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광주·전남 음악교육학 석사학위논문 경향분석

        장중선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55

        음악교육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현재에도 전국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전공생들은 석사학위논문의 연구 과정에서 기존의 음악교육학 석사학위논문 경향 및 전반적인 분석과 통계, 체계적인 목록의 미비로 연구 방향 설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중 필요한 논문 목록을 찾고자 할 경우 학위 논문에 따른 적절한 통계자료가 없음으로 논문자료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을 장르별로 목록을 작성하고, 논제 분석을 통하여서 여러 각도로 논문의 연구방향을 모색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문헌의 목록 및 기초적인 정보자료를 제공하려는 뜻에서 이 논문의 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광주·전남 교육대학원의 교육현황, 교육목적을 통하여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둘째,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석사과정 논문을 14개 장르로 나누어 그 세부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셋째, 1983년부터 2002년까지 제출된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들을 장르별 분석, 학교별 장르분석, 장르별 논제의 접근 경향분석을 각각의 표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여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음악교육학 전공의 논문경향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새롭고 선진적인 논문들이 끊임없이 발표되는 현실 속에서 본 논문의 자료를 참고로 보다 많은 연구를 통하여 광주·전남 교육대학원 음악교육 논문의 발전에 조금이나마 기여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더 나아가 음악 연구자뿐만 아니라 음악에 관심을 가진 모든 이들에게 참고자료로서 도움을 주고자 하며, 우리나라 논문 분석자료의 발전에 기여하였으면 하는 바램이다. Whole countr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usical education students are suffering difficulty in research direction set by existent music pedagogy master's thesis tendency and general analysis and figure, unpreparedness of systematic list at research process of master's thesis in present that new research about musical education is happening abuzz. Specially, there is difficulty this to find treatise data that there is no suitable statistical data by thesis in case wish to find necessary treatise list of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degree Therefore,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 established subject of this treatise in intention to make out list by genre, and offer list and basic information data of basic literature so that can grope research direction of treatise by several angles through subject analysis. First, examined theoretical background through education present condition of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ducation purpose Second, divide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course treatise by 14 genres and examined contents that is the details Third, Kwangju Cholla-namdo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ster's thesises that is submitted from 1983 to 2002 presenting result that analyze genre analysis, school analysis, access tendency analysis of genre subject each tables of Gwangju Jeonnam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usic pedagogy treatise tendency analyze. It is desired that the preparation of the superintendence of the degree thesis related to music education shall become the good information data for Gwangju Jeonnam music education circles. In order for our music pedagogy field to be hardened as an academic learning, our study attitude should be progressive and creative to new theories, and ceaseless study and effort to study on the ultra-modern theories of foreign countries so that they can be ours. When such efforts continue, our music pedagogy shall hvae a firm foundation.

      • 여대생과 교육대학원생의 혈액성상 비교

        박희진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조사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년생이 19.6세, 3년생이 21.7세,교육대학원생이 29.8세 였다. 신장과 체중은 2년생이 161.2㎝, 54.2㎏, 3년생이 160.5㎝, 49.6㎏, 교육대학원생이 159.5㎝, 55.8㎏으로 나타났다. 신장은 교육대학원생, 3년생, 2년생 순으로 낮았으나 유의성은 없었지만, 체중은 3년생, 2년생, 교육대학원생 순으로 높았고, 3년생은 교육대학원생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함량 및 AI지수는 2년생이 3년생과 교육대학원생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지만(p<0.05) 중성지방의 함량은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2년생, 3년생, 교육대학원생 순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교육대학원생은 2년생과 3년생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2년생이 3년생과 교육대학원생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혈청 총 단백질 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에 비교하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Plasma nitrogen urea(PUN)함량은 3년생과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했으며(p<0.05) Uric acid(UA)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뇨 중 UA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또한 Total bilirubin 함량도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Glutamate oxaloacetate trsaminase(GOP)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creatinine phosphokinase(CPK)함량도 2년생, 3년생, 교육대학원생 순서로 낮은 경향으로 특히 교육대학원생은 2년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Alkaline phosphatase(ALP)함량은 2년생, 교육대학원생, 3년생 순서로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고 특히 3년생은 2년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뇨 중 무기질 함량은 3년생과 교육대학원생은 2년생에 비교하면 유의적으로 감소했다(p<0.05). 또한 calcium(Ca)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에 비교하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그러나 뇨 중 Ca함량은 교육대학원생이 2년생과 3년생 순서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고 뇨 중 K는 2년생, 교육대학원생, 3년생 순서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뇨 중 Na는 3년생, 교육대학원생, 2년생 순서로 높았고, 3년생은 2년생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뇨 중 Cl도 교육대학원생, 2년생, 3년생 순서로 낮게 나타났으나, 3년생은 2년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p<0.05) 교육대학원생에 비하면 현저하게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본 조사 대상자의 연령이 높은 교육대학원생은 2년생과 3년생에 비교하면 신장은 낮으나 체중이 높게 나타났고, LDL-콜레스테롤, 동맥경화지수, Urinary chlorine 도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뇨 중 amylase, 총 단백질, BUN, UA, TBIL, 뇨 중 UA, 무기질, Ca함량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Studies on health problems of female college students ( sophomor : S, n=20), Third years: T, n=20) and educational graduate school: E, n=20) were observe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biochemical nutritional status were also analyzed. the mean anthrophometric values for S group, T group and E group were heights of 161cm, 160cm and 159cm, respectively, and weights of 54㎏, 49㎏ and 55㎏, respectively, weights of the T group was much lower than the E group. The mean BMI(body mass index, ㎏/㎡) and body fat rate(%), which are obesity indices,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the S and E groups than the T group. Mean blood LDL-cholesterol, AI(altherogenic index), urinary chlorine levels of the E group were significantly(p<0.05) higher the S and T groups. But, mean blood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total protein, urea nitrogen, uric acid, total bililubin, inorganic phosphorous, calcium and urinary amylase, uric acid levels of E group significantly(p<0.05) lower then the S and T groups. As a result, the age went up effected the biochemical nutrtional status for the subjects.

