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년기 대인적 욕구에 대한 성, 연령 및 통제소재의 영향

        김안희 숙명여자대학교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년기에 있어서 대인적 욕구에 대한 성, 연령 및 통제소재의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청년기 발달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원만한 대인관계를 모색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 목적을 위해 성과 연령 및 통제소재에 따른 대이적 욕구를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성, 연령 및 통제소재에 따라 대인적 욕구의 하위차원인 소속감, 통솔감, 친밀감을 각각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대인적 욕구에 대한 성, 연령 및 통제소재의 영향은 어떠한가? 2. 성, 연령, 통제소재에 따라 소속감의 욕구는 어떠한가? 3. 성, 연령, 통제소재에 따라 통솔감의 욕구는 어떠한가? 4. 성, 연령, 통제소재에 따라 친밀감의 욕구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수원시에 소재하고 있는 중고등학교와 대학교에 재학중인 2학년 중고생과 대학생으로 전체 인원은 37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측정도구는 대인적 욕구를 측정하기 위한 Schutz(1966)의 FIRO-B 척도와 통제소재를 측정하기 위해서 Rotter(1966)의 내외통제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은 평균과 표준편차, 다변량분석(MANOVA), 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적 욕구에 대한 영향은 성, 연령 및 통제소재에 따라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인적 욕구의 하위 차원 가운데 소속감의 욕구는 연령, 통솔감의 욕구는 성별, 친밀감의 욕구는 통제소재에 따른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속감에서는 연령과 통제소재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청년전기에 해당하는 중학생이 가장 소속감에 대한 욕구가 높은 반면 고등학생이 소속감의 욕구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적 통제소재자가 외적 통제소재자보다 소속감의 욕구가 높았다. 셋째, 통솔감에 있어서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통솔감의 욕구가 높았다. 넷째, 친밀감에 있어서 연령과 통제소재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중학생이 친밀감에 대한 욕구가 가장 높은 반면 고등학생에서 대학생이 될 수록 친밀감의 욕구가 낮고, 내적 통제소재자가 외적 통제소재자보다 친밀감의 욕구가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sex, age and locus of control on interpersonal needs of adolescents. Interpersonal needs are desires in three categori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 Inclusion, Control, Intimacy.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verification of the following problems. 1.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personal needs according to their sex, age and locuse of control ? 2.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clusion according to their sex, age and locuse of control ? 3.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rol according to their sex, age and locuse of control ? 4.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imacy according to their sex, age and locuse of control ?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74 adolescents, 184 males and 190 females in Suwon. They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questionnaires which measure 'interpersonal needs' and the direction of locus of control. The degree of 'interpersonal needs' was measured by Schutz's(1966) FIRO - B and locus of control was measured by Rotter's(1966) Locus of control Scal.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sed statistically by Mean, Standard deviation, MANOVA, Three-way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olescent's interpersonal needs according to their sex, age and locuse of control.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clusion according to their age and locuse of control. Early adolesc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 inclusion than both middle and late adolescents. Adolescent with internality had significantly higher in inclusion than those with externality. 3.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rol according to their sex. Mal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 control than female.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imacy according to their age and locuse of control. Early adolesc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 intimacy than both middle and late adolescents. Adolescent with internality had significantly higher in intimacy than those with externality.

