Therefore, the study leads to a conclusion that in performing music therapy it was much effective to use what they prefer rather than selecting music arbitrarily. 본 연구의 목적은 보호시설 가출청소년들의 음악적 선호도를 조사하고 연령, 성적, 주거환경 등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보호시설 가출청소년으로 서울과 경기, 경남, 충남 등 전국에 분포되어있는 9개의 보호시설 가출청소년 총 8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서울과 경남에 소재한 보호시설에는 직접 방문하여 18부의 설문지를 전달, 회수 하였고 그 밖의 지방에 소재한 보호시설에는 우편으로 70부의 설문지를 발송하여 회수된 설문지 총 88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자료의 통계 분석은 SPSSWIN 12.0을 사용하여 대상자 전원의 일반적인 음악적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원인에 따른 음악적 선호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집된 자료의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통해 보호시설 가출청소년의 음악 감상 시간, 선호하는 음악장르, 음악 감상에 대한 지출, 음악활동, 음악활동을 하는 목적과 이유, 음악청취 방법, 선호하는 음악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적 요소, 선호하는 악기에 대한 내용들을 조사하였다. 첫째, 보호시설 가출청소년의 하루 평균 음악 감상시간은 1시간 이하를 감상한다는 경우가 27.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음악장르에 있어 79.0%가 대중가요를 가장 선호하며 대중가요의 하위 장르에는 댄스가 45.1%, 발라드가 32.4%의 순으로 나타났다. 평소 선호하는 음악활동의 경우 오디오, 매체나 기기를 이용한 음악 감상이 62.4%로 가장 선호 되었고 그 다음이 노래방에서 노래하기로 30.5%가 나타났다. 선호하는 음악활동의 목적을 보면 주로 ‘스트레스 해소’ 39.5%와 음악활동의 이유로는 ‘우울하고 슬플 때 기분전환 하려고’가 49.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것으로 보아 보호시설 가출청소년들은 음악을 기분의 변화에 영향을 주고 감정을 다스리는 도구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선호하는 음악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해서는 30.6%가 멜로디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그 다음으로, 24.7%가 음악의 주제나 가사라고 응답하였다. 선호하는 음악의 주제나 가사는 그들의 개인적, 사회적 이슈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는데 29.4%가 사랑의 기쁨, 24.7%가 사랑으로 인한 좌절, 19.0%가 친구와의 우정 등의 가사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악기 선호도는 52.9%로 건반악기가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연령, 주거환경, 성적 등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음악선호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 본 결과는 점수의 차이는 거의 의미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가출청소년은 개인적 변인에 따른 음악적 선호도에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자주 듣는 음악’과 ‘지난 6개월 동안의 구입한 음반 수량’, 이 두 가지에서 성적에 따른 p<0.001과 p<0.05의 수준에서 통계적으로도 유의함이 확인되었으나 대상의 수가 적어 이것으로 구체화하기엔 무리가 있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들에서 보여 지듯이 가출청소년은 대중음악을 가장 선호하고 음악을 기분의 변화에 영향을 주며 감정을 다스리는 도구로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출청소년의 긍정적인 발달과 문제 행동 개선을 위한 치료에서 음악을 사용 할 때에 음악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 보다는 대상이 선호하는 음악을 선택하여 치료에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다.