      • 산학협동 활성화 방안 연구 : 목포권의 산업체와 대학을 중심으로

        김성원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논문은 새로운 국제기술 질서의 재편과 관련되어 우리 나라가 처해있는 경제적 위기에도 불구하고 지역경제 발전이 국가 발전의 초석이 된다는 의미에서 목포권의 산학협동 활성화 방안을 연구함으로써 국가 경쟁력을 제고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대학과 산업체를 중심으로 사전 문헌고찰을 통해 산학협동의 기본 개념과 유형을 파악하고 구체적인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하여 목포권의 제조업체 대표와 종합대학의 산합협동과 관련있는 대학 교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사회과학 통계기법 가운데 하나인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목포권의 산합협동의 실태, 문제점에 대한 설문조사에 바탕을 두고 분석한 결과와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산학협동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 대한 응답자의 태도는 첫째, 산학협동에 대한 인식의 정도는 학계와 산업체 모두 알고 있었다. 둘째, 산학협동에 대한 필요성과 이점에 대한 인식 정도에서는 필요하다라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으며, 필요 이유에 대한 응답에서는 ⌜산업체에 대한 이해 및 현장감 증진의 계기⌟와 ⌜산학현장의 기술상 애로 사항 해결⌟이라고 하여 대학과 산업체와의 인적 교류 측면에서 필요하다라고 응답하였다. 셋째, 산학협동의 중요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으로는 정부 및 지방자치 단체이며 그 역할을 잘 이루어지고 있다라고 응답하였다. 다음으로 목포권의 산학협동에 관한 실태 인식에서 잘 이루어진다라고 견해보다는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견해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로는 산학협동에 대한 산업체와 대학의 소극적인 자세라고 응답하여 산학협동의 원칙인 자발성의 원칙이 중요시 되고 있다. 다음으로 산합협동의 문제점을 형태별로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교수의 산업체 강의는 산업체에서 교수 강의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을 지적하였다. 둘째, 산업체 인사의 대학 강의는 학교에서 산업체 인사 강의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을 지적하였다. 셋째, 대학 교육과정과 교재 개발에 산업체 인사 참여는 산업체에 의한 문제점보다는 대학 자체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넷째, 학생들의 현장실습은 ⌜산업체와 대학의 현장실습 목포의 괴리⌟을 지적하였다. 다섯째, 산업체 위탁생 교육은 ⌜산업체 위탁생에 대한 학자금 보조, 근무시간 단축 등의 배려가 미흡⌟을 지적하였다. 여섯째, 대학에 대한 산업체의 장학금 지급은⌜선발된 우수 학생이 장학금을 받게 하고, 졸업 후에는 장학금을 지급한 산업체에 취업하도록 하는 조치가 미흡⌟이라고 지적하였다. 일곱째, 대학과 산업체간의 실험기기 및 시설 대여는 ⌜산업체의 실험기기 및 시설이 이용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과정이 미흡⌟이라고 지적하였다. 아홉째, 대학에 대한 학술활동비 또는 연구비 지급은 ⌜학술활동비 또는 연구비 지급하는 산업체에 대한 면세등의 혜택이 미흡⌟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목포권 산학협동의 활성화 방안으로는 대학 측에서 산업사회의 발전에 맞는 인력 양상을 위한 유연한 교육과정 개발에 노력해야 하며, 현장 실습의 대상 사업체 선정 기준 및 교수의 의식 전환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산업체 측에서는 졸업학생에 대한 인턴제 활용을 통한 우수 인력 확보에 노력해야 하며 대학에 대한 산업체의 인식 제고가 선행되어야 하며,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인재 육성 사업을 적극 추진해야 하고, 정부에서는 중재를 위한 노력과 제도적 뒷받침에 최선을 다하여야 할 것이다. The ultimate object this thesis is to promote technical development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by activating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To achive the thesis' object, the followings have been done; first, the need for this study and theoretical background are reviewed on the basis of precedent studies. Then, the existing problems in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system are surveyed, which are from the recofnition which university professors and industrial workers has about the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in Mokpo Area. Next, some ways to improve and activate the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y and industry are suggested. Finally the rational university-industrial cooperation methods which are outlined to the industry stucture in 21C; This Thesis suggest the following ways to activate the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system; University should make an effort to develop a flexible curriculum which are suitable to foster industry which the intern studeunt will practice, and the professor's consciouness on cooperation system are converted. On the other side, industry should make an effort to secure an excellent worker through the intern system. And, above all, a positive evaluation on local university of industry must be made. However, the mutual efforts of both university and industry are crucial for those suggestions to be effective.

      • 목포대학교 학생들의 금융이해력과 대학도서관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신성숙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금융교육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목포대학교 학부생을 대상으로 금융 분야의 흥미 및 태도, 필요 영역 등 금융분야 선호도를 학생들의 도서관 이용 빈도 및 이용교육 경험 여부와 연계하여 금융교육 제공기관으로서 대학도서관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는 향후 대학도서관 활용방안의 한 방법으로 대학도서관에서 학생들에게 필요한 금융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대학생들이 도서관을 활용하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국·내외 금융교육의 동향과 대학도서관 이용교육에 관한 최근 현황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그리고 대학생에게 필요한 금융교육 프로그램 제공기관으로서의 대학도서관이 학생들에게 긍정적일 것이라는 인식을 전제로 대학도서관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실증분석을 위하여 연구의 대상이 되는 대학생들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조사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병행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하여 얻은 기초적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실제 대학생의 금융 분야 선호도 및 대학도서관 이용교육의 현황과 사례 등을 조사하였다. 실증분석은 실효성 있는 대학생의 금융교육 실태와 대학도서관의 활용방안을 얻고자, 목포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금융 분야의 흥미 및 태도, 도서관 이용실태, 금융교육의 필요성, 금융교육 프로그램의 대학도서관 개설에 대한 타당성 등 다섯 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문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금융정보 제공을 위한 대학도서관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의 교육적 역할, 사회 봉사적 역할을 강화하여, 일차적으로는 대학생들에게 나아가 여력이 된다면 지역주민에게까지 유용한 교양 프로그램 특히 금융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한다. 둘째, 금융전문 사서가 금융교육을 담당하여 제공한다. 대학도서관은 기존의 도서관 이용교육에서 나아가 평생학습기관으로서 교육적인 역할을 강화하고, 이용자를 유치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그 일환으로 대학생들에게 유용한 금융관련 자료를 도서관에 비치하는 방안을 강구하거나 또는 대학생과 지역민에게 금융전문사서가 금융교육 관련 교양 프로그램이나 학습동아리를 운영하여 실생활에 필요한 금융지식을 전달함으로써 대학도서관을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향후에는 금융교육 뿐 아니라 더욱 다양하고 유용한 교양교육 프로그램 제공 방안을 모색하여 대학도서관을 활성화 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Based on the financial education of mokpo university students, the paper investigates undergraduates and then makes the financial information needed by the library as the target.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includes six parts, such a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interest and attitude of financial sector, library’s use situation, the necessity of financial education, library’s financial knowledge. Using SPSS18.0 statistical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the paper makes reliability test. In additional,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each survey area, the paper makes range analysis of students in each specialty and in each grade.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analysis are that, the more the students are interested in financial education, the more willing to participate in financial education curriculum. In additional, once the library opens courses in related financial education, the students, including professional or nonprofessional and regardless of high and low ages, all like to take part in the courses. According to above contents, the best solution of university library is as follows: first, strengthening library’s education function and community services, and opening financial education courses; second, financial professional officials are responsible for providing financial education. In the future, we should find out diversified education plans, and improve activate use of university library not only in the field of financial education, but also in all sorts of fields.