      • 학교사회사업 실습교육의 전문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안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교사회사업 실습교육이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학교상주형 학교사회사업 모형을 중심으로 실습실태를 조사한 연구이다. 날로 학교 청소년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최근 들어 사회복지계와 교육계가 함께 협력하여 학교사회사업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여 지금은 조금씩 확대되어 가는 단계에 있다. 그러나, 학교사회사업이 활성화되고 제도화되기만을 무작정 바라기에 앞서 학교 청소년들에게 충분하고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학교사회사업을 수행할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이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사회사업의 전문성과 전문 학교사회사업가 양성을 위한 실습교육에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수행되었다. 첫째, 미국의 학교사회사업 관련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학교사회사업의 전문성과 실습교육을 살펴보고, 이를 우리나라 학교사회사업과 비교해 보았다. 둘째, 우리나라 학교사회사업의 문제점을 전문성을 중심으로 지적하고, 학교사회사업의 전문성 요소를 학교사회사업가들의 철학과 가치 그리고 지식과 기술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전문성 확립을 위한 대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셋째, Fortune의 실습지도 모델을 적용하여 전문적 발달, 행정적 측면, 정책적 측면, 기본적 대인관계 기술, 클라이언트 체계 개입을 위한 기술 등과 관련하여 학교상주형 학교사회사업 실습교육의 현 실태를 조사하였다. 실태조사 결과는 실습내용 수행정도가 전체적으로 평균 약 3.35점(표준편차 0.85), 실습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약 3.50점(표준편차 0,70)으로 5점 척도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교상주형 학교사회사업 실습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다루어지는 부분은 전문적 발달 영역이었으며, 반면에 가장 미흡하게 지도되는 부분은 정책적 측면이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학교상주형 학교사회사업의 실습교육의 전문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 학교사회사업 실습의 표준화(학교사회사업 실습 모델 개발), 학교사회사업가들의 수퍼비젼 체계 확립, 다른 학교현장의 실습생들과 학교사회사업가간 네트�p 형성 및 활용.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실천적 함의를 갖는다. 먼저, 아직 제도화되지 않은 상황이지만 5년여 동안 꾸준하게 확대 실시되고 있는 가운데 학교상주형 학교사회사업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전문 학교사회사업가 양성을 위한 실습교육의 실태를 점검해 보았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그리고, 전문 학교사회사업가 양성을 위한 실습교육을 보다 전문화하고 체계화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학교상주형 학교사회사업을 위한 실천적 및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ality of school social work practicum in the Model of Residents in School of school social work and it is also designed to present the better plans for school social work practicum more professionally and systematically. According to the recent counterplan for the juvenile delinquency which is getting serious, there is a cooperation between the social work and the education department for preventing the juvenile delinquency. However, it is important that there should be a certain ways for providing sufficient and proper school social work services as a well-trained school social worker. Therefore, this study is mainly focused on the education of social work practicum for producing professional school social workers. This study is searched as follows. First, it is reviewed the prior studies about the school social work practicum in the U.S.A and it is compared to those of school social work in Korea. Secondly, it is pointed out the issue of school social work in Korea and searched the components of professionality of school social work which is focusing on philosophies, values, knowledges and skills.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e plans for the professionality of school social work. Thirdly, the model of Fortune's field instruction was applied to this study and the current trend of practicum education in the Model of Residents in School of school social work was examined the core components of the model in the aspect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dministrations, policies, basic personal relations and skills for intervention of clients. The results of study was that the degree of performance of practicum contents was an average mark of 3.35(SD 0.85)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practicum was an average mark of 3.50(SD 0.70). It was relatively high marks.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was mainly emphasized in the Model of Residents in School of school social work. On the other hand, the weakest part was the political aspect. Based upon the result, it is suggested the professionalization plans of school social work practicum as follows : standardization of school social work practicum (developing the model of school social work practicum); providing the supervisory system for school social worker; formation and utilization of network between students and school social workers in different school settings. This study was implemented practically as follows. Although the system of school social work is not institutionalized yet, it is meaningful to point out the reality of practicum education for school social work specialist in the Model of Residents in School of school social work which is expanding the operation steadily during past 5 years. It is also suggested the basic information for professionalization and systematization of school social work practicum and presented political suggestions as well for the Model of Residents in School of school social work.