      • 가출청소년의 가출생활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이명연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다양한 가치관과 생활 방식의 출현으로 변화의 폭이 넒은 사회문화적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는 청소년들은 학교폭력, 비행, 일탈행동 등의 청소년문제를 일으키며 이러한 청소년문제에 자주 언급되는 것이 청소년 가출이다. 이것은 청소년의 가출행위 그 자체가 심각한 정신병리적인 문제는 아니지만 청소년 문제의 중요한 전제조건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출이 청소년 문제로 비화됨을 예방하여 그들이 긍정적인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출 상태에 있는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직접적인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이를 위해 가출청소년들이 가출 후의 생활에 적응해 가는 과정과 그 적응 유형들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2004년 7월부터 2004년 8월까지 서울·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청소년 중 가출 경험이 있거나 현재 가출 중인 청소년 9명을 대상으로 가출청소년의 가출 전·후 삶을 알 수 있는 생애사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들을 근거이론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설명하면 가출청소년들은 가출동기와 부모의 양육태도, 학교의 부적응 요인이 가족의 불화와 친구문제 등의 영향을 받으면서 가출 후 경제적·심리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이들은 자존감, 가족들의 비지지적 태도, 학업유지 희망, 가출의 긍정적인 측면, 친구 선호도, 엄마의 작용과 가족의 지지 속에서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 주위의 도움 요청, 아르바이트 경험, 친구와 어울리기, 귀가결정 유보, 무절제한 생활 등을 하면서 가출생활에 적응해가고 있었다. 이러한 가출청소년의 가출생활 적응과정은 기대단계 →인식단계 →대응단계의 ‘과정단계모형’을 이루고 있었다. 이는 연구대상자 모두에게 나타났으며 그 정도는 가출생활적응과정 유형에 따라 상이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가출청소년의 가출생활 적응 과정을 분석한 결과 스스로 자립하고자 하는 자립추구형과 미래를 생각하지 않는 현실안주형, 그리고 타인에게 의지하며 생활하는 의존형의 세 가지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이들의 분석을 통하여 유형별 사회복지서비스를 제시하였다. 첫째, 자립추구형은 혼자의 힘으로 살아보려는 의지가 있으며 이를 실행에 옮기며 살고 있었다. 또한 이들은 타인의 도움을 원하지도 않으며 미래의 계획이 확실하게 서 있어서 계획성 있게 살아가며, 가출 후에 친구나 아는 사람들의 도움을 받게 되어도 그 도움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의 힘으로 생활하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이러한 유형에게는 그들이 원하거나 그들의 적성에 맞는 기술을 배울 수 있도록 기술 습득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들의 문제나 욕구를 들어주고 해결해줄 수 있는 지지자를 연결해주어야 한다. 둘째, 현실안주형은 가출 후의 생활을 하면서 확실한 의지가 있는 것도 아니고, 주변인들에게 의지하여 도움만 받으려고도 하지 않았다. 다만 현재 그들이 처해 있는 상황에 맞춰가면서 살고 있었다. 이러한 경우의 사회복지서비스 개입은 직업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문화 답사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신의 무한한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셋째, 의존형은 가출 후 친구나 아는 언니, 형 등에게 전적으로 의존하는 생활을 하며 생활비가 떨어졌을 경우 비행을 통하여 이를 해결하고 있었다. 이러한 유형은 개인적 만족감을 갖게 함으로써 주체로서의 자신을 인식할 수 있도록 자원봉사의 기회를 제공해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가출청소년들을 실질적이고 효과적으로 돕기 위해서는 그들의 개인적 특성 및 가출 생활 적응 유형을 파악하여 그에 적합한 개별적인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해주어야 할 것이다. When adolescents fail to adjust themselves to a socio-cultural environment that is highly changeable due to the emergence of various values and lifestyles, they cause problems such as school violence, misconduct and deviating acts - one of juvenile problems mentioned frequently is youth runaway. Although adolescents' runaway itself is not a serious psychopathological problem, it can be an important precondition for other serious juvenile problems. Thus,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find direct social welfare intervention methods necessary for adolescents who are runaways in order to prevent this behavior developing into juvenile problems and instead to grow to positive social memb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runaway adolescents' adjustment to life after runaway and the types of adjustment. In this study, the present researcher both interviewed 9 adolescents who were living in Seoul or Gyeonggi-do in July and August 2004 who had the experience of runaway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Runaway adolescents were influenced by runaway motives, parents' rearing attitude, maladjustment to school, family's discord and problems with friends, finally they experienced financial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In addition, they adjusted themselves to runway life through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such as asking help to surrounding people, part time working, associating with friends, delaying the decision to return home, intemperate life, etc. in self-esteem, family's unsupportive attitude, hope to continue studies, positive aspects of runaway, preference for friends, mother's action and family's support. The process of runaway adolescents' adjustment to runaway life formed 'a stage model' composed of 'expectation stage' → 'recognition stage' → 'reaction stage'. These stages were observed in all the subjects but the degree of each stage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adjustment to runaway lif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runaway adolescents' types of adjustment to runaway life, there were three types of runaway adolescents, namely a self-reliant type who tries to support himself, a self-content type who does not mind the future and a dependent type who relies on others. This study proposed social welfare services for each type of runaway adolescents. First, adolescents of self-reliant type had the will to live by their own strength and put this will into practice. Moreover, they did not want others' help and lived an organized life under well-established future plan. Even if they had to be helped by friends or acquaintances after runaway they were not entirely dependent on the help but made efforts to life by the own strength. For this type of adolescents, programs to acquire skills may be executed so that they can learn technologies fit for their aptitude. In addition, they need to be linked to supporters who may listen to their problems and desires and help them properly based on the problems and desires. Second, adolescents of self-content type did not have a firm will to lead their life after runaway and at the same time were reluctant to be helped by surrounding people. They lived in accordance with their current situation. For this type of adolescents, social welfare intervention should provid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bout jobs and should help them to find their own possibility through cultural field trips. Third, adolescents of dependent type lived fully depending on their friends, seniors, etc. after runaway and when they were in need of money they solved it by committing misconduct. For this type of adolescents, opportunities for volunteer service should be provided so that they may find personal satisfaction and recognize themselves as the subject of their life. As stated above in order to give substantial and effective help to runaway adolescent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ir type of adjustment to runaway life and to provide corresponding adequate social welfare services.