      • 지역중심 국립대학 도서관의 예산운용실태와 효율화방안에 관한 연구 : 목포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김정용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대학도서관은 교육 및 학문 연구 등 대학 본연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대학발전을 선도해야 하는 중대한 임무를 부여받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지역중심 국립대학과 지방거점 국립대학의 도서관을 대상으로 예산운용 실태를 비교·분석하여 향후 목포대학교 도서관의 효율적인 예산운용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내용은 지역중심 및 지방거점 국립대학 도서관의 예산 운용 실태를 분석한 후, 다시 지역중심 국립대학 중 순천대학교와 지방거점 국립대학 중 전남대학교를 대상으로 하여 목포대학교 도서관의 현황 및 예산 운용 실태와 비교 분석하였다. 현황으로는 조직 및 인원, 장서개발 및 확충, 시설확충, 이용자서비스 등 4개 분야를 들어 문제점을 파악한 후, 이를 통해 개선방안으로 목포대학교 도서관의 효율적인 예산 확보 방안을 제시하였다. 목포대학교의 예산운용 정책 수립을 위한 근거자료가 되는 4개 분야의 실태를 진단하여 문제점 및 개선방안 그리고 예산확보방안을 제시하였는데 그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및 인원을 확충해야 한다. 지역특성상 목포대학교는 해양․역사분야 주제전문사서와 디지털 도서관 인적 인프라로써의 전산전문요원의 확충이 필요하다. 둘째, 유사규모의 지역중심 국립대학의 수준에 맞추기 위해서는 장서개발 및 확충을 해야 한다. 셋째, 시설 확충 등 환경개선을 해야 하며, 지하 보존서고의 설비 개선을 해야 한다. 그리고 도서관의 공간부족 문제 해결 및 IT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이용자를 위한 제2도서관 신축을 고려해야 한다. 넷째, 이용자 서비스를 강화해야 하며, 학술정보 이용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한다. 그리고 유학생을 위한 도서관 이용안내 프로그램 개발과 정기적인 이용교육을 실시하고,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외국어로 구축된 홈페이지를 개발하여야 한다. 또한 지역주민을 위한 열린 도서관 운영을 활성화하여 확대 실시하며 특성화자료 열람서비스를 제공한다. 가장 중요한 것이 대학도서관 예산확보 방안이다. 방안으로써는 먼저 목포대학교 도서관이 대학 내에서만 머물지 말고 지역사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서, 인근지방자치단체의 예산을 확보하는 방안이다. 다음으로는 대학구성원들에게 대학도서관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인식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도서관장이 대학본부의 각종 예산평가위원회 위원으로 참여 하여 예산의 중요성을 강조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중요한 사안들을 이행하기 위하여 도서관이용자의 요구도 중요하기 때문에 대학구성원들에게 주요 사업에 대한 수요조사를 한 후 이를 근거로 예산을 편성하여 예산을 확보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외에도 동문, 기업 등을 상대로 재원을 확보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도서관 예산운용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이와 같이 4개 분야의 예산 집행의 개선방안과 위에서 언급한 예산확보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목포대학교 주변 환경의 대내·외적인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도서관의 예산관리 정책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University libraries have assigned important duties to assist supposed functions of the universities effectively and to lead the universities prosperit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presenting an improved scheme for efficient budget operation of the Mokpo National University library in the future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budget operations of main universities in the region. For this research, Mokpo National University library’s present condition and the actual condition of budget operation are compared with the main regional universities such as Suncheon University and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fter analyzing their actual conditions of budget operation. The present conditions including organization and personnel, collection development and expansion, facility expansion, and user services are used to identify current problems. Through the finding of the current problems, an efficient budget planning scheme is proposed. The four main ground data for budget operation planning were used to find problems along with an improved schemes and present a budget allocation scheme as follows. First, should expand the organization and personnel. Mokpo National University needs special librarian for the ares of marine and history and computer operators for digital library according a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Second, should expand the collections to match the levels with similar size regional hub national universities. Third, should expand the facilities and boost the environments along with improvement the preservation stack rooms. The second library is required for IT environment and more space for users. Fourth, should boost the user services and academic information usage program. And need to develop a Web site with foreign languages along with guide program for foreign students. Also, need to activate the open library program for local resident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allocation scheme for the budget of the library. A scheme is to utilize the municipal government’s budget through co-working with local society.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he library is also important. In order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the library, the director of the library need to be a committee member of the university budget evaluation. Also, library users opinion are important, so demand research should be considered before planning the budget for the main projects. Other than these, the budget should be secured from alumni, companies and so on. Previously mentioned budget secure schemes and the four aspects of budget execution improvement schemes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library budget operation planning. A policy direction for the library budget management has been suggested corresponds to the environmental changes around Mokpo National University.