      • 목포시 보행환경 실태에 관한 연구

        김안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지난 30여년간 우리나라는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경제발전의 질적 측면을 도외시한 채 양적 성장만을 추구해 왔다. 그 결과 양적 성장으로 인해 도시공간은 자동차 위주의 공간으로 변모되었고 현재 교통문제로 인해 도시의 질은 악화되고 있다. 최근 도시는 ‘삶의 질’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고 있으며, 교통에 대한 새로운 자각으로 무공해 교통수단인 보행과 자전거를 중요한 교통수단으로 인식하고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들이 가시화되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 후반 이후 서울시의 보행환경기본계획의 수립 및 조례제정으로 보행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경기도를 비롯하여 대전 등의 대도시를 중심으로 보행환경기본계획이 수립되어 왔다. 그러나 소도시의 경우 기본계획을 수립한 경우도 있으나 심도 있는 조사 없이 형식적으로 진행되어 보행환경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짚어내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방중소도시인 목포시의 보행환경 조성현황을 살펴보고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의 현황조사 결과 목포시 도시관리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고 도시환경 수준이 대도시에 비해 열악한 것이 현실이지만 최근 보행환경에 대한 관심이 조금씩 생겨나고 있으나 차량중심으로 가로환경이 조성되어 있어 현 목포시의 보행환경에 대한 수준은 현실에 대한 면밀한 조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를 통해 목포시의 보행환경 실태를 파악하고 보행환경수준지표를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편리성 관련 실태를 조사한 결과 무단 주․정차로 인해 보행자가 보도에서 밀려나 차도로 걷는 공간이 많이 나타났으며, 보도 내에서 점유하고 있는 노상적치물과 노점상의 물건진열로 인해 보행자공간인 보도를 우선적으로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쾌적성 관련 실태를 조사한 결과 가로시설물의 방치로 인해 보행자들에게 불쾌한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공연장 내 쓰레기더미가 있는가 하면 여러 지점에서 나타나는 보도블럭의 훼손은 신속한 정비가 요구된다. 목포시의 보행자 중심거리인 차 없는 거리는 불법스티커 부착으로 인해 바닥이 지저분해 보행자의 거리가 아닌 상가들의 광고판으로 활용되고 있다. 셋째, 안전성 관련 실태를 조사한 결과 노상적치물과 노점상의 상품진열로 인해 차도로 걷고 있는 보행자들을 위한 안전시설이 협소하였다. 통학로와 이면도로의 공통적인 문제점은 무단 주․정차 차량과 노상적치물, 노점상의 상품진열이 보도 내로 진입되어 있어 유효보도 폭을 확보하는 문제가 가장 시급하였다. 넷째, 보행약자의 편의성 관련 실태를 조사한 결과 볼라드와 점자블럭의 설치위치나 설치길이 즉, 법․지침 기준을 준수하는 곳이 한 곳도 조사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목포시의 보행환경 실태가 열악하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보행약자를 위한 편의시설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행환경을 위한 개선책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목포시의 중심가로를 대상으로 보행환경 실태를 조사하여 목포시의 기본적인 보행환경이 조성되어 있지 않은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나타난 문제점들은 향후 진행될 다른 지방중소도시의 보행환경과 목포시의 보행환경을 조성하는데 토대를 마련하는 계기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Over the last 30 years, our country has amazingly grown without talks about quality of life. it gave numerous problems to us. Due to the effort of improving quantitative figures in the national economy. A space structure in the city has been changed into focusing convenience in cars' movement rather than people. When it would be considered and planned, city has generated a variety of problems threatening quality of life. Nowadays, cities begin to consider environmental friendly traffic ways like walking and bicycle and also establish the supporting laws. In the late 90's walk environment master plan established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o support pedestrian environment influence on the Gyeonggi and Daejeon near in Seoul. At that time, walk environment master plan included new concept for pedestrian environment was also established by other metropolitan cities. but the small local cities do not deeply consider as well as survey. In this study, it's been analyzed examples about pedestrian environment, Target area is one of the small cities, Mokpo. The results of the present condition in Mokpo city showed that city government has lack of interest in pedestrian environment. nevertheless it's possibly poor than the metropolitan cities. When it comes to reviewing the feedback from citizen in Mokpo, following results are given. firstly, according to the survey about convenience, because of illegal street parking, piled materials on the pavement, people have naturally been walking on the road. secondly, according to the survey about comfort, it needs to clean the garbage on the road and replace the defected bricks. A lot of stickers for the commercial publication are thrown away on the street that should use for pedestrian. thirdly, according to the survey about safety, product display along the pavement leads to minimize the facilities for protecting pedestrian. The most common problems in the local street and school zone are people engaged in roadside, piled materials, illegal street parking and product display on the pavement. it has an badly effect on the possible pedestrian space. finally, according to the survey about walk environment master plan, there is nothing keeps guidlines and standards of installing Bollard and Braille bricks in any ways. For this result, it needs to establish the traffic amenities and the measures in an attempt to enhance accessibility for the pedestrian with disabl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mmon condition of pedestrian environment located central street in Mokpo city and search for the related problems. eventually, it will be using as an basic elements to compare Mokpo city with other small cities.