      • 장·단기 가출청소년의 개인 및 가족특성의 차이에 관한연구

        박윤희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가출청소년의 증가, 저연령화, 장기화 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정부 및 민간에서는 다양한 대응방안을 마련하여 왔다. 대표적으로 위기청소년을 위한 CYS-NET 이 있으며, 가출청소년을 위한 특성화기관으로 청소년쉼터가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년쉼터에서는 2005년부터 가출청소년의 조기발견과 장기가출청소년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을 위해 일시쉼터, 중장기쉼터를 운영하여 가출청소년에 대한 체계적 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실천현장에서의 이러한 대응은 위기청소년 중에서도 고위험군에 있는 가출청소년들을 위해서는 긍정적인 변화라고 볼 수 있지만 이러한 대응이 실증적이고 체계적인 연구자료에 기반하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장기가출청소년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하여 장기가출청소년을 위한 정책마련의 근거와 실천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기가출청소년과 장기가출청소년을 분류하여 이들의 인구학적 특성, 개인특성, 가족특성, 가출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어떠한 요인이 청소년들의 가출을 장기화시키는 요인이 되는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또한 가출청소년의 개인특성 중 현재의 우울과 충동성의 차이를 가출기간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장기가출청소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2010년 7월-8월 2달간 단기쉼터 10곳, 일시보호소 3곳, 일시쉼터 2곳, 중장기쉼터 9곳 등 총 24개 기관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렇게 수집된 자료를 통해 로지스틱회기분석과 집단 간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총 가출기간 6개월을 기준으로 단기와 장기가출청소년으로 분류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는데, 6개월 이상 장기가출청소년의 숫자가 56.4%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장기가출청소년의 경우 한부모 가족의 비율이 높았으며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문제행동의 경우도 장기가출청소년들이 흡연율, 음주경험, 성경험, 성폭력피해경험, 자살시도경험, 법적처벌 등 모든 면에서 단기가출청소년에 비해 높은 경험율을 보였다. 둘째, 단기 및 장기가출청소년의 가출특성을 살펴보면 장기가출청소년들은 첫 가출연령이 낮으며 학업중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출횟수도 장기가출청소년이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단기가출청소년은 부모의 학대, 가정해체등 자기외적인 요인을 가출원인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장기가출청소년은 혼자살고 싶어서, 돈을 벌고 싶어서 등 자기내적인 요인을 가출원인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가출 후 용돈마련방법을 살펴보면 단기가출청소년의 경우 집에서 돈을 가지고 나오거나 친구에게 빌려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장기가출청소년의 경우 아르바이트를 통해 스스로 벌려는 노력을 하고 있었다. 셋째, 가출장기화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요인을 조사하였는데 결과는 성경험이 있을수록, 친구와의 결속이 약할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가출이 장기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출장기화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요인에 대한 조사결과는 친부모가 아닐수록,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비통제적이고 과잉보호할수록, 기초생활수급권자일수록, 남자청소년일수록 가출이 장기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가출특성에서는 최초가출나이가 어릴수록, 최초가출기간이 길수록, 가출횟수가 많을수록 가출이 장기화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섯째, 우울과 충동성은 가출기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선행 연구결과와는 상이한데 이는 본 연구가 청소년쉼터 입소청소년 혹은 가출청소년지원기관을 이용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다양한 프로그램과 사회적 지지, 선생님들과의 상호작용, 치료적 환경에서 우울 및 충동성이 더 심각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장기가출청소년에 대한 좀 더 다양하고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정책마련의 근거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장기가출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저연령 가출청소년을 위한 예방프로그램으로 초등학교의 학교사회사업가 배치등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가출청소년의 조기발견 및 안전한 보호와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청소년 가출시 학업중단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대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자녀양육 및 가출에 취약한 한아버지가정에 대한 자녀양육교육, 돌봄 지원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청소년쉼터등 가출청소년 보호기관에서는 자살예방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여섯째, 청소년들이 건전하게 일할 수 있는 사회적 여건마련이 필요하다. 청소년노동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 인식변화를 통해 청소년의 다양하고 긍정적인 사회경험을 통해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일곱째, 장기가출청소년을 위한 중장기쉼터의 확대와 자립지원 프로그램의 강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가출청소년을 대상으 As the seriousness of increasing in runaway youth, their age getting lowered, and prolonged terms are addressed, government and civil parts are making various counter measures. Notable results are CYS-NET for the youth in crisis. And for the special agency, we have youth shelters. To look in the details, the youth shelter is providing systematic support for runaways with drop-in center and mid&long term shelters for early findings and effective intervention for long term runaway youth from 2005. The responses from the field are positive changes for the runaway youth in high risk group, but in fact, they are not based on positive or systematic studies. Especially, studies on long term runaway youth are so rare that they do not give any support for the foundation of the policy planning or direction of practice. Thus, this study is to classify short and long term runaway youth to find out their demographic, personal, and family characteristics and also the causes of running away. This paper will also analyze the factors that