      • 목포시 정책형성과 시의회의 역할 : 인구출산장려정책과 야간경관조명정책을 중심으로

        최석호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국문초록> 목포시가 지역발전을 위해 추진하는 다양한 정책 중 인구유입 및 출산장려정책과 야간경관조명정책 2대 주요 정책을 통해 정책형성시 의회의 역할을 파악해 봄으로서 의회 활동을 통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목포시 의사록을 중심으로 2대 정책사업의 추진결과 및 추진과정별 의회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먼저 인구유입 및 출산장려정책에 있어서 목포시 신생아수 및 인구가 증가되고 있으며, 출산장려 종합 대책 5개년 계획을 수립 시행함으로써 서남권 광역도시로 성장가능한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자 하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평가되어진다. 또한 최근 중앙의 인구정책 경진대회에서 보건복지부 장관상 수상을 비롯해 주변 지방자치단체의 벤치마킹 사례가 많아지는 등 사업성에 대한 인정과 현실적으로 인구증가 결과가 이를 증명해 주고 있다. 범국가적인 정책에 대해 목포시의회도 집행부서와의 같은 목소리로 사업에 동참하고 있으나 막대한 예산투입으로 인한 시 재정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하는 염려와 현재 추진되어지는 인구 증가 지원책이 단순히 단기적인 정책사업의 목표로서 보다는 장기적인 국가의 현재와 미래의 문제와 과제라는 점에서 국가적 지원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책추진과정결과의 도출되기까지의 의회의 역할을 평가하자면, 첫째, 의회의 집행부 계획에 대한 심의과정에서 저출산 고령사회문제가 범국가적인 정책사업으로 추진됨으로 인하여 집행부서에서의 발의와 주민견수렴, 정책방향 제시 등에 있어서 의회의 역할 다소 미흡하였다. 하지만 출산장려 종합대책 5개년 계획 수립으로 향후 인구관련 사업추진 및 지원․협력체제 구축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라 예측되어진다. 둘째, 예산결산심의과정에서는 추진안에 대해 원안가결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등 정책의 중요성과 심각성에 대한 집행부와 의회의 공통 인식하에 상호보완적 관계가 형성되어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지방비와 함께 전 국가적인 노력이 필요한 사안으로 재정자립도가 미약한 지방예산보다는 국비지원 비율이 높은 시책중심으로 심의가 진행되었다. 셋째, 조례제개정과정에서는 임산부 의료비지원 조례와 여성장애인 출산지원 조례만이 의회의 발의로 제정되었으나, 출산장려 종합대책 5개년 계획에 대한 상임위 보고, 출산장려정책에 대한 확대시행 등에 대한 시정질문, 인구증가 종합대책 기본계획 상임위 활동보고 등 적극적인 역할을 하였다. 또한 조례제개정에 있어서 주민의견수렴과 중간과정에서의 평가 및 보완사항에 대한 적극적인 의견제시로 의회의 역할이 다소 긍정적이라 평가되어진다. 넷째, 감사 및 평가에 있어서는 추진사업에 대한 평가보다는 미추진된 사업에 대한 의견제시나, 사업추진 독려측면에서 역할을 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인구유입 및 출산장려정책은 현실적으로 예산 및 인력, 조례제개정 등 다양한 추진체계에 있어서 목포시 차원의 시책이 라기 보다는 사회적 합의와 협력․지원체계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바, 이에 정부주도의 정책하에서 운용되어져야 할 것이라 여겨진다. 다음으로 야간경관조명사업은 관광사업을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과 아름답고 깨끗하고 쾌적한 이미지 제고를 목표로 추진되었다. 하지만 계획에서 평가단계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인 도시경관 계획과는 무관하게 즉흥적인 빛의 도시 사업의 추진이 집행부 중심으로 추진되어 왔고, 이에 의회와 시민단체와의 의견충돌이 끊임없이 이어져 왔다. 특히 자연 환경에 악영향과 생태계 변화 등의 사회문제로까지 파급될 수 있다는 사회적 위기감 등과 예산활용에 대한 의견이 좁혀지지 않는 등 중간단계에서의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이에 정책추진과정상 의회의 역할을 살펴보면, 첫째, 의회의 집행부 계획에 대한 심의과정에서 시민과 사회단체의 의견수렴의 미흡이 제기되었고, 둘째, 예산결산심의과정에서는 시 예산사용에 있어서도 무려 20억원이상의 사업비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의견조정이나 협의과정을 거치지 않고 집행부서의 단독사용에 대해 주민의 대표기관으로서 의회의 중요한 기능 및 역할 중 하나인 예․결산심의에 대한 소홀함이 지적되어진다. 셋째, 조례제개정에 있어서는 의회가 적극적인 의견제시와 사업수정 및 보완 등을 통해 직간접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넷째로 감사와 평가에 있어서도 사업추진과정상의 예산사용, 시민 및 사회단체의견 등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의견제시와 수정․보완책 등을 제안하는 등의 활동을 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의사록 발췌를 통한 의회 역할에 대한 연구의 부재와 의사록에 수록된 내용만으로 전체 의회의 활동 및 역할을 모두 규명하기에는 무리가 있었음을 지적하며, 더욱이 목포시 2대 주요 정책사업을 연구의 범위로 국한 한점을 연구의 한계로 남기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한계는 향후 의원으로서 지역사회에 대한 애정과 전문가적인 학습과정을 통해 활발한 의정활동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이와 더불어 지역주민의 관심과 참여, 집행부의 투명하고, 효율적인 행정, 사회단체의 올바른 적극적인 감시를 위한 지역사회구성원의 공동노력이 우선되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I’d like to see how Mokpo Council made changes on Mokpo city by understanding the role of Mokpo city when policies are made; I’ve looked at two main policies, which are systematic increase of population and child birth encouragement plan for five years and Mokpo City night view business plan, among many policies that Mokpo City has been working on. So, I’ve been looking over the result of the two policies as those processes and the role of the council of each step of the two policies process; I used mainly the minutes of Mokpo City council of last years. The systematic increase of population and child birth encouragement plan for five years of Mokpo City is evaluated positively; the number of new born baby and total population are increasing and it gives Mokpo City the potential power that will help Mokpo to be a metropolitan city of south-west area of South Korea. It is also proved that this policy has business value and it actually increases population by getting award from Federa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Mokpo has been a role model of other cities that also have same population problem. Since, population problem is international problem, Mokpo Council agrees with what the executive branch is insisting; however, it worries about the enormous budget that the plan needs. In addition, the council thinks that it should be long term goal plan rather than plan that simply trying to see short term results; it is the present problem that this nation is facing and will face in the future, the council thinks that there should be a national plan that will figure it out. If I may evaluate the role of the council to come up with the result of processing the population increasing plan, there are several points. First point of my opinion is that the executive branch of the council was insufficient adopting the public opinion and directing the plan in general, although the population decreasing and aging society are international problem that the whole nation and sal pny other countries are facing now; however, the systematic increase of population and child birth encouragement plan for five years of Mokpo City has been made and it created the foundation of future population related business, support and cooperating system, so I'd assume that there will be positive result in the future. Secondly, through the process of evaluating budget, majority of original bills have been evaluated proper, so I'd say that there is complementary cooperation relationship created between the executive branch and the council. Also, it is hard to support the whole plan with the local finance, which has low Self-Reliance ratio, the plan was mainly related with plans that has high level of government funding. Third, when the council enacts and reforms the ordinance, only ordinance related with medical expenses of pregnant women and supporting childbirth of handicapped women. However, the council is been actively acting recentiy, such as, reporting the systematic increase of population and child birth encouragement plan for five years of Mokpo City to the members of the committee, asking questinos to the administration about the policy expansion enforcement, and reporting overall plans for the population increasing plans to the committee. In addition, it has been evaluated positively that the council started taking the public opinions, and active suggesting about the appraisal of the plan progress and supplementations. Lastly, I figured it out that inspection and evaluating are leaning toward to the unscheduled plans and encouragement of current plans. However, I’d like to insist that it needs to be under government control because it most likely requires social agreement and cooperation and concrete supplementary system and it is hard to say that it is independent policy of the Mokpo Council. Another big plan that Mokpo Council prepares is Mokpo City Night View Business; the purpose of the plan is that it will create economic value and enhance beautiful, clean and pleasant image of Mokpo through tourism. However, the whole plan, from planning to evaluating, is disgraced that the executive excludes the public opinion and decides the plan on impulse under the name of making ‘the city of light’ plan; it is unfortunately true that there has been a lot of argument fight between executive and civic groups. Especially, the main argument topics are about the procedure of the plan process, such as, the light plan can damage to the nature and it might change ecosystem and the usage of the budget and so on. So, if I may look over the role of the council again, there are four opinions that I’d like to insist. First of all, it is insufficient taking public opinion when the executive evaluates the overall plan. Secondly, the council as public representing institution is negligent with reviewing budget; executive turns out that it used 8 billion Korean Won without opinion adjustment and consultation with the council. Third, when the council enacts and reforms the ordinance, it has been doing its job directly and indirectly by suggesting opinions actively and modifies plans and so on. Lastly, the council has been working hard audit and evaluate budget usage on plan procedure with public opinion as the center; it has also suggested many modification and supplementary opinions. In conclusion, I’d like to mention that it was very hard to investigate the whole council activities and play role of the council with only congressional records of the Mokpo Council; my research might show a little bit of deficiency of specific and solid information, and I’d like to limit my research that it is only about these two main plans, so it can be more focused in that way. The limitation of my research will be covered and it will continue with me being active in congressional politics with my love to this community and future profession education; in addition, attention of the community and participation, clean and efficient executive procedure, accurate civic groups will be required in the future above all.