      • 독서치료가 중학교 부적응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안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influences of bibliotherapy on the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of maladjusted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seek bibliotherapy programs to help them build positive self-efficacy and desirable school adjustment. For this study, a total of 32 maladjusted students of E Middle School in Gyeonggi Province were selected with the help of counseling and class teachers of the school and th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16 each - of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16 students under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ubject to a study to see " whether a biblio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led by a librarian teacher will have influence on the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of maladjusted middle school students."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incorporating questionnaires studied and designed by Kim, Ah Young and Cha, Jeong Eun (1996) and then revised by Kim, Ah Young (1997) and the School Adjustment Scale produced by Kim, Yong Rae (2000) that is designed to measure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at large were used to verify the study findings. A bibliotherapy program was designed to meet the study objective by a researcher and reviewed by librarian teachers and experts, based on the &#985172;(For Bibliotheraphy) Situational Reading List: Teenagers&#8228;Children (2005)&#985173;. Under the program, students were placed on bibliotherapy on a weekly basis for 13 weeks from June 20, 2008 to September 12, 2008 - 60 minutes per session. In order to understand influence of the bibliotherapy, a t-test was performed by using the SPSS 12.0 (Ver.) for the comparison of pre- and post-test score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bibliotherap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fficacy pre- and post-test scores compared to a control group without bibliotherapy. In particula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dentified in subcategories of self-confidence and self-regulated efficacy while not in task difficulty preference.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pre- and post-test scores were indicated by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as subject to bibliotherapy. The differences are found in subcategories of school environment-related adjustment, school friends-related adjustment and school life-related adjustment while not in school teacher-related adjustment and school instruction-related adjustment. Hence, a conceptual hypothesis 1 (the maladjusted middle school student group with bibliotherapy on self-efficacy will not show differences in the relevant test compared to the student group without bibliotherapy) and a conceptual hypothesis 2 (the maladjusted middle school student group with bibliotherapy on school adjustment will not show differences in the relevant test compared to the student group without bibliotherapy) were rejected. Also, a null hypothesis of operational hypothesis 1.1, hypothesis 1.2, hypothesis 2.1, hypothesis 2.4 and hypothesis 2.5 was rejected while not for null hypothesis of operational hypothesis 1.3, hypothesis 2.2 and hypothesis 2.3. In conclusion, bibliotherapy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of maladjusted middle school students, especially in terms of subcategories of self-confidence, self-regulated efficacy, school environment-related adjustment, school friends-related adjustment and school life-related adjustment. This suggests that bibliotherapy is of help to enhance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who participate in a bibliotherapy group counseling program. Therefore, bibliotherapy programs are required to be continuously studied and developed so that they can contribute to improving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of students given that school maladjustment recently forms the biggest part of school withdrawal. Key words: Bibliotherapy, maladjustment, self-efficacy, school adjustment 본 연구는 중학교 부적응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에 대한 독서치료의 영향을 알아보고, 나아가 바람직한 학교적응과 긍정적 자기효능감 형성을 위한 독서치료의 프로그램의 방법을 모색해보고자 연구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경기도 E중학교 학생 중 상담교사와 담임교사의 추천을 받아 부적응 학생 32명을 선정하여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을 각각 16명씩 나누고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사서교사가 독서치료를 실시하여 ?집단 독서치료가 중학교 부적응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위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김아영&#8228;차정은(1996)이 종합&#8228;분석하여 문항을 작성한 것을 김아영(1997)이 수정한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와 중학생의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적응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김용래(2000)가 제작한 학교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985172;(독서치료를 위한)상황별 독서목록: 청소년&#8228;어린이편(2005)&#985173; 등을 참조하여 연구자가 사서교사와 전문가의 감수를 받아 목적에 맞게 구성하여 2008년 6월 20일부터 9월 12일에 걸쳐 총 13주간, 13회, 매회 60분 정도 독서치료를 실시하였다. 독서치료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점수를 SPSS 12.0(Ver.)을 이용한 t 검정을 실시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중학교 부적응 학생의 자기효능감 전체 사전-사후검사 결과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하위영역인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과제난이도 선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독서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의 학교적응 전체 사전-사후 검사결과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하위영역인 학교환경적응, 학교친구적응, 학교생활적응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교교사적응, 학교수업적응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개념적 가설1(자기 효능감에 관한 독서치료를 실시한 중학교 부적응 학생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없을 것이다)와 개념적 가설2(학교적응에 관한 독서치료를 실시한 중학교 부적응 학생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학교적응에 차이가 없을 것이다)는 기각되었으며, 조작적 가설 1.1, 가설 1.2, 가설 2.1, 가설 2.4, 가설 2.5의 영가설은 기각되었고, 조작적 가설 1.3 및 가설 2.2, 가설 2.3의 영가설은 기각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독서치료는 중학교 부적응 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 전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하위영역인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학교환경적응, 학교친구적응,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는 독서치료가 참여한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학교부적응이 가장 큰 자퇴의 원인인 요즘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지속해서 연구&#8228;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