cause runaway youth to prolong their runaway. Also, it is going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present depression and impulse amo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m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long term runaway youth. For the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total 24 institutes including ten short term shelters, three temporal protections, two drop-in centers, and nine mid&long term shelters to collect data for two months from July till August, 2010. And with the data, this article conducted the average analysis on group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the analyzed results are as below. First, six months of the total runaway term are the standard to classify short or long term runaway youth and look into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number of long term runaway youth of which runaway term is over six months was 56.4%, which took a high ratio. In cases of long term runaway youth, most of them had a single parent and were suffering from financial difficulties. In the matter of delinquencies as well, they did show a high percentage of experiences in smoking, drinking, sex, sexual assault, suicide attempt, and legal penalties than short term runaway youth. Second, short and long term runaway youth's runaway characteristics show that long term runaway youth have low initial runaway age and are highly likely to quit their education. And their frequency of runaway was twice higher than that of short term runaway youth. Short term runaway youth tend to recognize non-self related issues as the cause of runaway such as abusive parents and family dissolution. However, long term runaway youth recognize inner self reasons as the cause of runaway such as to live alone or to earn money. About the method of making money after runaway, short term runaway youth bring money from home or lend it from friends. But long term runaway youth give efforts to earn money by themselves having part time jobs. Third, in the research for personal factors that affect prolonged runaway, results show that the more they have sexual experience, the weaker their bond is with friends, and the lower their age is, the prolonged the term gets. Fourth, in the research for family factors that affect prolonged runaway, results show that runaway is prolonged if the parents are not their biological parents, mother's rearing attitude is non-control and overly protective, they are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and they are male. Fifth, in the characteristics of runaway, it is prolonged if they are of low age, their initial runaway period was long, and they runaway more frequently. Sixth, depression and impulsions show no difference by runaway terms. This does not match the result of precedent researches. It may be because this study targeted the runaway youth who used the youth shelter or runaway support center that with the help of various programs, social support, interaction with the teacher, and therapeutic environment have not made depression or impulse any worse. Based on the above research data, this paper proposes the followings. First, more diverse and detailed studies should be made on the long term runaway youth so that the data will provide the foundation for the policy planning. Second, active support such as school social worker dispatch on elementary schools is needed. This is to react as prevention programs for low age runaway youth who are prone to long term runaway. Third, it is needed to establish the infrastructure for early finding and, safe protection and growth of runaway youth. Fourth, there should be various measures to minimize educational dropout during the runaway. Fifth, there should be care take support service and childcare education for single father family that is prone to child care and runaway. Sixth, runaway youth protection agencies such as youth shelters should have suicide prevention education. Seventh, the social conditions for juveniles to work soundly are to be established. Change in the negative perspective of juvenile labor in society should help juveniles to gather diverse and positive social experiences to grow into adult. Eighth, the expansion of mid&long term shelters for long term runaway juveniles and strengthening of self reliance support program are necessary. The limi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Because of the hardship in specimen gathering for this study regarding runaway youth,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non-probable specimen gathering of juveniles who used the runaway youth-related agencies before or currently stay in one. Thus, this study may suffer from the lack of true representation of the subject group. This is cross study of short and long term runaway juveniles, so there is definitive limit to propose significant cause and effect relation among variables with probability.