      • 목포시 보행환경 실태에 관한 연구

        김안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23

        <국문초록> 지난 30여년간 우리나라는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경제발전의 질적 측면을 도외시한 채 양적 성장만을 추구해 왔다. 그 결과 양적 성장으로 인해 도시공간은 자동차 위주의 공간으로 변모되었고 현재 교통문제로 인해 도시의 질은 악화되고 있다. 최근 도시는 ‘삶의 질’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고 있으며, 교통에 대한 새로운 자각으로 무공해 교통수단인 보행과 자전거를 중요한 교통수단으로 인식하고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들이 가시화되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 후반 이후 서울시의 보행환경기본계획의 수립 및 조례제정으로 보행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경기도를 비롯하여 대전 등의 대도시를 중심으로 보행환경기본계획이 수립되어 왔다. 그러나 소도시의 경우 기본계획을 수립한 경우도 있으나 심도 있는 조사 없이 형식적으로 진행되어 보행환경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짚어내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방중소도시인 목포시의 보행환경 조성현황을 살펴보고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의 현황조사 결과 목포시 도시관리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고 도시환경 수준이 대도시에 비해 열악한 것이 현실이지만 최근 보행환경에 대한 관심이 조금씩 생겨나고 있으나 차량중심으로 가로환경이 조성되어 있어 현 목포시의 보행환경에 대한 수준은 현실에 대한 면밀한 조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를 통해 목포시의 보행환경 실태를 파악하고 보행환경수준지표를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편리성 관련 실태를 조사한 결과 무단 주․정차로 인해 보행자가 보도에서 밀려나 차도로 걷는 공간이 많이 나타났으며, 보도 내에서 점유하고 있는 노상적치물과 노점상의 물건진열로 인해 보행자공간인 보도를 우선적으로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쾌적성 관련 실태를 조사한 결과 가로시설물의 방치로 인해 보행자들에게 불쾌한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공연장 내 쓰레기더미가 있는가 하면 여러 지점에서 나타나는 보도블럭의 훼손은 신속한 정비가 요구된다. 목포시의 보행자 중심거리인 차 없는 거리는 불법스티커 부착으로 인해 바닥이 지저분해 보행자의 거리가 아닌 상가들의 광고판으로 활용되고 있다. 셋째, 안전성 관련 실태를 조사한 결과 노상적치물과 노점상의 상품진열로 인해 차도로 걷고 있는 보행자들을 위한 안전시설이 협소하였다. 통학로와 이면도로의 공통적인 문제점은 무단 주․정차 차량과 노상적치물, 노점상의 상품진열이 보도 내로 진입되어 있어 유효보도 폭을 확보하는 문제가 가장 시급하였다. 넷째, 보행약자의 편의성 관련 실태를 조사한 결과 볼라드와 점자블럭의 설치위치나 설치길이 즉, 법․지침 기준을 준수하는 곳이 한 곳도 조사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목포시의 보행환경 실태가 열악하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보행약자를 위한 편의시설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행환경을 위한 개선책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목포시의 중심가로를 대상으로 보행환경 실태를 조사하여 목포시의 기본적인 보행환경이 조성되어 있지 않은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나타난 문제점들은 향후 진행될 다른 지방중소도시의 보행환경과 목포시의 보행환경을 조성하는데 토대를 마련하는 계기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Over the last 30 years, our country has amazingly grown without talks about quality of life. it gave numerous problems to us. Due to the effort of improving quantitative figures in the national economy. A space structure in the city has been changed into focusing convenience in cars' movement rather than people. When it would be considered and planned, city has generated a variety of problems threatening quality of life. Nowadays, cities begin to consider environmental friendly traffic ways like walking and bicycle and also establish the supporting laws. In the late 90's walk environment master plan established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o support pedestrian environment influence on the Gyeonggi and Daejeon near in Seoul. At that time, walk environment master plan included new concept for pedestrian environment was also established by other metropolitan cities. but the small local cities do not deeply consider as well as survey. In this study, it's been analyzed examples about pedestrian environment, Target area is one of the small cities, Mokpo. The results of the present condition in Mokpo city showed that city government has lack of interest in pedestrian environment. nevertheless it's possibly poor than the metropolitan cities. When it comes to reviewing the feedback from citizen in Mokpo, following results are given. firstly, according to the survey about convenience, because of illegal street parking, piled materials on the pavement, people have naturally been walking on the road. secondly, according to the survey about comfort, it needs to clean the garbage on the road and replace the defected bricks. A lot of stickers for the commercial publication are thrown away on the street that should use for pedestrian. thirdly, according to the survey about safety, product display along the pavement leads to minimize the facilities for protecting pedestrian. The most common problems in the local street and school zone are people engaged in roadside, piled materials, illegal street parking and product display on the pavement. it has an badly effect on the possible pedestrian space. finally, according to the survey about walk environment master plan, there is nothing keeps guidlines and standards of installing Bollard and Braille bricks in any ways. For this result, it needs to establish the traffic amenities and the measures in an attempt to enhance accessibility for the pedestrian with disabl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mmon condition of pedestrian environment located central street in Mokpo city and search for the related problems. eventually, it will be using as an basic elements to compare Mokpo city with other small cities.