      • 여자 가출 청소년 자립 과정 연구 : 청소년쉼터 생활 유경험자를 중심으로

        최일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여자 가출 청소년들의 자립 과정을 질적 조사 연구 방법론 을 적용하여 연구하였는데 연구의 출발은 현재 추진되고 있는 가출 청소년 자립 정책에 대한 문제점으로부터 출발한다. 현재 추진되고 있는 국내의 가출 청소년 주요 정책 목표는 가정과 사회로 복귀시키는 것이고, 가출 청소년 중 가정 복귀가 불가능한 청소년들은 ‘자립’을 목표로 자립 지원에 초점을 두고 있다. ‘자립’이란 남에게 의존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것을 말하는데 가정복귀가 불가능한 가출 청소년들이 자립해서 독립적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요소가 많다. 그 이유는 ‘가출 청소년’을 사회적 규범으로부터 일탈한 청소년으로 바라보는 사회적 관점과 미성년자인 ‘청소년’이라는 신분으로 자립하기에는 한계가 많다. 특히 여자 가출 청소년들의 경우 ‘여성’이며 ‘청소년’이라는 신분은 사회적 위험에 노출되어 생존권의 위협을 받기도 하고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하여 생계형 범죄에 유입되면서 사회적 문제로 확산되기도 한다. 이러한 사회적 위기를 경험하면서도 청소년 쉼터에서 자립에 성공한 여자 가출 청소년들을 실천현장에서 접하게 되면서 그들 안에 인생 역전을 이루어내는 긍정의 힘이 있다는 점을 발견하며 자립을 주제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자 가출 청소년들이 가출 이후부터 자립하기까지의 경험이 무엇이고, 경험의 의미, 그 경험을 통하여 어떻게 자립에 이르게 되는지를 밝히고자 청소년 쉼터 생활경험이 있는 여자 가출 청소년 10명을 심층 면접을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자는 연구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들의 최종 목표는 공통적으로 자립이지만 자립 과정은 개인의 특성과 가출 전후 경험한 삶의 맥락에 따른 차이로 자립과정에서 표출되는 양상도 다르고 자립 정도에 있어서도 차이점을 보여주고 있다. 그 차이점은 연구 참여자들의 삶을 관통하는 두 개의 축인 신분과 자유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연구 과정에서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시하고 있는 ‘신분’이란 연구 참여자를 외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행태의 표상이며, ‘자유’란 연구 참여자들의 내적인 욕구와 갈망을 담은 내적인 형태를 표상화한 것을 의미한다. 즉 ‘가출’ 또는 ‘자립’은 외형적으로 표출된 결과론적 표상일수 있지만 ‘자립 과정’은 자립을 이루는 삶의 맥락에서 내제된 의미들을 발견하고 그것을 외형적으로 드러나는 현상과 결합하여 구조화 시킬 때 자립이라는 하나의 과정으로 묶여 질 수 있다. 그리고 자립 과정은 신분과 자유라는 두 축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호 역동 과정을 거치면서 순환하고 진화하면서 하나로 통합될 때 비로소 자립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 과정은 각 단계별 수행 정도와 성취 결과에 따라 다음단계로 넘어가는 순차적인 구조가 아니라 개인적 특성과 상황에 의하여 순차적 과정을 거치기도 하고 순환적 과정을 거치지면서 하나로 통합되어 가는 과정의 결과가 자립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자립에 이르게 되는데 연구 참여자들의 삶의 맥락에서 보여주고 있는 여자 가출 청소년들의 자립 과정은 다섯 단계를 거치면서 자립에 도달하게 된다. 첫 번째 단계는 <자유의 추구와 신분의 차이>에 해당하며 자유를 추구하며 집을 떠나서 신분의 차이를 경험한다. 2단계는 < 통제된 자유와 위장된 신분>으로 자유가 통제되는 사회 구조 속에서 위장된 신분으로 살아가기 시작한다. 3단계는 <현실적 자유와 신분의 이동>으로 자유로운 삶의 끝에서 미래를 향하여 신분의 이동을 시작하게 되고, 4단계는 <자유의 재구성과 신분의 전환> 과정으로 자유의 의미를 재발견하며 책임지는 신분으로 전환한다. 마지막 단계는 <주체적 자유와 신분의 안정성>에 해당하며 사회적 시선으로부터 자유로워짐으로서 안정적으로 자립에 이르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여자 가출 청소년들은 가출 전 후 가정과 사회 환경은 이들이 자립하기까지 한계적 상황과 문제점이 많다는 것을 가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연구 참여자들이 안정적으로 자립에 도달하게 되는 것은 청소년 쉼터에 입소하면서 인생의 전환기를 맞이하게 된다. 즉 경제적, 사회적 지지 기반이 약하여 자립이 어려운 여자 가출 청소년들에게 국가나 사회가 여자 가출 청소년들의 자립 정책을 수립하고 자립에 필요한 다양한 지원이 있다면 실질적인 자립이 가능하다는 것을 연구 참여자들의 자립과정에서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가출 청소년 자립 관련 연구는 중장기 쉼터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양적 연구가 선행되었는데 질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자립을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무엇보다 가출 청소년들의 자립과정을 자립의 주체인 ‘청소년’의 입장에서 그들의 삶의 경험을 바탕으로 자립 의미를 재해석하고 자립과정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함의가 있다. 그리고 여자 가출 청소년들의 특성과 욕구에 맞는 자립 지원 정책 을 제언하였고, 청소년 쉼터 또는 자립 This study has appli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process of independence for a runaway juvenile girl. This study starts from the departure of the research currently being pursued in the self-reliance policy issues. The goal of major policy on runaway youth are returning to family and society. It's also focusing on youth who are unable to go back to home, and for their independence, it supports. The word 'independence' means to live independently without having to depend on others. But for youth who are unable to go back to home, it is realistically impractical to live independently. It is because the point of view in social notion, seeing 'runaway youth' as youth who deviate from social norms. On the state which independence elements are not based, there are a lot of obstacles for minor 'youth' to be independent. Especially for female runaway youth, they are exposed on livelihood threats because of their identity, 'female' and 'youth'. Because of economic difficulties, they begin to involve in subsistence crime and it spread to social problems. Nevertheless of going through social crisis, there are female runaway youth who successfully independent. The topic of this study is independent, that we have found there are positive virtues on their lives. In this study, we collect and analyze data according to depths interview on 10 female runaway youth who has experience on living youth shelters. From the data, we tried to figure out what experience they have since runaway to independence, the meaning of that experience, through the experience how does it lead to independence. The researcher in this research process, the final goal of the study participants are self-reliance, but the independence process show different aspects, which are expressed in the course of self-reliance self-reliant individual difference characteristics and degree on before-after the experience of runaway. During the research, we have found that there are two axes, identity and freedom, which go through lives. The word 'identity' which is presented in this study means external representation of the behavior exposed by study participants outward, and also meaning a representation holding inward desire stylized by free-participants. 'Runaway' or 'self-reliance' can be one outwardly expression of the results of semantic representation. But a 'process of self-reliance', discovery of inherent meaning of life, not only discover but also achieve self-sufficiency and reveal it externally on phenomenon, also combining with the structured that can be tied to the process. When be integrated in the two axes, identity and freedom, is organically connected to one another through the process and the dynamics of circulation and the process of evolution, when the independence process that will lead to self-reliance. In addition, the degree and fulfillment of each step performed in accordance are not the one with the results of the next step sequential structure, but on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circumstances through a sequential process, and while going through a cyclical process of integration process of becoming one, is the result of the independence. Through such process shows the lives of the study participants in female runaway youths' self-reliance, which leads to self-reliance, through the five steps of the process which leads to it. First step is <the pursuit of freedom and the difference of identity>, which is experiencing difference of status away from home in the pursuit of freedom. The second is <controlled freedom and identity disguised>, begins living as a disguised identity on the control the structure of society. The third is <real freedom and the moving of identity>, starts to move toward the future from the end of free life. Fourth is <reconfiguration of freedom and the transition of identity>, rediscover the meaning of freedom and convert identity which is responsible on oneself. The last step is <subjective freedom and stability on identity>, to be free from the gaze from stable society. In such progress, study participants show that in a state of unprepared foundation, which cannot be independent from before-after runaway home and social environment, it is unable to be independent and the problems are revealed. In spite of these circumstances, study participants have reached a stable independence, and it is started from youth shelter as a transition period of life. Study participants show that if there are various support for female runaway youth and establish a policy for them, it is possible to achieve a realistic independent. This study has meaning of researching self-reliance in a qualitative method, unlike preceded domestic runaway youth self-related research by a long-term shelter to youth in the quantitative study. Especially it has meaning in that interpret the process of independent of female runaway youth in a view of 'youth', re-interpret the meaning of independent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and analysis the process. And suggested a support policy on independent which fits in female runaway youth's characteristic and desire. Also finding a way to apply on shelters specifically to practice.