      • 일제강점기 호남지역 소방조 연구

        김상욱 목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23

        A fire-fighting service that had been organized to put out a fire by the Japanese imperial government after the port opening was active until 1945. It was originally made to extinguish fires at Edo, the capital of the Tokugawa shogunate. However, it was also mobilized for night patrol and suppression of anti-Japanese activity in addition to fire-fighting.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as consistently using the fire-fighting service for its colonial rule. It announced the ‘Joseon Fire-Fighting Rule’ in 1915 that regulated that a police chief shall be charged of its supervision. This study examined formation and change of fire-fighting services in Mokpo, Gunsan, Jeonju and Gwangju that were active in Honam area under the Japanese rule and arranged their activities and characteristics. The four cities of Mokpo and Gunsan as open ports and Jeonju and Gwangju as inland cities formed their own towns with different space designs via the port opening period and the Japanese imperial rule. Different compositions of towns had an influence on aspects of fires. Different dwelling aspects of Korean and Japanese people derived from particularity as colonial space had an influence on fires and fire-fighting activity. It was found out that updated fire-fighting equipment including vehicle pumps was secured through financial support from businessmen and fire-fighting service was closely related with local influential men. By tracing activities of the fire-fighting services in Honam Area, this study identified the step-by-step fire-fighting policy and measures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The four cities representing Honam had their own identities and their different identities were derived from such complex conditions as historical background of town space, Korean's exclusive feeling about Japanese people and differences in economic conditions, commercial power and residential condition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people. Finally, it was assured that the fire-fighting service activities were arranged to meet the colonial rule of the Japanese imperial government. With such activities as the background, this study was composed as follows: Chapter 1 described the purpose of this study, arranged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current status of relevant studies and presente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Chapter 2 was intended to understand the fire-fighting service syste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Here, the aspects of fire as a precondition of the fire-fighting service system were analysed and its introductory process was described. Then the process the Japanese government controlled fire-fighting service was arranged step-by-step with a focus on the system. Chapter 3 examined the organization and change of the Fire-Fighting Service of Mokpo as the first open port city in Honam area. It was analysed that Japanese people who wanted to escape from narrow space was mixed with Korean and the residential condition had an influence on aspects of fire outbreak. Japanese businessmen and Koreans joined in fund-raising for purchase of fire-fighting pumps, but as it was found that the updated equipment was arranged only in Japanese area, this study analysed antagonistic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people. Chapter 4 analysed activities of the fire-fighting service of Gunsan as one of representative rice export ports along with Busan and Inchon. It was assured that Gunsan rice sellers supported fire-fighting service to protect their properties. It was also assured that Japanese merchants' intention to manage their own fire-fighting service had an influence on the Gunsan Fire-Fighting Service. Chapter 5 described fire-fighting service activities in Jeonju as one of traditional cities of Joseon. Japanese people could not settle down completely in Jeonju and Koreans took the lead in busines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a number of damages from fires in Korean dwellings of Jeonju in consideration of such characteristics. The expenses for the Jeonju Fire-Fighting Service were wholly covered by Korean. As Japanese merchants resided in the center of Jeonju, the public fire-fighting service was active in the center while the quick fire-fighting service was active in the neighborhood. Chapter 6 identified that the Gwangju Veteran's Association played a role in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the Gwangju Fire-Fighting Service. Under the its influence, the Gwangju Fire-Fighting Service was mobilized to suppress the March First Movement, the Students Movement and the Laborer Movement. Such activity was derived from the service-government collusion and there were laws enacted on retirement allowances and welfare for fire fighters. Chapter 7 examined the limitations and influence of the fire-fighting service in Honam area during the Japanese rule. Although the fire-fighting service was composed of Korean and Japanese people, Korean people were differentiated. Updated equipment was concentrated on Japanese residential area, which finally led to increased damages from fire in Korean residential area. Korean fire fighters were mobilized to suppress anti-Japanese movements and the managing staff of the fire-fighting service interfered in diverse projects through insurance agencies, which was a deviation from the original service of fire control. Then, this study examined the limitations and modernity of the fire-fighting service activity and arranged its influence and meaning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Chapter 8 arranged results of the fire-fighting service activities in Honam area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Thus, by examining the fire-fighting service activities of the four cities in Honam area,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meanings: First, the fire-fighting service activities were influenced by spatial structures of cities. Differentiation of residential areas between Korean people and Japanese, and spatial structures of towns had an influence on the aspects of fire outbreak and the directions of fire-fighting service activities. As the Mokpo, Gunsan, Jeonju and Gwangju Fire0Fighting Services had different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the aspects of activities were changed. Each local fire-fighting service responded to anti-Japanese movements in different ways, actively or passively. Secon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continuously attempted to have fire-fighting service as an assistant system for its governance and included the service under the Gyeongbandan in 1939. It was a side dot for its control that the service was changed into an assistant system for military affairs. To meet the Japanese government's intention, the fire-fighting services were mobilized to assist night patrol and the police under the supervision of a police chief. Therefore, it supported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colonial rule and assistance of war and the police affairs. Third, Japanese businessmen used the fire-fighting service to keep their properties and interfere in rights and interests. They made the service keep their plants and managed fire insurance agencies as the managing staff. They also became the members of the vice assembly and the Board of Trade to pursue their rights and interests. To sum up, the fire-fighting service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was dominated by Japanese people and was characterized by differentiated treatment of Korean fire-fighters and differentiated arrangement of fire-fighting equipment and system in Japanese residences. However, thanks to updated fire-fighting equipment introduc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ires could be quickly extinguished, and based on fire statistics, reasons of fires could be quickly analysed. Through ambulance service and the fire prevention day, the fire prevention consciousness was promoted. Although the fire-fighting service activi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positive, its modern meaning was devaluated because of the specificity of colonial rul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ire-fighting service activity should be newly evaluated and reconsidered as studies on history of living in the colonial space have been highlighted.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호남지역에서 활동하였던 목포 ․ 군산 ․ 전주 ․ 광주소방조의 결성과 변천을 살펴보고, 지역별 소방조의 활동과 특성을 정리한 것이다. 소방조는 화재를 진압하는 단체이다. 개항 이후 일본인들이 결성한 소방조는 1945년까지 활동하였다. 소방조의 기원은 도쿠가와 막부의 수도인 에도의 화재에 대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조선총독부는 한국에 대한 식민통치에 소방조를 이용하는 정책을 일관되게 추진하였다. 개항장인 목포 ․ 군산, 내륙도시인 전주 ․ 광주 등 호남의 네 도시는 개항과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차별성 있는 시가지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도시 공간적 차이는 화재발생 양상에도 영향을 주었다. 식민지 공간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하여 한국인 · 일본인의 거주양상도 화재와 소방 활동에 영향을 주었다. 자동차펌프 등 최신 소방장비 확충에 실업가들은 기금을 후원하였는데 소방조와 지역유력자들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호남지역 소방조 활동을 추적하면서 조선총독부의 소방정책, 소방조 활동 시책도 단계적으로 규명할 수 있었다. 목포 ․ 군산 ․ 전주 ․ 광주 등 호남을 대표하는 네 도시의 소방조는 저마다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활동하였다. 정체성의 차이는 도시공간의 역사적 배경, 지역민들의 일본인에 대한 배타적 정서, 경제적 여건과 상권의 차이, 한일인간의 거주 등의 복합적 양태에 따른 것이었다. 궁극적으로 소방조의 활동은 총독부의 식민통치에 부합되는 역할로 귀결되었다. 호남지역 소방조 활동을 연구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다음과 순서로 구성하였다. 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연구사 자료검토와 연구 성과를 정리하여 연구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2장은 논제의 도입부로써 일제강점기 소방제도에 대한 개략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소방 활동의 전제가 되는 화재에 대한 양상을 분석해보고 각 지역의 소방조의 도입과정을 서술하였다. 조선총독부가 소방업무를 장악해가는 과정을 제도를 중심으로 단계별로 역할을 정리하였다. 3장은 호남지역 최초의 개항도시인 목포소방조의 결성과 변천을 알아보았다. 협소한 공간을 탈피한 일본인들이 한국인들과 뒤섞여 거주하면서 화재발생의 양상에 영향을 미친 사실도 분석하였다. 소방장비 확충 모금에 한국인과 일본인은 함께 참여하였지만 구입된 자동차펌프는 일본인 거주지에 차별 배치되었다. 4장에서는 부산 ․ 인천과 더불어 대표적인 미곡이출항인 군산지역의 소방조 활동을 조감하였다. 군산미곡상의 소방 활동에 대한 지원이 정미소 등 미곡시설을 화재로부터 지키려는 시도였음을 파악하였다. 일본인으로만 구성된 소방조를 운영하면서 소방조를 권력화하려는 군산 실업인들의 의도가 군산소방조에 영향을 주었던 사실도 규명하였다. 5장에서는 전통도시인 전주지역의 소방조 활동을 서술하였다. 전주에서 일본인의 정착은 활발하지 못하였으며, 한국인들이 상권을 주도한 지역이라는 특징이 있다. 전주지역 한국인 거주지에 화재로 인한 소실피해가 많았는데 전주소방조의 경비도 한국인이 부담하였다. 일본인들은 전주중심지에 많이 거주하였다. 따라서 중심지는 공설소방조가, 인근 지역은 간이소방조가 소방 활동을 나누어서 담당한 사실도 분석하였다. 6장에서는 광주소방조의 결성과 활동에 광주재향군인회의 역할이 있었음을 분석하였다. 재향군인회의 영향 아래 광주소방조는 3,1만세운동, 학생운동, 노동운동 진압에 동원되었다. 광주소방조의 이러한 활동은 소방조와 官과의 유착관계로 나타났으며, 소방조원에 대한 퇴직금과 복지를 규약으로 제정한 사실도 밝혔다. 7장에서는 일제강점기 호남지역의 소방조 활동의 한계와 영향을 고찰하였다. 소방조는 한·일인 공동으로 구성되었는데 한국인에 대한 차별이 일반화 되었다. 최신장비가 일본인지역에 집중배치 되면서 궁극적으로 한국인 지역의 소실피해가 증가한 사실도 규명하였다. 화재진압이라는 소방 활동의 본질적 업무를 벗어난 사례로 한국인의 항일운동 현장에 소방조가 동원 된 점과 소방조간부들이 보험대리점 운영에 개입하여 이권을 챙기는 상황 등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일제강점기 소방조 활동의 한계성을 살펴보면서 해방 이후 소방 활동에 미치는 영향도 정리하였다. 8장 결론에서는 호남지역 소방조의 활동성과를 정리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밝혀 낸 연구 성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방조의 활동은 도시적 공간적 구조에 영향을 받았다. 한국인과 일본인의 거주지 차별, 시가지의 공간적 구성에 따라 화재발생과 소방 활동의 방향이 달라졌다. 목포 · 군산 · 전주 · 광주소방조가 각각의 성격을 달리하면서 활동 양상도 달라졌다. 지역별 소방조의 정체성의 차이는 항일시위에 대처하는 방식이 적극적 대응이나 소극적 대응으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총독부에서는 소방조를 식민통치기구에 포섭하여 경찰보조 역할을 지속적으로 주문하였다. 총독부의 이러한 시도는 각 시기별로 법규정비를 통한 소방제도의 변화로 나타났고, 1939년에는 경방단에 소방조를 편입시켰다. 전시체제에 맞추어 소방조를 군사보조기구로 변질시키는 것이 소방조 통제의 최종목적이 된 것이다. 소방조는 중앙에서는 총독부의 시책에 맞춘 식민통치 및 전쟁보조기구, 지역에서는 경찰 보조역할을 수행하는 관변단체가 되었다. 셋째 일본인 실업가들은 소방조를 蓄財의 수단으로 삼아 이권에 개입하는데 이용하였다. 소방조 간부 직함을 이용하여 지역 유력자로 행세하면서 화재보험대리점도 운영하였다. 또한, 부의회 및 상업회의소에도 진출하여 지역 권력과 밀착하였다.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 소방조를 주제로 종합적인 분석을 시도한 최초의 연구라는 측면에서 연구사적 의미가 있다. 화재발생의 추이와 관련 법령의 정비과정, 일제강점기 소방 활동과 관련 기구의 결성과 변천 과정을 전반적으로 검토하였다. 이어서 호남지역의 대표적인 4개 도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일제강점기 소방조가 태동하고 활동해나가는 세부 양상을 면밀하게 살폈다. 또한, 일제강점기 소방조 활동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여, 소방 활동의 근대화 과정 속에도 식민성과 국권 피탈의 한계가 드러나고 있음도 밝혔다.