      • 여자가출청소년의 성매매 경험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선희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금까지의 청소년성매매에 관한 연구들은 원인, 실태분석, 법적보호와 처벌, 성매매 경험 및 치료방안, 다체계 모델의 접근, 청소년 비행화 과정에 관한 연구들로 다양한 접근을 통하여 사회문제제기 및 사회복지적 실천함의를 제시하여왔다. 성매매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는 새롭게 접근되고 있다. 특히, 성매매 경험 전 단계에 중요성을 두며, 같은 가출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도 성매매에 유입되지 않고, 가정․학교․사회로 복귀한 가출청소년들의 존재에 관심을 가지며, 이들에게 영향을 미친 요인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가출청소년이 가출이라는 특수한 환경에 처하게 되면, 성매매를 경험하는 전반적인 환경적 상황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분석하여, 성매매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본 조사는 2009년 3월 23일에서 4월 23일까지 1개월 동안, 전국청소년쉼터 28곳, 성매매청소년지원시설 8곳, 일반지원시설 3곳의 협조받아 설문을 실시하였고, 355부중에 281부를 회수받았다. 분석은 기술통계분석, t검증, 상관관계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통계분석에 의하면 전체 276명의 여자 가출청소년 가운데 성매매 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90명(32.6%)이었으며, 성매매 경험에 없는 청소년은 186명(67.4%)였다. 위험요인으로 가출횟수·범죄피해·사회적방임·부정적노동경험·성매매경험이있는또래 요인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반면, 보호요인으로 영적안녕· 자기효능감·가족응집력·또래의지지·가족 외부 성인의 지지에서 평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성매매 경험유무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으로 범죄피해경험․부정적노동경험이 두 집단의 비교에서 유의미한 차이로 밝혀지고 있다. 성매매 경험유무에 부적 영향을 일으키는 보호요인으로 종교적 영적안녕․또래의 지지에서 두 집단의 유의미한 차이로 밝혀졌다. 셋째, 상관관계분석에서 위험요인으로 범죄피해경험·부정적노동경험이 높을수록 성매매 경험이 높으며, 보호요인으로 가족의 응집력·또래의 지지, 가족 외부 성인의지지가 낮을수록 성매매 경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넷째, 여자가출청소년의 성매매 경험에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한 문항이라도 결측치가 있는 사례는 추가로 제거되어 275부 (성매매 경험있음 90부, 경험없음 185부)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분석결과 위험요인으로는 부정적노동경험․성매매경험이 있는 또래와 보호요인으로는 또래의지지 요인이 성매매 경험 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청소년 성매매 경험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본 연구의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정적 노동경험이 많을수록 성매매 경험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은 여자가출청소년들이 부정적 노동환경에서 부당한 대우를 받지 않게 그들의 인권을 보호해 줄 수 있는 위기개입프로그램과 전문 인력의 개발에 관한 필요성을 알리고 있다. 가출이후 의식주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노동시장에 참여하게 되는데, 노동시장 참여는 저학력, 저기술, 부모보호의 부재 현실에서 노동자체가 역이용되어 청소년노동착취의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 부정적 노동경험이 노동시장을 견디지 못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면, 가출 후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현실에서 생계형 성매매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 한국청소년쉼터협의회, 여성부산하 청소년지원시설, 청소년 긴급 1388에서 이루어지고 거리이동상담 Out-reach 활동의 기본틀에서 전문적인 지원 및 전문인력이 확대되어, 청소년 아르바이트 기관․업소에 적극적인 관여와 모니터링 활동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전문인력은 가출청소년들이 일자리를 구할 경우, 자신의 권리를 정확히 알고 법률적 자문과 청소년 인권 및 일자리 옹호 서비스에 개입해야 한다. 둘째, 개인이 성매매친구집단을 단절시키고 문제집단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가출 이전 학교교육에서 자기주장기술훈련을 포함한 다양한 인성변화프로그램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동시에 가출 후 문제친구집단이 청소년에게 부정적 영향력을 행사하기 전에, 긴급구조 및 사회복지 개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하지만 입시위주의 학교교육 및 학교 내 프로그램 형성이 어려움과 위기개입 프로그램 사업수행의 저예산 및 현장실무자들의 업무과다는 질적측면에서 한계를 가진다. 정부에서는 현실적인 서비스가 진행될 수 있는 정책적 지원과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셋째, 청소년의 또래상담프로그램(Peer counselor)의 확대로 가출청소년들에게 학교·가정·사회로 복귀할 수 있는 또래지지자를 양성한다. 현재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또래상담 프로그램은 학교 특기적성․재량활동시간에 관심 있는 일부의 청소년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보다 프로그램의 확대가 필요하다. 또한 학교 재학 중인 학교청소년들에게 인성교육 및 대인관계 향상을 위해 “좋은친구되기”, “친구관계대화법”등의 프로그램이 교육정책에 반영될 필요성도 있다. 이와 같이 여자가출청소년의 위험요인, 보호요인에 적절한 사회복지 개입을 통하여 성매매 경험을 미연에 방지하는 기반이 되어야 할 것이다.

      • 가출청소년의 적응유연성과 역경

        이희만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가출청소년이 경험한 역경과 적응유연성이 일반청소년과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고 가출청소년 중에서도 그 특성에 따른 역경과 적응유연성의 차이를 분석하여, 가출청소년들이 경험한 역경들을 이해하고 가출의 원인을 개인이나 가족문제로 돌리는 기존의 단편적인 관점에서 학교와 지역사회 더 나아가 우리 사회전반에 걸친 다양한 원인으로 관점을 전환하고, 가출청소년들의 적응유연성을 분석하여 이들의 사회복귀와 적응을 위한 대안과 개입에 유익을 제공하고자 하고자하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청소년상담지원센터 제 2청 일시보호소를 이용한 가출청소년 202명과 서울에 소재한 중학교와 고등학교 각 1곳에서 278명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역경수준과 적응유연성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는 Window SPSS 12.0 한글판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가출청소년들과 일반청소년의 역경과 적응유연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가출청소년의 특성에 따른 역경과 적응유연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유의수준 p< .05에서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출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역경수준과 적응유연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 가출청소년은 일반청소년 보다 개인, 가정, 학교, 사회 영역 모두에서 많은 역경을 경험하였으며, 적응유연성은 일반청소년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출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적응유연성은 차이가 없으나, 가족형태와 재학여부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다. 가족형태에 따라서는 감정조절과 긍정적 미래지향성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재학여부에 따라서는 일반청소년이 가출청소년보다 관심과 흥미의 다양성과 긍정적 미래지향성 요인에서 적응유연성이 높았다. 셋째, 가출청소년의 성별, 가족형태, 재학여부에 따라 역경수준에 차이가 있다. 성별에 따라서 여자가 남자보다 전체 역경과 개인영역, 가족영역, 학교영역에서 더 많은 역경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형태에 따라서는 전체 역경과 가족영역, 사회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재학여부에 따라서는 전체 역경과 가족영역, 사회영역에서 더 많은 역경을 경험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출청소년들은 결손가정인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가족구성형태가 청소년의 가출에 중요한 변인일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부모 중 계부나 계모가 있는 경우는 가장 많은 역경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출 뿐 아니라 청소년들의 발달과 관련하여 다른 요인에서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짐작하게 한다. 둘째, 재학중인 가출청소년들은 학교를 다니고 있지 않은 가출청소년 보다 적응유연성은 높고, 역경은 덜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 학교가 가출청소년들의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가출청소년 중 여자가 남자보다 경우 더 많은 역경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가출이라는 특수성을 감안하여 볼 때 여성 가출청소년에 대한 차별화된 개입이 시급함을 의미한다. 그 밖의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들을 위한 제언을 논의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