      • 조선시대 목포진의 설치와 역할

        정세훈 목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study examines the installation of Mokpojin in the Joseon Dynasty and the composition and function of people and materials. Based on central historical sources such as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Gyeongguk Daejeon』, historical sources directly related to Mokpojin such as 『Muaneupji』 and 「Mokpojinsaryeseongcheok」 were analyzed and details were added. Starting with Mokpojin’s strategic points, its composition and function of Mokpojin, which was install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liberation system in the early Joseon period, were examined. Regarding the changes occurring in the island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functional changes of Mokpojin were analyz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Southwest Sea network. From the end of Goryeo, Japanese invasion increased, paralyzing coastal routes and threatening inland military counties. To solve this problem, Joseon tried to establish a liberation system based on its naval power from the beginning of its opening. Mokpojin was also a marine military base installed at the estuary of the Youngsan River for the liberation system. Mokpojin, one of the strategic points where Jeolla Wusuyeong, which oversees the southwestern sea of Jeolla Province, went through, was a place where it was easy to anchor the warships, and it was a maritime military point where the coastal route of the Southwest Sea and the Yudal beacon fire station were located. The elements of Mokpojin were the defence facilities including Jinseong, warship, observatory, Bongsudae, and Manho, Jinsok, and soldiers using the facilities. In the case of Jinsok and soldiers, not only their role in the current situation and pay, but also the operation of confrontation and isolation that prevailed throughout Joseon society was revealed. In the case of Yogangdae and Bongsudae, there were villas, military, and assistance, and the number was a significant part of Mokpojin. The functions of Mokpojin were divided into seven categories: naval resource management, navy training, a cargo vessel, Apryung, Gammok, Songgeum, taxation and relief, and request and drifting vessel processing. The naval forces including Mokpojin secured coastal routes and escorted the Choun ship by clearing the Japanese and Japanese waters with military force. In addition, they managed the island's ranch, salt farm, and power transmission, and they directly oversaw the military service and taxation, and took charge of relief through exchanging grain. Mokpojin's role was also played out in special circumstances such as Jeongyu Jaeran. After the Battle of Myeongnyang, Yi Sun-shin chose Gohado as a temporary base for the Navy, and later took control of the islands to procure pine and salt. He also issued passbooks to manage the sea routes. This was the role Mokpojin had in the sea area, and Yi Sun-sin helped rebuild the navay during the war.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Japanese invasion declined, and foreign vessel has emerged. Meanwhile, the number of entry into island areas increased. Therefore, the management of them was considered an important function. In the islands under the jurisdiction of Naju, where the observation corps under Mokpojin is stationed, there was no separate navy installed. An independent step was made to report directly to Jeolla Wusuyeong on the measures taken against the drifting ships in the area. Old literature reveals that Mokpojin was closely related to these islands. The situation appeared better in Mokpojin. This study examined the installation process and role played by Mokpojin, and analyzed the importance of Mokpojin in the liberation system in the southwestern sea of Jeolla Province.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Mokpojin, who continued to adhere to Manho-jin's position after installation, ha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southwestern islands until the 19th century. 본 연구는 조선시대 목포진의 설치와 인적·물적 구성, 기능에 대해 살핀 것이다. 『조선왕조실록』, 『경국대전』과 같은 중앙 사료들을 바탕으로 하면서 『무안읍지』, 「목포진사례성책」 등 목포진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사료들을 분석하여 구체성을 더하였다. 이를 토대로 조선 초기 해방체제 구축 과정에서 설진된 목포진의 요해지성을 시작으로 구성과 기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선 후기 도서지역에서 일어나는 변화들과 관련하여 목포진의 기능변화를 서남해 네트워크라는 틀 속에서 분석하였다. 고려말부터 증가해온 왜구의 침입은 연안항로를 마비시키고 내륙 군현까지 위협하는 문제를 일으켰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조선 개창 초기부터 수군력을 바탕으로 한 해방체제 구축 노력이 있었다. 목포진 또한 그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영산강 하구에 설치된 해양 군사기지였다. 목포진은 전라도 서남해역을 관장하는 전라우수영이 거쳐 간 요해지 중 하나로, 병선을 정박하기 용이했으며 서남해의 연안항로와 유달봉수대가 함께 입지한 해양 군사적 요지였다. 목포진을 구성하는 요소는 진성, 병선, 요망대, 봉수대 등 관방시설과 그 시설을 이용하는 만호와 진속, 병졸들이었다. 특히 진속과 병졸들의 경우 현황과 급대에서 그 역할뿐만 아니라 조선 사회 전반에 만연했던 대립, 고립의 운영이 여실히 드러났다. 그리고 요망대와 봉수대의 경우 수직하는 별장과 군졸, 보인이 있었고 그 수적 비중은 목포진에 있어 상당한 부분이었다. 목포진의 기능은 수군자원관리, 수군훈련, 조운선 압령, 감목, 송금, 부세와 진휼, 요망 및 표류선 처리의 일곱 가지로 구분하였다. 목포진을 포함한 수군진들은 군사력을 통해 왜구나 수적을 소탕하여 연안항로를 확보하고 조운선을 호위하였다. 또한 섬의 목장과 염전, 송전을 관리하였으며 입역과 부세를 직접 관장하고 환곡을 통해 진휼도 담당하였다. 목포진의 역할은 정유재란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도 발휘되었다. 명량해전 이후 이순신은 수군의 임시 거점으로 고하도를 선택한 뒤 그 도서해역을 장악하여 소나무와 소금을 조달하고, 통행첩을 발급하여 해로를 관리하였다. 이는 이곳 해역에서 목포진이 가지고 있었던 역할로 전시에는 이순신이 수군을 재건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조선 후기 들어서면 왜구의 침입이 줄어들고 황당선이 출몰하는 한편 도서지역에 입도하는 사례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관리 기능이 더욱 중요하게 여겨졌다. 목포진 예하의 요망군이 주둔한 나주 소관 도서지역에는 새로이 수군진이 설치되지 않았다. 그리고 이 지역에 발생한 표류선 조치를 전라우수영에 직접보고하는 독자성을 보였다. 목포진이 이들 도서지역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은 고문헌들을 통해서도 나타났다. 목포진의 경우 그 상황이 더욱 두드러졌다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목포진의 설진과정과 맡은 역할을 살펴보면서 전라도 서남해의 해방체제에서 목포진이 갖는 중요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설진 이후 계속 제진인 만호진의 위치를 고수한 목포진이 그 지위와는 다르게 19세기까지 서남해 도서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 목포권 개발사업의 특징과 타당성 분석에 관한 연구

        오평수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23

        목포권에서는 수많은 개발사업에 대한 계획이 세워지고 있다. 또 이런 계획을 뒷받침하기 위해 수많은 개발계획서도 발간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개발계획서의 유형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개발계획서를 통해서 목포권 개발사업의 동향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목포권 개발사업의 특징을 파악하고, 현재 한국과 일본에서 이루어지는 타당성분석의 실시내용을 살펴보고, 개발사업에 대한 타당성분석의 항목과 기법을 제안하여 목포권 개발사업에 대한 타당성분석을 실시해 보았다. 1. 목포권 개발계획서의 유형은 제안부처별로 보면 목포시에서 발표한 개발계획서가 다른 주체들보다 많았고, 시기별로 살펴보면 1989년과 1994년에 급증한 것으로 나타나 있는데, 이것은 서해안 개발 계획이 발표된 이후에 개발계획서가 주로 발표되었고, 또 1994년의 지방자치제의 시작으로 인한 공약 발표에 대한 개발 계획서들로 목포권 개발계획서는 서해안 개발계획과 지자체의 공약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개발사업에 대한 계획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단계별로 살펴보면, 비법정계획단계와 실시계획 및 실시단계의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비법정계획의 사례가 많은 것은 법정계획으로 결정되기 전에 준비·수정을 계속하는 것을 의미하며, 당연하다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계획 및 실시에 대한 사례가 많다는 것은 개발 계획서의 내용이 개발계획의 실시현황만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하므로, 계획서로서 체제를 갖추지 못하고 있음을 드러낸 것이라 할 수 있다. 2. 목포권 개발사업의 동향을 살펴보면, 도로부문의 상당수 개발사업이 서해안개발계획 이후 법정계획화되고 있다. 그러나 도로부문의 각 개발사업은 우선 순위를 정하지 못하고 있다. 철도부문의 개발사업의 경우 구상단계가 많고, 법정계획이 된 사업조차 실시되지 못한 경우가 있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호남선복선화와 대불공단 인입철도의 개발사업은 조속한 마무리가 필요한 시점이며, 도로부문과 연계를 통해 사업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항만부문의 개발사업은 모두 법정계획이거나 법정계획화 될 가능성이 높아, 앞으로 차질 없는 사업의 실행이 필요하다. 개발사업의 완료시기에 따라 지역간 연계를 살펴보면, 2001년까지는 무안국제공항과 서해안고속도로의 완공으로 목포권의 골격이 잡히게 되며, 2006년에는 대부분의 개발사업이 완공되어 목포와 무안공항의 연계와 대불산단과 목포 및 다른 지역과의 연계가 잘 이루어질 것이다. 2006년 이후에 목포신외항이 완공되면 목포권 개발사업이 도로, 철도, 공항, 항만 부문의 고른 형태를 갖추게 된다. 이와 같이 31개 개발사업이 계획대로 추진된다면, 2006년 전후에 목포 및 목포권의 개발은 상당한 수준이 될 것이다. 그러나 2001년에 무안 국제공항이 완공된 이후에 무안국제공항-목포간 고속도로가 2005년에나 완공됨으로 무안국제공항과 목포간의 연계가 시기적 차이를 보이고 있음은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3. 목포권 개발사업을 도면으로 본 특징은 첫째, 몇몇 사업간의 연계는 있으나, 전체적으로 사업간 연계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단위사업위주의 개발사업이고, 둘째 목포권 전체를 순환할 수 있는 망 형성이 되어있지 않다. 셋째, 핵심개발사업(지점)이 무안국제공항, 신외항, 목포역, 목포IC임을 알 수 있다. 넷째, 개발사업이 서해안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 개발계획서의 문제점은 정부에서 발표한 1989년의 서해안 개발계획에 너무 의존하고 있다. 서해안개발계획에 발표된 개발계획을 미리 구상하고 제안한 개발계획서도 있지만, 이것은 소수에 지나지 않고 정부의 법정계획에 반영되기 위한 목포 나름의 구상과 준비단계가 필요함을 지적하고 싶다. 개발사업의 수립과정상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개발사업이 실시되기 전에 이루어져야 할 계획과정의 누락 및 미비점이 많다. 상당수 개발사업에 대한 계획이 정부에서 수립·법정계획으로 된 개발사업을 토대로, 지역의 개발계획서가 작성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지역의 대응, 대비가 불충분함을 알 수 있다. 목포권 개발사업의 위치를 보면 계획수립시 사업 간의 연계효과가 잘 나타나지 않고, 서해안에 사업이 집중되어 있는 것은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개발사업의 실현과정상의 문제점은 재정상의 이유로 인한 것이 많다. 개발사업을 실현하려면 사업비가 필요한 데, 목포권 개발계획서에서 사업비를 어떻게 추진할 것인지에 대한 언급이 극히 드물다. 앞으로 개발계획서에서는 개발사업의 실현에 필요한 사업비의 추진상황에 대한 언급이 필요하며, 한정된 재정을 유용하게 이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개발계획의 우선순위를 정하여 활용한다면 개발사업이 원활하게 실시되고 사업완공 이후의 성과도 크게 나타날 것이다. 5. 한국과 일본의 타당성 분석 작용 현황을 보면, 기존의 개발사업에 대한 평가절차 및 평가기법에 대해 한국에서는 예비타당성조사와 일본은 착공준비제도를 도입하여 평가절차를 강화하고 있다. 6. 경제적타당성분석은 한국은 교통수요추정을 통해 편익을 산출하고, 비용의 산출을 통한, 경제적 타당성분석기법인 B/C, NPV, IRR을 통해 분석하고, 변수들의 불확실성에 대처하기 위한 민감도분석을 실시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효과의 계측 및 편익의 평가기법을 통해 편익을 산출하고 비용을 계측한 후 B/C 분석을 통해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하고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고 있다. 7. 한국과 일본의 타당성분석과정을 비교분석 해보면, 첫째, 공공사업절차에서 공통점은 예비타당성조사와 착공준비단계의 추가 및 한국에서는 예비타당성조사시 예비타당성평가와 타당성조사시 타당성평가, 유지관리시 사후평가가 실시되고, 일본에서는 착공준비시 사업평가각, 사업착수시 신규사업평가가 완성공용시 사후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차이점은 일본에서는 사업채택후 5년이 경과한 사업인 10년간 계속사업에 대해서 사업 재평가를 실시 하고 있다. 둘째, 개발사업의 분석항목에서 공통점은 한국의 대상사업의 조사와 일본의 조사의 완료가 있고, 한국의 관련계획조사 및 검토와 일본의 다른 프로젝트와의 관련, 한국의 경제적 타당성평가와 일본의 투자효과의 유무, 한국의 재원조달계획의 실현가능성 및 적정성평가, 재무적 타당성 분석과 일본의 원활한 사업진행의 환경이 갖추어져 있다. 한국의 환경의 쟁점분석과 일본의 생활환경계의 확보가 있다. 차이점을 보면, 한국은 종합분석(다중기준분석)과 기술성분석이 있고, 일본은 안심할수 있는 주거를 위한 국토의 실현으로 도로의 방재대책 및 위기관리의 충실을 추가하고 있다. 셋째, 경제적 타당성분석의 공통점은 한국의 편익의 추정 및 산출과 일본의 효과의 계측, 한국의 비용의 산출 및 추정과 일본의 비용의 계측, 경제성분석기법으로 B/C분석 및 할인율의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차이점은 일본은 편익에 여러 가지 평가 기법을 제시하여 각 사업에 적당한 기법의 사용을, 한국은 경제성분석기법에 NPV, IRR, FYRR을 추가로 사용하고 있다. 8. 개발사업에 적용할 평가항목(안)은 한국의 모든 항목을 기본으로 제안항목의 예비타당성평가에는 일본의 개발사업에 대한 평가항목 중 경제성분석에서 일본의 편익의 평가기법과 정책적 분석에서 활력있는 지역만들기·도시만들기와 안심하고 살 수 있는 국토실현의 항목을 추가하였고, 제안항목의 타당성평가에는 경제성분석의 편익의 평가기법 항목을 추가하였다. 편익의 평가기법은 편익을 화폐가치화하는데 중요하게 이용될 것이다. 9. 제안한 예비타당성평가를 통한 목포권개발사업의 타당성분석은 전남중부고속도로 개발사업은 기존방법과 제안방법 모두 경제적 타당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무안-광주간 고속도로 사업에 대해서는 기존방법과 제안방법 모두 경제적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도 2호선 대체 우회도로사업도 경제적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두 방법 모두 같은 결과를 나타내지만, 제안방법이 경제적 타당성이 있을 때는 더 높게 경제적 타당성이 없을 때는 더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할인율 적용의 차이라 할 수 있다. 앞으로 목포권 개발사업의 사업채택 후 타당성조사 이전에 사업을 분석해보고자 할 때, 이 제안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사업채택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